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109B1 - 트렘폴린 - Google Patents

트렘폴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109B1
KR102427109B1 KR1020220057854A KR20220057854A KR102427109B1 KR 102427109 B1 KR102427109 B1 KR 102427109B1 KR 1020220057854 A KR1020220057854 A KR 1020220057854A KR 20220057854 A KR20220057854 A KR 20220057854A KR 102427109 B1 KR102427109 B1 KR 102427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user
frame
heigh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량진
Original Assignee
박량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량진 filed Critical 박량진
Priority to KR1020220057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1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11Trampol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에 사용자가 점프하는 운동공간(101)이 형성된 프레임어셈블리(100); 상기 프레임어셈블리(100)와 이격되어 내측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점프할 때 사용자에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막(40); 상기 프레임어셈블리(100) 및 탄성막(40)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스프링(50); 상기 프레임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높낮이를 판단하는 높이감지유닛(200);을 포함하는 트렘폴린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점프운동에 따른 사용자의 높낮이를 판단하는 높이감지유닛을 통해 사용자의 효과적인 점프높이를 가이드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트렘폴린{trampoline}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점프 높이를 감지하고, 점프높이에 대한 적정여부를 안내할 수 있는 트렘폴린에 관한 것이다.
흔히 덤블링이라 불리는 트렘폴린은 대략 원형 형상의 프레임의 표면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함유한 탄성 플레이트를 부가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탄성 플레이트 상에 어린이 등의 이용자가 올라가 도약을 함으로 점프놀이를 즐길 수 있는 놀이 기구이다.
이러한 트렘폴린은 특히 성장을 하는 유아에게 재미를 부여함과 동시에 신체의 유연성 내지 균형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아 놀이터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종래의 트렘폴린은 단순히 점프만을 반복하기 때문에 금세 식상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트렘폴린은 신장에 따라 적정한 높이로 뛰어야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너무 낮거나 너무 높게 뛸 경우 운동효과가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16380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184451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08-0005282호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적정 높이로 점프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트렘폴린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점프 시 코어근육의 긴장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트렘폴린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측에 사용자가 점프하는 운동공간(101)이 형성된 프레임어셈블리(100); 상기 프레임어셈블리(100)와 이격되어 내측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점프할 때 사용자에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막(40); 상기 프레임어셈블리(100) 및 탄성막(40)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스프링(50); 상기 프레임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높낮이를 판단하는 높이감지유닛(200);을 포함하는 트렘폴린을 제공한다.
상기 프레임어셈블리(100)는, 상기 스프링(50)이 결합되는 베이스프레임(11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레그(12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서 상측으로 세워져 배치되는 수직프레임(13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과 이격되어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30)에 결합되는 어퍼프레임(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130)에 상기 높이감지유닛(2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높이감지유닛(200)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타겟(250); 상기 수직프레임(130)에 배치되고, 상기 타겟(250)의 높이를 감지하는 제 1 센서(210) 및 제 2 센서(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센서(220)가 상기 제 1 센서(210) 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높이감지유닛(200)은, 상기 수직프레임(130)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센서(210) 및 제 2 센서(220)가 설치되는 센서하우징(2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하우징(260)은 상기 운동공간(101)을 향해 개구된 하우징개구면(265)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센서(210) 및 제 2 센서(220)가 상기 운동공간(101)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측에 사용자가 점프하는 운동공간(101)이 형성된 프레임어셈블리(100); 상기 프레임어셈블리(100)와 이격되어 내측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점프할 때 사용자에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막(40); 상기 프레임어셈블리(100) 및 탄성막(40)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스프링(50); 상기 프레임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높낮이를 판단하는 높이감지유닛(200);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어셈블리(100)는, 상기 스프링(50)이 결합되는 베이스프레임(11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레그(12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서 상측으로 세워져 배치되는 수직프레임(13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과 이격되어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30)에 결합되는 어퍼프레임(140);을 포함하고, 상기 높이감지유닛(200)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타겟(250); 상기 수직프레임(130)에 배치되고, 상기 타겟(250)의 높이를 감지하는 제 1 센서(210) 및 제 2 센서(220)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250)이 온(on)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0); 상기 S1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 1 센서(210)를 통해 상기 타겟(250)의 신호 판단하는 단계(S20); 상기 S2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제 1 경과시간 동안 대기하는 단계(S30); 상기 S30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센서(210)를 통해 상기 타겟(250)의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제 2 센서(220)를 통해 상기 타겟(250)의 신호를 미감지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40); 상기 S4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270)에 적합판단을 출력하는 단계(S50);를 포함하는 트렘폴린 높이감지유닛의 제어방법을 제고한다.
첫째, 본 발명은 점프운동에 따른 사용자의 높낮이를 판단하는 높이감지유닛을 통해 사용자의 효과적인 점프높이를 가이드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제 1 센서 및 제 2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적정 높이로 점프하는지를 판단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효과적인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모서리에 배치된 수직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제 1 센서 및 제 2 센서가 배치되고, 제 1 센서 및 제 2 센서가 운동공간을 향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점프운동 시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충돌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제 1 센서 및 제 2 센서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사용자에 배치된 타겟이 제 1 센서의 높이를 경유하고, 제 2 센서보다 낮게 위치될 경우, 점프운동에 대해 적합판단을 하고, 디스플레이 또는 소리 등을 통해 적합판단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점프운동에 대한 피드백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정지높이 및 점프높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카메라를 통해 감지된 이미지를 인공지능으로 분석하여 상기 제 1 센서 및 제 2 센서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트렘폴린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높이감지유닛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트렘폴린 높이감지유닛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트렘폴린 높이감지유닛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트렘폴린 높이감지유닛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센서의 배면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트렘폴린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높이감지유닛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트렘폴린은, 프레임어셈블리(100)와, 상기 프레임어셈블리(100)와 이격되어 내측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점프할 때 사용자에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막(40)과, 상기 프레임어셈블리(100) 및 탄성막(40)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스프링(50)과, 상기 프레임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높낮이를 판단하는 높이감지유닛(20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어셈블리(100)는, 상기 스프링(50)이 결합되는 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레그(12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서 상측으로 세워져 배치되는 수직프레임(13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0)과 이격되어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30)에 결합되는 어퍼프레임(140)을 포함한다.
프레임어셈블리(100)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탄성막(40)의 상측에 형성되는 공간을 운동공간(101)이라 정의한다.
상기 운동공간(101)에서 사용자가 탄성막(40)의 탄성력의 도움을 받아 점프를 반복함으로써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탑뷰로 볼 때,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이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이 사각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4개의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은, 제 1 베이스바(111), 제 2 베이스바(112), 제 3 베이스바(113) 및 제 4 베이스바(11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그(120)가 4개 배치된다. 상기 레그(120)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각 모서리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더 많은 레그가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레그(120)의 구분이 필요할 경우, 제 1 레그(121), 제 2 레그(122), 제 3 레그(123) 및 제 4 레그(124)라 한다.
상기 레그(120)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을 지면에서 이격시키고, 상기 탄성막(40)이 지면과 접촉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수직프레임(130)이 상기 어퍼프레임(140)을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10) 및 어퍼프레임(140)을 연결한다.
상기 수직프레임(130)은 적어도 제 1 수직바(131), 제 2 수직바(132), 제 3 수직바(133) 및 제 4 수직바(13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보다 더 많은 수직바가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 1 수직바(131)가 상기 제 1 레그(121) 상측에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수직바(132)가 상기 제 2 레그(122) 상측에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제 3 수직바(133)가 상기 제 3 레그(123) 상측에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제 4 수직바(134)가 상기 제 4 레그(124) 상측에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 어퍼프레임(140)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10)과 같은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어퍼프레임(140) 및 베이스프레임(110)의 형상이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퍼프레임(140)은, 제 1 어퍼바(141), 제 2 어퍼바(142), 제 3 어퍼바(143) 및 제 4 어퍼바(14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어퍼바(141)가 상기 제 1 베이스바(111)와 평행하게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어퍼바(142)가 상기 제 2 베이스바(112)와 평행하게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어퍼바(143)가 상기 제 3 베이스바(113)와 평행하게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4 어퍼바(144)가 상기 제 4 베이스바(114)와 평행하게 상측에 배치되된다.
상기 탄성막(4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평면을 축소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막(40)은 탄성재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상기 탄성막(40)은 상기 제 1 베이스바(111)를 향하게 배치되는 제 1 변(41)과, 상기 제 2 베이스바(112)를 향하게 배치되는 제 2 변(42)과, 상기 제 3 베이스바(113)를 향하게 배치되는 제 3 변(43)과, 상기 제 4 베이스바(114)를 향하게 배치되는 제 4 변(44)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50)은, 상기 제 1 변(41)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 1 스프링(51)들과, 상기 제 2 변(42)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 2 스프링(52)들과, 상기 제 3 변(43)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 3 스프링(53)들과, 상기 제 4 변(44)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 4 스프링(54)들을 포함한다.
상기 높이감지유닛(200)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타겟(250)과, 상기 프레임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타겟(250)의 높이를 감지하는 제 1 센서(210) 및 제 2 센서(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센서(220)가 상기 제 1 센서(210) 보다 높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센서(210) 및 제 2 센서(220)가 상하 방향으로 높이차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센서(210) 및 제 2 센서(220)가 수직프레임(13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센서(210) 및 제 2 센서(220)를 상기 수직프레임(130)에 설치하기 위해 상기 수직프레임(130)에 센서하우징(26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하우징(260)은 상기 수직프레임(130)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1 센서(210) 및 제 2 센서(220)가 상기 탄성막(40)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하우징(260)은 상기 운동공간(101)측으로 개구된 하우징개구면(265)이 형성되고, 나머지 면이 폐쇄된다.
상기 센서하우징(260)은 내측면에 상기 하우징개구면(265)이 형성된다.
상기 센서하우징(260)에 제 1 센서(210) 및 제 2 센서(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261)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261)이 상기 센서하우징(26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센서하우징(260)은 상기 제 1 센서(210) 및 제 2 센서(220)가 수용되는 내부공간(262)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262)이 상기 센서하우징(26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내부공간(262)의 높이 중간을 기준으로 상측에 상기 제 2 센서(220)가 배치되고, 하측에 상기 제 1 센서(210)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센서(210)의 설치높이를 제 1 높이(H1)라 하고, 상기 제 2 센서(220)의 설치높이를 제 2 높이(H2)라 한다.
상기 센서하우징(260)에 설치된 제 1 센서(210) 및 제 2 센서(220)를 높이감지어셈블리라 한다.
상기 높이감지어셈블리가 제 1 수직바(131), 제 2 수직바(132), 제 3 수직바(133) 및 제 4 수직바(134)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 1 수직바(131), 제 2 수직바(132), 제 3 수직바(133) 및 제 4 수직바(134)에 배치돈 높이감지어셈블리를 구분할 경우, 제 1 높이감지어셈블리(201), 제 2 높이감지어셈블리(202), 제 3 높이감지어셈블리(203) 및 제 4 높이감지어셈블리(204)라 한다.
상기 제 1 높이감지어셈블리(201), 제 2 높이감지어셈블리(202), 제 3 높이감지어셈블리(203) 및 제 4 높이감지어셈블리(204)가 상기 운동공간(101)을 향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높이감지어셈블리(201) 및 제 3 높이감지어셈블리(203)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높이감지어셈블리(202) 및 제 4 높이감지어셈블리(204)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운동공간(101)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센서(210) 및 제 2 센서(220)는 레이저신호를 감지한다. 사용자가 레이저신호를 발생시키는 타겟(250)을 착용 또는 부착하고, 상기 제 1 센서(210) 및 제 2 센서(220)가 상기 타겟(250)에서 발생되는 레이저신호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센서(210) 및 제 2 센서(220)가 수평방향으로 입사되는 레이저 신호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타겟(250)의 높이를 센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높이감지유닛(200)은 상기 타겟(250)이 설치되는 벨트(2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벨트(24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허리에 착용할 수 있다.
상기 벨트(240)에 상기 타겟(250)을 온/오프 할 수 있는 전원버튼(24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버튼(242)이 상기 벨트(240)의 외측면에 노출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벨트(240)의 외측면에 상기 타겟(250)이 배치된다. 상기 타겟(250)은 상기 벨트(240)의 외측면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높이감지유닛(200)은, 상기 벨트(240)의 내측면에 사용자의 복근경직을 감지하는 압력센서(244)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244)는 상기 벨트(240)의 내측면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244)를 통해 사용자 복근의 경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높이감지어셈블리(201), 제 2 높이감지어셈블리(202), 제 3 높이감지어셈블리(203) 또는 제 4 높이감지어셈블리(204)가 상기 타겟(250)에서 발생된 신호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점프 높이를 판단한다.
상기 타겟(250)의 높이가 상기 제 1 높이(H1)를 상하 방향으로 통과하고, 상기 제 2 높이(H2) 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겟(250)의 높이가 상기 제 1 높이(H1) 보다 낮게 위치될 경우, 사용자의 운동에 효과적이지 않다. 상기 타겟(250)의 높이가 상기 제 2 높이(H2)까지 위치되는 것도 운동에 효과적이지 않다.
상기 높이감지유닛(200)은 사용자의 운동상태를 알려주는 디스플레이(27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270)가 상기 어퍼프레임(140)에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270)는 상기 탄성막(40) 측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운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270)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상기 운동공간(101)에 위치될 경우, 각 사용자의 운동상태를 복수개의 디스플레이(270)에 개별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트렘폴린 높이감지유닛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트렘폴린 높이감지유닛의 제어방법은 타겟(250)이 온(on)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0)와, 상기 S1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제 1 센서(210)를 통해 타겟(250)의 신호를 판단하는 단계(S20)와, 상기 S2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제 1 경과시간 동안 대기하는 단계(S30)와, 상기 S30 단계 이후에, 다시 상기 제 1 센서(210)를 통해 상기 타겟(250)의 신호를 감지하고, 제 2 센서(220)를 통해 상기 타겟(250)의 신호를 미감지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40)와, 상기 S4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270)에 "Good"과 같은 적합판단을 출력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디스플레이(270)에 초록색을 표시하여 사용자의 운동상태를 직관적으로 인식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영어 또는 한글을 배우지 못한 어린이에게도 직관적인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50 단계에서 "딩동"과 같은 소리로 알람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운동상태를 직관적으로 인식시킬 수도 있다.
상기 S10 단계는 상기 벨트(240)의 전원버튼(242)의 온(ON)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S10 단계를 만족하지 않을 경우, 상기 S10 단계를 반복수행한다.
상기 S20 단계는 상기 제 1 센서(210)를 통해 타겟(250)의 신호를 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타겟(250)의 신호는 레이저 신호이다.
상기 제 1 센서(210)의 설치높이는 탄성막(40)에 서 있을 경우, 사용자의 허리 높이일 수 있다. 사용자가 탄성막(40)에서 점핑 운동을 수행할 경우, 상기 타겟(250)이 제 1 센서(210)의 설치높이를 경유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S30 단계는 사용자가 점핑운동에 따른 낙하시간(제 1 경과시간) 동안 대기하는 단계이다.
사용자가 탄성막(4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점핑운동을 수행할 경우, 점프 후 낙하될 때까지 적어도 제 1 경과시간이 필요하다. 상기 제 1 경과시간 보다 짧을 경우, 점핑운동을 수행하지 않거나, 정상적인 높이보다 낮게 점프(복근을 이용하지 않고 다리 힘으로만 점프)한 경우이다.
즉, 상기 제 1 경과시간을 통해 사용자가 정상적인 경우보다 낮게 점프하는 경우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S40 단계는 정상적인 점프를 다시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 1 센서(210)를 통해 상기 타겟(250)의 신호를 감지하고, 제 2 센서(220)를 통해 상기 타겟(250)의 신호를 미감지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S40 단계에서 상기 제 2 센서(220)를 통해 타겟(250) 신호가 감지된 경우, 정상적인 경우보다 높게 사용자가 점프한 경우이다.
상기 S40 단계를 만족한 경우, 상기 S50 단계에서 "Good"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점핑운동 상태를 인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트렘폴린 높이감지유닛의 제어방법은, 상기 S40 단계를 만족하지 못할 경우, 상기 제 2 센서(220)를 통해 상기 타겟(250) 신호를 판단하는 단계(S70)와, 상기 S70 단계를 만족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270)에 "BAD"와 같은 부적한판단을 출력하는 단계(S8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다릴 상기 디스플레이(270)에 노란색 또는 붉은색을 표시하여 사용자의 운동상태를 직관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영어 또는 한글을 배우지 못한 어린이에게도 직관적인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80 단계에서 "땡"과 같은 소리로 알람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운동상태를 직관적으로 인식시킬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70)는 S40 또는 S70에 따른 점핑운동 효과에 따른 판정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트렘폴린 높이감지유닛의 제어방법은, 상기 S50 단계 이후에, 제 2 경과시간 동안 대기하는 단계(S60)와, 상기 S60 단계 이후에, 상기 S20 단계로 리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60 단계 이후에, 상기 S20 단계로 리턴됨으로써, 사용자의 반복적인 점핌운동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사용자에게 올바른 점핑운동을 인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트렘폴린 높이감지유닛의 제어방법은, 상기 S20 단계를 만족하지 못할 경우, 상기 제 2 센서(220)를 통해 상기 타겟(250)의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S90)와, 상기 S90 단계를 만족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270)에 "벨트높이조정"을 출력하는 단계(S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10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센서(210)에서 타겟(250)을 감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제 2 센서(220)에서 상기 타겟(250)을 감지한 경우, 사용자의 벨트(240) 설치높이가 높게 설치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S100 단계를 수행하여 사용자의 벨트위치를 조정하게 한다.
상기 S90 단계를 만족하지 못할 경우, 상기 S10 단계로 리턴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렘폴린 높이감지유닛의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제 1 센서(210) 보다 높게 점프하고 제 2 센서(220) 보다 낮게 점프하도록 안내함으로써, 사용자의 트렘폴린 운동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트렘폴린 높이감지유닛의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운동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렘폴린 높이감지유닛의 제어방법은 상기 S50 단계 또는 S80 단계에서 "Good" 및 "BAD"가 출력되는 횟수를 카운팅하여 출력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여 운동상태를 보다 적극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S50 단계의 "Good"이 100회 연속 출력될 경우 "Good" 대신 "Great"를 출력하고, 101회 부터 200회까지 연속되는 경우, "Great" 대신 "excellent"를 출력하며, 201회 부터 300회까지 연속되는 경우, "excellent" 대신 "Hero"를 출력하고, 301회부터 연속 출력되는 경우, "excellent" 대신 "God"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운동욕구를 고취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트렘폴린 높이감지유닛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상기 사용자가 점핑운동할 때, 복근에 힘을 준 상태에서 적정 높이로 점프를 수행할 경우, 운동효과를 보다 극대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벨트(240)에 배치된 압력센서(244)를 통해 사용자 복근의 경직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점핑운동에 따른 판정에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트렘폴린 높이감지유닛의 제어방법은 타겟(250)이 온(on)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0)와, 상기 S1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제 1 센서(210)를 통해 타겟(250)의 신호 판단하는 단계(S20)와, 상기 S2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압력센서(244)에서 감지된 압력값이 기준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25)와, 상기 S25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제 1 경과시간 동안 대기하는 단계(S30)와, 상기 S30 단계 이후에, 다시 상기 제 1 센서(210)를 통해 상기 타겟(250)의 신호를 감지하고, 제 2 센서(220)를 통해 상기 타겟(250)의 신호를 미감지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40)와, 상기 S4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270)에 "Good"을 출력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복근 압력을 감지하는 S25 단계가 상기 S40 단계 및 S20 단계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탄성막(40)에서 점프 전에 복근압력을 측정한다.
점핑운동 시, 점프 전에 복근에 힘을 준 후 점프할 경우, 운동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S25 단계를 만족하지 않을 경우, 상기 S80 단계로 이행되고, 디스플레이(270)에 "BAD"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S50 단계의 "Good"은 S25 단계 및 S40 단계를 모두 만족해야만 출력된다.
즉, 상기 S50 단계의 "Good"은 점프 시 복근의 힘을 준 상태에서 적정 높이로 점프한 경우에만 판정되고, 사용자의 운동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트렘폴린 높이감지유닛의 제어방법과 제 2 실시예에 따른 트렘폴린 높이감지유닛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운동난이도를 "상"으로 선택할 경우, 상기 제 2 실시예에 따른 트렘폴린 높이감지유닛의 제어방법이 적용되고, 운동난이도를 "하"로 선택할 경우,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트렘폴린 높이감지유닛의 제어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제어방법과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트렘폴린 높이감지유닛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센서의 배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트렘폴린 높이감지유닛(200)은 제 1 센서(210) 및 제 2 센서(220)가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센서하우징(260)은, 상기 수직프레임(130)에 밀착되는 제 1 수직벽(263)과, 상기 제 1 수직벽(263)과 교차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30)에 밀착되는 제 2 수직벽(264)과, 상기 제 1 수직벽(263) 및 제 2 수직벽(264)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벽(266)과, 상기 제 1 수직벽(263) 및 제 2 수직벽(264)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부벽(267)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벽(266), 하부벽(267) 및 제 1 수직벽(263) 사이에 하우징개구면(26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벽(266), 하부벽(267) 및 제 2 수직벽(264) 사이에 하우징개구면(26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벽(266), 하부벽(267), 제 1 수직벽(263) 및 제 2 수직벽(264) 사이에 상기 내부공간(262)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262)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내부공간(262)을 따라 상기 제 1 센서(210) 또는 제 2 센서(220)가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센서(210) 및 제 2 센서(220)는 동일한 구조이다.
상기 제 1 센서(210)는, 제 1 센서케이스(212)와, 상기 제 1 센서케이스(212)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제 1 레이저센서(214)와, 상기 제 1 센서케이스(212)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제 1-1 영구자석(216) 및 제 1-2 영구자석(217)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센서(220)는, 제 2 센서케이스(222)와, 상기 제 2 센서케이스(222)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제 2 레이저센서(224)와, 상기 제 2 센서케이스(222)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제 2-1 영구자석(226) 및 제 2-2 영구자석(227)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센서케이스(212) 및 제 2 센서케이스(222)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레이저센서(214) 및 제 2 레이저센서(224)는 운동공간(101)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 1-1 영구자석(216) 또는 제 1-2 영구자석(217)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 1 수직벽(263)에 밀차되고, 나머지 하나가 상기 제 2 수직벽(264)에 밀착된다.
상기 제 2-1 영구자석(226) 또는 제 2-2 영구자석(227)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 1 수직벽(263)에 밀차되고, 나머지 하나가 상기 제 2 수직벽(264)에 밀착된다.
상기 제 1 수직벽(263) 및 제 2 수직벽(264)이 영구자석와 자기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하는 강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제 1 센서(210) 또는 제 2 센서(220)의 높이를 조정할 후, 센서하우징(260)에 밀착시킬 경우, 자기력에 의한 인력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센서(210) 및 제 2 센서(220)에 각각 모터(미도시)를 설치하고, 상기 어퍼프레임(140)에 카메라(미도시)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정지높이 및 점프높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카메라를 통해 감지된 이미지를 인공지능으로 분석하여 상기 제 1 센서 및 제 2 센서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40 : 탄성막 50 : 스프링
100 : 프레임어셈블리 110 : 베이스프레임
120 : 레그 130 : 수직프레임
140 : 어퍼프레임 200 : 높이감지유닛
210 : 제 1 센서 220 : 제 2 센서
240 : 벨트 250 : 타겟
260 : 센서하우징 270 : 디스플레이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트렘폴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트렘폴린은,
    내측에 사용자가 점프하는 운동공간(101)이 형성된 프레임어셈블리(100); 상기 프레임어셈블리(100)와 이격되어 내측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점프할 때 사용자에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막(40); 상기 프레임어셈블리(100) 및 탄성막(40)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스프링(50); 상기 프레임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높낮이를 판단하는 높이감지유닛(200);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어셈블리(100)는,
    상기 스프링(50)이 결합되는 베이스프레임(11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레그(12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서 상측으로 세워져 배치되는 수직프레임(13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과 이격되어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30)에 결합되는 어퍼프레임(140);을 포함하고,
    상기 높이감지유닛(200)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벨트(240); 상기 벨트(240)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타겟(250); 상기 벨트(240)에 상기 타겟(250)을 온/오프 할 수 있는 전원버튼(242); 상기 수직프레임(130)에 배치되고, 상기 타겟(250)의 높이를 감지하는 제 1 센서(210) 및 제 2 센서(220); 상기 벨트(240)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복근경직을 감지하는 압력센서(244);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감지유닛(200)은,
    상기 수직프레임(130)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센서(210) 및 제 2 센서(220)가 설치되는 센서하우징(2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하우징(260)은 상기 운동공간(101)을 향해 개구된 하우징개구면(265)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센서(210) 및 제 2 센서(220)가 상기 운동공간(101)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센서하우징(260)은, 상기 수직프레임(130)에 밀착되는 제 1 수직벽(263)과, 상기 제 1 수직벽(263)과 교차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30)에 밀착되는 제 2 수직벽(264)과, 상기 제 1 수직벽(263) 및 제 2 수직벽(264)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벽(266)과, 상기 제 1 수직벽(263) 및 제 2 수직벽(264)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부벽(267)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벽(266), 하부벽(267), 제 1 수직벽(263) 및 제 2 수직벽(264) 사이에, 상기 제 1 센서(210) 및 제 2 센서(220)가 수용되는 내부공간(262)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262)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내부공간(262)을 따라 상기 제 1 센서(210) 또는 제 2 센서(22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 1 센서(210)는, 직육면체 형상의 제 1 센서케이스(212)와, 상기 제 1 센서케이스(212)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제 1-1 영구자석(216) 및 제 1-2 영구자석(217)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센서(220)는, 직육면체 형상의 제 2 센서케이스(222)와, 상기 제 2 센서케이스(222)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제 2-1 영구자석(226) 및 제 2-2 영구자석(227)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직벽(263) 및 제 2 수직벽(264)은 영구자석과 자기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하는 강자성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1 영구자석(216) 또는 제 1-2 영구자석(217)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 1 수직벽(263)에 밀착되고, 나머지 하나가 상기 제 2 수직벽(264)에 밀착되며,
    상기 제 2-1 영구자석(226) 또는 제 2-2 영구자석(227)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 1 수직벽(263)에 밀차되고, 나머지 하나가 상기 제 2 수직벽(264)에 밀착되며,
    타겟(250)이 온(on)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0);
    상기 S1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 1 센서(210)를 통해 타겟(250)의 신호 판단하는 단계(S20);
    상기 S2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압력센서(244)에서 감지된 압력값이 기준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25);
    상기 S25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제 1 경과시간 동안 대기하는 단계(S30);
    상기 S30 단계 이후에, 다시 상기 제 1 센서(210)를 통해 상기 타겟(250)의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제 2 센서(220)를 통해 상기 타겟(250)의 신호를 미감지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40);
    상기 S4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270)에 적합판단을 출력하는 단계(S50);를 포함하는 트렘폴린의 제어방법.
KR1020220057854A 2022-05-11 2022-05-11 트렘폴린 KR102427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854A KR102427109B1 (ko) 2022-05-11 2022-05-11 트렘폴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854A KR102427109B1 (ko) 2022-05-11 2022-05-11 트렘폴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7109B1 true KR102427109B1 (ko) 2022-08-01

Family

ID=82844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854A KR102427109B1 (ko) 2022-05-11 2022-05-11 트렘폴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10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451Y1 (ko) 1999-12-24 2000-06-01 홍우동 트렘폴린
KR20030020181A (ko) * 2001-09-03 2003-03-08 최동찬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한 모션감지 게임 장치
CN201067596Y (zh) * 2007-06-29 2008-06-04 向丽如 可测量跳跃者跳跃高度的跳床
KR20080005282U (ko) 2007-05-07 2008-11-12 (주)이디 안정성을 강화한 기능성 트렘폴린
US20110034300A1 (en) * 2009-08-05 2011-02-10 David Hall Sensor, Control and Virtual Reality System for a Trampoline
KR200473730Y1 (ko) * 2014-02-06 2014-08-01 리엔디자인 주식회사 트램폴린 보호펜스
KR102163804B1 (ko) 2018-11-29 2020-10-08 박경희 트렘플린기구의 스펙조절수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451Y1 (ko) 1999-12-24 2000-06-01 홍우동 트렘폴린
KR20030020181A (ko) * 2001-09-03 2003-03-08 최동찬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한 모션감지 게임 장치
KR20080005282U (ko) 2007-05-07 2008-11-12 (주)이디 안정성을 강화한 기능성 트렘폴린
CN201067596Y (zh) * 2007-06-29 2008-06-04 向丽如 可测量跳跃者跳跃高度的跳床
US20110034300A1 (en) * 2009-08-05 2011-02-10 David Hall Sensor, Control and Virtual Reality System for a Trampoline
KR200473730Y1 (ko) * 2014-02-06 2014-08-01 리엔디자인 주식회사 트램폴린 보호펜스
KR102163804B1 (ko) 2018-11-29 2020-10-08 박경희 트렘플린기구의 스펙조절수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76987A1 (en) A trampoline
US6227968B1 (en) Dance game apparatus and step-on base for dance game
EP2505235A1 (en) Trampoline with feedback system
JP2007125251A (ja) 動き情報処理システム、該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端末装置、及び該端末装置の充電装置
JPWO2009072435A1 (ja) 画像認識装置および画像認識方法
JP2007275422A (ja) 床設置型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を用いたゲーム装置
KR102427109B1 (ko) 트렘폴린
EP1161969B1 (en) Posture training machine
KR100957977B1 (ko) 디지털 골프 스윙 연습기
KR101476050B1 (ko) 수직진동형 운동장치의 진동기
KR102146074B1 (ko) 점핑운동용 트램펄린 시스템
KR100483036B1 (ko) 골프 연습 장치
KR200346474Y1 (ko) 스윙분석부가 내설된 조립형 골프 연습 매트
JPH0984917A (ja) ゴルフスイング矯正装置
JP3376268B2 (ja) スキー遊技装置
KR20170029867A (ko) 자세 교정 장치
CN213555308U (zh) 一种羽毛球的检测计分装置
KR102563092B1 (ko) 타격 트레이닝 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장치
KR200275673Y1 (ko) 골프 퍼팅 연습장치
CN110448893B (zh) 促进运动长高的互动游戏装置的工作方法
KR20000021354A (ko) 체중이동 감지 골프 신발
KR102664586B1 (ko) 올바른 체형을 위한 운동기구 시스템
KR200461522Y1 (ko) 퍼팅 연습 장치
KR101075277B1 (ko) 골프 연습기의 샷 상태 감지 장치
JP2009089799A (ja) ウエイトトレーニングマシン用計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