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862B1 - 일산화탄소 가스 누설 경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일산화탄소 가스 누설 경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862B1
KR102426862B1 KR1020200082046A KR20200082046A KR102426862B1 KR 102426862 B1 KR102426862 B1 KR 102426862B1 KR 1020200082046 A KR1020200082046 A KR 1020200082046A KR 20200082046 A KR20200082046 A KR 20200082046A KR 102426862 B1 KR102426862 B1 KR 102426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monoxide
gas
case
detection sensor
gas lea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4335A (ko
Inventor
이기원
Original Assignee
이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원 filed Critical 이기원
Priority to KR1020200082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862B1/ko
Publication of KR20220004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4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4Toxic ga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25Monitoring making use of different thresholds, e.g. for different alarm leve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Fluid Adsorption Or Rea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산화탄소 가스 누설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일산화탄소 가스 누설 경보 시스템은 가스 누설 경보 장치를 이용하는 일산화탄소 가스 누설 경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스 누설 경보 장치는 일산화탄소를 감지하는 가스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 LED 및 부저를 포함하며, 상기 LED 및 상기 부저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감지부 및 상기 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가스감지센서가 감지하는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150ppm 이상일 때 3분 이내에 경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스감지센서가 감지하는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300ppm 이상일 때 1분 이내에 경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일산화탄소 가스 누설 경보 시스템 {CARBON MONOXIDE GAS LEAK WARNING SYSTEM}
본 발명은 일산화탄소 가스 누설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가 누출되어 설정된 경보 농도에 이르면 자동으로 경보를 울려 사용자에게 알리는 일산화탄소 가스 누설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산화탄소(CO)는 여러 가정용품에서 비롯되는 연료의 불완전연소에 의해 생성되는데, 예를 들어 화로, 보일러, 난로, 장작을 태워서 가열되는 스토트와 난방기 등의 불완전 연소가 주요 원인이 되며, 이러한 곳에서 가스가 누출되어 중독 농도에 도달하게 되면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일산화탄소 가스 누출을 사전에 감지하여 가스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일산화탄소 가스 누설 경보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일산화탄소 가스 누설 경보 시스템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환경정보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은 케이스, 윈도우, 일산화탄소 센서, 일산화탄소 센서 및 액정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일산화탄소 누설 감지 및 일산화탄소 농도 측정을 수행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36703호 (2020.04.07.)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체에 무해한 일산화탄소 농도에서는 경보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인체에 유해한 일산화탄소 농도에서는 경보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일산화탄소 가스 누설 경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산화탄소 가스 누설 경보 시스템은 가스 누설 경보 장치를 이용하는 일산화탄소 가스 누설 경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스 누설 경보 장치는 일산화탄소를 감지하는 가스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 LED 및 부저를 포함하며, 상기 LED 및 상기 부저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감지부 및 상기 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가스감지센서가 감지하는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150ppm 이상일 때 3분 이내에 경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스감지센서가 감지하는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300ppm 이상일 때 1분 이내에 경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산화탄소 가스 누설 경보 시스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감지센서가 감지하는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50ppm 이하일 때 경보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산화탄소 가스 누설 경보 시스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감지센서가 감지하는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100ppm 이상, 149ppm 이하일 때 20 내지 30분 사이의 시간에서 경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산화탄소 가스 누설 경보 시스템에서 상기 가스 누설 경보 장치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부와 통신하며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생성되는 데이터를 전송받는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어부로 원격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가스감지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산화탄소 가스 누설 경보 시스템에서 상기 가스 누설 경보 장치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부와 통신하며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생성되는 데이터를 전송받는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어부로 원격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가스감지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산화탄소 가스 누설 경보 시스템에서 상기 가스감지센서는 백금선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백금선 코일의 저항에 따라 소자 온도가 변하게 되어, 상기 가스감지센서의 표면에 가연성 일산화탄소 가스가 접촉되면 촉매 작용에 의해 연소 반응을 일으키게 되어, 가스감지센서의 표면 온도가 상승하며, 내부에 포함된 백금선 코일의 저항값이 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산화탄소 가스 누설 경보 시스템에서 상기 가스 누설 경보 장치는 가스감지센서가 설치되는 회로기판을 수용하는 수용케이스; 상기 수용케이스와 결합되는 탈부착케이스; 일면이 상기 탈부착케이스와 탈부착되고, 타면이 소정 면에 고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고정케이스; 상기 수용케이스에 수용되며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배터리; 상기 회로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가스 감지센서를 온(on) 시키거나 오프(off) 시키는 접촉스위치; 상기 탈부착케이스에 형성되되 상기 수용케이스와 결합시 상기 접촉스위치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가압부; 상기 고정케이스에 형성되되 상기 탈부착케이스와 부착 시 상기 가압부를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케이스와 상기 탈부착케이스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탈부착케이스가 상기 고정케이스에 부착 시,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가압부를 가압하고, 상기 가압부의 가압 동작에 의해 상기 접촉스위치가 동작하여 상기 가스 감지센서가 온(on)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산화탄소 가스 누설 경보 시스템은 인체에 무해한 일산화탄소 농도에서는 경보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인체에 유해한 일산화탄소 농도에서는 경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산화탄소 가스 누설 경보 시스템은 설치 이후 전원 버튼을 사용자가 누르지 않더라도 전원이 온(on)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설치 후 실수로 전원을 온시키지 않더라도 자연스럽게 설치 이후 전원이 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기 때문에, 설치 이후 가스 감지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경보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경보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경보 장치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용케이스의 전면이 도시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케이스의 후면이 도시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케이스가 도시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케이스가 도시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기판이 도시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케이스에 회로기판이 설치된 모습이 도시된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케이스 및 고정케이스의 동작이 도시된 도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경보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경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가스 누설 경보 장치(10)는 일산화탄소를 감지하는 가스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11); LED 및 부저를 포함하며, LED 및 부저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12); 및 감지부(11) 및 출력부(12)의 동작을 제어하며, 가스감지센서가 감지하는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150ppm 이상일 때 3분 이내에 경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가스감지센서가 감지하는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300ppm 이상일 때 1분 이내에 경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가스감지센서가 감지하는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150ppm으로 감지되는 경우, 3분 이내의 시간인 2분 30초 이내에 경보신호를 출력하거나 3분 이내의 시간인 10초 이내에 경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스감지센서가 감지하는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300ppm으로 감지되는 경우 1분 이내의 시간인 30초 이내에 경보신호를 출력하거나 1분 이내의 시간인 10초 이내에 경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기 중의 일산화탄소의 농도는 연속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한다. 예를 들어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100ppm에서 300ppm으로 증가하는 것을 가정하면, 가스감지센서가 100ppm 농도를 감지했을 때 10초 이내의 시간에 경보신호를 출력하고, 소정 시간 경과 후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증가하여 가스감지센서가 300ppm 농도를 감지하게 되면 10초 이내의 시간에 경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보신호 체계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어느 정도인지 인식하기 힘들 수 있다. 일산화탄소는 무색 무취의 물질이기 때문에, 경보신호가 있더라도 사람이 공기 중의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알 수는 없다.
즉, 위와 같이 소정 시간 동안 경보신호가 2번 출력되면 사용자는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100ppm 인지 300ppm 인지 인식할 방법이 없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가스감지센서가 감지하는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300ppm 이상일 때, 가스감지센서가 감지하는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150ppm 이상일 때 출력하는 경보신호의 세기보다 더 큰 세기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얼 LED를 통해 출력되는 빛의 세기를 크게 하고, 부저로 출력되는 소리의 크기를 크게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일단 경보신호가 출력되면 별도의 해제 조치나 전원 차단이 없는 한 계속하여 경보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다. 경보신호의 출력이 1회성으로 그치게 되면 사용자가 인식하기 힘들 수 있기 때문에 계속하여 경보신호를 출력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경보신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어부(13)는 가스감지센서가 감지하는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50ppm 이하일 때 경보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기 중에 일산화탄소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오히려 드물고, 공기 중의 일산화탄소 농도가 50ppm 이하일 때에는 인체에 전혀 무해하기 때문에, 50ppm 이하일 때에는 경보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구성됨으로써, 출력부(12)가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어부(13)는 가스감지센서가 감지하는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100ppm 이상, 149ppm 이하일 때 20 내지 30분 사이의 시간이 경과한 후 경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100ppm 이상, 149ppm 이하일 때에는 인체가 장시간 노출되는 것이 아니라면 약간의 두통 정도로 일산화탄소에 의한 상해가 거의 없게 된다.
따라서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100ppm 이상, 149ppm 이하일 때에는 20 내지 30분 사이의 시간이 경과한 후 경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100ppm ~ 149ppm 구간에서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인다면, 일산화탄소의 농도 자체가 인체에 큰 상해를 끼치지 않기도 하지만,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다시 100ppm 이하로 떨어질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인체에 상해를 끼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거나 불필요한 움직임을 요구하는 것을 바람직하지 않다.
다만,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100ppm ~ 149ppm의 구간에서 20 ~ 30분간 또는 30분 이상 유지가 된다면, 사용자가 두통을 느끼는 등 인체에 부담이 가기 시작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어부(13)는 가스감지센서가 감지하는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100ppm 이상, 149ppm 이하일 때 20 내지 30분 사이의 시간이 경과한 후 경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대한 불쾌감이나 불필요한 움직임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인체의 상해를 끼치기 시작하는 시기에 경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산화탄소 가스 누설 경보 시스템은, 가스 누설 경보 장치(10)가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부(14)를 더 포함하고, 무선통신부(14)와 통신하며 제어부(13)를 통해 생성되는 데이터를 전송받는 관리 서버(20)를 더 포함하고, 관리 서버(20)는 제어부(13)로 원격제어신호를 전송하여 가스감지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처럼 관리 서버(20)를 통해 다수의 가스 누설 경보 장치(1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가스 누설 경보 장치(10)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산화탄소 가스 누설 경보 시스템은, 가스 누설 경보 장치(10)가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부(14)를 더 포함하고, 무선통신부(14)와 통신하며 제어부(13)를 통해 생성되는 데이터를 전송받는 사용자 단말기(30)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기(30)는 제어부(130)로 원격제어신호를 전송하여 가스감지장치(1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처럼 사용자 단말기(30)로 가스 누설 경보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게 되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를 가스 누설 경보 장치(10)의 설정을 변경하거나, 경보신호의 해제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산화탄소 가스 누설 경보 시스템은, 가스감지센서가 백금선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백금선 코일의 저항에 따라 소자 온도가 변하게 되어, 가스감지센서의 표면에 가연성 일산화탄소 가스가 접촉되면 촉매 작용에 의해 연소 반응을 일으키게 되어, 가스감지센서의 표면 온도가 상승하며, 내부에 포함된 백금선 코일의 저항값이 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종래 가스감지센서보다 더욱 정확하게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경보 장치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용케이스의 전면이 도시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케이스의 후면이 도시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케이스가 도시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케이스가 도시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기판이 도시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케이스에 회로기판이 설치된 모습이 도시된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케이스 및 고정케이스의 동작이 도시된 도면이다.
가스 누설 경보 장치(10)는 가스감지센서(500)가 설치되는 회로기판(400)을 수용하는 수용케이스(100); 수용케이스(100)와 결합되는 탈부착케이스(200); 일면이 탈부착케이스(200)와 탈부착되고, 타면이 소정 면에 고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고정케이스(300); 수용케이스(100)에 수용되며 회로기판(400)에 연결되는 배터리(600);를 포함하고, 회로기판(100)에 형성되며 가스감지센서(500)를 온(on) 시키거나 오프(off) 시키는 접촉스위치(410); 탈부착케이스(200)에 형성되되 상기 수용케이스와 결합 시 접촉스위치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가압부(210); 고정케이스(300)에 형성되되 탈부착케이스(200)와 부착 시 가압부(210)를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가스 누설 경보 장치(10)는 수용케이스(100)와 탈부착케이스(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탈부착케이스(200)가 고정케이스(300)에 부착 시, 돌출부(310)가 가압부(210)를 가압하고, 가압부(210)의 가압 동작에 의해 접촉스위치(410)가 동작하여 가스감지센서(500)가 온(on)된다.
또한 가스 누설 경보 장치(10)는 탈부착케이스(200)가 소정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가압부(210)가 탈부착케이스(200)의 일부에 U자 형태로 절개되어 탄성적으로 동작하며, 돌출부(310)에 의해 가압되거나 가압되었던 것이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310)는 가압부(210)의 U자 형태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도록 소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스 누설 경보 장치(10)는 탈부착케이스(200)가 고정케이스(300)와의 접합면에 4개의 제1 가이드부(220)가 돌출 형성되고, 고정케이스(300)에는 제1 가이드부(220)에 대응되도록 4개의 제2 가이드부(320)가 돌출 형성되며, 제1 가이드부(220)가 제2 가이드부(320)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결합되고, 제1 가이드부(220)가 제2 가이드부(320)를 따라 슬라이딩될 때 돌출부(310)가 가압부(210)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스 누설 경보 장치(10)는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탈부착케이스(200)를 고정케이스(300)에 결합시키면서 자연스럽게 돌출부(310)가 가압부(210)를 가압하고, 돌출부(310)가 가압부(210)를 가압함으로써 접촉스위치(410)를 온(on)시키게 된다.
따라서가스 누설 경보 장치(10)는 설치 시 자연스럽게 접촉스위치(410)를 온(on)시키게 되며, 설치 이후 전원 버튼을 사용자가 누르지 않더라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회로기판(400)에는 가스감지센서(500)를 온(on) 시키거나 오프(off) 시키는 접촉스위치(410)가 설치되는데, 이외에 가스감지센서(500)가 온(on) 되었는지 확인하는 전원확인 스위치(420)가 설치될 수있다.
예를 들어, 회로기판(400)의 일면{탈부착케이스(200)쪽 면}에 접촉스위치(410)가 설치될 수 있고, 회로기판(400)의 타면{수용케이스(100)쪽 면}에 전원확인 스위치(420)가 설치될 수 있다.
전원확인 스위치(420)는 수용케이스(100)에 별도로 형성되는 전원확인 버튼(140)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방식의 가스 감지장치는 탈부착케이스(200)를 고정케이스(300)에 결합시키면서 자연스럽게 돌출부(310)가 가압부(210)를 가압하고, 돌출부(310)가 가압부(210)를 가압함으로써 접촉스위치(410)를 온(on)시키게 되는데, 접촉스위치(410)가 온(on)되어 가스감지센서(5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에 있더라도 사용자는 가스감지센서(5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없게 된다.
본 발명은 가스 누설 경보 장치(10) 설치 이후 전원 버튼을 사용자가 누르지 않더라도 전원이 온(on)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데, 사용자 입장에서는 가스감지센서(5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알 수 없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가스감지센서(5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알 수 있도록 구성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수용케이스(100)에 전원확인 버튼(140)이 형성되고, 이 전원확인 버튼(140)에 의해 전원확인 스위치(420)가 동작할 수 있고, 전원확인 스위치(420)가 동작하면 LED 표시부(800)에 소정 빛이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원확인 스위치(420)가 동작하면 경보음 발생부(700)에 소정 소리가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스 누설 경보 장치(10)의 상측에 거리감지센서(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거리감지센서는 초음파 센서, RF 센서, M/W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선택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거리감지센서는 가스 누설 경보 장치(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천정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이때 제어부(13)는 거리감지센서가 측정한 거리가 30cm 이상인 경우 출력부(12)를 통해 안내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안내신호는 경보신호와 다른 빛, 다른 소리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가스 누설 경보 장치(10)와 천정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일산화탄소 배출 공간에서 천정 부근에서 일산화탄소 농도가 바닥 부근에서의 농도보다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일한 가스 누설 경보 장치(10)를 i) 천정에서 30cm 이내에 설치한 경우와 ii)바닥에 설치한 경우를 비교하였을 때, 천정에서 30cm 이내에 설치한 경우가 바닥에 설치한 경우보다 약 30 ~ 40분 먼저 동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본 발명은 가스 누설 경보 장치(10)를 설치할 때에는 천정에서 30cm 이내에 설치를 안내할 수 있고, 설치 이후에 천정에서 30cm 이상으로 멀어지는 경우에 측정이 잘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안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가스 누설 경보 장치 11: 감지부
12: 출력부 13: 제어부
14: 무선통신부 20: 관리 서버
100: 수용케이스 110: 감지센서 수용부
120: 통로 130: 결합부
131: 내입홈 140: 전원확인 버튼
150: 배터리연결 확인부 151: 연결케이블홈
200: 탈부착케이스 210: 가압부
220: 제1 가이드부 230: 끼움부
300: 고정케이스 310: 돌출부
320: 제2 가이드부 400: 회로기판
410: 접촉스위치 420: 전원확인 스위치
500: 가스감지센서 600: 배터리
700: 경보음 발생부 800: LED 표시부

Claims (7)

  1. 가스 누설 경보 장치를 이용하는 일산화탄소 가스 누설 경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스 누설 경보 장치는
    일산화탄소를 감지하는 가스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
    LED 및 부저를 포함하며, 상기 LED 및 상기 부저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감지부 및 상기 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가스감지센서가 감지하는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150ppm 이상일 때 3분 이내에 경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스감지센서가 감지하는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300ppm 이상일 때 1분 이내에 경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누설 경보 장치는
    가스감지센서가 설치되는 회로기판을 수용하는 수용케이스;
    상기 수용케이스와 결합되는 탈부착케이스;
    일면이 상기 탈부착케이스와 탈부착되고, 타면이 소정 면에 고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고정케이스;
    상기 수용케이스에 수용되며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배터리;
    상기 회로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가스 감지센서를 온(on) 시키거나 오프(off) 시키는 접촉스위치;
    상기 탈부착케이스에 형성되되 상기 수용케이스와 결합시 상기 접촉스위치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가압부;
    상기 고정케이스에 형성되되 상기 탈부착케이스와 부착 시 상기 가압부를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케이스와 상기 탈부착케이스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탈부착케이스가 상기 고정케이스에 부착 시,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가압부를 가압하고, 상기 가압부의 가압 동작에 의해 상기 접촉스위치가 동작하여 상기 가스 감지센서가 온(o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탄소 가스 누설 경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감지센서가 감지하는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50ppm 이하일 때 경보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탄소 가스 누설 경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감지센서가 감지하는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100ppm 이상, 149ppm 이하일 때 20 내지 30분 사이의 시간에서 경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탄소 가스 누설 경보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감지센서는 백금선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백금선 코일의 저항에 따라 소자 온도가 변하게 되어, 상기 가스감지센서의 표면에 가연성 일산화탄소 가스가 접촉되면 촉매 작용에 의해 연소 반응을 일으키게 되어, 가스감지센서의 표면 온도가 상승하며, 내부에 포함된 백금선 코일의 저항값이 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탄소 가스 누설 경보 시스템.
  7. 삭제
KR1020200082046A 2020-07-03 2020-07-03 일산화탄소 가스 누설 경보 시스템 KR102426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046A KR102426862B1 (ko) 2020-07-03 2020-07-03 일산화탄소 가스 누설 경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046A KR102426862B1 (ko) 2020-07-03 2020-07-03 일산화탄소 가스 누설 경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4335A KR20220004335A (ko) 2022-01-11
KR102426862B1 true KR102426862B1 (ko) 2022-07-28

Family

ID=79355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046A KR102426862B1 (ko) 2020-07-03 2020-07-03 일산화탄소 가스 누설 경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8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2166A (ja) 2008-10-06 2010-04-22 Riken Keiki Co Ltd ガス警報装置および環境監視システム
JP2016152172A (ja) 2015-02-18 2016-08-22 新コスモス電機株式会社 携帯型ガス検知器
KR101995993B1 (ko) * 2018-10-22 2019-07-03 성화퓨렌텍(주) 원격 가스 교정 시스템
JP2020004024A (ja) * 2018-06-27 2020-01-09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ガス警報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227B1 (ko) * 2014-06-03 2016-08-10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가스누설 경보기 고정장치
KR102180856B1 (ko) 2019-06-11 2020-11-20 여정환 환경정보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2166A (ja) 2008-10-06 2010-04-22 Riken Keiki Co Ltd ガス警報装置および環境監視システム
JP2016152172A (ja) 2015-02-18 2016-08-22 新コスモス電機株式会社 携帯型ガス検知器
JP2020004024A (ja) * 2018-06-27 2020-01-09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ガス警報器
KR101995993B1 (ko) * 2018-10-22 2019-07-03 성화퓨렌텍(주) 원격 가스 교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4335A (ko) 202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03530A1 (en) Communicating control for fuel fired heating appliance
EP0352317B1 (en) Test initiation apparatus with continuous or pulse input
US20100057401A1 (en) System, method and kit for testing gas monitors
US20100201531A1 (en) Carbon monoxide detector
US20060044133A1 (en) Alarm triggered shut off appliance system (ATSAS)
US20070001860A1 (en) Alarm unit
US20110271914A1 (en) Flue-Gas Analysis Safety Apparatus
US20100042333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network for testing gas monitors
WO2008051731A1 (en) Testing performance of gas monitors
KR102426862B1 (ko) 일산화탄소 가스 누설 경보 시스템
JP4563207B2 (ja) ガス機器の温度監視システム
US8289177B2 (en) Circuitry to monitor and control source of radiant energy in smoke detector
US20150102928A1 (en) Remote power state detector
US20040112114A1 (en) Fire detector
US20080092624A1 (en) Gas Monitor Testing Apparatus, Method, And System
US20120222667A1 (en) Fireplace including a safety proximity warning system
US7132659B2 (en) Sensor having a communication device, senso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information from a sensor
KR20220038927A (ko) 탈부착식 화재 가스누설 복합 감지장치 및 원격 가스 검침 시스템
KR102367978B1 (ko) 탈부착 방식의 가스 감지장치
KR102546226B1 (ko) 청각장애인용 화재 경보 장치
KR200429937Y1 (ko) 전기장판 인체감지장치
KR20170114840A (ko) 인체감지센서를 이용한 전원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060234175A1 (en) Air quality sensor/interruptor
WO2008124875A1 (en) Gas alarms
JP2016224833A (ja) 警報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