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256B1 - 차량용 필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256B1
KR102427256B1 KR1020220043384A KR20220043384A KR102427256B1 KR 102427256 B1 KR102427256 B1 KR 102427256B1 KR 1020220043384 A KR1020220043384 A KR 1020220043384A KR 20220043384 A KR20220043384 A KR 20220043384A KR 102427256 B1 KR102427256 B1 KR 102427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filter unit
vehicle
tempor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3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현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아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아이엔씨
Priority to KR1020220043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2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 B01D46/52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with means for maintaining spacing between the pleats or fo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58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16Fixing, mounting, supporting or arranging filter elements; Filter element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42Antimicrobial, antibacterial, antifung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5Deodorising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64Impregn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중단부가 착탈이 가능하고, 4개의 필터부재로 구성된 필터부를 통해 사용기간을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필터{Filt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중단부가 착탈이 가능하고, 4개의 필터부재로 구성된 필터부를 통해 사용기간을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기의 공조 덕트에는 공기 덕트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유해물질 및 미세먼지 등을 여과하기 위한 에어필터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자동차의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대기 중의 공기는 먼지,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꽃가루, 분진 등의 불순물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오염된 외부의 공기가 정화되지 않고 밀폐된 차량 내부로 유입된다면 운전자 및 다른 탑승자들은 불쾌감뿐만 아니라 호흡곤란 등과 같은 건강상에 치명적인 해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자동차의 엔진은 실린더를 움직이는데 가솔린을 연소하고, 가솔린을 연소하기 위해 자동차 엔진은 많은 양의 공기를 필요로 한다. 가솔린을 연소하기 위해 엔진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모래, 먼지 등의 불순물을 포함하고 있다. 불순물을 포함하고 있는 공기가 기화기를 거쳐 혼합기와 함께 실린더로 흡입되면, 공기 중에 포함된 불순물은 고속으로 운동하는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서 거친 연마제로 작용하여 실린더를 손상시키고 내부를 순환하면서 각종 베어링의 마모를 촉진하여 엔진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이에 따라, 자동차에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모래, 꽃가루 및 분진 등의 불순물이 제거된 상태로 자동차 내부에 유입되어야 한다.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자동차용 에어 필터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조기 내의 공기유입구와 같은 통로에 장착된다.
에어필터는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공기 중에 섞인 먼지나 이물질이 에어필터 속에 끼이게 되고 이로 인해 에어필터의 여과성능이 저하되므로 에어필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에어필터 자체를 교체하여 주어야 한다. 에어필터는 전체를 교체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최근 미세먼지나 코로나 19 등의 바이러스로 인해 교체주기가 빨라지고 이로 인해 관리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했다.
또한, 에어필터는 유입되는 공기가 에어필터의 중단부에 가장 많이 통과하게 되어 에어필터의 양측부보다 중단부의 필터링 성능이 저하된다. 이에 에어필터는 양측부의 필터가 교체시기에 되지 않더라도 중단부의 필터링 성능 저하로 인해 교체될 수 밖에 없다.
한편, 에어필터는 자동차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혼합된 먼지나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하더라도, 습한 날에 공조기를 가동함에 따라 공조덕트에 서식하는 곰팡이 등 세균성 이물질이 그대로 자동차 내부로 유입되어 자동차 내부의 탑승자가 세균성 이물질에 의한 구토나 두통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으며, 자동차 내부의 불쾌한 냄새로 인해 쾌적함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67501호 “고효율 에어필터”가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중단부가 착탈이 가능하고, 4개의 필터부재로 구성된 필터부를 통해 사용기간을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필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필터는 차량에 흡기를 정화하되, 산과 골로 이루어진 연속적인 절곡구조를 가지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의 외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를 지지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필터부의 중단부에 배치되고 착탈이 가능한 제1필터 및 상기 제1필터의 양끝단에 배치되되, 상기 테두리부와 접합하는 제2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중단부에 절곡 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형성되어, 절곡 형태를 유지하는 형태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필터는, 전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테두리부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하측이 개방된 'ㄷ'자 형태로 형성되되, 외측 끝단이 상기 테두리부 측으로 굴곡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는, 내면에 형성되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와 접하고 상기 필터부를 상기 테두리부에 가고정하는 가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고정부는, 상기 제2필터의 일측 끝단의 절곡단면과 맞닿되, 상기 필터부의 골이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마련된 제1가고정부 및 상기 필터부의 끝단 중 직선단면과 맞닿되, 상기 필터부의 직선단면이 가고정되도록 일정 각도를 가지는 제2가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공기 중의 지름 50㎛ 초과한 이물질을 여과하는 제1필터부재; 상기 제1필터부재를 통과한 공기 중의 지름 50㎛ 이하인 이물질을 여과하는 제2필터부재; 상기 제2필터부재를 통과한 공기에 항균 및 항바이러스의 처리가 가능한 제3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부에 습기 및 악취를 방지하는 제4필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필터부재는, 구리나노와이어 및 은나노와이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4필터부재는, 소금, 숯 및 페퍼민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필터는 중단부가 착탈이 가능하고, 4개의 필터부재로 구성된 필터부를 통해 사용기간을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만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모든 효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필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필터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도 1의 테두리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1의 단면도.
도 7은 도 1의 필터부가 다수개의 필터부재로 구성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 1을 기준으로 전면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 한다. 이에 따라 '좌측', '우측', '상방' 및 '하방'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상기 전방 및 후방을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필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필터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테두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필터부가 다수개의 필터부재로 구성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필터(1)는 필터부(10) 및 테두리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10)는 차량에 흡기를 정화하되, 산과 골로 이루어진 연속적인 절곡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필터부(10)는 연속적인 절곡되도록 접혀있어 자동차로 유입되는 공기와의 접촉 표면적을 넓힐 수 있다.
필터부(10)는 일부분이 착탈되도록 제1필터(11) 및 제2필터(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필터(11)는 필터부(10)의 중단부에 배치되고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필터(11)는 제2필터(12)가 양측에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한 쌍의 제2필터(12) 사이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1필터(11)는 양측이 제2필터(12)와 겹쳐지도록 결합되어 유입되는 공기가 정화되지 않고 통과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필터(11)는 제2필터(12)와 접하는 부분에서 상면에 위치하여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리는 동작으로 손쉽게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필터(11)는 테두리부(20)에 고정되도록 고정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110)는 제1필터(11)의 전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110)는 테두리부(20)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하측이 개방된 'ㄷ'자 형태로 형성되되, 외측 끝단이 테두리부(20) 측으로 굴곡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110)는 굴곡져 있어 테두리부(20)를 압박하여 제1필터(11)가 테두리부(2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차량용 필터(1)는 제1필터(11)를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어 관리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다. 즉, 차량용 필터(1)는 에어필터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제1필터(11)만 교체할 수 있다.
제2필터(12)는 제1필터(11)의 양끝단에 배치되되, 테두리부(20)와 접합할 수 있다.
또한, 필터부(10)는 형태유지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형태유지부(13)는 필터부(10)의 절곡 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형성되어, 절곡 형태를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형태유지부(13)는 제1필터(11) 및 제2필터(12)의 중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형태유지부(13)가 제2필터(12)에 형성될 경우, 제1필터(11)가 결합되는 측에 가깝도록 형성되되, 제1필터(11)가 겹쳐지는 부분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필터(12)의 일측이 테두리부(20)와 이미 접합되어 있고, 제1필터(11)와 제2필터(12)가 겹쳐지는 부분의 형태가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필터부(10)는 다수개의 필터부재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테두리부(20)를 설명한 뒤 이어 자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테두리부(20)는 필터부(10)의 외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필터부(10)를 지지할 수 있다.
테두리부(20)는 제2필터(12)가 배치된 뒤 외둘레를 따라 수지접착제로 벤딩 처리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테두리부(20)는 필터부(10)의 전체 사이즈를 계산한 뒤, 상하면이 개방된 사각 틀 형태로 형성하여 제1필터(11) 및 제2필터(12)가 내부로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후자의 경우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테두리부(20)는 필터부(10)가 테두리부(20)에 고정되기 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가고정부(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고정부(21)는 테두리부(20)의 내면에 형성되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필터부(10)와 접하여 필터부(10)가 테두리부(20)에 가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고정부(21)는 제1가고정부(210) 및 제2가고정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고정부(210)는 제2필터(12)의 일측 끝단의 절곡단면과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가고정부(210)는 제2필터(12)가 테두리부(20) 내부에 안착할 경우, 수직방향에서의 위치를 가이드해 줄 수 있다.
제1가고정부(210)는 제2필터(12)의 골이 삽입되어 더욱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삽입홈(2100)이 마련될 수 있다. 삽입홈(2100)은 제2필터(12)의 골과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삽입홈(2100)은 제2필터(12)의 이탈을 방지하고 정위치에 제2필터(12)가 가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제2가고정부(211)는 필터부(10)의 끝단 중 직선단면과 맞닿되, 필터부(10)의 직선단면이 가고정되도록 일정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제2가고정부(211)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부(10)의 끝단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와 대응되는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때, 제2필터(12)는 제2가고정부(211)와 접하는 부분에 접착수단이 마련되어 테두리부(20)와의 접합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의 차량용 필터(1)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은 제1가고정부(210)와 접하고, 전후면은 제2가고정부(211)와 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필터(12)는 일측이 제1가고정부(210)의 삽입홈(2100)에 삽입되고, 전후측이 제2가고정부(211)에 안착되면서 가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필터(11)는 양측이 한 쌍의 제2필터(12)의 상면에 각각 안착하고 전후측이 제1가고정부(210)에 맞닿게 되면서 가고정될 수 있다.
즉, 가고정부(21)는 필터부(10)가 테두리부(20)에 접합될 시, 가고정되도록 하여 정위치에 필터부(10)가 자리잡도록 할 뿐만 아니라, 결합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필터(1)의 필터부(10)는 다수개의 필터부재가 적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부(10)는 제1필터부재(14), 제2필터부재(15), 제3필터부재(16) 및 제4필터부재(1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필터부재(14)는 공기 중의 지름 50㎛ 초과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제1필터부재(14)는 1차적으로 큰 이물질을 여과하는 것으로, 프리필터(Pre-filter)일 수 있다.
제2필터부재(15)는 제1필터부재(14)를 통과한 공기 중의 지름 50㎛ 이하인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제2필터부재(15)는 제1필터부재(14)에서 제거하지 못한 작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헤파필터(HEPA filter)일 수 있다.
이처럼, 제1필터부재(14) 및 제2필터부재(15)를 통과한 공기는 물리적으로 크기를 가지는 이물질이 필터링될 수 있다.
제3필터부재(16)는 제2필터부재(15)를 통과한 공기에 항균 및 항바이러스의 처리가 가능할 수 있다. 제3필터부재(16)는 구리나노와이어 및 은나노와이어 중 하나 이상을 흡착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필터의 항균성 섬유 재질로 사용할 수 있는 필터소재는 모두 사용 가능하다.
또한, 제3필터부재(16)는 구리나노와이어 및 은나노와이어 중 하나 이상을 용액에 분산시켜 코팅한 흡습성 부직포일 수 있다. 여기서, 코팅방식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사용하는 코팅방식은 모두 사용 가능하다.
제4필터부재(17)는 필터부(10)에 습기 및 악취를 방지하는 성분으로 이루어져있어 필터부(10)를 통과하는 공기에 미세수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특히, 필터부(10)의 습도가 높아져 세균 및 바이러스가 증식할 수 있는 환경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내부의 탑승객이 악취로 인한 불쾌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4필터부재(17)는 소금, 숯, 페퍼민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능성 분말이 혼합된 도포액에 담지된 흡습성 부직포일 수 있다. 이때, 제습탈취물질인 소금, 숯, 페퍼민트는 건조하여 미세입자로 분쇄하여 도포액과 혼합될 수 있다. 또한, 분쇄입자의 크기는 0.1 ㎜ 이하의 직경을 가지도록 미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때, 분쇄방식은 볼밀 장치, 스크류 로터 장치, 롤러밀 장치 중 하나의 분쇄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습탈취물질을 0.1 ㎜ 이하의 직경 입자로 분쇄가 가능한 다양한 분쇄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습탈취물질은 소금, 숯 및 페퍼민트를 모두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소금은 습기를 흡수하는 염화마그네슘을 함유하고 있어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숯은 미세한 구멍을 통해 습기를 흡수하고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페퍼민트는 멘톨이란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멘톨은 피부와 점막을 시원하게 해주고, 항균과 통증 완화에 효과적이어서 고대 이집트에서는 식용과 약용 및 방향제로, 고대 그리스에서는 향수의 중요한 성분으로,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향수 외에도 원기 강화제와 목욕 첨가제로 사용하였다. 정신적 피로와 우울증, 신경성 발작 등에 효과가 있고, 더울 때에는 차갑게 해주고 추울 때에는 따뜻하게 해주는 성분이 점액의 유출을 막아주고 해열과 발한을 돕는다. 감기, 천식, 기관지염, 콜레라, 폐렴, 폐결핵, 식중독, 신경통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흡습성 부직포에 담지하기 위해 도포액 60 내지 85 중량부와 페퍼민트 분말 5 내지 10중량부, 소금분말 5 내지 10중량부, 숯 분말 5 내지 1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이때, 페퍼민트 분말, 소금분말 및 숯 분말이 5중량부 미만일 경우 제습탈취물질의 총 분말비율이 15중량부 미만이 되어 제습탈취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페퍼민트 분말, 소금분말 및 숯 분말이 10중량부 초과일 경우 제습탈취물질의 총 분말비율이 30중량부 초과되어 제4필터부재(17)의 통기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제습탈취물질 분말이 도포액에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고 분말입자가 뭉쳐 담지가 힘들 수 있다.
여기서, 도포액은 일반적으로 에어필터의 가공에 사용되는 점착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차량용 필터
10 : 필터부
11 : 제1필터
110 : 고정부재
12 : 제2필터
13 : 형태유지부
14 : 제1필터부재
15 : 제2필터부재
16 : 제3필터부재
17 : 제4필터부재
20 : 테두리부
21 : 가고정부
210 : 제1가고정부
2100 : 삽입홈
211 : 제2가고정부

Claims (8)

  1. 차량에 흡기를 정화하되, 산과 골로 이루어진 연속적인 절곡구조를 가지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의 외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를 지지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필터부의 중단부에 배치되고 착탈이 가능한 제1필터 및
    상기 제1필터의 양끝단에 배치되되, 상기 테두리부와 접합하는 제2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필터는,
    전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테두리부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하측이 개방된 'ㄷ'자 형태로 형성되되, 외측 끝단이 상기 테두리부 측으로 굴곡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는,
    내면에 형성되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와 접하고 상기 필터부를 상기 테두리부에 가고정하는 가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고정부는,
    상기 제2필터의 일측 끝단의 절곡단면과 맞닿되, 상기 필터부의 골이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마련된 제1가고정부 및
    상기 필터부의 끝단 중 직선단면과 맞닿되, 상기 필터부의 직선단면이 가고정되도록 일정 각도를 가지는 제2가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공기 중의 지름 50㎛ 초과한 이물질을 여과하는 제1필터부재;
    상기 제1필터부재를 통과한 공기 중의 지름 50㎛ 이하인 이물질을 여과하는 제2필터부재;
    상기 제2필터부재를 통과한 공기에 항균 및 항바이러스의 처리가 가능한 제3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부에 습기 및 악취를 방지하는 제4필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필터부재는,
    구리나노와이어 및 은나노와이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제4필터부재는,
    소금, 숯 및 페퍼민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능성 분말이 혼합된 도포액에 담지되며,
    상기 제4필터부재는,
    상기 도포액에 담지된 흡습성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중단부에 절곡 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형성되어, 절곡 형태를 유지하는 형태유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필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20043384A 2022-04-07 2022-04-07 차량용 필터 KR102427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384A KR102427256B1 (ko) 2022-04-07 2022-04-07 차량용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384A KR102427256B1 (ko) 2022-04-07 2022-04-07 차량용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7256B1 true KR102427256B1 (ko) 2022-07-29

Family

ID=82606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384A KR102427256B1 (ko) 2022-04-07 2022-04-07 차량용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2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4945B1 (ko) * 2024-01-08 2024-05-10 (주)신영산업필터 차량용 에어필터 어셈블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044Y1 (ko) * 2001-08-13 2002-01-19 주식회사 성창에어텍 자동차용 에어필터
JP3790803B2 (ja) * 1995-09-15 2006-06-28 スリーエム カンパニー プリーツ付きフィルタ組立体
KR20110045645A (ko) * 2009-10-27 2011-05-04 대기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 필터 어셈블리
KR20180033006A (ko) * 2016-09-23 2018-04-02 (주)라도 차량용 에어컨 필터 어셈블리
KR101930512B1 (ko) * 2017-03-31 2018-12-19 (주)라도 차량용 에어 클리너의 필터유닛
KR102153226B1 (ko) * 2019-07-05 2020-09-08 주식회사 씨앤아이오토 자동차용 에어컨필터
KR102346453B1 (ko) * 2020-03-12 2021-12-31 김인수 초미세먼지 및 악취 동시 제거 기능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필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0803B2 (ja) * 1995-09-15 2006-06-28 スリーエム カンパニー プリーツ付きフィルタ組立体
KR200261044Y1 (ko) * 2001-08-13 2002-01-19 주식회사 성창에어텍 자동차용 에어필터
KR20110045645A (ko) * 2009-10-27 2011-05-04 대기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 필터 어셈블리
KR20180033006A (ko) * 2016-09-23 2018-04-02 (주)라도 차량용 에어컨 필터 어셈블리
KR101930512B1 (ko) * 2017-03-31 2018-12-19 (주)라도 차량용 에어 클리너의 필터유닛
KR102153226B1 (ko) * 2019-07-05 2020-09-08 주식회사 씨앤아이오토 자동차용 에어컨필터
KR102346453B1 (ko) * 2020-03-12 2021-12-31 김인수 초미세먼지 및 악취 동시 제거 기능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필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4945B1 (ko) * 2024-01-08 2024-05-10 (주)신영산업필터 차량용 에어필터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5026B1 (ko) 필터 매체, 필터 부재 및 필터 장치
EP1433515A2 (en) Air Purifier
KR102427256B1 (ko) 차량용 필터
JP2005177739A (ja) 空気清浄機
KR20090004898A (ko) 초미세 또는 나노크기 분말을 혼입한 부직 매체
CN106178744A (zh) 一种高效低风阻滤芯及其制备方法
WO2004110593A1 (ja) 空気清浄機、機能性フィルタ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空気清浄フィルターおよび装置
US20130174741A1 (en) Microbicidal filter and filtration cartridge incorporating such a filter
KR101972584B1 (ko) 집진 및 탈취력이 개선된 차량용 필터
JP2005152793A (ja) 機能性フィルターと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3234538U (ja) 空調用複合フィルター
CN205360859U (zh) 一种室内除甲醛空气净化器
KR20130024208A (ko) 자동차용 기능성 필터
KR20130020164A (ko) 푸시팬과 풀팬 혼합형 공기청정시스템
CN204806635U (zh) 车用多功能空调滤网
CN208465507U (zh) 新型空调滤芯
CN204709952U (zh) 用于解决pm2.5问题的杀菌灭病毒净化型过滤芯片
CN216825267U (zh) 一种空调滤芯结构
KR20220000563A (ko) 선풍기를 이용한 공기의 여과장치
CN208244267U (zh) 石墨烯负离子空气净化器滤网及汽车空调滤网
JP2005152796A (ja) 空気清浄フィルターおよび装置
CN105757840A (zh) 一种迷宫式空气净化器
CN205832852U (zh) 一种汽车空调滤芯无纺布
CN201189437Y (zh) 一种电子式空气集尘净化除湿机
CN206793223U (zh) 硅藻土复合防雾霾过滤芯片及口罩和空气净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