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768B1 - 고박장치용 라싱바 - Google Patents

고박장치용 라싱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768B1
KR102420768B1 KR1020200177320A KR20200177320A KR102420768B1 KR 102420768 B1 KR102420768 B1 KR 102420768B1 KR 1020200177320 A KR1020200177320 A KR 1020200177320A KR 20200177320 A KR20200177320 A KR 20200177320A KR 102420768 B1 KR102420768 B1 KR 102420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section
pipe
extend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7016A (ko
Inventor
최진경
윤상재
Original Assignee
(주)라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라컴텍 filed Critical (주)라컴텍
Priority to KR1020200177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768B1/ko
Publication of KR20220087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4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63B2025/285Means for securing deck containers against unwanted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52Fibre reinforced plastics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라싱바는,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에지부를 포함하는 샤프트부, 상기 에지부의 단부에 배치된 고리부, 및 섬유강화플라스틱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에지부 상에 배치된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리부를 감싸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에지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며, 상기 제1 부분과 반대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는 제1 고정층을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지부는 외경이 유지되는 제1 구간 및 상기 제1 구간과 상기 고리부 사이에 배치되고 외경이 점진적으로 가변하는 제2 구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고박장치용 라싱바{LASHING BAR FOR LASHING SYSTEM}
본 발명은 고박장치용 라싱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물이 적재된 컨테이너를 선박에 고정하는 고박장치용 라싱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화물선의 갑판에는 많은 수의 컨테이너들이 다단으로 배치된다. 선박 작업자는, 안전한 해상 운송을 위하여 고박장치를 이용해 컨테이너를 화물선에 고정시킨다.
예컨대, 고박장치는 트위스트 락(twist lock), 턴버클(turn buckle), 및 라싱바(lashing bar) 등을 포함한다. 트위스트 락은 상하로 적층된 컨테이너들 사이에 배치되어 인접한 컨테이너들을 서로 결속한다. 턴버클과 라싱바는 각 컨테이너의 모서리와 갑판에 고정된 고리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턴버클은 갑판의 고리와 라싱바에 연결된다. 라싱바는 컨테이너의 모서리와 턴버클에 연결된다. 선박 작업자가 턴버클을 조임에 따라 라싱바에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컨테이너는 선박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종래 고박장치는 스틸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중량이 무겁다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종래 라싱바의 무게는, 그 길이에 따라 10 Kg ~ 21 Kg의 중량을 갖는다. 이러한 라싱바의 무거운 중량으로 인해 고박 작업의 효율이 떨어지고,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 고박 장치는 해수에 의한 부식에 취약하여 제품 수명이 짧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요구되는 설계 강도를 만족하면서도 경량화된 고박장치용 라싱바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샤프트와 고리부의 연결 강도가 향상된 고박장치용 라싱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라싱바는,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에지부를 포함하는 샤프트부, 상기 에지부의 단부에 배치된 고리부, 및 섬유강화플라스틱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에지부 상에 배치된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리부를 감싸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에지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며, 상기 제1 부분과 반대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는 제1 고정층을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지부는 외경이 유지되는 제1 구간 및 상기 제1 구간과 상기 고리부 사이에 배치되고 외경이 점진적으로 가변하는 제2 구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구간의 외경은 상기 고리부에 가까워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샤프트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내부에 중공부가 정의된 제1 파이프 및 상기 제1 파이프의 외측에 배치되고,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제2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구간에 중첩하는 상기 제1 파이프의 외경은 일정하게 유지되고, 상기 제2 구간에 중첩하는 상기 제2 파이프의 외경은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층의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3 부분 상에 배치되고, 섬유강화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제2 고정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층은 상기 샤프트부를 둘레 방향으로 감쌀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고정층은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4 부분 및 제5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 부분 및 상기 제5 부분 각각은 절곡되어 상기 제2 고정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리부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을 향하여 함몰되고, 상기 고리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함몰부가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층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함몰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라싱바는, 샤프트부가 탄소섬유강화플리스틱을 포함하기 때문에, 전체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종래 라싱바에 비하여 높은 강도를 가지며, 경량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라싱바는, 고리부가 고강도 특성을 갖는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해 샤프트부에 고정되기 때문에, 연결 부위의 강도가 높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라싱바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라싱바의 샤프트부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라싱바의 고리부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샤프트부, 고리부, 및 고정부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에 도시된 고정부의 제1 고정층과 제2 고정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고박장치용 라싱바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라싱바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라싱바의 샤프트부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라싱바의 고리부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라싱바(lashing bar)(10)는 내부에 화물이 적재된 컨테이너(container)를 선박의 갑판에 고박하는 작업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싱바(10)는 샤프트부(100), 샤프트부(100)의 양측에 배치된 고리부(200), 고리부(200)를 샤프트부(100)에 연결하는 고정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샤프트부(100)의 일측에 배치된 고리부(200)는 턴 버클(Turn buckle)에 연결될 수 있다. 샤프트부(100)의 타측에 배치된 고리부(200)에는 체결 부재를 통해 컨테이너 후크(hook)가 결합되고, 컨테이너 후크를 통해 컨테이너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샤프트부(100)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제1 방향(DR1)은 샤프트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정의된다. 샤프트부(100)는 제1 파이프(110)와 제1 파이프(110) 상에 배치된 제2 파이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이프(110)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파이프(110)의 내부에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중공부(110_H)가 정의될 수 있다. 다만, 제1 파이프(110)의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 파이프(110)는 내부가 꽉 찬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제1 파이프(110)는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파이프(110)는 강철(steel) 파이프일 수 있다. 다만, 제1 파이프(110)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파이프(120)는 제1 파이프(110)의 외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파이프(120)는 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파이프(120)는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2 파이프(120)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FRP,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아리미드섬유강화플라스틱(AFRP, aramid fiber Reinforced Plastic) 등과 같은 다른 섬유강화플라스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파이프(120)는 프리프레그(prepreg)를 제1 파이프(110) 상에 적층하고, 이를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프리프레그는 일방향 프리프레그(unidirectional prepreg)일 수 있다. 제2 파이프(120)의 탄소섬유는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2 파이프(120)는 샤프트부(100)의 설계 강도를 고려하여 직물형 프리프레그를 이용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라싱바(10)의 샤프트부(100)가 섬유강화플리스틱을 포함하므로, 전체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종래 라싱바에 비하여 강도가 높고, 경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샤프트부(100)의 외측 파이프인 제2 파이프(120)가 섬유강화플라스틱을 포함하여 해수에 대한 내부식성도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샤프트부(100)는 중심부(100_CP), 상기 중심부(100_CP) 양측에 배치된 에지부(100_EP)로 구획될 수 있다. 에지부(100_EP)는 중심부(100_CP)로부터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한다. 단부(100_E)는 에지부(100_EP)의 끝단으로 정의된다.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중심부(100_CP)의 길이는 에지부(100_EP)의 길이보다 길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에지부(100_EP)는 제1 구간(100_UN)과 제2 구간(100_IN)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간(100_UN)은 중심부(100_CP)로부터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한다. 제1 구간(100_UN)의 외경은 제1 직경(D1)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구간(100_UN)에 중첩하는 제1 파이프(110)의 외경과 제2 파이프(120)의 외경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구간(100_IN)은 제1 구간(100_UN)과 후술하는 고리부(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구간(100_IN)의 외경은 점진적으로 가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구간(100_IN)의 외경은 고리부(200)에 가까워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제1 구간(100_UN)과 제2 구간(100_IN)의 경계에서, 제2 구간(100_IN)의 외경은 제1 직경(D1)을 갖고, 제2 구간(100_IN)의 끝단(즉, 샤프트부(100)의 단부(100_E))에서, 제2 구간(100_IN)의 외경은 제2 직경(D2)을 가질 수 있다. 제2 직경(D2)은 제1 직경(D1)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구간(100_IN)에 중첩하는 제1 파이프(110)의 외경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2 구간(100_IN)에 중첩하는 제2 파이프(120)의 외경은 고리부(200)에 가까워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고리부(200)의 중앙부에는 홀(200_H)이 정의될 수 있다. 제2 방향(DR2)에서 바라봤을 때, 고리부(200)의 홀(200_H)은 대략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2 방향(DR2)은 제1 방향(DR1)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리부(200)에는 함몰부(250)가 정의될 수 있다. 함몰부(250)는 고리부(200)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으로 함몰될 수 있다. 함몰부(250)는 고리부(2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다만, 앞서 설명한 고리부(200)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고리부(20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샤프트부(100)의 양측에 배치된 고리부들(200) 각각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리부(200)는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고리부(200)는 강철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고리부(200)의 재질이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고리부(200)는 섬유강화플라스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샤프트부, 고리부, 및 고정부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고리부(200)는 샤프트부(100)의 단부(100_E)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300)는 고리부(200)를 샤프트부(100)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부(300)는 제1 고정층(310)과 제2 고정층(3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층(310)과 제2 고정층(320) 각각은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고정층(310)과 제2 고정층(320)은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아라미드섬유강화플라스틱 등과 같은 다른 섬유강화플라스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고정층(310)은 제1 부분(310_A), 제2 부분(310_B), 제3 부분(310_C), 제4 부분(310_D), 및 제5 부분(310_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310_A)은 에지부(100_EP) 상에 배치되어 에지부(100_EP)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구간(100_UN)에 중첩하는 제1 부분(310_A)은 샤프트부(100)의 길이 방향(즉, 제1 방향(DR1))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구간(100_IN)에 중첩하는 제1 부분(310_A)은 제2 구간(100_UN)을 따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분(310_B)은 제1 부분(310_A)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2 부분(310_B)은 고리부(200)의 둘레 방향으로, 고리부(200)를 감쌀 수 있다. 제2 부분(310_B)은 함몰부(250, 도 3 참조) 상에 배치되어 고리부(200)를 감쌀 수 있다.
제3 부분(310_C)은 제2 부분(310_B)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2 구간(100_IN)에 중첩하는 제3 부분(310_C)은 제2 구간(100-IN)을 따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간(100_UN)에 중첩하는 제3 부분(310_C)은 제1 방향(DR1)과 평행할 수 있다. 제3 부분(310_C)은 에지부(100_EP) 상에 배치되어 에지부(100_EP)에 고정될 수 있다. 제3 부분(310_C)은 제1 부분(310_A)과 반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고정층(320)은 제1 고정층(3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고정층(320)은 제1 고정층(310)의 제1 부분(310_A)과 제3 부분(310_C)을 감쌀 수 있다. 예컨대, 제2 고정층(320)은 샤프트부(100)의 둘레 방향으로, 제1 부분(310_A)과 제3 부분(310_C) 상에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고정층(310)의 제4 부분(310_D)과 제5 부분(310_E)은 제2 고정층(3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부분(310_D)은 제1 부분(310_A)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4 부분(310_D)은 절곡되어 제2 고정층(3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부분(310_D)은 제1 방향(DR1)과 평행할 수 있다. 제4 부분(310_D)의 단부는 제1 부분(310_A)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4 부분(310_D)의 단부는 제2 고정층(32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제5 부분(310_E)은 제3 부분(310_C)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5 부분(310_E)은 절곡되어 제2 고정층(3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5 부분(310_E)은 제1 방향(DR1)과 평행할 수 있다. 제5 부분(310_E)의 단부는 제3 부분(310_A)에 고정되거나 제2 고정층(32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고정층(310)과 제2 고정층(320)은 하나 이상의 프리프레그를 적층하고, 이를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프리프레그는 일방향 프리프레그(unidirectional prepreg)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고정층(310)의 탄소섬유는 제1 방향(DR1)과 평행하고, 제2 고정층(320)의 탄소섬유는 제1 방향(DR1)과 수직하게 배열될 수 있다.
다만, 제1 고정층(310)과 제2 고정층(320)의 프리프레그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물형 프리프레그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에 도시된 고정부의 제1 고정층과 제2 고정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고정부(300, 도 4 참조)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1 예비 고정층(310')은 샤프트부(100)의 에지부(100_EP)와 고리부(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예비 고정층(310')은 경화 공정을 거치기 전 제1 고정층(310)이다.
제1 예비 고정층(310')은 제1 부분(310'_A), 제2 부분(310'_B), 제3 부분(310'_C), 제4 부분(310'_D), 및 제5 부분(310'_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310')은 에지부(100_EP) 상에 배치된다. 제1 구간(100_UN)에 배치되는 제1 부분(310'_A)은 제1 방향(DR1)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2 구간(100_IN)에 배치되는 제1 부분(310'_A)은 제1 방향(DR1)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분(310'_B)은 함몰부(250, 도 3 참조) 상에 배치되어 고리부(200)를 감쌀 수 있다.
제3 부분(310'_C)은 에지부(100_E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부분(310'_C)은 제1 부분(310'_A)과 반대할 수 있다. 제1 구간(100_UN)에 배치된 제3 부분(310'_C)은 제1 방향(DR1)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2 구간(100_IN)에 배치된 제3 부분(310'_C)은 제1 방향(DR1)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4 부분(310'_D)은 제1 부분(310'_A)로부터 연장되어 샤프트부(100)의 중심부(100_C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5 부분(310'_E)은 제3 부분(310'_C)로부터 연장되어 샤프트부(100)의 중심부(100_C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2 예비 고정층(320')은 제1 예비 고정층(310')의 제1 부분(310'_A)과 제3 부분(310'_C)을 감싸도록 적층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고정층(320')은 샤프트부(100)의 둘레 방향(RO)으로, 제1 부분(310'_A)과 제3 부분(310'_C) 상에 적층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제1 예비 고정층(310')의 제4 부분(310'_D)과 제5 부분(310'_E) 각각은 절곡되어 제2 예비 고정층(3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부분(310'_D)의 단부와 제5 부분(310'_E)의 단부 각각은 제1 부분(310'_A) 및 제3 부분(310'_C)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예비 고정층(310')과 제2 예비 고정층(320')은 경화 공정을 통해 도 4에 도시된 제1 고정층(310)과 제2 고정층(320)이 될 수 있다.
경화 공정에서, 제1 예비 고정층(310')의 제1 부분(310'_A)과 제3 부분(310'C)은 샤프트부(100)의 외측(즉, 제2 파이프(120))에 배치된 강화섬유에 접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310_A)과 제3 부분(310_C)은 샤프트부(100)에 고정될 수 있다.
경화 공정에서, 제2 예비 고정층(320')은 제1 부분(310'_A)과 제3 부분(310'_C)의 강화섬유와 접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층(320)은 제1 고정층(310)에 고정되어 제1 고정층(310)과 샤프트부(100)의 결합을 보강할 수 있다.
경화 공정에서, 제1 예비 고정층(310')의 제4 부분(310'_D)과 제5 부분(310'_E) 각각은 제1 부분(310'_A)과 제3 부분(310'_C)의 강화섬유와 접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층(410)의 일부를 절곡하고, 이를 경화시켜 연결 부분의 강도를 추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라싱바 100: 샤프트부
110: 제1 파이프 120: 제2 파이프
200: 고리부 300: 고정부
310: 제1 고정층 320: 제2 고정층

Claims (7)

  1.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에지부를 포함하는 샤프트부;
    상기 에지부의 단부에 배치된 고리부; 및
    상기 에지부와 상기 고리부 상에 배치되고, 섬유강화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제1 고정층과 제2 고정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층은,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에지부 상에 배치된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리부를 감싸는 제2 부분;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에지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며, 상기 제1 부분과 반대하는 제3 부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제4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제5 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층은 상기 제1 고정층의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3 부분 상에 상기 샤프트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4 부분 및 상기 제5 부분 각각은 절곡되어 상기 제2 고정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에지부는 외경이 유지되는 제1 구간 및 상기 제1 구간과 상기 고리부 사이에 배치되고 외경이 점진적으로 가변하는 제2 구간을 포함하는 라싱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간의 외경은 상기 고리부에 가까워질수록 증가하는 라싱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내부에 중공부가 정의된 제1 파이프 및 상기 제1 파이프의 외측에 배치되고,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제2 파이프를 포함하는 라싱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간에 중첩하는 상기 제1 파이프의 외경은 일정하게 유지되고, 상기 제2 구간에 중첩하는 상기 제2 파이프의 외경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라싱바.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을 향하여 함몰되고, 상기 고리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함몰부가 정의되고,
    상기 제1 고정층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함몰부에 배치된 라싱바.
KR1020200177320A 2020-12-17 2020-12-17 고박장치용 라싱바 KR102420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320A KR102420768B1 (ko) 2020-12-17 2020-12-17 고박장치용 라싱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320A KR102420768B1 (ko) 2020-12-17 2020-12-17 고박장치용 라싱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016A KR20220087016A (ko) 2022-06-24
KR102420768B1 true KR102420768B1 (ko) 2022-07-14

Family

ID=82215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320A KR102420768B1 (ko) 2020-12-17 2020-12-17 고박장치용 라싱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76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582B1 (ko) * 2016-04-14 2016-10-26 오영환 복합재로 된 래싱바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3832B2 (ja) * 1994-02-17 2003-10-0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繊維強化複合材料製駆動シャフ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6324940B1 (en) * 1997-08-13 2001-12-04 Maclean-Fogg Company Composite link
EP2266788A1 (fr) * 2009-06-26 2010-12-29 Bd Invent S.A. Procédé de fabrication de bielles composites et bielles obtenues selon le procéd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582B1 (ko) * 2016-04-14 2016-10-26 오영환 복합재로 된 래싱바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016A (ko)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0569B2 (en) Composite floor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786233B1 (en) Boom utilizing composite material construction
KR101669582B1 (ko) 복합재로 된 래싱바 및 그 제조방법
US6755212B1 (en) Boom stiffening system
US7059488B2 (en) ISO fittings for composite structures
US6719009B1 (en) Composite material piping system
JP6636462B2 (ja) 航空機胴体用の耐圧隔壁
US11161322B2 (en)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and article including same
US20230160505A1 (en) Composite connecto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40251988A1 (en) Freight container
CN113543961A (zh) 纤维复合支柱
US20200400190A1 (en) Rod End Made of Thermoplastic Fiber-Reinforced Plastic
CN106542221B (zh) 罐式集装箱
KR102420768B1 (ko) 고박장치용 라싱바
CN106585950B (zh) 拐角张力装配件
KR102439649B1 (ko) 고박장치용 라싱바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10229779A1 (en) Toggle
KR102600554B1 (ko) 고박장치용 라싱바
CN113365936A (zh) 用于缆索绞盘的缆索卷筒及其制造方法
KR20240040330A (ko) 선박의 해치커버 패드구조물
KR101208676B1 (ko) 선박용 벨마우스
KR20130004986U (ko) 복합소재를 이용한 경량화형 토잉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