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1853B1 - 확장이 가능한 블록형 led 등기구 - Google Patents

확장이 가능한 블록형 led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1853B1
KR102431853B1 KR1020200167710A KR20200167710A KR102431853B1 KR 102431853 B1 KR102431853 B1 KR 102431853B1 KR 1020200167710 A KR1020200167710 A KR 1020200167710A KR 20200167710 A KR20200167710 A KR 20200167710A KR 102431853 B1 KR102431853 B1 KR 102431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heat dissipation
opening
mounting member
type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8304A (ko
Inventor
정춘구
Original Assignee
(주)한신조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신조명 filed Critical (주)한신조명
Priority to KR1020200167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853B1/ko
Publication of KR20220078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1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using a combination of separate elements interconnected by heat-conducting means, e.g. with heat pipes or thermally conductive bars between separate heat-sink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장이 가능한 블록형 LED 등기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확장이 가능한 블록형 LED 등기구는 일측에 LED 모듈을 고정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면 및 상기 일면과 대응되는 타면에 구비되어, 상기 LED 모듈에서 발생한 열을 방열하는 방열부; 및 상기 방열부 일측에 구비되고, 내부 전원단자를 통해 다른 개소의 몸체부를 이음 접속 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확장이 가능한 블록형 LED 등기구 {A EXPANDABLE BLOCK TYPE LED LUMINAIRES}
본 발명은 확장이 가능한 블록형 LED 등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LED 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고 습기를 투습 및 방수할 수 있으며, 등기구를 일방향으로 상호 조립하여 확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확장이 가능한 블록형 LED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ED(Light-emitting diode)란, 발광 다이오드라고도 부르며 이는 화합물 반도체의 특성을 이용해 전기 신호를 적외선,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의 형태로 변환시켜 신호를 보내고 받는 데 사용되는 소자이다.
이러한, LED는 다수의 다이오드를 발광시켜 표시하는 것으로서 원거리에서도 식별력이 뛰어나고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통 LED의 사용 범위는 가정용 가전제품, 리모콘, 전광판, 표시기, 각종 자동화 기기, 가정용 조명 뿐 아니라 야외용 등기구, 가로등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LED 모듈은 상면에 다수개의 LED가 소정의 간격을 갖고 실장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LED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는 방열부와, 상기 다수개의 LED 상면에 외부로부터 먼지나 이물질 및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고 보호하는 투명렌즈로 밀봉하여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LED 모듈은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부에 투명커버를 덮어 상기 LED 모듈을 보호하되, 상기 케이스와 투명커버 사이를 실리콘으로 밀봉하거나, 또는 밀폐링(고무)을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케이스와 투명커버 사이로 먼지, 이물질, 수분 및 기타 유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LED 조명등 또는 야외용 등기구로 사용하게 된다.
이렇게 LED 조명등 또는 야외용 등기구로 사용되는 LED 모듈의 방열부는 다이캐스팅 방식과 압출 방식으로 제조되고, 상기 다이캐스팅 방식으로 제조되는 방열부는 형상에 대한 제약이 없이 다양하게 제조할 수 있으나, 방열 효율이 상기 압출 방식보다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상기 방열 방식은 방열효율이 상기 다이캐스팅 방식보다 높으나 평면의 방열부 만을 형성할 수 있어 형상에 제약이 따르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다이캐스팅 방식 또는 압출 방식 어느 것에 의해서 방열부가 만들어지더라도, 내부로 유입되는 습기를 막기 위해서는 반드시 패킹이 필요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투명커버와 방열부 사이에는 방수를 위해 반드시 패킹을 개재하고 상기 패킹 부근에 추가로 실링하며, 상기 패킹을 커버 내부에 씌우거나, 상기 LED가 실장된 기판과 투명커버 사이에 방수를 위한 오링을 둘러싸서 투명커버에 의한 외부 방수 및 오링에 의한 내부 방수 기능을 갖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조립 공정이 번거로운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투명커버 및 내부 패킹에 미세하나마 틈이 존재하여 습기가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게 된다.
또한, LED를 이용한 LED 가로등은 보통 일반 가로등과 유사한 몸체를 채용하고 쿨러를 통해 방열하게 되는데, 이러한 쿨러를 이용한 방열은 효과가 안정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쿨러의 수명이 짧고, 에너지를 소모하고 자주 보수해야 하므로 유지 보수에 불편하고 관리 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 LED 패키지는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자유롭게 조합할 수 없어 LED 패캐지를 통한 다양한 이미지 연출이 제한적일 뿐 아니라, LED 모듈을 추가하고자 할 경우 제품 전체를 새로 제작해야 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규모의 LED 조명의 구성이 어렵고 점등 불량인 LED 모듈의 교체를 위해 등기구 전체를 분해하거나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암수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블록형 LED 등기구를 구성하여 LED 등기구가 일방향으로 용이하게 연결되어 확장이 가능할 뿐 아니라 연결된 LED 등기구의 연결된 형상이나 규격에 상관없이 동일한 방열 및 방수 효과를 갖을 수 있도록 하는 방수 및 방열 기능을 갖는 확장형 LED 등기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 KR 20-2012-0006601호 (공개일자 2012년 09월 26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LED 모듈을 고정하는 몸체부에 방열 및 방수가 가능한 멤브레인이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멤브레인의 일측에 구비되고, 이웃하는 몸체부를 이음 접속시키는 암, 수단자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등기구를 일방향으로 상호 조립하여 확장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뿐 아니라 확장된 LED 등기구에서도 방열 및 방수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하는 확장이 가능한 블록형 LED 등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이 가능한 블록형 LED 등기구는 일측에 LED 모듈을 고정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면 및 상기 일면과 대응되는 타면에 구비되어, 상기 LED 모듈에서 발생한 열을 방열하는 방열부; 및 상기 방열부 일측에 구비되고, 내부 전원단자를 통해 다른 개소의 몸체부를 이음 접속 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열부는 개방구; 상기 개방구에 탈착되고, 방수 및 방열이 가능한 시트 또는 필름 형태의 멤브레인; 상기 개방구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고, 상기 멤브레인을 장착시키는 장착부재; 및 상기 장착부재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개방구를 커버하는 매쉬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멤브레인의 출입을 위해 개방된 출입구; 상기 개방구와 인접한 내측면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멤브레인이 삽입 및 이탈되는 가이드슬릿; 및 상측 모서리의 일측이 하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는 수용된 빗물을 지면으로 이동시켜 상기 빗물이 상기 방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가이드슬릿에 삽입된 멤브레인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가이드슬릿을 차단하는 차단막; 및 상기 차단막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이 가능한 블록형 LED 등기구에 의하면, 몸체부 일면에 LED 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는 방열부를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전원 장치나 추가적인 보조 장치를 구비하지 않는 간단한 구조만으로도 고효율의 방열 및 방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방열부의 멤브레인을 PTFE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몸체부 내부의 습기는 투습하여 외부로 방출하고 외부의 수분은 차단하여 LED 모듈을 습기로 부터 보호하는 방수투습 기능을 수행하여 LED 모듈의 성능 저하 및 수명 단축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웃하는 몸체부를 이음 접속시키는 암, 수단자모듈을 포함하여, 등기구를 일방향으로 상호 조립하여 용이하게 확장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LED 등기구를 다양한 이미지로 연출이 가능하고, 제품 전체를 새로 조작하지 않고도 LED 모듈의 추가가 가능할 뿐 아니라, 등기구 전체를 분해하거나 교체하지 않고도 점등 불량인 LED 모듈을 용이하게 교체 및 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방열부의 장착부재 상측 모서리의 일측이 하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부를 구비함으로써, 빗물이 방열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LED 등기구의 방수 기능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이 가능한 블록형 LED 등기구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이 가능한 블록형 LED 등기구의 연결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부의 수용공간부 및 연장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1예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2예시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3예시도이다.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4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이 가능한 블록형 LED 등기구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확장이 가능한 블록형 LED 등기구(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 방열부(200), 연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0)는 일측에 LED 모듈을 고정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100)는 본 발명에 따른 LED 등기구(1)의 외장을 구성하는 것으로, 일측면에 LED 모듈이 고정되며 내측으로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갖는 다면체 형상의 함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00)는 차량용 전조등, 실내 조명등, 실외에 설치되는 가로등과 같은 외관 조명등이 포함되며, 이외에도 LED 모듈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종류의 등기구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00)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구리, 구리 합금,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및 전도성 세라믹 복합 소재 중 선택된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열부(200)는 상기 몸체부(100)의 일면 및 상기 일면과 대응되는 타면에 구비되어 상기 LED 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열부(200)는 상기 LED 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이 몸체부(100)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비된 일정 면적을 갖는 통공과 방열막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몸체부(100)의 일면 및 상기 일면에 대응되는 타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열부(200)는 개방구(210), 멤브레인(220), 장착부재(230) 및 매쉬망(2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방구(210)는 상기 몸체부(100)의 일면 또는 타면에 다수개로 구비되는 일정 면적을 갖는 통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구(210)는 상기 몸체부(100)가 이웃하는 몸체부(100)와 이음 연결될 때 각각의 몸체부(100)에 구비된 개방구(210)가 어긋남 없이 포개질 수 있도록 동일한 크기 및 배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구(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면에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상기 개방구(210)의 갯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갯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220)은 상기 개방구(210)에 탈착되고, 방수 및 방열이 가능한 시트 또는 필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멤브레인(220)은 PTFE(Polytetra Fluoro Ethylene, 폴리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멤브레인(220)은 후술할 장착부재(230)의 가이드슬릿(232)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도록 구성되며, 기체는 투과되고 수분은 투과되지 않는 기능성 섬유인 PTFE(Poly Tetra Fluoro Ethylene) 재질의 필름, 박막, 필터 형태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멤브레인(220)은 상기 개방구(210)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장착부재(230)에 삽입되어 상기 개방구(210)를 커버하는 투습 방수 수단으로, 외기의 온도와 발열되는 LED 모듈과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된 습기를 투습하여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하고, 외기의 수분은 몸체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LED 모듈을 수분이나 습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 LED 모듈의 수명을 증대시킬 뿐 아니라 상기 등기구(1)가 수분이나 습기로 인한 절연성 저하, 누전 또는 열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멤브레인(220)은 상기 가이드슬릿(232)에 의해 탈착이 가능하여 장시간 사용시 교체가 용이하고, 상기 몸체부(100)가 이웃하는 몸체부(100)와의 연결시에는 제거된 상태로 개방구(210)가 겹처질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멤브레인(220)은 상기 몸체부(100)가 다수개 연결되는 확장형태일 경우, 다른 개소의 개방구와 겹쳐지는 개방구(210)에서는 설치되지 않고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개방구(210)가 이음 연결되는 다른 개소의 개방구(210)와 연통되어 몸체부(100) 내부의 열이 이웃하는 몸체부(100)의 개방구(210)를 통해 효율적으로 외부로 방열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멤브레인(220)은 이음 연결된 확장 형태의 등기구(1)일 경우 양 끝단에 배치되어 다른 개방구와 접촉하지 않고 외부에 노출된 방열부(200)에만 장착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230)는 상기 개방구(210)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고, 상기 멤브레인(220)을 장착시키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부재(230)는 상기 개방구(210)를 커버하는 멤브레인(220)을 장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멤브레인(220)이 삽입되는 일측 모서리가 개방된 상태로 상기 개방구(210)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부재(230)는 상기 멤브레인(220)을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장시간 사용으로 파손되거나 오염되어 교체가 필요한 멤브레인(22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등기구(1)의 이음연결시 내부에 배치되는 방열부(200)에서는 멤브레인(220)이 제거된 상태로 개방구(210)가 겹쳐지도록 상기 멤브레인(220)을 이탈시켜 설치함으로써, 접촉하는 개방구(210)가 연통되어 몸체부(100) 내부의 열이 효율적으로 이동하여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 장착부재(230)는 출입구(231), 가이드슬릿(232), 경사부(233) 및 고정부재(2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입구(231)는 상기 멤브레인(220)의 출입을 위해 개방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출입구(231)는 상기 개방구(210)를 둘러 싸는 장착부재(230)의 일측 모서리가 구비되지 않아 개방된 부분으로, 상기 멤브레인(220)이 상기 가이드슬릿(23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슬릿(232)은 상기 개방구(210)와 인접한 내측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멤브레인(220)이 삽입 및 이탈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슬릿(232)은 상기 장착부재(230)에 상기 멤브레인(2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장착부재(230)의 내측면을 따라 구비되는 슬릿 형상으로, 상기 출입구(210)와 이웃하는 상기 장착부재(230)의 상측 모서리 및 하측 모서리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부재(230)의 모든 모서리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부의 수용공간부 및 연장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1예시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2예시도이고,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3예시도이며,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4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경사부(233)는 도 3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부재(230)의 상측 모서리가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경사부(233)는 상단에 수용된 빗물을 지면으로 이동시켜 상기 빗물이 상기 방열부(200)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사부(233)는 몸체부(100)에 돌출 형성된 장착부재(230)의 상측 모서리의 상단이 일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를 갖도록 구비되어 상단에 수용된 빗물이 상기 경사부(233)를 따라 이동하여 지면에 흘러내릴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경사부(233)는 상기 장착부재(230)의 상측 모서리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부(233)는 기울어진 방향이 상기 출입구(231) 측이 하방이 되도록 기울어질 수 있으며, 출입구(231)와 대응되는 모서리가 하방되도록 기울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경사부(233)는 상기 장착부재(230)를 구성하는 상측 모서리와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상단이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경사부(23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233)의 상면에 빗물을 수용하여 지면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오목하게 경사진 빗물 수용공간부(233a)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부(23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233)의 끝단이 장착부재(230)보다 연장되는 연장부(23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33b)는 상기 경사부(233)가 상기 장착부재(230)보다 소정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경사부(233)를 따라 흘러내린 빗물이 경사부(233) 끝단에서 상기 개방구(210)나 멤브레인(220)으로의 유입없이 지면으로 모두 흘러내릴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상기 경사부(233)는 야외에 설치되는 가로등과 같은 야외용 LED 등기구의 방수 기능을 증대시켜 LED 모듈의 습기로 인한 절연성 저하, 누전 또는 열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부재(23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슬릿(232)에 삽입된 멤브레인(220)을 고정하는 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재(234)는 삽입된 멤브레인(220)이 흘러 내리거나 가이드슬릿(23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멤브레인(220)을 고정하는 장치로써, 상기 장착부재(230)의 출입구측 양단에 구비되어 삽입된 멤브레인(220)의 상 하단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는 잠금 해제 상태에서는 상기 멤브레인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잠금 상태에서는 삽입된 멤브레인이 흘러내리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멤브레인(22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고정부재(234)는 상기 가이드슬릿(232)을 차단하는 차단막(234b)과 상기 차단막(234b)을 회전시키는 회전축(234a)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234)는 상기 회전축(234a)을 회전시켜 상기 차단막(234b)이 상기 가이드슬릇(232)을 차단하거나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34)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회전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돌기는 상기 회전축(234a)을 회전시킬 때 사용자가 잡고 회전시킬 수 있도록 돌출된 돌기 형상으로, 상기 고정부재(234)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3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234a)이 장착부재(230)의 상측 모서리에 배치되고 하단으로 차단막(234b)이 배치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회전축(234a)이 상기 장착부재(230)의 측면 모서리에 배치되고 수평방향으로 차단막(234b)이 배치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34)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출입구측 장착부재를 커버할 수 있는 밸트 및 상기 밸트의 일단을 탈착시킬 수 있는 밸크로, 똑딱 단추 또는 자성을 이용한 접착수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34)는 상기 가이드슬릿(232)에 삽입된 멤브레인(220)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다른 공지의 수단을 제한 없이 적용실시할 수 있다.
상기 매쉬망(240)은 상기 장착부재(230)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개방구(210)를 커버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매쉬망(240)은 상기 개방구(210)의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매쉬 형상으로, 벌레, 나뭇잎 또는 먼지나 흙으로 부터 상기 멤브레인(220)의 오염을 방지하고, 장시간 외부에 노출되는 멤브레인(220)이 외부 요인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매쉬망(240)은 외부 환경으로 부터 멤브레인을 보호할 수 있는 철망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이 가능한 블록형 LED 등기구의 연결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열부(200) 일측에 구비되고 내부 전원단자(미도시)를 통해 다른 개소의 몸체부(100)를 이음 접속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300)는 내부에 몸체부(100)의 전원 출력선이 연결되는 전원단자(미도시)를 포함하고, LED 등기구를 일방향으로 상호 조립하여 확장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부(100)의 일면 및 타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300)는 몸체부(100) 일면에 수단자모듈(310), 몸체부 타면에 암단자모듈(320)로 구성되어 몸체부(100) 일면이 다른 개소 몸체부(100)의 타면에 이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300)는 수단자모듈(310) 및 암단자모듈(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단자모듈(310)은 상기 몸체부(100)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다른 개소 몸체부(100)의 암단자모듈(320)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단자모듈(310)은 내부에 (+)전원단자(미도시)를 갖는 (+)수단자모듈(311) 및 (-)전원단자(미도시)를 갖는 (-)수단자모듈(312)을 포함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단자모듈(311) 및 (-)수단자모듈(312)은 상기 방열부(200)와 이웃하는 일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암단자모듈(320)은 상기 몸체부(100) 타면에 형성되고, 다른 개소의 수단자모듈(310)이 내삽되는 삽입홈(323)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암단자모듈(320)은 내부에 (+)전원단자(미도시)를 갖는 (+)암단자모듈(321) 및 (-)전원단자(미도시)를 갖는 (-)암단자모듈(322)을 포함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단자모듈(321) 및 (-)암단자모듈(322)은 상기 방열부(200)와 이웃하는 일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수단자모듈(311)이 다른 개소의 (+)암단자모듈(321)에 삽입되고, (-)수단자모듈(312)은 다른 개소의 (-)암단자모듈(322)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이 가능한 블록형 LED 등기구에 의하면, 몸체부 일면에 LED 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는 방열부를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전원 장치나 추가적인 보조 장치를 구비하지 않는 간단한 구조만으로도 고효율의 방열 및 방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방열부의 멤브레인을 PTFE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몸체부 내부의 습기는 투습하여 외부로 방출하고 외부의 수분은 차단하여, LED 모듈을 습기로 부터 보호하는 방수투습 기능을 수행하여 LED 모듈의 성능 저하 및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몸체부를 이음 접속시키는 암, 수단자모듈을 포함하여, 등기구를 일방향으로 상호 조립하여 용이하게 확장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LED 등기구를 다양한 이미지로 연출이 가능하고, 제품 전체를 새로 조작하지 않고도 LED 모듈의 추가가 가능할 뿐 아니라, 등기구 전체를 분해하거나 교체하지 않고도 점등 불량인 LED 모듈을 용이하게 교체 및 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방열부의 장착부재 상측 모서리의 일측이 하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부를 구비함으로써, 빗물이 방열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LED 등기구의 방수 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확장이 가능한 블록형 LED 등기구
100 : 몸체부 200 : 방열부
210 : 개방구 220 : 멤브레인
230 : 장착부재 231 : 출입구
232 : 가이드슬릿 233 : 경사부
233a : 수용공간부 233b : 연장부
234 : 고정부재 234a : 회전축
234b : 차단막 240 : 매쉬망
300 : 연결부 310 : 수단자모듈
311 : (+)수단자모듈 312 : (-)수단자모듈
320 : 암단자모듈 321 : (+)암단자모듈
322 : (-)암단자모듈 323 : 삽입홈

Claims (5)

  1. 일측에 LED 모듈을 고정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면 및 상기 일면과 대응되는 타면에 구비되어, 상기 LED 모듈에서 발생한 열을 방열하는 방열부; 및
    상기 방열부 일측에 구비되고, 내부 전원단자를 통해 다른 개소의 몸체부를 이음 접속 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부는,
    개방구;
    상기 개방구에 탈착되고, 방수 및 방열이 가능한 시트 또는 필름 형태의 멤브레인;
    상기 개방구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고, 상기 멤브레인을 장착시키는 장착부재; 및
    상기 장착부재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개방구를 커버하는 매쉬망;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멤브레인의 출입을 위해 개방된 출입구;
    상기 개방구와 인접한 내측면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멤브레인이 삽입 및 이탈되는 가이드슬릿; 및
    상측 모서리의 일측이 하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는,
    수용된 빗물을 지면으로 이동시켜 상기 빗물이 상기 방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이 가능한 블록형 LED 등기구.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가이드슬릿에 삽입된 멤브레인을 고정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이 가능한 블록형 LED 등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가이드슬릿을 차단하는 차단막; 및
    상기 차단막을 회전시키는 회전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이 가능한 블록형 LED 등기구.
KR1020200167710A 2020-12-03 2020-12-03 확장이 가능한 블록형 led 등기구 KR102431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710A KR102431853B1 (ko) 2020-12-03 2020-12-03 확장이 가능한 블록형 led 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710A KR102431853B1 (ko) 2020-12-03 2020-12-03 확장이 가능한 블록형 led 등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304A KR20220078304A (ko) 2022-06-10
KR102431853B1 true KR102431853B1 (ko) 2022-08-12

Family

ID=81986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710A KR102431853B1 (ko) 2020-12-03 2020-12-03 확장이 가능한 블록형 led 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18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0054B1 (ko) * 2016-08-22 2018-01-18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선택적 연결이 가능한 led 조명 장치
CN209165137U (zh) * 2018-11-29 2019-07-26 广东东耀光电有限公司 一种散热型洗墙灯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809Y1 (ko) 2011-03-17 2013-03-11 비피솔루션(주) Led 가로등시스템의 방열장치
KR101826956B1 (ko) * 2015-01-30 2018-02-07 주식회사 금경라이팅 방수투습수단이 장착된 엘이디 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0054B1 (ko) * 2016-08-22 2018-01-18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선택적 연결이 가능한 led 조명 장치
CN209165137U (zh) * 2018-11-29 2019-07-26 广东东耀光电有限公司 一种散热型洗墙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304A (ko)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9218B2 (en) Surface mounted light fixture and heat dissipating structure for same
US10203103B2 (en) LED luminaire having enhanced thermal management
US11635197B2 (en) LED luminaire having enhanced thermal management
JP2017037841A (ja) 発光ダイオードモジュールの改良または発光ダイオードモジュールに関する改良
US9781798B2 (en) LED-based illumination systems having sense and communication capability
KR20100023758A (ko) 반도체 조명 장치
ES2545880T3 (es) Adaptador con al menos un componente electrónico
AU2016247786B2 (en) Luminaire housing
KR101143778B1 (ko) 신속한 방열 및 방폭 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기구
EP2949991A1 (en) Optical semiconductor illuminating apparatus
KR101879137B1 (ko) 엘이디 램프를 보호한 터널등
KR102431853B1 (ko) 확장이 가능한 블록형 led 등기구
EP3141086A1 (en) Led-based illumination device reflector having sense and communication capability
US20230383930A1 (en) Surface mounted light fixture and heat dissipating structure for same
RU2430300C1 (ru) Светотехн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с мощными светодиодами
JP6172682B2 (ja) 照明器具設備
JP2012133992A (ja) 発光装置および照明器具
KR102476513B1 (ko) 합성수지 투과식 led 집단형 조명 장치
JP6548153B2 (ja) 照明装置
KR102003516B1 (ko) 조명 장치
EP3280953A1 (en) Led-based illumination systems having sense and communication capability
KR20160094800A (ko) 조명장치
KR20160094801A (ko)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