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063B1 - 컴플라이언트 구조를 가지는 유량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컴플라이언트 구조를 가지는 유량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063B1
KR102432063B1 KR1020200156225A KR20200156225A KR102432063B1 KR 102432063 B1 KR102432063 B1 KR 102432063B1 KR 1020200156225 A KR1020200156225 A KR 1020200156225A KR 20200156225 A KR20200156225 A KR 20200156225A KR 102432063 B1 KR102432063 B1 KR 102432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low
plate
propellant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6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9271A (ko
Inventor
박광근
이준성
이기주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56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063B1/ko
Priority to US17/528,365 priority patent/US11927974B2/en
Publication of KR20220069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9/00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 F02K9/42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using liquid or gaseous propellants
    • F02K9/44Feeding propellants
    • F02K9/56Control
    • F02K9/58Propellant feed valv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1Control of flow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7/0146Control of flow without auxiliary power the in-line sensing element being a piston or float without flexible member or sp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1Control of flow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7/0106Control of flow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er, e.g. bellows, diaphragm, capsule
    • G05D7/012Control of flow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er, e.g. bellows, diaphragm,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deformable and acting as a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9/00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 F02K9/42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using liquid or gaseous propellants
    • F02K9/44Feeding propellants
    • F02K9/50Feeding propellants using pressurised fluid to pressurise the propel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9/00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 F02K9/42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using liquid or gaseous propellants
    • F02K9/44Feeding propellants
    • F02K9/52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9/00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 F02K9/42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using liquid or gaseous propellants
    • F02K9/6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9/00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 F02K9/42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using liquid or gaseous propellants
    • F02K9/6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K9/605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12Testing on a test ben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83Testing, e.g. methods, components or tool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low Control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내에 흐르는 유량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유량조절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유량조절장치는 배관 내경에 대응하는 메인플레이트, 상기 메인플레이트 중앙에 유체가 흐르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의 크기에 대응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 전면에 배치되며, 흐르는 유체의 압력을 받는 서브플레이트, 및 상기 통공과 상기 서브플레이트의 둘레를 연결 형성되며, 상기 서브플레이트가 받은 압력에 의해 신축하는 신축유로를 포함한다. 상기 신축유로는 측면에 복수의 구멍을 형성하여 유체가 흐르며, 압력에 의해 단면적이 변화하여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장치이다.

Description

컴플라이언트 구조를 가지는 유량 조절 장치 {Flow control unit with compliant structure}
본 발명은 일정한 유량을 배출하기 위한 유량 조절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배관 내부에 구비하되,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이 변화하더라도 일정한 유량을 배출하는 유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사체는 추진제 가압 및 밸브 구동 등을 위한 가스를 탑재하며 비행시간에 지남에 따라 추진제와 가스를 소모한다. 액체 로켓의 가압시스템은 엔진의 입구 요구압 이상의 압력으로 추진제를 공급하고 탱크의 허용 압력을 고려하여 비행 중 추진제 탱크 내 압력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가압가스 유량을 제어한다. 가압 가스 용기 내 가압용 가스가 소모되는 상태에서 추진제 탱크 내 압력 유지를 위해 레귤레이터 또는 다수의 제어밸브를 적용한다.
발사체는 추진제 및 가스류가 탑재되며 일반적으로 수 분 이내에 추진제와 가스를 소모한다. 추진제와 가스류가 사용되는 서브시스템 중 일정한 유량 또는 압력으로 추진제 또는 가스 공급을 요구하는 서브시스템들이 있다. 일정 유량 또는 압력을 만족시키기 위해 기계적으로 복잡한 레귤레이터, 다수의 제어밸브 등이 적용된다. 복잡한 내부 구조를 갖는 레귤레이터 또는 제어밸브 수의 증가는 발사체의 신뢰성 및 경제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압가스는 별도의 고압가스 탱크에 저장되며 추진제 탱크에 가압가스를 공급할수록 가압가스 탱크 내부의 압력이 떨어지므로 가압가스 유량제어를 위해 레귤레이터 또는 1개 이상의 밸브를 이용한다. 레귤레이터나 다수의 밸브를 적용하면 부품의 복잡성이 증가해 발사체 가압계통의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다.
발사체 개발 과정에서 엔진을 제외한 서브시스템의 성능과 신뢰성을 시험하기 위해 지상 종합시험을 수행한다. 실제 발사체는 엔진의 펌프를 이용하여 일정한 유량의 추진제가 엔진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그러나 엔진을 장착하지 않는 종합시험시에도 모든 서브시스템들은 실제 상황과 같이 운용되며 추진제 탱크 가압을 통해 추진제가 지상설비 탱크로 배출된다. 엔진이 없이 추진제 탱크 내 압력과 중력으로 추진제가 배출되므로 추진제 배출 유량이 일정하지 않다. 추진제 배출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추진제 수위에 의한 수두압이 낮아지며 추진제 배출 유량도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따라서 추진제 탱크 내부의 압력과 온도 등의 변화가 실제 상황과 다르며 비행 상황을 모사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유로 단면적을 변화하여 일정한 유량을 배출하도록 컴플라이언트 구조를 가지는 유량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유체가 흐르는 배관 내부에 형성된 유량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 내부에 유체흐름방향에 대향하며 형성되고 중앙에 통공을 포함하는 메인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통공의 전방에 배치되는 서브 플레이트 및 상기 통공과 서브 플레이트의 둘레를 연결하는 기둥 형태이고, 측면에 다수의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유체가 배출되며, 상기 서브플레이트가 받은 압력에 의해 신축되는 신축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축유로는 상기 서브플레이트가 받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 유체흐름의 전후방향으로 신축되어 배출되는 유체의 유량이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플레이트, 상기 서브플레이트, 및 상기 신축유로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브플레이트에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브플레이트 중앙에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에서부터 유체흐름방향으로 단면적이 점점 작아지는 형태의 원추부가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브플레이트의 중앙에 홀이 형성되며, 후면에 막대 형상의 복수의 가이드의 일단이 부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의 타단은 상기 통공에 설치된 가이드 지지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통공을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지지프레임에는 가이드 안에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압가스탱크 내의 압력에 의해 추진제탱크 내부의 추진제를 분사하는 유공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압가스탱크와 상기 추진제탱크를 연결하는 제 1유로, 상기 추진제 탱크와 엔진 또는 유량계를 연결하는 제 2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유로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유량조절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가압가스탱크의 가압가스가 상기 추진제를 일정하게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유로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유량조절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엔진의 영향과 무관하게 일정한 유량의 상기 추진제를 분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축성을 가지는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공급 유체의 압력에 따라 신축유로의 단면적이 변화하여 일정한 유량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복잡한 장치가 아니라 신뢰성이 높으며, 추가적인 조작 없이 유량이 조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도
도 2는 A-A' 단면도
도 3은 제 2 실시예
도 4는 제 3 실시예
도 5는 제 4 실시예
도 6은 제 4 실시예
도 7은 종래의 유공압시스템
도 8은 시간에 따른 추진제탱크의 수위 변화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유공압시스템
도 10은 본 발명이 복수 적용된 유공압시스템
도 11은 지상시험 시 추진제 배출유량 변화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대한 유량조절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전체구성 및 동작원리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량조절장치(1000)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와 유출구(2)를 가지는 배관 내에 배치되며 메인플레이트(100), 신축유로(200), 및 서브플레이트(300)를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메인플레이트(100)가 배관 내경에 대응하게 형성되고, 유체흐름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중앙에 통공(110)이 형성되어 유체가 흐르도록 하였다. 상기 통공(110) 크기에 대응하는 서브플레이트(300)가 상기 메인플레이트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받도록 유체흐름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통공(110)과 상기 서브플레이트(300)의 둘레를 연결하는 기둥형태로 형성되는 신축유로(200)가 형성된다. 상기 신축유로(200)의 측면은 상기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된 구멍(210)이 형성되거나 격자, 마름모, 허니콤 등의 패턴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유체는 상기 신축유로(200)를 지나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의 통공(110)을 통과 후 배관을 따라 흐르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A-A'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유입구(1)로 유입된 상기 유체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에 막히게 되고, 상기 신축 유로(200)와 상기 통공(110)을 통해 진행된다. 상기 유입구(1)로 유입된 유체로부터 상기 서브플레이트(300)가 받은 압력을 P라 할 때, 상기 신축유로(200)의 길이를 L이라 하고, 상기 신축유로 구멍(200)의 단면적을 A라고 정의한다. 상기 유체가 상기 서브플레이트(300)에 압력(P)을 인가하면 상기 압력(P)에 의해 상기 신축유로의 길이(L)가 짧아지며, 상기 구멍(210)의 단면적(A)이 줄어들어 유량을 일정하게 조절된다. 또한, 상기 서브플레이트(300)에 가하는 압력이 감소하면, 상기 신축유로(200)가 길이가 복구되고 상기 구멍(210)의 단면적이 복구됨에 따라, 압력이 변화하여도 상기 신축유로(200)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유량이 균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유량조절장치(1000)는 내부 부품들의 조립이 불필요하여 적층제조기법으로 제작이 용이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100), 상기 신축유로(200), 및 상기 서브플레이트(30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신뢰성이 높아진다. 신뢰성에 대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2] 제 2 실시예
도 3은 제 2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인플레이트(100)가 배관 내경에 대응하게 형성되고, 유체흐름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통공(110)이 형성되어 유체가 흐르도록 하였다. 상기 통공(110) 크기에 대응하는 서브플레이트(300)가 상기 메인플레이트(100) 전방에 배치되며, 유체의 압력을 받도록 배치된다. 상기 통공(110)과 상기 서브플레이트(300)의 둘레에 연결하는 기둥형태로 형성되는 신축유로(200)가 형성된다. 상기 신축유로(200)의 측면은 상기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된 구멍(210)이 형성되거나 격자, 마름모, 허니콤 등의 패턴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플레이트(300)는 복수의 홀(310)을 포함하여 상기 유체가 상기 신축유로(200) 뿐 아니라 상기 홀(310)을 통해 진행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서브플레이트(300)가 한쪽으로 기울지 않고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3] 제 3 실시예
도 4는 제 3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메인플레이트(100)가 배관 내경에 대응하게 형성되고, 유체흐름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통공(110)이 형성되어 유체가 흐르도록 하였다. 상기 통공(110) 크기에 대응하는 서브플레이트(300)가 상기 메인플레이트(100) 전방에 배치되며, 유체의 압력을 받도록 배치된다. 상기 통공(110)과 상기 서브플레이트(300)의 둘레에 연결하는 기둥형태로 형성되는 신축유로(200)가 형성된다. 상기 신축유로(200)의 측면은 상기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된 구멍(210)이 형성되거나 격자, 마름모, 허니콤 등의 패턴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플레이트(300)는 중앙에 홀(310)이 형성되며, 상기 홀에서부터 유체흐름방향으로 단면적이 점점 작아지는 형태의 원추부(320)가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낙하산의 에이팩스 벤트 원리와 유사하며, 낙하산 아래에 갇힌 공기가 빠져나가려면 어느 쪽이든 한쪽 모서리로 빠져나가게 되는데 자연히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되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낙하산 꼭대기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상기 서브플레이트(300)가 받는 힘이 어느 한쪽으로 빠져 기울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앙에 홀(310)을 형성하였다.
[4] 제 4 실시예
도 5는 제 4 실시예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메인플레이트(100)가 배관 내경에 대응하게 형성되고, 유체흐름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통공(110)이 형성되어 유체가 흐르도록 하였다. 상기 통공(110) 크기에 대응하는 서브플레이트(300)가 상기 메인플레이트(100) 전방에 배치되며, 유체의 압력을 받도록 배치된다. 상기 통공(110)과 상기 서브플레이트(300)의 둘레에 연결하는 기둥형태로 형성되는 신축유로(200)가 형성된다. 상기 신축유로(200)의 측면은 상기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된 구멍(210)이 형성되거나 격자, 마름모, 허니콤 등의 패턴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플레이트(300)의 후면에 막대 형상의 복수의 가이드(330)를 형성하여 상기 서브플레이트(300)와 상기 신축유로(200)가 망가지지 않도록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330)는 유체 흐름에 따라 평행하거나 방사형으로 배치할 수 있고, 상기 통공(110)을 관통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330)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00)를 관통하여 상기 서브플레이트(300)에 작용하는 유압에 따라 유체흐름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공(110)에 상기 가이드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31)이 배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331)은 상기 가이드(330)에 대응하는 수와 위치에 관통홀(3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330)의 타단에 걸림부(333)를 형성하여 가이드가 빠지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서브 플레이트(300)에 상기 홀(310)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330)의 일단은 상기 지지프레임(331)에 고정되며, 상기 홀(310)에 관통 배치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300) 타단에 걸림부(333)를 형성하여 상기 신축유로(200)를 지지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도 5(a)에 안내부(334)를 추가 구성하였다. 상기 안내부(334)는 상기 지지프레임(331)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관통홀(332)과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330)의 움직임을 잡아주도록 형성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도 5(b)에 안내부(334)를 추가 구성하였다. 상기 안내부(334)는 상기 서브프레임(300)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홀(310)과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330)의 움직임을 잡아주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면상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인 유량조절장치(1000)는 위에 설명한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 또는 제 3 실시예 또는 제 4 실시예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유량조절장치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일실시예로 제 3 실시예의 홀(310), 원추부(320)와 제 4실시예의 가이드(330)가 함께 구비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결합이 가능하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5] 종래의 유공압시스템
도 7은 종래의 유공압시스템의 구성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발사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공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공압시스템은 가압가스(410)를 포함하는 가압가스탱크(400)와 추진제(610)를 포함하는 추진제탱크(600), 상기 가압가스탱크(400)와 상기 추진제탱크(600)를 연결하는 제 1유로(500), 상기 추진제탱크(600)와 엔진 또는 지상설비탱크(800)를 연결하는 제 2유로(70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유로(500)에는 상기 가압가스(410)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밸브(511) 또는 레귤레이터(512)를 포함하는 서브시스템(50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추진제탱크(600) 내의 상기 추진제(610)는 유입되는 상기 가압가스(410)의 압력에 의해 분사되며, 상기 추진제(610)는 엔진 또는 지상설비탱크(800)를 통해 분사된다. 상기 엔진의 경우 유량펌프가 구비되어 일정한 유량의 추진제가 분사되나, 지상 시험 시, 엔진을 대체하여 오리피스 또는 유량제어밸브(710)를 통해 유량이 조절되어 시험하게 된다.
도 8은 지상시험 추진제 수위 변화이다. 발사체 개발 과정에서 엔진을 제외한 상기 서브시스템(510)의 성능과 신뢰성을 시험하기 위해 지상 종합시험을 실시한다. 실제 발사체는 엔진의 펌프를 이용하여 일정한 유량의 추진제(610)가 엔진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그러나 엔진을 장착하지 않은 종합 시험 시에도 상기 모든 서브시스템(510)은 실제 상황과 같이 운용되며 상기 추진제탱크(600) 가입을 통해 추진제가 지상설비 탱크(800)로 배출된다. 상기 엔진(800) 없이 상기 추진제탱크(600) 내 압력과 중력으로 상기 추진제(610)가 배출되므로 배출 유량이 일정하지 않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추진제(610) 배출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추진제 수위가 h0에서 h1로 수두압(h)이 낮아지며 추진제 배출 유량도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따라서 상기 오리피스 또는 유량제어 밸브(710)를 장착하여 추진제의 유량을 제어한다. 오리피스 적용 시 추진제 공급 유량을 시간이 흐를수록 감소하며, 유량 제어밸브를 적용하여 피드백 제어를 할 경우 유량을 어느 정도 일정하게 만들 수 있으나 복잡한 밸브와 제어 계통이 필요하다. 상기 추진제탱크(600) 내부의 압력과 온도 등이 변화가 실제 상황과 다르며 비행 상황을 모사하는데 한계가 있다.
[6] 본 발명의 유공압시스템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유공압시스템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기존의 복수의 밸브(511) 또는 레귤레이터(512)를 사용하는 서브시스템(510)을 단일 밸브와 본 발명의 유량조절장치(1000)로 대체하여 배치하고,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유로(700)의 상기 오리피스 또는 유량제어밸브(710)를 대체하여 배치한다. 이로 인해, 복잡한 제어 계통 없이 추진제 공급 유량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실제 비행 상황과 유사한 추진제탱크(600) 내부 상황을 모사할 수 있다. 또한, 추진제 공급 시스템을 단순화하여 신뢰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유량조절장치(1000)를 복수 적용한 유공압시스템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유로(500)에 단일 밸브와 상기 복수의 유량조절장치(1000)를 배치할 수 있으며,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제 1유로(500)의 상기 서브시스템(510)을 대체하고 상기 제 2 유로(700)의 상기 오리피스(710)를 대체하여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2유로(700)에 복수로 설치가 가능하다.
도 11은 지상시험 시 추진제 배출유량 변화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상기 제 1유로(500)에 서브시스템(510) 및 상기 제 2유로(700)에 오리피스(710) 배치하여 사용한 시간에 따른 추진제 배출유량 변화로 지상에서 모사 시험시, 평균 유량이 점차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엔진 펌프를 대체하지 못하여 실제 추진체의 시험 환경과 다름을 알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량제어시스템(1000)을 상기 제 2 유로(700)의 오리피스(710)와 교체하여 시험을 실행하였을 때의 그래프이다. 엔진의 펌프에 의한 유량과 본 장치가 적용하였을 때의 평균 유량이 동일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이는 시험에 매우 유효하게 작용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 유입구 2 : 유출구
1000 : 유량조절장치
100 : 메인플레이트
110 : 통공
200 : 신축유로
210 : 구멍
300 : 서브플레이트
310 : 홀 320 : 원추부 330 : 가이드
331 : 지지프레임 332 : 관통홀 333 : 걸림부
334 : 안내부
400 : 가압가스탱크 410 : 가압가스
500 : 제 1유로
510 : 서브시스템
511 : 밸브 512 : 레귤레이터
600 : 추진제 탱크 610 : 추진제
700 : 제 2 유로
710 : 오리피스, 유량제어밸브 720 : 유량계
800 : 엔진, 지상설비탱크
P : 서브플레이트가 받은 힘
L : 신축유로의 길이
A : 구멍의 단면적
h : 추진제탱크의 수두압

Claims (10)

  1. 유체가 흐르는 배관 내부에 형성된 유량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 내부에 유체흐름방향에 대향하며 형성되고 중앙에 통공을 포함하는 메인플레이트;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통공의 전방에 배치되는 서브플레이트; 및
    상기 통공과 서브플레이트의 둘레를 연결하는 기둥 형태이고, 측면에 다수의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유체가 배출되며, 상기 서브플레이트가 받은 압력에 의해 신축되는 신축유로;
    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플레이트는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되, 상기 서브플레이트는 홀을 포함하여 배관의 직경방향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유로는,
    상기 서브플레이트가 받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 유체흐름의 전후방향으로 신축되어 배출되는 유체의 유량이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플레이트, 상기 서브플레이트, 및 상기 신축유로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플레이트는
    상기 홀에서부터 유체흐름방향으로 단면적이 점점 작아지는 형태의 원추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플레이트는 상기 원추부에 의해 배관의 직경방향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플레이트의 중앙에 홀이 형성되며, 후면에 막대 형상의 복수의 가이드의 일단이 부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타단은 상기 통공에 설치된 가이드 지지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통공을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지지프레임에는 가이드 안에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장치.
  9. 제 1항의 유량조절장치를 포함하고,
    가압가스탱크 내의 압력에 의해 추진제탱크 내부의 추진제를 분사하는 유공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압가스탱크와 상기 추진제탱크를 연결하는 제 1유로;
    상기 추진제 탱크와 엔진 또는 유량계를 연결하는 제 2유로;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유로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유량조절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가압가스탱크의 가압가스가 상기 추진제를 일정하게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압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유로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유량조절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엔진의 영향과 무관하게 일정한 유량의 상기 추진제를 분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압시스템.
KR1020200156225A 2020-11-20 2020-11-20 컴플라이언트 구조를 가지는 유량 조절 장치 KR102432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225A KR102432063B1 (ko) 2020-11-20 2020-11-20 컴플라이언트 구조를 가지는 유량 조절 장치
US17/528,365 US11927974B2 (en) 2020-11-20 2021-11-17 Flow rate control device with compliant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225A KR102432063B1 (ko) 2020-11-20 2020-11-20 컴플라이언트 구조를 가지는 유량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271A KR20220069271A (ko) 2022-05-27
KR102432063B1 true KR102432063B1 (ko) 2022-08-12

Family

ID=81658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225A KR102432063B1 (ko) 2020-11-20 2020-11-20 컴플라이언트 구조를 가지는 유량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927974B2 (ko)
KR (1) KR102432063B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84418A (en) * 1948-04-19 1952-02-05 Robertshaw Fulton Controls Co Constant flow valve
FR1128158A (fr) * 1955-06-28 1957-01-03 Dispositif automatique à réponse particulière débit-perte de charge par élément déformable
JPS4412547Y1 (ko) 1964-04-24 1969-05-24
US3565105A (en) * 1968-03-22 1971-02-23 Nippon Aircon Center Co Ltd Constant air volume device in air conditioning
US4306585A (en) * 1979-10-03 1981-12-22 Manos William S Constant flow valve
US4887637A (en) * 1983-08-22 1989-12-19 Ketner Eugene N Pressure compensating flow control device
JPH07267198A (ja) * 1994-04-01 1995-10-17 Mitsubishi Heavy Ind Ltd 宇宙機エンジンの推進薬供給装置
JP3388991B2 (ja) * 1996-03-22 2003-03-2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圧電駆動型小形弁
US6196259B1 (en) * 1998-03-12 2001-03-06 Flow Desig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and terminating fluid flow
JP2004027846A (ja) * 2002-05-10 2004-01-29 Sanden Corp 圧縮機
DE102016102756B4 (de) * 2016-02-17 2018-05-24 VAG GmbH Regelzylinder für eine Regelarmatur und Regelarmatur mit einem derartigen Regelzyli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63982A1 (en) 2022-05-26
KR20220069271A (ko) 2022-05-27
US11927974B2 (en) 202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6981B2 (en) Method and apparatus generating multiple pressure signals in a fuel system
CN101737538B (zh) 流量控制阀装置及流量控制型孔设计方法
JP6706085B2 (ja) 燃料供給システム、燃料供給方法及び航空機
US9440829B2 (en) Adjusting damping properties of an in-line passive heave compensator
US2676461A (en) Head compensating valve for fuel nozzles
US10473032B2 (en) Multipoint fuel injection system for a turbomachine and associated regulation method
KR102432063B1 (ko) 컴플라이언트 구조를 가지는 유량 조절 장치
US9488989B2 (en) Flow rate controller for high flow rates and high pressure drops
KR101097181B1 (ko) 노즐의 가변 급 압력 상승률 모사장치
CN108387378B (zh) 一种发动机试验推进剂供应低频脉动抑制方法及系统
KR102012949B1 (ko) 대유량 밸브 충격압력 시험장치
CN106795841B (zh) 控制阀装置
KR20040091817A (ko) 항공기 강우 시험 장치
CN105927423A (zh) 一种用于单组元催化分解推力器的喷注结构及其装配方法
KR101218092B1 (ko) 온도/압력 시험장치
CN102444743A (zh) 具有降噪内件的增压器
CN114941585A (zh) 一种运载火箭的模拟发射方法
RU2412391C2 (ru) Исполнительный механизм запор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RU2529453C2 (ru) Устройство пусковое стабилизирующее
US8065868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input prediction and state verification of fluidic vectoring exhaust in high performance aircraft
CN106286968B (zh) 超高压设备、阀门装置及阀门装置控制方法
KR100613986B1 (ko) 고압으로 로켓의 액체추진제를 공급할 수 있는기체가압방식 장치
CN216241633U (zh) 一种用于飞机自增压油箱耐久测试设备的液压控制系统
CN116020671B (zh) 一种空化射流试验装置及口径可调喷嘴
Eddleman et al. Experimental Assessment of the Reciprocating Fee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