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568B1 - 건강 기능 식품 섭취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건강 기능 식품 섭취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568B1
KR102427568B1 KR1020210157443A KR20210157443A KR102427568B1 KR 102427568 B1 KR102427568 B1 KR 102427568B1 KR 1020210157443 A KR1020210157443 A KR 1020210157443A KR 20210157443 A KR20210157443 A KR 20210157443A KR 102427568 B1 KR102427568 B1 KR 102427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user
questionnaire
intak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7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8175A (ko
Inventor
천세철
최원정
경소정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힐릿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힐릿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힐릿
Publication of KR20220068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관리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제1 식품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식품의 타겟 기능을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타겟 기능에 따라 맞춤 문진을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수된 상기 맞춤 문진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기능과 관련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문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강 기능 식품 섭취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intake of nutraceuticals}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섭취 중인 건강 기능 식품의 건강 기능별 분류에 따라 개인별로 맞춤형 문진을 선별하여 설문을 진행하여 사용자 별로 적합한 건강 기능 식품의 섭취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강 기능 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성분이나 원료를 제조, 가공한 식품이다. 건강 기능 식품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건강 기능 식품은 일반적인 의약품과 다르게 효과의 발현이 느리게 나타나고, 그로 인해 효과의 입증이 쉽지 않다. 2020년 건강 기능 식품 인식 조사에 따르면 건강 기능 식품 섭취에 따른 효능 기대보다 '심리적 만족'때문에 섭취하는 경우가 68.7%, 섭취 후 효능에 대한 확인이 불가한 경우가 67.1%, 효능에 대한 신뢰도가 없는 경우가 59.7%로, 효능에 대해 확인할 수가 없다는 것이 대부분 소비자들의 건강 기능 식품에 대해 느끼고 있는 인식 평가 결과이다.
이러한 인식 평가 결과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의약품으로 해결할 수 없는 신체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일환으로 무분별하게 건강 기능 식품을 섭취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섭취 중인 건강 기능 식품의 건강 기능별 분류에 따라 개인별로 맞춤형 문진을 선별하여 설문을 진행하여 사용자 별로 적합한 건강 기능 식품의 섭취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관리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제1 식품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식품의 타겟 기능을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타겟 기능에 따라 맞춤 문진을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수된 상기 맞춤 문진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기능과 관련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문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리 방법은 사용자가 섭취 중인 건강 기능 식품의 건강 기능별 분류에 따라 개인별로 맞춤형 문진을 선별하여 설문을 진행하고, 섭취 중인 상기 건강 기능 식품과 상기 맞춤형 문진의 분석 결과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섭취 중인 상기 건강 기능 식품 중 섭취가 불필요한 특정 건강 기능 식품을 제시하거나, 추가로 섭취가 필요한 다른 건강 기능 식품을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리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제1 식품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 단계;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식품의 타겟 기능을 분석하는 분석 단계; 상기 타겟 기능에 따라 맞춤 문진을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수된 상기 맞춤 문진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기능과 관련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문진 단계; 상기 건강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식품의 필요 유무를 추천하거나 추가로 섭취가 필요한 다른 식품을 추천하는 추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섭취 중인 건강 기능 식품을 파악하고, 해당 건강 기능 식품의 기능별 분류에 맞춰 개인별로 맞춤형 문진을 선별하여 설문을 진행하여 사용자 별로 적합한 건강 기능 식품의 섭취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문진 결과에 따라 해당 건강 기능 식품의 기능별 분류에 대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해당 건강 상태가 나타내는 기능별 분류를 기반으로 추가 건강 식품이 필요한지, 혹은 현재 건강 식품을 줄이거나 끊어야 하는지 등의 섭취 관리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관리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나이와 성별을 입력하는 메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섭취 중인 제1 식품의 식별 정보를 입력하는 메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건강 분야를 입력하는 메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문진의 선택 항목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점수와 그래프로 나타낸 메뉴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기능 이미지로 나타낸 메뉴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장치를 구성하는 추천부의 추천 결과가 포함된 메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과량섭취 영양소 및 기능성 원료 정보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섭취가 필요한 영양소 정보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와 건강 기능 식품 제품의 궁합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진 프로세스의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진 프로세스의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개인별 건강 상태 분석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장치(1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장치(100)는 획득부(110), 분석부(130), 문진부(150), 추천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획득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섭취 중인 하나 이상의 제1 식품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획득부(110)에는 사용자의 단말기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 모듈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가 단말기에 표시된 입력 메뉴에 제1 식품의 식별 정보를 입력하면, 해당 식별 정보는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획득부(110)에는 위의 입력 메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수단, 사용자가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 스크린 등의 입력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 수단 및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섭취 중인 제1 식품의 식별 정보를 획득부(110)에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분석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제1 식품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식품의 타겟 기능을 분석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에 의한 입력 대상이 되는 제1 식품은 타겟 기능을 홍보하는 건강 기능 식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식품이 목표로 하는 타겟 기능은 신체 기능 개선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타겟 기능은 제1 식품이 만들어진 이유이며, 제1 식품이 목적 또는 목표(타겟)로 하는 영양소적 효능 또는 보건적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예로, 혈액 순환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홍보하는 제1 식품의 타겟 기능은 혈액 순환 개선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혈액 순환 개선을 위해 해당 제1 식품을 섭취할 수 있다. 이를 다른 시각에서 살펴보면, 사용자가 섭취 중인 제1 식품을 파악하면 사용자가 현재 관심을 갖거나 스스로 개선이 필요하다고 자각한 증상이 간접적으로 파악될 수 있다.
분석부(130)는 건강 기능 식품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인터넷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건강 기능 식품은 건강 보조 식품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분석부(130)는 인터넷 정보 중에서 건강 기능 식품이 홍보하는 신체 기능 개선 항목을 추출할 수 있다. 분석부(130)는 신체 기능 개선 항목을 타겟 기능으로 선정하고, 타겟 기능으로 선정된 신체 기능 개선 항목을 문진부(150)에 제공할 수 있다.
문진부(150)는 사전에 준비된 복수의 문진 중에서 분석부(130)에 의해 분석된 타겟 기능에 맞춰 특정 문진을 추출할 수 있다. 타겟 기능에 맞춰 추출된 특정 문진이 맞춤 문진에 해당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문진부(150)는 제1 식품이 홍보하는 신체 기능 개선 항목에 따라 맞춤 문진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의, 문진은 칠정, 노권, 담음, 식적, 어혈의 5개 카테고리를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증상에 대한 설문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맞춤 문진은 복수의 설문 항목 중에서 신체 기능 개선 항목에 매치되는 서브 증상을 대상으로 하는 매칭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카테고리의 서브 증상은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칠정의 서브 증상에도 신경정신 관련 증상이 있고, 담음의 서브 증상에도 신경정신 관련 증상이 있다. 이때의 각 서브 증상의 설문 항목은 서로 구분되는 것이 좋다. 사용자가 자신의 증상을 정확하게 자각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칠정의 서브 증상에 대한 설문 항목과 담음의 서브 증상에 대한 설문 항목이 함께 문진에 사용될 수도 있다.
칠정은 기뻐하는 것, 우울해하는 것, 근심하는 것, 슬퍼하는 것, 놀라는 것, 겁내는 것 등 7가지의 정서 상태를 통틀어서 일컬을 수 있다. 칠정이 지나치면 장부 기혈에 영향을 주어서 병을 일으킬 수 있다. 내장 장기에 먼저 병이 생겨서 정서 활동에 영향을 주는 경우도 있다.
칠정의 서브 증상은 신경정신 관련 증상, 심신증 관련 증상, 우울 관련 증상, 수면 및 분노 관련 증상 4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신경정신 관련 증상의 설문 항목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이하의 설문 항목들은 일종의 예이며, 다양하게 변경되거나 추가될 수 있음을 환기한다.
건망증이 있다.
가족 간의 갈등이 있다.
심장이 두근거린다.
불안할 때가 있다.
깜짝깜짝 잘 놀란다.
평소 근심 걱정이 많다.
심신증 관련 증상의 설문 항목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추웠다 더웠다 한다.
가슴이 조이는 느낌이 있다.
입맛은 있으나 소화가 안된다.
어지럽다.
가슴이 아프다.
우울 관련 증상의 설문 항목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한숨을 쉰다.
가슴이 답답하다.
늘 피곤하여 눕고만 싶다.
기분이 가라앉거나 사는게 재미없다.
잠자는 동안 땀이 난다.
수면 및 분노 관련 증상의 설문 항목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불면증이 있다.
분노의 마음이 들 때가 있다.
노권은 내상병증으로 늘 노곤해하는 증이다. 흔히 정신적, 또는 육체적 피로로 비기가 상하거나 원기와 혈액이 부족해서 생긴다. 피곤해서 말하는 것조차 싫어하고 움직이면 숨이 차며 땀이 나고 가슴이 답답하면서 불안해하는 등 증상이 나타난다. 노권의 서브 증상은 감기 유사 증상, 과로 관련 증상, 소화 관련 증상, 피로 관련 증상, 허증 관련 증상, 골반저근육 관련 증상 6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감기 유사 증상의 설문 항목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감기가 자주 걸린다.
감기가 오랫동안 낫지 않는다.
말을 많이 하면 힘들어서 목소리가 작아진다.
과로 관련 증상의 설문 항목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체력에 비해 일을 무리하게 많이 한다.
일하는데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
일하는 시간이 불규칙하다.
소화 관련 증상의 설문 항목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입맛이 없다.
소화가 잘 안된다.
평소 팔다리가 무겁고 힘이 없다.
오래 서 있거나 걷기가 힘들다.
피로 관련 증상의 설문 항목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식사를 거르면 힘이 쭉 빠진다.
식사 후에 몸이 나른하고 피곤하다.
일 하고 나면 몸이 아프다.
몸이 항상 피곤하고 나른하다.
허증 관련 증상의 설문 항목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일을 하면 숨이 차다.
몸에서 열이 자주 난다.
말을 하고 나면 쉽게 목이 상한다.
기억력이 점점 떨어진다.
골반저근육 관련 증상의 설문 항목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항문이 아래로 빠지거나 빠지는 느낌이 있다.
담음은 여러 가지 수음병을 두루 일컫는다. 몸 안에 진액이 여러 가지 원인으로 제대로 순환하지 못하고 일정한 부위에 몰려서 생긴 병증을 말한다. 담음의 서브 증상은 신경정신 관련 증상, 소화 관련 증상, 피로 관련 증상, 호흡 관련 증상, 피부 관련 증상, 습증 관련 증상 6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신경정신 관련 증상의 설문 항목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가슴이 두근거린다.
사소한 일에도 쉽게 놀란다.
가슴이 답답하다.
어깨나 무릎에 관절통이 있다.
자주 숨이 차다.
귀에서 소리가 난다.
옆구리가 당기듯이 아프다.
소화 관련 증상의 설문 항목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소화가 안 된다.
조금만 먹어도 속이 그득하다.
식욕이 없다.
속이 메스꺼워 토하고 싶을 때가 있다.
뱃속에서 "꾸르륵"하는 소리가 난다.
피로 관련 증상의 설문 항목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머리가 아플 때가 있다.
머리가 맑지 않다.
자주 피곤한 편이다.
어지럼증을 느낀다.
팔다리에 힘이 없다.
호흡 관련 증상의 설문 항목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가래가 끓는다.
목에 무언가 걸려서 뱉거나 삼키려고 해도 잘 안 된다.
기침이 난다.
피부 관련 증상의 설문 항목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눈 밑이 검은 편이다.
얼굴색이 누런 편이다.
습증 관련 증상의 설문 항목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몸에 말랑말랑한 멍울이 있다.
피부가 가렵다.
대변이 묽고 끈끈한 편이다.
식적은 폐기가 내려가지 못하고 오랫동안 울적되어서 생긴다. 가슴과 옆구리가 그득하며 기운이 거슬러 올라 숨이 찬 것이 오랫동안 낫지 않으나 먹는 데는 장애가 없다. 식적의 서브 증상은 소화 관련 증상, 습증 관련 증상, 음식민감도 관련 증상, 대소변 관련 증상 4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소화 관련 증상의 설문 항목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신물이 올라온다.
트림을 자주 한다.
위가 아프다는 느낌이 든다.
종종 배탈이 난다.
식사 후 배가 더부룩하다.
명치 끝을 눌렀을 때 아프다.
습증 관련 증상의 설문 항목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몸이 무거운 느낌이 든다.
체중이 점점 늘어난다.
몸이 잘 붓는다.
식사 후 피곤이 더 심해진다.
음식민감도 관련 증상의 설문 항목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식사 후 바로 배가 아프다.
식사 후 바로 대변을 본다.
다른 지역에 가서 물갈이 하면 복통, 설사를 한다.
특정 음식에 두드러기가 난 적이 있다.
대소변 관련 증상의 설문 항목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평소 대변이 묽은 편에 속한다.
소변을 자주 본다.
팔다리에 관절통이 있다.
어혈은 피가 몸 안의 일정한 곳에 머물러서 생긴 병증이다. 외부적 손상, 경폐, 한사로 기가 몰리거나 혈열 등에 의해서 생긴다. 어혈의 서브 증상은 통증 관련 증상, 혈관 관련 증상, 외상 관련 증상 3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통증 관련 증상의 설문 항목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관절에 통증이 있다.
야간에 쑤시고 아파서 잠자기 힘들다.
옆구리가 아프다.
아랫배가 아프다.
일정 부위의 저림 증상이 오래도록 낫지 않는다.
멍이 잘 든다.
복부에 덩어리가 느껴진다.
혈관 관련 증상의 설문 항목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눈 밑이 푸르거나 자주색을 띄며 어둡다.
입술이나 혀, 잇몸의 색이 푸르거나 자주색을 띄며 어둡다.
대변색이 검다.
외상 관련 증상의 설문 항목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최근 넘어지거나 교통사고 등 심하게 부딪힌 후 증상이 있다.
발목이나 손목, 허리가 삐끗한 일로 증상이 있다.
맞춤 문진은 복수의 설문 항목 중에서 제1 제품의 신체 기능 개선 항목 다시 말해 타겟 기능에 매칭되는 서브 증상을 대상으로 하는 매칭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품의 신체 기능 개선 항목이 소화 개선일 수 있다. 이 경우, 문진부(150)는 위에 나열된 복수의 설문 항목 중에서 소화와 관련된 서브 증상(노권의 소화 관련 증상, 담음의 소화 관련 증상, 식적의 소화 관련 증상)의 설문 항목(매칭 항목)을 추출할 수 있다. 추출된 매칭 항목은 사용자에 대한 맞춤 문진에 사용될 수 있다.
문진부(150)는 타겟 기능에 따라 맞춤 문진을 추출하고, 사용자에게 맞춤 문진을 제공 또는 안내할 수 있다. 사용자에 대한 맞춤 문진의 제공 또는 안내는 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사용자가 사용 중인 표시 수단에 맞춤 문진을 전달하거나 표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문진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입수된 맞춤 문진의 결과를 이용하여 타겟 기능과 관련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정리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개선하고자 하는 건강 상태에 맞춰 건강 기능 식품을 섭취할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건강 식품이 홍보하는 타겟 기능은 곧 사용자가 관심을 갖거나 개선하고자 하는 관심 건강 상태의 종류 또는 분류를 암시할 수 있다. 따라서, 타겟 기능에 맞춰 추출된 맞춤 문진은 사용자의 관심 건강 상태를 대상으로 한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액 순환 개선을 타겟 기능으로 갖는 제1 식품을 사용자가 입력부에 제공한 경우, 혈액 순환과 관련된 맞춤 문진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맞춤 문진의 결과는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자신의 혈액 순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혈액 순환 상태 등의 건강 상태는 문진부(150)에 의해 사용자에게 안내될 수 있다.
한편, 모든 매칭 항목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면, 많은 개수의 설문 항목으로 인해 사용자의 문진 집중도가 저하되거나 문진에 대한 관심이 멀어질 수 있다.
문진부(150)에서 생성된 문진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통해 표시되므로, 사용자의 관심이 저하되면 실질적인 문진이 이루어지기 어려울 수 있다. 사용자가 지루하지 않고 간단하게 문진을 진행할 수 있도록 문진의 개수를 5개 이내로 설정할 수 있다.
적은 개수로 추출된 문진이 동일하게 반복되면 문진의 정확도가 저하되고 사용자가 쉽게 지루해할 수 있다. 문진이 실시될 때마다 새로운 설문 항목이 제시될 수 있도록, 복수의 매칭 항목 중에서 무작위로 선택된 선택 항목이 문진부(150)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선택 항목의 개수는 매칭 항목의 총 개수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문진부(150)는 적은 개수의 선택 항목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명확하게 사용자의 상태를 진단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문진부(150)는 사용자가 쉽게 문진에 대한 답변을 수행하도록 가이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맞춰, 문진부(150)는 맞춤 문진에 포함된 설문 항목에 대한 답안을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객관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문진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입수한 객관식 답안의 채점 결과를 이용해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추천부(170)는 문진부(150)를 통해 파악된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제1 식품의 필요 유무를 추천하거나, 추가로 섭취가 필요한 다른 식품을 추천할 수 있다.
추천부(170)의 정상적인 동작을 위하여 분석부(130)는 사용자가 섭취 중인 제1 식품의 성분을 분석할 수 있다. 분석부(130)는 제1 식품의 권장 섭취량을 추가로 분석할 수 있다.
추천부(170)는 제1 성분이 건강 상태의 증진에 필요한 종류 및 양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추천부(170)는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식품의 섭취량 유지, 섭취 금지, 섭취량 감소, 섭취량 증가 중 적어도 하나를 추천할 수 있다.
일 예로, 추천부(170)는 권장 섭취량당 특정 성분의 양이 건강 상태의 증진에 필요한 추천 양보다 부족한 것으로 판별되면, 제1 식품의 섭취량을 유지하도록 추천할 수 있다. 특정 성분의 부족분은 제1 식품의 섭취량을 증가시키면 해결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성분의 부족분을 보충하기 위해 제1 식품의 권장 섭취량을 초과하는 섭취 방법은 부작용 등 다양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추천부(170)는 제1 식품의 권장 섭취량 범위 내에서만 제1 식품의 섭취량 증가를 추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천부(170)는 추천 양보다 부족한 특정 성분의 부족량을 보충할 수 있는 제2 식품을 추가로 추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추천부(170)는 권장 섭취량당 특정 성분의 양이 건강 상태의 증진에 필요한 추천 양보다 부족한 것으로 판별되면, 권장 섭취량당 특정 성분의 양이 추천 양을 만족하는 제3 식품을 탐색할 수 있다. 추천부(170)는 제3 식품이 탐색되면, 제1 식품의 섭취 금지를 추천하면서 제1 식품을 대신하여 제3 식품을 추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의 관리 방법은 도 1의 관리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리 방법은 사용자가 섭취 중인 건강 기능 식품의 건강 기능별 분류에 따라 개인별로 맞춤형 문진을 선별하여 설문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건강 기능별 분류는 타겟 기능 또는 신체 기능 개선 항목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리 방법은 섭취 중인 건강 기능 식품과 맞춤형 문진의 분석 결과를 통해 사용자가 섭취 중인 건강 기능 식품 중 섭취가 불필요한 특정 건강 기능 식품을 제시하거나, 추가로 섭취가 필요한 다른 건강 기능 식품을 추천할 수 있다.
관리 방법은 획득 단계(S 510), 분석 단계(S 520), 문진 단계(S 530), 추천 단계(S 540)를 포함할 수 있다.
획득 단계(S 510)는 사용자로부터 제1 식품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 단계(S 510)는 획득부(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분석 단계(S 520)는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식품의 타겟 기능을 분석할 수 있다. 분석 단계(S 520)는 분석부(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문진 단계(S 530)는 타겟 기능에 따라 맞춤 문진을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입수된 맞춤 문진의 결과를 이용하여 타겟 기능과 관련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문진 단계(S 530)는 문진부(1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추천 단계(S 540)는 건강 상태에 따라 제1 식품의 필요 유무를 추천하거나 추가로 섭취가 필요한 다른 식품을 추천할 수 있다. 추천 단계(S 540)는 추천부(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 내지 9는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메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해당 메뉴는 사용자 단말기에 앱의 형태로 탑재되거나 관리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것일 수 있다. 도 3은 나이와 성별을 입력하는 메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문진의 종류와 문진 결과는 나이와 성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나이 또는 생년월일을 묻는 메뉴와 성별을 묻는 메뉴가 관리 장치(100)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한 나이와 성별은 문진부(150)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제1 식품의 식별 정보를 입력하는 메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해당 메뉴는 주관식 또는 객관식으로 입력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직관적인 인식을 위하여 각 식품의 사진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건강 분야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1 식품의 식별 정보를 모르는 사용자 또는 섭취 중인 식품이 없는 사용자를 고려하여, 관심 있는 건강 분야, 타겟 기능, 신체 기능 개선 항목, 건강 기능별 분류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간, 수면, 장, 다이어트가 선택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의 입력 메뉴를 통해 제1 식품의 식별 정보가 입력되면, 제1 식품의 타겟 기능이 추출될 수 있다. 도 5의 입력 메뉴를 통해 타겟 기능이 직접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다.
도 6은 문진의 선택 항목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타겟 기능이 확보되면, 문진부(150)는 객관식의 문진을 수행할 수 있다. 문진은 복수의 설문 항목 중에서 타겟 기능에 매칭되는 항목에 해당하는 매칭 항목을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매칭 항목의 개수를 줄이기 위해 무작위로 선택된 선택 항목이 도 6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문진에 응하여 각 선택 항목 별로 답변을 입력하거나 답변을 선택하면, 해당 입력 결과 또는 선택 결과에 해당하는 문진 결과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문진부(150)로 입수될 수 있다. 문진부(150)는 문진 결과를 이용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고, 건강 상태의 분석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점수와 그래프로 나타낸 메뉴의 개략도이다. 도 8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기능 이미지로 나타낸 메뉴의 개략도이다. 사용자는 도 7의 점수 및 그래프, 도 8의 웃음, 무심함, 슬픔, 괴로움을 표상하는 얼굴 표정 이모티콘(기능 이미지)을 통하여 자신의 건강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9는 추천부(170)의 추천 결과가 포함된 메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사용자가 4개의 제1 식품을 입력한 상황을 가정한다.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1 식품을 사용자가 현재 섭취 중인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추천부(170)는 분석부(130)의 분석을 통해 파악된 4개의 제1 식품의 타겟 기능을 취합할 수 있다. 단일의 제1 식품은 타겟 기능을 하나 이상 가질 수 있다. 도 9의 경우, 타겟 기능은 간 건강, 면역 기능 개선, 장 건강, 다이어트 4가지이다.
사용자가 입력한 제1 식품 4개 모두 간 건강을 타겟 기능으로 선정하고 있다. 4개의 제1 식품 중 2개가 면역 기능 개선을 타겟 기능으로 선정하고 있다. 4개의 제1 식품 중 1개가 장 건강을 타겟 기능으로 선정하고 있다. 4개의 제1 식품 중 1개가 다이어트를 타겟 기능으로 선정하고 있다.
이상의 메뉴가 제공되면, 사용자는 복수로 섭취 중인 제1 식품이 어느 타겟 기능을 갖고 있는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특정 타겟 기능이 집중적으로 또는 과하게 타겟팅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추천부(170)는 1일 권장량을 초과한 성분을 파악하고, 해당 사실을 안내하거나 해당 성분이 포함된 특정 제1 상품의 섭취를 끊거나 섭취량을 줄이도록 추천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간 건강에 도움이 되는 밀크씨슬 성분이 1일 권장량 등의 추천 양을 초과하고 있는 상태가 사용자에게 안내되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과량섭취 영양소 및 기능성 원료 정보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은 사용자가 섭취 중인 건강 기능석 성분 중 일일 최대 섭취량을 초과하는 성분들을 선별하여 분석할 수 있다.
이때, 과다 섭취되고 있는 영양소와 기능성 원료와 관련하여, 기준 섭취량 함량, 일일 최대 섭취량 초과 함량, 사용자가 섭취 중인 제품별 해당 성분의 함량 그래프, 및 해당 성분의 건강 기능성 효능 정보 및 과다 섭취시 문제점이나 부작용 등의 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섭취가 필요한 영양소 정보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은 사용자가 섭취 중인 건강 기능석 성분 중, 일일 최소 섭취량에 미달하고 있는 필수 영양소에 해당하는 성분 정보를 분석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과소 섭취되고 있는 영양소와 관련하여, 기준 섭취량 함량(일일 최소 섭취량), 영양소별 섭취량 미달 함량, 해당 영양소가 함유된 제품과 제품에 포함된 영양소 성분의 함량 그래프, 해당 영양소 성분의 건강 기능성 효능 정보 및 미섭취 또는 과소 섭취시 문제점, 부족한 영양소 성분을 포함하는 제품의 추천 정보 등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와 건강 기능 식품 제품의 궁합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건강 상태를 셀프 측정하고, 건강 식품을 섭취하기 전과 후의 자신의 건강 상태를 비교할 수 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종합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 및 누적 건강상태 정보를 반영하여 개개인에게 맞춤형 건강 식품을 추천하고, 복용 중인 건강 식품들과의 상호 궁합을 제안할 수 있다.
이때, 추천부는 사용자가 섭취 중인 건강 기능 식품 제품과의 궁합은 물론, 사용자가 새롭게 섭취하게 될 경우 사용자와 궁합이 맞는 신규 건강 기능 식품 제품의 정보와, 해당 신규 건강 기능 식품 제품에 함유된 기능성 성분, 기존 섭취 중인 건강 기능 식품 제품과 새로 섭취를 고려 중인 신규 건강 기능 식품 제품의 제품 조합 별로, 기능성 성분의 중첩 여부, 건강 기능성 성분 함량 분석 시뮬레이션 결과와 성분 효능 정보, 성분 증감 분석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건강식품을 섭취하는 소비자들의 경우 대체로 섭취 후 효능에 대해 직접적으로 느끼지 못하지만 건강유지를 위해 심리적 만족감을 느끼기 위해 복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발명은 건강 기능 식품 섭취 전, 후의 건강 상태를 셀프 측정하는 문진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건강 식품 섭취 전, 후에 소비자가 느끼는 건강상태의 변화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건강 기능 식품을 분석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진 프로세스의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진 프로세스의 순서도이다. 사용자에게 먼저 간단문진을 통해 주요병증 5개의 카테고리 중 대표 문진항을 무작위 질의한 다음, 문제되는 병증 리스트를 판단하여 정밀 검사 진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루 또는 1주 등의 설정된 주기마다 수회(예를 들어, 1 ~ 5회)에 걸쳐 설문 문항을 랜덤하게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알림 질문을 전송하고, 알림 질문에 대해 사용자가 리커트 5점 척도(Likert scale) 방식으로 응답한 설문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일부 병증(예를 들어, 노권, 식적 등)에 대해 정밀 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문제 병증에 대한 전체 문진항 질의를 통해 정밀 문진을 수행하여, 정밀 문진에 대한 설문 결과로부터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해 보다 정밀한 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문제 병증의 판단시, 각 병증 그룹 별로 백분위 점수와 컷오프 값을 계산하고, 컷오프 값이 기준 컷오프 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컷오프 값은 병증 그룹별로 설문을 통해 획득된 백분위 점수와 사용자의 성별, 연령 등의 유형, 병증 그룹의 가중치를 기반으로 병증 그룹 마다 산정될 수 있다.
기준 컷오프 값은 전체 사용자의 성별, 연령 등의 유형과, 평균 백분위 점수를 기반으로 병증 그룹 별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의 간단 문진 설문 결과에서 병증 그룹에 대해 문진된 컷오프 값이 기준 컷오프 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해당 병증 그룹은 미병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병증 그룹 별로 판단된 결과를 종합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한다.
이와 달리, 사용자의 간단 문진 설문 결과에서 백분위 점수가 기준 컷오프 값을 초과하면, 해당 병증 그룹에 대해 모든 항목을 재질의하여 정밀 문진을 통해 백분위 점수와 컷오프 값 및 기준 컷오프 값을 다시 계산한다. 정밀 문진의 병증 그룹의 컷오프 값이 기준 컷오프 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한다.
정밀 문진에서 병증 그룹이 미병이 아닌 것으로 최종 판단되면 병증 그룹 별로 판단된 결과를 종합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고, 백분위 점수에 따라 산정되는 컷오프 값이 기준 컷오프 값을 초과하면 병증 그룹이 미병인 것으로 판단하여 병증 그룹 별 결과를 모아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한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개인별 건강 상태 분석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건강 기능성과 관련된 문진항목을 통해 개인별 건강 상태 분석 결과값을 제시할 수 있으며, 면역 기능, 장 건강, 피부 건강 등의 세부 건강 상태 체크 항목에 관해 개별 건강 기능 식품 섭취 전, 후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를 시계열적으로 비교,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특정 효능을 지닌 신제품이 출시될 때마다 셀프측정 문진의 설문항에서 특정 효능을 검증할 수 있는 질문항만을 선정하여 클리닉 테스트를 통해 질문항의 유효성 및 정확도 검증이 가능하다. 또한, 건강 기능식품 섭취 전후 건강상태의 주관적인 증상들을 정량적으로 나타내어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를 정량적 기준으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은 사용자의 건강 기능 식품 섭취 이력을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권장 건강 기능 식품 제품을 추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건강 기능 식품 섭취 이력에는 건강 기능 식품 제품의 섭취 시작 시기, 섭취 기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섭취한 개별 건강 기능 식품 제품의 종류와, 건강 기능 식품 제품에 포함된 영양소 성분, 건강 기능 식품 제품의 섭취 시작 시기 및 섭취 기간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기능 식품 섭취 이력을 분석하여, 과다 섭취 영양소의 누적량, 과소 섭취 영양소의 미달량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보다 적절한 건강 기능 식품 제품을 추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금까지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관리 장치 110...획득부
130...분석부 150...문진부
170...추천부

Claims (12)

  1. 사용자가 섭취 중이며, 신체 기능 개선을 홍보하는 건강 기능 식품인 제1 식품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제1 식품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인터넷 상에서 상기 제1 식품이 홍보하는 신체 기능 개선 항목을 추출한 후 이를 타겟 기능으로 선정하고, 상기 제1 식품의 성분과 상기 제1 식품의 권장 섭취량을 분석하는 분석부;
    복수의 설문 항목 중에서 상기 타겟 기능에 따라 맞춤 문진을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수된 상기 맞춤 문진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기능과 관련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문진부; 및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식품의 필요 유무를 추천하거나, 추가 섭취가 필요한 다른 식품을 추천하는 추천부를 포함하고,
    상기 맞춤 문진은:
    칠정, 노권, 담음, 식적, 어혈의 5개의 병증 카테고리를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증상에 대한 설문 항목 중에서 상기 신체 기능 개선 항목에 매칭되는 서브 증상을 대상으로 하는 매칭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추천부는:
    특정 성분에 대한 추천 양, 상기 제1 식품의 권장 섭취량 및 상기 제1 식품의 성분을 기반으로, 특정 성분의 섭취가 부족한 것으로 판별될 경우, 상기 제1 식품의 권장 섭취량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식품의 섭취량 증가를 추천하거나, 특정 성분의 부족량을 보충할 수 있는 제2 식품을 추천하거나, 특정 성분에 대한 추천 양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제3 식품을 상기 제1 식품 대신 섭취할 것을 추천하고;
    기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맞춤 문진을 제공하는 간단 문진을 통해 계산된 각 병증 카테고리 별 컷오프 값이 기준 컷오프 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한 후, 이를 초과할 경우 해당 병증 카테고리의 전체 설문 항목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밀 문진을 통해 상기 컷오프 값을 다시 계산하고, 다시 계산된 컷오프 값이 해당 병증 카테고리의 기준 컷오프 값을 초과한 경우 해당 병증 카테고리에 대해 미병인 것으로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컷오프 값은 상기 병증 카테고리 별 문진을 통해 획득된 백분위 점수, 상기 사용자의 성별과 연령, 병증 카테고리 별 가중치를 기반으로 각 병증 카테고리 마다 산정되고,
    상기 기준 컷오프 값은 상기 병증 카테고리 별 평균 백분위 점수, 전체 사용자의 성별과 연령을 기반으로 각 병증 카테고리 마다 산정되는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타겟 기능으로 선정된 상기 신체 기능 개선 항목을 상기 문진부에 제공하는 관리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항목 중에서 무작위로 선택된 선택 항목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상기 선택 항목의 개수는 상기 매칭 항목의 총 개수보다 작게 설정되는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진부는 상기 맞춤 문진에 포함된 설문 항목에 대한 답안을 상기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객관식으로 형성하고,
    상기 문진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수한 객관식 답안의 채점 결과를 이용해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관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섭취 중인 건강 기능 식품 제품과 상기 사용자가 섭취하고 있지 않은 건강 기능 식품 제품 중 상기 사용자와 궁합이 맞는 신규 건강 기능 식품 제품의 정보와, 해당 신규 건강 기능 식품 제품에 함유된 기능성 성분, 상기 사용자가 섭취 중인 건강 기능 식품 제품과 상기 신규 건강 기능 식품 제품의 제품 조합 별로 기능성 성분의 중첩 여부 및 성분 효능 정보, 성분 증감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추천부;를 더 포함하는 관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섭취한 하나 이상의 건강 기능 식품 제품의 종류와, 상기 건강 기능 식품 제품에 포함된 영양소 성분, 상기 건강 기능 식품 제품의 섭취 시작 시기 및 섭취 기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기능 식품 섭취 이력을 분석하여 과다 섭취 영양소의 누적량, 과소 섭취 영양소의 미달량을 분석하고, 상기 건강 상태, 상기 과다 섭취 영양소의 누적량, 및 상기 과소 섭취 영양소의 미달량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제1 식품의 필요 유무를 추천하거나 추가로 섭취가 필요한 다른 식품을 추천하는 추천부;를 더 포함하는 관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제1 식품의 성분을 분석하고,
    상기 추천부는 상기 제1 식품의 성분이 상기 건강 상태의 증진에 필요한 종류 및 양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며,
    상기 추천부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식품의 섭취량 유지, 섭취 금지, 섭취량 감소, 섭취량 증가 중 적어도 하나를 추천하는 관리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제1 식품의 권장 섭취량 및 상기 제1 식품의 성분을 분석하고,
    상기 추천부는 상기 권장 섭취량당 특정 성분의 양이 상기 건강 상태의 증진에 필요한 추천 양보다 부족한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제1 식품의 섭취량을 유지하도록 추천하고,
    상기 추천부는 상기 추천 양보다 부족한 상기 특정 성분의 부족량을 보충할 수 있는 제2 식품을 추가로 추천하는 관리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제1 식품의 권장 섭취량 및 상기 제1 식품의 성분을 분석하고,
    상기 추천부는 상기 권장 섭취량당 특정 성분의 양이 상기 건강 상태의 증진에 필요한 추천 양보다 부족한 것으로 판별되면, 권장 섭취량당 상기 특정 성분의 양이 상기 추천 양을 만족하는 제3 식품을 탐색하며,
    상기 추천부는 상기 제3 식품이 탐색되면, 상기 제1 식품의 섭취 금지를 추천하면서 상기 제1 식품을 대신하여 상기 제3 식품을 추천하는 관리 장치.
  11. 삭제
  12.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섭취 중이며, 신체 기능 개선을 홍보하는 건강 기능 식품인 제1 식품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 단계;
    상기 제1 식품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인터넷 상에서 상기 제1 식품이 홍보하는 신체 기능 개선 항목을 추출한 후 이를 타겟 기능으로 선정하고, 상기 제1 식품의 성분과 상기 제1 식품의 권장 섭취량을 분석하는 분석 단계;
    복수의 설문 항목 중에서 상기 타겟 기능에 따라 맞춤 문진을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수된 상기 맞춤 문진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기능과 관련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문진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식품의 필요 유무를 추천하거나, 추가 섭취가 필요한 다른 식품을 추천하는 추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맞춤 문진은:
    칠정, 노권, 담음, 식적, 어혈의 5개의 병증 카테고리를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증상에 대한 설문 항목 중에서 상기 신체 기능 개선 항목에 매칭되는 서브 증상을 대상으로 하는 매칭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추천 단계는:
    특정 성분에 대한 추천 양, 상기 제1 식품의 권장 섭취량 및 상기 제1 식품의 성분을 기반으로, 특정 성분의 섭취가 부족한 것으로 판별될 경우, 상기 제1 식품의 권장 섭취량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식품의 섭취량 증가를 추천하거나, 특정 성분의 부족량을 보충할 수 있는 제2 식품을 추천하거나, 특정 성분에 대한 추천 양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제3 식품을 상기 제1 식품 대신 섭취할 것을 추천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맞춤 문진을 제공하는 간단 문진을 통해 계산된 각 병증 카테고리 별 컷오프 값이 기준 컷오프 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한 후, 이를 초과할 경우 해당 병증 카테고리의 전체 설문 항목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밀 문진을 통해 상기 컷오프 값을 다시 계산하고, 다시 계산된 컷오프 값이 해당 병증 카테고리의 기준 컷오프 값을 초과한 경우 해당 병증 카테고리에 대해 미병인 것으로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컷오프 값은 상기 병증 카테고리 별 문진을 통해 획득된 백분위 점수, 상기 사용자의 성별과 연령, 병증 카테고리 별 가중치를 기반으로 각 병증 카테고리 마다 산정되고,
    상기 기준 컷오프 값은 상기 병증 카테고리 별 평균 백분위 점수, 전체 사용자의 성별과 연령을 기반으로 각 병증 카테고리 마다 산정되는 관리 방법.
KR1020210157443A 2020-11-16 2021-11-16 건강 기능 식품 섭취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4275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629 2020-11-16
KR20200152629 2020-1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175A KR20220068175A (ko) 2022-05-25
KR102427568B1 true KR102427568B1 (ko) 2022-08-04

Family

ID=81796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443A KR102427568B1 (ko) 2020-11-16 2021-11-16 건강 기능 식품 섭취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56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7231A (ja) 2006-10-10 2008-04-24 Brain:Kk 問診カードを用いた個人の健康維持・増進のために必要な栄養素、機能成分、食品、及び献立の各情報を提供できる健康管理装置と、この健康管理装置を利用した弁当献立方法と、この健康管理装置を利用した弁当を製造・提供する方法
KR102063119B1 (ko) * 2018-12-27 2020-01-07 (주)로그싱크 피부관련 개인 맞춤형 건강 기능식품 정보제공 분석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189B1 (ko) * 2009-11-30 2016-08-26 (주)아모레퍼시픽 한방에 기초한 피부 유형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용 정보의 제공 방법
KR20160101413A (ko) * 2015-02-17 2016-08-25 주식회사 유비케어 고객 맞춤형 식품 및 영양제 추천 방법, 및 고객 맞춤형 식품 및 영양제 추천 시스템
KR101748236B1 (ko) * 2015-12-04 2017-06-19 주식회사 메타포뮬러 영양 테라피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마켓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31799A (ko) * 2016-05-20 2017-11-30 주식회사 파트너스앤코 한방 문진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15804A (ko) * 2016-08-04 2018-02-14 주식회사 팜팜 건강 기능 식품 및 영양 성분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117218A (ko) * 2019-04-03 2020-10-14 주식회사 시시더블유 개인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추천방법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추천 시스템
KR20200052824A (ko) * 2019-10-22 2020-05-15 주식회사 윈체 고객의 신체기능에 맞는 건강기능식품을 맞춤형으로 선택하고 배송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7231A (ja) 2006-10-10 2008-04-24 Brain:Kk 問診カードを用いた個人の健康維持・増進のために必要な栄養素、機能成分、食品、及び献立の各情報を提供できる健康管理装置と、この健康管理装置を利用した弁当献立方法と、この健康管理装置を利用した弁当を製造・提供する方法
KR102063119B1 (ko) * 2018-12-27 2020-01-07 (주)로그싱크 피부관련 개인 맞춤형 건강 기능식품 정보제공 분석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175A (ko) 202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schinsky et al. Sex differences in patterns of genital sexual arousal: Measurement artifacts or true phenomena?
US11253188B2 (en) Means and methods for personalized behavioral health assessment system and treatment
Chivers et al. Gender and sexual orientation differences in sexual response to sexual activities versus gender of actors in sexual films.
Whitlock et al. Assessment of nonsuicidal self-injury: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Non-Suicidal Self-Injury–Assessment Tool (NSSI-AT).
Carpenter How I conduct a comprehensive chronic graft-versus-host disease assessment
Mikailiūkštienė et al. Quality of life in relation to social and disease factor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in Lithuania
Neyraud et al. Influence of bitter taste on mastication pattern
Jutel et al. A picture of health?: Unmasking the role of appearance in health
Diers et al. A yoga-based therapy program designed to improve body image among an outpatient eating disordered population: program description and results from a mixed-methods pilot study
JP2021079182A (ja) 肌状態サポートシステム
KR102427568B1 (ko) 건강 기능 식품 섭취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06263114A (ja) 元気・健康点検票、元気・健康点検装置、および元気・健康点検方法
Iddrisu et al. Factors of health promotion behaviour (HPB) and elderly health diseases in Malaysia
Küster et al. Orientation response in low‐fat foods: Differences based on product category and gender
Patrão et al. Internet addiction and lonliness among Portuge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 exploratory quantitative study [poster]
CN115206523A (zh) 一种健康管理评估系统及其方法
Dijker et al. Seeing overweight adults as babies: Physical cues and implications for stigmatization
Jones The impact of sexual arousal on the category specificity of women's visual attention to erotic stimuli
Dixit Eating Regulation Within the Context of Self-Determination Theory
Jensen Feeding, Fear, and Physiology: Behavioral and Autonomic Outcome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Utilized to Treat Avoidant Restrictive Food Intake Disorder in Pediatric Populations
Chhim Comparison of health-promoting lifestyles of family nurse practitioner students and non-nursing students
Brates The Role of Fatigue in the Aging Swallow
MANCHESTER A STUDY OF THE EFFECTS OF THREE WEIGHT COUNSELING TECHNIQUES AND ONE NUTRITION EDUCATION TECHNIQUE ON THE WEIGHT, SKINFOLD MEASURES, AND SELF-CONCEPTS OF BLACK, URBAN,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Grasso Postmenopausal Women's Body Image, Attitudes on Aging, and Engagement in Health Promoting Behaviors
Ryan Exploring women’s experiences of premenstrual embodiment utilising a material-discursive-intrapsychic frame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