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9366B1 - 실외 부동 급수전의 교환대 - Google Patents
실외 부동 급수전의 교환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29366B1 KR102429366B1 KR1020200109309A KR20200109309A KR102429366B1 KR 102429366 B1 KR102429366 B1 KR 102429366B1 KR 1020200109309 A KR1020200109309 A KR 1020200109309A KR 20200109309 A KR20200109309 A KR 20200109309A KR 102429366 B1 KR102429366 B1 KR 1024293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tchboard
- head
- further provided
- floating
- coupl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4—Column hydra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25—Taps specially designed for outdoor use, e.g. wall hydrants, sill c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에 비치된 부동 급수전을 교환할 수 있도록 지상에 매설 시공하는 교환대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부동 급수전(10)을 결합할 수 있는 교환대 몸체부(100)가 구비되는 한 편, 상기 교환대 몸체부(100)는 상단이 교환대 상부 몸체(110), 하단은 교환대 하부 몸체(120), 상부 일측과 하부 일측에 각각 복수개의 펀칭 통공(210)이 구비된 교환대 파이프(200)로 그 중심이 이루어지는 실외 부동 급수전의 교환대에 관한 것이다.
본 원 발명은 다양한 조건의 필요 시공 환경의 조건 제약 없이 교환대 몸체부(100)의 교환대 파이프(200)의 길이 등을 설정하여 사용되도록 할 수 있으며, 교환대 몸체부(100)를 형성하기 위해 교환대 상부 몸체(110), 교환대 하부 몸체(120)를 사출 생산하기 때문에 초기의 생산과 양산 비용 부담이 적고 교환대 파이프(200)의 재질을 달라지게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서 다양한 사용 용도에 따라 원하는 교환대 몸체부(100)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원 발명은 다양한 조건의 필요 시공 환경의 조건 제약 없이 교환대 몸체부(100)의 교환대 파이프(200)의 길이 등을 설정하여 사용되도록 할 수 있으며, 교환대 몸체부(100)를 형성하기 위해 교환대 상부 몸체(110), 교환대 하부 몸체(120)를 사출 생산하기 때문에 초기의 생산과 양산 비용 부담이 적고 교환대 파이프(200)의 재질을 달라지게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서 다양한 사용 용도에 따라 원하는 교환대 몸체부(100)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실외에 비치된 부동 급수전을 교환할 수 있도록 지상에 매설 시공하는 교환대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특수한 상황과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교환대의 규격 혹은 길이를 조절하거나 사용 목적과 조건에 따라 그 형태를 다변화하고 시공을 보다 빨리 수행하게 할 수 있는 실외 부동 급수전의 교환대에 관한 것이다.
실외에서 용수를 공급받기 위해서는 지하에 수도관이 매설되어져야 하며, 이를 사용케 하기 위해서는 수도관과 연결된 부동 급수전이 지상에 노출되어야 한다. 부동 급수전은 수도관과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 지상 위로 노출되며 수도꼭지를 통해 지상에서 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통해 시공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부동 급수전을 그대로 배관과 연결시키도록 함으로써 시공의 기초 비용을 절감하도록 하였는데, 오랜 시간이 지난 후 부동전의 사용 기간이 만료되거나 한파로 인한 냉해가 발생하여 사용이 불가능해 진 부동 급수전은 따로 교환하거나 설치를 해체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서 콘크리트 지면에 그대로 시공되어졌던 부동 급수전을 제거하기 위해 부동 급수전 근처의 콘크리트를 파내고, 새로운 부동전을 다시 파이프에 시공하는 방법으로 부동 급수전을 교체하다보니 사용 기간이 오래 된 부동 급수전이 있는 부지는 상대적으로 미관이 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부동 급수전의 교체 시공에 필요한 시공자의 공임이 발생하게 되므로 한 번의 교체를 위해 많은 비용이 소모될 수 있었다.
따라서 부동 급수전을 사용 기간에 따라 탈거되거나 교환될 수 있는 고정 장치만을 콘크리트에 매설하고, 부동전은 그 고정 장치로부터 탈거하거나 고정하는 방법을 통해 용이한 교체 및 유지 보수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설비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를 구현하기 위한 부동 급수전의 교환대는 콘크리트를 시공하는 단계에서 함께 시공하여 일부가 지하에 매설된 상태로 부동 급수전을 고정하면서, 부동 급수전이 이탈하지 않게 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 주요 요건이 되어져야 한다.
이러한 요건을 만족하도록 부동 급수전을 교환케 할 수 있는 부동전교환대는 대한민국 공개 특허 공보 제 10-2007-0032982호로 게시된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과 대한민국 공개 특허 공보 제 10-2010-0037673호로 게시된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 제 10-1282303호로 게시된 교체 및 수리 용이한 상수도용 부동전을 참고할 수 있다.
상술 연급한 부동 급수전은 사출이나 전단 등을 통해 제작된 교환대의 직경, 길이에 따라 그 시공이 가능한지 혹은 불가능한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부동 급수전을 시공하는 시공 위치의 작업 환경, 토양 조건 등에 따라 시공을 위해 파내거나 남겨야 하는 토지나 콘크리트의 시공 범위를 정할 수 있고, 따라서 이를 위한 부동 급수전의 교환대는 다양한 규격으로 제작되어져야 한다.
하지만 다양한 규격의 부동 급수전과 그 교환대를 제작하려면 제조가 필요한 규격 정보에 따라 제작에 필요한 기초 양산 비용이 많이 발생할 수 있고, 시공이 불가능한 위치일 경우 부동 급수전 교환대의 개발 단계에서부터 새로 염두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부동 급수전 교환대를 시공할 수 있는 환경이 제한되는 것이기 때문에 부동 급수전 교환대를 시공하지 못하는 환경일 경우 부동전 교환대의 의미가 상실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본 원 발명은 게시된 구성과 작용 및 그 결합과 실시예를 통하여 하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첫째는, 시공이 필요한 필요 시공 환경의 조건 제약 없이 설치될 수 있는 부동전 교환대를 얻고자 하기 위함과,
둘째는, 초기 생산 및 양산 비용 부담이 저렴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다양한 소재로 제조되어 응용될 수 있는 실외 부동 급수전의 교환대를 얻고자 하기 위함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원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환대 헤드(300)를 통해 부동 급수전(10)을 결합할 수 있는 교환대 몸체부(100)가 구비되고, 상기 교환대 몸체부(100)는 상단이 교환대 상부 몸체(110), 하단은 교환대 하부 몸체(120), 상부 일측과 하부 일측에 각각 복수개의 펀칭 통공(210)이 구비된 교환대 파이프(200)로 그 중심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교환대 상부 몸체(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헤드 버텀(115)이 구비된 상부 프레임부(111)와, 상기 상부 프레임부(111)와 대응된 일측단에 프레임 끼움 지그(132)가 더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프레임부(111)는 프레임 끼움 지그(132)와의 탈거 혹은 결합이 가능하다.
교환대 하부 몸체(120)는 도 4에 도시돤 바와 같이 내부에 엘보 소켓(150)이 구비된 하부 프레임부(121)와, 상기 하부 프레임부(121)와 대응된 일측단에 프레임 끼움 지그(132')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교환대 몸체부(100)는 시공 조건에 따라 교환대 파이프(200)를 시공이 필요한 규격과 길이에 따라 자유롭게 재단하여 사용할 수 있고 교체나 교환도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은 사출 비용이 많이 발생하지 않아 생산 비용이 크게 절감된다는 특징이 있다. 한편, 교환대 파이프(20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황동,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을 주 재료로 할 경우 다른 재질로 했을 경우와 비교했을 때 그 교체 주기가 늘어나게 되어 내구성이 개선되고, 시공자는 수요자의 시공 목표, 허용 예산 등에 따라 합당한 방향으로 부동전 시공을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생긴다.
이상과 같은 결합으로 이루어 진 상기 교환대 몸체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지면에 굴착하거나 콘크리트를 시공하는 방법으로 일부를 매설 시공하고, 콘트리트에 의해 지면에 유지될 수 있다. 시공 전에는 수도 파이프(P)가 엘보 소켓(150)이 구비된 교환대 하부 몸체(120)의 하부 프레임부(121)에 끼워지게 되고, 그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시공하거나 지면을 다시 메우는 형태로 시공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본 원 발명이 당면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과 그 결합으로 이루어 진 본 원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부터 하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는, 시공이 필요한 필요 시공 환경의 조건 제약 없이 설치될 수 있고,
둘째는, 초기 생산 및 양산 비용 부담이 저렴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다양한 소재로 제조되어 응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원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과 그 결합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교환대 몸체부(100)를 지면에 시공한 형상을 도시한 실시도.
도 3은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교환대 상부 몸체(110)를 이루는 부속간의 결합을 도시한 부분 분해도.
도 4는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교환대 하부 몸체(120)를 이루는 부속간의 결합을 도시한 부분 분해도.
도 5는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교환대 몸체부(100)의 내부에 도시된 부속들의 구성과 그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교환대 상부 몸체(110)를 이루는 부속들의 구성과 그 결합관계를 도시한 상부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교환대 하부 몸체(120)를 이루는 부속들의 구성과 그 결합관계를 도시한 하부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동 급수전(10)의 일측단에 복수개의 단턱(12)을 설치한 형상을 도시한 실시도.
도 9는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밀 시트(20)의 상부 일측에 가이드부(31)를 설치한 형상을 도시한 실시도.
도 10은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교환대 헤드(300)의 상단에 이물질 유입 방지 돔(35)을 설치한 형상을 도시한 실시도.
도 11은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 통공(135)에 나사캡(101)을 삽입한 형상을 도시한 실시도.
도 12는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동 급수전(10)에 이물질 유입 방지 링(39)을 삽입한 형상을 도시한 실시도.
도 13은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동 급수전(10)의 하단부를 엘보 소켓(150)에 직접 삽입하는 형상을 도시한 실시도.
도 2는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교환대 몸체부(100)를 지면에 시공한 형상을 도시한 실시도.
도 3은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교환대 상부 몸체(110)를 이루는 부속간의 결합을 도시한 부분 분해도.
도 4는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교환대 하부 몸체(120)를 이루는 부속간의 결합을 도시한 부분 분해도.
도 5는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교환대 몸체부(100)의 내부에 도시된 부속들의 구성과 그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교환대 상부 몸체(110)를 이루는 부속들의 구성과 그 결합관계를 도시한 상부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교환대 하부 몸체(120)를 이루는 부속들의 구성과 그 결합관계를 도시한 하부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동 급수전(10)의 일측단에 복수개의 단턱(12)을 설치한 형상을 도시한 실시도.
도 9는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밀 시트(20)의 상부 일측에 가이드부(31)를 설치한 형상을 도시한 실시도.
도 10은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교환대 헤드(300)의 상단에 이물질 유입 방지 돔(35)을 설치한 형상을 도시한 실시도.
도 11은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 통공(135)에 나사캡(101)을 삽입한 형상을 도시한 실시도.
도 12는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동 급수전(10)에 이물질 유입 방지 링(39)을 삽입한 형상을 도시한 실시도.
도 13은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동 급수전(10)의 하단부를 엘보 소켓(150)에 직접 삽입하는 형상을 도시한 실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 한다. 사용되는 용어들과 의미는 도면을 참고로 한 실시예에서의 기능과 작용 및 구성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이며, 사용자 및 실시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다. 본 원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 그 정의에 따르지만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당업자에게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원 발명의 일 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 결합을 설명하는 도면에는 일부 부호가 생략 도시될 수 있으나 이는 통상적으로 본 원 발명을 이루기 위해 하기 기술하는 구성 및 작용 실시예를 근거로 부속의 위치 등을 본 원 발명의 실시범위 안에서 해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환대 헤드(300)를 통해 부동 급수전(10)을 결합할 수 있는 교환대 몸체부(100)가 구비되고, 상기 교환대 몸체부(100)는 상단이 교환대 상부 몸체(110), 하단은 교환대 하부 몸체(120), 상부 일측과 하부 일측에 각각 단일 혹은 복수개 중 택일된 펀칭 통공(210)이 구비된 교환대 파이프(200)로 그 중심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교환대 상부 몸체(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헤드 버텀(115)이 구비된 상부 프레임부(111)와, 상기 상부 프레임부(111)와 대응된 일측단에 프레임 끼움 지그(132)가 더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프레임부(111)는 프레임 끼움 지그(132)와의 탈거 혹은 결합이 가능하고, 이를 위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부(111)와 프레임 끼움 지그(132)는 상호 대응되도록 결합 통공(135)이 구비되어 볼트나 너트 등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결합을 이루어 낼 수 있다.
한 편, 상기 프레임 끼움 지그(132)의 내부면 일측에는 파이프 결합펀칭(139)이 구비된다. 상기 파이프 결합 펀칭(139)은 교환대 파이프(200)의 펀칭 통공(210)과의 결합을 통하여 상기 교환대 파이프(200)가 교환대 상부 몸체(110)와 결합할 때 바람직한 결합면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한 편, 상부 프레임부(111)와 프레임 끼움 지그(132)가 결합을 이루며 상기 교환대 상부 몸체(110)로부터 압축 하중을 주게 되는데, 이 때 상기 교환대 상부 몸체(110)와 교환대 파이프(200)의 결합이 서로 이탈하지 않게 할 수 있다.
교환대 하부 몸체(120)는 도 4에 도시판 바와 같이 내부에 엘보 소켓(150)이 구비된 하부 프레임부(121)와, 상기 하부 프레임부(121)와 대응된 일측단에 프레임 끼움 지그(132')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이때 구비된 프레임 끼움 지그(132')는 상기 상부 프레임부(111)의 대응된 일측단에 구비된 프레임 끼움 지그(132)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부(121)는 상기 프레임 끼움 지그(132')와 상호 대응하도록 결합 통공(135)이 더 구비됨으로써 교환대 파이프(200)의 펀칭 통공(210)을 통해 상기 하부 프레임부(121)와 상기 프레임 끼움 지그(132')의 파이프 결합 펀칭(139)을 맞물려 결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교환대 몸체부(100)는 시공 조건에 따라 교환대 파이프(200)를 시공이 필요한 규격과 길이에 따라 자유롭게 재단하여 사용할 수 있고 교체나 교환도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은 사출 비용이 많이 발생하지 않아 생산 비용이 크게 절감된다는 특징이 있다. 한편, 교환대 파이프(20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황동,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을 주 재료로 할 경우 다른 재질로 했을 경우와 비교했을 때 그 교체 주기가 늘어나게 되어 내구성이 개선되고, 시공자는 수요자의 시공 목표, 허용 예산 등에 따라 합당한 방향으로 부동전 시공을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생긴다.
또한 교환대 파이프(200)의 재질 선택에 따라 시공자와 수요자는 보다 적은 비용으로 부동전을 시공하거나 보다 고품질의 교환대 몸체부(100)전을 시공할 수 있어서 해당 부동전이 시공된 부지나 건물 등의 부동산 가치를 상승시켜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동절기에 부동전이 얼지 않도록 내부면에 단열재 등을 충진하여 단열 시공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일 실시예이다.
한 편, 상기 하부 프레임부(121)의 내부에 엘보 소켓(150)은 제조 단계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부(121)가 만들어 지는 것과 함께 성형되어 제작한다. 이는 교환대 몸체부(100)에 수도 파이프를 연결할 때 별도의 엘보 파이프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고 교환대 몸체부(100)를 지하에서 시공하게 될 경우 일자형 파이프와 엘보 파이프를 함께 연결하면서 발생하는 시공 시간을 감축시킬 수 있고, 시공 시간 감축에 따라 수요자는 시공에 필요한 시공자들의 공임을 절감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교환대 몸체부(100)와 부동 급수전(10)은 실외에서 장시간 노출되며, 노출이 지속되면 상기 결합 통공(135)에 결합되어 있는 나사 등과 같은 결합 요소에 녹이 슬게 되어 미관이 손상되는 특징이 있는데, 이를 위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캡(101)을 상기 결합 통공(135)의 선단에 구비하여 끼울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결합으로 이루어 진 상기 교환대 몸체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지면에 굴착하거나 콘크리트를 시공하는 방법으로 일부를 매설 시공하고, 콘트리트에 의해 지면에 유지될 수 있다. 시공 전에는 수도 파이프(P)가 엘보 소켓(150)이 구비된 교환대 하부 몸체(120)의 하부 프레임부(121)에 끼워지게 되고, 그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시공하거나 지면을 다시 메우는 형태로 시공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시공이 끝난 교환대 몸체부(100)에 부동 급수전(10)을 삽입하고, 상기 부동 급수전(10)을 통해 상기 상부 프레임부(111)의 헤드 버텀(115)에 교환대 헤드(30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동 급수전(10)을 교환대 파이프(200)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 교환대 헤드(300)는 반 원형으로 전개된 한 쌍의 헤드 파이프(310)가 서로가 결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은 시공자나 사용자가 잡고 돌릴 수 있으며 상기 교환대 상부 몸체(110)의 상부로 노출되는 그립부(301)로 이루어지고, 하단은 헤드 버텀(115)에 결합하여 끼울 수 있는 헤드 탑(302)이 구비된다. 헤드 버텀(115)과 헤드 탑(302)은 나사와 같은 결합 요소로 이루어져 있고 서로 맞물려서 조립과 탈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 편, 시공자가 사용자가 헤드 버텀(115)을 돌려서 눌림 파이프(250)에 보다 압축 하중을 원활하기 전달하게 하기 위해 상기 헤드 버텀(115)의 외주면에는 버텀 그립(320)이 더 형성된다.
이때 상기 헤드 버텀(115)에 형성되는 버텀 그립(320)은 복수개의 돌출부가 구비된 형태도 바람직하지만 널링, 홈 등을 형성하는 것 역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이다.
다시 도 3에 도시된 바에 있어서, 상기 헤드 파이프(310)가 상기 결합되어 교환대 헤드(300)를 이룸에 있어서, 교환대 헤드(300)를 결합하기 위해 구비된 헤드 파이프(310)의 결합부 일측부는 돌출(311)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311)이 구비된 결합부의 대응된 일측에는 요부(312)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 진 헤드 파이프(310)는 동일한 형태의 헤드 파이프(310)를 사출하여 제작하더라도 결합을 해야 하는 단일의 헤드 파이프(310)를 뒤집게 되면 헤드 파이프(310)의 결합부에 있던 돌출(311)과 요부(312)가 서로 맞물리기 때문에 제작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교환대 헤드(300)가 부동 급수전(10)을 교환대 몸체부(100)로부터 고정하여 결합을 유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환대 몸체부(100)의 내부에는 눌림 파이프(250)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부동 급수전(10)의 하단에는 기밀 시트(20)가 더 구비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버텀(115)에 결합되어진 교환대 헤드(300)가 시공자나 사용자가 그립부(301)를 잡고 돌리게 되면 하강하면서 상기 교환대 몸체부(100)의 내부에 구성된 눌림 파이프(250)의 상면에 압축 하중을 주게 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눌림 파이프(250)의 하면이 기밀 시트(20)에 맞물리게 되며 교환대 헤드(300)에서 발생한 압축 하중을 전달한다.
기밀 시트(20)는 하단에 고무, 라텍스, 실리콘 중 택일한 재질로 이루어 진 연질의 완충 마개(21)가 더 구비되고, 중심단 일측 외부면에는 챙(25)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눌림 파이프(250)의 하면은 상기 기밀 시트(20)의 챙(25)에 접촉되는 것이다.
한 편, 상기 기밀 시트(20)는 교환대 몸체부(100)에서 사용되는 교환대 파이프(200)의 직경이나 길이 등이 달라졌을 때 눌림 파이프(250)의 직경과 기밀 시트(20)의 외주면에 구비된 챙(25)이 서로 맞물리지 않게 될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밀 시트(20)의 상단에 가이드부(31)가 더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상과 같은 기밀 시트(20)를 통해 시공자와 사용자는 부동 급수전(10)과 눌림 파이프(250)를 교환대 몸체부(100)의 내주면 중심에 삽입한 후, 교환대 헤드(300)를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도 5와 같은 형상으로 결합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환대 파이프(200)와 부동 급수전(10)이 별도의 결합을 하지 않아도 교환대 헤드(300)에 의해 부동 급수전(10)이 교환대 몸체부(100)에 밀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부동 급수전(10)과 교환대 몸체부(100)의 결합면 사이에 유격 등이 발생하여 누수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다.
한 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눌림 파이프(250)를 사용하지 않고 부동 급수전(10)의 일측단에 복수개의 단턱(12)을 추가로 설치하게 함으로써 사용되는 부품의 수를 줄일 수도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동 급수전(10)의 하단에 기밀 시트(20)를 설치하지 않고 엘보 소켓(150)에 직접 결합시킬 수 도 있는 방법도 결합 방법 중 하나의 결합 예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엘보 소켓(150)과 부동 급수전(10)의 결합을 이루기 위하여 형성되는 결합 부위에는 나사 등과 같은 결합 수단이 구비되어 있어야 하지만, 이는 통상의 상식에서 자명하게 유추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 편, 상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합을 통한 방식을 통해 엘보 소켓(150)과 부동 급수전(10)을 결합하게 될 경우 눌림 파이프(250)는 결합을 위해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제거된다.
이상과 같이 결합이 이루어 진 부동 급수전(10)과 교환대 몸체부(100)는 교환대 헤드(300)의 내부면에 있는 유격 때문에 이물질이나 절지동물, 뱀 등과 같은 야생 생물들이 들어갈 수도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환대 헤드(300)의 상부 일측에 이물질 유입 방지 돔(35)을 더 끼울 수도 있다.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 돔(35)은 라텍스, 고무, 실리콘과 같은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양측단 끝 부분의 두께가 몸체 전체보다 더 두꺼운 상태의 관통된 링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교환대 헤드(300)의 상부 일측과 부동 급수전(10)의 일측단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하여 물이나 이물질, 야생 생물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환대 헤드(300)의 내주면과 부동 급수전(10)의 외주면 사이의 유격으로 인해 교환대 몸체부(100)의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이물질 유입 방지 돔(35) 대신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 링(39)을 상기 교환대 헤드(300)의 내주면에 구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과 결합 및 그 실시예로 이루어 진 본 원 발명은 다양한 조건의 필요 시공 환경의 조건 제약 없이 교환대 몸체부(100)의 교환대 파이프(200)의 길이 등을 설정하여 사용되도록 할 수 있으며, 교환대 몸체부(100)를 형성하기 위해 교환대 상부 몸체(110), 교환대 하부 몸체(120)를 사출 생산하기 때문에 초기의 생산과 양산 비용 부담이 적고 교환대 파이프(200)의 재질을 달라지게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서 다양한 사용 용도에 따라 원하는 교환대 몸체부(100)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 작용 및 효과에 대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와 구성 및 작용을 포괄하여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되고 이와 같이 해석되어야 한다.
10 : 부동 급수전 12 : 단턱
20 : 기밀 시트 21 : 완충 마개
25 : 챙 31 : 가이드부
35 : 이물질 유입 방지 돔 39 : 이물질 유입 방지 링
100 : 교환대 몸체부 101 : 나사 캡
110 : 교환대 상부 몸체 111 : 상부 프레임부
115 : 헤드 버텀 120 : 교환대 하부 몸체
121 : 하부 프레임부 132, 132' : 프레임 끼움 지그
135, 135' : 결합 통공 139, 139' : 파이프 결합 펀칭
150 : 엘보 소켓 200 : 교환대 파이프
210 : 펀칭 통공 250 : 눌림 파이프
300 : 교환대 헤드 301 : 그립부
302 : 헤드 탑 310 : 헤드 파이프
311 : 돌출 312 : 요부
315 : 단턱 320 : 버텀 그립
20 : 기밀 시트 21 : 완충 마개
25 : 챙 31 : 가이드부
35 : 이물질 유입 방지 돔 39 : 이물질 유입 방지 링
100 : 교환대 몸체부 101 : 나사 캡
110 : 교환대 상부 몸체 111 : 상부 프레임부
115 : 헤드 버텀 120 : 교환대 하부 몸체
121 : 하부 프레임부 132, 132' : 프레임 끼움 지그
135, 135' : 결합 통공 139, 139' : 파이프 결합 펀칭
150 : 엘보 소켓 200 : 교환대 파이프
210 : 펀칭 통공 250 : 눌림 파이프
300 : 교환대 헤드 301 : 그립부
302 : 헤드 탑 310 : 헤드 파이프
311 : 돌출 312 : 요부
315 : 단턱 320 : 버텀 그립
Claims (8)
- 부동 급수전(10)을 결합할 수 있는 교환대 몸체부(100)가 구비되는 한 편, 상기 교환대 몸체부(100)는 상단이 교환대 상부 몸체(110), 하단은 교환대 하부 몸체(120), 상부 일측과 하부 일측에 각각 단일 혹은 복수개 중 택일된 펀칭 통공(210)이 구비된 교환대 파이프(200)로 그 중심이 이루어지는 실외 부동 급수전의 교환대에 있어서,
상기 교환대 몸체부(100)의 내부에는 눌림 파이프(250)가 더 구비되고,
상기 교환대 상부 몸체(110)는,
외주면에 버텀 그립(320)이 구비된 한 편, 상부에 헤드 버텀(115)이 구비된 상부 프레임부(111)와,
상기 상부 프레임부(111)와 대응된 일측단에 프레임 끼움 지그(132)가 더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프레임부(111)와 프레임 끼움 지그(132)는 상호 대응되도록 결합 통공(135)이 구비되어 볼트나 너트 등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결합 통공(135)의 선단에는 나사 캡(101)이 더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끼움 지그(132)의 내부면 일측에는 파이프 결합 펀칭(139)이 더 구비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부(111)의 헤드 버텀(115)에 교환대 헤드(30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 부동 급수전의 교환대. - 제 1항에 있어서,
교환대 하부 몸체(120)는,
내부에 엘보 소켓(150)이 구비된 하부 프레임부(121)와,
상기 하부 프레임부(121)와 대응된 일측단에 프레임 끼움 지그(132')가 더 구비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부(121)는 상기 프레임 끼움 지그(132')와 상호 대응하도록 결합 통공(135)이 더 구비되고,
하부 프레임부(121)의 내부에 엘보 소켓(15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 부동 급수전의 교환대. - 제 1항에 있어서,
교환대 헤드(300)는 반 원형으로 전개된 한 쌍의 헤드 파이프(310)가 서로가 결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은 교환대 상부 몸체(110)의 상부로 노출되는 그립부(301)로 이루어지며,
상기 헤드파이프(310)의 내주면 복수개의 단턱(315)이 더 구비되고,
하단은 헤드 버텀(115)에 결합하여 끼울 수 있도록 헤드 버텀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구비된 헤드 탑(30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 부동 급수전의 교환대.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대 헤드(300)를 결합하기 위해 구비된 헤드 파이프(310)의 결합부 일측부는 돌출(311)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311)이 구비된 결합부의 대응된 일측에는 요부(312)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 부동 급수전의 교환대. - 제 1항에 있어서,
부동 급수전(10)의 하단에는 기밀 시트(20)가 더 구비되고,
상기 기밀 시트(20)는 하단에 연질의 완충 마개(21)가 더 구비되고, 중심단 일측 외부면에는 챙(25)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 부동 급수전의 교환대.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 시트(20)의 상단에 가이드부(3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 부동 급수전의 교환대.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대 헤드(300)의 상부 일측에 이물질 유입 방지 돔(35)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 부동 급수전의 교환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대 헤드(300)의 내주면에 이물질 유입 방지 링(39)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 부동 급수전의 교환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9309A KR102429366B1 (ko) | 2020-08-26 | 2020-08-26 | 실외 부동 급수전의 교환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9309A KR102429366B1 (ko) | 2020-08-26 | 2020-08-26 | 실외 부동 급수전의 교환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6981A KR20220026981A (ko) | 2022-03-07 |
KR102429366B1 true KR102429366B1 (ko) | 2022-08-03 |
Family
ID=80817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9309A KR102429366B1 (ko) | 2020-08-26 | 2020-08-26 | 실외 부동 급수전의 교환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29366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73418A (ja) | 1999-07-06 | 2001-03-21 | Hokkaido Suido Kizai Kk | 不凍消火栓および不凍散水栓 |
US6684900B1 (en) | 2002-09-05 | 2004-02-03 | John C. Kupferle Foundry Company | Installation device for yard hydrant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1821B1 (ko) | 2007-03-05 | 2008-05-28 | 김하용 |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
KR101021261B1 (ko) * | 2008-07-14 | 2011-03-11 | 주식회사 미래산업 | 수도관의 결속관체에 부동급수전의 지지구조 |
KR100998176B1 (ko) | 2008-10-02 | 2010-12-03 | 주식회사 미래산업 |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
KR101282303B1 (ko) | 2012-06-19 | 2013-07-10 | 박남태 | 교체 및 수리 용이한 상수도용 부동전 |
EP3574101B1 (en) | 2017-01-30 | 2023-04-19 | KWS SAAT SE & Co. KGaA | Repair template linkage to endonucleases for genome engineering |
-
2020
- 2020-08-26 KR KR1020200109309A patent/KR102429366B1/ko active IP Right Review Reques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73418A (ja) | 1999-07-06 | 2001-03-21 | Hokkaido Suido Kizai Kk | 不凍消火栓および不凍散水栓 |
US6684900B1 (en) | 2002-09-05 | 2004-02-03 | John C. Kupferle Foundry Company | Installation device for yard hydra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6981A (ko) | 2022-03-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6025466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emporarily stopping the flow in a live fluid carrying pipe | |
KR100514718B1 (ko) | 지중 구조물 조립식 관로구 | |
KR20210000431U (ko) | 유지보수가 용이한 급수전 | |
KR102429366B1 (ko) | 실외 부동 급수전의 교환대 | |
KR100831821B1 (ko) |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 |
KR100634781B1 (ko) | 지중 구조물용 조립식 관로구 | |
KR200394863Y1 (ko) | 맨홀의 배수관 연결 플랜지 | |
KR102247975B1 (ko) | 수전박스 | |
KR101698545B1 (ko) | 수도배관 연결용 벽체 매립박스 | |
KR100618638B1 (ko) | 수전금구 연결케이스 | |
RU2010118800A (ru) | Корпус холоди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с кабельной проходкой и способ сборки такого корпуса | |
KR101047503B1 (ko) | 분기관 소켓 | |
KR20140136687A (ko) | 조립식 하수관 | |
KR100779987B1 (ko) | 본관과 지관의 연결을 위한 관 연결구 | |
KR200284479Y1 (ko) | 전선 보호용 파이프 | |
WO2004018921A1 (en) | Elbow for hot water and cold water piping | |
KR102626941B1 (ko) | 수전박스용 연장구 | |
JPH08326484A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体の継手構造およ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体 | |
KR200374094Y1 (ko) | 제거형 소일 네일의 구조 | |
KR20230003877A (ko) | 내구성이 향상된 부동급수전 | |
KR200389398Y1 (ko) | 건널목 환경 암거 수로관 | |
JP2001115471A (ja) | 沈埋トンネルの可撓性継手構造 | |
KR200261855Y1 (ko) | 전기 콘센트 박스 결합 고무스프링결합 너트 | |
KR200348065Y1 (ko) | 벽체 수도관 지지구조 | |
KR102638261B1 (ko) | 배관박스형 노말밴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J204 |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 ||
J202 |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5000021;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30307 Effective date: 20230504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354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1221 Effective date: 2023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