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048B1 - 정위장치 - Google Patents

정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048B1
KR102426048B1 KR1020170073132A KR20170073132A KR102426048B1 KR 102426048 B1 KR102426048 B1 KR 102426048B1 KR 1020170073132 A KR1020170073132 A KR 1020170073132A KR 20170073132 A KR20170073132 A KR 20170073132A KR 102426048 B1 KR102426048 B1 KR 102426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plate
lower plate
side plate
guid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3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5254A (ko
Inventor
이영전
이상래
강필용
구본상
백승호
서진철
손영훈
이상일
전창엽
정강진
진영배
홍정주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73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048B1/ko
Publication of KR20180135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00Surgical instruments for veterinary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위장치는 대상체가 안착되고 제1 마커가 구비된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폭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측면 플레이트,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대상체의 폭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는 측면 고정 지그 및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일측에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대상체의 구강을 고정시키는 구강 고정 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고정 지그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상부에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가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상기 가이드바와 엇갈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대상체의 귀에 삽입될 수 있는 이어바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위장치{STEREOTACTIC APPARATUS}
본 발명은 정위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숭이, 기니피그, 마우스 등과 같은 실험용 동물(이하, '대상체'라 통칭함)의 외과적 시술 내지 동물 신경 세포들의 생리적/약리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할 때, 일반적으로 실험 대상체를 안정적으로 안착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정위장치가 사용된다.
여기서, 대상체 실험의 일환으로서, 대상체의 두개골에 드릴링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때에는 대상체가 안착된 정위장치를 MRI 촬영장비에 유입시켜 대상체의 두개골 이미지를 획득한 후 드릴링 위치를 파악한다.
다만, 종래의 정위장치의 경우 대상체의 측면을 고정시키는 측면 고정지그와 대상체의 구강을 고정시키는 구강 고정지그가 고정되어 있어, 다양한 대상체에 적용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 대상체가 어린 동물이냐 성체이냐에 따라, 또는 다양한 대상체 두개골 특성에 부합하게 정위장치의 각 고정장치의 위치를 조정하여 탄력적으로 대상체를 고정시켜야 하나, 종래 정위장치의 경우 대상체 고정요소가 고정되어 있어 다양한 개체군에 정위장치를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실험시간이 길어지는 경우 대상체의 체온을 유지하기가 어려웠으며, 이로 인해 대상체가 돌연사하는 등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다양한 대상체에 적용가능하며, 수술 시행 시 대상체의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는 정위장치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대상체에 적용가능한 정위장치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술 시행 시 대상체의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정위장치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위장치는 대상체가 안착되고 제1 마커가 구비된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폭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측면 플레이트,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대상체의 폭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는 측면 고정 지그 및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일측에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대상체의 구강을 고정시키는 구강 고정 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고정 지그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상부에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가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상기 가이드바와 엇갈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대상체의 귀에 삽입될 수 있는 이어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위장치에서 상기 가이드바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는 절개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위장치에서 상기 구강 고정 지그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슬릿이 형성된 브라켓, 상기 가이드 슬릿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1 지지바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지지바를 연결하고 상기 대상체의 구강에 물리는 제2 지지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위장치에서 상기 제1 지지바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지지바에 결합되고 상면에 제2 마커가 구비된 좌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위장치에서 상기 제1 마커는 복수개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마커는 복수개가 상기 제1 마커와 엇갈린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위장치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대상체를 수술하는 경우 상기 대상체의 체온을 조절할 수 있는 히팅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위장치에서 상기 히팅 플레이트는 발열 실리콘 패드가 안착되는 하판, 상기 발열 실리콘 패드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판의 상부에 결합되고, 금속 소재로 형성된 상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위장치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에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위장치는 다양한 대상체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위장치는 수술 시행 시 대상체의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위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위장치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고정 지그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고정 지그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위 장치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고정 지그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고정 지그의 개략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위 장치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위 장치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 플레이트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 플레이트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A-A'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위장치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위장치의 개략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위장치(1)는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촬영 시 대상체를 고정하고, MRI 이미지에 마킹을 하여 대상체의 드릴링 좌표를 제공하기 위해 구비되는 장치로서, 대상체가 안착되는 하부 플레이트(100), 하부 플레이트(100)에 결합되는 측면 플레이트(200), 측면 플레이트(200)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측면 고정 지그(300), 측면 플레이트(200)에 결합되고 대상체의 구강을 고정시키는 구강 고정 지그(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길이방향이란 도 1을 x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폭방향이란 y축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위장치(1)에 사용되는 대상체는 원숭이, 기니피그, 마우스 등 다양한 실험 대상 동물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대상체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하부 플레이트(100)는 합성수지, 예를 들어 아크릴(acrylic)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하부 플레이트(100)의 형상이 직사각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대상체를 안착시킬 수 있는 구조에 해당하는 한 그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하부 플레이트(100)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MRI 마커가(110, 도 9)가 구비될 수 있다. MRI 마커(110)는 MRI 촬영을 하는 경우 촬영된 이미지에 마킹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MRI 마커가 사용될 수 있다. MRI 마커(11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하부 플레이트(100)의 중심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해, 복수개의 MRI 마커(110)는 x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100)에는 하부 플레이트(100)를 관통하는 관통공(120)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120)은 하부 플레이트(100)의 전반에 걸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공(120)에는 후술할 히팅 플레이트(500)의 삽입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100)의 폭방향 양측에는 측면 플레이트(200)가 구비될 수 있다. 측면 플레이트(200)는 하부 플레이트(100)와 동일한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하부 플레이트(100)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본딩 결합되거나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를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 플레이트(200)는 하부 플레이트(100)의 폭방향 양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대상체가 안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측면 플레이트(200)에는 대상체의 폭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대상체의 측면을 고정하는 측면 고정 지그(3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더 참조하여 측면 고정 지그(300)의 상세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고정 지그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고정 지그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위 장치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고정 지그(300)는 대상체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측면 플레이트(200)의 상부에 측면 플레이트(200)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가이드바(310), 가이드바(3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320), 고정부재(320)에 가이드바(310)와 엇갈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어바(3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바(310)는 측면 플레이트(200)의 일측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가이드바(310)의 외면에는 고정부재(320)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눈금자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이드바(310)의 눈금자를 기준으로 고정부재(32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바(310)의 하부에 위치한 측면 플레이트(200)의 적어도 일부는 절개되어 후술할 고정부재(320)가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위장치(1)에서 고정부재(320)는 가이드바(31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부재(32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측면 플레이트(200)에는 제1 개구(210)가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측면 플레이트(200)에는 제1 개구(210)와 소정거리 이격되게 제2 개구(2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구(220)는 대상체의 용이한 파지를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측면 플레이트(200)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320)는 가이드바(3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고정부재(320)에는 가이드바(310)가 삽입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320)는 가이드바(310)를 따라 가이드바(3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고정부재(320)는 일 예로서, 가이드바(310)가 삽입되는 가이드바 삽입홀(321a)이 형성된 가이드바 삽입부(321) 및 가이드바 삽입부(321)의 하부에서 연장되고, 이어바(330)가 삽입되는 이어바 삽입홀(322a)이 형성된 이어바 삽입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바 삽입홀(321a) 및 이어바 삽입홀(322a)은 고정부재(32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되는 방향은 서로 엇갈린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바 삽입홀(322a)은 고정부재(320)를 x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어바 삽입홀(322a)은 고정부재(320)를 y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어바(330)는 가이드바(310)와 엇갈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고정부재(320)의 가이드바 삽입홀(322a) 및 이어바 삽입홀(322a)에는 체결부재(323)가 구비되어 가이드바(310) 및 이어바(330)를 고정할 수 있다.
이어바(330)는 대상체의 이공(耳孔))에 삽입되어 대상체의 측면을 고정시키는 부재로서, 고정부재(32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대상체에 삽입되는 일측은 용이한 삽입을 위해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어바(330)의 외면에는 눈금자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어바(330) 외면에 형성된 눈금자를 기준으로 이어바(33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위장치(1)는 측면 고정 지그(300)의 고정부재(320)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대상체에 맞춰 이어바(3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9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고정 장치(400)의 세부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고정 지그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고정 지그의 개략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위 장치의 개략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위 장치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더 참조하면, 구강 고정 지그(400)는 대상체의 전면부, 즉, 구강을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부재로서, 측면 플레이트(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브라켓(410), 브라켓(410)에 연결되는 제1 지지바(420) 및 제1 지지바(420)를 연결하는 제2 지지바(43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410)은 하부 플레이트(100) 양측 측면 플레이트(200) 상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별도의 브라켓 체결부재(411)를 통해 측면 플레이트(200) 일측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410)은 일측이 측면 플레이트(200)에 고정되고 타측은 대상체가 안착되는 내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브라켓(410)에는 하부 플레이트(100)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슬릿(4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 슬릿(412)에는 제1 지지바(420)가 삽입결합될 수 있다. 제1 지지바(420)는 가이드 슬릿(412)에 삽입되는 기둥부(421)와 기둥부(421)의 상측 단부에 체결되고 브라켓(410)의 상면에 걸리는 체결부(422) 및 제1 지지바(420)의 하측단부에 배치되고 제2 지지바(430)가 결합되는 연결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슬릿(412)에 대응하도록 브라켓(410)의 상면에는 눈금자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눈금자를 통해 제1 지지바(420)의 길이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체결부(422)외 기둥부(421)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지지바(42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지지바(420)는 하부 플레이트(100)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지지바(430)는 하부 플레이트(100)의 폭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제1 지지바(420)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바(430)는 양측 단부가 제1 지지바(420)의 연결부(423)에 각각 삽입되어 제1 지지바(420)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지지바(420)는 제1 지지바(420)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거나 폭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대상체에 맞게 제1 지지바(420)의 위치를 조정하고 제2 지지바(420)를 대상체의 구강에 물리게 함으로써 다양한 대상체의 구강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지지바(420) 중 어느 하나의 제1 지지바(4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마커(441) 구비된 좌표부재(440)가 결합될 수 있다. 좌표부재(440)는 일측 단부가 제1 지지바(42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제1 지지바(420)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표부재(440)의 일측 단부는 브라켓(410)과 체결부(422) 사이에서 기둥부(4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마커(441)는 제1 마커(110)와 동일하게 MRI 촬영을 하는 경우 촬영된 이미지에 마킹을 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마커(110)와 어긋나는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제1 마커(441)가 하부 플레이트(10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 복수 개의 제2 마커(441)는 폭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좌표부재(440)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제2 마커(441)가 배치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제1 마커(110)와 제2 마커(441)를 통해 사용자는 MRI 촬영 이미지에서 드릴링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파악된 좌표를 별도의 드릴링 머신(미도시)에 전송하여 대상체에 대한 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2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 플레이트(500)의 상세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 플레이트의 개략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 플레이트의 개략 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1의 A-A'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더 참조하면, 하부 플레이트(100)의 저면에는 수술 진행 시 대상체의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히팅 플레이트(500)가 결합될 수 있다.
히팅 플레이트(500)는 일 예로서, 발열 실리콘 패드 안착부(511)가 상면에 형성된 하판(510), 상기 발열 실리콘 패드 안착부(511)에 안착되는 발열 실리콘 패드(520) 및 상기 발열 실리콘 패드(520)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하판(510)의 상부에 결합되고 금속 소재로 형성된 상판(5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판(530)은 알루미늄(Aㅣ)으로 제작될 수 있다.
발열 실리콘 패드(520)는 별도의 제어장치(521)에 연결되어 열을 발산할 수 있으며, 발산된 열은 발열 실리콘 패드(520)의 상면에 제공되는 상판(530)에 전달될 수 있다.
상판(530)은 금속 소재로 제작되어 발열 실리콘 패드(520)에서 발산된 열을 대상체에 전달할 수 있으며, 상판(530)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삽입돌기(5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판(530)의 삽입돌기(531)는 하부 플레이트(100)의 관통공(120)에 삽입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삽입돌기(531)의 상면은 대상체에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삽입돌기(531)를 하부 플레이트(100)의 관통공(120)에 삽입시킴으로써, 히팅 플레이트(500) 동작 시 대상체에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하부 플레이트(100)가 변형되는 형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부 플레이트관통공(120)과 삽입돌기(531)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 발열 실리콘 패드(520)에서 발생한 열은 상판(530) 및 하부 플레이트(100)를 거쳐 대상체에 전달되므로 열전달 효율이 낮다. 반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 플레이트(500)는 삽입돌기(531)를 통해 대상체에 열을 직접 전달할 수 있으므로 열전달 효율이 상승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관통공(120)은 열에 의해 하부 플레이트(100)가 변형하는 경우 변형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하부 플레이트(100)가 전체적으로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위장치(1)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측면 고정 지그(300)와 구강 고정 지그(400)를 포함함으로써 대상체에 맞게 고정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별도의 히팅 플레이트(500)를 구비함으로써 수술 진행 중 대상체의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정위장치 100: 하부 플레이트
110: 제1 마커 120: 관통공
200: 측면 플레이트 210: 제1 개구
220: 제2 개구 300: 측면 고정 지그
310: 가이드바 320: 고정부재
330: 이어바 400: 구강 고정지그
410: 브라켓 420: 제1 지지바
430: 제2 지지바 440: 좌표부재
500: 히팅 플레이트 510: 하판
520: 발열 실리콘 패드 530: 상판

Claims (8)

  1. 대상체가 안착되고 제1 마커가 구비된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폭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측면 플레이트;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대상체의 측면을 고정시키는 측면 고정 지그;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일측에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대상체의 구강을 고정시키는 구강 고정 지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대상체를 수술하는 경우 상기 대상체의 체온을 조절할 수 있는 히팅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고정 지그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상부에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가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상기 가이드바와 엇갈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대상체의 이공에 삽입될 수 있는 이어바;를 포함하며,
    상기 히팅 플레이트는,
    발열 실리콘 패드가 안착되는 하판; 및
    상기 발열 실리콘 패드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판의 상부에 결합되고, 금속 소재로 형성된 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에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삽입돌기가 형성되는, 정위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는 절개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정위장치.
  3. 대상체가 안착되고 제1 마커가 구비된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폭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측면 플레이트;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대상체의 측면을 고정시키는 측면 고정 지그; 및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일측에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대상체의 구강을 고정시키는 구강 고정 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고정 지그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상부에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가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상기 가이드바와 엇갈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대상체의 이공에 삽입될 수 있는 이어바;를 포함하고,
    상기 구강 고정 지그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슬릿이 형성된 브라켓;
    상기 가이드 슬릿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1 지지바;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지지바를 연결하고 상기 대상체의 구강에 물리는 제2 지지바;를 포함하는 정위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바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지지바에 결합되고 상면에 제2 마커가 구비된 좌표부재;를 포함하는 정위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커는 복수개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마커는 복수개가 상기 제1 마커와 엇갈린 방향으로 배치되는 정위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073132A 2017-06-12 2017-06-12 정위장치 KR102426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132A KR102426048B1 (ko) 2017-06-12 2017-06-12 정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132A KR102426048B1 (ko) 2017-06-12 2017-06-12 정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254A KR20180135254A (ko) 2018-12-20
KR102426048B1 true KR102426048B1 (ko) 2022-07-27

Family

ID=64952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132A KR102426048B1 (ko) 2017-06-12 2017-06-12 정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04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4952A (ja) * 2000-07-26 2002-02-05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磁気共鳴画像撮影用動物頭部固定装置
CN202740153U (zh) 2012-08-07 2013-02-20 上海市东方医院 小动物超声仪加热板动物头部固定装置
KR101491344B1 (ko) * 2013-11-07 2015-02-1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동물용 수술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522B1 (ko) * 2010-02-19 2012-04-17 (재)예수병원유지재단 동물 실험용 정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4952A (ja) * 2000-07-26 2002-02-05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磁気共鳴画像撮影用動物頭部固定装置
CN202740153U (zh) 2012-08-07 2013-02-20 上海市东方医院 小动物超声仪加热板动物头部固定装置
KR101491344B1 (ko) * 2013-11-07 2015-02-1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동물용 수술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254A (ko) 2018-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2042B1 (ko) 재활 훈련 장치
US7076820B2 (en) Diagnostic imaging tabletop
US20140024927A1 (en) Mri-guided medical interventional systems and methods
KR101136522B1 (ko) 동물 실험용 정위장치
US20100179564A1 (en) Microstereotactic table
CN109310482B (zh) 其中配备有线激光器的末端执行器
US7518365B2 (en) Head coil arrangement with an adjustable neck-engaging portion for use in a magnetic resonance apparatus
ES2554562A1 (es) Guía esterotáctica de cuerpo para posicionar instrumentos de cirugía con precisión en el interior del cuerpo
US20180035911A1 (en) Patient table assembly
KR102008811B1 (ko) 영장류 뇌 정위 장치
KR102426048B1 (ko) 정위장치
JP2018532485A5 (ko)
CN106388968A (zh) 一种雏鸡断喙装置
JP3240279B2 (ja) 全方位簡便型定位脳手術装置
US20180221109A1 (en) Multi-drilling guide device for implantation
US11298206B2 (en) Positioning system for an imaging device
US20030036766A1 (en) Apparatus for endorectal prostate biopsy
EP3320848B1 (en) Positioning apparatus for head and neck assessment or intervention
WO2018039348A1 (en) Electrode positioning net for neurological monitoring
KR102622400B1 (ko)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용 입체정위기
CN209678700U (zh) 神经外科立体定向手术的简易辅助支架
KR20190013340A (ko) 비침습적 뇌활동 이미징용 동물 구속장치
JP2019136186A (ja) 挙上体位用固定具および体位固定具使用方法
CN208989176U (zh) 磁兼容的仰卧式乳腺介入手术中使用的乳腺固定装置
KR102626409B1 (ko) 실험용 동물 고정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