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245B1 - Lifesaving kit for monitoring victim condition - Google Patents

Lifesaving kit for monitoring victim cond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245B1
KR102421245B1 KR1020210025293A KR20210025293A KR102421245B1 KR 102421245 B1 KR102421245 B1 KR 102421245B1 KR 1020210025293 A KR1020210025293 A KR 1020210025293A KR 20210025293 A KR20210025293 A KR 20210025293A KR 102421245 B1 KR102421245 B1 KR 102421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kit
tube
case
lifes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2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변정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스턴스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스턴스카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스턴스카이
Priority to KR1020210025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245B1/en
Priority to PCT/KR2022/002335 priority patent/WO202218205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2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20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signalling means, e.g.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8Inflatable equipment characterised by the gas-generating or inflation device
    • B63C9/19Arrangements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2Devices for holding or launching life-buoys, inflatable life-rafts, or other flo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9/23Containers for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17Life-saving in water characterised by making use of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e.g.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29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 B63C2009/0041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activated by presence of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A lifesaving kit for monitoring a condition of a castaway is provided. The kit includes: a case; a communication unit built into the case; a control unit built into the case; a first sensor unit built into the case and sens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staway using a GPS location sensor; a tube embedded in the case and expanded upon contact with water to be separated from the case; and a second sensor unit mounted on the tube.

Description

조난자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인명구조용 키트{LIFESAVING KIT FOR MONITORING VICTIM CONDITION}LIFESAVING KIT FOR MONITORING VICTIM CONDITION

본 발명은 조난 상황에서 조난자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인명구조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esaving kit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a person in distress in a distress situation.

일반적으로 수상이나 해상에서 발생하는 익수 사고뿐만 아니라, 산행 시 발생하는 낙상 사고의 경우, 사고 상황에 처한 조난자는 이미 위급한 상황에 놓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골든타임 내에 조난자의 구조하는 것이 중요하다.In general, in the case of drowning accidents that occur on water or at sea, as well as falls that occur while hiking, it is important to rescue the survivors within the golden time because many people who are in an accident are already in an emergency situation.

그러나 조난자에 대한 시급한 구조가 요구되는 긴박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조난자의 위치를 파악하기가 어려워 사고 현장에 신속하게 접근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조난자를 구조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결국 구조 시간 지연으로 인해 조난자가 사망에 이르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despite the urgent situation requiring urgent rescue of the victims, it is often difficult to quickly access the scene of the accident because it is difficult to locate the victims. Therefore, it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to rescue the survivors, and eventually the rescue time delay may lead to the death of the survivors.

또한, 조난자가 처한 사고 상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알 수가 없어 적시에 적절한 대처를 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구조에 성공한다고 해도 최종 목표인 조난자의 건강을 온전하게 확보하는 데에는 실패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re may be situations where it is impossible to know the exact information about the accident situation of the survivors, so that appropriate actions cannot be taken in a timely manner. This can happen.

따라서, 조난자의 상태 모니터링을 통해 적절한 구조 조치를 함으로써 골든타임 내에 조난자를 구조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이 필요하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efficient way to rescue the distressed within the golden time by taking appropriate rescue measures through monitoring the distressed stat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3713호, 2016.04.12.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613713, 2016.04.12.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난자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인명구조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is to provide a lifesaving kit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the survivor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조난자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인명구조용 키트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통신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제어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고, GPS 위치 센서를 이용하여 조난자의 위치 정보를 센싱하는 제1 센서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고, 물과 접촉 시 팽창되어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되는 튜브, 및 상기 튜브에 장착되는 제2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2 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센싱 결과를 기초로 조난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원격 단말기로 상기 조난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구조 요청 신호 또는 추가 조치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A lifesaving kit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a survivo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case, a communication unit built in the case, a control unit built in the case, built in the case, and using a GPS position sensor to include a first sensor unit for sen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urvivor, a tube that is built into the case and expands when in contact with water and is separated from the case, and a second sensor unit mounted on the tube, wherein the control unit comprises: A rescue request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istressed to the remot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is determined based on the result of sensing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second sensor unit Send a signal or a signal requesting further action.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센서부는, 소리 인식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리 인식 센서를 통해 주변 환경 소리 및 조난자 음성 중 적어도 하나의 소리 정보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소리 정보를 기초로 소리 인식 관련 제1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조난자의 이상 상황을 감지하고, 상기 원격 단말기로 상기 구조 요청 신호 또는 상기 추가 조치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nsor unit includes a sound recognition sensor, and the control unit senses sound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an ambient environment sound and a voice of a survivor through the sound recognition sensor, and based on the sensed sound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an abnormal situation of the distressed person using the first learning model related to sound recognition, and transmit the rescue request signal or the additional action request signal to the remote terminal.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센서부는, 압력 센서 및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상기 튜브에 대한 압력 변화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압력 변화 정보를 기초로 상기 조난자의 튜브의 파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결과를 기초로 상기 구조 요청 신호 또는 상기 추가 조치 요청 신호를 상기 원격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ensor unit includes a pressure sensor and a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control unit receives pressure change information for the tub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distressed person's tube is gripped based on the pressure change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rescue request signal or the additional action request signal to the remote terminal based on the determined result.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변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튜브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1 값에서 제2 값으로 변화한 경우, 상기 튜브가 팽창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튜브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기 제2 값에서 제3 값으로 변화한 경우, 상기 조난자가 팽창된 튜브를 파지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튜브가 팽창했지만 상기 조난자가 팽창된 튜브를 파지하지 않은 경우, 상기 추가 조치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튜브가 팽창하고 상기 조난자가 팽창된 튜브를 파지한 경우, 상기 구조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ube changes from the first value to the second value based on the pressure change informatio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tube has expanded, and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ube When the second value is changed to the thir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survivor is holding the inflated tube, and based on the determined result, the tube is inflated but the survivor does not grip the inflated tube In this case, the additional action request signal may be transmitted, and the rescue request signal may be transmitted when the tube is inflated and the survivor grips the inflated tube.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센서부는, 가속도 센서 및 진동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를 통해 상기 조난자의 가속도 변화 정보를 센싱하고, 상기 진동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조난자의 충격 발생 정보를 센싱하며, 상기 센싱된 가속도 변화 정보 및 상기 센싱된 충격 발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이상 상황을 감지하여 상기 원격 단말기로 상기 구조 요청 신호 또는 상기 추가 조치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nsor unit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vibration sensor, and the control unit senses information on the change in acceleration of the victim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and generates an impact of the victim through the vibration sensor. The information may be sensed, and an abnormal situation may be detect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ensed acceleration change information and the sensed shock occurrence information, and the rescue request signal or the additional action request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terminal.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스는, 상부면에 형성된 관절 구조의 링크를 이용하여 운반체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키트가 상기 조난자에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is formed to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carrier using the link of the joint structu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kit can be delivered to the distressed person.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반체에 의해 상기 키트가 상기 조난자에게 전달 성공한 경우의 센싱 결과와 상기 운반체에 의해 상기 키트가 상기 조난자에게 전달 실패한 경우의 센싱 결과 간 차이를 학습하여 키트 전달 관련 제2 학습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lear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nsing result when the kit is successfully delivered to the distressed by the carrier and the sensing result when the kit fails to be delivered to the distressed by the carrier by learning the kit delivery related agent 2 A learning model can be built.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스는, 발광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may be formed of a light emitting body.

본 발명에서, 상기 튜브는, 압축 가스 실린더가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 단말기로부터 타공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압축 가스 실린더를 타공하여 상기 튜브가 팽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ube is equipped with a compressed gas cylinder, and the control unit, upon receiving a hole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terminal, may control the tube to expand by punching the compressed gas cylinder.

본 발명에서, 상기 원격 단말기는, 상기 키트에 포함된 소모품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키트를 관리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terminal may manage the kit using information related to consumables included in the kit.

본 발명에서, 상기 키트는,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제3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센서부는, 비전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전 센서에 의해 센싱된 조난 상황 영상 정보를 상기 원격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kit further includes a third sensor unit mounted on the case, the third sensor unit includes a vision sensor, and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distress situation image information sensed by the vision sensor. It can transmit to a remote terminal.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장치,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is, other method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other apparatuses, other system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for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조난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이상 상황을 빠르게 파악하고, 적시에 적절한 구조 조치를 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quickly identify an abnormal situation by monitoring the state of a person in distress using various sensors, and take appropriate rescue measures in a timely manner.

또한, 센싱된 정보들을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이상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nalyzing the sensed information using a learning model, an abnormal situation can be detected more quickly and accurately.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난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력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키트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키트 및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가 팽창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키트가 운반체에 의해 전달되기 위해 형성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ystem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a person in dist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lifesaving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kit and case for lifesa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case in which the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panded.
Figure 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formed in order to be delivered by a carrier for life-saving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component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will have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specifically defined.

종래에는 수상이나 해상에서 발생하는 전복 또는 익수 사고와, 산악지역에서 발생하는 낙상 또는 실족 사고의 경우, 조난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가 없어 골든타임 내에 조난자를 구조하기가 힘들었다. Conventionally, in the case of overturning or drowning accidents occurring on water or at sea, and falling or tripping accidents occurring in mountainous areas, it was difficult to rescue the survivors within the golden time because the location of the victims could not be accurately known.

구체적으로, 해당 사고들이 발생했을 때, 조난자에게 인명구조를 위한 키트를 전달함으로써 조난자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또는 이미 조난자가 소지하고 있는 인명구조용 키트를 통해 조난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인명구조용 키트가 조난자에게 제대로 전달이 되지 않은 경우, 또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조난자가 소지하고 있던 인명구조용 키트를 놓친 경우에, 구조자는 실제로 조난자가 있는 위치가 아닌 엉뚱한 곳으로 구조출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조난자의 실제 위치를 찾는 데에 있어 시간을 낭비하게 되어 결국에 골든타임을 놓치게 되는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se accidents occur, the location of the shipwreck can be identified by delivering a rescue kit to the person in distress, or the location of the shipwreck can be determined through a lifesaving kit already in possession of the person in distress. However, if the lifesaving kit is not properly delivered to the survivor, or if the rescuer loses the lifesaving kit he was carrying during an accident, the rescuer will be dispatched to the wrong place instead of the actual location of the survivor. , which can lead to a situation in which time is wasted in finding the actual location of the distressed person, and ultimately the golden time is missed.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리 인식 센서, 가속도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조난 발생 상황을 즉각적으로 파악하고 조난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여 보다 신속한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압력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조난자가 인명구조용 키트를 제대로 확보하였는지를 파악하여 상황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uses various sensors such as a sound recognition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to immediately grasp the situation of the distress occurrence and to determine the exact location of the person in distress so that a more rapid rescue can be achieved, and also pressure It uses various sensors such as sensors to determine whether the person in distress has properly secured a lifesaving kit, and takes appropriate measur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so that the rescue can be carried out more quick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난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력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ystem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a person in dist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키트의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lifesaving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키트 및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kit and case for lifesa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가 팽창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case in which the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pand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키트가 운반체에 의해 전달되기 위해 형성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ure 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formed to be delivered by a carrier for life-saving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난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1)(이하, 시스템)은 인명구조용 키트(10), 원격 단말기(20) 및 통신망(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system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ystem)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a person in dist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lifesaving kit 10 , a remote terminal 20 and a communication network 30 . .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에서 발명의 주체는 컴퓨터 또는 서버가 적용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원격 단말기(20) 또는 관리 서버(미도시)가 수행 주체가 될 수 있다.In the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ject of the invention may be a computer or a server, and specifically, the remote terminal 20 or the management server (not shown) may be the subject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은 인명구조용 키트(10)가 조난자의 상태를 센싱하고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원격 단말기(20)로 각종 신호를 송신하면, 원격 단말기(20)는 수신된 신호에 따라 각 상황에 맞는 조치, 예를 들어 구조대 출동 또는 추가 인명구조용 키트 제공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조난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적절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다.In the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ifesaving kit 10 senses the state of a person in distress and transmits various signals to the remote terminal 20 based on the sensed result, the remote terminal 20 responds to the received signal. Depending on the situation, it is possible to carry out actions tailored to each situation, such as dispatching a rescue team or providing additional lifesaving kits. In other words, by monitoring the condition of the distressed, appropriate action can be taken quickly.

도 2를 참조하면, 인명구조용 키트(10)는 케이스(11), 통신부(12), 제어부(13), 제1 센서부(14), 튜브(15) 및 제2 센서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인명구조용 키트(1)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더 적은 수의 구성요소나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lifesaving kit 10 includes a case 11 , a communication unit 12 , a control unit 13 , a first sensor unit 14 , a tube 15 and a second sensor unit 16 . can do. However, the lifesaving kit (1) 0 may include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or more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shown in FIG.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키트(10)는 조난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인명구조용 키트(10)는 제1 센서부(14) 및 제2 센서부(16)를 통해 센싱된 결과를 원격 단말기(20)로 송신하여 원격 단말기(20)가 조난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적절한 구조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lifesaving ki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a person in distress, and in more detail, the lifesaving kit 10 is a result sensed through the first sensor unit 14 and the second sensor unit 16 . can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terminal 20 so that the remote terminal 20 can determine the condition of the person in distress and take appropriate rescue measures.

인명구조용 키트(10)의 케이스(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112) 및 제2 부분(114)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분(112)은 방수처리된 부분으로서, 통신부(12), 제어부(13) 및 제1 센서부(14)가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부분(114)은 방수처리되지 않은 부분으로서, 튜브(15) 및 제2 센서부(16)가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The case 11 of the lifesaving kit 10 may be formed of a first part 112 and a second part 114 as shown in FIG. 3 . The first part 112 is a waterproofed part, and the communication unit 12 , the control unit 13 , and the first sensor unit 14 may be built-in. The second portion 114 is a portion that is not waterproofed, and the tube 15 and the second sensor unit 16 may be embedded therein.

또한, 케이스(11)는 발광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케이스(11)의 제1 부분(112) 및 제2 부분(114) 중 적어도 한 부분은 발광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케이스(11)에는 LED 등 조명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케이스(11)는 전체 또는 일부가 형광 페인팅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케이스(11)에는 반사띠 또는 야광띠가 둘러져있을 수 있다. 이렇게 케이스(11)가 발광체로 형성됨으로써, 조난자 또는 구조자가 인명구조용 키트(10)를 쉽게 발견 및 획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se 11 may be formed of a light emitting body. In more detail, at least one of the first portion 112 and the second portion 114 of the case 11 may be formed of a light emitting body. As an example, the case 11 may have a light such as an LED attached thereto. As another example, all or part of the case 11 may be fluorescently painted. As another example, the case 11 may be surrounded by a reflective band or a luminous band. By forming the case 11 as a light emitting body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easily find and obtain the lifesaving kit 10 by a survivor or rescuer.

인명구조용 키트(10)의 통신부(12)는 상기 케이스(11)에 내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11)의 제1 부분(112)에 내장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2 of the lifesaving kit 10 may be built in the case 11 . Specifically, it may be embedded in the first part 112 of the case 11 as described above.

통신부(12)는 인명구조용 키트(1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인명구조용 키트(10)와 원격 단말기(20) 사이, 또는 인명구조용 키트(10)와 관리 서버(미도시) 사이, 또는 인명구조용 키트(10) 내에 포함된 다른 구성요소 사이의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2)는 인명구조용 키트(1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2 is between the lifesaving kit 1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lifesaving kit 10 and the remote terminal 20, or between the lifesaving kit 10 and the management server (not shown), or between the lifesaving kit 10 and the management server (not shown). It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different components included in the rescue kit 10 .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2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for connecting the lifesaving kit 10 to one or more networks.

인명구조용 키트(10)의 제어부(13)는 상기 케이스(11)에 내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11)의 제1 부분(112)에 내장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 of the lifesaving kit 10 may be built in the case 11 . Specifically, it may be embedded in the first part 112 of the case 11 as described above.

제어부(13)는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인명구조용 키트(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인명구조용 키트(10) 내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3)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not shown), the control unit 13 may generall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lifesaving kit 10 . The control unit 13 processes signals, data, information, etc. input or output through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lifesaving kit 10 or by driv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3 to provide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or can be processed

또한, 제어부(13)는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2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인명구조용 키트(1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 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3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discussed with reference to FIG. 2 in order to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a memory (not shown). Furthermore, the control unit 13 may operate by combining at least two or mor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lifesaving kit 10 for driving the application program.

인명구조용 키트(10)의 제1 센서부(14)는 상기 케이스(11)에 내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11)의 제1 부분(112)에 내장될 수 있다.The first sensor unit 14 of the lifesaving kit 10 may be embedded in the case 11 . Specifically, it may be embedded in the first part 112 of the case 11 as described above.

제1 센서부(14)는 인명구조용 키트(10) 내 정보, 인명구조용 키트(1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조난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부(14)는 GPS 위치 센서(position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진동감지 센서, 레이더 센서(radar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비전 센서, 수분 감응 센서, 소리 인식 센서, 압력 센서(pressure sensor),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ensor unit 14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the lifesaving kit 10 ,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lifesaving kit 10 , and survivor information. For example, the first sensor unit 14 may include a GPS position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vibration sensor, a radar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 vision sensor, and moisture sensitivity. sensor, sound recognition sensor, pressure sensor, proximity sensor, illumination sensor, touch sensor, magnetic sensor, gravity sensor (G-sensor), gyro A gyroscope sensor, a motion sensor, an RGB sensor, an infrared sensor (IR sensor), a finger scan sensor, an optical sensor, a battery gauge, At least one of an environmental sensor (e.g., barometer, hygrometer, thermometer, radiation sensor, thermal sensor, gas sensor, etc.), chemical sensor (e.g., electronic nose, healthcare sensor, biometric sensor, etc.) may include

상기 제1 센서부(14)는 상기 GPS 위치 센서를 이용하여 조난자의 위치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The first sensor unit 14 may sens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erson in distress using the GPS location sensor.

상기 제1 센서부(14)는 상기 소리 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 소리 및 조난자 음성 중 적어도 하나의 소리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The first sensor unit 14 may sense sound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an ambient environment sound and a survivor's voice by using the sound recognition sensor.

상기 제1 센서부(14)는 상기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조난자의 가속도 변화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The first sensor unit 14 may sense acceleration change information of a person in distress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상기 제1 센서부(14)는 상기 진동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조난자의 충격 발생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The first sensor unit 14 may sense the shock occurrence information of the victim by using the vibration sensor.

인명구조용 키트(10)의 튜브(15)는 상기 케이스(11)에 내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11)의 제2 부분(114)에 내장될 수 있다.The tube 15 of the lifesaving kit 10 may be embedded in the case 11 . Specifically, it may be embedded in the second part 114 of the case 11 as described above.

상기 튜브(15)는 물과 접촉 시 팽창되어 상기 케이스(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tube 15 may be separated from the case 11 by expanding upon contact with water.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부분(114)은 방수처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인명구조용 키트(10)가 물에 빠지면 제2 부분(114) 안으로 물이 들어오게 되고, 제2 부분(114) 안에 내장된 튜브(15)에 물이 닿으면 튜브(15)가 팽창되면서 케이스(110), 즉 제2 부분(114)으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That i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econd part 114 is not waterproofed, when the lifesaving kit 10 falls into the water, water enters the second part 114, and the second part 114. When wat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ube 15 built therein, the tube 15 expands and is separated from the case 110 , that is, the second part 114 .

도 4를 참조하면, 물이 닿지 않은 상태에서 인명구조용 키트(10)는 케이스(11), 구체적으로 제2 부분(114)에 튜브(15)를 수납하고 있다가, 물이 닿게 되면(즉, 튜브(15)가 물에 접촉하게 되면) 튜브(15)가 팽창하면서 케이스(11), 구체적으로 제2 부분(114)이 분할되면서 외부로 나오게 된다.Referring to FIG. 4 , the lifesaving kit 10 in a state where water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tube 15 is accommodated in the case 11 , specifically, the second part 114 , and then comes into contact with water (that is, When the tube 15 comes into contact with water), the tube 15 expands and the case 11, specifically, the second part 114 is divided and comes out.

상기 튜브(15)는 압축 가스 실린더가 장착되어 튜브(15)를 팽창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튜브(15)는 제2 센서부(16)에 의해 튜브(15)에 물이 닿은 것이 감지되면 압축 가스 실린더가 타공되어 튜브(15)가 팽창하게 될 수 있다.The tube 15 may be equipped with a compressed gas cylinder to inflate the tube 15 . In more detail, the tube 15 may be inflated by the compressed gas cylinder being perforated when water contacting the tube 15 is detected by the second sensor unit 16 .

또는, 상황에 따라 상기 튜브(15)는 원격 단말기(20)로부터의 타공 제어 신호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즉, 제어부(13)가 원격 단말기(20)로부터 타공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압축 가스 실린더를 타공하여 튜브(15)가 팽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lternatively, according to circumstances, the tube 15 may be inflated by a perforation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terminal 20 . That is, when the control unit 13 receives the drilling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terminal 20 , the compressed gas cylinder is perforated to control the tube 15 to expand.

인명구조용 키트(10)의 제2 센서부(1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부분(114)에 내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센서부(16)는 상기 튜브(15)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2 센서부(16)는 방수 처리될 수 있다.The second sensor unit 16 of the lifesaving kit 10 may be embedded in the second part 114 as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the second sensor unit 16 may be mounted on the tube 15 . In this case, the second sensor unit 16 may be waterproofed.

제2 센서부(16)는 인명구조용 키트(10) 내 정보, 인명구조용 키트(1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조난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센서부(16)는 GPS 위치 센서(position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진동감지 센서, 레이더 센서(radar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비전 센서, 수분 감응 센서, 소리 인식 센서, 압력 센서(pressure sensor),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ensor unit 16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the lifesaving kit 10 ,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lifesaving kit 10 , and survivor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econd sensor unit 16 may include a GPS position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vibration sensor, a radar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 vision sensor, and moisture sensitivity. sensor, sound recognition sensor, pressure sensor, proximity sensor, illumination sensor, touch sensor, magnetic sensor, gravity sensor (G-sensor), gyro A gyroscope sensor, a motion sensor, an RGB sensor, an infrared sensor (IR sensor), a finger scan sensor, an optical sensor, a battery gauge, At least one of an environmental sensor (e.g., barometer, hygrometer, thermometer, radiation sensor, thermal sensor, gas sensor, etc.), chemical sensor (e.g., electronic nose, healthcare sensor, biometric sensor, etc.) may include

제2 센서부(16)는 상기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튜브(15)에 대한 압력 변화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The second sensor unit 16 may sense pressure change information for the tube 15 using the pressure sensor.

이때, 제2 센서부(16)는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센싱된 결과, 즉 압력 변화 정보를 제1 부분(112)에 내장된 제어부(13)로 전송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2 센서부(16)에 포함된 통신모듈은 상기 통신부(12)와 RF(Radio Frequency) 등을 이용한 근거리 통신을 통해 서로 신호 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sensor unit 16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result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hat is, pressure change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3 built in the first part 112 . have. In more detail, the communication module included in the second sensor unit 16 may transmit/receive signals or information to an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2 throug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sing a radio frequency (RF) or the like.

이렇게 상기 제1 센서부(14) 및 상기 제2 센서부(16)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센싱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어부(13)는 조난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통신부(12)를 통해 원격 단말기(20)로 상기 조난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구조 요청 신호 또는 추가 조치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In this way, based on the sensing result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or unit 14 and the second sensor unit 16, the control unit 13 determines the state of the distressed person, and based on the determined result, the communication unit A rescue request signal or an additional ac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istressed may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terminal 20 through (12).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provided later.

인명구조용 키트(10)는 메모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미도시)는 케이스(11)의 제1 부분(112)에 내장될 수 있다. 메모리(미도시)는 인명구조용 키트(1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미도시)는 인명구조용 키트(1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인명구조용 키트(1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인명구조용 키트(1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고, 제어부(13)에 의하여 상기 인명구조용 키트(1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The lifesaving kit 10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not shown). A memory (not shown) may be embedded in the first part 112 of the case 11 . The memory (not shown) may store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lifesaving kit 10 . A memory (not shown)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driven in the lifesaving kit 10 , data for the operation of the lifesaving kit 10 , and instruction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s may exist for basic functions of the lifesaving kit 10 . Meanwhile, the application program is stored in a memory (not shown), and may be driven to perform the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lifesaving kit 10 by the control unit 13 .

본 발명에서, 원격 단말기(20)는 사용자 또는 구조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컴퓨터와 같은 정보처리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며, 제어부와 같은 프로세서, 카메라와 같은 촬영 수단,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입출력 수단을 포함하고, 통신 기능을 포함한 모든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스마트폰, 태블릿, PDA, 랩탑, 데스크탑 등과 같은 디바이스라면 무엇이든 적용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terminal 20 is a terminal used by a user or rescuer, to which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such as a computer can be applied, and includes a processor such as a controller, a photographing means such as a camera, and input/output means including a touch screen. and may mean any device including a communication function. That is, any device such as a smartphone, tablet, PDA, laptop, or desktop can be applied.

여기서, 사용자와 구조자는 동일인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와 구조자는 다른 사람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인명구조용 키트(10)를 사용하는(소유한) 사람일 수 있고, 구조자는 구조 전문가(예를 들어, 119구조대)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키트(10)의 소유자인 경우, 사용자는 상기 키트(10)를 조난자에게 대여하거나 (운반체를 통해) 전달해주는 사람일 수 있다.Here, the user and the rescuer may be the same pers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ser and the rescuer may be different people. For example, the user may be a person who uses (owns) the rescue kit 10 and the rescuer may be a rescue expert (eg, 119 rescue team). In this case, when the user is the owner of the kit 10 , the user may be a person who lends the kit 10 to a person in distress or delivers it (via a carrier).

원격 단말기(20)는 인명구조용 키트(10)와 멀리 떨어져서 인명구조용 키트(10)로부터 조난자 상태와 관련된 센싱 결과 정보 또는 신호를 수신하여 조난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The remote terminal 20 may receive sensing result information or a signal related to the condition of the survivor from the lifesaving kit 10 away from the lifesaving kit 10 to monitor the condition of the survivor.

보다 상세하게, 원격 단말기(20)에는 조난자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사용자 또는 구조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조난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remote terminal 20 is installed with an application for monitoring the distressed state, so that the user or rescuer can monitor the distressed state through the application.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시스템(1)은 관리 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리서버(미도시)는 인명구조용 키트(10)를 제조, 생산하거나 유통하는 회사 또는 업체, 또는 인명구조용 키트(10)를 이용해 조난자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또는 업체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1 , the system 1 may further include a management server (not shown). The management server (not shown) is a server operated by a company or company that manufactures, produces, or distributes the lifesaving kit 10, or a company or company that provides a service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the distressed using the lifesaving kit 10. can

상기 조난자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관리 서버(미도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The application for monitoring the distressed state may be provided by a management server (not shown).

실시예에 따라, 인명구조용 키트(10)에서 센싱된 결과들은 원격 단말기(20)로 바로 전송될 수도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인명구조용 키트(10)에서 센싱된 결과들은 관리서버(미도시)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sults sensed by the lifesaving kit 10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remote terminal 20, but the results sensed by the lifesaving kit 10 are not limited thereto. It may be transmitted through

통신망(30)은 인명구조용 키트(10), 원격 단말기(20) 및 관리 서버(미도시) 간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망(30)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방식 또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30 enable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arious information between the lifesaving kit 10 , the remote terminal 20 and the management server (not shown). The communication network 30 may use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networks, for example, WLAN (Wireless LAN), Wi-Fi, Wibro, Wimax,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etc.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r a wired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Ethernet, xDSL (ADSL, VDSL), HFC (Hybrid Fiber Coax), FTTC (Fiber to The Curb), FTTH (Fiber To The Home) may be used.

그러나, 통신망(미도시)은 상기에 제시된 통신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통신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However, the communication network (not shown) is not limited to the communication method presented above, and may include all types of communication methods that are well known or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in addition to the above communication methods.

이하에서는, 인명구조용 키트(10)의 제어부(13)가 제1 센서부(14) 또는 제2 센서부(16)에 의해 센싱된 결과를 기초로 조난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원격 단말기(20)로 적절한 구조 요청 신호 또는 추가 조치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control unit 13 of the lifesaving kit 10 determines the state of the survivor based on the result sensed by the first sensor unit 14 or the second sensor unit 16, and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Transmission of an appropriate rescue request signal or additional action request signal to the remote terminal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그리고, 이하에서는 인명구조용 키트(10) 내 제어부(13)가 분석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13)의 기능은 관리서버(미도시)가 수행할 수도 있다. 즉, 관리서버가 제1 센서부(14) 또는 제2 센서부(16)에 의해 센싱된 결과를 이용하여 조난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원격 단말기(20)로 구조 요청 신호 또는 추가 조치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analysis i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13 in the lifesaving kit 10, b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unction of the control unit 13 may be performed by a management server (not shown). That is, the management server uses the result sensed by the first sensor unit 14 or the second sensor unit 16 to determine the distressed state and transmits a rescue request signal or an additional action request signal to the remote terminal 20 . You may.

여기서, 구조 요청 신호는 조난자가 키트(10)를 확보했음을 확인했을 때 송신되는 신호일 수 있고, 추가 조치 요청 신호는 조난자가 키트(10)를 확보하기 힘든 상황임을 확인했을 때 송신되는 신호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구조 요청 신호와 추가 조치 요청 신호는 함께 송신될 수도 있다.Here, the rescue request signal may be a signal transmitte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distressed person has secured the kit 10, and the additional action request signal may be a signal transmitted when the distressed person confirms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kit 10,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the rescue request signal and the additional action request signal may be transmitted together.

실시예에 따라, 구조 요청 신호와 추가 조치 요청 신호가 함께 송신도는 경우, 구조 요청 신호는 구조대 출동을 요청하는 신호일 수 있고, 추가 조치 요청 신호는 모니터링을 통해 파악된 조난자의 상태에 필요한 추가 조치를 요청하는 신호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rescue request signal and the additional action request signal are transmitted together, the rescue request signal may be a signal requesting the dispatch of a rescue team, and the additional action request signal is an additional action necessary for the condition of the distressed person identified through monitoring. It may be a signal requesting

1) 소리 인식 센서를 통한 모니터링1) Monitoring through sound recognition sensor

제어부(13)는 소리 인식 센서를 통해 주변 환경 소리 및 조난자 음성 중 적어도 하나의 소리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이때, 소리 인식 센서는 제1 센서부(14)에 포함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3 may sense sound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an ambient environment sound and a voice of a survivor through the sound recognition sensor. In this case, the sound recognition sensor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sensor unit 14 .

제어부(13)는 상기 센싱된 소리 정보를 기초로 소리 인식 관련 제1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조난자의 이상 상황을 감지하고, 원격 단말기(20)로 구조 요청 신호 또는 추가 조치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 may detect an abnormal situation of the distressed person using the first learning model related to sound recognition based on the sensed sound information, and transmit a rescue request signal or an additional action request signal to the remote terminal 20 . .

여기서, 이상 상황은 조난 발생 상황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수상이나 해상에서의 전복 또는 익수 사고 발생 상황, 또는 산악지역에서의 낙상 또는 실족 사고 발생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abnormal situation means a distress situation, for example, a situation in which an overturning or drowning accident occurs on water or at sea, or a situation in which a fall or trip accident occurs in a mountainous area.

즉, 키트(10) 내에 내장된 소리 인식 센서를 통해 사고 발생 시 주변 환경의 소리와 조난자의 음성, 또는 휘슬 소리 등을 인식하여 이상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That is, when an accident occurs through the sound recognition sensor built in the kit 10 , an abnormal situation can be detected by recognizing the sound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voice of a person in distress, or the sound of a whistle.

예를 들어, 해상에서 전복 사고가 발생했을 때, 조난자가 소지하고 있거나 또는 조난자에게 (운반체를 통해) 전달된 인명구조용 키트(10) 내에 내장된 소리 인식 센서가 조난자의 음성, 예를 들어, "살려주세요"라는 문장을 인식하거나, 혹은 튜브(15)에 연결된 휘슬 소리를 인식하면, 인식된 소리 정보를 제1 학습모델이 분석하여 사고 상황이 발생했음을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event of an overturning accident at sea, the sound recognition sensor built into the lifesaving kit 10 carried by the survivor or delivered (via a carrier) to the shipwrecked person can detect the voice of the shipwreck, for example, " When the sentence "Please help me" is recognized or the whistle sound connected to the tube 15 is recognized, the first learning model analyzes the recognized sound information to determine that an accident has occurred.

이에 따라, 제어부(13)는 원격 단말기(20)로 GPS 위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조난자의 위치 정보와 함께 구조 요청 신호 또는 추가 조치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3 may transmit a rescue request signal or an additional action request signal to the remote terminal 20 togeth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istressed person sensed by the GPS location sensor.

여기서, 제1 학습모델은 소리 인식 관련 인공지능 알고리즘이 적용된 학습모델로서, 조난 발생 상황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소리들을 학습하여 구축될 수 있다.Here, the first learning model is a learning model to which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related to sound recognition is applied, and may be constructed by learning various sounds that may appear in a distress situation.

제어부(13)는 제1 학습모델을 통해 센싱된 소리 정보, 예를 들어 주변 환경 소리를 분석하여, 해상 또는 수상에서 발생한 사고인지 산악지역에서 발생한 사고인지 등을 예측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 may analyze sound information sensed through the first learning model, for example, ambient sound, and predict whether an accident occurred at sea or water or an accident occurred in a mountainous area.

제어부(13)는 제1 학습모델을 통해 센싱된 소리 정보, 조난자의 음성을 분석하여, 조난자와 키트(10)와의 거리를 예측할 수 있다. 조난자와 키트(10) 간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상이면 조난자가 키트(10)를 획득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부(13)는 원격 단말기(20)로 추가 조치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 may analyze the sound information sensed through the first learning model and the voice of the person in distress, and predict the distance between the victim and the kit 10 . If the distance between the distressed person and the kit 1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reference distance,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tressed person cannot acquire the kit 10 , and the control unit 13 may transmit an additional action request signal to the remote terminal 20 .

실시예에 따라, 조난자의 음성의 부정확함, 주변 환경의 소음, 통신의 제한 등의 이유로 인해 소리 인식 센서에 의해 센싱된 소리 정보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도, 제1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소리 정보를 분석하고 소리 정보에 담긴 내용을 예측함으로써 이상 상황을 감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는 해당 소리 정보를 분석하여 다른 형태, 즉 텍스트화, 빛 또는 색 변화, 진동 등으로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상황에 따른 적절한 조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even when the sound information sensed by the sound recognition sensor is not clear due to the inaccuracy of the voice of the distressed, the nois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limitation of communication, etc., the sound information is obtained using the first learning model. By analyzing and predicting the contents of the sound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anomalies. Alternatively, by analyzing the sound information and expressing it in other forms, such as textualization, light or color change, vibration, etc., it is possible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2) 압력 센서를 통한 모니터링2) Monitoring via pressure sensor

제어부(13)는 압력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상기 튜브에 대한 압력 변화 정보를 통신부(12)를 통해 통신모듈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압력 센서 및 통신모듈은 제2 센서부(16)에 포함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 may receive pressure change information for the tub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 . In this case, the pressure sensor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sensor unit 16 .

제어부(13)는 상기 압력 변화 정보를 기초로 상기 조난자의 튜브 파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결과를 기초로 구조 요청 신호 또는 추가 조치 요청 신호를 상기 원격 단말기(20)로 송신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 may determine whether the person in distress is holding the tube based on the pressure change information, and may transmit a rescue request signal or an additional action request signal to the remote terminal 20 based on the determined result.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압력 변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튜브(15)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1 값에서 제2 값으로 변화한 경우, 상기 튜브(15)가 팽창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튜브(15)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기 제2 값에서 제3 값으로 변화한 경우, 상기 조난자가 팽창된 튜브(15)를 파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ube 15 changes from the first value to the second value based on the pressure change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13 determines that the tube 15 has expanded and , whe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ube 15 changes from the second value to the third valu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person in distress has gripped the inflated tube 15 .

튜브(15)가 팽창되지 않은 상태(즉, 케이스 내에 내장된 상태)에서 튜브(15)에 가해지는 압력은 제1 값일 수 있고, 튜브(15)가 팽창된 상태(즉, 케이스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튜브(15)에 가해지는 압력은 제2 값일 수 있다. 이때, 제2 값은 제1 값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조난자가 팽창된 튜브(15)를 파지한 상태에서 튜브(15)에 가해지는 압력은 제3 값일 수 있다. 이때, 제3 값은 제2 값보다 클 수 있다.The pressure applied to the tube 15 in a state in which the tube 15 is not inflated (that is, a state built in the case) may be a first value, and the tube 15 is in an inflated state (ie, a state separated from the case). ),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ube 15 may be a second value. In this case, the second value may be greater than the first value. In additio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ube 15 in a state in which the victim holds the inflated tube 15 may be a third value. In this case, the third value may be greater than the second value.

따라서, 제어부(13)는 튜브(15)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1 값에서 제2 값으로 변화하게 되면, 튜브(15)가 물에 접촉하여 케이스(11)로부터 분리되어 팽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튜브(15)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2 값에서 제3 값으로 변화하게 되면, 조난자가 팽창된 튜브(15)를 확보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ube 15 changes from the first value to the second value, the control unit 13 may determine that the tube 15 is separated from the case 11 and expanded in contact with water. have. Whe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ube 15 changes from the second value to the third value, the control unit 13 may determine that the victim has secured the inflated tube 15 .

그리고,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튜브(15)가 팽창했지만 상기 조난자가 팽창된 튜브(15)를 파지하지 않은 경우, 조난자의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추가 조치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튜브(15)가 팽창하고 상기 조난자가 팽창된 튜브(15)를 파지한 경우, 조난자의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구조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Then, the control unit 13, based on the determined result, when the tube 15 is inflated but the survivor does not hold the inflated tube 15, the additional action request signal togeth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urvivor and, when the tube 15 is inflated and the survivor grips the inflated tube 15, the rescue request signal may be transmitted along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urvivor.

즉, 상기 튜브(15)가 팽창했지만 상기 조난자가 팽창된 튜브(15)를 파지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즉, 튜브(15)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1 값에서 제2 값으로 변화했지만 제2 값에서 제3 값으로 변화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3)는 조난자가 팽창된 튜브(15)를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여, 추가 키트 전달 요청 등과 같은 추가 조치 요청 신호를 원격 단말기(20)로 송신할 수 있다.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ube 15 is inflated but the survivor does not grip the inflated tube 15 (that i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ube 15 changes from the first value to the second value, but If it does not change from the value 2 to the value 3), the control unit 13 determines that the distressed person has not secured the inflated tube 15, and sends an additional action request signal such as an additional kit delivery request to the remote terminal 20 can be sent to

상기 튜브(15)가 팽창하고 상기 조난자가 팽창된 튜브(15)를 파지한 경우(즉, 튜브(15)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1 값에서 제2 값으로 변화하고 다시 제3 값으로 변화한 경우), 제어부(13)는 조난자가 팽창된 튜브(15)를 확보한 것으로 판단하여 구조대 출동 요청 등과 같은 구조 요청 신호를 원격 단말기(20)로 송신할 수 있다.When the tube 15 is inflated and the survivor grips the inflated tube 15 (that i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ube 15 changes from the first value to the second value and changes back to the third value) case), the control unit 13 may transmit a rescue request signal such as a rescue team call request to the remote terminal 20 by determining that the person in distress has secured the inflated tube 15 .

이렇게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조난자의 튜브 파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조난자 주변에 복수의 키트가 있는 경우 보다 신속하게 조난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By using the pressure sensor to determine whether the victim is holding the tube, it is possible to more quickl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person in distress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kits around the person in distress.

예를 들어, 해상 전복 사고 발생 시, 인명구조를 하기 위해 여러 개의 키트(10)를 조난자가 있는 쪽으로 던져주거나 운반체를 통해 전달해주게 되는데, 이때, 각 키트(10)에서 센싱된 GPS 위치 정보가 발산되어 여러 개의 키트(10) 중에서 어떤 키트(10)에 조난자가 있는지(즉, 조난자가 어떤 튜브(15)를 잡고있는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게 되어 단말기(20)가 조난자의 상태를 모니터링을 함에 있어서 어려움을 줄 수가 있다. For example, when a sea overturn accident occurs, several kits 10 are thrown to the side of the survivor or delivered through a carrier in order to save lives. At this time,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sensed by each kit 10 is emitted. As a result, it is im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which kit 10 among several kits 10 has a survivor (that is, which tube 15 the survivor is holding), so that the terminal 20 monitors the condition of the survivor. There may be difficulties with

따라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튜브(15)에 가해지는 압력 변화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조난자가 여러 개의 튜브(15)에서 어떤 튜브(15)를 파지했는지를 파악할 수가 있고, 해당 튜브(10)가 발산하는 GPS 위치 정보만을 추적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인명구조를 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pressure change applied to the tube 15 is sensed using the pressure sensor, a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ich tube 15 the victim has gripped from several tubes 15, and the tube 10 is It is possible to save lives quickly and efficiently by tracking only the emitted GPS location information.

3) 가속도 센서 또는 진동감지 센서를 이용한 모니터링3) Monitoring using acceleration sensor or vibration sensor

제어부(13)는 가속도 센서를 통해 상기 조난자의 가속도 변화 정보를 센싱하고, 진동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조난자의 충격 발생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이때, 가속도 센서 및 진동감지 센서는 제1 센서부(14)에 포함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 may sense the acceleration change information of the victim through an acceleration sensor, and sense the shock occurrence information of the victim through a vibration sensor. In this case,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vibration sensor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sensor unit 14 .

제어부(13)는 상기 센싱된 가속도 변화 정보를 기초로 이상 상황을 감지하여 상기 원격 단말기(20)로 구조 요청 신호 또는 추가 조치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3 may detect an abnormal situation based on the sensed acceleration change information and transmit a rescue request signal or an additional action request signal to the remote terminal 20 .

여기서, 이상 상황은 조난 발생 상황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수상이나 해상에서의 전복 또는 익수 사고 발생 상황, 또는 산악지역에서의 낙상 또는 실족 사고 발생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abnormal situation means a distress situation, for example, a situation in which an overturning or drowning accident occurs on water or at sea, or a situation in which a fall or trip accident occurs in a mountainous area.

즉, 사고 발생 시, 예를 들어 배에서의 추락, 갯바위 혹은 절벽에서의 낙상 사고 등의 발생 시, 조난자가 소지하고 있는 키트(10)의 가속도 변화를 통해 이상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That is, when an accident occurs, for example, when a fall from a boat, a fall from a rock or cliff, etc. occur, an abnormal situation can be detected through a change in the acceleration of the kit 10 carried by the person in distress.

보다 상세하게, 조난자가 소지하고 있는 키트(10)의 가속도가 일정한 값을 유지하다가 급격하게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차이로 커지면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acceleration of the kit 10 carried by the distressed person maintains a constant value and suddenly increases to a differenc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it can be determined that an abnormal situation has occurred.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는 상기 가속도 변화 정보 및 상기 충격 발생 정보를 조합하여 이상 상황을 감지하고, 이상 상황이 감지되면 원격 단말기(20)로 상기 구조 요청 신호 또는 상기 추가 조치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13 detects an abnormal situation by combining the acceleration change information and the shock occurrence information, and when an abnormal situation is detected, the rescue request signal or the additional action request signal to the remote terminal 20 You can also send

즉, 사고 발생 시, 예를 들어 배에서의 추락, 갯바위 혹은 절벽에서의 낙상 사고 등의 발생 시, 조난자가 소지하고 있는 키트(10)의 가속도 변화와 흔들림 세기를 통해 이상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That is, when an accident occurs, for example, when a fall from a ship, a fall from a rock or cliff, etc. occurs, an abnormal situation can be detected through the change in acceleration and the intensity of the shaking of the kit 10 carried by the person in distress. .

보다 상세하게, 조난자가 소지하고 있는 키트(10)의 가속도가 일정한 값을 유지하다가 급격하게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차이로 커지는 동시에, 흔들림 세기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커지면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t can be determined that an abnormal situation has occurred when the acceleration of the kit 10 carried by the distressed person maintains a constant value and abruptly increases to a differenc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and at the same time, the shaking intensity becomes greater than a preset valu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리 인식 센서, 압력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진동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조난자의 이상 상황을 감지하고, 상황에 따라 구조 요청 신호 또는 추가 조치 요청 신호를 원격 단말기로 송신함으로써 원격 단말기(20)가 조난자의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 제1 센서부(14) 및 제2 센서부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들 중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한 센싱 결과를 이용하여 조난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ound recognition sensor, a pressure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vibration sensor to detect an abnormal situation of a distressed person, and according to the situation, by transmitting a rescue request signal or an additional action request signal to the remote terminal, Although the terminal 20 may be able to monitor the situation of the person in distr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sensor unit 14 and the second sensor unit use one or more sensors among a plurality of sensors included in any one. It is also possible to monitor the condition of the distressed by using the sensing result.

한편, 케이스(11)는 상부면에 형성된 관절 구조의 링크를 이용하여 운반체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키트(10)가 조난자에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ase 11 is formed to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carrier by using the link of the joint structu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kit 10 can be delivered to the survivor.

상술한 바와 같이, 조난자는 이미 인명구조용 키트(10)를 소지한 상태에서 조난 상황에 처할 수도 있지만, 키트(10)를 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조난 상황에 처할 수도 있다. 이럴 때 운반체(예를 들어, 드론)를 통해 조난자에게 키트(10)를 전달해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erson in distress may already be in distress while carrying the lifesaving kit 10 , but may be in distress without the kit 10 . In this case, the kit 10 may be delivered to the victim through a carrier (eg, a drone).

이러한 경우를 위해 키트(10)의 상부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 구조의 링크(116)가 포함되어, 운반체와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절 구조의 링크(116)의 회동 또는 수평 이동을 통해 키트(10)가 운반체와 결합 및 분리됨으로써 키트(10)는 해상 또는 수상, 산간지역에서 발생한 조난 사고의 조난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For this case, the upper surface of the kit 10 includes a link 116 of a joint structure as shown in FIG. 5 , and may be formed to enable coupling and separation with the carrier. Specifically, through the rotation or horizontal movement of the link 116 of the joint structure, the kit 10 is combined with and separated from the carrier, so that the kit 10 can be delivered to a distressed person in a distress accident occurring in the sea, water, or mountainous area. .

실시예에 따라, 키트(10)에 백신, 응급 약품 등이 내장될 수 있으며, 운반체를 통해 도서 지역에 있는 백신 또는 응급 약품 등을 쉽게 구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 해당 물품들을 전달해줄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vaccines, emergency medicines, etc. may be embedded in the kit 10 , and the products may be delivered to people who cannot easily obtain vaccines or emergency medicines in island areas through a carrier.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운반체에 의해 상기 키트(10)가 상기 조난자에게 전달 성공한 경우의 센싱 결과와 상기 운반체에 의해 상기 키트가 상기 조난자에게 전달 실패한 경우의 센싱 결과 간 차이를 학습하여 키트 전달 관련 제2 학습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3 determin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nsing result when the kit 10 is successfully delivered to the distressed by the carrier and the sensing result when the kit fails to be delivered to the distressed by the carrier. It is possible to build a second learning model related to kit delivery by learning.

즉, 제2 학습모델은 키트(10) 내에 제1 센서부(14) 또는 제2 센서부(16)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한 전달 성공 시 센싱 결과와 전달 실패 시 센싱 결과를 학습하고, 각 경우의 차이를 학습함으로써 구축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learning model provides a sensing result and a transmission failure when transmission is successful by at least one sensor among a plurality of sensors included in the first sensor unit 14 or the second sensor unit 16 in the kit 10 . It can be built by learning the sensing result and learning the difference in each case.

일 예로, 제2 학습모델은 GPS 위치 센서의 센싱 결과를 이용하여 조난자에게 전달 성공했을 때의 키트(10)의 움직임과 전달 실패했을 때의 키트(10)의 움직임을 데이터화하고 학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learning model may use the sensing result of the GPS location sensor to data and learn the movement of the kit 10 when delivery to the distressed is successful and the movement of the kit 10 when delivery is unsuccessful.

다른 예로, 제2 학습모델은 중력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조난자에게 전달 성공했을 때와 실패했을 때 키트(10)의 중력차이로 인한 가속도 또는 움직임 차이를 데이터화하고 학습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econd learning model may use a gravity sensor or an acceleration sensor to data and learn the difference in acceleration or movement due to the difference in gravity of the kit 10 when delivery to the distressed is successful and when it fails.

제어부(13)는 키트(10) 전달 시 키트(10)로부터 실시간으로 송신되는 센싱 결과들을 제2 학습모델을 통해 분석하고 올바른 경로를 예측함으로써 키트(10) 전달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 may increase the kit 10 delivery success rate by analyzing the sensing results transmitted in real time from the kit 10 through the second learning model and predicting the correct path when the kit 10 is delivered.

한편, 상기 원격 단말기(20)는, 인명구조용 키트(10)에 포함된 소모품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키트(10)를 관리할 수 있다.Meanwhile, the remote terminal 20 may manage the kit 10 using information related to consumables included in the lifesaving kit 10 .

구체적으로, 사용자 또는 구조자는 원격 단말기(20)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소모품, 예를 들어 튜브(15), 압축 가스 실린더 등의 교환 주기, 사용 이력 등의 유지보수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키트(10)의 소모품을 적절한 시기에 교체하거나 청소할 수 있다. 또한, 키트(10)의 배터리 충전 상황 및 키트(10)의 이동, 온/오프 상태, 사용 상황 등과 관련한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키트(10)를 관리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ser or the rescuer checks the maintenance information such as the replacement cycle and usage history of the consumables, for example, the tube 15, the compressed gas cylinder, etc. through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remote terminal 20, and through this The consumables of the kit 10 can be replaced or cleaned at an appropriate time. In addi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battery charging status of the kit 10 and movement, on/off status, and usage status of the kit 10 can be checked, and the kit 10 can be managed through this.

한편, 도 2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인명구조용 키트(10)는 제3 센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FIG. 2 , the lifesaving kit 1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sensor unit (not shown).

제3 센서부(미도시)는 상기 케이스(11)에 장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3 센서부(미도시)는 제1 부분(112)에 장착될 수 있다.A third sensor unit (not shown) may be mounted on the case 11 . In more detail, the third sensor unit (not shown) may be mounted on the first part 112 .

제3 센서부(미도시)는 인명구조용 키트(10) 내 정보, 인명구조용 키트(1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조난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센서부(미도시)는 GPS 위치 센서(position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진동감지 센서, 레이더 센서(radar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비전 센서, 수분 감응 센서, 소리 인식 센서, 압력 센서(pressure sensor),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sensor unit (not shown)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the lifesaving kit 10 ,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lifesaving kit 10 , and survivor information. For example, the third sensor unit (not shown) may include a GPS position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vibration sensor, a radar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 vision sensor, and moisture. Sensitive sensor, sound recognition sensor, pressure sensor, proximity sensor, illumination sensor, touch sensor, magnetic sensor, gravity sensor (G-sensor), Gyroscope sensor, motion sensor, RGB sensor, infrared sensor (IR sensor), fingerprint sensor (finger scan sensor), optical sensor (optical sensor), battery gauge , at least one of an environmental sensor (eg, barometer, hygrometer, thermometer, radiation detection sensor, thermal sensor, gas detection sensor, etc.), chemical sensor (eg, electronic nose, healthcare sensor, biometric sensor, etc.) may include.

제3 센서부(미도시)는 상기 비전 센서를 이용하여 조난 상황 영상을 센싱할 수 있다. 이때, 비전 센서에는 일반 카메라 모듈(EO) 및 열화상 카메라 모듈(IR)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A third sensor unit (not shown) may sense a distress situation image using the vision sensor. In this case, the vision sensor may include a general camera module (EO) and a thermal imaging camera module (IR).

즉, 제어부(13)는 비전 센서에 포함된 일반 카메라 모듈(EO) 및 열화상 카메라 모듈(IR)에 의해 촬영된 조난 상황 영상을 원격 단말기(20)로 송신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ler 13 may transmit the distress situation image captured by the general camera module EO and the thermal imaging camera module IR included in the vision sensor to the remote terminal 20 .

이에 따라, 원격 단말기(20)로 수신된 조난 상황 영상을 통해 사용자 또는 구조자는 조난 상황을 시각적으로도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or the rescuer can visually monitor the distress situation through the distress situation image received by the remote terminal 20 .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는 일반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일반 영상의 화질 또는 해상도에 따라, 상기 일반 영상 또는 열화상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열화상 영상을 원격 단말기(2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조난 상황 영상은 상기 일반 영상 또는 상기 열화상 영상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13 may transmit the general image or the thermal image photographed by the thermal imaging camera module to the remote terminal 20 according to the quality or resolution of the general image photographed by the general camera module. can In this case, the distress situation image may be the general image or the thermal image image.

일 예로, 제어부(13)는 날씨, 사고 현장 상황 등 다양한 이유에 의해 일반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일반 영상의 화질 또는 해상도가 미리 설정된 수준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를 판단하여, 화질 또는 해상도가 떨어지는 일반 영상 대신 열화상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열화상 영상을 원격 단말기(20)로 송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3 determines a case in which the image quality or resolution of a general image captured by the general camera module falls below a preset level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weather, accident site situation, etc., and the general image with reduced image quality or resolution Instead, the thermal image captured by the thermal imaging camera module may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terminal 20 .

다른 예로, 제어부(13)는 날씨, 사고 현장 상황 등 다양한 이유에 의해 일반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일반 영상의 화질 또는 해상도가 미리 설정된 수준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를 판단하여, 화질 또는 해상도가 떨어지는 일반 영상과 함께 열화상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열화상 영상도 원격 단말기(20)로 송신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13 determines a case in which the image quality or resolution of a general image captured by the general camera module falls below a preset level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weather, accident scene situation, etc. The thermal image taken by the thermal imaging camera module may also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terminal 20 together with.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In the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know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 시스템
10: 인명구조용 키트
11: 케이스
12: 통신부
13: 제어부
14: 제1 센서부
15: 튜브
16: 제2 센서부
20: 원격 단말기
30: 통신망
1: system
10: lifesaving kit
11: case
12: communication department
13: control
14: first sensor unit
15: tube
16: second sensor unit
20: remote terminal
30: communication network

Claims (11)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통신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제어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고, GPS 위치 센서를 이용하여 조난자의 위치 정보를 센싱하는 제1 센서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고, 물과 접촉 시 팽창되어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되는 튜브; 및
상기 튜브에 장착되는 제2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2 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센싱 결과를 기초로 조난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원격 단말기로 상기 조난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구조 요청 신호 또는 추가 조치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부면에 형성된 관절 구조의 링크를 이용하여 운반체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키트가 상기 조난자에게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반체에 의해 상기 키트가 상기 조난자에게 전달 성공한 경우의 센싱 결과와 상기 운반체에 의해 상기 키트가 상기 조난자에게 전달 실패한 경우의 센싱 결과 간 차이를 학습하여 키트 전달 관련 제2 학습모델을 구축하는,
조난자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인명구조용 키트.
case;
a communication unit built into the case;
a control unit built into the case;
a first sensor unit embedded in the case and configured to sens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ictim using a GPS location sensor;
a tube embedded in the case, expanded when in contact with water and separated from the case; and
Including; a second sensor unit mounted on the tube;
The control unit is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person in distress based on the sensing result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second sensor unit,
Transmitting a rescue request signal or additional ac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istressed to the remot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based on the determined result;
The case is
It is formed so that it can be combined with and separated from the carrier using the link of the joint structu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kit is delivered to the victim,
The control unit is
Building a second learning model related to kit delivery by lear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nsing result when the kit is successfully delivered to the distressed by the carrier and the sensing result when the kit fails to be delivered to the distressed by the carrier
Lifesaving kit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the survivor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는, 소리 인식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리 인식 센서를 통해 주변 환경 소리 및 조난자 음성 중 적어도 하나의 소리 정보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소리 정보를 기초로 소리 인식 관련 제1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조난자의 이상 상황을 감지하고, 상기 원격 단말기로 상기 구조 요청 신호 또는 상기 추가 조치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조난자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인명구조용 키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ensor unit includes a sound recognition sensor,
The control unit is
Sensing at least one sound information of an ambient environment sound and a voice of a survivor through the sound recognition sensor,
Detecting an abnormal situation of the distressed person using a first learning model related to sound recognition based on the sensed sound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rescue request signal or the additional action request signal to the remote terminal,
Lifesaving kit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the survivor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부는, 압력 센서 및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상기 튜브에 대한 압력 변화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압력 변화 정보를 기초로 상기 조난자의 튜브 파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결과를 기초로 상기 구조 요청 신호 또는 상기 추가 조치 요청 신호를 상기 원격 단말기로 송신하는,
조난자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인명구조용 키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sensor unit includes a pressure sensor and a communication module,
The control unit is
Receive pressure change information for the tub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Based on the pressure change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istressed person holds the tube,
Transmitting the rescue request signal or the additional action request signal to the remote terminal based on the determined result,
Lifesaving kit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the survivors.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변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튜브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1 값에서 제2 값으로 변화한 경우, 상기 튜브가 팽창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튜브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기 제2 값에서 제3 값으로 변화한 경우, 상기 조난자가 팽창된 튜브를 파지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튜브가 팽창했지만 상기 조난자가 팽창된 튜브를 파지하지 않은 경우, 상기 추가 조치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튜브가 팽창하고 상기 조난자가 팽창된 튜브를 파지한 경우, 상기 구조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조난자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인명구조용 키트.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ube changes from the first value to the second value based on the pressure change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tube is inflated, and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ube is changed from the second value to the third value. If it changes to a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survivor has grasped the inflated tube,
Based on the determined result, when the tube is inflated but the survivor does not grip the inflated tube, the additional action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and when the tube is inflated and the survivor grips the inflated tube, sending the rescue request signal,
Lifesaving kit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the survivor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는, 가속도 센서 및 진동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를 통해 상기 조난자의 가속도 변화 정보를 센싱하고, 상기 진동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조난자의 충격 발생 정보를 센싱하며,
상기 센싱된 가속도 변화 정보 및 상기 센싱된 충격 발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이상 상황을 감지하여 상기 원격 단말기로 상기 구조 요청 신호 또는 상기 추가 조치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조난자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인명구조용 키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ensor unit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vibration sensor,
The control unit is
sensing the acceleration change information of the victim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and sensing the shock occurrence information of the victim through the vibration sensor,
Detecting an abnormal situa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ensed acceleration change information and the sensed shock occurrenc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rescue request signal or the additional action request signal to the remote terminal,
Lifesaving kit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the survivor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발광체로 형성되는,
조난자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인명구조용 키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case is formed of a light emitting body,
Lifesaving kit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the survivor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압축 가스 실린더가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 단말기로부터 타공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압축 가스 실린더를 타공하여 상기 튜브가 팽창하도록 제어하는,
조난자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인명구조용 키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tube is equipped with a compressed gas cylinder,
The control unit, when receiving a perforation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terminal, perforating the compressed gas cylinder to control the tube to expand,
Lifesaving kit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the survivor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단말기는, 상기 키트에 포함된 소모품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키트를 관리하는,
조난자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인명구조용 키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remote terminal manages the kit using information related to consumables included in the kit.
Lifesaving kit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the survivor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제3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센서부는, 비전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전 센서에 의해 센싱된 조난 상황 영상 정보를 상기 원격 단말기로 송신하는,
조난자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인명구조용 키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kit further comprises a third sensor unit mounted on the case,
The third sensor unit includes a vision sensor,
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distress situation image information sensed by the vision sensor to the remote terminal;
Lifesaving kit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the survivors.
KR1020210025293A 2021-02-25 2021-02-25 Lifesaving kit for monitoring victim condition KR1024212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293A KR102421245B1 (en) 2021-02-25 2021-02-25 Lifesaving kit for monitoring victim condition
PCT/KR2022/002335 WO2022182056A1 (en) 2021-02-25 2022-02-17 Lifesaving device and lifesaving management ser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293A KR102421245B1 (en) 2021-02-25 2021-02-25 Lifesaving kit for monitoring victim cond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1245B1 true KR102421245B1 (en) 2022-07-18

Family

ID=82700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293A KR102421245B1 (en) 2021-02-25 2021-02-25 Lifesaving kit for monitoring victim cond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245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5436A (en) * 2005-12-01 2006-07-13 Mitsubishi Electric Corp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KR20160038960A (en) * 2014-09-30 2016-04-0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Mobile device for detecting dangerous situation using learning inform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613713B1 (en) 2014-07-20 2016-04-19 정종대 Send a distress signal and the laser beam Life-saving Inflatable raft
US20160340006A1 (en) * 2015-05-19 2016-11-24 Rujing Tang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and methods for use
KR20170003144U (en) * 2016-02-29 2017-09-06 김민주 Auxiliary hydraulic tube to Satellite transmitters
KR101912679B1 (en) * 2017-11-03 2018-10-29 염창준 Safety tube
KR101914490B1 (en) * 2017-11-14 2018-11-06 대한민국 Rescue tube
KR20190131322A (en) * 2018-05-16 2019-11-26 주식회사 오션앤테크 Buoyancy occurring device for life saving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5436A (en) * 2005-12-01 2006-07-13 Mitsubishi Electric Corp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KR101613713B1 (en) 2014-07-20 2016-04-19 정종대 Send a distress signal and the laser beam Life-saving Inflatable raft
KR20160038960A (en) * 2014-09-30 2016-04-0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Mobile device for detecting dangerous situation using learning inform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160340006A1 (en) * 2015-05-19 2016-11-24 Rujing Tang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and methods for use
KR20170003144U (en) * 2016-02-29 2017-09-06 김민주 Auxiliary hydraulic tube to Satellite transmitters
KR101912679B1 (en) * 2017-11-03 2018-10-29 염창준 Safety tube
KR101914490B1 (en) * 2017-11-14 2018-11-06 대한민국 Rescue tube
KR20190131322A (en) * 2018-05-16 2019-11-26 주식회사 오션앤테크 Buoyancy occurring device for life sav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2194B1 (en) Life-saving drone system and lifesaving method using thereof
KR101523704B1 (en) Distress signal transmitter and life jacket within the same
US11952088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scue mission assistance
KR101205411B1 (en) Real time location system and method in the sea using ultrasonic and RF signal
KR101064577B1 (en) System for rescuing distress by collapse
KR102116563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distress passenger of vessel
CN109866892A (en) A kind of Intelligent lifesaving clothing
KR20150118499A (en) Lifesaving system and methods using an Unmmanned Aerial Vehicle
KR101513896B1 (en)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sensing emergency situation and system for managing thereof
KR20220015771A (en) Method of monitering safety hook intelligently
KR102421245B1 (en) Lifesaving kit for monitoring victim condition
US1126388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device
KR102406660B1 (en) Monitoring system for rescue worker
KR10258249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afety management
KR20170000637A (en) Intergrated control system for processing emergency situation
KR20100028993A (en) Emergency aid system
WO2022182056A1 (en) Lifesaving device and lifesaving management server
KR20180010637A (en) Apparatus For Disaster Relief
KR101878309B1 (en) Safe warning apparatus and safe warn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20160001212U (en) Safety management device for workforce on conflagration field
KR102568689B1 (en) A Device for water rescue and system for water rescue using the same
KR102633185B1 (en) A Mayday System for Detecting a Drowned Man and Alarming Using A Mobile Device
CN109935051A (en) The anti-drowned salvage system of one kind
KR102477661B1 (en) Traumatic Brain Injury Detecting Apparatus and Detecting Method Using Thereof
KR102026345B1 (en) Automatic control device for ves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