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411B1 - 옥시라세탐을 포함하는 근이영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옥시라세탐을 포함하는 근이영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411B1
KR102421411B1 KR1020210146501A KR20210146501A KR102421411B1 KR 102421411 B1 KR102421411 B1 KR 102421411B1 KR 1020210146501 A KR1020210146501 A KR 1020210146501A KR 20210146501 A KR20210146501 A KR 20210146501A KR 102421411 B1 KR102421411 B1 KR 102421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cular dystrophy
oxiracetam
muscle
pres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6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경
정승효
이경진
김수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스비튜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스비튜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스비튜젠
Priority to KR1020210146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411B1/ko
Priority to US18/020,320 priority patent/US20240050406A1/en
Priority to JP2024509292A priority patent/JP2024516750A/ja
Priority to EP22796090.3A priority patent/EP4331579A1/en
Priority to PCT/KR2022/005916 priority patent/WO202223125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piracetam, ethosuximid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61P2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for myasthenia grav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regeneration or building of ligaments o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시라세탐의 새로운 용도에 관한 것으로, 옥시라세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이영양증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듀센형 근이영양증 동물모델에서 근육의 가성비대화(Pseudohypertrophy)를 억제하고, 근육량을 증가시키고, 지방축적을 억제하며, 근육의 크기, 근력, 근기능 및 근육의 움직임을 향상시키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옥시라세탐은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한 근이영양증의 골격근 약화, 근육 단백질 결핍, 근력약화, 근육 소실 등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설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약품, 식품, 화장품 또는 사료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옥시라세탐을 포함하는 근이영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uscular Dystrophy comprising Oxiracetam}
본 발명은 옥시라세탐(Oxiracetam)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MD)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근이영양증은 유전자 변이에 의해 야기되는 유전성 근육질환으로, 노화로 인해 야기되는 근감소증(Sarcopenia); 및 활동저하, 탈신경, 영양결핍, 스테로이드로 인해 유발되는 근위축과는 다른 질환이다.
근이영양증 중에서 X 염색체 상의 디스트로핀 유전자의 변이에 의해 야기되는 것에는, 듀센형 근이영양증(DUCHENNE muscular dystrophy: DMD)과 경도 타입인 베커형 근이영양증(BECKER muscular dystrophy: BMD)이 포함된다. 상기 듀센형 근이영양증은 진행성 근이영양증 중에서 가장 빈도가 높은 질환으로, 주로 2~4세 남아에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디스트로핀은 전장 2.2 Mbp(base pairs)에 달하는 거대 유전자로 염색체 Xp21.2과 Xp21.1 사이에 존재하나 디스트로핀 단백으로 번역되는 부분은 11 kbp에 지나지 않는다. 근육형 디스트로핀은 근육막 직하에 존재하며, 세포골격과 세포외기질을 연결하는 디스트로핀 연관 당단백 복합체(dystrophin-associated glycoprotein complex)의 핵심 단백으로 근수축에 의한 근육세포막의 손상에 관여한다.
듀센형 근이영양증은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90% 이상의 환자가 12세 이전에 걷기 기능을 상실하며, 18세 이후에는 심근 기능 장애로 인한 심부전, 심전도 이상이 발견된다. 대부분의 환자는 구간근 위축, 척추와 흉곽 변형으로 인한 호흡장애로 30세 이전에 사망하게 된다.
현재까지도 근이영양증에 대한 유효한 약물이 없고, 스테로이드 투여와 같은 대증 요법만이 존재한다. 스테로이드 투여는 보행기간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진행을 정지시키거나 역전시킬 수는 없으며, 장기간 복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외에 유전자 치료제가 개발되었으나, 엑손 스키핑 유전자 치료가 가능한 환자는 약 10~13%에 불과하고 매주 피하 또는 정맥내 투여가 요구되며 심근세포에 대한 침투가 원활하지 않아 심근병의 치료를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고, 넌센스 돌연변이 치료제도 사용가능한 환자가 극히 소수(약 11~14%)에 불과하다는 문제가 있다. 바이러스를 이용한 유전자 치료는, 디스트로핀 유전자의 크기(cDNA 길이가 약 14 kb)가 벡터에서의 용량을 초과하여 전달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디스트로핀 중간부 24개의 막대 반복 구조 중 4개만을 남긴 마이크로 디스트로핀이 개발되었으나, AAV 벡터로 인한 면역반응 부작용이 나타나거나 디스트로핀의 발현이 매우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근이영양증을 치료하기 위해 보다 근본적이며 부작용이 없는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93954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근이영양증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가지며 안전하게 적용될 수 있는 물질을 탐색한 결과, 락탐계열(Ractam family)의 누트로픽(Nootropic)인 옥시라세탐(Oxiracetam)이 근이영양증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옥시라세탐(Oxiracetam)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이영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옥시라세탐(Oxiracetam)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이영양증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옥시라세탐(Oxiracetam),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이영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옥시라세탐(Oxiracetam),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옥시라세탐(Oxiracetam),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이영양증 개선 또는 예방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근이영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제조를 위한 옥시라세탐(Oxiracetam),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근이영양증 환자에게 옥시라세탐(Oxiracetam),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근이영양증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옥시라세탐은 듀센형 근이영양증 동물모델에서 근육의 가성비대화(Pseudohypertrophy)를 억제하고, 근육량을 증가시키고, 지방축적을 억제하며, 근육의 크기, 근력, 근기능 및 근육의 움직임을 향상시키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옥시라세탐은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한 근이영양증의 골격근 약화, 근육 단백질 결핍, 근력약화, 근육 소실 등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설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약품, 식품 또는 사료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험군(Oxiracetam)과 대조군(Vehicle)의 덱사메트리(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로 체지방(fat)의 분포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실험군(Oxiracetam)과 대조군(Vehicle)에서의 전체 제지방(Lean Body Mass)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험군(Oxiracetam)과 대조군(Vehicle)에서의 체지방량(fat, %)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실험군(Oxiracetam)과 대조군(Vehicle)을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법으로 측정한 사진이다.
도 5는 실험군(Oxiracetam)과 대조군(Vehicle)의 앞정강이 전경골(Tibialis Anteriors, TA)에 대한 전체 제지방(lean body mass)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실험군(Oxiracetam)과 대조군(Vehicle)의 장딴지근(Gastrocnemius Muscle, GS)에 대한 전체 제지방(lean body mass)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실험군(Oxiracetam)과 대조군(Vehicle)에서 악력(Grip Strength)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결과 그래프이다.
도 8은 실험군(Oxiracetam)과 대조군(Vehicle)에서 체중(Body Weight)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결과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옥시라세탐(Oxiracetam),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이영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옥시라세탐(Oxiracetam),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이영양증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또는 옥시라세탐(Oxiracetam),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이영양증 개선 또는 예방용 사료 첨가제; 또는 옥시라세탐(Oxiracetam),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을 인간, 또는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에 적용하는 것을 함유하는 근이영양증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옥시라세탐은 락탐계열(Ractam family)의 누트로픽(Nootropic)으로, Cas No.는 62613-82-5이고, 분자식은 C6H10N2O3, 분자량은 158.155 g/mol 이며, 구조는 하기 화학식 1과 같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옥시라세탐과 동일 또는 유사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범위의 이성질체, 수화물 또는 유도체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옥시라세탐의 IUPAC 명칭은 (RS)-2-(4-hydroxy-2-oxopyrrolidin-1-yl)acetamide이다. 옥시라세탐은 흰색의 고체이다. 상기 옥시라세탐의 수득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옥시라세탐은 공지된 제법을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1124627100-pat00001
본 발명에서, 누트로픽(Nootropic)은 건강한 개인에게 인지 기능, 실행 기능, 기억력 등을 개선하는 약물, 보충제 및 기타를 일컫는 단어이다. 라세탐(Racetam)은 일반적으로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글루타메이트(Glutamate)를 포함한 중추 신경 전달 물질의 조절이 보고되어있고, 글루타메이트 수용체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간주된다. 피라세탐(Piracetam)의 유도체로 알려진 옥시라세탐(Oxiracetam)은 고용량을 장기간 섭취해도 안전한 물질로 알려져 있고, 혈액-뇌 장벽을 쉽게 통과하고 선택적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억장애, 인지장애, 뇌 혈관 질환 및 다경색치매 치료에 사용되어지고 있으나, 유전성 근육질환인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특히 듀센형 근이영양증(Duchenne Muscular Dystrophy, DMD)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근이영양증, 특히 듀센형 근이영양증의 경우 특정 유전자 변이를 원인으로 발병하는 것으로, 생리적, 물리적 변화로 인한 일반적인 근육질환과 명확하게 구별된다. 근이영양증에 대한 치료법으로는 DMD 치료 가이드라인으로 프리드니손(Prednisone), 디플라자코트(Deflazacort)와 같은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표준치료(Corticosteroid Therapy) 방법이 있으나, 증상의 지연만 나타낼 뿐 완전한 치료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다른 근육질환에서 상기 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치료제로 거의 사용되지 않는데, 상기 코르티코스테로이드가 근섬유의 쇠약과 위축에 의한 근병증을 유도하는 부작용이 있으며, 스테로이드의 용량은 그 영향이 크지 않으나, 악액질, 환자의 영양상태가 나쁘거나, 다발 근영과 같은 다른 근육질환이 있는 경우에 근병증이 더 잘 유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이렇듯 본 발명의 근이영양증 특히 듀센형 근이영양증은 병리기전 뿐만 아니라 치료약물에서도 다른 근육질환과 차이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듀센형 근이영양증에 의해 근감소증이 유발된 동물모델에서 옥시라세탐(Oxiracetam)을 경구 투여하여, 근육의 크기, 근력 및 근육의 움직임 등을 평가한 결과, 옥시라세탐(Oxiracetam)의 경구 투여에 의한 근이영양증의 개선 또는 예방 또는 치료 효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근이영양증을 예방 또는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듀센형 근이영양증을 예방 또는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다.
상기 근이영양증은 듀센형 근이영양증(Duchenne muscular dystrophy), 베커형 근이영양증(Becker muscular dystrophy), 에머리-드레이푸스 근이영양증(Emery-Dreifuss Muscular Dystrophy), 안면견갑상완형 근이영양증(Facioscapulohumeral Muscular Dystrophy), 지대형 근이영양증(Llimb-GirdleMuscular Dystrophy), 1형 근육긴장퇴행위축(Myotonic Dystrophy) 및 2형 근육긴장퇴행위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듀센형 근이영양증(Duchenne muscular dystrophy)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예방'은, 상기 근이영양증의 발병과 증상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치료'란, 상기 근이영양증으로 인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개선'은 어떤 증상, 질병 또는 병증 상태를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일예로 근이영양증에 의한 근육의 가성비대화(Pseudohypertrophy)를 억제하고, 근육량을 증가시키고, 지방축적을 억제하며, 근육의 크기, 근력, 근기능 및 근육의 움직임을 향상시키는 등의 증상을 호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옥시라세탐(Oxiracetam)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또는 만델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상기 옥시라세탐을 과량의 산 수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동량의 옥시라세탐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코올을 가열하고, 이어서 이 혼합물을 증발시켜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입 여과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silver salt)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은염(silver salt)(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의 옥시라세탐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뿐만 아니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모든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옥시라세탐을 수혼화성 유기용매, 예를 들면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또는 아세토니트릴 등에 녹이고 과량의 유기산을 가하거나 무기산의 산 수용액을 가한 후 침전시키거나 결정화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이 혼합물에서 용매나 과량의 산을 증발시킨 후 건조시켜서 부가염을 얻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화물(hydrate)'은 비공유적 분자간력(non-covalent intermolecμLar force)에 의해 결합된 화학양론적(stoichiometric) 또는 비화학양론적(non-stoichiometric) 량의 물을 포함하고 있는 본 발명의 옥시라세탐 또는 그것의 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옥시라세탐의 수화물은 비공유적 분자간 힘으로 결합되는 화학양론적 또는 비화학양론적 양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화물은 1당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 당량 내지 5당량의 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수화물은 물 또는 물을 함유하는 용매로부터 본 발명의 상기 옥시라세탐,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결정화시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매화물(solvate)'은 비공유적 분자간력에 의해 결합된 화학양론적 또는 비화학양론적 양의 용매를 포함하고 있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염을 의미한다. 그에 관한 바람직한 용매들로는 휘발성, 비독성, 및/또는 인간에게 투여되기에 적합한 용매들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성질체(isomer)'는 동일한 화학식 또는 분자식을 가지지만 구조적 또는 입체적으로 다른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염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성질체에는 호변이성질체(tautomer) 등의 구조 이성질체와, 비대칭 탄소 중심을 가지는 R 또는 S 이성체, 기하이성질체(트랜스, 시스) 등의 입체 이성질체, 광학 이성질체(enantiomer)가 모두 포함된다. 이들 모든 이성체 및 그것의 혼합물들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 '약학 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은 유효성분으로 옥시라세탐(Oxiracetam)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외에, 약학 조성물 등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화합물의 부가를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이다. 상기 '희석제'는 대상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형태를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화합물을 용해시키게 되는 물에서 희석되는 화합물이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이온교환수지, 알루미나,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레시틴, 혈청 단백질(예, 사람 혈청 알부민), 완충물질(예, 각종 인산염, 글리신, 소르브산, 칼륨 소르베이트, 포화 식물성 지방산의 부분적인 글리세라이드 혼합물), 물, 염, 전해질(예, 프로타민 설페이트, 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수소캄륨, 염화나트륨 및 아연 염), 교질성 실리카, 마그네슘 트리실리케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아릴레이트, 왁스, 양모지 및 광물유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약학 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한스 용액(Hank's solution), 링거 용액(Ringer's solutio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의 투여 경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강,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이 포함된다. 경구 또는 비경구 투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비경구"는 피하, 피내, 정맥내, 근육내, 관절내, 활액낭내, 흉골내, 경막내, 병소내 및 두개골내 주사 또는 주입기술을 포함하며, 직장 투여를 위한 좌제의 형태로도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 투여용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 할 수 있다. 제형화할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완충제(예를 들어, 식염수 또는 PBS), 항산화제, 정균제, 킬레이트화제(예를 들어, EDTA 또는 글루타치온),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아쥬반트(예를 들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현탁제, 농후제 습윤제, 붕해제 또는 계면활성제,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액제, 겔제, 시럽제, 슬러리제, 현탁액 또는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감자 전분 등 포함),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덱스트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예컨대, 활성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 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또는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또는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으며,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적합한 비경구용 담체와 함께 주사제, 경피 투여제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주사제의 경우에는 반드시 멸균되어야 하며 박테리아 및 진균과 같은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주사제의 경우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이들의 혼합물 및/또는 식물유를 함유하는 용매 또는 분산매질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담체로는 행크스 용액,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또는 주사용 멸균수, 10% 에탄올, 40% 프로필렌 글리콜 및 5% 덱스트로즈와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를 미생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빈산, 티메로살 등과 같은 다양한 항균제 및 항진균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제는 대부분의 경우 당 또는 나트륨 클로라이드와 같은 등장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의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가 포함된다. 상기에서 '경피 투여'는 약학 조성물을 국소적으로 피부에 투여하여 약학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한 양의 활성성분이 피부 내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흡입 투여제의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화합물은 적합한 추진제, 예를 들면,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또는 다른 적합한 기체를 사용하여, 가압 팩 또는 연무기로부터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편리하게 전달 할 수 있다. 가압 에어로졸의 경우, 투약 단위는 계량된 양을 전달하는 밸브를 제공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입기 또는 취입기에 사용되는 젤라틴 캡슐 및 카트리지는 화합물, 및 락토즈 또는 전분과 같은 적합한 분말 기제의 분말 혼합물을 함유하도록 제형화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th Edition, 197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 18042, Chapter 87: Blaug, Seymour)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의 사용량은 환자 또는 치료대상 동물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치료대상 개체의 상태, 치료 대상 질환의 특정한 카테고리 또는 종류, 투여 경로, 사용되는 치료제의 속성에 의존적일 것이다.
상기 약학 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배설속도, 환자 또는 치료대상 동물의 연령 및 체중,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병의 중증정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나, 일반적으로 1일 0.1 내지 1,000 mg/kg,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0 mg/kg,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0 mg/kg,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형화된 단위 투여형 제제는 필요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수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 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은 개별적으로 예방제 또는 치료제로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상기 근이영양증의 치료방법은 인간, 또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 특히 포유동물에게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경구 투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이영양증을 가진 치료대상 개체에게 상기 조성물을 경구 투여하는 것이다.
상기 근이영양증을 가진 치료대상 개체 여부는, 전술한 유전적 변이에 의한 근기능 저하, 근육 감소, 근육 위축, 근육 소모 또는 근육 퇴화된 경우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진행성 근이영양증에 의해 발생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듀센형 근이영양증(Duchenne muscular dystrophy), 베커형 근이영양증(Becker muscular dystrophy), 에머리-드레이푸스 근이영양증(Emery-Dreifuss Muscular Dystrophy), 안면견갑상완형 근이영양증(Facioscapulohumeral Muscular Dystrophy), 지대형 근이영양증(Llimb-GirdleMuscular Dystrophy), 1형 근육긴장퇴행위축(Myotonic Dystrophy) 및 2형 근육긴장퇴행위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듀센형 근이영양증(Duchenne muscular dystrophy)을 앓고 있는 경우일 수 있다.
상기 치료를 위한 투여량, 투여 방법 및 투여 횟수는 상기 약학 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의 투여량, 투여 방법 및 투여 횟수를 참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옥시라세탐(Oxiracetam),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이영양증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근이영양증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인 경우, 유전자 변이로 인안 근이영양증의 개선 또는 예방에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질환의 예로는 듀센형 근이영양증(Duchenne muscular dystrophy), 베커형 근이영양증(Becker muscular dystrophy), 에머리-드레이푸스 근이영양증(Emery-Dreifuss Muscular Dystrophy), 안면견갑상완형 근이영양증(Facioscapulohumeral Muscular Dystrophy), 지대형 근이영양증(Llimb-GirdleMuscular Dystrophy), 1형 근육긴장퇴행위축(Myotonic Dystrophy) 및 2형 근육긴장퇴행위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들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듀센형 근이영양증(Duchenne muscular dystrophy)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기능식품(health function food),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및 사료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하며, 인간 또는 가축을 비롯한 동물을 취식대상으로 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일반 식품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 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이트,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 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옥시라세탐(Oxiracetam)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영양보조제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캡슐, 타블렛, 환 등에 옥시라세탐(Oxiracetam)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옥시라세탐(Oxiracetam) 자체를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건강음료)할 수 있도록 액상화,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옥시라세탐(Oxiracetam)을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옥시라세탐(Oxiracetam)과 근이영양증 예방 및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이영양증 개선 및 예방용 조성물이 건강음료 조성물로 이용되는 경우, 상기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monosaccharide);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disaccharide);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sugar alcohol)일 수 있다. 감미제는 타우마틴(thaumatin), 스테비아(stevia)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 사카린(saccharin), 아스파탐(aspartame)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5.0g, 바람직하게는 약 0.1~1.0g이다.
옥시라세탐(Oxiracetam)은 근이영양증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함유될 수 있는데, 그 양은 근이영양증 개선 또는 예방용 작용을 달성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옥시라세탐(Oxiracetam)과 함께 근이영양증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근이영양증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사료첨가제 또는 이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첨가제'는 영양소 보충 및 체중감소 예방, 사료 내 섬유소의 소화 이용성 증진, 유질개선, 번식장애 예방 및 수태율 향상, 하절기 고온 스트레스 예방 등 다양한 효과를 목적으로 사료에 첨가하는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는 사료관리법상의 보조사료에 해당하며, 탄산수소나트륨, 벤토나이트(bentonite), 산화마그네슘, 복합광물질 등의 광물질제제, 아연, 구리, 코발트, 셀레늄 등의 미량 광물질인 미네랄제제, 케로틴, 비타민 A D, E, 니코틴산, 비타민 B 복합체 등의 비타민제, 메티오닌, 라이신 등의 보호아미노산제, 지방산 칼슘염 등의 보호지방산제, 생균제(유산균제), 효모배양물, 곰팡이 발효물 등의 생균, 효모제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는,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으로, 본 발명에 따른 근육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사료로 제조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농후 사료, 조사료 및/또는 특수사료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농후사료에는 밀, 귀리, 옥수수 등의 곡류를 포함하는 종자열매류, 곡물을 정제하고 얻는 부산물로서 쌀겨, 밀기울, 보릿겨 등을 포함하는 겨류, 콩, 유체, 깨, 아마인, 코코야자 등을 채유하고 얻는 부산물인 깻묵류와 고구마, 감자 등에서 녹말을 뺀 나머지인 녹말찌꺼기의 주성분인 잔존녹말질류 등의 찌꺼기류, 어분, 물고기찌꺼기, 어류에서 얻은 신선한 액상물(液狀物)을 농축시킨 것인 피시솔루블(fish soluble), 육분(肉粉), 혈분, 우모분, 탈지분유, 우유에서 치즈, 탈지유에서 카제인을 제조할 때의 잔액인 훼이(whey)를 건조한 건조훼이 등의 동물질사료, 효모, 클로렐라, 해조류가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조사료에는 야초, 목초, 풋베기 등의 생초(生草)사료, 사료용 순무, 사료용 비트, 순무의 일종인 루터베어거 등의 뿌리채소류, 생초, 풋베기작물, 곡실(穀實) 등을 사일로에 채워 놓고 젖산발효시킨 저장사료인 사일리지(silage), 야초, 목초를 베어 건조시킨 건초, 종축용(種畜用) 작물의 짚, 콩과 식물의 나뭇잎이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수사료에는 굴껍데기, 암염 등의 미네랄 사료, 요소나 그 유도체인 디우레이드이소부탄 등의 요소사료, 천연사료원료만을 배합했을 때 부족하기 쉬운 성분을 보충하거나, 사료의 저장성을 높이기 위해서 배합사료에 미량으로 첨가하는 물질인 사료첨가물, 식이보조제가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근이영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사료 제조방법에 따라 적절한 유효 농도 범위에서 옥시라세탐을 첨가하여 제조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는 근이영양증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개체이면 제한 없이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소, 말, 돼지, 염소, 양, 개, 고양이, 토끼 등과 같은 비인간동물, 조류 및 어류 등 어느 개체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Tokyo Chemical Industry(일본)(제품번호:O0398, CAS RN:62613-82-5, 순도:96%)의 옥시라세탐(Oxiracetam)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화학식 1]
Figure 112021124627100-pat00002
<시험예>
시험예 1. 듀센형 동물모델에서 옥시라세탐(Oxiracetam)의 제지방 증가 효과
1-1. 동물의 사육
실험동물로 생후 23주된 수컷쥐(C57BL/10 ScSn-Dmdmdx/J)를 THE JACKSON LABORATORY(USA)로부터 구입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모든 동물의 사육실 환경은 온도 23 ± 2℃, 상대습도 55 ± 10%로 유지시켰다. 실험 시작 전, 총 20마리의 쥐를 무작위로 1군당 10마리가 되도록 나누었다.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실시예 1의 옥시라세탐(Oxiracetam) 30 mg/kg을 매일 35일간 경구투여하였다(실험군, Oxiracetam). 이 때, 대조군(Vehicle)은 시료 대신에 식염수로 경구투여를 실시하였다.
1-2. 통계
실험의 통계분석을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사용하여 그룹 간 평균수치 유의차를 확인하였으며, 0.05보다 낮은 p 값을 가질 경우에는 *, 0.01보다 낮은 p 값을 가질 경우에는 **, 0.001보다 낮은 p 값을 가질 경우에는 ***로,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경우 N.S로 유의적 차이를 표기하였다. 에러바는 S.E.M을 나타낸다.
1-3. 옥시라세탐의 제지방 향상, 지방 감소 효과 확인
경구 투여 첫날(0일)부터 7일마다 덱사메트리(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를 이용해 전체 제지방(lean body mass)과 체지방량(fat, %)을 측정하였다.
도 1은 실험군(Oxiracetam)과 대조군(Vehicle)의 덱사메트리(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로 촬영한 사진이고, 도 2는 실험군(Oxiracetam)과 대조군(Vehicle)에서의 전체 제지방(Lean Body Mass)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은 실험군(Oxiracetam)과 대조군(Vehicle)에서의 체지방량(fat, %)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듀센형 근이영양증 동물모델에 옥시라세탐을 처리한 결과 전체 제지방(Lean Body Mass)은 증가하고, 체지방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제지방 증가가 35일째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체지방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조군은 듀센형 근이영양증의 진행에 따라, 섬유위축과 함께 결합 조직의 과잉성장 및 지방축적이 발생하며, 이로 인한 듀센형 근이영양증의 특징적인 징후인 가성비대화(Pseudohypertrophy)가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옥시라세탐이 처리된 실험군의 경우, 근육 감소와 지방 축적을 억제하여 듀센형 근이영양증의 특징적인 징후인 가성비대화(Pseudohypertrophy)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옥시라세탐은 유전적 요인에 의해 발병한 듀센형 근이영양증에서 전체 제지방(Lean Body Mass)의 가성비대화(Pseudohypertrophy)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4. 옥시라세탐의 앞정강이 전경골(Tibialis Anteriors) 치료 효과 확인
경구 투여 첫날(0일)부터 7일마다 이중에너지 덱사메트리(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을 사용하여 앞정강이 전경골(Tibialis Anteriors, TA)의 이차원 이미지를 촬영하고, 프로그램을 통해 ROI(region of interest)를 이용하여 앞정강이 전경골(Tibialis Anteriors, TA)에 대한 전체 제지방(lean body mass)을 측정 및 계산하였다.
도 4는 실험군(Oxiracetam)과 대조군(Vehicle)을 덱사메트리(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로 측정한 사진이고, 도 5는 실험군(Oxiracetam)과 대조군(Vehicle)의 앞정강이 전경골(Tibialis Anteriors, TA)에 대한 전체 제지방(lean body mass)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 및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은 듀센형 근이영양증의 특징적인 증상인 앞정강이 전경골의 제지방(Lean Mass)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옥시라세탐이 처리된 실험군은 앞정강이 전경골의 제지방(Lean Mass)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5. 옥시라세탐(Oxiracetam)의 장딴지근(GS) 치료 효과 확인
경구 투여 첫날(0일)부터 7일마다 덱사메트리(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를 사용하여 장딴지근(Gastrocnemius Muscle, GS)의 이차원 이미지를 촬영하고, 프로그램을 통해 ROI(region of interest)를 이용하여 장딴지근(Gastrocnemius Muscle, GS)에 대한 전체 제지방(lean body mass)을 측정 및 계산하였다.
도 6은 실험군(Oxiracetam)과 대조군(Vehicle)의 장딴지근(Gastrocnemius Muscle, GS)에 대한 전체 제지방(lean body mass)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로, 이에 따르면, 대조군에서는 듀센형 근이영양증의 특징적인 증상인 장딴지근(Gastrocnemius Muscle, GS)에 대한 전체 제지방(lean body mass) 감소가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장딴지근(Gastrocnemius Muscle, GS)의 전체 제지방(lean body mass)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옥시라세탐은 듀센형 근이영양증에 의해 발생하는 장딴지근(Gastrocnemius Muscle, GS)의 전체 제지방(lean body mass) 감소를 현저히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6. 옥시라세탐(Oxiracetam)의 근기능 향상 효과 확인
경구 투여 첫날(0일)부터 2일마다 악력(Grip Strength)을 측정하였다. 악력 측정은 BIOSEB사의 마우스용 악력측정기로 측정하였으며, 힘의 세기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계기판에 부착된 철망 위에 마우스를 올려놓고 꼬리를 잡아 아래쪽으로 끌어내리면서 마우스가 철망을 잡는 힘을 측정하였다. 연속적으로 5회 반복하여 나타난 평균값을 기록하였다.
도 7은 실험군(Oxiracetam)과 대조군(Vehicle)에서 악력(Grip Strength)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결과 그래프이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은 듀센형 근이영양증의 특징적인 증상인 근력, 근기능 약화가 관찰되었다. 반면 실험군은 옥시라세탐의 처리에 의해 근기능의 척도인 악력(Grip Strength)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옥시라세탐은 듀센형 근이영양증에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1-7. 옥시라세탐(Oxiracetam)의 체중 유지 효과 확인
경구 투여 첫날(0일)부터 1일마다 무게(Body Weight)를 측정하여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은 실험군(Oxiracetam)과 대조군(Vehicle)에서 체중(Body Weight)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결과 그래프로, 듀센형 근이영양증이 발병한 모델에 옥시라세탐(Oxiracetam)을 처리할 경우, 체중(Body Weight)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옥시라세탐은 듀센형 근이영양증이 발병한 동물의 신체에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옥시라세탐(Oxiracetam)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품, 식품의 제조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상기 근이영양증 개선, 치료 또는 예방 효과가 우수한 옥시라세탐(Oxiracetam)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조성성분 및 조성비에 따라 제조예 1 내지 2의 의약품, 식품 조성물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제조하였다.
[제조예 1] 의약품
<1-1> 산제
본 발명의 옥시라세탐(Oxiracetam) 50 mg, 결정셀룰로오즈 2 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산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
본 발명의 옥시라세탐(Oxiracetam) 50 mg, 결정셀룰로오즈 4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 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제
본 발명의 옥시라세탐(Oxiracetam) 30 mg, 유청단백질 100 mg, 결정셀룰로오즈 4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6 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식품
<2-1> 건강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옥시라세탐(Oxiracetam) 1000 mg,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ug,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ug,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ug,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ug, 판토텐산 칼슘 0.5 mg,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2-2> 건강음료의 제조
본 발명의 옥시라세탐(Oxiracetam) 10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에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2-3> 츄잉껌
껌 베이스 20 중량%, 설탕 76.9 중량%, 향료 1 중량% 및 물 2 중량%와 본 발명의 옥시라세탐(Oxiracetam) 0.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2-4> 캔디
설탕 60 중량%, 물엿 39.8 중량% 및 향료 0.1 중량%와 본 발명의 옥시라세탐(Oxiracetam) 0.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캔디를 제조하였다.
<2-5> 비스켓
박력 1급 25.59 중량%, 중력 1급 22.22 중량%, 정백당 4.80 중량%, 식염 0.73 중량%, 포도당 0.78 중량%, 팜쇼트닝 11.78 중량%, 암모늄 1.54 중량%, 중조 0.17 중량%, 중아황산나트륨 0.16 중량%, 쌀가루 1.45 중량%, 비타민 B 0.0001 중량%, 밀크향 0.04 중량%, 물 20.6998 중량%, 전지분유 1.16 중량%, 대용분유 0.29 중량%, 제1인산칼슘 0.03 중량%, 살포염 0.29 중량% 및 분무유 7.27 중량%와 본 발명의 옥시라세탐(Oxiracetam) 0.830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비스켓을 제조하였다.

Claims (7)

  1. 옥시라세탐(Oxiracetam),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제지방 근육량을 증가시키고, 체지방을 감소시키며 및 근력 감소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센형 근이영양증(Duchenne muscular dystrophy)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옥시라세탐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이영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1124627100-pat00003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구강,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및 직장 투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이영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옥시라세탐(Oxiracetam),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제지방 근육량을 증가시키고, 체지방을 감소시키며 및 근력 감소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센형 근이영양증(Duchenne muscular dystrophy)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근이영양증은 뒤센형 근이영양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210146501A 2021-04-26 2021-10-29 옥시라세탐을 포함하는 근이영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21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501A KR102421411B1 (ko) 2021-10-29 2021-10-29 옥시라세탐을 포함하는 근이영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8/020,320 US20240050406A1 (en) 2021-04-26 2022-04-26 Composition comprising oxiracetam for preventing or treating muscular disease
JP2024509292A JP2024516750A (ja) 2021-04-26 2022-04-26 オキシラセタムを含む筋肉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EP22796090.3A EP4331579A1 (en) 2021-04-26 2022-04-26 Composition comprising oxiracetam for preventing or treating muscular disease
PCT/KR2022/005916 WO2022231257A1 (ko) 2021-04-26 2022-04-26 옥시라세탐을 포함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501A KR102421411B1 (ko) 2021-10-29 2021-10-29 옥시라세탐을 포함하는 근이영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1411B1 true KR102421411B1 (ko) 2022-07-18

Family

ID=82700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6501A KR102421411B1 (ko) 2021-04-26 2021-10-29 옥시라세탐을 포함하는 근이영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41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3954A (ko) 2018-11-16 2021-07-28 아스텔라스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유트로핀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여 근이영양증을 치료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3954A (ko) 2018-11-16 2021-07-28 아스텔라스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유트로핀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여 근이영양증을 치료하는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uzhen Sun et al. Nerve growth factor in combination with Oxiracetam in the treatment of Hypertensive Cerebral Hemorrhage. Pak J Med Sci, v.34(1), pp.73-77 (2017.12.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524398A (ja) 筋肉疾患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または筋機能改善用組成物
US20110251153A1 (en) Prophylactic or therapeutic composition for hemoglobinuria or myoglobinuria
KR101912481B1 (ko) 조성물, 및 당대사 개선제, 및 당대사 개선방법
US8067537B2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ment of stomatitis
KR20200140749A (ko) 꾸지뽕나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421411B1 (ko) 옥시라세탐을 포함하는 근이영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56624B1 (ko) 옥시라세탐을 포함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US20160346304A1 (en) Agent for sustaining satiety and method for sustaining satiety
US20240050406A1 (en) Composition comprising oxiracetam for preventing or treating muscular disease
KR20220147536A (ko) 저분자 콜라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
JP4022350B2 (ja) コレステロール上昇抑制作用およびhdl−コレステロール低下抑制作用を有する組成物
KR102517662B1 (ko) 차가버섯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JP2009057336A (ja) 羅漢果エキスを含有する創傷治癒促進組成物と適用方法
KR102633488B1 (ko) 배초향 추출물 또는 틸리아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352636B1 (ko) 팔각회향 추출물 또는 시킴산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364690B1 (ko) 대나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20240029547A (ko) 퀸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US20220218793A1 (en) Use of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bone loss disorders, comprising cyclo-hispro (chp) and parathyroid hormone
EP4257139A2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preventing or treating muscular disorders comprising sulfonamide-based compounds
EP4349344A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preventing iron deficiency anaemia
EP4082555A1 (en) Capillary blood vessel disorder inhibiting agent, capillary blood vessel disorder ameliorating agent, and capillary angiogenesis accelerating agent
KR102513559B1 (ko) 백도라지 숙성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3620166B1 (en) Composition for anti-obesity comprising the pulverized material of odontella aurita as an active ingredient
JP2006137746A (ja) オレキシン誘導組成物
KR101699123B1 (ko) 코르티코스테론 저하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