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055B1 - 투과체에 대한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 Google Patents

투과체에 대한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055B1
KR102423055B1 KR1020200100457A KR20200100457A KR102423055B1 KR 102423055 B1 KR102423055 B1 KR 102423055B1 KR 1020200100457 A KR1020200100457 A KR 1020200100457A KR 20200100457 A KR20200100457 A KR 20200100457A KR 102423055 B1 KR102423055 B1 KR 102423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ation
scanning
lens
phase
hol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0027A (ko
Inventor
김태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빅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빅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빅셀
Priority to KR1020200100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055B1/ko
Priority to US18/019,487 priority patent/US20230297027A1/en
Priority to PCT/KR2021/009102 priority patent/WO2022035068A1/ko
Publication of KR20220020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43Digital holography, i.e. recording holograms with digital record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9/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9/02Interferometers
    • G01B9/02041Interferometer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imaging or detection techniques
    • G01B9/02047Interferometer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imaging or detection techniques using digital holographic imaging, e.g. lensless phase imaging without hologram in the reference pa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9/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9/02Interferometers
    • G01B9/02015Interferometers characterised by the beam path configuration
    • G01B9/02024Measuring in transmission, i.e. light traverses the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9/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9/02Interferometers
    • G01B9/02034Interferometers characterised by particularly shaped beams or wavefronts
    • G01B9/02038Shaping the wavefront, e.g. generating a spherical wavefro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9/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9/02Interferometers
    • G01B9/02055Reduction or prevention of errors; Testing; Calibration
    • G01B9/02056Passive reduction of errors
    • G01B9/02057Passive reduction of errors by using common path configuration, i.e. reference and object path almost entirely overlapp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9/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9/02Interferometers
    • G01B9/021Interferometers using holographic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01Scanning systems with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deflecting means, e.g. raster or XY scann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93Special hologra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conoscopic, referenceless holograph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8Synthesising holograms, i.e. holograms synthesized from objects or objects from holograms
    • G03H1/0808Methods of numerical synthesis, e.g. coherent ray tracing [CRT], diffraction specif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290/00Aspects of interferometer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any group under G01B9/02
    • G01B2290/70Using polarization in the interferome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43Digital holography, i.e. recording holograms with digital recording means
    • G03H2001/0447In-line recording arrang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43Digital holography, i.e. recording holograms with digital recording means
    • G03H2001/0452Digital holography, i.e. recording holograms with digital recording means arranged to record an image of the objec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43Digital holography, i.e. recording holograms with digital recording means
    • G03H2001/0454Arrangement for recovering hologram complex amplitud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43Digital holography, i.e. recording holograms with digital recording means
    • G03H2001/0454Arrangement for recovering hologram complex amplitude
    • G03H2001/0458Temporal or spatial phase shifting, e.g. parallel phase shifting metho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65Particular recording light; Beam shape or geometry
    • G03H2001/0471Object light being transmitted through the object, e.g. illumination through living cel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03H1/2202Reconstruction geometries or arrangements
    • G03H1/2205Reconstruction geometries or arrangements using downstream optical component
    • G03H2001/221Element having optical power, e.g. field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2/00Light sources or light beam properties
    • G03H2222/31Polarised ligh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2/00Light sources or light beam properties
    • G03H2222/35Transverse intensity distribution of the light bea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2/00Light sources or light beam properties
    • G03H2222/36Scanning light bea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2/00Light sources or light beam properties
    • G03H2222/40Particular irradiation beam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3H2222/45Interference beam at recording stage, i.e. following combination of object and reference be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2/00Light sources or light beam properties
    • G03H2222/50Geometrical property of the irradiating beam
    • G03H2222/52Divergent bea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3/00Optical components
    • G03H2223/17Element having optical pow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3/00Optical components
    • G03H2223/18Pr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3/00Optical components
    • G03H2223/20Birefringent optical element, e.g. wave pla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3/00Optical components
    • G03H2223/22Polaris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6/00Electro-optic or electronic components relating to digital holography
    • G03H2226/02Computing or processing means, e.g.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6/00Electro-optic or electronic components relating to digital holography
    • G03H2226/11Electro-optic recording means, e.g. CCD, pyroelectric sensors
    • G03H2226/13Multiple record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olo Graphy (AREA)
  • Instruments For Measurement Of Length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과체에 대한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편광 빔을 입사받아 음의 초점거리를 갖는 우현 원편광의 제1 구면파 및 양의 초점거리를 갖는 좌현 원편광의 제2 구면파를 생성하는 편광 감응형 렌즈와, 상기 생성된 제1 및 제2 구면파 사이에서 발생한 간섭 빔을 이용하여 투과형 대상물인 투과체를 스캔하는 스캔수단과, 상기 투과체를 투과한 빔을 입사받아 제1 및 제2 출력 빔으로 분리하는 제1 빔스플리터와, 상기 제1 및 제2 출력 빔을 각각 편광시키는 제1 및 제2 편광기, 및 상기 제1 및 제2 편광기를 통과한 각각의 출력 빔을 검출하는 제1 및 제2 광검출기를 포함하는 투과체에 대한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편광 감응형 렌즈를 이용하여 단일의 광 경로에서 스캐닝 패턴을 형성함에 따라 높은 안정성 및 낮은 복잡도를 가지는 동시에, 편광에 따른 기하학적 구조를 이용하여 복잡한 변조 장치 없이도 쌍영상 잡음과 배경 잡음이 제거된 실제 투과형 물체에 대한 복소수 홀로그램을 획득할 수 있어 고효율 및 고품질의 광 스캐닝 홀로그래피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투과체에 대한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Geometric phase in-line scanning holography system for transmissive object}
본 발명은 투과체에 대한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편광 감응형 렌즈(polarization sensitive lens)와 기하 위상 구조를 이용하여 투과형 대상물인 투과체에 대한 고효율 및 고품질의 광 스캐닝 홀로그래피를 구현할 수 있는 투과체에 대한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따른 광 스캐닝 기반의 물체의 홀로그램 획득 장치는 가간섭 광(coherent light; 간섭 가능한 광)을 제1 빔과 제2 빔으로 공간적으로 분리 후, 각각의 개별적인 광 경로를 따라 진행하는 제1 빔과 제2 빔을 개별 광 경로 상에서 시간과 공간적으로 광 변조하고 이들을 다시 재결합하는 간섭계 구조를 이용하여 스캐닝 빔 패턴을 형성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경우 스캐닝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분리된 두 가지 광 경로에 의한 광 경로차가 가간섭 광의 가 간섭거리(coherence length)보다 짧아야 하므로 높은 가간섭성의 광원이 요구되고, 빛의 파장 단위의 높은 정밀도 및 안정성을 갖는 기구물이 요구된다.
또한, 기존의 광 스캐닝 방식의 경우 쌍영상 잡음과 배경 잡음 없이 실제 물체의 홀로그램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함수 발생기에 의해 생성된 전기 신호에 따라 광의 위상을 변조하는 음향 광 변조기 또는 전자 광 변조기 같은 부가적이고 복잡한 변조 장치가 요구되었다.
하지만, 음향 광 변조기의 경우 부피가 크고 MHz 대역의 고주파 신호 생성 장치를 필요로 하며 높은 에너지의 음파 생성이 요구되므로 전력 손실이 큰 단점이 있다. 그리고, 전자 광 변조기의 경우 부피가 클 뿐만 아니라 고전압 생성을 위한 전압 증폭기를 필요로 하며 장치의 복잡도가 높은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은 기존의 광 스캐닝 홀로그램의 실용화에 있어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2013-0081127호(2013.07.16 공개)에 있다.
본 발명은, 편광 감응형 렌즈를 이용하여 단일의 광 경로에서 스캐닝 패턴을 형성함에 따라 높은 안정성 및 낮은 복잡도를 가지며, 기하 위상 검출 방식을 이용함에 따라 복잡한 변조 장치 없이도 쌍영상 잡음과 배경 잡음이 제거된 실제 투과형 물체에 대한 복소수 홀로그램을 획득할 수 있는 투과체에 대한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램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선편광 빔을 입사받아 음의 초점거리를 갖는 우현 원편광의 제1 구면파 및 양의 초점거리를 갖는 좌현 원편광의 제2 구면파를 생성하는 편광 감응형 렌즈와, 상기 생성된 제1 및 제2 구면파 사이에서 발생한 간섭 빔을 이용하여 투과형 대상물인 투과체를 스캔하는 스캔수단과, 상기 투과체를 투과한 빔을 입사받아 제1 및 제2 출력 빔으로 분리하는 제1 빔스플리터와, 상기 제1 및 제2 출력 빔을 각각 편광시키는 제1 및 제2 편광기, 및 상기 제1 및 제2 편광기를 통과한 각각의 출력 빔을 검출하는 제1 및 제2 광검출기를 포함하는 투과체에 대한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선편광 빔을 입사받아 음의 초점거리를 갖는 우현 원편광의 제1 구면파 및 양의 초점거리를 갖는 좌현 원편광의 제2 구면파를 생성하는 편광 감응형 렌즈와, 상기 생성된 제1 및 제2 구면파 사이에서 발생한 간섭 빔을 이용하여 투과형 대상물인 투과체를 스캔하는 스캔수단과, 상기 투과체를 투과한 빔을 입사받아 제1 및 제2 출력 빔으로 분리하는 제1 빔스플리터와, 상기 제1 출력 빔을 제1a 및 제1b 출력 빔으로 분리하는 제2 빔스플리터와, 상기 제2 출력 빔을 제2a 및 제2b 출력 빔으로 분리하는 제3 빔스플리터와, 상기 제1a 및 제1b 출력 빔을 각각 편광시키는 제1 및 제2 편광기와, 상기 제2a 및 제2b 출력 빔을 각각 편광시키는 제3 및 제4 편광기, 및 상기 제1 내지 제4 편광기를 통과한 각각의 출력 빔을 검출하는 제1 내지 제4 광검출기를 포함하는 투과체에 대한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선편광 빔을 입사받아 음의 초점거리를 갖는 우현 원편광의 제1 구면파 및 양의 초점거리를 갖는 좌현 원편광의 제2 구면파를 생성하는 편광 감응형 렌즈와, 상기 생성된 제1 및 제2 구면파 사이에서 발생한 간섭 빔을 이용하여 투과형 대상물인 투과체를 스캔하는 스캔수단과, 상기 투과체를 투과한 빔을 입사받아 제1 및 제2 출력 빔으로 분리하는 제1 빔스플리터와, 상기 제1 출력 빔을 제1a 및 제1b 출력 빔으로 분리하는 제2 빔스플리터와, 상기 제1a 및 제1b 출력 빔을 각각 편광시키는 제1 및 제2 편광기와, 상기 제2 출력 빔을 편광시키는 제3 편광기, 및 상기 제1 내지 제3 편광기를 통과한 각각의 출력 빔을 검출하는 제1 내지 제3 광검출기를 포함하는 투과체에 대한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편광 감응형 렌즈는 기하 위상 렌즈(geometric phase lens)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은, 입력된 광원으로부터 선편광 빔을 생성하여 상기 편광 감응형 렌즈로 제공하는 광원측 편광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섭 빔은, 기하 위상 프레넬 윤대판(Geometric Phase Fresnel Zone Plate) 형태로서 아래의 수학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20084276508-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20084276508-pat00002
는 상기 편광 감응형 렌즈에 의해서 형성된 제1 및 제2 구면파의 간섭 빔, λ는 사용된 빔의 파장, fgp는 상기 편광 감응형 렌즈의 초점거리, (x0 2+y0 2)는 상기 선편광 빔의 광축에 직교하는 평면을 (x0,y0)로 하는 카타르시안 좌표계, z는 상기 제2 구면파의 초점위치로부터 상기 대상물까지의 거리, θ는 광원으로부터 상기 선편광 빔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광원측 편광기의 편광 축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선편광된 각도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은, 상기 편광 감응형 렌즈와 상기 스캔수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구면파의 각 초점 간의 거리를 조정하고 상기 편광 감응형 렌즈 면의 패턴을 상기 대상물 영역의 면으로 이미징하는 제1 렌즈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간섭 빔은, 기하 위상 프레넬 윤대판 형태로서 아래의 수학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20084276508-pat00003
또는
Figure 112020084276508-pat00004
여기서,
Figure 112020084276508-pat00005
은 상기 제1 렌즈에 의해 대상물 영역에 이미징된 제1 및 제2 구면파의 간섭 빔, Mimg는 상기 편광 감응형 렌즈 면의 패턴을 상기 대상물 영역의 면으로 이미징 시 상기 제1 렌즈에 의한 상의 축소 또는 확대 비율, zimg는 상기 제2 구면파의 초점위치로부터 상기 대상물까지의 거리, 2M2 imgfgp는 조정된 제1 및 제2 구면파의 각 초점 간의 거리, dc는 직류 바이어스 성분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은, 상기 편광 감응형 렌즈와 상기 스캔수단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제2 구면파와 동일한 초점위치를 가지고 상기 제2 구면파를 평면파로 변환하는 제2 렌즈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간섭 빔은, 상기 제1 구면파와 상기 평면파 간의 간섭에 의해 형성되는 선형 프레넬 윤대판 형태로서 아래의 수학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20084276508-pat00006
여기서,
Figure 112020084276508-pat00007
는 상기 제2 렌즈에 의해 전달된 제1 구면파와 평면파의 간섭 빔, z는 상기 제2 렌즈에 의해 곡률이 더해진 제1 구면파의 초점위치로부터 상기 대상물까지의 거리, dc는 직류 바이어스 성분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제1 빔스플리터는, 입사된 빔의 일부를 투과시키고 일부를 반사시켜 2개로 분리하며, 상기 제2 편광기는, 상기 제1 편광기의 편광 방향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45도 회전된 편광 방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빔스플리터는, 입사된 빔의 일부를 투과시키고 일부를 반사시켜 2개로 분리하며, 상기 제2 내지 제4 편광기는, 상기 제1 편광기의 편광 방향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45도, 90도, 135도 회전된 편광 방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은, 상기 제1 및 제2 광검출기에서 검출된 제1 및 제2 전류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대상물의 복소수 홀로그램을 생성하는 전자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광검출기는, 상기 제1 및 제2 편광기를 통과한 상기 제1 및 제2 출력 빔의 세기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전류 신호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광검출기에서 생성한 상기 제1 및 제2 전류 신호(
Figure 112020084276508-pat00008
,
Figure 112020084276508-pat00009
)는 아래의 수학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20084276508-pat00010
Figure 112020084276508-pat00011
여기서, O(x0,y0;z)는 상기 대상물의 투과율에 대한 3차원 분포로서 상기 대상물의 3차원 영상이며,
Figure 112020084276508-pat00012
는 콘볼루션(convolution) 연산, λ는 사용된 빔의 파장, (x,y)는 상기 스캔수단에 의해 지정되는 스캔 빔의 스캔 위치, fgp는 상기 편광 감응형 렌즈의 초점거리, (x0 2+y0 2)는 상기 선편광 빔의 광축에 직교하는 평면을 (x0,y0)로 하는 카타르시안 좌표계, z는 상기 제2 구면파의 초점위치로부터 상기 대상물까지의 거리, dc는 직류 바이어스 성분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전자처리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전류 신호로부터 각각 직류 바이어스 성분인 dc 성분을 제거하여 AD 컨버터에 입력시키는 제1 및 제2 dc 제거 필터와, 상기 dc 성분이 필터링된 제1 및 제2 전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와,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상기 대상물의 복소수 홀로그램을 생성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복소수 홀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대상물의 임의 위치에 대한 홀로그램 처리가 완료될 때마다 상기 스캔수단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스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은, 상기 편광 감응형 렌즈와 상기 스캔수단 사이에 설치되며, 입사되는 상기 간섭 빔의 일부를 투과시켜 상기 스캔수단으로 전달하고 일부를 반사시켜 빔을 2개로 분리하는 제2 빔스플리터, 및 상기 제2 빔스플리터에서 반사된 빔을 처리하며, 상기 제1 빔스플리터, 상기 제1 및 제2 편광기, 상기 제1 및 제2 광 검출기와 각각 대칭 형태로 배치된 제1-R 빔스플리터, 제1-R 및 제2-R 편광기, 그리고 제1-R 및 제2-R 광검출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자처리부는, 상기 제1-R 및 제2-R 광검출기에서 검출된 제1-R 및 제2-R 전류 신호를 상기 시스템의 진동에 의한 위상 요동을 보상하기 위한 제1 및 제2 위상 보정 기준 신호로 사용하되, 상기 제1 및 제2 위상 보정 기준 신호로부터 각각 직류 바이어스 성분인 dc 성분을 제거하는 제1-R 및 제2-R dc 제거 필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dc 성분이 제거된 제1 및 제2 위상 보정 기준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위상 보정을 위한 복소수 홀로그램을 생성한 다음, 상기 위상 보정을 위한 복소수 홀로그램의 켤레복소수(complex conjugate)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대상물의 복소수 홀로그램에 곱하여 상기 시스템의 위상 요동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은, 상기 제1 내지 제4 광검출기에서 검출된 제1 내지 제4 전류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대상물의 복소수 홀로그램을 생성하는 전자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 광검출기는, 상기 제1 내지 제4 편광기를 통과한 각각의 출력 빔의 세기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전류 신호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광검출기에서 생성한 제n 전류 신호(
Figure 112020084276508-pat00013
)는 아래의 수학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20084276508-pat00014
여기서, n={1,2,3,4}, pn은 상기 n으로 지정된 광검출기에서 생성된 홀로그램 신호의 천위된 위상, O(x0,y0;z)는 상기 대상물의 투과율에 대한 3차원 분포로서 상기 대상물의 3차원 영상이며,
Figure 112020084276508-pat00015
는 콘볼루션(convolution) 연산, λ는 사용된 빔의 파장, (x,y)는 상기 스캔수단에 의해 지정되는 스캔 빔의 스캔 위치, fgp는 상기 편광 감응형 렌즈의 초점거리, (x0 2+y0 2)는 상기 선편광 빔의 광축에 직교하는 평면을 (x0,y0)로 하는 카타르시안 좌표계, z는 상기 제2 구면파의 초점위치로부터 상기 대상물까지의 거리이다.
또한, 상기 전자처리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전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와,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상기 대상물의 복소수 홀로그램을 생성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복소수 홀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대상물의 임의 위치에 대한 홀로그램 처리가 완료될 때마다 상기 스캔수단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스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은, 상기 편광 감응형 렌즈와 상기 스캔수단 사이에 설치되며, 입사되는 상기 간섭 빔의 일부를 투과시켜 상기 스캔수단으로 전달하고 일부를 반사시켜 빔을 2개로 분리하는 제4 빔스플리터, 및 상기 제4 빔스플리터에서 반사된 빔을 처리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빔스플리터, 상기 제1 내지 제4 편광기, 상기 제1 내지 제4 광검출기와 각각 대칭 형태로 배치된 제1-R 내지 제3-R 빔스플리터, 제1-R 내지 제4-R 편광기, 그리고 제1-R 내지 제4-R 광검출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자처리부는, 상기 제1-R 내지 제4-R 광검출기에서 각각 검출된 제1-R 내지 제4-R 전류 신호를 상기 시스템의 진동에 의한 위상 요동을 보상하기 위한 제1 내지 제4 위상 보정 기준 신호로 사용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위상 보정 기준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위상 보정을 위한 복소수 홀로그램을 생성한 다음,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대상물의 복소수 홀로그램에 곱하여 상기 시스템의 위상 요동을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편광 감응형 렌즈를 이용하여 단일의 광 경로에서 스캐닝 패턴을 형성함에 따라 높은 안정성 및 낮은 복잡도를 가지는 동시에, 편광에 따른 기하학적 구조를 이용하여 복잡한 변조 장치 없이도 쌍영상 잡음과 배경 잡음이 제거된 실제 물체의 복소수 홀로그램을 획득할 수 있으며, 투과형 물체인 투과체에 대한 고효율 및 고품질의 광 스캐닝 홀로그래피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광 신호를 변조하기 위한 복잡한 광 변조 장치가 불필요하므로 구조의 복잡도를 낮출 수 있고 소형 및 경량화가 가능함은 물론, 에너지 소비에 민감한 모바일 기기에도 적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 감응형 렌즈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본 발명에 따른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도 8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대상물에 대한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투과형 대상물(transmissive object)(이하, 투과체)에 대한 홀로그램을 획득하기 위한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를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100)은 편광기(110), 콜리메이터(120), 편광 감응형 렌즈(130), 스캔수단(140), 집광기(150), 제1 빔스플리터(155), 제1 및 제2 편광기(160a,160b), 제1 및 제2 광검출기(170a,170b), 전자처리부(180)를 포함한다.
먼저, 광원은 전자기파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원으로는 가간섭 광을 출력하는 레이저 발생기, 그리고 가간섭성이 낮은 LED(light emitting diode) 램프, 결맞음 길이(coherence length)가 짧은 헬로겐 램프 등의 다양한 수단이 사용 가능하다.
편광기(110)(linear polarizer)는 입력된 광원을 선편광 빔(linearly polarized light)으로 변환하여 콜리메이터(120)로 제공한다. 도 1에서 광원 및 편광기(110)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외부에서 만들어진 선편광 빔이 콜리메이터(120)로 바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광원이 생략되는 경우에는 외부에서 제공된 광원이 편광기(110)로 바로 입력될 수 있다.
콜리메이터(120)(collimator)는 편광기(110)에서 출력된 빔을 확장시켜 편광 감응형 렌즈(130)로 전달하며, 빔을 확장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편광 감응형 렌즈(130)(polarization sensitive lens)는 콜리메이터(120)를 통해 확장된 선편광 빔을 입사받아, 음의 초점거리를 갖는 우현 원편광의 제1 구면파 및 양의 초점거리를 갖는 좌현 원편광의 제2 구면파를 동시에 생성한다.
여기서, 편광 감응형 렌즈(130)는 기하 위상 렌즈(geometric phase lens)로 구성될 수 있다. 편광 감응형 렌즈(130)는 액정(liquid crystal)에 기반한 판카랏남 상(Pancharatnam-phase) 효과를 갖는 얇은 평판형 구조이며, 입력된 빛의 편광에 따라 입력 빔의 파면을 양과 음의 초점거리를 갖는 파면으로 변경하는 렌즈 역할을 한다. 기하 위상 렌즈는 공지된 것과 같이 마하젠더 간섭계 기반의 아날로그 홀로그램 레코딩 장치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ImagineOptix사에서 제공하는 기성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 감응형 렌즈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의 (a)와 같이, 기하 위상 렌즈(편광 감응형 렌즈; 130)는 우현 원편광(right-handed circular polarized beam)이 입사되면 해당 편광 방향에 감응하여 볼록 렌즈로 작용하여 양의 초점거리(+fgp)를 갖는 좌현 원편광(left-handed circular polarized beam)의 구면파를 만들고, 도 2의 (b)와 같이 좌현 원편광이 입사되면 해당 편광 방향에 감응하여 오목 렌즈로 작용하여 음의 초점거리(-fgp)를 갖는 우현 원편광의 구면파를 만든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도 2의 (c)와 같이, 선편광(linearly polarized)의 파면이 기하 위상 렌즈에 입력되는데, 이 경우 기하 위상 렌즈는 입력된 빛의 에너지 세기를 거의 절반씩 나누어 음의 초점거리(-fgp)를 갖는 우현 원편광의 구면파(이하, 제1 구면파)와 양의 초점거리(+fgp)를 갖는 좌현 원편광의 구면파(이하, 제2 구면파)의 파면을 동시에 생성한다.
이처럼, 편광 감응형 렌즈(130)는 입사된 선편광 빔의 일부를 우현 원 편광으로 변경하여 입사되는 빔의 진행 방향과 반대 쪽에 초점을 위치시키는 제1 구면파를 형성하고, 이와 동시에 나머지를 좌현 원 편광으로 변경하여 입사되는 빔의 진행 방향 쪽에 초점을 위치시키는 제2 구면파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편광 감응형 렌즈를 이용하여 단일의 광 경로에서 스캐닝 패턴을 형성함에 따라, 광원을 두 경로로 분리 후 재결합하여 간섭 패턴을 형성하는 종래 기법보다 더욱 고효율 및 고품질의 광 스캐닝 홀로그래피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높은 안정성 및 낮은 복잡도의 광학계 구조를 사용하여 외부 환경에 강인하고 안정적인 이점이 있다.
편광 감응형 렌즈(130)에서 인라인(In-Line)으로 도출된 제1 및 제2 구면파는 스캔수단(140)으로 전달된다. 여기서 제1 구면파와 제2 구면파는 인라인 구조 상에서 상호 중첩되면서 간섭 빔을 형성하게 된다.
스캔수단(140)은 제1 및 제2 구면파 사이에서 발생한 간섭 빔을 이용하여 투과형 대상물인 투과체(10)를 스캔한다.
여기서, 투과체(10)는 세포, 미생물, 피막, 투명성 물체나 조형물 등 투과성을 가지는 다양한 물체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촬영 대상물인 투과체(10)를 대상물로 명명한다.
이때, 간섭 빔은 기하 위상 프레넬 윤대판(Geometric Phase Fresnel Zone Plate) 형태로서 아래의 수학식 1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20084276508-pat00016
여기서,
Figure 112020084276508-pat00017
는 편광 감응형 렌즈(140)에 의해서 형성된 제1 및 제2 구면파의 간섭 빔, λ는 사용된 빔의 파장, fgp는 편광 감응형 렌즈(140)의 초점거리, (x0 2+y0 2)는 선편광 빔의 광축에 직교하는 평면을 (x0,y0)로 하는 카타르시안 좌표계, z는 제2 구면파의 초점위치로부터 대상물(10)까지의 거리, θ는 편광기(110)의 편광 축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선편광된 각도를 나타낸다.
즉, 도 1의 편광 감응형 렌즈(140)를 통해 생성된 제1 구면파와 제2 구면파 중에서 편광기(110)의 편광 축에 대해서 시계방향으로 θ의 각을 갖는 축 방향으로 선편광된 부분의 간섭 패턴은 위상이 2θ 만큼 천위된 비선형 프레넬 윤대판이 된다. 이때, 편광축의 기하적인 회전각에 의해 간섭패턴의 위상이 천위되므로, 이러한 형태를 기하 위상 프레넬 윤대판(Geometrical Phase Fresnel Zone Plate)이라 한다.
스캔수단(140)은 편광 감응형 렌즈(130)로부터 전달받은 간섭 빔을 이용하여 투과형 대상물인 투과체(10)를 스캔한다. 스캔수단(140)은 이러한 간섭 빔을 응답지령빔으로 하여 촬영 대상물인 투과체(10)를 스캔한다.
대상물(10)을 스캔하기 위한 응답지령빔의 세기 패턴은 수학식 2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20084276508-pat00018
여기서, dc는 구면파 세기 패턴과 구면파 세기 패턴의 합으로, 이상적인 경우에는 공간에 따른 변화가 없고 실제의 경우에도 공간에 따른 변화가 아주 작은 직류 바이어스(direct current bias) 성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스캔수단(140)은 거울 스캐너를 사용한다. 거울 스캐너는 대상물(10)을 X 방향으로 스캔하는 수평 스캔 거울과, Y 방향으로 스캔하는 수직 스캔 거울을 갖는 X-Y 스캐너로 구성된다. 물론, 본 발명의 경우 스캔수단(140)이 거울 스캐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유사한 수단 또는 공지된 다른 스캔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거울 형태의 스캔수단(140)에 우현 원편광된 구면파와 좌현 원편광된 구면파가 중첩된 빔이 전달되고, 스캔수단(140)은 기하 위상 프레넬 윤대판을 대상물(10)을 가로질러 이동시킴에 따라, 대상물을 스캐닝할 수 있도록 한다.
스캔수단(140)은 전자처리부(180)에 마련된 스캔 제어부(185)로부터 스캐닝 제어신호를 받아 동작되며, 스캔 제어부(185)는 스캔수단(140)의 스캐닝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스캐닝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스캐닝 제어신호는 수평 스캔 거울 및 수직 스캔 거울을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각각 제어하기 위한 수평 스캔 신호 및 수직 스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렇게 거울 스캐너를 이용하는 대신 대상물을 대물판 위에 위치시키고, 대물판을 수평 이동하여 대상물을 스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외에도 전자광 편향기(electrooptic deflector)를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대상물을 스캔할 수 있다.
스캔수단(140)에 의해 지정되는 스캔 빔의 스캔 위치에서 대상물(10)을 투과한 빔은 집광기(150)에 의해서 공간적(spatially)으로 집적(integrated)된다. 이와 같이 촬영 대상물(10)이 광 투과성을 가지는 투과체에 해당하므로 투과체를 투과하는 광 경로(투과체 후방)에서 투과체를 투과한 빔이 집광기(150)로 입사되고 집적된다.
여기서, 집광기(150)는 렌즈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오목 반사경을 포함한 영상(imaging) 또는 비 영상(non-imaging) 집광기 등의 공지된 다양한 집광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상물(10)을 투과 후 집광기(150)에 집광된 빔은 제1 빔스플리터(155)로 전달된다. 제1 빔스플리터(155)는 집광기(150)로부터 집광된 빔을 입사받아 제1 및 제2 출력 빔으로 분리한다. 제1 빔스플리터(155)는 집광기(150)에 의해 집광된 빛 중 일부를 통과시켜 제1 편광기(160a)로 전달하고, 일부를 반사시켜 제2 편광기(160b)로 전달한다. 즉, 통과된 제1 출력 빔은 제1 편광기(160a)로, 반사된 출력 제2 빔은 제2 편광기(160b)로 전달된다.
제1 및 제2 편광기(160a,160b)는 전달받은 제1 및 제2 출력 빔을 각각 편광시킨다. 여기서, 제2 편광기(160b)는 제1 편광기(160a)의 편광 방향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45도 회전된 편광 방향으로 위치시킨다.
제1 편광기(160a)는 제1 빔스플리터(155)로부터 전달받은 제1 출력 빔 중 제1 편광기(160a)의 편광 방향으로 편광된 빔을 투과시켜 제1 광검출기(170a)로 전달한다. 마찬가지로, 제2 편광기(160b)는 전달받은 제2 출력 빔 중 제2 편광기(160b)의 편광 방향으로 편광된 빔을 투과시켜 제2 광검출기(170b)로 전달한다.
제1 및 제2 광검출기(170a,170b)는 제1 및 제2 편광기(160a,160b)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제1 및 제2 편광기(160a,160b)를 통과한 각각의 출력 빔을 검출한다.
제1 및 제2 광검출기(170a,170b)는 광 다이오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광증배관(photo-multiplier tube) 등 다양한 광 검출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집광기 없이도 광 검출수단의 검출 면으로 전달되어 들어오는 빛을 직접 검출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광검출기(170a,170b)는 집광기(150)를 통해 공간적으로 집적된 빔 중 제1 편광기(160a)의 방향으로 편광된 편광 부분과 제2 편광기(160b) 방향으로 편광된 편광 부분을 검출하여 전류 신호로 변환하는데, 편광 부분의 세기에 따라 전류를 생성한다.
즉, 제1 및 제2 광검출기(170a,170b)는 제1 및 제2 편광기(160a,160b)를 통과한 제1 및 제2 출력 빔의 세기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 전류 신호를 생성한다.
스캔수단(140)에 의해 지정되는 스캔 빔의 스캔 위치에 대해 제1 광검출기(170a)에서 생성된 제1 전류신호는 제1 편광기 방향의 기하 위상 프레넬 윤대판과 대상물의 3차원 영상분포가 인코드된 패턴에 해당하고, 제2 광검출기(170b)에서 생성된 제2 전류신호는 제2 편광기 방향의 기하 위상 프레넬 윤대판과 대상물의 3차원 영상분포가 인코드된 패턴에 해당한다.
제2 편광기(160b)의 편광 방향은 제1 편광기(160a)의 편광 방향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45도 회전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광검출기(170a,170b)에서 각각 생성한 제1 및 제2 전류 신호(
Figure 112020084276508-pat00019
,
Figure 112020084276508-pat00020
)는 제1 편광기(160a)의 편광 방향을 기준으로 아래의 수학식 3과 수학식 4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20084276508-pat00021
Figure 112020084276508-pat00022
여기서, O(x0,y0;z)는 대상물(10)의 투과율(transmittance)에 대한 3차원 분포로서 대상물(10)의 3차원 영상이며,
Figure 112020084276508-pat00023
는 콘볼루션(convolution) 연산, λ는 사용된 빔의 파장, (x,y)는 스캔수단에 의해 지정되는 스캔 빔의 스캔 위치, fgp는 편광 감응형 렌즈의 초점거리, (x0 2+y0 2)는 선편광 빔의 광축에 직교하는 평면을 (x0,y0)로 하는 카타르시안 좌표계, z는 제2 구면파의 초점위치로부터 대상물(10)까지의 거리(대상물의 깊이 위치), dc는 직류 바이어스 성분을 나타낸다.
이러한 수학식 3과 수학식 4에 의한 제1 및 제2 전류 신호는 전자처리부(180) 내의 제1 및 제2 dc 제거 필터(181a,181b)로 각각 전달된다.
전자처리부(180)는 제1 및 제2 광검출기(170a,170b)에서 검출된 제1 및 제2 전류 신호를 처리하여 대상물(10)의 복소수 홀로그램을 생성하며, 제1 및 제2 dc 제거 필터(181a,181b), AD 컨버터(182), 신호처리부(183), 저장부(184) 및 스캔 제어부(185)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dc 제거 필터(181a,181b)는 제1 및 제2 전류 신호로부터 각각 직류 바이어스 성분 즉, dc 성분을 제거하여 AD 컨버터(182)에 입력시킨다.
제1 및 제2 dc 제거 필터(181a,181b)는 수학식 3, 4에서 dc와 대상물의 투과율 분포가 콘볼루션된 부분을 제거하여 아래의 수학식 5, 6과 같은 신호를 출력으로 생성하여 AD 컨버터(182)로 전달한다.
Figure 112020084276508-pat00024
Figure 112020084276508-pat00025
AD 컨버터(182)는 각각의 필터를 통해 dc 성분이 필터링된 제1 및 제2 전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이러한 AD 컨버터(182)는 두 개의 입력 채널을 가지며 수학식 5의 동위상 신호와 수학식 6의 π/2 위상 신호를 각 채널을 통해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신호처리부(183)는 변환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투과형 대상물 즉, 투과체에 대한 복소수 홀로그램을 생성하고, 저장부(184)는 생성된 복소수 홀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때 복소수 홀로그램은 아래의 수학식 7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20084276508-pat00026
여기서,
Figure 112020084276508-pat00027
Figure 112020084276508-pat00028
로부터 dc 성분을 제거한 상태의 값,
Figure 112020084276508-pat00029
Figure 112020084276508-pat00030
로부터 dc 성분을 제거한 상태의 값을 나타낸다.
스캔 제어부(185)는 대상물의 임의 위치에 대한 홀로그램 처리가 완료될 때마다 스캔수단(140)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스캔수단(140)으로 전달한다. 신호처리부(183)는 수학식 5와 6을 수학식 7과 같이 복소수 더하기 방법으로 더하여 각각의 스캔 위치에 대한 2차원 배열을 형성하고 저장부(184)는 이를 저장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dc 제거 필터(181a,181b)를 생략하는 대신, AD 컨버터(182)가 제1 및 제2 광검출기(170a,170b)의 출력을 받아서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후 디지털 신호처리 방식을 통해 dc 제거 필터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신호처리부(183)는 수학식 5, 6에 대하여 각각의 스캔 위치에 따른 2차원 배열을 형성하여 저장부(184)로 전달한 다음, 스캔이 종료되면 저장부(184)로부터 읽어들여 수학식 5, 6에 대응하는 2차원 배열을 수학식 7의 복소수 더하기 방법으로 더한 후 다시 저장부(184)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수학식 7은 종래의 광 스캐닝 홀로그램을 이용하여 획득한 복소수 홀로그램과 동일한데, 이는 곧 복잡한 광 변조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복잡한 간섭계 구조 없이 인라인 구조를 통하여 기존과 동일한 형태의 홀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도 1의 구성은 추후 도 3, 도 6 및 도 7로 응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200)은 편광기(110), 콜리메이터(120), 편광 감응형 렌즈(130), 제1 렌즈(235), 스캔수단(140), 집광기(150), 제1 빔스플리터(155), 제1 및 제2 편광기(160a,160b), 제1 및 제2 광검출기(170a,170b), 전자처리부(180)를 포함한다.
이러한 도 3는 도 1의 제1 실시예의 구조에서 제1 렌즈(235)가 추가로 삽입된 것을 나타내며, 동일한 부호의 구성요소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서 제1 렌즈(235)는 편광 감응형 렌즈(130)와 스캔수단(140)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 구면파의 각 초점 간의 거리를 조정하고, 편광 감응형 렌즈 면의 패턴을 대상물 영역의 면으로 이미징하는 이미징 렌즈 역할을 한다.
즉, 기하 위상 렌즈 면을 제1 렌즈(235)를 이용하여 확대 또는 축소하는 방식으로 대상물의 영역에 이미징하면, 기하 위상 렌즈 면에서의 패턴이 대상물에 이미징되어 투사될 수 있다.
제1 구면파의 초점 위치는 f1, 제2 구면파의 초점위치는 f2라 할 때, 도 1의 경우 f1과 f2 위치 간의 거리는 2fgp 였지만, 도 3의 경우 f1과 f2 위치 간의 거리는 제1 렌즈(235)의 축소 또는 확대율에 따라 2M2 imgfgp로 변경된다.
또한 이러한 도 3의 경우, 간섭 빔은 기하 위상 비선형 프레넬 윤대판 형태로서, 아래의 수학식 8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20084276508-pat00031
여기서,
Figure 112020084276508-pat00032
은 제1 렌즈(235)에 의해 대상물 영역에 이미징된 제1 및 제2 구면파의 간섭 빔, Mimg는 편광 감응형 렌즈(기하 위상 렌즈) 면의 패턴을 대상물 영역의 면으로 이미징 시 제1 렌즈(235)에 의한 상의 축소 또는 확대 비율, zimg는 제2 구면파의 초점위치로부터 대상물(10)까지의 거리, 2M2 imgfgp는 조정된 제1 및 제2 구면파의 각 초점 간의 거리, dc는 직류 바이어스 성분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편광 감응형 렌즈(130)와 대상물(10) 사이에 제1 렌즈(235)를 위치시켜 확대 또는 축소의 방법으로 두 구면파의 초점 간 거리가 변경된 새로운 제1 및 제2 구면파를 대상물의 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두 구면파가 모두 발산하는 영역에 물체를 위치시킨 것을 예시하지만, 헤테로다인 스캐닝 기반 홀로그램의 현미경 응용에 있어 분해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이용하여, 두 구면파의 초점 사이(f1과 f2 위치 사이 지점)에 물체를 위치시킬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편광 감응형 렌즈(기하 위상 렌즈)와 대상물 사이에 이미징 렌즈를 위치시켜, 제1 구면파의 초점 위치(f1)를 대상물의 전면에 위치시키고 제2 구면파의 초점 위치(f2)를 대상물의 후면에 위치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여, 발산하는 구면파와 수렴하는 구면파의 역 방향 곡률의 간섭 패턴에 의해 인코딩된 물체의 홀로그램을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수치적으로 복원하여 분해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하 위상 렌즈와 대상물 사이에 이미징 렌즈를 위치시켜, 기하 위상 렌즈 면을 대상물 면에 이미징하면 수렴하는 제1 구면파와 발산하는 제2 구면파의 간섭 패턴으로 인코딩된 홀로그램을 얻을 수 있으며, 이 경우 간섭 패턴은 아래의 수학식 9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20084276508-pat00033
여기서,
Figure 112020084276508-pat00034
은 제1 렌즈(235)에 의해 대상물 영역에 이미징된 제1 및 제2 구면파의 간섭 빔, Mimg는 편광 감응형 렌즈(기하 위상 렌즈) 면의 패턴을 대상물 면으로 이미징할 때 이미징 렌즈에 의한 상의 축소 또는 확대 비율, zimg는 제2 구면파의 초점위치로부터 대상물까지의 거리, dc는 직류 바이어스 성분을 나타낸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는 편광 감응형 렌즈(130)와 스캔수단(140) 사이에 제2 렌즈(미도시)를 위치시켜, 평면파와 구면파 간의 간섭 패턴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광 스캐닝 홀로그래피에서는 구면파와 평면파가 간섭된 선형 프레넬 윤대판으로 물체를 스캐닝하여 물체의 홀로그램을 획득한다. 기하 위상 렌즈와 물체 사이에 렌즈를 위치시키면 평면파와 구면파의 간섭 패턴을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구면파와 평면파의 간섭에 의해 형성된 간섭 패턴인 선형 프레넬 윤대판으로 인코딩된 홀로그램을 얻을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설명의 편의상 도 3의 235번 부호 자리에 제1 렌즈 대신 제2 렌즈가 배치된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제2 렌즈(미도시)는 편광 감응형 렌즈(130)와 스캔수단(140) 사이에 배치되되, 제2 구면파와 동일한 초점 위치(f2)에 초점이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2 렌즈(미도시)의 초점위치와 제2 구면파의 초점위치가 동일하게 되면, 제2 구면파는 평면파로 변환되고 제1 구면파는 구면파의 곡률이 제2 렌즈에 의해 추가된다.
이 경우, 간섭 빔은 제1 구면파와 평면파 간의 간섭에 의해 형성되는 선형 프레넬 윤대판 형태로서 아래의 수학식 10으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20084276508-pat00035
여기서,
Figure 112020084276508-pat00036
는 제2 렌즈에 의해 전달된 제1 구면파와 평면파의 간섭 빔, z는 제2 렌즈에 의해 곡률이 더해진 제1 구면파의 초점위치로부터 대상물까지의 거리, dc는 직류 바이어스 성분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2 렌즈의 초점위치가 제2 구면파의 초점위치와 같도록 제2 렌즈를 삽입 배치할 경우, 구면파와 평면파 간의 간섭 패턴인 선형 프레넬 윤대판에 의해 인코딩된 홀로그램을 얻을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 추가적인 광검출기를 부가하여, 제1 및 제2 dc 제거 필터(181a,181b) 사용 없이도 dc 성분을 제거함은 물론, 노이즈에 강건한 홀로그램을 획득하는 방식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300)은 편광기(110), 콜리메이터(120), 편광 감응형 렌즈(130), 스캔수단(140), 집광기(150), 제1 내지 제3 빔스플리터(355a,355b,355c), 제1 내지 제4 편광기(360a,360b,360c,360d), 제1 내지 제4 광검출기(370a,370b,370c,370d), 전자처리부(380)를 포함한다.
이러한 도 4의 제3 실시예는 도 1의 제1 실시예의 구조에서 집광 부분의 구성이 변경된 것이다. 따라서 도 4에서 도 1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를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동작을 수행함을 의미하므로, 동일한 부호의 구성요소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러한 도 4의 구성은 추후 도 6, 도 8 및 도 9로 응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집광기(150) 이후의 구성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제1 빔스플리터(355a)는 집광기(150)에서 집광된 빔을 입사받아 제1 및 제2 출력 빔으로 분리한다. 제1 빔스플리터(355a)에서 투과된 제1 출력 빔은 제2 빔스플리터(355b)로, 반사된 제2 출력 빔은 제3 빔스플리터(355c)에 전달된다.
제2 빔스플리터(355b)는 제1 출력 빔을 다시 제1a 및 제1b 출력 빔으로 분리한다. 제2 빔스플리터(355b)에서 투과된 제1a 출력 빔은 제1 편광기(360a)로 전달되고, 반사된 제1b 출력 빔은 제2 편광기(360b)로 전달된다.
제3 빔스플리터(355c)는 제2 출력 빔을 다시 제2a 및 제2b 출력 빔으로 분리한다. 제3 빔스플리터(355c)에서 투과된 제2a 출력 빔은 제3 편광기(360c)로 전달되고, 반사된 제2b 출력 빔은 제4 편광기(360d)로 전달된다.
이때, 제2, 제3 및 제4 편광기(360b,360c,360d)는 각각 제1 편광기(360a)의 편광 방향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45도, 90도, 135도 회전된 편광 방향을 가진다.
제1 내지 제4 광검출기(370a,370b,370c,370d)는 제1 내지 제4 편광기(360a,360b,360c,360d)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어, 제1 내지 제4 편광기(360a,360b,360c,360d)를 통과한 각각의 출력 빔을 검출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4 광검출기(370a,370b,370c,370d)는 앞서 제1 실시예와 같이, 제1 내지 제4 편광기(360a,360b,360c,360d)를 통과한 각각의 출력 빔의 세기에 대응하여 제1 내지 제4 전류 신호를 각각 생성한다.
검출된 제1 내지 제4 전류 신호는 제n 전류 신호(
Figure 112020084276508-pat00037
)로 명명하며, 아래의 수학식 1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20084276508-pat00038
여기서, n={1,2,3,4}로, 제1,2,3,4 광검출기에 각각 대응하는 인덱스이다.
또한, pn은 n으로 지정된 n번째 광검출기에서 각각 생성된 홀로그램 신호의 천위된 위상, O(x0,y0;z)는 대상물(10)의 투과율에 대한 3차원 분포로서 대상물의 3차원 영상이며,
Figure 112020084276508-pat00039
는 콘볼루션(convolution) 연산, λ는 사용된 빔의 파장, (x,y)는 스캔수단(140)에 의해 지정되는 스캔 빔의 스캔 위치, fgp는 편광 감응형 렌즈의 초점거리, z는 제2 구면파의 초점위치로부터 대상물(10)까지의 거리이다.
이러한 수학식 11에 의한 제1 내지 제4 전류 신호는 각각 전자처리부(380) 내의 AD 컨버터(382)로 전달된다.
전자처리부(380)는 제1 내지 제4 광검출기에서 검출된 제1 내지 제4 전류신호를 처리하여 대상물의 복소수 홀로그램을 생성하며, AD 컨버터(382), 신호처리부(383), 저장부(384) 및 스캔 제어부(385)를 포함한다.
AD 컨버터(382)는 제1 내지 제4 전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AD 컨버터(382)는 4개의 입력 채널을 가지며 수학식 11의 0 위상, π/2 위상, π 위상, 3π/2 위상를 각 채널을 통해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변환된 디지털 전류신호는 스캔수단(140)의 스캐닝 위치와 함께 신호처리부(383)로 제공된다.
신호처리부(383)는 변환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대상물의 복소수 홀로그램을 생성하고, 저장부(384)는 생성된 복소수 홀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때 복소수 홀로그램은 아래의 수학식 12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20084276508-pat00040
스캔 제어부(385)는 대상물의 임의 위치에 대한 홀로그램 처리가 완료될 때마다 스캔수단(140)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스캔수단(140)으로 전달한다. 물론, 이를 위해, 신호처리부(383)는 수학식 11에 의한 각각의 위상에 따른 신호를 수학식 12와 같이 복소수 더하기 방법으로 더하여 각각의 스캔 위치에 대한 2차원 배열을 형성하고 저장부(384)는 이를 저장한다.
이외에도, 신호처리부(383)는 수학식 11의 각 위상에 따른 신호에 대하여 각각의 스캔 위치에 따른 2차원 배열을 형성하여 저장부(384)로 전달한 다음, 스캔이 종료되면 저장부(384)로부터 읽어들여 수학식 11의 각각의 위상에 따른 신호에 대응하는 2차원 배열을 수학식 12의 복소수 더하기 방법으로 더한 후 다시 저장부(384)에 저장할 수 있다.
다음은 제3 실시예에 대한 변형 예를 설명한다. 이는 제3 실시예의 도면인 도 4에서 점선 박스 내의 제3 빔스플리터(355c), 제4 편광기(360d), 제4 광검출기(370d)를 제거한 경우이다.
이때, 제1 및 제2 빔스플리터(355a,355b)의 동작은 제3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3 실시예와 다른 점은 제1 빔스플리터(355a)에서 반사된 제2 출력 빔이 제3 편광기(360c)에 바로 전달되어 편광되며, 제3 편광기(360c)를 통해 편광된 빔은 제3 광검출기(370c)에서 검출된다.
이러한 변형예의 경우 제1,제2,제3 광검출기(370a,370b,370c)에서 출력된 3개의 전류 신호를 3개 채널을 갖는 AD 컨버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 처리부에 전달하고, 신호 처리부는 이를 수학식 13의 방법으로 처리하여 복소수 홀로그램을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20084276508-pat00041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광 신호를 변조하기 위한 복잡한 변조 장치의 사용 없이 편광에 따른 기하학적 구조를 이용하여 쌍영상 잡음과 배경 잡음이 없는 실제 물체(투과형 물체)의 복소수 홀로그램을 획득할 수 있어 구조의 복잡도를 낮출 수 있고 소형 및 경량화가 가능함은 물론, 에너지 소비에 민감한 모바일 기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제3 실시예의 구조에서 편광 감응형 렌즈(130)와 스캔수단(140) 사이에 렌즈(435)가 추가로 삽입된 것으로, 그 원리는 앞서 도 3의 경우와 같으며, 동일 구성요소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렌즈(435)를 추가 삽입할 경우 앞서 수학식 8 내지 수학식 10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의 진동, 광원의 요동, 광정렬 오류 등에 따라, 스캔수단(140)에 의해 지정되는 스캔 빔의 스캔 위치에서 발생되는 위상 요동(phase fluctuation)을 상쇄하여, 위상 요동에 더욱 강건한 홀로그램을 획득하기 위한 기법을 제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도 6의 경우 도 1의 제1 실시예의 구조에 대해 위상 요동 보상 기능이 부가된 것이다.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5 실시예에 따른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500)은 편광기(110), 콜리메이터(120), 편광 감응형 렌즈(130), 스캔수단(140), 제1 집광기(150), 제1 빔스플리터(155), 제1 및 제2 편광기(160a,160b), 제1 및 제2 광검출기(170a,170b), 전자처리부(180-1), 제2 빔스플리터(590), 제2 집광기(595), 그리고 R-집광부("R" 표기 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도 6은 시스템(500)의 진동에 의한 위상 요동을 보정하도록, 도 1의 제1 실시예의 구조에서 제2 빔스플리터(590), 제2 집광기(595), 그리고 R-집광부("R" 표기 요소)가 추가적으로 삽입된 것을 나타낸다. 나머지 동일한 부호의 구성요소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도 6은 도 1과 비교할 때, 편광 감응형 렌즈(130)와 스캔수단(140) 사이에 제2 빔스플리터(590)가 추가로 배치된 것을 알 수 있다.
제2 빔스플리터(590)는 편광 감응형 렌즈(130)에 의해 만들어진 간섭 빔의 일부분을 투과시켜 대상물의 스캔에 사용하도록 하고 일부를 반사시켜 R-집광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2 빔스플리터(590)는 일측에 입사되는 간섭 빔의 일부를 투과시켜 타측의 스캔수단(140)으로 전달하고 일부를 반사시켜 하측의 제2 집광기(595)로 전달한다. 이때, 제2 집광기(595)는 제2 빔스플리터(590)에서 반사된 간섭 빔을 공간적으로 집적한다. 이러한 제2 집광기(595)는 제1 집광기(150)와 동일한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집광기(595)에 의해 집광된 빔은 R-집광부로 전달된다. R-집광부는 제2 빔스플리터(590)에서 반사된 빔을 처리한다. 여기서, R-집광부(155-R + 160a-R,160b-R + 170a,170b)는 제1 집광기(150)의 후단에 위치한 요소(155 + 160a,160b + 170a,170b)와 대칭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R-집광부는 제1 집광기(150)의 후단에 위치한 제1 빔스플리터(155), 제1 및 제2 편광기(160a,160b), 제1 및 제2 광검출기(170a,170b)와 각각 대칭 형태로 배치되는 제1-R 빔스플리터(155-R), 제1-R 및 제2-R 편광기(160a-R,160b-R), 그리고 제1-R 및 제2-R 광검출기(170a-R,170b-R)를 포함한다.
R-집광부 내부 요소들에 의한 빔의 분리, 편광, 검출 원리는 앞서 상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R-집광부의 마지막 경로인 제1-R 및 제2-R 광검출기(170a-R,170b-R)를 통해 검출된 빔은 전자처리부(180-1)로 전달된다.
전자처리부(180-1)는 제1-R 및 제2-R 광검출기(170a-R,170b-R)에서 검출된 제1-R 및 제2-R 전류 신호를 시스템(500)의 진동에 의한 위상 요동을 보상하기 위한 제1 및 제2 위상 보정 기준 신호로 사용한다.
또한, 도 6의 전자처리부(180-1)는 도 1과 비교하면, 제1 및 제2 dc 제거 필터(181a,181b)와 함께 제1-R 및 제2-R dc 제거 필터(181c,181d)를 추가로 포함한다.
즉, 앞서 도 1의 제1 실시예에서 대상물로부터 투과된 빔을 집광하여 검출된 제1 및 제2 전류 신호에 대해 신호 처리 전 제1 및 제2 dc 제거 필터(181a,181b)를 통해 dc 제거를 수행하였듯이, 도 6의 제5 실시예는 스캔수단(140)의 전단에서 간섭 빔을 집광하여 검출한 제1-R 및 제2-R 전류 신호(이하, 제1 및 제2 위상 보정 기준 신호)로부터 제1-R 및 제2-R dc 제거 필터(181c,181d)를 통해 dc 성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한다.
dc 성분이 제거된 제1-R 및 제2-R 전류 신호는 아래의 수학식 14 및 15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20084276508-pat00042
Figure 112020084276508-pat00043
여기서,
Figure 112020084276508-pat00044
는 시스템의 진동, 광원의 요동, 광정렬 오류 등(이하, '시스템의 진동'으로 포괄 명명)에 따른 스캔수단(140)에 의해 지정되는 스캔 빔의 스캔 위치에서의 위상 요동(phase fluctuation)이다.
물론, 도 6에서 전차처리부(180-1)는 도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1 및 제2 광검출기(170a,170b)에서 검출된 제1 및 제2 전류 신호를 처리하여 대상물의 복소수 홀로그램을 생성하며, 이에 추가적으로 제1-R 및 제2-R 광검출기(170a-R,170b-R)에서 검출된 제1-R 및 제2-R 전류 신호를 처리하여 위상 보정을 위한 복소수 홀로그램을 생성한다. 그리고, 위상 보정을 위한 복소수 홀로그램을 대상물의 복소수 홀로그램에 반영하여 시스템의 진동에 의한 위상 요동을 보정한다.
이를 위해, AD 컨버터(182-1)는 dc 성분이 제거된 제1 및 제2 위상 보정 기준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신호 처리부(183-1)는 변환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위상 보정을 위한 복소수 홀로그램을 생성한 다음, 위상 보정을 위한 복소수 홀로그램의 켤레복소수(complex conjugate)를 저장부(184-1)에 저장된 대상물의 복소수 홀로그램에 곱하여 시스템(500)의 위상 요동을 보정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AD 컨버터(182-1)는 수학식 14의 동위상 신호와 수학식 15의 π/2 위상 신호를 각 채널을 통해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신호처리부(183-1)는 변환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위상 보정을 위한 복소수 홀로그램을 생성하고 저장부(184-1)에 저장한다.
이때, 위상 보정을 위한 복소수 홀로그램은 아래의 수학식 16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20084276508-pat00045
스캔 제어부(185-1)는 대상물의 임의 위치에 대한 홀로그램 처리가 완료될 때마다 스캔수단(140)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스캔수단(140)으로 전달한다. 물론, 이를 위해 신호처리부(183-1)는 수학식 14와 15를 수학식 16과 같이 복소수 더하기 방법으로 더하여 각각의 스캔 위치에 대한 2차원 배열을 형성하고 저장부(184-1)는 이를 저장한다.
물론, 이 경우 역시, AD 컨버터(182-1)가 제1-R 및 제2-R 광검출기(170a-R,170b-R)의 출력을 받아서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후 디지털 신호처리 방식을 통해 dc 제거 필터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신호처리부(183-1)는 수학식 14, 15에 대하여 각각의 스캔 위치에 따른 2차원 배열을 형성하여 저장부로 전달한 다음, 스캔이 종료되면 저장부로부터 읽어들여 수학식 14, 15에 대응하는 2차원 배열을 수학식 16의 복소수 더하기 방법으로 더한 후 다시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에 저장된 대상물의 홀로그램에는 스캔수단에 의해 지정되는 스캔 위치에서의 위상 요동 성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신호처리부(183-1)는 수학식 16에 의해 구해진 위상 요동의 켤레 복소수를 저장부에 저장된 대상물의 홀로그램에 곱해서 위상 요동을 보정한다.
도 7은 도 6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도 7은 도 6에 렌즈(235)가 더 부가된 것이며, 렌즈에 의한 효과는 도 3을 통해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도 8의 경우 도 4의 제3 실시예의 구조에 위상 요동 보상 기능이 부가된 것이다.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6 실시예에 따른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600)은 편광기(110), 콜리메이터(120), 편광 감응형 렌즈(130), 스캔수단(140), 제1 집광기(150), 제1 내지 제3 빔스플리터(355a,355b,355c), 제1 내지 제4 편광기(360a,360b,360c,360d), 제1 내지 제4 광검출기(370a,370b,370c,370d), 전자처리부(380-1), 제4 빔스플리터(690), 제2 집광기(695), 그리고 R-집광부("R" 표기 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도 8은 시스템(600)의 진동에 의한 위상 요동을 보정하도록, 도 4의 제3 실시예의 구조에서 제4 빔스플리터(690), 제2 집광기(695), 그리고 R-집광부("R" 표기 요소)가 추가적으로 삽입된 것을 나타낸다. 나머지 동일한 부호의 구성요소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도 8은 도 4와 비교할 때, 편광 감응형 렌즈(130)와 스캔수단(140) 사이에 제4 빔스플리터(690)가 추가로 배치된 것을 알 수 있다. 제4 빔스플리터(690)는 편광 감응형 렌즈(130)에 의해 만들어진 간섭 빔의 일부분을 투과시켜 대상물의 스캔에 사용하도록 하고 일부를 반사시켜 R-집광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4 빔스플리터(690)는 일측에 입사되는 간섭 빔의 일부를 투과시켜 타측의 스캔수단(140)으로 전달하고 일부를 반사시켜 하측의 제2 집광기(695)로 전달한다. 이때, 제2 집광기(695)는 제2 빔스플리터(690)에서 반사된 간섭 빔을 공간적으로 집적하며, 제1 집광기(150)와 동일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집광기(695)에 의해 집광된 빔은 R-집광부로 전달된다. R-집광부는 제4 빔스플리터(690)에서 반사된 빔을 처리한다. 도 8에서 R-집광부(355a-R,355b-R,355c-R + 360a-R,360b-R,360c-R,360d-R + 370a-R,370b-R,370c-R,370d-R)는 제1 집광기(150)의 후단에 위치한 요소(355a,355b,355c + 360a,360b,360c,360d + 370a,370b,370c,370d)와 대칭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R-집광부는 제1 집광기(150)의 후단에 위치한 제1 내지 제3 빔스플리터(355a~355c), 제1 내지 제4 제2 편광기(360a~360d), 제1 및 제2 광검출기(370a~370d)와 각각 대칭 형태로 배치되는 제1-R 내지 제3-R 빔스플리터(355a-R,355b-R,355c-R), 제1-R 내지 제4-R 편광기(360a-R,360b-R,360c-R,360d-R), 그리고 제1-R 내지 제4-R 광검출기(370a,370b,370c,370d)를 포함한다.
R-집광부 내부 요소들에 의한 빔의 분리, 편광, 검출 원리는 앞서 상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R-집광부의 마지막 경로인 제1-R 내지 제4-R 광검출기(370a,370b,370c,370d)를 통해 검출된 빔은 전자처리부(380-1)로 전달된다.
전자처리부(380-1)는 제1-R 내지 제4-R 광검출기(370a,370b,370c,370d)에서 검출된 제1-R 내지 제4-R 전류 신호를 시스템(600)의 진동에 의한 위상 요동을 보상하기 위한 제1 내지 제4 위상 보정 기준 신호로 사용한다.
앞서 도 4의 구성의 경우 dc 제거 필터 없이도 dc 제거가 가능하였기 때문에 도 8 역시 별도로 dc 제거 필터를 필요로 않는다.
제1-R 내지 제4-R 전류 신호 아래의 수학식 17 및 18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20084276508-pat00046
Figure 112020084276508-pat00047
여기서,
Figure 112020084276508-pat00048
는 위상 요동 성분을 나타낸다.
물론, 도 8에서 전차처리부(380-1)는 도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1 내지 제4 광검출기(370a~370d)에서 검출된 제1 내지 제4 전류 신호를 처리하여 대상물의 복소수 홀로그램을 생성하며, 이에 추가적으로 제1-R 내지 제4-R 광검출기(370a-R ~ 370d-R)에서 검출된 제1-R 내지 제4-R 전류 신호를 처리하여 위상 보정을 위한 복소수 홀로그램을 생성한다.
그리고, 위상 보정을 위한 복소수 홀로그램을 대상물의 복소수 홀로그램에 반영하여 시스템의 진동에 의한 위상 요동을 보정한다. 위상 보정을 위한 복소수 홀로그램은 아래의 수학식 19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20084276508-pat00049
도 9은 도 8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도 9는 도 8에 렌즈(435)가 더 부가된 것이며, 렌즈에 의한 효과는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실시예는 대상체를 투과한 빛을 집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대상체가 형광하는 형광체인 경우 대상체로부터 형광된 빛을 집광기를 이용하여 집광하여 각각의 광검출기에 전달하고 각각의 광검출기는 집광기를 통해 공간적으로 집적된 빔을 검출하여 형광체의 홀로그램을 레코딩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광검출기와 대상체 사이에 대상체로부터 형광된 빛의 파장에 해당하는 빛을 필터링해서 광검출기에 전달하도록 하는 이색성 거울(dichroic mirror)을 포함한 광학 필터를 위치시켜, 광학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대상물이 빛을 투과하는 투과형 대상물인 경우 대상물을 투과한 빛의 경로에 집광기와 각각의 광검출기를 위치시켜, 대상물을 투과한 빛을 집광기를 이용해 집광하여 각각의 광검출기에 전달하고, 각각의 광검출기는 집광기를 통해 공간적으로 집적된 빔을 검출하여 투과형 대상물의 홀로그램을 레코딩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6 실시예에서 각각의 광검출기와 대상체 사이에 푸리에 렌즈(Fourier lens)와, 푸리에 렌즈의 초점에 위치한 핀홀(pin-hole)로 구성된 공간 필터(spatial filter)를 각각 위치시켜 대상체로부터 반사 또는 투과된 빛을 공간적으로 필터링하면, 대상체의 위상 분포를 포함한 홀로그램을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편광 감응형 렌즈를 이용하여 단일의 광 경로에서 스캐닝 패턴을 형성함에 따라 고효율 및 고품질의 광 스캐닝 홀로그래피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높은 안정성 및 낮은 복잡도의 광학계 구조를 사용하여 외부 환경에 강인하고 안정적인 이점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광 신호를 변조하기 위한 복잡한 변조 장치의 사용 없이 편광에 따른 기하학적 구조를 이용하여 쌍영상 잡음과 배경 잡음 없이 투과체에 대한 복소수 홀로그램을 획득할 수 있어, 구조의 복잡도를 낮출 수 있고 소형 및 경량화가 가능함은 물론, 에너지 소비에 민감한 모바일 기기에도 적용 가능한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200,300,400,500,600: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110: 편광기 120: 콜리메이터
130: 편광 감응형 렌즈 235: 제1 렌즈
140: 스캔수단 150: 집광기
155: 제1 빔스플리터 160a: 제1 편광기
160b: 제2 편광기 170a: 제1 광검출기
170b: 제2 광검출기 180,380: 전자처리부
181a: 제1 dc 제거 필터 181b: 제2 dc 제거 필터
182,382: AD 컨버터 183,383: 신호처리부
184,384: 저장부 185,385: 스캔 제어부
355a,355b,355c: 제1, 제2, 제3 빔스플리터
360a,360b,360c,360d: 제1, 제2, 제3, 제4 편광기
370a,370b,370c,370d: 제1, 제2, 제3, 제4 광검출기
590: 제2 빔스플리터 595,695: 집광기
690: 제4 빔스플리터

Claims (18)

  1. 선편광 빔을 입사받아 음의 초점거리를 갖는 우현 원편광의 제1 구면파 및 양의 초점거리를 갖는 좌현 원편광의 제2 구면파를 생성하는 편광 감응형 렌즈;
    상기 생성된 제1 및 제2 구면파 사이에서 발생한 간섭 빔을 이용하여 투과형 대상물인 투과체를 스캔하는 스캔수단;
    상기 투과체를 투과한 빔을 입사받아 제1 및 제2 출력 빔으로 분리하는 제1 빔스플리터;
    상기 제1 및 제2 출력 빔을 각각 편광시키는 제1 및 제2 편광기;
    상기 제1 및 제2 편광기를 통과한 상기 제1 및 제2 출력 빔의 세기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 전류 신호를 각각 생성하는 제1 및 제2 광검출기; 및
    상기 제1 및 제2 전류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대상물의 복소수 홀로그램을 생성하는 전자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처리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전류 신호로부터 각각 직류 바이어스 성분인 dc 성분을 제거하여 AD 컨버터에 입력시키는 제1 및 제2 dc 제거 필터;
    상기 dc 성분이 필터링된 제1 및 제2 전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상기 대상물의 복소수 홀로그램을 생성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복소수 홀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대상물의 임의 위치에 대한 홀로그램 처리가 완료될 때마다 상기 스캔수단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스캔 제어부를 포함하는 투과체에 대한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2. 선편광 빔을 입사받아 음의 초점거리를 갖는 우현 원편광의 제1 구면파 및 양의 초점거리를 갖는 좌현 원편광의 제2 구면파를 생성하는 편광 감응형 렌즈;
    상기 생성된 제1 및 제2 구면파 사이에서 발생한 간섭 빔을 이용하여 투과형 대상물인 투과체를 스캔하는 스캔수단;
    상기 투과체를 투과한 빔을 입사받아 제1 및 제2 출력 빔으로 분리하는 제1 빔스플리터;
    상기 제1 출력 빔을 제1a 및 제1b 출력 빔으로 분리하는 제2 빔스플리터;
    상기 제2 출력 빔을 제2a 및 제2b 출력 빔으로 분리하는 제3 빔스플리터;
    상기 제1a 및 제1b 출력 빔을 각각 편광시키는 제1 및 제2 편광기;
    상기 제2a 및 제2b 출력 빔을 각각 편광시키는 제3 및 제4 편광기;
    상기 제1 내지 제4 편광기를 통과한 각각의 출력 빔의 세기에 대응하여 제1 내지 제4 전류 신호를 각각 생성하는 제1 내지 제4 광검출기;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전류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대상물의 복소수 홀로그램을 생성하는 전자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 광검출기에서 생성한 제n 전류 신호(
    Figure 112022501523600-pat00074
    )는 아래의 수학식으로 정의되는 투과체에 대한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Figure 112022501523600-pat00075

    여기서, n={1,2,3,4}, pn은 상기 n으로 지정된 광검출기에서 생성된 홀로그램 신호의 천위된 위상, O(x0,y0;z)는 상기 대상물의 투과율에 대한 3차원 분포로서 상기 대상물의 3차원 영상이며,
    Figure 112022501523600-pat00076
    는 콘볼루션(convolution) 연산, λ는 사용된 빔의 파장, (x,y)는 상기 스캔수단에 의해 지정되는 스캔 빔의 스캔 위치, fgp는 상기 편광 감응형 렌즈의 초점거리, (x0 2+y0 2)는 상기 선편광 빔의 광축에 직교하는 평면을 (x0,y0)로 하는 카타르시안 좌표계, z는 상기 제2 구면파의 초점위치로부터 상기 대상물까지의 거리이다.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편광 감응형 렌즈는 기하 위상 렌즈(geometric phase lens)로 구성된 투과체에 대한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입력된 광원으로부터 선편광 빔을 생성하여 상기 편광 감응형 렌즈로 제공하는 광원측 편광기를 더 포함하는 투과체에 대한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간섭 빔은,
    기하 위상 프레넬 윤대판(Geometric Phase Fresnel Zone Plate) 형태로서 아래의 수학식으로 정의되는 투과체에 대한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Figure 112022035091613-pat00050

    여기서,
    Figure 112022035091613-pat00051
    는 상기 편광 감응형 렌즈에 의해서 형성된 제1 및 제2 구면파의 간섭 빔, λ는 사용된 빔의 파장, fgp는 상기 편광 감응형 렌즈의 초점거리, (x0 2+y0 2)는 상기 선편광 빔의 광축에 직교하는 평면을 (x0,y0)로 하는 카타르시안 좌표계, z는 상기 제2 구면파의 초점위치로부터 상기 대상물까지의 거리, θ는 광원으로부터 상기 선편광 빔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광원측 편광기의 편광 축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선편광된 각도를 나타낸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편광 감응형 렌즈와 상기 스캔수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구면파의 각 초점 간의 거리를 조정하고 상기 편광 감응형 렌즈 면의 패턴을 상기 대상물 영역의 면으로 이미징하는 제1 렌즈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간섭 빔은,
    기하 위상 프레넬 윤대판 형태로서 아래의 수학식으로 정의되는 투과체에 대한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Figure 112020084276508-pat00052
    또는
    Figure 112020084276508-pat00053

    여기서,
    Figure 112020084276508-pat00054
    은 상기 제1 렌즈에 의해 대상물 영역에 이미징된 제1 및 제2 구면파의 간섭 빔, Mimg는 상기 편광 감응형 렌즈 면의 패턴을 상기 대상물 영역의 면으로 이미징 시 상기 제1 렌즈에 의한 상의 축소 또는 확대 비율, zimg는 상기 제2 구면파의 초점위치로부터 상기 대상물까지의 거리, 2M2 imgfgp는 조정된 제1 및 제2 구면파의 각 초점 간의 거리, dc는 직류 바이어스 성분을 나타낸다.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편광 감응형 렌즈와 상기 스캔수단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제2 구면파와 동일한 초점위치를 가지고 상기 제2 구면파를 평면파로 변환하는 제2 렌즈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간섭 빔은,
    상기 제1 구면파와 상기 평면파 간의 간섭에 의해 형성되는 선형 프레넬 윤대판 형태로서 아래의 수학식으로 정의되는 투과체에 대한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Figure 112022035091613-pat00055

    여기서,
    Figure 112022035091613-pat00056
    는 상기 제2 렌즈에 의해 전달된 제1 구면파와 평면파의 간섭 빔, z는 상기 제2 렌즈에 의해 곡률이 더해진 제1 구면파의 초점위치로부터 상기 대상물까지의 거리, dc는 직류 바이어스 성분을 나타낸다.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빔스플리터는,
    입사된 빔의 일부를 투과시키고 일부를 반사시켜 2개로 분리하며,
    상기 제2 편광기는,
    상기 제1 편광기의 편광 방향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45도 회전된 편광 방향을 가지는 투과체에 대한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10. 청구항 2에 있어서,
    각각의 빔스플리터는,
    입사된 빔의 일부를 투과시키고 일부를 반사시켜 2개로 분리하며,
    상기 제2 내지 제4 편광기는,
    상기 제1 편광기의 편광 방향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45도, 90도, 135도 회전된 편광 방향을 가지는 투과체에 대한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광검출기에서 생성한 상기 제1 및 제2 전류 신호(
    Figure 112022035091613-pat00057
    ,
    Figure 112022035091613-pat00058
    )는 아래의 수학식으로 정의되는 투과체에 대한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Figure 112022035091613-pat00059

    Figure 112022035091613-pat00060

    여기서, O(x0,y0;z)는 상기 대상물의 투과율에 대한 3차원 분포로서 상기 대상물의 3차원 영상이며,
    Figure 112022035091613-pat00061
    는 콘볼루션(convolution) 연산, λ는 사용된 빔의 파장, (x,y)는 상기 스캔수단에 의해 지정되는 스캔 빔의 스캔 위치, fgp는 상기 편광 감응형 렌즈의 초점거리, (x0 2+y0 2)는 상기 선편광 빔의 광축에 직교하는 평면을 (x0,y0)로 하는 카타르시안 좌표계, z는 상기 제2 구면파의 초점위치로부터 상기 대상물까지의 거리, dc는 직류 바이어스 성분을 나타낸다.
  13. 삭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광 감응형 렌즈와 상기 스캔수단 사이에 설치되며, 입사되는 상기 간섭 빔의 일부를 투과시켜 상기 스캔수단으로 전달하고 일부를 반사시켜 빔을 2개로 분리하는 제2 빔스플리터; 및
    상기 제2 빔스플리터에서 반사된 빔을 처리하며, 상기 제1 빔스플리터, 상기 제1 및 제2 편광기, 상기 제1 및 제2 광 검출기와 각각 대칭 형태로 배치된 제1-R 빔스플리터, 제1-R 및 제2-R 편광기, 그리고 제1-R 및 제2-R 광검출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자처리부는,
    상기 제1-R 및 제2-R 광검출기에서 검출된 제1-R 및 제2-R 전류 신호를 상기 시스템의 진동에 의한 위상 요동을 보상하기 위한 제1 및 제2 위상 보정 기준 신호로 사용하되, 상기 제1 및 제2 위상 보정 기준 신호로부터 각각 직류 바이어스 성분인 dc 성분을 제거하는 제1-R 및 제2-R dc 제거 필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dc 성분이 제거된 제1 및 제2 위상 보정 기준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위상 보정을 위한 복소수 홀로그램을 생성한 다음, 상기 위상 보정을 위한 복소수 홀로그램의 켤레복소수(complex conjugate)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대상물의 복소수 홀로그램에 곱하여 상기 시스템의 위상 요동을 보정하는 투과체에 대한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15. 삭제
  16. 삭제
  1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자처리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전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상기 대상물의 복소수 홀로그램을 생성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복소수 홀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대상물의 임의 위치에 대한 홀로그램 처리가 완료될 때마다 상기 스캔수단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스캔 제어부를 포함하는 투과체에 대한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편광 감응형 렌즈와 상기 스캔수단 사이에 설치되며, 입사되는 상기 간섭 빔의 일부를 투과시켜 상기 스캔수단으로 전달하고 일부를 반사시켜 빔을 2개로 분리하는 제4 빔스플리터; 및
    상기 제4 빔스플리터에서 반사된 빔을 처리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빔스플리터, 상기 제1 내지 제4 편광기, 상기 제1 내지 제4 광검출기와 각각 대칭 형태로 배치된 제1-R 내지 제3-R 빔스플리터, 제1-R 내지 제4-R 편광기, 그리고 제1-R 내지 제4-R 광검출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자처리부는,
    상기 제1-R 내지 제4-R 광검출기에서 각각 검출된 제1-R 내지 제4-R 전류 신호를 상기 시스템의 진동에 의한 위상 요동을 보상하기 위한 제1 내지 제4 위상 보정 기준 신호로 사용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위상 보정 기준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위상 보정을 위한 복소수 홀로그램을 생성한 다음,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대상물의 복소수 홀로그램에 곱하여 상기 시스템의 위상 요동을 보정하는 투과체에 대한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KR1020200100457A 2020-08-11 2020-08-11 투과체에 대한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KR102423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457A KR102423055B1 (ko) 2020-08-11 2020-08-11 투과체에 대한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US18/019,487 US20230297027A1 (en) 2020-08-11 2021-07-15 Geometric phase in-line scanning holography system for transmissive object
PCT/KR2021/009102 WO2022035068A1 (ko) 2020-08-11 2021-07-15 투과체에 대한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457A KR102423055B1 (ko) 2020-08-11 2020-08-11 투과체에 대한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027A KR20220020027A (ko) 2022-02-18
KR102423055B1 true KR102423055B1 (ko) 2022-07-21

Family

ID=80246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457A KR102423055B1 (ko) 2020-08-11 2020-08-11 투과체에 대한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97027A1 (ko)
KR (1) KR102423055B1 (ko)
WO (1) WO2022035068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245B1 (ko) * 2013-05-29 2014-09-1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홀로그래픽 현미경 장치
KR102056063B1 (ko) * 2018-09-03 2019-12-16 세종대학교 산학협력단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798B1 (ko) * 2010-08-09 2012-06-14 (주)펨트론 듀얼 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을 이용한 3d 측정 장치
CN103348409B (zh) * 2010-10-19 2016-01-13 国立大学法人北海道大学 全息存储器再现装置及全息存储器的再现方法、解调装置及解调方法以及观测装置及观测方法
KR101955295B1 (ko) * 2018-01-18 2019-03-08 세종대학교 산학협력단 광 스캐닝 홀로그램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245B1 (ko) * 2013-05-29 2014-09-1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홀로그래픽 현미경 장치
KR102056063B1 (ko) * 2018-09-03 2019-12-16 세종대학교 산학협력단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97027A1 (en) 2023-09-21
WO2022035068A1 (ko) 2022-02-17
KR20220020027A (ko) 2022-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50345A1 (en) Optical scanning holography system
KR101152798B1 (ko) 듀얼 파장 디지털 홀로그래피을 이용한 3d 측정 장치
US7027161B2 (en) Adaptive optical system with self-referencing contrast control
CN110632045B (zh) 一种产生并行超分辨焦斑的方法和装置
KR101304695B1 (ko) 홀로그램 레코딩 장치
JP5911683B2 (ja) 顕微鏡および顕微鏡検査法
KR102437975B1 (ko) 스캔 거울과 트랜슬레이션 스테이지를 사용한 인라인 플라잉 오버 빔 패턴 스캐닝 홀로그램 현미경 장치
JPH0236338A (ja) 光音響信号検出方法及びその装置
JP7274150B2 (ja) 偏光符号化波のオフアクシス記録のためのアドオン撮像モジュール
KR102122350B1 (ko) 기하 위상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KR102056063B1 (ko)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램 장치
US9658114B1 (en) Device for measuring point diffraction interferometric wavefront aberration and method for detecting wave aberration
KR102251143B1 (ko) 투과체에 대한 기하 위상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KR102185432B1 (ko)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WO2021205783A1 (ja) 観察装置および観察方法
KR102423055B1 (ko) 투과체에 대한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US8737184B2 (en) Holographic optical pickup device,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optical information
KR102551612B1 (ko) 투과체에 대한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KR102551611B1 (ko) 반사체에 대한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KR102205893B1 (ko) 형광체 및 투과체에 대한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CN115127480A (zh) 一种空间相移的结构光超分辨成像系统及方法
KR102625392B1 (ko) 투과체에 대한 각도 기울임을 사용한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CN214095899U (zh) 一种基于翻转干涉的双载频双波长数字全息检测装置
CN214095900U (zh) 一种基于反射式点衍射的双载频双波长数字全息检测装置
JP2023056369A (ja) ホログラム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