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745B1 - Education system using coding toy - Google Patents

Education system using coding to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745B1
KR102428745B1 KR1020200002955A KR20200002955A KR102428745B1 KR 102428745 B1 KR102428745 B1 KR 102428745B1 KR 1020200002955 A KR1020200002955 A KR 1020200002955A KR 20200002955 A KR20200002955 A KR 20200002955A KR 102428745 B1 KR102428745 B1 KR 102428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ing
toy
user terminal
board
to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9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89872A (en
Inventor
최정민
Original Assignee
(주)천재교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천재교육 filed Critical (주)천재교육
Priority to KR1020200002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745B1/en
Publication of KR20210089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98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7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53Computers, e.g. programm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28Arrangements of sound-producing means in dolls; Means in dolls for producing sou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Fina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동작에 대응하는 코드가 포함된 코딩 블록을 코딩 보드에 조립함으로써 코딩 토이를 움직일 수 있는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토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은 코딩 토이, 적어도 하나의 코딩 블록이 삽입되는 코딩 보드 및 상기 코딩 보드에 삽입된 상기 코딩 블록에 대응하는 코드에 따라 상기 코딩 토이를 동작시키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system capable of moving a coding toy by assembling a coding block including codes corresponding to various operations on a coding board. A learning system using a coding t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he coding toy according to a coding toy, a coding board into which at least one coding block is inserted, and a code corresponding to the coding block inserted into the coding boar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user terminal.

Figure R1020200002955
Figure R1020200002955

Description

코딩 토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EDUCATION SYSTEM USING CODING TOY}Learning system using a coding toy {EDUCATION SYSTEM USING CODING TOY}

본 발명은 각종 동작에 대응하는 코드가 포함된 코딩 블록을 코딩 보드에 조립함으로써 코딩 토이를 움직일 수 있는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system capable of moving a coding toy by assembling a coding block including codes corresponding to various operations on a coding board.

최근 다양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발달로 인해, 교육 환경에서도 디지털 디바이스를 접목한 교육 방식이 채택되는 추세이다.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various digital devices, there is a trend to adopt an educational method incorporating digital devices in an educational environment.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정부는 스마트 교육 정책의 일환으로 2018년부터 초등학교 고학년,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배포하고 있으며, 디지털 교과서를 이용한 교육 커리큘럼을 제시하고 있다.Reflecting this trend, the government has been distributing digital textbooks for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since 2018 as part of a smart education policy, and is presenting an educational curriculum using digital textbooks.

이에 발맞추어 최근에는 여러 가지 디지털 디바이스를 활용한 교육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 In line with this, recently, educational methods using various digital devices are being developed.

그러나, 현재까지의 교육 방식은, 교사가 학습자에게 지식을 주입하는 기존의 일방적 교육 방식에 단순히 디지털 디바이스를 접목한 방식으로써, 학습자가 자신의 행위를 통해 디지털 디바이스와 상호 작용할 수 없어 학습자의 집중력을 이끌어내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However, the education method up to now is a method in which a digital device is simply grafted onto the existing one-way education method in which the teacher injects knowledge into the learner, and the learner cannot interact with the digital device through his/her own actions, thereby reducing the learner's concentration. There is a limit to which it is difficult to derive.

한편, 2015년부터 교육 과정에 소프트웨어 교육이 의무화되었으며, 2019년에는 초등학교에까지 코딩이 의무 교육으로 채택된 바, 코딩 교육의 중요성은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software education was made compulsory in the curriculum from 2015, and coding was adopted as compulsory education up to elementary school in 2019, and the importance of coding education is increasing day by day.

코딩 교육에서는 가시화되지 않는 컴퓨터 언어를 학습해야 하므로 학습자의 흥미가 매우 저하될 수 있어 디지털 디바이스를 활용한 교육 방식이 더욱 필요한데, 현재까지의 코딩 교육 방식은 단순히 컴퓨터를 이용하여 코드를 작성하고 컴퓨터를 통해 결과값을 확인하는 정도에 불과하여 학습자의 흥미와 집중력을 이끌어내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In coding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learn a computer language that cannot be visualized, so the interest of learners may be greatly reduced, so an education method using a digital device is more necessary. There is a limit in that it is difficult to draw the interest and concentration of the learner because it is only to the extent of confirming the result value.

본 발명은 코드가 내장된 코딩 블록을 코딩 보드에 조립하면 조립된 코딩 블록의 코드에 따라 코딩 토이가 움직이도록 하는 학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arning system that allows a coding toy to move according to the code of the assembled coding block when a coding block having a code embedded therein is assembled on a coding board.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may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appended claim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토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은 코딩 토이, 적어도 하나의 코딩 블록이 삽입되는 코딩 보드 및 상기 코딩 보드에 삽입된 상기 코딩 블록에 대응하는 코드에 따라 상기 코딩 토이를 동작시키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learning system using a coding t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oding toy, a coding board into which at least one coding block is inserted, and a code corresponding to the coding block inserted into the coding boar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user terminal for operating the coding toy according to th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딩 블록 각각은 상기 코딩 토이의 동작에 대응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each of the at least one coding block comprises a code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of the coding toy.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딩 보드는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 홈이 구비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딩 블록은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ding board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insertion groove arranged in a preset order,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at least one coding block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 홈은 상기 코딩 블록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insertion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pression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oding block.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딩 보드는 상기 삽입된 코딩 블록에 대응하는 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ding boar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a code corresponding to the inserted coding block to the user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딩 보드는, 상기 코딩 보드에 복수의 코딩 블록이 삽입된 경우, 상기 복수의 코딩 블록 각각에 대응하는 코드를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정렬하고, 정렬된 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ding board, when a plurality of coding blocks are inserted into the coding board, aligns cod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ding blocks according to a preset order, and provides the sorted codes to the user terminal characterized by transmitting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코딩 보드로부터 상기 코딩 블록에 대응하는 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코드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코딩 토이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receives a code corresponding to the coding block from the coding board,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de to the coding toy.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딩 토이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된 제어 신호에 따라 이동하거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the coding to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oves or rotat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딩 토이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된 제어 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음성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the coding to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outputs a preset voic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학습 콘텐츠를 실행하고, 상기 코딩 블록에 대응하는 코드가 상기 학습 콘텐츠에 대응하는 정답 코드와 일치하면 상기 코딩 토이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executes the learning content through the learning application, and when the code corresponding to the coding block matches the correct answer code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content, the coding toy is operat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딩 토이는 이동 경로가 인쇄된 맵 보드 상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ding to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oves on a map board on which a movement path is print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맵 보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학습 콘텐츠에 대응되는 맵 이미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map boar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map image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content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딩 토이는 상기 이동 경로 상에 미리 설정된 출발 지점에 위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동작 준비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코딩 토이로부터 상기 동작 준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코딩 토이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ding toy transmits an operation prepara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when it is located at a preset starting point on the movement path, and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operation preparation signal from the coding toy when the operation prepar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ding toy. characterized in that it operate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딩 토이는 하부에 위치한 객체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출발 지점이 센싱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동작 준비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the coding toy includes a sensor for sensing an object located below, and when the starting point is sensed by the sensor, the operation prepar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딩 토이는 상기 이동 경로 상에 미리 설정된 도착 지점에 위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동작 완료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코딩 토이로부터 상기 동작 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리워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the coding toy transmits an operation comple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when it is located at a preset arrival point on the moving path, and the user terminal executes a learning application when the operation comple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ding toy.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rewards through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딩 토이는 하부에 위치한 객체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도착 지점이 센싱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동작 완료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n embodiment, the coding toy includes a sensor for sensing an object located below, and when the arrival point is sensed by the sensor, the operation comple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은 코드가 내장된 코딩 블록을 코딩 보드에 조립하면 조립된 코딩 블록의 코드에 따라 코딩 토이가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학습자가 코딩 토이를 통해 코드에 따른 움직임을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자의 교육 참여를 유도할 수 있고, 학습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learner to directly check the movement according to the code through the coding toy by making the coding toy move according to the code of the assembled coding block when the coding block with the code embedded is assembled on the coding board. can induce and improve learning efficiency.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th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describ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학습 시스템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코딩 보드와 이에 삽입되는 코딩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코딩 토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b는 각 학습 콘텐츠에 따른 맵 보드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학습 콘텐츠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학습 콘텐츠 달성에 따른 리워드 제공 화면을 도시한 도면.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trol flow of the learning system shown in FIG. 1;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ding board and a coding block inserted therein.
4A and 4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coding toy;
5A to 5B are views each showing a map board according to each learning content.
6 and 7 are diagrams illustrating learning content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8 is a view showing a reward provision screen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of learning content.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nd the like.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 of a simpl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본 명세서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below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본 발명은 코딩 토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으로, 구체적으로는 각종 동작에 대응하는 코드가 포함된 코딩 블록을 코딩 보드에 조립함으로써 코딩 토이를 움직일 수 있는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system using a coding toy,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arning system capable of moving a coding toy by assembling a coding block including codes corresponding to various operations on a coding board.

이하, 도 1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학습 시스템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flow of the learning system shown in FIG. 1 .

도 3은 코딩 보드와 이에 삽입되는 코딩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4a 및 도 4b는 코딩 토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ding board and a coding block inserted therein. 4A and 4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coding toy.

도 5a 내지 도 5b는 각 학습 콘텐츠에 따른 맵 보드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5A to 5B are diagrams respectively illustrating map boards according to each learning content.

도 6 및 도 7은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학습 콘텐츠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학습 콘텐츠 달성에 따른 리워드 제공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6 and 7 are diagrams illustrating learning content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and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ward provision screen according to achievement of learning content.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시스템(1)은 코딩 토이(100), 코딩 블록(210)이 삽입되는 코딩 보드(200), 학습 콘텐츠(310)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300) 및 코딩 토이(100)가 이동하는 맵 보드(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학습 시스템(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learning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ding toy 100 , a coding board 200 into which a coding block 210 is inserted, and a user terminal for outputting learning content 310 . It may include a map board 400 on which the 300 and the coding toy 100 move. The learning system 1 shown in Fig. 1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its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and some components may be added, changed, or deleted as necessary. .

또한,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의 구조는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일 예시에 불과하며, 각 구성요소들은 후술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구조 및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of each component shown in FIG. 1 is only an example for implementing the invention, and each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in any structure and shape capable of performing a function to be described later.

도 2를 참조하면, 코딩 토이(100), 코딩 보드(200) 및 사용자 단말(300)은 모두 통신 모듈(110, 210, 330)을 포함할 수 있고, 각 통신 모듈(110, 210, 330)을 통해 서로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되는 코딩 토이(100), 코딩 보드(200) 및 사용자 단말(300)의 송수신동작은 각 통신 모듈(110, 210, 330)을 통한 송수신동작으로 이해되어야 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coding toy 100 , the coding board 200 and the user terminal 300 may all include communication modules 110 , 210 , and 330 , and each communication module 110 , 210 , 330 . Through this, wireless data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transmission/reception operation of the coding toy 100 , the coding board 200 , and the user terminal 300 to be described later should be understood as a transmission/reception operation through each communication module 110 , 210 , 330 .

한편, 코딩 토이(100)는 전술한 통신 모듈(110) 외에도 스피커(120), 센서(130) 및 메모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코딩 보드(200)는 전술한 통신 모듈(210) 외에도 코드 식별 모듈(220) 및 메모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은 전술한 통신 모듈(330) 외에도 디스플레이 모듈(310) 및 메모리(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ding toy 100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120 , a sensor 130 , and a memory 140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mmunication module 110 . In addition, the coding board 200 may further include a code identification module 220 and a memory 230 in addition to the communication module 210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30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module 310 and a memory 320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mmunication module 330 .

도 2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 controllers) 중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요소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Each component shown in Figure 2 is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a processor (processor) ), a microprocessor, controllers, and microcontrollers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t least one physical element.

한편, 도 2에 도시된 코딩 토이(100), 코딩 보드(200) 및 사용자 단말(300) 내 구성요소들은 코딩 토이(100), 코딩 보드(200) 및 사용자 단말(3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일 뿐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mponents in the coding toy 100, the coding board 200, and the user terminal 300 shown in FIG. 2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coding toy 100, the coding board 200, and the user terminal 300. For example,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 and some components may be added, changed, or deleted as necessary.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에 기초하여 발명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components shown in FIGS. 1 and 2 .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코딩 보드(2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코딩 블록(210)이 삽입될 수 있다. 코딩 토이(100)의 동작은 코딩 보드(200)에 삽입된 코딩 블록(21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코딩 보드(200)에 단일의 코딩 블록(210)이 삽입된 경우, 코딩 토이(100)의 동작은 단일 동작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코딩 보드(200)에 복수의 코딩 블록(210)이 삽입된 경우, 코딩 토이(100)의 동작은 복수의 연속된 동작으로 결정될 수 있다.1 and 3 , at least one coding block 210 may be inserted into the coding board 200 . The operation of the coding toy 100 may be determined by the coding block 210 inserted into the coding board 200 . For example, when a single coding block 210 is inserted into the coding board 200 , the operation of the coding toy 100 may be determined as a single operation. On the other hand, when a plurality of coding blocks 210 are inserted into the coding board 200 , the operation of the coding toy 100 may be determined as a plurality of consecutive operations.

코딩 토이(100)의 동작을 정의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코딩 블록(210) 각각은 코딩 토이(1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define the operation of the coding toy 100 , each of the at least one coding block 210 may include a code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ding toy 100 .

보다 구체적으로, 각 코딩 블록(210)에는 코딩 토이(100)의 동작, 예컨대 상, 하, 좌, 우 이동, 회전, 음성 출력 등의 동작에 대응하는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코딩 블록(210) 생산 시 생산자에 의해 입력되어 코딩 블록(210) 내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each coding block 210 may include a code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of the coding toy 100 , for example, up, down, left, right movement, rotation, voice output, and the like. Such a code may be input by a producer when the coding block 210 is produced and stored in advance in the coding block 210 .

한편, 코딩 블록(210)에는, 코딩 블록(210) 내부에 포함된 코드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는 코딩 블록(210)의 외부면에 인쇄될 수도 있고, 코딩 블록(210)의 외부면에 부착, 결합, 형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coding block 210 , an image corresponding to a code included in the coding block 210 may be expressed. Such an image may be pri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ding block 210 or may be attached, combined, o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ding block 210 .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코딩 블록(210a)의 내부에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제1 코딩 블록(210a)의 외부면에는 우측 방향의 화살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코딩 블록(210b)의 내부에는 하측으로 이동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제2 코딩 블록(210b)의 외부면에는 하측 방향의 화살표가 형성될 수 있다.3 , a code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of moving to the right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coding block 210a. In this case, a right arrow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ding block 210a. Also, a code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of moving downward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coding block 210b. In this case, a downward arrow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ding block 210b.

한편, 전술한 코딩 블록(210)을 수납하기 위해 코딩 보드(200)에는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 홈(220)이 구비될 수 있고, 코딩 블록(210)은 삽입 홈(220)에 삽입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ccommodate the above-described coding block 210, the coding board 20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insertion groove 220 arranged in a preset order, the coding block 210 is the insertion groove 220 ) can be inserted.

미리 설정된 순서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순서로 결정될 수 있으며, 코딩 보드(200)의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홈이 코딩 보드(200)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경우, 미리 설정된 순서는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결정될 수 있다.The preset order may be determined in an arbitrary order by the user, and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ding board 200 . For example, when the receiving grooves are formed side by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coding board 200 as shown in FIG. 3 , the preset order may be determined from left to right.

이 때, 코딩 토이(100)의 동작은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삽입된 코딩 블록(210)에 의해 연속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코딩 블록(210)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삽입된 경우, 코딩 토이(100)의 동작은 우측으로 두 번 이동하고, 하측으로 한 번 이동하고, 다시 우측으로 한 번 이동하는 연속된 동작으로 결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the coding toy 100 may be continuously defined by the inserted coding blocks 210 according to a preset order. For example, when the coding block 210 is inserted as shown in FIG. 3 , the operation of the coding toy 100 moves to the right twice, moves downward once, and moves to the right once again. It can be determined by action.

부가적으로, 코딩 보드(200)에는 스피커(2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코딩 보드(200)에 구비된 스피커(230)는 코딩 블록(210)이 코딩 보드(200)에 삽입될 때 효과음을 출력할 수도 있고 코딩 블록(210)이 잘못 삽입된 경우(예컨대, 코딩 블록(210)에 대응하는 코드가 정답 코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후술됨)), 효과음을 출력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coding board 200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230 . The speaker 230 provided in the coding board 200 may output a sound effect when the coding block 210 is inserted into the coding board 200, and when the coding block 210 is incorrectly inserted (eg, the coding block ( When the code corresponding to 210) does not match the correct answer code (to be described later), a sound effect may be output.

한편, 학습 시스템(1)을 이용하는 학습자(이하, 유아)에게 조립감을 제공함으로써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삽입 홈(220)은 코딩 보드(200) 상에서 코딩 블록(2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각 삽입 홈(220)의 형상은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으나, 각 삽입 홈(220)의 형상은 코딩 블록(210)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nduce interest by providing a sense of assembly to learn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fants) using the learning system 1 , the insertion groove 220 is recess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oding block 210 on the coding board 200 . can be The shape of each insertion groove 220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but the shape of each insertion groove 220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oding block 210 .

사용자 단말(300)은 코딩 보드(200)에 삽입된 코딩 블록(210)에 대응하는 코드에 따라 코딩 토이(1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의 동작을 설명하기에 앞서, 코딩 블록(210)에 의해 정의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현되는 코딩 토이(100)의 구조적 특징을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The user terminal 300 may operate the coding toy 100 according to a code corresponding to the coding block 210 inserted into the coding board 200 . Before describing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300 ,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coding toy 100 implemented to perform the operation defined by the coding block 210 will be first described.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코딩 토이(100)는 바디부(110)와, 바디부(110) 양측에 결합된 한 쌍의 메인 바퀴(111), 바디부(110) 하부에 구비되는 보조 바퀴(113)를 포함할 수 있다. 코딩 토이(100)는 보조 바퀴(113)와 한 쌍의 메인 바퀴(111)에 의해 접지되며 메인 바퀴(111)의 회전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코딩 토이(100)는 메인 바퀴(111)의 움직임에 따라 상, 하, 좌, 우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S. 4A and 4B , the coding toy 100 includes a body part 110 , a pair of main wheels 111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ody part 110 , and an auxiliary provided under the body part 110 . It may include a wheel 113 . The coding toy 100 is grounded by the auxiliary wheel 113 and a pair of main wheels 111 and can be moved by rotation of the main wheel 111 . For example, the coding toy 100 may move up, down,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in wheel 111 , and may rotate in place.

또한, 코딩 토이(100)는 바디부(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램프(112)와, 바디부(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스피커(12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램프(112)를 통한 점등 동작 및 스피커(120)를 통한 음성 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ding toy 100 may further include a lamp 112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10 and a speaker 120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10 , 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a lighting operation through the operation and a voice output operation through the speaker 120 .

부가적으로 코딩 토이(100)의 하부에는 코딩 토이(100)의 상태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14)가 구비될 수 있고, 코딩 토이(100)의 후면에는 내부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원 단자(115),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단자(116, 예컨대 usb 포트)가 구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코딩 토이(100)는 바디부(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센서(13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Additionally, a display 114 for outputting the state of the coding toy 100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ding toy 100 , and a power terminal 115 for charging an internal battery at the rear side of the coding toy 100 . ), a connection terminal 116 (eg, a usb port) for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he coding toy 100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130 provided under the body part 110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앞서 설명한 코딩 보드(200)는 자신에 삽입된 코딩 블록(210)에 대응하는 코드를 사용자 단말(300)에 송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코딩 보드(200) 내 코드 식별 모듈(220)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코딩 블록(210)에 대응하는 코드를 식별할 수 있고, 이를 사용자 단말(300)에 송신할 수 있다.The coding board 200 described above may transmit a code corresponding to the coding block 210 inserted therein to the user terminal 300 . More specifically, the code identification module 220 in the coding board 200 may identify a code corresponding to the coding block 210 through various methods, and may transmit it to the user terminal 300 .

예를 들어, 코드 식별 모듈(220)은 코딩 보드(200)의 삽입 홈(220)에 삽입된 코딩 블록(210)의 식별정보를 인식할 수 있고, 메모리(230)를 참조하여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코드를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코딩 보드(200)는 식별된 코드를 사용자 단말(300)에 송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de identification module 220 may recogniz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ding block 21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20 of the coding board 200 , and refer to the memory 230 to correspon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de can be identified. Subsequently, the coding board 200 may transmit the identified code to the user terminal 300 .

한편, 코딩 보드(200)에 복수의 코딩 블록(210)이 삽입된 경우, 코딩 보드(200)는 복수의 코딩 블록(210) 각각에 대응하는 코드를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정렬하고, 정렬된 코드를 사용자 단말(300)에 송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plurality of coding blocks 210 are inserted into the coding board 200, the coding board 200 aligns cod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ding blocks 210 according to a preset order, and the sorted codes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300 .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코딩 보드(200)에는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삽입 홈(220)이 형성될 수 있고, 각 삽입 홈(220)에는 제1 코딩 블록(210a), 제1 코딩 블록(210a), 제2 코딩 블록(210b), 제1 코딩 블록(210a)이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an insertion groove 220 may be formed in the coding board 200 according to a preset order, and a first coding block 210a, a first coding block ( 210a), the second coding block 210b, and the first coding block 210a may be sequentially inserted.

이 때, 코드 식별 모듈(220)은 코딩 보드(200)에 삽입된 각 코딩 블록(210)에 대응하는 코드를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각 코드를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정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코드 식별 모듈(220)은 제1 코딩 블록(210a) 및 제2 코딩 블록(210b)에 대응하는 코드를 각각 식별할 수 있고, 이를 코딩 블록(210)이 삽입된 순서에 따라 정렬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de identification module 220 may identify a code corresponding to each coding block 210 inserted into the coding board 200 , and arrange each identified code according to a preset order. More specifically, the code identification module 220 may identify cod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ding block 210a and the second coding block 210b, respectively, and sort them according to the order in which the coding block 210 is inserted. can do.

예컨대, 제1 코딩 블록(210a)에 대응하는 코드가 제1 코드이고, 제2 코딩 블록(210b)에 대응하는 코드가 제2 코드인 경우, 코드 식별 모듈(220)은 복수의 코딩 블록(210)에 대응하는 코드를 '제1 코드 - 제1 코드 - 제2 코드 - 제1 코드'로 정렬할 수 있고, 정렬된 코드를 사용자 단말(300)에 송신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d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ding block 210a is the first code and the cod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ding block 210b is the second code, the code identification module 220 may configure the plurality of coding blocks 210 ) may be arranged as 'first code - first code - second code - first code', and the sorted code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300 .

사용자 단말(300)은 코딩 보드(200)로부터 코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코드에 따라 코딩 토이(1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300)은 메모리(320)를 참조하여 코딩 보드(200)로부터 수신된 코드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제어 신호를 코딩 토이(100)에 송신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300 may receive a code from the coding board 200 and operate the coding toy 100 according to the received code. More specifically, the user terminal 300 may identify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de received from the coding board 200 with reference to the memory 320 , and transmit the identified control signal to the coding toy 100 . can

코딩 토이(10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이동하거나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딩 토이(100)의 메인 바퀴(111)가 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코딩 토이(100)는 상, 하, 좌, 우로 이동할 수 있고,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도 있다.The coding toy 100 may move or rotat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300 . Specifically, as the main wheel 111 of the coding toy 100 rotat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he coding toy 100 may move up, down, left, and right, and may rotate in place.

또한, 코딩 토이(10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딩 토이(100)의 스피커(120)는 메모리(140)를 참조하여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음성을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Also, the coding toy 100 may output a preset voic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300 . Specifically, the speaker 120 of the coding toy 100 may identify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with reference to the memory 140 and output the identified voice.

뿐만 아니라, 코딩 토이(100)의 램프(112)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점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mp 112 of the coding toy 100 may be li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전술한 동작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학습 콘텐츠(310)를 실행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process, the user terminal 300 may execute the learning content 310 through the learning application.

사용자 단말(300)에는 유아의 학습을 위해 다양한 학습 콘텐츠(310)를 포함하는 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학습 콘텐츠(310)를 실행할 수 있고, 실행된 학습 콘텐츠(310)를 디스플레이 모듈(31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A learning application including various learning contents 310 may b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300 for a child's learning. The user terminal 300 may execute the specific learning content 310 through the learning application, and may output the executed learning content 310 through the display module 310 .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300)의 디스플레이 모듈(310)을 통해 다양한 학습 콘텐츠(310)가 출력될 수 있다. 이 때, 각 학습 콘텐츠(310)는 출발 지점(310a)과 도착 지점(310b)이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출발 지점(310a)과 도착 지점(310b)을 잇는 이동 경로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5A to 5D , various learning contents 310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module 310 of the user terminal 300 . In this case, in each of the learning contents 310 , a departure point 310a and an arrival point 310b may be preset, and a movement path connecting the departure point 310a and the arrival point 310b may be preset.

이하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각 학습 콘텐츠(310)를 제1 내지 제4 학습 콘텐츠(310)로 지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ach of the learning contents 310 illustrated in FIGS. 5A to 5D will be referred to as first to fourth learning contents 310 .

도 5a를 참조하면, 제1 학습 콘텐츠(310)는 3행 4열로 구성된 맵일 수 있고, 출발 지점(310a)은 2행 2열로, 도착 지점(310b)은 2행 4열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발 지점(310a)과 도착 지점(310b)을 잇는 이동 경로 A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A , the first learning content 310 may be a map composed of 3 rows and 4 columns, and the starting point 310a may be set in 2 rows and 2 columns, and the arrival point 310b may be preset in 2 rows and 4 columns. Accordingly, the movement path A connecting the departure point 310a and the arrival point 310b may be preset.

도 5b를 참조하면, 제2 학습 콘텐츠(310)는 3행 4열로 구성된 맵일 수 있고, 출발 지점(310a)은 2행 2열로, 도착 지점(310b)은 1행 3열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발 지점(310a)과 도착 지점(310b)을 잇는 이동 경로 B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B , the second learning content 310 may be a map composed of 3 rows and 4 columns, and the starting point 310a may be set to 2 rows and 2 columns, and the arrival point 310b may be preset to 1 row 3 columns. Accordingly, the movement path B connecting the departure point 310a and the arrival point 310b may be preset.

도 5c를 참조하면, 제3 학습 콘텐츠(310)는 3행 4열로 구성된 맵일 수 있고, 출발 지점(310a)은 2행 1열로, 도착 지점(310b)은 2행 4열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발 지점(310a)과 도착 지점(310b)을 잇는 이동 경로 C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C , the third learning content 310 may be a map composed of 3 rows and 4 columns, and the starting point 310a may be set to 2 rows and 1 column, and the arrival point 310b may be preset to 2 rows and 4 columns. Accordingly, the movement path C connecting the departure point 310a and the arrival point 310b may be preset.

도 5d를 참조하면, 제4 학습 콘텐츠(310)는 3행 4열로 구성된 맵일 수 있고, 출발 지점(310a)은 1행 1열로, 도착 지점(310b)은 2행 3열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발 지점(310a)과 도착 지점(310b)을 잇는 이동 경로 D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D , the fourth learning content 310 may be a map composed of 3 rows and 4 columns, and the starting point 310a may be set to 1 row 1 column, and the arrival point 310b may be preset to 2 rows 3 columns. Accordingly, the movement path D connecting the departure point 310a and the arrival point 310b may be preset.

각각의 학습 콘텐츠(310)에는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정답 코드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된 제2 학습 콘텐츠(310)에 대응하는 정답 코드는, 제2 학습 콘텐츠(310)의 이동 경로에 대응되는 '상측 이동 - 우측 이동'일 수 있고, 도 5d에 도시된 제4 학습 콘텐츠(310)에 대응하는 정답 코드는, 제4 학습 콘텐츠(310)의 이동 경로에 대응되는 '우측 이동 - 하측 이동 - 우측 이동'일 수 있다.Each of the learning contents 310 may be preset with an answer code corresponding to the moving path. For example, the correct answer cod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earning content 310 shown in FIG. 5B may be 'moving up - moving to the right'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path of the second learning content 310, and in FIG. 5D The correct answer code corresponding to the illustrated fourth learning content 310 may be 'move right - move down - move right'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path of the fourth learning content 310 .

사용자 단말(300)은 코딩 블록(210)에 대응하는 코드가 학습 콘텐츠(310)에 대응하는 정답 코드와 일치하면 코딩 토이(100)를 동작시킬 수 있다.The user terminal 300 may operate the coding toy 100 when the code corresponding to the coding block 210 matches the correct answer code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content 310 .

예컨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제1 코딩 블록(210a)이 우측으로 이동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제1 코드를 포함하고, 제2 코딩 블록(210b)이 하측으로 이동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제2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300)은 도 5d에 도시된 제4 학습 콘텐츠(310)를 실행할 수 있고, 제4 학습 콘텐츠(310)에 대응하는 정답 코드는 '제1 코드 - 제2 코드 - 제1 코드'일 수 있다.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ding block 210a shown in FIG. 3 includes a first code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of moving to the right, and the second coding block 210b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of moving downward. A second code may be included.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300 may execute the fourth learning content 310 shown in FIG. 5D , and the correct answer code corresponding to the fourth learning content 310 is 'first code - second code - first It can be 'code'.

코딩 보드(200)에서 정답 코드와 일치하는 코드가 사용자 단말(300)로 송신되기 위해서는 코딩 보드(200)에 제1 코딩 블록(210a), 제2 코딩 블록(210b), 제1 코딩 블록(210a)이 순차적으로 삽입되어야 하고, 이와 같이 삽입된 경우에 한해 사용자 단말(300)은 코딩 토이(1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즉, 코딩 블록(210)이 현재 실행중인 학습 콘텐츠(310)의 정답 코드에 대응되도록 삽입된 경우에 한해, 사용자 단말(300)은 코딩 토이(100)에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In order for the code matching the correct answer code from the coding board 200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300, the coding board 200 includes a first coding block 210a, a second coding block 210b, and a first coding block 210a. ) should be sequentially inserted, and only when inserted in this way, the user terminal 300 may operate the coding toy 100 . That is, only when the coding block 210 is inserted to correspond to the correct answer code of the currently executing learning content 310 , the user terminal 30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coding toy 100 .

한편, 앞서 설명한 학습 콘텐츠(310)와 연계함으로써 유아가 학습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딩 토이(100)는 이동 경로가 인쇄된 맵 보드(400)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mmerse the child in learning by linking with the learning content 310 described above, the coding toy 100 may move on the map board 400 on which the movement path is printed, as shown in FIG. 1 . .

이 때, 맵 보드(400)는 사용자 단말(300)에서 출력되는 학습 콘텐츠(310)에 대응되는 맵 이미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300)에서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제1 내지 제4 학습 콘텐츠(310)가 실행되는 경우, 코딩 토이(100)가 이동하는 맵 보드(400)는 제1 내지 제4 학습 콘텐츠(310)의 맵과 동일한 이미지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p board 400 may be configured as a map image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content 310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300 . In other words, when the first to fourth learning contents 310 shown in FIGS. 5A to 5D are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300 , the map board 400 on which the coding toy 100 moves is performed in the first to fourth 4 It may be composed of the same image as the map of the learning content 310 .

이에 따라, 맵 보드(400)에도 출발 지점(310a)과 도착 지점(310b) 및 출발 지점(310a)과 도착 지점(310b)을 잇는 이동 경로가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코딩 토이(100)는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ly, a movement path connecting the departure point 310a and the arrival point 310b and the departure point 310a and the arrival point 310b may be preset in the map board 400 as well, and the coding toy 100 moves You can move along the path.

코딩 토이(100)가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즉 코딩 토이(100)가 이동을 시작할 때, 코딩 토이(100)는 맵 보드(400) 상의 출발 지점(310a)에 위치해있을 필요가 있다.In order for the coding toy 100 to move along a movement path, when a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300 , that is, when the coding toy 100 starts to move, the coding toy 100 is displayed on the map board 400 . It needs to be located at the starting point 310a.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300)은, 맵 보드(400)에 대응하는 이미지(312)와 코딩 토이(100)에 대응하는 이미지(313)를 표시하면서, 코딩 토이(100)를 맵 보드(400)의 출발 지점(310a)에 위치시킬 것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311)를 출력할 수 있다. 학습 시스템(1)을 이용하는 유아는 사용자 단말(300)에서 출력되는 안내 메시지(311)에 따라 코딩 토이(100)를 맵 보드(400)의 출발 지점(310a)에 위치시킬 수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6 , the user terminal 300 displays an image 312 corresponding to the map board 400 and an image 313 corresponding to the coding toy 100 , while the coding toy 100 is displayed. ) may be output to a guide message 311 for guiding to locate the starting point 310a of the map board 400 . A child using the learning system 1 may position the coding toy 100 at the starting point 310a of the map board 400 according to the guide message 311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300 .

이와 같이 코딩 토이(100)의 위치를 출발 지점(310a)으로 유도하는 것에 더하여, 코딩 토이(100)가 맵 보드(400)의 출발 지점(310a)에 위치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코딩 토이(100)는 맵 보드(400)의 이동 경로 상에 미리 설정된 출발 지점(310a)에 위치하면 사용자 단말(300)에 동작 준비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300)은 코딩 토이(100)로부터 동작 준비 신호가 수신되면 코딩 토이(100)에 제어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코딩 토이(100)를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o guiding the position of the coding toy 100 to the starting point 310a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ensure that the coding toy 100 is positioned at the starting point 310a of the map board 400, the coding toy 100 ) may transmit an operation prepara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300 when it is located at a preset starting point 310a on the movement path of the map board 400 , and the user terminal 300 operates from the coding toy 100 . When the preparation signal is received, the coding toy 100 may be operated by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coding toy 100 .

보다 구체적으로, 코딩 토이(100)는 자신의 위치가 출발 지점(310a)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 단말(300)에 동작 준비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코딩 토이(100)는 센서(1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센서(130)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맵 보드(400) 상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ding toy 100 may determine whether its location is the starting point 310a, and transmit an operation prepara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is end, the coding toy 100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130 , and the sensor 130 may detect a location on the map board 400 through various methods.

도 4b를 참조하면, 센서(130)는 코딩 토이(100)의 바디부(110) 바닥면에 구비되어 코딩 토이(100) 하부에 위치한 객체를 센싱할 수 있다. 코딩 토이(100)가 맵 보드(400) 상에 위치한 경우, 센서(130)는 맵 보드(400) 상면의 객체를 센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B , the sensor 130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art 110 of the coding toy 100 to sense an object located under the coding toy 100 . When the coding toy 100 is positioned on the map board 400 , the sensor 130 may sense an objec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p board 400 .

일 예에서, 센서(130)는 이미지 센서로 구현될 수 있고 맵 보드(400)에 인쇄된 이미지를 센싱할 수 있다. 센서(130)는 센싱된 이미지와 메모리에 저장된 맵 보드(400)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센싱된 이미지가 출발 지점(310a)에 대응하는 이미지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sensor 130 may be implemented as an image sensor and may sense an image printed on the map board 400 . The sensor 130 may identify whether the sensed image corresponds to the starting point 310a by comparing the sensed image with the image of the map board 400 stored in the memory.

다른 예에서, 센서(130)는 OID(Optical Identification) 센서로 구현될 수 있고 맵 보드(400)에 미리 인쇄된 닷코드(.Code)를 센싱할 수 있다. 센서(130)는 센싱된 닷코드와 메모리에 저장된 닷코드를 비교하여 센싱된 닷코드가 출발 지점(310a)에 대응하는 닷코드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sensor 130 may be implemented as an optical identification (OID) sensor and may sense a dot code (.Code) preprinted on the map board 400 . The sensor 130 may identify whether the sensed dot code is a dot code corresponding to the starting point 310a by comparing the sensed dot code with the dot code stored in the memory.

이러한 방법을 통해 센서(130)는 출발 지점(310a)을 센싱할 수 있고, 출발 지점(310a)이 센싱되면 사용자 단말(300)에 동작 준비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코딩 토이(100)로부터 동작 준비 신호가 수신되면, 코딩 보드(200)로부터 코드를 수신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코딩 블록(210)을 코딩 보드(200)에 삽입할 것을 유도할 수 있다.Through this method, the sensor 130 may sense the starting point 310a, and when the starting point 310a is sensed, it may transmit an operation prepara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300 . When the operation prepar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ding toy 100 , the user terminal 300 may receive a code from the coding board 200 , and for this, the coding block 210 is induced to be inserted into the coding board 200 . can do.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300)은, 맵 보드(400)에 대응하는 이미지(312), 코딩 토이(100)에 대응하는 이미지(313) 및 코딩 블록(210)에 대응하는 이미지(314)를 표시하면서, 코딩 블록(210)을 코딩 보드(200)에 삽입할 것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311)를 출력할 수 있다. 학습 시스템(1)을 이용하는 유아는 사용자 단말(300)에서 출력되는 안내 메시지(311)에 따라 코딩 블록(210)을 코딩 보드(200)에 삽입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 , the user terminal 300 corresponds to the image 312 corresponding to the map board 400 , the image 313 corresponding to the coding toy 100 , and the coding block 210 . While displaying the image 314 to be, it is possible to output a guide message 311 to guide the insertion of the coding block 210 to the coding board (200). A child using the learning system 1 may insert the coding block 210 into the coding board 200 according to the guide message 311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300 .

코딩 블록(210)이 코딩 보드(200)에 삽입되면, 사용자 단말(300)은 코딩 보드(200)로부터 코드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코딩 토이(100)에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이 제어 신호를 통해 코딩 토이(100)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When the coding block 210 is inserted into the coding board 200 , the user terminal 300 may receive a code from the coding board 200 , generate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and transmit it to the coding toy 100 . . Since the method of the user terminal 300 operating the coding toy 100 through the control signal has bee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한편, 유아에게 성취감을 제공하여 학습 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아가 학습 콘텐츠(310)를 완료한 경우 리워드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reward when the child completes the learning content 310 in order to provide the child with a sense of achievement to improve learning efficiency.

이를 위해, 코딩 토이(100)가 이동 경로 상에 미리 설정된 도착 지점(310b)에 위치하면, 코딩 토이(100)는 사용자 단말(300)에 동작 완료 신호를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300)은 코딩 토이(100)로부터 동작 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To this end, when the coding toy 100 is located at a preset arrival point 310b on the moving path, the coding toy 100 transmits an operation comple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300 , and the user terminal 300 performs the coding. When an operation comple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oy 100 , a reward may be provided through a learning application.

보다 구체적으로, 코딩 토이(100)는 사용자 단말(30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때 자신의 위치가 도착 지점(310b)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 단말(300)에 동작 완료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코딩 토이(100)는 센서(130)를 이용할 수 있다. 코딩 토이(100)가 센서(130)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the coding toy 100 determines whether its location is the arrival point 310b when operating under the control of the user terminal 300 , and sends an operation comple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can be sent. To this end, the coding toy 100 may use the sensor 130 . Since the method of the coding toy 100 for detecting its own position using the sensor 130 has bee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도착 지점(310b)이 센싱되면, 센서(130)는 사용자 단말(300)에 동작 완료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코딩 토이(100)로부터 동작 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arrival point 310b is sensed, the sensor 130 may transmit an operation comple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300 . When an operation comple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ding toy 100 , the user terminal 300 may provide a reward through a learning application.

도 8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300)은 학습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용되는 사용자 아바타를 꾸며주는 아이템(예컨대, 우주 고글 1)을 리워드로서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as an example, the user terminal 300 may provide as a reward an item (eg, space goggles 1) that decorates a user avatar used in a learning application.

이러한 리워드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상의 리워드로 제공될 수도 있고, 실물로 교환 가능한 리워드로 제공될 수도 있다.Such a reward may be provided as a virtual reward as shown in FIG. 8 or may be provided as a real reward exchangeable.

정리하면, 전술한 본 발명은 코드가 내장된 코딩 블록(210)을 코딩 보드(200)에 조립하면 조립된 코딩 블록(210)의 코드에 따라 코딩 토이(100)가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학습자가 코딩 토이(100)를 통해 코드에 따른 움직임을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자의 교육 참여를 유도할 수 있고, 학습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summary,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by making the coding toy 100 move according to the code of the assembled coding block 210 when assembling the coding block 210 with the built-in code on the coding board 200, the learner is coding By allowing the toy 100 to directly check the movement according to the code,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learner's participation in education and improve the learning efficienc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obvious that variations can be made. In addition, although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not been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s predictable by the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Claims (16)

코딩 토이;
적어도 하나의 코딩 블록이 삽입되는 코딩 보드; 및
상기 코딩 보드에 삽입된 상기 코딩 블록에 대응하는 코드에 따라 상기 코딩 토이를 동작시키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다양한 학습 콘텐츠가 출력되고, 각 학습 콘텐츠는 출발 지점과 도착 지점이 미리 설정되고, 출발 지점과 도착 지점을 잇는 이동 경로가 미리 설정되며,
각각의 학습 콘텐츠에는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정답 코드가 미리 설정되고,
상기 정답 코드는 상측 이동, 우측 이동, 하측 이동을 포함하며,
상기 코딩 토이는 상기 이동 경로 상에 미리 설정된 출발 지점에 위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동작 준비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코딩 토이로부터 상기 동작 준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코딩 토이를 동작시키는
코딩 토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coding toy;
a coding board into which at least one coding block is inserted; and
and a user terminal that operates the coding toy according to a code corresponding to the coding block inserted into the coding board,
The user terminal outputs various learning contents through the display module, and for each learning content, a starting point and an arrival point are preset, and a movement path connecting the starting point and the arrival point is preset,
In each learning content, the correct answer code corresponding to the moving route is preset,
The correct answer code includes an upward movement, a right movement, and a downward movement,
When the coding toy is located at a preset starting point on the moving path, it transmits an operation prepara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operates the coding toy when the operation prepar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ding toy.
Learning system using coding toy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딩 블록 각각은 상기 코딩 토이의 동작에 대응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코딩 토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at least one coding block includes a code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ding toy.
Learning system using coding toy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 보드는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 홈이 구비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딩 블록은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되는
코딩 토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ding board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insertion groove arranged in a preset order,
The at least one coding block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Learning system using coding toy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홈은 상기 코딩 블록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코딩 토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insertion groove is recess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oding block
Learning system using coding toy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 보드는 상기 삽입된 코딩 블록에 대응하는 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코딩 토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ding board transmits a code corresponding to the inserted coding block to the user terminal
Learning system using coding toy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 보드는, 상기 코딩 보드에 복수의 코딩 블록이 삽입된 경우, 상기 복수의 코딩 블록 각각에 대응하는 코드를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정렬하고, 정렬된 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코딩 토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ding board, when a plurality of coding blocks are inserted into the coding board, arranging cod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ding blocks according to a preset order, and transmitting the sorted codes to the user terminal
Learning system using coding toy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코딩 보드로부터 상기 코딩 블록에 대응하는 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코드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코딩 토이에 송신하는
코딩 토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terminal receives a code corresponding to the coding block from the coding board,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de to the coding toy.
Learning system using coding toy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 토이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된 제어 신호에 따라 이동하거나 회전하는
코딩 토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ding toy moves or rotat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Learning system using coding toy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 토이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된 제어 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음성을 출력하는
코딩 토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ding toy outputs a preset voic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Learning system using coding toy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학습 콘텐츠를 실행하고, 상기 코딩 블록에 대응하는 코드가 상기 학습 콘텐츠에 대응하는 정답 코드와 일치하면 상기 코딩 토이를 동작시키는
코딩 토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terminal executes the learning content through the learning application, and operates the coding toy when the code corresponding to the coding block matches the correct answer code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content
Learning system using coding toy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 토이는 이동 경로가 인쇄된 맵 보드 상에서 이동하는
코딩 토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ding toy moves on the map board on which the movement path is printed.
Learning system using coding toy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맵 보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학습 콘텐츠에 대응되는 맵 이미지로 구성된
코딩 토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map board is composed of a map image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content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Learning system using coding toy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 토이는 하부에 위치한 객체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출발 지점이 센싱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동작 준비 신호를 송신하는
코딩 토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ding toy includes a sensor for sensing an object located below, and when the starting point is sensed by the sensor, transmitting the operation prepara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Learning system using coding toy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 토이는 상기 이동 경로 상에 미리 설정된 도착 지점에 위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동작 완료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코딩 토이로부터 상기 동작 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리워드를 제공하는
코딩 토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n the coding toy is located at a preset arrival point on the moving path, it transmits an operation comple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provides a reward through a learning application when the operation comple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ding toy.
Learning system using coding toy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 토이는 하부에 위치한 객체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도착 지점이 센싱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동작 완료 신호를 송신하는
코딩 토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coding toy includes a sensor for sensing an object located below, and when the arrival point is sensed by the sensor, transmitting the operation comple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Learning system using coding toys.
KR1020200002955A 2020-01-09 2020-01-09 Education system using coding toy KR1024287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955A KR102428745B1 (en) 2020-01-09 2020-01-09 Education system using coding to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955A KR102428745B1 (en) 2020-01-09 2020-01-09 Education system using coding to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872A KR20210089872A (en) 2021-07-19
KR102428745B1 true KR102428745B1 (en) 2022-08-04

Family

ID=77125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955A KR102428745B1 (en) 2020-01-09 2020-01-09 Education system using coding to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74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9543B1 (en) 2022-10-12 2022-11-23 김병태 Learning booklet system using optical code
KR102469536B1 (en) 2022-10-12 2022-11-23 김병태 Learning system with holographic image output func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1402A (en) * 2016-02-29 2017-09-06 씨어아이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Educational Robot
KR101892356B1 (en) * 2016-10-04 2018-08-28 (주)모션블루 Apparatus and mehtod for providng coding education using block
KR20180108987A (en) * 2017-03-24 2018-10-05 주식회사 아로텍 Study system and method for coding education
KR102017942B1 (en) * 2017-07-05 2019-09-04 방상봉 Board type smart learning Tools
KR102370502B1 (en) * 2019-01-24 2022-03-04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산학협력단 Coding learning system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1402호(2017.9.6. 공개) 1부.*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37631호(2018.4.13. 공개) 1부.*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08987호(2018.10.5. 공개) 1부.*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05264호(2019.1.16. 공개) 1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9543B1 (en) 2022-10-12 2022-11-23 김병태 Learning booklet system using optical code
KR102469536B1 (en) 2022-10-12 2022-11-23 김병태 Learning system with holographic image output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872A (en) 202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2994B2 (en) Interactive phonics game system and method
CN106504614B (en) Educational robot with building block programming
KR102126521B1 (en) Tangible coding blocks system for physical programming in child of kindergarten and the lower grades elementary school
KR102428745B1 (en) Education system using coding toy
CN108288411B (en) Intelligent interactive learning machine and system thereof
CN103489347A (en) Intelligent teaching electronic building block
US2009028621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
Arikan et al. A Learning Environment for English Vocabulary Using Quick Response Codes.
US20220139257A9 (en) Tactile and visual display with paired and active stylus with means and methods
KR101916146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book reading experience service based on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KR102127093B1 (en) Smart block play learning device based on IoT modular complex education play furniture service
CN203149876U (en) Children early education story machine
US117564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reading skills of users with reading disability symptoms
CN101510366A (en) Words study and entertainment machine with hand-written touch screen
CN109272782A (en) A kind of education robot system
WO2019169664A1 (en) Intelligent interactive learning method
KR102344322B1 (en) Education system for children
CN1279502C (en) An educational device
KR10208417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oy platform service for infants in science-technology-engineering-arts-mathmatics based on cloud service, and storeage medium which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is recorded
Xu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English Lesson Based on Handwriting Recognition and Augmented Reality in Primary School.
CN204833748U (en) Intelligence infant education system
CN2524295Y (en) Mutual teaching devices
KR102124100B1 (en) System for coding education
US11989357B1 (en) Systems and methods to specify interactive page locations by pointing a light beam using a handheld device
KR101090839B1 (en) Language education system using game utens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