KR102432893B1 - Ict 기반의 미용제품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Ict 기반의 미용제품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893B1
KR102432893B1 KR1020200137304A KR20200137304A KR102432893B1 KR 102432893 B1 KR102432893 B1 KR 102432893B1 KR 1020200137304 A KR1020200137304 A KR 1020200137304A KR 20200137304 A KR20200137304 A KR 20200137304A KR 102432893 B1 KR102432893 B1 KR 102432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uty
information
unit
server
operation his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3170A (ko
Inventor
김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엘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엘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엘유
Priority to KR1020200137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893B1/ko
Publication of KR20220053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40Maintenance of things

Abstract

본 발명은 미용 서비스 제공 공간에 설치되며, 미용 기기가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미용 기기의 실시간 작동 상태 및 사용에 따른 작동 내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미용제품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상기 미용 기기가 연결되며, 정보의 출력을 위한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설치되는 하우징부; 상기 미용 기기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상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미용 기기의 비정상적 작동상태를 감지할 경우 알림정보를 생성하는 작동상태 감지부; 상기 미용 기기의 기능별 동작이 수행되어 상기 미용 기기의 사용에 진행됨에 따라 상기 미용 기기의 전체 사용 시간 및 상기 미용 기기의 기능별 사용 시간에 대한 제1작동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제1작동내역 감지부; 및 상기 작동상태 감지부를 통해 생성되는 알림정보 및 상기 제1작동내역 감지부를 통해 생성되는 제1작동내역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ICT 기반의 미용제품 관리장치 {BEAUTY PRODUCT MANAGEMENT APPARATUS BAS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본 발명은 ICT 기술을 적용하여 미용 서비스 제공 공간 내에서 사용되는 미용 기기, 미용 관련 소모품 및 화장품 등의 각종 미용제품에 대한 사용 상태 및 현황과 관련한 각종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미용제품의 관리에서부터 신기술 개발, 경영, 마케팅등 다양환 분야에 확장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미용제품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는 정보 기술과 통신 기술의 융합을 통해, 정보를 주고받으며 운영 및 관리 기능의 수행에 이용하기 위한 기술로서, 최근 다양한 산업 분야 전반의 기반 기술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ICT 기술의 적용은 특정 기술 분야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 분야의 확장을 이루고 있으며, 미용 서비스 제공과 관련한 기술 분야에도 역시 ICT 기술의 적용을 위한 다양한 개발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피부관리샵과 같은 미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에스테틱(Aesthetic) 혹은 코스메틱 (Cosmetic) 업체에서 사용되거나 요청되는 장치 혹은 물품 형태의 미용 제품들을 사용함에 있어 발생되는 다양한 현상들을 관리자가 쉽게 파악하고, 효율적이고 능동적으로 각 상황에 맞는 관리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미용 관련 분야의 ICT 적용 기술의 개발 필요성이 지속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불어, 미용 서비스 제공과 관련한 단일 업체들이 필요시 하는 부분 혹은 부족한 부분들을 정보 수집을 통해 분석하고, 이에 매칭되어 효과적인 대응 전략을 제공할 수 있는 ICT 기술 수준을 넘어서, 단일 업체들이 형성하는 상권 혹은 지역 단위의 정보들을 통해 경영 및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활용에도 ICT 기술의 접목을 통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확장성 역시도 지속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미용 서비스 제공 분야에 있어 미용제품의 이용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들을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미용 서비스 제공과 관련한 새롭고 편의성을 갖춘 다양한 기능들을 부가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5650호의 "미용융합관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미용융합관리 방법"(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ICT 기술의 적용이 이루어진 미용제품 관리 장치 혹은 시스템의 경우, 단순히 다양한 정보들을 수집하여, 설정된 항목별 분류 및 정보처리를 거쳐 관리자에게 출력 제공하는 수준에 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ICT 기술의 적용이 이루어진 미용제품 관리 장치 혹은 시스템의 경우, 수집한 정보를 활용하는 방식 및 해당 정보의 활용을 통해 미용 서비스 제공과 관련한 새로운 기능의 부가가 이루어지는 방식에 있어 단순히 미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 내에 국한되어 한정적인 형태를 보임으로써, 외부적인 구성과의 연계 혹은 연동을 통한 특정 시스템을 구축하여 좀 더 복합적이고 효율적인 기능 혹은 서비스의 제공이 이루어지지 못하며,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한 활용 분야의 확장성에도 한계가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미용 서비스 제공과 관련한 미용제품의 이용 상 다양한 정보들을 수집하여,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미용 서비스 제공과 관련한 새롭고 편의성을 갖춘 다양한 기능들을 자체적으로 부가 제공하고, 더 나아가 외부 서버 혹은 단말과의 특정 시스템 구축을 통해 더욱 복합적이고 고도화된 신기능의 부가 제공을 비롯해 특정 장소, 상권 혹은 지역을 대상으로 한 경영 및 마케팅 전략 수립에 있어서의 활용 또한 가능한 기능적 확정성을 갖춘 ICT 기반의 미용제품 관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ICT 기반의 미용제품 관리장치는, 미용 서비스 제공 공간에 설치되며, 미용 기기가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미용 기기의 실시간 작동 상태 및 사용에 따른 작동 내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미용제품 관리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상기 미용 기기가 연결되며, 정보의 출력을 위한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설치되는 하우징부; 상기 미용 기기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상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미용 기기의 비정상적 작동상태를 감지할 경우 알림정보를 생성하는 작동상태 감지부; 상기 미용 기기의 기능별 동작이 수행되어 상기 미용 기기의 사용에 진행됨에 따라 상기 미용 기기의 전체 사용 시간 및 상기 미용 기기의 기능별 사용 시간에 대한 제1작동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제1작동내역 감지부; 및 상기 작동상태 감지부를 통해 생성되는 알림정보 및 상기 제1작동내역 감지부를 통해 생성되는 제1작동내역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미용제품 관리장치의 상기 통신부와 무선 네트워크 통신망을 구축하여, 정보의 송신 또는 수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부; 및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알림정보 및 제1작동내역 정보를 기록 저장하는 서버 저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미용제품 관리장치는, 상기 미용 기기의 기능별 동작이 수행되어 상기 미용 기기의 사용에 진행됨에 따라 상기 미용 기기에 사용에 연계되어 소비되는 소모품의 사용 횟수에 대한 제2작동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제2작동내역 감지부; 및 상기 작동상태 감지부를 통해 생성된 알림정보, 상기 제1작동내역 감지부를 통해 생성된 제1작동내역 정보 및 상기 제2작동내역 감지부를 통해 생성된 제2작동내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여 알림 제공하는 정보 알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2작동내역 감지부를 통해 생성되는 제2작동내역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 저장부는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2작동내역 정보를 기록 저장한다.
아울러,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서버 저장부에 기록 저장되는 미용 기기별 제1작동내역 정보 및 제2작동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미용 기기 개별, 특정 미용 서비스 제공 공간, 복수의 미용 서비스 제공 공간이 포함된 특정 상권, 지역 혹은 전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석범위를 기준으로 한 미용 기기별 사용 시간의 현황 및 순위와 미용 기기의 기능별 사용 시간의 현황 및 순위 그리고 미용 기기별 소모품의 사용 횟수 현황 및 순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관한 제1사용분석정보를 생성하는 제1빅데이터 분석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미용제품 관리장치는, 상기 하우징부 일측에 마련된 신호 입력모듈을 통해 상기 미용제품 관리장치가 설치된 상기 미용 서비스 제공 공간 내에서 소비되는 화장품의 사용 수량 및 잔여 수량에 관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화장품 현황정보를 생성하는 화장품 현황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화장품 현황정보 생성부를 통해 생성되는 화장품 현황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서버 저장부는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화장품 현황정보를 기록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서버 저장부에 기록 저장되는 화장품 현황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미용 서비스 제공 공간, 복수의 미용 서비스 제공 공간이 포함된 특정 상권, 지역 혹은 전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석범위를 기준으로 한 화장품별 사용 수량 및 잔여 수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관한 제2사용분석정보를 생성하는 제2빅데이터 분석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미용제품 관리장치는, 상기 신호 입력모듈을 통해 제1사용분석정보 및 제2사용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의 제공을 위한 사용분석정보 요청 신호가 입력될 경우, 입력되는 사용분석정보 요청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된 사용분석정보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제1사용분석정보 및 제2사용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신부로 회신 제공되도록 하는 사용분석정보 요청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알림정보가 수신될 경우, 상기 관리 서버 또는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 가능한 관리 단말이 상기 미용제품 관리장치에 무선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원격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원격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원격 제어부는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알림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미용제품 관리장치에 상기 관리 서버 또는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 가능한 관리 단말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미용제품 관리장치에 접속한 상기 관리 서버 또는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 가능한 관리 단말을 통해 상기 미용 기기의 비정상적 작동상태의 원인을 원격으로 분석하여 원인분석정보의 생성이 가능하도록 하며, 생성된 원인분석정보는 상기 서버 저장부에 기록 저장된다.
아울러, 상기 원격 제어부는 생성되는 원인분석정보가 상기 미용 기기의 각종 기능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미용 기기에 내장 설치된 소프트웨어에 상기 미용 기기의 비정상적 작동상태의 원인이 존재함을 나타낼 경우, 상기 미용제품 관리장치에 접속한 상기 관리 서버 또는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 가능한 관리 단말을 통해 상기 미용 기기에 내장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원격 수리가 수행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원격 제어부는 생성되는 원인분석정보가 상기 미용 기기의 각종 기능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미용 기기를 구성하는 하드웨어 부품에 상기 미용 기기의 비정상적 작동상태의 원인이 존재함을 나타낼 경우, 상기 미용 기기의 비정상적 작동상태의 원인이 되는 하드웨어 부품의 교체를 위한 교체품 배송정보의 생성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미용 서비스 제공과 관련한 미용제품의 이용 상 다양한 정보들을 수집하여,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미용 서비스 제공과 관련한 새롭고 편의성을 갖춘 다양한 기능들을 자체적으로 부가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미용제품 관리장치의 관리 서버 및 관리 서버와의 상호 연동을 통한 하나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서, 미용기기의 이상 발생에 대해 원격 수리 및 교체 부품의 빠른 제공과 같은 즉각적이고 능동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더욱 복합적이고 고도화된 신기능의 부가 제공이 가능하다.
셋째, 미용제품 관리장치의 관리 서버 및 관리 서버와의 상호 연동을 통한 하나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서, 미용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는 특정 장소, 상권 혹은 지역을 대상으로 한 경영 및 마케팅 전략 수립에 있어서의 활용과 같은 기능적 확정성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ICT 기반의 미용제품 관리장치를 비롯해, 해당 장치와 연계되는 전체 관리시스템 내 세부 구성들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ICT 기반의 미용제품 관리장치를 비롯해, 해당 장치와 연계되는 전체 관리시스템 내 세부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ICT 기반의 미용제품 관리장치(100)는 미용 서비스 제공 공간(T1, T2)에 설치되며, 미용 기기(M1, M2)가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미용 기기의 실시간 작동 상태 및 사용에 따른 작동 내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통한 자체 기능의 수행 및 관리서버(200)와 관리단말(300)과의 연동을 통한 하나의 시스템 구축을 통해 수집된 정보 기반의 다양한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해 하우징부(110); 작동상태 감지부(120); 제1작동내역 감지부(130); 제2작동내역 감지부(140); 정보 알림부(150); 화장품 현황정보 생성부(160); 사용분석정보 요청부(170); 및 통신부(180);을 포함한다.
우선, 도 1과 같이 ICT 기반의 미용제품 관리장치(100)가 설치되어 자체 기능을 수행하고, 관리서버(200)와 관리단말(300)과의 연동을 통한 하나의 시스템 구축하는 환경을 살펴보면, 에스테틱(Aesthetic) 혹은 코스메틱 (Cosmetic)과 같은 미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 각각에 해당하는 제1업체(T1) 내에는 미용제품 관리장치(100)가 개별 설치되고, 이와 같은 미용제품 관리장치(1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용 기기(M1)가 연결되어 미용 기기(M1)의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각종 정보들의 수집이 이루어지며, 이는 제2업체(T2) 내에도 미용제품 관리장치(100)가 개별 설치되고, 이와 같은 미용제품 관리장치(1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용 기기(M2)가 연결되어 미용 기기(M1)의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각종 정보들의 수집이 이루어지는 환경을 갖춘다.
이와 같은, 에스테틱(Aesthetic) 혹은 코스메틱 (Cosmetic)과 같은 미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 각각에 해당하는 제1업체(T1), 제2업체(T2) ... 제n업체 등 수 많은 이용 서비스 제공 공간 내에는 앞 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각 업체별 미용제품 관리장치(100)를 기준으로 이에 연결된 미용 기기(M1, M2) 사용과 관련한 정보는 물론이고, 미용 기기(M1, M2)의 사용에 따라 소모되는 일회용성의 소모품(P1, P2)과 미용 서비스 제공 공간 내에서 단독으로 사용되는 화장품(C1, C2) 들의 사용과 관련한 정보의 수집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미용제품 관리장치(100)를 통해 수집되는 서비스 제공 공간(T1, T2) 별 정보들은 관리서버(200)와 관리단말(300)에 통합적으로 제공되어, 이를 기반으로한 각종 정보 활용 및 부가 기능의 제공이 이루어진다.
하우징부(110)는 일측에 미용 기기(M1, M2)가 연결되며, 정보의 출력을 위한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10D) 및 신호 입력을 위한 키패드 타입의 신호 입력모듈(110K)가 설치되는 미용제품 관리장치(100)의 몸체에 해당한다.
이러한 하우징부(11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10D)과 신호 입력모듈(110K)은 각각 개별적인 모듈의 구성으로 구분되어 마련될 수도 있고, 실시에 따라 하나의 모듈로 합쳐져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의 형태를 띠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부(11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10D)의 미용제품 관리장치(100)이 생성하거나, 관리서버(200)와 관리단말(300) 등으로부터 수신한 정보의 출력 및 알림을 위해 마련되는 모듈이며, 신호 입력모듈(110K)은 미용제품 관리장치(100)의 작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신호를 입력하거나, 관리서버(200)와 관리단말(300) 등에 별도의 요청신호를 보내기 위해 마련되는 모듈에 해당한다.
그리고 하우징부(110)는 미용 기기(M1, M2)가 무선 혹은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연결된 미용 기기의 이용에 따라 발생하는 각종 정보의 수집 및 미용 기기의 소프트웨어적인 접속을 통한 상태 제어 모두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미용제품 관리장치(100)와의 상호 연결을 통해 정보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미용 기기(M1, M2)는 미용 초음파기, 마이크로 니들, 마사지기 등의 다양한 기기가 적용 가능하며, 하나의 기기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작동상태 감지부(120)는 미용 기기(M1, M2)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상유무를 감지하여, 미용 기기(M1, M2)의 비정상적 작동상태를 감지할 경우 알림정보를 생성하는 센서 구성이다.
여기서, 작동상태 감지부(120)는 미용제품 관리장치(100)와 연결된 특정 미용 기기(M1, M2)의 작동상태의 정상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신호를 보낸 뒤, 이에 대한 피드백으로 돌아오는 신호의 분석을 수행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오류가 발생하거나 하드웨어적으로 구성의 결함이 발생하여 특정 기능의 작동 수행에 문제가 발생하는 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동상태 감지부(120)를 통해 생성되는 알림정보는 정보 알림부(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10D)에 출력되어 사용자가 미용 기기의 작동상태의 오류발생문제를 즉각 인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통신부(180)를 통해 관리서버(200)로 전송된다.
이러한 미용제품 관리장치(100)의 통신부(180)는 관리서버(200)의 서버 통신부(210)와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 통신망을 구축하여 정보의 송신 또는 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모듈의 구성으로, 앞 서 설명한 알림정보 외에도 추후 설명될 다양한 정보의 통신망을 통한 교환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관리서버(200)는 서버 통신부(210)를 통해 미용제품 관리장치(100)의 통신부(180)와의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 통신망을 구축하는 것과 같이 관리단말(300)과도 도 1과 같이 통신망을 구축하여 전체적인 하나의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시스템의 구현을 통해 미용제품 관리장치(100)는 원격자동수리 기능에서부터, 추후 설명될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한 미용제품의 전반적인 관리 및 빅데이터 기반의 경영 및 마케팅 활용 기능의 제공이 가능해졌다.
구체적으로 관리서버(200)는 서버 통신부(210)를 통해 통신부(180)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정보를 기록 저장하여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로서 서버 저장부(220)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서버 통신부(210)로 수신된 알림정보는 우선적으로 서버 저장부(220)에 저장된다.
더불어, 관리서버(200)는 서버 통신부(210)를 통해 알림정보가 수신될 경우, 관리 서버(200) 또는 관리 서버(200)에 접속 가능한 관리 단말(300)이 미용제품 관리장치(100)에 무선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원격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원격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원격 제어부(230)는 서버 통신부(210)를 통해 알림정보가 수신될 경우에 한해 관리 서버(200) 또는 관리 서버(200)에 접속 가능한 관리 단말(300)의 미용제품 관리장치(100)로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의 활성화를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이를 통해 접속된 관리 서버(200) 자체에 탑재된 인공지능형 원격 수리 기능을 통해 알림정보에 대응되는 오류 발생현상을 정상으로 전환시키거나, 관리 서버(200)를 중계하여 접속된 관리단말(300)을 통해 관리자가 원격 조작을 수행하여 수리 기능의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부(230)는 미용제품 관리장치(100)로 관리 서버(200) 또는 관리 서버(200)에 접속 가능한 관리 단말(300)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뒤, 이와 같이 미용제품 관리장치(100)에 접속된 관리 서버(200) 또는 관리 단말(300)이 미용제품 관리장치(100)의 작동상태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미용 기기(M1, M2)의 비정상적 작동상태의 원인을 원격으로 분석하여 원인분석정보의 생성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원격 제어부(230)를 통한 관리 서버(200) 또는 관리 단말(300)의 미용 기기(M1, M2)의 비정상적 작동상태의 원인에 분석 결과 생성되는 원인분석정보는 미용 기기(M1, M2)의 작동 및 기능 수행을 위해 설치된 소프트웨어 문제와, 미용 기기(M1, M2) 자체를 구성하는 각종 세부 구조 혹은 구성상의 하드웨어 문제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원격 제어부(230)는 생성되는 원인분석정보가 미용 기기(M1, M2)의 각종 기능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미용 기기(M1, M2)에 내장 설치된 소프트웨어에 미용 기기(M1, M2)의 비정상적 작동상태의 원인이 존재함을 나타낼 경우, 미용제품 관리장치(100)에 접속한 관리 서버(200) 또는 상기 관리 서버(200)에 접속 가능한 관리 단말(300)을 통해 미용 기기(M1, M2)에 내장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원격 수리가 수행 가능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원격 제어부(230)를 통해 원인분석정보 상 미용 기기(M1, M2)의 비정상적 작동상태의 원인이 소프트웨어 문제임이 판단되면, 관리 서버(200) 또는 관리 단말(300)를 통한 원격 접속 및 수리가 수행되어 별도의 수리기사의 출장이나 수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별도의 교체품 발송 없이도 완전히 수리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원격 제어부(230)는 생성되는 원인분석정보가 미용 기기(M1, M2)의 각종 기능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미용 기기(M1, M2)를 구성하는 하드웨어 부품에 미용 기기(M1, M2)의 비정상적 작동상태의 원인이 존재함을 나타낼 경우, 미용 기기(M1, M2)의 비정상적 작동상태의 원인이 되는 해당 하드웨어 부품의 교체를 위한 교체품 배송정보의 생성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관리 서버(200) 또는 관리 단말(300)에 교체품 배송정보가 생성되면, 관리자는 해당 알림정보의 전송이 이루어진 미용제품 관리장치(100)가 설치된 미용 서비스 제공공간(T1, T2)로 최대한 빨리 부품 교체에 필요한 교체품을 발송하고, 이에 추가적으로 부품 교체 및 수리작업을 수행할 수리기사를 배정하여 출장 서비스의 제공 또한 가능하도록 실시할 수도 있다.
실시에 따라서는, 원격 제어부(230)는 생성되는 원인분석정보가 미용 기기(M1, M2)의 각종 기능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미용 기기(M1, M2)를 구성하는 하드웨어 부품에 미용 기기(M1, M2)의 비정상적 작동상태의 원인이 존재함을 나타낼 경우, 해당 미용 기기(M1, M2) 자체의 대용품을 우선적으로 배송해주기 위한 배송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자를 통해 미용 기기(M1, M2) 자체의 대용품이 빠르게 해당 알림정보의 전송이 이루어진 미용제품 관리장치(100)가 설치된 미용 서비스 제공공간(T1, T2)로 발송될 수 있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비정상적 작동상태를 보이는 미용 기기(M1, M2)를 회수하여 관리자가 자체적인 수리가 진행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대용품으로서 제공된 미용 기기(M1, M2)를 비정상적 작동상태를 보이는 미용 기기(M1, M2)의 수리가 완료되는 시점까지 대체 사용한 뒤, 비정상적 작동상태를 보이는 미용 기기(M1, M2)의 수리가 완료될 경우 다시 둘 간의 교환을 통해 대용품으로서 제공된 미용 기기(M1, M2)를 반납하고 원래의 미용 기기(M1, M2)를 재사용할 수 있게 실시 가능하다.
제1작동내역 감지부(130)는 미용 기기(M1, M2)의 기능별 동작이 수행되어 미용 기기(M1, M2)의 사용에 진행됨에 따라 미용 기기(M1, M2)의 전체 사용 시간 및 미용 기기(M1, M2)의 기능별 사용 시간에 대한 제1작동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센싱 구성이다.
이와 같이 제1작동내역 감지부(130)를 통해 생성된 제1작동내역 정보는 정보 알림부(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10D)에 출력되어 사용자가 미용 기기의 작동내역에 관한 정보를 즉각 파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통신부(180)를 통해 관리서버(200)로 전송된다.
또한, 통신부(180)를 통해 관리서버(200)로 전송된 제1작동내역 정보는 관리서버(200)의 서버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후, 우선적으로 서버 저장부(220)에 기록 저장된다.
제2작동내역 감지부(140)는 미용 기기(M1, M2)의 기능별 동작이 수행되어 미용 기기(M1, M2)의 사용에 진행됨에 따라 미용 기기(M1, M2)에 사용에 연계되어 소비되는 소모품(P1, P2)의 사용 횟수에 대한 제2작동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센싱 구성이다.
여기서, 제2작동내역 감지부(140)는 연결된 미용 기기(M1, M2)와 결합을 이루어 사용되는 소모품(P1, P2)의 탈착 여부를 센싱하거나, 별도의 소모품(P1, P2)의 사용과 관련한 기능의 수행 횟수를 카운팅 하는 방식 등의 다양한 감지수단 및 방법을 통해 소모품(P1, P2)의 사용 횟수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에 따라서는 미용 기기(M1, M2)에 사용에 연계되어 소비되는 소모품(P1, P2)의 사용된 후, 사용자가 미용제품 관리장치(100)의 신호 입력모듈(110K)를 통해 소모품(P1, P2)의 사용이 이루어졌음을 알리는 신호를 입력하거나, 소모품(P1, P2)의 소모가 이루어진 횟수에 대한 직접 신호를 입력함에 따라, 해당 신호를 기반으로 제2작동내역 감지부(140)가 제2작동내역 정보를 생성하도록 실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작동내역 감지부(140)를 통해 생성된 제2작동내역 정보는 정보 알림부(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10D)에 출력되어 사용자가 미용 기기(M1, M2)에 사용에 연계되어 소비되는 소모품(P1, P2)의 사용 횟수에 관한 정보를 즉각 파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통신부(180)를 통해 관리서버(200)로 전송된다.
또한, 통신부(180)를 통해 관리서버(200)로 전송된 제2작동내역 정보는 관리서버(200)의 서버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후, 우선적으로 서버 저장부(220)에 기록 저장된다.
이와 관련하여, 관리 서버(200)는 서버 저장부(220)에 미용 서비스 제공공간(T1, T2)별 및 미용 기기(M1, M2)별로 분류되어 기록 저장된 제1작동내역 정보 및 제2작동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미용 기기 개별, 특정 미용 서비스 제공 공간(T1, T2), 복수의 미용 서비스 제공 공간이 포함된 특정 상권, 지역 혹은 전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석범위를 기준으로 한 미용 기기(M1, M2)별 사용 시간의 현황 및 순위와 미용 기기의 기능별 사용 시간의 현황 및 순위 그리고 미용 기기별 소모품의 사용 횟수 현황 및 순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관한 제1사용분석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제1빅데이터 분석부(2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작동내역 감지부(130)를 통해 생성된 제1작동내역 정보는 미용 기기(M1, M2) 자체가 사용된 시간과 미용 기기(M1, M2)가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는 다수의 기능별 사용 시간이 얼마나 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제1빅데이터 분석부(240)는 해당정보를 활용하여 특정 미용 서비스 제공 공간(T1, T2), 상권 혹은 지역 단위를 기준으로 어떤 미용 기기(M1, M2)가 많이 사용되는지 혹은 얼마나 사용되는지에 대한 분석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특정 미용 서비스 제공 공간(T1, T2), 상권 혹은 지역 단위를 기준으로 특정 미용 기기(M1, M2)별로 어떤 기능이 많이 사용되는지 혹은 얼마나 사용되는지에 대한 분석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 관리자는 해당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자체적 혹은 특정 미용 관련 업체들에 다양한 영업 전략, 경영 전략 혹은 마케팅 전략 등을 수립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작동내역 감지부(140)를 통해 생성된 제2작동내역 정보는 미용 기기(M1, M2)에 사용에 연계되어 소비되는 소모품(P1, P2)의 사용 횟수가 어떻게 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제1빅데이터 분석부(240)는 해당정보를 활용하여 특정 미용 서비스 제공 공간(T1, T2), 상권 혹은 지역 단위를 기준으로 어떤 소모품(P1, P2)의 사용이 빈번히 이루어지는 지 혹은 얼마나 사용이 이루어지 혹은 얼마나 선호되는지 등에 대한 분석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 관리자는 해당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자체적 혹은 특정 미용 관련 업체들에 다양한 영업 전략, 경영 전략 혹은 마케팅 전략 등을 수립하여 제공할 수 있다.
화장품 현황정보 생성부(160)는 하우징부(110) 일측에 마련된 신호 입력모듈(110K)을 통해 미용제품 관리장치(100)가 설치된 미용 서비스 제공 공간(T1, T2) 내에서 소비되는 화장품의 사용 수량 및 잔여 수량에 관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화장품 현황정보를 생성한다.
다시 말해, 미용제품 관리장치(100)의 사용자는 사용이 이루어지는 미용 서비스 제공 공간(T1, T2) 내에서 미용 서비스 제공의 한 형태로서 화장품(C1, C2)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 속에서 소비 완료되는 화장품(C1, C2)이 발생할 때 이를 알리는 신호를 입력하거나 일정 시기별로 정리하여 소모된 화장품(C1, C2)의 개수에 대해 신호로 입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화장품 현황정보 생성부(160)는 현재 미용 서비스 제공 공간(T1, T2) 내에서 얼마만큼의 화장품(C1, C2) 소모가 이루어졌고, 얼마만큼의 화장품(C1, C2)이 남아있는지에 대한 특정 화장품별 현황정보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화장품 현황정보 생성부(160)를 통해 생성된 화장품 현황정보는 정보 알림부(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10D)에 출력되어 사용자가 현재 미용 서비스 제공 공간(T1, T2) 내에서 얼마만큼의 화장품(C1, C2) 소모가 이루어졌고, 얼마만큼의 화장품(C1, C2)이 남아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즉각 파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통신부(180)를 통해 관리서버(200)로 전송된다.
또한, 통신부(180)를 통해 관리서버(200)로 전송된 화장품 현황정보는 관리서버(200)의 서버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후, 우선적으로 서버 저장부(220)에 기록 저장된다.
이와 관련하여, 관리 서버(200)는 서버 저장부(220)에 화장품 현황정보를 기반으로, 미용 기기 개별, 특정 미용 서비스 제공 공간(T1, T2), 복수의 미용 서비스 제공 공간이 포함된 특정 상권, 지역 혹은 전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석범위를 기준으로 한 화장품(C1, C2)별 사용 수량 및 잔여 수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관한 제2사용분석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제2빅데이터 분석부(2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화장품 현황정보 생성부(160)를 통해 생성된 화장품 현황정보는 특정 미용 서비스 제공 공간(T1, T2) 내에서 얼마만큼의 화장품(C1, C2) 소모가 이루어졌고, 얼마만큼의 화장품(C1, C2)이 남아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제2빅데이터 분석부(250)는 해당정보를 활용하여 특정 미용 서비스 제공 공간(T1, T2), 상권 혹은 지역 단위를 기준으로 한 화장품(C1, C2)별 사용수량 및 화장품(C1, C2)별 잔여수량에 대한 분석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 관리자는 해당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자체적 혹은 특정 미용 관련 업체들에 다양한 영업 전략, 경영 전략 혹은 마케팅 전략 등을 수립하여 제공할 수 있다.
사용분석정보 요청부(170)는 신호 입력모듈(110K)을 통해 제1사용분석정보 및 제2사용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의 제공을 위한 사용분석정보 요청 신호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경우, 입력되는 사용분석정보 요청 신호를 통신부(180)를 통해 관리 서버(200)에 전송한다.
이를 통해, 관리 서버(200)는 서버 통신부(210)를 통해 사용분석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게 되고, 수신된 요청 신호에 대한 피드백으로서 제1빅데이터 분석부(240) 및 제2빅데이터 분석부(250)를 통해 생성되어 서버 저장부(220)에 기록 저장되어 있던 제1사용분석정보 및 제2사용분석정보 중 사용분석정보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찾아 서버 통신부(210)를 통해 다시 통신부(180) 회신 제공하게 된다.
그 결과, 통신부(180)를 통해 사용분석정보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제1사용분석정보 및 제2사용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분석정보를 회신 은 미용제품 관리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10D)을 통해 해당 사용분석정보를 출력하여, 해당 정보의 내용에 대한 인지가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미용제품 관리장치
110 : 하우징부 120 : 작동상태 감지부
130 : 제1작동내역 감지부 140 : 제2작동내역 감지부
150 : 정보 알림부 160 : 화장품 현황정보 생성부
170 : 사용분석정보 요청부 180 : 통신부
200 : 관리서버
210 : 서버 통신부 220 : 서버 저장부
230 : 원격 제어부 240 : 제1빅데이터 분석부
250 : 제2빅데이터 분석부
300 : 관리단말
T1, T2 : 미용 서비스 제공 공간
M1, M2 : 미용 기기
P1, P2 : 소모품
C1, C2 : 화장품

Claims (10)

  1. 미용 서비스 제공 공간에 설치되며, 미용 기기가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미용 기기의 실시간 작동 상태 및 사용에 따른 작동 내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미용제품 관리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상기 미용 기기가 연결되며, 정보의 출력을 위한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설치되는 하우징부;
    상기 미용 기기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상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미용 기기의 비정상적 작동상태를 감지할 경우 알림정보를 생성하는 작동상태 감지부;
    상기 미용 기기의 기능별 동작이 수행되어 상기 미용 기기의 사용에 진행됨에 따라 상기 미용 기기의 전체 사용 시간 및 상기 미용 기기의 기능별 사용 시간에 대한 제1작동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제1작동내역 감지부;
    상기 미용 기기의 기능별 동작이 수행되어 상기 미용 기기의 사용에 진행됨에 따라 상기 미용 기기에 사용에 연계되어 소비되는 소모품의 사용 횟수에 대한 제2작동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제2작동내역 감지부; 및
    상기 작동상태 감지부를 통해 생성되는 알림정보, 상기 제1작동내역 감지부를 통해 생성되는 제1작동내역 정보 및 상기 제2작동내역 감지부를 통해 생성되는 제2작동내역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미용제품 관리장치의 상기 통신부와 무선 네트워크 통신망을 구축하여 정보의 송신 또는 수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부와,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알림정보, 제1작동내역 정보 및 제2작동내역 정보를 기록 저장하는 서버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서버 저장부에 기록 저장되는 미용 기기별 제1작동내역 정보 및 제2작동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미용 기기 개별, 특정 미용 서비스 제공 공간, 복수의 미용 서비스 제공 공간이 포함된 특정 상권, 지역 혹은 전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석범위를 기준으로 한 미용 기기별 사용 시간의 현황 및 순위와 미용 기기의 기능별 사용 시간의 현황 및 순위 그리고 미용 기기별 소모품의 사용 횟수 현황 및 순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관한 제1사용분석정보를 생성하는 제1빅데이터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기반의 미용제품 관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용제품 관리장치는,
    상기 작동상태 감지부를 통해 생성된 알림정보, 상기 제1작동내역 감지부를 통해 생성된 제1작동내역 정보 및 상기 제2작동내역 감지부를 통해 생성된 제2작동내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여 알림 제공하는 정보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기반의 미용제품 관리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용제품 관리장치는,
    상기 하우징부 일측에 마련된 신호 입력모듈을 통해 상기 미용제품 관리장치가 설치된 상기 미용 서비스 제공 공간 내에서 소비되는 화장품의 사용 수량 및 잔여 수량에 관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화장품 현황정보를 생성하는 화장품 현황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화장품 현황정보 생성부를 통해 생성되는 화장품 현황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서버 저장부는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화장품 현황정보를 기록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기반의 미용제품 관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서버 저장부에 기록 저장되는 화장품 현황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미용 서비스 제공 공간, 복수의 미용 서비스 제공 공간이 포함된 특정 상권, 지역 혹은 전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석범위를 기준으로 한 화장품별 사용 수량 및 잔여 수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관한 제2사용분석정보를 생성하는 제2빅데이터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기반의 미용제품 관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용제품 관리장치는,
    상기 신호 입력모듈을 통해 제1사용분석정보 및 제2사용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의 제공을 위한 사용분석정보 요청 신호가 입력될 경우, 입력되는 사용분석정보 요청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된 사용분석정보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제1사용분석정보 및 제2사용분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신부로 회신 제공되도록 하는 사용분석정보 요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기반의 미용제품 관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알림정보가 수신될 경우, 상기 관리 서버 또는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 가능한 관리 단말이 상기 미용제품 관리장치에 무선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원격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원격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원격 제어부는,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알림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미용제품 관리장치에 상기 관리 서버 또는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 가능한 관리 단말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미용제품 관리장치에 접속한 상기 관리 서버 또는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 가능한 관리 단말을 통해 상기 미용 기기의 비정상적 작동상태의 원인을 원격으로 분석하여 원인분석정보의 생성이 가능하도록 하며,
    생성된 원인분석정보는 상기 서버 저장부에 기록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기반의 미용제품 관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부는,
    생성되는 원인분석정보가 상기 미용 기기의 각종 기능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미용 기기에 내장 설치된 소프트웨어에 상기 미용 기기의 비정상적 작동상태의 원인이 존재함을 나타낼 경우, 상기 미용제품 관리장치에 접속한 상기 관리 서버 또는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 가능한 관리 단말을 통해 상기 미용 기기에 내장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원격 수리가 수행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기반의 미용제품 관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부는,
    생성되는 원인분석정보가 상기 미용 기기의 각종 기능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미용 기기를 구성하는 하드웨어 부품에 상기 미용 기기의 비정상적 작동상태의 원인이 존재함을 나타낼 경우, 상기 미용 기기의 비정상적 작동상태의 원인이 되는 하드웨어 부품의 교체를 위한 교체품 배송정보의 생성이 가능하도록 하며,
    생성된 교체품 배송정보는 상기 서버 저장부에 기록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기반의 미용제품 관리장치.
KR1020200137304A 2020-10-22 2020-10-22 Ict 기반의 미용제품 관리장치 KR102432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304A KR102432893B1 (ko) 2020-10-22 2020-10-22 Ict 기반의 미용제품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304A KR102432893B1 (ko) 2020-10-22 2020-10-22 Ict 기반의 미용제품 관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170A KR20220053170A (ko) 2022-04-29
KR102432893B1 true KR102432893B1 (ko) 2022-08-18

Family

ID=81428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304A KR102432893B1 (ko) 2020-10-22 2020-10-22 Ict 기반의 미용제품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8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001B1 (ko) 2004-01-02 2011-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애프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KR101570843B1 (ko) * 2014-06-10 2015-11-20 주식회사 피스티스 치아 가공 장비의 원격 오류진단 및 유지보수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955B1 (ko) * 2009-09-17 2011-04-12 (주)피시피아 주변기기의 사용시간을 이용한 부품재고 관리 방법
KR20120093545A (ko) * 2011-02-15 2012-08-23 (주)아이비데이타 소프트웨어 오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KR20160038113A (ko) * 2014-09-29 2016-04-07 전자부품연구원 피부용 의료기기 및 그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001B1 (ko) 2004-01-02 2011-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애프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KR101570843B1 (ko) * 2014-06-10 2015-11-20 주식회사 피스티스 치아 가공 장비의 원격 오류진단 및 유지보수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170A (ko) 202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42660B (zh) 用于工业自动化的经由云平台的远程协助
CN100428763C (zh) 用通信网络对特定用户提供顾客信息的方法及系统和终端
KR101337619B1 (ko) 통합 관제 시스템 및 통합 관제 방법
CN104052631A (zh) 一种设备信息的采集方法、装置以及系统
CN101872166A (zh) 利用部件特定的消耗数据的过程仿真
CN104995877A (zh) 使用便携装置的智能家居系统
CN106403188B (zh) 一种空调维护方法及其维护装置
CN104081371A (zh) 云计算戳记的自动化的扩建
KR101368470B1 (ko) 원격지 센서에서 측정된 대용량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그방법
CN109993541A (zh) 一种智能设备自主报修的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JP6927557B2 (ja) 管理システム
CN108234150A (zh) 用于数据中心监控系统的数据采集和处理方法及系统
CN109743344A (zh) 基于轨道交通的综合监控系统的事件存储方法及其设备
CN103929324A (zh) 物联网应用系统及其管理方法、业务管理器装置
KR102432893B1 (ko) Ict 기반의 미용제품 관리장치
CN105217389B (zh) 电梯备件远程管理的方法及系统
CN101163039A (zh) 用于为家庭网络系统恢复网络信息的设备及其方法
Iyengar et al. Foundations of data fusion for automation
CN109978503A (zh) 基于微服务的数据处理方法
KR102288068B1 (ko) 중앙 opc ua 모델링을 통한 cpps 자동 구축 시스템
CN101578593A (zh) 使用控制台通信的非集中式网络设备管理的系统和方法
KR20140121031A (ko) 유무선 센서네트워크 기반 생산자원 자율 관리시스템
KR20210086218A (ko) 대량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
JP2001257788A (ja) リモート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
CN106230614A (zh) 登录故障自动监控修复方法、系统及电力企业信息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