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0958B1 - Safe place induction device for each safety vulnerable group - Google Patents

Safe place induction device for each safety vulnerable grou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0958B1
KR102430958B1 KR1020200017074A KR20200017074A KR102430958B1 KR 102430958 B1 KR102430958 B1 KR 102430958B1 KR 1020200017074 A KR1020200017074 A KR 1020200017074A KR 20200017074 A KR20200017074 A KR 20200017074A KR 102430958 B1 KR102430958 B1 KR 102430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evacuation
vulnerable
identifier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70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02710A (en
Inventor
정태호
이종훈
정지혜
표경수
김유정
황우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017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958B1/en
Publication of KR20210102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27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9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25Monitoring making use of different thresholds, e.g. for different alarm levels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사고의 종류를 기초로 위험영역을 결정하는 위험장소 결정부, 위험영역 내에 있는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하여 비콘을 통해 안전취약계층 유형을 수신하여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을 상기 안전취약계층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안전 식별자를 부여하는 안전 식별자 부여부, 위험영역으로부터 특정시간 이내에 도달할 수 있는 안전장소를 검색하는 안전장소 검색부 및 안전 식별자를 기초로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관해 출발지로부터 안전장소까지 맞춤형 안전경로를 결정하고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이 안전경로를 통해 이동하는 동안의 안전취약계층 유형별 가이드를 제공하는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vacuation site guidance device for each safety-vulnerable class, and more specifically, a dangerous place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a danger area based on the type of safety accident, and a beacon for each member of an evacuation group within the danger area. A safety identifier granting unit that receives the type of vulnerable group, classifies each member of the evacuation group by type and assigns a safety identifier, a safe place search unit that searches for a safe place that can be reached within a specific time from the danger area, and Based on the safety identifier, a customized safety route is determined for each member of the evacuation group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safe place, and each member of the evacuation group is guided by each type of safety-vulnerable group while moving through the safety route. includes

Description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SAFE PLACE INDUCTION DEVICE FOR EACH SAFETY VULNERABLE GROUP}Safe place induction device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본 발명은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사고 발생에 따라 안전취약계층 별로 안전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전경로를 탐색하고 이를 안내할 수 있는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guiding a safe place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safety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that can search and guide a safety path to move to a safe place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It relates to a place guidance device.

일반적으로, 건물 내에는 비상구에 대한 의무적 설치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비상구를 통해 신속하고 안전하게 건물을 빠져나갈 수 있도록 비상구와 비상구로 향하는 통로에는 사람들을 비상구로 유도하는 비상 유도등이 설치되어 있다.In general, the mandatory installation of an emergency exit in a building is required. In order to quickly and safely exit the building through these emergency exits, emergency guidance lights are installed in the emergency exits and in the passages leading to the emergency exits.

화재 등의 재해가 발생하였을 때 피난을 위해 사용되는 기계기구 및 피난설비는 크게 피난기구와 유도등유도표지로 나누어 진다. 이때, 피난기구는 응급적보조적 피난수단으로 비상구를 통해 지상으로 대피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되어 진다. 그리고 유도등과 유도표지는 앞서 설명했듯이 비상구의 위치와 피난 방향을 알리기 위한 것으로, 누구나 쉽게 식별할 수 있고 멀리서도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When a disaster such as a fire occurs, the machinery and evacuation facilities used for evacuation are largely divided into evacuation mechanisms and guidance lamps. At this time, the evacuation mechanism is used when it is impossible to evacuate to the ground through the emergency exit as an emergency and auxiliary evacuation means. And, as described above, guidance lights and guidance signs are to inform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exit and the direction of evacuation, and should be easily identifiable by anyone and distinguishable from a distance.

그러나, 점점 복잡화, 대형화되는 현대 건물의 구조적 특성상 실제 화재 시 폭발 등으로 전력이 끊어지거나 연기에 의해 비상 유도등의 식별이 어려워질 경우 비상구를 신속히 찾지 못하거나 비상구를 찾았더라도 안전한 탈출로가 아니어서 건물을 빠져나오지 못해 인명사고의 빈도가 늘고 있다.However,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modern buildings that are becoming increasingly complex and large, if the power is cut off due to an explosion in an actual fire or the identification of emergency guidance lights becomes difficult due to smoke, the emergency exit cannot be found quickly or even if the emergency exit is found, it is not a safe escape route. The number of fatal accidents is increasing due to the failure to escape.

또한, 비교적으로 일반 사람에 비해서 안전사고 발생에 따라서 대피가 어려운 안전취약계층이 존재하고, 이러한 안전취약계층에 대한 안전유도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In addition, there is a safety-vulnerable class that is difficult to evacuate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compared with the general public, and safety guidance to such a safety-vulnerable class is not easily performed.

한국등록특허 제10-1772806(2017.8.30)호는 화재 발생 위치에 따라 대피 방향이 자동으로 변환되는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 건물 내부에 설치된 화재감지기에서 화재가 감지되면 화재감지신호와 고유식별번호를 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시스템 서버에서 화재감지신호가 수신되면, 화재경보기를 작동시키고, 119센터, 경찰서, 시스템에 등록된 휴대전화로 화재발생 푸시메시지와 함께 화재 위치의 카메라영상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시스템 서버에서, 상기 화재감지신호와 고유식별번호를 토대로 화재 위치를 검출하고, 미리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에 의해 화재 위치와 반대 방향의 비상구 쪽으로 비상구유도장치의 대피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d) 상기 비상구유도장치에서, 상기 시스템 서버의 제어신호에 따라 화재 위치와 반대 방향의 비상구 쪽으로 대피 방향을 변환하고, 자신의 고유식별번호와 대피 방향을 상기 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시스템 서버에서, 상기 비상구유도장치에서 수신된 고유식별번호와 대피 방향을 토대로 건물 내부에 설치된 모니터에 건물의 내부 약도와 함께 비상구 위치, 화재 위치, 비상구유도장치의 대피 방향이 표시된 비상대피안내화면을 출력하여 대피로를 안내하는 단계; 및 (f) 상기 시스템 서버에서, 건물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화재 위치의 영상정보를 화면에 실시간으로 출력하고, 상기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시간대별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772806 (Aug. 30, 2017) relates to an emergency evacuation guidance method and system in which the evacuation direction is automatically changed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fire, and more specifically, (a) a fire installed inside a building transmitting a fire detection signal and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to a system server when a fire is detected by the detector; (b) when a fir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ystem server, operating a fire alarm, and transmitting camera image information of the location of the fire together with a fire push message to the 119 center, the police station, and a mobile phone registered in the system; (c) In the system server, the fire location is detected based on the fire detection signal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and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evacuation direction of the emergency exit guide device toward the emergency exit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e location by a pre-programmed program is provided. occurs; (d) in the emergency exit guidance device, changing the evacuation direction toward the emergency exit opposite to the fire loc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system server, and transmitting its own identification number and evacuation direction to the system server; (e) In the system server,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and evacuation direction received from the emergency exit guidance device, the emergency exit location, the fire location, and the evacuation direction of the emergency exit guidance device are displayed on the monitor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along with the interior schematic of the building outputting an evacuation guidance screen to guide an evacuation route; and (f) outputting, in the system server, image information of the fire location on the screen in real time through a camera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and storing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camera for each time period.

한국등록특허 제10-1475134(2014.12.15)호는 지능형 피난 유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 상황이 감지되는 경우, 건물 내Korean Patent No. 10-1475134 (2014.12.15) relates to an intelligent evacuation guidance method and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when an emergency situation is detected,

설치된 CCTV 입력 영상에서 피난자를 검출하여 총 피난자 수, 각 층별 또는 각 구역별 피난자 수 및 피난자 이동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피난자 관련 정보를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 상기 피난자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 피난 경로를 생성하는 피난 경로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최적 피난 경로를 상기 최적 피난 경로 상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an image analysis unit that detects evacuees from the installed CCTV input image and analyzes evacuee-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total number of evacuees, the number of evacuees per floor or each zone, and the evacuation path; an evacuation route generator for generating an optimal evacuation route using the evacuee-related information; an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optimal evacuation route to a display device located on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한국등록특허 제10-1772806(2017.8.30)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72806 (2017.8.30) 한국등록특허 제10-1475134(2014.12.15)호Korean Patent No. 10-1475134 (2014.12.15)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대피집단 구성원에 대해서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분류하여 안전 식별자를 부여하고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안전장소까지 대피할 수 있는 안전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에 관한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lassify the members of the evacuation group by type of safety-vulnerable layer, assign a safety identifier, and induce a safe place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that can provide a safe route to evacuate to a safe place for each type of safety-vulnerable layer It's about the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개의 안전경로를 결정하고 구성원 각각에 대하여 혼잡을 피할 수 있는 경로를 각각 나누어서 제공할 수 있는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inducing a safe place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that can determine a plurality of safe routes and provide separate routes for avoiding congestion for each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안전취약계층 유형에 따라서 안전경로를 다르게 결정함과 동시에 안전취약계층의 유형에 따라 가이드 방법도 다르게 제공할 수 있는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guiding a safe place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which can determine a safety path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safety-vulnerable layer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 different guide metho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afety-vulnerable lay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는 안전사고의 종류를 기초로 위험영역을 결정하는 위험장소 결정부, 상기 위험영역 내에 있는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하여 비콘을 통해 안전취약계층 유형을 수신하여 상기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을 상기 안전취약계층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안전 식별자를 부여하는 안전 식별자 부여부, 상기 위험영역으로부터 특정시간 이내에 도달할 수 있는 안전장소를 검색하는 안전장소 검색부 및 상기 안전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관해 출발지로부터 안전장소까지 맞춤형 안전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이 상기 안전경로를 통해 이동하는 동안의 상기 안전취약계층 유형별 가이드를 제공하는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를 포함한다.A safety place guidance device for each safety vulnerabl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angerous place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a danger area based on the type of safety accident, and a safety vulnerability through a beacon for each member of an evacuation group within the danger area A safety identifier granting unit that receives a layer type, classifies each member of the evacuation group by type and assigns a safety identifier, and a safe place search unit that searches for a safe place that can be reached within a specific time from the danger area And, based on the safety identifier, a customized safety route is determined from a departure point to a safe place for each member of the evacuation group, and a guide for each type of safety-vulnerable class is provided while each member of the evacuation group moves through the safety route. It includes an evacuation site guide for each vulnerable group.

상기 위험장소 결정부는 상기 안전사고가 일어난 장소를 특정하는 제1 과정, 상기 안전사고의 종류를 특정하는 제2 과정, 상기 안전사고의 강도를 특정하는 제3 과정, 상기 안전사고의 장소, 종류 및 강도에 따라서 상기 위험영역을 결정하는 제4 과정 및 특정 시간 주기 및 상기 안전사고와 연관된 제2 안전사고의 발생을 기초로 상기 위험영역을 재결정하는 제5 과정을 통해 상기 위험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The dangerous place determining unit includes a first process of specifying the place where the safety accident occurred, a second process of specifying the type of the safety accident, a third process of specifying the intensity of the safety accident, the location, type and The risk area may be determined through a fourth process of determining the risk area according to the intensity and a fifth process of re-determining the risk area based on a specific time period and occurrence of a second safety accident related to the safety accident.

상기 안전 식별자 부여부는 상기 대피집단 구성원 중 특정기준을 만족하는 구성원에 대하여 책임 구성원으로 선정하여 상기 책임 구성원에게 책임구성원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The safety identifier assigning unit may assign a responsible member identifier to a member of the evacuation group by selecting a member who satisfies a specific criterion as a responsible member.

상기 안전 식별자 부여부는 상기 대피집단 구성원의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상기 대피집단 구성원에 대한 프로파일(Profile)을 수신하여 안전취약계층을 유형별로 분류할 수 있다.The safety identifier granting unit may receive a profile for the evacuation group member from the wearable device of the evacuation group member and classify the safety-vulnerable layer by type.

상기 안전 식별자 부여부는 상기 안전 식별자 부여 이후에 식별자가 부여되지 않은 웨어러블 기기가 위험영역에 접근하는 경우에 상기 안전 식별자를 재부여할 수 있다.The safety identifier granting unit may re-assign the safety identifier when the wearable device to which the identifier is not assigned approaches the danger area after the safety identifier is assigned.

상기 안전장소 검색부는 상기 안전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안전장소를 검색하고 상기 안전 식별자 각각에 대한 상기 안전장소를 부여할 수 있다.The safe place search unit may search for the safe place based on the safety identifier and assign the safe place to each of the safety identifiers.

상기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는 상기 책임구성원 식별자에 대해 상기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탐색된 모든 안전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The evacuation site induction unit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may provide all the safety routes found for each type of the safety-vulnerable layer with respect to the responsible member identifier.

상기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는 상기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구별하여 상기 안전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대응되는 가이드 맵을 생성하고 상기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맵을 제공할 수 있다.The evacuation place guidance unit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searches the safety route by classifying each type of the safety-vulnerable layer, generates a guide map corresponding to each type of the safety-vulnerable layer, and provides the guide map for each member of the evacuation group. have.

상기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는 상기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복수개의 안전경로를 결정하는 제1 과정, 상기 안전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안전경로를 상기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하여 부여하는 제2 과정 및 상기 안전취약계층 유형에 따라서 분류된 가이드 라인을 기초로 상기 구성원이 상기 안전장소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하는 제3 과정을 통해 상기 구성원에게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A first process of determining a plurality of safe routes for each type of the safety-vulnerable class, a second process of assigning the safe route to each member of the evacuation group based on the safety identifier, and the A guide may be provided to the member through a third process of providing a guide so that the member can move to the safe place based on the guide lin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afety-vulnerable class.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so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는 대피집단 구성원에 대해서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분류하여 안전 식별자를 부여하고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안전장소까지 대피할 수 있는 안전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The device for guiding a safe place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afe route for evacuating to a safe place by classifying the members of the evacuation group by type of the safety-vulnerable layer, assigning a safety identifier, and evacuating to the safe place for each type of the safety-vulnerable layer. can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는 복수개의 안전경로를 결정하고 구성원 각각에 대하여 혼잡을 피할 수 있는 경로를 각각 나누어서 제공할 수 있다.The apparatus for guiding a safe place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a plurality of safe routes and divide and provide routes that can avoid congestion for each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는 안전취약계층 유형에 따라서 안전경로를 다르게 결정함과 동시에 안전취약계층의 유형에 따라 가이드 방법도 다르게 제공할 수 있다.The apparatus for guiding a safe place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a safety path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safety-vulnerable layer,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 different guide metho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afety-vulnerable layer.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에 의한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과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vacuation site guidance system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hysical configuration of an evacuation site guidance device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n evacuation site guidance device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guiding an evacuation place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by the device for guiding an evacuation-place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is capable of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by.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refer to the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dentifiers (eg, a, b, c, etc.) in each step are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indicate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specifi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also includes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in a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 and the computer-readable code may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시스템(10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vacuation site guidance system 100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 및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evacuation place guidance system 100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may include a user terminal 110 , an evacuation-place guidance device 130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and a database 150 .

사용자 단말(110)은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에 의해 생성된 가이드 맵을 확인하고,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에 의해 제공되는 가이드를 확인할 수 있고,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의 비콘과 데이터를 주고받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들은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10 may check the guide map generated by the evacuation place guiding device 130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and check the guide provided by the evacuation-place guiding device 130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It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that exchanges data with the beacon of the evacuation site guidance device 130 for each layer,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mart phone or a wearable devic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devices such as a tablet PC. can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connected to the evacuation place guiding device 130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through a network, and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10 may be simultaneously connected with the evacuation-place guiding device 130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에 의해 생성된 메타 데이터를 확인하고, 메타 데이터를 다시 업데이트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a device that checks the metadata generated by the evacuation site guidance device 130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and updates the metadata again.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는 안전사고의 종류에 따라서 위험 영역을 결정하고,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해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분류하여 안전 식별자를 부여하고 안전경로를 결정하여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이 안전경로를 통해 안전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과 블루투스, WiFi, 통신망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Evacuation site guidance device 130 for each safety-vulnerable class determines the risk area according to the type of safety accident, classifies each member of the evacuation group by type of safety-vulnerable class, assigns a safety identifier, and determines a safe route to member of the evacuation group It may be implemented as a server corresponding to a computer or program that performs a process of providing a guide so that each can move to a safe place through a safe path. The evacuation site guidance device 130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may b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Bluetooth, WiFi, a communication network, etc., and may exchange data with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network.

일 실시예에서,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는 상기 도 1과는 다르게, 사용자 단말(110) 내부에 설치되는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는 안전사고의 종류에 따라서 위험 영역을 결정하고,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해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분류하여 안전 식별자를 부여하고 안전경로를 결정하여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이 안전경로를 통해 안전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장치이면서도 다른 장치와 융합되어 외관상 사용자 단말(110)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evacuation site guidance device 130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may correspond to a device installed inside the user terminal 110 , differently from FIG. 1 . For example, the evacuation site guidance device 130 for each safety-vulnerable class determines a risk area according to the type of safety accident, classifies each member of the evacuation group by type of safety-vulnerable class, assigns a safety identifier, and determines a safety route Thus, although it is a device that performs the process of providing a guide so that each member of the evacuation group can move to a safe place through a safe route, it can be fused with other devices to have the same shape as the user terminal 110 in appearance.

데이터베이스(150)는 안전사고의 종류에 따라서 위험 영역을 결정하고,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해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분류하여 안전 식별자를 부여하고 안전경로를 결정하여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이 안전경로를 통해 안전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데이터베이스(150)는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가 안전사고의 종류에 따라서 위험 영역을 결정하고,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해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분류하여 안전 식별자를 부여하고 안전경로를 결정하여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이 안전경로를 통해 안전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The database 150 determines the risk area according to the type of safety accident, classifies each member of the evacuation group by type of safety-vulnerable class, assigns a safety identifier, and determines a safety route to ensure that each member of the evacuation group is safe through the safety route It may correspond to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in the process of providing a guide to move to a place. In addition, in the database 150, the evacuation site guidance device 130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determines the risk area according to the type of safety accident, classifies each member of the evacuation group by type of safety-vulnerable layer, and assigns a safety identifier. Information collected or processed in various forms can be stored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a safe route and providing a guide so that each member of the evacuation group can move to a safe place through the safe route.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hysical configuration of the evacuation site guidance device 130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evacuation site guidance device 130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a processor 210 , a memory 230 , a user input/output unit 250 , and a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

프로세서(210)는 안전사고의 종류에 따라서 위험 영역을 결정하고,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해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분류하여 안전 식별자를 부여하고 안전경로를 결정하여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이 안전경로를 통해 안전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그 과정 전반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210 determines the risk area according to the type of safety accident, classifies each evacuation group member by type of safety-vulnerable layer, assigns a safety identifier, and determines a safety path, so that each evacuation group member is safe through the safety path In the process of providing a guide to move to a place, a procedure for performing an operation can be executed, the memory 230 read or written throughout the process can be managed, and the volatile memory and nonvolatile memory in the memory 230 can be executed. Synchronization times between volatile memories can be scheduled. The processor 21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vacuation site guidance device 130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mory 230 ,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 and 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so that the You can control the data flow. The processor 210 may be implemented as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evacuation site guidance device 130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rive)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230 is implemented as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solid state drive (SSD) or a hard disk drive (HDD). It may include, and may include a main memory implemented as a volatile memory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RAM).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는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include an environment for receiving a user input and an environment for outputting specific information to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include an input device including an adapter such as a touch pad, a touch screen, an on-screen keyboard, or a pointing device, and an output device including an adapter such as a monitor or a touch screen. In an embodiment,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connected through remote access, and in such a case, the evacuation site guidance device 130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may be implemented as a server.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includes an environment for connecting with an external device or system through a network, for example,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and a VAN (Wide Area Network) (VAN). It may include an adapter for communication such as Value Added Network).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evacuation site guidance device 130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는 위험장소 결정부(310), 안전 식별자 부여부(330), 안전장소 검색부(350),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 및 제어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evacuation place guiding device 130 for each safety-vulnerable class includes a dangerous place determining unit 310, a safety identifier granting unit 330, a safe place search unit 350, and an evacuation place inducing unit for each safety-vulnerable class ( 370 ) and a control unit 390 .

위험장소 결정부(310)는 안전사고의 종류를 기초로 위험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안전사고의 종류는 건물 붕괴, 화재, 지진, 태풍, 해일, 가스 누출 사고 또는 선박 충돌 등 인체 피해를 야기할 수 있는 사건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장소 결정부(310)는 10층짜리 건물의 8층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해당 건물의 6층 이상을 위험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장소 결정부(310)는 안전사고의 종류에 대응하여 발생할 수 있는 인체 피해에 따라서 위험영역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The dangerous place determining unit 310 may determine the dangerous area based on the type of safety accident. The type of safety accident may correspond to an event that may cause human injury, such as a building collapse, fire, earthquake, typhoon, tsunami, gas leak accident, or ship collision. For example, when a fire occurs on the eighth floor of a ten-story building, the dangerous place determining unit 310 may determine the sixth floor or more of the corresponding building as a dangerous area. For example, the dangerous place determining unit 310 may set the danger area differently according to human damage that may occur in response to the type of safety accident.

일 실시예에서, 위험장소 결정부(310)는 안전사고가 일어난 장소를 특정하는 제1 과정, 안전사고의 종류를 특정하는 제2 과정, 안전사고의 강도를 특정하는 제3 과정, 안전사고의 장소, 종류 및 강도에 따라서 위험영역을 결정하는 제4 과정 및 특정 시간 주기 및 안전사고와 연관된 제2 안전사고의 발생을 기초로 상기 위험영역을 재결정하는 제5 과정을 통해 위험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장소 결정부(310)는 안전사고가 일어난 장소에 대해서 드론 또는 CCTV 등 안전사고를 감시할 수 있는 공지의 장치를 기초로 안전사고가 일어난 장소를 특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위험장소 결정부(310)는 1차적으로 안전사고 신고에 따라서 넓은 범위의 안전사고 장소를 특정하고 해당 범위에 설치되어 있는 CCTV 등을 통해서 좁은 범위의 안전사고 장소를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장소 결정부(310)는 안전사고의 종류 및 강도에 따라서 해당 안전사고와 연관된 제2 안전사고의 발생에 따라 위험영역을 재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장소 결정부(310)는 안전요원의 도착 등 안전사고와 관련된 이벤트 발생시 위험영역을 재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angerous place determining unit 310 is a first process for specifying the place where the safety accident occurred, the second process for specifying the type of safety accident, the third process for specifying the intensity of the safety accident, The risk area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fourth process of determining the risk area according to the location, type and intensity and the fifth process of re-determining the risk area based on the occurrence of the second safety accident related to a specific time period and safety accident. . For example, the dangerous place determination unit 310 may specify the place where the safety accident occurred based on a known device capable of monitoring a safety accident, such as a drone or CCTV, with respect to the place where the safety accident occurred. For another example, the dangerous place determination unit 310 may specify a wide range of safety accident locations according to a safety accident report, and a narrow range of safety accident locations through CCTV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range. have. For example, the dangerous place determining unit 310 may re-determine the danger area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the second safety accident related to the safety accident according to the type and intensity of the safety accident. For example, the dangerous place determining unit 310 may re-determine the dangerous area when an event related to a safety accident, such as the arrival of a safety officer, occurs.

안전 식별자 부여부(330)는 위험영역 내에 있는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하여 비콘을 통해 안전취약계층 유형을 수신하여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을 안전취약계층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안전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식별자 부여부(330)는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이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110) 또는 웨어러블 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안전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130)는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해, CCTV 또는 드론 등을 통해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이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110) 또는 웨어러블 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안전 식별자 부여부(330)는 맹인, 농아 또는 휠체어를 탄 사람 등 안전사고에 대한 대응이 어려운 자들에 대해 안전취약계층의 유형 내에서 분류할 수 있다. 안전 식별자 부여부(330)는 각각의 안전취약계층의 유형에 따라서 안전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The safety identifier granting unit 330 may receive the safety-vulnerable layer type through a beacon for each evacuation group member within the danger area, classify each evacuation group member by type of the safety-vulnerable layer, and assign a safety identifier. For example, the safety identifier granting unit 330 may assign a safety identifier by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110 or a wearable device possessed by each member of the evacuation group. For example, the safe place guidance device 130 for each safety-vulnerable class can determine the location of each member of the evacuation group through CCTV or a drone for each member of the evacuation group, and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each member of the evacuation group (110) Alternatively, the position of each member of the evacuation group may be corrected by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wearable device. The safety identifier granting unit 330 may classify those who are difficult to respond to safety accidents, such as the blind, the deaf, or a person in a wheelchair, within the type of the safety-vulnerable class. The safety identifier granting unit 330 may assign a safety identifier according to the type of each safety-vulnerable layer.

일 실시예에서, 안전 식별자 부여부(330)는 대피집단 구성원 중 특정기준을 만족하는 구성원에 대하여 책임 구성원으로 선정하여 책임 구성원에게 책임구성원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식별자 부여부(330)는 대피집단 구성원 중 안전시설에 대해 관리 및 책임이 있는 사람에 대해서는 책임 구성원으로 선정하여 책임구성원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책임 구성원 식별자를 부여받은 사람은 대피집단 구성원들을 인솔하여 안전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130)는 책임구성원 식별자가 부여된 사용자 단말(110) 또는 웨어러블 기기 등에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고, 해당 권한의 부여에 따라 책임 구성원은 사용자 단말(110) 등을 통해 안전방송을 수행하여 대피집단 구성원들에게 안전수칙을 전달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afety identifier granting unit 330 may assign a responsible member identifier to a responsible member by selecting a member of the evacuation group that satisfies a specific criterion as a responsible member. For example, the safety identifier granting unit 330 may assign a responsible member identifier to a person who is responsible for management and responsibility for a safety facility among members of the evacuation group as a responsible member. For example, a person who is assigned a responsible member identifier can lead the evacuation group members to a safe place. For example, the safe place guiding device 130 for each safety vulnerable layer grants authority to control the safe place guiding device 130 for each safety vulnerable layer, such as the user terminal 110 or wearable device to which the responsible member identifier is as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grant of the authority, the responsible member can deliver safety rules to the members of the evacuation group by performing a safety broadcast through the user terminal 110 or the like.

일 실시예에서, 안전 식별자 부여부(330)는 대피집단 구성원의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대피집단 구성원에 대한 프로파일(Profile)을 수신하여 안전취약계층을 유형별로 분류할 수 있다. 안전 식별자 부여부(330)는 대피집단 구성원의 사용자 단말(110) 또는 웨어러블 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통해서 대피집단 구성원에 대한 프로파일을 수신하고 수신된 프로파일의 정보를 기초로 해당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해서 안전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프로파일은 해당 웨어러블 기기 등을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해당 정보에는 사용자의 바이탈(Vital)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바이탈 정보는 사람의 신체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afety identifier granting unit 330 may receive a profile for the evacuation group member from the wearable device of the evacuation group member and classify the safety-vulnerable layer by type. The safety identifier granting unit 330 receives the profile for the evacuation group member through data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110 or the wearable device of the evacuation group member, and based on the received profile information, provides safety for each evacuation group member. An identifier can be assigned. The profile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user who uses the wearable device, etc., and the information may include vital information of the user. The vital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person's physical state.

일 실시예에서, 안전 식별자 부여부(330)는 안전 식별자 부여 이후에 식별자가 부여되지 않은 웨어러블 기기가 위험영역에 접근하는 경우에 안전 식별자를 재부여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식별자 부여부(330)는 위험영역 내의 대피집단 구성원에 대해서 안전 식별자 부여가 끝난 후에도, 안전 식별자 부여가 되지 않은 웨어러블 기기가 위험영역에 접근하는 경우에 해당 웨어러블 기기에 안전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식별자 부여부(330)는 해당 안전사고의 발생으로 인해 안전사고를 진압하기 위한 출동자가 위험영역에 접근하는 경우에 해당 출동자에게 구조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afety identifier granting unit 330 may re-assign the safety identifier when the wearable device to which the identifier is not assigned approaches the danger area after the safety identifier is assigned. For example, the safety identifier granting unit 330 applies a safety identifier to the wearable device in the case where the wearable device to which the safety identifier is not assigned approaches the risk area even after the safety identifier assignment to the members of the evacuation group in the danger area is finished. can be given For example, the safety identifier granting unit 330 may assign a rescue identifier to the responder when the responder for suppressing the safety accident approaches the dangerous area due to the occurrence of the safety accident.

안전장소 검색부(350)는 위험영역으로부터 특정시간 이내에 도달할 수 있는 안전장소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장소 검색부(350)는 위험영역으로부터 일정거리 내에 위치하고 있어, 안전사고의 종류에 따라서 정해지는 골든타임 이내에 도달할 수 있는 안전장소를 검색할 수 있다.The safe place search unit 350 may search for a safe place that can be reached within a specific time from the danger area. For example, the safe place search unit 350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angerous area, and can search for a safe place that can be reached within a golden tim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safety accident.

일 실시예에서, 안전장소 검색부(350)는 안전 식별자를 기초로 안전장소를 검색하고 안전 식별자 각각에 대한 안전장소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장소 검색부(350)는 안전 식별자에 저장된 안전취약계층 유형에 따라서 다른 안전장소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휠체어를 타고 이동하여야 하는 대피자에게는 계단이 아닌 길로 이동할 수 있는 안전장소를 부여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afe place search unit 350 may search for a safe place based on the safety identifier and assign a safe place to each of the safety identifiers. For example, the safe place search unit 350 may assign a different safe plac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afety vulnerable layer stored in the safety identifier. For example, an evacuee who must move in a wheelchair may be given a safe place to move by road instead of stairs.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는 안전 식별자를 기초로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관해 출발지로부터 안전장소까지 맞춤형 안전경로를 결정하고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이 안전경로를 통해 이동하는 동안의 안전취약계층 유형별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는 안전 식별자 부여부(330)로부터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의 위치를 전달받아,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의 위치를 출발지로 결정할 수 있다.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는 안전장소 검색부(350)로부터 안전장소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안전 식별자에게 맞는 안전장소를 부여할 수 있다.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는 안전 식별자 별로 이동할 수 있는 안전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피집단 구성원들 중에 휠체어를 이용하는 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는 계단과 같이 휠체어로 이동할 수 없는 곳은 해당 안전 식별자에게 안전경로로 지정할 수 없다. 다른 예를 들어,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는 휠체어를 이용하는 사람이 있는 경우에 휠체어 이동장치가 존재하는 계단의 경우 안전경로로 결정할 수 있다.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는 안전취약계층의 유형에 따라서 다른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는 대피집단 구성원의 안전취약계층 유형이 농아인 경우에는 출발지부터 안전장소까지 라이트등의 깜빡이를 이용해서 해당 구성원이 안전경로를 인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는 대피집단 구성원의 안전취약계층 유형이 맹인인 경우에는 출발지부터 안전장소까지 안전대피 방송을 가이드로 제공할 수 있다.The evacuation place induction unit 370 for each safety-vulnerable class determines a customized safe route from the departure point to the safe place for each evacuation group member based on the safety identifier, and each member of the evacuation group moves through the safety route by type of safety-vulnerable class A guide can be provided. For example, the evacuation site inducing unit 370 for each safety-vulnerable class may receive the location of each evacuation group member from the safety identifier granting unit 330 and determine the location of each evacuation group member as a starting point. The evacuation place induction unit 370 for each safety-vulnerable class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safe place from the safe place search unit 350 and provide a safe place suitable for the corresponding safety identifier. The evacuation site guide unit 370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may determine a safe path to move for each safety identifier. For example, if there is a person using a wheelchair among the members of the evacuation group, the evacuation site guide unit 370 for each safety-vulnerable class cannot designate a place that cannot be moved by a wheelchair, such as a staircase, as a safe route to the corresponding safety identifier. For another example, the evacuation site guide unit 370 for each safety-vulnerable class may determine a safe route in the case of a stairway having a wheelchair moving device when there is a person using a wheelchair. The evacuation site guide unit 370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may provide a different guid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afety-vulnerable layer. For example, the evacuation place guidance unit 370 for each safety-vulnerable class guides the member to recognize the safe route by using a blinker such as a light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safe place when the type of the safe-vulnerable class of the member of the evacuation group is deaf. can provide For another example, the evacuation site guide unit 370 for each safety-vulnerable class may provide a safe evacuation broadcast from the departure point to the safe place as a guide when the type of the safety-vulnerable class of the members of the evacuation group is blind.

일 실시예에서,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는 책임구성원 식별자에 대해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탐색된 모든 안전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는 책임구성원 식별자가 부여된 사람에게 대피집단 구성원들에게 안전경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모든 안전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는 해당 책임구성원의 사용자 단말(110) 또는 웨어러블 기기에 가이드 맵을 제공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evacuation site induction unit 370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may provide all the safety routes found for each type of safety-vulnerable layer with respect to the responsible member identifier. For example, the evacuation site induction unit 370 for each safety-vulnerable class may provide all safe routes so that the person to whom the responsible member identifier is assigned can induce the movement of the safe route to the members of the evacuation group. For example, the evacuation site guide unit 370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may provide a guide map to the user terminal 110 or the wearable device of the responsible member.

일 실시예에서,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는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구별하여 안전경로를 탐색하고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대응되는 가이드 맵을 생성하고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하여 가이드 맵을 제공할 수 있다.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는 출발지로부터 안전장소까지 이동할 수 있는 안전경로를 포함하는 가이드 맵을 생성할 수 있다. 가이드 맵은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해 안전취약계층 유형을 고려하여 생성된 지도이다.In one embodiment, the evacuation site guidance unit 370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searches a safety route by classifying each type of safety-vulnerable layer, generates a guide map corresponding to each type of safety-vulnerable layer, and provides a guide map for each member of the evacuation group can do. The evacuation site guide unit 370 for each safety-vulnerable class may generate a guide map including a safe path that can move from a departure point to a safe place. The guide map is a map generated by considering the type of safety-vulnerable class for each member of the evacuation group.

일 실시예에서,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는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복수개의 안전경로를 결정하는 제1 과정, 안전 식별자를 기초로 안전경로를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하여 부여하는 제2 과정 및 안전취약계층 유형에 따라서 분류된 가이드 라인을 기초로 구성원이 안전장소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하는 제3 과정을 통해 구성원에게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는 복수개의 안전경로 중 가장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어린이 등 이동이 느릴 수 있는 대피집단 구성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는 대피집단 구성원의 수와 해당 안전경로가 혼잡해지는 것을 예상해서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해 다른 안전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취약계층 유형에 따라서 분류된 가이드 라인은 농아에게는 시각적 효과를 통해, 맹인에게는 청각적 효과를 통해서 안전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방법이 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evacuation site induction unit 370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is a first process of determining a plurality of safety routes for each type of safety-vulnerable layer, and a second step of giving a safety route to each member of the evacuation group based on the safety identifier Guidance can be provided to members through the third process of providing a guide so that members can move to a safe place based on the guideline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ocess and type of safety-vulnerable class. For example, the evacuation site guide unit 370 for each safety-vulnerable class may provide the fastest path among a plurality of safe paths to members of the evacuation group, such as children, who may move slowly. For example, the evacuation site guide unit 370 for each safety-vulnerable class may provide a different safety route for each of the evacuation group members in anticipation of the number of evacuation group members and the corresponding safety route being congested. For example, a guidelin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safety-vulnerable class may be a guide method for moving to a safe place through a visual effect for the deaf and an auditory effect for the blind.

제어부(390)는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위험장소 결정부(310), 안전 식별자 부여부(330), 안전장소 검색부(350) 및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9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vacuation site guidance device 130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and the dangerous place determining unit 310 , the safety identifier granting unit 330 , the safe place search unit 350 , and the safety-vulnerable layer. It is possible to manage a control flow or a data flow between the star shelter induction units 370 .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에 의한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과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guiding an evacuation site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by the evacuation-place guiding device 130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는 위험장소 결정부(310)를 통해, 안전사고의 종류를 기초로 위험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S410).Referring to FIG. 4 , the evacuation site guidance device 130 for each safety-vulnerable class may determine a dangerous area based on the type of safety accident through the dangerous place determining unit 310 ( S410 ).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는 안전 식별자 부여부(330)를 통해, 위험영역 내에 있는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하여 비콘을 통해 안전취약계층 유형을 수신하여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을 안전취약계층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안전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S430).The evacuation site guidance device 130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receives the safety-vulnerable layer type through the beacon for each member of the evacuation group within the danger area through the safety identifier granting unit 330, and assigns each member of the evacuation group to the safety-vulnerable layer. can be classified by type and assigned a safety identifier (S430).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는 안전장소 검색부(350)를 통해, 위험영역으로부터 특정시간 이내에 도달할 수 있는 안전장소를 검색할 수 있다(S450).The evacuation site guidance device 130 for each safety-vulnerable class may search for a safe place that can be reached within a specific time from the danger area through the safe place search unit 350 ( S450 ).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는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를 통해, 안전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관해 출발지로부터 안전장소까지 맞춤형 안전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이 상기 안전경로를 통해 이동하는 동안의 상기 안전취약계층 유형별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S470).The evacuation place guidance device 130 for each safety-vulnerable class determines a customized safe route from the departure point to the safe place for each member of the evacuation group based on the safety identifier through the evacuation place guidance unit 370 for each safety-vulnerable class, and the evacuation While each group member moves through the safety path, a guide for each type of the safety-vulnerable class may be provided (S47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00: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30: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위험장소 결정부 330: 안전 식별자 부여부
350: 안전장소 검색부 370: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
390: 제어부
100: Evacuation site guidance system for each safety-vulnerable class
110: user terminal
130: evacuation site guidance device for each safety-vulnerable class
150: database
210: processor 230: memory
250: user input/output unit 270: network input/output unit
310: hazardous location determination unit 330: safety identifier granting unit
350: safe place search unit 370: evacuation place guidance unit for each safety-vulnerable class
390: control unit

Claims (8)

안전사고의 장소, 종류 및 강도를 기초로 위험영역을 결정하는 위험장소 결정부;
상기 위험영역 내에 있는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하여 비콘을 통해 안전취약계층 유형을 수신하여 상기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을 상기 안전취약계층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안전 식별자를 부여하는 안전 식별자 부여부;
상기 위험영역으로부터 상기 안전사고의 종류에 따라 정해지는 특정시간 이내에 도달할 수 있는 안전장소를 검색하는 안전장소 검색부; 및
상기 안전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관해 출발지로부터 안전장소까지 맞춤형 안전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이 상기 안전경로를 통해 이동하는 동안의 상기 안전취약계층 유형별 가이드를 제공하는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를 포함하되,
상기 안전 식별자 부여부는
상기 대피집단 구성원 중 특정기준을 만족하는 구성원에 대하여 책임 구성원으로 선정하고 상기 책임 구성원에게 책임구성원 식별자를 부여하여 상기 대피집단 구성원을 인솔하여 안전장소로 이동하도록 안전방송을 수행하고 제어하는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는
상기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복수개의 안전경로를 결정하는 제1 과정, 상기 안전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복수개의 안전경로 중 가장 빠른 이동 경로를 어린이를 포함한 이동이 느린 대피집단 구성원에게 부여하고 상기 대피집단 구성원의 수와 안전경로의 혼잡을 고려하여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해 다른 안전경로를 부여하는 제2 과정 및 상기 안전취약계층 유형에 따라서 분류된 가이드 라인을 기초로 라이트의 깜빡이를 이용한 시각적 효과 또는 안전대피 방송을 이용한 청각적 효과를 통해 상기 구성원이 상기 안전장소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하는 제3 과정을 통해 상기 구성원에게 가이드를 제공하고,
상기 책임구성원 식별자에 대해 상기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탐색된 모든 안전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
a hazardous location determining unit that determines a hazardous area based on the location, type, and intensity of the safety accident;
a safety identifier granting unit for receiving the safety-vulnerable layer type through a beacon for each evacuation group member within the danger zone, classifying each of the evacuation group members by type, and assigning a safety identifier;
a safe place search unit that searches for a safe place that can be reached within a specific tim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afety accident from the dangerous area; and
Based on the safety identifier, a customized safe route is determined for each of the evacuation group members from a departure point to a safe place, and each member of the evacuation group provides a guide for each type of safety-vulnerable class while moving through the safety route. Including an evacuation site guide for each layer,
The safety identifier granting unit
Among the members of the evacuation group, a member who satisfies specific criteria is selected as a responsible member, and a responsible member identifier is assigned to the member in charge, so that the member of the evacuation group is guided to a safe place to perform and control the safety broadcast. do
The evacuation site guidance unit for each safety-vulnerable class
A first process of determining a plurality of safety routes for each safety-vulnerable class type, based on the safety identifier, the fastest movement route among the plurality of safety routes is given to members of the evacuation group, including children, and the members of the evacuation group with slow movement Based on the second process of giving different safety routes to each member of the evacuation group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people and the congestion of the safety routes, and the guidelin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safety vulnerable group, visual effects or safety evacuation using the blinking of lights A guide is provided to the member through a third process of providing a guide so that the member can move to the safe place through an auditory effect using broadcasting,
The device for guiding a safe place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characterized in that for the responsible member identifier, all the safety paths found for each type of the safety-vulnerable layer are provi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장소 결정부는
상기 안전사고가 일어난 장소를 특정하는 제1 과정, 상기 안전사고의 종류를 특정하는 제2 과정, 상기 안전사고의 강도를 특정하는 제3 과정, 상기 안전사고의 장소, 종류 및 강도에 따라서 상기 위험영역을 결정하는 제4 과정 및 특정 시간 주기 및 상기 안전사고와 연관된 제2 안전사고의 발생을 기초로 또는 상기 안전사고와 관련된 안전요원의 도착을 포함한 이벤트 발생시 상기 위험영역을 재결정하는 제5 과정을 통해 상기 위험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angerous place determining unit
The first process of specifying the place where the safety accident occurred, the second process of specifying the type of the safety accident, the third process of specifying the intensity of the safety accident, the risk according to the location, type and intensity of the safety accident A fourth process of determining an area and a fifth process of re-determining the hazardous area based on a specific time period and occurrence of a second safety accident related to the safety accident or upon occurrence of an event including the arrival of safety personnel related to the safety accident A device for inducing a safe place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the risk area through th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식별자 부여부는
상기 대피집단 구성원의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상기 대피집단 구성원에 대한 프로파일(Profile)을 수신하여 안전취약계층을 유형별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afety identifier granting unit
A device for inducing a safe place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characterized in that by receiving a profile for the member of the evacuation group from the wearable device of the member of the evacuation group, classifying the safety-vulnerable layer by ty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식별자 부여부는
상기 안전 식별자 부여 이후에 식별자가 부여되지 않은 웨어러블 기기가 위험영역에 접근하는 경우에 상기 안전 식별자를 재부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afety identifier granting unit
Safe place guidance device for each safety vulnerable la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afety identifier is re-assigned when the wearable device to which the identifier is not assigned approaches the danger area after the safety identifier is assig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소 검색부는
상기 안전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안전장소를 검색하고 상기 안전 식별자 각각에 대한 상기 안전장소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afe place search unit
A device for guiding a safe place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afe place is searched for based on the safety identifier and the safe place is assigned to each of the safety identifi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는
상기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구별하여 상기 안전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대응되는 가이드 맵을 생성하고 상기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맵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vacuation site guidance unit for each safety-vulnerable class
A safe place for each safety-vulnerable la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afety route is searched for by classifying the safety-vulnerable layer type, a guide map corresponding to each type of the safety-vulnerable layer is generated, and the guide map is provided to each member of the evacuation group. guide.
삭제delete
KR1020200017074A 2020-02-12 2020-02-12 Safe place induction device for each safety vulnerable group KR1024309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074A KR102430958B1 (en) 2020-02-12 2020-02-12 Safe place induction device for each safety vulnerable grou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074A KR102430958B1 (en) 2020-02-12 2020-02-12 Safe place induction device for each safety vulnerable grou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2710A KR20210102710A (en) 2021-08-20
KR102430958B1 true KR102430958B1 (en) 2022-08-09

Family

ID=77466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074A KR102430958B1 (en) 2020-02-12 2020-02-12 Safe place induction device for each safety vulnerable grou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095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45519A (en) * 2016-09-15 2018-03-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vacuation guidance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and evacuation guidanc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134B1 (en) 2013-01-10 2014-12-23 (주)스마트테크놀로지 Intelligent escape guide method and apparatus
KR101772806B1 (en) 2016-03-14 2017-08-30 윤종식 Emergency shunting incitement method of automatically transforming escape direction according to fire located, and system of the same
KR102424174B1 (en) * 2018-05-24 2022-07-22 (주)케이엠에스 System for controlling evacuation route guidance with smart direction indicator light using beacon
KR101971892B1 (en) * 2018-07-18 2019-04-24 디토닉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Evacuation Path Navigation Through Evacuees Group Gener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45519A (en) * 2016-09-15 2018-03-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vacuation guidance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and evacuation guidanc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2710A (en) 2021-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5134B1 (en) Intelligent escape guide method and apparatus
US11188993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evacuations using positioning systems
EP2366176B1 (en) Route guidance system
WO2017073101A1 (en) Digital smart safety system, method, and program
KR101893040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vacuation route
US20070194922A1 (en) Safe warn building system and method
US20170109981A1 (en) System and method of using a fire spread forecast and bim to guide occupants using smart signs
KR101324849B1 (en) System and method for saving a life using mobile terminal
KR102019438B1 (en) Escaping direction provid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KR101145438B1 (en) Evacuation information guide system and method with impartation function of fire located and evacuation
KR101444395B1 (en) Method and system of automatic intelligent control that can cope with emergency
JP6067197B1 (en) Digital smart safety system, method and program
KR20200013218A (en) Early fire detection system, server and method using image process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deep learning
JP2003151057A (en) Escape guiding system at disaster in limited facilities
CN115622647A (en) Broadcasting method of public event emergency information and intelligent audio equipment
KR102362295B1 (en) Integrated disaster guidance system
CN102530668A (en) Elevator system
KR102430958B1 (en) Safe place induction device for each safety vulnerable group
JP6469824B1 (en) Disaster information support system and disaster information support method
US20170337794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he Output Of Warning Messages
KR102121672B1 (en) System and method for shortest providing evacuation route
KR102059669B1 (en) Disaster Management System With KIOSK
KR102542129B1 (en) Emergency evacuation control method
CN114783125A (en) Fire-fighting emergency directional evacuation system
JP2023181762A (en) Evacuation support device, evacuation support method, and evacuation suppor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