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929B1 - 이격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캠 - Google Patents

이격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929B1
KR102423929B1 KR1020200142680A KR20200142680A KR102423929B1 KR 102423929 B1 KR102423929 B1 KR 102423929B1 KR 1020200142680 A KR1020200142680 A KR 1020200142680A KR 20200142680 A KR20200142680 A KR 20200142680A KR 102423929 B1 KR102423929 B1 KR 102423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racket
main body
camera unit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7724A (ko
Inventor
이찬우
박현진
윤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리브앤도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리브앤도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리브앤도브
Priority to KR1020200142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929B1/ko
Publication of KR20220057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6Video do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2
    • H04N5/2257

Abstract

이격 방지 기능를 갖는 도어캠은 도어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의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를 고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카메라 유닛;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카메라 유닛을 제어 및 상기 카메라 유닛에 전원을 제공하는 본체; 전기 신호가 통과하는 배선을 포함하며 일측은 상기 카메라 유닛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은 상기 도어의 상단을 가로질러 상기 본체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케이블 유닛; 상기 카메라 유닛 및 상기 본체를 상기 도어의 상단에 고정하는 브라켓; 및 상기 본체와 대응하는 상기 도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부재에 의하여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어의 내측면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부재를 도피하는 도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격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캠{Door-cam having function to prevent separation}
본 발명은 이격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부분 또는 부재에 의하여 도어캠의 본체의 일부가 도어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본체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심미성을 향상시킨 도어캠에 관한 것이다.
도어캠(Door cam)은 아파트와 같은 주거 공간, 사무실 및 생산 시설의 출입문 또는 보안이 요구되는 장소에 설치되어 반문자의 인식, 물품 촬영 및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 및 이미지 데이터를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도어캠은 출입문의 전면에 배치된 카메라 유닛 및 출입문의 후면에 배치된 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플랙시블한 케이블을 필요로 한다.
한편, 도어캠이 장착되는 도어의 표면에는 도어의 심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특정 패턴이 형성되거나 도어의 표면에 액자와 같은 소품이 장착되는데, 이와 같이 도어의 표면에 돌출된 패턴 또는 소품이 배치될 경우 도어캠을 이루는 본체 또는 카메라 유닛의 일부가 도어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이와 같이 도어캠을 이루는 본체 또는 카메라 유닛의 적어도 일부가 도어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될 경우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본체 또는 카메라 유닛에 큰 충격이 가해져 본체 또는 카메라 유닛의 파손이 발생될 수 있고, 본체 또는 카메라 유닛이 도어에 부딪치면서 소음이 발생되고, 심미성이 감소되는 다양한 문제점을 갖는다.
공개특허 제10-2019-0036443호, 출입문용 감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본 발명은 도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패턴 또는 소품에 의하여 도어캠을 이루는 본체 또는 카메라 유닛이 도어의 표면에 밀착되지 않고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여 본체 또는 카메라 유닛의 파손 방지, 소음 방지 및 미관 저하를 방지하는 다양한 기능을 포함한 이격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캠을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이격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캠은 도어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의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를 고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카메라 유닛;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카메라 유닛을 제어 및 상기 카메라 유닛에 전원을 제공하는 본체; 전기 신호가 통과하는 배선을 포함하며 일측은 상기 카메라 유닛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은 상기 도어의 상단을 가로질러 상기 본체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케이블 유닛; 상기 카메라 유닛 및 상기 본체를 상기 도어의 상단에 고정하는 브라켓; 및 상기 본체와 대응하는 상기 도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부재에 의하여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어의 내측면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부재를 도피하는 도피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격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캠의 상기 도피부는 상기 부재와 대응하는 상기 본체의 후면을 오목하게 함몰시켜 형성된다.
상기 이격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캠의 상기 도피부는 상기 부재와 대응하는 상기 본체의 후면을 오목하게 함몰시키고, 상기 함몰된 부분에 결합된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이격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캠의 상기 커버는 상기 부재의 높이에 대응하기 위해 적어도 2개가 적층된 상태로 상기 본체에 결합된다.
상기 이격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캠의 상기 도피부는 상기 본체의 후면 및 도어의 내측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부재를 도피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상기 이격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캠의 상기 브라켓은 상기 도어의 내측면, 상기 도어의 상면 및 상기 도어의 외측면을 통과하는 오목한 수납 공간을 갖는 제1 브라켓부, 상기 제1 브라켓부의 일측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카메라 유닛에 결합되는 제2 브라켓부 및 상기 제1 브라켓부의 상기 일측 단부와 대향하는 타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제3 브라켓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격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캠은 도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패턴 또는 소품에 의하여 도어캠을 이루는 본체 또는 카메라 유닛이 도어의 표면에 밀착되지 않고 적어도 일부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여 본체 또는 카메라 유닛의 파손 방지, 소음 방지 및 미관 저하를 방지하는 다양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캠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B'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의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의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각각 기재되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별다른 기재가 없더라도 각 실시예들은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호 병합 및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캠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어캠(1)은 카메라 유닛(1000), 본체(2000), 케이블 유닛(3000) 및 브라켓 어셈블리(4000)를 포함한다.
카메라 유닛(1000)은 도어(D)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도어(D)의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1010) 및 카메라(1010)를 수납 및 고정하는 하우징(1020)을 포함한다.
카메라(1010)는, 예를 들어, 소형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1010)로부터 촬영된 디지털 이미지 또는 동영상은 후술될 케이블 유닛(3000)을 통해 본체(2000)로 전송되고, 디지털 이미지 또는 동영상은 본체(2000)로부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하우징(1020)은, 예를 들어, 합성수지 소재 또는 금속 소재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하우징(1020)은 카메라(1010)가 고정 및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갖는다.
카메라 유닛(1000)은 카메라(1010) 이외에 광센서, 조도센서, 적외선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카메라 유닛(1000)은 이들을 활용하여 디지털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도어캠(1)의 카메라 유닛(1000)은 도어(D)의 전방에 사람, 사물 등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휴면 상태의 카메라(1010)를 작동시키기 위해 적어도 1개의 동작 감지 센서(10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작 감지 센서(1030)에 의하여 카메라(1010)를 작동시킬 경우, 본체(2000)에 내장된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크게 증가 시킬 수 있다.
카메라 유닛(1000)의 상면에는 카메라 유닛(1000)을 후술될 제1 브라켓(4100)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카메라 유닛(1000)의 상면에는 후술될 브라켓 몸체부(4110)의 대향하는 양쪽 단부가 삽입되기에 적합한 한 쌍의 가이드부(1040)들이 형성된다. 후술될 브라켓 몸체부(4110)의 양쪽 단부들은 가이드부(104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 및 결합된다.
가이드부(1040)는 후술될 브라켓 몸체부(4110)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1040)는 브라켓 몸체부(4110)의 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된 후 브라켓 몸체부(4110)의 상면의 일부를 덮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가이드부(1040)는 브라켓 몸체부(4110)를 향하여 'ㄱ'자로 절곡될 수 있다.
본체(2000)는 도어(D)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후술될 케이블 유닛(3000)을 통해 카메라 유닛(10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카메라 유닛(1000)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제공, 카메라 유닛(1000)을 제어 및 카메라 유닛(1000)으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이미지 및 동영상을 저장 및 서버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본체(2000)의 내부에는 배터리, 제어 유닛 및 통신 유닛 등이 배치되며, 본체(2000)는 이외에도 다양한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장치들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체(2000)의 외측면에는 통신 유닛과 연결되어 서버로 디지털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2010), 본체(2000)를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어(D)의 내측면 및 상기 내측면과 마주하는 본체(2000)의 사이에는 도어(D) 및 본체(2000)를 상호 접합시키는 양면 테이프(2020)가 개재될 수 있다.
본체(2000) 및 카메라 유닛(1000)을 상호 연결하는 케이블 유닛(3000)은 배선(3010)을 포함한다.
배선(3010)은 전기 신호가 통과하며, 배선(3010)의 일측은 카메라 유닛(1000)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은 도어(D)의 상단을 가로질러 본체(2000)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배선(3010)은 도어(D) 상단의 형상에 대응하여 자유롭게 절곡되는 연성을 갖는 연성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배선(3010)은, 예를 들어, 여러개의 도선이 연선되어 형성된 IDC플랫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서 배선(3010)이 IDC플랫 케이블을 포함할 경우, 여러개의 도선이 연선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일부가 단선되더라도 도어캠(1)은 최소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배선(3010)의 일측 단부 및 일측 단부와 대향하는 타측 단부에는 각각 카메라 유닛(1000) 및 본체(20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1 및 제2 커넥터(3020, 3030)들이 형성되며, 카메라 유닛(1000) 및 본체(2000)에는 제1 및 제2 커넥터(3020,3030)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단자(미도시)가 형성된다.
브라켓 어셈블리(4000)는, 예를 들어,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브라켓 어셈블리(4000)는 카메라 유닛(1000), 본체(2000) 및 케이블 유닛(3000)을 도어(D)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브라켓(4000)은 제1 브라켓(4100) 및 제2 브라켓(4200)을 포함한다.
제1 브라켓(4100)은, 예를 들어, 카메라 유닛(1000)에 결합되며, 제1 브라켓(4100)은 도어(D)의 상단을 가로지르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브라켓(4100)이 카메라 유닛(1000)에 결합되는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제1 브라켓(4100)은 본체(2000)에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도어캠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제1 브라켓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브라켓(4100)은 브라켓 몸체부(4110), 연장부(4120), 걸림부(4130) 및 개구(4140)를 포함한다.
브라켓 몸체부(4110)는 도어(D)의 상단으로부터 도어(D)의 전면으로 돌출된 부분으로서 정의되며, 브라켓 몸체부(4110)는, 예를 들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브라켓 몸체부(4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유닛(1000)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부(104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브라켓 몸체부(4110)에는 도어(D)의 전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장공(oblong hole, 4111)이 형성된다.
카메라 유닛(1000) 중 도어(D)로부터 돌출된 브라켓 몸체부(4110)에 형성된 장공(4111)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체결홀(1040)이 형성되는데, 브라켓 몸체부(4100) 및 카메라 유닛(1000)은 체결부재(1060)에 의하여 상호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브라켓 몸체부(4110)에 상기 장공(4111)을 형성할 경우, 도어(D)의 두께가 두껍거나 얇더라도 카메라 유닛(1000)이 도어(D)에 전면에 항상 밀착되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브라켓 몸체부(4110)를 프레스 가공 또는 펀칭 가공할 때 브라켓 몸체부(4110)의 형상이 변형 또는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브라켓 몸체부(4110)의 하면으로부터 상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일부를 돌출시킨 복수개의 돌기부(4112)가 형성될 수 있는데 돌기부(4112)는 장방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돌기부(4112)는 장공(4111)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4120)는, 예를 들어,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연장부(4120)는 브라켓 몸체부(4110)으로부터 도어(D)의 내측면에 배치된 본체(20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연장부(4120)는 브라켓 몸체부(4110)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점차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4130)는 연장부(4120)로부터 도어(D)의 내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며, 예를 들어, 걸림부(4130)는 'L'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도어(D)의 내측면에 걸리기에 적합한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연장부(4120) 및 걸림부(4130)가 만나는 부분에는 후술될 제2 브라켓(4200)의 일부와 중첩되는 것을 방지하는 개구인 도피홀(4150)이 형성된다.
도피홀(4150)은 후술될 제2 브라켓(4200)의 도어 걸림부(4240)가 통과할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다.
개구(4140)는 브라켓 몸체부(4110)의 일부 및 연장부(4120)에 형성되며, 개구(4140)의 폭(d4)은 케이블 유닛(3000)의 폭(d3)보다 넓게 형성되어 연장부(4120) 및 케이블 유닛(3000)이 상호 중첩되거나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개구(4140)의 일부는 앞서 설명된 도피홀(4150)과 연결되며, 이로 인해 개구(4140)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T'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도어(D)가 문틀에 대하여 열리고 닫히는 도중 문틀에 케이블 유닛(3000)의 일부가 접촉될 경우 문틀 및 케이블 유닛(3000)의 마찰에 의하여 케이블 유닛(3000)이 쉽게 마모 또는 파손되는데 제1 브라켓(4100)은 도어(D)의 상단을 지나는 케이블 유닛(3000)을 수납 및 보호하여 케이블 유닛(3000)의 마모 또는 파손을 방지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제1 브라켓(4100)의 브라켓 몸체부(4110) 및 연장부(4120)의 두께(d1)는 케이블 유닛(3000)의 두께(d2)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고, 이로 인해 개구(4140)에 의해 노출된 케이블 유닛(3000)이 도어(D)가 문틀과 접촉되지 않게 되어 케이블 유닛(3000)의 마모 또는 손상은 방지된다.
한편, 개구(4140)에 의하여 노출된 케이블 유닛(3000)의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개구(4140)에 의하여 노출된 케이블 유닛(3000)을 덮어 보호하는 보호 테이프(미도시)가 브라켓 몸체부(4110) 및 연장부(412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고, 보호 테이프는, 예를 들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제1 브라켓은 수납홈(4122)을 제외하면 앞서 도 2 및 도 3에 도시 및 설명된 제1 브라켓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브라켓(4100)은 브라켓 몸체부(4110), 연장부(4120), 걸림부(4130) 및 수납홈(412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브라켓 몸체부(4110) 및 연장부(4120)에 개구(4140)를 형성하지 않는 대신 연장부(4120) 중 케이블 유닛(3000)과 마주하는 하면에 케이블 유닛(3000)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홈(4122)을 형성한다.
수납홈(4122)은 연장부(4120)의 하면에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되며, 수납홈(4122)은 케이블 유닛(3000)이 수납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연장부(4120)의 형성된 수납홈(4122)에 도어(D)의 상단을 지나는 케이블 유닛(3000)을 수납함으로써 제1 브라켓(4100)에 케이블 유닛(3000)을 수납하면서도 케이블 유닛(3000)이 제1 브라켓(4100)으로부터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케이블 유닛(3000)과 도어(D)의 직접적인 마찰을 차단하여 케이블 유닛(3000)의 마모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 및 설명된 제1 브라켓은 수납부(4124)를 제외하면 앞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 및 설명된 제1 브라켓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브라켓(4100)은 브라켓 몸체부(4110), 연장부(4120), 걸림부(4130) 및 수납부(412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연장부(4120) 중 케이블 유닛(3000)과 마주하는 하면에는 케이블 유닛(3000)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4124)가 형성된다.
수납부(4124)는 연장부(4120)의 하면을 상면을 향해 돌출시켜 형성되며, 수납부(4124)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는 케이블 유닛(3000)이 수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연장부(4120)로부터 돌출된 수납부(4124)를 형성할 경우 제1 브라켓(4100)의 두께는 케이블 유닛(300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연장부(4120)의 형성된 수납부(4124)의 내부에 도어(D)의 상단을 지나는 케이블 유닛(3000)이 수납되고, 이로 인해 도어(D)가 문틀에 대하여 열리고 닫힐 때 케이블 유닛(3000)과 도어(D)의 직접적인 마찰을 차단하여 케이블 유닛(3000)의 마모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 브라켓(4200)은 브라켓부(4210), 본체 삽입부(4220), 본체 결합부(4230) 및 도어 걸림부(4240)를 포함한다.
브라켓부(4210)는 금속 소재 또는 합성수지 소재를 이용하여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브라켓부(4210)는 도어(D)의 내측면 및 본체(2000)의 사이에 배치되며, 브라켓부(4210)의 하부는 하부와 대향하는 상부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부(4210)의 두께는 케이블 유닛(300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케이블 유닛(3000)의 마모 또는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체 삽입부(4220)는 브라켓부(4210)에 형성되는데, 본체 삽입부(4220)는 브라켓부(4210)를 혀(tongue) 형상으로 절개한 후 절개된 부분을 본체(2000)를 향해 절곡하여 형성된다.
본체 삽입부(4220)는 복수개가 형성되며, 본체(2000)에서 본체 삽입부(4220)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본체 삽입부(4220)가 삽입될 수 있는 슬릿 형상을 갖는 삽입홈(미도시)들이 형성된다.
본체 결합부(4230)는 브라켓부(4210)로부터 본체의 상단을 향해 한 쌍이 상호 이격 및 절곡되어 형성되며, 본체 결합부(4230)에는 체결 나사가 통과하는 나사홀(4231)이 형성되고, 나사홀(4231)과 대응하는 본체(2000)에는 체결 나사가 결합되는 결합홀(203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본체 결합부(4230)와 대응하는 본체(2000)에는 본체 결합부(4230)가 삽입되는 오목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 걸림부(4240)는 브라켓부(4210)로부터 도어(D)를 향해 절곡되어 도어(D)의 상단에 지지되며, 도어 걸림부(4240)에는 브라켓부(4210)로부터 절곡될 때 도어 걸림부(4240) 또는 브라켓부(4210)의 형상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관통홀(424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도어 걸림부(4240)는, 예를 들어, 도어(D)를 향해 'ㄱ'자 형태로 절곡 되는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이와 다르게 'ㄱ'자 형태에서 한번 더 절곡하여 'U'자형 또는 고리 형태로 절곡하여 도어(D)와의 지지력 및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브라켓부(4210) 중 케이블 유닛(3000)과 마주하는 하면에는 케이블 유닛(3000)을 수납하기 위해 브라켓부(4210)의 하면을 하면과 대향하는 상면을 향해 돌출시켜 형성된 케이블 삽입부(4250)를 더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도어캠은 브라켓 어셈블리(4400)를 제외하면 앞서 도 1에서 도시 및 설명된 도어캠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도어캠(1)은 카메라 유닛(1000), 본체(2000), 케이블 유닛(3000) 및 브라켓 어셈블리(4400)를 포함한다.
브라켓 어셈블리(4400)는 제1 브라켓(4410), 제2 브라켓(4420) 및 링크 부재(4430)를 포함한다.
제1 브라켓(441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제1 브라켓(4410)은 카메라 유닛(1000)에 결합되고, 도어(D)의 상단을 가로지르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카메라 유닛(1000) 및 케이블 유닛(3000)을 도어(D)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제2 브라켓(442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본체(2000)와 결합되어 본체(2000) 및 케이블 유닛(3000)을 도어(D)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링크 부재(4430)는 제 1 및 제2 브라켓(4410, 4420)들을 회동 가능하게 상호 연결하며, 예를 들어 힌지 결합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링크 부재(4430)는 경첩(443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링크 부재(4430)에 의하여 제1 및 제2 브라켓(4410, 4420)이 결합됨에 따라 도어캠(1)은 도어(D)의 상단에 설치 및 고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B'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도어캠은 브라켓 어셈블리(4600)를 제외하면 앞서 도 1에서 도시 및 설명된 도어캠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도어캠(1)은 카메라 유닛(1000), 본체(2000), 케이블 유닛(3000) 및 브라켓 어셈블리(4600)를 포함한다.
브라켓 어셈블리(4600)는 제1 브라켓(4610) 및 제2 브라켓(4620)을 포함한다.
제1 브라켓(461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제1 브라켓(4610)은 카메라 유닛(1000)에 결합되고, 도어(D)의 상단을 가로지르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카메라 유닛(1000) 및 케이블 유닛(3000)은 제1 브라켓(4610)에 의하여 도어(D)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제2 브라켓(462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본체(2000)와 결합되어 본체(2000) 및 케이블 유닛(3000)은 도어(D)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제1 브라켓(4610)은 도어(D)의 상단의 형상에 대응하여 복수번 절곡되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후박한 두께를 갖는 제1 브라켓(4610)을 도어(D)의 상단 형상에 적합하게 절곡하기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브라켓(4610)을 도어(D)의 상단 형상과 대응하여 정확하게 절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브라켓(4610)에는 제1 절곡홈(4612) 및 제2 절곡홈(4614)이 형성된다.
제1 절곡홈(4612)은, 예를 들어, 도어(D)의 상단과 마주하는 제1 브라켓(4610)의 하면(4611)에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제1 절곡홈(4612)은, 평면상에 보았을 때, 도어(D)의 내측면 및 상기 도어(D)의 외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곡홈(4614)은 제1 브라켓(4610)의 하면(4611)과 대향하는 상면(4613)에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제2 절곡홈(4614)은 제1 절곡홈(4612)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절곡홈(4612, 4614)들이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경우 제1 브라켓(4610)이 절단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 절곡홈(4612, 4614)들은 제1 브라켓(4610)에 상호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절곡홈(4612, 4614)을 제1 브라켓(4610)에 형성할 경우 제1 브라켓(4610)을 도어(D)의 상단의 형상과 대응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절곡할 수 있어 도어(D)의 상단 구조 및 두께에 따라 도어캠(1)을 도어(D)에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피부를 갖는 도어캠의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카메라 유닛,본체 및 케이블 유닛은 앞서 도 1에 도시된 도어캠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어캠(1)은 카메라 유닛(1000), 도피부(6000)를 형성하는 스페이서(6200)를 포함하는 본체(2000), 케이블 유닛(3000) 및 브라켓 유닛(5000)을 포함한다.
도어캠(1)의 본체(2000)는 도어(D)의 내측면의 장착되는데, 도어(D)의 내측면에는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패턴(10) 또는 액자, 그림 및 인테리어 물품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D)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패턴(10) 또는 소품이 도어(D)의 내측면에 배치될 경우, 본체(2000)가 도어(D)의 내측면과 완전히 밀착되지 못하고, 본체(2000)의 일부가 도어(D)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거나 경사지게 배치되어 도어(D)와의 지지력 및 결합력이 감소되고 이로 인해 본체(2000)가 낙하하여 도어캠(1)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도출된 패턴(10) 또는 소품이 도어(D)의 내측면에 배치될 경우, 도어(D)가 반복적으로 열리고 닫힐 때 발생되는 충격이 본체(2000)로 인가되어 본체(2000)의 성능 저하 및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D)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패턴(10) 또는 소품에 의하여 본체(2000)의 낙하, 파손 및 성능 저하가 발생될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돌출된 패턴(10) 또는 소품과 대응하는 본체(2000)의 후면(2040)에는 도어(D)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패턴(10) 또는 소품을 도피할 수 있는 도피부(600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본체(2000)의 후면(2040)에 도어(D)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패턴 또는 소품을 도피하기 위해 스페이서(6200)가 배치된다.
스페이서(6200)는 본체(2000)의 후면(2040)에 추가적으로 배치되는 직육면체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며, 스페이서(6200)를 본체(2000)의 후면(2040)에 결합함으로써 도어(D)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패턴 또는 소품을 도피할 수 있는 공간인 도피부(6000)가 형성된다.
도 11에는 본체(2000)의 후면에 1개의 스페이서(6200)가 결합되는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이와 다르게 도어(D)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패턴 또는 소품의 높이에 대응하여 스페이서(6200)는 적어도 2개 이상이 적층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을 다시 참조하면, 카메라 유닛(1000) 및 본체(2000)를 연결하는 브라켓(5000)은 제1 브라켓부(5100), 제2 브라켓부(5200) 및 제3 브라켓부(5300)를 포함한다.
제1 브라켓부(5100)는 도어(D)의 내측면, 상면 및 외측면을 감싸는 오목한 수납 공간(5110)을 갖도록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브라켓부(5100)에는 도어(D)의 상단에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미도시)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체결홀(512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브라켓부(5100)의 복수개의 체결홀(5120)을 형성할 경우, 제1 브라켓(5100)과 도어(D)의 결합력을 높여 도어(D)가 반복하여 열리고 닫힘으로써 생기는 반복적인 마찰에 의해 도어캠(1)이 흔들리거나 낙하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브라켓부(5200)는 제1 브라켓부(5100)의 일측 단부로부터 카메라 유닛(100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후 카메라 유닛(1000)에 결합된다.
제3 브라켓부(5300)는 제1 브라켓부(5100)의 일측 단부와 대향하는 타측 단부로부터 본체(20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후 본체(2000)에 결합된다.
제2 브라켓부(5200) 및 제3 브라켓부(5300)는 카메라 유닛(1000)과 본체(200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 및 결합되고, 제2 브라켓부(5200) 및 제3 브라켓부(5300)에는 슬라이드 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장공(5210, 5310)이 형성된다.
장공(5210, 5310)은 복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카메라 유닛(1000) 및 본체(2000)에는 장공(5210, 5310)과 대응하는 위치에 장공을 통해 체결부재(미도시)가 결합되는 체결홀이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브라켓부(5200) 및 제3 브라켓부(5300)가 슬라이드되는 방향으로 장공(5210, 5310)을 형성할 경우, 도어(D)의 두께가 두껍거나 얇더라도 카메라 유닛(1000) 및 본체를 도어(D)에 전면 및 내측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피부가 형성된 도어캠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도어캠은 도피부를 제외하면 앞서 도 11에 도시된 도어캠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어(D)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패턴(10) 또는 소품에 의하여 본체(2000)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D)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패턴(10)과 대응하는 본체(2000)의 후면(2040)은 오목하게 함몰되어 도피부(600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피부(6000)의 두께 및 형상은 돌출된 패턴(10)과 대응하는 형상 및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의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도어캠은 커버(6100)를 제외하면 앞서 도 12에 도시된 도어캠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피부(6000)는 커버(6100)를 포함한다.
커버(6100)는 본체(2000)와 동일한 소재 및 도피부(600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커버(6100)는 오목하게 함몰된 본체(2000)의 후면(2040)에서 본체(2000)와 결합된다.
본체(2000)와 결합되는 커버(6100)를 형성함으로써 도어(D)의 내측면에 돌출된 패턴(10)이 있을 경우에는 커버(6100)를 본체(2000)로부터 분리하여 도피부(6000)를 형성하고, 도어(D)의 내측면에 돌출된 패턴(10)이 없을 경우에는 본체(2000)에 커버(6100)를 결합하여 본체(2000)와 도어(D)의 내측면 사이에 불필요하게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커버(6100)는 제1 커버(6110) 및 제2 커버(6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6110) 및 제2 커버(6120)는 오목하게 함몰된 본체(2000)의 후면(2040)에서 차례대로 적층된 상태로 본체(2000)와 결합된다.
커버(6100)를 적어도 2개가 적층된 상태로 형성하는 것은 도어(D)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패턴(10) 또는 소품의 높이에 따라서 본체(2000)와 결합된 커버(6100)의 적층되는 개수를 가감하여 도어(D)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패턴(10) 또는 소품의 다양한 높이를 수용하여 본체(2000) 및 도어(D)의 내측면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커버(6000)는 제1 커버(6110) 및 제2 커버(6120) 2개가 적층된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있지만, 이와 다르게 커버(6000)는 더 많은 개수가 형성되어 적층 및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어캠은 도어의 내측면에 배치된 그림, 액자 등과 같은 소품 또는 도어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패턴 등에 의하여 도어캠의 본체가 도어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지 않고 이격되거나 경사지게 배치되어 미관이 저하되고 도어캠이 낙하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 도어캠 1000... 카메라 유닛
2000... 본체 3000... 케이블 유닛
4000... 브라켓 어셈블리

Claims (6)

  1. 도어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의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를 고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카메라 유닛;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카메라 유닛을 제어 및 상기 카메라 유닛에 전원을 제공하는 본체;
    전기 신호가 통과하는 배선을 포함하며 일측은 상기 카메라 유닛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은 상기 도어의 상단을 가로질러 상기 본체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케이블 유닛;
    상기 카메라 유닛 및 상기 본체를 상기 도어의 상단에 고정하는 브라켓; 및
    상기 본체와 대응하는 상기 도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패턴 또는 도어의 표면에 배치된 소품에 의하여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어의 내측면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패턴 또는 상기 소품을 도피하는 도피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 형성된 상기 도피부는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형성된 패턴 또는 상기 소품과 마주하는 상기 본체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패턴 또는 상기 소품을 도피하고,
    상기 도피부는 상기 패턴 또는 상기 소품과 대응하는 상기 본체의 후면을 오목하게 함몰시켜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기 도피부에는 상기 도피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패턴 또는 상기 소품의 높이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적층되는 커버가 결합되는 이격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도어의 내측면, 상기 도어의 상면 및 상기 도어의 외측면을 감싸는 오목한 수납 공간을 갖는 제1 브라켓부, 상기 제1 브라켓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카메라 유닛에 결합되는 제2 브라켓부 및 상기 제1 브라켓부의 상기 일측 단부와 대향하는 타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제3 브라켓부를 포함하는 이격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캠.
KR1020200142680A 2020-10-30 2020-10-30 이격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캠 KR102423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680A KR102423929B1 (ko) 2020-10-30 2020-10-30 이격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680A KR102423929B1 (ko) 2020-10-30 2020-10-30 이격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724A KR20220057724A (ko) 2022-05-09
KR102423929B1 true KR102423929B1 (ko) 2022-07-22

Family

ID=81583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680A KR102423929B1 (ko) 2020-10-30 2020-10-30 이격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39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334B1 (ko) * 2006-09-30 2008-02-15 김명수 탈부착이 가능한 도어방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3832A (ja) * 1997-09-16 1999-06-08 Sanyo Electric Co Ltd クリップ付きカメラ及びカメラ装置
KR20170116651A (ko) * 2016-04-11 2017-10-20 이영신 웨어러블 카메라를 지지하는 클립장치
KR102006933B1 (ko) 2017-09-27 2019-10-01 최유강 출입문용 감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334B1 (ko) * 2006-09-30 2008-02-15 김명수 탈부착이 가능한 도어방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724A (ko) 202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5430B1 (ko) 전기코넥터 및 그 전기코넥터를 이용한 전자기기
US6896530B2 (en) Connector provided with shutter
US5822183A (en) Memory card installing device
US10827809B2 (en) Protective case for electronic device
KR102423929B1 (ko) 이격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캠
US8050025B2 (en) Cover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100802236B1 (ko) 감시 카메라
KR102423931B1 (ko) 케이블 손상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캠
US6481902B2 (en) Light transmission device
KR102347121B1 (ko) 도어 고정용 브라켓을 갖는 도어캠
KR101700232B1 (ko) 스위치용 커버 및 조작 단말기
KR101677617B1 (ko) 이동 단말기
US8036725B2 (en) Mobile device
JP4216229B2 (ja) 光伝送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2347122B1 (ko) 사생활 침해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캠
KR102364425B1 (ko) 케이블 수납 기능을 갖는 도어캠
KR102347120B1 (ko) 케이블 분리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캠
KR20150107611A (ko) 스위치용 커버 및 조작 단말기
KR20220037289A (ko) 동작 감지 센서를 갖는 도어캠
JP4968245B2 (ja) カバーの取り付け構造
JP5806757B1 (ja) 通信ユニット
US6920040B2 (en) Computer system having a main casing with a movable port
KR101838267B1 (ko) 공동주택용 전선단자함 고정구조
JP2003272753A (ja) 電子機器の外部接続端子カバー構造
JP5884023B2 (ja) 蓋開閉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