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1316B1 -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 - Google Patents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1316B1
KR102431316B1 KR1020200138029A KR20200138029A KR102431316B1 KR 102431316 B1 KR102431316 B1 KR 102431316B1 KR 1020200138029 A KR1020200138029 A KR 1020200138029A KR 20200138029 A KR20200138029 A KR 20200138029A KR 102431316 B1 KR102431316 B1 KR 102431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area
pedestrian
signal
markers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3828A (ko
Inventor
설동열
Original Assignee
(주)지비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비솔루션 filed Critical (주)지비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138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316B1/ko
Priority to PCT/KR2020/016919 priority patent/WO2022085854A1/ko
Publication of KR20220053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01S11/06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using intensity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4Systems determining presence of a targ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수단이 각각 구비된 적어도 3개 이상의 표지병이 상호 인접거리에 배치되어 가상 영역을 형성하며, 가상 영역 내에 보행자의 진입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통신수단이 각각 구비된 적어도 3개 이상의 표지병이 상호 인접거리에 배치되어 가상 영역을 형성하며, 가상 영역 내에 보행자의 진입여부를 판단함으로서, 보행자가 정확한 장소에 위치하였을 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Road marker enabling grouping}
본 발명은 상호 인접거리에 배치되어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수단이 각각 구비된 적어도 3개 이상의 표지병이 상호 인접거리에 배치되어 가상 영역을 형성하며, 가상 영역 내에 보행자의 진입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표지병은 야간 주행 시, 도로의 중앙선, 차선 등을 운전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자동차 불빛이 반사되거나, LED 등을 통해 발광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도로 뿐만 아니라 산책로, 자전거 전용도로, 갓길, 정지선, 우범지역 등에 설치된다. 도로와 도보 등에도 설치됨에 따라 운전수와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도로 표지병은 도로나 바닥에 부착되어 보행자에게 길을 가이드 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시각장애인, 노약자 등 사회적 약자에게는 인지하는데 어려움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단순히 길을 안내해 주는 역할 뿐 아니라, 사고 유발을 방지하기 위한 경고 알림,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 제공 등에 대한 다기능 표지병이 개발되어 있다.
한국 등록신용신안 제20-0475044호(이하 '선행문헌'이라 칭함)는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표지못에 내장되는 각종 지하시설물 정보, 교량시설물 정보, 토목시설물 정보, 건축시설물 정보 및 지적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에 관한 것이다. 선행문헌은 표지못의 내부에 RFID, UHF 또는 NF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통신부가 구비되어 휴대 단말기로 각종 지하시설물 정보, 교량시설물 정보, 토목시설물 정보, 건축시설물 정보 및 지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에서 사용되는 무선 통신모듈의 경우 주변 환경에 따라 신호의 오차가 발생될 수 있음에 따라 정확한 자리에 위치하지 않아도 신호를 식별하거나, 다른 신호를 식별하여 잘못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한국 등록신용신안 제20-0475044호 (발명의 명칭 :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 등록일 : 2014.10.27)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통신수단이 각각 구비된 적어도 3개 이상의 표지병이 상호 인접거리에 배치되어 가상 영역을 형성하며, 가상 영역 내에 보행자의 진입여부를 판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감도의 세기와 수신시간을 를 통해 보행자가 가상 영역 내에 진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은 통신수단이 각각 구비된 적어도 3개 이상의 표지병이 상호 인접거리에 배치되어 가상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3개 이상의 표지병의 통신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수신되는 상기 가상 영역 내에 보행자의 진입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은 상기 각각의 통신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감도를 통해 보행자가 상기 가상 영역 내에 진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통신수단은 상기 신호를 주기적으로 출력하는 신호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출력부에서 출력된 상기 신호 감도의 세기와 수신 시간이 기 설정된 제1조건을 만족하면, 보행자가 상기 가상의 영역에 진입된 것으로 판단하며, 제2조건을 만족하면, 보행자가 상기 가상의 영역에서 해지된 것으로 판단하되, 상기 3개 이상의 표지병 중 상기 제1조건을 만족하는 표지병이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이면, 최종적으로 상기 가상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가상의 영역에서 해지되고, 상기 보행자가 또 다른 가상의 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가상의 영역의 신호가 상기 보행자에게 출력되어도 상기 보행자는 상기 가상의 영역 영역을 해지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제1조건의 신호 감도보다 소정의 수치만큼 낮은 제3조건의 신호 감도를 만족하면, 보행자가 상기 가상의 영역에 진입할 예정인 것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은 상기 상호 인접거리에 배치되는 표지병을 하나의 가상영역으로 등록하기 위한 고유 정보가 저장되는 고유정보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상 영역 내에 진입한 보행자가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고유 정보에는 상기 위치정보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통신수단은 상기 상호 인접거리에 배치되는 표지병을 하나의 가상영역으로 등록하기 위한 동기화 모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통신수단이 각각 구비된 적어도 3개 이상의 표지병이 상호 인접거리에 배치되어 가상 영역을 형성하며, 가상 영역 내에 보행자의 진입여부를 판단함으로서, 보행자가 정확한 장소에 위치하였을 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감도의 세기와 수신시간을 를 통해 보행자가 가상 영역 내에 진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서, 보행자의 진입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의 일 실시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지병의 고유정보를 통해 그룹화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일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의 가상 영역 내 진입과 해지를 판단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내는 일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영역 내 진입과 해지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그룹화된 표지병을 통해 최종적으로 가상 영역에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의 일 실시예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은 통신수단이 각각 구비된 적어도 3개 이상의 표지병, 도 1의 예시는 총 4개의 표지병(100A. 100B, 100C, 100D)이 상호 인접거리에 배치되어 가상 영역(200)을 형성한다. 가상 영역(200)을 형성하는 각각의 표지병의 통신수단은 가상 영역 내에 보행자(300)의 진입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보행자(300)는 각각의 표지병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가상 영역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보행자의 진입여부 판단에 대한 설명은 이하 도 3 내지 4를 통해 자세한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은 제어부(110), 발광부(120), 전원부(130), 통신수단(140), 고유정보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표지병(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이며, 이하 설명하는 발광부(120), 전원부(130), 통신수단(140)을 제어한다.
발광부(120)는 제어부(110)에 의해 구동되며, 발광 및 점멸이 가능한 장치로서, LED 소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발광부(120)는 표지병 내의 구비되며, 전원부에(130)에 의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구동된다.
전원부(130)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태양광 같은 자가발전을 통해 생성된 전원을 저장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전원부(130)는 태양광 발전을 위한 태양광 패널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표지병이 설치되는 환경 등에 따라 변경되어 설계될 수 있다.
통신수단(140)은 보행자가 구비하는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신호출력부(141)와 동기화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수단(140)은 비콘(beacon), 블루투스(blueooth),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는 비콘(beacon)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신호출력부(141)는 보행자가 가상 영역(200) 내에 진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신호를 주기적으로 출력하는 장치이다.
동기화부(142)는 상호 인접거리에 배치되는 표지병을 하나의 가상영역으로 등록하기 위한 동기화 모드를 제공한다. 동기화 모드는 보행자의 단말기에 신호를 송신하는 모드가 아닌, 표지병 간에 송수신 하기 위한 모드이며, 동기화가 완료된 표지병들은 하나의 그룹으로 지정된다.
고유정보저장부(150)에는 인접거리에 배치되는 표지병을 하나의 가상영역으로 등록하기 위한 고유 정보가 저장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지병의 고유정보를 통해 그룹화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일 실시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각각의 표지병에는 고유 정보(ID)가 지정되어 있으며, 관리자 단말기에 표지병의 고유 정보(ID)를 등록함으로서, 하나의 그룹으로 지정된다.
또한, 고유정보에는 가상 영역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위치정보가 포함된다. 따라서 보행자가 가상 영역에 진입할 경우, 가상 영역에 대한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보행자는 수신된 위치정보를 서비스 제공서버에 전송하며,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위치정보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표지병 그룹화 방법은 동기화 방식와 고유정보 등록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두 가지 방식 모두 사용될 수 있다.
[가상 영역 진입 판단 조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의 가상 영역 내 진입과 해지를 판단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내는 일 실시예이다. 보행자는 신호출력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기를 구비하며, 단말기에 수신된 신호의 감도 세기를 통해 가상 영역에 진입 예정, 진입, 해지 여부를 판단한다. 편의상, 가상 영역의 진입 예정을 1단계, 가상 영역의 진입을 2단계로 지칭한다.
과학적 이론에 근거한 경우, 보행자는 표지병과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신되는 신호의 감도의 세기가 높아지며, 표지병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수신되는 신호의 감도의 세기는 낮아진다.
이에 보행자의 단말기에 수신되는 신호의 감도가 일정 세기보다 높으면, 가상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며, 도 4의 예시는 -40dBm 이상을 0.5초 이상 유지로 지정된 경우이다. 가상의 영역이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보행자는 단말기를 통해 가상의 영역에 지정된 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하지만, 시각장애인과 같이 사회적 약자는 현재의 이동 중인 경로로 가상의 영역에 도달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 따라서 가상 영역으로 지정된 -40dBm보다 낮은 일정 수준의 신호 감도(예시, -70dBm부터 -80dBm 사이)가 수신된다면, 가상 영역에 진입할 예정인 것으로 판단하며, 도착 예정이라는 정보를 제공받는다.
따라서 보행자는 1단계의 정보를 수신한 이후, 2단계의 정보를 수신하여 가상의 영역에 도달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다.
가상의 영역에 도달한 이후, 보행자의 단말기에 수신되는 신호의 감도가 일정 세기보다 낮으면, 가상 영역에서 해지한 것으로 판단하며, 도 4의 예시는 -46dBm 이상을 3초 이상 유지로 지정된 경우이다.
한편, 도 4의 예시는 보행자가 가상 영역에 진입 또는 해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조건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따라서 도 4에 기재된 신호의 감도 세기 및 유지시간은 위의 예시로 한정하지 않으며, 변경 설계가능한 사항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영역 내 진입과 해지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예시는 -40dBm 이상, 0.5초 이상 유지를 진입 조건, -60dBm 이하, 3초 이상을 해지 조건, -70dBm부터 -80dBm 사이를 진입 예정 조건으로 지정하였다.
도 5의 제1케이스는 보행자가 가상 영역 내에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이다. 제1케이스를 참조하면, 단말기에 수신된 신호 감도의 세기가 -40dBm 이상, -60dBm 이하를 일정 시간동안 유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신호 감도의 세기가 -70dBm부터 -80dBm사이를 만족함에 따라 가상의 영역에 도달 예정으로 판단한다.
도 5의 제2케이스는 보행자가 가상 영역 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이다. 제2케이스를 참조하면, 단말기에 수신된 신호 감도의 세기가 -40dBm 이상을 일정 시간동안 유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의 제3케이스는 보행자가 가상 영역 내에 진입하고 있으며, 진입 해지 조건을 만족 하지 못한 경우이다. 무선 신호의 경우, 일시적으로 영역 진입조건에서도 전파의 충돌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신호의 수신 감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3케이스와 같이, 단말기에 수신된 신호 감도의 감도 세기가 순간적으로 -60dBm 이하로 내려갔으나, 일정 시간동안 유지하지 못하고 있음에 따라 진입 해지가 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의 제4케이스는 보행자가 가상 영역 내에서 해지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이다. 제4케이스를 참조하면, 단말기에 수신된 신호 감도의 세기가 -60dBm 이하를 일정 시간동안 유지함에 따라 가상 영역에서 해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가상 영역진입 판단]
본 발명에 따른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은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표지병이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인 경우에, 최종적으로 보행자가 가상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하 도 6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그룹화된 표지병을 통해 가상 영역에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설명하도록 한다.
편의상, 그룹화된 표지병 100A의 신호영역을 200A, 그룹화된 표지병 100B의 신호영역을 200B, 그룹화된 표지병 100C의 신호영역을 200C, 그룹화된 표지병 100D의 신호영역을 200D로 지정한다. 여기서 각 신호영역은 표지병이 신호를 보낼수 있는 최대영역이 아니며, 영역 진입으로 판단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그룹화된 표지병 중 3개의 표지병이 영역 진입으로 판단한 경우,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가상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며, 편의상 최종판단조건으로 지칭한다.
도 6의 제1케이스는 보행자(300)가 그룹화된 표지병(100A, 100B, 100C, 100D)의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모두 가상 영역 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이다. 도 6의 제2케이스는 보행자(300)가 그룹화된 표지병(100A, 100B, 100C, 100D)의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그룹화된 표지병(100A)의 신호영역(200A)를 제외한 나머지가 가상 영역 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이다.
따라서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는 최종판단조건을 만족하며, 최종적으로 가상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 도 6의 제3케이스는 보행자(300)가 그룹화된 표지병(100A, 100B, 100C, 100D)의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그룹화된 표지병(100A)의 신호영역(200A), 그룹화된 표지병(100B)의 신호영역(200B)에서 영역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이다. 따라서 제3케이스는 최종판단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며, 최종적으로 가상 영역에서 해지된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보행자가 가상 영역A에 진입한다면, 가상 영역A의 정보를 수신하며, 가상 영역 A에서 가상 영역 B로 이동한다면, 가상 영역A는 해지 조건, 가상 영역B는 진입 조건을 만족하게 된다. 하지만 무선장비는 일시적으로 반사전파 등의 이유로 수신 감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현상이 발생되면, 보행자는 가상 영역A의 정보를 재안내 받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이전의 가상 영역A의 신호를 재수신하더라도, 가상 영역A은 해지된 것으로 판단하며, 가상 영역B에 대한 신호만을 식별한다.
또한, 단말기는 표지병으로부터 신호를 수신받기 위해 수신모드로 작동된다. 일반적으로 수신모드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수신모드로 계속 동작된다면,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도 단말기의 배터리가 지속적으로 소모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말기에 수신되는 감도의 세기가 일정 수치보다 낮을 경우, 단말기를 수신모드에서 슬립모드로 변경하여 배터리의 소모량을 감소시킨다. 슬립모드는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 간격이 수신모드보다 넓게 지정되어 있어 배터리의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슬립모드 중 단말기에 수신되는 감도의 세기가 일정 수치보다 높아지면, 단말기는 슬립모드에서 수신모드로 변경된다.
100 : 표지병 110 : 제어부
120 : 발광부 130 : 전원부
140 : 통신수단 141 : 신호출력부
142 : 동기화부 150 : 고유정보저장부
200 : 가상 영역 300 : 보행자

Claims (9)

  1. 신호를 주기적으로 출력하는 신호출력부;를 구비하는 통신수단이 구비된 표지병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140)은 적어도 3개 이상씩 그룹화될 수 있도록, 인접 배치된 또 다른 표지병과 신호를 송수신하여 상호 동기화가 가능한 동기화부를 포함하며,
    그룹화된 상기 적어도 3개 이상의 표지병에 의하여 가상 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신호출력부에서 출력된 상기 신호 감도의 세기와 수신 시간이 기 설정된 제1조건을 만족하면 보행자가 상기 가상 영역에 진입된 것으로 판단하며, 제2조건을 만족하면 보행자가 상기 가상의 영역에서 해지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건의 신호 감도보다 소정의 수치만큼 낮은 제3조건의 신호 감도를 만족하면, 보행자가 상기 가상의 영역에 진입할 예정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개 이상의 표지병 중 상기 제1조건을 만족하는 표지병이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이면, 최종적으로 상기 가상의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영역에서 해지되고, 상기 보행자가 또 다른 가상의 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가상의 영역의 신호가 상기 보행자에게 출력되어도 상기 보행자는 상기 가상의 영역 영역을 해지한 것으로 판단하는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인접거리에 배치되는 표지병을 하나의 가상의 영역으로 등록하기 위한 고유 정보가 저장되는 고유정보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영역 내에 진입한 보행자가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고유 정보에는 상기 위치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은 상기 상호 인접거리에 배치되는 표지병들을 하나의 가상의 영역으로 등록하기 위한 동기화 모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

KR1020200138029A 2020-10-23 2020-10-23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 KR102431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029A KR102431316B1 (ko) 2020-10-23 2020-10-23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
PCT/KR2020/016919 WO2022085854A1 (ko) 2020-10-23 2020-11-26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029A KR102431316B1 (ko) 2020-10-23 2020-10-23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828A KR20220053828A (ko) 2022-05-02
KR102431316B1 true KR102431316B1 (ko) 2022-08-10

Family

ID=81289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029A KR102431316B1 (ko) 2020-10-23 2020-10-23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1316B1 (ko)
WO (1) WO202208585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983B1 (ko) * 2019-07-15 2020-09-11 (주)인포스텍 자가발전을 이용한 도로 표지병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044Y1 (ko) 2013-05-28 2014-10-3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
JP6297722B2 (ja) * 2014-06-13 2018-03-20 フィリップス ライティング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無線ノードのネットワークに基づく位置特定
KR20160050410A (ko) * 2014-10-29 2016-05-11 김태훈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KR102122548B1 (ko) * 2017-11-22 2020-06-12 주식회사 퀀텀게이트 보행자의 차도 인접거리를 기반으로 시각적 경고를 생성하는 보행자 경고 시스템
KR20190109801A (ko) * 2018-03-19 2019-09-27 김윤순 스마트 표지병
US10872584B2 (en) * 2019-03-14 2020-12-22 Curious Company, LLC Providing positional information using beacon devi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983B1 (ko) * 2019-07-15 2020-09-11 (주)인포스텍 자가발전을 이용한 도로 표지병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85854A1 (ko) 2022-04-28
KR20220053828A (ko) 202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6808B2 (en) Method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US9536430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presence of vehicle in parking space
CN106463049B (zh) 用来经由环境感知和传感器校准和验证支持自主车辆的系统和方法
US9224293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monitoring and managing traffic flow
US946061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traffic flow
US20100097206A1 (en) Post Cap for Guardrail with Luminous Lamp
US20080018494A1 (en) Traffic Sign Beacon System
US20170018179A1 (en) Infrastructure-to-vehic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110035140A1 (en) Vehicle sensing system utilizing smart pavement markers
CN106530771B (zh) 一种高速公路主动发光轮廓标交通诱导装置及方法
US20210012656A1 (en) Emergency vehicle warning indication system
US20160049077A1 (en) Traffic Management System
US20210237777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channelizing vehicular traffic and enhancing workzone safety
CN1147737C (zh) 一种多功能地面定位系统
CA3113473A1 (en) Traffic warning and data capture devices and methods
CN110599802A (zh) 一种人行横道预警实施方法及预警系统
US11017189B2 (en) See ID system
CN100444723C (zh) 用于提供动物出现的通知的系统
KR102431316B1 (ko)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
CN210777188U (zh) 一种无信号控制人行横道预警系统
AU2013101243A4 (en) Improvements to Railway Crossing Alert System
KR100909108B1 (ko) 지능형 교통 표시장치
KR20220151647A (ko) 교통 관리 장치, 교통 관리 시스템, 교통 정보 시스템, 개장가능한 시작 모듈, 및 교통 관리 방법
KR102550619B1 (ko) 표지병을 활용한 길 안내시스템
KR20210111482A (ko) 자가발전 기반 도로 표지병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