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882B1 - 온라인 인터랙션을 위한 실시간 동영상 공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인터랙션을 위한 실시간 동영상 공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882B1
KR102427882B1 KR1020210023384A KR20210023384A KR102427882B1 KR 102427882 B1 KR102427882 B1 KR 102427882B1 KR 1020210023384 A KR1020210023384 A KR 1020210023384A KR 20210023384 A KR20210023384 A KR 20210023384A KR 102427882 B1 KR102427882 B1 KR 102427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hared
electronic devices
interac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8258A (ko
Inventor
이보원
이영선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20088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8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04N7/155Conference systems involving storage of or access to video conference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04N21/472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using interactive regions of the image, e.g. hot sp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온라인 인터랙션을 위한 실시간 동영상 공유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동영상 공유 방법은,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한 동영상 제어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동영상 제어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에 대해 발표자가 제어하는 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에서 재생되는 동영상을 동시에 제어하는 단계; 및 인터랙션을 위해 복수의 전자 기기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공유 중인 동영상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인터랙션을 위한 실시간 동영상 공유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VIDEO SHARING FOR ONLINE INTERACTIONS}
아래의 설명은 공유 동영상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실시간 화상회의 기술은 오디오/비디오 취득, 압축, 전송, 재생의 파이프라인으로 구성되어 다자간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며 이미 상용화되어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실시간 화상회의를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 참가자의 오디오/비디오 공유와 더불어 참가자들간의 인터랙션을 위한 발표자의 화면 등 다양한 콘텐츠를 다수의 참가자가 동시에 공유하는 해결 방안이 존재한다. 공유 가능한 콘텐츠는 정지된 이미지 형태뿐 아니라 오디오/비디오를 포함한 동영상 등 실시간 재생이 가능한 다양한 콘텐츠를 포함한다. 이렇게 온라인 인터랙션에서 다자간에 공유되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경우 해당 콘텐츠는 한 명의 사용자(주로 발표자)만 제어가 가능하여 다른 참가자들은 능동적인 개입이 없이 수동적인 시청만 가능하여 효과적인 인터랙션에 큰 제약으로 작용한다.
온라인 인터랙션을 위한 오디오 처리 기술에 관한 관련 기술이 존재한다. 종래의 공유 콘텐츠의 오디오 처리 기술은 마이크-스피커를 동시에 사용시 발생하는 음향피드백(Acoustic Feedback)을 제거함과 동시에 공유되는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음질의 손실이 없이 다자간에 효과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방식을 제안한 바 있다.
화상회의 등의 온라인 인터랙션에서 다수의 온라인 참가자들이 동일한 동영상을 시청 시 효과적인 인터랙션을 위해서는 빈번한 제어(예: 재생/일시정지/되감기/빨리감기)가 필요하다. 하지만 동일한 동영상을 공유 시 발표자 등 지정된 1인의 참가자가 공유 동영상을 제어하는 것은 가능하나 각 참가자들이 개별적으로 동영상 재생을 제어하는 방식은 현재로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동영상 공유시 참가자들의 실시간 인터랙션에 현저한 제약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영상 공유를 위한 프로토콜을 제안하여 온라인 동영상을 효과적으로 공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다자간 인터랙션에서 공유 중인 동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보다 효과적인 인터랙션이 가능하도록 모든 참가자가 개별적으로 공유 중인 동영상의 제어, 즉 재생/일시정지/되감기/빨리감기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동영상 공유를 위한 프로토콜을 통해 각 참가자들이 개별적으로 공유 동영상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동영상 공유 방법은,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한 동영상 제어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동영상 제어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에 대해 발표자가 제어하는 정보를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에 전달하여 모든 참여 기기의 동영상을 동시에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동영상 제어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공유 중인 동영상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의 위치 정보 또는 소유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공유 중인 동영상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 다른 방식으로 공유 중인 동영상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이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로컬 기기에 존재하거나 또는 온라인 서비스 상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이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공유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 중 어느 하나의 전자 기기에서 다른 전자 기기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을 기반으로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의 공유 중인 동영상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 중인 전자 기기들은, 발표자의 전자 기기 및 발표자 이외의 참가자의 전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이 온라인 서비스 상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에서 url을 기반으로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을 재생시키고,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의 각각으로부터 제어 명령이 입력됨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에게 송신하고,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송신된 제어 명령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제어 명령을 기준으로 상기 온라인 서비스 상에 존재하는 공유 중인 동영상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 제어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단계는, 재생, 일시정지, 되감기 및 빨리감기를 포함하는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한 동영상 제어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동영상 공유 시스템은,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한 동영상 제어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프로토콜 설정부; 및 상기 설정된 동영상 제어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에 대해 발표자가 제어하는 정보를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에 전달하여 모든 참여 기기의 동영상을 제어하는 동영상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화상 회의 등 온라인 시스템에서 다자간에 공유하는 동영상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식을 다룬다. 실시예에서는 모든 참가자가 개별적으로 공유 중인 동영상의 제어, 즉 재생/일시정지/되감기/빨리감기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제공함으로써 다자간 인터랙션에서 공유 중인 동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보다 효과적인 인터랙션이 가능하다.
온라인 상에서 참가자들이 각각 개별적으로 공유 중인 동영상을 동시다발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공유 시스템에서 동영상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공유 시스템에서 공유 중인 동영상이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로컬 기기에 존재하는 경우, 동영상 공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공유 시스템에서 공유 중인 동영상이 온라인 서비스 상에 존재하는 경우, 동영상 공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동영상 공유 동작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공유 시스템에서 동영상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동영상 공유 시스템(100)의 프로세서는 프로토콜 설정부(110) 및 동영상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의 구성요소들은 동영상 공유 시스템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의 구성요소들은 도 2의 동영상 공유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210 내지 220)을 수행하도록 동영상 공유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동영상 공유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의 파일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메모리에 로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영상 공유 시스템에서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프로세서는 운영체제의 제어에 따라 프로그램의 파일로부터 프로그램 코드를 메모리에 로딩하도록 동영상 공유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토콜 설정부(110) 및 동영상 제어부(120) 각각은 메모리에 로딩된 프로그램 코드 중 대응하는 부분의 명령을 실행하여 이후 단계들(210 내지 220)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의 서로 다른 기능적 표현들일 수 있다.
단계(210)에서 프로토콜 설정부(110)는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한 동영상 제어 프로토콜을 설정할 수 있다. 프로토콜 설정부(110)는 재생, 일시정지, 되감기 및 빨리감기를 포함하는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한 동영상 제어 프로토콜을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로토콜 설정부(110)는 또는 사용자/관리자가 동영상 공유를 위해 참여한 복수의 전자 기기의 정보를 이용하여 동영상 공유를 위해 참여하는 복수의 전자 기기를 등록할 수 있다. 프로토콜 설정부(110)는 동영상 공유를 위해 참여한 복수의 전자 기기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요청에 따라 복수의 전자 기기를 등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직접 각각의 전자 기기를 통해 전자 기기의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전자 기기를 등록할 수 있다. 프로토콜 설정부(110)는 등록된 복수의 전자 기기를 동영상 공유를 위해 참여한 전자 기기로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전자 기기에 동영상 제어 프로토콜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프로토콜 설정부(110)는 복수의 전자 기기를 동영상 공유를 위해 참여한 전자 기기에 기초하여 공유 중인 동영상을 등록할 수 있고, 등록된 공유 중인 동영상에 동영상 제어 프로토콜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등록된 동영상을 공유하는 복수의 전자 기기에서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이 가능하게 된다. 또 다른 예로서, 프로토콜 설정부(110)는 공유 중인 동영상들 중 전제 또는 일부에 동영상 제어 프로토콜을 설정할 수 있다.
단계(220)에서 동영상 제어부(120)는 설정된 동영상 제어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공유 중인 동영상에 대해 발표자가 제어하는 정보를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에 전달하여 모든 참여 기기의 동영상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동영상 제어부(120)는 설정된 동영상 제어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공유 중인 동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동영상 제어부(120)는 공유 중인 동영상의 위치 정보 또는 소유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판단하고, 판단된 공유 중인 동영상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 다른 방식으로 공유 중인 동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영상 제어부(120)는 동영상의 메타데이터를 확인하여 동영상의 식별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동영상의 메타데이터는 동영상의 생성 일자, 수정 일자, 동영상의 포맷, 동영상의 용량(사이즈), 동영상이 저장된 위치 정보, 동영상의 소유자 정보 등을 동영상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영상 제어부(120)는 공유 중인 동영상이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로컬 기기에 존재하거나 또는 온라인 서비스 상에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동영상 제어부(120)는 공유 중인 동영상이 실행되고 있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공유 중인 동영상이 로컬 기기인지 또는 온라인 서비스 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공유 중인 동영상이 로컬 기기에 존재할 경우, 공유 중인 동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310)에서 동영상 제어부(120)는 공유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 중 어느 하나의 전자 기기에서 다른 전자 기기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320)에서 동영상 제어부(120)는 수신된 제어 명령을 기반으로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의 공유 중인 동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컬 기기의 사용자에게 공유 중인 동영상의 제어에 대한 동의 여부가 수신될 수 있다. 로컬 기기의 사용자로부터 공유 중인 동영상의 제어에 대한 동의가 수신됨에 따라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공유 중인 동영상이 제어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공유 중인 동영상이 온라인 서비스 상에 존재할 경우, 공유 중인 동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온라인 서비스란, 포털 사이트, SNS, 콘텐츠 제공 서비스(예를 들면, Youtube) 등 인터넷 상에서 동영상의 업로드, 다운로드, 공유가 가능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410)에서 동영상 제어부(120)는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에서 url을 기반으로 공유 중인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영상 제어부(120)는 동영상 공유 서비스를 위한 링크 정보(url)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메시지를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전자 기기의 각각에서 url을 통해 동영상 공유 서비스에 접속될 수 있고, 접속된 동영상 공유 서비스에서 동영상을 공유할 수 있다. 또는, 동영상 제어부(120)는 온라인 서비스 상에서 복수의 전자 기기 각각으로부터 url이 연결됨에 따라 동영상 공유 서비스가 실행될 수 있다.
단계(420)에서 동영상 제어부(120)는 복수의 전자 기기의 각각으로부터 제어 명령이 입력됨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430)에서 동영상 제어부(120)는 수신된 제어 명령을 복수의 전자 기기에게 송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동영상 제어부(120)는 전자 기기의 제어 명령을 다른 전자 기기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단계(440)에서 동영상 제어부(120)는 복수의 전자 기기에서 송신된 제어 명령이 수신됨에 따라 제어 명령을 기준으로 온라인 서비스 상에 존재하는 공유 중인 동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동영상 공유 동작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동영상 공유 시스템은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한 동영상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전자 기기에서 동영상 공유를 위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됨에 따라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이 수행될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는 발표자의 전자 기기 및 발표자 이외의 참가자의 전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복수의 전자 기기가 참여될 수 있다. 전자 기기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등이 있다.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 및/또는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시스템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동영상 공유 시스템은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한 동영상 제어 프로토콜을 설정할 수 있다. 동영상 공유 시스템은 설정된 동영상 제어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공유 중인 동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동영상 공유 시스템은 설정된 동영상 제어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 중 일부의 전자 기기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공유 중인 동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동영상 공유 시스템은 동영상 공유를 위해 참여한 복수의 전자 기기에게 공유 중인 동영상의 제어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동영상 공유를 위해 참여한 전자 기기에 재생, 일시 정지, 되감기 및 빨리감기를 포함하는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한 동영상 제어 프로토콜이 적용될 수 있다. 제어 권한이 부여된 복수의 전자 기기로부터 동영상 제어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동영상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예를 들면, 재생, 일시 정지, 되감기 및 빨리감기)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전자 기기의 각각으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액션이 취해질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전자 기기의 각각에서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터치, 더블 클릭, 스크롤 등 액션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A 전자 기기에서는 재생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1번 터치, 일시 정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2번 터치(더블 클릭), 되감기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드래그, 빨리감기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스크롤 등을 액션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전자 기기로부터 동일한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액션 정보가 다를 수 있다. 이에, 동영상 공유 시스템은 복수의 전자 기기의 각각으로부터 입력된 액션 명령에 기초하여 공유 중인 인터랙션을 위한 제어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동영상 공유 시스템은 공유 중인 동영상의 위치 정보 또는 소유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판단하고, 판단된 공유 중인 동영상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 다른 방식으로 공유 중인 동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영상 공유 시스템은 공유 중인 동영상이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로컬 기기에 존재하거나 또는 온라인 서비스 상에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동영상 공유 시스템은 공유 중인 동영상이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에 존재하는 경우, 공유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 중 어느 하나의 전자 기기에서 다른 전자 기기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명령을 기반으로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의 공유 중인 동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의 각각으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이 발표자의 전자 기기(로컬 기기)에게 전달됨으로써 다자 간의 동시다발적인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발표 중인 사용자(전자 기기)가 발표 중에 참가자들이 발표자의 속도에 맞게, 공유 중인 동영상을 재생, 일시정지, 되감기, 빨리 감기 등 제어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발표자의 동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각 참가자들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각 참가자들의 화면에 출력되는 동영상이 제어될 수 있고, 동시에 발표자의 동영상이 제어될 수 있다. 또는, 각 참가자들의 각각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각 참가자들 또는 발표자의 화면에 출력되는 동영상만이 제어될 수 있다. 만약, 복수의 전자 기기로부터 제어 명령이 동시에 입력될 경우, 제어 명령을 인식하지 않거나, 제일 처음으로 인식된 제어 명령만을 인식할 수 있다.
동영상 공유 시스템은 공유 중인 동영상이 온라인 서비스 상에 존재하는 경우,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에서 url을 기반으로 공유 중인 동영상을 재생시키고, 복수의 전자 기기의 각각으로부터 제어 명령이 입력됨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명령을 복수의 전자 기기에게 송신하고, 복수의 전자 기기에서 송신된 제어 명령이 수신됨에 따라 제어 명령을 기준으로 온라인 서비스 상에 존재하는 공유 중인 동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의 각각으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이 온라인 상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에 다자 간의 동시다발적인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들에서 재생되는 콘텐츠가 제어되는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동영상 공유 시스템은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한 동영상 제어 프로토콜을 설정할 수 있다. 동영상 공유 시스템은 설정된 동영상 제어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공유 중인 동영상에 대해 발표자가 제어하는 정보를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에 전달하여 모든 참여 기기의 동영상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동영상 공유 시스템은 동영상 공유를 위해 참여한 복수의 전자 기기 중 발표자에게 공유 중인 동영상의 제어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제어 권한이 부여된 발표자의 전자 기기로부터 동영상 제어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동영상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예를 들면, 재생, 일시 정지, 되감기 및 빨리감기)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표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액션이 취해질 수 있다. 이때, 발표자에서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터치, 더블 클릭, 스크롤 등 액션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동영상 공유 시스템은 공유 중인 동영상의 위치 정보 또는 소유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판단하고, 판단된 공유 중인 동영상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 다른 방식으로 공유 중인 동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영상 공유 시스템은 공유 중인 동영상이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로컬 기기에 존재하거나 또는 온라인 서비스 상에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동영상 공유 시스템은 공유 중인 동영상이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 중 발표자에 존재하는 경우, 발표자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명령을 기반으로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에 제어 명령을 전달하여 모든 참여 기기의 동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 중 발표자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이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다른 복수의 전자 기기(로컬 기기)에게 전달됨으로써 다자 간의 동시다발적인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발표 중인 사용자(전자 기기)가 발표 중에 공유 중인 동영상을 재생, 일시정지, 되감기, 빨리 감기 등 제어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전자 기기에서 재생 중인 발표자의 동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발표자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각 참가자들의 화면에 출력되는 동영상이 제어될 수 있다. 또는, 발표자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각 참가자들 또는 발표자의 화면에 출력되는 동영상만이 제어될 수 있다.
동영상 공유 시스템은 공유 중인 동영상이 온라인 서비스 상에 존재하는 경우,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에서 url을 기반으로 공유 중인 동영상을 재생시키고, 복수의 전자 기기 중 발표자로부터 제어 명령이 입력됨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명령을 복수의 전자 기기에게 송신하고, 송신된 제어 명령을 기준으로 온라인 서비스 상에 존재하는 공유 중인 동영상(모든 참여 기기의 동영상)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발표자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이 온라인 상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에 동시다발적인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들에서 재생되는 콘텐츠가 제어되는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8)

  1. 프로토콜 설정부, 동영상 제어부를 포함하는 동영상 공유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동영상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설정부에서, 재생, 일시정지, 되감기 및 빨리감기를 포함하는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한 동영상 제어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동영상 제어부에서, 상기 설정된 동영상 제어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에 대해 발표자가 제어하는 정보를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에 전달하여 모든 참여 기기의 동영상을 동시에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동영상 제어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에게 공유 중인 동영상의 제어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제어 권한이 부여된 복수의 전자 기기의 각각으로부터 액션 정보가 설정되고, 상기 설정된 액션 정보에 따라 입력된 제어 명령의 인식을 통해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이 동시다발적으로 제어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은,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 다른 방식으로 제어하도록 설정된 것인
    동영상 공유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의 위치 정보 또는 소유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공유 중인 동영상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 다른 방식으로 공유 중인 동영상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영상 공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이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로컬 기기에 존재하거나 또는 온라인 서비스 상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영상 공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이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공유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 중 어느 하나의 전자 기기에서 다른 전자 기기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을 기반으로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의 공유 중인 동영상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는, 발표자의 전자 기기 및 발표자 이외의 참가자의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동영상 공유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이 온라인 서비스 상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에서 url을 기반으로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을 재생시키고,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의 각각으로부터 제어 명령이 입력됨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에게 송신하고,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송신된 제어 명령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제어 명령을 기준으로 상기 온라인 서비스 상에 존재하는 공유 중인 동영상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영상 공유 방법.
  7. 삭제
  8. 동영상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재생, 일시정지, 되감기 및 빨리감기를 포함하는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한 동영상 제어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프로토콜 설정부; 및
    상기 설정된 동영상 제어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에 대해 발표자가 제어하는 정보를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에 전달하여 모든 참여 기기의 동영상을 제어하는 동영상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동영상 제어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에게 공유 중인 동영상의 제어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제어 권한이 부여된 복수의 전자 기기의 각각으로부터 액션 정보가 설정되고, 상기 설정된 액션 정보에 따라 입력된 제어 명령의 인식을 통해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의 인터랙션을 위해 참여 중인 복수의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이 동시다발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은, 상기 공유 중인 동영상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 다른 방식으로 제어하도록 설정된 것인
    동영상 공유 시스템.
KR1020210023384A 2020-12-18 2021-02-22 온라인 인터랙션을 위한 실시간 동영상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1024278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78476 2020-12-18
KR1020200178476 2020-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258A KR20220088258A (ko) 2022-06-27
KR102427882B1 true KR102427882B1 (ko) 2022-08-02

Family

ID=82247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384A KR102427882B1 (ko) 2020-12-18 2021-02-22 온라인 인터랙션을 위한 실시간 동영상 공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882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252B1 (ko) * 2015-11-11 2018-03-09 한국과학기술원 콘텐츠 공유 및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258A (ko) 202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2241B2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for displaying reaction during VoIP-based call
US92707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display of shared video data
KR20120070650A (ko)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동영상 서비스 및 재생 방법
US20240007510A1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FOR SHARING CONTENT DURING VoIP-BASED CALL
US20230403310A1 (en) Dynamic multi-user media streaming
JP2022042997A (ja) リアルタイムライブストリーミングで遅延を最小化するための方法、サーバ、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2134250B1 (ko) 스트리밍 콘텐츠의 재생 방법 및 시스템
US20170230718A1 (en) Virtual high definition video player
KR102427882B1 (ko) 온라인 인터랙션을 위한 실시간 동영상 공유 시스템 및 방법
CN112295233A (zh) 一种控制权转移的方法和系统
EP4184924A1 (en) Network live broadcast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WO2021045474A1 (ko) 로컬 스트리밍 서버를 이용한 스트리밍 콘텐츠의 재생 방법 및 시스템
KR102399661B1 (ko) 원격 접속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369525B1 (ko) 원격 접속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11418469B2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for providing fiction in messenger
KR101537842B1 (ko) 툴바를 통해 웹사이트에서 추출한 동영상을 인코딩, 저장하는 방법 및 클라우드 서비스
KR20200116887A (ko) 동영상 콘텐츠의 미리보기 동영상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KR20210037639A (ko) 로컬 스트리밍 서버를 이용한 스트리밍 콘텐츠의 재생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56557A (ko) 원격 접속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