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195B1 - 유리벽조립체 - Google Patents

유리벽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195B1
KR102420195B1 KR1020210044640A KR20210044640A KR102420195B1 KR 102420195 B1 KR102420195 B1 KR 102420195B1 KR 1020210044640 A KR1020210044640 A KR 1020210044640A KR 20210044640 A KR20210044640 A KR 20210044640A KR 102420195 B1 KR102420195 B1 KR 102420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coupled
glass
wall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근호
Original Assignee
(주)인터프레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터프레임 filed Critical (주)인터프레임
Priority to KR1020210044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1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4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04B2/745Glazing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21V23/00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the substrate is supporting also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공간을 분할하는 유리벽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배치되는 바닥바(110)와; 상기 바닥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수직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180)과; 상기 복수개의 수직프레임(180)의 상부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수평바(130,150)와; 상기 바닥바(110)와 상기 수평바(130,150) 사이에 결합되는 유리판(160,165)과; 상기 수평바(130,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유리판(160,165)의 상부를 일정면적 덮어 상기 유리판(160,165)을 상기 수평바(130,150)에 임시 고정하는 이동식고정브라켓(140)과; 상기 이동식고정브라켓(140)을 덮도록 상기 수평바(130,150)에 결합되어 상기 유리판(160,165)의 위치를 고정하는 커버(170,17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리벽조립체{GLASS WALL PARTITION ASSEMBLY}
본 발명은 유리벽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유리판이 넘어지지 않도록 유리판의 상부를 임시고정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유리벽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간을 분할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가벽 또는 파티션이 사용된다. 가벽 또는 파티션은 재질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설치공간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높이로 설계된다.
최근 설치공간의 심미감과 인테리어를 위해 유리를 이용한 유리벽 또는 파티션이 사용되고 있다.
유리를 이용해 유리벽 또는 파티션을 시공할 때는 프레임에 유리판을 조립시키게 된다. 종래 유리판의 조립시에는 유리판의 하부를 바닥프레임에 끼우고 유리판의 상부를 상부프레임에 가조립한 상태에서 접착제 혹은 고정프레임을 이용해 유리판을 고정하게 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유리판의 하부를 바닥프레임에 끼우고 고정프레임을 이용해 유리판의 상부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유리판의 상부를 잡아 고정해야 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유리판의 상부를 잡고 있지 않으면 유리판이 앞으로 넘어져 유리판이 깨지거나 작업자가 다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리벽의 설치시에는 유리판의 상부를 잡는 작업자와 고정프레임을 고정하는 다른 작업자가 있어야 하므로, 최소 2명의 작업자가 요구되고, 작업과정도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리판의 상부를 작업자가 손으로 잡지 않고도 유리판을 임시 고정하여 간편하게 시공이 가능한 유리벽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따른 목적은 조명을 이용해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리벽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평조절이 용이한 유리벽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공간을 분할하는 유리벽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벽조립체는, 바닥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배치되는 바닥바(110)와; 상기 바닥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수직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180)과; 상기 복수개의 수직프레임(180)의 상부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수평바(130,150)와; 상기 바닥바(110)와 상기 수평바(130,150) 사이에 결합되는 유리판(160,165)과; 상기 수평바(130,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유리판(160,165)의 상부를 일정면적 덮어 상기 유리판(160,165)을 상기 수평바(130,150)에 임시 고정하는 이동식고정브라켓(140)과; 상기 이동식고정브라켓(140)을 덮도록 상기 수평바(130,150)에 결합되어 상기 유리판(160,165)의 위치를 고정하는 커버(170,170a)와; 상기 바닥바(110)의 바닥면에 삽입되어 상기 유리판(160,165)의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조절부재(120)와; 상기 바닥바(110)에 결합되는 조명부(190)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바(110)는, 지면에 배치되며 양단에 외부벽(111a)과 내부벽(111b)이 일정높이 형성된 바닥바본체(111)와; 상기 외부벽(111a)으로부터 상기 유리판(160,165)의 두께에 대응되는 폭만큼 이격되게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유리판(160,165)이 삽입되는 유리판끼움홈(112)을 형성하는 유리판지지벽(113)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조절부재(120)는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결합되어 상기 수평조절부재(120)의 높이를 조절하는 수평조절나사(121)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부(190)는 상기 바닥바본체(111)의 유리판지지벽(113)과 상기 내부벽(111b)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조명부(190)는, 상기 유리판지지벽(113)과 상기 내부벽(111b) 사이의 바닥면에 구비되며 판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LED(191a)가 결합된 조명기판(191)과; 상기 유리판지지벽(113)과 상기 내부벽(111b)에 결합되어 상기 조명기판(191)을 보호하는 조명커버(193)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170,170a)는, 상기 수평바(130,150)를 덮는 커버본체(171)와; 상기 커버본체(171)로부터 상기 수평바(130,150)를 향해 돌출형성되는 탄성부재결합돌기(175)와; 상기 탄성부재결합돌기(175)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바(130,150)에 탄성적으로 끼움결합되어 상기 커버(170,170a)와 상기 수평바(130,150)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속하는 탄성고정부재(177)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결합돌기(175)는 상기 커버본체(171)에 대해 "T"자 형태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탄성고정부재(177)에는 상기 탄성부재결합돌기(175)가 삽입되는 돌기끼움레일(177a)과, 상기 탄성부재결합돌기(175)를 향해 돌출형성되어 상기 돌기끼움레일(177a)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이탈방지돌기(177b)가 구비되며, 상기 수평바(130,150)는, 상기 수직프레임(180)에 결합되는 수평바본체(131,151)와; 상기 수평바본체(131,151)로부터 전방을 향해 수평하게 형성되어 하부에 상기 이동식고정브라켓(140)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레일홈(133a,153a)이 형성된 브라켓결합가이드(133,153)와; 상기 브라켓결합가이드(133,153)의 상부에 상기 탄성고정부재(177)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고정부재(177)가 탄성적으로 압착되며 삽입되는 탄성부재삽입공간(137,154)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식고정브라켓(140)은, 수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레일홈(133a,153a)에 삽입되는 상부수평바(150)와; 상기 상부수평바(150)의 전방에서 하부로 수직하게 절곡형성되며 상기 유리판(160,165)의 상부를 일정 면적 덮는 높이로 형성되는 유리판고정수직판(1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바(130,150)는 천정에 배치되는 상부수평바(150)와, 상기 상부수평바(150) 보다 낮게 배치되는 중간수평바(130)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바(110)와 상기 중간수평바(130) 사이에는 하부유리판(160)이 결합되고, 상기 중간수평바(130)와 상기 상부수평바(150) 사이에는 상부유리판(165)이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리판(160,165)은 상기 수직프레임(180)의 전방에만 결합되거나, 상기 수직프레임(180)의 전방과 후방에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유리벽조립체는 유리판의 설치시에 이동식고정브라켓을 이용해 유리판의 상부를 임시 고정하여 종래 유리판 설치시에 유리판이 앞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시간과 작업과정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바닥바에 수평조절부재를 삽입하여 유리판을 수평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중간수평바와 상부수평바에 중간커버와 상부커버의 탄성고정부재를 탄성적으로 압착하여 고정하여 고정과정 및 분리과정이 간편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벽조립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벽조립체의 단면유리벽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벽조립체의 단면유리벽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벽조립체의 각 구성들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면유리벽의 설치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면유리벽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유리벽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유리벽에 조명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벽조립체(1)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리벽조립체(1)는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간을 구획한다. 유리벽조립체(1)는 높이에 따라 건물의 천정에 닿게 설치되는 유리벽의 형태나 건물의 천정보다 낮게 설치되는 파티션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유리벽조립체(1)는 유리벽(100,100a)만 단독으로 설치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유리벽(100,100a)이 십자 형태로 교차되게 조합되어 형성되거나, 유리벽(100,100a)과 파티션이 조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유리벽(100,100a)의 경우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도어부(200)가 개폐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유리벽조립체(1)는 유리를 이용해 시공된 것으로 설명하나, 경우에 따라 유리가 아닌 다른 재질의 판재가 결합될 수도 있다.
유리벽(100,100a)은 한쪽에만 유리가 배치되는 단면유리벽(100)이나, 양쪽에 모두 유리가 배치되는 양면유리벽(100a)으로 구비될 수 있다. 유리벽(160,160a)의 연결은 가스켓(161)에 의해 끼워지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도 2는 시공이 완료된 단면유리벽(100)의 정면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단면유리벽(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는 단면유리벽(100)의 각 구성의 단면형상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면유리벽(100)은 천정까지 닿는 높이로 구비되며, 상부유리판(165)과 하부유리판(160)이 상하로 배치되게 구비된다.
이를 위해 단면유리벽(100)은 건물의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바(110)와, 바닥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180)과, 바닥바(110)의 상부에 수평하게 구비되어 하부유리판(160)의 상부와 상부유리판(165)의 하부를 함께 지지파는 중간수평바(130)와, 수직프레임(180)의 상부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상부유리판(165)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수평바(150)와, 중간수평바(130)와 상부수평바(150)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하부유리판(160)과 상부유리판(165)이 쓰러지지 않도록 중간수평바(130)와 상부수평바(150)에 임시고정하는 이동식고정브라켓(140)과, 중간수평바(130)에 결합되어 하부유리판(160)을 고정하는 중간커버(170)와, 상부수평바(150)에 결합되어 상부유리판(165)을 고정하는 상부커버(170a)를 포함한다.
바닥바(110)는 건물의 바닥에 설치되며 하부유리판(160)의 하부를 고정한다. 바닥바(110)는 설치될 하부유리판(160)의 전체 개수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구비된다.
도 4의 (a)는 바닥바(110)의 측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바(110)는 바닥면에 수평하게 형성된 바닥바본체(111)와, 바닥바본체(111)의 양단에 상부로 돌출형성된 외부벽(111a) 및 내부벽(111b)을 포함한다. 외부벽(111a)과 내부벽(111b) 사이에는 하부유리판(160)의 폭(d)에 대응하게 외부벽(111a)으로부터 이격배치된 유리판지지벽(113)이 수직하게 구비된다.
외부벽(111a)과 유리판지지벽(113) 사이에는 하부유리판(160)이 삽입되는 유리판끼움홈(112)이 형성되고, 유리판지지벽(113)과 내부벽(111b) 사이에는 조명부(190)가 결합되는 조명결합홈(115)이 형성된다.
도 6의 하부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판끼움홈(112)에는 하부유리판(160)의 하단(162)이 삽입된다. 이 때, 유리판끼움홈(112)에는 도 3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조절부재(120)가 배치된다. 수평조절부재(120)는 유리판끼움홈(112)에 하부유리판(160)이 삽입될 때 바닥을 수평하게 형성하여 하부유리판(160)이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게 한다.
수평조절부재(120)는 도 3의 하부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판끼움홈(112)에 삽입되는 일정두께를 갖는 바 형태로 구비된다. 수평조절부재(120)의 판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조절나사(121)가 나사결합되게 구비된다.
작업자는 수평계를 수평조절부재(120)의 상부에 배치하고 수평조절나사(121)를 회전시켜 수평조절부재(120)의 하부로 수평조절부재(120)가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하여 수평조절부재(120)가 유리판끼움홈(112)에 수평상태로 배치되게 한다.
이에 의해 건물의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더라도 수평조절부재(120)의 상면에 적재되는 하부유리판(160)은 수평이 조절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조명결합홈(115)에는 바닥면에 조명결합레일(116)이 형성되고, 유리판지지벽(113)과 내부벽(111b)의 내벽면에는 조명커버결합돌기(117)가 돌출형성된다.
도 7의 하부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유리벽(100)에 조명부(190)가 결합될 경우, 조명결합레일(116) 사이의 바닥면에 조명기판(191)이 결합된다. 그리고, 조명커버결합돌기(117)에는 조명커버(193)가 끼움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이렇게 바닥바(110)에 조명부(190)가 결합될 수 있는 구조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명부(190)를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수직프레임(180)는 바닥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중간수평바(130)와 상부수평바(150)를 지지한다. 수직프레임(180)는 도 3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18)를 이용해 바닥바(110)에 결합된다. 수직프레임(180)의 하부에는 커넥터(118)가 결합되는 결합공(181)이 형성되고, 작업자는 랜치(A)를 정역 조작하여 커넥터(118)를 결합공(181)에 결합시킨다. 수직프레임(180)과 바닥바(110)의 결합은 이 외에도 다양한 공지된 방법으로 가능하다.
중간수평바(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수직프레임(180)의 전방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하부유리판(160)의 상단을 지지한다. 중간수평바(130)는 하부유리판(160)의 높이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하부유리판(160)의 상단 후방을 접촉지지한다.
도 4의 (b)는 중간수평바(130)의 측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수평바(130)는 일정높이 수직하게 형성된 중간수평바본체(131)와, 중간수평바본체(131)로부터 전방을 향해 수평하게 돌출되어 이동식고정브라켓(140)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결합가이드(133)와, 브라켓결합가이드(133)의 상부에 수평하게 중간수평바본체(131)에 결합되어 상부유리판(165)을 지지하는 상부유리판지지바(135)를 포함한다.
중간수평바본체(131)는 일정높이를 갖는 수직바 형태로 구비되어 수직프레임(180)에 고정결합된다. 중간수평바본체(131)와 수직프레임(180)은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브라켓결합가이드(133)는 이동식고정브라켓(140)이 중간수평바(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지지한다. 이를 위해 브라켓결합가이드(133)의 하부에는 이동식고정브라켓(140)이 삽입되는 브라켓레일홈(133a)이 형성된다.
이동식고정브라켓(140)은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하게 형성된 레일결합수평판(141)과, 레일결합수평판(141)의 선단에 수직하게 형성된 유리판고정수직판(143)으로 형성된다.
브라켓레일홈(133a)의 폭(W)은 레일결합수평판(141)의 폭(W1)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고정브라켓(140)은 브라켓레일홈(133a)에 끼워지고 브라켓결합가이드(1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
작업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유리판(160)의 하부(162)를 바닥바(110)의 유리판끼움홈(112)에 끼운 후에 하부유리판(160)의 상부(163)를 중간수평바본체(131)에 밀착시키고 이동식고정브라켓(140)을 하부유리판(160)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유리판고정수직판(143)을 하부유리판(160)의 상부와 접촉되게 배치하여 하부유리판(160)이 앞으로 쓰러지지 않게 임시고정한다.
도 7은 단면유리벽(100)의 시공이 완료된 상태의 측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유리판(160)의 상부(163)의 후방은 중간수평바본체(131)의 하부에 접촉지지되고 전방은 슬라이딩 이동된 이동식고정브라켓(140)의 유리판고정수직판(143)에 접촉지지된다. 이에 의해 하부유리판(160)의 상부(163)는 중간수평바본체(131)와 유리판고정수직판(143) 사이에 위치가 구속된다.
여기서, 이동식고정브라켓(140)의 유리판고정수직판(143)의 높이(h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유리판(160)의 상부(163)와 일정높이(h5) 겹쳐지게 형성된다. 또한, 유리판고정수직판(143)의 높이(h3)는 작업자가 하부유리판(160)의 하부(162)를 들어올려 유리판끼움홈(112)에 끼울 수 있도록 유리판지지벽(113)의 높이만큼 여유공간이 있도록 형성된다.
이동식고정브라켓(140)은 중간수평바(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브라켓레일홈(133a)에 복수개가 결합되고, 작업자는 시공되는 하부유리판(160)의 위치에 맞게 이동식고정브라켓(140)을 적어도 한 개 이상 이동시켜 하부유리판(160)의 상부를 고정한다. 이에 의해 하부유리판(160)이 앞으로 넘어지지 않게 작업자가 손으로 하부유리판(160)을 잡고 있어야할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중간수평바(130)의 상부유리판지지바(135)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결합가이드(133)의 상부에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부유리판(165)의 하단을 지지한다. 상부유리판지지바(135)의 선단에는 상부로 수직하게 돌출형성된 상부유리판지지외벽(135a)이 구비된다. 상부유리판지지외벽(135a)과 중간수평바본체(131) 사이에 상부유리판(165)의 하단이 삽입되는 상부유리판결합홈(136)이 형성된다.
상부유리판지지바(135)와 브라켓결합가이드(133) 사이에는 탄성부재삽입공간(137)이 형성된다. 탄성부재삽입공간(137)은 중간커버(170)의 탄성고정부재(177)가 삽입되어 중간커버(170)가 중간수평바(130)에 고정되게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커버(170)는 바닥바(110)와 중간수평바(130) 사이에 복수개의 하부유리판(160)이 이웃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이동식고정브라켓(140)에 의해 임시로 고정된 하부유리판(160)의 상부를 덮도록 중간수평바(130)에 결합되어 하부유리판(160)의 위치를 구속한다.
도 4의 (c)는 중간커버(170)의 측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커버(170)는 수직하게 형성된 커버본체(171)와, 커버본체(171)의 상단과 하단에 내측을 향해 절곡형성된 상부끼움바(172) 및 하부끼움바(173)를 포함한다.
커버본체(171)에는 중간수평바(130)의 탄성부재삽입공간(137)에 대응되는 위치에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탄성부재결합돌기(175)와, 탄성부재결합돌기(175)에 결합되어 탄성부재삽입공간(137)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탄성고정부재(177)를 포함한다.
커버본체(171)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수평바(130)의 상부유리판지지외벽(135a)으로부터 중간수평바본체(131) 하단까지의 높이(h1)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된다. 상부끼움바(172)와 하부끼움바(173)는 도 7의 가운데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유리판지지외벽(135a)의 상단과 브라켓레일홈(133a)에 결합된 이동식고정브라켓(140)의 유리판고정수직판(143)의 하단에 끼워진다.
탄성고정부재(177)는 탄성부재결합돌기(175)에 결합된 상태로 커버본체(171)가 중간수평바(130)에 결합될 대 탄성부재삽입공간(137)에 삽입된다. 여기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삽입공간(137)의 높이(h)에 비해 탄성고정부재(177)의 높이(h1)가 일정길이 높게 형성된다.
탄성고정부재(177)는 탄성을 갖는 고무나 실리콘으로 형성되며, 탄성부재삽입공간(137)에 삽입될 때 탄성적으로 압축된다. 압축된 상태의 탄성고정부재(177)는 초기 상태로 복원되기 위해 탄성력을 작용하므로 중간커버(170)가 중간수평바(130)에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중간커버(170)를 중간수평바(130)에 가압하여 탄성고정부재(177)가 탄성부재삽입공간(137)에 삽입되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중간커버(170)를 중간수평바(130)에 고정할 수 있어 유리판(160,165)의 시공과정이 간편화될 수 있다.
반대로 중간커버(170)를 분리할 때도 탄성고정부재(177)가 분리될 수 있을 정도의 힘만 가하면 중간커버(170)가 손쉽게 분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결합돌기(175)는 커버본체(171)에 대해 "T"자 형태로 돌출 형성되고, 탄성고정부재(177)에는 탄성부재결합돌기(175)가 삽입되는 돌기끼움레일(177a)이 형성된다. 또한, 탄성고정부재(177)의 하부에는 탄성부재결합돌기(175)를 향해 돌출형성되어 돌기끼움레일(177a)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이탈방지돌기(177b)가 구비된다.
상부수평바(150)는 중간수평바(130)의 상부에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부유리판(165)의 상부를 고정한다. 상부수평바(150)의 위치는 건물의 천정의 높이 또는 상부유리판(165)의 높이에 따라 상이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5의 (a)는 상부수평바(150)의 측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부수평바(150)는 수평하게 형성된 상부수평바본체(151)와, 상부수평바본체(151)의 내측에 하부로 형성된 상부내부벽(151a)과, 상부유리판(165)의 후방을 지지하는 상부유리판지지벽(151b)과, 상부유리판지지벽(151b)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이동식고정브라켓(140)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브라켓결합가이드(153)가 구비된다.
바닥바(110)와 상부수평바(150)를 비교할 때 상부수평바(150)는 바닥바(110)를 뒤집어 놓은 상태이나 상부유리판(165)의 상단을 고정해야하므로 고정된 외벽 대신 상부브라켓결합가이드(153)가 구비된다.
상부브라켓결합가이드(153)와 상부수평바본체(151) 사이에는 상부탄성부재삽입공간(154)이 형성된다.
도 7의 상부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브라켓결합가이드(153)에는 이동식고정브라켓(140)이 결합되어 상부유리판(165)의 상부(167)를 일정면적 덮어 상부유리판(165)이 넘어지지 않게 임시고정한다. 이동식고정브라켓(140)이 결합된 상부수평바(150)에 상부커버(170a)가 결합되어 상부유리판(165)을 고정한다.
도 5의 (b)는 상부커버(170a)의 측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중간커버(170)와 상부커버(170a)를 비교할 때 상부커버(170a)는 상부에 유리판을 추가로 지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탄성부재결합돌기(175)로부터 하부끼움바(173)까지의 높이로만 구비된다.
상부커버(170a)의 탄성고정부재(177)는 상부수평바(150)의 상부탄성부재삽입공간(154)에 삽입되어 상부유리판(165)의 상부 위치를 고정한다.
하부유리판(160)은 바닥바(110)와 중간수평바(130) 사이에 결합되고, 상부유리판(165)은 중간수평바(130)와 상부수평바(150) 사이에 결합된다. 여기서, 도 2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한 하부유리판(160,160a) 사이에는 가스켓(161)이 삽입되어 하부유리판(160,160a)을 지지한다. 상부유리판(165,165a) 사이에도 가스켓이 삽입된다.
조명부(190)는 바닥바(110)와 상부수평바(150)의 조명결합홈(115,155)에 결합되어 단면유리벽(100)에 조명효과를 더한다. 조명부(190)는 도 7의 하부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바(110)의 조명결합레일(116) 사이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조명기판(191)과, 내부벽(111b)과 유리판지지벽(113)에 결합되는 조명커버(193)를 포함한다.
조명기판(191)은 조명결합레일(116) 사이의 바닥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된다. 조명기판(191)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LED(191a)가 구비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조명기판(191)에는 전원공급라인이 외부로 연결되어 사용전원과 공급된다. 조명기판(191)으로 전원이 공급되면 LED(191a)가 발광되며 상부로 광(L)을 조사한다.
조명커버(193)는 조명결합홈(115)에 결합되어 조명기판(191)을 보호하며 LED(191a)에서 조사된 광(L)이 확산되게 한다. 조명커버(193)는 하부가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조명결합홈(115)을 덮는다. 조명커버(193)의 양측 하단 내측에는 조명커버결합돌기(117)에 끼움결합되는 한 쌍의 돌기결합고리(193a)가 구비된다.
돌기결합고리(193a)가 내부벽(111b)과 유리판지지벽(113)의 조명커버결합돌기(117)에 끼움결합되어 조명커버(193)가 조명결합홈(115)을 덮도록 고정한다.
조명부(190)는 도 7의 상부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수평바(150)에도 바닥바(110)와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부유리판(165)의 하부를 향해 광(L)을 조사한다. 이렇게 유리벽(100,100a)의 상부와 하부에 조명부(190)가 설치되면 유리벽(100,100a)의 상부와 하부에서 광을 조사하여 유리벽(100,100a) 전체를 비춰 유리벽(100,100a)을 인테리어적 요소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경우에 따라 내부에 광고판을 삽입하여 조명부(190)가 광고판을 비춰 단면유리벽(100)을 광고액자 형태로 활용할 수도 있다.
한편, 단면유리벽(100)이 공간의 일면을 모두 가리게 설치될 경우,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도어부(200)가 결합된다. 도어부(2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바(110)의 사이에 결합되는 문틀(210)과, 이웃하는 수직프레임(180) 사이에 결합되는 도어프레임(220)과, 도어프레임(220)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230)를 포함한다.
도 5의 (d)는 문틀(210)의 평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의 (e)는 도어프레임(220)의 평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어(230)는 도어프레임(220)에 경첩 등을 이용해 개폐가능하게 결합된다. 문틀(210)과 도어프레임(220) 및 도어(230)는 공지된 형태가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벽조립체(1)의 시공과정을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면유리벽(100)의 시공을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바닥에 바닥바(110)를 시공될 단면유리벽(100)의 전체 폭에 맞게 설치한다. 바닥바(110)의 고정이 완료되면, 바닥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수직프레임(180)을 설치한다.
복수개의 수직프레임(180)의 설치가 완료되면, 수직프레임(180)의 상부에 상부수평바(150)를 결합시키고, 하부유리판(160)의 높이에 대응되게 중간수평바(130)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중간수평바(130)와 상부수평바(150)의 브라켓결합가이드(133)에 복수개의 이동식고정브라켓(140)을 끼워놓는다.
상부수평바(150)와 중간수평바(130)의 설치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바닥바(110)에 수평조절부재(120)를 결합시켜 하부유리판(160)이 설치된 바닥의 수평을 조절한다. 작업자는 수평조절부재(120)에 수평계(미도시)를 높고 각 수평조절나사(121)를 정역회전시켜 수평조절부재(120)의 수평을 맞춘다.
수평조절부재(120)의 수평이 맞춰지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하부유리판(160)의 하부(162)를 바닥바(110)의 외부벽(111a)과 유리판지지벽(113) 사이의 유리판끼움홈(112)에 끼우고 상부(163)를 중간수평바(130)의 중간수평바본체(131)에 거치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브라켓결합가이드(133)에 결합된 이동식고정브라켓(140)을 하부유리판(160)의 상부(163)를 덮도록 슬라이딩이동시켜 하부유리판(160)을 임시고정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바닥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하부유리판(160)을 바닥바(110)와 이동식고정브라켓(140) 사이에 임시 고정한다.
바닥바(110)의 전체 길이방향을 따라 모든 하부유리판(160)의 배치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상부유리판(165)은 중간수평바(130)와 상부수평바(150) 사이에 배치한다. 상부유리판(165)의 하부(166)는 중간수평바(130)의 상부유리판지지외벽(135a)과 중간수평바본체(131) 사이의 상부유리판결합홈(136)에 삽입한다.
상부유리판(165)의 상부(167)는 상부수평바(150)의 유리판지지벽(113)에 거치되고, 이동식고정브라켓(140)에 의해 임시고정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복수개의 상부유리판(165)을 중간수평바(130)와 상부수평바(150) 사이에 배치시킨다.
하부유리판(160)과 상부유리판(165)이 배치가 모두 완료되면 중간커버(170)를 중간수평바(130)에 결합시킨다. 도 7의 가운데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커버(170)의 상부끼움바(172)와 하부끼움바(173)가 상부유리판지지외벽(135a)과 이동식고정브라켓(140)의 하단에 끼워지고 탄성고정부재(177)가 탄성부재삽입공간(137)에 압축되며 탄성적으로 끼워진다.
이에 의해 중간커버(170)가 중간수평바(130)에 고정되어 하부유리판(160)의 위치가 고정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상부커버(170a)가 상부수평바(150)에 결합된다. 도 7의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버(170a)의 탄성고정부재(177)가 상부수평바(150)의 상부탄성부재삽입공간(154)에 탄성적으로 압축되며 끼워져 상부유리판(165)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렇게 유리벽(100,100a)의 시공이 완료되면, 경우에 따라 조명부(190)를 설치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부(190)는 바닥바(110)에 결합될 수 있다.
작업자는 조명기판(191)을 바닥바(110)의 조명결합레일(116)에 설치하고, 조명커버(193)를 조명커버결합돌기(117)에 끼워 고정한다. 조명부(190)는 필요에 따라 상부수평바(150)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조명부(190)가 설치되면 하부유리판(160)과 상부유리판(165)의 하부와 상부에서 광이 비춰질 수 있다.
한편, 단면유리벽(100)에는 경우에 따라 도어부(200)가 결합되어 사용자의 출입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면유리벽(100)은 천정까지 닿는 높이로 하부유리판(160)과 상부유리판(165)이 아래, 위로 배치되게 구비되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하부유리판(160)만 설치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중간수평바(130)와 중간커버(170) 없이 바닥바(110)와 상부수평바(150) 및 상부커버(170a)만 수직프레임(180)에 조립되어 하부유리판(160)을 지지하게 된다.
한편, 도 8은 양면유리벽(100a)이 설치된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유리벽(100a)은 수직프레임(180)의 앞뒤에 유리판(160,165)이 설치된다.
이를 위해 양면바닥바(110a)과 양면상부수평바(150)는 조명결합홈(115)의 양측에 유리판끼움홈(112)이 형성되고, 양측에 각각 하부유리판(160)과 상부유리판(165)이 결합된다.
이렇게 양면유리벽(100a)은 단면유리벽(100)에 비해 소음저감 효과가 크며 심미감이 부각될 수 있다.
또한, 양면유리벽 사이의 내부에 그림, 광고판 등을 삽입하여 광고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양면유리벽(100a)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바닥바(110a)와 양면상부수평바(150)에 조명부(190)를 넣어 조명효과를 추가할 수 있다.
여기서, 단면유리벽(100)과 양면유리벽(100a)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직교하게 조합되어 공간을 분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복수개의 단면유리벽(100)이 서로 조합되어 사용되거나, 단면유리벽(100)과 양면유리벽(100a)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단면유리벽(100)과 양면유리벽(100a)은 높이를 낮게 하여 사무실에서 책상과 책상 사이를 분할하는 파티션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유리벽조립체에서는 유리판이 결합되는 과정만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유리판 대신 나무판이나 플라스틱 판재 등이 동일한 고정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리벽조립체는 유리판의 설치시에 이동식고정브라켓을 이용해 유리판의 상부를 임시 고정하여 종래 유리판 설치시에 유리판이 앞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시간과 작업과정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바닥바에 수평조절부재를 삽입하여 유리판을 수평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중간수평바와 상부수평바에 중간커버와 상부커버의 탄성고정부재를 탄성적으로 압착하여 고정하여 고정과정 및 분리과정이 간편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유리벽조립체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유리벽조립체 100 : 단면유리벽
100a : 양면유리벽 110 : 바닥바
111 : 바닥바본체 111a : 외부벽
111b : 내부벽 112 : 유리판끼움홈
113 : 유리판지지벽 115 : 조명결합홈
116 : 조명결합레일 117 : 조명커버결합돌기
118 : 커넥터 120 : 수평조절부재
121 : 수평조절나사 130 : 중간수평바
131 : 중간수평바본체 133 : 브라켓결합가이드
133a : 브라켓레일홈 135 : 상부유리판지지바
135a : 상부유리판지지외벽 136 : 상부유리판결합홈
137 : 탄성부재삽입공간 140 : 이동식고정브라켓
141 : 레일결합수평판 143 : 유리판고정수직판
150 : 상부수평바 151 : 상부수평바본체
151a : 내부벽 151b : 유리판지지벽
153 : 브라켓결합가이드 153a : 브라켓레일홈
154 : 상부탄성부재삽입공간 155 : 조명결합홈
156 : 조명결합레일 157 : 조명커버결합돌기
160 : 유리판 161 : 가스켓
162 : 유리판하부 163 : 유리판상부
165 : 상부유리판 166 : 유리판하부
167 : 유리판상부 170 : 중간커버
170a : 상부커버 171 : 커버본체
172 : 상부끼움바 173 : 하부끼움바
173a : 브라켓결합턱 175 : 탄성부재결합돌기
177 : 탄성고정부재 177a : 돌기끼움레일
177b : 이탈방지돌기 180 : 수직프레임
181 : 결합공 190 : 조명부
191 : 조명기판 191a : LED
193 : 조명커버 193a : 돌기결합고리
200 : 도어부 210 : 문틀
220 : 도어프레임 230 : 도어

Claims (7)

  1.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공간을 분할하는 유리벽조립체에 있어서,
    바닥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배치되는 바닥바(110)와;
    상기 바닥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수직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180)과;
    상기 복수개의 수직프레임(180)의 상부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수평바(130,150)와;
    상기 바닥바(110)와 상기 수평바(130,150) 사이에 결합되는 유리판(160,165)과;
    상기 수평바(130,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유리판(160,165)의 상부를 일정면적 덮어 상기 유리판(160,165)을 상기 수평바(130,150)에 임시 고정하는 이동식고정브라켓(140)과;
    상기 이동식고정브라켓(140)을 덮도록 상기 수평바(130,150)에 결합되어 상기 유리판(160,165)의 위치를 고정하는 커버(170,170a)와;
    상기 바닥바(110)의 바닥면에 삽입되어 상기 유리판(160,165)의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조절부재(120)와;
    상기 바닥바(110)에 결합되는 조명부(190)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바(110)는,
    지면에 배치되며 양단에 외부벽(111a)과 내부벽(111b)이 일정높이 형성된 바닥바본체(111)와;
    상기 외부벽(111a)으로부터 상기 유리판(160,165)의 두께에 대응되는 폭만큼 이격되게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유리판(160,165)이 삽입되는 유리판끼움홈(112)을 형성하는 유리판지지벽(113)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조절부재(120)는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결합되어 상기 수평조절부재(120)의 높이를 조절하는 수평조절나사(121)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부(190)는 상기 바닥바본체(111)의 유리판지지벽(113)과 상기 내부벽(111b)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조명부(190)는,
    상기 유리판지지벽(113)과 상기 내부벽(111b) 사이의 바닥면에 구비되며 판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LED(191a)가 결합된 조명기판(191)과;
    상기 유리판지지벽(113)과 상기 내부벽(111b)에 결합되어 상기 조명기판(191)을 보호하는 조명커버(193)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170,170a)는,
    상기 수평바(130,150)를 덮는 커버본체(171)와;
    상기 커버본체(171)로부터 상기 수평바(130,150)를 향해 돌출형성되는 탄성부재결합돌기(175)와;
    상기 탄성부재결합돌기(175)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바(130,150)에 탄성적으로 끼움결합되어 상기 커버(170,170a)와 상기 수평바(130,150)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속하는 탄성고정부재(177)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결합돌기(175)는 상기 커버본체(171)에 대해 "T"자 형태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탄성고정부재(177)에는 상기 탄성부재결합돌기(175)가 삽입되는 돌기끼움레일(177a)과, 상기 탄성부재결합돌기(175)를 향해 돌출형성되어 상기 돌기끼움레일(177a)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이탈방지돌기(177b)가 구비되며,
    상기 수평바(130,150)는,
    상기 수직프레임(180)에 결합되는 수평바본체(131,151)와;
    상기 수평바본체(131,151)로부터 전방을 향해 수평하게 형성되어 하부에 상기 이동식고정브라켓(140)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레일홈(133a,153a)이 형성된 브라켓결합가이드(133,153)와;
    상기 브라켓결합가이드(133,153)의 상부에 상기 탄성고정부재(177)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고정부재(177)가 탄성적으로 압착되며 삽입되는 탄성부재삽입공간(137,154)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식고정브라켓(140)은,
    수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레일홈(133a,153a)에 삽입되는 상부수평바(150)와;
    상기 상부수평바(150)의 전방에서 하부로 수직하게 절곡형성되며 상기 유리판(160,165)의 상부를 일정 면적 덮는 높이로 형성되는 유리판고정수직판(1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벽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130,150)는 천정에 배치되는 상부수평바(150)와, 상기 상부수평바(150) 보다 낮게 배치되는 중간수평바(130)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바(110)와 상기 중간수평바(130) 사이에는 하부유리판(160)이 결합되고, 상기 중간수평바(130)와 상기 상부수평바(150) 사이에는 상부유리판(165)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벽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판(160,165)은 상기 수직프레임(180)의 전방에만 결합되거나, 상기 수직프레임(180)의 전방과 후방에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벽조립체.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044640A 2021-04-06 2021-04-06 유리벽조립체 KR102420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640A KR102420195B1 (ko) 2021-04-06 2021-04-06 유리벽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640A KR102420195B1 (ko) 2021-04-06 2021-04-06 유리벽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0195B1 true KR102420195B1 (ko) 2022-08-04

Family

ID=82834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640A KR102420195B1 (ko) 2021-04-06 2021-04-06 유리벽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1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895B1 (ko) * 2010-02-25 2011-01-14 윤장노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KR20170075967A (ko) * 2015-12-24 2017-07-04 주식회사 사인테크 월 파티션 시스템
KR102071129B1 (ko) * 2018-03-07 2020-01-29 (주)혜덕 유리칸막이
KR20200021876A (ko) * 2019-07-02 2020-03-02 정태호 건물 벽체 마감 아트월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895B1 (ko) * 2010-02-25 2011-01-14 윤장노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KR20170075967A (ko) * 2015-12-24 2017-07-04 주식회사 사인테크 월 파티션 시스템
KR102071129B1 (ko) * 2018-03-07 2020-01-29 (주)혜덕 유리칸막이
KR20200021876A (ko) * 2019-07-02 2020-03-02 정태호 건물 벽체 마감 아트월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4877A (en) Demountable ceiling closure
NO171177B (no) Skjermveggsystem
US10980339B2 (en) Equipment mounting apparatus for console
KR860000703B1 (ko) 침실용 캐비넷
US20150345136A1 (en) Adjustable Open Space Office System
KR102420195B1 (ko) 유리벽조립체
KR20130003394U (ko) 간접조명이 내장된 천장마감 몰딩
US4332005A (en) Lighting panel for drop ceilings
US20220349178A1 (en) Enclosure assembly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same
JP6832680B2 (ja) 天板付家具
JP2017155564A (ja) 上吊引戸
KR20180003249U (ko) 평면등용 프레임 설치장치
JP6851792B2 (ja) 天板付家具
JP2003336339A (ja) 半開放個室型の間仕切装置
KR102593157B1 (ko) 빛샘 방지 및 간편한 유지보수 구조를 가지는 라인 조명장치
KR102532157B1 (ko) 다용도 커튼박스
JP3552948B2 (ja) 間仕切用折畳み保管庫
JP5956270B2 (ja) ショーケース
JP4107226B2 (ja) 間仕切り板及びこれを利用した間仕切り構造体
KR102092632B1 (ko) 슬라이딩 도어시스템의 문틀용 하부프레임
JP2023037402A (ja) 構造体
WO2021182112A1 (ja) 間仕切壁装置及び間仕切壁施工方法
JP6202314B2 (ja) 戸枠
JP2023037403A (ja) 構造体
JP6832681B2 (ja) 天板付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