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2940B1 - 보트 이송용 행거 - Google Patents

보트 이송용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2940B1
KR102422940B1 KR1020200180601A KR20200180601A KR102422940B1 KR 102422940 B1 KR102422940 B1 KR 102422940B1 KR 1020200180601 A KR1020200180601 A KR 1020200180601A KR 20200180601 A KR20200180601 A KR 20200180601A KR 102422940 B1 KR102422940 B1 KR 102422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boat
contact
arm
hang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0618A (ko
Inventor
강경돈
김태윤
박종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리온아이
박종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리온아이, 박종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리온아이
Priority to KR1020200180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940B1/ko
Publication of KR20220090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0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6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by vertical movement of vessel, i.e. by cr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5/00Storing of vessels on land otherwise than by dry-d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트 이송용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부분이 물에 잠김 상태로 대기하지 않아도 되므로 부식에 의한 내구성 하락을 방지할 수 있고, 바닥을 감지할 수 있어 자동으로 보트를 지지하거나 바닥에 내려놓을 수 있에 관리가 용이한 보트 이송용 행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상 또는 육상으로 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보트 이송용 행거에 있어서, 행거 바디와, 상기 행거 바디의 양측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보트의 양측 하부를 지지하는 행거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행거암은 상기 행거 바디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행거 바디의 내측에는 상기 행거암을 제어하는 구동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트 이송용 행거{hanger device for transporting boat}
본 발명은 보트 이송용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부분이 물에 잠김 상태로 대기하지 않아도 되므로 부식에 의한 내구성 하락을 방지할 수 있고, 바닥을 감지할 수 있어 자동으로 보트를 지지하거나 바닥에 내려놓을 수 있에 관리가 용이한 보트 이송용 행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 선박의 경우 강, 호수, 바다 또는 댐 등과 같은 수상에서 사용되며, 미사용시에는 접안시설에 계류되어 보관된다. 접안시설에서의 계류를 위하여 물가에 고정체를 구비하고 로프를 통하여 육상과 선박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보관시의 유실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접안시설로서 부잔교(浮棧橋)가 설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부잔교란 박스 또는 원통형의 폰툰(pontoon)을 수상에 부상시키고 그 위에 소정의 바닥판을 배치하여 여객의 승하선시설로서 활용되는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폰툰은 목재, 강철제, 철근콘크리트재의 거룻배를 의미하며 부잔교의 본체를 구성하는데, 갑판, 상판 및 측벽은 대략 박스 구조로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소정의 강성을 지니도록 이루어지고 수밀성을 갖추게 된다.
이러한 갑판 위에는 맨홀, 빌지홀, 체인홀, 통기구멍, 방현재, 페어리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부잔교의 접안공간에서 계류되는 선박과 부잔교가 파랑에 의하여 흔들리게 되고, 이때 선박과 부잔교가 충격하여 각각 변형 및 파손의 가능성이 제기된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1481329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접안공간을 형성하는 접안시설에 배치되는 선박의 정박장치로서, 접안시설에 고정배치되는 프레임(1110); 및 상기 프레임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연결되고 상측에 선박을 지지하며 접안시설에 양단측이 지지되는 지지부(130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측에서 선박을 지지하는 메인빔(1310)과, 메인빔의 양측으로 슬라이딩 인출되고 메인빔의 종방향으로 형성된 판재를 마주보도록 전후방으로 배치되는 제1빔과 제2빔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빔(14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빔과 제2빔은, 메인빔의 종방향으로 형성된 판재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상호간에 이격되어 슬릿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1481329호에 기재된 기술은 접안시설에서 선박들을 부양하여 파랑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장점은 있으나, 지지부(1300)는 선박을 지지하기 위하여 항상 물속에서 대기하여야 하므로 쉽게 부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와 더불어 선박을 들어올린 후 접안시설에 지지하기 위하여 하부로 이동할 때, 하부가 접할 때,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직접 높이를 맞춰 주어야 하므로 상당한 주의가 필요하여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81329호(2015.01.05.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행거 바디와 상기 행거 바디의 하단 양측에 일정 간격으로 절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보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행거암과 상기 행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행거암의 회동을 제어하는 승강 실린더로 이루어져 행거의 하부가 물에 잠긴상태로 대기하지 않아도 되므로 물에 잠기는 구성들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트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강, 호수, 바다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보트를 보관하는 보관시설로 보트를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는 보트 이송용 행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행거 바디에는 행거의 하부가 바닥에 접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한 바닥 감지부가 구비되는데, 상기 바닥 감지부는 육상 및 수상에서도 행거의 하부가 바닥과 접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어 정확한 위치에서 자동으로 행거암을 제어할 수 있어 보트를 지지하여 들어올리거나 지지된 보트를 바닥에 내려 놓는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보트 이송용 행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보트 이송용 행거에 있어서, 행거 바디와, 상기 행거 바디의 양측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보트의 양측 하부를 지지하는 행거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행거암은 상기 행거 바디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행거 바디의 내측에는 상기 행거암을 제어하는 구동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행거 바디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실린더 브라켓과, 상기 실린더 브라켓의 하부에 설치되는 승강 실린더와, 상기 승강 실린더의 하부와 상기 행거암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행거암의 단부에는 보트의 하부와 접하는 접촉패드가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행거암의 일측에는 상기 접촉패드의 각도를 조절하는 밸런스 실린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행거 바디의 외측에는 수면 또는 바닥과 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바닥 감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바닥 감지부는 상기 행거 바디의 외측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더와, 상기 가이더의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하단이 하부로 돌출되는 승강 부력체와, 상기 행거 바디에는 상기 가이더의 상부에 설치되는 접촉 감지 센서와, 상기 승강 부력체의 상부에 상기 가이더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승강 부력체가 상부로 이동하면 상기 접촉 감지 센서와 접하도록 설치되는 센서 접촉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승강 부력체의 하단에는 바닥면과 접하는 바닥 접촉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트에는 보트 보관시설에 보관될 때, 보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고정 안착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행거 바디와 상기 행거 바디의 하단 양측에 일정 간격으로 절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보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행거암과 상기 행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행거암의 회동을 제어하는 승강 실린더로 이루어져 행거의 하부가 물에 잠긴상태로 대기하지 않아도 되므로 물에 잠기는 구성들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트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강, 호수, 바다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보트를 보관하는 보관시설로 보트를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행거 바디에는 행거의 하부가 바닥에 접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한 바닥 감지부가 구비되는데, 상기 바닥 감지부는 육상 및 수상에서도 행거의 하부가 바닥과 접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어 정확한 위치에서 자동으로 행거암을 제어할 수 있어 보트를 지지하여 들어올리거나 지지된 보트를 바닥에 내려 놓는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상 자전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수상 자전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트 이송용 행거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트 이송용 행거의 측면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트 이송용 행거가 수면에 위치하는 보트를 지지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트 이송용 행거가 보트를 수면에 내려놓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트 이송용 행거가 적용된 보트 보관시설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트 이송용 행거가 적용된 보트 보관시설의 평면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트 이송용 행거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트 이송용 행거의 측면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트 이송용 행거가 수면에 위치하는 보트를 지지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트 이송용 행거가 보트를 수면에 내려놓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트 이송용 행거가 적용된 보트 보관시설의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트 이송용 행거가 적용된 보트 보관시설의 평면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수상에서 육상 또는 보트 보관시설로 보트를 이동시키거나 육상 또는 보트 보관시설에서 수상으로 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보트 이송용 행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인 보트 이송용 행거가 설치되는 보트 보관시설(600)을 살펴보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상 또는 수상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접안부(610)와 상기 접안부(610)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보관부(6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보관부(620)는 중심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부(630)가 형성되어 본 발명의 보트 이송용 행거가 접안부(610)에서 보트를 지지한 후, 이동하여 보관부(620)의 일측에 보트를 보관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이송부(630)의 상부에는 이송부(630)를 따라 이동하는 주행 새들(640)가 구비되고, 주행 새들(640)에는 메인 호이스트(650)가 구비되는데, 상기 메인 호이스트(650)에 설치된 호이스트 와이어(660)가 본 발명의 보트 이송용 행거와 연결되어 승하강 시키게 된다.
그래서, 큰 파도가 발생하더라도 물위에 있지 않기 때문에 파도에 의한 영향이 없어 보트(500)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트 이송용 행거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 형상으로 형성되는 행거 바디(100)와 상기 행거 바디(100)의 양측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보트(500)의 양측 하부를 지지하는 행거암(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행거암(300)은 상기 행거 바디(100)의 양측 하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행거 바디(100)의내측에는 상기 행거암(300)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구동부(200)가 설치된다.
그래서, 상기 접안부(610)에 접안된 보트나 보관부(620)에 보관된 보트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지지할 때, 상기 행거암(300)이 상부로 회전하도록 제어하여 보트(50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물속에서 보트(500)를 지지하기 위하여 대기하지 않아도 되므로 바닷물이나 강물에 잠기게 되어 잠긴 부분이 쉽게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행거 바디(10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실린더 브라켓(210)과 상기 실린더 브라켓(2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승강 실린더(220)와 상기 승강 실린더(220)의 하부와 상기 행거암(300)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 와이어(2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행거 바디(100)에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 실린더(220)를 제어하여 상기 행거암(300)을 상부로 회전시키거나 하부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래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암(300)을 상방으로 회전시켜 보트(500)의 하부를 지지한 상태로 메인 호이스트(650)를 작동시켜 보트(500)를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고, 보관부(620)에서 이동한 보트(500)를 메인 호이스트(650)를 작동시켜 하방으로 이동한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행거암(300)을 하방으로 회전시켜 보트(500)를 수상에 내려놓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 실린더(220)는 연결 와이어(230)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행거암(300)의 상부 일측과 연결되어 행거암(300)을 상부로 회동시켜 보트(500)의 하부를 지지하거나 하부로 회전시켜 보트(500)를 수상이나 육상에 내려 놓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행거암(300)의 단부에는 보트(500)의 하부와 접촉하는 접촉패드(310)가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행거암(300)의 일측에는 밸런스 실린더(32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밸런스 실린더(320)의 단부는 상기 접촉패드(310)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밸런스 실린더(3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접촉패드(310)의 각도가 조절되어 보트(500)의 하면 양측에 완전하게 밀착될 수 있어 보트(5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행거 바디(100)의 외측에는 바닥 감지부(40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바닥 감지부(400)는 행거 바디(100)의 하부가 바닥면 또는 수면과 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 감지부(400)는 상기 행거 바디(100)의 외측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더(410)와 상기 가이더(410)의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하단이 하부로 돌출되는 승강 부력체(4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승강 부력체(420)의 상단에는 상기 가이더(410)의 상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승강바(422)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바(422)의 상단에는 센서 접촉부재(440)가 구비되며, 상기 행거 바디(100)에는 상기 가이더(4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접촉 감지 센서(430)가 설치된다.
그래서, 상기 가이더(410)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한 승강 부력체(420)가 하단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수면 또는 바닥면과 접하게 되면 승강 부력체(420)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승강바(422) 및 센서 접촉부재(440)가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접촉 감지 센서(430)와 접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에서 이를 감지하여 행거 바디(100)의 하부, 즉 행거암(300)의 하단이 바닥 또는 수면과 접한 것을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보트(500)를 들어올리는 과정이라면 수면을 감지하게 되면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행거암(300)을 상방으로 회전시켜 보트(50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제어하게 되고, 도 6과 같이 보트(500)를 내려놓는 과정이라면 수면을 감지하게 되면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행거암(300)을 하방으로 회전시켜 보트(500)를 수면에 내려놓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작업자가 직접하지 않고도 상기 바닥 감지부(400)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어 보트(500)를 들어올리거나 내려놓는 과정 모두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용이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보트(500)의 하부에는 고정 안착대(51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고정 안착대(510)는 보트(500)가 육상 또는 보관시설(600)에 보관될 때, 보트(500)의 하부를 지지하여 넘어지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하부를 보호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 부력체(420)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바닥 접촉부재(45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바닥 접촉부재(450)는 보트(500)가 육상 또는 보고나부(620)에 위치한 상태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고정 안착대(510)에 의해 보트의 높이가 높아지기 때문에 상기 바닥 접촉부재(450)로 보정하여 보트(50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하여 상기 행거암(300)이 절첩되거나 펼쳐지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트 이송용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부분이 물에 잠김 상태로 대기하지 않아도 되므로 부식에 의한 내구성 하락을 방지할 수 있고, 바닥을 감지할 수 있어 자동으로 보트를 지지하거나 바닥에 내려놓을 수 있에 관리가 용이한 보트 이송용 행거에 관한 것이다.
100 : 행거 바디 200 : 구동부
210 : 실린더 브라켓 220 : 승강 실린더
230 : 연결 와이어 300 : 행거암
310 : 접촉패드 320 : 밸런스 실린더
400 : 바닥 감지부 410 : 가이더
420 : 승강 부력체 430 : 접촉 감지 센서
440 : 센서 접촉부재 450 : 바닥 접촉부재
500 : 보트 510 : 고정 안착대
600 : 보관시설 610 : 접안부
620 : 보관부 630 : 이동부
640 : 주행 새들 650 : 메인 호이스트

Claims (8)

  1. 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보트 이송용 행거에 있어서,
    행거 바디와, 상기 행거 바디의 양측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보트의 양측 하부를 지지하는 행거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행거암은 상기 행거 바디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행거 바디의 내측에는 상기 행거암을 제어하는 구동부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행거 바디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실린더 브라켓과, 상기 실린더 브라켓의 하부에 설치되는 승강 실린더와, 상기 승강 실린더의 하부와 상기 행거암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이송용 행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암의 단부에는 보트의 하부와 접하는 접촉패드가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행거암의 일측에는 상기 접촉패드의 각도를 조절하는 밸런스 실린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이송용 행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바디의 외측에는 수면 또는 바닥과 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바닥 감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이송용 행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감지부는 상기 행거 바디의 외측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더와,
    상기 가이더의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하단이 하부로 돌출되는 승강 부력체와,
    상기 행거 바디에는 상기 가이더의 상부에 설치되는 접촉 감지 센서와,
    상기 승강 부력체의 상부에 상기 가이더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승강 부력체가 상부로 이동하면 상기 접촉 감지 센서와 접하도록 설치되는 센서 접촉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이송용 행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부력체의 하단에는 바닥면과 접하는 바닥 접촉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이송용 행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트에는 보트 보관시설에 보관될 때, 보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고정 안착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이송용 행거.
KR1020200180601A 2020-12-22 2020-12-22 보트 이송용 행거 KR102422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601A KR102422940B1 (ko) 2020-12-22 2020-12-22 보트 이송용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601A KR102422940B1 (ko) 2020-12-22 2020-12-22 보트 이송용 행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618A KR20220090618A (ko) 2022-06-30
KR102422940B1 true KR102422940B1 (ko) 2022-07-22

Family

ID=82215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601A KR102422940B1 (ko) 2020-12-22 2020-12-22 보트 이송용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29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232B1 (ko) * 2022-08-30 2023-05-16 주식회사 하백소프트 무인 계측선 자동 횡단장치 및 무인 계측선 관리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03281A2 (en) * 2006-03-02 2007-09-13 Maff- Stack, Llc Large scale watercraft storag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26088B (it) * 1988-09-27 1990-12-10 Marinestar Nautica Di Tana Gui Sistema di alaggio e varo per sollevamento di imbarcazioni
JP4508904B2 (ja) * 2005-02-25 2010-07-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クレーンの巻下げ衝突防止装置
KR101481329B1 (ko) 2013-11-07 2015-01-14 김창완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지지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03281A2 (en) * 2006-03-02 2007-09-13 Maff- Stack, Llc Large scale watercraft storage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232B1 (ko) * 2022-08-30 2023-05-16 주식회사 하백소프트 무인 계측선 자동 횡단장치 및 무인 계측선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618A (ko)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9717B2 (en) Ocean going transport vessel with docking arrangements
US6915753B1 (en) Mooring apparatus
US20120198733A1 (en) A dredge vessel system
KR102422940B1 (ko) 보트 이송용 행거
JP2003525170A (ja) 水没型重量リフトカタマラン船
KR100466881B1 (ko) 양현하역용 하역장치
WO2013006041A1 (en) Shear leg crane and transportation vessel
EP3810500B1 (en) Method and vessel for deploying heavy objects
EP2961649B1 (en) An integrated heavy lift and logistics vessel
KR101282772B1 (ko) 선박의 선형을 고려한 능동형 롤링 펜더
KR101131573B1 (ko) 반잠수식 모바일 하버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운송 방법
KR102640051B1 (ko) 부유식 구조물의 펜더 이동 장치
US4335981A (en) Cargo handling equipment
US20110094431A1 (en) Workboat for lifting and transporting waterborne items
JP6928381B2 (ja) 浮体装置
US20050257727A1 (en) Floating dock lift
JP2001315685A (ja) 浮体式港湾施設の入出港支援装置
JP3328610B2 (ja) バージ搭載船
EP0249422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raising rigs
KR102493444B1 (ko) 부유체 안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로드아웃 방법
KR20110124960A (ko) 컨테이너 크레인이 구비되는 해상 부유체
JPH0412879Y2 (ko)
WO1984002113A1 (en) Floating dock
KR101834340B1 (ko) 하역용 장치
EP2746213B1 (en) Floating cr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