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649B1 - 단열성과 압축강도를 증대시킨 단열uhpc 조성물 - Google Patents

단열성과 압축강도를 증대시킨 단열uhpc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649B1
KR102420649B1 KR1020210068478A KR20210068478A KR102420649B1 KR 102420649 B1 KR102420649 B1 KR 102420649B1 KR 1020210068478 A KR1020210068478 A KR 1020210068478A KR 20210068478 A KR20210068478 A KR 20210068478A KR 102420649 B1 KR102420649 B1 KR 102420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mpressive strength
cement
silic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권
유영종
안상희
송창근
안준범
백재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양에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양에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양에스지
Priority to KR1020210068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649B1/ko
Priority to PCT/KR2022/007497 priority patent/WO202225047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6Silica fum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16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76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grain distribution
    • C04B20/008Micro- or nanosized fillers, e.g. micronised fillers with particle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hydraulic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028Aspects relating to the mixing step of the mortar preparation
    • C04B40/0032Controlling the process of mixing, e.g. adding ingredients in a quantity depending on a measured or desired valu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30Water reducers, plasticisers, air-entrainers, flow impro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30Water reducers, plasticisers, air-entrainers, flow improvers
    • C04B2103/34Flow impro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 C04B2201/3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for heat transfer properties such as thermal insulation values, e.g. R-val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 C04B2201/5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for the mechanical streng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성과 압축강도를 증대시킨 단열UHPC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UHPC조성물에 실리카 비드를 혼합하여 복사열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단열성을 증대시키도록 하면서도 동시에 압축강도를 증대시키도록 하는 단열성과 압축강도를 증대시킨 단열UHPC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시멘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실리카퓸 25중량부, 잔골재 25중량부, 실리카 비드 65중량부 및 유동화제 3~4중량부로 이루어지며, 물시멘트비가 28%(시멘트중량비)가 되도록 물과 혼합하고, 실리카 비드는 구형이며, 크기는 4~7㎛이고, 잔골재는 실리카샌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과 압축강도를 증대시킨 단열UHPC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단열성과 압축강도를 증대시킨 단열UHPC 조성물{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composite for improving efficiency of insulation and compressive strength}
본 발명은 단열성과 압축강도를 증대시킨 단열UHPC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UHPC조성물에 실리카 비드를 혼합하여 복사열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단열성을 증대시키도록 하면서도 동시에 압축강도를 증대시키도록 하는 단열성과 압축강도를 증대시킨 단열UHPC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코니 또는 내외부가 관통되는 캔틸레버 구조를 가지는 건축물의 경우 외벽체와 외벽체에서 돌출된 슬래브의 경계에 열교(Heat Bridge)를 차단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슬래브와 외벽체의 경계에 열교 차단 단열재를 설치하여, 슬래브를 통한 결로 발생이나 실내 에너지의 손실을 줄여주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열교 차단 단열재는 캔틸레버 구조의 건축물에서 돌출된 슬래브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열교 차단 단열재의 하부에는 압축력 강화를 위한 복수의 압축 모듈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며, 이와 같은 압축 모듈은 강도가 뛰어난 초고강도 콘크리트(UHPC)를 사용하여 단열재 전체의 구조체 기능을 강화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압축 모듈은 단열성을 높이는 재료를 사용하면 압축강도와 같은 구조적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강도가 뛰어난 초고강도 콘크리트(UHPC)를 사용하였지만 단열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기존에는 단열성능과 구조성능을 모두 만족시키기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238835호 "1종 시멘트를 사용한 초고강도 저점도 콘크리트 조성물"(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단위수량 130~150㎏/㎥, 물-결합재비 11~13중량%, 잔골재 조립율 2.9~3.1, 잔골재율 15~45중량%, 감수제량을 결합재 중량의 1.0~3.0중량%로 하여 배합된 콘크리트로서, 결합재가 1종 보통포틀랜드 시멘트 55~60중량%, 분말도가 100,000~150,000㎠/g인 저분말도 실리카퓸 15~25중량%, 분말도가 4,000~10,000㎠/g인 고로슬래그 미분말 15~25%, 분말도가 3,000~8,000㎠/g인 무수석고 1~10중량% 를 포함하여 조성된 것이어서, 200MPa 이상의 초고강도와 100Pa.s 이하의 저점도를 발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강도 저점도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안하여, 1종 시멘트를 이용하면서도 200MPa 이상의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제공할 수 있어 이에 따라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경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 역시 높은 압축강도를 제공하지만 단열성을 높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등록 제1238835호 "1종 시멘트를 사용한 초고강도 저점도 콘크리트 조성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UHPC조성물에 실리카 비드를 혼합하여 복사열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단열성을 증대시키도록 하면서도 동시에 압축강도를 증대시키도록 하여, 열교차단용 단열재를 비롯한 단열성능과 구조성능을 동시에 요구하는 다양한 분야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단열성과 압축강도를 증대시킨 단열UHPC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시멘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실리카퓸 25중량부; 잔골재 25중량부; 실리카 비드 65중량부; 및 유동화제 3~4중량부;로 이루어지며, 물시멘트비가 28%(시멘트중량비)가 되도록 물과 혼합하고, 실리카 비드는 구형이며, 크기는 4~7㎛이고, 잔골재는 실리카샌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과 압축강도를 증대시킨 단열UHPC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단열성과 압축강도를 증대시킨 단열UHPC 조성물은 UHPC조성물에 실리카 비드를 혼합하여 복사열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단열성을 증대시키도록 하면서도 동시에 압축강도를 증대시키도록 하여, 열교차단용 단열재를 비롯한 단열성능과 구조성능을 동시에 요구하는 다양한 분야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열성과 압축강도를 증대시킨 단열UHPC 조성물이 적용된 열교차단 단열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상기 도 1의 단면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단열성과 압축강도를 증대시킨 단열UHPC 조성물은 시멘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실리카퓸 24~26 중량부, 잔골재 20~60 중량부, 실리카 비드 30~150중량부로 이루어지며, 물시멘트비가 28%(시멘트중량비)가 되도록 물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열성과 압축강도를 증대시킨 단열UHPC 조성물이 적용된 열교차단 단열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상기 도 1의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단열성과 압축강도를 증대시킨 단열UHPC 조성물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열교차단용 단열재를 비롯한 단열성능과 구조성능을 동시에 요구하는 다양한 분야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열교차단 단열구조체(10)는 일정 크기의 단열재(14)와 단열재(14)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CRC보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화재안전요소(11)와, 단열재(14)를 관통하도록 인장/전단요소(13)가 관통하고, 인장/전단요소(13)에는 철근 등의 인장요소(12)가 연장되어 형성되며, 압축요소(15)가 단열재(14)의 내부에 구성되도록 한다.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에서는 시멘트와 실리카퓸(silica fume)이 결합재로 사용된다. 실리카퓸이 24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면 시공성이 떨어지고 26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되면 유동성 확보를 위해 필요한 물의 양이 증가하여 최종 경화 후 남아있는 공극의 비율도 늘어나기 때문에 콘크리트 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시멘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실리카퓸 24~26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단열성과 압축강도를 증대시킨 단열UHPC 조성물에서는 굵은 골재는 포함되지 않으며 잔골재만 포함되는데, 잔골재는 광물재료 중 저렴하면서도 단단하여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잔골재는 물과 화학적으로 반응하지는 않지만 콘크리트 중 일부 체적을 차지하며 골재 자체로도 콘크리트를 단단하게 하는데 기여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잔골재로 실리카샌드(약0.8~0.2mm정도 크기)를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잔골재는 시멘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20중량부 미만으로 혼합시에는 강도가 낮아지고, 60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시에는 크랙 등의 결합의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시멘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20~6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카 비드는 SiO2를 주성분으로 하는 slica gel 의 작고 둥근 형태로 이루어진다.
실리카 비드를 분산되어 충전밀도를 증대시킴에 따라 압축력을 증대시키도록 하는데,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30중량부 미만으로 혼합시에는 열전도율을 낮추기 힘들 뿐만 아니라 150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시에는 강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카 비드 30~150중량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단열성과 압축강도 증대를 동시에 만족하여야 하기 때문에, 첨가되는 실리카 비드의 구조적 형상 및 크기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실리카 비드를 압축력을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는 구조인 구형으로 형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첨가한 실리카 샌드와 분산되어 충전밀도를 증대시킴에 따라 압축력을 증대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형의 실리카 비드는 1~10㎛의 크기, 바람직하게는 4~7㎛의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4㎛ 미만이나 7㎛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충전밀도가 떨어져 압축강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구형의 실리카 비드는 4~7㎛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예 1>
표 1에서와 같이, 비교예에서는 실리콘 비드를 혼합하지 않았으며, 실시예에서는 모두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카 비드를 30~150중량부의 범위에서 혼합하고, 비교예와 실시예에서는 모두 시멘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유동화제 3.4중량부를 추가 혼합하였으며, 비교예와 실시예 모두 시멘트에 대한 물의 중량비를 28%로 고정하여 비교예와 실시예의 조성물에 대하여 압축강도와 열전도율 실험을 하였다.
단위 : 중량%
구분 W/C C SF SS SP SB AG
비교예 28.0 37.0 9.3 40.7 13.0 - -
실시예 1 28.0 46.5 11.6 11.6 - 30.2 -
실시예 2 28.0 45.7 11.4 25.1 - 16.0 1.8
실시예 3 28.0 45.7 11.4 25.1 - 29.7 1.8
실시예 4 28.0 37.0 9.3 - - 53.7 -
표 1의 배합비에, 비교예와 실시예에서는 모두 시멘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유동화제 3.4 중량부를 추가 혼합하였다.
여기서, W/C : 물시멘트비
C : 시멘트 , SF : silca fume , SS : silica sand
SP : silca powder, SB : silica bead , AG : aerogel
* 위 수치는 전체 혼화재료에 대한 각 혼화재료의 첨가비율을 나타냄
* 감성유는 시멘트 중량 기준으로 약 1중량부를 추가 혼합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섬유길이는 10~14mm정도이다.
비교예와 실시예에서는 모두 시멘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유동화제 3.4중량부를 추가 혼합하였다. 유동화제는 시멘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3~4중량부를 추가 혼합할 수 있다.
유동화제는 혼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하는 것으로, 공지의 다양한 유동화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3중량부 미만에서는 유동성 증진효과가 미약하기 때문에 혼합수가 다량 사용이 되어 압축강도의 감소를 유발시키며, 4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유동성의 증진에 큰 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재료분리 현상 등을초래하기 때문에 시멘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3~4중량부를 추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1에서와 같이, 비교예에서는 실리콘 비드를 혼합하지 않았으며, 실시예에서는 모두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카 비드를 30~150중량부의 범위에서 혼합하였으며, 비교예와 실시예 모두 시멘트에 대한 물의 중량비를 28%로 고정하였다.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비교예와 실시예의 조성물에 대하여 압축강도와 열전도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에서와 같다.
구분 압축강도(MPa) 열전도율(W/m.K)
비교예 186.0 1.39
실시예 1 187.29 0.89
실시예 2 107.39 0.79
실시예 3 110.59 0.64
실시예 4 208.96 0.77
표 2에서와 같이, 실리카 비드를 혼합하지 않은 비교예에서는 압축강도 186.0 MPa, 열전도율은 1.39로 측정되었으며, 실리카 비드를 혼합한 실시예 모두에서 비교예보다 낮은 열전도율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와 실시예 3에서는 압축강도가 비교예보다 다소 낮았으나, 실시예 2 및 실시예 3과는 달리 실리카샌드의 혼합비율을 줄인 실시예 1에서는 비교예와 거의 동일한 압축강도를 나타냈으며, 실리카샌드를 제외하고 실리카 비드의 혼합비를 높인 실시예 4에서의 압축강도는 208.96 MPa로 비교예보다 월등히 높은 압축강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리카 비드를 혼합하여 복사열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단열성을 증대시키도록 하면서도 동시에 압축강도를 증대시키도록 하여, 열교차단용 단열재를 비롯한 단열성능과 구조성능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단열성과 압축강도를 증대시킨 단열UHPC 조성물은 UHPC조성물에 실리카 비드를 혼합하여 복사열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단열성을 증대시키도록 하면서도 동시에 압축강도를 증대시키도록 하여, 열교차단용 단열재를 비롯한 단열성능과 구조성능을 동시에 요구하는 다양한 분야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 열교차단 단열구조체
11 : 화재안전요소
12 : 인장요소
13 : 인장/전단요소
14 : 단열재
15 : 압축요소

Claims (4)

  1. 시멘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실리카퓸 25중량부;
    잔골재 25중량부;
    실리카 비드 65중량부; 및
    유동화제 3~4중량부;로 이루어지며, 물시멘트비가 28%(시멘트중량비)가 되도록 물과 혼합하고,
    실리카 비드는 구형이며, 크기는 4~7㎛이고,
    잔골재는 실리카샌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과 압축강도를 증대시킨 단열UHPC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68478A 2021-05-27 2021-05-27 단열성과 압축강도를 증대시킨 단열uhpc 조성물 KR102420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478A KR102420649B1 (ko) 2021-05-27 2021-05-27 단열성과 압축강도를 증대시킨 단열uhpc 조성물
PCT/KR2022/007497 WO2022250476A1 (ko) 2021-05-27 2022-05-26 단열성과 압축강도를 증대시킨 단열uhpc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478A KR102420649B1 (ko) 2021-05-27 2021-05-27 단열성과 압축강도를 증대시킨 단열uhpc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0649B1 true KR102420649B1 (ko) 2022-07-14

Family

ID=82407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478A KR102420649B1 (ko) 2021-05-27 2021-05-27 단열성과 압축강도를 증대시킨 단열uhpc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20649B1 (ko)
WO (1) WO202225047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7501A (ko) * 2002-12-26 2004-07-02 주식회사 미래바이오세라믹 세라믹 복합체를 이용한 건축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77395A (ko) * 2009-12-30 2011-07-07 대림산업 주식회사 초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초고강도 콘크리트 제조방법
KR101238835B1 (ko) 2010-12-14 2013-03-04 삼성물산 주식회사 1종 시멘트를 사용한 초고강도 저점도 콘크리트 조성물
KR20170104676A (ko) * 2015-12-01 2017-09-1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Uhpc 프리믹스 시멘트 혼합물을 이용한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KR102034731B1 (ko) * 2017-09-19 2019-10-21 주식회사 정양에스지 진공단열재가 내장된 건축용 단열블록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6823A (ja) * 1996-11-15 1998-06-02 Kajima Corp Aeコンクリート製造用セメン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7501A (ko) * 2002-12-26 2004-07-02 주식회사 미래바이오세라믹 세라믹 복합체를 이용한 건축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77395A (ko) * 2009-12-30 2011-07-07 대림산업 주식회사 초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초고강도 콘크리트 제조방법
KR101238835B1 (ko) 2010-12-14 2013-03-04 삼성물산 주식회사 1종 시멘트를 사용한 초고강도 저점도 콘크리트 조성물
KR20170104676A (ko) * 2015-12-01 2017-09-1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Uhpc 프리믹스 시멘트 혼합물을 이용한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KR102034731B1 (ko) * 2017-09-19 2019-10-21 주식회사 정양에스지 진공단열재가 내장된 건축용 단열블록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50476A1 (ko)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leize et al. Microstructural investigation of a silica fume–cement–lime mortar
WO2015095778A1 (en) Improved fire core compositions and methods
KR101948627B1 (ko) 인공경량골재를 포함하는 고강도 경량콘크리트 조성물
CN110526657B (zh) 一种顶棚用抗流挂轻质石膏及其制备方法
CN111960782B (zh) 一种废弃烧结砖瓦环保型的轻质混凝土及其制备方法
KR102213185B1 (ko) 전자파 차폐용 고성능 시멘트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0686353B1 (ko) 고내화성 초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KR100909212B1 (ko) 포장보수용 콘크리트 조성물
KR100867250B1 (ko) 비소성 결합재를 포함하는 초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KR101086980B1 (ko) 고강도 경량콘크리트
KR102015597B1 (ko) 전기로 동슬래그 잔골재를 활용한 습식 진동 성형용 콘크리트 수로관용 조성물
KR102447340B1 (ko) 바닥용 고중량 모르타르 조성물
JP5326247B2 (ja) 水硬性モルタル
KR102420649B1 (ko) 단열성과 압축강도를 증대시킨 단열uhpc 조성물
KR20190108323A (ko) 자기충전 지오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기충전 지오폴리머 콘크리트의 제조 방법
KR20130075334A (ko) 비정질 강섬유 시멘트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KR102393545B1 (ko) 순환 잔골재 및 동슬래그 미분말을 혼합한 순환골재 콘크리트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
KR101750830B1 (ko) 저점성 저발열 결합재 및 이를 이용한 저점성 저발열 매스 콘크리트 조성물
JPH0224777B2 (ko)
CN114213076B (zh) 一种基于装修废弃物的可控性低强度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40007487A (ko) 단열성과 압축강도를 증대시킨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
JP4002153B2 (ja) 橋梁上部構造
KR102153631B1 (ko)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공법
KR102088875B1 (ko) 수축저감형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 공법
CN113582627A (zh) 一种纳米氧化铝改性超轻质水泥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