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232B1 - 화재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재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232B1
KR102426232B1 KR1020220040148A KR20220040148A KR102426232B1 KR 102426232 B1 KR102426232 B1 KR 102426232B1 KR 1020220040148 A KR1020220040148 A KR 1020220040148A KR 20220040148 A KR20220040148 A KR 20220040148A KR 102426232 B1 KR102426232 B1 KR 102426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temperature sensor
measured
controller
he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0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규
최관표
안택헌
Original Assignee
(주)그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립 filed Critical (주)그립
Priority to KR1020220040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232B1/ko
Priority to KR1020220091476A priority patent/KR102600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4Removing or cutting-off the supply of inflamm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0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kitchens or 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24C15/105Constructive details concerning the regulation of the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25Interfacing a pyrometer to an external device or network; User inte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Ventilation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조리용기를 가열하여 조리용기에 담긴 조리물을 조리하는 과정이 진행되는 주방에 적용되는 화재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 또는 가스를 이용하여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기구; 상기 가열기구의 전기 또는 가스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 상기 주방의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후드; 측정대상물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을 검출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가열기구, 상기 밸브, 상기 후드 및 상기 온도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가열기구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센서는 회전하면서 각 방향에 대해 온도를 측정하고, 가장 높은 온도가 측정된 방향을 온도 측정 방향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재 방지 시스템{System for Preventing Fire}
본 명세서는 화재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스 또는 전기를 이용한 가열기구에 의해 조리용기가 가열됨에 따라 음식물이 조리된다. 특히, 장시간 조리를 필요로 하는 음식물의 조리시 가열기구를 구동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장시간 자리를 비운 경우 또는 발화점이 낮은 기름을 이용하여 조리하는 경우, 조리용기 및 음식물의 온도가 급격하게 높아짐에 따라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가스 또는 전기를 이용한 가열기구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 조리과정 중 유해물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러한 유해물질은 각종 암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효과적으로 조리용기 또는 조리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화재를 방지하기 위한 화재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조리용기를 가열하여 조리용기에 담긴 조리물을 조리하는 과정이 진행되는 주방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 또는 가스를 이용하여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기구; 상기 가열기구의 전기 또는 가스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 상기 주방의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후드; 측정대상물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을 검출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가열기구, 상기 밸브, 상기 후드 및 상기 온도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가열기구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센서는 회전하면서 각 방향에 대해 온도를 측정하고, 가장 높은 온도가 측정된 방향을 온도 측정 방향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방지 시스템은 효과적으로 조리용기 또는 조리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화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방지 시스템은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유해물질 및 가스의 농도에 따라 환풍기를 가동하여 이에 따른 사용자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방지 시스템은 온도 보정 과정을 통해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를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보정하고, 보정된 온도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온도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방지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방지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방지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방지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방지 시스템의 다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방지 시스템의 온도센서 측정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방지 시스템의 컨트롤러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방지 시스템의 컨트롤러의 측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방지 시스템의 컨트롤러 커넥터의 일측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방지 시스템의 컨트롤러 커넥터의 타측면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핵심 구성과 관련이 없는 경우 및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공지된 구성과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항목, 제2 항목 또는 제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방지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방지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방지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방지 시스템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방지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방지 시스템의 다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방지 시스템의 컨트롤러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방지 시스템의 컨트롤러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방지 시스템의 컨트롤러의 측면도이고,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방지 시스템의 컨트롤러 커넥터의 일측면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방지 시스템의 컨트롤러 커넥터의 타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방지 시스템은 가열기구, 가열기구에 의해 가열되는 조리용기 또는 조리물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측정하여 화재를 예방할 수 있으며, 조리 과정 중 발생하는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조리하는 사용자의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방지 시스템은 가열기구(100), 밸브(200), 후드(300), 온도센서(400), 컨트롤러(500), 공기질 측정기(600) 및 환풍기(7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기구(100)는 전기 또는 가스를 이용하여 조리용기(2000) 및 조리용기(2000)에 담겨있는 조리물을 가열한다. 즉, 가열기구(100)는 가스를 이용하여 조리용기(2000)를 가열하는 쿡탑(cooktop)일 수 있고, 또는 유도 가열을 이용하여 조리용기(2000)를 가열하는 유도가열(induction heating) 기구일 수도 있다.
가열기구(10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가열 조절부, 제어부, 가열부 및 조리용기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조절부는 레버 또는 버튼으로 구성되어, 사용자로부터 가열부의 구동정도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가열 조절부를 통해 입력 받은 가열부의 구동정도에 대응되는 전기 또는 가스를 가열부에 공급한다. 사용자가 입력한 가열부의 구동정도에 따라 가열부가 구동되어 조리용기(2000) 및 조리물을 가열한다. 조리용기 고정부는 가열기구(100)에 의해 가열될 조리용기(2000)를 고정하는 부분으로, 예를 들어, 조리용기 고정부는 삼발이 형태로 구성되어 조리용기(2000)를 지지하거나, 조리용기(2000)의 일부를 결합하여 회전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밸브(200)는 사용자 또는 컨트롤러(500)에 의해 제어되어 가열기구(100)에 전기 또는 가스를 공급하거나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가열기구(100)가 쿡탑인 경우, 밸브(200)는 가스밸브로서 가스 공급관(1000)과 연결되고, 연결된 가스 공급관을 폐쇄하여 가스를 차단할 수 있다. 또는, 가열기구(100)가 유도가열 기구인 경우, 밸브(200)는 전기차단기로서 전원선과 연결되고, 연결된 전원선의 전기를 차단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500)로부터 차단 신호를 수신하면, 밸브(200)는 가열기구(100)에 공급되는 전기 또는 가스를 차단할 수 있다.
밸브(200)는 컨트롤러(500)에 밸브 상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200)가 가열기구(100)에 전기 또는 가스를 공급하고 있는 경우, 컨트롤러(500)에 밸브가 열려있다는 내용의 밸브 상태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가열기구(100)에 전기 또는 가스를 공급하고 있지 않은 경우, 컨트롤러(500)에 밸브가 닫혀있다는 내용의 밸브 상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후드(300)는 조리 과정 중 발생하는 열기 및 가스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후드(30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배기팬 모터, 배기팬 구동부, 흡기부(310) 및 하우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팬 모터는 배기팬 구동부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즉, 배기팬 구동부는 배기팬 모터를 구동시켜 배기팬을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열기 및 가스를 포함하는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다. 이때, 후드(300)는 컨트롤러(600)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에 따라 제1 세기 또는 제2 세기로 구동될 수 있다.
흡기부는 배기팬 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실내 공기를 흡입한다. 하우징부는 전술한 배기팬 모터, 배기팬 구동부, 흡기부(310)를 수납하고 지지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300)는 가열기구(100)가 위치하는 공간의 바닥(1), 가열기구(100) 및 조리용기(2000) 중 적어도 하나의 상면과 경사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드(300)의 흡기부(310)에 의해 구성되는 평면은 바닥(1), 가열기구(100) 및 조리용기(2000) 중 적어도 하나의 상면과 경사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후드(300)의 흡기부(310)에 의해 구성되는 평면은 바닥(1), 가열기구(100) 및 조리용기(2000) 중 적어도 하나와 15도 이상 75도 이하의 경사각(A1)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드(300)는 효율적으로 열기 및 가스를 흡입하고, 조리물에서 발생하는 유증기에 의해 온도센서(40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온도센서(400)는 측정 대상물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을 검출하여 온도를 측정하며, 측정 대상물과 직접 열접촉이 없는 온도센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센서(400)는 가열기구(100), 가열기구(100)에 의해 가열되는 조리용기(2000) 또는 조리물의 온도를 측정한다.
온도센서(400)는 가열기구(100) 및 후드(30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센서(400)는 제3 방향(D3)에 대해 가열기구(100)와 미리 정해진 제1 거리(D1)만큼 이격되고, 후드(300)와 미리 정해진 제2 거리(D2)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센서(400)는 제2 방향(D2)에 대해 가열기구(10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기구(100)와 중첩하지 않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가열기구(100)에 담겨있는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유증기에 의해 온도센서(400)가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온도센서(400)의 정확도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온도센서(400)는 가열기구(100) 및 가열기구(100) 상에 배치되는 조리용기(2000)를 향해 정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센서(400)는 가열기구(100)가 위치하는 공간의 바닥(10), 가열기구(100) 또는 가열기구(100) 상에 위치하는 조리용기(2000)의 상면과 경사를 가지도록 정렬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센서(400)의 측정부(420)는 가열기구(100)의 상면과 제2 경사각(A2)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 경사각(A2)은 후드(300)의 흡기부(310)에 의해 구성되는 평면은 바닥(1), 가열기구(100) 및 조리용기(200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제1 경사각(A1)보다 작거나 같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기구(100)에 담겨있는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유증기에 의해 온도센서(400)가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온도센서(400)의 정확도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센서(400)는 회전하면서 각 방향에 대해 온도를 측정한 후, 가열기구(100), 조리용기(2000) 또는 조리물은 주변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가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온도센서(400)는 가장 높은 온도로 측정된 방향을 온도 측정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온도센서(400)가 외력에 의해 오정렬되더라도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여 가장 높은 온도로 측정되는 방향으로 온도 측정 방향을 재정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용기(2000) 또는 조리물의 온도를 정확히 측정하여 화재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센서(400)는 회전하면서 각 방향에 대해 온도를 측정한 후, 각 방향에 대해 측정한 온도들이 기준온도 이상의 온도를 갖는 방향들을 후보 방향으로 산출하고, 후보 방향으로 산출된 방향들 중 가장 높은 온도가 측정된 방향을 온도센서(400)가 온도를 측정할 방향으로 결정한다. 반면, 각 방향에 대해 측정한 온도들이 모두 기준온도 미만의 온도를 갖는 경우, 컨트롤러(500)로 온도센서 오정렬 신호를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온도센서(400)는 고정부(410), 측정부(420), 제어부(미도시) 및 포인팅부(430)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부(410)는 온도센서(400)를 특정한 위치로 고정하는 부분이며, 온도를 센싱하고자 하는 위치를 향하도록 측정부(4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부(410)는 특정 위치로 고정하기 위한 결합 부재 및 측정부(420)가 특정 위치를 향하도록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와 같은 회전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도 3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410)는 가열기구(100)가 위치하는 공간의 천장(2)에 고정될 수 있으나, 그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온도센서(400)는 가열기구(100)가 위치하는 공간을 구성하는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다.
측정부(420)는 고정부(410)와 결합 및 연결되어 온도를 측정하고, 온도를 측정하고 있는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측정부(420)는 고정부(410)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미도시), 온도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421) 및 온도를 측정하고 있는 위치를 표시하는 포인팅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포인팅부(4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421)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온도센서(400)가 온도를 측정하는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포인팅부(430)는 예를 들어, 레이저 포인터와 같이, 특정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일 수 있다. 포인팅부를 통해 사용자는 온도센서(400)가 온도를 측정하는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온도센서(400)가 오정렬된 경우, 사용자가 온도센서(400)를 직접 재정렬할 수 있다.
제어부는 측정부(420)를 회전시키기 위한 신호를 고정부(410)의 회전수단에 전송하여 회전수단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컨트롤러(5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센서(421) 및 포인팅부(422)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200)가 가열기구(100)에 전기 및 가스를 공급하는 경우에만 온도센서(400)가 턴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밸브(200)가 가열기구(100)에 전기 및 가스를 공급하고 있는 경우, 컨트롤러(500)는 온도센서(400)에 턴온 신호를 전송하여 온도센서(400)를 턴온할 수 있고, 밸브(200)가 가열기구(100)에 전기 및 가스를 공급하지 않고 차단한 경우, 컨트롤러(500)는 온도센서(400)에 턴오프 신호를 전송하여 온도센서(400)를 턴오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센서(400)는 측정한 가열기구(100), 가열기구(100)에 의해 가열되는 조리용기(2000) 또는 조리물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제1 온도 미만인 경우 제1 주기로 온도를 측정하고, 제1 온도 이상인 경우 제1 주기보다 짧은 제2 주기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기는 1분일 수 있고, 제2 주기는 10초일 수 있다. 즉, 온도센서(400)는 낮은 온도에서 높은 온도에서보다 긴 주기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센서(400)는 측정한 온도를 컨트롤러(500)로 온도 신호를 전송하고, 컨트롤러(500)는 수신한 온도 신호의 온도 정보가 미리 정해진 제1 온도 미만인 경우, 제1 주기로 온도센서(400)에 온도 측정 신호를 전송한다. 온도센서(400)는 측정한 온도를 컨트롤러(500)로 온도 신호를 전송하고, 컨트롤러(500)는 수신한 온도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된 온도가 미리 정해진 제1 온도 이상인 경우, 제2 주기로 온도센서(400)에 온도 측정 신호를 전송한다. 온도센서(400)는 온도 측정 신호를 수신하면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 신호를 컨토롤러(500)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한 가열기구(100), 가열기구(100) 상에 위치하는 조리용기(2000) 또는 조리물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제2 온도 미만인 경우, 온도센서(400)의 포인팅부는 제3 주기로 온도센서(400)가 온도를 측정하는 위치를 표시할 수 있고, 제2 온도 이상인 경우 온도센서(400)의 포인팅부는 제3 주기보다 짧은 제4 주기로 온도센서(400)가 온도를 측정하는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방지 시스템은 가열기구, 가열기구 상에 배치되는 조리용기(2000) 및 조리물의 온도가 높지 않아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은 경우 온도센서(400)의 센서(421) 및 포인팅부(422)의 구동을 제어하여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500)는 온도센서(400)에서 측정된 온도를 보정하고, 보정된 온도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온도센서(400)는 온도 측정 대상과의 거리에 따라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500)는 온도센서(400)의 구동이 시작될 때 실제온도(Tr)를 입력하여 온도센서(400)에 의해 측정된 온도(Tm)의 오차를 보정한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500)는 사용자로부터 실제온도(Tr)을 입력 받고, 실제온도(Tr) 및 온도센서(400)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Tm)을 이용하여 보정 비율을 산출한다. 컨트롤러(400)는 산출한 보정 비율을 이용하여 온도센서(400)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를 보정한다.
수학식1에 따라 보정 비율(CR)을 산출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22034618077-pat00001
산출한 보정 비율(CR)을 이용하여 이후 온도센서에서 측정되는 온도(Tm)를 보정하여 실제온도(Tr)을 산출한다.
[수학식 2]
Figure 112022034618077-pat00002
이에 따라, 사용자는 매번 별도의 계산 과정을 거쳐 측정된 온도에 대해 보정할 필요없이, 1회의 온도 보정 과정을 통해 온도센서(400)에서 측정된 온도를 컨트롤러(500)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500)는 보정된 온도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온도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컨트롤러(50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가열기구(100)가 위치하는 주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가열기구(100), 밸브(200), 후드(300), 온도센서(400), 공기질 측정기(600) 및 환풍기(700)와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온도 및 공기질 상태에 대해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500)는 밸브(200)를 통해 가열기구(100)에 전기 또는 가스를 공급하거나 차단하여 가열기구(1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500)는 온도센서(400)로부터 온도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온도 신호의 온도 정보가 제3 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나타내는 경우, 밸브(200)에 차단 신호를 전송한다. 즉, 가열기구(100), 가열기구(100) 상에 위치하는 조리용기(2000) 또는 조리물의 온도가 제3 온도보다 높은 경우, 컨트롤러(500)는 밸브(200)를 통해 전기 또는 가스를 차단하여 가열기구(100)의 구동을 종료시켜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센서(400)로부터 온도센서 오정렬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컨트롤러(500)는 청각 및 시각적인 알림을 발행하여 사용자에게 온도센서(400)가 오정렬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컨트롤러(500)는 복수의 밸브(200) 또는 복수의 온도센서(400)와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500)는 밸브(200) 또는 온도센서(400)와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Terminal)들 및 단자(Terminal)들과 밸브(200)를 연결하는 커넥터(Connector)를 포함한다.
단자(Terminal)들은 5개의 핀들이 각각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들을 포함한다.
커넥터(Connector)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단자(Terminal)와 결합할 수 있는 5개의 핀을 포함하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에는 2개의 핀들과 각각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들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커넥터(Connector)는 단자(Terminal)에 결합되고, 3개의 핀들을 갖는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센서(400)는 데이터 및 전원을 공급하는 5개의 핀(P1,P2,P3,P4,P5)을 포함하며, 제1 핀 및 제2 핀은 RS485 시리얼 통신을 위한 핀이고, 제3 핀은 그라운드(GND) 핀이며, 제4 핀은 전원 핀이며, 제5 핀은 센서 작동 여부 통신을 위한 핀이다. 각 핀은 단자(Terminal)의 각 결합부(T1,T2,T3,T4,T5)와 결합되어, 온도센서(400)는 컨트롤러(500)와 연결될 수 있다. 밸브(200)는 전원 및 그라운드를 공급하는 2개의 핀을 포함하여 제1 핀은 그라운드(GND) 핀이며, 제2 핀은 전원 핀이다. 각 핀은 커넥터(Connector)의 타측의 결합부에 결합되어, 밸브(200)는 커넥터(Connector)를 통해 컨트롤러(5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500)는 각 단자 핀 개수와 상관없이 밸브(200) 또는 온도센서(400)를 컨트롤러(500)에 연결할 수 있어, 복수 개의 밸브(200) 또는 복수 개의 온도센서(400)를 단자 타입에 상관없이 컨트롤러(500)에 연결할 수 있다.
컨트롤러(500)는 공기질 측정기(600)의 실내 공기질 측정 결과를 센싱 신호로 수신하고, 실내 공기질 측정 결과에 따라 환풍기(700)에 환풍기 구동 신호를 전송하여, 환풍기를 작동시킨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500)는 공기질 측정기(600)의 실내 공기질 측정 결과인 센싱 신호를 분석하여 실내 공기질 점수를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실내 공기질 점수를 이용하여 환풍기에 환풍기 구동 신호를 전송하여 환풍기를 제1 세기 또는 제2 세기로 작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500)는 실내 공기질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각 측정 물질에 대해 사용자에게 유해도를 산출한다. 각 측정 물질에 대해 산출된 유해도를 각 측정농도에 반영하여 실내 공기질 점수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500)는 산출된 실내 공기질 점수가 제1 점수 미만인 경우, 후드(300) 및 환풍기(700)를 구동하지 않고, 실내 공기질 점수가 제1 점수 이상 제2 점수 미만인 경우, 후드(300) 및 환풍기(700)를 제1 세기로 구동하고, 실내 공기질 점수가 제2 점수 이상인 경우, 후드(300) 및 환충기(700)를 제2 세기로 구동할 수 있다.
컨트롤러(500)는 밸브(200)가 오픈된 후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 이상 동안 제1 온도 이하의 온도가 측정되면, 안전을 위해 밸브를 닫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500)는 밸브(200)가 오픈된 후,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인 30분 이상의 시간동안 제1 온도 이하의 온도 정보를 포함하는 온도 신호를 수신하면, 안전을 위해 밸브(200)에 차단 신호를 전송하여 밸브(200)를 차단하고, 가열기구(100)의 구동을 종료시킬 수 있다.
공기질 측정기(600)는 가열기구(100)가 위치하는 공간에 설치되어, 가열기구(100)가 위치하는 공간의 공기질을 측정한다. 이를 위해, 공기질 측정기(600)는 공기 중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먼지센서, 공기 중의 CO2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CO2센서, 공기 중의 가스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가스 센서(VOC센서), 공기 중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질 측정기(600)는 각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센싱 신호로 컨트롤러(600)에 전송할 수 있다.
환풍기(70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가열기구(100)가 위치하는 주방에 설치되어 주방의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풍기(700)는 공기질 측정기(600)의 측정 결과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환풍기(700)는 공기질 측정기(600)로부터 실내 공기질 측정 결과를 수신한 컨트롤러(500)로부터 환풍기 구동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세기 또는 제2 세기로 작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유해물질 및 가스에 의한 사용자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는 방법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 구성요소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또는 기계 판독 가능한 매체를 통해 일련의 컴퓨터 지시어들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시어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ASICs, FPGAs, DSPs, 또는 그 밖의 다른 유사 소자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지시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다른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프로세서 또는 다른 하드웨어 구성은 상기 일련의 컴퓨터 지시어들을 실행할 때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 및 절차들의 모두 또는 일부를 수행하거나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가열기구 200: 밸브
300: 후드 400: 온도센서
500: 컨트롤러 600: 공기질 측정기
700: 환풍기

Claims (16)

  1. 조리용기를 가열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는 과정이 진행되는 주방에 적용되는 화재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 또는 가스를 이용하여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기구;
    상기 가열기구의 전기 또는 가스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
    상기 주방의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후드;
    측정대상물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을 검출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가열기구, 상기 밸브, 상기 후드 및 상기 온도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가열기구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센서는 회전하면서 각 방향에 대해 온도를 측정하고, 가장 큰 값을 갖는 온도가 측정된 방향을 온도 측정 방향으로 결정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가 제1 온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온도센서는 제1 주기로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가 상기 제1 온도보다 높거나 같은 경우,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제1 주기보다 짧은 제2 주기로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방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각 방향에 대해 측정된 온도 중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보다 높거나 같은 온도를 갖는 방향을 후보 방향으로 산출하고,
    각 방향에 대해 측정된 온도 모두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갖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로 온도센서 오정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방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상기 온도센서 오정렬 신호를 수신하면, 시각적 및 청각적 알람을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온도센서가 오정렬되었음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방지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후보 방향으로 산출된 방향들 중 가장 큰 값을 갖는 온도를 갖는 방향을 온도 측정 방향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방지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가 상기 가열기구에 전기 또는 가스를 공급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온도센서를 턴온 시키고,
    상기 밸브가 상기 가열기구에 전기 또는 가스를 차단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온도센서를 턴오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방지 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온도를 측정하는 위치를 표시하는 포인팅부; 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가 제2 온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포인팅부는 제3 주기로 온도를 측정하는 위치를 표시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가 상기 제2 온도보다 높거나 같은 경우,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제3 주기보다 짧은 제4 주기로 온도를 측정하는 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방지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미리 정해진 제3 온도보다 높거나 같으면, 상기 밸브에 차단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밸브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방지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가열기구 및 상기 후드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방지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는 상기 주방의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 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에 의해 구성되는 평면은 상기 주방의 바닥, 상기 가열기구 또는 상기 조리용기 중 적어도 하나와 제1 경사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방지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주방의 바닥, 상기 가열기구 또는 상기 조리용기 중 적어도 하나와 제2 경사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방지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각은 상기 제2 경사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방지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되는 온도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실제 온도를 이용하여 보정비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보정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되는 온도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방지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m(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자연수)개의 결합부를 가지는 단자; 및
    상기 m개의 결합부와 결합되고 m과 다른 n개(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자연수)의 핀과 결합되는 커넥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방지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 측정기; 및
    상기 주방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환풍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공기질 측정기에서 측정한 각 측정물질에 대한 유해도를 산출하고, 산출한 유해도를 상기 각 측정물질의 측정농도에 반영하여 실내 공기질 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방지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실내 공기질 점수가 제1 점수 미만인 경우, 상기 후드 및 상기 환풍기를 구동하지 않고,
    상기 실내 공기질 점수가 제1 점수 이상 제2 점수 미만인 경우, 상기 후드 및 상기 환풍기를 제1 세기로 구동하고,
    상기 실내 공기질 점수가 제2 점수 이상인 경우, 상기 후드 및 상기 환풍기를 제2 세기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방지 시스템.
KR1020220040148A 2022-03-31 2022-03-31 화재 방지 시스템 KR102426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148A KR102426232B1 (ko) 2022-03-31 2022-03-31 화재 방지 시스템
KR1020220091476A KR102600137B1 (ko) 2022-03-31 2022-07-25 정확한 온도 측정을 통한 화재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148A KR102426232B1 (ko) 2022-03-31 2022-03-31 화재 방지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1476A Division KR102600137B1 (ko) 2022-03-31 2022-07-25 정확한 온도 측정을 통한 화재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6232B1 true KR102426232B1 (ko) 2022-07-28

Family

ID=826078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148A KR102426232B1 (ko) 2022-03-31 2022-03-31 화재 방지 시스템
KR1020220091476A KR102600137B1 (ko) 2022-03-31 2022-07-25 정확한 온도 측정을 통한 화재 방지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1476A KR102600137B1 (ko) 2022-03-31 2022-07-25 정확한 온도 측정을 통한 화재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262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0744A (ko) * 2006-05-15 2007-11-20 조윤남 조리기구의 과열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10248A (ko) * 2008-07-22 2010-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온도 제어 방법
JP2019192357A (ja) * 2018-04-19 2019-10-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器
KR20220014312A (ko) * 2020-07-28 2022-02-04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0744A (ko) * 2006-05-15 2007-11-20 조윤남 조리기구의 과열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10248A (ko) * 2008-07-22 2010-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온도 제어 방법
JP2019192357A (ja) * 2018-04-19 2019-10-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器
KR20220014312A (ko) * 2020-07-28 2022-02-04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0137B1 (ko) 2023-11-08
KR20230141392A (ko) 202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5379B2 (en) Automated gas cooking system
JP6933334B2 (ja) センサ装置とガスコンロ
CN102818371B (zh) 热水器的恒温系统及控制方法
US7231917B2 (en) Gas-fired cooking apparatus with control of cooking temperature
CN101690389B (zh) 感应加热烹调器
WO2021259303A1 (zh) 带有瞬时温度校正的炉灶设备温度传感器
KR102017041B1 (ko) 불판 온도 조절 시스템 및 방법
KR102426232B1 (ko) 화재 방지 시스템
JP2009026571A (ja) 誘導加熱調理器
US20180084946A1 (en) Outdoor cooker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reacting to over-temperature events
JP2010251130A (ja) 誘導加熱調理器
JP5372839B2 (ja) 誘導加熱調理器
CN208735680U (zh) 一种基于温敏变色玻璃的电磁灶
US20170150554A1 (en) Method For Operating Fans Within An Appliance
KR101577208B1 (ko) 온열마사지기 내구성 테스트장치
JP5100135B2 (ja) 加熱調理器
KR20170108776A (ko) 센서가 부착된 가스레인지 및 그 제어 방법
JP7026912B2 (ja) ガスコンロ
JP2014035904A (ja) 加熱調理器
CN110160089B (zh) 一种燃气灶具自动监测断气保护系统
JP2014145537A (ja) コンロ、コンロの運転方法、コンロで使用する加熱用容器の材料の推定方法及び加熱用容器の材料の推定方法
JP7039008B2 (ja) コンロ
KR100679246B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가스 오사용에 따른 제어방법
JPH0493529A (ja) 加熱調理器などの排煙装置
KR102572691B1 (ko) 조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