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280B1 - Sunflower fodder for ruminants,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method for raising ruminants using sunflower fodder - Google Patents

Sunflower fodder for ruminants,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method for raising ruminants using sunflower fod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280B1
KR102421280B1 KR1020190172717A KR20190172717A KR102421280B1 KR 102421280 B1 KR102421280 B1 KR 102421280B1 KR 1020190172717 A KR1020190172717 A KR 1020190172717A KR 20190172717 A KR20190172717 A KR 20190172717A KR 102421280 B1 KR102421280 B1 KR 102421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flower
forage
ruminants
korean
ca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27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80784A (en
Inventor
유주현
이금남
Original Assignee
이금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금남 filed Critical 이금남
Priority to KR1020190172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280B1/en
Publication of KR20210080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07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2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12R2001/25Lactobacillus plantaru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과제: 해바라기 특유의 냄새를 제어하고 반추동물이 섭취하기 좋으며 영양이 풍부한 해바라기 조사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
과제해결방법: 해바라기의 곤포 사일리지 조제처리시 발효 균주, 좀 더 구체적으로는 락토바실러스속 미생물 및 피디오코커스속 미생물 중 하나 이상을 가하여 해바라기를 발효, 숙성함으로써 다른 재료를 가하지 않고도 단백질, 지방, 회분 등 영양성분이 풍부한 고품질의 조사료를 조제하였으며, 이 조사료를 급여하는 경우 한우가 거부감 없이 잘 섭취하였고, 한우 우육의 올레산 함량이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체중 증가도 현저하였다.
Challenge: To provide a nutrient-rich sunflower forag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it that control the characteristic odor of sunflower and are good for ruminants to consume.
How to solve the problem: When preparing sunflower packed silage, fermenting and ripening sunflower by adding fermented strains, more specifically, one or more of Lactobacillus and Pidiococcus microorganisms, without adding other ingredients, such as protein, fat, ash A high-quality forage rich in nutrients was prepared, and when this forage was fed, Korean beef consumed well without any objection, and the oleic acid content of Korean beef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weight gain was also remarkable.

Description

반추동물용 해바라기 조사료, 이의 제조방법 및 해바라기 조사료를 이용한 반추동물 사육방법 {Sunflower fodder for ruminants,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method for raising ruminants using sunflower fodder}Sunflower forage for ruminants,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method for raising ruminants using sunflower forage {Sunflower fodder for ruminants,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method for raising ruminants using sunflower fodder}

본 발명은 경관작물인 해바라기의 잎, 줄기, 꽃 전부를 만개 후 10일 내에 수확하여 발효 균주와 함께 곤포 사일리지로 조제하여 한우가 먹을 수 있도록 특유의 냄새를 제어하는 새로운 해바라기 활용 축산 조사료 제조기술과 해바라기 조사료를 먹여 한우의 비육을 촉진하고 올레산 함량을 높이는 사육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sunflower-using livestock forage manufacturing technology that controls the unique odor so that Korean cattle can eat by harvesting all the leaves, stems, and flowers of sunflower as a landscape crop within 10 days after full bloom and preparing it with fermented strains and packing silage. It relates to a breeding method that promotes the fattening of Korean cattle and increases the oleic acid content by feeding sunflower forage.

반추동물(反芻動物)은 반추 위를 가지고 있으며, 한번 삼킨 먹이를 다시 게워 내어 씹는 특성이 있어 되새김 동물이라고도 하는데 기린, 사슴, 소, 양, 낙타 등이 여기에 속한다. 이들 중 가축화한 대표적인 반추 가축으로 한우를 살펴보면 본래 풀을 먹으며 우리 농업의 주요 노동력을 제공하던 동물이었으나 1970년대 산업화로 농기계가 보급되면서 소는 더는 풀을 먹으며 일할 필요가 없어졌다. 따라서 축산농가는 육우로서 소를 빨리 키우고 쉽게 마블링을 하고자 비육을 시도하게 되었다. Ruminants have a ruminant stomach, and are also called ruminants because they have the characteristic of regurgitating and chewing food once swallowed. Among them, Hanwoo is a representative domesticated ruminant livestock, which originally ate grass and provided the main labor force of our agriculture. Therefore, livestock farmers started to try fattening to quickly raise cattle as beef cattle and to make marbling easier.

원래 우리나라에서는 소에게 줄 수 있는 특별한 사료가 없었고 그저 볏짚이 전부였기에 곡물과 배합사료를 수입해 농후사료로 먹이게 되었으며 현재 시중에서 볼 수 있는 소고기는 대부분 배합사료를 주로 먹여 키운 한우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농후사료 외에 조사료로서 풀을 충분히 먹이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풀 사료라고도 불리는 조사료는 소의 생리기능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반추위가 건강해야 소의 생장이 원활하기 때문이다. 소의 위에는 박테리아, 곰팡이, 원생동물 등 수많은 미생물이 살고 있으며 섭취한 사료의 약 70%는 이 미생물들에 의해 분해되고 분해된 물질을 흡수하여 고기와 우유를 생산하게 된다. 따라서 사료의 소화 흡수율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반추위의 정상적인 기능과 반추위 내 미생물의 활동을 활성화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Originally, in Korea, there was no special feed that could be given to cows, and only rice straw was used, so grains and mixed feed were imported and fed as a concentrated feed. Due to this situa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grass could not be fed enough as forage other than for thick feed. Rough feed, also called grass feed, is closely related to the physiological function of cows, because a healthy rumen is necessary for smooth growth of cows. Numerous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fungi, and protozoa live in the stomach of cattle, and about 70% of the feed consumed is decomposed by these microorganisms, and the decomposed substances are absorbed to produce meat and milk. Therefore, it is most important to activate the normal function of the rumen and the activity of microorganisms in the rumen in order to increase the digestibility and productivity of feed.

조사료는 반추위의 기능과 미생물의 활동을 촉진한다. 소는 풀을 소화하기에 적합한 반추위라는 특수한 소화기관과 소화 생리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풀 사료의 섬유소와 거친 입자는 위벽을 자극하여 반추작용과 침의 분비를 촉진하고 반추위 내 미생물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미생물의 활동과 반추위 내 기능을 활발하게 해준다. 아울러 조사료는 소화기관의 용적과 골격을 발달시켜 산유, 산육 능력을 증대시킨다. 조사료의 급여는 장기적으로 반추위와 장을 발달시켜 소화기관의 용적을 크게 해 주고 소화기관의 발달은 사료 섭취량의 증가 및 사료의 소화 흡수율을 높여주므로 육성기의 골격발달을 촉진하고 생산기의 산유, 산육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Roughage promotes the function of the rumen and the activity of microorganisms. Cattle have a special digestive system called the rumen and digestive physiological structure suitable for digesting grass. Fiber and coarse particles in grass feed stimulate the stomach wall to promote rumination and secretion of saliva and provide a comfortable environment for microorganisms in the rumen. By doing so, it activates the activity of microorganisms and functions in the rumen. In addition, roughage develops the volume and skeleton of the digestive system to increase milk production and production capacity. Feeding of forage increases the volume of the digestive system by developing the rumen and intestines in the long term. has the effect of improving

따라서 축산농가는 적정 조사료 : 농후사료 비율을 지켜야 한다. 소에게 가장 이상적인 조사료 대 농후사료 비율은 6:4이지만 우리의 현실은 오히려 조사료가 적은 1:2 혼합 비율이며, 그나마 급여 조사료 중 절반 이상을 볏짚 등 저급 풀 사료에 의존하고 있다. 정상적인 반추위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소에 급여되는 사료 중에 섬유소(중성세제 불용성 섬유, NDF) 함량이 27~30%(w/w) 이상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최소한 급여사료의 40% 이상은 조사료로 급여되어야 한다.Therefore, livestock farmers should keep the proper roughage: rich feed ratio. The ideal ratio of forage to rich feed for cattle is 6:4, but our reality is a 1:2 mixing ratio, which is rather low for roughage, and more than half of the forage is dependent on low-grade grass feed such as rice straw. In order to maintain normal rumen function, the content of fiber (neutral detergent-insoluble fiber, NDF) in the feed fed to cattle should be at least 27-30% (w/w). For this purpose, at least 40% of the feed feed should be fed as forage feed.

만약 조사료의 급여 비율이 줄어들고 섬유소 급여량이 적어지면 반추위는 산성화되고 반추 미생물의 고른 성장이 불가능해져서 소화율과 사료섭취량이 감소한다. 섬유소 함량이 27~30% 이하인 사료를 소에게 3개월 이상 계속 급여할 경우에는 각종 대사성 질병(제1위 과산증, 제4위 전위증, 간농양, 뇨결석 등)과 번식장해가 발생하며 경제수명이 단축된다.If the feed rate of forage is reduced and the amount of fiber fed is reduced, the rumen is acidified and the uniform growth of ruminant microorganisms becomes impossible, reducing digestibility and feed intake. If feed with a fiber content of 27-30% or less is continuously fed to cattle for 3 months or more, various metabolic diseases (1st hyperacidosis, 4th gastric dislocation, liver abscess, urolithiasis, etc.) is shortened

우리 한우는 외래 품종과 혼혈 없이 순수한 집단으로서의 고유한 유전자 조성을 갖고 있으며 현재 보존되고 있는 토종 한우는 털의 색깔에 따라 황소, 칡소, 흑우, 백우로 나누어진다. 한반도에서 출토된 소뼈의 연대를 보면 구석기 시대이며 당시 원시 야생 소, 들소, 물소 등 가축화되기 전의 야생 소가 서식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가축으로 키우기 시작한 청동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면 고조선 유적지에서 다량의 소, 말, 돼지, 닭 등의 뼈가 출토되고 있어 가축이 우리나라 민족사의 시작과 함께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소와 관련된 가장 오래된 문헌은 ‘후한서’ 동이전으로 여기에서는 부여와 고구려, 예, 한 등에서 모두 소를 사육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문헌상으로는 기원전 후한 시기에 한민족의 생활영역 전역에 걸쳐 소의 사육이 일반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소는 의례에 제물로 사용됐거나 짐이나 사람을 싣는 수레 등에 이용됐다고 한다. 4∼6세기 농경사회로 접어들면서 소는 본격적으로 역우로 이용되면서 한우로 정착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오늘날 우리 국민에게 고품질의 쇠고기를 공급하는 육용우로서 한우는 5천 년 우리 민족과 함께해 온 동반자이자 중요한 가축이며 2006년 문화관광부에서 지정한 100대 민족문화상징 중 하나이다.Our Korean beef has a unique genetic composition as a pure group without mixing with foreign breeds, and the currently preserved native Korean beef is divided into bulls, arrowroots, black cattle, and white cattle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ir fur. Looking at the age of cow bones excav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it is presumed that it is the Paleolithic period, and wild cattle before domestication such as wild cattle, bison, and water buffalo were inhabited at that time. If you go back to the Bronze Age, when livestock was raised as livestock, a large amount of bones of cattle, horses, pigs, and chickens have been excavated from the ruins of Gojoseon, indicating that livestock was with the beginning of Korean history. The oldest document related to cattle is the 'Huhanseo' Dongijeon, where it was found that cattle were raised in Buyeo, Goguryeo, Ye, and Han. Therefore, it can be seen from the literature that cattle breeding was generalized throughout the Korean people's living areas during the late Han period BCE. In particular, it is said that cows were used as sacrifices in rituals or in carts to load luggage or people. As the 4th and 6th centuries entered the agricultural society, cattle were used as reverse cattle in earnest, and it is known that they began to be settled as Korean cattle. As beef cattle that supplies high-quality beef to the Korean people today, Korean beef is a companion and important livestock that has been with the Korean people for 5,000 years, and is one of the 100 national cultural symbol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in 2006.

우리나라는 우수한 한우 유전능력을 지닌 정액을 한우농가가 직접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국가 차원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또한, 인공수정을 통해서만 송아지 출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우수한 고유 품종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한우가 고기를 많이 생산하는 고능력우(高能力牛)일수록 사료섭취량이 많아지는데 기존의 볏짚이나 억센 풀은 계산상 양분 1kg당 가격이 싸다고 하더라도 많이 먹지를 못해 배합사료의 대체효과가 적기 때문에 목초나 사료작물 등을 최적 시기에 수확하여 이용해야 한다. 왜냐하면, 양질의 조사료가 소화율을 증가시키고 소화 중 에너지 손실(열 및 가스 손실)을 줄여주며 가소화 에너지의 섭취량을 높여주기 때문이다.In Korea, semen with excellent genetic ability of Korean cattle is managed at the national level so that Korean cattle farmers can select and use them directly. Also, because calves are born only through artificial insemination, excellent native breeds are maintained. The higher the ability of Korean cattle to produce meat, the greater their feed intake. Forage or fodder crops should be harvested and used at the optimal time. This is because high-quality forage increases digestibility, reduces energy loss (heat and gas loss) during digestion, and increases the intake of digestible energy.

그러나 양질의 풀 사료인 목초와 사료작물 등도 수확이 늦어지게 되면 섬유소가 증가하고 가소화 세포내용물이 감소하여 소화율이 저하되는 등 품질이 낮아지면서 섭취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결국 고기의 생산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사료작물의 영양소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가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적기에 수확하여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화본과 계통의 풀 사료는 사료가치가 낮아 고기와 젖 생산효율을 떨어뜨리므로 사료가치가 높은 콩과 계통의 풀 사료를 반드시 첨가하도록 하여(초지의 경우 화본과와 콩과 목초를 섞어 뿌림) 가축의 생산 효율을 높여야 한다.However, even with high-quality grass feed, such as grasses and forage crops, if harvest is delayed, fiber increases and digestibility decreases due to decreased digestibilit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harvest and use the nutrients in a timely manner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livestock by efficiently using the nutrients of the forage crops. At this time, the grass feed of the plant family has a low feed value, which reduces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meat and milk. Production efficiency must be increased.

해바라기(sunflower, Helianthus)는 북미대륙과 중미대륙이 원산지이지만 지금은 아르헨티나, 스페인, 캐나다 등 전세계에서 재배되고 있는 중요한 유지원이다. 우리나라에 도입된 지 이미 오래되어 전국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경관작물이다. 전국 각지에서 시기가 다른 해바라기 축제를 열기도 하여 온 국민에게 매우 친숙하지만 아직 국내에서는 주요작물에서 제외되어 있다. 해바라기는 5월 초순 이후 토양온도가 섭씨 10도 이상일 때 파종하여 개화, 결실하지만 식품용 또는 유지용 품종에 따라 생육기간이 다르고, 대부분 일장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연중 재배가 가능하며, 경우에 따라 이모작도 가능한 작물이다. 해바라기는 적당한 수분 공급이 필수적이며, 배수가 잘 되는 토양에서 잘 자란다. 영양분이 충분하면 크게 자라지만, 염분이 있어도 염도에 따라 생육상태가 달라질 뿐 자랄 수 있는 몇 안되는 작물이다.Although sunflower (sunflower, Helianthus ) is native to North America and Central America, it is now an important oil source cultivated in Argentina, Spain, Canada, etc. all over the world. It has been introduced in Korea for a long time and is a landscape crop that can be seen anywhere in the country. Sunflower festivals at different times are held in different parts of the country, so it is very familiar to the whole people, but it is still excluded from the main crops in Korea. Sunflowers are sown after the beginning of May when the soil temperature is above 10 degrees Celsius and bloom and bear fruit. However, the growing period differs depending on the variety for food or maintenance. is also possible. Sunflowers require adequate hydration and thrive in well-drained soil. It grows large when nutrients are sufficient, but it is one of the few crops that can grow only with different growth conditions depending on the salinity even with salinity.

미국과 캐나다 등에서는 해바라기를 봄에 파종하여 늦은 가을에 수확할 때 수확을 쉽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고엽제를 처리한다. 잎이 말라 접히고 대부분 낙엽이 지면 고른 키를 가진 헤드만 노출되어 콤바인으로 잘라 수확한다. 이로 인하여 남는 그루터기는 해바라기 줄기만 가지고 있다. 성숙한 해바라기 줄기의 외부는 목질화되어 리그닌을 건조 중량의 15% 이상 함유하므로 매우 단단하여 나무와 다를 바 없지만, 속대는 하얗고 비교적 부드러워서 쉽게 부패하여 시일이 지나면 텅빈 공간만 남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when sunflowers are sown in spring and harvested in late autumn, defoliant is treated to make harvesting easy and efficient. When the leaves are dried and folded and most of the fallen leaves fall, only the heads with an even height are exposed and harvested by cutting them with a combine. The stump left by this has only sunflower stalks. The outside of the mature sunflower stem is lignified and contains 15% or more of lignin by dry weight, so it is very hard and similar to wood.

해바라기는 많은 품종이 육종되어 각 기후와 장소, 목적에 맞는 품종이 재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해바라기는 관상용으로 오랫동안 자연 순화된 것으로 그 키가 4미터에 이르고, 화관이 30 cm를 넘으며, 줄기 직경 또한 20 cm에 이를 만큼 크므로 경관작물로 각광을 받고 있다.Many varieties of sunflower are bred, and varieties suitable for each climate, place, and purpose are grown. The sunflower, which is commonly seen in Korea, has been naturalized for a long time for ornamental purposes, and it is 4 meters tall, has a corolla over 30 cm, and has a stem diameter of 20 cm, so it is in the spotlight as a landscape crop.

본 발명자는 오랫동안 해바라기를 재배, 수확, 이용하면서 몇 가지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 중 첫 번째 사실은 헤드를 수확하고 남은 줄기는 리그닌 함량이 높고 조직이 치밀하지만, 하얗고 부드러운 속대는 헤드의 수확 직후 매우 빠른 속도로 부패하여 없어진다는 것이다. 이는 속대가 미생물이 쉽게 소화할 수 있는 조성이라는 것을 의미하며, 다르게 해석하면 해바라기 줄기를 반추동물이 섭취하였을 때 혹위에 서식하는 미생물도 쉽게 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해바라기 줄기는 조성분석에서 조섬유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더라도 조사료로서 탄수화물 함량이 낮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discovered several interesting facts while growing, harvesting and using sunflowers for a long time. The first of these is that the stems remaining after harvesting the heads have a high lignin content and dense tissue, but the white and soft cores decay rapidly and disappear immediately after the heads are harvested. This means that the genus is a composition that can be easily digested by microorganisms, and another interpretation is that, when ruminants ingest sunflower stems, microorganisms living in the hump can be easily digested. Therefore, it can be predicted that sunflower stems will not have low carbohydrate content as roughage even if the crude fiber content is relatively low in the composition analysis.

본 발명자는 또한 쌍떡잎 식물의 잎, 예를 들어 토마토 잎은 건조중량 대비 30% 이상의 잎 단백질(leaf protein)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잎이 많은 다른 작물에도 폭넓게 적용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는 햇빛을 수확하여 광합성하는 잎 조직이 광 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해 엽록소에 달고 있는 여러 가지 전자전달계가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자는 정상적으로 재배한 해바라기는 24장 내지 27장의 잎을 달고 있는 만큼 이러한 잎 단백질이 풍부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는 해바라기 잎의 높은 단백질 함량으로 인해 반추동물용 조사료로서 다른 작물보다 더 우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also found that the leaves of dicotyledonous plants, for example tomato leaves, have a leaf protein of 30% or more by dry weight, which is widely applied to other leafy crops. This is because the various electron transport chains attached to chlorophyll to convert light energy into chemical energy in leaf tissue that harvest sunlight and photosynthesize are made of proteins. The present inventors predicted that normally cultivated sunflowers would be rich in these leaf proteins as they had 24 to 27 leaves. This means that due to the high protein content of sunflower leaves, it can be superior to other crops as forage for ruminants.

또한, 콩, 유채와 함께 세계 3대 유지작물로서 해바라기는 염도 0.3의 간척지 토양에서도 재배할 수 있으며 지방이 풍부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해바라기를 한우에 조사료로 제공하고자 할 때는 해바라기 특유의 냄새 때문에 한우가 먹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한우에게 조사료를 줄 때는 한 끼를 먹여도 세 번에 나눠서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데 이는 일단 소의 침이 풀에 묻음에 따라 미생물이 번식하여 냄새가 나기 때문에 소가 풀을 안 먹으려 하기 때문이다. 즉, 끼니마다 두 시간에 걸쳐 밥을 줘야 할 만큼 한우는 사료의 냄새에 민감하다. 본 발명자들은 특유의 냄새가 나는 해바라기를 한우의 조사료로 이용하기 위해 삶거나 펠릿으로 만들거나 팽화하는 등의 처리를 시도하였으나 냄새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한우에게 먹일 수 없었다.In addition, as one of the world's three largest oilseed crops along with soybeans and rapeseed, sunflower can be grown on reclaimed soil with a salinity of 0.3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rich in fat. There is a problem with not eating. In general, when giving roughage to Korean cattle, it is cumbersome to divide them into three meals even after feeding them one meal. In other words, Korean beef is sensitive to the smell of feed so much that it takes two hours to feed each meal. The present inventors tried to boil, pellet, or expand the sunflower, which has a characteristic odor, to use it as a forage for Korean cattle, but the odor problem was not solved and thus it could not be fed to Korean cattle.

중국특허 제104543372호는 해바라기 씨를 수확한 후 남는 해바라기 꽃판 (헤드 또는 '디스크'로 불리기도 함)과 스테비아 잎, 서양 유채잎을 발효한 복합사료와 그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그러나, 이 기술은 해바라기 꽃판 외에도 스테비아 잎과 서양 유채잎을 혼합하여 사료화하므로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경제적이지 못하며, 작업의 편의상 고엽제 처리 이후 해바라기 꽃판을 수확하게 되므로 영양성분을 함유한 상태의 해바라기 줄기와 잎은 전혀 이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Chinese Patent No. 104543372 discloses a compound feed obtained by fermenting sunflower petals (also called heads or 'disks'), stevia leaves, and Western rapeseed leaves left after harvesting sunflower seed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However, in addition to sunflower petals, this technology is not economical because it costs a lot of money because it mixes stevia leaves and western rape leaves to feed them. There is a problem that leaves are not used at all.

또한, 국내특허 제1840425호는 해바라기 줄기로부터 분리한 속대를 효소 가수분해하여 당화물을 제조한 후 이를 분리 정제 및 농축함으로써 식용당을 제조하고, 속대로부터 추출한 무기염을 분리 정제 및 농축함으로써 식이용 미네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기술은 여러 분리단계, 정제단계 및 농축단계를 거쳐 식이용 미네랄을 제조하는 것이므로, 추출되는 소량의 미네랄 외에 다량의 폐기물이 발생한다. In addition, Korean Patent No. 1840425 discloses that edible sugar is prepared by enzymatically hydrolyzing the cod isolated from the sunflower stem to produce a saccharide, then separating, purifying and concentrating it, and separating, purifying and concentrating the inorganic salt extracted from the cod. Provided is a method for preparing a used mineral. Since this technology manufactures edible minerals through several separation steps, purification steps, and concentration steps, a large amount of waste is generated in addition to a small amount of extracted minerals.

본 발명은 부족한 우리나라 한우의 조사료 확보 측면에서 영양분이 풍부한 경관작물인 해바라기를 냄새에 민감한 한우가 먹을 수 있도록 특유의 냄새를 제어하고 단백질, 지방 등 우수한 영양 성분이 다량 함유된 새로운 해바라기 활용 축산 조사료 제조기술과 해바라기 조사료를 먹여 한우를 키우는 사육방법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In terms of securing forage for Korean cattle, which is lacking in Korea,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peculiar smell of sunflower, a nutrient-rich landscape crop, so that Korean cattle sensitive to odor can eat it, and manufactures a new sunflower-based livestock forage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excellent nutrients such as protein and fat The purpose is to develop technology and a breeding method for raising Korean cattle by feeding sunflower forage.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한우의 부족한 조사료를 확보하는 측면에서 영양분이 풍부한 경관작물인 해바라기의 잎과 줄기 및 꽃을 발효 균주와 함께 곤포 사일리지로 조제하여 한우가 먹을 수 있도록 특유의 냄새를 제어하고 해바라기 조사료를 먹여 한우의 비육을 촉진하고 우육 내 올레산 함량을 향상하였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ves, stems and flowers of sunflower, which are nutrient-rich landscape crops, are prepared in packed silage together with fermented strains in terms of securing insufficient forage for Korean beef, so that Korean beef can eat it with a unique smell. control and feeding sunflower roughage to promote the fattening of Korean beef and to improve the oleic acid content in beef meat.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종래에는 해바라기를 한우의 조사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소가 먹도록 삶거나, 펠릿으로 만들거나 팽화하는 등의 처리를 시도하였으나 해바라기 특유의 냄새 때문에 한우가 이를 섭취하지 않았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use sunflower as forage for Korean beef, it has been attempted to be boiled, pelletized, or expanded so that cattle can eat it, but Korean cattle did not consume it because of the unique smell of sunflower.

본 발명에서는 해바라기를 발효 균주와 함께 곤포 사일리지로 조제하여 한우가 먹을 수 있도록 특유의 냄새를 제어함에 따라 해바라기 조사료를 먹여 한우의 비육을 촉진하고 우육 내 올레산의 함량을 향상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sunflower roughage was fed to promote the fattening of Korean beef and improved the content of oleic acid in beef meat by preparing sunflower together with fermented strains into packed silage to control the unique odor for Korean beef to eat.

삶거나, 펠릿으로 만들거나 팽화하는 등의 처리와 달리 해바라기를 발효 균주와 함께 곤포 사일리지로 조제하는 방법은 각각의 특성이 다른 네 종의 균주인 Lactobacillus plantarum (k-46, kcc-19, kcc-10)와 Pediococcus pentosaseus (kcc-23)가 가축에 유해한 12종의 곰팡이 성장을 억제하며 발효, 부숙 시 야기되는 불안정한 환경에서도 가축의 섭취량 및 기호성이 향상되도록 사일리지 내 유효균을 증가시키는 효과 이외에 해바라기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는 효과를 유도함에 따라 과도한 처리 비용 없이 한우에게 조사료로 먹일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한우의 비육을 촉진하고 우육 내 올레산의 함량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Unlike processing such as boiling, pelletizing, or puffing, the method of preparing sunflower as packed silage together with fermented strains is Lactobacillus plantarum (k-46, kcc-19, kcc- 10) and Pediococcus pentosaseus (kcc-23) inhibit the growth of 12 types of fungi that are harmful to livestock, and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effective bacteria in silage, By inducing the effect of removing odors, it was possible to feed Korean beef as roughage without excessive treatment cost, which promoted the fattening of Korean beef and improved the content of oleic acid in beef meat.

특히 새로 개발된 해바라기를 발효 균주와 함께 곤포 사일리지로 조제하는 방법은 사일리지 내에서 발효 진행 시 각각의 미생물이 생성하는 효소들로 인한 영양분의 흡수율이 증가하고 일반 농후사료의 악영향을 줄여주며, 사료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곤포 사일리지 조제처리된 해바라기는 고품질의 사료 급여를 통한 증체량 증가 및 사료비용 감소 효과가 있으며 가축의 섭취량 및 기호성(향미증진) 향상으로 우육 생산성이 증가하고 가축 장내 유입 시 유효균의 작용으로 인한 설사 예방 및 소화 촉진작용이 있었다.In particular, the method of preparing newly developed sunflower as packed silage together with fermented strains increases the absorption of nutrients due to the enzymes generated by each microorganism during fermentation in the silage, reduces the adverse effects of general enriched feed, and It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efficiency. In addition, the sunflower prepared from the packed silage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amount of weight gain and reducing the feed cost through high-quality feed feeding, and increasing the cattle productivity by improving the intake and palatability (flavor enhancement) of livestock, and diarrhea caused by the action of effective bacteria when introduced into the intestine of livestock There was a preventive and digestive promoting action.

소고기의 근내 지방을 구성하는 지방산 중 단일 불포화지방산의 일종인 올레산(oleic acid)은 고기의 맛을 좌우하는 요인으로서, 고기의 질긴 정도를 약화시켜 고기를 씹을 때 부드러움을 느끼게 하고, 고기를 가열하여 조리할 때 올레산이 빨리 녹아 고기의 표면에 막을 형성하여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는 동시에 고기 단백질의 변성에 의한 수분의 생성을 적게 하여 다즙성(juiciness)을 좋게 한다. Among the fatty acids constituting the intramuscular fat of beef, oleic acid, a type of monounsaturated fatty acid, is a factor that influences the taste of meat. During cooking, oleic acid dissolves quickly and forms a film on the surface of the meat to suppress the evaporation of moisture, while at the same time reducing the generation of moisture due to the denaturation of meat protein, which improves juiciness.

따라서, 우육 내에 함유된 올레산의 함량이 높으면 기호성이 높고 올레산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으면 기호성이 떨어지게 된다. 올레산은 유산이라고도 하며, 동식물류에 함유되어 있고, 특히 동백기름, 올리브유 등 유지류의 주성분으로 올리브유나 동백유 등의 구성 지방산에는 80% 이상 존재한다. 올레산은 단일 불포화지방산으로 다른 지방산에 비해 산화가 안 되는 성질이 있어 가열하여도 산화될 염려가 없기에 안심하고 요리할 수 있다. 또한, 올레산은 혈중 유해 콜레스테롤로 알려진 저밀도 단백질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감소시켜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는 효능이 있어서 올레산을 섭취하면 혈관을 깨끗이 유지하고, 혈액순환을 활발히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Therefore, when the content of oleic acid contained in beef is high, palatability is high, and when the content of oleic acid is relatively low, palatability is deteriorated. Oleic acid, also called lactic acid, is contained in animals and plants. In particular, it is the main component of oils and fats such as camellia oil and olive oil. Oleic acid is a monounsaturated fatty acid, and compared to other fatty acids, it is not oxidized, so there is no fear of oxidation even when heated, so you can cook with confidence. In addition, oleic acid has the effect of lowering cholesterol levels by reducing the content of low-density protein cholesterol, known as harmful cholesterol in the blood.

본 발명에서 발효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 숙성한 해바라기 조사료를 급여한 한우는 발효 균주를 투여하지 않고 일반 발효를 한 비교예에 비하여 올레산 함량이 2배 이상 높아져 고품질의 한우를 생산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Korean beef fed with sunflower roughage fermented and aged using the fermented strain has an oleic acid content more than twice as high as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fermented strain was not administered and high-quality Korean beef can be produced.

본 발명은 만개 후 10일 내에 수확한, 건조중량 100g 당 조단백질이 10g 이상이고 조섬유가 25g 이상인 절단한 해바라기 잎과 줄기와 꽃에 발효 균주를 가하여 곤포 사일리지에서 발효, 숙성한 반추동물용 해바라기 조사료에 관한 것이다. 건조중량 100g 당 조단백질이 10g 이상이고 조섬유가 17g 이상, 바람직하게는 조단백질 12g 이상이고 조섬유 25g 이상인 시료를 사용한 경우 영양 성분이 우수한 발효 조사료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unflower forage for ruminants that have been fermented and aged in packed silage by adding fermented strains to cut sunflower leaves, stems and flowers that have 10 g or more of crude protein and 25 g or more of crude fiber per 100 g of dry weight harvested within 10 days after full bloom. it's about When a sample having 10 g or more of crude protein and 17 g or more of crude fiber, preferably 12 g or more of crude protein and 25 g or more of crude fiber per 100 g of dry weight is used, a fermented roughage with excellent nutritional content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반추동물이 한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동물용 해바라기 조사료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nflower forage for rumina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ruminant is Korean cattl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효 균주가 락토바실러스속 및 피디오코커스속 미생물 중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동물용 해바라기 조사료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nflower forage for rumina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fermented strain is at least one kind of microorganisms of the genus Lactobacillus and the genus Pydiococcu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락토바실러스속 미생물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동물용 해바라기 조사료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nflower forage for rumina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Lactobacillus genus microorganism is Lactobacillus plantarum.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디오코커스속 미생물이 피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동물용 해바라기 조사료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nflower forage for rumina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microorganism of the genus F. Diococcus is P. pentosaceu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효 균주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46,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c-19,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c-10 및 피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kcc-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동물용 해바라기 조사료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ermentation strain is Lactobacillus plantarum k-46, Lactobacillus plantarum kcc-19, Lactobacillus plantarum kcc-10 and P. pentosaceus kcc-23 It relates to sunflower forage for ruminants.

또한, 본 발명은Also, the present invention

1) 건조중량 100g 당 조단백질이 10g 이상이고 조섬유가 17g 이상, 바람직하게는 조단백질 12g 이상이고 조섬유 25g 이상인 해바라기 잎과 줄기와 꽃을 만개 후 10일 내에 수확하여 적정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1) Harvesting sunflower leaves, stems, and flowers with at least 10 g of crude protein and at least 17 g of crude fiber, preferably at least 12 g of crude protein and at least 25 g of crude fiber per 100 g of dry weight, within 10 days of full bloom, and cutting them to an appropriate size;

2) 절단한 해바라기 잎과 줄기와 꽃에 락토바실러스속 발효 균주 및 피디오코커스속 발효 균주 중 하나 이상을 가하는 단계;2) adding at least one of a fermented strain of the genus Lactobacillus and a fermented strain of the genus Pidiococcus to the cut sunflower leaves, stems and flowers;

3) 상기 발효 균주를 가한 해바라기를 곤포 사일리지로 조제하는 단계; 및3) preparing sunflower to which the fermented strain has been added into packed silage; and

4) 상기 해바라기 곤포 사일리지를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추동물용 해바라기 조사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4) it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sunflower forage for ruminants, including the step of aging the sunflower packed silag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반추동물이 한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동물용 해바라기 조사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sunflower forage for rumina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ruminant is Korean beef.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락토바실러스속 발효 균주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동물용 해바라기 조사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sunflower forage for rumina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Lactobacillus genus fermented strain is Lactobacillus plantarum.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디오코커스속 미생물이 피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동물용 해바라기 조사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sunflower forage for rumina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microorganism of the genus F. Diococcus is P. pentosaceu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효 균주로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46,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c-19,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c-10 및 피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kcc-23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동물용 해바라기 조사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adding Lactobacillus plantarum k-46, Lactobacillus plantarum kcc-19, Lactobacillus plantarum kcc-10 and P. pentosaceus kcc-23 as the fermentation strain It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sunflower forage for ruminant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반추동물용 해바라기 조사료를 급여하는 해바라기 조사료를 이용한 반추동물 사육방법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uminant breeding method using sunflower forage for feeding the sunflower forage for ruminants.

또한, 본 발명은 반추동물용 해바라기 조사료를 급여한 반추동물의 올레산 함량이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바라기 조사료를 이용한 반추동물 사육방법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uminant breeding method using sunflower for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oleic acid content of ruminants fed sunflower forage for ruminants is significantly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은 반추동물용 해바라기 조사료를 다른 조사료 및 농후사료 중 하나 이상과 혼합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바라기 조사료를 이용한 반추동물 사육방법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uminant breeding method using sunflower forage,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nflower forage for ruminants is mixed with one or more of other forage and concentrated feed.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효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비교예와 실시예의 올레산 측정치로 확인할 수 있듯이, 해바라기 잎과 줄기와 꽃을 모두 포함하는 전초를 만개 후 10일 내에 곤포 사일리지 조제 처리할 때 발효 균주를 해바라기 잎과 줄기와 꽃에 고르게 살포함에 따라 한우의 평균 일당 증체량이 200g/day만큼 증가하고 우육의 올레산 함량이 2.6배 이상 증가하는 효과가 있었다.From the above results,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s can be seen from the measurement of oleic acid in Comparative Examples and Examples, when the outpost containing both sunflower leaves, stems and flowers is in full bloom within 10 days of packing silage preparation, the fermented strain is evenly applied to the sunflower leaves, stems and flowers. The average daily weight gain of Korean beef increased by 200 g/day and the oleic acid content of beef meat increased by more than 2.6 times.

이러한 결과는 발효 균주를 해바라기의 곤포 사일리지 처리 시 적용함에 따라 해바라기의 특유의 냄새를 제어하여 한우가 먹을 수 있게 되었으며 좀 더 소화하기 쉬운 해바라기 조사료를 제조할 수 있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이처럼 발효 균주를 해바라기의 곤포 사일리지 제조시 적용함에 따라 한우의 해바라기 조사료에 대한 기호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se results are believed to be because, as the fermented strain was applied to the packing silage treatment of sunflower, it was possible to control the unique odor of sunflower so that Korean cattle could eat it, and it was possible to manufacture a more easily digestible sunflower forage. As such, by applying the fermented strain to the production of packed silage of sunflower, the palatability of Korean beef to sunflower roughage can be improved.

이로써 미생물 발효를 거치지 않은 해바라기를 조사료와 달리 해바라기를 곤포 사일리지 조제 처리할 때 발효 균주를 해바라기에 고르게 살포함에 따라 해바라기 특유의 냄새를 제어해 한우가 해바라기 조사료를 섭취하도록 하면 우육의 올레산 함량을 높여 기호성이 우수한 우육을 생산할 수 있다.As a result, unlike roughage for sunflowers that have not undergone microbial fermentation, when sunflowers are prepared for packing silage, the fermented strains are evenly spread on the sunflowers to control the unique odor of sunflowers so that Korean cattle consume sunflower forage, increasing the oleic acid content of beef meat. It can produce beef with excellent palatability.

또한, 본 발명의 해바라기 조사료를 급여하는 경우 비교예와 비교하여 일일 증체량이 200g 증가하므로 1년 동안 본 발명의 조사료를 급여하면 비교예에 비해 약 70kg 정도의 체중 증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unflower for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ed,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 daily gain increases by 200 g, so when the for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ed for one year, it is possible to achieve an effect of increasing weight by about 70 kg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

또한, 본 발명의 해바라기 조사료는 일반 조사료로 이용되는 수단그라스, 라이그라스 등에 비해 조단백질 함량과 조지방 함량이 현저히 높은 해바라기 잎과 줄기와 꽃 전체를 미생물 발효하여 제조하므로 동물, 특히 한우에게 잎에서 유래한 조단백과 줄기에서 유래한 탄수화물이 풍부한 고영양 조사료를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nflower rough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duced by microbial fermentation of the entire sunflower leaf, stem and flower, which has significantly higher crude protein content and crude fat content than Sudangrass, ryegrass, etc. used as general forage, so it is derived from leaves for animals, especially Korean cattle. A high-nutrition forage rich in crude protein and carbohydrates derived from stems can be supplied.

또한, 본 발명의 해바라기 조사료는 해바라기의 앞과 줄기, 꽃을 모두 사용하여 발효 전 성분이 최소 13.5% 이상의 조단백질, 최소 24.1% 이상의 조섬유 함량을 나타내므로, 해바라기 꽃판과 스테비아 잎, 서양 유채잎을 혼합 발효한 중국특허 104543372호와 비교할 때 스테비아 잎과 같은 별도의 원재료가 필요하지 않고 폐기되는 경관작물 해바라기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한우를 비롯한 반추동물의 사료로서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이다.In addition, the sunflower roughage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ll of the front, stem, and flowers of sunflower, and the ingredients before fermentation show at least 13.5% or more crude protein and at least 24.1% or more crude fiber content, so sunflower petals, stevia leaves, and Western rape leaves are mixed. Compared to the fermented Chinese Patent No. 104543372, it does not require additional raw materials such as stevia leaves and uses the discarded landscape crop sunflower as it is, so it is economical and eco-friendly as feed for ruminants including Korean cattle.

이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해바라기 조사료는 대부분 폐기처분되는 엄청난 양의 해바라기 줄기와 잎 폐기물을 이용하므로 자원 재활용 측면에서도 매우 유리하다.In addition to this, the sunflower rough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advantageous in terms of resource recycling because it uses a huge amount of sunflower stem and leaf waste that is mostly disposed of.

도 1은 해바라기를 수확하는 사진이다. 수확의 편의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고엽제를 처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해바라기를 수확하기 전의 모습이다 (출처: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parkeuimin&logNo=221580398794). 만개 후 10일 내에 수확하여 본 발명의 조사료를 제조한다.
1 is a photograph of harvesting sunflowers. Defoliant is generally treated for the convenience of harvesting.
2 is a view before harvesting sunflowers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ource: Naver Blog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parkeuimin&logNo=221580398794). Harvest within 10 days after full bloom to prepare the roughage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의 기재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However,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description of the examples.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학의리 소재 농업회사법인 남해(주)가 재배한 해바라기 줄기의 겉대와 속대를 분리하여 포도당으로서의 셀룰로오스, 자일로오스, 갈락토오스, 만노오스, 아라비노오스 등으로서의 헤미셀룰로오스, 초산, 리그닌, 회분, 물 추출성 성분 및 기타 펙틴 등의 함량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성분분석 방법인 미국 NREL의 표준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해바라기 줄기는 해바라기 만개 후 10일 내에 수확하였다. 결과는 표 1과 같다.Hemicellulose as cellulose, xylose, galactose, mannose, arabinose, etc. as glucose, acetic acid, lignin, ash, water The content of extractable components and other pectin was measured by the standard analysis method of NREL, which is a component analysis method commonly us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Sunflower stems were harvested within 10 days after the sunflowers were in full bloom.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또한,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학의리 소재 농업회사법인 남해(주)가 재배한 해바라기와 반추동물의 조사료로 널리 이용되는 수단그라스 및 라이그라스를 각각 건조중량 100g씩 취하여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 함량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성분분석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해바라기 잎과 줄기, 꽃은 해바라기 만개 후 10일 내에 수확하였다. 각 건조된 조사료 작물을 40℃ 열풍건조기에 넣어 24시간 동안 건조한 다음 커팅밀(잘만성 분쇄기, 대화정밀, 대한민국)로 분쇄하여 20 메쉬 이하 분말로 제조하였다. 이 시료를 105℃ 오븐에서 48시간 건조하여 수분함량을 측정하였다. 수분함량을 알고 있는 조사료 작물 분말을 원소분석하여 질소함량을 구한 다음 식물 바이오매스에 적용하는 상수 6.25를 곱하여 단백질 함량을 산출하였다. 조사료 분말을 띰블에 달아넣고 속시렛 추출기를 사용하여 에틸 에테르로 24시간 추출한 후 감압농축으로 용매를 제거한 다음 남아있는 성분의 무게를 측정하여 조지방 함량을 산출하였다. 조사료 작물 분말 1g을 전기로에 넣어 2일간 서서히 가온하는 방법으로 576℃에서 연소시킨 후 남은 재의 무게를 측정하여 회분 함량을 산출하였다. 이때 해바라기는 개화 초기, 개화 성기 및 개화 말기의 것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개화 초기는 해바라기 노란 꽃잎이 보이기 시작할 때를 말하며, 꽃에 양분이 거의 없고, 씨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개화 성기는 해바라기 꽃이 가장 왕성하게 핀 때를 말한다. In addition, 100 g dry weight of Sudangrass and ryegrass, which are widely used as forage for sunflowers and ruminants grown by Namhae, an agricultural corporation located in Hakui-ri, Masan-myeon, Haenam-gun, Jeollanam-do, respectively, were taken and the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fiber, and crude flour contents were measured. It was measured by a component analysis method generally us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Sunflower leaves, stems, and flowers were harvested within 10 days after the sunflower was in full bloom. Each dried forage crop was put in a hot air dryer at 40° C., dried for 24 hours, and then pulverized with a cutting mill (Zalchron Grinder, Daehwa Precision, Korea) to prepare a powder of 20 mesh or less. The sample was dried in an oven at 105° C. for 48 hours to measure the moisture content. The nitrogen content was obtained by elemental analysis of forage crop powder with known moisture content, and then the protein content was calculated by multiplying it by a constant 6.25 applied to plant biomass. The crude fat content wa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weight of the remaining ingredients after adding the roughage powder to the velvet, extracting it with ethyl ether for 24 hours using a Soxhlet extractor, and then concentration under reduced pressure to remove the solvent. Ash content wa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weight of the remaining ash after burning 1 g of forage crop powder in an electric furnace and gradually heating it for 2 days at 576°C. At this time, sunflowers were analyzed separately from early flowering, flowering genitalia, and late flowering. Early flowering refers to the time when sunflower yellow petals begin to appear, and the flower has little nutrients and no seeds are formed. The flowering period refers to the time when sunflower flowers are most prosperous.

그 결과는 다음 표 2와 같다. 해바라기는 꽃이 왕성하게 피기 이전 개화 초기일 때도 수단그라스 및 라이그라스와 비교했을 때 조단백질이 2배 이상 높으며, 조지방 성분도 수단그라스나 라이그라스와 비교하여 현저히 높다. 이는 해바라기에 잎 24 내지 27장이 거의 다 달려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무기질 성분인 조회분도 해바라기에서 비교적 높다. 다만, 조섬유는 수단그라스나 라이그라스에 비해 해바라기에서 상대적으로 낮으나, 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값일 뿐, 전체적으로는 여타 단백질, 지방, 회분 성분과 적절히 조화를 이루어 한우 등 반추동물의 장 운동에 충분한 정도이며,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섬유질이 풍부한 짚 등 다른 조사료와 혼합 투여하여 보충할 수 있다.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Sunflower has more than double the crude protein compared to Sudangrass and ryegrass, even at the early stage of flowering before the flower blooms. This seems to be because sunflowers have almost all 24 to 27 leaves. The mineral content of raw milk powder is also relatively high in sunflower. However, crude fiber is relatively low in sunflower compared to Sudangrass or ryegrass, but this is only a relatively low value. Overall, it is sufficiently harmonized with other proteins, fats, and ash components for intestinal movement of ruminants such as Korean cattle, If deemed necessary, it can be supplemented by mixing it with other forage, such as straw rich in fiber.

구분division 조성(g/100g 건조중량)Composition (g/100g dry weight) 속대fast band 겉대shroud 전체all 포도당으로서의 셀룰로오스Cellulose as glucose 36.5±0.136.5±0.1 36.6±0.236.6±0.2 36.1±0.236.1±0.2 자일로오스, 갈락토오스, 만노오스,
아라비노오스 등으로서의 헤미셀룰로오스
xylose, galactose, mannose,
Hemicellulose as arabinose, etc.
5.9±0.0 5.9±0.0 19.9±0.119.9±0.1 19.4±0.119.4±0.1
초산acetic acid 1.9±0.0 1.9±0.0 4.9±0.04.9±0.0 4.8±0.14.8±0.1 리그닌lignin 3.6±0.1 3.6±0.1 21.3±0.521.3±0.5 19.6±0.619.6±0.6 회분ash 13.5±0.213.5±0.2 5.3±0.55.3±0.5 6.5±0.06.5±0.0 물 추출성 성분water extractable ingredients 26.1±1.026.1±1.0 미측정unmeasured 미측정unmeasured 기타(펙틴 등)Others (pectin, etc.) 12.5±0.212.5±0.2 미측정unmeasured 미측정unmeasured


시험항목

Test Items

수단그라스

Sudangrass

라이그라스

ryegrass
해바라기
(꽃, 줄기, 잎을 모두 포함)
sunflower
(including flowers, stems and leaves)
개화 초기early flowering 개화 성기flowering genitals
조단백질

crude protein

5.9g

5.9g

6.4g

6.4g

13.5g

13.5g

14.6g

14.6g

조지방

george

1.5g

1.5g

0.8g

0.8g

2.9g

2.9g

9.9g

9.9g

조섬유

crude fiber

40.2g

40.2g

41.3g

41.3g

29.7g

29.7g

28.5g

28.5g

조회분

views

10.9g

10.9g

9.6g

9.6g

13.1g

13.1g

10.9g

10.9g

실시예Example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학의리 소재 농업회사법인 남해(주)가 재배한 해바라기 전초 즉, 온전한 잎과 줄기와 꽃을 만개 후 10일 내에 수확하되, 고엽제 처리 없이 수확하였고, 곤포 사일리지 조제시 발효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k-46, kcc-19 및 kcc-10과 피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Pediococcus pentosaseus) kcc-23을 해바라기 1톤당 2g가량 청수에 녹인 다음 적정 크기로 절단한 해바라기에 고르게 살포하였다. 통상 1~2cm로 절단하여 발효 균주가 잘 침투할 수 있도록 하고 재료 중 공기의 양을 줄여준다. 이때 해바라기는 잎과 줄기와 꽃을 모두 포함하여 조사료 제조에 이용하였다. 고른 살포를 위해 발효 균주 100g을 물 100리터에 넣어 녹인 후, 희석액을 사료작물 1톤당 2리터의 비율로 사료작물 위에 고르게 살포하여 비닐 필름으로 밀봉, 보관하였다. 발효 균주는 해바라기 특유의 냄새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해바라기의 발효 시 젖산을 생성하는 동형의 젖산 생성균을 다량 포함하기 때문에 곤포 사일리지 조제를 통해 소화하기 쉬운 해바라기 조사료를 제조할 수 있었다. 이렇게 조성된 곤포 사일리지를 90일 이상 숙성처리한 다음 중량 100kg인 육성기 한우에게 농후사료 4kg/day와 해바라기 조사료 16kg/day의 급여 수준으로 먹여 9개월간 사육하였다. 상기 사육된 한우의 평균 일당 증체량(kg/day)과 우육 내 올레산 함량(%)을 측정하였다.Sunflower outpost grown by Namhae Co., Ltd., an agricultural company located in Hakui-ri, Masan-myeon, Haenam-gun, Jeollanam-do, that is, intact leaves, stems and flowers within 10 days of full bloom, was harvested without defoliant treatment. Dissolve Lactobacillus plantarum k-46, kcc-19 and kcc-10 and Pediococcus pentosaseus kcc-23 in fresh water about 2g per ton of sunflower, and then spread evenly over the cut sunflower to an appropriate size. sprayed. Usually, it is cut to 1~2cm so that the fermentation strain can penetrate well and the amount of air in the material is reduced. At this time, sunflowers were used for the manufacture of forage, including all leaves, stems, and flowers. For even spraying, 100 g of fermented strains were dissolved in 100 liters of water, and then the diluted solution was evenly sprayed on the forage crops at a rate of 2 liters per ton of forage crops, sealed and stored with a plastic film. Since the fermented strain not only removes the unique odor of sunflower but also contains a large amount of lactic acid-producing bacteria of the same type that produce lactic acid during fermentation of sunflower, easy-to-digest sunflower forage could be prepared through packing silage. Packed silage thus prepared was aged for more than 90 days and then fed to growing Korean cattle weighing 100 kg at a feed level of 4 kg/day of concentrated feed and 16 kg/day of sunflower roughage and reared for 9 months. The average daily weight gain (kg/day) and oleic acid content (%) in beef meat were measur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학의리 소재 농업회사법인 남해(주)가 재배한 해바라기 전초 즉, 온전한 잎과 줄기와 꽃을 만개 후 10일 내에 수확하되, 고엽제 처리 없이 수확하였고, 곤포 사일리지를 조제할 때 발효 균주 첨가 없이 곤포 사일리지 조제를 통해 자체 발효된 해바라기 조사료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조성된 곤포 사일리지를 90일 이상 숙성처리한 다음 중량 100kg인 육성기 한우 10마리에게 농후사료 4kg/day와 발효 균주 첨가 없이 곤포 사일리지 조제를 통해 제조한 해바라기 조사료 16kg/day의 급여 수준으로 먹여 9개월간 사육하였다. 상기 사육된 한우의 평균 일당 증체량(kg/day)을 측정하고 우육 내 지방 중 올레산 함량(%)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Sunflower outpost grown by Namhae Co., Ltd., an agricultural company located in Hakui-ri, Masan-myeon, Haenam-gun, Jeollanam-do, that is, intact leaves, stems and flowers, was harvested within 10 days after full bloom, without defoliant treatment, and without adding fermented strains when preparing packed silage Self-fermented sunflower roughage was prepared through packing silage preparation. Packed silage prepared in this way is aged for more than 90 days and then fed to 10 breeding Korean cattle weighing 100kg at a feed level of 16kg/day of sunflower roughage prepared through packing silage without adding fermented strains and 4kg/day of concentrated feed. bred. The average daily weight gain (kg/day) of the reared Korean beef was measured, and the oleic acid content (%) in the fat in the beef was measured using gas chromatography.

실시예와 비교예의 한우 평균 일당 증체량(kg/day)과 우육 내 올레산 함량(%)을 표 3에 나타내었다.Table 3 shows the average daily weight gain (kg/day) and oleic acid content (%) in beef meat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올레산(Oleic acid) 함량 (%)
(g/100g 지방산)
Oleic acid content (%)
(g/100g fatty acids)
평균 일당 증체량(kg/day)Average daily weight gain (kg/day)

비교예 1

Comparative Example 1

22.4

22.4

0.5

0.5

실시예 1

Example 1

59.1

59.1

0.7

0.7

Claims (14)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1) 건조중량 100g 당 조단백질이 10g 이상이고 조섬유가 25g 이상인 해바라기 잎과 줄기와 꽃을 만개 후 10일 내에 수확하여 적정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
2) 절단한 해바라기 잎과 줄기와 꽃에 락토바실러스속 발효 균주 및 피디오코커스속 발효 균주 중 하나 이상을 가하는 단계;
3) 상기 발효 균주를 가한 해바라기 잎과 줄기와 꽃을 곤포 사일리지로 조제하고 발효하는 단계; 및
4) 상기 발효된 해바라기 곤포 사일리지를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우용 해바라기 조사료 제조방법.
1) Harvesting sunflower leaves, stems, and flowers containing 10 g or more of crude protein and 25 g or more of crude fiber per 100 g of dry weight within 10 days of full bloom and cutting them to an appropriate size;
2) adding at least one of a fermented strain of Lactobacillus sp. and a fermented strain of P. diococcus sp. to the cut sunflower leaves, stems and flowers;
3) preparing and fermenting sunflower leaves, stems and flowers to which the fermented strain has been added into packed silage; and
4) aging the fermented sunflower packed silage; sunflower forage production method for Korean cattle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7의 방법으로 제조된 한우용 해바라기 조사료를 급여하여, 이 사료를 급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올레산 함량이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바라기 조사료를 이용한 한우 사육방법.
A method of raising Korean cattle using sunflower forage, characterized in that by feeding the sunflower forage for Korean cattle prepared by the method of claim 7, the oleic acid content i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ot fed with this feed.
삭제delete 청구항 12에 있어서,
한우용 해바라기 조사료는 다른 조사료 및 농후사료 중 하나 이상과 혼합 급여하는, 해바라기 조사료를 이용한 한우 사육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A method of raising Korean cattle using sunflower forage, in which sunflower forage for Hanwoo is mixed with one or more of other forage and concentrated feed.
KR1020190172717A 2019-12-23 2019-12-23 Sunflower fodder for ruminants,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method for raising ruminants using sunflower fodder KR1024212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717A KR102421280B1 (en) 2019-12-23 2019-12-23 Sunflower fodder for ruminants,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method for raising ruminants using sunflower fod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717A KR102421280B1 (en) 2019-12-23 2019-12-23 Sunflower fodder for ruminants,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method for raising ruminants using sunflower fod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784A KR20210080784A (en) 2021-07-01
KR102421280B1 true KR102421280B1 (en) 2022-07-15

Family

ID=76860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717A KR102421280B1 (en) 2019-12-23 2019-12-23 Sunflower fodder for ruminants,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method for raising ruminants using sunflower fod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280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428B1 (en) * 2006-05-10 2006-09-22 이석태 Pediococcus pentosaceus st-01 for preventing microbial contamina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2008532524A (en) * 2005-03-11 2008-08-21 アーチャー・ダニエルズ・ミッドランド カンパニー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viding rumen bypass protein in ruminant feed
KR101801892B1 (en) * 2017-02-07 2017-11-28 강진군 Fermented feed additives for Korean beef comprising balsam apple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JP2017536120A (en) 2014-11-19 2017-12-07 ドナルド・エム・スミス Method for increasing levels of omega-3 fatty acids in beef products by administration of grass and algal diets
US20190092811A1 (en) 2016-08-25 2019-03-28 Jiangnan University Pediococcus Acidilactici Derived Antimicrobial Hexapeptid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989B1 (en) * 2010-12-28 2013-07-04 여주군(관리부서:농업기술센터소장) Method for Manufacturing sweet potato stalk silage and use of thereof
KR101898246B1 (en) * 2016-11-18 2018-09-13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Manufacturing Kenaf Silage And Kenaf Silage Using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2524A (en) * 2005-03-11 2008-08-21 アーチャー・ダニエルズ・ミッドランド カンパニー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viding rumen bypass protein in ruminant feed
KR100627428B1 (en) * 2006-05-10 2006-09-22 이석태 Pediococcus pentosaceus st-01 for preventing microbial contamina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2017536120A (en) 2014-11-19 2017-12-07 ドナルド・エム・スミス Method for increasing levels of omega-3 fatty acids in beef products by administration of grass and algal diets
US20190092811A1 (en) 2016-08-25 2019-03-28 Jiangnan University Pediococcus Acidilactici Derived Antimicrobial Hexapeptid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801892B1 (en) * 2017-02-07 2017-11-28 강진군 Fermented feed additives for Korean beef comprising balsam apple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784A (en)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 et al. Current status and potential of Moringa oleifera leaf as an alternative protein source for animal feeds
US4357358A (en) Feedstuff or feedstuff additive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CN105995042B (en) Ramie ensilage modulator approach
CN103461699B (en) Earthworm culturing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357338B1 (en) A deer feed composition improving the quality of meat and antlers through the high content of sulfur, saponins and unsaturated fatty acid obtained from that deer fed that feed
Zahari et al. Utilization of oil palm co-products as feeds for livestock in Malaysia
CN104970203A (en) Fibrous rhzomorph cattle breeding feed
CN108575885B (en) Breeding method of black pigs
KR101984646B1 (en) Feed Composition for Ruminant using Grub Deject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60134607A (en) Feedstuff additive comprising by-product of fermented Schisandra chinensis using sugar
CN104012764A (en) Silkworm excrement particle-containing composite fee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963185B1 (en) Feed Composition and Breeding method for grub
Buntha et al. Digestibility and nitrogen balance studies in pigs fed diets with ensiled taro (Colocasia esculenta) leaves as replacement for fish meal
KR101130911B1 (e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eedstuff to contain a kudzu
CN105851533A (en) Method of using waxy corn to prepare livestock silage
KR102421280B1 (en) Sunflower fodder for ruminants,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method for raising ruminants using sunflower fodder
CN109315348B (en) Breeding method of spicy pigs
Mohammed Effect of feeding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vines silage on performance and milk production of Nubian goats
CN109480123A (en) A kind of no dregs of beans poultry fee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7712386A (en) Lay eggs feed for ostrich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150116225A (en) Feedstuff additive comprising by-product of fermented Schisandra chinensis using sugar
CN107373163A (en) A kind of feed formula of high yielding culture chinchilla
Díaz-Gaona et al. Feeding monogastrics 100% organic and regionally produced feed
Díaz-Gaona et al. Organic Knowledge Network on Monogastric Animal Feed
Muftau et al. Performance and digestibility by Uda rams fed concentrate diets containing graded levels of camel's foot pod meal (CFP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