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189B1 - 전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189B1
KR102427189B1 KR1020180048407A KR20180048407A KR102427189B1 KR 102427189 B1 KR102427189 B1 KR 102427189B1 KR 1020180048407 A KR1020180048407 A KR 1020180048407A KR 20180048407 A KR20180048407 A KR 20180048407A KR 102427189 B1 KR102427189 B1 KR 102427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shell
cap
clamping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8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4442A (ko
Inventor
구혁현
황건빈
료비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048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189B1/ko
Publication of KR20190124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4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Primary Cel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고, 이는 쉘, 전지셀, 캡, 클램핑 구조 및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포함한다. 전지셀은 쉘내에 배치된다. 캡은 전지셀을 피복한다. 클램핑 구조는 클램핑부와 복수개의 리브부를 포함하고, 이 중 각 리브부는 쉘과 클램핑부 사이에 연결되며, 리브부들은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후크는 캡과 연결되고, 후크는 클램핑부에 클램핑 연결되며 인접한 두 리브부 사이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전지 어셈블리{BATTERY ASSEMBLY}
본 발명은 전지 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현재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노트북의 기능은 날로 업그레이드되며 부피가 점점 작아지고 휴대하기에 편하게끔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소비형 전자제품의 마케팅에서의 메인이 되고 있다.
노트북은 컴퓨터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전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노트북의 운행에 대해 전력을 제공한다. 상기 전지 어셈블리는 쉘로 전지셀을 수용하고, 캡으로 전지셀을 피복하며, 캡은 후크에 의해 쉘의 클램핑 구조에 클램핑 연결되어 캡과 쉘의 결합을 이룬다. 노트북 및 그 전지 어셈블리의 외형 디자인 때문에 쉘 내부에 수용되는 클램핑 구조와 후크의 공간은 제한된다. 일반적인 설계방식에서, 후크와 클램핑 구조는 쉘 내부에 큰 면적으로 중첩되어 있고 따라서 후크와 클램핑 구조는 전체적으로 두께가 두껍다. 때문에 제한된 공간내에서 배치하는 것이 어렵다. 이에, 어떻게 제한된 공간내에 클램핑 구조와 후크를 설치하여 캡과 쉘 사이의 클램핑 연결을 이루는가 하는 것은 노트북의 전지 어셈블리의 설계상에서 중요한 과제로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제한된 공간내에 클램핑 구조와 후크를 설치하여 캡과 쉘 사이의 클램핑 연결을 이룬다.
본 발명의 전지 어셈블리는 쉘; 상기 쉘내에 배치되는 전지셀; 상기 전지셀을 덮는 캡; 클램핑부와 복수개의 리브부를 포함하며 각 상기 리브부는 상기 쉘과 상기 클램핑부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리브부들은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클램핑 구조; 및 상기 캡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는 상기 클램핑부에 클램핑 연결되며 인접한 두 상기 리브부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브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제1방향에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제2방향에 따라 상기 클램핑부에 클램핑 연결되며,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제1방향에 수직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브부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제3방향에서 상하로 중첩되고, 상기 제3방향은 상기 제1방향에 수직되고 상기 제2방향에 수직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쉘과 상기 전지셀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하고, 상기 클램핑 구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상기 간격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의 최소 폭은 0.85mm보다 작거나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브부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클램핑부에 클램핑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복수개이며, 상기 후크들과 상기 리브부들은 서로 교차하여 배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핑부는 서로 대응되는 내표면과 외표면을 갖고 있으며, 상기 외표면은 상기 전지셀을 향하고, 상기 내표면은 상기 쉘을 향하며, 상기 리브부들은 상기 내표면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의 길이는 각 상기 리브부의 길이보다 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본체 및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캡으로부터 상기 쉘내에 연장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클램핑부와 클램핑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는 제1구역 및 제2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구역과 상기 제2구역의 교차점에 연결되고, 상기 제1구역은 상기 클램핑 구조에 의해 덮이며, 상기 제2구역은 상기 클램핑 구조에 의해 노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캡 사이의 거리는 1.75mm보다 작거나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핑 구조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쉘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캡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전지 어셈블리에서, 쉘 상의 클램핑 구조의 클램핑부는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복수개의 리브부로 쉘과 연결된다. 캡 상의 후크가 쉘 상의 클램핑 구조와 클램핑 연결시, 후크는 인접한 두 리브부 사이에 위치한다. 즉, 클램핑부는 후크와 나란히 배열되는 리브부를 통해 쉘과 연결되며, 후크와 중첩되는 구조로 쉘과 연결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후크와 클램핑 구조의 전체 두께가 너무 커서 쉘과 전지셀 사이에 배치되는 공간을 크게 점유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제한된 공간내에서 클램핑 구조와 후크를 설치하여 캡과 쉘 사이의 클램핑 연결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특징과 이점을 보다 명확하고 상세하게 알 수 있게 하기 위해, 이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지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지 어셈블리의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도 1의 쉘과 캡의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쉘과 캡의 분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지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지 어셈블리(100)는 예를 들면 노트북의 전지 어셈블리에 설치되는 것이며, 전지 어셈블리(100)는 쉘(110), 전지셀(120) 및 캡(130)을 포함한다. 전지셀(120)은 쉘(110)내에 설치되며 노트북의 운행을 위한 전력을 제공한다. 캡(130)은 쉘(110)에 설치되어 전지셀(120)을 덮는다.
도 2는 도 1의 전지 어셈블리의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도1의 쉘과 캡의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의 쉘과 캡의 분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지 어셈블리(100)는 클램핑 구조(140) 및 복수개의 후크(150)를 더 포함한다. 클램핑 구조(140)는 클램핑부(142) 및 복수개의 리브부(144)를 포함하고, 각 리브부(144)는 일체로 성형하여 쉘(110)과 클램핑부(142) 사이에 연결된다. 이러한 리브부(144)들은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각 후크(150)는 일체로 성형되어 캡(130)과 연결되며, 각 후크(150)는 클램핑부(142)에 클램핑 연결되어 인접한 두 리브부(144) 사이에 위치하며, 이러한 후크(150)들은 리브부(144)들과 각각 교차하여 배열된다.
본 실시예의 쉘(110)과 전지셀(120) 사이는 도 2에서와 같이 간격(G)을 구비하고, 클램핑 구조(140) 및 후크(150)는 간격(G)에 위치한다. 노트북 및 전지 어셈블리의 외형설계에 맞게, 전지 어셈블리(100)의 우측단은 도 1에서와 같이 깎아서 평평한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이에 도 2에서 나타낸 간격(G)이 더 작아진다. 본 실시예의 상술한 클램핑 구조(140) 및 후크(150)의 배치방식에 의해, 클램핑부(142)는 후크(150)와 나란히 배열되는 리브부(144)에 의해 쉘(110)과 연결되고, 후크(150)와 중첩되는 구조로 쉘(110)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다. 후크(150)와 클램핑 구조(140)의 전체 두께가 너무 두꺼워서 쉘(110)과 전지셀(120) 사이의 배치 공간을 과도하게 점유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제한된 크기 간격(G)내에 클램핑 구조(140) 및 후크(150)를 설치하여 캡(130)과 쉘(110) 사이의 클램핑 연결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간격(G)의 최소 폭(W)은 0.85mm보다 작거나 같으며, 이에 불구하고 후크(150)와 클램핑 구조(140)를 수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의 리브부(144)와 후크(150)들이 제1방향(D1)(도 3및 도 4에 표시)으로 배열되고, 각 후크(150)는 제1방향(D1)과 수직되는 제2방향(D2)(도 2 내지 도 4에 표시)에 따라 클램핑부(142)와 클램핑 연결되고, 리브부(144)와 후크(150)들은 제1방향(D1)과 수직되며 제2방향(D2)과도 수직되는 제3방향(D3)(도 2에 표시)에서 중첩되지 않는다. 즉, 리브부(144)들은 도 2에서 나타낸 전지셀(120)과 후크(150) 사이에까지 연장되지 않고, 상술한 바와 같이 후크(150)와 클램핑 구조(140)의 전체 두께가 너무 크게 되는 것을 피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클램핑부(142)는 서로 상응한 내표면(142a) 및 외표면(142b)을 갖고 있으며, 외표면(142b)은 전지셀(120)을 향하고, 내표면(142a)은 쉘(110)을 향하며, 이러한 리브부(144)는 클램핑부(142)의 내표면(142a)에 연결되며 클램핑부(142)의 외표면(142b)과는 연결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리브부(144)가 제3방향(D3)에 따라 전지셀(120)에 향하여 연장하여 전지셀(120)의 배치공간을 점유하는 것을 피한다. 또한, 본 실시예 중, 각 후크(150)가 제2방향(D2)에 따른 길이는 예를 들면 각 리브부(144)가 제2방향(D2)에 따른 길이보다 크며, 이에 리브부(144)가 제2방향(D2)에 따라 과도하게 연장하여 쉘(110)내의 배치공간을 점유하는 것을 피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각 후크(150)는 본체(152)및 돌출부(154)를 포함하고, 본체(152)는 캡(130)으로부터 쉘(110)내에까지 연장되며, 돌출부(154)는 본체(152)와 연결되고 클램핑부(142)와 클램핑 연결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의 본체(152)는 제1구역(152a)과 제2구역(152b)을 포함하고, 돌출부(154)는 제1구역(152a)과 제2구역(152b)의 경계부분에 연결되며, 제1구역(152a)은 클램핑 구조(142)에 의해 덮인다. 제2구역(152b)은 클램핑 구조(142)에 의해 노출된다. 즉, 후크(150)의 제2구역(152b)은 클램핑 구조(142)에 의해 덮이지 않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후크(150)와 클램핑 구조(140)의 전체 두께가 너무 커지는 것을 피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후크(150)의 돌출부(154)와 캡(130) 사이의 거리(L)가 예를 들면 1.75mm보다 작거나 같으며, 이에 후크(150)는 비교적 작은 길이를 가지며, 따라서 후크(150)가 너무 길어서 쉽게 부서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리브부(144) 사이에 복수개의 가이드홈(144a)이 형성되고, 후크(150)들이 제2방향(D2)으로 각각 가이드홈(144a)을 따라 이동하여 클램핑부(142)와 클램핑 연결되어, 캡(130)과 쉘(110)의 조립이 더 원활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전지 어셈블리에서, 쉘 상의 클램핑 구조의 클램핑부는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복수개의 리브부로 쉘과 연결된다. 캡 상의 후크가 쉘 상의 클램핑 구조와 클램핑 연결시, 후크는 인접한 두 리브부 사이에 위치한다. 즉, 클램핑부는 후크와 나란히 배열되는 리브부를 통해 쉘과 연결되며, 후크와 중첩되는 구조로 쉘과 연결되는 것이 아니다. 즉, 리브부는 후크와 전지셀 사이까지 연장되지 않고, 후크는 리브부에 의해 덮이지 않는다. 따라서, 후크와 클램핑 구조의 전체 두께가 너무 커져 쉘과 전지셀 사이의 배치공간을 과도하게 점유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제한된 간격내에 클램핑 구조 및 후크를 설치하여 캡과 쉘 사이의 클램핑 연결을 실현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개시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해당 분야의 기술업자들은 본 발명의 취지와 사상범위내에서 적당한 변형과 개선을 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며 본 발명은 첨부되는 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한다.
100:전지 어셈블리
110:쉘
120:전지셀
130:캡
140:클램핑 구조
142:클램핑부
142a:내표면
142b:외표면
144:리브부
144a:가이드홈
150:후크
152:본체
152a:제1구역
152b:제2구역
154:돌출부
D1:제1방향
D2:제2방향
D3:제3방향
G:간격
L:거리
W:폭

Claims (14)

  1. 쉘;
    상기 쉘내에 배치되는 전지셀;
    상기 전지셀을 덮는 캡;
    클램핑부와 복수개의 리브부를 포함하며 각 상기 리브부는 상기 쉘과 상기 클램핑부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리브부들은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클램핑 구조; 및
    상기 캡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는 상기 클램핑부에 클램핑 연결되며 인접한 두 상기 리브부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본체 및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캡으로부터 상기 쉘내에 연장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클램핑부와 클램핑 연결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캡에 인접한 제1구역 및 상기 캡에서 떨어진 제2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구역과 상기 제2구역의 교차점에 연결되고, 상기 제1구역은 상기 클램핑 구조에 의해 덮이며, 상기 제2구역은 상기 클램핑 구조에 의해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제1방향에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제2방향에 따라 상기 클램핑부에 클램핑 연결되며,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제1방향에 수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부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제3방향에서 상하로 중첩되고, 상기 제3방향은 상기 제1방향에 수직되고 상기 제2방향에 수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쉘과 상기 전지셀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하고, 상기 클램핑 구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상기 간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의 최소 폭은 0.85mm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부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클램핑부에 클램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복수개이며, 상기 후크들과 상기 리브부들은 서로 교차하여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서로 대응되는 내표면과 외표면을 갖고 있으며, 상기 외표면은 상기 전지셀을 향하고, 상기 내표면은 상기 쉘을 향하며, 상기 리브부들은 상기 내표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의 길이는 각 상기 리브부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어셈블리.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캡 사이의 거리는 1.75mm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어셈블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구조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어셈블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어셈블리.
KR1020180048407A 2018-04-26 2018-04-26 전지 어셈블리 KR102427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407A KR102427189B1 (ko) 2018-04-26 2018-04-26 전지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407A KR102427189B1 (ko) 2018-04-26 2018-04-26 전지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442A KR20190124442A (ko) 2019-11-05
KR102427189B1 true KR102427189B1 (ko) 2022-07-28

Family

ID=68577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8407A KR102427189B1 (ko) 2018-04-26 2018-04-26 전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189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84425B2 (en) * 2009-01-13 2015-11-10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442A (ko) 201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5524B2 (en) Grommet
JP5978037B2 (ja) バスバモジュール
JP6310337B2 (ja) 樹脂プレート及びバスバーモジュール
US9583925B2 (en) Gasket for electrical junction box of railcar and electrical junction box of railcar
CN103796456A (zh) 车载用电子控制单元
KR102427189B1 (ko) 전지 어셈블리
JP4437132B2 (ja) ネジ穴付きボス
EP3591733A1 (en) Cover assembly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EP3026728B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2427188B1 (ko) 전지 모듈
JP2009200027A (ja) ヒューズを設置できるプラグ内枠
JP6071649B2 (ja) 電気的素子のシール構造
US11043761B2 (en) Connector
US10151319B2 (en) Wiring box fixing structure for ventilating fan
JP6622005B2 (ja) コネクタ
JP6915024B2 (ja) 電池製品
CA2530633C (en) Discharge lamp lighting device, and illuminator
CN214795639U (zh) 高防护伺服驱动器
CN103745886B (zh) 一种增加接触器绝缘性能的防护罩及外壳结构
JP6006094B2 (ja) 炊飯器
CN217984763U (zh) 飞轮储能单元的电机及飞轮储能单元
JP5304702B2 (ja) 誘導機器の遮蔽構造
EP2876802B1 (en) Inverter device
TWI739001B (zh) 電池組件
CN220021014U (zh) 接线端子及断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