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623B1 - 베어링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설비 - Google Patents

베어링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623B1
KR102426623B1 KR1020200014899A KR20200014899A KR102426623B1 KR 102426623 B1 KR102426623 B1 KR 102426623B1 KR 1020200014899 A KR1020200014899 A KR 1020200014899A KR 20200014899 A KR20200014899 A KR 20200014899A KR 102426623 B1 KR102426623 B1 KR 102426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cooling passage
bearing
shaft system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0925A (ko
Inventor
김영춘
Original Assignee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4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623B1/ko
Priority to US17/133,727 priority patent/US11359667B2/en
Publication of KR20210100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0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radial load only
    • F16C17/03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radial load only with tiltably-supported segments, e.g. Michell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16Arrangement of bearings; Supporting or mounting bearings in casings
    • F01D25/162Bearin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5/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devices driven thereby
    • F01D15/10Adaptations for driving, or combinations with, electric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18Lubric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3/00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 F02C3/04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having a turbine driving a compr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04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axial load only
    • F16C17/06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axial load only with tiltably-supported segments, e.g. Michell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0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 F16C33/1025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with liquid, e.g. oil, as lubricant
    • F16C33/1045Details of supply of the liquid to the b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66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 F16C33/6637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with liquid lubricant
    • F16C33/6659Details of supply of the liquid to the bearing, e.g. passages or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66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 F16C33/6637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with liquid lubricant
    • F16C33/6659Details of supply of the liquid to the bearing, e.g. passages or nozzles
    • F16C33/667Details of supply of the liquid to the bearing, e.g. passages or nozzles related to conditioning, e.g. cooling,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7/00Cooling of bearings
    • F16C37/002Cooling of bearings of fluid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D2220/31Application in turbines in steam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D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gas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35Combustors or associated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80/00Electrical apparatus
    • F16C2380/26Dynamo-electric machines or combinations therewith, e.g. electro-motors and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설비의 축계를 반경방향으로 지지하는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축계의 반경방향 외측에 설치되며, 내부로 오일이 유동하는 냉각유로가 형성된 패드를 포함하는 베어링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설비에 의하면, 패드의 내부로 냉각유로가 관통 형성됨으로써, 패드와 축계 사이에 존재하는 오일을 상기 냉각유로로 유동시켜 패드를 냉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설비에 의하면, 발전설비의 작동 중 패드가 지속적으로 냉각되도록 할 수 있으며, 축계와 패드 사이의 마찰에 의하더라도 패드의 온도가 한계값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베어링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설비{Bearing and Power generating equipmen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베어링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전설비의 축계를 지지하는 베어링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설비란 전기를 생성하기 위한 설비를 의미한다. 이러한 발전설비는, 전자기유도 원리에 기초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장치를 구비한다. 여기서 동력발생장치는 가스터빈(Gas turbine) 또는 스팀터빈(Steam turbine) 중 하나에 해당될 수 있다. 가스터빈이란 외부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압축시킨 후, 이를 연료와 혼합하여 연소시킴에 따라 생성된 연소가스를 내부로 통과시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의미한다. 스팀터빈이란 증기를 내부로 통과시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발전기와 동력발생장치는, 각각 축계(Shaft system)에 의해 연결된다. 즉, 발전기는 내부 중심으로 축이 관통 설치되며, 동력발생장치 역시 내부 중심으로 축이 관통 설치된다. 상기 발전기의 축이 상기 동력발생장치의 축과 연결됨에 따라, 상기 동력발생장치에서 발생된 회전 구동력이 상기 동력발생장치의 축을 통하여 상기 발전기의 축으로 전달된다.
상기 축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발전설비에는 베어링이 구비된다. 베어링은 스러스트(Thrust) 베어링과 래이디얼(Radial) 베어링으로 나뉘어진다. 스러스트 베어링은, 축계의 외주면에 구비된 스러스트 칼라에 설치되어, 상기 축계를 축방향으로 지지한다. 래이디얼 베어링은, 축계의 저널 부위에 접촉되어, 상기 축계를 반경방향으로 지지한다.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과 래이디얼 베어링은, 각각 스러스트 칼라 또는 축계의 저널 부위에 접촉되어, 각각 축계를 축방향 또는 반경방향으로 지지하는 패드를 구비한다.
패드는, 고온에서 기계적 성질이 저하되므로, 최대온도가 대략 105도씨를 넘지 않도록 유지되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베어링에 의하면, 축계가 회전함에 따라 패드와 스러스트 칼라, 또는 패드와 저널 사이에는 지속적으로 마찰이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패드의 온도가 한계값 이상으로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1.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09-0010920호 ‘수직 펌프 모터의 베어링 오일 쿨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발전설비의 작동 중 패드를 냉각시킬 수 있는 구조의 베어링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설비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발전설비의 축계를 반경방향으로 지지하는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축계의 반경방향 외측에 설치되며, 내부로 오일이 유동하는 냉각유로가 형성된 패드를 포함하는 베어링을 제공한다.
상기 패드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축계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휘어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은, 상기 패드의 반경방향 외측에 결합되며, 외부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는 피봇을 더 포함한다.
상기 피봇은, 상기 패드의 무게중심으로부터 일 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축계의 반경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상기 피봇의 일 측에 형성된다.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축계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패드는, 상기 냉각유로의 입구와 연통되며, 외부로부터 오일이 유입되는 입구챔버와, 상기 냉각유로의 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냉각유로로 유동된 오일이 외부로 토출되는 출구챔버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은, 상기 입구챔버를 덮는 입구커버와, 상기 출구챔버를 덮는 출구커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입구커버는, 외부로부터 오일이 유입되는 입구홀이 형성되며, 상기 출구커버는, 상기 냉각유로를 유동한 오일이 외부로 토출되는 출구홀이 형성된다.
상기 냉각유로는,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입구홀과 출구홀은, 각각 상기 복수개의 냉각유로의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축계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로 구비된다.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축계의 축방향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상기 패드는, 상기 냉각유로와 교차하며, 오일이 유동하는 보조유로가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보조유로는, 상기 축계의 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로 구비된다.
상기 보조유로는, 상기 패드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피봇을 향하고 타단이 상기 패드의 원주방향 단부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축계의 축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상기 냉각유로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각각 직경이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냉각유로는, 3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비되며, 사이 간격이 서로 다르도록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전설비의 축계를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축계의 외주면에 구비된 스러스트 칼라에 설치되며, 내부로 오일이 유동하는 냉각유로가 형성된 패드를 포함하는 베어링을 제공한다.
상기 패드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축계의 반경방향 기준 외측으로 갈수록 원주방향의 폭이 점점 증가하는 부채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은, 상기 패드의 상기 스러스트 칼라 반대 측에 결합되며, 외부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는 피봇을 더 포함한다.
상기 피봇은, 상기 패드의 무게중심으로부터 일 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축계의 축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상기 피봇의 일 측에 형성된다.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축계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패드는, 상기 냉각유로의 입구와 연통되며, 외부로부터 오일이 유입되는 입구챔버와, 상기 냉각유로의 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냉각유로로 유동된 오일이 외부로 토출되는 출구챔버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은, 상기 입구챔버를 덮는 입구커버와, 상기 출구챔버를 덮는 출구커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입구커버는, 외부로부터 오일이 유입되는 입구홀이 형성되며, 상기 출구커버는, 상기 냉각유로를 유동한 오일이 외부로 토출되는 출구홀이 형성된다.
상기 냉각유로는,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입구홀과 출구홀은, 각각 상기 복수개의 냉각유로의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축계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로 구비된다.
상기 냉각유로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사이 간격이 커지도록 배치된다.
상기 패드는, 상기 냉각유로와 교차하며, 오일이 유동하는 보조유로가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보조유로는, 상기 축계의 반경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로 구비된다.
상기 보조유로는, 상기 패드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피봇을 향하고 타단이 상기 패드의 원주방향 단부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냉각유로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사이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상기 축계의 원주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상기 냉각유로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각각 직경이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냉각유로는, 3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비되며, 사이 간격이 서로 다르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공급받은 압축공기를 연료와 혼합하여 연소시키는 연소기와, 상기 연소기로부터 공급받은 연소가스를 내부로 통과시켜 전력 생성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터빈을 포함하는 가스터빈; 상기 가스터빈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스터빈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에 기초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기; 상기 가스터빈과 발전기를 연결하며, 상기 가스터빈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상기 발전기로 전달하는 축계; 및 상기 축계를 반경방향으로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되, 상기 베어링은, 상기 축계의 반경방향 외측에 설치되며, 내부로 오일이 유동하는 냉각유로가 형성된 패드를 포함하는 발전설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증기를 생성하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로부터 공급받은 증기를 내부로 통과시켜 전력 생성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터빈을 포함하는 증기터빈; 상기 증기터빈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증기터빈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에 기초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기; 상기 증기터빈과 발전기를 연결하며, 상기 가스터빈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상기 발전기로 전달하는 축계; 및 상기 축계를 반경방향으로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되, 상기 베어링은, 상기 축계의 반경방향 외측에 설치되며, 내부로 오일이 유동하는 냉각유로가 형성된 패드를 포함하는 발전설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공급받은 압축공기를 연료와 혼합하여 연소시키는 연소기와, 상기 연소기로부터 공급받은 연소가스를 내부로 통과시켜 전력 생성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터빈을 포함하는 가스터빈; 상기 가스터빈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스터빈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에 기초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기; 상기 가스터빈과 발전기를 연결하며, 상기 가스터빈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상기 발전기로 전달하는 축계; 및 상기 축계를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되, 상기 베어링은, 상기 축계의 외주면에 구비된 스러스트 칼라에 설치되며, 내부로 오일이 유동하는 냉각유로가 형성된 패드를 포함하는 발전설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증기를 생성하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로부터 공급받은 증기를 내부로 통과시켜 전력 생성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터빈을 포함하는 증기터빈; 상기 증기터빈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증기터빈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에 기초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기; 상기 증기터빈과 발전기를 연결하며, 상기 가스터빈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상기 발전기로 전달하는 축계; 및 상기 축계를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되, 상기 베어링은, 상기 축계의 외주면에 구비된 스러스트 칼라에 설치되며, 내부로 오일이 유동하는 냉각유로가 형성된 패드를 포함하는 발전설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설비에 의하면, 패드의 내부로 냉각유로가 관통 형성됨으로써, 패드와 축계 사이에 존재하는 오일을 상기 냉각유로로 유동시켜 패드를 냉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설비에 의하면, 발전설비의 작동 중 패드가 지속적으로 냉각되도록 할 수 있으며, 축계와 패드 사이의 마찰에 의하더라도 패드의 온도가 한계값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설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동력발생장치가 가스터빈인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설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동력발생장치가 증기터빈인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래이디얼 베어링의 평면도로서, 래이디얼 베어링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래이디얼 베어링의 평면도로서, 래이디얼 베어링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래이디얼 베어링의 평면도로서, 래이디얼 베어링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래이디얼 베어링의 평면도로서, 래이디얼 베어링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래이디얼 베어링의 평면도로서, 래이디얼 베어링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러스트 베어링의 평면도로서, 스러스트 베어링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러스트 베어링의 평면도로서, 스러스트 베어링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러스트 베어링의 평면도로서, 스러스트 베어링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러스트 베어링의 평면도로서, 스러스트 베어링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러스트 베어링의 평면도로서, 스러스트 베어링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전설비(10,20)는, 동력발생장치(11,21), 발전기(12,22), 축계(13,23), 커플링(14,24), 스러스트 칼라(15,25), 래이디얼 베어링(100), 스러스트 베어링(600)을 포함한다. 이하, 상기 동력발생장치(11,21)가 가스터빈(11)인 경우와 증기터빈(21)인 경우로 나눠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전설비(10)는, 가스터빈(11), 발전기(12), 축계(13), 커플링(14), 스러스트 칼라(15), 래이디얼 베어링(100), 스러스트 베어링(600)을 포함한다.
상기 가스터빈(11)은, 공급받은 연료를 연소시켜 상기 발전기(12)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압축기(11a), 연소기(11b), 터빈(11c)을 포함한다. 상기 압축기(11a)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압축하여 상기 연소기(11b)로 공급한다. 상기 연소기(11b)는, 상기 압축기(11a)로부터 공급받은 압축공기를 연료와 혼합하여 연소시킨다. 상기 터빈(11c)은, 상기 연소기(11b)로부터 공급받은 연소가스를 내부로 통과시켜, 상기 발전기(12)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발전기(12)는, 상기 가스터빈(11)의 일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스터빈(11)에 의해 구동한다. 그리고 상기 발전기(12)는, 전자기 유도 원리에 기초하여 전력을 생성한다.
상기 축계(Shaft system; 13)는, 상기 가스터빈(11)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발전기(12)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가스터빈 축(13a)과 발전기 축(13b)을 포함한다. 상기 가스터빈 축(13a)은, 상기 가스터빈(11)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터빈(11c)의 내부를 통과하는 연소가스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발전기 축(13b)은, 상기 발전기(12)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스터빈 축(13a)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발전기 축(13b)은, 상기 가스터빈 축(13a)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발전기(12)를 통해 전력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플링(14)은, 상기 가스터빈 축(13a)과 상기 발전기 축(13b)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가스터빈 축(13a)과 상기 발전기 축(13b)을 서로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커플링(14)은, 상기 가스터빈 축(13a)으로부터 상기 발전기 축(13b)으로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러스트 칼라(Thrust collar; 15)는, 상기 축계(13)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러스트 베어링(600)에 의하여 상기 축계(13)가 축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에서는 상기 스러스트 칼라(15)가 상기 가스터빈 축(13a)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상기 스러스트 칼라(15)는 상기 발전기 축(13b)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래이디얼 베어링(Radial journal bearing; 100)은, 상기 축계(13)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축계(13)를 반경방향으로 지지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계(13)는, 상기 가스터빈 축(13a) 및 상기 발전기 축(13b)에 각각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journal bearing; 600)은, 상기 스러스트 칼라(15)에 설치되며, 상기 축계(15)를 축방향으로 지지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600)은, 상기 스러스트 칼라(15)의 축방향 기준 전방과 후방 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전설비(20)는, 증기터빈(21), 발전기(22), 축계(23), 커플링(24), 스러스트 칼라(25), 래이디얼 베어링(100), 스러스트 베어링(600)을 포함한다.
상기 증기터빈(21)은, 내부로 통과되는 증기에 의해 상기 발전기(22)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보일러(21a), 터빈(21b,21c)을 포함한다. 상기 보일러(21a)는, 내부로 공급된 물을 증발시켜 증기를 생성한다. 상기 터빈(21b,21c)은 , 상기 보일러(21a)로부터 공급받은 증기를 내부로 통과시켜, 상기 발전기(22)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생성한다. 상기 터빈(21b,21c)은, 고압터빈(21b)과 저압터빈(21c)을 포함한다. 상기 고압터빈(21b)은 상기 저압터빈(21c)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보일러(21a)로부터 생성된 증기가 내부로 통과한다. 상기 저압터빈(21c)은, 상기 고압터빈(21b)을 통과한 증기가 내부로 통과한다.
상기 발전기(22)는, 상기 증기터빈(21)의 일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증기터빈(21)에 의해 구동한다. 그리고 상기 발전기(22)는, 전자기 유도 원리에 기초하여 전력을 생성한다.
상기 축계(Shaft system; 23)는, 상기 증기터빈(21)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발전기(22)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증기터빈 축(23a)과 발전기 축(23b)을 포함한다. 상기 증기터빈 축(23a)은, 상기 증기터빈(21)의 터빈(21b,21c)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터빈(21b,21c)의 내부를 통과하는 증기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발전기 축(23b)은, 상기 발전기(22)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증기터빈 축(23a)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발전기 축(23b)은, 상기 증기터빈 축(23a)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발전기(22)를 통해 전력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플링(24)은, 상기 증기터빈 축(23a)과 상기 발전기 축(23b)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증기터빈 축(23a)과 상기 발전기 축(23b)을 서로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커플링(24)은, 상기 가스터빈 축(23a)으로부터 상기 발전기 축(23b)으로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증기터빈 축(23a)은, 상기 고압터빈(21b)의 내부를 통과하는 고압터빈 축과, 상기 저압터빈(21c)의 내부를 통과하는 저압터빈 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플링(24)은, 상기 고압터빈 축과 상기 저압터빈 축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러스트 칼라(Thrust collar; 25)는, 상기 축계(23)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러스트 베어링(600)에 의하여 상기 축계(23)가 축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서는 상기 스러스트 칼라(25)가 상기 증기터빈 축(23a)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상기 스러스트 칼라(25)는 상기 발전기 축(23b)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래이디얼 베어링(Radial journal bearing; 100)은, 상기 축계(23)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축계(23)를 반경방향으로 지지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계(23)는, 상기 가스터빈 축(23a) 및 상기 발전기 축(23b)에 각각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journal bearing; 600)은, 상기 스러스트 칼라(25)에 설치되며, 상기 축계(25)를 축방향으로 지지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600)은, 상기 스러스트 칼라(25)의 축방향 기준 전방과 후방 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하부터는,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래이디얼 베어링의 제1 내지 제5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래이디얼 베어링(100)은, 상기 축계(13,23)를 반경방향(R)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패드(110) 및 피봇(120)을 포함한다.
상기 패드(110)는 상기 축계(13,23)의 반경방향(R) 외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패드(110)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계(13,2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휘어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피봇(120)은, 상기 패드(110)의 반경방향(R) 외측에 결합되며, 외부 구조물(미도시)에 안착되어 상기 패드(110)를 지지한다. 이때, 상기 피봇(120)은, 상기 축계(13,23)의 반경방향(R)을 따라 상기 패드(110)를 보았을 때, 상기 패드(110)의 밀도가 각 부위별로 일정하다고 가정하였을 때의 상기 패드(110)의 무게중심(0)으로부터, 상기 축계(13,23)의 원주방향(C)을 따라 편심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패드(110)는, 내부에 냉각유로(111), 입구챔버(112), 출구챔버(113)가 형성된다.
상기 냉각유로(111)는, 상기 축계(13,23)의 반경방향(R)을 따라 상기 패드(110)를 보았을 때, 상기 피봇(120)으로부터 상기 축계(13,23)의 원주방향(C)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유로(111)는, 상기 축계(13,23)의 원주방향(C)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로 형성되며, 각각 상기 축계(13,23)의 축방향(X)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축계(13,2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상기 축계(13,23)와 상기 패드(110) 사이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패드(110)와 상기 축계(13,23)의 사이에는 오일이 개재된다. 상기 냉각유로(111)는, 상기 패드(110)와 축계(13,23)의 사이에 존재하는 오일이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냉각유로(111)의 내부로 유입된 오일에 의해 상기 패드(110)는 냉각되며, 따라서 상기 축계(13,23)와 패드(110) 사이의 마찰에 의하더라도 상기 패드(110)의 온도가 한계값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입구챔버(112)는, 상기 냉각유로(111)의 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패드(110)와 상기 축계(13,23)의 사이에 존재하는 오일이 유입된다. 상기 출구챔버(113)는, 상기 냉각유로(111)의 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냉각유로(111)로 유동된 오일이 상기 패드(110)와 상기 축계(13,23)의 사이로 토출된다. 상기 입구챔버(112)와 출구챔버(113)는, 상기 축계(13,23)의 축방향(X)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각각 상기 패드(110)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래이디얼 베어링(100)은, 입구커버(114), 출구커버(115), 체결수단(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구커버(114)는, 상기 입구챔버(112)를 덮는다. 상기 출구커버(115)는, 상기 출구챔버(113)를 덮는다. 이때, 상기 입구커버(114)는, 상기 축계(13,23)와 패드(110)의 사이에 존재하는 오일이 유입되는 입구홀(114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출구커버(115)는, 상기 냉각유로(111)를 유동한 오일이 상기 축계(13,23)와 패드(110)의 사이로 토출되는 출구홀(115a)이 형성된다. 상기 입구홀(114a)과 출구홀(115a)에는, 각각 별도의 순환수단(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축계(13,23)와 패드(110) 사이에 존재하는 오일은, 상기 순환수단을 통해 상기 입구챔버(112)로 유입되어 상기 냉각유로(111)로 유동한 후, 상기 출구챔버(113)로부터 다시 상기 순환수단을 통해 상기 패드(110)와 축계(13,23)의 사이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입구홀(114a) 또는 상기 출구홀(115a)은, 각각 상기 복수개의 냉각유로(111)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입구홀(114a) 또는 상기 출구홀(115a)은, 상기 축계(13,23)의 축방향(X)을 따라 보았을 때(즉, 도 4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상기 냉각유로(111)로부터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구홀(114a)을 통해 상기 입구챔버(112)로 유입된 오일이, 상기 복수개의 냉각유로(111) 중 어느 하나로 쏠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냉각유로(111)를 통해 상기 출구챔버(113)로 공급된 오일이 상기 출구홀(115a)을 통해 균일하게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냉각유로(111)는, 각각 상기 축계(13,23)의 축방향(X)에 대하여 형행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입구챔버(112)를 통해 상기 냉각유로(111)로 유입된 오일은, 상기 축계(13,23)의 축방향(X)을 따라 유동한 후, 상기 출구챔버(113)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래이디얼 베어링(200)에서, 상기 패드(110)는, 보조유로(117)가 더 형성된다. 상기 보조유로(117)는, 상기 축계(13,23)의 축방향(X)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보조유로(117)는, 각각 상기 복수개의 냉각유로(111)와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보조유로(117)는, 각각 상기 축계(13,23)의 원주방향(C)을 따라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피봇(120)을 향하고 타단이 상기 축계(13,23)의 원주방향(C) 기준 상기 패드(110)의 단부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냉각유로(111)로 유동하는 오일은, 상기 보조유로(117)로 공급되어 유동함으로써, 상기 패드(110)를 보다 넓은 범위에서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래이디얼 베어링(300)에서, 복수개의 냉각유로(311)는, 각각 상기 축계(13,23)의 축방향(X)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도 7에서는 상기 축계(13,23)의 축방향(X) 일 측(도 7에서의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복수개의 냉각유로(311)가 각각 상기 피봇(120) 측으로 경사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상기 축계(13,23)의 축방향(X) 일 측로 갈수록 상기 복수개의 냉각유로(311)가 각각 상기 피봇(1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래이디얼 베어링(400)에서, 복수개의 냉각유로(411)는, 각각 직경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냉각유로(411)는, 각각 서로 다른 직경(
Figure 112020013125738-pat00001
>
Figure 112020013125738-pat00002
>
Figure 112020013125738-pat00003
)을 나타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냉각유로(411)는, 상기 피봇(120)으로부터 상기 축계(13,23)의 원주방향(C)을 따라 멀어질수록, 직경이 점점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드(110)는, 중심부로부터 상기 축계(13,23)의 원주방향(C) 단부로 갈수록, 온도가 점점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냉각유로(411)의 각 직경이 상기 피봇(120)으로부터 상기 축계(13,23)의 원주방향(C)을 따라 멀어질수록 커지는 경우, 상기 패드(120)의 중심부보다 원주방향(C) 단부 측에서 유동하는 오일의 양을 증가시켜, 상기 패드(120)의 온도 분포에 맞게 상기 패드(120)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래이디얼 베어링(500)에서, 복수개의 냉각유로(511)는, 각각 인접하는 냉각유로(511)와의 간격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냉각유로(511)는, 서로 다른 사이 간격(
Figure 112020013125738-pat00004
>
Figure 112020013125738-pat00005
)을 나타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냉각유로(511)는, 상기 피봇(120)으로부터 상기 축계(13,23)의 원주방향(C)을 따라 멀어질수록, 사이 간격이 점점 감소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드(110)는, 중심부로부터 상기 축계(13,23)의 원주방향(C) 단부로 갈수록, 온도가 점점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냉각유로(511)의 사이 간격이 상기 피봇(120)으로부터 상기 축계(13,23)의 원주방향(C)을 따라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경우, 상기 패드(120)의 중심부보다 원주방향(C) 단부 측에서 유동하는 오일의 양을 증가시켜, 상기 패드(120)의 온도 분포에 맞게 상기 패드(120)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래이디얼 베어링(100,200,300,400,500)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설비(10,20)에 의하면, 패드(110)와 축계(13,23) 사이에 존재하는 오일을 냉각유로(111,311,411,511)로 유동시켜 패드를 냉각시킬 수 있으므로, 발전설비(10,20)의 작동 중 패드(110)가 지속적으로 냉각되도록 할 수 있으며, 축계(13,23)와 패드(110) 사이의 마찰에 의하더라도 패드(110)의 온도가 한계값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부터는, 도 10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러스트 베어링의 제6 내지 제10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스러스트 베어링(600)은, 상기 축계(13,23)를 축방향(X)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패드(610) 및 피봇(620)을 포함한다.
상기 패드(610)는, 상기 축계(13,23)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스러스트 칼라(15,25)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패드(610)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계(13,23)의 반경방향 기준 외측으로 갈수록 원주방향(C)의 폭이 점점 증가하는 부채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피봇(620)은, 상기 패드(610)의 스러스트 칼라(15,25) 반대 측에 결합되며, 외부 구조물(미도시)에 안착되어 상기 패드(610)를 지지한다. 이때, 상기 피봇(620)은, 상기 축계(13,23)의 축방향(X)을 따라 상기 패드(610)를 보았을 때, 상기 패드(610)의 밀도가 각 부위별로 일정하다고 가정하였을 때의 상기 패드(610)의 무게중심(0)으로부터, 상기 축계(13,23)의 원주방향(C)을 따라 편심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패드(610)는, 내부에 냉각유로(611), 입구챔버(612), 출구챔버(613)가 형성된다.
상기 냉각유로(611)는, 상기 축계(13,23)의 축방향(X)을 따라 상기 패드(610)를 보았을 때, 상기 피봇(620)으로부터 상기 축계(13,23)의 원주방향(C)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유로(611)는, 상기 축계(13,23)의 원주방향(C)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로 형성되며, 각각 상기 축계(13,23)의 반경방향(R)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축계(13,2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상기 스러스트 칼라(15,25)와 상기 패드(610) 사이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패드(610)와 상기 스러스트 칼라(15,25)의 사이에는 오일이 개재된다. 상기 냉각유로(611)는, 상기 패드(610)와 스러스트 칼라(15,25)의 사이에 존재하는 오일이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냉각유로(611)의 내부로 유입된 오일에 의해 상기 패드(610)는 냉각되며, 따라서 상기 스러스트 칼라(15,25)와 패드(610) 사이의 마찰에 의하더라도 상기 패드(610)의 온도가 한계값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입구챔버(612)는, 상기 냉각유로(611)의 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패드(610)와 상기 스러스트 칼라(15,25)의 사이에 존재하는 오일이 유입된다. 상기 출구챔버(613)는, 상기 냉각유로(611)의 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냉각유로(611)로 유동된 오일이 상기 패드(610)와 상기 스러스트 칼라(15,25)의 사이로 토출된다. 상기 입구챔버(612)와 출구챔버(613)는, 상기 축계(13,23)의 반경방향(R)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각각 상기 패드(610)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래이디얼 베어링(600)은, 입구커버(614), 출구커버(615), 체결수단(6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구커버(614)는, 상기 입구챔버(612)를 덮는다. 상기 출구커버(615)는, 상기 출구챔버(613)를 덮는다. 이때, 상기 입구커버(614)는, 상기 스러스트 칼라(15,25)와 패드(610)의 사이에 존재하는 오일이 유입되는 입구홀(614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출구커버(615)는, 상기 냉각유로(611)를 유동한 오일이 상기 스러스트 칼라(15,25)와 패드(610)의 사이로 토출되는 출구홀(615a)이 형성된다. 상기 입구홀(614a)과 출구홀(615a)에는, 각각 별도의 순환수단(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러스트 칼라(15,25)와 패드(610) 사이에 존재하는 오일은, 상기 순환수단을 통해 상기 입구챔버(612)로 유입되어 상기 냉각유로(611)로 유동한 후, 상기 출구챔버(613)로부터 다시 상기 순환수단을 통해 상기 패드(610)와 스러스트 칼라(15,25)의 사이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입구홀(614a) 또는 상기 출구홀(615a)은, 각각 상기 복수개의 냉각유로(611)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입구홀(614a) 또는 상기 출구홀(615a)은, 상기 축계(13,23)의 반경방향(R)을 따라 보았을 때(즉, 도 11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상기 냉각유로(611)로부터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구홀(614a)을 통해 상기 입구챔버(612)로 유입된 오일이, 상기 복수개의 냉각유로(611) 중 어느 하나로 쏠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냉각유로(611)를 통해 상기 출구챔버(613)로 공급된 오일이 상기 출구홀(615a)을 통해 균일하게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냉각유로(611)는, 상기 축계(13,23)의 반경방향(R) 외측으로 갈수록, 사이 간격이 점점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구챔버(612)를 통해 상기 냉각유로(611)로 유입된 오일은, 상기 축계(13,23)의 반경방향(R)을 따라 유동한 후, 상기 출구챔버(613)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스러스트 베어링(700)에서, 상기 패드(610)는, 보조유로(617)가 더 형성된다. 상기 보조유로(617)는, 상기 축계(13,23)의 반경방향(R)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보조유로(617)는, 각각 상기 복수개의 냉각유로(611)와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보조유로(617)는, 각각 상기 축계(13,23)의 원주방향(C)을 따라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피봇(620)을 향하고 타단이 상기 축계(13,23)의 원주방향(C) 기준 상기 패드(610)의 단부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냉각유로(611)로 유동하는 오일은, 상기 보조유로(617)로 공급되어 유동함으로써, 상기 패드(610)를 보다 넓은 범위에서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래이디얼 베어링(800)에서, 복수개의 냉각유로(811)는, 상기 축계(13,23)의 반경방향(R) 외측으로 갈수록, 사이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냉각유로(811)는, 상기 축계(13,23)의 원주방향(C)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도 14에서는 상기 축계(13,23)의 반경방향(R)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복수개의 냉각유로(811)가 각각 상기 피봇(620) 측으로 경사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상기 축계(13,23)의 반경방향(R)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복수개의 냉각유로(811)가 각각 상기 피봇(6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래이디얼 베어링(900)에서, 복수개의 냉각유로(911)는, 각각 직경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냉각유로(911)는, 각각 서로 다른 직경(
Figure 112020013125738-pat00006
>
Figure 112020013125738-pat00007
>
Figure 112020013125738-pat00008
)을 나타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냉각유로(911)는, 상기 피봇(620)으로부터 상기 축계(13,23)의 원주방향(C)을 따라 멀어질수록, 직경이 점점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드(610)는, 중심부로부터 상기 축계(13,23)의 원주방향(C) 단부로 갈수록, 온도가 점점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9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냉각유로(911)의 각 직경이 상기 피봇(620)으로부터 상기 축계(13,23)의 원주방향(C)을 따라 멀어질수록 커지는 경우, 상기 패드(620)의 중심부보다 원주방향(C) 단부 측에서 유동하는 오일의 양을 증가시켜, 상기 패드(620)의 온도 분포에 맞게 상기 패드(120)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래이디얼 베어링(1000)에서, 복수개의 냉각유로(1011)는, 각각 인접하는 냉각유로(1011)와의 간격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냉각유로(1011)는, 상기 축계(13,23)의 반경방향(R) 기준 동일한 위치에서의 원주방향 간격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서로 다른 사이 간격(
Figure 112020013125738-pat00009
>
Figure 112020013125738-pat00010
)을 나타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냉각유로(1011)는, 상기 피봇(620)으로부터 상기 축계(13,23)의 원주방향(C)을 따라 멀어질수록, 사이 간격이 점점 감소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드(610)는, 중심부로부터 상기 축계(13,23)의 원주방향(C) 단부로 갈수록, 온도가 점점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냉각유로(1011)의 사이 간격이 상기 피봇(620)으로부터 상기 축계(13,23)의 원주방향(C)을 따라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경우, 상기 패드(620)의 중심부보다 원주방향(C) 단부 측에서 유동하는 오일의 양을 증가시켜, 상기 패드(620)의 온도 분포에 맞게 상기 패드(620)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러스트 베어링(600,700,800,900,1000)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설비(10,20)에 의하면, 패드(610)와 스러스트 칼라(15,25) 사이에 존재하는 오일을 냉각유로(611,811,911,1011)로 유동시켜 패드를 냉각시킬 수 있으므로, 발전설비(10,20)의 작동 중 패드(610)가 지속적으로 냉각되도록 할 수 있으며, 스러스트 칼라(15,25)와 패드(610) 사이의 마찰에 의하더라도 패드(610)의 온도가 한계값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20 : 발전설비 11 : 가스터빈
21 : 증기터빈 12,22 : 발전기
13,23 : 축계 14,24 : 커플링
15,25 : 스러스트 칼라
100,200,300,400,500 : 래이디얼 베어링
600,700,800,900,1000 : 스러스트 베어링

Claims (40)

  1. 발전설비의 축계를 반경방향으로 지지하는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축계의 반경방향 외측에 설치되며, 내부로 오일이 유동하는 냉각유로가 형성된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는,
    상기 냉각유로의 입구와 연통되며, 외부로부터 오일이 유입되는 입구챔버와,
    상기 냉각유로의 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냉각유로로 유동된 오일이 외부로 토출되는 출구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챔버를 덮고, 외부로부터 오일이 유입되는 입구홀이 형성되는 입구커버와,
    상기 출구챔버를 덮고, 상기 냉각유로를 유동한 오일이 외부로 토출되는 출구홀이 형성되는 출구커버를 더 포함하는 베어링.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축계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휘어진 형상으로 형성된 베어링.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반경방향 외측에 결합되며, 외부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는 피봇을 더 포함하는 베어링.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피봇은, 상기 패드의 무게중심으로부터 일 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는 베어링.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축계의 반경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상기 피봇의 일 측에 형성된 베어링.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축계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베어링.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로는,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입구홀과 출구홀은, 각각 상기 복수개의 냉각유로의 사이에 형성된 베어링.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축계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로 구비된 베어링.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축계의 축방향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 베어링.
  13.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상기 냉각유로와 교차하며, 오일이 유동하는 보조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베어링.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보조유로는, 상기 축계의 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로 구비된 베어링.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보조유로는, 상기 패드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피봇을 향하고 타단이 상기 패드의 원주방향 단부를 향하도록 배치된 베어링.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축계의 축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된 베어링.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로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각각 직경이 다르게 형성된 베어링.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로는, 3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비되며, 사이 간격이 서로 다르도록 배치된 베어링.
  19. 발전설비의 축계를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축계의 외주면에 구비된 스러스트 칼라에 설치되며, 내부로 오일이 유동하는 냉각유로가 형성된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는,
    상기 냉각유로의 입구와 연통되며, 외부로부터 오일이 유입되는 입구챔버와,
    상기 냉각유로의 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냉각유로로 유동된 오일이 외부로 토출되는 출구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챔버를 덮고, 외부로부터 오일이 유입되는 입구홀이 형성되는 입구커버와,
    상기 출구챔버를 덮고, 상기 냉각유로를 유동한 오일이 외부로 토출되는 출구홀이 형성되는 출구커버를 더 포함하는 베어링.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축계의 반경방향 기준 외측으로 갈수록 원주방향의 폭이 점점 증가하는 부채꼴의 형상으로 형성된 베어링.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상기 스러스트 칼라 반대 측에 결합되며, 외부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는 피봇을 더 포함하는 베어링.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피봇은, 상기 패드의 무게중심으로부터 일 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는 베어링.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축계의 축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상기 피봇의 일 측에 형성된 베어링.
  24.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축계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베어링.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로는,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입구홀과 출구홀은, 각각 상기 복수개의 냉각유로의 사이에 형성된 베어링.
  29.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축계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로 구비된 베어링.
  3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로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사이 간격이 커지도록 배치된 베어링.
  31.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상기 냉각유로와 교차하며, 오일이 유동하는 보조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베어링.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보조유로는, 상기 축계의 반경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로 구비된 베어링.
  33.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보조유로는, 상기 패드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피봇을 향하고 타단이 상기 패드의 원주방향 단부를 향하도록 배치된 베어링.
  34.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로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사이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상기 축계의 원주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된 베어링.
  35.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로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각각 직경이 다르게 형성된 베어링.
  36.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로는, 3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비되며, 사이 간격이 서로 다르도록 배치된 베어링.
  37.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공급받은 압축공기를 연료와 혼합하여 연소시키는 연소기와, 상기 연소기로부터 공급받은 연소가스를 내부로 통과시켜 전력 생성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터빈을 포함하는 가스터빈;
    상기 가스터빈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스터빈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에 기초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기;
    상기 가스터빈과 발전기를 연결하며, 상기 가스터빈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상기 발전기로 전달하는 축계; 및
    상기 축계를 반경방향으로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되,
    상기 베어링은,
    상기 축계의 반경방향 외측에 설치되며, 내부로 오일이 유동하는 냉각유로가 형성된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는,
    상기 냉각유로의 입구와 연통되며, 외부로부터 오일이 유입되는 입구챔버와,
    상기 냉각유로의 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냉각유로로 유동된 오일이 외부로 토출되는 출구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챔버를 덮고, 외부로부터 오일이 유입되는 입구홀이 형성되는 입구커버와,
    상기 출구챔버를 덮고, 상기 냉각유로를 유동한 오일이 외부로 토출되는 출구홀이 형성되는 출구커버를 더 포함하는 발전설비.
  38.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증기를 생성하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로부터 공급받은 증기를 내부로 통과시켜 전력 생성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터빈을 포함하는 증기터빈;
    상기 증기터빈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증기터빈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에 기초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기;
    상기 증기터빈과 발전기를 연결하며, 상기 증기터빈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상기 발전기로 전달하는 축계; 및
    상기 축계를 반경방향으로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되,
    상기 베어링은,
    상기 축계의 반경방향 외측에 설치되며, 내부로 오일이 유동하는 냉각유로가 형성된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는,
    상기 냉각유로의 입구와 연통되며, 외부로부터 오일이 유입되는 입구챔버와,
    상기 냉각유로의 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냉각유로로 유동된 오일이 외부로 토출되는 출구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챔버를 덮고, 외부로부터 오일이 유입되는 입구홀이 형성되는 입구커버와,
    상기 출구챔버를 덮고, 상기 냉각유로를 유동한 오일이 외부로 토출되는 출구홀이 형성되는 출구커버를 더 포함하는 발전설비.
  39.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공급받은 압축공기를 연료와 혼합하여 연소시키는 연소기와, 상기 연소기로부터 공급받은 연소가스를 내부로 통과시켜 전력 생성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터빈을 포함하는 가스터빈;
    상기 가스터빈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스터빈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에 기초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기;
    상기 가스터빈과 발전기를 연결하며, 상기 가스터빈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상기 발전기로 전달하는 축계; 및
    상기 축계를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되,
    상기 베어링은,
    상기 축계의 외주면에 구비된 스러스트 칼라에 설치되며, 내부로 오일이 유동하는 냉각유로가 형성된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는,
    상기 냉각유로의 입구와 연통되며, 외부로부터 오일이 유입되는 입구챔버와,
    상기 냉각유로의 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냉각유로로 유동된 오일이 외부로 토출되는 출구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챔버를 덮고, 외부로부터 오일이 유입되는 입구홀이 형성되는 입구커버와,
    상기 출구챔버를 덮고, 상기 냉각유로를 유동한 오일이 외부로 토출되는 출구홀이 형성되는 출구커버를 더 포함하는 발전설비.
  40.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증기를 생성하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로부터 공급받은 증기를 내부로 통과시켜 전력 생성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터빈을 포함하는 증기터빈;
    상기 증기터빈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증기터빈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에 기초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기;
    상기 증기터빈과 발전기를 연결하며, 상기 증기터빈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상기 발전기로 전달하는 축계; 및
    상기 축계를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되,
    상기 베어링은,
    상기 축계의 외주면에 구비된 스러스트 칼라에 설치되며, 내부로 오일이 유동하는 냉각유로가 형성된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는,
    상기 냉각유로의 입구와 연통되며, 외부로부터 오일이 유입되는 입구챔버와,
    상기 냉각유로의 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냉각유로로 유동된 오일이 외부로 토출되는 출구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챔버를 덮고, 외부로부터 오일이 유입되는 입구홀이 형성되는 입구커버와,
    상기 출구챔버를 덮고, 상기 냉각유로를 유동한 오일이 외부로 토출되는 출구홀이 형성되는 출구커버를 더 포함하는 발전설비.
KR1020200014899A 2020-02-07 2020-02-07 베어링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설비 KR102426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899A KR102426623B1 (ko) 2020-02-07 2020-02-07 베어링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설비
US17/133,727 US11359667B2 (en) 2020-02-07 2020-12-24 Bearing and power generation system hav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899A KR102426623B1 (ko) 2020-02-07 2020-02-07 베어링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925A KR20210100925A (ko) 2021-08-18
KR102426623B1 true KR102426623B1 (ko) 2022-07-28

Family

ID=77177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899A KR102426623B1 (ko) 2020-02-07 2020-02-07 베어링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설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359667B2 (ko)
KR (1) KR10242662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8656A (ja) * 2005-01-20 2006-08-03 Hitachi Ltd 金型冷却用マニホールド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用金型装置
JP2016109269A (ja) * 2014-12-10 2016-06-20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ティルティングパッド軸受
JP2016138603A (ja) * 2015-01-28 2016-08-0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ティルティングパッドジャーナル軸受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7502A (en) * 1912-08-12 1914-11-17 Albert Kingsbury Thrust-bearing.
US3131005A (en) * 1962-06-08 1964-04-28 Charles A Wagley Thrust bearing and cooling means therefor
US5007745A (en) * 1989-09-26 1991-04-16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Low flow tilting pad thrust bearing
CA2324322C (en) * 2000-10-26 2008-12-30 General Electric Canada Inc. Thrust bearing
KR200447300Y1 (ko) 2008-04-23 2010-01-13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수직 펌프 모터의 베어링 오일 쿨러
EP2679839A1 (en) * 2011-02-21 2014-01-01 Hitachi, Ltd. Tilting pad journal bearing and rotary machine equipped with same
WO2013043495A1 (en) * 2011-09-21 2013-03-28 Dresser-Rand Company Tilt pad bearing with through-pivot lubrication
WO2014160493A1 (en) * 2013-03-13 2014-10-02 Waukesha Bearings Corporation Trailing edge cooled bearing
US9874247B2 (en) * 2016-05-09 2018-01-23 Elliott Company Internal cooling bearing pa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8656A (ja) * 2005-01-20 2006-08-03 Hitachi Ltd 金型冷却用マニホールド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用金型装置
JP2016109269A (ja) * 2014-12-10 2016-06-20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ティルティングパッド軸受
JP2016138603A (ja) * 2015-01-28 2016-08-0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ティルティングパッドジャーナル軸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59667B2 (en) 2022-06-14
KR20210100925A (ko) 2021-08-18
US20210246938A1 (en) 2021-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4412B2 (en) Cooling air and injected liquid system for gas turbine blades
US8079802B2 (en) Gas turbine
US20050089392A1 (en) Rotor and bearing system for a turbomachine
CN105765244B (zh) 具有两个有效面的非对称双向推力轴承
US10590806B2 (en) Exhaust system and gas turbine
US9964040B2 (en) Spiral cooling of combustor turbine casing aft plenum
CN101952555A (zh) 燃气轮机及轮盘以及轮盘的径方向通路形成方法
KR101914877B1 (ko) 회전축의 지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터빈 및 가스터빈
EP3147451B1 (en) System for cooling gas turbine
US11015452B2 (en) Gas turbine blade
KR20200037691A (ko) 윙렛에 냉각홀을 가진 터빈 블레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KR102426623B1 (ko) 베어링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설비
US20200400315A1 (en) Combustor and gas turbine including the same
TW200409861A (en) Structure for separating the high and low pressure turboexpanders of a gas turbine
JP2015518938A (ja) 中空の冷却されたタービン翼内に挿入可能とされる、ガスタービンのための冷媒ブリッジ配管
EP2330274A1 (en) Turbin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6545364B (zh) 用于涡轮叶轮空间冷却的混合室
CN100549366C (zh) 涡轮机定子保护装置
US11339663B2 (en) Rotor having improved structure, and turbine and gas turbine including the same
CA2413422C (en) Draining and cooling system for gas turbine bearings
KR20190044153A (ko) 터빈 블레이드 링 세그멘트 및 이를 포함하는 터빈 및 가스터빈
CN110985206A (zh) 一种转子系统及微型燃气轮机发电机组
KR102375041B1 (ko) 스러스트 베어링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설비
KR102087118B1 (ko) 레이디얼 저널 베어링 및 스러스트 저널 베어링
US10995668B2 (en) Turbine vane, turbine, and gas turbin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