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471B1 -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 구조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 구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471B1
KR101449471B1 KR1020130077202A KR20130077202A KR101449471B1 KR 101449471 B1 KR101449471 B1 KR 101449471B1 KR 1020130077202 A KR1020130077202 A KR 1020130077202A KR 20130077202 A KR20130077202 A KR 20130077202A KR 101449471 B1 KR101449471 B1 KR 101449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ensor
digital
fabric
sensor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7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수
박윤철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77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471B1/ko
Priority to CN201480038395.2A priority patent/CN105377122B/zh
Priority to US14/902,131 priority patent/US9932697B2/en
Priority to PCT/KR2014/005829 priority patent/WO201500242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7/00Sewing machines for concurrently making thread and welded se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61B5/0205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 and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51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 A61B5/256Wearable electrodes, e.g. having strap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3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with portable devices, e.g.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44Details of sen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16Measuring devices for examining respiratory frequ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303/00Applied objects or articles
    • D05D2303/40Electronic or electrical compon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Woven Fabric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직물센서와, 직물센서에서 감지된 생체신호를 전송하는 디지털 실의 접속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신체에 착용되는 면상체, 상기 면상체 상에 구비되며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제1 직물센서, 상기 제1 직물센서 상에 구비되며 일측 피복이 탈피된 탈피부가 상기 제1 직물센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디지털 실, 및 상기 디지털 실의 일측을 상기 제1 직물센서 상에 재봉하여 결합하는 재봉사를 포함하는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 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 구조 및 방법{CONNECTING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 SENSOR AND DIGITAL YARN}
본 발명은 착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직물센서와, 직물센서에서 감지된 생체신호를 전송하는 디지털 실의 접속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체온이나 맥박, 심전도, 혈압 등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방법은, 피검사자 자신 또는 의사나 간호사 등의 의료진이 생체정보 센서를 피검사자의 신체에 직접 접촉시켜 측정하는 식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방법의 예로서, 피검사자의 겨드랑이에 체온계를 몇 분간 끼워서 체온을 측정하거나, 피검사자의 팔을 대상으로 하여 맥박이나 혈압을 측정하는 검사 방법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검사 방법에 의해 입수할 수 있는 일시적인 생체정보만으로는 피검사자의 상황을 충분히 파악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피검사자는 이상 증상에 대한 자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사나 간호사가 생체정보를 측정할 때에는 그 이상이 나타나지 않아, 정상이라는 진단이 내려지는 경우가 있다.
특히, 부정맥이나 심박이상 등은 반드시 상시 드러난다고는 할 수 없는 것이 통상이며, 단시간의 관찰에서는 피검사자의 심리상태나 검사의 시간대 등의 영향도 있어서, 정확하게 인식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언제 어디서나 생체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이-헬스 케어(e-health care)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는 특히, 고령화로 인한 노인의 돌봄(care), 응급환자의 신속한 원격 처치 및 처방, 군인 및 위험환경 작업자의 인체 안정성 체크 및 위험 발생시 경보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생체정보의 획득 및 전달을 요하는 스마트 의류의 개발로 이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0566호(특허문헌 1)에서는, 의복의 적어도 일부가 생체신호 감지센서로 이루어지고, 생체신호 감지센서에 제1 커넥터가 결합되는 생체신호 측정용 스마트 의복을 제시하고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수단이나 무선전송 수단에 구비되는 제2 커넥터가 상기 제1 커넥터에 대응 접속됨으로써, 생체신호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생체신호를 외부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전송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의 경우, 생체신호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생체신호를 디스플레이 수단이나 무선전송 수단으로 전송하기 위해, 스냅버튼 형태의 제1 커넥터를 필요로 한다. 이 경우, 제1 커넥터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세탁시 옷감이 손상될 수 있고, 부식 등에 의해 제1 커넥터 주변의 옷감이 변색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의복 착용시 제1 커넥터의 일측이 인체와 직접 접촉하게 되므로, 착용감이 좋지 못하고, 활동시 이물감을 느끼게 되는 불편함이 있다.
아울러, 생체신호 감지센서와 디스플레이 수단(또는 무선전송 수단)이 제1 커넥터에 의해 1:1로 접속하므로, 호흡이나 맥박, 체온 등 복수 개의 생체신호 감지센서를 동시에 활용하여 다양한 생체정보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09-0110566 A (2009.10.22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장시간 사용이나 세탁시 옷감의 변색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 구조 및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착용감이 우수하고, 활동시 불편함이 느껴지지 않도록,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이 접속되는 구조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복수 개의 생체신호 감지센서를 동시에 활용하여 다양한 생체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이 접속되는 구조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신체에 착용되는 면상체, 상기 면상체 상에 구비되며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제1 직물센서, 상기 제1 직물센서 상에 구비되며 일측 피복이 탈피된 탈피부가 상기 제1 직물센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디지털 실, 및 상기 디지털 실의 일측을 상기 제1 직물센서 상에 재봉하여 결합하는 재봉사를 포함하는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 구조가 제공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 구조는, 상기 제1 직물센서 상에 결합되며 상기 탈피부의 상부를 덮는 제2 직물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탈피부가 상기 디지털 실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직물센서가 상기 탈피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직물센서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제1 직물센서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직물센서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제2 직물센서가 상기 제1 직물센서에 재봉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 직물센서 상에 제3 직물센서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2 직물센서와 상기 제3 직물센서 사이에 탄성부재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디지털 실은, 상기 제1 직물센서 상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지그재그 형태의 꼭지점 부분에 상기 재봉사가 재봉될 수 있다.
한편, (a) 신체에 착용되는 면상체에 제1 직물센서를 결합하는 단계, (b) 상기 제1 직물센서에 디지털 실을 결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디지털 실의 일측 피복을 탈피시켜 상기 디지털 실과 상기 제1 직물센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제1 직물센서에 상기 디지털 실의 일측을 가로질러 재봉사가 재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b)단계는, 상기 디지털 실이 상기 제1 직물센서 상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지그재그 형태의 꼭지점 부분에 상기 재봉사가 재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방법은, (d) 상기 제1 직물센서에 제2 직물센서를 결합하여, 상기 디지털 실의 탈피부 상부를 덮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지털 실의 상단부 피복이 탈피되어 탈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직물센서가 상기 탈피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된다.
이때, 상기 (d)단계는, 상기 제2 직물센서가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제1 직물센서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단계는, 상기 제2 직물센서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제2 직물센서가 상기 제1 직물센서에 재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방법은, (e) 상기 제2 직물센서에 제3 직물센서를 결합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2 직물센서와 상기 제3 직물센서 사이에 탄성부재가 개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 구조 및 방법에 의하면, 직물센서를 통해 감지된 생체신호가 의류 등 면상체에 일체로 직조되거나, 면상체의 일면에 재봉되는 디지털 실을 통해 전송되므로, 착용감이 우수하고, 활동시 불편함이 느껴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직물센서를 통해 감지된 생체신호를 디지털 실을 이용하여 전송하므로, 종래 커넥터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장시간 사용이나 세탁시 옷감의 변색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 개의 생체신호 감지센서 각각에 디지털 실을 접속함으로써, 동시에 복수 개의 생체신호 감지센서를 활용하여 다양한 생체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실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실을 가로질러 재봉사가 제1 직물센서에 재봉된 구조를 보인 개략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을 접속하는 방법을 보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인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 구조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된 "디지털 실"이라는 용어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전자의 이동이 가능하면서 제직 또는 편직이 가능한 실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전자제품의 기판과 같이 전기·전자 모듈을 서로 연결해 주는 회로선의 역할을 하여 정보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게 함을 미리 밝혀둔다. 즉, 디지털 실은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센서와 각종 디바이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 통신장치, 저장장치)를 연결하여 정보 데이터 전송을 가능케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 구조는, 신체에 착용되는 면상체(100)와, 면상체(100)에 구비되는 제1 직물센서(200)와, 제1 직물센서(200)에 접속되는 디지털 실(300)과, 디지털 실(300)을 제1 직물센서(200)에 고정하는 재봉사(400)를 포함한다.
상기 면상체(100)는 직물센서가 결합되는 일 면을 가지는 것으로, 신체에 착용된다. 이 면상체(100)는 상의나 하의 등 의류, 또는 탄성을 가진 밴드(band)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면상체(100)는 천연 섬유나 합성 섬유 등의 소재로 제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직물센서(200)는 직물형태로 구현되며, 신체의 움직임에도 비교적 정확하게 생체정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신체에 밀착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편의성을 고려하면 신축성 있는 직물이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직물센서(200)는 체온이나 맥박, 호흡, 심전도, 혈압, 혈당, 운동량 등의 생체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며, 면상체(100) 제직시 면상체(100)의 일부를 이루도록 면상체(100)와 함께 제직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상체(100)와 별도로 소정 면적의 제1 직물센서(200)를 면상체(100) 상에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1 직물센서(200)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면상체(100)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제1 직물센서(200)의 테두리를 따라 재봉선이 형성되도록, 제1 직물센서(200)를 면상체(100)에 자수, 박음질, 바느질 등의 방법으로 재봉하여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제1 직물센서(200)의 테두리를 면상체(100)에 융착할 수도 있다.
제1 직물센서(200)는 사용자가 면상체(100)를 착용하였을 때, 신체와 직접 접촉하거나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면상체(100) 착용시 면상체(100)의 내측에 제1 직물센서(200)가 구비된다.
면상체(100) 상에 제1 직물센서(200)가 구비되는 위치는, 제1 직물센서(200)를 통해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정보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직물센서(200)를 통해 심전도를 측정하고자 할 때, 면상체(100)가 의류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의류를 착용하였을 때 제1 직물센서(200)가 심장 부근에 위치하게끔 제1 직물센서(200)의 위치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면상체(100)가 탄성 밴드인 경우에는, 제1 직물센서(200)가 심장 부근에 위치하도록 하여 착용자가 탄성 밴드를 가슴 부위에 두르게 된다.
제1 직물센서(200)의 일측에 디지털 실(300)이 접속된다. 이 디지털 실(300)은 제1 직물센서(200)를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으며, 디지털 실(300)의 일측 단부가 제1 직물센서(200)에 접속되는 것도 가능하다. 디지털 실(300)은 제1 직물센서(200)에서 감지된 생체신호를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 또는 무선전송 장치(미도시)로 전송하는 회로선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면상체(100)의 일측(예를 들어, 의류의 경우 앞쪽 하단에 구비되는 주머니)에 복수의 접속핀을 가진 커넥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커넥터에는 복수의 직물센서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디지털 실(300)을 통해, 동시에 복수 개의 생체정보가 전달된다.
따라서, 커넥터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접속함으로써, 복수의 직물센서로부터 전달된 생체정보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넥터에 무선전송 장치를 접속하여, 전달된 생체정보를 PC나 휴대폰 등 외부의 정보처리장치(미도시)로 무선 전송하여 저장하는 한편, 정보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 기기를 통해 각종 직물센서에서 측정된 생체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지털 실(300)은 제1 직물센서(2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무선전송 장치, 또는 커넥터 등의 디바이스까지 면상체(100)에 재봉된 형태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면상체(100)의 제직시, 면상체(100)를 이루는 섬유와 디지털 실(300)이 함께 제직되어, 디지털 실(300)이 면상체(100)의 일부를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면상체(100) 상에 디지털 실(300)이 별도로 재봉되어 재봉선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직물센서(200)와 디지털 실(300)의 접속에 있어서, 융착이나 전도성 접착제를 사용하는 예를 들 수도 있다. 그러나, 융착의 경우, 제조비용의 증가를 초래할 뿐더러 제1 직물센서(200) 또는 디지털 실(300) 내부 구조의 열변형에 따른 측정값의 신뢰도 저하 우려가 있다. 또한, 전도성 접착제의 사용은 제1 직물센서(200)와 디지털 실(300)의 견고한 접속을 보장할 수 없으며, 착용시 또는 세탁시 면상체(100)의 구겨짐 등으로 인해 접착제층 형성 부위가 박리될 우려가 있다. 아울러, 접착제가 굳을 때까지 상당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대량 생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디지털 실(300)은 제1 직물센서(200) 상에 지그재그(zigzag) 형태로 배치되며, 지그재그 형태의 꼭지점을 각각 가로질러 재봉되는 재봉사(400)에 의해 제1 직물센서(200)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실(300)이 제1 직물센서(200) 상에 상하 방향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지그재그 형태 각각의 꼭지점에 재봉사(400)가 재봉되며, 이 재봉사(400)는 디지털 실(300)의 외주면을 상하 방향으로 둘러 제1 직물센서(200)에 재봉된다.
즉, 디지털 실(300)에서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하는 복수 개의 부분이, 재봉사(400)에 의해 제1 직물센서(200) 상에 상하 지그재그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디지털 실(300)과 재봉사(400)의 재봉은 재봉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디지털 실(300)을 둘러 제1 직물센서(200) 상에 재봉사(400)를 재봉하는 방법은 박음질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지그재그 형태의 꼭지점 부분에 각각 재봉되는 재봉사(400)는 서로 별개로 끝맺음될 수도 있으며, 서로 연결되어 한번에 끝맺음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재봉사(400)는 면, 견, 마 등의 천연 섬유 또는 합성 섬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사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여러 겹의 단사를 꼬아서 만든 겹사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에는 제1 직물센서(200)에 하나의 디지털 실(300)이 접속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제1 직물센서(200)에 복수 개의 디지털 실이 접속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디지털 실(300)이 제1 직물센서(200)와 전기적 접촉 없이 단순히 제1 직물센서(200)를 지나서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직물센서(200)와 디지털 실(300)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디지털 실(300)의 일측이 탈피된다. 디지털 실(30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코어(320)와, 상기 코어(320)의 바깥쪽을 둘러싸는 절연 재질의 피복(330)을 포함한다(도 3 참조). 따라서, 제1 직물센서(200)에서 감지되어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실(300)이 전달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실(300)의 피복(330) 일측을 탈피시켜 제1 직물센서(200)와 디지털 실의 코어(320)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필요가 있다.
디지털 실(300)의 탈피부(디지털 실의 피복 일측이 탈피된 부분)는, 제1 직물센서(200) 상에 배치되는 디지털 실(300)의 어느 부분에도 형성 가능하다. 즉, 탈피부를 통해 제1 직물센서(200)와 디지털 실(300)의 코어(320)가 전기적으로 접촉되기만 하면 된다.
다만, 탈피부와 제1 직물센서(200)의 전기적 접촉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일직선 또는 지그재그 형태로 재봉되어 있는 디지털 실(300)의 피복(330)을 여러 군데 탈피하여 복수의 탈피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재봉사(400)에 의해 가압되는 지그재그 형태의 꼭지점 주변에 적어도 하나의 탈피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지털 실(300)이 접속된 제1 직물센서(200) 상에 제2 직물센서(500)가 결합된다. 이때 제2 직물센서(500)는 외부로 노출된 디지털 실(300)과 제1 직물센서(200)의 결합부위를 덮어서 보호하는 커버 역할을 한다. 또한, 디지털 실(300)의 탈피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제2 직물센서(500)에서 감지되어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실(300)의 코어(32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1 직물센서(200) 상에 제2 직물센서(500)가 결합되면, 면상체(100) 착용시 제2 직물센서(500)가 신체와 가장 근접하여 배치되기 때문이다. 이때, 탈피부는 디지털 실(300)에서 제2 직물센서(500)와 대향하는 부분(도면상 상단부)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직물센서(500)는 세탁시 또는 장기간 사용시 재봉사(400)의 마모나 디지털 실(300)의 단락, 그리고 탈피부의 오염이나 접속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사이에 디지털 실(300)을 개재한 상태로 제1 직물센서(200)에 밀착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 직물센서(500)는 융착 또는 재봉에 의해, 제2 직물센서(500)의 테두리를 따라 제1 직물센서(200) 상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직물센서(500)가 최대한 제1 직물센서(200)에 밀착되도록, 제2 직물센서(500)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제1 직물센서(200)에 제2 직물센서(500)를 접착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전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2 직물센서(500)를 제1 직물센서(200) 상에 접착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디지털 실(300)을 사이에 두고 제1 직물센서(200) 상에 제2 직물센서(500)를 결합하는 경우, 디지털 실(300)의 일측 상부(제2 직물센서(500)와 대향하는 부분)만을 탈피시키더라도 제2 직물센서(500)와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므로, 탈피 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디지털 실(300)이 면상체(100)에 재봉되는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는 면상체(100)에 디지털 실(300)이 재봉됨으로써 형성되는 재봉선(310)이 일자형인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상체(100) 상에 디지털 실(300)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재봉선(310')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자수 방식으로 면상체(100)에 디지털 실(300)을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며, 디지털 실(300)의 재봉선이 소정의 무늬를 이루게끔 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실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실(300)은 직경 방향 중심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코어(320)와, 상기 복수 개의 코어(320)를 감싸도록 그 외측에 형성되는 피복(330)을 포함한다. 그리고, 복수 개의 코어(320)와 피복(330) 사이에는 피복(330)의 내주면이 복수 개의 코어(320) 사이 영역으로 인입되지 못함에 따라 빈 공극(340)이 형성된다.
상기 코어(320)는 전기적인 저항이 작고, 반복적인 굽힘에 대한 탄성 회복력이 높은 재질의 금속으로 구성된다. 이때 코어(320)는 예를 들어 구리, 구리 합금, 은, 은 합금, 금, 금 합금, 황동 등의 전도성이 좋은 금속 필라멘트(metal filament)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직경이 50~200㎛이다. 또한, 도 3에는 일곱 개의 코어(320)가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피복(330)은 상기 복수 개의 코어(320)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때 피복(330)은 상기 코어(320)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인체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한편, 외부 노이즈 전자파가 코어(320)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할도 한다. 이를 위해, 피복(330)의 재질로서 ETFE(Ethylenetetrafluoroethylene), FEP(Fluorinated Ethylenepropylene), PTFE(Polytetrafluoroethylene), PVDF(Polyvinylidenefluoride), PFA(Perfluoroalkoxy), PVDF(Polyvinylidenefluoride)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실을 가로질러 재봉사가 제1 직물센서에 재봉된 구조를 보인 개략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실(300)의 둘레를 둘러 재봉사(400)가 제1 직물센서(200)에 재봉된다. 이때, 도 4에는 디지털 실(300)의 일측 피복이 원주 방향을 따라 모두 탈피되어, 코어(320) 전체가 외부로 노출된 탈피부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코어(320) 중 하단부의 코어(320)를 통해서는 제1 직물센서(200)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며, 상단부의 코어(320)를 통해서는 전술한 제2 직물센서(500)와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실(300)의 피복 하단부만이 탈피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복수의 코어(320) 중 하단부의 코어(320)가 탈피부를 통해 노출되며, 제1 직물센서(200)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또 다른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실(300)의 피복 상단부만이 탈피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복수의 코어(320) 중 상단부의 코어(320)가 탈피부를 통해 노출되며, 제2 직물센서(500)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탈피부는 디지털 실(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하여,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봉사(400)는 박음질 등 다양한 재봉 방법에 의해 디지털 실(300)을 제1 직물센서(200)에 결합하며, 디지털 실(300)의 외주면을 제1 직물센서(200) 방향으로 가압하는 형태로 재봉된다. 즉, 제1 직물센서(200)에 재봉된 재봉사(400)는 디지털 실(300)의 일측을 제1 직물센서(200)에 고정시키는 고리 형태를 이룬다. 제1 직물센서(200) 또는 제2 직물센서(500)에서 감지된 생체신호는 탈피부를 통해 디지털 실(300)로 전송되고 디지털 실(300)을 따라 전술한 디바이스로 전달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 사시도이다.
직물센서의 종류에 따라서는, 측정값의 신뢰도 향상을 위해 직물센서가 신체에 밀착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의류 또는 탄성밴드 형태의 면상체(100)를 탄성이 좋은 재질로 제작하거나, 착용시 신체에 밀착되는 디자인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장기간 사용에 따른 마모나, 세탁시 발생되는 손상에 의해 면상체(100)가 탄성을 잃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구매시 조금 큰 치수의 면상체(100) 제품을 구매하였거나, 다이어트 등으로 인한 착용자의 신체 변화에 의해, 직물센서의 신체 밀착성이 떨어지고, 결과적으로 측정값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제2 직물센서(500) 상에 우레탄 폼(foam) 등의 탄성부재(600)를 개재하고, 그 위에 제3 직물센서(700)를 결합한다. 이 경우, 면상체(100) 착용시 탄성부재(600)의 탄성력에 의해 제3 직물센서(700)가 신체방향으로 밀착하게 된다. 이때, 제3 직물센서(700)에 의해 감지된 생체정보는 제1 직물센서(200) 또는 제2 직물센서(500)를 통해 디지털 실(300)로 전달된다.
제3 직물센서(700)는 테두리를 따라 제2 직물센서(500)에 재봉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3 직물센서(700)의 테두리를 따라 제1 직물센서(200) 또는 제2 직물센서(500)에 융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제3 직물센서(700)의 테두리 부분이 제1 직물센서(200) 또는 제2 직물센서(500)에 접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탄성부재(600)는 유동 방지를 위해 제2 직물센서(500) 상에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을 접속하는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면상체에 제1 직물센서 결합(S10):
의류 또는 탄성 밴드로 이루어지는 면상체(100)에 제1 직물센서(200)를 결합한다. 이때, 접착제에 의해 면상체(100) 내측에 제1 직물센서(200)를 접착하며, 제1 직물센서(200)의 테두리를 따라 면상체(100)에 재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의류 또는 탄성 밴드 등 면상체(100) 제직시 면상체(100)와 함께 제1 직물센서(200)가 일체로 제직될 수도 있다.
재봉사를 이용하여 제1 직물센서에 디지털 실 결합( S20 ):
면상체(100)의 일측(예를 들어, 하단 앞주머니)에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무선전송 장치가 접속되는 커넥터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커넥터와 연결된 디지털 실(300)이 면상체(100)에 재봉된 형태로 연장되어 제1 직물센서(200)에 접속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실(300)이 재봉사(400)에 의해 제1 직물센서(200)에 지그재그 형태로 결합한다. 이때, 디지털 실(300)은 제1 직물센서(200)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며, 지그재그 형태의 꼭지점 부분에서 재봉사(400)가 디지털 실(300)의 외주면 상부를 둘러 면상체(100)에 재봉된다. 즉, 재봉사(400)가 디지털 실(300)의 지그재그 형태의 꼭지점 부분에 고리 형태로 재봉되면서 디지털 실(300)을 제1 직물센서(200)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디지털 실(300)이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된 후 그 꼭지점 부분에 재봉사(400)가 재봉되는 과정은 재봉기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디지털 실의 일측을 탈피(S30):
디지털 실(300)의 피복 일측을 탈피하여 탈피부를 형성시킨다. 이는, 제1 직물센서(200), 또는 후술하는 제2 직물센서(500)와 디지털 실(300)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함이다. 탈피부는 디지털 실(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하여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탈피부 형성은 국부 가열에 의해 디지털 실(300)의 피복(330) 일측을 탈피시키거나 레이저 마킹(Laser Marking)용 장비로 탈피시킬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디지털 실(300)의 열적 변형 방지를 위해, 커터(cutter) 등 별도의 탈피기구를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피복(330) 일측을 탈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직물센서에 제2 직물센서 결합(S40):
제1 직물센서(200) 상에 제2 직물센서(500)를 결합하여, 디지털 실(300)의 탈피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덮는다. 이때, 제2 직물센서(500)의 결합은 융착 또는 재봉에 의해서도 가능하며, 제2 직물센서(500)의 일 면에 도전성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1 직물센서(200) 상에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피부가 형성된 디지털 실(300)은 제1 직물센서(200)와 제2 직물센서(500) 사이에 개재되며, 제2 직물센서(500)가 제1 직물센서(200)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디지털 실(300)의 탈피부 역시 제1 직물센서(200) 및 제2 직물센서(500)에 밀착 고정된다.
전 단계(S30)에서 디지털 실(300)의 일측 상단부에 탈피부가 형성되면, 제2 직물센서(500) 결합시 디지털 실(300)의 코어(320)는 제2 직물센서(500)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직물센서(500)에서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생체 정보는, 디지털 실(300)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제2 직물센서 상에 탄성부재 결합( S5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은, 전술한 단계(S40) 즉, 제1 직물센서(200) 상에 디지털 실(300)을 커버하도록 제2 직물센서(500)를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여기에 더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직물센서가 신체에 잘 밀착되도록 하여 측정값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2 직물센서(500) 상에 탄성부재(6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 탄성부재(600)는 우레탄 폼 등의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2 직물센서(500) 상에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 상에 제3 직물센서 결합( S60 ):
탄성부재(600) 상에 제3 직물센서(700)를 결합한다. 이때, 제3 직물센서(700)는 제1 직물센서(200) 또는 제2 직물센서(500)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결합하며, 바람직하게는 제3 직물센서(700)의 테두리를 따라 제2 직물센서(500)에 견고하게 봉재된다.
이 경우, 면상체(100) 착용시 제3 직물센서(700)가 탄성부재(600)의 탄성력에 의해 신체에 밀착되며, 제3 직물센서(700)에 의해 신체로부터 감지된 생체정보는 제3 직물센서(700)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1 직물센서(200) 또는 제2 직물센서(500)를 통해 디지털 실(300)로 전달된다.
이후, 디지털 실(300)을 따라 커넥터로 전달된 생체정보는 커넥터에 접속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커넥터에 무선전송 장치가 접속되는 경우에는, 무선전송 장치를 통해 PC나 휴대폰 등 외부의 정보처리장치로 전송되어 정보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 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면상체(100)에는 각각 서로 다른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직물센서가 구비될 수 있고, 이들 복수 개의 직물센서는 복수 개의 디지털 실(300)을 통해 커넥터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 개의 직물센서에 의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생체정보를 동시에 측정하여 파악할 수 있게 된다.
100 : 면상체
200 : 제1 직물센서
300 : 디지털 실
310,310' : 재봉선
320 : 코어
330 : 피복
340 : 공극
400 : 재봉사
500 : 제2 직물센서
600 : 탄성부재
700 : 제3 직물센서

Claims (15)

  1. 신체에 착용되는 면상체;
    상기 면상체 상에 구비되며,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제1 직물센서;
    상기 제1 직물센서 상에 구비되며, 일측 피복이 탈피된 탈피부가 상기 제1 직물센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디지털 실;
    상기 디지털 실의 일측을 상기 제1 직물센서 상에 재봉하여 결합하는 재봉사; 및
    상기 제1 직물센서 상에 결합되며 상기 탈피부의 상부를 덮는 제2 직물센서를 포함하는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 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피부가 상기 디지털 실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직물센서가 상기 탈피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직물센서가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제1 직물센서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직물센서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제2 직물센서가 상기 제1 직물센서에 재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 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직물센서 상에 제3 직물센서가 결합되며, 상기 제2 직물센서와 상기 제3 직물센서 사이에 탄성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 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실은,
    상기 제1 직물센서 상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지그재그 형태의 꼭지점 부분에 상기 재봉사가 재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 구조.
  8. (a) 신체에 착용되는 면상체에 제1 직물센서를 결합하는 단계;
    (b) 상기 제1 직물센서에 디지털 실을 결합하는 단계;
    (c) 상기 디지털 실의 일측 피복을 탈피시켜 상기 디지털 실과 상기 제1 직물센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는 상기 제1 직물센서에 상기 디지털 실의 일측을 가로질러 재봉사가 재봉되며,
    (d) 상기 제1 직물센서에 제2 직물센서를 결합하여 상기 디지털 실의 탈피부 상부를 덮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방법.
  9. 삭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디지털 실이 상기 제1 직물센서 상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지그재그 형태의 꼭지점 부분에 상기 재봉사가 재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방법.
  11. 삭제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실의 상단부 피복이 탈피되어 탈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직물센서가 상기 탈피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방법.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제2 직물센서가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제1 직물센서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방법.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제2 직물센서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제2 직물센서가 상기 제1 직물센서에 재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방법.
  15. 청구항 8에 있어서,
    (e) 상기 제2 직물센서에 제3 직물센서를 결합하되, 상기 제2 직물센서와 상기 제3 직물센서 사이에 탄성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방법.

KR1020130077202A 2013-07-02 2013-07-02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 구조 및 방법 KR101449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202A KR101449471B1 (ko) 2013-07-02 2013-07-02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 구조 및 방법
CN201480038395.2A CN105377122B (zh) 2013-07-02 2014-07-01 织物传感器和数字线的连接结构及方法
US14/902,131 US9932697B2 (en) 2013-07-02 2014-07-01 Structure and method for connecting fabric sensor and digital yarn
PCT/KR2014/005829 WO2015002424A1 (ko) 2013-07-02 2014-07-01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 구조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202A KR101449471B1 (ko) 2013-07-02 2013-07-02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 구조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9471B1 true KR101449471B1 (ko) 2014-10-13

Family

ID=51997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7202A KR101449471B1 (ko) 2013-07-02 2013-07-02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 구조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32697B2 (ko)
KR (1) KR101449471B1 (ko)
CN (1) CN105377122B (ko)
WO (1) WO201500242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590A (ko) * 2017-12-07 2019-06-17 울산과학기술원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
JP2020503096A (ja) * 2016-12-02 2020-01-30 株式会社バイラップBilab Co., Ltd. 生体信号測定のための電極ベルト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73413B2 (en) * 2015-10-07 2021-04-13 Fiomet Ventures, Inc. Advanced compression garments and systems
US11198961B2 (en) * 2017-01-04 2021-12-14 Mas Innovation (Private) Limited Conductive pathway
FR3062810A1 (fr) * 2017-02-13 2018-08-17 Airbus Operations Procede et systeme de fixation par piquage en zigzag d'un element souple fonctionnel sur un support souple.
WO2018206111A1 (de) * 2017-05-11 2018-11-15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lektrotechnischen komponenten mit cnt-leiterwerkstoffen
JP6947973B2 (ja) * 2017-08-10 2021-10-1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伸縮性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ウエアラブル電極
JP2020065671A (ja) * 2018-10-24 2020-04-30 住江織物株式会社 生体情報計測用布帛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3464A (ja) * 2005-05-13 2007-02-01 Eidgenossische Technische Hochschule Zurich 導電線網を含む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60971A (ko) * 2005-12-08 2007-06-1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신호의 측정을 위한 스마트 의복
KR20080114107A (ko) * 2007-06-26 2008-12-3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직물기판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8380B2 (en) * 2002-02-28 2003-12-3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electively detachable and wearable electrode/sensors
GB0311320D0 (en) 2003-05-19 2003-06-25 Univ Manchester Knitted transducer devices
KR100592934B1 (ko) * 2004-05-21 2006-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착용형 생체신호 검출모듈 및 이를 포함한 측정장치
DE102004030261A1 (de) 2004-06-23 2006-01-19 Deutsche Institute für Textil- und Faserforschung (DITF) Kleidungsstück mit integrierter Sensorik
CN1817581A (zh) * 2006-03-24 2006-08-16 重庆大学 智能机器人的导电蒙皮触觉传感服装
KR100895300B1 (ko) * 2007-07-20 2009-05-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신호 측정의복과 생체신호 처리시스템
KR20090110566A (ko) 2008-04-18 2009-10-22 한국봉제기술연구소 생체신호 측정용 스마트 의복
US8308489B2 (en) * 2008-10-27 2012-11-13 Physical Optics Corporation Electrical garment and electrical garment and article assemblies
DK2640262T3 (en) * 2010-11-17 2015-07-06 Smart Solutions Technologies S L SENSOR TO DETECT PHYSIOLOGICAL SIGNALS
US8909318B2 (en) * 2011-03-18 2014-12-09 Nike Inc. Apparel for physiological telemetry during athletics
ES2705526T3 (es) * 2012-09-11 2019-03-25 Life Corp Sa Plataforma de comunicación ponib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3464A (ja) * 2005-05-13 2007-02-01 Eidgenossische Technische Hochschule Zurich 導電線網を含む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60971A (ko) * 2005-12-08 2007-06-1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신호의 측정을 위한 스마트 의복
KR20080114107A (ko) * 2007-06-26 2008-12-3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직물기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03096A (ja) * 2016-12-02 2020-01-30 株式会社バイラップBilab Co., Ltd. 生体信号測定のための電極ベルト装置
KR20190067590A (ko) * 2017-12-07 2019-06-17 울산과학기술원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
KR102070188B1 (ko) 2017-12-07 2020-01-28 울산과학기술원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02424A1 (ko) 2015-01-08
CN105377122B (zh) 2018-03-02
US20160369441A1 (en) 2016-12-22
CN105377122A (zh) 2016-03-02
US9932697B2 (en) 2018-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471B1 (ko) 직물센서와 디지털 실의 접속 구조 및 방법
KR100863064B1 (ko) 생체 신호 측정용 의복 및 그 제조 방법
US8886281B2 (en) Snap and electrode assembly for a heart rate monitor belt
US7783334B2 (en) Garment for measuring physiological signal
JP6272238B2 (ja) 体表又はその近くの条件の集積された遠隔モニタリングおよびデータ収集に関するセンサ、インタフェースおよびセンサシステム
US8750959B2 (en) Wearing apparel with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ological signal
EP2645893B1 (en) Whs item of clothing for detection of vital parameters of a baby
US20100324405A1 (en) Electrode for acquiring physiological signals of a recipient
KR101745760B1 (ko) 생체 정보를 감지하는 디지털 의류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추적 시스템
Paradiso et al. Electronic textile platforms for monitoring in a natural environment
EP4371485A2 (en) Wearable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one or more vital signs of a human body
KR20130109607A (ko) 생체신호측정용 의복
KR101002087B1 (ko) 손목 착용형 심박수 측정 장치
KR20150052607A (ko) 자수형센서층부를 갖는 복합생체신호측정의류
KR101009541B1 (ko) 생체 신호 측정모듈용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생체신호 측정모듈용 센서를 부착한 의류
KR20150088068A (ko) 엑스 밴드 형태의 건강 관리용 디지털 의류
CN210494067U (zh) 信息采样与传输组件、信息采集装置、检测装置及检测系统
US20160278702A1 (en) Physiological signal monitoring belt
KR101418080B1 (ko) 건강 관리용 디지털 의류
CN111920383A (zh) 穿戴式采集设备及穿戴式采集系统
JP7392123B2 (ja) 導電糸および当該糸を含む着用物品
CN213030630U (zh) 穿戴式采集设备及穿戴式采集系统
CN209847163U (zh) 一种可实时测量体温和血压的智能上衣
WO2022180390A1 (en) Electronics module and assembly comprising electronics module and fabric article
GB2604111A (en) Electronics module and assembly comprising electronics module and fabric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