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9164B1 - 차축식 피트만 암 조향 차량의 얼리인먼트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차축식 피트만 암 조향 차량의 얼리인먼트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9164B1
KR102429164B1 KR1020160153706A KR20160153706A KR102429164B1 KR 102429164 B1 KR102429164 B1 KR 102429164B1 KR 1020160153706 A KR1020160153706 A KR 1020160153706A KR 20160153706 A KR20160153706 A KR 20160153706A KR 102429164 B1 KR102429164 B1 KR 102429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drag
link
fluid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6025A (ko
Inventor
송자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3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164B1/ko
Publication of KR20180056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7/00Means on vehicles for adjusting camber, castor, or to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20Steer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R유체를 이용하여 스티어링 휠의 틀어짐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축식 피트만 암 조향 차량의 얼리인먼트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중소형 및 대향 트럭 등의 조향 장치에 포함된 드래그 링크에 MR유체를 이용한 얼라인먼트 조절장치를 장착하여, 스티어링 휠의 조향이 없을 때는 얼라인먼트 조절장치의 유효 스트로크를 통해 토우각에 따른 드래그 링크의 전후진량을 흡수하는 동시에 스티어링 휠의 틀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스티어링 휠의 조향이 있는 경우에는 얼라인먼트 조절장치의 유효 스트로크 고정을 통해 원활한 조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차축식 피트만 암 조향 차량의 얼리인먼트 조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축식 피트만 암 조향 차량의 얼리인먼트 조절 장치{Device for adjusting alignment of steering link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축식 피트만 암 조향 차량의 얼리인먼트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MR유체를 이용하여 스티어링 휠의 틀어짐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축식 피트만 암 조향 차량의 얼리인먼트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용차량 중 중소형 트럭 등에는 전륜 1축 조향장치가 탑재되어 있고, 대형트럭 등에는 전륜 1,2축 조향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첨부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륜 1축 조향장치는 운전석의 스티어링 휠과 연결되는 스티어링 기어박스(10)와, 스티어링 기어박스(10)의 출력축에 연결되는 일종의 출력링크인 피트만 암(12)와, 전단부는 피트만 암(12)에 연결되고 후단부는 너클암(16)에 연결되어 피트만 암의 각회전시 전후진하는 드래그 링크(14)와, 드래그 링크(14)와 주행휠 허브(20) 간에 연결되어 주행 휠을 조향시키는 너클암(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스티어링 휠의 조향에 따른 스티어링 기어박스로부터의 피트만 암(12)으로 감속력이 출력되면, 피트만 암(12)이 시계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각회전하는 동시에 드래그 링크(14)가 전진 또는 후진방향으로 직선 운동하게 되고, 드래그 링크(14)와 연결된 너클암(16)이 주행휠 허브(2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향시킴으로써, 주행휠의 조향이 이루어진다.
첨부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륜 1,2축 조향장치는 전륜 1축 조향장치와 같이 운전석의 스티어링 휠과 연결되는 스티어링 기어박스(10)와, 스티어링 기어박스(10)의 출력축에 연결되는 일종의 출력링크인 피트만 암(12) 등을 포함하고, 제1주행휠 허브(20a)와 제2주행휠 허브(20b)에 각각 제1드래그 링크(14a)와 제2드래그 링크(14b)가 별도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운전석의 스티어링 휠과 주행휠 허브가 피트만 암을 비롯하여 드래그 링크 및 너클암 등을 매개로 링키지 타입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차량 쏠림 내지 스티어링 휠의 틀어짐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첫째, 도 3에서 보듯이 주행 시 노면에 따라 현가장치가 작동하면서 주행휠이 위 아래로 움직이게 될 때, 그 충격으로 인하여 스티어링 휠을 조향하지 않아도 주행휠에 토우각(toe angle, 차량을 위 또는 아래에서 보았을 때, 주행휠(바퀴)이 차량의 전면에서 후면에 이르는 중심을 지나는 직선과 이루는 각)이 발생하여 직진 주행 중에도 차량 쏠림 및 타이어 편마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도 4에서 보듯이 주행휠이 위 아래로 움직이는 충격 또는 지오메트리 에러 등으로 주행휠에 토우각이 발생하면, 주행휠 허브(20)과 너클암(16)을 매개로 연결된 드래그 링크(14)가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드래그 링크(14)와 연결된 피트만 암(12)이 각회전을 하여, 결국 차량 쏠림과 동시에 원하지 않게 스티어링 휠(22)이 마치 운전자가 조향을 한듯이 틀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중소형 및 대향 트럭 등의 조향 장치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과 주행휠 허브가 피트만 암을 비롯하여 드래그 링크 및 너클암 등을 매개로 링키지 타입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 쏠림 내지 스티어링 휠의 틀어짐 등의 고질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중소형 및 대향 트럭 등의 조향 장치에 포함된 드래그 링크에 MR유체를 이용한 얼라인먼트 조절장치를 장착하여, 스티어링 휠의 조향이 없을 때는 얼라인먼트 조절장치의 유효 스트로크를 통해 토우각에 따른 드래그 링크의 전후진량을 흡수하는 동시에 스티어링 휠의 틀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스티어링 휠의 조향이 있는 경우에는 얼라인먼트 조절장치의 유효 스트로크 고정을 통해 원활한 조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차축식 피트만 암 조향 차량의 얼리인먼트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과 연결되는 스티어링 기어박스와,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출력축에 연결되는 피트만 암와, 전단부는 피트만 암에 연결되고 후단부는 너클암에 연결되는 드래그 링크와, 드래그 링크와 주행휠 허브 간에 연결되는 너클암을 포함하는 차축식 피트만 암 조향 차량의 얼리인먼트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링크를 피트만 암에 연결되는 제1드래그 분할링크와 너클암에 연결되는 제2드래그 분할링크로 분할하고, 제1드래그 분할링크와 제2드래그 분할링크 간에 MR유체를 이용한 얼라인먼트 조절장치를 연결 장착하여, 스티어링 휠의 조향이 없을 때는 얼라인먼트 조절장치의 유효 스트로크를 통해 너클암에 연결된 드래그 링크의 전후진량을 흡수하고, 스티어링 휠의 조향이 있는 경우에는 얼라인먼트 조절장치의 유효 스트로크 고정을 통해 원하는 조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식 피트만 암 조향 차량의 얼리인먼트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MR유체를 이용한 얼라인먼트 조절장치는: 중공실린더; 제1드래그 분할링크와 연결되면서 중공실린더의 전단부에 장착되는 MR유체 케이스; 제2드래그 분할링크와 연결되면서 중공실린더의 후단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삽입 배치되는 플런저; MR유체 출입홀이 관통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플런저의 전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MR유체 케이스내에 출입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 및 MR유체의 점성 조절을 위한 전류인가를 위하여 피스톤의 MR유체 출입홀 내경부에 부착되는 전자석;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공실린더의 내벽면에는 락킹핀 출입홈이 형성되고, 이 락킹핀 출입홈에는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되는 락킹핀이 출입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플런저의 외경면에는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락킹핀이 잠금 삽입되는 락킹핀 잠금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얼라인먼트 조절장치는 전자석에 전류를 인가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제어기에서 인가되는 전류는 플런저 및 피스톤의 내부에 내설된 전류 커넥트 라인을 통해 전자석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기는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 유무신호를 전송하는 조향각 센서 또는 조향각속도 센서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MR유체 케이스의 전단부와 상기 플런저의 후단부에는 각각 제1드래그 분할링크 및 제2드래그 분할링크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숫나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중소형 및 대향 트럭 등의 조향 장치에 포함된 드래그 링크에 MR유체를 이용한 얼라인먼트 조절장치를 장착하여, 스티어링 휠의 조향이 없을 때는 얼라인먼트 조절장치의 유효 스트로크를 통해 토우각에 따른 드래그 링크의 전후진량을 흡수함으로써, 스티어링 휠의 틀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스티어링 휠의 틀어짐에 따른 차량 쏠림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스티어링 휠의 조향이 있는 경우에는 얼라인먼트 조절장치의 유효 스트로크 고정을 통해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에 따른 원활한 조향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전륜 1축 조향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전륜 1,2축 조향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종래의 조향장치에서 발생하는 토우각 문제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종래의 조향장치에서 발생하는 차량 쏠림 및 스티어링 휠의 틀어짐 현상을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축식 피트만 암 조향 차량의 얼리인먼트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축식 피트만 암 조향 차량의 얼리인먼트 조절 장치가 작동하는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MR 유체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얼리인먼트 조절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얼리인먼트 조절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첨부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륜 1축 조향장치는 운전석의 스티어링 휠과 연결되는 스티어링 기어박스(10)와, 스티어링 기어박스(10)의 출력축에 연결되는 일종의 출력링크인 피트만 암(12)와, 전단부는 피트만 암(12)에 연결되고 후단부는 너클암(16)에 연결되어 피트만 암의 각회전시 전후진하는 드래그 링크(14)와, 드래그 링크(14)와 주행휠 허브(20) 간에 연결되어 주행 휠을 조향시키는 너클암(16)을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드래그 링크(14)를 피트만 암(12)에 연결되는 제1드래그 분할링크(14-1)와 너클암(16)에 연결되는 제2드래그 분할링크(14-2)로 분할하고, 제1드래그 분할링크(14-1)와 제2드래그 분할링크(14-2) 간에 MR유체를 이용한 얼라인먼트 조절장치(100)를 장착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MR유체를 이용한 얼라인먼트 조절장치(100)는 중공실린더(110)를 골격체로 하고, 이 중공실린더(110)의 전단 내외부에는 제1드래그 분할링크(14-1)와 연결되는 MR유체 케이스(120)가 고정 장착되고, 중공실린더(110)의 후단 내외부에는 제2드래그 링크(14-2)와 연결되는 플런저(130)가 출입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중공실린더(110)의 내부로 삽입된 플런저(130)의 전단부에는 MR유체 출입홀(142)이 관통 형성된 구조의 피스톤(140)이 일체로 형성되며, 이 피스톤(140)은 MR유체 케이스(120)내에 출입 가능하게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MR유체 케이스(120)의 전단부와 상기 플런저(130)의 후단부에 각각 형성된 숫나사를 제1드래그 분할링크(14-1) 및 제2드래그 분할링크(14-2)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제1드래그 분할링크(14-1)와 제2드래그 분할링크(14-2) 간에 MR유체를 이용한 얼라인먼트 조절장치(100)가 연결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MR유체 케이스(120)의 내부에 채워지는 MR유체의 점성 조절을 위한 전류인가를 위하여 피스톤(140)의 MR유체 출입홀(142) 내경부에 전자석(144)이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런저(130) 및 피스톤(140)의 내부에는 전류 커넥트 라인(152)이 내설되고, 이 전류 커넥트 라인(152)은 전자석(144)에 전류 인가 제어를 하는 제어기(150)가 연결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기(150)에는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 유무신호를 전송하는 조향각 센서 또는 조향각속도 센서(154)가 연결되며, 제어기(150)에서 조향각 센서 또는 조향각속도 센서(154)에 의한 조향각 신호가 있는 경우에만 전류 커넥트 라인(152)을 통해 전자석(144)에 전류를 인가하게 된다.
이때, 첨부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MR유체 케이스(120)의 내부에 채워지는 MR유체(122, Magnero-Rheological Fluid)는 통상적으로 강자성을 띠는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오일 성분의 유체로서, 평상시에는 일반 오일과 같은 성질을 유지하고, 자기장이 가해지면 나노입자들이 일정 배열(예를 들어, 체인배열)을 이루면서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저항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상기 전자석(144)에 전류가 인가되는 동시에 MR유체에 자기장이 가해지면, 피스톤(140)의 MR유체 출입홀(142)내에 존재하는 MR 유체(122)내 나노입자들이 마치 차단판 역할을 하게 되므로, 피스톤(140)의 전후 위치에 있는 유체들이 마치 점성이 증가된 것과 같이 고정된 상태가 되면서 피스톤(140)의 전후 운동에 대한 저항 역할을 하게 되어, 결국 피스톤(140)이 전후로 움직이지 않는 정지 상태 즉, 얼라인먼트 조절장치의 유효 스트로크 고정 상태가 된다.
반면, 상기 전자석(144)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으면, MR유체 케이스(120)내의 MR유체(122)는 피스톤(140)의 MR유체 출입홀(142)을 통해 자유롭게 이송 가능한 상태가 되고, 결국 피스톤(140)이 전후로 움직임 가능한 상태 즉, 얼라인먼트 조절장치의 유효 스트로크 작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얼라인먼트 조절장치에 대한 작동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에 의한 스티어링 휠의 조향이 없을 때는 얼라인먼트 조절장치(100)의 유효 스트로크를 통해 너클암(16)에 연결된 제2드래그 링크(14-2)의 전후진량을 흡수하고, 스티어링 휠의 조향이 있는 경우에는 MG유체에 의한 얼라인먼트 조절장치(100)의 유효 스트로크 고정을 통해 원하는 조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스티어링 휠의 조향이 없을 경우(도 6 참조)
운전자에 의한 스티어링 휠의 조향이 없는 경우, 즉 조향각 센서 또는 조향각속도 센서(154)에 의한 조향각 신호가 제어기(150)에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전자석(144)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다.
이에, 상기 MR유체 케이스(120)내의 MR유체(122)는 피스톤(140)의 MR유체 출입홀(142)을 통해 자유롭게 이송 가능한 상태가 되고, 결국 피스톤(140)이 전후로 움직임 가능한 상태 즉, 얼라인먼트 조절장치의 유효 스트로크 작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주행 중 노면에 따라 주행휠이 위 아래로 움직이는 충격 또는 지오메트리 에러 등으로 주행휠에 토우각이 발생하여, 주행휠 허브(20)과 너클암(16)을 매개로 연결된 제2드래그 분할링크(14-2)가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더라도, 제2드래그 분할링크(14-2)와 연결된 플런저(130) 및 이 플런저(130)에 일체로 된 피스톤(140)만이 유효 스트로크 범주내에서 MR유체 케이스(120)의 내부를 따라 전후진을 하여 토우각에 따른 제2드래그 링크(14-2)의 전후진량을 흡수하게 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토우각이 발생하여 제2드래그 분할링크(14-2)가 전후진하더라도, 플런저(130)에 일체로 된 피스톤(140)만이 유효 스트로크 범주내에서 MR유체 케이스(120)의 내부를 따라 전후진을 하여 토우각에 따른 제2드래그 링크(14-2)의 전후진량을 흡수하게 되고, 제2드래그 링크(14-2)의 전후진에 따른 운동량이 제1드래그 링크(14-1) 및 이 제1드래그 링크(14-2)와 연결된 피트만 암(12)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트만 암(12)과 스티어링 기어박스(10)를 매개로 연결되는 스티어링 휠의 미조향 상태(중립 상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기존에 토우각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틀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스티어링 휠의 틀어짐에 따른 차량 쏠림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스티어링 휠의 조향이 있는 경우(도 7 참조)
운전자에 의한 스티어링 휠의 조향이 있는 경우, 즉 조향각 센서 또는 조향각속도 센서(154)에 의한 조향각 신호가 제어기(150)에 입력되는 경우에는 전자석(144)에 전류가 인가된다.
즉, 제어기(150)에서 조향각 센서 또는 조향각속도 센서(154)에 의한 조향각 신호가 있는 경우, 전류 커넥트 라인(152)을 통해 전자석(144)에 전류를 인가하게 된다.
이에, 상기 전자석(144)에 전류가 인가되는 동시에 MR유체에 자기장이 가해지면, 피스톤(140)의 MR유체 출입홀(142)내에 존재하는 MR 유체(122)내 나노입자들이 마치 차단판 역할을 하게 되므로, 피스톤(140)의 전후 위치에 있는 유체들이 마치 점성이 증가된 것과 같이 고정된 상태가 되면서 피스톤(140)의 전후 운동에 대한 저항 역할을 하게 되어, 결국 피스톤(140)이 전후로 움직이지 않는 정지 상태로 인하여 제1드래그 분할링크(14-1)와 얼라인먼트 조절장치(100)와 제2드래그 분할링크(14-2)가 하나의 링크가 된다.
따라서, 운전자에 의한 스티어링 휠의 조향력이 스티어링 기어박스(10)를 통해 출력되면, 하나의 링크가 된 제1드래그 분할링크(14-1)와 얼라인먼트 조절장치(100)와 제2드래그 분할링크(14-2)를 경유한 후, 너클암(16)을 통해 주행휠 허브(20)에 전달됨으로써, 주행휠의 조향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MR유체 페일시 (도 8 참조)
상기 MR유체 케이스(120)내의 MR유체(122)가 전자석에 의한 전류를 인가하여도 본래 특성을 발휘하지 못하는 페일이 발생하더라도, 제1드래그 분할링크(14-1)와 얼라인먼트 조절장치(100)와 제2드래그 분할링크(14-2)가 하나의 링크가 되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조향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중공실린더(110)의 내벽면에는 락킹핀 출입홈(112)이 형성되고, 이 락킹핀 출입홈(112)에는 스프링(114)으로 탄성 지지되는 락킹핀(116)이 출입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플런저(130)의 외경면에는 스프링(114)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락킹핀(116)이 잠금 삽입되는 락킹핀 잠금홈(13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140)이 토우각 발생 등으로 인하여 유효 스트로크 범주내를 벗어나더라도, 유효 스트로크를 벗어난 특정 지점에서 상기 락킹핀(116)이 스프링(114)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플런저(130)의 락킹핀 잠금홈(132)이 잠금 삽입됨으로써, 플런저(130)를 비롯하여 피스톤(140)의 전후진 운동이 구속되는 상태가 되고, 결국 제1드래그 분할링크(14-1)와, 플런저(130)와 피스톤(140)을 포함하는 얼라인먼트 조절장치(100)와, 제2드래그 분할링크(14-2)가 하나의 링크가 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에 의한 스티어링 휠의 조향력이 스티어링 기어박스(10)를 통해 출력되면, 하나의 링크가 된 제1드래그 분할링크(14-1)와 얼라인먼트 조절장치(100)와 제2드래그 분할링크(14-2)를 경유한 후, 너클암(16)을 통해 주행휠 허브(20)에 전달됨으로써, MR유체 페일시에도 주행휠의 조향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10 : 스티어링 기어박스 12 : 피트만 암
14 : 드래그 링크 14a : 제1드래그 링크
14b : 제2드래그 링크 14-1 : 제1드래그 분할링크
14-2 : 제2드래그 분할링크 16 : 너클암
20 ; 주행휠 허브 20a : 제1주행휠 허브
20b : 제2주행휠 허브 22 : 스티어링 휠
100 : 얼라인먼트 조절장치 110 : 중공실린더
112 : 락킹핀 출입홈 114 : 스프링
116 : 락킹핀 120 : MR유체 케이스
122 : MR유체 130 : 플런저
132 : 락킹핀 잠금홈 140 : 피스톤
142 : MR유체 출입홀 144 : 전자석
150 : 제어기 152 : 전류 커넥트 라인
154 : 조향각 센서 또는 조향각속도 센서

Claims (6)

  1. 스티어링 휠과 연결되는 스티어링 기어박스와,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출력축에 연결되는 피트만 암와, 전단부는 피트만 암에 연결되고 후단부는 너클암에 연결되는 드래그 링크와, 드래그 링크와 주행휠 허브 간에 연결되는 너클암을 포함하는 차축식 피트만 암 조향 차량의 얼리인먼트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링크를 피트만 암에 연결되는 제1드래그 분할링크와 너클암에 연결되는 제2드래그 분할링크로 분할하고, 제1드래그 분할링크와 제2드래그 분할링크 간에 MR유체를 이용한 얼라인먼트 조절장치를 연결 장착하여,
    상기 스티어링 휠의 조향이 없을 때는 얼라인먼트 조절장치의 유효 스트로크를 통해 너클암에 연결된 드래그 링크의 전후진량을 흡수하고,
    상기 스티어링 휠의 조향이 있는 경우에는 얼라인먼트 조절장치의 유효 스트로크 고정을 통해 원하는 조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얼라인먼트 조절장치는:
    중공실린더;
    제1드래그 분할링크와 연결되면서 중공실린더의 전단부에 장착되는 MR유체 케이스;
    제2드래그 분할링크와 연결되면서 중공실린더의 후단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삽입 배치되는 플런저;
    MR유체 출입홀이 관통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플런저의 전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MR유체 케이스내에 출입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 및
    MR유체의 점성 조절을 위한 전류인가를 위하여 피스톤의 MR유체 출입홀 내경부에 부착되는 전자석;
    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공실린더의 내벽면에는 락킹핀 출입홈이 형성되고, 이 락킹핀 출입홈에는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되는 락킹핀이 출입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플런저의 외경면에는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락킹핀이 잠금 삽입되는 락킹핀 잠금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식 피트만 암 조향 차량의 얼리인먼트 조절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에 전류를 인가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제어기에서 인가되는 전류는 플런저 및 피스톤의 내부에 내설된 전류 커넥트 라인을 통해 전자석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식 피트만 암 조향 차량의 얼리인먼트 조절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에는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 유무신호를 전송하는 조향각 센서 또는 조향각속도 센서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식 피트만 암 조향 차량의 얼리인먼트 조절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MR유체 케이스의 전단부와 상기 플런저의 후단부에는 각각 제1드래그 분할링크 및 제2드래그 분할링크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숫나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식 피트만 암 조향 차량의 얼리인먼트 조절 장치.
KR1020160153706A 2016-11-18 2016-11-18 차축식 피트만 암 조향 차량의 얼리인먼트 조절 장치 KR102429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706A KR102429164B1 (ko) 2016-11-18 2016-11-18 차축식 피트만 암 조향 차량의 얼리인먼트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706A KR102429164B1 (ko) 2016-11-18 2016-11-18 차축식 피트만 암 조향 차량의 얼리인먼트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025A KR20180056025A (ko) 2018-05-28
KR102429164B1 true KR102429164B1 (ko) 2022-08-03

Family

ID=62451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706A KR102429164B1 (ko) 2016-11-18 2016-11-18 차축식 피트만 암 조향 차량의 얼리인먼트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91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0603A1 (zh) * 2019-01-02 2020-07-09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基于磁流变液的齿轮齿条式电液转向系统及优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2706A (ko) * 2000-12-26 2002-07-04 밍 루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엠알유체를 이용한 조타력 제어장치
KR20070040213A (ko) * 2005-10-11 2007-04-1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상용 차량의 드래그 링크 길이조절장치
KR100941246B1 (ko) * 2008-04-10 2010-0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워 스티어링의 시미 진동 개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025A (ko) 201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8482B2 (en) Bypass for a suspension damper
US20160137251A1 (en) Leaning vehicle
EP1354787B1 (en) Active front steering actu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WO2019154157A1 (zh) 轨道车辆的驱动桥、轨道车辆和轨道交通系统
US20120091678A1 (en) Stabilizing device for steered trailing axles of vehicles
JP2011528643A (ja) 傾斜制御用機械装置
KR102429164B1 (ko) 차축식 피트만 암 조향 차량의 얼리인먼트 조절 장치
US3863947A (en) Vehicle steering stabilizer
CN103979011A (zh) 一种第二前桥转向装置及双前桥汽车转向系统
US5261500A (en) Four-wheel steering locking mechanism for a motor vehicle
KR0135019B1 (ko)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파워스티어링장치
US10759487B2 (en) Steering group of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thereof
US4050552A (en) Individual load-sensitive vale devices for vehicle fluid pressure braking systems
KR102126253B1 (ko) 유압식 보조축 조향제어 시스템
KR100447747B1 (ko) 차량용 조향장치
KR100482095B1 (ko) 소형트럭의 무게중심 이동장치
US3365015A (en) Servo-action steering systems for automatic and other vehicles
WO2019240707A2 (en) An innovation in vehicle suspension systems
CN112977599B (zh) 转向器、车辆转向系统及车辆
KR100398231B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타이로드 구조 및 제어 방법
KR0147519B1 (ko) 4륜 조향장치의 액튜에이터 고장 진단 방법
KR100521187B1 (ko) 캐스터 조정장치
US2276159A (en) Hydraulic steering mechanism
KR100356841B1 (ko) 자동차용 조향링키지의 구조
KR20040052400A (ko) 자동차의 스티어링휠 진동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