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4139B1 - Digital electronic teaching desk with improved security of combining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 and internet of things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igital electronic teaching desk with improved security of combining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 and internet of things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4139B1
KR102424139B1 KR1020220060710A KR20220060710A KR102424139B1 KR 102424139 B1 KR102424139 B1 KR 102424139B1 KR 1020220060710 A KR1020220060710 A KR 1020220060710A KR 20220060710 A KR20220060710 A KR 20220060710A KR 102424139 B1 KR102424139 B1 KR 102424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cture
information
electronic device
inpu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7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기도
Original Assignee
(주) 아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하 filed Critical (주) 아하
Priority to KR1020220060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413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1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47B19/02Church pulpits ; Stands for lectur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n electronic teaching desk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teaching desk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identifying an instructor based on a first control input being inputted; unlocking the electronic teaching desk and determining a designated lecture material, based on authority of the identified instructor; and outputting at least one object among the lecture materials based on a second control being inputted.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apparatus processing data for a lecture, and the operation method thereof.

Description

인공지능 기능 및 사물인터넷 기능을 융합한 보안성이 향상된 디지털 전자교탁 및 그 동작방법{DIGITAL ELECTRONIC TEACHING DESK WITH IMPROVED SECURITY OF COMBINING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 AND INTERNET OF THINGS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DIGITAL ELECTRONIC TEACHING DESK WITH IMPROVED SECURITY OF COMBINING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 AND INTERNET OF THINGS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기능 및 사물인터넷 기능을 융합한 보안성이 향상된 디지털 전자교탁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공지능 및 사물인터넷에 기반하여 입력되는 제어입력을 식별 및 판단하고, 식별된 제어명령에 기반하여 기기의 동작을 실현하되, 정보의 보안 여부에 따라서 외부 출력을 방지하도록 보안성이 강화된 디지털 전자교탁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electronic classroom with improved security that combine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ternet of Things functions,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identifying and judging a control input inpu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ternet of Things; It relates to a digital electronic classroom with enhanced security so as to realize the operation of the device based on the identified control command, but prevent external output depending on whether the information is secure,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근래 들어 강의실 또는 회의실에서 디지털 환경으로의 변화에 따라 여러 가지 강의 또는 회의 도구들이 디지털 장비로 대체되고 그에 따라 의사소통 방식도 양방향 디지털 소통으로 변화하게 되었다.In recent years, as the classroom or meeting room changes to a digital environment, various lecture or meeting tools are replaced with digital equipment, and the communication method has also changed to two-way digital communication.

종래에는 교실에서 교사가 칠판에 판서하며 강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 교육장비의 개발과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발전에 실내 기자재를 이용하여 강의를 지원하는 전자교탁이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며, 전자교탁은 강의실 내부의 기자재들을 이용하여 강의자에게 보다 원활한 강의 환경을 제공한다.In the past, it was common for teachers to lecture by writing on the blackboard in the classroom, but in recent years, with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equipment and the development of multimedia systems, electronic classrooms that support lectures using indoor equipment are becoming popular. Provides a smoother lecture environment for lecturers by using the equipment of

지능화 개인화 사물정보화 시대의 발전에 따라 IoT 및 AI 기능이 융합된 전자교탁을 구현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the era of intelligence, personaliz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the need to implement an electronic classroom in which IoT and AI functions are fused is being raised.

이와 관련하여, 인공지능(AI)의 장비와 프로세스의 발달은 조명, 음향, 냉/난방기, 스크린, 빔 프로젝터의 작동 등을 자연스럽게 조작하는 잔치와 환경을 제공하고, 전통적인 입력 장치(예를 들어,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가 아닌 사용자의 오디오 음성 인식이나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입력(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에 의해 다양한 디바이스에 특정한 명령어를 전달하고 컨트롤하는 기술이 등장하고 있다.In this regard, the development of equipment and process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provides a feast and environment that naturally manipulates the operation of lighting, sound, air conditioners, screens, beam projectors, etc., and traditional input devices (e.g., A technology for transmitting and controlling specific commands to various devices by input (eg, smartphone, tablet) using a user's audio voice recognition or wireless Internet rather than a keyboard or mouse (eg, a keyboard or mouse) is emerging.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강사의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권한을 식별하고, 인공지능 기술을 기초로 식별된 음성에 포함된 단어들에 기반하여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고, 강의를 위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전자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uthority is identified based on the instructor's control input, unlocking the device based on words included in the voice identified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data for lectu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강사의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강의자료를 가공하고 재생성하는 전자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and regenerating lecture materials based on a control input of an instructor,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인공지능 및 사물인터넷(IoT) 기술에 기반하여 처리되는 강의자료를 다양한 외부장치를 통하여 제공하는 전자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that provides lecture data processed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through various external devices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통하여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Problems to be solved throug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for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되는 제1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강사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강사의 권한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교탁의 잠금을 해제 및 지정된 강의자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입력되는 제2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강의자료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교탁의 동작방법을 개시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ing: identifying an instructor based on an input first control input; unlocking the electronic classroom table and determining designated lecture materials based on the identified authority of the instructor; and outputting at least one object among the lecture materials based on the second control input inputted.

여기서, 상기 식별된 강사의 권한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교탁의 잠금을 해제 및 지정된 강의자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강사가 강의시간표에 기반하여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강의 클래스에 권한을 가진 강사인 경우 상기 전자교탁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ep of unlocking the electronic classroom table and determining the designated lecture material based on the identified authority of the instructor, if the instructor is an instructor with authority to the lecture class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time based on the lecture timetable It may include; unlocking the electronic classroom table.

여기서, 상기 식별된 강사의 권한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교탁의 잠금을 해제 및 지정된 강의자료를 결정하는 단계는, 강의 클래스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강의 클래스에 대한 레벨, 강의진도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기반하여 레벨 및 분량 중 적어도 일부에 따라서 구분된 복수의 강의자료 중 상기 지정된 강의자료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ep of unlocking the electronic classroom table and determining the designated lecture material based on the identified authority of the instructor may include: confirming a lecture class; and determining the specified lecture material from among a plurality of lecture materials divided according to at least a part of a level and a quantity based on at least one state of a level for the lecture class and a lecture progress.

여기서, 상기 입력되는 제2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강의자료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지정된 강의자료 및 상기 제2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강의 클래스의 강의진도를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서버, 인터넷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하여 상기 제2 제어입력 및 상기 강의진도에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ep of outputting at least one object of the lecture data based on the second control input may include determining a lecture progress of a lecture class based on the specified lecture data and the second control input, and at least one retriev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control input and the lecture progress through at least a part of the server and the Internet.

여기서, 상기 입력되는 제2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강의자료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출력하는 단계는, 제3 제어입력을 확인하는 단계; 및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입력되는 텍스트, 상기 제3 제어입력, 및 상기 강의 클래스에 대한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강의진도와 관련된 문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outputting of at least one object among the lecture materials based on the second control input may include: checking a third control input; and generating a problem related to the lecture progress based on the text input through at least one connected external display, the third control input, and the level for the lecture class.

여기서, 입력되는 제2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강의자료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출력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한 상기 제2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비율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과 관련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 및 상기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ep of outputting at least one object of the lecture material based on the input second control input may include determining a ratio of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object based on the second control input to the at least one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adjusting; determin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at least some region; and outputting the at least partial region and the related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한 상기 제2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비율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의 특정 위치를 선택하는 상기 제2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위치에 대응되는 특정 구조의 하위구조를 식별하는 지정된 사이즈로 확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과 관련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하위구조와 관련된 텍스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일부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djusting the ratio of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object based on the second control input for the at least one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may include: Based on the second control input for selecting a specific location of the object, Including; enlarging to a specified size for identifying a substructure of a specific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location; and determin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at least partial region includes: at least some information of text and images related to the substructure It may includ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조작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음성을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되는 제1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강사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강사의 권한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교탁의 잠금을 해제 및 지정된 강의자료를 결정하며, 및 입력되는 제2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강의자료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전자교탁을 개시한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isplay capable of touch manipulation; at least one microphone for receiving voice;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other electronic device; and identifying an instructor based on a first control input input through the at least one microphone, unlocking the electronic classroom and determining designated lecture materials based on the identified authority of the instructor, and 2 Based on the control input, th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o output at least one object of the lecture material; including, discloses an electronic classroom.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마이크를 통한 음성인식 제어명령에 기반하여 강의자료를 확대 또는 축소하며, 강의자료의 품질이 확대 또는 축소에 적절하지 못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동일 또는 유사한 고품질 자료로 대체함으로써 고품질의 강의자료를 제공하고, 따라서 강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cture material is enlarged or reduced based on the voice recognition control command through the microphon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quality of the lecture material is not suitable for enlargement or reduction, it is replaced with the same or similar high-quality material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ovide high-quality lecture materials and thus improve the quality of lecture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강사의 음성 입력 등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강의자료와 관련된 자료를 검색/획득하여 제공하고, 인공신경망과 같은 AI에 기반하여 강의 클래스의 수준을 고려하고 학생의 테스트를 위한 문제를 생성하는 등 강의자료를 재생성함으로써 강의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based on the instructor's voice input, etc., data related to the lecture material displayed on the display is searched/acquired and provided, and the level of the lecture class is considered based on AI such as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the student's test The value of lectures can be improved by regenerating lecture materials, such as creating problems for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식별된 강사의 음성입력에 기반하여 표시된 강의자료를 가공하고 재생성함으로써, 강의자료를 풍부하게 활용할 수 있고, 따라서 강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cessing and regenerating the displayed lecture material based on the instructor's voice input identified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e lecture material can be used abundantly, and thus the quality of the lecture can be improved. .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교탁을 통하여 출력하는 강의자료와 재생성된 강의자료의 출력을 지정된 조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다양한 외부장치를 통하여 제공하고 조명 등 연결된 장치들을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제어함으로써, 학생들의 강의 집중도를 높이고 사물인터넷(IoT) 기술의 가치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cture data output through the electronic classroom table and the output of the regenerated lecture data are provided through various external device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based on specified conditions, and connected devices such as lighting are provided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By controlling th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음성에 기반하는 제어입력을 처리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음성에 기반하는 제어입력을 처리하는 세부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터치입력 및 마이크를 통한 음성입력을 처리하는 전자교탁으로서 구현된 전자장치를 도시한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n operation of processing a control input based on voice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 detailed operation of processing a control input based on voice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an electronic device implemented as an electronic classroom for processing a touch input of a display and a voice input through a micro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 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for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Components included in one embodiment and components having a common func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s in other embodi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descriptions described in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s well, and detailed descriptions within the overlapping range will be omitted.

전자장치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는 '정보'의 용어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Data' processed by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expressed in terms of 'information'. Here, information may be used as a concept including data.

본 발명은, 제어입력에 대한 강의자료를 결정, 재생성 및 출력하는 동작에 있어서, 인공지능을 통해서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전자교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을 이용하여 강의실에 구비된 다양한 장치들을 원격 제어함으로써 학생들이 강의의 집중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전자교탁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an electronic classroom for effectively processing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operation of determining, regenerating, and outputting lecture material for control input. In addition, an electronic classroom that creates an environment so that students can concentrate on lectures by remotely controlling various devices provided in the classroom using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교탁은 마이크를 포함하는 전자장치로 구성되며, 내부 디스플레이 또는 외부 연결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객체의 비율을 조절하고, 확대 및/또는 축소된 객체의 일부와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electronic classroom is configured with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microphone, adjusts the ratio of an object displayed on an internal display or an externally connected display, and information related to a part of an enlarged and/or reduced object can suggest a way to deal with it.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The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to the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should not be interpre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전자장치(100)는 처리부(110), 저장부(120), 통신부(130), 및 입출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입출력부(140) 중 입력부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출력부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참고로, 터치 조작이 가능한 상기 디스플레이의 경우 전자장치(100) 내부 디스플레이가 아닌 외부에 존재(ex 전자칠판, 빔프로젝터 등)하여 상기 전자장치(1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a processing unit 110 , a storage unit 120 , a communication unit 130 , and an input/output unit 140 .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input unit of the input/output unit 140 includes at least one microphone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and the output unit may include a speaker, a display, and the like, although not shown. For reference, in the case of the display capable of touch manipulation, it may exist outside the display inside the electronic device 100 (eg, an electronic board, a beam projector, etc.) and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

전자장치(100)는 제어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00)는 입출력부(140)의 디스플레이 및/또는 마이크를 통하여 제어입력을 수신하고, 제어입력 및 제어입력과 관련된 데이터를 처리하며, 입출력부(140)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처리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rocess a control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receives a control input through a display and/or a microphone of the input/output unit 140 , processes the control input and data related to the control input, and displays the input/output unit 140 . The processing result can be output through .

예를 들면, 제어입력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객체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고, 지정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터치입력, 드래그 입력, 및/또는 입력부를 통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input may include a touch input, a drag input, and/or an input through an input unit for selecting at least a part of an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performing a specified function.

또한, 마이크를 통하여 특정 권한을 가진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함으로써 객체에 대한 명령을 입력(제어 입력)할 수 있다. 또는 마이크를 통하여 특정 권한을 가진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포인터 등을 조작하고, 객체에 대한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전자장치(100)의 처리부(110)에서는 인공지능 기술(ex STT(speak to text), 자연어 처리 기술 등)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In addition, a command for an object may be input (control input) by inputting the voice of a user having a specific authority through the microphone. Alternatively, by inputting the voice of a user having a specific authority through a microphone, a pointer displayed on the display may be manipulated, and a command for an object may be processed. For reference, the processing unit 11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ognize the user's voice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eg, STT (speak to text),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ology, etc.).

또한, 전자장치(100)는 인공지능 기술 등을 통해 인식한 사용자의 음성을 기반으로 전자장치(100)의 주변 기기(ex 조명, 빔프로젝터, 스피커 등)에 대한 제어를 컨트롤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조명 on/off 음성 명령을 인식한 경우, 전자장치(100)는 IoT를 기반으로 연결된 조명을 on/off 시킬 수 있는 것이다.Also,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control of peripheral devices (eg, lighting, beam projector, speaker, etc.)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based on the user's voice recognized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or the like. For example, when recognizing a lighting on/off voice command from a user,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turn on/off the connected lighting based on IoT.

처리부(110)는 터치 및/또는 음성 등에 기반하는 제어입력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앱, 어플, 툴, 플러그인 등, 이하 제어입력 처리 프로그램)을 통하여 사용자 장치와 데이터 처리를 공유할 수 있고, 처리부(110)는 설치된 제어입력 처리 프로그램을 통하여 전자장치(100)의 동작을 설정 및/또는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110 may share data processing with the user device through a program (app, application, tool, plug-in, etc., hereinafter control input processing program) for control input processing based on touch and/or voice, and the processing unit ( 110 may set and/or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hrough the installed control input processing program.

이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장치(100)가 제어입력과 관련된 이벤트를 수행하거나 제공하는 것은, 전자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제어입력 처리 관련 프로그램을 통하여 지정된 이벤트들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Hereinafter, in various embodiments,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performs or provides an event related to a control input, it may be understood that events specified through at least one control input processing related program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re provided. have.

여기서, 제어입력 처리는 전자장치(100)에 설치된 제어입력 처리 프로그램을 통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기 설치된 다른 프로그램 또는 임시 설치 프로그램을 통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Here, the control input processing is described as being provided through the control input processing program install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through another pre-installed program or a temporary installation program.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입력 처리는 전자장치(100) 외부 장치에서 무료 또는 유로로 제공되는 데이터베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input processing may be performed through at least a part of a database provided free of charge or in a flow path from an external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전자장치(100)의 동작은 처리부(110)의 데이터 처리 및 제어에 기반하여 수행된다.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performed based on data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processing unit 110 .

처리부(110)는 음성 인식 명령(마이크 이용) 또는 디스플레이 기반 명령을 통한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강의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강의와 관련된 정보는, 전자장치(100)의 저장부(120) 및/또는 전자장치(100)와 연결된 서버에 저장된 강의시간표, 강의 시간표에 따라서 지정된 강의 클래스 정보, 강사정보, 강의계획, 강의자료, 및 이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110 may output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lectures on the display based on a control input through a voice recognition command (using a microphone) or a display-based command. Here, the lecture-related information includes a lecture timetab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or a server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lecture class information designated according to the lecture timetable, lecturer information, lecture plan, It may include at least some of lecture materials and related information.

더하여, 강의 클래스 정보는 강의시간표에 따른 과목, 학년, 강의시간, 강사이름, 클래스 레벨(level, 또는 수준)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cture class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a part of a subject, grade, lecture time, instructor name, and class level (or level) according to the lecture timetable.

처리부(110)는 내부 디스플레이 또는 외부 디스플레이(ex 전자칠판, 빔프로젝터 등)를 통하여 강의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객체는 텍스트 및/또는 이미지를 포함하며, 텍스트 및/또는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박스(box), 및 창(window, 또는 윈도우)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객체는 강의와 관련된 텍스트 및/또는 이미지를 포함하고 박스 또는 창을 통하여 구현되는 정보일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110 may display at least one object related to a lecture through an internal display or an external display (eg, an electronic board, a beam projector, etc.). Here, the object includes text and/or an image, and may be implemented through at least a portion of a box and a window for displaying the text and/or image. That is, the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may be information including text and/or images related to a lecture and implemented through a box or a window.

처리부(110)는 강사의 강의 클래스에서 디스플레이 및/또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처리부(110)는 마이크를 통해서 수신하는 음성에 기반하여 제어입력을 결정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110 may check a control input input through a display and/or a microphone in the lecture class of the instructor.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110 may determine a control input based on a voice received through a microphone.

처리부(110)는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되는 음성들의 적어도 일부를 식별하고, 지정된 사용자의 음성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사용자의 음성을 구분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110 may identify at least some of the voice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confirm the voice of the specified user. For example, the voice of the user having the authority to control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distinguished.

예를 들면, 처리부(110)는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되는 오디오에서 사람의 음성을 구분하고, 음성의 주파수에 기반하여 등록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처리부(110)는 음성의 주파수에 기반하여, 진동수, 톤, 패턴, 발음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각각의 특징 요소에 기반하여 사람들 개개인의 음성을 구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110 may distinguish a human voice from audio input through a microphone, and identify a registered user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voice. In this case, the processing unit 110 may check information such as frequency, tone, pattern, and pronunciation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voice, and may classify individual voices based on each characteristic element.

결국, 처리부(110)는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되는 음성들 중 저장부(120)에 등록된 강사의 음성을 식별할 수 있고, 해당 강의 클래스에 지정된(또는 권한을 가진) 강사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processing unit 110 may identify the instructor's voice registered in the storage 120 among the voice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and check whether the instructor is a designated (or authorized) instructor in the corresponding lecture class. .

처리부(110)는 입력된 음성에 기반하여 식별된 사용자가 해당 강의 클래스에 지정된 강사인 것을 결정하면, 전자장치(10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이때, 강의 클래스, 강의 클래스에 권한을 가진 강사, 및 전자장치(100)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특정 단어 또는 문장이 설정될 수 있고, 처리부(110)는 적어도 일부 조건을 만족한 것을 확인하면 전자장치(10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based on the input voice that the identified user is a lecturer assigned to a corresponding lecture class, the processor 110 may unlock the electronic device 100 . In this case, a lecture class, a lecturer with authority to the lecture class, and a specific word or sentence for unlock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set, and the processing unit 110 determines that at least some conditions are satisfied. The device 100 may be unlocked.

예를 들면, 처리부(110)는 강의시간표에서 현재 시각에 해당되는 강의 클래스를 결정하고,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들 중 강의 클래스에 지정된 강사의 음성을 식별할 수 있다. 처리부(110)는 식별된 강사의 음성이 강의 클래스에 지정된 강사로서 전자장치(10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강사인 것을 확인하면, 전자장치(10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110 may determine a lecture class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time in the lecture timetable, and may identify the lecturer's voice assigned to the lecture class among voice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The processing unit 110 may unlock the electronic device 100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identified instructor's voice is the instructor designated in the lecture class and has the authority to unlock the electronic device 100 . .

더하여, 처리부(110)는 해당 강의 클래스에 권한을 가진 지정된 강사의 음성으로부터 특정단어, 예를 들면, "안녕하세요"등 지정된 단어를 확인하면 전자장치(100)를 해제할 수 있다. 즉, 처리부(110)는 지정된 강사로 하여금 특정단어 또는 특정문장을 미리 녹음하도록 할 수 있고,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이후 해당 강사의 음성에 기초한 특정단어 또는 특정문장을 확인하는 경우 전자장치(100)를 해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ing unit 110 may release the electronic device 100 when a specific word, for example, a designated word such as “hello”, is identified from the voice of a designated instructor having authority to the corresponding lecture class. That is, the processing unit 110 may allow a designated instructor to pre-record a specific word or a specific sentence, and based 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hen the specific word or specific sentence based on the instructor's voice is checked, the electronic device 100 ) can be turned off.

경우에 따라서, 처리부(110)는 강사의 구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녹음되는 상기 특정단어 또는 특정문장의 길이를 일정 기준이상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ex 특정 단어의 경우 5글자 이상, 특정문장의 경우 20글자 이상).In some cases, the processing unit 110 may set the length of the recorded specific word or specific sentence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standard in order to facilitate the classification of the instructor (ex. 5 characters or more in the case of a specific word, in the case of a specific sentence) 20 characters or more).

처리부(110)는 현재 시각, 강의 클래스, 및 강의 클래스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강의자료를 결정할 수 있다. 처리부(110)는 강의 클래스 정보에 기반하여 클래스 레벨을 확인하고, 강의진도, 학업성취도, 지난 강의에 대한 코멘트 중 적어도 일부 정보에 기반하여 강의자료를 결정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110 may determine at least one lecture material based on the current time, lecture class, and lecture class information. The processing unit 110 may determine a class level based on lecture class information, and determine lecture material based on at least some information of lecture progress, academic achievement, and comments on the past lecture.

처리부(110)는 강의진도에 대하여 복수의 레벨에 대한 강의자료를 포함할 수 있고, 강의 클래스의 클래스 레벨, 학업성취도, 및 강의진도 중 적어도 일부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레벨에 대한 강의자료 중 강의 클래스에 적합한 강의자료를 결정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110 may include lecture data for a plurality of levels with respect to the lecture progress, and based on at least some information of the class level of the lecture class, academic achievement, and lecture progress, a lecture among lecture materials for a plurality of levels You can decide which lecture material is suitable for the class.

더하여, 처리부(110)는 강의 클래스 정보에 포함된 학년, 과목, 강의진도, 및 지난 강의에서 진도와 관련된 코멘트에 기반하여 매칭되는 강의자료를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ing unit 110 may determine the matching lecture material based on the grade, subject, lecture progress, and comments related to progress in the past lecture included in the lecture class information.

처리부(110)는 결정한 강의자료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강의자료들은 강사를 위한(강사용) 자료, 및 학생을 위한(학생용) 자료가 구분될 수 있다. 더하여, 하나의 강의자료 내에서도 강사용 정보와 학생용 정보가 구분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110 may display the determined lecture material on th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lecture materials may be divided into materials for instructors (for instructors) and materials for students (for students). In addition, information for instructors and information for students can be distinguished even within one lecture material.

처리부(110)는 강사용 자료는 강사의 권한이 적용되는 장치의 디스플레이, 예를 들면, 전자장치(100)의 입출력부(14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또는 외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하고, 학생용 자료는 전자장치(100)의 디스플레이 뿐 아니라 전자장치(100)와 연결된 외부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110 outputs the instructor data through the display of the device to which the instructor's authority is applied, for example, the display or the external display included in the input/output unit 14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student data is electronic It may be processed to output through the display of the device 100 as well as an external displa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처리부(110)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객체를 터치 및/또는 드래그하는 입력에 기반하여 제어입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처리부(110)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객체의 일부를 선택하거나, 일부 영역을 선택하고, 확대 또는 축소를 위하여 지정된 제어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ing unit 110 may determine a control input based on an input of touching and/or dragging an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110 may select a part of an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select a partial area, and check a control input designated for enlargement or reduction.

처리부(110)는 제어입력에 지정된 비율에 따라서 선택된 객체의 일부를 확대하거나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이때, 처리부(110)는 객체의 확대 또는 축소에 따라서 객체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을 식별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110 may enlarge or reduce a portion of the selected object according to a ratio specified in the control input. In this case, the processing unit 110 may identify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object according to the enlargement or reduction of the object.

예를 들면, 처리부(110)는 제1 구성요소 및 제2 구성요소를 표시하는 객체에서 제1 구성요소를 확대하는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제1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확대하는 경우, 제1 구성요소에 포함되는 제1-1 하위구성요소(이하, 하위요소) 및 제1-2 하위요소를 표시 및 식별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rocessing unit 110 enlarges the first component based on the first component based on a control input for enlarging the first component in the object displaying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the first component It is possible to display and identify the 1-1 sub-elements (hereinafter, sub-elements) and 1-2 sub-elements included in the .

여기서, 상기 제1 구성요소가 확대되는 경우, 이에 비례하여 상기 제2 구성요소는 축소될 수 있다. 즉, 처리부(110)는 제1 구성요소를 확대하는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제1 구성요소를 확대하고, 상기 제1 구성요소 및 제2 구성요소가 모두 디스플레이의 사이즈에 포함되도록 상기 제2 구성요소를 축소할 수 있는 것이다.Here, when the first component is enlarged,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duced in proportion thereto. That is, the processing unit 110 enlarges the first component based on a control input for enlarging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so that both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are included in the size of the display. can be reduced.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처리부(110)는 제1-2 하위요소를 표시하는 객체에서 제1-2 하위요소를 선택하고 축소하는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제1-2 하위요소를 기준으로 축소하는 경우, 제1 구성요소 및 제1 주변의 제2 구성요소를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ing unit 110 selects the 1-2 sub-element from the object displaying the 1-2 sub-element and reduces the scale based on the 1-2 sub-element based on a control input for reducing. , a first component and a second component surrounding the first may be display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생물학 강의 클래스에서 위, 소장 대장을 포함하는 소화기관의 이미지를 객체로 디스플레이에 표시한 상태에서 소장을 선택 및 확대하는 제어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a biology lecture class, a control input for selecting and enlarging the small intestine may be received while the image of the digestive system including the stomach, small intestine and large intestin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s an object.

더하여, 처리부(110)는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된 강사의 음성으로부터 "소장", 및 "확대"등 지정된 단어를 확인함으로써, 소장을 선택 및 확대하는 제어입력을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ing unit 110 may determine a control input for selecting and enlarging the small intestine by checking designated words such as “small intestine” and “enlargement” from the instructor's voic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처리부(110)는 객체에 포함된 이미지 및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를 인식, 식별, 검출, 및/또는 추출할 수 있다. 처리부(110)는 이미지에 포함된 위, 소장, 및 대장 중 적어도 일부를 식별하고,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선택된 위를 선택하여 확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110 may recognize, identify, detect, and/or extract at least some components of an image and text included in an object. The processing unit 110 may identify at least a portion of the stomach, small intestine, and large intestine included in the image, and select the selected stomach based on the control input to perform an enlargement operation.

처리부(110)는 위 영역을 확대함에 있어서, 객체의 이미지 품질이 위의 세부 요소를 표시 가능할 정도의 해상도를 가지는 경우 위 영역을 확대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처리부(110)는 위의 이미지를 확대 중에 융모를 식별할 수 있고, 위에 포함되는 하위요소로서 융모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When enlarging the upper region, the processing unit 110 may display the enlarged image of the upper region on the display if the image quality of the object has a resolution sufficient to display the detailed elements.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110 may identify the villi while magnifying the image above, and may output the image of the villi as a sub-element included above on the display.

또는, 처리부(110)는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강사의 음성에 대하여 "소장", 및 "확대"의 단어를 확인하고, "융모"및/또는 "포함"등 지정된 단어를 확인하는 경우, 융모를 하위요소로서 포함하는 위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processing unit 110 checks the words of "small intestine" and "enlargement" with respect to the lecturer's voic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and when checking designated words such as "villi" and/or "including", villi The above image included as a sub-element can be output to the display.

처리부(110)는 객체의 이미지가 위 영역을 확대하여도 융모를 식별할 수 없는 품질의 이미지인 경우, 전자장치(100)와 연결된 서버, 및/또는 인터넷을 통하여 위의 하위요소를 표시하는 이미지를 검색하고 획득할 수 있다.When the image of the object is of a quality in which villi cannot be identified even when the image of the object is enlarged, the image for displaying the above sub-elements through the server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or the Internet can be searched for and obtained.

처리부(110)는 위의 하위요소를 표시하는 이미지를 획득함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위의 이미지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이미지 및 이의 하위요소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다.In obtaining the image displaying the above sub-element, the processing unit 110 may search for an image tha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abov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an image including the sub-element.

처리부(110)는 특정 구성요소(예: 위)에서 하위요소(예: 융모)를 식별 가능할 정도로 확대함에 있어서 복수의 단계로 확대 비율을 구분할 수 있다. 처리부(110)는 이미지를 확대/축소하는 복수의 단계를 구분함에 있어서, 해상도 및/또는 비율에 기반하여 처리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110 may classify the magnification ratio into a plurality of steps in enlarging a sub-element (eg, villi) in a specific component (eg, above) to the extent that it can be identified. In classifying a plurality of steps of enlarging/reducing an image, the processing unit 110 may process it based on a resolution and/or a ratio.

더하여, 처리부(110)는 융모를 선택 및 확대하는 제어입력을 확인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융모의 하위요소를 확인 가능한 비율로서 융모 영역을 확대하고 융모의 세포, 신경, 혈관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융모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ocessing unit 110 confirms the control input for selecting and enlarging the villi, as described above, the villi region is enlarged at a rate that can confirm the sub-elements of the villi and includes at least some of the cells, nerves, and blood vessels of the villi. An image of the villi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또한, 처리부(110)는 처리부(110)는 객체의 적어도 일부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스킵(skip)하여 이미지 확대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ocessing unit 110 performs an operation of enlarging or reducing at least a part of the object, the processing unit 110 may perform image enlargement by skipping at least one step.

예를 들면, 소화기관을 구성하는 위, 소장 및 대장 등을 구성요소로서, 위를 구성하는 융모 등은 제1 깊이(depth) 하위요소, 융모를 구성하는 세포, 신경, 혈관 등은 제2 깊이 하위요소로 가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tomach, small intestine, and large intestine constituting the digestive system are components, and the villi constituting the stomach have a first depth sub-element, and the cells, nerves, blood vessels, etc. constituting the villi have a second depth. It can be assumed as a sub-element.

이때, 처리부(110)는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구성요소를 표시하는 이미지에서 제1 깊이 하위요소를 스킵하고 제2 깊이 하위요소를 표시하는 이미지로 확대를 수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cessing unit 110 may skip the first depth sub-element from the image displaying the component based on the control input and enlarge the image to the image displaying the second depth sub-element.

처리부(110)는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객체의 축소를 처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위에 포함되는 융모의 이미지를 객체로서 디스플레이에 표시한 상태에서 융모를 선택하고 확대하는 제어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110 may process the reduction of the object based on the control input.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control input for selecting and enlarging the villi while the image of the villi included abov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s an object.

이때, 처리부(110)는 융모 영역을 기준으로 하는 구성요소로서 확대를 수행하며, 융모의 상위요소로서 지정된 위를 포함하는 소화기관의 이미지를 객체로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처리부(110)는 위의 융모에 대한 상위구성요소(이하, 상위요소)로서 위를 포함하고, 위의 주변기관(예: 소장 및/또는 대장)의 적어도 일부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cessing unit 110 performs the enlargement as a component based on the villi region, and may display the image of the digestive system including the stomach designated as the upper element of the villi as an object on the display. The processing unit 110 may display an image that includes the stomach as an upper compon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upper element) for the villi of the stomach, and further includes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rounding organs (eg, small intestine and/or large intestine) of the stomach. have.

처리부(110)는 융모영역을 기준으로 이미지를 축소함으로써 위, 소장 및 대장의 상위요소를 식별할 수 없는 경우, 서버 및/또는 인터넷을 통하여 위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processing unit 110 cannot identify upper elements of the stomach, small intestine and large intestine by reducing the image based on the villi region, the processing unit 110 may acquire the above image through a server and/or the Internet and display it on the display.

처리부(110)는 검색을 통하여 융모의 상위요소로서 위, 소장 및 대장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경우, 위, 소장, 및 대장 각각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를 조합한 소화기관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processing unit 110 displays an image including the stomach, small intestine, and large intestine as upper elements of villi through a search, the image of the stomach, small intestine, and large intestine is acquired and combined with the image of the digestive system can be displayed. have.

처리부(110)는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제1 구성요소를 선택 및 확대함으로써 제1 하위요소를 표시하는 제어입력에 대하여, 제1 구성요소 및/또는 제1 하위요소와 관련된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110 may display the first component and/or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sub-element together with the control input for displaying the first sub-element by selecting and enlarging the first component among the plurality of components. can

처리부(110)는 저장부(120) 또는 서버의 강의자료에 포함된 제1 구성요소 및/또는 제1 하위요소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또는 인터넷으로부터 제1 구성요소 및/또는 제1 하위요소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여 획득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110 may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component and/or the first sub-element included in the lecture material of the storage unit 120 or the server, or the first component and/or the first component from the Internet. Information obtained by searching for information related to sub-elements can be displayed.

처리부(110)는 제1 구성요소 및/또는 제1 하위요소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 및 획득함에 있어서, 강의 클래스에 대한 레벨, 강의진도,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식별된 강사의 텍스트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기반하여 처리할 수 있다.When the processing unit 110 searches for and obtains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component and/or the first sub-element, the level of the lecture class, the lecture progress, and the text input of the instructor identified through the display are in at least one state. can be processed based on

예를 들면, 처리부(110)는 강의 클래스에 대한 레벨, 강의진도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기반하여 검색 깊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구성요소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함에 있어서, 제1 구성요소와 관련된 제1 관련정보를 제1 검색 깊이라고 정의하였을 때, 제1 관련정보와 관련된 제2 관련정보를 제2 검색 깊이로 정의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110 may determine the search depth based on at least one of a level for a lecture class and a lecture progress. For example, in retrie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component, when the first relat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component is defined as the first search depth, the second relat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related information is searched for a second time depth can be defined.

여기서,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식별된 강사의 텍스트 입력은, 전자장치(100)의 디스플레이에 터치 입력된 텍스트, 키보드와 같은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텍스트, 외부 디스플레이에 입력된(예: 강사의 판서) 텍스트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input of the instructor's text identified through the display is selected from among the text inputted by touch on the display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text inputted through an input unit such as a keyboard, and the text inputted to the external display (eg, the instructor's writing). It may include at least a portion.

더하여, 처리부(110)는 인공지능 기술을 통하여 인식한 강사의 음성에 기반하여 관련된 정보를 검색 및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처리부(110)는 강사의 음성으로부터 "검색" 등의 지정된 단어를 확인하면, 전/후 지정된 단어 중 적어도 일부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ing unit 110 may search for and acquire related information based on the instructor's voice recognized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For example, when a designated word such as "search" is identified from the instructor's voice, the processing unit 110 may search for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some of the before/after designated words.

처리부(110)는 제1 관련정보와 관련된 제2 관련정보를 검색함에 있어서, 관련된 정보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1 구성요소와의 관련성을 함께 고려하여, 제1 구성요소 및 제1 관련정보와 관련된 제2 관련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When the processing unit 110 searches for the second relat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related information, the first component and the first related information are combined by considering the relevance of the first component in order to maintain the consistency of the related information. The related second related information may be searched.

처리부(110)는 강의시간표, 강의시간표에 포함된 복수의 강의 클래스, 과목, 강의시간, 강사이름, 클래스 레벨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강의 중인 클래스의 강의진도, 학업성취도, 및/또는 클래스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110 is based on at least a part of a lecture timetable, a plurality of lecture classes, subjects, lecture hours, instructor names, and class levels included in the lecture timetable, lecture progress, academic achievement, and/or class level of the class being lectured. can be decided

예를 들면, 처리부(110)는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되는 강사의 음성에 기반하여 강의진도 및/또는 학업성취도를 결정할 수 있는 단어들을 확인하고, 강의 클래스의 클래스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110 may check words that can determine the lecture progress and/or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lecturer's voic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and determine the class level of the lecture class.

처리부(110)는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된 강사의 음성,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강의와 관련된 객체,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확대/축소되는 객체, 및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학생들의 테스트를 위한 문제를 생성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110 generates a problem for students' tests based on the instructor's voic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the object related to the lecture displayed on the display, the object that is enlarged/reduced based on the control input, and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object. can

처리부(110)는 문제를 생성함에 있어서, 과목, 강의진도, 학업성취도, 클래스 레벨 중 적어도 일부를 함께 고려하여 문제 및 문제의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In generating the problem, the processing unit 110 may determine the problem and the level of the problem by considering at least some of the subject, lecture progress, academic achievement, and class level together.

처리부(11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및/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강의와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문제를 생성하며, 객관식 문제의 경우 문제 및 선택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처리부(110)는 강의와 관련된 정보에 포함된 텍스트 및 이미지, 기존의 문제 및 선택지에 기반하여 지정된 서식에 따라서 문제를 생성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110 generates a problem based on information related to a lecture input through a microphone and/or displayed on a display, and in the case of a multiple-choice problem, it may include a problem and options. In this case, the processing unit 110 may generate a problem according to a designated format based on text and images included in the lecture-related information, existing problems, and options.

여기서, 기존의 문제 및 선택지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서버에 저장된, 또는 인터넷을 통하여 검색된 문제 및 선택지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existing problems and options may include at least some of the problems and option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 stored in the server, or searched through the Internet.

처리부(110)는 기존의 문제 및 선택지를 분리, 결합, 조합하여 질문 및 선택지를 생성할 수 있다. 더하여, 처리부(110)는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된 강사의 음성에서 지정된 단어를 포함하여 문제 및 선택지 중 적어도 일부를 생성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110 may generate questions and options by separating, combining, and combining existing problems and options. In addition, the processing unit 110 may generate at least some of the problems and options, including the specified word from the instructor's voic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처리부(110)는 강의 클래스의 레벨에 대응되는 문제를 생성하고 상위 레벨의 문제 및 하위 레벨의 문제 중 적어도 일부를 더 생성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110 may generate a problem corresponding to the level of the lecture class and further generate at least some of the upper level problem and the lower level problem.

처리부(110)는 강의자료, 확대/축소를 위하여 선택한 객체 및 구성요소, 확대/축소한 구성요소,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전자장치(100)의 디스플레이 뿐 아니라 지정된 외부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110 may output lecture materials, objects and components selected for enlargement/reduction, enlarged/reduced components, and related information on the display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s well as a designated external display.

예를 들면, 강의자료 적어도 일부는 비공개 설정될 수 있고, 비공개 설정된 자료들은 외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되지 않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때, 비공개 처리된 구성요소를 외부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제어입력을 확인하면, 처리부(110)는 선택된 구성요소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at least some of the lecture materials may be set to private, and the materials set to be private may be processed so as not to be output through an external display. In this case, if a control input for outputting the non-publicly processed component to the external display is confirmed, the processing unit 110 may obtain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 as the selected component and display it on the display.

처리부(110)는 구성요소를 확대/축소하는 제어입력에 대하여, 처리된 객체 및 그와 관련된 정보 중 지정된 적어도 일부는 외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확대/축소된 구성요소를 외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하고, 관련된 정보를 전자장치(100)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In response to a control input for enlarging/reducing a component, the processing unit 110 may output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cessed object and information related thereto through an external display. For example, the enlarged/reduced component may be output through an external display, and related information may be output on the display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저장부(120)는 전자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처리부(110) 또는 통신부(130)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제어입력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또는 소프트웨어), 데이터, 데이터에 기반하여 생성된 다양한 카테고리,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20 may store various data used by at least one component (eg, the processing unit 110 or the communication unit 13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data is, for example, processing a control input It may include input data or output data for a program (or software), data, various categories generated based on the data, and instructions related thereto.

저장부(120)는 제어입력 처리를 제공하기 위한 인공신경망 알고리즘, 블록체인 알고리즘, 딥러닝 알고리즘, 및 이와 관련된 메커니즘, 연산자, 언어모델, 빅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20 may include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including at least some of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lgorithm, a block chain algorithm, a deep learning algorithm, and related mechanisms, operators, language models, and big data for providing control input processing. have.

예를 들면, 저장부(120)는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객체를 확대/축소하는 동작에서 관련 이미지 및/또는 텍스트를 검색하기 위한 알고리즘, 및/또는 이와 관련하여 문제와 선택지를 생성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120 stores an algorithm for searching for a related image and/or text in an operation of enlarging/reducing an object based on a control input, and/or an algorithm for generating problems and options in this regard. may include

저장부(120)는 제어입력 처리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120)는 음성인식 알고리즘, 화자인식 알고리즘, 자연어처리 알고리즘 등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되는 오디오에서 음성을 처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20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control input processing.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algorithm for processing a voice in audio input through a microphone, such as a voice recognition algorithm, a speaker recognition algorithm, and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lgorithm.

저장부(120)는 입출력부(140)에 포함된 각각의 장치들을 통해 수신하는 신호를 통하여 지정된 제어 및 동작을 확인하고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20 may include data for checking and processing a specified control and operation through a signal received through each device included in the input/output unit 140 .

저장부(120)를 통하여 설명한 동작들은 처리부(110)에 의하여 처리되며, 관련된 동작들을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중인 데이터, 처리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The operations described through the storage unit 120 are processed by the processing unit 110 , and data for processing related operations, data being processed, and processed data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as a database.

저장부(120)에 저장된 데이터는 전자장치(100)의 관리자 입력 또는 사용자 장치의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처리부(110)를 통하여 변경, 수정, 삭제, 또는 생성될 수 있다.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may be changed, modified, deleted, or generated through the processing unit 110 based on a manager input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or a user input of the user device.

저장부(12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20 may include a volatile memory or a non-volatile memory.

통신부(130)는 전자장치(100)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장치(예: 사용자 장치, 또는 서버)의 유선 통신 채널의 수립,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30 supports establishment of a wired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at least one other electronic device (eg, a user device or a server), establish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and communication through the established communication channel. can

통신부(130)는 처리부(110)에 종속적 또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130)는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include one or more communication processors that operate dependently or independently of the processing unit 110 and support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eg, a cellular communication modul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communication module) or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eg, a local area network (LAN)). communication module, or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통신부(130)는 블루투스, BLE(Bluetooth Low Energy), WiFi, WiFi direct,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ZigBee, UWB, RF(Radio Frequency)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및/또는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30 is a short-range communication network and/or a cellular network, the Internet, or a computer network such as Bluetooth, Bluetooth Low Energy (BLE), WiFi, WiFi direct,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ZigBee, UWB, and RF (Radio Frequency). It can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via a telecommunication network (eg, LAN or WAN).

통신부(130)를 구성하는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modules constituting 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be integrated into one component (eg, a single chip) or may be implemented as a plurality of components (eg, a plurality of chips) separate from each other.

입출력부(140)는 키보드, 마우스, 스타일러스(펜), 마이크 등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미도시), 디스플레이, 스피커, 구동부 등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미도시)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output unit 140 may include at least some of an input unit (not shown) for inputting data, such as a keyboard, a mouse, a stylus (pen), a microphone, and an output unit (not shown) for outputting data, such as a display, a speaker, and a driving unit. have.

마이크는 외부의 음향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변환된 음향신호는 PCM(pulse code modulation) 상태 또는 압축된 형태의 오디오 파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마이크는 음향을 디지털로 변환하는 A/D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는 처리부(110)에서 수행 중인 기능(예: 차트관리 서비스)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The microphone may convert an external sound signal into electrical voice data. The converted sound signal may have a PCM (pulse code modulation) state or a compressed audio waveform. To this end, the microphone may include an A/D conversion unit that converts sound into digital. The converted audio data may be us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a function (eg, a chart management service) being performed by the processing unit 110 .

또한, 입출력부(140)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객체를 대상으로 제어입력이 가능한 터치 디스플레이(이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output unit 140 may include a touch display (hereinafter, a display) capable of inputting a control to an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00) 또는 사용자 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유선 단말기, 고정형 단말기 및 internet protocol(IP) 단말기 등을 비롯한 모든 정보통신기기의 범위의 기능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electronic device 100 or the user device includes at least some of the functions of the range of al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ultimedia terminal, a wired terminal, a fixed terminal, and an internet protocol (IP) terminal. may include.

전자장치(100)는 제어입력 처리를 위한 장치로서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또는 대용량의 데이터베이스(database)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포함하거나 또는 통신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is a device for processing a control input and may include at least some functions of a workstation or a large-capacity database, or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hrough communication.

전자장치(100)와 연결되는 사용자 장치는 휴대폰, 피씨(personal computer, PC), 피엠피(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엠아이디(mobile internet device, MID),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 패블릿 PC, 노트북(notebook)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는 전자장치(100)의 제어입력 처리를 관리하는 장치로 설명할 수 있다.A user devic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a mobile phone, a personal computer (PC),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mobile internet device (MID), a smartphone, a tablet PC, and a PC. A tablet PC, a notebook computer, or the like may be exemplifie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user device may be described as a device for managing control input processing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여기서, 서버는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하나의 엔티티로, 웹 서버(web server), 데이터베이스 서버(database server)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의 역할을 수행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는 전자장치(100)의 처리에 기반하여 사용자 장치에 다양한 컨텐츠를 사용자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는 강사의 휴대폰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erver is an entity existing on the network, and serves as a web server, a database server, and an application ser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server may provide various contents to the user device based on the processing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user device may include an instructor's mobile phone.

전자장치(100)는 터치에 기반하여 제어입력을 처리하며, 이하 다양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electronic device 100 processes a control input based on a touch,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through various embodiments.

먼저, 전자장치(100)는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객체를 제어하고, 객체의 선택된 적어도 일부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Firs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an object displayed on a display based on a control input, and may output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a selected part of the object.

전자장치(100)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한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객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비율을 조절한다.The electronic device 100 adjusts a ratio of at least a partial area of an object based on a control input for at least one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예를 들면, 전자장치(100)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객체에 대한 선택 및 제어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객체는 텍스트 및/또는 이미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heck a selection and control input for an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Here, the object may include text and/or an image.

전자장치(100)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객체의 적어도 일부 텍스트 및/또는 이미지를 선택하는 터치입력에 기반하여 제어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전자장치(100)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포인터를 이용하여 객체의 적어도 일부 텍스트 및/또는 이미지를 선택함으로써 제어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the control area based on a touch input for selecting at least some text and/or an image of an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Alternatively,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the control area by selecting at least some text and/or images of the object using the pointer displayed on the display.

전자장치(100)는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어영역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00)는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어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adjust the ratio of the selected control area based on the control input.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enlarge or reduce the selected control area based on the control input.

전자장치(100)는 지정된 확대/축소 비율에 따라서 선택된 제어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enlarge or reduce the selected control area according to a specified enlargement/reduction ratio.

예를 들면, 전자장치(!00)는 객체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선택된 제어영역에 대하여 확대하는 제어입력을 확인하고, 제어영역의 하부요소를 인식 가능한 사이즈로 선택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00 may check a control input for enlarging a control area selected among components included in the object, and may enlarge the selection area to a size recognizable of a lower element of the control area.

이때, 객체의 해상도 및 품질에 따라서 선택영역의 확대가 어려운 경우, 전자장치(100)는 하부요소를 포함하는 제어영역과 동일 또는 유사한 객체를 검색함으로써 하부요소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it is difficult to enlarge the selection area according to the resolution and quality of the objec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acquire information on the sub element by searching for an object tha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control area including the sub element.

전자장치(100)는 확대에 대한 제어명형에 지정된 사이즈의 하부요소를 포함하여 제어영역의 확대된 객체로 결정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the enlarged object of the control area including the lower element of the size specified in the control name type for enlargement.

더하여, 전자장치(100)는 전자장치(100)는 객체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선택된 제어영역에 대하여 축소하는 제어입력을 확인하고, 제어영역의 상부요소를 인식 가능한 사이즈로 선택영역을 축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100 confirms a control input for reducing the selected control region among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object, and reduces the selection region to a recognizable size of the upper element of the control region. can

이때, 객체의 해상도 및 품질에 따라서 선택영역의 확대가 어려운 경우, 예를 들면,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객체가 상위요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전자장치(100)는 상위요소를 포함하는 제어영역과 동일 또는 유사한 객체를 검색함으로써 상위요소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it is difficult to enlarge the selection area according to the resolution and quality of the object, for example, when the object including the component does not include information on the upper ele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includes the upper element. Information on the upper element can be obtained by searching for the same or similar object as the control area.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객체를 선택하는 제어입력과 선택된 객체에 대하여 지정된 동작을 처리하는 제어입력은 객체를 선택하는 제어입력과 함께 입력될 수 있고, 각각 독립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control input for selecting an object and a control input for processing a specified operation for the selected object may be input together with a control input for selecting an object, or may be input independently.

더하여, 객체에 대하여 지정된 동작을 처리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객체의 선택으로 지정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specified by the selection of the object may be performed in a state set to process the operation specified for the object.

이후, 전자장치(100)는 선택한 적어도 일부 영역과 관련된 정보를 결정한다.Thereafter, the electronic device 100 determin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lected at least partial region.

전자장치(100)는 저장부(120) 또는 외부 장치(예: 서버)를 통하여, 선택한 일부 영역 즉 제어영역에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heck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lected partial area, that is, the control area, through the storage unit 120 or an external device (eg, a server).

여기서, 제어영역과 관련된 정보는 제어영역, 제어입력, 및 강의진도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위요소 또는 하위요소의 지정된 일부에 효과를 적용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영역, 상위요소 또는 하위요소의 지정된 일부에 하이라이트 처리하거나 또는 강조 처리할 수 있다.Her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rol area may be to apply an effect to a designated part of the upper element or the lower element based on at least a part of the control area, the control input, and the lecture progress. For example, a specified part of the control area, the upper element, or the lower element may be highlighted or highlighted.

더하여, 제어영역과 관련된 정보는 제어영역과 관련된 정보는 제어영역, 제어입력, 및 강의진도 중 적어도 일부와 관련된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중 적어도 일부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rol region may b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rol region to obtain at least a portion of text, images, and audio relat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rol region, control input, and lecture progress.

전자장치(100)는 제어영역을 구성요소로서, 제어영역을 확대하는 제어입력의 경우 구성요소 및 상위요소와 관련된 정보를 결정하고, 제어영역을 축소하는 제어입력의 경우 구성요소 및 상위요소와 관련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uses the control area as a component, and determin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mponent and upper element in the case of a control input that enlarges the control area, and determin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mponent and upper element in the case of a control input that reduces the control area. information can be determined.

전자장치(100)는 관련된 정보를 결정함에 있어서, 강의 클래스 정보를 고려하여 관련된 정보의 깊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고, 강의 클래스의 학년, 강의진도 및/또는 레벨에 기반하여 관련된 정보로 결정하기 위한 정보의 깊이를 결정하거나, 또는 검색 단계에서 정보의 깊이를 한정하여 검색할 수 있다.In determining the related information,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the depth of the related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lecture class information. For example, searching for relevant information, determining the depth of information to determine as relevant information based on the grade, syllabus, and/or level of the lecture class, or limiting the depth of information in the search step to search have.

예를 들어, 강의 클래스의 레벨이 제1 레벨, 제2 레벨 및 제3 레벨로 구분된 상태에서 제1 레벨은 제1 검색 깊이, 제2 레벨은 제2 검색 깊이, 및 제3 레벨은 제3 검색 깊이로 관련된 정보를 결정하는 깊이가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level of the lecture class is divided into a first level, a second level, and a third level, the first level is the first search depth, the second level is the second search depth, and the third level is the third level A depth for determining related information may be set as the search depth.

전자장치(100)는 강의 클래스의 레벨(예: 제3 레벨)을 확인하고, 검색된 정보들 중 제3 검색 깊이 내의 정보들 중에서 관련된 정보를 결정하거나, 또는 제3 검색 깊이 내의 정보들을 검색하여 관련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checks the level (eg, the third level) of the lecture class, determines related information from among the information within the third search depth among the searched information, or searches the information within the third search depth to find related information. information can be determined.

더하여, 전자장치(100)는 강의 클래스의 학년 및 강의진도 중 적어도 일부를 함께 고려하여 관련된 정보를 결정함으로써 정보의 동일성 및 유사성을 유지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rocess to maintain the same and similarity of information by determining related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grade of the lecture class and the lecture progress.

더하여, 전자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및/또는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예: 전자칠판)에 입력 및 표시된 텍스트를 함께 고려하여 관련된 정보를 결정함으로써 정보의 동일성 및 유사성을 유지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rocess information input and displayed on a display and/or a connected external display (eg, an electronic board) to determine related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text input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and/or the connected external display (eg, electronic board) to maintain the identity and similarity of the information.

더하여, 전자장치(100)는 제어영역, 비율이 조정된 객체, 및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강의 클래스의 학년, 과목, 강의진도 및 레벨에 대응되는 문제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generate a problem corresponding to the grade, subject, lecture progress, and level of the lecture class by using at least some of the control area, the ratio-adjusted object, and related information.

이후, 전자장치(100)는 비율이 조절된 적어도 일부 영역 및 관련된 정보를 출력한다.Thereafter, the electronic device 100 outputs at least a partial region whose ratio is adjusted and related information.

전자장치(100)는 제어영역에 대하여 비율이 조절된 하위요소 또는 상위요소를 포함하는 객체를 지정된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전자장치(100)는 설정에 기반하여 비율이 조정된 객체를 지정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전송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n object including a lower element or an upper element whose ratio is adjusted with respect to the control area through a designated display. In this cas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transmit the object whose ratio is adjusted based on the setting to be displayed on the designated display.

예를 들면, 전자장치(100)는 비율이 조정된 객체를 지정된 학생의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지정된 영역에 표시하도록 전송하고, 외부 디스플레이(예: 전자칠판)에 전체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transmit the scaled object to be displayed on a designated area of the display of the designated student's electronic device, and to be displayed on an external display (eg, electronic blackboard) in full scree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00)는 제어입력에 따라서 제어영역을 확대하거나 또는 축소할 수 있고, 확대 또는 축소 결과 포함된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enlarge or reduce a control area according to a control input, and may determine information related to an object included as a result of the enlargement or reduction.

먼저, 전자장치(100)는 객체의 선택된 특정 위치에 대응되는 특정 구조의 하위구조를 식별하는 지정된 사이즈로 확대할 수 있다.Firs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enlarge the object to a specified size for identifying a substructure of a specific structure corresponding to a selected specific location of the object.

전자장치(100)는 제어영역을 확대하는 제어입력에 대하여 제어영역을 확대하고, 확대된 객체에 포함된 하위요소를 표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전자장치(100)는 객체의 선택한 제어영역을 확대함에 있어서 하위요소를 식별할 수 있는 지정된 사이즈(또는 비율)를 확인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rocess a control input for enlarging the control area to enlarge the control area and display a sub-element included in the enlarged object. In this cas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heck a designated size (or ratio) for identifying a sub-element in enlarging the selected control area of the object.

예를 들면, 전자장치(100)는 객체의 제어영역을 연속적으로 확대하는 중 하위요소를 식별한 시점의 사이즈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전자장치(100)는 기 저장된 설정에 기반하여 하위요소를 식별할 수 있는 지정된 사이즈를 확인하고 확인된 사이즈로 제어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heck the size of the time point at which the sub-element is identified while continuously enlarging the control area of the object. Alternatively,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heck a designated size for identifying a sub-element based on a pre-stored setting, and enlarge the control area to the confirmed size.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전자장치(100)는 제어영역을 축소하는 제어입력 및 하위구조를 식별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어영역을 확대하는 제어입력 및 상위구조를 식별하는 동작에 적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lectronic device 100 has described the operation of identifying the control input for reducing the control area and the lower structure,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trol input for enlarging the control area and the operation for identifying the upper structure are not limited thereto. can be applied.

전자장치(100)는 제어영역을 축소하는 제어입력에 대하여 제어영역을 축소하고, 축소된 객체에 포함된 상위요소를 표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전자장치(100)는 객체의 선택한 제어영역을 축소함에 있어서 상위요소를 식별할 수 있는 지정된 사이즈(또는 비율)를 확인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duce the control region in response to a control input for reducing the control region, and may process to display an upper element included in the reduced object. In this cas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a specified size (or ratio) for identifying a higher element in reducing the selected control area of the object.

예를 들면, 전자장치(100)는 객체의 제어영역을 연속적으로 축소하는 중 상위요소를 식별한 시점의 사이즈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전자장치(100)는 기 저장된 설정에 기반하여 상위요소를 식별할 수 있는 지정된 사이즈를 확인하고 확인된 사이즈로 제어영역을 축소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heck the size at the point in time when the upper element is identified while continuously reducing the control area of the object. Alternatively,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heck a designated size for identifying an upper element based on a pre-stored setting and reduce the control area to the confirmed size.

이후, 전자장치(100)는 하위구조와 관련된 텍스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일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Thereafter,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heck at least some information among texts and images related to the substructure.

전자장치(100)는 식별된 하위구조 및/또는 제어영역과 관련된 설명을 검색할 수 있고, 하위구조 및 유기적으로 연결된 다른 구성요소들 및 그와 관련된 설명을 확인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search for a description related to the identified sub-structure and/or control region, and may check the sub-structure and other organically connected components and a description related thereto.

더하여, 전자장치(100)는 식별된 하위구조 및/또는 제어영역과 관련된 사진, 도면, 동영상 등을 검색할 수 있고, 제어영역, 및 하위구조, 그리고 유기적으로 연결된 다른 구성요소들의 사진, 도면, 동영상 등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search for photos, drawings, videos, etc. related to the identified substructure and/or control region, and may include photos, drawings, and other organically connected components of the control region and the substructure, and You can check videos, etc.

식별된 하위구조를 포함하는 객체가 이미지인 경우, 전자장치(100)는 획득한 이미지를 하위구조 및 관련된 구성요소들과 결합할 수 있다.When the object including the identified substructure is an imag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mbine the acquired image with the substructure and related components.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전자장치(100)는 제어영역 및 식별된 하위구조 중 적어도 일부와 관련된 설명 및/또는 이미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어영역 및 식별된 상위구조 중 적어도 일부와 관련된 설명 및/또는 이미지를 확인하는 동작에 적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nic device 100 has been described as confirming the description and/or image related to at least a part of the control area and the identified sub-structu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t least one of the control area and the identified upper structure is not limited thereto. It can be applied to the action of checking the description and/or image related to som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음성에 기반하는 제어입력을 처리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of an operation of processing a control input based on voice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자장치(100)는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을 처리하고, 권한을 가진 음성을 식별하여 음성에 기반하는 제어입력에 따라 지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rocess a voice input through a microphone, identify a voice with authority, and perform a specified ope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input based on the voice.

201 단계에서, 전자장치(100)는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되는 음성입력에 기반하여 강사를 식별한다.In step 201, the electronic device 100 identifies the instructor based on the voice input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전자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포함하며,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되는 음성에 기반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식별된 음성의 사용자에 대하여 강의 클래스의 권한을 가진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includes at least one microphone, and may identify a user based on a voic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heck whether the user of the identified voice is a user having the authority of the lecture class.

예를 들면, 전자장치(100)는 강의시간표를 참고하여, 현재 시각에 대한 강의 클래스를 확인하고, 식별된 강사가 해당 강의 클래스에 권한을 가진 사용자인지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heck the lecture class for the current time by referring to the lecture timetable, and may determine whether the identified instructor is a user authorized to the corresponding lecture class.

203 단계에서, 전자장치(100)는 식별된 강사의 권한에 기반하여 전자교탁의 잠금을 해제 및 지정된 강의자료를 결정한다.In step 203 , the electronic device 100 unlocks the electronic classroom and determines specified lecture materials based on the identified authority of the instructor.

전자장치(100)는 전자장치(100)는 음성으로 식별된 강사가 강의 클래스에 대하여 권한을 가진 강사인 것을 결정하면 전자장치(10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unlock the electronic device 100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determines that the instructor identified by voice is the instructor having the authority for the lecture class.

또는, 전자장치(100)는 음성으로 식별된 강사가 강의 클래스에 대하여 권한을 가진 강사인 것을 결정하면, 입력된 음성에서 전자장치(100)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하여 지정된 단어 및/또는 문장을 확인할 수 있다.Alternatively, if the electronic device 100 determines that the instructor identified by the voice is the instructor having the authority for the lecture class, the electronic device 100 checks the specified word and/or sentence in order to unlock the electronic device 100 from the input voice. can

예를 들면, 전자장치(100)는 강의 클래스에 권한을 가지는 강사의 음성으로 "안녕",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등과 같은 전자장치(100)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하여 지정된 단어 또는 단어를 포함하는 문장을 확인하는 경우 전자장치(10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uses the voice of a lecturer who has authority in the lecture class to use a designated word or word to unlock the electronic device 100 such as “hello”, “hello”, “nice to meet you”, etc. When checking the included sentenc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unlocked.

전자장치(100)는 잠금을 해제하면, 강의 클래스의 강의진도, 클래스의 레벨, 지난 강의에 대한 코멘트, 강사의 음성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강의 진행을 위한 강의자료를 결정할 수 있다.When the lock is release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lecture materials for the course of the lecture based on at least a part of the lecture progress of the lecture class, the level of the class, the comments on the past lecture, and the lecturer's voice.

205 단계에서, 전자장치(100)는 입력된 음성입력에 기반하여 강의자료를 출력한다.In step 205, the electronic device 100 outputs lecture material based on the input voice input.

전자장치(100)는 강의 진행을 위해서 결정한 강의자료의 일부를 전자장치(100)의 디스플레이 및/또는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전자장치(100)는 입력된 강사의 음성에 기반하여 강의 클래스의 강의진도를 결정하고, 강사의 음성 및 강의진도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art of the lecture material determined for the course of the lecture through the display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or the connected external display. In this cas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the lecture progress of the lecture class based on the input lecturer's voice, and search the lecturer's voice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lecture progress.

예를 들면, 전자장치(100)는 강의 클래스의 강의시간표에 기반하여 강의진도를 결정할 수 있지만, 강가의 음성을 통하여 세부적인 강의진도를 확인하고 관련된 정보를 검색 및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the lecture progress based on the lecture timetable of the lecture class, but may check the detailed lecture progress through the lecture voice and search for and obtain related information.

여기서, 전자장치(100)는 전자장치(100)의 저장부(120), 전자장치(100)와 연결된 서버, 및 인터넷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강의진도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Her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acquire information related to lecture progress based on at least a part of the storage unit 12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a server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 and the Internet.

더하여, 전자장치(100)는 입력된 강사의 음성, 전자장치(100)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입력되는 텍스트, 및 클래스 레벨에 기반하여 강의진도와 관련된 문제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generate a problem related to lecture progress based on the input lecturer's voice, the text input through at least one external displa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class level.

이때, 전자장치(100)는 문제가 객관식인 경우 선택지도 함께 생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also generate a choice when the question is a multiple choice type.

전자장치(100)는 결정한 강의자료 및/또는 생성한 문제를 전자장치(100)의 디스플레이 및/또는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the determined lecture material and/or the generated problem through the display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or the connected external display.

예를 들면, 전자장치(100)는 강사의 자료 또는 비공개 자료는 전자장치(1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하고, 학생을 위한 자료는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rocess the instructor's data or private data t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data for the student to be output through the connected external display.

예를 들면, 전자장치(100)는 학생의 테스트를 위한 문제는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하고, 정답과 설명(또는 해설)은 전자장치(1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rocess to output a question for a student's test through a connected external display, and output a correct answer and explanation (or explanation) through the display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전자장치(100)는 205 단계를 수행하면 도 2의 실시 예를 종료할 수 있다.When step 205 is performe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end the embodiment of FIG. 2 .

전자장치(100)는 해당 강의 클래스의 강의자료 및 강의자료와 관련하여 검색 및/또는 획득한 자료를 다른 강의 클래스의 강의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use lecture materials of a corresponding lecture class and data searched and/or acquired in relation to lecture materials as lecture materials of another lecture clas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음성에 기반하는 제어입력을 처리하는 세부동작의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of a detailed operation of processing a control input based on voice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자장치(100)는 강사의 음성에 기반하여 강의 클래스의 레벨과 강의진도를 결정하고, 이에 기반하여 학생의 테스트를 위한 문제를 생성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the level of the lecture class and the lecture progress based on the lecturer's voice, and generate a problem for the student's test based thereon.

301 단계에서, 전자장치(100)는 음성입력에 기반하여 강의진도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강의 클래스의 수준을 결정할 수 있다.In operation 301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the level of the lecture class for at least a part of the lecture progress based on the voice input.

전자장치(100)는 전자장치(100)는 입력된 강사의 음성에 기반하여 강의 클래스의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00)는 강의 클래스 정보에 기반하여 지 저장된 클래스 레벨을 확인할 수 있지만, 강의 중에 입력되는 강사의 음성에 기반하여 강의진도에 대한 클래스의 수준을 세부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the level of the lecture class based on the input lecturer's voice.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heck the stored class level based on the lecture class information, but may determine the class level for the lecture progress in detail based on the lecturer's voice input during the lecture.

전자장치(100)는 강의 중에 입력되는 강사의 음성에서 클래스 레벨을 결정하기 위하여 지정된 단어를 확인함으로써 강의 클래스의 해당 강의(및/또는 강의진도)에 대한 클래스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the class level for the corresponding lecture (and/or lecture progress) of the lecture class by checking a word designated to determine the class level in the lecturer's voice input during the lecture.

303 단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장치(100)는 음성입력에 기반하여 결정한 세부적인 강의진도와 클래스 레벨을 함께 고려하여 학생의 테스트를 위한 문제를 생성할 수 있다.In step 303,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generate a problem for the student's test in consideration of the detailed lecture progress and class level determined based on the voice input.

전자장치(100)는 해당 강의 클래스에 대하여 결정한 세부적인 클래스 레벨에 대응되는 문제를 생성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상위 클래스 레벨 및/또는 하위 클래스 레벨에 해당하는 문제를 함께 생성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is not limited to generating a problem corresponding to the detailed class level determined for the corresponding lecture class, but may also generate problems corresponding to the upper class level and/or the lower class level.

예를 들면, 전자장치(100)는 강사의 음성으로부터 해당 클래스 레벨에 대응되는 단어 뿐 아닌 상위 클래스 레벨에 대응되는 단어를 확인할 수 있고, 이들의 비율에 기반하여 상위 클래스 레벨에 해당하는 문제를 더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not only the word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lass level but also the words corresponding to the higher class level from the instructor's voice, and further solve the problem corresponding to the higher class level based on their ratio. can create

더하여, 전자장치(100)는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강의자료, 강의자료 및/또는 강사의 음성에 기반하여 출력하는 관련된 자료, 및 강사의 음성으로부터 클래스 레벨에 대응하여 확인되는 단어들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해당 강의 클래스의 클래스 레벨에 대한 문제 뿐 아니라, 상위 클래스 레벨 및/또는 하위 클래스 레벨에 대응하는 문제를 더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based on at least some of lecture data output to the display, lecture data and/or related data output based on the instructor's voice, and words identified corresponding to the class level from the instructor's voic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reate not only problems for the class level of the corresponding lecture class, but also problems corresponding to the upper class level and/or the lower class level.

전자장치(100)는 303 단계를 수행하면 도 3의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When step 303 is performe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end the operation of FIG. 3 .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00)는 도 3의 동작들을 수행함에 있어서, 도 2의 205 단계 중 관련된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에서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performing the operations of FIG. 3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the operation of generating related information during operation 205 of FIG. 2 .

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3의 각 단계들은 도 2의 각 단계들 전 또는 후에 수행할 수 있고, 도 2의 동작과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each step of FIG. 3 may be performed before or after each step of FIG. 2 , and may be performed independently of the operation of FIG. 2 .

예를 들면, 전자장치(100)는 강사의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특정 강의 클래스를 선택하면, 강의진도, 특정 강의 클래스, 특정 강의(또는 강의진도)에 기반하여 도 3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specific lecture class is selected based on the instructor's user inpu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the operation of FIG. 3 based on the lecture progress, the specific lecture class, and the specific lecture (or lecture progress). .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00)는 터치입력과 음성입력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00)는 상술한 터치에 기반하는 제어입력을 처리하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중에 도 2 및/또는 도 3의 동작들을 함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simultaneously process a touch input and a voice input.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the operations of FIGS. 2 and/or 3 together while performing the operations of processing the touch-based control input described abov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터치입력 및 마이크를 통한 음성입력을 처리하는 전자교탁으로서 구현된 전자장치를 도시한다.4 illustrates an electronic device implemented as an electronic classroom for processing a touch input of a display and a voice input through a micro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고하면, 전자교탁은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는 터치 조작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로 구비되며, 강의 클래스의 강의 진행을 위한 자료를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electronic classroom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splays.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display is provided as a touch-operable display, and may output data for the lecture of the lecture class.

더하여, 전자교탁은 마이크를 포함한다. 전자자교탁은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들 중 해당 강의 클래스에 권한을 가진 강사의 음성을 확인할 수 있고, 강사의 음성에 기반하여 강의 클래스의 강의 진행을 위한 자료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classroom includes a microphone. The electronic tutoring table can check the voice of the instructor who has authority to the corresponding lecture class among the voice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and can output materials for the lecture progress of the lecture class based on the lecturer's voice.

또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는 전자교탁 외부의 디스플레이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는 전자칠판으로 구비될 수 있고, 강사는 전자교탁을 제어함으로써 강의와 관련된 자료를 전자칠판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Also, at least one display may be connected to a display outside the electronic classroom. For example, at least one display may be provided as an electronic board, and the instructor may output lecture-related materials through the electronic board by controlling the electronic classroom.

전자교탁은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에 기반하여 외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그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내용을 전자교탁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함으로써 강의의 흐름을 끊기지 않도록 유지하고, 따라서 강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electronic classroom controls the external display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and maintains the flow of lectures by providing the related display contents through the display of the electronic classroom, thus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lectures. can be improved

또한, 전자교탁은 사물인터넷(IoT)에 기반하여 내부 입력부를 통해 주변 조명의 밝기 정도, 스피커의 음향 크기 정도, 빔 프로젝트 on/off 등을 컨트롤할 수 있다.In addition,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IoT), the electronic classroom can control the brightness level of ambient lighting, the sound level of the speaker, and the beam project on/off through the internal input uni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교탁은, 강의실의 출입문에 위치한 센서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교탁은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에 기반하여 강사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classroom may be connected to a sensor located at the door of the lecture room wirelessly or by wire. The e-Teacher can identify the instructor based on the data it receives from the sensor.

예를 들면, 전자교탁은 센서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서 강사의 식별코드를 확인할 수 있고, 해당 강의 클래스에 권한을 가진 강사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전자교탁은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으로부터 동일한 강사의 음성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센서에서 식별된 강사와 동일한 강사이며 해당 강의 클래스에 권한을 가진 강사인 것을 확인하면 전자교탁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nic classroom may check the instructor's identification code from the data received from the sensor, and may determine whether the instructor is authorized to the corresponding lecture class. After that, the electronic classroom checks whether it is the same instructor's voice from the voic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instructor is the same instructor as the instructor identified by the sensor and has the authority to the corresponding lecture class, the electronic classroom can be unlocked. can

전자교탁은 상술한 바와 같이 IoT 기술을 적극 이용함으로써, 전자교탁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nic classroom can strengthen the security of the electronic classroom by actively using the IoT technology.

더하여, 전자교탁은 디스플레이에 표시한 강의자료 일부를 외부 디스플레이에 전송함에 있어서, 해당 강의 클래스의 지정된 학생의 장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lectronic classroom table transmits a part of the lecture material displayed on the display to the external display, it can be processed to output through the device display of the designated student of the corresponding lecture class.

이때, 전자교탁은 강의자료를 전송한 각각의 학생의 장치로부터 학생이 강의자료를 보고 있는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ectronic classroom may receive data on whether the student is viewing the lecture material from the device of each student that has transmitted the lecture material.

예를 들면, 학생의 장치 각각은 카메라를 포함하고, 학생의 눈동자를 촬영할 수 있다. 학생의 장치는 눈동자의 움직임을 트래킹(tracking)하여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강의자료를 응시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응시하는지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전자교탁에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each of the student's devices may include a camera and photograph the student's pupils. The device of the student may determine whether to stare at the lecture material output on the display by tracking the movement of the pupil, and transmit data on whether to stare to the electronic classroom.

전자교탁은 학생의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강의자료를 응시하는 학생 및 응시하지 않는 학생에 대한 정보를 전자교탁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Based on the data received from the student's device, the electronic classroom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students who stare at the lecture materials and students who do not, on the display of the electronic classroom.

더하여, 전자교탁은 IoT 기술을 통해 강의자료를 출력하는 외부 디스플레이에 따라서 강의실의 조명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교탁은 강의실 앞에 있는 전자칠판을 통하여 강의자료를 출력하는 경우, 전자칠판 주변의 조명을 어둡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classroom can adjust the lighting of the classroom according to the external display that outputs lecture materials through IoT technology. For example, when the electronic classroom table outputs lecture materials through the electronic board in front of the classroom, the lighting around the electronic board can be dimly adjusted.

이때, 조명의 밝기는 채광상태 및 강의실의 밝기에 기반하여 전자교탁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하여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강의실 창문 주변, 전자칠판 주변 및 천정 일부에는 조도를 측정할 수 있는 조도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rightness of the lighting can be processed throug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of the electronic classroom based on the lighting condition and the brightness of the classroom. For example, an illuminance sensor capable of measuring illuminance may be installed around a classroom window, around an electronic board, and a part of the ceiling.

전자교탁은 조도센서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강의실 내부 위치에 따른 조도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교탁은 강의 자료를 출력하는 학생 장치의 디스플레이 및/또는 전자칠판과 같은 디스플레이 주변 조도를 확인하고,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학생들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강의자료를 선명하고 피로감 없이 시청할 수 있는 적절한 조도로 강의실 조명 일부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Based on the data received from the illuminance sensor, the electronic classroom can check the illuminance according to the location inside the classroom. The electronic teaching table checks the illuminance around the display and/or the display such as the electronic blackboard of the student device that outputs the lecture material, and based 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the student can view the lecture material displayed on the display clearly and without fatigue. You can adjust the brightness of some of the classroom lights.

전자교탁은 키보드, 마우스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터치 디스플레이 외 다양한 장치를 통하여 전자교탁을 제어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The electronic classroom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input unit of a keyboard and a mouse, and can be processed to control the electronic classroom through various devices other than a touch display.

더하여, 전자교탁은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강사의 제어입력에 따라 처리되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전자교탁은 이러한 오디오 처리를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classroom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and output audio processed according to the instructor's control input. The electronic classroom may include a device for such audio processing.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장치(100)는 강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장치로 제공되며, 더하여, 사물인터넷 기술에 기반하여 강의실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provided as a multimedia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ectures, an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various devices included in the lecture room based on IoT technology.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한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비율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과 관련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 및 상기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의 터치를 처리하는 전자교탁의 동작방법을 개시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ing: adjusting a ratio of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object based on a control input for at least one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determin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at least some region; and outputting the at least partial region and the related information; discloses an operating method of an electronic classroom for processing a touch of a display.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한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비율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의 특정 위치를 선택하는 상기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위치에 대응되는 특정 구조의 하위구조를 식별하는 지정된 사이즈로 확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과 관련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하위구조와 관련된 텍스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일부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djusting the ratio of the at least partial region of the object based on the control input for the at least one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corresponds to the specific position based on the control input for selecting the specific position of the object. Enlarging to a specified size for identifying a substructure of a specific structure to be used; and determin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at least partial region includes: identifying at least some information among text and images related to the substructure; may include.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터치를 처리하는 전자교탁의 동작방법은, 강의 클래스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과 관련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강의 클래스에 대한 레벨, 강의진도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과 관련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operating method of the electronic classroom for processing the touch of the display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confirming the lecture class, and the determining of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at least partial area includes the level for the lecture class, the lecture progress It may include; determin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at least partial region based on at least one state.

여기서, 상기 강의 클래스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강의 클래스와 관련하여 지정된 온라인 정보에 등록된 강의시간표, 강사이름, 강의계획,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강의자료,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적어도 일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강의 클래스에 대한 강의진도, 학업성취도, 및 클래스 레벨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in the step of confirming the lecture class, at least a part of a lecture timetable, instructor name, lecture plan, lecture material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at least one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registered in online information specified in relation to the lecture class. determining the status of at least one of the lecture progress, academic achievement, and class level for the lecture class based on the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과 관련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강의 클래스에 대한 레벨, 강의진도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과 관련된 문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etermining of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at least some areas may include generating a problem related to the at least some areas based on at least one of a level for the lecture class and a lecture progress.

여기서,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 및 상기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객체,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 및 상기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전자교탁과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상기 비율이 조절된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Here, the step of outputting the at least partial region and the 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displaying the at least one object, at least one other object, the at least partial region and the related information on the display, and an external displa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classroom. may display the at least partial region to which the ratio is adjusted.

여기서, 디스플레이의 터치를 처리하는 전자교탁의 동작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식별된 강사의 텍스트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과 관련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입력 및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에 기반하여 상기 관련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operating method of the electronic classroom for processing the touch of the display further includes; confirming the input of the instructor's text identified through the display; It may include; determining the related information based on the input and the at least partial reg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조작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한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비율을 조절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과 관련된 정보를 결정하며, 및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 및 상기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의 터치를 처리하는 전자교탁을 개시한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isplay capable of touch manipulation;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other electronic device; and adjusting a ratio of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object based on a control input for at least one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determin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at least partial area, and outputting the at least partial area and the related information Disclosed is an electronic classroom for processing a touch of the display, including; a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o do so.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되는 제1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강사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강사의 권한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교탁의 잠금을 해제 및 지정된 강의자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입력되는 제2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강의자료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입력을 처리하는 전자교탁의 동작방법을 개시한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ethod may include: identifying an instructor based on a first control input input through at least one microphone; unlocking the electronic classroom table and determining designated lecture materials based on the identified authority of the instructor; and outputting at least one object among the lecture materials based on the input second control input.

여기서, 제2 제어입력은 제1 제어입력과 시간의 차이를 두고 입력된 다른 음성입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제1 제어입력은 제2 제어입력보다 먼저 설명하여 결정된 순서일 뿐, 시간적으로 제2 제어입력이 제1 제어입력보다 먼저 입력된 음성입력 일 수 있고, 또는 나중에 입력된 음성입력 일 수 있다.Here, the second control input may be defined as another voice input input with a time difference from the first control input. In this case, the first control input is only an order determined by explanation before the second control input, and the second control input may be a voice input input before the first control input or a voice input input later in time. .

여기서, 상기 식별된 강사의 권한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교탁의 잠금을 해제 및 지정된 강의자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강사가 강의시간표에 기반하여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강의 클래스에 권한을 가진 강사인 경우 상기 전자교탁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ep of unlocking the electronic classroom table and determining the designated lecture material based on the identified authority of the instructor, if the instructor is an instructor with authority to the lecture class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time based on the lecture timetable It may include; unlocking the electronic classroom table.

여기서, 상기 식별된 강사의 권한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교탁의 잠금을 해제 및 지정된 강의자료를 결정하는 단계는, 강의 클래스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강의 클래스에 대한 레벨, 강의진도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기반하여 레벨 및 분량 중 적어도 일부에 따라서 구분된 복수의 강의자료 중 상기 지정된 강의자료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ep of unlocking the electronic classroom table and determining the designated lecture material based on the identified authority of the instructor may include: confirming a lecture class; and determining the specified lecture material from among a plurality of lecture materials divided according to at least a part of a level and a quantity based on at least one state of a level for the lecture class and a lecture progress.

여기서, 상기 입력되는 제2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강의자료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지정된 강의자료 및 상기 제2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강의 클래스의 강의진도를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서버, 인터넷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하여 상기 제2 제어입력 및 상기 강의진도에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ep of outputting at least one object of the lecture data based on the second control input may include determining a lecture progress of a lecture class based on the specified lecture data and the second control input, and at least one retriev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control input and the lecture progress through at least a part of the server and the Internet.

여기서, 상기 입력되는 제2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강의자료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출력하는 단계는, 제3 제어입력을 확인하는 단계; 및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입력되는 텍스트, 상기 제3 제어입력, 및 상기 강의 클래스에 대한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강의진도와 관련된 문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outputting of at least one object among the lecture materials based on the second control input may include: checking a third control input; and generating a problem related to the lecture progress based on the text input through at least one connected external display, the third control input, and the level for the lecture class.

여기서, 제3 제어입력은 제1 제어입력 및 제2 제어입력과 시간의 차이를 두고 입력된 다른 음성입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3 제어입력은 시간적으로 제1 제어입력이나 제2 제어입력보다 먼저 입력된 음성입력 일 수 있고, 또는 나중에 입력된 음성입력 일 수 있다.Here, the third control input may be defined as another voice input input with a time difference from the first control input and the second control input.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third control input may be a voice input that is temporally input before the first control input or the second control input, or may be a voice input that is input later.

여기서, 제1 제어입력, 제2 제어입력, 및 제3 제어입력 각각은 터치 조작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입력되는 터치입력일 수 있고, 또는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되는 음성입력일 수 있다.Here, each of the first control input, the second control input, and the third control input may be a touch input input through a display capable of touch manipulation, or a voice input input through a microphone.

여기서, 상기 입력되는 제2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강의자료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출력하는 단계는, 제3 제어입력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3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강의진도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상기 강의 클래스의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입력되는 텍스트, 상기 제3 제어입력, 및 상기 강의진도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상기 강의 클래스의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강의진도와 관련된 문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outputting of at least one object among the lecture materials based on the second control input may include: checking a third control input; determining a level of the lecture class for at least a part of the lecture intensity based on the third control input; and generating a problem related to the lecture progress based on the text input through at least one connected external display, the third control input, and the level of the lecture class for at least a part of the lecture progress. can do.

여기서, 상기 입력되는 제2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강의자료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강사의 자료를 포함하는 객체는 상기 전자교탁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하고, 수강생을 위한 자료는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in the step of outputting at least one object of the lecture data based on the second control input, the object including the lecturer's data is output through the display of the electronic classroom, and the material for the students is It may include; processing to output through at least one connected external display.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음성을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되는 제1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강사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강사의 권한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교탁의 잠금을 해제 및 지정된 강의자료를 결정하며, 및 입력되는 제2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강의자료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음성입력을 처리하는 전자교탁을 개시한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t least one microphone for receiving a voice;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other electronic device; and identifying an instructor based on a first control input input through the at least one microphone, unlocking the electronic classroom and determining designated lecture materials based on the identified authority of the instructor, and 2 A processing unit that processes to output at least one object among the lecture materials based on a control input; Discloses an electronic classroom for processing voice input, including.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및/또는 마이크를 통한 제어명령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강의자료를 확대 또는 축소하며, 강의자료의 품질이 확대 또는 축소에 적절하지 못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동일 또는 유사한 고품질 자료로 대체함으로써 고품질의 강의자료를 제공하고, 따라서 강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cture material displayed on the display is enlarged or reduced based on a control command through the display and/or the microphon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quality of the lecture material is not suitable for enlargement or reduction, the same or By replacing it with similar high-quality materials, it is possible to provide high-quality lecture materials and thus improve the quality of lecture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강사의 입력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강의자료와 관련된 자료를 검색/획득하여 제공하고, 인공신경망과 같은 AI에 기반하여 강의 클래스의 수준을 고려하고 학생의 테스트를 위한 문제를 생성하는 등 강의자료를 재생성함으로써 강의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input of the instructor, data related to the lecture material displayed on the display is searched/acquired and provided, and the level of the lecture class is considered and the student's test is performed based on AI such as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The value of the lecture can be improved by regenerating the lecture material, such as creating a problem for the lectur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강사의 음성입력에 기반하여 권한을 식별하고, 식별된 음성에 포함된 단어들에 기반하여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고, 강의를 위한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강사의 강의가 끊김없이 자연스럽게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고, 강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by identifying the authority based on the instructor's voice input, unlocking the device based on the words included in the identified voice, and processing data for the lecture, the lecture of the lecturer It can help to progress smoothly without interrupt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lecture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강사의 음성입력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강의자료를 가공하고 재생성함으로써, 강의자료를 풍부하게 활용할 수 있고, 따라서 강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by processing and regenerating the lecture material displayed on the display based on the instructor's voice input, the lecture material can be used abundantly, and thus the quality of the lecture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교탁을 통하여 출력하는 강의자료와 재생성된 강의자료의 출력을 지정된 조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다양한 외부장치를 통하여 제공하고 조명 등 연결된 장치들을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제어함으로써, 학생들의 강의 집중도를 높이고 사물인터넷(IoT) 기술의 가치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cture data output through the electronic classroom table and the output of the regenerated lecture data are provided through various external device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based on specified conditions, and connected devices such as lighting are provided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By controlling th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따르면, 전자장치(100)가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는 다양한 실시 예의 기능들은 전자장치(100)의 처리부(110)를 통하여 처리되는 동작으로 전자장치(100)의 구성요소들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s of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electronic device 100 are operations processed through the processing unit 11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component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It can be carried out in organic connection.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drawing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apply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ased on the above.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described components of the system, structure, apparatus,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may achieve an appropriate result.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should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전자장치
110: 처리부
120: 저장부
130: 통신부
140: 입출력부
100: electronics
110: processing unit
120: storage
130: communication department
140: input/output unit

Claims (2)

전자교탁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입력되는 제1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강사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강사의 권한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교탁의 잠금을 해제 및 지정된 강의자료를 결정하고 상기 전자교탁의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전자교탁과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강의자료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특정 위치를 선택하는 제2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위치에 대응되는 특정 구조의 상위구조 또는 하위구조를 식별하도록 상기 특정 구조를 지정된 사이즈로 조절하는 단계;
상기 상위구조 또는 하위구조와 관련된 텍스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일부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이즈가 조절된 특정 구조 및 상기 적어도 일부 정보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강의 자료, 상기 사이즈가 조절된 특정 구조, 및 상기 적어도 일부 정보 중 비공개 설정된 정보를 확인하는 경우, 상기 비공개 설정된 정보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되지 않도록 처리하고, 상기 비공개 설정된 정보와 동일 또는 유사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탁의 동작방법.
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classroom,
identifying an instructor based on an input first control input;
unlocking the electronic classroom table based on the identified authority of the instructor, determining designated lecture materials, and outputting them to a display of the electronic classroom table and an external displa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classroom;
adjusting the specific structure to a specified size to identify an upper structure or a lower structure of the specific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location based on a second control input for selecting a specific location of at least one object among the lecture materials;
determining at least some information among texts and images related to the upper-level structure or the lower-level structure; and
Including; outputting the size-adjusted specific structure and the at least some information to the external display;
When checking information set to private among the lecture material, the specific structure with the size adjusted, and the at least some information, the private information is processed not to be output through the external display, and the same or similar to the private information An operating method of the electronic classroo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is obtained and outputted through the external display.
전자교탁에 있어서,
음성을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입력되는 제1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강사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강사의 권한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교탁의 잠금을 해제 및 지정된 강의자료를 결정하고 상기 전자교탁의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전자교탁과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며, 상기 강의자료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특정 위치를 선택하는 제2 제어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위치에 대응되는 특정 구조의 상위구조 또는 하위구조를 식별하도록 상기 특정 구조를 지정된 사이즈로 조절하고, 상기 상위구조 또는 하위구조와 관련된 텍스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일부 정보를 결정하며, 상기 사이즈가 조절된 특정 구조 및 상기 적어도 일부 정보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강의 자료, 상기 사이즈가 조절된 특정 구조, 및 상기 적어도 일부 정보 중 비공개 설정된 정보를 확인하는 경우, 상기 비공개 설정된 정보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되지 않도록 처리하고, 상기 비공개 설정된 정보와 동일 또는 유사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탁.
In the electronic classroom,
at least one microphone for receiving voice;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other electronic device; and
Identifies the instructor based on the input first control input, unlocks the electronic classroom based on the identified instructor's authority, determines designated lecture materials, and displays the electronic classroom and an external displa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classroom and adjust the specific structure to a specified size to identify an upper structure or a lower structure of the specific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location based on a second control input for selecting a specific location of at least one object among the lecture materials and a processing unit that determines at least some information among texts and images related to the upper structure or lower structure, and processes the specific structure whose size has been adjusted and the at least some information to be output to the external display; and the processing unit When checking the lecture material, the specific structure with the size adjusted, and the information set private among the at least some information, the private set information is processed not to be output through the external display, and the same as the private set information Or acquiring similar information and outputting it through the external display, the electronic classroom.
KR1020220060710A 2022-02-09 2022-05-18 Digital electronic teaching desk with improved security of combining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 and internet of things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4241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710A KR102424139B1 (en) 2022-02-09 2022-05-18 Digital electronic teaching desk with improved security of combining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 and internet of things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189A KR102402034B1 (en) 2022-02-09 2022-02-09 Electronic teaching desk of voice recogni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emote controlling based on internet of thing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0220060710A KR102424139B1 (en) 2022-02-09 2022-05-18 Digital electronic teaching desk with improved security of combining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 and internet of things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189A Division KR102402034B1 (en) 2022-02-09 2022-02-09 Electronic teaching desk of voice recogni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emote controlling based on internet of thing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4139B1 true KR102424139B1 (en) 2022-07-22

Family

ID=8180967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189A KR102402034B1 (en) 2022-02-09 2022-02-09 Electronic teaching desk of voice recogni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emote controlling based on internet of thing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0220060710A KR102424139B1 (en) 2022-02-09 2022-05-18 Digital electronic teaching desk with improved security of combining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 and internet of things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0220060700A KR102424138B1 (en) 2022-02-09 2022-05-18 Digital electronic teaching desk of combining lecture progres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 and remote controlling based on internet of things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189A KR102402034B1 (en) 2022-02-09 2022-02-09 Electronic teaching desk of voice recogni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emote controlling based on internet of thing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700A KR102424138B1 (en) 2022-02-09 2022-05-18 Digital electronic teaching desk of combining lecture progres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 and remote controlling based on internet of things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0203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0717A (en) * 1997-04-18 1998-11-04 Fujitsu General Ltd Platform system
KR20150052945A (en) * 2013-11-07 2015-05-15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ricting print of a shared electornic document by using security level
KR101597722B1 (en) * 2015-02-23 2016-02-26 (주)피케이엘앤에스 Electronic Lecture Desk Operated by Eletronic Authorization
KR20160023164A (en) * 2014-08-21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of classifying contents and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365B1 (en) * 2009-01-13 2009-09-11 코리아판서시스템(주) Dual display device-mounted multimedia teaching desk
KR20210154564A (en) * 2020-06-12 2021-12-21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Electronic teaching desk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based on Voice Recognition
CN113052041B (en) * 2021-03-17 2024-04-30 广东骏杰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teach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0717A (en) * 1997-04-18 1998-11-04 Fujitsu General Ltd Platform system
KR20150052945A (en) * 2013-11-07 2015-05-15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ricting print of a shared electornic document by using security level
KR20160023164A (en) * 2014-08-21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of classifying contents and electronic device
KR101597722B1 (en) * 2015-02-23 2016-02-26 (주)피케이엘앤에스 Electronic Lecture Desk Operated by Eletronic Authoriz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2034B1 (en) 2022-05-26
KR102424138B1 (en) 2022-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40944A1 (en) Multimedia Interactive Teaching System and Method
CN105679121B (en) A kind of intelligent teaching system
Vinu et al. Towards pervasive mobile learning–the vision of 21st century
CN107798931A (en) A kind of intelligent children education learning system and method
JP6925469B2 (en) Smart microphone control server and system
JP2010224042A (en) Teaching system, teaching method, and program
JP2014085998A (en) Electronic note creation support device and program for electronic note creation support device
KR102460576B1 (en) Smart table of processing remote control and setting user authority based on voice recognition that converges ai and iot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102424139B1 (en) Digital electronic teaching desk with improved security of combining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 and internet of things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19215502A (en) Server, sound data evaluation method, program,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2082245B1 (en) Apparatus for Learning Service having Multi-view Method
KR101753731B1 (en) File conversion devices through a shared document in electronic blackboard
KR20140062247A (en) Method for producing lecture text data mobile terminal and mon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9697851B2 (en) Note-taking assistance system, information delivery device, terminal, note-taking assistan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40106479A (en) Method for producing lecture text data mobile terminal and monbile terminal using the same
Bakken et al. Text-to-voice and voice-to-text software system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 research synthesis
KR20090002136A (en) Persionanlized realtime evaluating and learn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363084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conversion of content in public centers
KR20230085333A (en) Apparatus for ai based children education solution
KR102105882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Learning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639477B1 (en) Method for real-time translation and electronic meeting minutes using Chat GPT and Interactive Flat Panel Display for this purpose
KR102343823B1 (en) Assistant system for acquisition of knowledge
Wald A research agenda for transforming pedagogy and enhancing inclusive learning through synchronised multimedia captioned using speech recognition
Zhao Designing TADA: Touch-and-Audio-based Diagram Access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WO202113195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