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102B1 - 보철물 설계 과정에서의 객체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덴탈 캐드 장치 - Google Patents

보철물 설계 과정에서의 객체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덴탈 캐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102B1
KR102428102B1 KR1020200103481A KR20200103481A KR102428102B1 KR 102428102 B1 KR102428102 B1 KR 102428102B1 KR 1020200103481 A KR1020200103481 A KR 1020200103481A KR 20200103481 A KR20200103481 A KR 20200103481A KR 102428102 B1 KR102428102 B1 KR 102428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ection
screen
user
target
search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8102B9 (ko
KR20220022521A (ko
Inventor
최규옥
조성업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3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102B1/ko
Publication of KR20220022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102B1/ko
Publication of KR10242810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10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20Configuration CAD, e.g. designing by assembling or positioning modules selected from libraries of predesigned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보철물 설계 과정에서의 객체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덴탈 캐드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객체 선택 방법은, 보철물 설계 과정에서 객체 선택 시에 소프트웨어에서 미리 설정된 선택 조건에 부합하는 최적의 객체를 화면 상에 미리 보여주는 방식으로 선택 대상을 추천함에 따라, 사용자가 정확한 객체를 찾아가 선택해야 하는 불편함을 덜 수 있다.

Description

보철물 설계 과정에서의 객체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덴탈 캐드 장치 {Object picking method in prosthesis design process and dental CAD device for same}
본 발명은 치과영상 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철물을 설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덴탈 캐드 소프트웨어(Dental CAD software)는 보철, 교정, 덴쳐 등 치과진료에 필요한 개체를 설계 하는 것과 관련된 모든 작업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이다. 덴탈 캐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보철물을 설계하거나 치아 모델을 이동시키는 작업 등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화면 안의 다양한 객체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객체를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선택(Picking) 해야 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그런데 사용자가 특정 객체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많은 불편함이 발생하며 정확도가 떨어진다.
한국등록특허 10-0672325 (2007년01월24일 공고)
일 실시 예에 따라, 덴탈 캐드 소프트웨어의 설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객체 선택 과정에서의 불편함과 정확도 문제를 해결하고 개선할 수 있는 객체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덴탈 캐드 장치를 제안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객체 선택 방법은, 덴탈 캐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보철물 설계 과정에서 화면을 통해 객체들을 표시하는 단계와, 화면 상에서 사용자 동작에 의해 이동 중인 마우스 커서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된 마우스 커서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검색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와, 설정된 검색 영역 내에서 미리 설정된 선택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를 검색하는 단계와, 검색된 객체를 화면 상에 미리 보여주는 방식으로 선택 대상을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객체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이하 'GUI'라 칭함) 객체를 포함하고, GUI 객체는 치아모델의 특징 점 제어용 GUI, 특징 선 제어용 GUI, 마진라인 생성 및 편집용 GUI, 치아 분할선 제어용 GUI, 삽입로 제어용 GUI, 및 매니퓰레이터용 GUI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객체는, 데이터 객체를 포함하고, 데이터 객체는 특징 점, 특징 선 및 특징 영역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선택 방법.
객체 선택 방법은, 현재 마우스 커서 위치에서 추천된 선택 대상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동작에 기초하여 선택 대상을 선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객체 선택 방법은, 선택 대상을 추천한 이후, 추천된 선택 대상에 대해 사용자의 선택동작이 아닌 소정의 동작을 감지하면 사용자가 추천된 선택 대상을 선택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동 중인 마우스 커서의 새로운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선택 조건에 부합하는 새로운 객체를 검색하여 검색된 새로운 객체를 화면 상에 미리 보여주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검색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2D 또는 3D 화면에서 마우스 커서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 영역을 검색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선택 조건이 검색 영역 내에 있는 객체들 중에서 마우스 커서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거리가 가까운 객체에 가중치를 두고 있는 경우, 선택 대상을 추천하는 단계는 마우스 커서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거리가 가장 가까운 객체를 최우선 선택 대상으로 추천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선택 조건이 검색 영역 내에 있는 객체들 중에서 곡률, 컨택 및 교합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부합하는 객체에 가중치를 두고 있는 경우, 선택 대상을 추천하는 단계는 3D 형태의 검색 영역을 구성하는 메쉬 데이터의 특징 점, 특징 선 및 특징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객체들 중에서, 곡률, 컨택 및 교합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부합하는 객체를 최우선 선택 대상으로 추천할 수 있다.
선택 대상을 추천하는 단계에서, 미리 보여주는 선택 대상을 식별 가능한 시각정보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선택 대상을 추천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선택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들이 다수 개이면 다수 개의 객체를 선택 대상 후보로 미리 보여주는 단계와, 미리 보여주는 선택 대상 후보들 중에서 소정의 선택 대상을 선택하는 사용자 동작에 기초하여 객체를 최종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 선택 방법은, 사용자의 객체 선택을 위해 화면을 확대하거나 뷰 방향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객체 선택 방법은, 덴탈 캐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보철물 설계 과정에서 화면을 통해 객체들을 표시하는 단계와, 화면 상에서 사용자 동작에 기초하여 소정의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선택 위치를 기준으로 검색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와, 설정된 검색 영역 내에서 미리 설정된 선택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를 검색하는 단계와, 검색된 객체를 화면 상에 보여주는 방식으로 선택 대상을 추천 하거나 최종 선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덴탈 캐드 장치는, 덴탈 캐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보철물 설계 과정에서 화면을 통해 객체들을 표시하는 출력부와, 화면 상에서 사용자 동작에 의해 이동 중인 마우스 커서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마우스 커서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된 검색 영역 내에서 미리 설정된 선택 조건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출력부를 통해 화면 상에 미리 보여주는 방식으로 선택 대상을 추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덴탈 캐드 장치는, 덴탈 캐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보철물 설계 과정에서 화면을 통해 객체들을 표시하는 출력부와, 화면 상에서 사용자 동작에 기초하여 소정의 객체를 선택하고, 사용자의 선택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된 검색 영역 내에서 미리 설정된 선택 조건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출력부를 통해 화면 상에 미리 보여주는 방식으로 선택 대상을 추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철물 설계 과정에서의 객체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덴탈 캐드 장치에 따르면, 2D 화면 안에서 특정 객체(GUI, 2D/3D 모델 데이터, 특징 점, 특징 선 등)을 선택 하는 과정에서, 마우스 커서를 Pixel 단위로 정확한 위치에 이동시켜 선택(예를 들어, 마우스 클릭)할 필요가 없어진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을 위해서 화면 위에서 마우스를 이동할 때, 현재 마우스 커서 위치에서 미리 설정된 검색 영역 내에 있는 객체들 중에서, 미리 설정된 선택 조건에 가장 부합하는 선택 대상을 소프트웨어에서 자동으로 추천하거나 선택해서 보여준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동으로 추천된 선택 대상을 대상으로 더 이상 마우스를 움직이는 등의 특별한 동작을 수행할 필요 없이, 추천된 선택 대상을 선택하는 사용자 동작(예를 들어, 현재 마우스 커서 위치에서 마우스를 클릭 하는 동작)에 기초하여 현재 화면에서 추천되어 보여지는 선택 대상이나 정보가 곧바로 선택되고 활성화되어 다음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장점을 가지게 된다.
첫째, 화면에 보여지는 객체의 크기나 두께에 상관없이 마우스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선택 조건에 부합하는 대상을 소프트웨어가 자동으로 검색하여 추천하거나 선택 함에 따라 사용자의 최적의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작업(예를 들어, 화면의 Zoom-IN, 카메라 방향 설정 작업 등)의 횟수가 감소하거나 불필요 하게 된다.
예를 들어, 마진라인을 표시하는 GUI, 치아 분할 선을 표시하는 GUI, 삽입로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선 형태의 GUI, 치아 모델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매니퓰레이터용 GUI 등은 가는 선의 형태를 가지는데, 마우스를 이용해 쉽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둘째, 화면의 2D/ 3D 모델 위에서 소정의 선택 조건에 부합하는 부분(특징 점, 특징 선, 특징 영역 등)을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소프트웨어가 마우스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수학적으로 분석해 정확한 부분(점, 선, 면 등)을 추천하거나 선택하여 제공함에 따라, 선택의 정확도 및 정밀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소프트웨어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객체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 발생하는 문제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소프트웨어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2D/3D 모델 데이터 상에서 소정 조건에 부합하는 위치(특징 점, 특징 선, 특정 영역 등)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 발생하는 문제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덴탈 캐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객체 선택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객체 선택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색 영역을 설정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색 영역을 설정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택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를 검색하여 검색된 객체를 선택 대상으로 선정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택 조건을 설정하고 설정된 선택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를 검색하여 검색된 객체를 선택 대상으로 선정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설정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설정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소프트웨어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객체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 발생하는 문제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화면의 GUI나 2D/3D 객체를 선택 하는 상황에서는, 선택의 대상이 되는 객체가 화면에서 아주 작게 보여지고 있거나, 가늘고 얇게 보여지는 경우(Line 등) 마우스 커서를 대상이 되는 객체 위로 이동시키고 위치시키는 과정이 힘들고 불편하다(a). 보통은 원하는 대상을 정확하게 선택 하기 위해 사용자가 화면을 확대(Zoom-in) 하거나 화면에 적용되는 카메라의 방향 등을 수정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b).
도 2는 일반적인 소프트웨어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2D/3D 모델 데이터 상에서 소정 조건에 부합하는 위치(특징 점, 특징 선, 특정 영역 등)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 발생하는 문제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2D/3D 모델 데이터 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에 부합하는 부위(특징 점, 특징 선, 특정 영역 등)를 화면에 보여지는 정보를 이용해 판단하고, 마우스-클릭으로 그 위치를 선택 해야 하는 경우, 원하는 조건에 부합하는 위치를 마우스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과정이 힘들고 복잡하다. 결과 또한 정밀도나 정확도를 보장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 보여지고 있는 2D/3D 모델 위에서 주어진 소정의 조건(최대 곡률 점 등)에 부합하는 특정 정보(점, 선, 면 등)를 사용자가 눈으로 찾으면서(a), 마우스로 선택 하는 경우(b), 실제 2D/ 3D 모델은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화면에 보여지는 영상은 화면의 크기 및 표시 방법 등에 따라서 복잡한 구조를 모두 보여줄 수 없기 때문에, 주어진 조건에 부합하는 정확한 정보(점, 선, 면 등)를 선택 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c). 즉, 정확하게 조건을 만족하는 지점(예를 들어, 최대 곡률 지점)이 선택되는 것이 아니라, 정확하지 않은 부분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덴탈 캐드 소프트웨어의 설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객체(GUI, 정보 등)의 선택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편함과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덴탈 캐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덴탈 캐드 장치(3)는 실제 치과에서 치아 보철에 도움을 주기 위해 캐드 공정을 수행한다. 보철 캐드 공정이란 환자의 치아 데이터를 획득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한 제어를 통해 라이브러리에서 가상의 보철물 모델을 불러들인 후 치아 데이터의 타겟 위치에 가상으로 배치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치아 데이터는 손상된 대상 치아를 포함하는 치아들의 2차원, 3차원 정보를 가진 데이터이다. 타겟 위치는 대상 치아 위치이다
덴탈 캐드 장치(3)는 보철물 설계 소프트웨어와 같은 소프트웨어를 실행 가능한 전자장치이다. 전자장치는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PC, 스마트폰, 휴대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이 있다. 소프트웨어는 보철물 설계 소프트웨어 이외에, 가이드 프로그램, 스캔 프로그램, 의료영상 처리 프로그램 등이 있다. 또한, 치과 보철 수술용 이외에 다른 일반적인 의료용 소프트웨어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덴탈 캐드 장치(3)는 데이터 획득부(30), 저장부(32), 제어부(34), 입력부(36) 및 출력부(38)를 포함한다.
데이터 획득부(30)는 환자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보철 수술을 위해 필요한 영상 데이터는 CT 데이터, 구강 모델 데이터 등이 있다. 데이터 획득부(30)는 CT 데이터와 구강 모델 데이터를 소프트웨어에서 실행하거나 웹 페이지 및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로딩할 수 있다.
구강 모델 데이터는 손상된 치아를 포함한 실제 치아들의 정보를 가진 데이터이다. 구강 모델 데이터는 환자의 구강을 본떠 생성한 석고 모형을 3D 스캐너(3D Scanner)로 스캐닝하여 획득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구강 내 3D 스캐너(3D Intra-oral scanner)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 내부를 스캐닝하여 획득될 수 있다. 획득된 구강 모델 데이터는 저장부(32)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32)에는 덴탈 캐드 장치(3)의 동작 수행을 위해 필요한 정보와 동작 수행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 등의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32)에는 개별 환자의 구강 모델 데이터와 CT 데이터가 저장되고, 치과 치료 시뮬레이션 시 전체 구강 모델 데이터들 및 CT 데이터들 중에서 특정 환자의 구강 모델 데이터 및 CT 데이터를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어부(34)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32)에는 개별 환자의 상측 치열의 영상 및 하측 치열의 영상이 저장되어 있고, 특정 환자의 구강 모델 데이터 및 CT 데이터에 매칭되는 상측 치열의 영상 및 하측 치열의 영상을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어부(34)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2)에는 다수의 보철물 모델 데이터로 구성된 보철 라이브러리를 가지고, 제어부(34)에 이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34)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한 제어를 통하여 보철 수술 계획을 수립하면서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제어부(34)는 출력부(38)를 통해 화면에 보이는 화면정보를 관리하고, 치과영상에 식립할 가상의 보철물을 디자인 하고 디자인된 보철물을 식립하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가상의 보철물이 식립되는 치과영상은 보철 수술 계획 수립을 위해 생성된 환자의 치아배열이 나타난 2차원, 3차원 등의 다차원 영상을 의미한다. 보철 수술 계획에는 X-ray, CT, 파노라믹 영상, 구강 스캔 영상, 재구성을 통해 생성된 영상, 복수의 영상을 정합한 영상 등 다양한 종류의 영상이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부(38)는 화면을 통해 객체들을 표시한다. 객체는 2D 또는 3D 형태일 수 있다. 객체는 GUI 객체 또는 데이터 객체일 수 있다. GUI는 치아모델의 특징 점 제어용 GUI, 특징 선 제어용 GUI, 마진라인 표시(생성) 및 편집용 GUI, 치아 분할선 표시 및 제어용 GUI, 삽입로 표시 및 제어용 GUI, 매니퓰레이터용 GUI 등일 수 있다. 매니퓰레이터용 GUI는 치아 모델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매니퓰레이터용 GUI 등이 있다. 데이터는 특징 점, 특징 선 및 특징 영역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곡률, 컨택, 교합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부합하는 특징 점, 특징 선, 특징 영역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대치 모델 위에서 마진라인을 생성하기 위한 최대 곡률 점(Point), 치아 모델을 분리하기 위한 치아 및 잇몸 경계선, 보철물에서 두께가 가장 얇거나 두꺼운 영역, 치아 모델에서 가장 볼록하거나 오목한 부분(Point) 등이 있다.
사용자는 화면 상에서 원하는 객체를 찾아가기 위한 사용자 동작에 의해 마우스 커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데, 제어부(34)는 사용자 동작에 의해 이동 중인 마우스 커서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마우스 커서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검색 영역을 설정한다. 검색 영역 설정 예는 도 6 및 도 7을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제어부(34)는 설정된 검색 영역 내에서 미리 설정된 선택 조건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검색한 후,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화면에 미리 보여주는 방식으로 선택 대상으로 추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화면 상에서 마우스 커서를 이동시켜 가면서 원하는 객체를 찾아 갈 때, 제어부(34)가 화면 상의 현재 마우스 커서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검색 영역 내에 있는 객체들을 내부적으로 분석해서 검색한 이후 검색된 객체들 중에서 미리 설정된 선택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를 사용자에게 미리 보여주는 방식으로 선택 대상을 추천한다. 이때, 사용자가 현재 마우스 커서 위치에서 마우스를 클릭 하는 등의 사용자 조작을 수행하여 선택 대상을 선택하면, 소프트웨어가 선택된 대상을 활성화 할 수 있다. 이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화면 상에서 특정 객체를 정확한 위치에서 선택(예를 들어, 마우스 클릭) 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소프트웨어 사용자는 설계 작업을 기존의 방식을 사용하는 것 보다 쉽고 빠르게,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입력부(36)는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는다. 예를 들어, 화면 상에서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화면의 마우스 커서의 위치 이동을 위한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 조작신호는 포인팅 장치를 통한 사용자 동작에 의해 입력 받을 수 있는데, 포인팅 장치는 마우스, 키보드 펜, 터치스크린 등 모든 입력장치를 포함한다. 사용자 동작의 예는 사용자가 마우스를 이용해 화면 상의 마우스 커서를 이동 시키는 동작, 터치스크린 형태의 화면에서 펜 또는 터치를 통해 화면 상의 소정의 객체를 선택하는 동작 등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객체 선택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소프트웨어는 화면을 통해 객체들을 표시한다(S41). 화면은 2D 또는 3D일 수 있다. 객체는 GUI 또는 데이터일 수 있다.
이어서, 화면에 표시되는 객체들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 대상으로 판단하는 객체로 마우스를 이동시키는 사용자 동작에 기초하여 화면에서 이동 중인 마우스 커서의 현재 위치를 감지한다(S42). 이때, 마우스 커서의 현재 위치는 화면 상에서 사용자가 선택 대상으로 판단한 객체에 도달하기 이전의 위치에 해당한다.
소프트웨어는 감지된 마우스 커서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검색 영역을 설정(S43) 하고, 설정된 검색 영역 내에서 미리 설정된 선택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를 검색(S44) 한 후, 검색된 객체를 미리 보여주는 방식으로 선택 대상을 추천한다(S45).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화면 상의 마우스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정확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마우스 커서가 도착하지 않아도 검색 영역 내에서 소정의 선택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객체를 선택 대상으로 추천할 수 있다. 선택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가 다수 개인 경우에는, 선택 조건에 가장 적합한 순서대로 선택 대상을 추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적절한 선택 대상이 화면에 추천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현재 마우스 위치에서의 선택 동작(예를 들어, 마우스 클릭)을 통해 선택 대상을 선택하고 이를 활성화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사용자가 원하는 적절한 선택 대상이 화면에 추천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원하는 선택 대상이 화면에 출력될 때까지 추천된 선택 대상에 대한 선택동작이 아닌 소정의 동작(가령, 마우스 커서를 원하는 위치로 계속해서 이동시키거나 우클릭하는 동작)을 하게 되며, 소프트웨어는 사용자의 마우스 이동 동작과 같은 소정의 동작에 의해 새로운 마우스 커서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고 새로운 마우스 커서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검색 영역 내에서 미리 설정된 선택 조건에 부합하는 새로운 객체를 미리 보여주는 방식으로 선택 대상을 새로 추천하게 된다.
선택 대상을 추천하는 단계(S45)에서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마우스를 이동하는 도중에 정확하게 원하는 위치에 마우스 커서가 도착하지 않아도 미리 설정된 검색 영역 내에 소정의 선택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선택 조건에 가장 부합하는 선택 대상을 화면을 통해 추천해서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선택 조건을 최적으로 만족하는 객체를 화면에서 추천해 보여주는 방법은 해당 선택 대상을 식별 가능한 시각정보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선택 대상에 대한 색상, 모양, 크기, 면적, 굵기, 강조 중 적어도 하나의 외형적인 표현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소프트웨어는 선택이 성공한 경우 다음 작업을 진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객체 선택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로 하여 전술한 객체 선택 방법은 사용자가 선택 대상으로 판단한 객체로 마우스를 이동시키는 도중에, 소프트웨어가 후보 객체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선택 대상으로 판단한 객체에 도달하기 이전에 미리 보기 방식으로 검색된 후보 객체를 표시하는 방식이다. 이에 비해, 도 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는 객체 선택 방법은 사용자가 선택 대상으로 판단한 객체를 선택했을 때 오류가 발생한 경우(예를 들어, 선택한 객체가 사용자가 의도한 선택 대상이 아닌 경우, 선택된 객체가 최적의 객체가 아닌 경우 등) 소프트웨어가 해당 오류를 바로 잡고 최적의 객체를 후보 객체로 표시하는 방식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소프트웨어는 보철물 설계 과정에서 화면을 통해 객체들을 표시한다(S51). 이때, 화면에 표시되는 객체들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 대상으로 판단하는 객체를 선택하는 사용자 동작에 기초하여 소정의 객체를 선택한다(S52).
사용자에 의해 객체가 선택되면, 소프트웨어는 사용자의 선택 위치를 기준으로 검색 영역을 설정(S53) 하고 설정된 검색 영역 내에서 미리 설정된 선택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를 검색한다(S54). 이어서, 검색된 객체를 화면 상에 보여주는 방식으로 선택 대상을 추천 하거나 최종 선택 한다(S55). 해당 방식은 사용자가 화면 상의 소정의 객체를 선택한 경우, 선택된 객체가 미리 설정된 선택 조건에 부합하지 않으면 선택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를 자동으로 검색하여 추천해 줌에 따라 선택의 오류는 경감 시키고 정확도는 높일 수 있는 방식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색 영역을 설정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화면 상의 마우스 커서(600)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선택 작업을 수행할 검색 영역(610)을 설정한다. 검색 영역(610)은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방법과 형태로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면, 화면의 2D 화면에서 마우스 커서(600)의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를 가진 2D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2D 화면에서 마우스 커서(600)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 길이를 가진 원(Circle) 형태로 검색 영역(610)을 설정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색 영역을 설정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화면의 3D 화면에서 마우스 커서(700)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를 가진 3D 영역으로 검색 영역(710)을 설정할 수도 있다. 도 7에서는 3D 화면에서 마우스 커서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 길이를 가진 구면(Sphere) 형태로 검색 영역(710)을 설정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택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를 검색하여 검색된 객체를 선택 대상으로 선정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소프트웨어는 선택 조건을 미리 설정한 후, 선택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예를 들어, GUI, 2D/3D 모델, 특징 영역(점, 선, 면 등))를 화면(예를 들어, 2D 화면) 위에서 사용자가 확인하고, 확인한 위치로 마우스 커서를 움직여서 이동한다. 이때, 마우스 커서(800) 위치를 기준으로 검색 영역(810) 내에 포함되는 객체들 중에서, 미리 설정된 선택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를 검색한다.
선택 조건은 특징, 수학적 수식 등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 조건이 검색 영역 내에 있는 객체들 중에서 마우스 커서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거리가 가까운 객체에 가중치를 두고 있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D 화면 위에서 표시되어 있는 객체들 중에서 마우스 커서 위치(800)로부터 거리가 가장 가까운 객체(820)를 선택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택 조건을 설정하고 설정된 선택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를 검색하여 검색된 객체를 선택 대상으로 선정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선택 조건이 검색 영역 내에 있는 객체들 중에서 곡률, 컨택 및 교합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부합하는 객체에 가중치를 두고 있는 경우, 3D 형태의 검색 영역을 구성하는 메쉬 데이터의 특징 점, 특징 선 및 특징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객체들 중에서, 곡률, 컨택 및 교합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부합하는 객체를 최우선 선택 대상으로 추천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3D 화면에서 설정된 검색 영역(910), 예를 들어, 구면(Sphere)에 포함되는 삼각형 메쉬 데이터(Triangle Mesh Data)(920)의 정점(Vertex) 중에서 곡률이 가장 큰 정점(930)을 선택 대상으로 선정할 수 있다. 모델 데이터, 예를 들어, 스캔 모델은 삼각형 메쉬(Mesh)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는데, 메쉬 데이터의 각 포인트를 정점이라고 한다. 검색 영역(910)에 포함되는 삼각형 메쉬 데이터(920)의 정점들 중에서 소정의 조건, 예를 들면 가장 곡률(Curvature)이 큰 정점(930)을 선택 대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덴탈 캐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보철물 설계 과정에서 화면을 통해 객체들을 표시하는 단계;
    화면 상에서 사용자 동작에 의해 이동 중인 마우스 커서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마우스 커서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검색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검색 영역 내에서 미리 설정된 선택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를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객체를 화면 상에 미리 보여주는 방식으로 선택 대상을 추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선택 조건은 곡률, 컨택 및 교합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부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선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객체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이하 'GUI'라 칭함) 객체를 포함하고,
    GUI 객체는 치아모델의 특징 점 제어용 GUI, 특징 선 제어용 GUI, 마진라인 생성 및 편집용 GUI, 치아 분할선 제어용 GUI, 삽입로 제어용 GUI, 및 매니퓰레이터용 GUI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선택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객체는 데이터 객체를 포함하고,
    데이터 객체는 특징 점, 특징 선 및 특징 영역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선택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객체 선택 방법은
    현재 마우스 커서 위치에서 추천된 선택 대상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동작에 기초하여 선택 대상을 선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선택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객체 선택 방법은
    선택 대상을 추천한 이후, 추천된 선택 대상에 대해 사용자의 선택동작이 아닌 소정의 동작을 감지하면, 사용자가 추천된 선택 대상을 선택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동 중인 마우스 커서의 새로운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선택 조건에 부합하는 새로운 객체를 검색하여 검색된 새로운 객체를 화면 상에 미리 보여주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선택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검색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2D 또는 3D 화면에서 마우스 커서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 영역을 검색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선택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선택 조건은 거리를 더 포함하며,
    미리 설정된 선택 조건이 검색 영역 내에 있는 객체들 중에서 마우스 커서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거리가 가까운 객체에 가중치를 두고 있는 경우,
    선택 대상을 추천하는 단계는
    마우스 커서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거리가 가장 가까운 객체를 최우선 선택 대상으로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선택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선택 조건이 검색 영역 내에 있는 객체들 중에서 곡률, 컨택 및 교합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부합하는 객체에 가중치를 두고 있는 경우,
    선택 대상을 추천하는 단계는
    3D 형태의 검색 영역을 구성하는 메쉬 데이터의 특징 점, 특징 선 및 특징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객체들 중에서, 곡률, 컨택 및 교합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부합하는 객체를 최우선 선택 대상으로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선택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선택 대상을 추천하는 단계는
    미리 보여주는 선택 대상을 식별 가능한 시각정보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선택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선택 대상을 추천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선택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들이 다수 개이면 다수 개의 객체를 선택 대상 후보로 미리 보여주는 단계; 및
    미리 보여주는 선택 대상 후보들 중에서 소정의 선택 대상을 선택하는 사용자 동작에 기초하여 객체를 최종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선택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객체 선택 방법은
    사용자의 객체 선택을 위해 화면을 확대하거나 뷰 방향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선택 방법.
  12. 덴탈 캐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보철물 설계 과정에서 화면을 통해 객체들을 표시하는 단계;
    화면 상에서 사용자 동작에 기초하여 소정의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
    사용자의 선택 위치를 기준으로 검색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검색 영역 내에서 미리 설정된 선택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를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객체를 화면 상에 보여주는 방식으로 선택 대상을 추천 하거나 최종 선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선택 조건은 거리, 곡률, 컨택 및 교합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부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선택 방법.
  13. 덴탈 캐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보철물 설계 과정에서 화면을 통해 객체들을 표시하는 출력부; 및
    화면 상에서 사용자 동작에 의해 이동 중인 마우스 커서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마우스 커서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된 검색 영역 내에서 미리 설정된 선택 조건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출력부를 통해 화면 상에 미리 보여주는 방식으로 선택 대상을 추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선택 조건은 거리, 곡률, 컨택 및 교합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부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덴탈 캐드 장치.
  14. 덴탈 캐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보철물 설계 과정에서 화면을 통해 객체들을 표시하는 출력부; 및
    화면 상에서 사용자 동작에 기초하여 소정의 객체를 선택하고, 사용자의 선택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된 검색 영역 내에서 미리 설정된 선택 조건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출력부를 통해 화면 상에 미리 보여주는 방식으로 선택 대상을 추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선택 조건은 거리, 곡률, 컨택 및 교합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부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덴탈 캐드 장치.
KR1020200103481A 2020-08-18 2020-08-18 보철물 설계 과정에서의 객체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덴탈 캐드 장치 KR102428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481A KR102428102B1 (ko) 2020-08-18 2020-08-18 보철물 설계 과정에서의 객체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덴탈 캐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481A KR102428102B1 (ko) 2020-08-18 2020-08-18 보철물 설계 과정에서의 객체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덴탈 캐드 장치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521A KR20220022521A (ko) 2022-02-28
KR102428102B1 true KR102428102B1 (ko) 2022-08-04
KR102428102B9 KR102428102B9 (ko) 2023-05-11

Family

ID=80497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481A KR102428102B1 (ko) 2020-08-18 2020-08-18 보철물 설계 과정에서의 객체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덴탈 캐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10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02703A (ja) * 2008-09-18 2012-02-02 3シェイプ アー/エス 歯科修復物のカスタマイズされた設計のためのツー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8433A (ja) * 1994-07-31 1996-02-13 Shimadzu Corp 医用画像診断装置
KR100672325B1 (ko) 2005-04-27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와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지향성 인터페이스 방법
KR102294194B1 (ko) * 2014-08-05 2021-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관심영역의 시각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02703A (ja) * 2008-09-18 2012-02-02 3シェイプ アー/エス 歯科修復物のカスタマイズされた設計のためのツール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8102B9 (ko) 2023-05-11
KR20220022521A (ko) 202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30634B (zh) 牙种植计划方法、装置及其记录介质
JP7481270B2 (ja) モデルの動的調整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2236359B1 (ko) 파노라믹 영상을 이용한 치아번호 선택방법 및 이를 위한 의료영상 처리장치
KR102086685B1 (ko) 객체조정 ui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플래닝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1949201B1 (ko) 객체제어 ui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플래닝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2428102B1 (ko) 보철물 설계 과정에서의 객체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덴탈 캐드 장치
KR102418811B1 (ko) 삽입로 설정용 인터페이스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덴탈 캐드 장치
KR102422534B1 (ko) 임플란트 시뮬레이션 방법 및 그 장치
KR102431052B1 (ko) 매니퓰레이터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 장치
KR102418810B1 (ko) 마진라인 포인트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덴탈 캐드 장치
KR102269029B1 (ko) 임플란트 시뮬레이션 방법 및 그 장치
US20230390032A1 (en) Method for determining object area from three-dimensional model, and three-dimensional model processing device
JP7020636B2 (ja) 光干渉断層撮影スキャン制御
KR102234425B1 (ko) 의료영상 정합 방법 및 그 장치
RU2750278C2 (ru) Способ и аппарат для модификации контура, содержащего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сть точек, размещенных на изображении
KR102474298B1 (ko) 보철물 모델 설계 방법 및 그 장치
KR102493440B1 (ko) 3차원 모델로부터 대상체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 및 3차원 모델 처리 장치
US11893737B2 (en) Hinge detection for orthopedic fixation
CN111352564B (zh) 光学相干断层扫描控制
US20220061957A1 (en) Automatic bite setting
CN116529833A (zh) 使用牙齿设置图形用户界面的数字牙齿设置方法及其装置
KR20220008458A (ko) 지대치 모델 마진라인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CN116457835A (zh) 从三维模型确定对象体区域的方法和三维模型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