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008B1 - 스마트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작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008B1
KR102425008B1 KR1020220010084A KR20220010084A KR102425008B1 KR 102425008 B1 KR102425008 B1 KR 102425008B1 KR 1020220010084 A KR1020220010084 A KR 1020220010084A KR 20220010084 A KR20220010084 A KR 20220010084A KR 102425008 B1 KR102425008 B1 KR 102425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smetics
parts
weight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0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웹
Priority to KR1020220010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0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61K31/717Cellul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1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8Tocopherol, i.e.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마트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작 시스템은, 화장품의 종류정보를 포함한 종류DB 및, 화장품의 성분정보를 포함한 성분DB와, 화장품의 용기정보를 포함하는 용기DB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의뢰인이 소지한 의뢰인 단말로부터 상기 종류정보와 상기 성분정보 및 상기 용기정보를 각각 선택받고 선택된 정보를 기반으로 의뢰서를 생성하는 제작 의뢰 모듈; 상기 의뢰서를 기반으로 커스터마이징 화장품을 제작하는 제작 모듈; 제작된 상기 화장품을 상기 의뢰인에게 제공하는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조 시스템에 따르면, 의뢰인이 원하는 종류, 성분, 용기에 따라 화장품을 커스터마이징하여 의뢰인의 니즈에 최적화된 커스터마이징 화장품을 제작 및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작 시스템{Smart Customizing Cosmetics Production Systems}
본 발명은 스마트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작 시스템으로서, 의뢰인의 니즈에 최적화된 커스터마이징 화장품을 제조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작 시스템을 제공한다.
화장품은 지성 피부, 중성 피부, 건성 피부 등 대표적인 몇 가지 유형에 따라 구분되어 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지성 피부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건성 피부용 화장품을 사용하면 부작용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각자 자신의 피부 유형에 맞는 화장품을 선택하여야 한다. 또한, 화장품에 포함된 일부 성분은 장기적으로 사용했을 때 오히려 피부노화를 유발하거나 암을 유발하는 등 다양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일부 고객들은 화장품에 포함된 특정 성분에 의하여 알러지(allergy) 반응을 일으키거나 여드름 등의 피부 트러블(trouble)이 생길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신의 피부 유형이 어떠한 유형인지, 자신의 피부에 트러블을 일으키는 성분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알지 못하기 때문에 화장품 판매원의 추천에 따라 화장품을 선택한다. 그런데, 화장품 판매원들은 화장품을 구성하는 성분의 효과 등에 대해서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것이 아니기 때문에 고객의 개인 취향, 피부상태 및 특이 사항(예를 들어, 알러지 반응 등)에 적합한 화장품을 추천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공개특허 제 10-2017-0111859호에 ‘고객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구매자가 자신의 피부타입이나 취향에 따라 자신에게 최적화된 화장품을 손쉽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고객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매자가 화장품재료를 선택하는 단계; 판매자가 유성성분, 수성성분 및 유화제를 혼합하여 크림타입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한 크림제형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판매자가 상기 크림제형 베이스에 상기 단계에서 구매자가 선택한 화장품재료를 상기 단계에서 제조한 크림제형 베이스에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구매자가 자신의 피부타입이나 취향에 따라 자신에게 최적화된 화장품을 손쉽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여기에서 더 나아가 의뢰인의 니즈에 부합하는 커스터마이징 화장품을 제조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성분, 종류, 용기 등에 있어 의뢰인의 니즈를 보다 완벽하게 반영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스마트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작 시스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화장품의 종류, 성분, 용기에 있어 의뢰인의 니즈를 완벽하게 반영할 수 있는 스마트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화장품의 타겟 기능을 특정하고 그에 따라 기능성을 부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하여, 피부 재생 기능성 성분을 더하여 화장품으로 하여금 피부 재생에 도움이 되게 함과 동시에 제형의 안정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작 시스템은, 화장품의 종류정보를 포함한 종류DB 및, 화장품의 성분정보를 포함한 성분DB와, 화장품의 용기정보를 포함하는 용기DB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의뢰인이 소지한 의뢰인 단말로부터 상기 종류정보와 상기 성분정보 및 상기 용기정보를 각각 선택받고 선택된 정보를 기반으로 의뢰서를 생성하는 제작 의뢰 모듈; 상기 의뢰서를 기반으로 커스터마이징 화장품을 제작하는 제작 모듈; 제작된 상기 화장품을 상기 의뢰인에게 제공하는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작 의뢰 모듈은, 상기 의뢰인 단말로부터 상기 화장품의 주름 개선, 피부 재생, 여드름 개선, 미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타겟 기능 및 제형을 포함하는 추가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선택된 정보 및 상기 추가정보를 기반으로 의뢰서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피부 재생을 상기 타겟 기능으로 입력한 의뢰인에게 덱스판테놀(dexpanthenol)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보조제 첨가를 추천하는 추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조 시스템에 따르면,
1) 의뢰인이 원하는 종류, 성분, 용기에 따라 화장품을 커스터마이징하여 의뢰인의 니즈에 최적화된 커스터마이징 화장품을 제작 및 제공할 수 있고,
2) 커스터마이징 화장품의 타겟 기능을 설정하고 그에 따라 화장품의 성분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시스템 차원에서 특정 성분의 첨가를 추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3) 항염 및 회복, 진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보조제의 첨가를 통해 화장품의 기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화장품 종류 설정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화장품의 성분, 제형, 타겟 기능 설정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화장품의 용기 설정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진행 단계 제공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실시간 상담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서 의뢰인(2)이라 함은, 본 발명의 스마트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작 시스템을 통해 화장품 제작을 의뢰하고 제작된 화장품을 공급받는 자를 의미한다. 이러한 의뢰인(2)은 일반 개인일 수도 있으며, 혹은 화장품을 제작하여 이용하거나 일반 대중에게 판매하고자 하는 집단(기업)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의뢰인(2)은 피부과 전문의나 기타 피부과 운영의, 에스테틱 등의 피부 관리실 운영진, 외에도 피부 미용 업종에 종사하여 대중에게 화장품을 제공하는 자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스마트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작 시스템을 통해 본인의 니즈에 맞는 커스터마이징 화장품을 제작받아 이를 본인의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의뢰인(2)은 데스크탑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PC 중 적어도 어나 하나일 수 있는 의뢰인 단말을 소지하여 의뢰인 단말을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의 화장품 제작 시스템이 구현된 웹페이지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에 접속하여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작에 있어 원하는 니즈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인 서버(1)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현해내기 위한 일련의 주체(중앙관제서버)로서, 서버PC 및 네트워크 통신망 등을 함께 포함한다.
이러한 메인 서버(1)는 의뢰인(2)이 소지한 의뢰인 단말을 통해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작에 필요한 니즈를 입력받고, 해당 니즈에 따라 커스터마이징 화장품을 제작하도록 하여 이를 의뢰인(2)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나아가 화장품을 제작할 수 있도록 별도로 구비된 화장품 공장(3)의 설비 등과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화장품 제작 등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겸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메인 서버(1)는 중앙처리장치(CPU) 및 메모리와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수단을 구비한 하드웨어 기반에서 중앙처리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즉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일련의 구체적 구성을 '모듈' 및 '부', '파트' 등의 구성단위로써 후술할 예정이다.
이러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 또는 ‘파트’ 등 의 구성은 메인 서버(1)의 저장수단에 설치 및 저장된 상태에서 CPU 및 메모리를 매개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 내지 ASIC과 같은 하드웨어의 일 구성을 의미한다. 이때, '모듈' 또는 '부', '인터페이스'라는 구성은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고,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더불어, 메인 서버(1)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의 일 예로서의 컴퓨팅 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스마트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작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작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데이터베이스(100), 제작 의뢰 모듈(200), 제작 모듈(300), 제공 모듈(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추가적으로 의뢰인(2)의 시스템 가입 처리를 위한 가입 모듈(600)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입 모듈(600)은 본 발명의 의뢰인(2)으로 하여금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조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화장품 제작 시스템이 구현된 프로그램 혹은 별도의 인터넷 사이트, 어플리케이션 상에 의뢰인(2)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의뢰인(2)의 정보라 함은 의뢰인(2)의 이름/상호명이나 업종명,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을 기본적으로 포함할 수 있어야 한다.
데이터베이스(100)는 본 발명의 커스터마이징 화장품에 있어, 화장품의 종류에 대한 정보(종류정보) 화장품을 구성하는 구성성분의 정보(성분정보), 그리고 화장품의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에 대한 정보(용기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일련의 DB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100)는 바람직하게 종류DB(110), 성분DB(120), 용기DB(130)를 포함한다.
종류DB(110)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 제조 가능한 화장품의 종류에 대한 정보인 종류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종류에 대한 정보, 즉 종류정보라 함은 화장품의 종류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시로서는 토너, 에센스, 클렌저, 크림, 마스크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보다 나아가 세분화된 종류정보로서 클렌저의 경우 클렌징오일, 폼클렌저, 클렌징워터, 클렌징티슈 등으로 보다 세분화되어서 저장될 수도 있다. 이때 종류DB(110)에 저장되는 종류정보를 입력하는 주체는 기본적으로 시스템 관리자일 수 있으며, 나아가 의뢰인(2)이 새로운 종류정보를 입력하도록 하고, 새롭게 입력된 종류정보를 종류DB(110)에 저장하는 것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성분DB(120)는 화장품을 구성하는 구성성분인 성분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성분DB(120)에 저장된 성분정보의 예시로는 정제수, 글리세린, 에탄올, 베타인, 락틱애씨드,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히알루로닉애씨드, 글라이콜릭애씨드, 트라이에탄올아민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나아가 기술되지 않았다 할지라도 일반적인 종래의 화장품 제조에 이용되는 구성성분 모두가 본 발명의 성분정보로써 성분DB(120)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성분DB(120)에 저장되는 성분정보를 입력하는 주체는 기본적으로 시스템 관리자 또는 의뢰인(2)일 수 있다.
이때 화장품을 구성하는 구성성분, 즉 성분정보의 수는 수없이 많은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때 일반적으로 화장품의 경우 용제를 포함하는 베이스 및 향료 및 보존제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는데, 따라서 성분DB(120)는 성분정보를 베이스정보 및 첨가제정보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베이스정보라 함은 화장품에 포함되는 일반적인 용제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때 용제의 예시로는 정제수, 글리세린, 에탄올 등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외에도 화장품의 80 내지 95 중량부를 구성하여 나머지 첨가제에 대한 용매 역할을 수행하는 물질이라면 용제로써 베이스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정보에 포함되는 성분의 종류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첨가제정보는 화장품에 포함되는 복수의 향료 및 보존제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보존제로써 첨가되는 파라벤, 페녹시에탄올, 헥산디올, 펜틸렌글라이콜이나 산화방지제로써 첨가되는 토코페롤, 비타민E, 금속이온봉쇄제로써 첨가되는 EDTA 류나 소듐파이테이트의 성분 등이 첨가제정보로 분류되어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첨가제정보에 포함되는 성분의 종류에는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화장품에 0.01 내지 5 중량부 범위에서 첨가되어 특정 기능을 더하거나 보존성을 더하는 것이라면 첨가제정보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용기DB(130)는 화장품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에 대한 정보인 용기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용기의 종류라 함은 단지형 용기, 펌프형 용기, 튜브형 용기, 스프레이 타입 용기 등일 수 있으며, 여기서 펌프형 용기라 할지라도 진공펌프를 구비한 펌프형 용기 및 일반 펌프형 용기 등 종래의 다양한 용기가 이용될 수 있다. 더불어 단지형 용기에 있어서도 플라스틱 재질의 단지형 용기, 유리 재질의 단지형 용기 등 재질 별 용기에 대한 정보 역시 용기DB(130)에 저장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또한 언급되지 않은 화장품 용기 및 화장품 용기의 재질 역시 제한없이 용기DB(13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용기DB(130)에 저장되는 용기정보를 입력하는 주체는 시스템 관리자 또는 의뢰인(2)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용기정보는 해당 용기에 수용되는 화장품의 용량 및 화장품의 사이즈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가로/세로/높이 또는 지름/높이와 같은 사이즈에 대한 정보 및 해당 용기에 수용되는 화장품의 용량을 포함할 수 있다.
제작 의뢰 모듈(200)은 의뢰인(2)이 소지한 의뢰인 단말로부터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종류정보, 성분정보, 용기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씩을 각각 선택받고, 선택된 정보를 기반으로 의뢰서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보다 바람직하게 제작 의뢰 모듈(200)은 의뢰인(2)으로 하여금 본인의 니즈에 최적화된 화장품을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도록, 기본적으로 종류 선택부(210), 성분 선택부(220), 용기 선택부(230), 수량 선택부(240), 의뢰서 생성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화장품 종류 설정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류 선택부(210)는 의뢰인 단말로부터 본 발명의 종류DB(110)에 등록된 상기 종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종류DB(110)에 저장된 복수의 종류정보를 리스트화한 뒤 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의뢰인 단말을 통해 선택받을 수 있다. 만약 의뢰인(2)이 토너 제조를 원할 경우, 종류DB(110)에 저장된 종류정보 중 토너를 선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토너, 에센스, 클렌저, 크림, 마스크팩과 같은 화장품의 다양한 종류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받도록 하여, 어떠한 종류의 화장품을 제작할 것인지를 입력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도 4는 화장품의 성분, 제형, 타겟 기능 설정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성분 선택부(220)는 의뢰인 단말로부터 본 발명의 성분DB(120)에 등록된 상기 성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성분정보의 선택을 위해서는 성분DB(120)에 등록된 전체 성분정보를 출력 처리하여 의뢰인 단말에 제공한 뒤 그중 원하는 성분정보만을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여기서 보다 편리하게는 성분정보를 보다 세분화하여 분류하도록 하고, 분류된 체계에 따라 보다 쉽고 편리하게 성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상기 성분정보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등급그룹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등급그룹별로 성분정보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등급그룹이라 함은 유기농/비유기농 등으로 나눠질 수도 있으며, 나아가 현재 화장품 성분의 위험도 등급을 판단하는 EWG 등급으로써 1등급 내지 9등급 등으로 나눠질 수도 있다. 혹은 본 발명의 시스템 상에서 화장품 성분을 별도로 분류하여 (안전/중간/위험) 등급그룹을 부여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를 통해 화장품을 구성하는 성분들을 위험도에 따라 그룹화하여 화장품 제작을 위한 성분 구성 시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등급그룹의 분류 구성을 포함할 시, 성분 선택부(220)에 있어 의뢰인(2) 본인의 니즈에 맞게 분류된 등급그룹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그를 이용해 화장품을 제작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유기농 화장품을 원하는 경우 유기농 등급그룹을 선택할 수 있고, 성분 위험성이 낮은 안전한 화장품을 원하는 경우 위험성 등급이 낮은 등급그룹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며, 혹은 원가 절감과 함께 절충된 판매가의 화장품을 원하는 경우 그 니즈에 맞는 등급그룹을 의뢰인(2)으로 하여금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 더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성분정보가 베이스정보 및 첨가제정보로 분류되는 경우, 베이스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첨가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여 베이스 및 첨가제를 따로 선택하도록 하는 것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나아가 여기서 성분정보를 선택한 의뢰인 단말로부터 화장품의 타겟 기능 및 제형을 포함하는 추가정보를 더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타겟 기능이라 함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여드름 개선, 미백을 포함하는 것이며 화장품의 목적을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만약 주름 개선 화장품을 제작하고 싶은 의뢰인(2)의 경우 타겟 기능으로서 주름 개선을 입력하는 것이고, 피부 재생용 화장품을 제작하고 싶은 의뢰인(2)의 경우 피부 재생을 타겟 기능으로서 입력할 수 있다.
즉 의뢰인 단말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여드름 개선, 미백을 포함하는 타겟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하게 되는 것이며, 그에 따라 화장품의 타겟 기능이 설정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만약 타겟 기능으로서 주름 개선 및 피부 재생을 입력하는 경우, 해당 커스터마이징 화장품의 타겟 기능은 주름 개선, 그리고 피부 재생을 동시에 포함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나아가 제형의 경우 가벼움/무거움/찐득함/흘러내림/단단함 등 제형을 나타내는 말들, 즉 화장품의 점도나 밀도에 관련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제형의 경우 점도나 밀도를 수치화한 값으로 입력 처리할 수도 있고, 가벼움/무거움/찐득함/흘러내림/단단함 등과 같이 점도나 밀도를 나타내는 표현을 통해 화장품의 제형을 입력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따라서 성분정보를 선택하고 해당 화장품의 타겟 기능 및 제형을 포함하는 추가정보를 더 입력하도록 하여, 추가정보가 더 반영된 화장품을 제공받는 것 역시 가능하다.
도 5는 화장품의 용기 설정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작 의뢰 모듈(200)에 포함될 수 있는 용기 선택부(230)는 의뢰인 단말로부터 본 발명의 용기DB(130)에 등록된 상기 용기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용기DB(130)에 저장된 복수의 종류정보를 리스트화한 뒤 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의뢰인 단말을 통해 선택받을 수 있다. 만약 의뢰인(2)이 튜브 타입 화장품을 제작하고 싶은 경우 튜브를 선택하도록 하고, 진공 펌핑 타입 화장품을 제작하고 싶은 경우 진공 펌핑 용기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용기의 종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용기DB(130)에 저장된 용기정보는 용기의 재질을 포함한다고 하였으므로, 용기의 재질 역시 선택 가능하며, 나아가 용기정보가 화장품의 용량 및 사이즈를 포함할 수 있다 하였으므로, 용기정보의 선택을 통해 개별 화장품의 제조용량 및 용기의 사이즈 역시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수량 선택부(240)는 의뢰인 단말로부터 제조하고자 하는 커스터마이징 화장품의 수량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수량은 1개, 10개, 100개와 같이 개수의 값으로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선택된 종류정보, 성분정보, 용기정보 및 추가정보, 나아가 수량을 반영하여 화장품 제작을 의뢰하게 된다.
의뢰서 생성부(250)는 의뢰인 단말로부터 선택된 성분정보, 종류정보, 용기정보 및 입력된 추가정보와 수량을 반영하여 화장품 제작에 대한 의뢰서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의뢰인 단말로부터 선택된 종류정보, 성분정보, 용기정보에 타겟 기능 및 제형을 포함하는 추가정보를 반영하여 의뢰서를 생성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뢰서는 제작 모듈(300)을 통해 화장품 공장(3)에서 의뢰인(2)을 위한 커스터마이징 화장품을 제작하는 데에 이용되며, 이는 종래의 의뢰서를 생각하면 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작 모듈(300)은 생성된 의뢰서를 기반으로 커스터마이징 화장품을 제조하는 구성으로서, 의뢰서를 기반으로 해당 종류정보에 해당하는 화장품을 선택된 용기정보의 제조용량 및 입력된 제조수량만큼 제조함과 동시에 선택받은 성분정보를 반영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작 모듈(300)은 생성된 의뢰서를 화장품 공장(3)에 송신하여 화장품 공장(3)으로 하여금 의뢰인(2)의 니즈에 최적화된 커스터마이징 화장품을 제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통해 구현된다.
제공 모듈(400)은 상술한 의뢰서에 따라 화장품 공장(3)에서 제작된 커스터마이징 화장품을 의뢰인(2)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의뢰인(2)에게 제작된 커스터마이징 화장품을 우편, 택배, 퀵서비스, 나아가 직접 전달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의뢰인(2)은 본인의 입력 사항에 맞게, 다시 말해 본인의 니즈에 최적화된 커스터마이징 화장품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6은 진행 단계 제공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작 모듈(300)은 진행 단계 제공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뢰서를 기반으로 한 커스터마이징 화장품의 제작에 있어, 제작 진행 단계를 의뢰인 단말에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작 진행 단계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접수, 제안, 샘플 제작, 발주, 양산, 출고 등의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의뢰서 접수가 완료되어 샘플 제작비용을 결제한 접수, 의뢰서 수정을 위한 제안, 커스터마이징 화장품의 샘플이 제작된 경우 샘플 제작, 나아가 대량 생산을 위한 발주, 대량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는 양산, 그리고 제작이 완료되어 출고 처리된 출고 등의 단계로 제작 진행 단계를 나타내고 이를 의뢰인 단말에 메시지, 이메일, 전화, 푸시알림 등으로 안내함으로써 커스터마이징 화장품의 제작 진행 과정을 의뢰인(2)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를 통해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작을 의뢰한 의뢰인(2)으로 하여금 실시간으로 본인이 의뢰한 화장품의 제작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의뢰서 수정이나 발주서의 수정, 추가 발주, 입고 사항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실시간 상담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작 진행 단계가 의뢰인 단말에 안내되는 경우, 안내된 제작 진행 단계에 대한 문의 사항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의뢰인(2)의 실시간 문의에 대한 대답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작 모듈(300)은 실시간 상담 수행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간 상담 수행부(320)는 본 발명의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작 시스템이 구현된 웹사이트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상에 구현된 채팅 기능을 매개로 하여 의뢰인(2) 및 시스템 관리자 사이의 양방향 대화를 허가하고, 그를 통해 제작 진행 단계를 안내받은 의뢰인(2)의 문의 사항을 시스템 관리자로 하여금 실시간으로 대응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발주 비용에 대한 입금 확인이나 기타 문의사항, 의뢰 내용의 수정 역시 양방향 대화를 통해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며,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시제품에 대한 도안 역시 실시간 양방향 대화를 통해 수정 및 공유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실시간 상담 구성을 통해 시스템 관리자(프로젝트 매니저)와 의뢰인(2) 사이의 실시간 대화를 통한 수정 사항 반영, 나아가 문의 사항에 대한 해결을 가능케 함으로써 의뢰인(2)이 원하는 다양한 문의사항 및 수정사항에 대한 실시간 반영, 그리고 수정을 가능케 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타겟 기능은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미백 등의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하였는데, 이때 바람직하게 타겟 기능으로서 피부 재생을 입력한 의뢰인 단말에는 피부 재생 보조제 첨가를 더 추천할 수 있다.
혹은 피부 재생의 경우 화장품에 있어 요구되는 기초적인 기능 중 하나이므로,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작에 있어 피부 재생 보조제 첨가의 경우 공통적으로 추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피부 재생 보조제 첨가 추천 구성을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추천 모듈(50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추천 모듈(500)은 바람직하게 의뢰인(2)에게 덱스판테놀(dexpanthenol)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보조제 첨가를 추천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여기서 피부 재생 보조제 첨가의 경우 의뢰인 단말에 푸시메시지나 이메일 등의 형태로 출력되어 첨가가 추천될 수도 있고, 혹은 상술한 실시간 상담 수행부(320)의 구성과 연동되어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피부 재생 보조제 첨가가 추천되는 것도 가능하며, 혹은 의뢰서 생성 직전 성분정보 입력 완료 시에 덱스판테놀(dexpanthenol)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보조제 첨가를 추천하는 팝업창을 출력하는 방식으로 추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피부 재생 보조제는 덱스판테놀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데, 덱스판테놀은 판토텐산의 유도체로 상처 및 기저귀 발진 등의 피부질환의 치료에 보조적으로 사용되거나 판토텐산의 보급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성분이다. 외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피부 재생 및 보호, 습윤, 항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덱스판테놀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보조제가 화장품 첨가에 추천되는 경우, 제작된 커스터마이징 화장품의 피부 재생 및 피부 보호, 습윤, 항염 효과를 더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술한 피부 재생 보조제는 덱스판테놀 이외에도 추가적인 조성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피부 재생 보조제는 바람직하게 제 1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S11), 제 2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S12), 제 3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S13), 피부 재생 보조제를 완성하는 단계(S14)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S11) 제 1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첫 단계로서, 덱스판테놀(dexpanthenol) 10 내지 20 중량부, 센텔로이드(centelloid) 5 내지 20 중량부 및, 정제수 70 내지 8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혼합액을 제조한다.
여기서 덱스판테놀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피부 재생 및 보호, 습윤, 항염 효과가 있는 판토텐산의 유도체이며, 정제수는 덱스판테놀 및 센텔로이드에 대한 용매로써 첨가된다.
센텔로이드는 고투 콜라(Gotu Kola)의 유효 성분으로서, 트리 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Tri-terpenoid Saponin)이라고도 불린다. 상처에 대한 재생 능력이 뛰어나고 피부 진정, 항염, 진정, 재생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불어 콜라겐 생성을 자극하여 손상된 피부의 회복을 유도하고 항산화제 역할을 겸비한다.
(S12) 제 2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다음 단계로, 제 1 혼합액 75 내지 85 중량부와, 옥타코사놀(octacosanol) 5 내지 10 중량부 및, 나이트로셀룰로오스(Nitrocellulose) 3 내지 10 중량부와, 레시틴(Lecithin)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혼합액을 제조한다.
옥타코사놀은 소맥배아유, 미각유, 사탕수수 등에 극소량 함유되어 있는 생리활성물질이며, 항암 작용을 하고 체내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아가 밀랍상의 성분으로, 첨가 시 점도 향상에 도움을 주며 피부 표면에서 피막을 형성하게 하는 기능이 있다.
나이트로셀룰로오스는 피막형성제의 일종으로, 식물의 섬유질에서 얻은 천연 폴리사카라이드의 일종이다. 피부 재생 보조제에 첨가시 제조되는 커스터마이징 화장품으로 하여금 피부 표면에서 보습 피막을 형성하게 하며, 나아가 피부 표면에 대한 보호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레시틴은 글리세린 인산을 포함하고 있는 인지질의 하나로, 생체막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 중 하나이다. 혼합물의 질감을 부드럽게 하고 계면활성 효과가 있어 혼합성을 높이며 점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피부 재생 보조제에 첨가 시 제조되는 커스터마이징 화장품의 점도를 조절하게 할 뿐 아니라 보다 부드러운 질감의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S13) 제 3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이어서, 제 2 혼합액 90 내지 95 중량부와, 비닐피롤리돈(vinylpyrrolidone) 1 내지 10 중량부 및, 알파-토코페롤(α-tocopherol) 1 내지 3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3 혼합액을 제조한다.
비닐피롤리돈은 독성이나 자극성이 없으며 안정성이 매우 높은 물질이며, 보조제에 첨가 시 커스터마이징 화장품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화장품의 성분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알파-토코페롤은 비타민E의 일종으로써 산화방지제의 역할을 수행하여 천연 항균 및 방부제 역할을 겸할 수 있는 물질이다. 따라서 알파-토코페롤 첨가에 따라 제조되는 커스터마이징 화장품의 보존성이 향상될 수 있다.
(S14) 피부 재생 보조제를 완성하는 단계
마지막으로, 제 3 혼합액 90 내지 95 중량부와, 옥타데실알코올(octadecyl alcohol)을 포함하는 혼합성 개선제 1 내지 10 중량부 및, 포타슘코코일글루타메이트(potassium cocoyl glutamate) 0.5 내지 2 중량부를 혼합하여 보조제를 완성한다.
혼합성 개선제는 옥타데실알코올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데, 이러한 옥타데실알코올은 스테아르산을 수소화 과정을 거쳐 얻는 고급 지방족포화알코올로써, 혼합성을 높이는 유화안정제의 기능이 있으며 점도를 조절하고, 제형에 거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며 혼합물의 질감을 부드럽게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첨가 시 제조되는 커스터마이징 화장품에 있어 매끄러운 질감을 제공하며, 성분들의 혼합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포타슘코코일글루타메이트는 코코넛계열 천연 계면활성제로써 상술한 피부 재생 보조제에 포함된 다양한 성분들이 보다 잘 혼합되어 안정적인 상을 유지토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 더불어 천연 계면활성제이므로 인체에 무해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피부 재생 보조제 첨가에 따라, 적용되는 피부에 있어서 항염 및 회복, 진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매끄러운 화장품 질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혼합된 물질로 하여금 안정된 혼합성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피부 재생 보조제의 물성을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 1 내지 4는 본 발명의 피부 재생 보조제이며, 비교예는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공지의 보습제이다.
표 1은 실시예 1 내지 4의 세정성 강화제의 성분비를 나타낸 표이다. 여기서 각 성분의 단위는 중량%이다.
원료명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덱스판테놀 10.5 11.2 12.0 15.0 -
센텔로이드 10.5 11.2 12.0 - -
정제수 49.0 52.1 56.0 85.0 85.0
옥타코사놀 8.7 9.3 10.0 - -
나이트로셀룰로오스 4.4 4.7 5.0 - -
레시틴 4.4 4.7 5.0 - -
비닐피롤리돈 3.8 4.0 - - -
알파-토코페롤 2.8 3.0 - - -
옥타데실알코올 5.0 - - - -
포타슘코코일글루타메이트 1.0 - - - -
글리세린 - - - - 15
<실험예 1> 피부 세포 재생능 시험
손상된 피부 세포의 성장을 촉진, 세포 회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험인 wound healing assay를 통해 세포 재생 유도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시험에 사용할 사람 각질세포(HACAT, Human Keratinocyte)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배지에 FBS(Fetal Bovine Serum)를 10% 첨가한 배지로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6 well plate에 100% 차도록 자란 인간 피부 각질 세포주의 중간을 tip을 이용하여 균일하게 상처를 낸 후 PBS를 이용하여 2회 세척하여 부유 세포를 제거하고 배지에 표 1의 조성물을 5%(v/v)가 되도록 처리한다.
실험 시간은 총 12, 24시간을 기준으로 하며, 각각의 시간 동안 상처의 회복 정도를 관찰하고 피부세포 재생 정도를 확인하였으며, 상처의 회복 능력이 뛰어날수록 5점, 상처의 회복 능력이 뛰어나지 않을수록 1점에 가깝게 평가하였다.
표 2는 피부 세포 재생능 실험 결과이다.
평가점수
실시예 1 5.0
실시예 2 4.9
실시예 3 4.7
실시예 4 4.5
비교예 3.2
표 2의 결과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피부 재생 보조제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는 비교예에 비해 피부 세포 재생 실험에서 높은 평가점수를 얻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피부 안전성 실험
상기 표 1에 나타난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조성물의 피부 안전성을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피부에 나타나는 1차적인 자극의 객관적인 자극을 조사하기 위해 20~50세 미만의 건강한 피부를 가진 피험자 15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첩포지 챔버 내에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의 조성물 각각을 20ul씩 적하시킨 후 1시간 동안 휘발성 물질을 휘발시킨다. 그 후 휘발성 물질이 휘발 처리된 첩포를 피험자의 등에 부착하고 24시간 후 첩포를 제거하고 30분 후 판독을 시행하였다.
피부반응은 CTFA(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가이드라인에 제시된 하기의 표 7에 따른 방법에 의거하여 검사하였다. 각 조성물마다 15마리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으며, 피부첩포시험 결과 판정표에 따라 자극 정도를 판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3은 피부첩포시험 결과 판정표이다.
반응등급 임상적 관찰
0.0 염증성의 징후를 보이지 않는다; 건강하고 정상적 피부
0.5 부위 외관에 광택이 있거나 또는 겨우 인지될 정도의 홍반
1.0 약간의 홍반
2.0 중등도의 홍반, 가장자리에 겨우 인지될 정도의 부종을 수반하는 가능성, 구진(丘疹)의 가능성
3.0 전체에 부종을 수반하는 중등도의 홍반
4.0 강도의 부종을 수반하는 강도의 홍반, 작은 수포를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는다
5.0 첩포부위를 넘어서 퍼진 강도의 반응
표 4는 피부 안전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피부 반응도
(반응등급)
실시예 1 0.2±0.1
실시예 2 0.1±0.1
실시예 3 0.1±0.1
실시예 4 0.2±0.1
비교예 0.2±0.3
표 4의 결과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의 조성물은 피부 안정성 실험 결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어, 본 발명의 피부 재생 보조제는 저자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작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 : 메인 서버 2 : 의뢰인
3 : 화장품 공장 100 : 데이터베이스
110 : 종류DB 120 : 성분DB
130 : 용기DB 200 : 제작 의뢰 모듈
210 : 종류 선택부 220 : 성분 선택부
230 : 용기 선택부 240 : 수량 선택부
250 : 의뢰서 생성부 300 : 제작 모듈
310 : 진행 단계 제공부 320 : 실시간 상담 수행부
400 : 제공 모듈 500 : 추천 모듈
600 : 가입 모듈

Claims (8)

  1. 스마트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작 시스템으로서,
    화장품의 종류정보를 포함한 종류DB 및, 화장품의 성분정보를 포함한 성분DB와, 화장품의 용기정보를 포함하는 용기DB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의뢰인이 소지한 의뢰인 단말로부터 상기 종류정보와 상기 성분정보 및 상기 용기정보를 각각 선택받고 선택된 정보를 기반으로 의뢰서를 생성하는 제작 의뢰 모듈;
    상기 의뢰서를 기반으로 커스터마이징 화장품을 제작하는 제작 모듈;
    제작된 상기 화장품을 상기 의뢰인에게 제공하는 제공 모듈;
    상기 의뢰인에게 덱스판테놀(dexpanthenol)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보조제 첨가를 추천하는 추천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피부 재생 보조제는,
    덱스판테놀(dexpanthenol) 10 내지 20 중량부, 센텔로이드(centelloid) 5 내지 20 중량부 및, 정제수 70 내지 8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1 혼합액 75 내지 85 중량부와, 옥타코사놀(octacosanol) 5 내지 10 중량부 및, 나이트로셀룰로오스(Nitrocellulose) 3 내지 10 중량부와, 레시틴(Lecithin)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2 혼합액 90 내지 95 중량부와, 비닐피롤리돈(vinylpyrrolidone) 1 내지 10 중량부 및, 알파-토코페롤(α-tocopherol) 1 내지 3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3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3 혼합액 90 내지 95 중량부와, 옥타데실알코올(octadecyl alcohol)을 포함하는 혼합성 개선제 1 내지 10 중량부 및, 포타슘코코일글루타메이트(potassium cocoyl glutamate) 0.5 내지 2 중량부를 혼합하여 피부 재생 보조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작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 의뢰 모듈은,
    상기 의뢰인 단말로부터 상기 화장품의 주름 개선, 피부 재생, 여드름 개선, 미백을 포함하는 타겟 기능 및 제형을 포함하는 추가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선택된 정보 및 상기 추가정보를 기반으로 의뢰서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작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정보는,
    화장품에 포함되는 용제에 대한 베이스정보 및,
    복수의 향료 및 보존제에 대한 첨가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작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 모듈은,
    상기 의뢰서를 기반으로 한 상기 커스터마이징 화장품의 제작 진행 단계를 상기 의뢰인 단말에 안내하는 진행 단계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작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 모듈은,
    상기 제작 진행 단계를 안내받은 상기 의뢰인 및 시스템 관리자 사이의 양방향 대화를 허가하는 실시간 상담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작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20010084A 2022-01-24 2022-01-24 스마트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작 시스템 KR102425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084A KR102425008B1 (ko) 2022-01-24 2022-01-24 스마트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084A KR102425008B1 (ko) 2022-01-24 2022-01-24 스마트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5008B1 true KR102425008B1 (ko) 2022-07-25

Family

ID=82608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0084A KR102425008B1 (ko) 2022-01-24 2022-01-24 스마트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0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4722A (ko) * 2010-06-09 2011-12-15 (주)에이브 소비자 맞춤형 화장품 제조방법
KR20170082156A (ko) * 2015-12-24 2017-07-14 윤필환 온라인을 이용한 고객 맞춤형 화장품 주문 서비스방법
KR20190037777A (ko) * 2017-09-29 2019-04-08 유씨엘 주식회사 두피염증 예방 및 완화, 및 탈모방지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26222A (ko) * 2019-08-29 2021-03-10 도운 피부미용업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화장품 제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4722A (ko) * 2010-06-09 2011-12-15 (주)에이브 소비자 맞춤형 화장품 제조방법
KR20170082156A (ko) * 2015-12-24 2017-07-14 윤필환 온라인을 이용한 고객 맞춤형 화장품 주문 서비스방법
KR20190037777A (ko) * 2017-09-29 2019-04-08 유씨엘 주식회사 두피염증 예방 및 완화, 및 탈모방지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26222A (ko) * 2019-08-29 2021-03-10 도운 피부미용업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화장품 제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743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customized cosmetic and pharmaceutical formulations on demand
Gottlieb et al. The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clobetasol propionate foam 0.05% in the treatment of mild to moderate plaque-type psoriasis of nonscalp regions
US20060010004A1 (en)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products
Dragicevic-Curic et al. Stability evaluation of temoporfin-loaded liposomal gels for topical application
Rähse Cosmetic creams: development, manufacture and marketing of effective skin care products
Petrosyan et al. Assessing the frequency of adverse reactions induced by melanin‐containing formulations used for the management of solar dermatitis
KR102425008B1 (ko) 스마트 커스터마이징 화장품 제작 시스템
JP2012184182A (ja) 化粧料用リポソーム及び化粧料
WO2024083001A1 (zh) 稳态双层型化妆水及其制备方法
McGinty et al. Fragrance material review on phenethyl acetate
KR20210047069A (ko) 젤 타입의 향수 화장료 조성물
JPS61282310A (ja) 毛髪化粧料
Oza et al. Statistical Optimization of Miconazole Nitrate Microemulgel by Using 23 Full Factorial Desing
Guertler et al.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a detergent and care component for rosacea patients: A split‐face, vehicle‐controlled, randomized trial
Sharma et al. Holistic development of coal tar lotion by embedding design of experiments (DoE) technique: Preclinical investigations
Pantini et al. Sunless tanning products containing dihydroxyacetone in combination with a perfluoropolyether phosphate
Newton et al. A cross-sectional review of contact allergens in popular self-tanning products
US20220062130A1 (en) Skin care compositions including azelaic acid and methods of making a skin care composition
JP2522803B2 (ja) 化粧料
KR102505873B1 (ko) 피부타입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 제공방법
JP2019131507A (ja) 皮膚外用剤又は化粧料
JP5658885B2 (ja) 化粧料の製造方法
Vance Beauty to die for: The cosmetic consequence
KR100777543B1 (ko) 젤타입 화장수 조성물
JP2023540049A (ja) アゼライン酸を含むスキンケア組成物及びスキンケア組成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