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882B1 - 스마트폰용 멀티그립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용 멀티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882B1
KR102421882B1 KR1020210110545A KR20210110545A KR102421882B1 KR 102421882 B1 KR102421882 B1 KR 102421882B1 KR 1020210110545 A KR1020210110545 A KR 1020210110545A KR 20210110545 A KR20210110545 A KR 20210110545A KR 102421882 B1 KR102421882 B1 KR 102421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plate
rail
smartphone
hing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김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형 filed Critical 김태형
Priority to KR1020210110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8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용 멀티그립에 관한 것으로서, 상단 양 측에는 지지돌기를 형성하며, 하단 중앙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이탈방지돌기를 형성한 결합버튼을 구성하고, 양 측면에는 레일을 구성하되 레일의 표면 측에 위치를 선택하여 고정하는 스톱홈이 형성된 날개를 레일보다 외향돌출하도록 형성하여, 이면을 상기 스마트폰뒷판이나 스마트폰케이스에 부착하는 베이스레일과; 상기 베이스레일에 결합하도록 양단에 "ㄷ"자 형의 결합레일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레일의 내측에는 상기 스톱홈에 결합하는 스톱돌기를 형성하고, 적어도 1개이상의 텐션돌기를 일체로 구성한 베이스플레이트로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공지의 그립을 결합설치하여 스마트폰용 멀티그립을 구성하거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에 제1힌지부와 제2힌지부를 형성하고, 제1힌지부에는 그립이 구성된 그립플레이트를 절첩가능하도록 결합하며, 제2힌지부에는 중앙에 절첩부를 형성하여 절반을 일방향으로만 절첩하도록 구성한 절첩플레이트를 토션스프링에 의하여 펼쳐지도록 구성하여 절첩플레이트의 자유단을 상기 그립플레이트의 단부와 힌지결합하여서 제3힌지부를 구성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용 멀티그립{Multi-Grip for Smartphones}
본 발명은 스마트폰용 멀티그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마트폰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를 이동하여 세팅이 가능하고 그립이 장착되는 베이스판이 일측을 힌지점으로 하여 절첩되면서 받침대 역할을 함은 물론 그립의 방향을 변경하여 사용에 편리함을 더하는 스마트폰용 멀티그립에 관한 것이다.
인류문명이 발달함에 획기적인 발명이라 할 수 있는 스마트폰은 현대인의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물품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입력방식의 하나인 터치스크린을 통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나는 각종 아이콘을 직접 눌러 터치하기만 하면 원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전화 또는 문자 메세지의 수발신 기능뿐만 아니라 문서작업, 인터넷 사용, 이메일 수발신 등 다양한 기능이 내장되어 사용자들이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업무용으로 까지 사용범위를 늘리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사용하는 추세에 맞추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가락에 삽입되는 고리형 액세서리가 스마트폰 케이스의 중앙에 장착되고, 이를 스마트폰으로부터 탈착하도록 구성한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크기와 사용자의 손의 크기가 다양하고 선호하는 부착 위치가 다양하기 때문에 다양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고, 특히 자기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충전하도록 설계된 스마트폰은 스마트폰 내부에 구비된 충전지와 무선충전기 사이의 간격이 커지거나 그 사이에 금속 이물질이나 주파수 발생에 방해를 일으키는 물질이 끼이면 충전을 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개발된 스마트폰용 그립에 대한 선행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출원 제10-2013-0131540호(2013.10.31)는 휴대폰의 거치대로서, 지지체의 하부에는 흡착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 그립부착수단으로 이루어진 행거 그립을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를 형성하되, 상기 그립부착수단은 직사각형상으로 자석이 내장된 자석안착부와 자석안착카바로 결합되도록 형성하며, 여기에 부착되는 그립부는 직사각형상의 철판부로 형성하고, 상기 철판부의 중심부를 벗어난 상부 지점에 회전축을 형성함과 동시에 둥근고리를 결합시켜 철판부의 넓은 공간부와 자석안착부가 자력에 의하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행거 그립을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이다 특허출원 제10-2014-0122163호(2014.09.15)는 핸드폰이나 PDA 등과 같은 이동통신기기의 후면에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핑거그립이 중첩 배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한 손의 손가락들을 상기 핑거그립의 구멍에 끼워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그 손의 손가락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나 키패드 등을 조작할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의 바디를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결합시킨 상태 에서 사용자는 어느 한 손의 손가락들을 핑거 그립 부재의 구멍에 끼워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그 손의 손가락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나 키패드 등을 조작할 수 있고, 회전판이 있어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한 손 조작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핑거그립 부재의 구멍에 손가락을 끼움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으므로 기기 사용이 편 리하며, 상기 핑거그립 부재는 신축성이 있는 고무재질로 구성됨에 따라 사용중 촉감이 부드럽고, 상기 구멍의 내부를 손가락 형상으로 형성하여 휴대용 단말기 사용시에 발생할 수 있는 미끄러짐 현상을 현저히 감소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다. 특허출원 제10-2017-0159386호(2017.11.27)는 휴대용 기기에 장착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관통홀의 양측 면을 따라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케이스와, 양측면에 상기 가이드레일을 수용하는 가이드 홈들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기 관통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대해 다양한 각도를 가지도록 선회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고리부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요철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복수의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요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허출원 제10-2018-0054065호(2018.05.11)는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자바라 그립의 정면에 사진 또는 향기 캡슐과 사진을 설 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성 표현이 가능하고, 자바라 그립과 받침대와의 밀착력을 극대화시켜 고정력을 증대 시키고, 받침대의 배면에 명함 홀더를 형성함으로써 차량 소유자의 연락처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사진 및 향기캡슐의 장착이 가능한 휴대폰용 그립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원형으로 형성되는 버텀플레이트가 저면에 형성되어 휴대폰의 배면 중앙부에 양면테이프에 의해 부착되고, 깔대기 형태로 다단으로 절첩되어 길이가 신장 및 축소되도록 절첩부가 상기 버텀플레이트의 상면 중앙부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며, 원판 형태로 형성되되, 일측면에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첩부의 상단 지름보다 더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결합턱이 구비되는 탑플레이트가 상기 절첩부의 상단에 수평으로 형성되며, 상기 절첩에는 공기가 유입되어 축소 및 신장이 이루어지도록 통공이 형성되는 자바라그립과; 원판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자바라 그립의 탑플레이트가 내부로 수납되도록 격벽이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격벽의 끝단에 상기 자바라 그립의 탑플레이트의 결합턱과 결합되는 후크돌기가 형성되는 커버; 및 저면에 양면테이프에 의해 부착되는 수평플레이트와,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전방 상면에서 일측으로 일정각도 경사를 가지며 형성되고, 상단에 "U"자 형태의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자바라 그립을 고정시키는 거치플레이트 및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후방 상면에서 타측으로 일정각도 경사를 가지며 형성되는 명함꽂이 홀더가 구비되는 받침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바라 그립의 버텀플레이트는, 상면에 상기 받침대와 밀착력을 극대화시키도록 탄성재질로 링 형태로 형성된 밀착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격벽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어 상기 자바라그립의 탑플레이트의 안착홈에 사진을 수납시 상기 사진을 고정시키고, 상기 자바라 그립에서 용이하게 분해하도록 측면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면 테두리에 사진의 테두리를 커버하는 데코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사진용 커버와; 상기 격벽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자바라 그립의 탑플레이트의 안착홈에 향기캡슐을 수납시 공간을 제공하고, 상면과 상기 격벽에 향을 배출하도록 향 배출홀이 구비되며, 상기 자바라 그립의 탑플레이트 의 안착홈에는 상기 자바라그립의 수축시 공기압을 상기 향기 캡슐 측으로 제공하도록 공기 배출홀이 형성되는 향기캡슐용 커버가 각각 구비되는 사진 및 향기 캡슐의 장착이 가능한 휴대폰용 그립 거치대이다. 특허출원 제10-2019-0004251호(2019.01.11)는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폰케이스에 견고하게 부착 및 쉽게 탈착되면서 손가락을 이용하여 파지를 용이하게 하면서, 스마트폰에 거치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스마트폰용 핸드그립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폰 케이스에 압착시 부착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압착홀더와 상기 압착홀더를 서로 연결하는 신축성 재질의 스트랩을 포함하여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에 장착되는 핸드그립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에 압착시 상기 부착면에서 내측방향으로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와 비접촉하는 공기층을 형성하며, 상기 압착홀더의 외주면에는 상부로 돌출된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에 결착되는 결착홀을 갖는 날개부가 구성되며, 상기 날개부가 접히면서 상기 고정돌기와 결착홀이 결착되는 경우, 상기 압착홀더의 외주면이 상기 공기층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압착홀더에는, 상기 고정돌기의 밑단이 삽입되는 중앙홀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홀에 삽입된 고정돌기의 밑단과 연결되는 스프링이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과 결착되어 스프링의 힘에 의해 이동하는 중앙압축대와, 상기 중앙압축대가 이동하는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중공막과, 상기 중공막을 지지하도록 압착홀더의 내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대와, 상기 중공막의 밑단과 결착되고, 중앙이 벌려진 오픈부가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에 압착시 상기 고정돌기가 눌러지면서 상기 중앙압축대를 가압하면, 상기 중앙압축대를 통해 상기 오픈부가 압축, 폐쇄되면서 부착면을 형성하는 내부압착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부착력을 강화한 스마트폰용 핸드그립이다. 특허출원 제10-2020-0010400호(2020.01.28)는 모바일디바이스 케이스 일체형 핑거스트랩은 모바일디바이스를 보호하는 케이스의 후면에, 돌출없이 일체화 되어 매립된 핑거스트랩과 브릿지, 핑거스트랩 테두리에 팝업홈을 구비하여, 모바일디바이스 사용시 핑거스트랩 테두리의 팝업홈에 손톱을 넣어 들어 올리면 브릿지가 가교역할로 형성된 공간에 손가락을 넣어 파지하여 그립갑 향상과 낙하방지 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며, 핑거스트랩을 꺼내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향시켜 테이블위에 각도 거치를 가능케 하며, 핑거스트랩 미사용시 케이스에 매립되어 평탄하며, 단순한 유니바디 구조로 쉬운 제조와 저 비용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디바이스 케이스 일체형 핑거스트랩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허출원 제10-2020-0076110호(2020.06.23)는 휴대폰을 지지하거나 손으로 잡는 그립을 케이스와 일체로 성형하여 슬림하고 깔끔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그립 일체형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을 보호하는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표면에 수용홈이 형성된 베이스 시트를 갖는 케이스 바디, 상기 케이스 바디의 수용홈에 신축관으로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시트의 표면으로 인출 될 때에 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한 그립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 바디는, 휴대폰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 도록 탄성 및 신축성을 갖는 수지로 이루어진 인사이드 바디, 상기 인사이드 바디를 감싸서 보호하도록 내충격성을 갖는 아웃사이드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의 양측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넣어서 상기 그립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양측을 잡고 인출하도록 핑거홀이 형성된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20-0001286호(2020.04.14)는 휴대 기기 그립 장치로, 휴대 기기에 장착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에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홀, 슬라이딩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홀을 따라 상호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슬라이더, 및 한 쌍의 슬라이더와 결합되어 한 쌍의 슬라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동됨에 따라 손가락 삽입이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변형되는 밴드부를 포함하는 휴대기기 그립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지금까지 개발된 스마트폰용 그립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스마트폰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개발된 것으로, 그립의 위치를 변경하여 충전이 용이 함과 동시에 그립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중 그립의 위치가 바뀌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그립을 구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가 힌지점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회동하는 절첩식으로 구성하여 스마트폰 거치대로 사용하도록 함은 물론, 사용자의 터치위치의 조절이 자유롭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발된 본 발명은, 스마트폰뒷판이나 스마트폰케이스에 부착 설치하여 상하 위치를 이동하도록 그립을 구성한 스마트폰용 그립을 구성한 것에 있어서,
상단 양 측에는 지지돌기를 형성하며, 하단 중앙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이탈방지돌기를 형성한 결합버튼을 구성하고, 양 측면에는 레일을 구성하되 레일의 표면 측에 위치를 선택하여 고정하는 스톱홈이 형성된 날개를 레일보다 외향돌출하도록 형성하여, 이면을 상기 스마트폰뒷판이나 스마트폰케이스에 부착하는 베이스레일과; 상기 베이스레일에 결합하도록 양단에 "ㄷ"자 형의 결합레일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레일의 내측에는 상기 스톱홈에 결합하는 스톱돌기를 형성하고, 적어도 1개이상의 텐션돌기를 일체로 구성한 베이스플레이트로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공지의 그립을 결합설치하여 스마트폰용 멀티그립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에 제1힌지부와 제2힌지부를 형성하고, 제1힌지부에는 그립이 구성된 그립플레이트를 절첩가능하도록 결합하여 구성하며, 제2힌지부에는 중앙에 절첩부를 형성하여 절반을 일방향으로만 절첩하도록 구성한 절첩플레이트를 토션스프링에 의하여 펼쳐지도록 결합하여 절첩플레이트의 자유단을 상기 그립플레이트의 단부와 힌지결합하여서 제3힌지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절첩플레이트가 결합되는 제2힌지부 측에 그립플레이트를 고정하는 고정후크를 구성하며, 상기 베이스레일의 이탈방지돌기를 형성한 결합버튼은, 주변을 "ㄷ"자 형으로 절개하여 표면 측으로 돌출되는 텐션을 갖도록 구성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텐션돌기는, 양측이 절개되고 그 중앙이 내향 돌출되어서 베이스레일의 표면에 밀착하여, 베이스플레이트가 외향탄지하도록 베이스플레이트와 일체로 구성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그립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은 물론,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였기에 충전이 용이 함과 동시에, 그립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중 그립의 위치가 바뀌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그립을 구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가 힌지점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회동하는 절첩식으로 구성하여 스마트폰 거치대로 사용하도록 함은 물론, 사용자의 텃치위치의 조절이 자유롭도록 하여 스마트폰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개발된 신규한 효과를 창출한다.
도1은 본 발명의 구성상태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성상태 예시도.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인 도2의 구성을 예시한 측면 측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인 도2의 요부 발췌 전개도.
도5는 본발명의 요부 구성상태를 예시한 확대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마트폰(100) 뒷판이나 스마트폰(100) 케이스에 부착 설치하여 상하 위치를 이동하도록 그립을 구성한 스마트폰용 그립을 구성한 것에 있어서,
상단 양 측에는 지지돌기(11)를 형성하며, 하단 중앙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이탈방지돌기(13)를 형성한 결합버튼(12)을 구성하고, 양 측면에는 레일(15)을 구성하되 레일(14)의 표면 측에 위치를 선택하여 고정하는 스톱홈(16)이 형성된 날개(15)를 레일(14)보다 외향돌출하도록 형성하여, 이면을 상기 스마트폰뒷판이나 스마트폰케이스에 부착하는 베이스레일(10)과;
상기 베이스레일(10)에 결합하도록 양단에 "ㄷ"자 형의 결합레일(21)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레일(21)의 내측에는 상기 스톱홈(16)에 결합하는 스톱돌기(22)를 형성하고, 적어도 1개이상의 텐션돌기(23)를 일체로 구성한 베이스플레이트(20)로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에 공지의 그립(50)을 결합설치하여 스마트폰용 멀티그립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레일(10)의 이탈방지돌기(13)를 형성한 결합버튼(12)은, 주변을 "ㄷ"자 형으로 절개하여 표면 측으로 돌출되는 텐션을 갖도록 구성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의 텐션돌기(23)는, 양측이 절개되고 그 중앙이 내향 돌출되어서 베이스레일(10)의 표면에 밀착하여, 베이스플레이트(20)가 외향탄지하도록 베이스플레이트(20)와 일체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의 양측에 제1힌지부(24)와 제2힌지부(25)를 형성하고, 제1힌지부(24)에는 그립(50)이 구성된 그립플레이트(30)를 절첩가능하도록 결합하며, 제2힌지부(25)에는 중앙에 절첩부(41)를 형성하여 절반을 일방향으로만 절첩하도록 구성한 절첩플레이트(40)를 토션스프링(45)에 의하여 펼쳐지도록 결합하여 절첩플레이트(40)의 자유단을 상기 그립플레이트(30)의 단부와 힌지결합하여서 제3힌지부(31)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는, 절첩플레이트(40)가 결합되는 제2힌지부(25) 측에 그립플레이트(30)를 고정하는 고정후크(26)를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스마트폰(100) 뒷판이나 스마트폰(100) 케이스에 부착하는 베이스레일(10)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단 양 측에는 베이스플레이트(20)를 결합하였을 때 베이스플레이트(20)트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지지돌기(11)를 형성하고, 하단 중앙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이탈방지돌기(13)를 형성한 결합버튼(12)을 구성한다.
그리고 양 측면에는 레일(15)을 구성하되 레일(14)의 표면 측에 위치를 선택하여 고정하는 스톱홈(16)이 형성된 날개(15)를 레일(14)보다 외향돌출하도록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레일(10)에 결합하는 베이스플레이트(20)는 양단에 "ㄷ"자 형의 결합레일(21)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레일(21)의 내측에는 상기 스톱홈(16)에 결합하는 스톱돌기(22)를 형성하고, 적어도 1개이상의 텐션돌기(23)를 일체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레일(10)의 이탈방지돌기(13)를 형성한 결합버튼(12)은, 주변을 "ㄷ"자 형으로 절개하여 표면 측으로 돌출되는 텐션을 갖도록 구성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의 텐션돌기(23)는, 양측이 절개되고 그 중앙이 내향 돌출되어서 베이스레일(10)의 표면에 밀착하여, 베이스플레이트(20)가 외향탄지하도록 베이스플레이트(20)와 일체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에 텐션돌기(23)를 일체로 구성하는 대신 별도의 스프링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상기 베이스레일(10)의 날개(15)에 스톱홈(16) 대신 일정간격으로 스톱공을 형성하고 베이스플레이트(20)의 결합레일(21)에 상기 스톱공에 결합하는 스톱돌기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구성한 베이스플레이트(20)에 공지의 그립(50)을 결합설치한 다음, 상기 베이스레일(10)의 이탈방지돌기(13)를 형성한 결합버튼(12)을 누르고 베이스플레이트(20)의 결합레일(21)이 베이스레일(10)의 날개(15)를 감싸도록 결합하면, 베이스플레이트(20)의 텐션돌기(23)가 베이스레일(10)의 표면에 밀착하면서 베이스플레이트(20)가 외향탄지되어 자유상태에서는 베이스플레이트(20)의 스톱돌기(22)가 베이스레일(10)의 스톱홈(16)에 결합하여 위치가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그립(50)의 위치를 이동하려면 베이스플레이트(20)를 눌러서 스톱돌기(22)를 베이스레일(10)의 스톱홈(16)으로 부터 해지하여 밀어서 원하는 위치에서 베이스플레이트(20)를 눌렀던 힘을 제거하면 베이스플레이트(20)의 스톱돌기(22)가 베이스레일(10)의 스톱홈(16)에 결합하여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베이스레일(10)에 결합된 베이스플레이트(20)는 이탈방지돌기(13)에 구속되어 결합버튼(12)을 조작하지 않는한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멀티그립을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상기 결합버턴(12)을 조작하여 베이스플레이트(20)를 베이스레일(10)로부터 분리하여 그립을 별도로 보관하면 될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의 양측에 제1힌지부(24)와 제2힌지부(25)를 형성하고, 제1힌지부(24)에는 그립(50)이 구성된 그립플레이트(30)를 절첩가능하도록 결합하며, 제2힌지부(25)에는 중앙에 절첩부(41)를 형성하여 절반을 일방향으로만 절첩하도록 구성한 절첩플레이트(40)를 토션스프링(45)에 의하여 펼쳐지도록 구성하고, 절첩플레이트(40)의 자유단을 상기 그립플레이트(30)의 단부와 힌지결합하여서 제3힌지부(31)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는, 절첩플레이트(40)가 결합되는 제2힌지부(25) 측에 그립플레이트(30)를 고정하는 고정후크(26)를 구성하여야 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상태에서는 그립플레이트(30)를 구속하고 있는 고정후크(26)를 해지하면, 토션스프링(45)의 탄발력으로 베이스플레이트(20)의 제2힌지점(25)을 기준으로 절첩플레이트(40)가 펼쳐지면서 제1힌지점(24)을 기준으로 그립플레이트(30)가 펼쳐져서 그립(50)이 스마트폰의 측방향으로 위치를 이동하면서 스마트폰의 텃치위치를 변경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베이스플레이트(20)와 그립플레이트(30), 절첩플레이트(40)는 삼각통을 형성하며, 이때 절첩플레이트(40)의 절첩부(41)는 적어도 181°이상 펼쳐져서 바깥쪽으로 팽출되어 외력으로 절첩부를 안쪽으로 밀어서 접지 않는 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그립플레이트(30)의 회동으로 스마트폰 패널의 터치위치를 확보할 수 있어 사용에 편리할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거치대로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10: 베이스레일 11: 지지돌기 12: 결합버턴
13: 이탈방지돌기 14: 레일 15: 날개
16: 스톱홈
20: 베이스플레이트 21: 결합레일 22: 스톱돌기
23: 텐센돌기 24: 제1힌지부 25: 제2힌지부
26: 고정후크
30: 그립플레이트 31: 제3힌지부
40: 절첩플레이트 41: 절첩부 45: 토션스프링
50: 그립 100: 스마트폰

Claims (5)

  1. 스마트폰뒷판이나 스마트폰케이스에 부착 설치하여 상하 위치를 이동하도록 그립을 구성한 스마트폰용 그립을 구성한 것에 있어서,
    상단 양 측에는 지지돌기(11)를 형성하며, 하단 중앙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이탈방지돌기(13)를 형성한 결합버튼(12)을 구성하고, 양 측면에는 레일(15)을 구성하되 레일(14)의 표면 측에 위치를 선택하여 고정하는 스톱홈(16)이 형성된 날개(15)를 레일(14)보다 외향돌출하도록 형성하여, 이면을 상기 스마트폰뒷판이나 스마트폰케이스에 부착하는 베이스레일(10)과;
    상기 베이스레일(10)에 결합하도록 양단에 "ㄷ"자 형의 결합레일(21)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레일(21)의 내측에는 상기 스톱홈(16)에 결합하는 스톱돌기(22)를 형성하고, 적어도 1개이상의 텐션돌기(23)를 일체로 구성한 베이스플레이트(20)로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에 공지의 그립(50)을 결합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멀티그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의 양측에 제1힌지부(24)와 제2힌지부(25)를 형성하고, 제1힌지부(24)에는 그립(50)이 구성된 그립플레이트(30)를 절첩가능하도록 결합하며, 제2힌지부(25)에는 중앙에 절첩부(41)를 형성하여 절반을 일방향으로만 절첩하도록 구성한 절첩플레이트(40)를 토션스프링(45)에 의하여 펼쳐지도록 결합하여 절첩플레이트(40)의 자유단을 상기 그립플레이트(30)의 단부와 힌지결합하여서 제3힌지부(31)를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스마트폰용 멀티그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는, 절첩플레이트(40)가 결합되는 제2힌지부(25) 측에 그립플레이트(30)를 고정하는 고정후크(26)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멀티그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레일(10)의 이탈방지돌기(13)를 형성한 결합버튼(12)은, 주변을 "ㄷ"자 형으로 절개하여 표면 측으로 돌출되는 텐션을 갖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스마트폰용 멀티그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의 텐션돌기(23)는, 양측이 절개되고 그 중앙이 내향 돌출되어서 베이스레일(10)의 표면에 밀착하여, 베이스플레이트(20)가 외향탄지하도록 베이스플레이트(20)와 일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스마트폰용 멀티그립.
KR1020210110545A 2021-08-20 2021-08-20 스마트폰용 멀티그립 KR102421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545A KR102421882B1 (ko) 2021-08-20 2021-08-20 스마트폰용 멀티그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545A KR102421882B1 (ko) 2021-08-20 2021-08-20 스마트폰용 멀티그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1882B1 true KR102421882B1 (ko) 2022-07-15

Family

ID=82400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545A KR102421882B1 (ko) 2021-08-20 2021-08-20 스마트폰용 멀티그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882B1 (ko)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879Y1 (ko) * 2004-10-05 2004-12-17 팅크웨어(주)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및 거치대의 힌지 구조
KR20100071800A (ko) * 2008-12-19 2010-06-29 (주)엘티엠에이피 휴대통신단말기용 스탠드조립체
KR20130131540A (ko) 2012-05-24 2013-12-04 박인 천정선회크레인 가다의 레일하중 받침과 주변 장치
KR20140122163A (ko) 2013-10-17 2014-10-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 장비 테스트 장치 및 방법
KR20170083333A (ko) * 2016-01-08 2017-07-18 (주)에이프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KR20180054065A (ko) 2016-11-14 2018-05-24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게임일기제공장치 및 게임일기제공방법
KR20190004251A (ko) 2018-12-28 2019-01-11 정민시 냄새차단 기능이 구비된 그레이팅
KR101987581B1 (ko) * 2018-03-05 2019-06-10 이기만 스마트폰 거치대
KR102005904B1 (ko) * 2019-05-10 2019-07-31 민소영 촬영용 거치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KR20200010400A (ko) 2017-06-21 2020-01-30 니뽄 도쿠슈 도교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화학 셀 및 전기 화학 스택
KR20200001286U (ko) 2018-12-10 2020-06-18 주식회사 세진 원적외선 방사 온열 찜질기
KR20200076110A (ko) 2018-12-19 2020-06-29 주식회사 팬라인 공공 데이터 api를 활용한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
KR102275164B1 (ko) * 2020-02-18 2021-07-08 아이앤플러스 주식회사 휴대폰 케이스용 링홀더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879Y1 (ko) * 2004-10-05 2004-12-17 팅크웨어(주)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및 거치대의 힌지 구조
KR20100071800A (ko) * 2008-12-19 2010-06-29 (주)엘티엠에이피 휴대통신단말기용 스탠드조립체
KR20130131540A (ko) 2012-05-24 2013-12-04 박인 천정선회크레인 가다의 레일하중 받침과 주변 장치
KR20140122163A (ko) 2013-10-17 2014-10-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 장비 테스트 장치 및 방법
KR20170083333A (ko) * 2016-01-08 2017-07-18 (주)에이프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KR20180054065A (ko) 2016-11-14 2018-05-24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게임일기제공장치 및 게임일기제공방법
KR20200010400A (ko) 2017-06-21 2020-01-30 니뽄 도쿠슈 도교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화학 셀 및 전기 화학 스택
KR101987581B1 (ko) * 2018-03-05 2019-06-10 이기만 스마트폰 거치대
KR20200001286U (ko) 2018-12-10 2020-06-18 주식회사 세진 원적외선 방사 온열 찜질기
KR20200076110A (ko) 2018-12-19 2020-06-29 주식회사 팬라인 공공 데이터 api를 활용한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
KR20190004251A (ko) 2018-12-28 2019-01-11 정민시 냄새차단 기능이 구비된 그레이팅
KR102005904B1 (ko) * 2019-05-10 2019-07-31 민소영 촬영용 거치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KR102275164B1 (ko) * 2020-02-18 2021-07-08 아이앤플러스 주식회사 휴대폰 케이스용 링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58906B2 (ja) 自動オープン式折り畳み携帯電話機
US6934568B2 (en) Extending hinged flip apparatus for a communication device
EP3514659A1 (en) Extending socket for portable media player
KR101392562B1 (ko) 교체형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US20050137000A1 (en) Rotatable latching device for a housing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544093B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CN217935681U (zh) 一种折叠手机壳
CN203377922U (zh) 一种带支架的手机保护壳
KR102421882B1 (ko) 스마트폰용 멀티그립
CN210670185U (zh) 单手操作装置、自拍杆、手机支架、车载支架和移动电源
CN209881455U (zh) 一种基于tws蓝牙耳机充电盒设有多档式手机支撑软胶带
CN209991187U (zh) 自拍杆
KR20230091718A (ko) 돋보기가 구비된 휴대폰용 그립톡
KR101946952B1 (ko) 휴대폰 케이스
KR102025187B1 (ko)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
KR200452288Y1 (ko) 핸드폰 거치대
KR101004408B1 (ko) 휴대 단말기용 자동 힌지장치
KR20160107940A (ko) 단일면 폴딩장치
CN113302427A (zh) 用于可折叠电子设备的抓握部
KR20190129429A (ko) 사진 및 향기 캡슐의 장착이 가능한 휴대폰용 그립 거치대
CN212745705U (zh) 辅助支架及辅助支撑装置
CN211429370U (zh) 一种能够收纳蓝牙耳机的手机支架
CN220730963U (zh) 一种部分环状蓝牙控制装置及摄影摄像辅助设备
CN216490649U (zh) 一种自带支架功能的手机保护壳
CN210567426U (zh) 一种徽章式多功能移动终端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