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2591B1 - 체중조절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체중조절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2591B1
KR102422591B1 KR1020210165546A KR20210165546A KR102422591B1 KR 102422591 B1 KR102422591 B1 KR 102422591B1 KR 1020210165546 A KR1020210165546 A KR 1020210165546A KR 20210165546 A KR20210165546 A KR 20210165546A KR 102422591 B1 KR102422591 B1 KR 102422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anced diet
food
user
candidate
di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5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숙
김지현
박득순
윤상덕
Original Assignee
성신여자대학교 연구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신여자대학교 연구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신여자대학교 연구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65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5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8Determining activit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Economics (AREA)
  • Physi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중조절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사용자의 1일 에너지필요량을 결정하는 단계; 아침식사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사용자를 위한 후보 균형식단을 구성하는 단계; 후보 균형식단에 대한 승인을 수신하는 단계; 교체가능 음식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교체가능 음식 리스트의 특정 음식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해당 음식을 상기 특정 음식으로 교체함으로써 최종 균형식단을 결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체중조절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 방법 및 장치{WEIGHT CONTROL CUSTOMIZED BALANCED DIET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본 발명은 맞춤형 식단 추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 연령별·성별 에너지필요량 뿐만 아니라 신체활동량을 고려한 1일 에너지필요량을 추정하여 정상체질량지수(BMI)를 유지하기 위한 체중조절용 에너지를 계산하고 연령별 부족영양소와 식품군의 균형섭취를 고려한 맞춤형 식단을 추천할 수 있는 체중조절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균형 잡힌 식사란 일일 에너지필요량을 기준으로 모든 영양소가 골고루 적당량 포함되어 있는 식사를 말한다. 즉, 균형 잡힌 식사는 6가지 식품군으로 분류된 식품이 골고루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섭취한 경우 필요한 에너지와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할 수 있다. 6가지 식품군에는 곡류, 고기·생선·계란·콩류, 채소류, 과일류, 우유·유제품류 및 유지·당류를 포함하며, 식품군별 해당 에너지량(곡류군 300kcal, 고기·생선·계란·콩류 100kcal, 채소류 15kcal, 과일류 50kcal, 우유·유제품류125kcal, 유지·당류 45kcal)를 기준으로 1인 1회 분량을 표기하고 있다.
곡류는 탄수화물(총 섭취 에너지의 55-65%)의 주요 급원으로 밥, 국수, 빵, 옥수수, 떡, 감자 및 고구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고기·생선·계란·콩류는 단백질(총 섭취 에너지의 7-20%), 지방(총 섭취 에너지의 15-30%), 비타민 및 무기질의 급원으로 소고기, 닭고기, 돼지고기, 각종 생선, 달걀, 두부, 두유, 콩류 및 견과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채소류는 비타민 및 무기질을 주로 함유하고 있으며, 식이섬유소의 공급원이고 각종 성인병의 발병을 저하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채소류에는 오이, 당근, 시금치, 토마토, 나물류, 가지, 호박, 각종 김치, 해조류 및 버섯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과일류는 비타민 및 무기질을 주로 함유하고 있으며, 식이섬유소의 공급원이고 각종 성인병의 발병을 저하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과일류에는 수박, 사과, 복숭아, 딸기 및 배 등 각종 과일류와 과일 주스(가능한 천연과일쥬스)가 포함될 수 있다. 우유·유제품류는 단백질 및 무기질(칼슘)을 주로 함유하고 있으며, 우유, 치즈, 요구르트 및 아이스크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유지·당류는 지방 및 당순 당류(총 섭취 에너지의 10% 이내)를 주로 함유하고 있으며, 식물성 기름, 버터, 마요네즈, 커피프림, 꿀, 설탕 및 사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의 현대인들은 식습관으로 인해 고혈압, 당뇨 등의 만성질환 환자와 비만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영양이 풍부한 음식, 혹은 영양제의 섭취를 통해 건강을 관리하려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일반 가정에서는 단체급식과 같이 전문 영양사에 의한 균형 잡힌 식단을 섭취하기 어렵고, 학교, 회사 등의 단체급식에서도 1일 1끼니(중식)만 제공하는 경우가 많아서 자신의 건강 상태에 최적화된 맞춤형 식단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매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현재 서비스 중인 종래의 체중조절(다이어트)을 위한 식단추천 기술들은 단순히 에너지를 기반으로 제시하는 경우가 다수이고, 생애주기별 부족영양소를 맞추는 경우는 없다. 최근의 식생활 개선에도 불구하고 건강식품이나 섭취음식에 대한 영양 가이드 라인 등은 매우 제한적이라는 점에서, 기존의 서비스만으로 개인에게 최적화된 균형식단을 제공하기는 거의 불가능에 가까울 수 있다.
특히, 생애주기별 에너지필요량, 부족 영양소를 기반으로 6대 식품군을 고르게 반영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식단을 구성하는 것은 전문적인 지식이 충분하지 않은 일반인들에게는 매우 어려운 작업일 수 있다. 더욱이 많은 식단 관련 정보가 유통되고 있는 상황에서 단편적인 보도나 각종 상업용 광고 및 개인들의 주관적인 사용 후기 등으로 인해 검증되지 않은 정보에 노출됨으로써 올바른 식단 구성의 난이도는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의 체중조절 균형식단이란 연령별(성인 19-64세) 1일 에너지필요량을 충족하면서 기본 영양소와 부족하기 쉬운 영양소를 제공하고, 식품구성 자전거를 구성하는 6가지 식품군이 골고루 포함된 식단을 말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10-0094738호 (2010.08.27)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각 성별·연령별 및 신체활동량을 고려한 1일 에너지필요량을 추정하여 체중조절용 에너지를 계산하고 각 연령별(19-64세) 기본 영양소와 부족영양소 5가지 및 6가지 식품군의 균형섭취를 반영한 식단을 추천할 수 있는 체중조절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체중조절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의 1일 에너지필요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1일 에너지필요량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해당 사용자의 아침 결식 횟수를 기초로 아침식사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아침식사 유형에 따라 한식 반상을 기준으로 기 구축된 식단 구성 프레임을 적용하여 상기 해당 사용자를 위한 후보 균형식단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후보 균형식단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후보 균형식단에 대한 승인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승인에 실패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후보 균형식단의 음식들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교체 요청을 수신하여 해당 음식에 관한 교체가능 음식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교체가능 음식 리스트의 특정 음식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해당 음식을 상기 특정 음식으로 교체함으로써 최종 균형식단을 결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1일 에너지필요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로서 상기 해당 사용자의 성별, 나이, 신장, 체중 및 신체활동수준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신체활동수준(PA)은 비활동적, 저활동적, 활동적, 매우 활동적 중 어느 하나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1일 에너지필요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해당 사용자의 성별, 나이, 신장 및 체중을 기초로 체질량지수(BMI)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침식사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아침 결식 횟수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간편건강식을 상기 아침식사 유형으로 결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간편건강식, 일반식 및 일품죽식을 포함하는 복수의 유형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아침식사 유형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식 반상을 기준으로 자체 개발한 식단 구성 프레임은 일반반상(일반반상, 일반국반상, 일반찌개반상, 일반탕반상), 일품반상(일품반상, 일품국밥상, 일품죽상) 및 면상(비빔면상, 국물면상)을 기본 식사 유형으로 하고 각 식사 유형 별로 주식, 국, 주찬, 부찬 및 김치의 종류와 개수를 정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후보 균형식단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후보 균형식단을 기준으로 복수의 식품군들에 관한 추천 횟수의 충족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후보 균형식단을 기준으로 연령별 기본 영양소와 부족 영양소에 관한 기준의 충족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체가능 음식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식단 구성 프레임의 주식, 국, 주찬, 부찬 및 김치와 간식 및 간편건강식을 포함하는 식단 분류 별로 영양 유사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체가능 음식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식단 분류에 따라 상기 영양 유사도의 측정에 사용되는 영양소를 독립적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체가능 음식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식단 분류별 영양 유사도를 기초로 음식 간의 영양적 유사성 점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영양적 유사성 점수를 기준으로 상위 n개(상기 n은 자연수)의 음식들을 상기 교체가능 음식 리스트로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종 균형식단을 결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음식의 적정 급여량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교체에 따라 복수의 식품군들에 관한 추천 횟수의 충족 여부 및 연령별 기본 영양소와 부족 영양소에 관한 기준의 충족 여부를 각각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최종 균형식단에 관한 섭취 여부와 실제 섭취 정보를 수신하여 실행식단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행식단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최종 균형식단의 음식들 각각의 섭취 여부에 따른 사용자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실제 섭취 정보를 기초로 식생활 및 식사의 질 평가에 따른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체중조절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의 1일 에너지필요량을 결정하는 사용자 정보 수신부; 상기 1일 에너지필요량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해당 사용자의 아침 결식 횟수를 기초로 아침식사 유형을 결정하는 아침식사 유형 결정부; 상기 아침식사 유형에 따라 기 구축된 식단 구성 프레임을 적용하여 상기 해당 사용자를 위한 후보 균형식단을 구성하는 균형식단 구성부; 상기 후보 균형식단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후보 균형식단에 대한 승인을 수신하는 균형식단 승인부; 상기 승인에 실패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후보 균형식단의 음식들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교체 요청을 수신하여 해당 음식에 관한 교체가능 음식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교체 요청 처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교체가능 음식 리스트의 특정 음식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해당 음식을 상기 특정 음식으로 교체하여 최종 균형식단을 결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균형식단 제공부;를 포함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조절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 방법 및 장치는 각 연령별·성별 에너지필요량 뿐만 아니라 신체활동량을 고려한 1일 에너지필요량을 추정하여 체중조절용 에너지를 계산하고 연령별 기본 영양소와 부족 영양소, 식품군의 균형섭취를 고려한 개인(성인 19-64세) 맞춤형 식단을 추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균형식단 추천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균형식단 추천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체중조절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체중조절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단 구성 프레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연령별 부족영양소 및 섭취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 및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에 의해 운용되는 장치로서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와 연결되어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사용자 맞춤형 균형식단을 추천받아 확인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들이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그룹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개인, 전문가, 단체 및 기업 등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는 본 발명에 따른 체중조절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상호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는 본 발명에 따른 체중조절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 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외부 시스템(또는 서버)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는 식단 정보와 영양소 정보에 관한 공유 데이터를 제공하는 외부 시스템과 연동하거나 또는 균형식단 추천을 위한 학습 서버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의 동작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5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집합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 개인별 실제 섭취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가 본 발명에 따른 체중조절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 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균형식단 추천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중조절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 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isk)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3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210)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체중조절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들의 집합을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25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은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는 독립적인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연결되기 위한 통신 환경을 제공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는 데이터의 무선 전송을 위해 WiFi,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 기능이나 4G 이상의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균형식단 추천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는 사용자 정보 수신부(310), 아침식사 유형 결정부(320), 균형식단 구성부(330), 균형식단 승인부(340), 교체 요청 처리부(350), 균형식단 제공부(360), 평가 수행부(370) 및 제어부(도 3에 미도시함)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수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체중조절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의 1일 에너지필요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정보 수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전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고, 해당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전용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정보가 입력된 경우 해당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정보 수신부(31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 수신부(31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1일 에너지필요량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수신부(310)는 사용자의 BMI에 따른 건강 체중과 1일 에너지필요량을 기반으로 증·감량 및 체중조절 기간을 추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활동량을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1일 에너지필요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정보 수신부(310)는 사용자 정보로서 해당 사용자의 성별, 나이, 신장, 체중 및 신체활동수준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신체활동수준(PA)은 비활동적, 저활동적, 활동적, 매우 활동적 중 어느 하나로 구분될 수 있다. 특히, 남자의 경우, 신체활동량(PA, Physical Activity)에 따른 에너지필요량의 변화가 클 수 있다. 비활동적의 경우 휴식, 취침 등과 같이 신체활동이 거의 없는 수준에 해당할 수 있고, 저활동적의 경우, 걷기(산책하기)와 같은 일상적인 활동이 이루어지는 수준에 해당할 수 있다. 활동적의 경우 빠르게 걷기, 가볍게 뛰기, 자전거 타기, 청소하기, 골프 등과 같이 숨이 약간 차거나 심장이 약간 빠르게 뛰는 정도의 수준에 해당할 수 있고, 매우 활동적의 경우 등산, 축구, 수영, 무거운 물건 나르기 등 격렬한 신체활동으로 숨이 많이 차거나 심장이 매우 빠르게 뛰는 정도의 수준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정보 수신부(310)는 사용자 정보로서 해당 사용자의 나이, 신장 및 체중을 수신하는 경우,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기초로 해당 입력값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 중 '나이'가 '200'인 경우, 사용자 정보 수신부(310)는 해당 나이가 정상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사용자 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 사용자 정보 수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사용자 정보의 재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정보 수신부(310)는 해당 사용자의 신장 및 체중을 기초로 체질량지수(BMI)를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체질량지수는 체중(kg)/[신장(m)]2을 통해 산출될 수 있으며, 성인 기준 BMI<18.5의 경우 저체중, 18.5≤BMI<23의 경우 정상, 23≤BMI<25의 경우 과체중, BMI≥25의 경우 비만으로 판정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수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체질량지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비만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아침식사 유형 결정부(320)는 1일 에너지필요량 및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해당 사용자의 아침 결식 횟수를 기초로 아침식사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아침식사 유형은 사용자의 식습관을 기초로 건강한 식습관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건강 식단의 종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침식사 유형은 간편건강식, 일반식, 일품죽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간편건강식은 조리시간을 최소화하고 6가지 식품군의 균형섭취를 위한 식사 유형에 해당할 수 있다. 일반식은 국, 김치, 장아찌 및 절임류 등의 제한으로 나트륨 섭취를 최소화한 한식 식사 유형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일품죽식은 일반식의 소화가 어려운 사용자를 위한 식사 유형에 해당할 수 있다. 아침식사 유형 결정부(320)는 아침 결식 횟수에 따라 사용자의 식습관에 적합한 아침식사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아침식사 결식률은 2019년 남자 32.2%, 여자 30.4%로 10년전 보다 남녀 약 10% 이상 증가하였고,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나타낼 수 있다. 특히, 탄수화물 및 나트륨의 과다 섭취와 아침식사 결식은 비만, 고혈압 등 대사증후군 및 만성질환 유병률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체중조절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의 중요 요소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아침식사 유형 결정부(320)는 아침 결식 횟수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간편건강식을 아침식사 유형으로 결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간편건강식, 일반식 및 일품죽식을 포함하는 복수의 건강식단들 중 어느 하나를 아침식사 유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계값이 5회로 설정된 경우, 아침식사 유형 결정부(320)는 아침 결식 횟수가 5회 이상인 경우 아침식사로 간편건강식을 추천하고, 5회 미만인 경우 간편건강식, 일반식 및 일품죽식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균형식단 구성부(330)는 사용자의 식습관에 따라 결정된 아침식사 유형을 기초로 식단 구성 프레임에서 가장 적합한 식사 유형을 선택하여 후보 균형식단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균형식단 구성부(330)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식단 구성을 후보 균형식단으로 결정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복수의 식단 구성을 선택하여 후보 균형식단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식단 구성 프레임은 식사 유형별 음식 종류와 횟수 구성을 정의하는 매트릭스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먼저, 식사 유형은 일반반상, 일품반상 및 면상을 기본으로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반반상은 일반반상(국 미포함), 일반국반상, 일반탕반상 및 일반찌개반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일품반상은 일품반상, 일품국밥상 및 일품죽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면상은 국물면상 및 비빔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음식 구성은 주식, 국, 주찬, 부찬 및 김치를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식은 기본밥(백미밥, 잡곡밥, 채소밥), 일품밥(비빔밥, 볶음밥 및 덮밥 등), 국밥, 죽, 국물면 및 비빔면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고, 국은 일반국, 간단국, 탕, 찌개 및 스프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주찬은 1~2개로 구성될 수 있고, 부찬은 1~3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김치는 일반김치 및 물김치 중 0~1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식단 구성 프레임은 아침식사 유형으로 간편건강식과 아침·점심·저녁 식사 외에 간식을 균형식단에 추가 구성할 수 있다. 간편건강식과 간식은 식품군(예를 들어, 곡류, 어/육/난/두류, 과일류, 채소류, 우유 및 유제품)의 균형 섭취를 고려한 간편 균형식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균형식단 구성부(330)는 후보 균형식단을 기준으로 복수의 식품군들에 관한 추천 횟수의 충족 여부를 결정하고, 후보 균형식단을 기준으로 연령별 기본 영양소와 부족 영양소에 관한 기준의 충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먼저, 균형식단 구성부(330)는 후보 균형식단의 음식들을 식품군으로 분류하여 각 식품군별 추천 횟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각 식품군별 추천 횟수가 기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균형식단 구성부(330)는 후보 균형식단의 음식들을 영양소 별로 분류하여 사용자의 연령·성별에 맞는 기본 영양소와 부족 영양소에 관해 기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균형식단 구성부(330)는 식품군에 관한 추천 횟수의 충족 여부와 영양소에 관한 기준의 충족 여부를 기초로 복수의 후보 균형식단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후보 균형식단을 결정할 수 있다.
균형식단 승인부(340)는 후보 균형식단을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하고 후보 균형식단에 대한 승인을 수신할 수 있다. 균형식단 승인부(340)는 1차적으로 선정된 후보 균형식단을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하여 사용자의 승인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추천된 후보 균형식단 중 특정 후보 균형식단에 대한 승인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후 단계에서 해당 승인된 후보 균형식단을 기초로 최종 균형식단이 결정될 수 있다. 균형식단 승인부(340)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후보 균형식단의 제공과 승인을 위한 전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교체 요청 처리부(350)는 승인에 실패한 경우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후보 균형식단의 음식들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교체 요청을 수신하여 해당 음식에 관한 교체가능 음식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추천된 후보 균형식단이 적당하지 않은 경우 승인을 입력하지 않을 수 있으며, 특정 음식을 선택하여 교체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교체 요청 처리부(35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교체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식단 구성 프레임을 기준으로 주식, 국, 주찬, 부찬, 김치 및 간편건강식, 간식 총 7개로 분류하고 각 분류별 영양 유사도 측정을 반영하여 음식 DB에서 가장 유사한 음식을 추천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음식과 가장 유사한 음식들은 교체가능 음식 리스트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교체 요청 처리부(350)는 식단 구성 프레임의 주식, 국, 주찬, 부찬 및 김치와 간식, 간편건강식을 포함하는 식단 분류 별로 영양 유사도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음식 간의 영양적 유사성은 각 음식의 식단 분류에 관한 영양 유사도를 통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식단 분류는 식단 구성 프레임의 각 식사 유형 별로 구성되는 주식, 국, 주찬, 부찬 및 김치와 간식, 간편건강식을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주식의 경우 기본밥과 일품밥/일품면으로 세분화되고, 국의 경우 기본국과 탕/찌개, 스프로 세분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체 요청 처리부(350)는 음식들 간에 식단 분류 별 영양 유사도를 독립적으로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평균, 분산 또는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해당 음식들이 영양적 유사성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교체 요청 처리부(350)는 식단 분류에 따라 영양 유사도의 측정에 사용되는 영양소를 독립적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식의 경우, 교체 요청 처리부(350)는 기본밥에 대한 영양 유사도를 산출하기 위하여 탄수화물을 기준으로, 일품밥/일품면에 대해서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나이아신, 칼륨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영양 유사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국의 경우, 교체 요청 처리부(350)는 기본국에 대해 식이섬유, 칼슘 및 나트륨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탕/찌개/스프에 대해 단백질, 지질, 칼슘, 나트륨 및 칼륨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주찬은 단백질, 지질, 비타민A, 나이아신, 칼슘, 나트륨, 철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부찬은 식이섬유소, 비타민A, 비타민C, 칼슘, 나트륨, 칼륨, 철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김치는 비타민A, 칼슘, 칼륨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영양 유사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교체 요청 처리부(350)는 식단 분류별 영양 유사도를 기초로 음식 간의 영양적 유사성 점수를 측정하고, 영양적 유사성 점수를 기준으로 상위 n개(상기 n은 자연수)의 음식들을 교체가능 음식 리스트로서 생성할 수 있다. 즉, 교체 요청 처리부(350)는 음식에 포함된 주요 영양소를 기초로 음식 간의 영양적 유사성을 산출하여 점수로 표현할 수 있다. 영양적 유사성 점수는 영양적 유사성에 따라 수치화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영양적 유사성 점수가 높을수록 음식 간의 영양소 함량이 유사하여 음식이 교체되더라도 영양적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균형식단 제공부(36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교체가능 음식 리스트의 특정 음식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면 해당 음식을 특정 음식으로 교체함으로써 최종 균형식단을 결정하여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균형식단 제공부(36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음식을 영양적 유사성 높은 다른 음식으로 교체하여 식단 전체의 영양적 균형을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식단 선호도를 높일 수 있다. 균형식단 제공부(360)는 음식 교체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음식 교체를 진행하여 자신에게 최적화된 균형식단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균형식단 제공부(360)는 특정 음식의 적정 급여량을 계산하고, 음식 교체에 따라 복수의 식품군들에 관한 추천 횟수의 충족 여부 및 연령별 기본 영양소와 부족 영양소에 관한 기준의 충족 여부를 각각 결정할 수 있다. 균형식단 제공부(36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식 교체가 수행된 경우, 전체 식단의 영양적 균형을 고려하여 교체된 음식에 관한 적정 급여량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적정 급여량은 균형식단 내에서 음식의 섭취량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균형식단 제공부(360)는 교체된 음식을 기준으로 균형식단의 조건 충족 여부를 갱신할 수 있다. 만약 음식 교체로 인해 조건 충족에 실패한 경우 균형식단 제공부(360)는 사용자에게 음식 교체를 재선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평가 수행부(37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최종 균형식단에 관한 섭취 여부와 실제 섭취 정보를 수신하여 실행식단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매 끼니 별로 자신이 직접 섭취한 음식의 종류와 양을 수치적으로 입력할 수 있으며, 평가 수행부(370)는 추천한 최종 균형식단의 섭취 여부와 사용자가 실제 섭취한 음식을 평가하여 영양소 및 식품군의 다양성과 균형 정도를 점수화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110)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추천된 최종 균형식단에 관한 정보와 실행식단 평가에 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매 끼니 별로 섭취해야 하는 음식 정보와 영양소 정보 및 실제 자신이 섭취한 음식 정보와 영양소 정보를 다양한 그래픽 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평가 수행부(370)는 최종 균형식단의 음식들 각각의 섭취 여부에 따른 사용자 평가 점수를 산출하고, 실제 섭취 정보를 기초로 식생활 및 식사의 질 평가에 따른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평가 점수는 추천한 균형식단의 음식 섭취 여부, 미섭취 음식과 이유(예를 들어 알러지, 기호도 및 질병 등) 등을 고려하여 평가한 점수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평가 수행부(370)는 사용자에게 추천된 균형식단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실제 섭취 정보를 반복적으로 수집하여 축적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균형식단 추천을 수행함으로써 고도화된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평가 수행부(370)는 균형식단 정보와 실제 섭취 정보에 관한 데이터 셋을 기초로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학습하여 사용자 정보에 맞춤화된 균형식단을 생성하는 식단 추천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식단 추천 모델은 사용자 정보를 입력으로 수신하여 사용자 맞춤형 균형식단을 출력으로 생성하도록 학습될 수 있다.
제어부(도 3에 미도시함)는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사용자 정보 수신부(310), 아침식사 유형 결정부(320), 균형식단 구성부(330), 균형식단 승인부(340), 교체 요청 처리부(350), 균형식단 제공부(360) 및 평가 수행부(37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체중조절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는 사용자 정보 수신부(3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의 1일 에너지필요량을 결정할 수 있다(단계 S410).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는 아침식사 유형 결정부(320)를 통해 1일 에너지필요량 및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해당 사용자의 아침 결식 횟수를 기초로 아침식사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단계 S420).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는 균형식단 구성부(330)를 통해 아침식사 유형에 따라 한식 반상을 기준으로 기 구축된 식단 구성 프레임을 적용하여 해당 사용자를 위한 후보 균형식단을 구성할 수 있다(단계 S430).
또한,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는 균형식단 승인부(340)를 통해 후보 균형식단을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하고 후보 균형식단에 대한 승인을 수신할 수 있다(단계 S440).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는 교체 요청 처리부(350)를 통해 승인에 실패한 경우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후보 균형식단의 음식들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교체 요청을 수신하여 해당 음식에 관한 교체가능 음식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단계 S450).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는 균형식단 제공부(36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교체가능 음식 리스트의 특정 음식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면 해당 음식을 특정 음식으로 교체함으로써 최종 균형식단을 결정하여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단계 S460).
일 실시예에서,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는 시스템에 주어질 수 있는 각각의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성별, 나이, 신장, 체중, BMI, PA, 아침 결식 횟수 및 희망하는 아침식사 유형 등)에 대응되는 일일 영양 섭취 기준과 선택 가능한 식단의 형태를 모두 만족하는 후보 균형식단을 빈 패킹(bin-packing)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전수 생성하고 영양 섭취 기준, 식단의 형태, 식단에 포함되는 주식과 주찬 등의 기준으로 후보 균형식단을 군집화(clustering)할 수 있다. 이후,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는 사용자 입력이 주어질 때 이를 만족하는 식단을 포함하는 클러스터들을 검색하고 각 클러스터에서 최대 하나의 식단을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최종 균형식단으로서 추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체중조절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는 본 발명에 따른 체중조절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사용자의 성별, 나이, 신장 및 체중을 입력받을 수 있다(S510). 이를 통해,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는 사용자의 체질량지수(BMI)를 산출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수신한 신체활동수준(PA)을 반영하여 1일 에너지필요량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아침 결식 횟수를 입력받을 수 있고, 아침 결식 횟수에 따라 아침식사 유형을 결정할 있다(S520). 즉,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는 사용자의 식습관을 고려하여 간편건강식, 일반식, 일품죽식 중 하나를 아침식사로 선택할 수 있으며, 결정된 아침식사 유형을 기초로 식단 구성 프레임을 적용하여 후보 균형식단을 생성할 수 있다(S530).
이후,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는 후보 균형식단에 대해 다양한 조건을 적용하여 검증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S540, S550), 이에 따라 결정된 후보 균형식단을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후보 균형식단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식단을 구성하는 음식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식 교체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선택된 음식과 영양적 유사도가 높은 음식들을 교체가능 음식 리스트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S560). 사용자가 리스트 상에서 교체를 원하는 음식을 선택하면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는 해당 음식으로 후보 균형식단을 재구성할 수 있다.
또한,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는 갱신된 후보 균형식단을 기초로 다양한 조건을 적용하여 검증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검증에 통과한 후보 균형식단을 최종 균형식단으로서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최종 균형식단을 기초로 실제 음식 섭취를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자신의 섭취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실제 섭취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최종 균형식단과의 비교를 통해 사용자의 식생활 및 식사의 질을 평가할 수 있다(S570).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단 구성 프레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는 식단 구성 프레임을 기초로 사용자를 위한 후보 균형식단을 구성할 수 있다. 식단 구성 프레임은 한국의 전통 상차림을 기본으로 식사 유형별 음식 구성을 정의하는 매트릭스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먼저, 기본 식사 유형은 일반반상, 일품반상 및 면상을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반반상은 일반반상(국 미포함), 일반국반상, 일반탕반상 및 일반찌개반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일품반상은 일품반상, 일품국반상 및 일품죽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면상은 국물면상 및 비빔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음식 구성은 주식, 국, 주찬, 부찬 및 김치를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식은 기본밥(백미밥, 잡곡밥), 일품밥(비빔밥, 볶음밥 및 덮밥 등), 국밥, 죽, 국물면 및 비빔면으로 구성될 수 있고, 국은 일반국, 간단국, 탕, 찌개 및 스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주찬은 메인주찬, 부주찬 및 아침주찬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부찬은 아침부찬, 부찬 및 김치대체부찬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김치는 일반김치 및 물김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연령별 부족영양소 및 섭취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는 일반반상, 일품반상, 면상 외 아침 간편건강식이 추천되는 경우라도 1일 에너지필요량, 다량영양소 에너지 적정비율을 포함한 기본 영양소, 5대 부족영양소 및 6개 식품군 섭취까지 모두 고려하여 균형식사를 추천할 수 있다. 이때, 1일 에너지필요량은 표준추천 에너지의 ±25kcal 범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아침:점심/저녁:간식의 에너지 배분은 연령별·성별 차이가 있으나 평균 1:1.5:0.5-0.7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균형식단 추천 장치(130)는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성별 및 연령별 각 영양소 섭취비율이 낮은 순서로 부족 영양소 5가지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30: 균형식단 추천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사용자 정보 수신부 320: 아침식사 유형 결정부
330: 균형식단 구성부 340: 균형식단 승인부
350: 교체 요청 처리부 360: 균형식단 제공부
370: 평가 수행부

Claims (13)

  1. 사용자 정보 수신부, 아침식사 유형 결정부, 균형식단 구성부, 균형식단 승인부, 교체 요청 처리부 및 균형식단 제공부를 포함하는 체중조절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 장치에서 수행되는 체중조절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수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의 체중조절을 위한 1일 에너지필요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아침식사 유형 결정부를 통해, 상기 1일 에너지필요량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해당 사용자의 아침 결식 횟수를 기초로 아침식사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균형식단 구성부를 통해, 상기 아침식사 유형에 따라 한식 반상을 기준으로 기 구축된 식단 구성 프레임- 상기 식단 구성 프레임은 일반반상, 일품반상 및 면상을 포함하는 한식 식사 유형을 기본으로 하고 각 식사 유형 별로 주식, 국, 주찬, 부찬 및 김치와 간식, 간편건강식을 포함하는 식단 분류의 종류와 개수를 정의하여 1일 균형식단을 만족하기 위하여 생성되며, 1)일반반상, 일반국반상, 일반탕반상 및 일반찌개반상으로 구성된 상기 일반반상과, 2)일품반상, 일품국밥상 및 일품죽상으로 구성된 상기 일품반상, 그리고 3)국물면상 및 비빔면상으로 구성된 상기 면상은 각각 아침, 점심 및 저녁 중 적어도 하나와의 조합에 따라 상기 식단 분류의 종류와 개수를 특정함 -을 적용하고 주식, 국, 주찬 및 부찬에 대한 선택에 따라 열량(kcal), 영양소 및 6대 식품군으로 분류된 음식 DB를 기반으로 상기 해당 사용자를 위한 후보 균형식단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균형식단 승인부를 통해, 상기 후보 균형식단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후보 균형식단에 대한 승인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교체 요청 처리부를 통해, 상기 승인에 실패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후보 균형식단의 음식들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교체 요청을 수신하여 해당 음식에 관한 교체가능 음식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균형식단 제공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교체가능 음식 리스트의 특정 음식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해당 음식을 상기 특정 음식으로 교체함으로써 최종 균형식단을 결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최종 균형식단에 관한 섭취 여부와 실제 섭취 정보를 수신하여 실행식단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후보 균형식단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후보 균형식단을 기준으로 상기 후보 균형식단의 음식들을 식품군으로 분류하여 6대 식품군들에 관한 추천 횟수의 충족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후보 균형식단을 기준으로 상기 후보 균형식단의 음식들을 영양소 별로 분류하여 사용자의 연령·성별에 맞는 연령별 기본 영양소와 5대 부족 영양소에 관한 기준의 충족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복수의 후보 균형식단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후보 균형식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교체가능 음식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식단 구성 프레임의 상기 식단 분류 별로 주식, 국, 주찬 및 부찬에 대한 선택에 따른 열량(kcal), 영양소 및 6대 식품군에 대응되고 영양 유사도의 측정에 사용되는 영양소를 각각 결정한 다음 상기 영양 유사도를 측정하는 단계; 식단 분류별 영양 유사도를 기초로 음식 간의 영양적 유사성 점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영양적 유사성 점수를 기준으로 상위 n개(상기 n은 자연수)의 음식들을 상기 교체가능 음식 리스트로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실행식단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최종 균형식단의 음식들 각각의 섭취 여부에 따른 사용자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실제 섭취 정보를 기초로 식생활 및 식사의 질 평가에 따른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조절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일 에너지필요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로서 상기 해당 사용자의 성별, 나이, 신장, 체중 및 신체활동수준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신체활동수준(PA)은
    비활동적, 저활동적, 활동적, 매우 활동적 중 어느 하나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조절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일 에너지필요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해당 사용자의 성별, 나이, 신장 및 체중을 기초로 체질량지수(BMI)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조절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침식사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아침 결식 횟수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간편건강식을 상기 아침식사 유형으로 결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간편건강식, 일반식 및 일품죽식을 포함하는 복수의 식단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아침식사 유형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조절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균형식단을 결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음식의 적정 급여량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교체에 따라 복수의 식품군들에 관한 추천 횟수의 충족 여부 및 연령별 기본 영양소와 부족 영양소에 관한 기준의 충족 여부를 각각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체중조절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사용자 단말로부터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의 1일 에너지필요량을 결정하는 사용자 정보 수신부;
    상기 1일 에너지필요량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해당 사용자의 아침 결식 횟수를 기초로 아침식사 유형을 결정하는 아침식사 유형 결정부;
    상기 아침식사 유형에 따라 한식 반상을 기준으로 기 구축된 식단 구성 프레임- 상기 식단 구성 프레임은 일반반상, 일품반상 및 면상을 기본 식사 유형으로 하고 각 식사 유형 별로 주식, 국, 주찬, 부찬 및 김치와 간식, 간편건강식을 포함하는 식단 분류의 종류와 개수를 정의하여 1일 균형식단을 만족하기 위하여 생성되며, 1)일반반상, 일반국반상, 일반탕반상 및 일반찌개반상으로 구성된 상기 일반반상과, 2)일품반상, 일품국밥상 및 일품죽상으로 구성된 상기 일품반상, 그리고 3)국물면상 및 비빔면상으로 구성된 상기 면상은 각각 아침, 점심 및 저녁 중 적어도 하나와의 조합에 따라 상기 식단 분류의 종류와 개수를 특정함 -을 적용하고 주식, 국, 주찬 및 부찬에 대한 선택에 따라 열량(kcal), 영양소 및 6대 식품군으로 분류된 음식 DB를 기반으로 상기 해당 사용자를 위한 후보 균형식단을 구성하는 균형식단 구성부;
    상기 후보 균형식단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후보 균형식단에 대한 승인을 수신하는 균형식단 승인부;
    상기 승인에 실패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후보 균형식단의 음식들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교체 요청을 수신하여 해당 음식에 관한 교체가능 음식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교체 요청 처리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교체가능 음식 리스트의 특정 음식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해당 음식을 상기 특정 음식으로 교체함으로써 최종 균형식단을 결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균형식단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최종 균형식단에 관한 섭취 여부와 실제 섭취 정보를 수신하여 실행식단 평가를 수행하는 평가 수행부;를 포함하되,
    상기 균형식단 구성부는 상기 후보 균형식단을 기준으로 상기 후보 균형식단의 음식들을 식품군으로 분류하여 6개 식품군들에 관한 추천 횟수의 충족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후보 균형식단을 기준으로 상기 후보 균형식단의 음식들을 영양소 별로 분류하여 사용자의 연령·성별에 맞는 연령별 기본 영양소와 5대 부족 영양소에 관한 기준의 충족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복수의 후보 균형식단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후보 균형식단을 결정하며,
    상기 교체 요청 처리부는 상기 식단 구성 프레임의 상기 식단 분류 별로 주식, 국, 주찬 및 부찬에 대한 선택에 따른 열량(kcal), 영양소 및 6대 식품군에 대응되고 영양 유사도의 측정에 사용되는 영양소를 각각 결정한 다음 상기 영양 유사도를 측정하고, 식단 분류별 영양 유사도를 기초로 음식 간의 영양적 유사성 점수를 측정하며, 상기 영양적 유사성 점수를 기준으로 상위 n개(상기 n은 자연수)의 음식들을 상기 교체가능 음식 리스트로서 생성하고,
    상기 평가 수행부는 상기 최종 균형식단의 음식들 각각의 섭취 여부에 따른 사용자 평가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실제 섭취 정보를 기초로 식생활 및 식사의 질 평가에 따른 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조절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 장치.
KR1020210165546A 2021-11-26 2021-11-26 체중조절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 방법 및 장치 KR102422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5546A KR102422591B1 (ko) 2021-11-26 2021-11-26 체중조절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5546A KR102422591B1 (ko) 2021-11-26 2021-11-26 체중조절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2591B1 true KR102422591B1 (ko) 2022-07-20

Family

ID=82609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5546A KR102422591B1 (ko) 2021-11-26 2021-11-26 체중조절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25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238B1 (ko) 2022-11-25 2023-03-27 주식회사 서비 사용자 맞춤형 단백질 식단 제품의 큐레이션 커머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06628B1 (ko) 2023-02-17 2023-11-29 주식회사 바이오뉴트리온 과체중 또는 비만을 치료하기 위한 디지털 치료기기 및 어플리케이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9006A (ja) * 2001-05-01 2002-11-15 Health Net 21:Kk 適正食事メニュー提供システム
KR20070026572A (ko) * 2004-05-13 2007-03-08 폰테라 코-오퍼레이티브 그룹 리미티드 맞춤 영양식 공급 시스템 및 그 네트워크와 장치
KR20100094738A (ko) 2009-02-19 2010-08-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인터넷을 통한 식단 계획 및 자가 진단 방법
KR102043959B1 (ko) * 2019-07-25 2019-11-12 (주)어메이징푸드솔루션 개인별 유전자 유형과 개인건강기록 데이터에 근거한 맞춤형 식단 추천 시스템
KR20200087516A (ko) * 2019-01-11 2020-07-21 김은정 개인별 건강 정보에 기초한 식단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10109912A (ko) * 2020-02-28 2021-09-07 고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아청소년을 위한 개인 맞춤 식단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개인 맞춤 식단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9006A (ja) * 2001-05-01 2002-11-15 Health Net 21:Kk 適正食事メニュー提供システム
KR20070026572A (ko) * 2004-05-13 2007-03-08 폰테라 코-오퍼레이티브 그룹 리미티드 맞춤 영양식 공급 시스템 및 그 네트워크와 장치
KR20100094738A (ko) 2009-02-19 2010-08-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인터넷을 통한 식단 계획 및 자가 진단 방법
KR20200087516A (ko) * 2019-01-11 2020-07-21 김은정 개인별 건강 정보에 기초한 식단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43959B1 (ko) * 2019-07-25 2019-11-12 (주)어메이징푸드솔루션 개인별 유전자 유형과 개인건강기록 데이터에 근거한 맞춤형 식단 추천 시스템
KR20210109912A (ko) * 2020-02-28 2021-09-07 고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아청소년을 위한 개인 맞춤 식단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개인 맞춤 식단 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238B1 (ko) 2022-11-25 2023-03-27 주식회사 서비 사용자 맞춤형 단백질 식단 제품의 큐레이션 커머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06628B1 (ko) 2023-02-17 2023-11-29 주식회사 바이오뉴트리온 과체중 또는 비만을 치료하기 위한 디지털 치료기기 및 어플리케이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77417B2 (ja) 栄養摂取量のユーザ特異的な調整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9964280B (zh) 用于计算、显示、修改和使用改善的个性化营养健康评分来评估和计划最佳饮食的系统和方法
Scarborough et al. Developing nutrient profile models: a systematic approach
Dennison et al. Fruit and vegetable intake in young children
KR101633944B1 (ko) 건강 유익도에 기초하여 영양 개선을 달성 및 보조하는 시스템
US20160379520A1 (en) Nutrient density determinations to select health promoting consumables and to predict consumable recommendations
KR102221784B1 (ko) 개인 맞춤형 자동화 식단 제공방법
RU134340U1 (ru) Электронное карм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ценки пищевой ценности запланированного меню для ребенка
JP7319930B2 (ja) 摂取可能物の最適量及び質を反映する単一の食品摂取スコアを算出、表示、修正、及び使用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422591B1 (ko) 체중조절 개인 맞춤형 균형식단 추천 방법 및 장치
Arsenault et al. A novel approach to selecting and weighting nutrients for nutrient profiling of foods and diets
US20220230730A1 (en) Recipe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comput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Basiotis et al. The healthy eating index, 1999-2000: charting dietary patterns of Americans
Fahey et al. Conditional Gaussian mixture modelling for dietary pattern analysis
Garriguet Changes in beverage consumption in Canada.
McNamara et al. The gap between food intakes and the Pyramid recommendations: measurement and food system ramifications
Pop et al. Particle swarm optimization-based method for generating healthy lifestyle recommendations
CN112528008A (zh) 一种基于知识图谱的糖尿病患者配餐方法及装置
KR20180073779A (ko) 개인 맞춤형 자동화 식단 제공방법
Lino et al. The quality of young children's diets
Mino et al. Recipe recommendation for a diet considering a user's schedule and the balance of nourishment
US2021037416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refreshment outlooks
CN114388102A (zh) 饮食推荐方法及装置和电子设备
CN113407581A (zh) 一种家庭多人组合的配餐推荐方法和系统
Namoco et al. A Decision Support System for Optimizing Nutrient in Daily Lunch Intake among College Students in Cagayan de Oro City, Philippines using Linear Programm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