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837B1 - 재활용품 회수장치, 그 재활용품 회수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물류 장치 및 스마트 물류 시스템 - Google Patents

재활용품 회수장치, 그 재활용품 회수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물류 장치 및 스마트 물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837B1
KR102425837B1 KR1020220026013A KR20220026013A KR102425837B1 KR 102425837 B1 KR102425837 B1 KR 102425837B1 KR 1020220026013 A KR1020220026013 A KR 1020220026013A KR 20220026013 A KR20220026013 A KR 20220026013A KR 102425837 B1 KR102425837 B1 KR 102425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yclables
basket
product
delivery
smart logis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6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5837B9 (ko
Inventor
최동호
Original Assignee
(주)에프엠에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프엠에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에프엠에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026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837B1/ko
Priority to KR1020220073970A priority patent/KR102450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837B1/ko
Publication of KR102425837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837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1/0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the receptacles being divided in compartments by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1/0053Combination of several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8Data transmit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4Weigh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종류의 재활용품을 회수할 수 있도록 각각 저장 공간을 가지는 복수 개의 내부 구역들로 분할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각각의 저장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각각 설치되어 있는 도어, 상기 각각의 저장 공간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재활용품을 내부에 배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 공간 외부에서 상기 저장 공간 내부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저장 공간 내부에서 상기 저장 공간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바스켓들 및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각 바스켓으로 회수되는 재활용품의 종류 개수 및 상기 회수하는 이용자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로컬 서버를 포함하는, 재활용품 회수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재활용품 회수장치가 복수 개의 내부 구역으로 분할되어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서로 다른 재활용품을 수거할 수 있고, 내부 구역마다 재활용품을 배치할 수 있는 바스켓이 구비되어 있어서 재활용품의 입고 및 출구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재활용품 회수장치, 그 재활용품 회수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물류 장치 및 스마트 물류 시스템{A recyclable product collection apparatus, a smart logistics apparatus and a smart logistics system including the recycling product recovery apparatus}
본 발명은 재활용품 회수장치, 그 재활용품 회수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물류 장치 및 스마트 물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종류의 재활용품이 각각 회수 되는 스마트 물류 장치의 각 구역에 배치되어 재활용품의 입고 및 출고 편의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회수하려는 제품이 분실되거나 파손되지 않고 손쉽게 반납 되도록 하는 재활용품 회수장치, 그 재활용품 회수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물류 장치 및 스마트 물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생활 물류의 시장이 급속하게 성장함에 따라 음식배달 및 택배제품의 물동량은 증가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온도관리등에 민감한 제품등을 배송할 경우 품질 및 1회용/유통 포장재 쓰레기가 매우 큰 국가적 이슈가 되고 있다.
또한, 배달인력의 근무환경의 악화는 많은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고 있고, 무엇보다도 코로나 시대에 비대면 소비는 새로운 형태의 배송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온도 유지에 민감한 농,축, 수산물 등을 산지에서 소비자에게 운송되는 과정에서 유통 포장재를 최소화하면서도 신선도와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배송 시스템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재활용품이 포함되어 있는 배송품의 보관, 물품의 판매 및 재활용품의 회수를 위한 보관 장치, 판매 장치 및 회수장치가 개별적으로 산재해 있어서 재활용품의 효율적인 보관, 판매 및 회수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81688호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재활용품이 각각 회수 되는 스마트 물류 장치의 각 구역에 배치되어 재활용품의 입고 및 출고 편의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회수하려는 제품이 분실되거나 파손되지 않고 손쉽게 반납 되도록 하는 재활용품 회수장치, 그 재활용품 회수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물류 장치 및 스마트 물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종류의 재활용품을 회수할 수 있도록 각각 저장 공간을 가지는 복수 개의 내부 구역들로 분할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각각의 저장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각각 설치되어 있는 도어, 상기 각각의 저장 공간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재활용품을 내부에 배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 공간 외부에서 상기 저장 공간 내부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저장 공간 내부에서 상기 저장 공간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바스켓들 및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각 바스켓으로 회수되는 재활용품의 종류 개수 및 상기 회수하는 이용자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로컬 서버를 포함하는, 재활용품 회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배송거점에 설치되는 스마트 물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송거점을 이용하는 고객에게 배송품이 수령되기 전 공급자 또는 배송자에 의하여 배송품이 보관되는 배송품 보관장치,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와 결합되어 있으며, 판매용품이 비치되어 고객에게 판매가 가능한 물품 판매장치,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 또는 상기 물품 판매장치와 결합되며, 고객으로부터 상기 배송품에 포함된 포장재 또는 아이스팩을 회수하는 재활용품 회수장치 및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를 통한 배송품의 입고 및 출고를 관리하고, 상기 물품 판매장치를 통한 물품의 판매를 관리하며,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로 회수되는 포장재 또는 아이스팩의 정보 및 회수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로컬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 물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배송 거점들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청구항 7의 스마트 물류 장치들 및 상기 각 스마트 물류 장치의 로컬서버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물류 장치들을 관리하는 메인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 물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품 회수장치, 그 재활용품 회수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물류 장치 및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재활용품 회수장치가 복수 개의 내부 구역으로 분할되어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서로 다른 재활용품을 수거할 수 있고, 내부 구역마다 재활용품을 배치할 수 있는 바스켓이 구비되어 있어서 재활용품의 입고 및 출구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둘째, 배송품 보관 장치가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므로, 배송품의 목적온도 유지를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2-3차 포장 단계를 획기적으로 축소하고 1차 패키징만으로도 소비자에게 배송 가능한 장점이 있다.
셋째, 물류센터에서 배송품 보관 장치까지는 배송차량을 통해서 배송품의 온도 유지를 하고, 배송품 보관 장치에 보관된 배송품이 소비자에게 배송되기 시작할 때까지는 배송품 보관 장치에서 배송품의 온도 유지를 하므로, 온도변화로 인한 배송품의 변질, 손상 등을 최소화하여 배송품의 변질로 인한 질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넷째, 배송품이 배송지에 도착했을 때, 소비자가 배송지에 없더라도, 소비자가 배송품을 수령할 수 있을 때까지 배송품 보관 장치에 배송품을 임시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배송자의 배송 시간 및 소비자의 수령 시간을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배송품 중 재활용 가능한 물품은 물품 회수장치를 통해서 수거가 가능하므로 쓰레기 배출을 최소화하고 배송물류 자원의 재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배송품 보관장치에 배송품을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아파트 출입제한 등의 문제와 관련없이 배송의 흐름이 중단되지 않고 이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물류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마트 물류 장치 중에서 재활용품 회수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스마트 물류 시스템의 재활용품 회수장치 내부에 배치되는 바스켓의 재활용품 배출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물류 시스템의 재활용품 회수장치 내부에 배치되는 바스켓과 공간 구획 부재의 결합 구조의 한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물류 시스템의 재활용품 회수장치 내부에 배치되는 바스켓과 공간 구획 부재의 결합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시스템의 재활용품 회수장치 내부에 배치되는 바스켓의 재활용품 배출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시스템의 재활용품 회수장치 내부에 배치되는 바스켓의 재활용품 배출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1에 따른 스마트 물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시스템(S)은 스마트 물류 장치(L) 및 메인서버(MS)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 물류 장치(L)는 배송품 보관장치(A), 물품 판매장치(B), 재활용품 회수장치(1000) 및 로컬서버(LS)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시스템(S)은 물류 센터로부터 아파트 주차장, 주민센터 또는 마을회관 등과 같은 배송 거점에 설치되는 상기 스마트 물류 장치(L)에 배송품을 보관시킴으로써 고객이 직접 상기 스마트 물류 장치(L)에 방문하여 상기 배송품을 수령하거나, 별도의 배송자가 상기 스마트 물류 장치(L)에 보관되어 있는 배송품을 고객에게 배송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물류 장치(L)는 고객이 주문한 배송품의 보관을 위한 배송품 보관장치(A)뿐만 아니라 고객이 방문하여 물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물품 판매장치(B)도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물류 장치(L)는 상기 배송품에 포함되어 있는 재활용품이나, 상기 물품 판매장치(B)에서 판매된 물품에 포함되어 있는 재활용품의 회수효율을 높이고, 회수 편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재활용품 회수장치(1000)도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서버(MS)는 상기 스마트 물류 장치(L)에 설치되어 있는 로컬서버(LS)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스마트 물류 장치(L)는 복수 개의 배송 거점들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송 거점은 아파트 주차장, 주민센터 및 마을회관 등의 장소를 의미하지만, 그 외에도 사람들이 많이 모이거나 유동 인구가 많은 장소에 설치되어 접근성이 편리한 곳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메인서버(MS)는 각각의 배송 거점들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스마트 물류 장치(L)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됨으로써, 각각의 배송 거점들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스마트 물류 장치(L)들에 입고되거나 출고된 배송품, 판매품 및 회수품들의 종류 및 수량 등의 정보를 종합하여 복수 개의 스마트 물류 장치(L)들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물류 시스템(S)에 관애서는 상기 스마트 물류 장치(L)에 대한 설명 후에 아래쪽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스마트 물류 장치(L)는 배송품 보관장치(A), 물품 판매장치(B), 재활용품 회수장치(1000) 및 로컬서버(LS)를 포함한다.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A)는 상기 배송 거점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스마트 물류 장치(L)를 이용하는 고객에게 배송품이 수령되기 전 공급자 또는 배송자에 의해 상기 배송품이 보관되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A)는 내부에 상기 배송품이 보관될 수 있는 배송품 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직육면체 형태의 제1케이스인 것을 예로 든다. 그리고 상기 제1케이스는 상기 배송품 저장 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배송품 보관장치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 도어는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배송품 보관장치 식별장치(AI)에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자(배송품 입고를 위한 공급자 또는 배송자, 배송품 출고를 위한 배송자 또는 고객)가 개폐 권한 있음을 입증하는 행위를 함으로써 개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 식별장치(AI)는 전자적 식별장치인 QR코드 또는 NFC 태그인 것을 예로 들지만, 스마트폰 등을 태그하거나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법 등과 같이 다른 방법으로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개폐 권한 있음을 입증하는 행위는 QR코드 리더기 또는 NFC 리더기를 이용하여 QR 코드나 NFC 태그를 태그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A)는 상기 배송품 저장 공간의 온도를 설정 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배송품 보관장치 온도 조절부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 온도 조절부는 상기 배송품 저장 공간에 보관되는 신선식품이나, 저온 보관을 요하는 배송품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배송품 저장 공간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는 공급자 또는 배송자가 배송품을 고객에게 배송하는 때와 고객들이 배송품을 수령하는 때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그 시간 간격동안 상온에서 보관될 경우 변질될 수 있는 배송품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스마트 물류 장치(L)를 이용할 고객이 배송품을 장시간 동안 수령하지 못하더라도 배송품의 변질 등이 없이 배송품이 안전하게 고객에게 배송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A)는 상기 배송품 저장 공간으로 입고되는 배송품과 상기 배송품 저장 공간으로부터 출고되는 배송품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배송품 보관장치 센서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 센서는 상기 로컬서버(LS)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A)에 보관되어 있는 배송품의 수량과 종류 등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B)로부터 출고된 배송품의 수량과 종류 등에 대한 정보는 상기 로컬서버(LS)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로컬서버(LS)에 저장된 정보는 상기 메인서버(MS)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됨으로써 메인서버(MS)는 스마트 물류 장치(LS)에 설치되어 있는 배송품 보관장치(A)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물품 판매장치(B)는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물품 판매장치(B)는 판매품이 내부에 비치되어 있어서 고객에게 판매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품 판매장치(B)는 내부에 상기 판매품이 보관될 수 있는 판매품 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직육면체 형태의 제2케이스인 것을 예로 든다. 그리고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판매품 저장 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물품 판매장치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물품 판매장치 도어는 상기 물품 판매장치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물품 판매장치 식별장치(BI)에 상기 물품 판매장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자(배송품 입고를 위한 공급자 또는 배송자, 배송품 출고를 위한 배송자 또는 고객)가 개폐 권한 있음을 입증하는 행위를 함으로써 개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 식별장치(BI)는 QR코드 또는 NFC 태그인 것을 예로 들지만, 스마트폰 등을 태그하거나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법 등과 같이 다른 방법으로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개폐 권한 있음을 입증하는 행위는 QR코드 리더기 또는 NFC 리더기를 이용하여 QR 코드나 NFC 태그를 태그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상기 물품 판매장치(B)도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A)와 같이 내부에 제2온도 조절부가 구비되어 있다. 이는 상기 물품 판매장치(B)에서 판매되는 판매품도 신선식품이나 저온 보관이 요구되는 물품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물품 판매장치(B)는 판매품의 종류에 따라 요구되는 유지 온도가 다를 수 있기 때문이 종류에 따라 판매품을 구획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판매품 배치 구역이 복수 개로 구획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품 판매장치(B)는 상기 물품 판매장치(B)에 입고되어 잔존하는 판매품의 종류와 수량 등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물품 판매장치(B)로부터 출고되어 판매된 판매품의 종류와 수량 등에 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물품 판매장치 센서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물품 판매장치 센서는 상기 로컬서버(LS)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물품 판매장치(B)에 비치되어 있는 판매품의 수량과 종류 등에 대한 정보는 상기 로컬서버(LS)에 저정된다. 그리고 상기 로컬서버(LS)에 저장된 정보는 상기 메인서버(MS)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됨으로써 메인서버(MS)는 스마트 물류 장치(LS)에 설치되어 있는 물품 판매장치(A)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1000)는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A) 또는 상품 물품 판매장치(B)와 결합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장치(L)는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A), 상기 물품 판매장치(B) 및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1000)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품 판매장치(B)가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A) 및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100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예로 들지만,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A), 상기 물품 판매장치(B) 및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1000)의 배치순서는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1000)는 외부 케이스(1100), 내부 케이스(1200) 및 바스켓(1300)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 케이스(1100)는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A) 및 상기 물품 판매 장치(B)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케이스(1100)는 외부 케이스 본체(1110), 외부 케이스 도어(1120) 및 외부 케이스 식별장치(1130)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케이스 본체(1110)는 서로 다른 종류의 재활용품을 회수할 수 있도록 각각 저장 공간을 가지는 복수 개의 내부 구역들로 분할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부 케이스 본체(1110)의 저장 공간이 상하 방향으로 세 개의 구역으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지만, 상기 외부 케이스(1100)의 저장 공간의 분할 구조는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외부 케이스 도어(1120)는 상기 외부 케이스(1110) 본체의 저장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외부 케이스 도어(1120)에는 QR코드 또는 NFC 태그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1100)를 개방할 수 있는 권한일 있는 자만 접근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내부 케이스(1200)는 상기 세 개의 분할된 구역에 각각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케이스(1200)는 내부 케이스 본체(1210), 내부 케이스 도어(1220), 내부 케이스 레일(1230) 및 내부 케이스 식별장치(1250)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케이스 본체(1210)는 재활용품을 보관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인 네 개의 직육면체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상기 네 개의 직육면체 구역을 제1구역, 제2구역, 제3구역 및 제4구역이라고 할 때, 상기 제1구역에는 내부 케이스 제1도어(1221), 상기 제2구역에는 내부 케이스 제2도어(1222), 상기 제3구역에는 내부 케이스 제3도어(1223), 제4구역에는 내부 케이스 제4도어(12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도어(1221) 내지 제4도어(1224)는 상기 제1구역 내지 상기 제4구역을 구성하는 직육면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내부 케이스 레일(1230)은 상기 내부 케이스 본체(121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 케이스 레일(1230)은 상기 바스켓(1300)이 상기 내부 케이스 레일(1230)을 따라 슬라이딩 하면서 상기 내부 케이스 본체(1210) 내부 및 외부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부 케이스 레일(1230)이 상기 내부 케이스 본체(1210)의 내측면에 좌우 방향(수평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지만, 상기 내부 케이스 레일(1230)의 설치 구조는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고, 상기 바스켓(1300)을 넣고 빼기 편리한 다른 장치로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내부 케이스(1200)는 상기 내부 케이스(1200) 저장 공간으로 입고되는 재활용품과 상기 재활용품 저장 공간으로부터 출고되는 재활용품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재활용품 회수장치 센서(센싱부)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 센서는 상기 로컬서버(LS)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다.
상기 내부 케이스 식별장치(1250)는 상기 내부 케이스 도어(1220)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든다. 상기 내부 케이스 식별장치(1250)는 상기 외부 케이스 식별장치(1130)와 유사한 QR 코드 또는 NFC 태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내부 케이스 식별장치(1250)는 상기 내부 케이스 본체(1210) 각각의 내부에도 재활용품에 대한 정보 수집을 위해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1300)은 상기 내부 케이스(1200)의 저장 공간에 재활용품을 바로 배치할 경우 상기 내부 케이스(1200) 저장 공간의 내부가 지저분해질 수 있고, 시각적으로도 보기에 좋지 않을 수 있으며, 재활용품을 상기 내부 케이스(1200)의 저장 공간에서 꺼낼 때 한번에 모두 꺼낼 수 없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바스켓(1300)는 폐아이스팩 회수(수거)용 바스켓, 폐박스 회수(수거)용 바스켓, 폐 페트(PET)병 회수(수거)용 바스켓 및 폐도시락 회수(수거)용 바스켓을 포함한다. 물론 상기 바스켓(1300)은 그 외 다른 종류의 재활용품을 회수하기 위한 바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폐 페트병 등은 재사용 제품, 즉 폐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진 것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바스켓(1300)은 내부에 저장 공간을 갖고, 상부가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인 것을 예로 든다. 이 때 상기 바스켓(1300)은 상기 바스켓(1300)의 저장 공간이 배치되는 재활용품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하면이 개폐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스켓(1300)은 바스켓 측면부(1310) 및 바스켓 개폐부(1320)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바스켓 측면부(1310) 중에서 전면부는 개구된 형태일 수 있다. 즉 상기 바스켓 측면부(1310)는 상기 바스켓(1300)의 측면을 의미하고, 상기 바스켓 개폐부(1320)는 상기 바스켓의 하면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바스켓 개폐부(1320)는 상기 바스켓 측면부(1310)의 네 측면 모서리 중 어느 하나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개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1000)에 회수되어 있는 재활용품을 수거하는 수거자(회수자)는 상기 바스켓(1300)을 상기 내부 케이스 레일(1230)을 따라 꺼낸 뒤에 상기 바스켓 개폐부(1320)를 개방하여 상기 바스켓(1300) 내부에 담긴 재활용품이 아래쪽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쉽게 재활용품을 꺼낼 수 있다. 이 때 상기 바스켓(1300)의 하면 중에서 상기 바스켓(1300)의 측면과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하는 부분과 마주보는 부분에는 상기 바스켓(1300)의 측면에 결합되어 고정시될 수 있는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바스켓(1300)은 폐아이스팩을 슬라이딩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 구획 부재(13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공간 구획 부재(1330)는 공간 구획 부재 몸체(1331) 및 공간 구획 부재 돌출부(1332)를 포함한다. 상기 공간 구획 부재 몸체(1331)는 상기 바스켓(13000의 개구된 상부를 통해서 상기 바스켓(13000 내부에 탈착하거나, 상기 바스켓(1300)의 게구된 일 측면을 통해서 상기 바스켓(13000 내부에 슬라이딩 탈착 가능하다. 상기 공간 구획부재 몸체(1331)는 상기 바스켓(1300)의 하면과 밀착되도록 배치되는 부분으로서, 플레이트 형상인 것을 예로 든다. 상기 공간 구획 부재 돌출부(1332)는 상기 공간 구획 부재 몸체(1331) 상에서 위쪽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상기 공간 구획 부재 몸체(1331) 상에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된다. 도면 상으로 상기 공간 구획 부재 돌출부(1332)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지만, 상기 공간 구획 부재 돌출부(1332)는 다양한 크기의 폐아이스팩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이격되어 있는 거리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공간 구획 부재 돌출부(1332)가 돌출되는 높이는 폐아이스팩을 세워서 끼울 때, 폐아이스팩이 넘어지지 않고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라면 충분하다. 상기 공간 구획 부재(1330)는 상기 바스켓(1330) 상부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서 삽입될 수도 있고, 상기 바스켓(1330)의 전면을 통해서 슬라이딩 삽입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바스켓(1300)은 폐페트병을 슬라이딩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 구획 부재(13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공간 구획 부재(1330`)는 공간 구획 부재 홈(1331a`)이 형성되어 있는 공간 구획 부재 몸체(1331`)를 포함한다. 상기 공간 구획부재 몸체(1331`)는 하면은 상기 바스켓(1300)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상면은 폐페트병이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공간 구획 부재 홈(페트병 안착 홈)(1331a`)이 이격되도록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간 구획 부재(1330)는 상기 바스켓(1330) 상부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서 삽입될 수도 있고, 상기 바스켓(1330)의 전면을 통해서 슬라이딩 삽입될 수도 있다. 도면상에는 상기 공간 구획 부재(1330`)가 하나만 배치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지만, 상기 공간 구획 부재(1330`)는 상기 바스켓(1300)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의 층으로 안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공간 구획 부재(1330`)가 상기 바스켓(1300)의 측면과 결합되어 아래쪽으로 내려가지 않고록 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부 케이스(1100) 및 상기 내부 케이스(1200)가 각각 포함된 것을 예로 들지만 상기 외부 케이스(1100)만 포함될 수도 있다. 이 때는 상기 바스켓(상기 외부 케이스(1100)가 상기 내부 케이스(1200)와 같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컬서버(LS)는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A)를 통한 배송품의 입고 및 출고를 관리한다. 그리고 상기 로컬서버(LS)는 상기 물품 판매장치(B)를 통한 물품의 판매를 관리하고,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1000)로 회수되는 포장재, 아이스팩의 정보 및 회수자(수거자)의 정보를 관리하고, 회수된 포장재와 아이스팩의 출고 정보를 관리 한다. 그리고 상기 로컬서버(LS)는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A), 상기 물품 판매장치(B) 및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100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있는 식별장치에 고객이나 공급자 또는 배송자가 자신의 신분을 입증할 수 있는 수단을 태그할 때 입력되는 고객정보, 공급자 정보 및 배송자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입력된 고객정보, 공급자 정보 및 배송자 정보는 상기 스마트 물류 장치(L)를 관리하는 메인서버(MS)에 저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식별장치는 QR코드나 NFC 태그인 것을 예로 들지만, 상기 식별장치의 종류는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로컬서버(LS)가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1000)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로컬서버(LS)가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1000)의 외부 케이스(1100)에 설치되고, 또한 다른 로컬서버(LS)가 상기 내부 케이스(120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A), 상기 물품 판매장치(B) 및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1000)를 관리하는 제1로컬서버(LS)와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1000)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내부 케이스(1200) 각각에는 상기 내부 케이스(1200) 각각을 관리하는 제2로컬서버(LS)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로컬서버(LS)는 상기 바스켓(1300)으로 회수되는 재활용품의 종류, 개수 및 상기 회수하는 이용자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 받은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1로컬서버(LS)에 전송하거나, 상기 메인서버(MS)로 전송한다. 물론 상기 내부 케이스(1200)가 상기 외부 케이스(1100) 내부에 별도로 배치되지 않고 상기 바스켓(1300)이 직접 상기 외부 케이스(1100)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네는 상기 제2로컬서버(LS)의 역할을 상기 제1로컬서버(LS)에서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로컬서버(LS)는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A)에 보관되어 있는 배송품을 수령하기 위해 직접 방문한 고객이 상기 물품 판매장치(B)에서 상기 판매품을 구매할 경우, 상기 판매품의 가격을 상기 배송품의 가격에 따라 제1설정 할인율을 적용하여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되도록 한다. 이는 스마트 뮬류 장치(L)를 이용하여 배송품을 수령하고 판매품을 구매하는 고객에게 일종의 인센티브를 부여함으로써 스마트 물류 장치(L)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1000)에 재활용품을 회수하는 고객이 상기 물품 판매 장치(B)에서 상기 판매품을 구매할 경우, 상기 판매품의 가격을 상기 회수된 재활용품의 종류 및 수량에 따라 제2설정 할인율을 적용하여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로컬서버(LS)는,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1000)로 회수되는 재활용품이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A)로부터 출고된 배송품에서 배출된 것과 상이할 경우에는 상기 제1설정 할인율이 상기 제2설정 할인율보다 크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1000)로 회수되는 재활용품이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A)로부터 출고된 배송품에서 배출된 것과 동일할 경우에는 제2설정 할인율이 상기 제1설정 할인율보다 크도록 한다. 이는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A)로부터 출고된 배송품에서 배출된 재활용품의 회수율을 높임으로써 배송품에 포함되어 있는 포장지나 아이스팩 등의 재활용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상기 스마트 물류 시스템(S)은 상기 수거된 재활용품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회수되는 재활용품들은 오염물에 의해 오염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수거된 후 먼저 세척을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상기 세척 장치는 상기 재활용품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세척 장치는 상기 수거된 재활용품을 상기 세척 장치에 넣기 전에 투입되는 재활용품을 인증하기 위한 스캐너(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즉, 회수되는 재활용품은 상기 세척 장치에 투입되기 전에 상기 스캐너를 통해 수거된 재활용품에 대한 정보 등의 인증 절차를 거친 후에 상기 세척 장치에서 세척될 수 있다. 상기 스캐너는 상기 메인서버(MS)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세척 장치에 투입되는 재활용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인서버(MS)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수되는 재활용품 자체에도 상기 외부 케이스 식별장치(1130) 또는 상기 내부 케이스 식별장치(1250)와 유사한 전자 식별장치가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전자 식별장치는 QR 코드, NFC 태그 또는 암호화된 URL이 포함된 바코드 등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1000)에 상기 재활용품을 투입하는 고객은 고객 휴대폰에 상기 재활용품을 인식한 후 상기 재활용품을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1000)에 투입함으로써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 센서를 통하지 않고서도 직접 회수되는 재활용품에 대한 정보를 인증하는 인증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고객은 휴대폰으로 상기 로컬서버(LS) 또는 상기 메인서버(MS)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인증 처리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세척 장치 및 상기 인증 절차를 통해서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재활용품을 깨끗하게 회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스마트 물류 장치(미도시) 및 메인 서버(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물류 장치는 배송품 보관 장치(미도시), 물품 판매 장치(미도시) 및 재활용품 회수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는 외부 케이스(미도시), 내부 케이스(미도시) 및 바스켓(23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도 1 내지 5에 따른 스마트 물류 시스템과 비교할 때 바스켓(2300)의 구조에만 차이가 있으므로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바스켓(2300)의 구조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바스켓(2300)은 바스켓 측면부(2310) 및 바스켓 개폐부(2320)를 포함한다. 상기 바스켓 측면부(2310)는 도 1 내지 5에 따른 바스켓 측면부(2310)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바스켓 개폐부(2320)는 바스켓 제1개폐부(2321) 및 바스켓 제2개폐부(2322)를 포함한다. 상기 바스켓 제1개폐부(2321)는 상기 바스켓 측면부(2310)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바스켓 제2개폐부(2322)는 상기 바스켓 측면부(2310) 중에서 상기 바스켓 제1개폐부(2321)가 결합되어 있는 바스켓 측면부(2310)와 마주보는 상기 바스켓 측면부(2310)에 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 때 상기 바스켓 제1개폐부(2321) 및 상기 바스켓 제2개폐부(2322)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바스켓 측면부(2310)와 직각 방향으로 배치될 때 서로 밀착되면서 상기 바스켓(2300)의 하면의 폐쇄한다. 즉, 상기 바스켓 제1개폐부(2321) 및 상기 바스켓 제2개폐부(2322)는 서로 밀착되면 상기 바스켓(2300)의 하면을 폐쇄하고,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바스켓(2300)의 하면을 개방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2300)은 도 1 내지 5에 따른 바스켓(1300)에 비해 바스켓 개폐부(2320)가 작은 회동 거리를 통해서도 상기 바스켓(2300) 내부의 재활용품을 쉽게 재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스마트 물류 장치(미도시) 및 메인 서버(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물류 장치는 배송품 보관 장치(미도시), 물품 판매 장치(미도시) 및 재활용품 회수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는 외부 케이스(미도시), 내부 케이스(미도시) 및 바스켓(33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도 1 내지 5에 따른 스마트 물류 시스템과 비교할 때 바스켓(3300)의 구조에만 차이가 있으므로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바스켓(3300)의 구조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바스켓(3300)은 바스켓 몸체(3310) 및 바스켓 상부 신장부(3340)를 포함한다. 상기 바스켓 몸체(3310)는 도 1 내지 5에 따른 바스켓 측면부(1310) 및 바스켓 하면부(1320)의 형태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바스켓 상부 신장부(3340)는 상기 바스켓 몸체(3310)의 상부와 결합되고, 압축 또는 신축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바스켓 상부 신장부(3340)는 상기 바스켓(3300)에 재활용품이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3300)을 상기 내부 케이스 밖으로 꺼낼 때 상기 바스켓(3300)에 배치되어 있는 재활용품이 상기 바스켓(3300)의 측면을 넘어서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즉, 상기 바스켓 상부 신장부(3340)는 상기 바스켓(3300)이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을 때는 압축되어 있다가, 상기 바스켓(3300)이 상기 내주 케이스 외부로 인출되어 나오는 경우에는 신장되어 상기 바스켓(3300)의 수용 부피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바스켓 상부 신장부(3340)는 상기 바스켓 몸체(3310)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 바켓 몸체(3310) 상부에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바스켓 상부 신장부(3340)는 상기 바스켓(3300)을 인출하는 수거자나 고객과 같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신장될 수도 있고, 상기 바스켓 상부 신장부(3340)를 압축시키고 신장시키는 전동 장치에 의해 움직일 수도 있다.
상기 스마트 물류 시스템(S)은 복수 개의 배송 거점들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도 1의 스마트 물류 장치(L) 및 상기 각 스마트 물류 장치의 로컬서버(LS)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메인서버(MS)를 포함한다. 상기 로컬서버(LS)는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A)에 보관되어 있는 배송품에 관한 정보, 상기 물품 판매 장치(B)에 비치되어 있는 판매품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1000)에 회수되어 있는 포장재 또는 아이스팩과 같은 재활용품에 대한 제1정보를 메인서버(MS)에 전송한다.
상기 메인서버(MS)는 공급자 또는 배송자가 상기 배송품 및 상기 판매품의 과잉 또는 부족 수량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공급자가 사용하는 공급자 단말기 또는 배송자가 사용하는 배송자 단말기에 상기 제1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수거자의 수거시기 및 수거 동선의 결정을 돕기 위해서 상기 각 스마트 물류 장치(L)들에 회수되어 있는 상기 포장재 또는 아이스팩의 종류 및 수량에 대한 상기 제1정보를 수거자가 사용하는 수거자 단말기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서버(MS)는 수거자가 각 배송 거점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스마트 물류 장치(L)를 거쳐서 재활용품을 수거할 때, 최단 거리 또는 최단 시간으로 수거가 가능한 수거 동선을 상기 수거자가 사용하는 수거자 단말기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한다. 이는 상기 수거자의 수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서버(MS)는 상기 물품 판매장치(B)에 비치되어 있는 판매품의 수가 설정 수량 이하일 경우에는 공급자 또는 배송자에게 상기 판매용품의 수가 설정 수량 이하인 스마트 물류 장치에 대한 제2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제2정보를 상기 메인서버(MS)는 공급자 단말기 또는 배송자 단말기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서버(MS)는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1000)에 설정 수량 이상의 재활용품이 회수되면, 메인서버(MS)에 상기 설정 수량 이상의 재활용품이 회수 있는 스마트 물류 장치(L)에 대한 제3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제3정보를 상기 메인서버(MS)는 수거자 단말기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해서 상기 수거자가 재활용품을 수거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서버는 고객이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1000)에 입고하는 재활용품의 종류 및 수량에 대응하여 상기 고객이 사용하는 고객 단말기로 전자 화폐 형태의 보상 코인을 지급한다. 상기 재활용품 회수 장치(1000)에 입고되는 재활용품의 종류 및 수량은 상기 재활용품 회수 장치(1000)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가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상기 로컬서버(LS)로 전송하고, 상기 로컬서버(LS)는 상기 감지된 정보를 상기 메인서버(MS)로 전송하여 상기 메인서버(MS)에서 상기 고객 단말기로 보상 코인을 지급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로컬서버(LS)에서 직접 보상 코인을 지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상 코인 외에 전자화폐 형태의 지역 화폐, 고객 단말기를 통해 사용 가능한 포인트 등을 지급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도 1에 따른 스마트 물류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물류 센터에서 배송되는 배송품은 배송/보관 디바이스(도 1의 스마트 물류 장치를 의미)에 보관된다. 이 때 배송품의 도착을 배송/보관 디바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로컬서버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메인서버에 전송하고, 이를 배송/보관 디바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로컬서버는 배송품이 보관되는 온도를 모니터링하고, 배송품에 따라 요구되는 적정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온도 제어를 실시한다. 또한 배송품이 보관되어 있는 보관 위치와 배송품 보관 장치의 도어 상태를 감시한다. 그리고 이러한 사항들을 상기 배송/보관 디바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보안 카메라를 통해 영상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은 로컬서버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메인서버에 전송한다.
그리고 배송/보관 디바이스의 개폐를 위해 QR코드 또는 NFC 태그와 같은 보안/인증 장치를 도입함으로써, 배송/보관 디바이스에 보관되어 있는 배송품이나 판매 물품, 재활용품 등에 대한 분실 위험을 최소화한다.
이렇게 배송/보관 디바이스에 보관되어 있는 배송품은 최종 소비자(고객)에게 배송된다. 물론 최종 소비자가 직접 배송/보관 디바이스에 방문하여 배송품을 수령할 수도 있다. 이 때는 최종 소비자가 최종 소비자의 단말기로 로컬서버 또는 메인서버에 애플리케이션 등을 이용하여 접속함으로써 고객정보를 입력해서 배송품의 인출 권한이 있음을 입증한다. 별도의 배송자가 있는 경우에는 이미 메인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배송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배송자는 배송품을 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S: 스마트 물류 시스템
L: 스마트 물류 장치
A: 배송품 보관 장치
B: 물품 판매 장치
1000: 재활용품 회수장치
1100: 외부 케이스
1110: 외부 케이스 본체
1120: 외부 케이스 도어
1130: 외부 케이스 식별 장치
1200: 내부 케이스
1210: 내부 케이스 본체
1220: 내부 케이스 도어
1221: 내부 케이스 제1도어
1222: 내부 케이스 제2도어
1223: 내부 케이스 제3도어
1224: 내부 케이스 제4도어
1230: 내부 케이스 레일
1250: 내부 케이스 식별장치
1251: 내부 케이스 제1식별장치
1252: 내부 케이스 제2식별장치
1253: 내부 케이스 제3식별장치
1254: 내부 케이스 제4식별장치
1300, 2300, 3300: 바스켓
1310, 2310, 3310: 바스켓 몸체
1320, 2320: 바스켓 개폐부
1330: 공간 구획 부재
1331: 공간 구획 부재 몸체
1332: 공간 구획 부재 돌출부
2321: 바스켓 제1개폐부
2322: 바스켓 제2개폐부
3340: 바스켓 상부 신장부
LS: 로컬서버
MS: 메인서버

Claims (20)

  1. 서로 다른 종류의 재활용품을 회수할 수 있도록 각각 저장 공간을 가지는 복수 개의 내부 구역들로 분할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각각의 저장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각각 설치되어 있는 도어;
    상기 각각의 저장 공간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재활용품을 내부에 배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 공간 외부에서 상기 저장 공간 내부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저장 공간 내부에서 상기 저장 공간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바스켓들; 및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각 바스켓으로 회수되는 재활용품의 종류 개수 및 상기 회수하는 이용자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로컬 서버를 포함하는,
    재활용품 회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폐아이스팩 회수용 바스켓, 폐박스 회수용 바스켓, 폐페트(PET)병 회수용 바스켓 및 폐도시락 회수용 바스켓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활용품 회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내부에 재활용품을 배치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재활용품을 상기 바스켓 외부로 배출하기 쉽도록 상기 바스켓의 하부가 상기 바스켓의 측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개방될 수 있는,
    재활용품 회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내부에 재활용품을 배치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재활용품을 상기 바스켓 외부로 배출하기 쉽도록, 상기 바스켓의 제1측면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바스켓의 하면을 개방할 수 있는 바스켓 제1개폐부 및 제1측면과 마주보는 제2측면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바스켓의 하면을 개방할 수 있고, 상기 제2측면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1개폐부와 밀착되면서 상기 바스켓의 하면을 폐쇄하는 바스켓 제2개폐부를 포함하는,
    재활용품 회수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폐아이스팩 회수용 바스켓은,
    상기 케이스의 복수 개의 구역들 중 제1구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구역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하면서 상기 제1구역의 내부 및 외부로 이동 가능하며, 내부가 상기 폐아이스팩이 슬라이딩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는
    재활용품 회수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상기 바스켓의 개구된 상부를 통해서 상기 바스켓 내부에 탈착하거나, 상기 바스켓의 개구된 일 측면을 통해서 상기 바스켓 내부에 슬라이딩 탈착 가능하고, 상기 바스켓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공간 구획 부재 몸체; 및
    상기 공간 구획 부재 몸체 상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복수 개가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공간 구획 부재 돌출부를 포함하는,
    재활용품 회수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폐페트병 회수용 바스켓은,
    상기 케이스의 복수 개의 구역들 중 제2구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구역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2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하면서 상기 제2구역의 내부 및 외부로 이동 가능하며, 복수 개의 층으로 형성되되, 각 층마다 상기 폐페트병이 안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페트병 안착 홈들이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층의 페트병 안착 홈들은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폐페트병은 상기 페트병 안착 홈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재활용품 회수장치.
  8. 배송거점에 설치되는 스마트 물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송거점을 이용하는 고객에게 배송품이 수령되기 전 공급자 또는 배송자에 의하여 배송품이 보관되는 배송품 보관장치;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와 결합되어 있으며, 판매품이 비치되어 고객에게 판매가 가능한 물품 판매장치;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 또는 상기 물품 판매장치와 결합되며, 고객으로부터 상기 배송품에 포함된 포장재 또는 아이스팩을 회수하는 재활용품 회수장치; 및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를 통한 배송품의 입고 및 출고를 관리하고, 상기 물품 판매장치를 통한 물품의 판매를 관리하며,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로 회수되는 포장재 또는 아이스팩의 정보 및 회수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로컬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 물류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로컬서버는,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 상기 물품 판매장치 및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식별장치에 고객이 고객 단말기를 태그할 때 입력되는 고객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에 보관되어 있는 배송품을 수령하기 위해 직접 방문한 상기 고객이 상기 물품 판매장치에서 상기 판매품을 구매할 경우, 상기 판매품의 가격을 상기 배송품의 종류 및 수량에 따라 제1설정 할인율을 적용하여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되도록 하는,
    스마트 물류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고객정보는 상기 로컬서버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물류 장치를 관리하는 메인서버에 저장되고,
    상기 로컬서버는,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에 재활용품을 회수하는 상기 고객이 상기 물품 판매장치에서 상기 판매품을 구매할 경우, 상기 판매품의 가격을 상기 회수된 재활용품의 종류 및 수량에 따라 제2설정 할인율을 적용하여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되도록 하는,
    스마트 물류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로컬서버는,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로부터 출고된 배송품에서 배출된 재활용품의 회수율 향상을 위해서,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로 회수되는 재활용품이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로부터 출고된 배송품에서 배출된 것과 상이할 경우에는 제1설정 할인율이 제2설정 할인율보다 크도록 하고,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로 회수되는 재활용품이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로부터 출고된 배송품에서 배출된 것과 동일할 경우에는 제2설정 할인율이 제1설정 할인율보다 크도록 하는,
    스마트 물류 장치.
  12. 복수 개의 배송 거점들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청구항 8의 스마트 물류 장치들; 및
    상기 각 스마트 물류 장치의 로컬서버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물류 장치들을 관리하는 메인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 물류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각 스마트 물류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로컬서버는,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에 보관되어 있는 배송품에 관한 정보, 상기 물품 판매장치에 비치되어 있는 판매품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에 회수되어 있는 포장재 또는 아이스팩에 대한 제1정보를 상기 메인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메인서버는,
    공급자 또는 배송자가 상기 배송품 및 상기 판매품의 과잉 또는 부족 수량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공급자가 사용하는 공급자 단말기 또는 배송자가 사용하는 배송자 단말기에 상기 제1정보를 전송하고, 수거자의 수거 시기 및 수거 동선의 결정을 돕기 위해서 상기 각 스마트 물류 장치들에 회수되어 있는 상기 포장재 또는 아이스팩의 종류 및 수량에 대한 상기 제1정보를 상기 수거자가 사용하는 수거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스마트 물류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수거자가 상기 스마트 물류 장치들에 회수되어 있는 상기 포장재 또는 아이스팩을 수거 할 때, 수거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최단 거리 또는 최단 시간으로 수거가 가능한 수거 동선을 상기 수거자 단말기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송하는,
    스마트 물류 시스템.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 상기 물품 판매장치 및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는,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에 입고되거나 상기 배송품 보관장치로부터 출고되는 배송품을 감지하는 물품 판매장치 센서, 상기 물품 판매장치에 입고되거나 상기 물품 판매장치로부터 출고되는 판매품을 감지하는 물품 판매장치 센서 및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에 입고되거나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로부터 출고되는 재활용품을 감지하는 재활용품 회수장치 센서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 물류 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물품 판매장치에 비치되어 있는 판매품의 수가 설정 수량 이하일 경우, 상기 판매품의 수가 설정 수량 이하인 스마트 물류 장치에 대한 제2정보를 상기 물품 판매장치에 물품을 공급하는 공급자에게 제공하는,
    스마트 물류 시스템.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에 설정 수량 이상의 재활용품이 회수되면, 수거자에게 상기 설정 수량 이상의 재활용품이 회수되어 있는 스마트 물류 장치에 대한 제3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물류 시스템.
  18.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는,
    입고되는 재활용품의 종류 및 수량을 확인하는 센싱부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고객이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에 입고하는 재활용품의 종류 및 수량에 대응하여 상기 고객이 사용하는 고객 단말기로 전자 화폐 형태의 보상 코인을 지급하는,
    스마트 물류 시스템.
  19.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로부터 수거된 재활용품을 세척하는 세척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척 장치는,
    상기 수거된 재활용품을 상기 세척 장치에 넣기 전에 상기 재활용품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스캐너를 포함하는,
    스마트 물류 시스템.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에 회수되는 재활용품에는 전자 식별장치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재활용품 회수장치에 상기 재활용품을 투입하는 고객의 휴대폰을 상기 재활용품의 전자 식별장치에 인식함으로써 상기 회수되는 재활용품에 대한 정보를 인증하는,
    스마트 물류 시스템.
KR1020220026013A 2022-02-28 2022-02-28 재활용품 회수장치, 그 재활용품 회수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물류 장치 및 스마트 물류 시스템 KR102425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013A KR102425837B1 (ko) 2022-02-28 2022-02-28 재활용품 회수장치, 그 재활용품 회수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물류 장치 및 스마트 물류 시스템
KR1020220073970A KR102450916B1 (ko) 2022-02-28 2022-06-17 재활용품 회수장치, 그 재활용품 회수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물류 장치 및 스마트 물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013A KR102425837B1 (ko) 2022-02-28 2022-02-28 재활용품 회수장치, 그 재활용품 회수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물류 장치 및 스마트 물류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970A Division KR102450916B1 (ko) 2022-02-28 2022-06-17 재활용품 회수장치, 그 재활용품 회수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물류 장치 및 스마트 물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5837B1 true KR102425837B1 (ko) 2022-07-28
KR102425837B9 KR102425837B9 (ko) 2024-01-11

Family

ID=8260770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013A KR102425837B1 (ko) 2022-02-28 2022-02-28 재활용품 회수장치, 그 재활용품 회수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물류 장치 및 스마트 물류 시스템
KR1020220073970A KR102450916B1 (ko) 2022-02-28 2022-06-17 재활용품 회수장치, 그 재활용품 회수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물류 장치 및 스마트 물류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970A KR102450916B1 (ko) 2022-02-28 2022-06-17 재활용품 회수장치, 그 재활용품 회수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물류 장치 및 스마트 물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258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655B1 (ko) * 2023-07-20 2024-01-30 주식회사 월드멀티넷 인공지능 기반 재활용품 선별 분리수거 플랫폼 시스템및 그 운용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951B1 (ko) * 2011-01-26 2011-06-28 김재형 알에프아이디 기반 재활용품 및 잔반 종량제 시스템
KR20180024224A (ko) * 2016-08-29 2018-03-08 배응준 재활용품 회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품 회수 방법
KR101981688B1 (ko) 2018-09-28 2019-05-23 (주)에프엠에스코리아 보냉 용기
KR20210129924A (ko) * 2020-04-21 2021-10-29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상품 제공용 스마트 픽업 박스
KR20210135936A (ko) * 2020-05-06 2021-11-16 최동호 콜드체인 포장용품의 재활용 및 재사용을 통한 자원순환 및 고객맞춤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배송거점 기반의 물류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951B1 (ko) * 2011-01-26 2011-06-28 김재형 알에프아이디 기반 재활용품 및 잔반 종량제 시스템
KR20180024224A (ko) * 2016-08-29 2018-03-08 배응준 재활용품 회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품 회수 방법
KR101981688B1 (ko) 2018-09-28 2019-05-23 (주)에프엠에스코리아 보냉 용기
KR20210129924A (ko) * 2020-04-21 2021-10-29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상품 제공용 스마트 픽업 박스
KR20210135936A (ko) * 2020-05-06 2021-11-16 최동호 콜드체인 포장용품의 재활용 및 재사용을 통한 자원순환 및 고객맞춤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배송거점 기반의 물류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655B1 (ko) * 2023-07-20 2024-01-30 주식회사 월드멀티넷 인공지능 기반 재활용품 선별 분리수거 플랫폼 시스템및 그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5837B9 (ko) 2024-01-11
KR102450916B1 (ko) 2022-10-06
KR102450916B9 (ko) 202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3832B1 (en) Automated receiving and delivery system and method
US20220188765A9 (en) Automated delivery system and method
CN108564444B (zh) 一种自动售货管理系统及管理方法
JP2017521780A5 (ko)
CN105324714A (zh) 计算机控制的、无人值守的自动结账零售店
JP2002024921A (ja) 無人販売システム
US10643173B2 (en) Smart delivery bins
WO2019130778A1 (ja) 無人店舗システム
WO2019130779A1 (ja) 店舗
CN107004173A (zh) 改进的递送系统和方法
KR102450916B1 (ko) 재활용품 회수장치, 그 재활용품 회수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물류 장치 및 스마트 물류 시스템
WO2019130780A1 (ja) 店舗
CN206194037U (zh) 一种物流箱
AU769456B2 (en) Automated receiving and delivery system and method
CN109242386A (zh) 网购商店的取货方法
RU2716907C1 (ru) Терминал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приема/получения товаров и способ его функционирования
US10791853B2 (en) Reusable bag system and method
US20190283934A1 (en)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management system, shopping assistance system,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KR102550009B1 (ko) 점유공간 최소화 설계의 무인자동화 비대면 제품 판매시스템
RU2747128C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й магазин и способ его функционирования
KR20230154516A (ko) 배달 물품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50105904A (ko) 인터넷구매를 특징으로 하는 무인판매장치 및 그 구매방법
BR102021018426A2 (pt) Sistema e método de compras e pagamentos em lojas de vendas automáticas
IT202100006887A1 (it) Sistema e metodo di gestione di un servizio di distribuzione di prodotti al dettaglio
EP1667030A2 (en) Automated receiving and delivery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