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017B1 - 살균부스 - Google Patents

살균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017B1
KR102428017B1 KR1020210108496A KR20210108496A KR102428017B1 KR 102428017 B1 KR102428017 B1 KR 102428017B1 KR 1020210108496 A KR1020210108496 A KR 1020210108496A KR 20210108496 A KR20210108496 A KR 20210108496A KR 102428017 B1 KR102428017 B1 KR 102428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th
image information
sterilization
sterilization module
in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8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용일
Original Assignee
(주)성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삼 filed Critical (주)성삼
Priority to KR1020210108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0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3Biocide decomposition means, e.g. catalysts, sorb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와 내부 공간을 격리하며 개폐수단이 형성되는 부스 하우징과, 상기 부스 하우징에 결합되며 내부 공간에 살균물질을 분사하는 내부 살균모듈과, 상기 부스 하우징 내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내부 살균모듈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이동경로 형성부와, 상기 내부 살균모듈의 이동 및 살균물질 분사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살균부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살균부스{Disinfection booth}
본 발명은 부스 내부 및 외부를 효과적으로 살균처리 가능하여, 부스를 통한 세균 및 바이러스 확산을 방지 가능한 살균부스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살균부스 내부에서 먼지와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과정 중에 발생되는 오염공기의 외부 비산을 차단하면서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광촉매에 의해 신속하게 살균처리하여 2차 오염(감염)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고, 또 좌, 우측 종형 패널, 횡형 패널 및 논슬립 플레이트의 조합에 의해 조립식으로 살균부스를 형성하므로 현장시공성이 우수하면서 현장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사이즈 및 구조 변경이 용이하고, 바닥면의 평탄화 설계로 거동이 불편한 이용자의 이동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광촉매 살균모듈을 이용한 살균 에어부스시스템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특정 장소의 출입자가 통과하는 부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출입자에 의한 특정 장소의 이물질에 의한 오염 또는 전염병으로 인한 타인의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출입자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고 병원균을 살균하여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건식 광촉매 에어샤워 살균 부스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실내에 구비되며 개폐문이 구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성되어 하우징 내부에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가시광영역대의 파장이 조사되도록 하는 살균조명;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성된 탈취·흡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문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단에 구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개구홀이 형성되는 장착프레임과, 상기 수용공간에 내재되며 상기 수용공간에서 유동이 가능하도록 게재되는 머리와 상기 머리에서 하부로 돌출되며 상기 머리를 상기 수용공간에 장착 시 자유낙하 하여 하단이 지면에 접하도록 하는 밀폐단이 형성되는 밀폐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살균 및 탈취부스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사용자의 유무에 따른 점등, 공기정화 등을 자동화하는 자동화 시스템과, 흡연부스의 운용에 필요한 전력을 태양광으로부터 얻어 독립적으로 운용하는 에너지 자율화와, 흡연부스 내의 각종 오염물질, 냄새 등을 정화 한 후에 대기중으로 배출함으로써 흡연부스 내부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대기오염 발생을 차단하는 친환경 요소가 결합한 친환경 흡연부스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2217578 B1 (2021년02월15일) KR 10-2265910 B1 (2021년06월16일) KR 10-2045846 B1 (2019년11월18일) KR 10-1471881 B1 (2014년12월10일)
본 발명은 부스 내부 및 외부를 효과적으로 살균처리 가능하여, 부스를 통한 세균 및 바이러스 확산을 방지 가능한 살균부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살균부스에 관한 발명이며, 본 발명은 외부와 내부 공간을 격리하며 개폐수단(110)이 형성되는 부스 하우징(100); 상기 부스 하우징(100)에 결합되며 내부 공간에 살균물질을 분사하는 내부 살균모듈(200); 상기 부스 하우징(100) 내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내부 살균모듈(200)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이동경로 형성부(300); 상기 내부 살균모듈(200)의 이동 및 살균물질 분사를 조절하는 제어부(4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살균부스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부스 하우징(100) 사용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정보 획득부(500); 를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살균부스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사용정보 획득부(500)는 부스 하우징(100) 상부에 설치되며, 부스 하우징(100) 내부 공간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제1 영상정보 획득부(51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살균부스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1 영상정보 획득부(510)에서 획득한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부스 하우징(100) 사용유무 정보를 도출하는 사용유무 도출부(410); 상기 사용유무 도출부(410)에서 도출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내부 살균모듈(200)을 제어하여 부스 하우징(100) 내부 공간을 살균하는 살균모듈 컨트롤부(42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살균부스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사용정보 획득부(500)는 상기 내부 살균모듈(200)에 결합되어 내부 살균모듈(200)과 함께 움직이며 영상정보를 획득하고, 내부 살균모듈(200)의 살균물질 분사영역(A)을 포함하는 촬영영역(B)을 가지는 제2 영상정보 획득부(52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살균부스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부스 하우징(100) 내부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살균물질을 분사하는 외부 살균모듈(600);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살균부스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부스 하우징(100) 외부 및 내부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제3 영상정보 획득부(700);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3 영상정보 획득부(700)에서 획득되는 영상정보 상의 인체 모션을 파악하는 모션정보 추출부(460); 상기 모션정보 추출부(460)에서 파악되는 인체 모션과 저장되어 있는 위협 모션을 비교하여 위험도를 결정하며, 결정된 위험도가 설계된 수치 이상일 경우 보호시스템을 가동하는 사용자 보호부(47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살균부스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개폐수단(110)의 손잡이(111) 표면에 필름을 감는 필름교체수단(800);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부스 내부 및 외부를 살균하므로, 다양한 사람들이 부스를 이용하며 발생하는 세균 및 바이러스의 전파를 방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부스 사용유무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살균시점을 결정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살균물질에 의해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위치하지 않는 특정 영역에 제한적으로 살균물질을 분사 가능하므로, 부스가 지속적으로 사용될 경우에도 부스를 원활하게 살균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개폐수단이 작동할 때마다 새로운 필름이 손잡이 표면에 감기므로, 손잡이를 통한 세균 및 바이러스의 전파를 방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인 살균부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살균부스의 사용정보 획득부 및 내부 살균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살균부스의 사용자 위치파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인 살균부스의 공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인 살균부스의 외부 살균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살균부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인 살균부스의 필름교체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인 살균부스의 추가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인 살균부스는, 외부와 내부 공간을 격리하며 개폐수단(110)이 형성되는 부스 하우징(100); 상기 부스 하우징(100)에 결합되며 내부 공간에 살균물질을 분사하는 내부 살균모듈(200); 상기 부스 하우징(100) 내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내부 살균모듈(200)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이동경로 형성부(300); 상기 내부 살균모듈(200)의 이동 및 살균물질 분사를 조절하는 제어부(400); 를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인 살균부스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내부 살균모듈(200)은 2개 이상의 방향으로 살균물질을 분사하는 것; 을 포함한다.
흡연 공간을 격리하기 위한 흡연부스, 위급 상황에서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부스, 상품을 홍보하기 위한 공간 형성에 사용되는 광고부스 등 다양한 부스가 개발 및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부스는 많은 사람이 부스를 사용하며 발생하는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의 전파에 대한 대처가 이루어져 있지 않아, 부스를 통한 많은 감염사례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부스 사용이 크게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부스 하우징(100) 내부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물질을 분사하는 내부 살균모듈(200)을 설치하여, 부스 하우징(100)을 통한 세균 및 바이러스 전파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였다.
그리고, 부스 하우징(100) 내부에 둘레방향으로 이동경로 형성부(300)를 형성하여, 내부 살균모듈(200)이 이동경로 형성부(300)를 따라 이동하며 부스 하우징(100)의 모든 영역을 살균 가능하게 하였다.
이때, 내부 살균모듈(200)의 살균영역 설정 및 살균물질 분사시점 결정은 상기 제어부(400)를 통해 이루어지며, 살균모듈(200) 제어의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에서 다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살균부스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부스 하우징(100) 사용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정보 획득부(500); 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인 살균부스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사용정보 획득부(500)는 부스 하우징(100) 상부에 설치되며, 부스 하우징(100) 내부 공간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제1 영상정보 획득부(510); 를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인 살균부스는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1 영상정보 획득부(510)에서 획득한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부스 하우징(100) 사용유무 정보를 도출하는 사용유무 도출부(410), 상기 사용유무 도출부(410)에서 도출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내부 살균모듈(200)을 제어하여 부스 하우징(100) 내부 공간을 살균하는 살균모듈 컨트롤부(420); 를 포함한다.
살균물질이 부스 사용자에게 직접 분사될 경우 부스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영상정보 획득부(520)에서 부스 하우징(100) 내부 영상을 촬영하면, 상기 사용유무 도출부(410)에서 전달받은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부스 하우징(100) 내부 사용자 유무를 판단한 후, 부스 하우징(100) 내부에 사용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만 상기 살균모듈 컨트롤부(420)가 내부 살균모듈(200)을 작동시켜 부스 하우징(100)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살균모듈(200)의 살균은 부스 하우징(100) 내부 전체 영역에 이루어질 수 있으나, 항상 부스 하우징(100) 내부 전체 영역을 살균 시 많은 살균물질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내부 살균모듈(200) 작동에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므로, 사용자가 위치되었던 특정 영역만 선택 살균될 수도 있다.
(실시예 2-4) 본 발명인 살균부스는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사용정보 획득부(500)는 상기 내부 살균모듈(200)에 결합되어 내부 살균모듈(200)과 함께 움직이며 영상정보를 획득하고, 내부 살균모듈(200)의 살균물질 분사영역(A)을 포함하는 촬영영역(B)을 가지는 제2 영상정보 획득부(520); 를 포함한다.
(실시예 2-5) 본 발명인 살균부스는 실시예 2-4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정보 획득부(520)의 촬영각도는 상기 내부 살균모듈(200)의 살균물질 분사각도의 100퍼센트 내지 110퍼센트인 것; 을 포함한다.
(실시예 2-6) 본 발명인 살균부스는 실시예 2-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2 영상정보 획득부(520)에서 획득하는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내부 살균모듈(200)의 살균물질 방출유무를 결정하는 방출시점 조절부(430); 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살균모듈(200)을 통한 부스 하우징(100)의 살균 시점이 부스 하우징(100)이 사용되지 않는 시점으로 제한될 경우, 다수의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부스 하우징(100)을 사용하게 되면 부스 하우징(100) 살균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부스 하우징(100) 내부에 사용자가 위치되어 있을 경우에도 사용자가 위치되지 않는 제한적인 영역을 파악 후 살균물질을 분사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 영상정보 획득부(520)가 정면에 위치된 영역의 영상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방출시점 조절부(430)에서 전달받은 영상정보를 통해 제2 영상정보 획득부(520) 정면에 사용자가 위치되어 있는지 유무를 판단하고, 정면에 사용자가 위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내부 살균모듈(200)을 작동시켜 사람이 없는 영역에 살균물질을 분사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2 영상정보 획득부(520)는 상기 내부 살균모듈(200) 측면 또는 상면에 결합되어 함께 이동하는 것이 권장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 영상정보 획득부(520) 촬영이 이루어진 영역으로 내부 살균모듈(200)이 이동하는 동안 사용자가 촬영이 이루어진 영역으로 진입하여 사용자에게 살균물질이 분사되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그리고, 살균모듈(200)의 살균물질 분사영역(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상정보 획득부(520) 촬영영역(B)에 포함되어, 살균모듈(200)에서 방출되는 살균물질이 제2 영상정보 획득부(520)에서 촬영이 이루어진 영역 외부로 퍼져나가는 것을 최소화 하는 것을 권장한다.
(실시예 2-7) 본 발명인 살균부스는 실시예 2-4에 있어서, 상기 사용정보 획득부(500)는 부스 하우징(100)의 각 영역별 사용자정보를 획득하는 복수개의 정보획득수단(530), 상기 제어부(400)는 복수개의 상기 정보 획득수단(530)에서 획득하는 사용자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영역에 사람이 없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내부 살균모듈(200)을 제어하여 사람이 없는 것이 확인된 영역으로 살균물질을 방출시키는 방출방향 조절부(440); 를 포함한다.
(실시예 2-8) 본 발명인 살균부스는 실시예 2-7에 있어서, 상기 부스 하우징(100)은 내부 공간의 쾌적도를 유지시키는 공조장치(101)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내부 살균모듈(200)에서 살균물질 분사 전 공조장치의 작동을 멈추는 것; 을 포함한다.
직선상에 위치된 모든 영역에 사용자가 위치되지 않을 경우에만 살균이 가능할 경우, 살균을 위한 조건을 만족하기 어렵기 때문에 살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에 각각 개별적인 영역의 사용자정보를 획득하는 복수개의 정보획득수단(530)을 설치하고, 방출방향 조절부(440)에서 수신된 사용자정보를 기반으로 내부 살균모듈(200)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위치되지 않는 영역에 살균물질을 방출 가능하게 하였다.
이때, 상기 내부 살균모듈(200)은 사용자가 위치되지 않는 특정 영역에 살균물질을 방출하기 위하여 살균물질 방출각도, 방출세기, 분사범위를 조절 가능해야 함은 물론이며, 정보획득수단(530)은 초음파센서 및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부스 하우징(100) 내부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순환 및 온도조절 등을 목적으로 하는 공조장치(101)가 작동하고 있을 경우, 공조장치가 작동하며 발생하는 특정 공기 유동에 의해 방출되는 살균물질이 설정된 특정 영역을 벗어날 수 있으므로, 방출방향 조절부(440)는 공조장치(101) 작동을 정지시킨 후 살균물질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공조장치(101) 및 살균모듈(200)을 제어하는 것을 권장한다.
(실시예 2-9) 본 발명인 살균부스는 실시예 2-8에 있어서, 상기 공조장치는 살균물질에 함유된 과산화수소를 분해 또는 흡착 제거하는 과산화수소 제거필터(102); 를 포함한다.
(실시예 2-10) 본 발명인 살균부스는 실시예 2-8에 있어서, 상기 공조장치는 배출되는 공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UV 필터(103); 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공조장치(10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프리필터에 의해 먼지가 1차 제거되고, 과산화수소 제거필터(102)에 의해 공기에 함유된 과산화수소가 2차 제거된 후, UV 필터에 의해 3차 살균될 수 있다.
이때, 과산화수소는 상기 내부 살균모듈(200)에서 방출되는 살균물질에 함유될 수 있는 성분으로, 호흡기로 유입될 경우 유해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과산화수소 제거필터(102)에서 흡착 또는 분해 방식으로 제거되어야 한다.
그리고, 공조장치(101)를 통해 부스 하우징(100)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 시, 공기와 함께 세균 또는 바이러스가 배출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배출되는 공기는 UV 필터(103)에 의해 살균 후 배출되는 것이 권장된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살균부스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부스 하우징(100) 내부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살균물질을 분사하는 외부 살균모듈(600); 을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인 살균부스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살균모듈(600)은 상기 부스 하우징(100) 내부 공기가 배출되는 덕트에 결합되어 공기를 살균하는 제1 외부 살균모듈(610); 을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인 살균부스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살균모듈(600)은 상기 개폐수단(110) 개폐 시 공기가 누출되는 방향으로 살균물질을 분사하는 제2 외부 살균모듈(620); 을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인 살균부스는 실시예 3-3에 있어서, 상기 외부 살균모듈(600)은 공기가 움직이는 방향을 파악하는 풍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외부 살균모듈(600)의 살균물질 방출방향을 상기 풍향센서에서 파악되는 방향으로 조절하는 살균방향 조절부(450); 를 포함한다.
부스 하우징(100) 내부 공기는 개폐수단(110)의 작동 및 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이러한 내부 공기의 배출은 세균 및 바이러스를 전파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 하우징(100) 외부에 외부 살균모듈(600)을 결합하여, 배출 공기를 살균 가능하게 하였다.
다시 한 번 설명하면, 부스 하우징(100)의 개폐수단(110) 가장자리에 제1 외부 살균모듈(610)을 형성하고, 배출구(104) 가장자리에 제2 외부 살균모듈(620)을 형성하여, 개폐수단(110)이 개방되면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경우 또는 공조장치(101)가 작동하며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경우 배출공기에 살균물질을 뿌려 공기에 함유된 세균 및 바이러스를 제거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부스 하우징(100) 외부는 공기는 주변계 온도변화, 기온차, 기압차 등에 의해 다양한 유동을 가지므로, 상기 부스하우징(100)에는 풍향센서(105)가 결합되어 외부 공기의 유동방향을 파악하고, 살균방향 조절부(450)에서 풍향센서(105)에서 획득한 외부 공기의 유동방향 정보를 기반으로 외부 살균모듈(600)의 노즐 방향을 조절하여, 배출되는 공기가 퍼져나가는 방향으로 살균물질을 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살균물질 분사가 올바른 방향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완벽한 살균을 위하여 보다 많은 양의 살균물질이 사용되어야 하므로, 풍향에 대응하여 살균물질 분사방향을 조절하여줌으로써 적은 양의 살균물질로 효과적인 살균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살균부스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부스 하우징(100) 외부 및 내부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제3 영상정보 획득부(700);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3 영상정보 획득부(700)에서 획득되는 영상정보 상의 인체 모션을 파악하는 모션정보 추출부(460); 상기 모션정보 추출부(460)에서 파악되는 인체 모션과 저장되어 있는 위협 모션을 비교하여 위험도를 결정하며, 결정된 위험도가 설계된 수치 이상일 경우 보호시스템을 가동하는 사용자 보호부(470); 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인 살균부스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보호부(470)는 파악되는 인체 모션과 저장되어 있는 위혐 모션의 일치도가 80프로 내지 100프로인 경우, 일치도 60프로 내지 100프로의 위협 모션이 3회 이상 반복되는 경우 보호시스템을 가동하는 것; 을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인 살균부스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보호시스템은 빛을 방출하거나 부저를 울려 주변에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위험상황 알림 보호시스템, 인접한 경찰서로 위험이 발생 정보를 송신하는 연결 보호시스템;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인 살균부스는 외부와 내부를 격리하여 내부에 위치된 사용자를 외부 대상(주취자, 강도)으로부터 보호 가능한 안전부스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살균부스 내부에는 경찰서에 도움을 요청 가능한 통신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나, 타인에 의해 위협받는 상황에서 놀란 사용자가 외부로 도움을 요청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모션정보 추출부(460)에서 파악된 외부 대상의 모션이 사용자를 위협하는 모션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보호부(470)에서 자동으로 보호시스템을 가동 가능하게 하였다.
이때, 위험상황 파악은 외부 대상이 정확한 위협모션을 취하는 경우, 일치율이 낮더라도 동일한 위협모션을 설정된시간동안 일정횟수 이상 반복하는경우 위험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보호시스템은 빛을 방출하거나 부저를 울려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청하는 위험상황 알림 보호시스템과, 경찰서로 위험상황 발생 정보를 송신하여 도움을 요청하는 연결 보호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살균부스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110)의 손잡이(111) 표면에 필름을 감는 필름교체수단(800); 을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인 살균부스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필름교체수단(800)은 상기 손잡이(111)에 결합되는 교체수단 하우징(810), 상기 교체수단 하우징(810)에 결합되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며 필름(801)을 손잡이(111)에 감는 코팅수단(820); 을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인 살균부스는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필름(801)은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손가락 관통구(802); 를 포함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인 살균부스는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필름교체수단(800)은 상기 개폐수단(110)의 개폐정보를 획득하는 개폐정보 획득부,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개폐정보 획득부에서 전달받은 상기 개폐수단(110) 개폐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필름교체수단(800)의 작동시점을 조절하는 필름교체시점 조절부(480); 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부스 하우징(100)을 출입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개폐수단(110) 손잡이(111)의 경우 모든 사용자의 손과 접촉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질병에 감염되어 있을 경우 질병의 근원이 되는 세균 및 바이러스가 손잡이(111)를 통해 쉽게 전파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필름교체수단(800)이 개폐수단(110) 작동 시 마다 손잡이(111) 표면에 새로운 필름을 감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필름교체수단(800)은 다양한 방식으로 손잡이(111)에 필름(801)을 감을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형태의 필름(801)이 끼워진 코팅수단(820)이 교체수단 하우징(810)의 하면에 형성된 링 형태의 가이드공을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이며 손잡이(111)의 표면을 코팅하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롤형태의 필름(801)에는 복수개의 손가락 관통구(802)가 이격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111)를 잡을 시 손가락이 관통구(802)로 통과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권장한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살균부스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오존이 함유된 살균물질을 제조하여 상기 내부 살균모듈(200)로 공급하는 살균물질 제조부(900); 를 포함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인 살균부스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살균물질 제조부(900)는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수단(910), 상기 오존발생수단(910)에서 만들어진 오존을 물에 주입하는 오존투입수단(920), 오존이 함유된 물을 상기 내부 살균모듈(200)로 공급하는 공급수단(930); 을 포함한다.
살균물질은 살균 능력을 가지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는 높은 살균능력을 가지는 오존이 함유된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오존이 함유된 물 생산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주입관(901)을 통해 공기가 주입되면, 오존발생수단(910)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공기에서 오존을 분리 추출하고, 상기 오존투입수단(920)에서 생성된 오존을 오존발생 하우징(902) 하부에 위치된 물로 공급하여 물에 오존이 녹아들게 만드는 것이다.
그리고, 오존이 함유된 물은 공급수단(930)을 통해 내부 살균모듈(200)로 공급되어 살균에 사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오존발생 하우징(902) 내부에는 수용된 물의 양을 확인하는 잔량 확인수단이 구비되며, 잔량 확인수단에서 남아있는 물의 양이 일정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면 물주입관(903)을 통해 물이 오존발생 하우징(902) 내부로 추가 주입된다.
또한, 물에 함유된 오존은 물 분자보다 가볍기 때문에 일정시간 이상 물에 잔류하지 못하고 부상하게 되므로, 상기 오존투입수단(920)은 새롭게 만들어지는 오존 및 물에서 이탈한 오존을 지속적으로 물에 재주입 하는 것을 권장한다.
아울러, 오존발생 하우징(902) 하부에는 주입된 오존이 물에 최대한 많이 녹아들 수 있도록 분배 공급하기위한 분배공급판(90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분배공급판(902-1)의 경우 두께방향으로 복수개의 관통공(902-1A)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100 : 부스 하우징 101 : 공조장치
102 : 과산화수소 제거필터 103 : UV필터
110 : 개폐수단 111 : 손잡이
200 : 내부 살균모듈
300 : 이동경로 형성부
400 : 제어부 410 : 사용유무 도출부
420 : 살균모듈 컨트롤부 430 : 방출시점 조절부
440 : 방출방향 조절부 450 : 살균방향 조절부
460 : 모션정보 추출부 470 : 사용자 보호부
480 : 필름교체시점 조절부
500 : 사용정보 획득부 510 : 제1 영상정보 획득부
520 : 제2 영상정보 획득부 530 : 정보획득수단
600 : 외부 살균모듈 610 : 제1 외부 살균모듈
620 : 제2 외부 살균모듈
700 : 제2 영상정보 획득부
800 : 필름교체수단 801 : 필름
802 : 손가락 관통구 810 : 교체수단 하우징
820 : 코팅수단
A : 살균물질 분사영역 B : 촬영영역

Claims (8)

  1. 외부와 내부 공간을 격리하며 개폐수단(110)이 형성되는 부스 하우징(100);
    상기 부스 하우징(100)에 결합되며 내부 공간에 살균물질을 분사하는 내부
    살균모듈(200);
    상기 부스 하우징(100)의 내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내부 살균모듈(200)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이동경로 형성부(300);
    상기 내부 살균모듈(200)의 이동 및 살균물질 분사를 조절하는 제어부(400);
    상기 부스 하우징(100)의 사용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정보 획득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부스 하우징(100)은,
    내부 공간의 공기를 순환시켜 쾌적도를 유지시키는 공조장치(101);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정보 획득부(500)는,
    부스 하우징(100) 상부에 설치되며, 부스 하우징(100) 내부 공간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제1 영상정보 획득부(510);
    상기 내부 살균모듈(200)에 결합되어 내부 살균모듈(200)과 함께 움직이며 영상정보를 획득하고, 내부 살균모듈(200)의 살균물질 분사영역(A)을 포함하는 촬영영역(B)을 가지는 제2 영상정보 획득부(520);
    상기 제1 영상정보 획득부(510) 및 제2 영상정보 획득부(520)를 통해 부스 하우징(100)의 각 영역별 사용자정보를 획득하는 복수개의 정보획득수단(530);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1 영상정보 획득부(510)에서 획득한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부스 하우징(100) 사용유무 정보를 도출하는 사용유무 도출부(410);
    상기 사용유무 도출부(410)에서 도출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내부 살균모듈(200)을 제어하여 부스 하우징(100) 내부 공간을 살균하는 살균모듈 컨트롤
    부(420);
    상기 제2 영상정보 획득부(520)에서 획득하는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내부 살균모듈(200)의 살균물질 방출유무를 결정하는 방출시점 조절부(430);
    복수개의 상기 정보 획득수단(530)에서 획득하는 사용자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영역에 사람이 없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내부 살균모듈(200)을 제어하여 사람이 없는 것이 확인된 영역으로 살균물질을 방출시키는 방출방향조절부(440);를 포함하며,
    상기 방출시점 조절부(430)는 상기 제2 영상정보 획득부(520)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정보를 통해 사용자 위치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위치되지 않는 영역으로 내부 살균모듈(200)을 작동시켜 살균물질을 분사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내부 살균모듈(200)에서 살균물질 분사 전 공조장치의 작동을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부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스 하우징(100)의 내부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살균물질을 분사하는 외부 살균모듈(600); 을 포함하는 살균부스.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스 하우징(100)은, 부스 하우징(100)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스 하우징(100)의 외부 및 내부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제3 영상정보 획득부(70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3 영상정보 획득부(700)에서 획득되는 영상정보
    상의 인체 모션을 파악하는 모션정보 추출부(46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모션정보 추출부(460)에서 파악되는 인체 모션과 저장되어 있는 위협모션을 비교하여 위험도를 결정하며, 결정된 위험도가 설계된 수치 이상일 경우 빛을 방출하거나 부저를 울려 주변에 위험 상황을 알리거나 경찰서로 위험 발생 정보를 송신하는 보호시스템을 가동하는 사용자 보호부(470); 를 포함하는 살균부스.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110)의 손잡이(111) 표면에 필름을 감는 필름교체수단(800);을 포함하는 살균부스.
KR1020210108496A 2021-08-18 2021-08-18 살균부스 KR102428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496A KR102428017B1 (ko) 2021-08-18 2021-08-18 살균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496A KR102428017B1 (ko) 2021-08-18 2021-08-18 살균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8017B1 true KR102428017B1 (ko) 2022-08-02

Family

ID=82845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496A KR102428017B1 (ko) 2021-08-18 2021-08-18 살균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0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218B1 (ko) * 2023-02-02 2024-04-17 유형우 살균 부스장치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048B1 (ko) * 2007-01-19 2008-04-11 신진우 쇼핑카트의 위생손잡이 장치
KR101471881B1 (ko) 2014-07-16 2014-12-10 노완상 실내환기 및 살균처리용 친환경 흡연부스
KR101649600B1 (ko) * 2015-12-31 2016-08-19 주식회사 엠케이엘 이동형 음압격리병동 시스템
KR101651410B1 (ko) * 2014-11-11 2016-08-2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다중시차 행위인식 기반의 폭력 검출시스템 및 검출방법
KR20160113353A (ko) * 2015-03-18 2016-09-2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공간 살균장치 및 공간 살균방법
KR102045846B1 (ko) 2019-02-28 2019-11-18 김상국 실내 살균 및 탈취부스
KR102166285B1 (ko) * 2020-04-16 2020-10-16 김원국 이동형 공간살균 장치
KR102217578B1 (ko) 2020-08-06 2021-02-19 (주)어스열융합기술 광촉매 살균모듈을 이용한 살균 에어부스시스템
KR102260407B1 (ko) * 2020-12-23 2021-06-03 주식회사 피스티스 게이트형 방역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265910B1 (ko) 2020-10-30 2021-06-16 (주)쏠라이노텍 건식 광촉매 에어샤워 살균 부스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048B1 (ko) * 2007-01-19 2008-04-11 신진우 쇼핑카트의 위생손잡이 장치
KR101471881B1 (ko) 2014-07-16 2014-12-10 노완상 실내환기 및 살균처리용 친환경 흡연부스
KR101651410B1 (ko) * 2014-11-11 2016-08-2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다중시차 행위인식 기반의 폭력 검출시스템 및 검출방법
KR20160113353A (ko) * 2015-03-18 2016-09-2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공간 살균장치 및 공간 살균방법
KR101649600B1 (ko) * 2015-12-31 2016-08-19 주식회사 엠케이엘 이동형 음압격리병동 시스템
KR102045846B1 (ko) 2019-02-28 2019-11-18 김상국 실내 살균 및 탈취부스
KR102166285B1 (ko) * 2020-04-16 2020-10-16 김원국 이동형 공간살균 장치
KR102217578B1 (ko) 2020-08-06 2021-02-19 (주)어스열융합기술 광촉매 살균모듈을 이용한 살균 에어부스시스템
KR102265910B1 (ko) 2020-10-30 2021-06-16 (주)쏠라이노텍 건식 광촉매 에어샤워 살균 부스
KR102260407B1 (ko) * 2020-12-23 2021-06-03 주식회사 피스티스 게이트형 방역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218B1 (ko) * 2023-02-02 2024-04-17 유형우 살균 부스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0404B1 (ko) 연무식 분사구조를 갖는 고성능 살균 샤워기
JP4718317B2 (ja) 高機能エアシャワー装置
KR100957174B1 (ko) 공기정화 수산기 발생장치가 장착된 버스정류장
KR102188123B1 (ko) 출입자 소독 장치
KR20060055439A (ko) 과산화수소 증기로의 건물 오염제거
KR101309292B1 (ko) 고주파 소독연무를 이용한 소독 시스템
KR102237928B1 (ko) 무인 휴먼 클린 게이트
RU2746145C1 (ru) Способ дезинфекции воды и узел креп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подачи воды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2428017B1 (ko) 살균부스
KR102232930B1 (ko) 안면 인식이 가능한 출입 게이트형 살균 소독 장치
KR102303659B1 (ko) 방역게이트
KR200464232Y1 (ko) 다목적 방역 장치
KR102265910B1 (ko) 건식 광촉매 에어샤워 살균 부스
KR20220072948A (ko) 패스스루형 살균소독장치
KR20170096365A (ko) 긴급 구급대용 감염 관리실 및 그에 의한 감염 관리 시스템
KR20110127373A (ko) 습한 오존과 공기 와류 생성을 이용한 공기살균장치 및 공기살균방법
KR102450800B1 (ko) 스탠드형 에어샤워 방역 시스템
KR102271542B1 (ko) 손 소독장치
WO2022027101A1 (en) Apparatus for sterilizing a lift
KR20210131506A (ko) 정화 및 방역 기능을 구비한 부스
KR20220084964A (ko)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KR20210125125A (ko)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
KR102495943B1 (ko) 언택트 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 방역 시스템의 제어방법
GB2598963A (en) Work space
KR20210124645A (ko) 전체소독이 가능한 출입구형 은이온수를 활용한 소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