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233B1 -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233B1
KR102420233B1 KR1020220003740A KR20220003740A KR102420233B1 KR 102420233 B1 KR102420233 B1 KR 102420233B1 KR 1020220003740 A KR1020220003740 A KR 1020220003740A KR 20220003740 A KR20220003740 A KR 20220003740A KR 102420233 B1 KR102420233 B1 KR 102420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unit
induction
temperature senso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3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2370A (ko
Inventor
정우영
민준원
김준형
Original Assignee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자동차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03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233B1/ko
Publication of KR20220012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2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5/00Testing or calibrating of thermometers
    • G01K15/007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2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2205/00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motors, e.g. of a vehicle
    • G01K2205/04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motors, e.g. of a vehicle for measuring exhaust gas temper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가열부와, 가열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통과하고 온도센서가 장착되는 검사부와, 가열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검사부로 안내하는 유도부를 포함하여, 온도센서를 실제 차량에 장착된 설치환경에 준하여 실험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TEST DEVICE OF TEMPERATURE SENSOR FOR GENERATING EXHAUST GAS}
본 발명은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도센서가 배기가스에 의한 열충격에 견디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이 작동하면서 배기가스가 발생하며, 이러한 배기가스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머플러 및 매연저감장치를 통해 차량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한편, 배기가스 정화장치는 촉매장치에 의해 화학 반응이 일어나 배기가스를 정화시키되 촉매 과정에서 고온이 발생한다.
배기가스용 온도센서는 촉매장치 출구에 설치되어 촉매장치 내부 온도를 감지하고, 촉매장치 과열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종래에는 배기가스용 온도센서를 테스트하기 위한 별도의 검사장비가 구비되지 못하므로, 배기가스용 온도센서를 검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41700호(2008.05.13 공개, 발명의 명칭: 차량 테스트 장치 및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열진동을 가하면서 배기가스용 온도센서의 내구성을 측정할 수 있는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는: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통과하고, 온도센서가 장착되는 검사부; 및 상기 가열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검사부로 안내하는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열부는: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제1가열부; 및 상기 제1가열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보다 높은 온도의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제2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사부는: 진동을 생성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상기 온도센서가 장착되는 지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그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지그결합부; 및 상기 지그결합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열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지그홀부가 형성되는 지그터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그터널부에는 상기 온도센서가 장착되기 위한 설치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홀부는 상기 지그터널부에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사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지그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열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도부는: 상기 가열부와 상기 검사부 사이에 배치되는 유도고정부; 상기 유도고정부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유도이동부; 상기 유도이동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가열부와 상기 제2가열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검사부로 안내하는 유도관부; 및 상기 유도이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도이동부를 왕복 이동시키는 유도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도관부는: 상기 유도이동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가열부와 상기 제2가열부 중 어느 하나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상기 온도센서를 우회하도록 배기가스를 안내하는 우회유도관부; 및 상기 유도이동부에 장착되고, 상기 배출유도관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1가열부와 상기 제2가열부 중 다른 하나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상기 온도센서를 통과하도록 배기가스를 안내하는 검사유도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는: 상기 유도부와 상기 검사부를 통과한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도부는: 상기 가열부와 상기 검사부 사이에 배치되는 주름유도고정부; 상기 주름유도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가열부와 상기 제2가열부에 각각 연결되어 배기가스를 안내하는 주름유도관부; 상기 주름유도고정부에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주름유도관부의 단부를 상기 검사부로 번갈아 유도하는 주름유도이동부; 및 상기 주름유도이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주름유도이동부를 왕복 이동시키는 주름유도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름유도관부는 상기 제1가열부에 연결되는 제1주름유도관부; 및 상기 제2가열부에 연결되는 제2주름유도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주름유도관부와 상기 제2주름유도관부에는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도부는: 상기 가열부와 상기 검사부 사이에 배치되는 밸브유도고정부; 및 상기 밸브유도고정부에 지지되고, 상기 제1가열부와 상기 제2가열부에 일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검사부에 타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1가열부와 상기 제2가열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검사부에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밸브유도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유도관부는: 상기 제1가열부에 연결되는 제1밸브유도관부; 상기 제1밸브유도관부에 연통되어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제1밸브배기관부; 상기 제1밸브유도관부와 상기 제1밸브배기관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밸브개폐부; 상기 제2가열부에 연결되는 제2밸브유도관부; 상기 제2밸브유도관부에 연통되어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제2밸브배기관부; 상기 제2밸브유도관부와 상기 제2밸브배기관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밸브개폐부; 및 상기 제1밸브유도관부와 상기 제2밸브유도관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검사부에 타단부가 연결되는 밸브수렴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는 검사부에 배기가스를 통과시켜 줌으로써, 배기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에 대한 실험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는 제1가열부와 제2가열부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달리 설계함으로써, 배기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에 대한 열충격 실험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는 베이스부가 진동을 생성하여 온도센서가 장착된 지그부에 진동을 전달함으로써, 온도센서에는 차량에 장착된 바와 동일한 설치환경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는 지그터널부에 복수개의 온도센서가 장착되므로, 다양한 설치환경에서 동시다발적인 온도센서 실험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는 베이스부와 지그부 사이에 열차단부가 배치되므로, 베이스부에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는 유도관부가 제1가열부와 제2가열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선택적으로 검사부에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는 배기부가 유도부와 검사부를 통과한 배기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에서 가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에서 검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에서 유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에서 제1가열부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온도센서를 통과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에서 제2가열부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온도센서를 통과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서 배기부가 추가되어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에서 유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에서 유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1)는 가열부(10)와, 검사부(20)와, 유도부(30)를 포함한다.
가열부(10)는 배기가스를 배출한다. 가열부(10)는 자체 연소를 통해 고온의 배기가스를 토출한다. 이러한 배기가스는 차량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대체할 수 있다.
가열부(1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검사부(20)를 통과한다. 검사부(20)에는 온도센서(99)가 장착된다. 온도센서(99)는 가열부(1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배기가스 온도를 측정한다.
유도부(30)는 가열부(1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검사부(20)로 안내한다. 즉, 가열부(10)에서 토출되는 배기가스는 유도부(30)에 의해 검사부(20)를 통과하고, 온도센서(99)는 검사부(20)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측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에서 가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10)는 제1가열부(11)와 제2가열부(12)를 포함한다.
제1가열부(11)와 제2가열부(12)는 가열받침대(13)에 각각 장착되고, 서로 다른 온도의 배기가스를 배출한다. 제2가열부(12)는 제1가열부(11) 보다 높은 온도의 배기가스를 배출한다. 일 예로, 제1가열부(11)는 200℃ 내외의 배기가스를 배출하고, 제2가열부(12)는 1000℃ 내외의 배기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제1가열부(11)와 제2가열부(12)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 편차에 의해, 배기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99)에 열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그리하면, 온도센서(99)에 대한 내구성 검사를 위한 실험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에서 검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부(20)는 베이스부(21)와 지그부(22)를 포함한다.
베이스부(21)는 지면과 같은 고정물에 고정 설치되고, 진동을 생성한다. 지그부(22)는 베이스부(21)에 결합되고, 베이스부(21)에서 생성된 진동이 지그부(22)에 전달된다. 지그부(22)에는 온도센서(99)가 장착되므로, 온도센서(99)에는 차량의 진동과 유사한 베이스부(21)의 진동이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부(22)는 지그결합부(221)와 지그터널부(222)를 포함한다. 지그결합부(221)는 베이스부(21)에 결합된다. 지그터널부(222)는 지그결합부(221)에 형성되고, 가열부(1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지그터널부(222)를 통과한다. 일 예로, 지그결합부(221)는 베이스부(21)에 볼트결합될 수 있다. 지그터널부(222)는 지그결합부(221)의 상측면에서 돌출되고, 터널 형상을 하여 배기가스 통과를 위한 지그홀부(225)가 형성될 수 있다.
지그터널부(222)에는 온도센서(99)가 장착되기 위한 설치홀부(226)가 형성된다. 온도센서(99)는 지그터널부(222)를 관통하여 온도 측정부가 지그홀부(225)에 위치될 수 있다.
설치홀부(226)는 지그터널부(222)에 복수개가 형성된다. 일 예로, 설치홀부(226)는 지그터널부(222)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설치홀부(226)는 지그터널부(222)의 측면부와 상면부에 골고루 형성될 수 있다.
설치홀부(226)가 지그터널부(222)에 골고루 형성됨에 따라, 복수개의 온도센서(99)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지그터널부(222)의 다방면에 설치홀부(226)가 형성됨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배치되는 온도센서(99)의 실험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부(20)는 열차단부(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차단부(23)는 베이스부(21)와 지그부(22) 사이에 배치되고, 베이스부(21)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 예로, 열차단부(23)는 배기가스에 의해 지그부(22)의 온도가 상승하더라도, 지그부(22)의 열이 베이스부(21)에 전달되지 않는 비금속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에서 유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에서 제1가열부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온도센서를 통과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에서 제2가열부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온도센서를 통과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부(30)는 유도고정부(31)와, 유도이동부(32)와, 유도관부(33)와, 유도구동부(34)를 포함한다.
유도고정부(31)는 가열부(10)와 검사부(20) 사이에 배치된다. 일 예로, 유도고정부(31)는 지면과 같은 고정물에 고정 설치되고, 가열받침대(13)와 베이스부(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유도이동부(32)는 유도고정부(31)에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일 예로, 유도이동부(32)는 유도고정부(31)에 가이드 되어 정해진 구간을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유도이동부(32)는 유도고정부(31)와 엘엠가이드(LM guide) 결합될 수 있다.
유도관부(33)는 유도이동부(31)에 결합되고, 제1가열부(11)와 제2가열부(12)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 어느 하나를 검사부(20)로 안내한다. 즉, 유도이동부(31)가 왕복 이동됨에 따라, 유도이동부(31)에 장착된 유도관부(33)가 제1가열부(11)와 제2가열부(12)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선택하여 검사부(20)로 유도할 수 있다.
유도구동부(34)는 유도이동부(32)에 결합되어 유도이동부(32)를 왕복 이동시킨다. 일 예로, 유도구동부(34)는 유도고정부(31)에 고정 설치되는 모터가 될 수 있다. 모터가 구동되면, 모터에 연결된 모터축이 회전되고, 모터축에 형성되는 모터기어가 회전될 수 있다. 모터기어는 유도이동부(32)에 맞물리고, 모터기어의 회전방향에 따라 유도이동부(32)의 이동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관부(33)는 우회유도관부(331)와 검사유도관부(332)를 포함한다. 우회유도관부(331)와 검사유도관부(332)는 유도이동부(32)의 위치에 따라 제1가열부(11) 또는 제2가열부(12)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검사부(20)로 안내할 수 있다.
우회유도관부(331)는 유도이동부(32)에 장착되고, 배기가스를 안내한다. 우회유도관부(331)는 제1가열부(11)와 제2가열부(12) 중 어느 하나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온도센서(99)를 우회하도록 배기가스를 안내한다.
검사유도관부(332)는 유도이동부(32)에 장착되고, 배출유도관부(33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검사유도관부(332)는 제1가열부(11)와 제2가열부(12) 중 다른 하나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온도센서(99)를 통과하도록 배기가스를 안내한다.
즉, 우회유도관부(331)의 우측과 좌측에 각각 검사유도관부(332)가 배치된다. 우회유도관부(331)가 제1가열부(11)의 배기가스를 안내할 때 우회유도관부(331)의 우측에 배치되는 검사유도관부(332)가 제2가열부(12)의 배기가스를 검사부(20)로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우회유도관부(331)가 제2가열부(12)의 배기가스를 안내할 때 우회유도관부(331)의 좌측에 배치되는 검사유도관부(332)가 제1가열부(11)의 배기가스를 검사부(20)로 안내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서 배기부가 추가되어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1)는 배기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기부(40)는 유도부(30)와 검사부(20)를 통과한 배기가스를 배출한다. 일 예로, 배기부(40)는 검사부(20)의 양측방과 후방을 커버하는 형상을 할 수 있다. 배기부(40)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면서 유해가스를 정화하여 실험장소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배기부(40)는 우회유도관부(331)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여 우회유도관부(331)를 통과한 배기가스가 검사부(20)의 온도센서(99)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배기부(40)는 검사유도관부(332) 및 검사부(20)를 통과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검사부(20)의 지그터널부(222)에는 검사 대상물인 복수개의 온도센서(99)가 장착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유도구동부(34)의 구동으로 유도이동부(32)가 이동되면, 제1가열부(11)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검사유도관부(332)에 안내되어 지그터널부(222)를 통과한다. 이때, 제2가열부(12)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우회유도관부(331)를 통해 배기부(40)로 직접 유도된다(도 5 참조).
제1가열부(11)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지그터널부(222)를 통과하게 되고, 지그터널부(222)에 장착된 온도센서(99)는 제1가열부(11)를 통해 배출된 배기가스의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이때, 검사부(20)의 베이스부(21)에서 진동을 생성함으로써, 온도센서(99)는 차량과 동일한 장착환경에서 배기가스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센서(99)가 일정시간, 대략 2분 내지 5분간 제1가열부(11)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측정한 후, 유도구동부(34)가 구동되어 유도이동부(32)가 이동된다. 이동된 유도이동부(32)에 의해 제2가열부(12)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검사유도관부(332)에 안내되어 지그터널부(222)를 통과한다. 이때, 제1가열부(11)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우회유도관부(331)를 통해 배기부(40)로 직접 유도된다(도 6 참조).
제2가열부(12)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지그터널부(222)를 통과하게 되고, 지그터널부(222)에 장착된 온도센서(99)는 제2가열부(12)를 통해 배출된 배기가스의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이때, 검사부(20)의 베이스부(21)에서 진동을 생성함으로써, 온도센서(99)는 차량과 동일한 장착환경에서 배기가스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온도센서(99)는 제1가열부(11) 외에 제1가열부(11) 보다 온도가 높은 제2가열부(12)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므로, 온도차에 의한 열충격으로부터 온도센서(99)의 내구성을 실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1)는 온도센서(99)가 장착된 검사부(20)에 배기가스를 통과시켜 줌으로써, 배기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99)를 실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1)는 제1가열부(11)와 제2가열부(12)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달리 설계함으로써, 배기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99)에 대한 열충격 실험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1)는 베이스부(21)가 진동을 생성하여 온도센서(99)가 장착된 지그부(22)에 진동을 전달함으로써, 온도센서(99)에는 차량에 장착된 바와 동일한 설치환경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1)는 지그터널부(222)에 복수개의 온도센서(99)가 장착되므로, 다양한 설치환경에서 동시다발적인 온도센서(99) 실험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1)는 베이스부(21)와 지그부(22) 사이에 열차단부(23)가 배치되므로, 베이스부(21)에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1)는 1개의 우회유도관부(331) 양측으로 각각 검사유도관부(332)가 배치되고, 검사유도관부(332)가 이동되어 제1가열부(11)와 제2가열부(12)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선택적으로 검사부(20)에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1)는 배기부(40)가 유도부(30)와 검사부(20)를 통과한 배기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에서 유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2)에서 유도부(50)를 제외한 구성은 제1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1)의 구성과 유사하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2)에서 유도부(50)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부(50)는 주름유도고정부(51)와, 주름유도관부(52)와, 주름유도이동부(53)와, 주름유도구동부(54)를 포함한다.
주름유도고정부(51)는 가열부(10)와 검사부(20) 사이에 배치된다. 일 예로, 주름유도고정부(51)는 지면과 같은 고정물에 고정 설치되고, 가열받침대(13)와 베이스부(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주름유도관부(52)는 주름유도고정부(51)에 결합되고, 제1가열부(11)와 제2가열부(12)에 각각 연결되어 배기가스를 안내한다. 일 예로, 주름유도관부(52)는 제1가열부(11)와 제2가열부(12)에 각각 결합되어 실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주름유도관부(53)와 제1가열부(11) 또는 주름유도관부(53)와 제2가열부(12) 사이의 배기가스 누출을 차단하여 열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주름유도이동부(53)는 주름유도고정부(51)에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주름유도관부(52)의 단부를 검사부(20)로 번갈아 유도한다. 일 예로, 주름유도이동부(53)는 주름유도고정부(51)에 가이드 되어 정해진 구간을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주름유도구동부(54)는 주름유도이동부(53)에 결합되어 주름유도이동부(53)를 왕복 이동시킨다. 일 예로, 주름유도구동부(54)는 주름유도고정부(51)에 고정 설치되는 모터가 될 수 있다. 모터가 구동되면, 모터에 연결된 모터축이 회전되고, 모터축에 형성되는 모터기어가 회전될 수 있다. 모터기어는 주름유도이동부(52)에 맞물리고, 모터기어의 회전방향에 따라 주름유도이동부(52)의 이동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유도관부(52)는 제1주름유도관부(521)와 제2주름유도관부(522)를 포함한다. 제1주름유도관부(521)는 제1가열부(11)에 연결되고, 제2주름유도관부(522)는 제2가열부(12)에 연결된다. 제1주름유도관부(521)와 제2주름유도관부(522)에는 주름이 형성된다. 일 예로, 제1주름유도관부(521)는 일단부가 제1가열부(11)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주름유도이동부(53)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주름유도관부(522)는 일단부가 제2가열부(12)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주름유도이동부(53)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주름유도관부(521)와 제2주름유도관부(522)의 일단부가 고정되더라도 주름진 형상의 변형을 통해 이들의 타단부가 주름유도이동부(53)와 연동되어 배기가스의 배출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유도부(50)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주름유도관부(521)의 일단부가 제1가열부(11)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제2주름유도관부(522)의 일단부가 제2가열부(12)에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주름유도구동부(54)의 구동으로 제1주름유도관부(521)의 단부가 검사부(2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면, 제1주름유도관부(521)를 통해 제1가열부(11)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검사부(20)를 통과한다. 이때, 제2주름유도관부(522)를 통해 제2가열부(12)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검사부(20)를 우회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주름유도구동부(54)의 구동으로 제2주름유도관부(522)의 단부가 검사부(2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면, 제2주름유도관부(522)를 통해 제2가열부(12)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검사부(20)를 통과한다. 이때, 제1주름유도관부(521)를 통해 제1가열부(11)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검사부(20)를 우회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에서 유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3)에서 유도부(60)를 제외한 구성은 제1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1)의 구성과 유사하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3)에서 유도부(60)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부(60)는 밸브유도고정부(61)와 밸브유도관부(62)를 포함한다.
밸브유도고정부(61)는 가열부(10)와 검사부(20) 사이에 배치된다. 일 예로, 밸브유도고정부(61)는 지면과 같은 고정물에 고정 설치되고, 가열받침대(13)와 베이스부(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밸브유도관부(62)는 밸브유도고정부(61)에 지지된다. 밸브유도관부(62)는 제1가열부(11)와 제2가열부(12)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검사부(20)에 타단부가 연결된다. 밸브유도관부(62)는 제1가열부(11)와 제2가열부(12)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검사부(20)에 선택적으로 안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유도관부(62)는 제1밸브유도관부(161)와, 제1밸브배기관부(162)와, 제1밸브개폐부(163)와, 제2밸브유도관부(261)와, 제2밸브배기관부(262)와, 제2밸브개폐부(263)와, 밸브수렴관부(361)를 포함한다.
제1밸브유도관부(161)는 제1가열부(11)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결합부위가 실링 상태를 유지하여 배기가스 누출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밸브유도관부(261)는 제2가열부(12)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결합부위가 실링 상태를 유지하여 배기가스 누출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배기가스 누출 차단을 통해 열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제1밸브배기관부(162)는 제1밸브유도관부(161)에 연통되어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한다. 그리고, 제2밸브배기관부(262)는 제2밸브유도관부(261)에 연통되어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한다.
제1밸브개폐부(163)는 제1밸브유도관부(161)와 제1밸브배기관부(162)에 내장되고, 제1밸브유도관부(161)와 제1밸브배기관부(162)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그리고, 제2밸브개폐부(263)는 제2밸브유도관부(261)와 제2밸브배기관부(262)에 내장되고, 제2밸브유도관부(261)와 제2밸브배기관부(262)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밸브수렴관부(361)는 제1밸브유도관부(161)와 제2밸브유도관부(261)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검사부(20)에 타단부가 연결된다. 밸브수렴관부(361)는 검사부(20)와 결합되고, 결합부위가 실링 상태를 유지하여 배기가스 누출에 의한 열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유도부(60)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가열부(11)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검사부(20)에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 제1밸브개폐부(163)의 제어로 제1밸브배기관부(162)가 폐쇄되고, 제2밸브개폐부(263)의 제어로 제2밸브유도관부(261)가 폐쇄된다. 이로 인해, 제1가열부(11)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제1밸브유도관부(161)를 통해 검사부(20)로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가열부(12)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제2밸브배기관부(262)를 통해 검사부(20)를 우회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제2가열부(12)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검사부(20)에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 제2밸브개폐부(263)의 제어로 제2밸브배기관부(262)가 폐쇄되고, 제1밸브개폐부(163)의 제어로 제1밸브유도관부(161)가 폐쇄된다. 이로 인해, 제2가열부(12)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제2밸브유도관부(261)를 통해 검사부(20)로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가열부(11)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제1밸브배기관부(162)를 통해 검사부(20)를 우회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가열부 11 : 제1가열부
12 : 제2가열부 13 : 가열받침대
20 : 검사부 21 : 베이스부
22 : 지그부 23 : 열차단부
30 : 유도부 31 : 유도고정부
32 : 유도이동부 33 : 유도관부
34 : 유도구동부 40 : 배기부
99 : 온도센서 221 : 지그결합부
222 : 지그터널부 331 : 우회유도관부
332 : 검사유도관부

Claims (7)

  1.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통과하고, 온도센서가 장착되는 검사부; 및
    상기 가열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검사부로 안내하는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제1가열부; 및
    상기 제1가열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보다 높은 온도의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제2가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도부는
    상기 가열부와 상기 검사부 사이에 배치되는 유도고정부;
    상기 유도고정부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유도이동부;
    상기 유도이동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가열부와 상기 제2가열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검사부로 안내하는 유도관부; 및
    상기 유도이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도이동부를 왕복 이동시키는 유도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부는
    상기 유도이동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가열부와 상기 제2가열부 중 어느 하나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상기 온도센서를 우회하도록 배기가스를 안내하는 우회유도관부; 및
    상기 유도이동부에 장착되고, 상기 우회유도관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1가열부와 상기 제2가열부 중 다른 하나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상기 온도센서를 통과하도록 배기가스를 안내하는 검사유도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20003740A 2015-05-12 2022-01-11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 KR102420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740A KR102420233B1 (ko) 2015-05-12 2022-01-11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332A KR102377132B1 (ko) 2015-05-12 2015-05-12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
KR1020220003740A KR102420233B1 (ko) 2015-05-12 2022-01-11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332A Division KR102377132B1 (ko) 2015-05-12 2015-05-12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370A KR20220012370A (ko) 2022-02-03
KR102420233B1 true KR102420233B1 (ko) 2022-07-13

Family

ID=5754155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332A KR102377132B1 (ko) 2015-05-12 2015-05-12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
KR1020220003740A KR102420233B1 (ko) 2015-05-12 2022-01-11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332A KR102377132B1 (ko) 2015-05-12 2015-05-12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771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6116A (ja) * 2000-10-06 2002-04-19 Bosch Braking Systems Co Ltd 高温高圧試験装置
JP2008014772A (ja) * 2006-07-05 2008-01-24 Ngk Spark Plug Co Ltd 温度センサワークの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CN201680972U (zh) 2010-04-12 2010-12-22 青岛海泰自动化仪表有限公司 汽车散热器冷热冲击试验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6116A (ja) * 2000-10-06 2002-04-19 Bosch Braking Systems Co Ltd 高温高圧試験装置
JP2008014772A (ja) * 2006-07-05 2008-01-24 Ngk Spark Plug Co Ltd 温度センサワークの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CN201680972U (zh) 2010-04-12 2010-12-22 青岛海泰自动化仪表有限公司 汽车散热器冷热冲击试验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627A (ko) 2016-11-23
KR102377132B1 (ko) 2022-03-22
KR20220012370A (ko)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24192B (zh) 用于选择性加热还原剂管路的方法
US20160061758A1 (en) Thermal shock resistance testing method and thermal shock resistance testing apparatus
KR102420233B1 (ko) 배기가스용 온도센서 검사장치
CN108240905A (zh) 一种汽车排气管热振动检测系统
JP2018115660A (ja) 排ガス装置
KR20180134016A (ko) 가변형 헬름홀츠 공명기가 적용된 머플러 장치
JP6079681B2 (ja) ガスサンプラ
ITBO20000535A1 (it) Dispositivo di scarico per motori a conbustione interna
GB2511772A (en) Test and Method Apparatus
CN104898150A (zh) 放射性检测设备及检测方法
KR101416448B1 (ko) 스팀과 유압을 이용한 실린더 헤드 가스켓의 성능 시험장치
KR101834839B1 (ko) 자동차용 배기가스 압력 조절밸브 원격 제어장치
KR20100092320A (ko) 버터플라이밸브 검사장치
CN207923438U (zh) 一种汽车排气管热振动检测系统
US9835073B2 (en) Secondary-air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the operability of the secondary-air system
JP6042960B2 (ja) ターボチャージャ配置構成
CN104849306A (zh) 一种评估车辆排气管隔热层的隔热性能的方法
KR102256500B1 (ko) 고온 대기환경 모사 내열성 시료 테스터기 및 그 테스트 방법
CN217304336U (zh) 一种用于汽车零部件在低温环境下的检测装置
JP6994826B2 (ja) エミッション試験装置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排気流管システム及び関連した部品及びシステム
KR101947361B1 (ko) 방출 시그니처 수정 디바이스
JP6166325B2 (ja) シリンダヘッドアセンブリ
JP4291646B2 (ja) エンジンの排気ガス浄化装置
KR101572385B1 (ko) 고로용 냉각장치
KR101312319B1 (ko) 유로 연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