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1172B1 - 복합 기능성 의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복합 기능성 의류 - Google Patents

복합 기능성 의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복합 기능성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1172B1
KR102431172B1 KR1020220056363A KR20220056363A KR102431172B1 KR 102431172 B1 KR102431172 B1 KR 102431172B1 KR 1020220056363 A KR1020220056363 A KR 1020220056363A KR 20220056363 A KR20220056363 A KR 20220056363A KR 102431172 B1 KR102431172 B1 KR 102431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lothing
length
garment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희
Original Assignee
(주)르몽드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르몽드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르몽드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220056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1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0Sleeves; Armho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5/00Convertible garments
    • A41D15/002Convertible garments in their length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01Detecting trem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의 소매 부분에는 생체센서모듈이, 팔굽 부분에는 길이조절부가, 목 부분에는 결합부가 각각 위치되도록 배치하고, 이들을 연결하는 케이블 튜브를 생체센서모듈로부터 결합부까지 연결하여 복합 기능성 장치를 제조하는 제1단계; 제1단계에서 제조된 복합 기능성 장치를 의류의 내피 또는 의류 내측 뒷면에 위치시키고 복합 기능성 장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의류 내피 또는 의류 내측 뒷면에 놓여진 그대로 그물망으로 된 천을 박음질하거나 또는 생체센서모듈, 길이조절부, 결합부에 각각 결합수단을 구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의류의 각 부분에도 결합수단을 구성하여 서로 결합시키는 제2단계; 및 생체센서모듈이 위치된 의류의 소매 부분이 착용자의 손목 부분에 위치되는지를 확인하고, 소매 부분이 늘어져서 손목 부분과 일치되지 않으면 길이조절부를 이용하여 소매 부분을 어깨쪽으로 끌어올려 손목 부분에 일치하도록 한 후 생체신호가 감지되도록 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의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내측 일정부분에 복합 기능성 장치와의 결합수단이 구성되는 의류; 의류에 구성된 결합수단을 통해 의류에 결합되도록 결합수단이 구성되는 것으로써, 의류 착용자의 손목을 통해 체온 및 진동을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케이블을 통해 제어모듈로 전송하는 생체센서모듈; 생체센서모듈로부터 전송된 체온 및 진동 감지신호를 분석하는 제어모듈; 및 생체센서모듈이 착용자의 손목 부분에 위치되도록 의류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로 구성된 복합 기능성 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의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복합 기능성 의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복합 기능성 의류{MULTI- FUNCTIONAL CLOTH MANUFACTURING METHOD AND MULTI-FUNCTIONAL CLOTH MANUFACTURE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합 기능성 의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복합 기능성 의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욱 상세하게, 복합 기능성 의류 착용자의 체온 및 진동을 감지하여 생체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체온 및 진동이 손목 부분에서 정확하게 감지되도록 복합 기능성 의류의 소매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 체온, 맥박, 혈압 등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방법은, 피검사자 자신 또는 의사나 간호사 등이 생체정보센서를 피검사자의 신체에 접촉시켜 측정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체온계를 피검사자의 일방의 겨드랑이에 몇 분간 끼워서 체온의 측정을 행하거나, 피검사자의 일방의 팔을 대상으로 하여, 맥박이나 혈압의 측정을 몇 분간 정도의 시간을 들여서 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검사방법에 의해 입수할 수 있는 일시적인 생체정보만으로는 피검사자의 상황을 충분히 파악할 수 없을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피검사자는 이상 증상에 대해 자각이 있더라도 의사나 간호사가 생체정보의 검지를 행할 때에는 그 이상이 나타나지 않고, 정확한 진단이 내려지지 않을 경우가 있다. 특히, 부정맥이나 심박이상 등은, 반드시 상시 드러난다고는 할 수 없는 것이 통상이며, 단시간의 관찰에서는 피검사자의 심리상태나 검사의 시간대 등의 영향도 있어서, 정확하게 인식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인식과 함께, 정보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언제 어디서나 생체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이-헬스 케어(e-health care)가 급속도로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고령화로 인한 노인의 돌봄, 응급환자의 신속한 원격 처치 및 처방, 군인 및 위험환경 작업자의 인체 안정성 체크 및 위험 발생 시 경보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생체정보 획득 및 전달을 요하는 바이오 의복 즉, 생체신호 측정의복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생체신호 측정의복에 관한 기존 연구들로는 우선, 선택적으로 착탈하여 착용이 가능한 전극 및/혹은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의복에 전극 및/또는 센서를 탈/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면서 피부와의 접촉이 잘 되고 전도성을 주기 위해서 전극 위에 도전성 실리콘을 입힌다.
그러나, 생체신호를 측정할 때 전극을 탈/부착해야 하므로 긴급히 사용하여야 할 경우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탄성 밴드를 사용하여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는데, 탄성 밴드가 전극을 포함하므로 피부 저항이나 불쾌감 없이 인체에 밀착시키는 장점이 있으나, 밴드 형태이므로 그 착용형태나 이용이 제한적이며, 측정할 수 있는 데이터도 매우 제한적이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생체신호 측정 의복들은 일상생활에서 인체의 동작 기능성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생체정보를 획득함에 있어서 많은 제한 요소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1-0131661호는 생체신호 수집이 가능한 의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섬유형 센서, 전기 전도성을 가진 직물로 구현되며, 상기 섬유형 센서와 연결되어 감지된 상기 생체신호를 전송하는 생체신호 전송 선로 및 상기 생체신호 전송 선로와 연결되어 상기 감지된 생체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무선 송신하는 신호 송신부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비침습, 무구속적으로 생체신호를 측정함에 따라 인체의 다양한 활동시에도 쾌적한 착의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섬유형 센서 및 전도성 섬유를 이용하여 신호의 측정 및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인체의 다양한 동작에도 안정적인 생체정보 획득과 안정적인 생체정보 전달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의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의복 착용자의 착용감과 편리성을 최대화하면서도 생체신호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생체신호 수집이 가능한 의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목적에도 불구하고, 의복이 인체에 밀착하지 못하는 상황, 예를 들어 나풀거림 등으로 인하여 센서가 착용자에게 밀착하지 못하므로 감지신호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40115호는 피부에 배치되는 전도성 부재를 이용한 생체신호측정의류에 관한 것으로써, 대상물의 피부에 배치되는 전도성 부재; 및 상기 대상물이 착용하는 비전도성 의류에 배치되며, 상기 대상물의 움직임에 따라 지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상기 전도성 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생체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생체신호감지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생체신호감지전극은 생체신호측정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생체신호를 상기 생체신호측정 장치에 제공하며, 상기 생체신호측정 장치는 상기 생체신호감지전극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생체신호로부터 상기 대상물의 건강정보를 분석하는 건강정보 분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전도성 의류는 상기 생체신호감지전극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1관통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전도성 부재는 유동성을 가지는 전도성 물질을 상기 제1관통 홀을 통하여 상기 피부에 코팅한 후 건조시켜 얻어짐으로써 상기 생체신호감지전극과 서로 대향하며, 상기 전도성 물질은 상기 피부에 코팅하는 과정에서 상기 유동성에 의하여 상기 피부 표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전도성 부재와 상기 피부 사이의 접촉저항이 줄어들어 상기 생체신호감지전극이 낮은 접촉저항 환경에서 상기 생체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생체신호측정의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생체신호측정의류를 구성함에 있어서 전도성 부재를 피부에 도포하여 생체신호감지전극을 피부에 밀착시킴으로써 생체신호감지전극과 피부 사이의 접촉 저항을 줄일 수 있는 생체신호측정의류를 제공하나, 피부에 직접 전도성 부재를 도포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고, 전도성 부재와 생체신호감지전극의 밀착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된다는 보장이 없으므로 감지신호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1-0131661호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40115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에 관련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의 체온 및 진동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생체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 복합 기능성 의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복합 기능성 의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체센서모듈이 부착되는 소매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착용자가 의복을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고, 조절된 소매 길이가 장시간 그대로 유지됨으로써 착용자의 체온 및 진동을 연속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한, 복합 기능성 의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복합 기능성 의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합 기능성 의류 제조방법은
의류의 소매 부분에는 생체센서모듈이, 팔굽 부분에는 길이조절부가, 목 부분에는 결합부가 각각 위치되도록 위치시키고, 이들을 연결하는 케이블 튜브를 생체센서모듈로부터 결합부까지 연결하여 복합 기능성 장치를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제조된 복합 기능성 장치를 의류의 내피 또는 의류 내측 뒷면에 위치시키고 복합 기능성 장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의류 내피 또는 의류 내측 뒷면에 놓여진 그대로 그물망으로 된 천을 박음질하거나 또는 생체센서모듈, 길이조절부, 결합부에 각각 찍찍이를 구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의류의 각 부분에도 찍찍이를 구성하여 서로 결합시키는 제2단계; 및
상기 생체센서모듈이 위치된 의류의 소매 부분이 착용자의 손목 부분에 위치되는지를 확인하고 소매 부분이 늘어져서 손목 부분과 일치되지 않으면 길이조절부를 이용하여 소매 부분을 어깨쪽으로 끌어올려 손목 부분에 일치하도록 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단계에서 그물망으로 된 천은, 길이조절부를 통한 튜브의 길이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길이조절부 윗 부분 일정길이에 대하여는 튜브가 시각적으로 완전히 노출되도록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단계에서 결합수단은, 박음질 또는 찍찍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합 기능성 의류는
내측 일정부분에 복합 기능성 장치와의 결합수단이 구성되는 의류;
상기 의류에 구성된 결합수단을 통해 의류에 결합되도록 결합수단이 구성되는 것으로써,
의류 착용자의 손목을 통해 체온 및 진동을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케이블을 통해 제어모듈로 전송하는 생체센서모듈;
상기 생체센서모듈로부터 전송된 체온 및 진동 감지신호를 분석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생체센서모듈이 착용자의 손목 부분에 위치되도록 의류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로 구성된 복합 기능성 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길이조절부는
내부에 일정공간이 형성된 사각 케이스 형태로 몸체;
상기 생체센서모듈로부터 이어져서 길이조절부재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케이블을 감싸고, 외주면에는 톱니가 형성되는 튜브;
상기 상기 튜브쪽을 향하여 사각케이스 몸체에 일단부가 축으로 고정되는 탄성 스프링;
상기 상기 튜브쪽을 향하여 사각케이스 몸체에 일단부가 축으로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의 내부를 관통하여 타단부가 상기 톱니에 접촉되는 탄성 스토퍼;로 구성되어,
상기 스토퍼는 튜브가 길이조절부를 더 이상 빠져나가지 않는 상황일 경우 튜브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톱니에 탄성적으로 맞물려서 튜브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길이조절부와 생체센서모듈 사이에 있는 튜브에는 튜브의 길이조절이 이루어졌는지를 감지하는 장력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길이조절부는
튜브에 형성된 톱니에 접촉되도록 스토퍼를 통과시키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통공의 상하부를 폐쇄하여 튜브가 구부러지거나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가이드되면서 길이조절부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길이조절부 내부에 위치하는 튜브는
톱니가 스토퍼에 걸리면서 튜브를 상부 또는 하부쪽으로 끌어낼 때 톱니와 스토퍼의 접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강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복합 기능성 의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복합 기능성 의류에 따르면, 복합 기능성 의류 착용자의 체온 및 진동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생체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생체센서모듈이 부착되는 소매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착용자가 의복을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고, 조절된 소매 길이가 장시간 유지됨으로써 착용자의 체온 및 진동을 연속으로 감지할 수 있으므로 감지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저체온에 따른 진동을 연관하여 분석함으로써 체온센서와 진동센서의 고장 여부를 파악하여 감지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그 밖의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기능성 의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기능성 의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기능성 의류에 결합되는 복합 기능성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기능성 장치의 길이조절부 내부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기능성 장치의 길이조절부를 구성하는 몸체의 개략적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기능성 장치와 의류의 결합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기능성 장치에 의해 소매 길이가 조절되지 않은 상태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기능성 장치에 의해 소매 길이가 조절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기능성 장치의 제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기능성 장치를 이용한 소매 길이 조절 및 생체신호 감지 동작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기능성 장치를 이용한 생체신호 감지 동작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기능성 의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기능성 의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기능성 의류에 결합되는 복합 기능성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기능성 장치의 길이조절부 내부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기능성 장치의 길이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기능성 장치와 의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기능성 장치에 의해 소매 길이가 조절되지 않은 상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기능성 장치에 의해 소매 길이가 조절된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기능성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기능성 장치를 이용한 소매 길이 조절 및 생체신호 감지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기능성 장치를 이용한 생체신호 감지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복합 기능성 의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복합 기능성 의류를 개시하는 것으로써, 복합 기능성 의류 착용자의 체온 및 진동을 감지하여 생체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체온 및 진동이 손목 부분에서 정확하게 감지되도록 복합 기능성 의류의 소매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복합이란 용어는 생체신호 감지 및 소매 길이 조절의 2 가지 기능이 수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복합 기능성 장치를 별개의 물건으로 제조하고, 이를 결합수단을 통해 의류에 결합하여 그 의류를 착용하는 사람의 체온 및 진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복합 기능성 장치는 그 구성요소들이 모두 좌우 대칭으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기능성 의류는 복합 기능성 장치가 의류(1)의 내측, 바람직하게는 내피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생체센서모듈(200, 250)이 결합된 소매 끝 부분이 착용자의 손목 부분에 정확하게 일치되어 체온 및 진동 등 생체신호를 감지하도록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호 전송용 케이블(310, 320, 330, 340)이 구성된다.
상기 생체센서모듈(200, 250)에서 감지된 체온 및 진동은 케이블(310 ~ 340)을 통해 제어모듈(100)에 전송되어 처리된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그 처리결과를 착용자의 스마트폰 등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착용자는 스마트폰을 통해 자신의 생체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 스마트폰을 통해 의료시설 등에 자신의 생체신호가 전송되어 구급 등 필요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들은 제어모듈(100), 스마트폰, 관제소가 유무선으로 네트워크화됨으로써 가능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체온 및 진동을 같이 감지하는 것은 체온에 따라 몸의 떨림이 나타날 수 있음을 감안한 것으로, 체온이 내려가면 몸이 떨리는데 예를 들어, 떨림 현상이 일어날 때 감지된 체온도 그에 부합되는 온도인지를 분석하고, 체온센서 또는 진동센서의 고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복합 기능성 장치를 의류(겉옷)의 내피에 결합하지 않고, 속에만 입을 수 있는 얇은 간이 의류에 결합하고, 그 위에 겉옷을 입고도 체온 및 진동 감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복합 기능성 장치가 결합된 얇은 간이 의류를 독립된 물건으로 이용하면서 예를 들어, 다른 옷을 겉에 받쳐입으면 편리하게 본 발명의 복합 기능성 장치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기능성 의류는 의류의 소매 부분에는 생체센서모듈이, 팔굽 부분에는 길이조절부가, 목 부분에는 결합부가 각각 위치되도록 배치하고, 이들을 연결하는 케이블 튜브를 생체센서모듈로부터 결합부까지 연결하여 복합 기능성 장치를 제조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제조된 복합 기능성 장치를 의류의 내피 또는 의류 내측 뒷면에 위치시키고 복합 기능성 장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의류 내피 또는 의류 내측 뒷면에 놓여진 그대로 그물망으로 된 천을 박음질하거나 또는 생체센서모듈, 길이조절부, 결합부에 각각 찍찍이를 구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의류의 각 부분에도 찍찍이를 구성하여 서로 결합시키는 제2단계와, 생체센서모듈이 위치된 의류의 소매 부분이 착용자의 손목 부분에 위치되는지를 확인하고, 소매 부분이 늘어져서 손목 부분과 일치되지 않으면 길이조절부를 이용하여 소매 부분을 어깨쪽으로 끌어올려 손목 부분에 일치하도록 하여 생체신호를 감지하도록 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단계에서 그물망으로 된 천은 튜브의 길이 조절이 필요할 경우 천이 가려지면 착용자가 손으로 어려워 튜브 길이 조절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우므로 내부, 즉 튜브가 보이도록 제조된 것으로써, 길이 조절은 길이조절부 위에 위치한 튜브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길이조절부 외부로 끌어내는 것이므로 특히, 길이조절부 윗 부분 일정길이에 대하여는 걸리는 것 없이 시각적으로 완전히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에 결합되는 복합 기능성 장치의 상세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기능성 장치는 착용자의 좌측 팔에 대해서는 생체센서모듈(200), 길이조절부(500), 제어모듈(100)이 케이블(310, 320)로 연결되어 생체신호를 감지 및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구성되고, 착용자의 우측 팔에 대해서는 생체센서모듈(250), 길이조절부(570), 제어모듈(100)이 케이블(330, 340)로 연결되어 생체신호를 감지 및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복합 기능성 장치는 좌측 및 우측이 상호 대칭으로 구성되어 양 쪽에서 모두 신호 감지 및 처리가 가능하며, 이러한 구성은 좌측 및 우측 어느 하나가 고장이더라도 생체신호 감지에는 영향이 없게 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케이블(310 ~ 340)은 각각 튜브(410 ~ 440)에 의해 커버링(피복)되어 단선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튜브(410 ~ 440)는 탄력있는 재질을 사용하여 착용자의 움직임에 효과적으로 반응함으로써 착용자가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후술하는 길이조절부 내부에 위치하는 튜브의 경우,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길이 조절이 이루어질 때 재질이 가지고 있는 탄성이 튜브의 상하 움직임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하는 방해요소로 작용하지 않도록 다소 견고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길이조절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튜브의 외주면에는 톱니가 형성되고, 이 톱니에 스토퍼가 맞물려 튜브가 움직이므로 스토퍼가 톱니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튜브가 구부러지지 않고 일직선을 유지하도록 견고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상기 생체센서모듈(200, 250), 길이조절부(500, 570), 결합부(550)로 구성된 복합 기능성 장치는 의류의 내측, 바람직하게는 의류 내측 뒷쪽에 결합되어 의류와 한 세트를 이루도록 하며, 예를 들어 박음질 또는 찍찍이 등을 통해 의류와 결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1)의 손목, 팔꿈치 아래 부분, 목 뒤 부분에 소정 접착제(2)를 통해 찍찍이(3)가 구성되고, 센서모듈(200, 250), 길이조절부(500, 570), 결합부(550)를 통칭하는 결합부(6)에 소정 접착제(5)를 통해 찍찍이(4)가 구성되면, 이들 찍찍이(3, 4)들이 서로 접착됨으로써 의류와 복합 기능성 장치가 결합되어 복합 기능성 의류로서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찍찍이는 다른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의 복합 기능성 장치가 의류에 결합되는 경우 생체센서모듈(200, 250)이 결합되는 소매 부분에 탄력있는 밴드를 구성하면, 밴드를 통해 생체센서모듈(200, 250)이 손목에 고정됨으로써 정확하게 체온 및 진동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길이조절부(500, 570)는 소매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써, 소매의 끝 부분이 손목을 지나치거나 또는 모자라는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에 사용되며, 도 3에 도시된 구성을 통해 의류의 소매 길이가 길게 또는 짧게 조절되어 생체센서모듈(200, 250)이 손목 부분에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한다.
길이조절부(500, 570)는 복합 기능성 장치를 결합한 의류를 착용한 상태에서 소매 길이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가능한 팔굽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의류를 착용한 상태에서 예를 들어, 우측 소매 길이를 조절할 경우 왼손을 사용해서 길이조절부(570)에 구성된 튜브(430, 440)를 우측 어깨쪽으로 잡아당겨야 하는데, 길이조절부(570)가 우측 팔굽 위쪽에 위치할 경우 왼팔을 많이 구부려야 하므로 다소 불편함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좌측 소매 길이를 조절할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길이조절부(500)는 예를 들어, 내부에 일정공간(S)이 형성된 사각 케이스 형태로 몸체가 구성되며, 튜브(410)와 튜브(420)를 별개로 움직여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중앙분리대(600)를 기준으로 좌우로 별개의 동작실(10, 20)이 구성된다.
사각케이스 몸체의 뒷면과 앞면에는 또 다른 판넬(P)이 사각케이스 전체를 커버하도록 부착될 수 있으며, 의류에 대한 결합수단을 찍찍이로 할 경우 찍찍이는 소정 접착제를 통해 이 판넬에 구성될 수 있다.
좌측에는 중앙분리대(600)에 접하여 튜브(410)가 길이조절부재(50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통공(H1)이 형성되며, 튜브(410)가 생체센서모듈(200)로부터 이어져서 상기 통공(H1)을 통해 길이조절부(500)로부터 배출되어 결합부(550)쪽으로 이어진다.
상기 튜브(410)의 외주면 일정길이에는 일정한 깊이를 갖는 톱니(415)가 형성되고, 사각케이스 몸체의 일단부에는 스프링(710)과 스토퍼(730)의 일단이 축(A1) 역할을 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스프링(710)과 스토퍼(730)는 튜브(410)의 톱니(415)쪽으로 향하여 위치되고 스토퍼(730)는 톱니(415) 사이에 접촉 위치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730)는 스프링(710)에 커버링된 범위내에서 탄성적으로 움직이도록 축(A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710)은 탄성력을 가지므로 스토퍼(730)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수직 및 수평으로 탄성력을 발휘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스토퍼(740)는 스프링(720)에 커버링된 범위내에서 탄성적으로 움직이도록 축(A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720)은 탄성력을 가지므로 스토퍼(740)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수직 및 수평으로 탄성력을 발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730)에서 톱니(415)에 맞물리는 단부는 뾰족하지 않고 일정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톱니(415)의 좌우폭을 충분히 커버하면서 탄성적으로 동작하고, 착용자가 힘을 가하지 않는 한 어느 하나의 톱니에 안정적으로 물리면서 튜브(410)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730)는 튜브(410)가 길이조절부재(500)의 상측으로 빠져나가면서 톱니(415)가 이탈하지 않도록 톱니(415)를 유동성있게 수용하는 형상으로 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튜브(410)를 어깨쪽으로 잡아당기면 스토퍼(730)가 연속으로 위 아래 톱니(415)에 걸리면서 안정적으로 튜브(410)의 일정길이가 길이조절부(500)를 빠져나가게 되고, 튜브(410)를 어깨쪽으로 더 이상 잡아당기지 않으면 스프링(710)이 탄성력으로 원위치되면서 스토퍼(730)가 어느 하나의 톱니(415)에 걸려 튜브(410)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튜브(420)의 외주면에는 미세한 톱니(425)가 형성되고, 사각케이스 몸체의 일단부에는 스프링(720)과 스토퍼(740)의 일단이 축(A2)으로 고정되며, 상기 스프링(720)과 스토퍼(740)는 튜브(420)에 형성된 톱니(425)쪽으로 향하여 위치되고 스토퍼(740)의 타단부는 톱니(425)와 접촉되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튜브(420)를 어깨쪽으로 잡아당기면 스토퍼(740)가 톱니(425)에 걸리면서 튜브(420)의 일정길이가 길이조절부재(500)를 빠져나가게 되고, 튜브(420)를 어깨쪽으로 더 이상 잡아당기지 않으면 스프링(720)이 탄성력으로 원위치되면서 스토퍼(740)가 어느 하나의 톱니(425)에 걸려 튜브(420)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통공(H1, H2)은 톱니(415, 425)에 접촉되도록 스토퍼(730, 740)를 통과시키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통공(H1, H2)의 상하부(11, 12, 21, 22)를 판넬 등으로 막음으로써 튜브(410, 420)가 구부러지거나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가이드되면서 길이조절부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생체센서모듈(200)이 결합부를 통해 결합된 의류의 소매 끝 부분이 늘어져서 손목 아래로 내려가 있다고 가정할 경우, 체온 및 진동을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해서는 소매의 끝을 올려서 손목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의류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길이조절부(500)를 통해 튜브(410, 420)를 어깨쪽으로 끌어올려 소매 끝 부분이 손목 부분에 위치되도록 한다.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어깨쪽으로 소매 끝 부분이 끌어올려진다는 것은 곧, 길이조절부재(500)는 의류에 결합되어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튜브(410, 420)만 길이조절부재(500)를 통해 어깨쪽으로 끌어올려지는 것이므로 생체센서모듈(200)과 길이조절부재(500)의 거리는 가까워지고, 튜브(410, 420)는 길이조절부재(500)를 통해 어깨쪽으로 끌어올려진만큼 길이조절부재(500)와 어깨 사이에 위치하면서 다소간 구부러질 수 있을 것이다. 즉 결합부재(550)가 의류의 목 뒤쪽에 결합되고, 생체센서모듈(200)이 의류의 소매 끝 부분에 결합된 상태에서 길이조절부재(500)를 통해 의류 역시 어깨쪽으로 끌어올려져서 손목 부분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손목을 통해 정확하게 체온 및 진동 감지가 가능하게 된다.
위와 반대로 의류의 소매가 손목 위쪽으로 올라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동작의 반대 동작이 수행되면 될 것이다.
한편, 상기 생체센서모듈(200, 250), 길이조절부(500, 570), 결합부(550)는 모두 탄성재질로 제조하여 착용자의 몸에 부담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능한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의류를 착용한 상태에서 특정 부분이 돌출되는 등의 어색한 모습이 연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기능성 의류를 통해 생체신호를 감지 처리하는 제어장치는 의류의 양 소매 끝부분에 결합되어 손목을 통해 체온 및 진동을 감지하는 생체센서모듈(200, 250)과, 생체센서모듈(200, 250)로부터 전달되는 생체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모듈(100)로 구성된다.
본 발명 제어장치는 여기에 장력센서(810 ~ 840)가 추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력센서(810 ~ 8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체센서모듈(200, 250)과 길이조절부재(500, 570) 사이에 구성될 수 있다.
장력센서(810 ~ 840)는 생체센서모듈(200, 250)과 길이조절부재(500, 570) 사이에 위치하는 튜브(410 ~ 440)의 장력을 감지하는 것으로써, 장력이 기준값 이하이면 생체센서모듈(200, 250)이 손목 아래에 위치하고, 기준값 범위를 유지하면 생체센서모듈(200, 250)이 손목 아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감지값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의 소매끝 부분이 손목 아래로 늘어져서 움직이는 경우와 손목에 거의 고정된 상태에서 튜브(410 ~ 440)의 장력이 다를 것이므로 이러한 차이를 감지하여 생체센서모듈(200, 250)이 제대로 손목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달리, 장력센서는 길이조절부재(500, 570)와 결합부(550) 사이에 위치하는 튜브에 구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예를 들어 생체센서모듈(200, 250)이 손목 아래로 내려가 있어서 이를 끌어올렸을 경우 길이조절부재(500, 570)와 결합부(550) 사이에 위치하는 튜브(410 ~ 440)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부러져 있을 것이다.
따라서 장력센서는 이러한 튜브의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모듈(100)에 감지신호를 제공하고, 제어모듈(100)은 길이조절부재(500, 570)를 통한 길이조절이 이루어졌음을 판단하게 된다.
또한, 길이조절이 이루어졌음을 판단한 상태에서 장력센서의 감지신호가 길이조절이 이루어지기전 값으로 감지되는 경우, 생체센서모듈(200, 250)이 손목 아래로 다시 내려갔음으로 판단하여 다시 정상적인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처리하게 된다. 상기 처리동작은 예를 들어 표시부를 통해 착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있을 수 있다.
생체센서모듈(200, 250)을 구성하는 체온센서는 착용자의 손목을 통해 체온을 감지하는 것으로써, 감지된 체온은 튜브(410, 430)에 의해 커버링된 케이블(310, 330)을 통해 제어모듈(100)로 전달된다. 따라서 제어모듈100)은 착용자의 체온을 분석하게 된다.
아울러 생체센서모듈(200, 250)을 구성하는 진동센서는 착용자의 진동을 감지하는 것으로써, 감지된 진동은 튜브(420, 440)에 의해 커버링된 케이블(320, 340)을 통해 제어모듈(100)로 전달된다. 따라서 제어모듈100)은 착용자의 진동을 분석하게 된다.
상기 체온센서와 진동센서는 그 감지값들이 각기 별도로 처리될 수도 있고, 서로 연관되어 처리될 수도 있다. 연관 처리는 체온센서와 진동센서 중 어느 하나가 고장 등 이상이 발생했음을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체온에 비례하는 진동이 진동센서에 의해 감지되지 않으면 진동센서의 이상으로 판단하여 조치할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진동에 비례하는 체온이 체온센서에 의해 감지되지 않으면 체온센서의 이상으로 판단하여 조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들 센서의 연관처리는 체온이 예를 들어 35℃ 미만의 저체온으로 내려가면 몸이 떨리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이에 기반하여 진동센서를 구성하고 그 감지값을 착용자의 건강 상태 파악에 이용하는 것이다.
도 8의 추가 실시예로써, 생체센서모듈(200, 250)에 버튼을 구성하고, 이 버튼을 누름에 따라 발생된 신호가 스마트폰을 통해 경보음을 발생하거나 또는 네트워크된 통신망을 통해 원거리 관제센터에 전송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본 발명 의류를 착용한 상태에서 외출한 경우 위험 상황이 발생하면 신속히 버튼을 눌러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의류 길이 조절 및 생체신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의류 소매 끝 부분과 어깨 부분에 접착부가 형성되고(S10), 복합 기능성 장치의 생체센서모듈(200, 250) 부분과 목 부분의 결합부(550)가 상기 의류 소매 끝 부분과 어깨 부분에 접착되어 의류와 복합 기능성 장치가 결합된다.(S20)
다음에, 착용자가 복합 기능성 장치가 결합된 의류를 입고, 의류의 소매 끝 부분이 착용자의 손목 아래로 늘어져 있는지를 확인하며(S30), 늘어져 있을 경우에는 복합 기능성 장치에 구성된 길이조절부(500, 570)를 통해 의류의 소매를 어깨쪽으로 끌어올린다.(S40)
즉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듯이, 길이조절부재(500, 570)의 튜브(410 ~ 440)를 어깨쪽으로 잡아당겨 생체센서모듈(200, 250)이 손목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장력센서(810 ~ 840)의 감지값도 제어모듈(100)이 입력받아 늘어뜨려진 소매에 결합된 생체센서모듈(200, 250)과 길이조절부재(500, 570)간의 장력을 처리하며, 그 처리결과에 따라 생체센서모듈(200, 250)이 제대로 손목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생체센서모듈(200, 250)이 손목에 위치하였을 경우에는(S50), 체온 및 진동이 감지되고, 그 감지값들이 제어모듈(100)로 전송되어 처리된다.(S60)
도 10을 참조하여 복합 기능성 장치를 이용한 생체신호 감지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체온센서에 의해 체온이 감지되고(S10), 진동센서에 의해 진동이 감지된다.(S100)
다음에, 상기 체온 감지값이 제어모듈(100)로 전송되어 정상체온 범위인지를 판단하게 되고(S20), 진동 감지값이 제어모듈(100)로 전송되어 정상진동 범위인지를 판단하게 된다.(S200)
정상 체온이 아닐 경우에는 몸이 떨릴 정도로 체온이 내려갔는지, 즉 제어모듈(100)에 미리 설정된 체온 저하에 따라 몸에 진동이 발생할 정도로 체온이 내려갔는지를 판단하게 되며(S30), 상기 진동 감지값이 상기 내려간 체온에 부합하는 진동인지를 판단하게 된다.(S300)
즉 이러한 동작이 생체센서모듈(200, 250) 점검동작으로 수행된다.(S40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복합 기능성 의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복합 기능성 의류를 구현하기 위한 실시예가 기술되었다. 위에 기술된 실시예는 본원발명에 기술되는 원리를 나타내는 많은 구체적 실시예중에서 일부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함에 따라 당업자들이 본원발명의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범위내에서 많은 다른 배열들을 쉽게 구현해낼 수 있을 것이다.
100 : 제어모듈 200, 250 : 생체센서모듈
310, 320, 330, 340 : 케이블 410, 420, 430, 440 : 튜브
415, 425 : 톱니부 500, 570 : 길이조절부재
600 : 중앙분리대 710, 720 : 스프링
730, 740 : 스토퍼 810, 820, 830, 840 : 장력센서

Claims (8)

  1. 의류의 소매 부분에는 생체센서모듈이, 팔굽 부분에는 길이조절부가, 목 부분에는 결합부가 각각 위치되도록 배치하고, 이들을 연결하는 케이블 튜브를 생체센서모듈로부터 결합부까지 연결하여 복합 기능성 장치를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제조된 복합 기능성 장치를 의류의 내피 또는 의류 내측 뒷면에 위치시키고 복합 기능성 장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의류 내피 또는 의류 내측 뒷면에 놓여진 그대로 그물망으로 된 천을 박음질하거나 또는 생체센서모듈, 길이조절부, 결합부에 각각 결합수단을 구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의류의 각 부분에도 결합수단을 구성하여 서로 결합시키는 제2단계; 및
    상기 생체센서모듈이 위치된 의류의 소매 부분이 착용자의 손목 부분에 위치되는지를 확인하고, 소매 부분이 늘어져서 손목 부분과 일치되지 않으면 길이조절부를 이용하여 소매 부분을 어깨쪽으로 끌어올려 손목 부분에 일치하도록 한 후 생체신호가 감지되도록 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의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내부에 일정공간이 형성된 사각 케이스 형태로 몸체; 상기 생체센서모듈로부터 이어져서 길이조절부재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케이블을 감싸고, 외주면에는 톱니가 형성되는 튜브; 상기 상기 튜브쪽을 향하여 사각케이스 몸체에 일단부가 축으로 고정되는 탄성 스프링; 상기 상기 튜브쪽을 향하여 사각케이스 몸체에 일단부가 축으로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의 내부를 관통하여 타단부가 상기 톱니에 접촉되는 탄성 스토퍼;로 구성되어, 상기 스토퍼는 튜브가 길이조절부를 더 이상 빠져나가지 않는 상황일 경우 튜브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톱니에 탄성적으로 맞물려서 튜브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의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그물망으로 된 천은 길이조절부를 통한 튜브의 길이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길이조절부 윗 부분 일정길이에 대하여는 튜브가 시각적으로 완전히 노출되도록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의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결합수단은 박음질 또는 찍찍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의류 제조방법.
  4. 내측 일정부분에 복합 기능성 장치와의 결합수단이 구성되는 의류;
    상기 의류에 구성된 결합수단을 통해 의류에 결합되도록 결합수단이 구성되는 것으로써,
    의류 착용자의 손목을 통해 체온 및 진동을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케이블을 통해 제어모듈로 전송하는 생체센서모듈;
    상기 생체센서모듈로부터 전송된 체온 및 진동 감지신호를 분석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생체센서모듈이 착용자의 손목 부분에 위치되도록 의류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로 구성된 복합 기능성 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의류로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내부에 일정공간이 형성된 사각 케이스 형태로 몸체; 상기 생체센서모듈로부터 이어져서 길이조절부재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케이블을 감싸고, 외주면에는 톱니가 형성되는 튜브; 상기 상기 튜브쪽을 향하여 사각케이스 몸체에 일단부가 축으로 고정되는 탄성 스프링; 상기 상기 튜브쪽을 향하여 사각케이스 몸체에 일단부가 축으로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의 내부를 관통하여 타단부가 상기 톱니에 접촉되는 탄성 스토퍼;로 구성되어, 상기 스토퍼는 튜브가 길이조절부를 더 이상 빠져나가지 않는 상황일 경우 튜브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톱니에 탄성적으로 맞물려서 튜브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의류.
  5. 삭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와 생체센서모듈 사이에 있는 튜브에는 튜브의 길이조절이 이루어졌는지를 감지하는 장력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의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튜브에 형성된 톱니에 접촉되도록 스토퍼를 통과시키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통공의 상하부를 폐쇄하여, 튜브가 구부러지거나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가이드되면서 길이조절부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의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 내부에 위치하는 튜브는
    톱니가 스토퍼에 걸리면서 튜브를 상부 또는 하부쪽으로 끌어낼 때 톱니와 스토퍼의 접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강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의류.
KR1020220056363A 2022-05-09 2022-05-09 복합 기능성 의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복합 기능성 의류 KR102431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363A KR102431172B1 (ko) 2022-05-09 2022-05-09 복합 기능성 의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복합 기능성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363A KR102431172B1 (ko) 2022-05-09 2022-05-09 복합 기능성 의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복합 기능성 의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1172B1 true KR102431172B1 (ko) 2022-08-10

Family

ID=82847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363A KR102431172B1 (ko) 2022-05-09 2022-05-09 복합 기능성 의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복합 기능성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11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843Y1 (ko) * 2023-12-21 2024-03-13 진용태 팔꿈치보호 가능한 의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259B1 (ko) * 2006-07-10 2007-04-27 에프엔씨코오롱 주식회사 기능성 의류의 제조방법 및 그 기능성 의류
KR20110131661A (ko) 2010-05-31 2011-12-07 한국전기연구원 생체신호 수집이 가능한 의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1840115B1 (ko) 2016-06-07 2018-03-19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피부에 배치되는 전도성 부재를 이용한 생체신호측정의류
KR101995504B1 (ko) * 2018-01-26 2019-07-0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생체신호 측정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의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259B1 (ko) * 2006-07-10 2007-04-27 에프엔씨코오롱 주식회사 기능성 의류의 제조방법 및 그 기능성 의류
KR20110131661A (ko) 2010-05-31 2011-12-07 한국전기연구원 생체신호 수집이 가능한 의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1840115B1 (ko) 2016-06-07 2018-03-19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피부에 배치되는 전도성 부재를 이용한 생체신호측정의류
KR101995504B1 (ko) * 2018-01-26 2019-07-0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생체신호 측정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의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843Y1 (ko) * 2023-12-21 2024-03-13 진용태 팔꿈치보호 가능한 의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radiso et al. A wearable health care system based on knitted integrated sensors
KR100895300B1 (ko) 생체신호 측정의복과 생체신호 처리시스템
JP6272238B2 (ja) 体表又はその近くの条件の集積された遠隔モニタリングおよびデータ収集に関するセンサ、インタフェースおよびセンサシステム
CN101248989B (zh) 一种生理参数的监测系统
US2010016074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health index using electroconductive fiber
US20090281394A1 (en) Bio-mechanical sensor system
KR20110131661A (ko) 생체신호 수집이 가능한 의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1449471B1 (ko)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 구조 및 방법
US20110098549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monitoring
JP2015070917A (ja) 生体情報収集装置
KR102431172B1 (ko) 복합 기능성 의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복합 기능성 의류
US20200015746A1 (en) Wearable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one or more vital signs of a human body
US20110071412A1 (en) Belt Type Bio-Signal Detecting Device
WO2014189242A1 (ko) 건강 관리용 디지털 의류 및 이를 이용한 독거 노인 관리 시스템
JP2020186495A (ja) 衣服
KR102202015B1 (ko) 생체 신호 측정 장치
Kam et al. All plastic optical fiber-based respiration monitoring sensor
CN111920383A (zh) 穿戴式采集设备及穿戴式采集系统
KR102471204B1 (ko) 인체 신호 검출 헤드셋 장치
KR20160076630A (ko) 유연성 생체신호 측정센서
KR20180056197A (ko) 신생아 무호흡 측정장치 및 그 동작 방법과, 신생아 무호흡 측정 시스템
US20160278702A1 (en) Physiological signal monitoring belt
KR20150081463A (ko) 생체바이오 측정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헬스 필로우
CN213030630U (zh) 穿戴式采集设备及穿戴式采集系统
TWM505913U (zh) 生理感測裝置以及應用其之穿戴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