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842B1 - 투수성 및 내구성이 개선된 보차도블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보차도블록 - Google Patents

투수성 및 내구성이 개선된 보차도블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보차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842B1
KR102420842B1 KR1020220014785A KR20220014785A KR102420842B1 KR 102420842 B1 KR102420842 B1 KR 102420842B1 KR 1020220014785 A KR1020220014785 A KR 1020220014785A KR 20220014785 A KR20220014785 A KR 20220014785A KR 102420842 B1 KR102420842 B1 KR 102420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lding
layer mortar
block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4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보콘크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보콘크리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보콘크리트
Priority to KR1020220014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8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6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97Press moulds; Press-mould and press-ram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2Moulds with adjustable parts specially for modifying at will the dimensions or form of the moulded articl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수성 및 내구성이 개선된 보차도블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보차도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측에 별도의 상판이 구비되지 않는 단일의 성형판이 적용된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내구성, 강도, 및 투수성이 개선된 보차도블록을 제조할 수 있는, 투수성 및 내구성이 개선된 보차도블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보차도블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투수성 및 내구성이 개선된 보차도블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보차도블록{Method for Manufacturing Block for Pedestrians and Vehicles with Improved Water Permeability and Durability, and Block for Pedestrians and Vehicles Thereof}
본 발명은 투수성 및 내구성이 개선된 보차도블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보차도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측에 별도의 상판이 구비되지 않는 단일의 성형판이 적용된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내구성, 강도, 및 투수성이 개선된 보차도블록을 제조할 수 있는, 투수성 및 내구성이 개선된 보차도블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보차도블록에 관한 것이다.
보차도블록은 보행자가 통행하는 보도 혹은 인도를 포장할 수 있는 토목자재로써, 몰탈 등을 양생하여 제조된다. 도시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보차도블록 등에 의한 포장면이 증가되어 열섬현상, 및 지하수 고갈현상이 발생되고 있어, 최근에는 보차도블록의 내부에 다수의 홀을 형성하여 투수성을 부여한 보차도블록 즉, 투수 보차도블록 혹은 투수블록이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은 투수 보차도블록 성형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는 복수의 핀이 배치된 밑판과 상기 핀에 상응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 상판을 이용하는 장치로써, 성형틀에 공급되는 몰탈을 밑판과 이송판에 타설하여 투수 보차도블록을 성형한 후에 밑판을 제거하여 투수 보차도블록을 상판을 통해 양생장으로 이송시킨다.
다만 이러한 방식은 밑판과 상판이 하나의 쌍을 이루고 있어 밑판에 배치되는 핀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상판을 제조해야 하고, 공정 중에 밑판 혹은 상판에 변형이 오는 경우 밑판과 상판이 서로 맞물리지 않아 장치의 동작이 중단될 수 있으며, 밑판에 배치되는 핀의 개수가 너무 많으면 상판에 핀의 개수에 상응하게 관통홀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상판이 휘어질 수 있는 문제점들이 있다.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1110163호
본 발명은 상측에 별도의 상판이 구비되지 않는 단일의 성형판이 적용된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내구성, 강도, 및 투수성이 개선된 보차도블록을 제조할 수 있는, 투수성 및 내구성이 개선된 보차도블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보차도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성형장치를 이용한 보차도블록의 제조방법으로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성형판을 작업대 상측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성형판 상측에 복수의 격벽에 의하여 내측공간이 분할된 성형틀을 배치하는 단계; 기초층몰탈공급부재가 이동하여 상기 성형판 상측에 기초층몰탈을 위치시키는 단계; 미장층몰탈공급부재가 이동하여 상기 기초층몰탈 상측에 미장층몰탈을 위치시키는 단계; 누름판이 제1누름판실린더에 의하여 하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미장층몰탈의 상면을 가압하는 단계; 상기 누름판과 상기 성형틀이 상기 제1누름판실린더에 의하여 상측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는 단계; 상기 성형판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성형틀 하측에 제1이송판을 위치시키고, 상기 성형판 하측에 제2이송판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성형틀이 상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내측공간에 끼어있는 보차도블록을 상기 제1이송판 상측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성형판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이송판과 상기 제2이송판을 우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성형장치를 이용한 보차도블록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성형장치는 성형판; 및 제1이송판과 제2이송판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장치는, 몸체부본체, 및 상기 몸체부본체의 양측 단부에 배치되는 작업대지지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일측면이 상기 작업대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걸림부; 일측면이 상기 작업대지지부 중 다른 하나의 내측면에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걸림부; 및 하측에 배치되는 몸체부고정부재가 상기 몸체부의 작업대지지부에 고정되고, 우측에 배치되는 성형판고정부재가 상기 성형판에 고정되어 상기 성형판을 상기 몸체부로부터 기설정된 간격만큼 상측방향으로 이격시키는 성형판이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성형장치는 상기 성형판이 상기 성형판고정부재에 의하여 상기 성형판이격부에 고정되고, 상기 성형판이격부가 상기 몸체부고정부재에 의하여 상기 몸체부에 고정되고, 상기 몸체부의 양측 단부에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가 고정되는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걸림부는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길이부재이고, 측면의 중심부에서 비교적 우측에 해당하는 지점이 상기 몸체부 좌측에 배치되는 작업대지지부의 내측면에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좌측 단부가 우측 단부 대비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걸림부는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길이부재이고, 측면의 중심부에서 비교적 우측에 해당하는 지점이 상기 몸체부 우측에 배치되는 작업대지지부의 내측면에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좌측 단부가 우측 단부 대비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성형장치는 상기 성형판이 상기 이송장치의 몸체부로부터 이격되어 고정되는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성형판과 상기 이송장치의 몸체부 사이에 상기 제1이송판을 배치할 수 있고, 상기 성형판과 상기 이송장치의 몸체부의 사이에 상기 제1이송판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성형장치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성형판과 상기 제1이송판이 함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성형장치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성형판은 좌측으로 이동하는 반면 상기 제1이송판은 상기 제2걸림부 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걸림부의 회전에 의하여 하면이 상기 제2걸림부의 상면을 슬라이딩하여 좌측 단부면이 상기 제2걸림부의 우측 단부면과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제1이송판의 좌측 단부면이 상기 제2걸림부의 우측 단부면과 접촉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이송판은 상기 제2걸림부가 고정된 형태에 의하여 상기 성형장치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상기 성형판과 상기 이송장치의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성형장치를 이용한 보차도블록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보차도블록으로서, 상기 보차도블록은,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성형판을 작업대 상측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성형판 상측에 복수의 격벽에 의하여 내측공간이 분할된 성형틀을 배치하는 단계; 기초층몰탈공급부재가 이동하여 상기 성형판 상측에 기초층몰탈을 위치시키는 단계; 미장층몰탈공급부재가 이동하여 상기 기초층몰탈 상측에 미장층몰탈을 위치시키는 단계; 누름판이 제1누름판실린더에 의하여 하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미장층몰탈의 상면을 가압하는 단계; 상기 누름판과 상기 성형틀이 상기 제1누름판실린더에 의하여 상측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는 단계; 상기 성형판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성형틀 하측에 제1이송판을 위치시키고, 상기 성형판 하측에 제2이송판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성형틀이 상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내측공간에 끼어있는 보차도블록을 상기 제1이송판 상측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성형판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이송판과 상기 제2이송판을 우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단계;에 의하여 제조되는, 보차도블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측에 별도의 상판이 구비되지 않는 단일의 성형판이 적용된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보차도블록을 제조함으로써, 보차도블록에 형성되는 투수홀의 크기 혹은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성형판의 일부가 변형되더라도 제조공정을 연속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성형장치의 성형판에 형성되는 돌기의 직경과 개수를 용이하게 변경함으로써 보차도블록의 투수성과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수홀이 형성되는 보차도블록을 제조할 때는 성형판을 이용하고, 투수홀이 형성되지 않는 보차도블록을 제조할 때는 성형판을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하나의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두 종류의 보차도블록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차도블록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차도블록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보차도블록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장치에 이송판이 공급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층몰탈공급부가 기초층몰탈공급부재로 기초층몰탈을 공급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층몰탈공급부재가 성형판에 기초층몰탈을 위치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판이 기초층몰탈을 가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장층몰탈공급부가 미장층몰탈공급부재로 미장층몰탈을 공급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장층몰탈공급부재가 기초층몰탈에 미장층몰탈을 위치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판이 미장층몰탈을 가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판과 성형틀이 상측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판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판이 하측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차도블록을 제1이송판 상측에 위치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판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이송판과 제2이송판을 우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종래에는 투수 보차도블록 제조 시 복수의 핀이 배치된 밑판과 상기 핀에 상응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 상판을 이용하는 성형장치가 적용된 제조장치를 이용하였다. 이는 성형틀에 공급되는 몰탈을 밑판과 상판에 타설하여 투수 보차도블록을 성형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상기 밑판과 상기 상판이 하나의 쌍으로 형성되어 있어, 다수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투수성과 내구성이 개선된 보차도블록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보차도블록 제조방법은 종래와는 상이한 구조를 갖는 성형장치(100)가 적용된 보차도블록 제조장치(1)를 이용하여 하측에 투수홀이 형성된 보차도블록(2)을 제조할 수 있고 상기 성형장치(100)는 단일의 성형판(120)이 적용되어 있어, 종래의 기술적 한계를 개선할 수 있는 기술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보차도블록 제조방법은 상측에 별도의 상판이 구비되지 않는 단일의 성형판(120)이 적용된 성형장치(100)를 이용함으로써 투수홀의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내구성, 강도, 및 투수성이 개선된 보차도블록(2)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차도블록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서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차도블록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장치(100)를 이용한 보차도블록의 제조방법은, 복수의 돌기(121)가 형성된 성형판(120)을 작업대(400) 상측에 배치하는 단계(S100); 상기 성형판(120) 상측에 복수의 격벽에 의하여 내측공간이 분할된 성형틀(130)을 배치하는 단계(S200); 기초층몰탈공급부재(220)가 이동하여 상기 성형판(120) 상측에 기초층몰탈을 위치시키는 단계(S300); 미장층몰탈공급부재(320)가 이동하여 상기 기초층몰탈 상측에 미장층몰탈을 위치시키는 단계(S400); 누름판(170)이 제1누름판실린더(140)에 의하여 하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미장층몰탈의 상면을 가압하는 단계(S500); 상기 누름판(170)과 상기 성형틀(130)이 상기 제1누름판실린더(140)에 의하여 상측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는 단계(S600); 상기 성형판(120)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성형틀(130) 하측에 제1이송판(510)을 위치시키고, 상기 성형판(120) 하측에 제2이송판(520)을 공급하는 단계(S700); 상기 성형틀(130)이 상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내측공간에 끼어있는 보차도블록(2)을 상기 제1이송판(510) 상측에 위치시키는 단계(S800); 및 상기 성형판(120)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이송판(510)과 상기 제2이송판(520)을 우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단계(S900);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00에서는, 복수의 돌기(121)가 형성된 성형판(120)을 작업대(400) 상측에 배치한다. 상기 복수의 돌기(121)는 상기 기초층몰탈, 혹은 상기 기초층몰탈과 상기 미장층몰탈의 일부에 삽입되어, 상기 기초층몰탈 혹은 상기 기초층몰탈과 상기 미장층몰탈의 일부에 투수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00는 상기 성형판(120)의 하측에 제1이송판(510)이 공급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200에서는, 상기 성형판(120) 상측에 복수의 격벽에 의하여 내측공간이 분할된 성형틀(130)을 배치한다. 상기 복수의 격벽은 후술하는 제조과정에서 상기 성형판(120) 상측에 몰탈이 위치하고 가압되는 경우에, 상기 성형틀(130) 내측공간을 분할하여 가압 이후에 1 이상의 보차도블록(2)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 S300에서는, 기초층몰탈공급부재(220)가 이동하여 상기 성형판(120) 상측에 기초층몰탈을 위치시킨다. 상기 기초층몰탈은 본 발명의 보차도블록(2)의 하층부를 구성하고, 상기 복수의 격벽에 의하여 상기 성형틀(130)의 분할된 내측공간 각각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차도블록의 제조방법은 상기 단계 S300을 수행하고나서 단계 S400을 수행하기 전에, 누름판(170)이 제1누름판실린더(140)에 의하여 하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기초층몰탈의 상면을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기초층몰탈이 기설정된 밀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단계에 해당하나, 실시예에 따라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단계 S400에서는, 미장층몰탈공급부재(320)가 이동하여 상기 기초층몰탈 상측에 미장층몰탈을 위치시킨다. 상기 미장층몰탈은 본 발명의 보차도블록(2)의 상층부를 구성하고, 상기 복수의 격벽에 의하여 상기 성형틀(130)의 분할된 내측공간 각각의 내부에 위치된 상기 기초층몰탈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단계 S500에서는, 누름판(170)이 제1누름판실린더(140)에 의하여 하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미장층몰탈의 상면을 가압한다. 이 단계에 의하여 상기 기초층몰탈과 상기 미장층몰탈은 기설정된 밀도를 가질 수 있도록 다져질 수 있고, 상기 성형판(120)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121)에 의하여 하측에 투수홀이 형성된 보차도블록의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단계 S600에서는, 상기 누름판(170)과 상기 성형틀(130)이 상기 제1누름판실린더(140)에 의하여 상측방향으로 함께 이동한다.
전술한 단계 S500에 따라 상기 기초층몰탈과 상기 미장층몰탈은 상기 누름판(170)에 의하여 하면에 복수의 투수홀이 형성된 보차도블록(2)의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보차도블록(2)은 상기 성형틀(130)의 내측공간 각각에 배치되어, 상기 성형틀(130)이 상기 제1누름판실린더(140)에 의하여 상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성형틀(130)의 상기 내측공간에 끼어진 상태로 상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단계 S600에서는 상기 누름판(170), 상기 성형틀(130), 및 상기 보차도블록(2)이 상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누름판(170)의 하측에는 상기 성형판(120), 및 상기 제1이송판(510)이 배치될 수 있다.
단계 S700에서는, 상기 성형판(120)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성형틀(130) 하측에 제1이송판(510)을 위치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성형판(120) 하측에 제2이송판(520)을 공급한다.
후술하는 성형장치(100)의 구조에 의하여, 상기 성형장치(100)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1이송판(510)은 남겨둔 상태에서 상기 성형판(120)만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성형판(120)이 좌측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전술한 단계 S100에서와 같이 상기 성형판(120)의 하측에 이송판(500)을 배치할 수 있고, 단계 S700에서는 상기 성형판(120)의 하측에 제2이송판(520)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단계 S700에서는 상기 누름판(170)의 하측에는 상기 제1이송판(510)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성형판(120)의 하측에는 상기 제2이송판(5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성형장치(100)의 구조와 동작상태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단계 S800에서는, 상기 성형틀(130)이 상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내측공간에 끼어있는 보차도블록(2)을 상기 제1이송판(510) 상측에 위치시킨다.
상기 성형틀(130)이 상측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누름판(170)은 하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성형틀(130)의 내측공간에 끼어있는 상기 보차도블록(2)은 상기 누름판(170)에 의하여 상기 성형틀(130)과 분리되어, 상기 제1이송판(510)의 상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단계 S900에서는, 상기 성형판(120)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이송판(510)과 상기 제2이송판(520)을 우측방향으로 이송시킨다.
후술하는 성형장치(100)의 구조에 의하여, 상기 성형장치(100)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성형판(120)은 우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성형장치(100)에 의하여 전술한 단계 S700에서 공급된 상기 제2이송판(520)이 상기 성형판(120)과 함께 우측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이송판(510)은 상기 성형장치(100)의 구조에 의하여 우측방향으로 이송되어, 상기 제1이송판(510)의 상측에 배치된 상기 보차도블록(2)을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차도블록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보차도블록(2)은 하측에 복수의 투수홀이 형성된 투수 보차도블록(2)에 해당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는 상이한 구조를 갖는 성형장치(100)가 적용된 보차도블록 제조장치(1)를 이용하여 투수성과 내구성이 개선된 보차도블록(2)를 제조할 수 있는 보차도블록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차도블록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보차도블록 제조장치(1)와 이에 적용된 성형장치(100)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차도블록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보차도블록 제조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차도블록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보차도블록 제조장치(1)는 성형장치(100); 기초층몰탈공급장치(200); 미장층몰탈공급장치(300); 작업대(400); 및 이송판(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형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이송판(510)과 제2이송판(520)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110); 복수의 돌기(121)가 형성된 성형판(120); 복수의 격벽에 의하여 내측공간이 분할된 성형틀(130); 제1누름판실린더(140); 상기 제1누름판실린더(140)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누름판실린더(140)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누름판본체(150); 상기 누름판본체(150)의 하측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2누름판실린더(160); 및 상기 복수의 제2누름판실린더(160) 각각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2누름판실린더(160)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복수의 누름판(1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형장치(100)는 상기 기초층몰탈공급장치(200)와 상기 미장층몰탈공급장치(300)에 의하여 상기 성형판(120) 상측에 각각 기초층몰탈과 미장층몰탈이 위치하게 되면, 상기 기초층몰탈과 상기 미장층몰탈을 상기 제1누름판실린더(140)와 상기 제2누름판실린더(160)에 의하여 상하이동하는 상기 누름판(170)으로 가압하여 보차도블록(2)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구성이다.
상기 성형장치(100)는 상기 이송장치(110)의 구조에 의하여 상측에 별도의 상판이 구비되지 않는 단일의 성형판(120)을 이용하여 보차도블록(2)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110)의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기초층몰탈공급장치(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내부에 수용되는 기초층몰탈을 하측으로 공급하는 기초층몰탈공급부(210); 상기 기초층몰탈공급부(2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기초층몰탈공급부(210)로부터 상기 기초층몰탈을 공급받은 후에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성형판(120) 상측에 상기 기초층몰탈을 위치시키는 기초층몰탈공급부재(220); 및 상기 기초층몰탈공급부재(220)의 하측에 배치되어, 기초층몰탈공급부(210)에 의하여 상기 기초층몰탈공급부재(220)로 공급되는 상기 기초층몰탈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기초층몰탈지지판(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초층몰탈공급장치(200)는 상기 기초층몰탈지지판(230)의 상측으로 상기 기초층몰탈을 공급한 후에, 상기 기초층몰탈공급부재(220)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성형판(120) 상측에 기초층몰탈을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미장층몰탈공급장치(3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내부에 수용되는 미장층몰탈을 하측으로 공급하는 미장층몰탈공급부(310); 상기 미장층몰탈공급부(3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미장층몰탈공급부(310)로부터 상기 미장층몰탈을 공급받은 후에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성형판(120) 상측에 상기 미장층몰탈을 위치시키는 미장층몰탈공급부재(320); 및 상기 미장층몰탈공급부재(320)의 하측에 배치되어, 미장층몰탈공급부(310)에 의하여 상기 미장층몰탈공급부재(320)로 공급되는 상기 미장층몰탈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미장층몰탈지지판(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장층몰탈공급장치(300)는 상기 미장층몰탈지지판(330)의 상측으로 상기 미장층몰탈을 공급한 후에, 상기 미장층몰탈공급부재(320)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기초층몰탈 상측에 미장층몰탈을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작업대(4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초층몰탈공급장치(200)와 상기 미장층몰탈공급장치(300)의 하측에 배치되어 중심부가 상기 성형장치(10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이송판(5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이송판(510) 및 제2이송판(52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성형장치(100)에 의하여 하나의 보차도블록(2) 세트가 제조될 때마다 하나의 이송판(500)이 개별적으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성형장치(100), 상기 기초층몰탈공급장치(200), 상기 미장층몰탈공급장치(300), 상기 작업대(400), 및 상기 이송판(500)을 포함하는 상기 보차도블록 제조장치(1)는, 본 발명의 보차도블록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보차도블록(2)을 제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성형장치(100)는 성형판(120); 및 제1이송판(510)과 제2이송판(520)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110);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장치(110)는, 몸체부본체(111.1), 및 상기 몸체부본체(111.1)의 양측 단부에 배치되는 작업대지지부(111.2)를 포함하는 몸체부(111); 일측면이 상기 작업대지지부(111.2)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걸림부(112); 일측면이 상기 작업대지지부(111.2) 중 다른 하나의 내측면에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걸림부(113); 및 하측에 배치되는 몸체부고정부재(114.2)가 상기 몸체부(111)의 작업대지지부(111.2)에 고정되고, 우측에 배치되는 성형판고정부재(114.3)가 상기 성형판(120)에 고정되어 상기 성형판(120)을 상기 몸체부(111)로부터 기설정된 간격만큼 상측방향으로 이격시키는 성형판이격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1)는 몸체부본체(111.1), 및 상기 몸체부본체(111.1)의 양측 단부에 배치되는 작업대지지부(111.2)를 포함한다.
상기 작업대지지부(111.2)는 상기 몸체부본체(111.1)의 좌측 단부에 배치되고, E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좌측작업대지지부(111.21); 및 상기 몸체부본체(111.1)의 우측 단부에 배치되고, ㄷ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우측작업대지지부(111.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상기 작업대지지부(111.2)는 상기 몸체부본체(111.1)의 내측에서 상기 작업대(400)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걸림부(112)는 일측면이 상기 작업대지지부(111.2)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제1걸림부(112)는 상기 몸체부본체(111.1)의 좌측 단부에 배치되는 좌측작업대지지부(111.21)의 내측면에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걸림부(112)는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길이부재이고, 측면의 중심부에서 비교적 우측에 해당하는 지점이 상기 몸체부(111) 좌측에 배치되는 작업대지지부(111.2)의 내측면에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좌측 단부가 우측 단부 대비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제1걸림부(112)는 도 3에서와 같이 우측 단부면이 상기 성형판(120)의 좌측 단부면과 접촉한다.
상기 제2걸림부(113)는 일측면이 상기 작업대지지부(111.2) 중 다른 하나의 내측면에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제2걸림부(113)는 상기 몸체부본체(111.1)의 우측 단부에 배치되는 우측작업대지지부(111.22)의 내측면에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걸림부(113)는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길이부재이고, 측면의 중심부에서 비교적 우측에 해당하는 지점이 상기 몸체부(111) 우측에 배치되는 작업대지지부(111.2)의 내측면에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좌측 단부가 우측 단부 대비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부(113)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1걸림부(112)의 우측 단부면이 상기 성형판(120)의 좌측 단부면과 접촉하는 경우에는, 상기 성형판(120)과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성형판이격부(114)는 하측에 배치되는 몸체부고정부재(114.2)가 상기 몸체부(111)의 작업대지지부(111.2)에 고정되고, 우측에 배치되는 성형판고정부재(114.3)가 상기 성형판(120)에 고정되어 상기 성형판(120)을 상기 몸체부(111)로부터 기설정된 간격만큼 상측방향으로 이격시킨다. 상기 성형판이격부(114)에 의하여 상기 성형판(120)과 상기 몸체부본체(111.1)의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이격공간의 높이는 이송판(500)의 두께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성형장치(100)는 상기 성형판(120)이 상기 성형판고정부재(114.3)에 의하여 상기 성형판이격부(114)에 고정되고, 상기 성형판이격부(114)가 상기 몸체부고정부재(114.2)에 의하여 상기 몸체부(111)에 고정되고, 상기 몸체부(111)의 양측 단부에 상기 제1걸림부(112)와 상기 제2걸림부(113)가 고정되는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직경이 작은 투수홀이 다수 형성된 보차도블록(2)이 직경이 큰 투수홀이 소수 형성된 보차도블록(2) 대비 비교적 강도와 투수력이 우수하다.
종래에는 밑판과 상판이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밑판에 배치되는 핀의 직경과 개수를 변경하면 상기 상판을 새로 제작할 필요가 있었다. 만약 상판을 새로 제작하더라도 상기 핀에 상응하는 홀이 기설정된 크기 이하의 직경을 갖거나 임계개수 이상의 개수로 형성되는 경우엔 상기 상판이 휘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성형장치(100)의 구조에 의하여 상기 성형판(120)의 상측에 별도의 상판이 배치되지 않더라도 보차도블록(2)을 성형할 수 있어,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보차도블록(2)에 형성되는 투수홀의 직경과 개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투수홀의 직경과 개수를 변경하는 경우에 상기 성형판(120)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121)만을 변경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보차도블록(2)의 강도, 내구성, 및 투수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들어, 강수량이 많은 지역에 보차도블록(2)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돌기(121) 각각의 직경을 줄이고 개수를 늘린 성형판(120)을 이용하여 보차도블록(2)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핀이 배치된 밑판과 상기 핀에 상응하는 홀이 형성된 상판이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밑판 혹은 상기 상판이 변형되는 경우에 상기 핀과 상기 홀이 서로 맞물리지 않아 보차도블록 제조장치(1)의 작동이 중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성형장치(100)의 구조에 의하여 상기 성형판(120)의 복수의 돌기(121) 중 일부가 변형되더라도 보차도블록 제조장치(1)의 작동이 중단되지 않아 연속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차도블록 제조방법은 상측에 별도의 상판이 구비되지 않는 단일의 성형판(120)이 적용된 성형장치(100)를 이용하여 보차도블록(2)을 제조함으로써, 보차도블록(2)에 형성되는 투수홀의 크기 혹은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성형판(120)의 일부가 변형되더라도 제조공정이 연속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장치(100)의 성형판(120)에 형성되는 돌기(121)의 직경과 개수를 용이하게 변경함으로써 보차도블록(2)의 투수성과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장치(100)에 이송판(500)이 공급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형장치(100)는 상기 성형판이격부(114)에 의하여 상기 성형판(120)과 상기 이송장치(110)의 몸체부(111)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에 이송판(500)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이송판(500)은 상기 성형판(120)의 하측에 배치되어 하면이 상기 몸체부본체(111.1)의 상면과 접촉하고, 좌측 단부면이 상기 제1걸림부(112)의 우측 단부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판(500)은 상면이 상기 성형판(120)의 하면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하면이 상기 몸체부본체(111.1)의 상면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성형장치(100)에서 상기 성형판(120)을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판(500) 상측에서 보차도블록(2)이 성형될 수 있어, 하면에 투수홀이 형성되지 않은 보차도블록(2)을 제조할 수 있다. 즉 투수홀이 형성되는 보차도블록(2)을 제조할 때는 성형판(120)을 이용하고, 투수홀이 형성되지 않는 보차도블록(2)을 제조할 때는 성형판(120)을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하나의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두 종류의 보차도블록(2)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장치(10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a)는 상기 성형장치(100)가 제1동작상태로 동작하는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성형장치(100)가 제1동작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성형판(120)의 하측에 제1이송판(510)이 배치되고, 상기 성형판(120) 및 상기 제1이송판(510)의 좌측 단부면이 상기 제1걸림부(112)의 우측 단부면에 접촉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제1동작상태에서는 상기 성형장치(100)가 우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도 5(b)는 상기 성형장치(100)가 제1동작상태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동작상태로 동작하는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성형장치(100)가 제2동작상태인 경우에는 이송장치(110)가 상기 제1동작상태 대비 우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성형판(120)은 상기 이송장치(110)에 고정되어 상기 이송장치(110)에 의하여 우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성형판(120) 하측에 배치된 상기 제1이송판(510)은 좌측 단부면이 상기 제1걸림부(112)의 우측 단부면에 걸려있어 상기 제1걸림부(112)에 의하여 우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제2동작상태에서는 상기 성형장치(100)가 좌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도 5(c)는 상기 성형장치(100)가 제2동작상태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동작상태로 동작하는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성형장치(100)가 제3동작상태인 경우에는 이송장치(110)가 상기 제2동작상태 대비 좌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성형판(120)은 상기 이송장치(110)에 고정되어 상기 이송장치(110)에 의하여 좌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성형판(120)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이송판(510)은 상기 이송장치(110)에 고정되어 있지 않아 상기 이송장치(110)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제2동작상태에서의 위치를 유지하고, 상기 이송장치(110)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하면이 상기 이송장치(110)의 제2걸림부(113)의 상면을 슬라이딩하여 상기 이송장치(110)의 우측 바깥으로 배치되고, 상기 이송장치(110)의 우측 바깥에서 좌측 단부면이 상기 제2걸림부(113)의 우측 단부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부(113)는, 상기 제1이송판(510)이 상기 제2걸림부(113)의 상면을 슬라이딩하는 경우에 상기 작업대지지부(111.2)의 내측면에서 축방향으로 회전하여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되었다가, 상기 제1이송판(510)이 상기 이송장치(110)의 우측 바깥으로 배치된 이후에는 다시 좌측 단부가 우측 단부 대비 하측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이송판(510)은 상기 성형장치(100)가 제3동작상태로 동작할 때 상기 성형장치(100)의 우측 바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형판(120)과 상기 이송장치(110)의 몸체부(111)의 사이에 상기 제1이송판(510)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성형장치(100)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성형판(120)과 상기 제1이송판(510)이 함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성형장치(100)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성형판(120)은 좌측으로 이동하는 반면 상기 제1이송판(510)은 상기 이송장치(110)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걸림부(113)의 회전에 의하여 하면이 상기 제2걸림부(113)의 상면을 슬라이딩하여 좌측 단부면이 상기 제2걸림부(113)의 우측 단부면과 접촉할 수 있다.
도 5(d)는 상기 성형장치(100)가 제3동작상태로 동작한 상태에서, 상기 성형판(120) 하측에 제2이송판(520)이 공급되는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성형장치(100)는 제3동작상태로 동작하여 상기 제1이송판(510)을 상기 성형장치(100)의 우측 바깥으로 배치시킨 후에, 상기 제2이송판(520)을 상기 성형판(120) 하측에 공급할 수 있다.
도 5(d)에 도시된 상기 성형장치(100)는 전술한 도 5(a)에 도시된 성형장치(100)에 상응하는 상태에 해당한다. 즉 상기 성형장치(100)는 성형판(120) 하측에 배치된 기존의 이송판(500)을 우측 바깥으로 이송하여 배치시키고 나서 상기 성형판(120) 하측에 새로운 이송판(500)을 공급하는 제1동작상태로 다시 동작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제2동작상태와 상기 제3동작상태로 연속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이송판(510)의 좌측 단부면이 상기 제2걸림부(113)의 우측 단부면과 접촉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이송판(510)은 상기 제2걸림부(113)가 고정된 형태에 의하여 상기 성형장치(100)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상기 성형판(120)과 상기 이송장치(110)의 몸체부(111) 사이에 배치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보차도블록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상기 성형장치(10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상측에 별도의 상판을 구비하지 않는 단일의 성형판(120)을 이용하여 하측에 투수홀이 형성된 보차도블록(2)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차도블록의 제조방법을, 상기 성형장치(100)가 적용된 보차도블록 제조장치(1)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실시예를 다수의 도면을 통해 서술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층몰탈공급부(210)가 기초층몰탈공급부재(220)로 기초층몰탈을 공급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6은 상기 성형장치(100)가 제2동작상태로 동작한 상태에서, 전술한 단계 S100 및 단계 S200을 수행하여 성형판(120) 및 성형틀(130)을 배치하고, 상기 기초층몰탈공급부재(220)로 상기 기초층몰탈이 공급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기초층몰탈은 상기 기초층몰탈공급부(210)로부터 토출되어 상기 기초층몰탈공급부재(220)의 내측공간에 수용되고, 하측에 배치된 기초층몰탈지지판(230)에 의하여 지지된다.
도 6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성형장치(100)가 제2동작상태로 동작함에 따라 상기 성형판(120)의 하측에 제1이송판(510)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층몰탈공급부재(220)가 성형판(120)에 기초층몰탈을 위치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전술한 단계 S300이 수행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때 상기 성형장치(100)는 상기 기초층몰탈공급부재(220)에 의하여 성형판(120) 상측에 기초층몰탈을 위치시킬 수 있고, 상기 기초층몰탈공급부재(220)는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판(170)이 기초층몰탈을 가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전술한 단계 S300가 수행된 이후에 상기 기초층몰탈공급부재(220)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누름판(170)이 제1누름판실린더(140)에 의하여 하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기초층몰탈을 가압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는 상기 기초층몰탈이 기설정된 밀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나, 실시예에 따라 생략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장층몰탈공급부(310)가 미장층몰탈공급부재(320)로 미장층몰탈을 공급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9는 전술한 단계 S300가 수행되거나 혹은 단계 S300 이후에 기초층몰탈을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미장층몰탈공급부재(320)로 상기 미장층몰탈이 공급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미장층몰탈은 상기 미장층몰탈공급부(310)로부터 토출되어 상기 미장층몰탈공급부재(320)의 내측공간에 수용되고, 하측에 배치된 미장층몰탈지지판(330)에 의하여 지지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장층몰탈공급부재(320)가 기초층몰탈에 미장층몰탈을 위치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전술한 단계 S400이 수행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때, 상기 성형장치(100)는 상기 미장층몰탈공급부재(320)에 의하여 성형판(120) 상측에 미장층몰탈을 위치시킬 수 있고, 상기 미장층몰탈공급부재(320)는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판(170)이 미장층몰탈을 가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전술한 단계 S400이 수행된 이후에 상기 미장층몰탈공급부재(320)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전술한 단계 S500이 수행되어 상기 누름판(170)이 제1누름판실린더(140)에 의하여 하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미장층몰탈을 가압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와 같이 성형틀(130)의 내측공간 각각에 수용된 미장층몰탈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성형장치(100)는 상기 기초층몰탈과 상기 미장층몰탈을 보차도블록(2)의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보차도블록(2)은 상기 성형판(120)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121)에 의하여 상기 기초층몰탈, 혹은 상기 기초층몰탈과 상기 미장층몰탈의 일부에 상기 복수의 돌기(121)에 상응하는 복수의 투수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판(170)과 성형틀(130)이 상측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a)는 전술한 단계 S600이 수행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2는 누름판(170)이 제1누름판실린더(140)에 의하여 상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성형틀(130)이 상기 누름판(170)과 함께 상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때 상기 누름판(170)과 상기 성형틀(130)의 사이에는 이격되는 공간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판(170)과 성형틀(130)을 확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누름판(170)과 상기 성형틀(130)이 제1누름판실린더(140)에 의하여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누름판(170)의 하측에는 성형판(120)이 배치되고 상기 성형판(120)의 하측에는 제1이송판(510)이 배치된다. 이때 상기 누름판(170)은 상기 성형틀(130)의 내측공간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고 있어 일부 혹은 전체가 상기 성형틀(130)의 내측공간에 수용되고, 하면이 상기 성형틀(130)의 내측공간에 배치되는 보차도블록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즉 도 13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성형틀(130)의 내측공간과 상기 누름판(170)의 하측에는 보차도블록(2)이 배치되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판(120)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은 전술한 단계 S700이 수행된 상태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도 13은 단계 S700이 수행됨에 따라 성형장치(100)가 제3동작상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성형장치(100)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성형판(120)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성형판(120) 하측에 배치된 상기 제1이송판(510)은 상기 이송장치(110)의 제2걸림부(113)의 형상에 의하여 상기 제2걸림부(113)의 상면을 슬라이딩하여 상기 누름판(170) 하측의 위치에 그대로 남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형장치(100)가 제3동작상태로 동작함에 따라 상기 성형판(120)의 하측에 제2이송판(520)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판(170)이 하측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는 전술한 단계 S800이 수행되는 상태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도 14는 누름판(170)이 하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성형틀(130)이 상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성형틀(130)의 내측공간에 끼어있는 보차도블록(2)을 탈형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차도블록(2)을 제1이송판(510) 상측에 위치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5는 도 14에 이어서 전술한 단계 S800이 수행되는 상태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도 15는 상기 성형틀(130)이 상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누름판(170)이 하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성형틀(130)의 내측공간에 끼어있는 보차도블록(2)이 상기 누름판(170)에 의하여 상기 성형틀(130)과 분리되어 상기 제1이송판(510)의 상측으로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판(120)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이송판(510)과 제2이송판(520)을 우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6은 상기 성형장치(100)가 제1동작상태로 동작한 상태에서, 전술한 단계 S900을 수행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와 같이 상기 성형장치(100)가 제1동작상태로 동작함에 따라, 상기 이송장치(110)는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이송장치(110)가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송장치(110)에 고정된 상기 성형판(120)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성형판(120)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걸림부(112)에 의하여 상기 제2이송판(520)이 상기 성형판(120)과 함께 우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이송장치(110)의 제2걸림부(113)에 의하여 상기 제1이송판(510)이 우측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어, 상기 제1이송판(510) 상측에 위치하는 보차도블록(2)을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성형장치(100)가 적용된 보차도블록 제조장치(1)가 도 6 내지 도 16에서와 같이 동작함에 따라 하측에 투수홀이 형성된 보차도블록(2)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측에 별도의 상판이 구비되지 않는 단일의 성형판이 적용된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보차도블록을 제조함으로써, 보차도블록에 형성되는 투수홀의 크기 혹은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성형판의 일부가 변형되더라도 제조공정을 연속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성형장치의 성형판에 형성되는 돌기의 직경과 개수를 용이하게 변경함으로써 보차도블록의 투수성과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수홀이 형성되는 보차도블록을 제조할 때는 성형판을 이용하고, 투수홀이 형성되지 않는 보차도블록을 제조할 때는 성형판을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하나의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두 종류의 보차도블록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보차도블록 제조장치
100: 성형장치
110: 이송장치
111: 몸체부 111.1: 몸체부본체
111.2: 작업대지지부 111.21: 좌측작업대지지부
111.22: 우측작업대지지부
112: 제1걸림부 113: 제2걸림부
114: 성형판이격부 114.1: 이격부본체
114.2: 몸체부고정부재 114.3: 성형판고정부재
120: 성형판 121: 돌기
130: 성형틀 140: 제1누름판실린더
150: 누름판본체 160: 제2누름판실린더
170: 누름판
200: 기초층몰탈공급장치
210: 기초층몰탈공급부 220: 기초층몰탈공급부재
230: 기초층몰탈지지판
300: 미장층몰탈공급장치
310: 미장층몰탈공급부 320: 미장층몰탈공급부재
330: 미장층몰탈지지판
400: 작업대
500: 이송판
510: 제1이송판 520: 제2이송판
2: 보차도블록

Claims (6)

  1. 성형장치를 이용한 보차도블록의 제조방법으로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성형판을 작업대 상측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성형판 상측에 복수의 격벽에 의하여 내측공간이 분할된 성형틀을 배치하는 단계;
    기초층몰탈공급부재가 이동하여 상기 성형판 상측에 기초층몰탈을 위치시키는 단계;
    미장층몰탈공급부재가 이동하여 상기 기초층몰탈 상측에 미장층몰탈을 위치시키는 단계;
    누름판이 제1누름판실린더에 의하여 하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미장층몰탈의 상면을 가압하는 단계;
    상기 누름판과 상기 성형틀이 상기 제1누름판실린더에 의하여 상측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는 단계;
    상기 성형판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성형틀 하측에 제1이송판을 위치시키고, 상기 성형판 하측에 제2이송판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성형틀이 상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내측공간에 끼어있는 보차도블록을 상기 제1이송판 상측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성형판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이송판과 상기 제2이송판을 우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장치는 성형판; 및 제1이송판과 제2이송판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장치는,
    몸체부본체, 및 상기 몸체부본체의 양측 단부에 배치되는 작업대지지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일측면이 상기 작업대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걸림부;
    일측면이 상기 작업대지지부 중 다른 하나의 내측면에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걸림부; 및
    하측에 배치되는 몸체부고정부재가 상기 몸체부의 작업대지지부에 고정되고, 우측에 배치되는 성형판고정부재가 상기 성형판에 고정되어 상기 성형판을 상기 몸체부로부터 기설정된 간격만큼 상측방향으로 이격시키는 성형판이격부;를 포함하는, 성형장치를 이용한 보차도블록의 제조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형장치는 상기 성형판이 상기 성형판고정부재에 의하여 상기 성형판이격부에 고정되고, 상기 성형판이격부가 상기 몸체부고정부재에 의하여 상기 몸체부에 고정되고, 상기 몸체부의 양측 단부에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가 고정되는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성형장치를 이용한 보차도블록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는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길이부재이고, 측면의 중심부에서 비교적 우측에 해당하는 지점이 상기 몸체부 좌측에 배치되는 작업대지지부의 내측면에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좌측 단부가 우측 단부 대비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걸림부는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길이부재이고, 측면의 중심부에서 비교적 우측에 해당하는 지점이 상기 몸체부 우측에 배치되는 작업대지지부의 내측면에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좌측 단부가 우측 단부 대비 하측에 위치하는, 성형장치를 이용한 보차도블록의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성형장치는 상기 성형판이 상기 이송장치의 몸체부로부터 이격되어 고정되는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성형판과 상기 이송장치의 몸체부 사이에 상기 제1이송판을 배치할 수 있고,
    상기 성형판과 상기 이송장치의 몸체부의 사이에 상기 제1이송판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성형장치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성형판과 상기 제1이송판이 함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성형장치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성형판은 좌측으로 이동하는 반면 상기 제1이송판은 상기 제2걸림부 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걸림부의 회전에 의하여 하면이 상기 제2걸림부의 상면을 슬라이딩하여 좌측 단부면이 상기 제2걸림부의 우측 단부면과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제1이송판의 좌측 단부면이 상기 제2걸림부의 우측 단부면과 접촉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이송판은 상기 제2걸림부가 고정된 형태에 의하여 상기 성형장치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상기 성형판과 상기 이송장치의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지 않는, 성형장치를 이용한 보차도블록의 제조방법.
  6. 성형장치를 이용한 보차도블록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보차도블록으로서,
    상기 보차도블록은,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성형판을 작업대 상측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성형판 상측에 복수의 격벽에 의하여 내측공간이 분할된 성형틀을 배치하는 단계;
    기초층몰탈공급부재가 이동하여 상기 성형판 상측에 기초층몰탈을 위치시키는 단계;
    미장층몰탈공급부재가 이동하여 상기 기초층몰탈 상측에 미장층몰탈을 위치시키는 단계;
    누름판이 제1누름판실린더에 의하여 하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미장층몰탈의 상면을 가압하는 단계;
    상기 누름판과 상기 성형틀이 상기 제1누름판실린더에 의하여 상측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는 단계;
    상기 성형판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성형틀 하측에 제1이송판을 위치시키고, 상기 성형판 하측에 제2이송판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성형틀이 상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내측공간에 끼어있는 보차도블록을 상기 제1이송판 상측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성형판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이송판과 상기 제2이송판을 우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단계;에 의하여 제조되고,
    상기 성형장치는 성형판; 및 제1이송판과 제2이송판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장치는,
    몸체부본체, 및 상기 몸체부본체의 양측 단부에 배치되는 작업대지지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일측면이 상기 작업대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걸림부;
    일측면이 상기 작업대지지부 중 다른 하나의 내측면에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걸림부; 및
    하측에 배치되는 몸체부고정부재가 상기 몸체부의 작업대지지부에 고정되고, 우측에 배치되는 성형판고정부재가 상기 성형판에 고정되어 상기 성형판을 상기 몸체부로부터 기설정된 간격만큼 상측방향으로 이격시키는 성형판이격부;를 포함하는, 보차도블록.
KR1020220014785A 2022-02-04 2022-02-04 투수성 및 내구성이 개선된 보차도블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보차도블록 KR102420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785A KR102420842B1 (ko) 2022-02-04 2022-02-04 투수성 및 내구성이 개선된 보차도블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보차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785A KR102420842B1 (ko) 2022-02-04 2022-02-04 투수성 및 내구성이 개선된 보차도블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보차도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0842B1 true KR102420842B1 (ko) 2022-07-14

Family

ID=82407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785A KR102420842B1 (ko) 2022-02-04 2022-02-04 투수성 및 내구성이 개선된 보차도블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보차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8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308B1 (ko) 2023-02-03 2023-07-04 주식회사 피노콘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및 동결융해 저항성을 강화한 고강도 콘크리트 보차도 경계 블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 경계 블록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3078A (ko) * 2010-03-12 2011-09-20 권화숙 투수 보도블록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3078A (ko) * 2010-03-12 2011-09-20 권화숙 투수 보도블록 성형장치
KR101110163B1 (ko) 2010-03-12 2012-01-31 권화숙 투수 보도블록 성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308B1 (ko) 2023-02-03 2023-07-04 주식회사 피노콘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및 동결융해 저항성을 강화한 고강도 콘크리트 보차도 경계 블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 경계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52738B (zh) 用于制造陶瓷卫生洁具的设备
KR102420842B1 (ko) 투수성 및 내구성이 개선된 보차도블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보차도블록
EP1208928B1 (en) Die molding machine and pattern carrier
WO2003030245A3 (en) Method for assembly of complementary-shaped receptacle site and device microstructures
BR0009015A (pt) Método e sistema de moldagem com aparelho demoldar
CA2022161C (en) Pressure slip casting apparatus for producing sanitary ware
CN102481709A (zh) 晶片透镜制造装置、成型模具及晶片透镜的制造方法
KR101126370B1 (ko) 양각 모양이 형성된 축조블록의 제조방법, 그 방법에 의한 축조블록
JPH04246526A (ja) 回転式成形機
US7179077B2 (en) Concrete block press
RU2370363C2 (ru)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формования керамических панелей или плиток
JP5216202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製法
ITFI20010103A1 (it) Metodo ed attrezzatura per la produzione di mattonelle monostrato
CN102497966A (zh) 晶片透镜的制造方法
CN1100654C (zh) 制造泡沫塑料部件的机器
TWI290091B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olding die and molded article obtained by this die
KR101796840B1 (ko) 프리캐스트 구조물 제작용 다변형 몰드장치
KR20100132850A (ko) 양면 배수홈을 갖는 보도블럭 성형장치
JPH0653106U (ja) タイルの成形型
JP2004043092A (ja) 重量物の位置調整装置及び方法
CN218170793U (zh) 一种组合式预制墙板模具固定装置
CN104001780A (zh) 起重臂成型装置和起重臂成型方法
CN209533725U (zh) 一种用于陶瓷浆料浇注的组合式模具
CN220569064U (zh) 半导体机构用纳米压印装置
CN217292741U (zh) 一种用于制备水泥制品的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