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183B1 - 구호용품 보관함 - Google Patents

구호용품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183B1
KR102419183B1 KR1020200047361A KR20200047361A KR102419183B1 KR 102419183 B1 KR102419183 B1 KR 102419183B1 KR 1020200047361 A KR1020200047361 A KR 1020200047361A KR 20200047361 A KR20200047361 A KR 20200047361A KR 102419183 B1 KR102419183 B1 KR 102419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orage box
film
relief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9415A (ko
Inventor
김건우
Original Assignee
스마트필름피디엘씨그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마트필름피디엘씨그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마트필름피디엘씨그룹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7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183B1/ko
Publication of KR20210129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9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essential features of rigid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5/00Devices for storing or holding or carrying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07Solid extinguishing substances
    • A62D1/0021Microcapsu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구호용품 보관함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구호용품 보관함은: 구호용품이 보관되는 공간부와, 공간부와 연결되며 구호용품을 인출가능한 개방부를 구비하는 보관함부와; 보관함부에 설치되고, 개방부를 덮으며, 난연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필름부를 구비하는 블라인드부와; 보관함부에 설치되고, 필름부를 고정하며, 가압시 작동되어 필름부의 고정을 해제하는 조작부와; 보관함부에 설치되고, 조작부와 연결되며, 외력에 의해 작동되어 조작부를 가압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호용품 보관함{BOX FOR STRORING RELIEF GOODS}
본 발명은 구호용품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호용품을 쉽게 인출할 수 있음은 물론, 비상시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으며, 화재발생시 초기 진압이 가능한 구호용품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공장 등 공공장소에는 각종 사고나 테러로부터 대피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하여 비상시에 사용할 수 있는 방독면, 양압식 공기흡입기, 손전등, 밧줄 등을 보관하기 위한 구호용품 보관함이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구호용품 보관함은 비상시 전면의 유리를 파손해야 구호용품을 인출할 수 있어, 과격한 동작이나 유리의 파손시 발생되는 유리파편으로 인해 대피자의 부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상시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어둠속에서 구호용품 보관함을 식별하기 어려워 대피자가 구호용품보관함을 식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2693호(고안의 명칭: 다단형 비상 캐비넷, 공개일: 2013.05.06.)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구호용품을 쉽게 인출할 수 있음은 물론, 비상시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으며, 화재발생시 초기 진압이 가능한 구호용품 보관함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호용품 보관함은: 구호용품이 보관되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와 연결되며 상기 구호용품을 인출가능한 개방부를 구비하는 보관함부; 상기 보관함부에 설치되고, 상기 개방부를 덮으며, 난연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필름부를 구비하는 블라인드부; 상기 보관함부에 설치되고, 상기 필름부를 고정하며, 가압시 작동되어 상기 필름부의 고정을 해제하는 조작부; 및 상기 보관함부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며, 외력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조작부를 가압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름부는 투명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관함부는 축광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버튼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라인드부는, 상기 보관함부에 설치되는 설치대; 상기 설치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 탄성복원력으로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탄성부; 및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며, 상기 탄성부의 탄성복원력으로 회전되는 상기 회전부에 감겨지고, 상기 조작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상기 필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태엽스프링으로 상기 회전부을 감싸고 일단부가 상기 설치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보관함부에 설치되는 회전축부; 상기 회전축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부를 기준으로 상기 버튼부의 가압이 가해지는 부분이 상기 보관함부 측으로 가압되면서 회전되는 누름부; 상기 누름부에서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누름부의 가압시 상기 결합부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결합돌기; 및 상기 누름부를 탄성지지하며, 상기 누름부에 가해지는 가압력의 해제시 상기 누름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름부는, 상기 회전축부를 기준으로 상기 탄성스프링부와 연결되며, 상기 버튼부의 가압에 의해 상기 보관함부 측으로 이동되는 제1누름부; 및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되고, 상기 보관함부의 반대측으로 이동되는 제2누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관함부는 표면이 축광물질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관함부에 장착되고, 온도의 변화에 반응하여 상기 보관함부에 살포되는 소화캡슐을 구비하는 소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은 블라인드부의 필름부가 난연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은 물론, 투명한 재질이므로, 비상시 전면의 유리를 파손해야 구호용품을 인출할 수 있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과격한 동작이나 유리를 파손하지 않아도 구호용품을 쉽게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보관함부는 표면이 축광물질로 도포되며, 보관함부에 축광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버튼표시부가 구비됨에 따라, 대피자가 보관함부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 누름부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온도의 변화에 반응하여 보관함부에 살포되는 소화 마이크로 캡슐을 구비하는 소화부를 통해 보관함부의 내에 화재발생시 자동적으로 보관함부의 화재를 빠르게 진압할 수 있어 화재로 인한 보관함부 및 보관함부에 보관된 구호용품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구조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블라인드부의 필름부가 상승되면서 보관함부의 개방구가 개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블라인드부의 필름부가 보관함부의 개방구를 덮은 상태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블라인드부의 필름부가 상승되면서 보관함부의 개방구가 개방되는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블라인드부의 작동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버튼부 및 조작부의 작동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소화부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소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주변에 설치된 구호용품 자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주변에 설치된 구호용품 체험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구조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블라인드부에 영상이 구현되는 것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블라인드부가 불투명한 상태에서 투명한 상태로 변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에서 블라인드부의 필름부가 상승되면서 보관함부의 개방구가 개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영상이 구현된 블라인드부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투명한 상태의 블라인드부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블라인드부의 필름부가 상승되면서 보관함부의 개방구가 개방되는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블라인드부의 작동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조작부의 작동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내부 상태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도 10의 A 부분의 소화부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소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기능적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구조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확대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블라인드부의 필름부가 상승되면서 보관함부의 개방구가 개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블라인드부의 필름부가 보관함부의 개방구를 덮은 상태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블라인드부의 필름부가 상승되면서 보관함부의 개방구가 개방되는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블라인드부의 작동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버튼부 및 조작부의 작동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5의 소화부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소화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주변에 설치된 구호용품 자판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주변에 설치된 구호용품 체험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1)은 보관함부(100), 블라인드부(200), 조작부(300) 및 버튼부(1000)를 포함한다. 보관함부(100)는 구호용품(10)이 보관되는 공간부(110)와, 공간부(110)와 연결되며 구호용품(10)을 인출가능한 개방부(120)를 구비한다. 이때, 보관함부(100)는 길이방향 또는 너비방향으로 복수개의 공간부(110)가 이격되게 형성되고, 복수개의 공간부(110)와 연결된 복수개의 개방구(120)가 구비된다.
블라인드부(200)는 보관함부(100)에 설치되고, 개방부(120)를 덮으며, 난연필름(flame resisting film)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필름부(240)를 구비한다. 필름부(240)는 투명한 재질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블라인드부(200)의 필름부(240) 부분에 화재가 발생되어 불이 붙어도 연소가 되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비상시 전면의 유리를 파손해야 구호용품을 인출할 수 있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과격한 동작이나 유리를 파손하지 않아도 되므로, 구호용품을 쉽게 인출할 수 있음은 물론, 과격한 동작이나 유리의 파손시 발생되는 유리파편으로 인해 대피자의 부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조작부(300)는 보관함부(100)에 설치되고, 필름부(240)를 고정하며, 가압시 작동되어 필름부(240)의 고정을 해제한다. 구체적으로, 조작부(300)에 의해 필름부(240)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탄성부(230)가 탄성변형된 상태로 필름부(240)는 보관함부(100)의 개방부(120)를 덮고 있다. 즉, 필림부(240)에 의해 보관함부(100)의 개방부(120)가 폐쇄된 상태이다.
버튼부(1000)는 보관함부(100)에 설치되고, 조작부(300)와 연결되며, 외력에 의해 작동되어 조작부(300)를 가압한다. 버튼부(1000)는 조작부(300)와 기구적으로 연결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버튼부(1000)에 외력을 가하면, 버튼부(1000)가 작동되어 조작부(300)를 가압하면, 필름부(240)의 고정된 상태가 해제된다. 즉, 조작부(300)는 필름부(240)의 결합부(242)와의 결합상태가 해제된다. 이로 인해, 탄성부(2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필름부(240)가 원위치로 복귀되고, 보관함부(100)의 개방부(120)는 개방된 상태가 된다. 또한, 버튼부(1000)에 외력을 가하면 음성이나 알림소리가 발생된다. 이로 인해, 대피자는 버튼부(1000)를 통해 구호용품 보관함(1)의 위치를 쉽게 파악하여 보관함부(100)로부터 구호용품(10)을 쉽게 인출할 수 있다. 특히, 대피자 중 시각장애자가 구호용품 보관함(1)의 위치를 쉽게 파악하여 보관함부(100)로부터 구호용품(10)을 쉽게 인출할 수 있다.
버튼부(1000)는 보관함부(100)의 중앙부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보관함부(100)에 설치되되, 조작부(3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버튼부(1000)의 설치위치는 한정된 것이 아니라, 조작부(300)를 가압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설계변경 가능하다.
보관함부(100)는 축광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버튼표시부(140)를 구비한다. 이로 인해, 비상시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어둠속에서 대피자는 버튼부(1000)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블라인드부(200)는 설치대(210), 회전부(220), 탄성부(230), 필름부(240) 및 결합부(250)를 포함한다. 설치대(210)는 보관함부(100)에 설치된다. 설치대(210)는 보관함부(100)의 개방부(120)의 상측에 위치되며, 보관함부(100)의 너비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회전부(220)는 설치대(2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부(220)는 봉 형상으로 양단부가 설치대(2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탄성부(230)는 설치대(210)와 회전부(220)를 연결하고, 탄성복원력으로 회전부(220)를 회전시킨다. 탄성부(230)는 태엽스프링으로 회전부(220)를 감싸고 일단부가 설치대(21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회전부(22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탄성부(230)는 회전부(220)에 연결된 필름부(240)가 보관함부(100)의 개방부(120)를 덮은 상태에서 탄성변형된 상태이나, 회전부(220)에 연결된 필름부(240)가 조작부(300)와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탄성부(230)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된다. 이때, 탄성부(230)는 탄성부(230)와 연결된 회전부(220)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로 인해, 필름부(240)가 조작부(300)와의 결합이 해제되면, 회전부(220)와 연결된 필름부(240)가 회전부(220)의 회전력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회전부(220)에 감기게 된다.
필름부(240)는 회전부(220)와 연결되며, 탄성부(230)의 탄성복원력으로 회전되는 회전부(220)에 감겨지고, 조작부(300)에 결합되는 결합부(242)를 구비한다.
필름부(240)는 필름판(241)과 결합부(242)를 포한다. 필름판(241)은 난연 필름을 포함하고, 투명재질이다. 결합부(242)는 결합홀부(242a)와 손잡이홀부(242b)를 포함한다. 결합홀부(242a)에는 조작부(300)의 결합돌기(330)가 결합된다. 손잡이홀부(242b)는 대피자의 손가락을 넣을 수 있을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이로 인해, 결합부(242)를 대피자가 쉽게 잡을 수 있다. 즉, 대피자가 필름부(240)를 쉽게 잡을 수 있다.
조작부(300)는 회전축부(310), 누름부(320), 결합돌기(330) 및 탄성스프링부(340)를 포함한다(도 7 참조). 회전축부(310)는 보관함부(100)에 설치된다. 회전축부(310)는 보관함부(100)의 장착부(130)에 설치된다.
누름부(320)는 회전축부(3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축부(310)를 기준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부분이 보관함부(100) 측으로 가압되면서 회전된다.
결합돌기(330)는 누름부(320)에서 일측으로 돌출되고, 결합부(250)에 결합되며, 누름부(320)의 가압시 결합부(242)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탄성스프링부(340)는 누름부(320)를 탄성지지하며, 누름부(320)에 가해지는 가압력의 해제시 누름부(32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탄성스프링부(340)는 보관함부(100)의 장착부(130)에 내부에 배치되며, 누름부(320)에 외력이 가해지면 탄성변형된다. 이후, 누름부(320)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누름부(32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누름부(320)는 제1누름부(321)와 제2누름부(322)를 포함한다. 제1누름부(321)는 회전축부(310)를 기준으로 탄성스프링부(340)와 연결되며, 외력에 의해 가압되어 보관함부(100) 측으로 이동된다. 제2누름부(322)는 결합돌기(330)가 결합되고, 보관함부(100)의 반대측으로 이동된다.
보관함부(100)는 표면이 축광물질로 도포된다. 축광물질은 이액형 축광도료 조성물로, 주제와 경화제를 포함한다.
주제는 a-하이드로-ω-히드록시폴리[옥시(메틸-1,2-에탄디일)]에테르(a-Hydro-ω-hydroxypoly[oxy(methyl-1,2-ethanediyl)]ether) 50 내지 70 중량%, 탄소수 6 내지 20의 수소첨가된 탄화수소 고분자(Hydrogenated hydrocarbons polymers) 10 내지 30 중량%, 비스(2-에틸헥실)프탈레이트(Bis(2-ethylhexyl)phthalate) 1 내지 10 중량%, 축광안료 분말 10 내지 20 중량%, 및 용매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한다.
경화제는 탄산칼슘 50 내지 60 중량%, 프로폭실레이티트 글리세린(Propoxylated glycerin) 10 내지 20 중량%, 비스(2-에틸헥실)프탈레이트(Bis(2-ethylhexyl)phthalate) 1 내지 10 중량%,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1 내지 10 중량%, 4,4'-메틸렌 비스(2-클로로아닐린)(4,4'-Methylene bis(2-chloroaniline)) 1 내지 10 중량%, 및 용매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한다. 이때, 주제 및 경화제는 5: 1의 중량비로 혼합된다.
이러한 축광물질은 상기한 조합비를 갖는 각각의 주제 및 경화제를 사용하여, 두꺼운 도막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아울러 우수한 발광 특성과 내구성을 갖는다.
또한, a-하이드로-ω-히드록시폴리[옥시(메틸-1,2-에탄디일)]에테르는 2,2-비스(히드록시메틸)-1,3-프로판디올 폴리머(2,2-bis(hydroxymethyl)-1,3-propanediol polymer) 및 1,3-디이소시아네이토메틸벤젠(1,3-diisocyanatomethylbenzene)을 4:1 중량비로 혼합하고 반응시켜 수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우수한 발광 특성과 내구성을 갖는 두꺼운 도막을 쉽게 얻을 수 있다.
축광안료 분말은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보다 구체적으로 Al2O3, SrO3 또는 B2O3를 주성분으로 한다.
축광안료 분말은 방수(water proof) 처리 또는 내수(water resistant) 처리가 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여, 보다 긴 잔광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방수(water proof) 처리 또는 내수(water resistant) 처리는 당분야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그 방법을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예를 들면, 축광안료 분말의 표면을 불소 첨가 에틸렌 프로필렌(FEP) 공중합체, 실리콘계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코팅 처리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불소 첨가 에틸렌 프로필렌(FEP) 공중합체로는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과 헥사플루오르이소프로펜의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과 헥사플루오르이소프로펜과 퍼플루오르알킬 비닐 에테르의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실리콘계 공중합체로는 트리메틸실옥시실리케이트와 싸이클로테트라실록산의 공중합체, 트리메틸실옥시실리케이트와 싸이클로펜타실록산의 공중합체, 트리메틸실옥시실리케이트와 이소도데칸의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특히, 불소 첨가 에틸렌 프로필렌을 사용하여, 다른 이액형 축광도료 조성물의 성분들과의 결합을 증진시킴으로서, 이액형 축광도료 조성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방수(water proof) 처리 또는 내수(water resistant) 처리가 되어 있는 축광안료 분말의 함수율은 0.03 중량% 이하로 조절될 수 있다. 축광안료 분말은 평균입경이 35 내지 150Ч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축광물질은 백색 프라이머 조성물을 포함하는 백색 프라이머층 상에 1 내지 5 mm 두께로 도포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백색 프라이머층은 백색 프라이머 조성물을 포함하는 층으로서,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노면에서의 축광도료의 발광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백색 프라이머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이산화티타늄, 탄산칼슘, 탈크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이액형 축광도료 조성물의 발광효율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백색 프라이머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 10 내지 20 중량%, 이산화티타늄 1 내지 10 중량%, 탄산칼슘 30 내지 40 중량%, 탈크 10 내지 20 중량%, 잔량의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유기용매로는 톨루엔, 자일렌, 디메틸에테르, 용매 나프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백색 프라이머층은 0.05 내지 2 mm 두께로 도포되어, 이액형 축광도료 조성물의 발광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축광물질은 기타 첨가제로서 왁스, 산화방지제, 안정화제, 충전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첨가제는 목적에 따라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는 바,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로써, 비상시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어둠속에서 대피자는 보관함부(100)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보관함부(100)는 버튼표시부(140)의 축광물질과 다른 색깔의 축광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대피자가 보관함부(100)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 누름부(32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구호장비 보관함(1)은 소화부(900)를 더 포함한다(도 5 참조). 소화부(900)는 보관함부(100)에 장착되고, 온도의 변화에 반응하여 보관함부(100)에 살포되는 소화캡슐을 구비한다. 도 5에서는 소화부(900)가 보관함부(100)의 내부에서 구호용품(1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는 한정된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구호용품(10)의 화재 발생시 구호용품(10)에 소화캡슐을 살포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보관함부(100)의 공간부(110) 내에서의 소화부(900)의 위치는 변경가능하다. 여기서 소화캡슐은 고분자 매트릭스 마이크로 캡슐(ploymermatrix micro capsule)에 소화약제가 충진된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소화캡슐은 활성 마이크로캡슐 조성물 및 이를 감싸고 있는 외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젤라틴, 과불화 화합물, 이산화규소를 함유하는 활성 마이크로캡슐 조성물의 성분은 적정한 캡슐 형태를 갖고 소화 작용을 위해서 혼합 비율이 중요하다. 여기서, 이산화규소의 함량은 소화용 마이크로캡슐의 수축성에 유용한 관점에서 1중량% 내지 3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과불화 화합물의 함량은 연소 특성의 관점에서 85중량% 내지 94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젤라틴의 함량은 응고하여 캡슐의 모양이나 단단함을 갖추기 위한다는 관점에서 5중량% 내지 10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과불화 화합물은 소화 특성의 관점에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20040332266-pat00001
소화캡슐은 크기가 10㎛~100㎛를 형성할 수 있으며, 외부의 열에 의하여 소화캡슐의 외벽이 파괴되어 내부의 활성 마이크로 캡슐 조성물이 외부로 유출되어 소화작용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외부의 열은 대략 120℃이상의 온도에서 소화용 마이크로캡슐의 외벽이 파괴될 수 있다.
소화부(900)는 스티커로 보관함부(100)의 공간부(110)에 부착되며, 과열 등으로 보관함부(100)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소화캡슐이 터져 주의에 소화가스를 방출하면서 화재를 진압한다.
도 8, 도 9과 같이, 소화부(900)는 제1보호필름(910), 제1바인더층(920), 기재(930), 제2바인더층(940) 및 제2보호필름(950)를 포함한다. 제1보호필름(910)의 하부에(도 12 기준) 제1바인더층(920)가 적층되고, 제1바인더층(920)의 하부에(도 12 기준) 기재(930)가 적층된다. 기재(930)의 하부에(도 8, 9 기준) 제2바인더층(940)이 적층되고, 제2바인더층(940)의 하부에(도 8, 9 기준) 제2보호필름(950)을 부착할 수 있다. 소화캡슐은 제2바인더층(940) 내에 포함되어 사용될 수 있다. 소화캡슐은 제2바인더층(940)을 형성한 후 그 위에 분산되거나, 제2바인더층(940) 내부에 분산되어 있을 수 있다. 제1보호필름(910)과 제1바인더층(920) 사이에 접착층(960)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보호필름(910)을 박리하여 원하는 보관함부(100)에 소화부(900)를 부착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서는 소화부(900)가 보관함부(100)의 내부에서 구호용품(1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는 한정된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구호용품(10)의 화재 발생시 구호용품(10)에 소화캡슐을 살포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보관함부(100)의 공간부(110) 내에서의 소화부(900)의 위치는 변경가능하다.
이와 같이, 온도의 변화에 반응하여 보관함부(100)에 살포되는 소화캡슐을 구비하는 소화부(900)를 통해 보관함부(100)의 내에 화재발생시 자동적으로 보관함부(100)의 화재를 빠르게 진압할 수 있어 화재로 인한 보관함부(100) 및 보관함부(100)에 보관된 구호용품(10)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구호용품 보관함(1)의 주변에는 구호용품 자판기(2)가 설치될 수 있다. 구호용품 자판기(2)에는 방독면, 양압식 공기흡입기, 손전등, 밧줄 등 구호용품(10)을 판매할 수 있다. 구호용품 자판기(2)에는 구호용품(10)의 사용방법 및 광고 등의 영상(image)이 상영될 수 있다(도 10 참조).
구호용품 보관함(1)의 주변에는 구호용품 체험유닛(3)가 설치될 수 있다. 구호용품 체험유닛(3)은 방독면 마스크 등 구호용품(10)이 구비되며, 구호용품(10)을 직접 체험할 수 있다(도 11 참조).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구조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블라인드부에 영상이 구현되는 것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블라인드부가 불투명한 상태에서 투명한 상태로 변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에서 블라인드부의 필름부가 상승되면서 보관함부의 개방구가 개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영상이 구현된 블라인드부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투명한 상태의 블라인드부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블라인드부의 필름부가 상승되면서 보관함부의 개방구가 개방되는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블라인드부의 작동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조작부의 작동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내부 상태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2는 도 10의 A 부분의 소화부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소화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의 기능적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때 다른 실시예의 내용 중 일 실시예와 동일한 내용은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호용품 보관함(1)은 보관함부(100), 블라인드부(200), 조작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보관함부(100)는 구호용품(10)이 보관되는 공간부(110)와, 공간부(110)와 연결되며 구호용품(10)을 인출가능한 개방부(120)를 구비한다. 이때, 보관함부(100)는 길이방향 또는 너비방향으로 복수개의 공간부(110)가 이격되게 형성되고, 복수개의 공간부(110)와 연결된 복수개의 개방구(120)가 구비된다.
블라인드부(200)는 보관함부(100)에 설치되고, 개방부(120)를 덮으며, 전력 변환부(30)로부터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따라 투명도가 조절되고, 탄성부(230)의 탄성복원력으로 원위치로 복귀되는 필름부(240)를 구비한다. 이때, 전력 변환부(30)는 전원부(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후술된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된다.
필름부(240)는 보관함부(100)의 공간부(110)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투시를 확보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구성으로 기능하며, 필름부(240)는 전력 변환부(30)로부터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따라 그 투명도가 조절되는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PDLC 필름은 고분자 분산형 액정으로써 한 쌍의 기판 사이에 고분자 분산 액정을 주입하여 고분자 매트릭스 내의 미세한 액정(liquid crystal, LC)이 분산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PDLC 필름은 고분자 물질의 매트릭스 안에 미세한 액정분자들이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압에 반응한다. PDLC 필름에 전압이 인가되면 액정이 인가되는 전계 방향에 따라 정렬되어 투과되는 빛의 방향과 일치하게 되므로 빛을 투과시키게 된다. 그러나, PDLC 필름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액정이 불규칙적으로 배열되어 투과하는 빛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열되어 빛을 산란시키게 된다. PDLC의 종류에 따라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때 빛이 투과될 수도 있다.
필름부(240)는 SPD(Suspended Particle Device)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PDLC 필름은 AC 구동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투명도(광투과율 또는 광반사율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가 조절된다.
조작부(300)는 보관함부(100)에 설치되고, 필름부(240)를 고정하며, 외력에 의해 작동되어 필름부(240)의 고정을 해제한다. 구체적으로, 조작부(300)에 의해 필름부(240)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탄성부(230)가 탄성변형된 상태로 필름부(240)는 보관함부(100)의 개방부(120)를 덮고 있다. 즉, 필림부(240)에 의해 보관함부(100)의 개방부(120)가 폐쇄된 상태이다.
이후, 조작부(300)에 외력을 가하여 조작부(300)가 작동되면, 필름부(240)의 고정된 상태가 해제된다. 즉, 조작부(300)는 필름부(240)의 결합부(242)와의 결합상태가 해제된다. 이로 인해, 탄성부(2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필름부(240)가 원위치로 복귀되고, 보관함부(100)의 개방부(120)는 개방된 상태가 된다.
제어부(400)는 전력 변환부(30)로부터 인가되는 구동 전압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전력 변환부(30)는 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AC 전압(AC 220V)을 강압하여 필름부(240)의 투명도 조절을 위한 AC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전력 변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력 변환부(30)는 상용 AC 전압을 필름부(240)가 구동될 수 있는 범위의 전압 크기를 갖는 DC 전압(예: -50V, 0V, +50V)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예: SMPS 타입의 AC-DC 다운 컨버터)와, 컨버터로부터의 DC 전압을 AC 전압으로 재변환하는 인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전력 변환부(30)의 인버터를 제어하여, 인버터로부터 필름부(240)로 인가되는 구동 전압(또는 구동 전류)을 제어함으로써 필름부(20)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호용품 보관함(1)은 프로젝터부(500)를 더 포함한다. 프로젝터부(500)는 필름부(240)에 영상을 주사한다. 필름부(240)는 프로젝터부(500)로부터 주사된 영상을 출력한다. 프로젝터부(500)는 제어부(400)와 통신망을 이용하여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주사되는 영상을 전송받을 수 있다. 프로젝터부(500)는 복수개일 수 있으며, 필름부(240)에 영상을 주사할 수 있다. 이때, 프로젝터부(500)는 비상시 필름부(240)에 구호용품 보관함(1)의 사용법에 관한 안내 영상을 주사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젝터부(500)는 비상시가 아닌 경우에는 광고 등의 영상을 주사할 수 있다.
프로젝터부(500)는 제어부(400)에 의해 필름부(240)로 투사하는 영상이 제어된다. 제어부(400)는 필름부(240)의 상태 파라미터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400)의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는 저장 영상은 변경될 수도 있어, 필름부(240)로 투사되는 저장 영상은 고정된 영상이 아닌 상황 및 시점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으며, 어느 특정의 영상을 필름부(240)에 투사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는 필름부(240)의 특정 투명도, 특정 패턴 또는 특정 투사 영역이 전제되어야 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제어부(400)는 필름부(240)로 현재 투사되는 저장 영상에 연계하여 필름부(240)의 상태 파라미터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필름부(240)로 투사되는 저장 영상 및 필름부(240)의 상태 파라미터 간의 관계 정보는 제어부(400)에 미리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보관함부(100)의 개방부(120)가 개방되는 경우, 필름부(240)의 투명도를 미리 정의된 기준 투명도 이상의 값으로 제어하고 필름부(240)에 대한 프로젝터부(500)의 영상 투사 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300)가 외력에 의해 작동되어 필름부(240)의 고정을 해제하는 경우, 즉, 제어부(400)는 보관함부(100)의 개방부(120)가 개방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필름부(240)의 투명도를 기준 투명도 이상의 값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필름부(240)의 투명도는 형성 가능한 투명도 범위의 상한치(즉, 100%)로 제어될 수 있다. 이와 함께, 필름부(240)의 상승 또는 하강되면서 보관함부(100)의 개방부(120)가 개방되는 동안에는 필름부(240)에 영상이 투사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어부(400)는 필름부(240)에 대한 투사부(300)의 영상 투사 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나아가, 관리자가 필름부(240)의 상태 파라미터(즉, 투명도, 패턴 또는 투사 영역)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단말부(미도시)를 통해 제어부(400)를 제어하여 전력 변환부(30)의 인버터를 간접적으로 제어하거나, 전력 변환부(30)의 인버터를 직접 제어하여 필름부(240)의 상태 파라미터를 제어할 수 있다. 원격 제어 단말부는 휴대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전용 단말 장치, 또는 판매처에 설치된 입출력 장치를 구비하는 PC 등의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구호용품 보관함(1)은 제1배터리부(600)를 더 포함한다. 제1배터리부(600)는 프로젝터부(500)에 전력을 공급한다. 비상시 전원부(20)로부터 프로젝터부(500)로 전원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제1배터리부(600)를 통해 프로젝터부(500)로 전원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블라인드부(200)는 설치대(210), 회전부(220), 탄성부(230), 필름부(240) 및 결합부(250)를 포함한다. 설치대(210)는 보관함부(100)에 설치된다. 설치대(210)는 보관함부(100)의 개방부(120)의 상측이나 하측에 위치되며, 보관함부(100)의 너비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회전부(220)는 설치대(2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부(220)는 봉 형상으로 양단부가 설치대(2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탄성부(230)는 설치대(210)와 회전부(220)를 연결하고, 탄성복원력으로 회전부(220)를 회전시킨다. 탄성부(230)는 태엽스프링으로 회전부(220)를 감싸고 일단부가 설치대(21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회전부(22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탄성부(230)는 회전부(220)에 연결된 필름부(240)가 보관함부(100)의 개방부(120)를 덮은 상태에서 탄성변형된 상태이나, 회전부(220)에 연결된 필름부(240)가 조작부(300)와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탄성부(230)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된다. 이때, 탄성부(230)는 탄성부(230)와 연결된 회전부(220)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로 인해, 필름부(240)가 조작부(300)와의 결합이 해제되면, 회전부(220)와 연결된 필름부(240)가 회전부(220)의 회전력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회전부(220)에 감기게 된다.
필름부(240)는 회전부(220)와 연결되며, 탄성부(230)의 탄성복원력으로 회전되는 회전부(220)에 감겨지고, 조작부(300)에 결합되는 결합부(242)를 구비한다.
필름부(240)는 필름판(241)과 결합부(242)를 포한다. 필름판(241)은 PDLC 필름 또는 SPD 필름을 포함한다. 결합부(242)는 결합홀부(242a)와 손잡이홀부(242b)를 포함한다. 결합홀부(242a)에는 조작부(300)의 결합돌기(330)가 결합된다. 손잡이홀부(242b)는 대피자의 손가락을 넣을 수 있을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이로 인해, 결합부(242)를 대피자가 쉽게 잡을 수 있다. 즉, 대피자가 필름부(240)를 쉽게 잡을 수 있다.
조작부(300)는 회전축부(310), 누름부(320), 결합돌기(330) 및 탄성스프링부(340)를 포함한다(도 20 참조). 회전축부(310)는 보관함부(100)에 설치된다. 회전축부(310)는 보관함부(100)의 장착부(130)에 설치된다.
누름부(320)는 회전축부(3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축부(310)를 기준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부분이 보관함부(100) 측으로 가압되면서 회전된다.
결합돌기(330)는 누름부(320)에서 일측으로 돌출되고, 결합부(250)에 결합되며, 누름부(320)의 가압시 결합부(242)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탄성스프링부(340)는 누름부(320)를 탄성지지하며, 누름부(320)에 가해지는 외력의 해제시 누름부(32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탄성스프링부(340)는 보관함부(100)의 장착부(130)에 내부에 배치되며, 누름부(320)에 외력이 가해지면 탄성변형된다. 이후, 누름부(320)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누름부(32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누름부(320)는 축광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표시부(321a)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대피자가 보관함부(100)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 누름부(32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비상시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어둠속에서 대피자는 누름부(320)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누름부(320)는 제1누름부(321)와 제2누름부(322)를 포함한다. 제1누름부(321)는 회전축부(310)를 기준으로 탄성스프링부(340)와 연결되며, 외력에 의해 가압되어 보관함부(100) 측으로 이동되며, 표시부(321a)를 구비한다. 제2누름부(322)는 결합돌기(330)가 결합되고, 보관함부(100)의 반대측으로 이동된다.
구호용품 보관함(1)은 알림부(700)를 더 포함한다. 알림부(700)는 보관함부(100)에 설치되며, 음성이나 알림소리를 발생시킨다. 즉, 알림부(700)는 구호용품 보관함(1)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음성이나 알림소리를 발생시킨다. 나아가, 알림부(700)는 음성으로 구호용품 보관함(1)의 작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대피자는 알림부(700)를 통해 구호용품 보관함(1)의 위치를 쉽게 파악하거나 구호용품 보관함(1)의 사용방법을 쉽게 인지하여 보관함부(100)로부터 구호용품(10)을 쉽게 인출할 수 있다. 특히, 대피자 중 시각장애자가 구호용품 보관함(1)의 위치를 쉽게 파악하거나 구호용품 보관함(1)의 사용방법을 쉽게 인지하여 보관함부(100)로부터 구호용품(10)을 쉽게 인출할 수 있다.
제2배터리부(800)는 보관함부(100)에 설치되고, 전력 변환부(30), 제어부(400) 및 알림부(700)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로 인해, 비상시 전원부(20)로부터 전력 변환부(30), 제어부(400) 및 알림부(700)로 전원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제2배터리부(800)를 통해 전력 변환부(30), 제어부(400) 및 알림부(700)로 전원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보관함부(100)는 표면이 축광물질로 도포된다. 이로써, 비상시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어둠속에서 대피자는 보관함부(100)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보관함부(100)는 누름부(320)의 표시부(321a)의 축광물질과 다른 색깔의 축광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대피자가 보관함부(100)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 버튼부(100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구호용품 보관함(1)은 소화부(900)를 더 포함한다(도 21 내지 도 23 참조). 소화부(900)는 보관함부(100)에 장착되고, 온도의 변화에 반응하여 보관함부(100)에 살포되는 소화캡슐을 구비한다. 도 21 내지 도 23에서는 소화부(900)가 복수개로 보관함부(100)의 내부에서 구호용품(10)의 상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는 한정된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구호용품(10)의 화재 발생시 구호용품(10)에 소화캡슐을 살포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보관함부(100)의 공간부(110) 내에서의 소화부(900)의 위치는 변경가능하다.
이와 같이, 온도의 변화에 반응하여 보관함부(100)에 살포되는 소화캡슐을 구비하는 소화부(900)를 통해 보관함부(100)의 내에 화재발생시 자동적으로 보관함부(100)의 화재를 빠르게 진압할 수 있어 화재로 인한 보관함부(100) 및 보관함부(100)에 보관된 구호용품(10)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구호용품 보관함 10 : 구호용품
20 : 전원부 30 : 전력변환부
100 : 보관함부 110 : 공간부
120 : 개방부 130 : 장착부
140 : 버튼표시부 200 : 블라인드부
210 : 설치대 220 : 회전부
230 : 탄성부 240 : 필름부
241 : 필름판 242 : 결합부
242a : 결합홀부 242b : 손잡이홀부
300 : 조작부 310 : 회전축부
320 : 누름부 321 : 제1누름부
321a : 표시부 322 : 제2누름부
330 : 결합돌기 340 : 탄성스프링부
400 : 제어부 500 : 프로젝터부
600 : 제1배터리부 700 : 알림부
800 : 제2배터리부 900 : 소화부
910 : 제1보호필름 920 : 제1바인더층
930 : 기재 940 : 제2바인더층
950 : 제2보호필름 1000 : 버튼부
2 : 구호용품 자판기 3 : 구호용품 체험유닛

Claims (9)

  1. 구호용품이 보관되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와 연결되며 상기 구호용품을 인출가능한 개방부를 구비하는 보관함부;
    상기 보관함부에 설치되고, 상기 개방부를 덮으며, 난연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필름부를 구비하는 블라인드부;
    상기 보관함부에 설치되고, 상기 필름부를 고정하며, 가압시 작동되어 상기 필름부의 고정을 해제하는 조작부; 및
    상기 보관함부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며, 외력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조작부를 가압하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라인드부는,
    상기 보관함부에 설치되는 설치대;
    상기 설치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
    탄성복원력으로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탄성부; 및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며, 상기 탄성부의 탄성복원력으로 회전되는 상기 회전부에 감겨지고, 상기 조작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상기 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보관함부에 설치되는 회전축부;
    상기 회전축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부를 기준으로 상기 버튼부의 가압이 가해지는 부분이 상기 보관함부 측으로 가압되면서 회전되는 누름부;
    상기 누름부에서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누름부의 가압시 상기 결합부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결합돌기; 및
    상기 누름부를 탄성지지하며, 상기 누름부에 가해지는 가압력의 해제시 상기 누름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호용품 보관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는 투명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호용품 보관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부는 축광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버튼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호용품 보관함.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태엽스프링으로 상기 회전부을 감싸고 일단부가 상기 설치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호용품 보관함.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회전축부를 기준으로 상기 탄성스프링부와 연결되며, 상기 버튼부의 가압에 의해 상기 보관함부 측으로 이동되는 제1누름부; 및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되고, 상기 보관함부의 반대측으로 이동되는 제2누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호용품 보관함.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부는 표면이 축광물질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호용품 보관함.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부에 장착되고, 온도의 변화에 반응하여 상기 보관함부에 살포되는 소화캡슐을 구비하는 소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호용품 보관함.
KR1020200047361A 2020-04-20 2020-04-20 구호용품 보관함 KR102419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361A KR102419183B1 (ko) 2020-04-20 2020-04-20 구호용품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361A KR102419183B1 (ko) 2020-04-20 2020-04-20 구호용품 보관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415A KR20210129415A (ko) 2021-10-28
KR102419183B1 true KR102419183B1 (ko) 2022-07-11

Family

ID=78232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361A KR102419183B1 (ko) 2020-04-20 2020-04-20 구호용품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1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9532A (ja) * 2005-04-15 2006-11-02 Kg Mark Co Ltd 非常用ボックス
JP2012239485A (ja) * 2011-05-16 2012-12-10 Hochiki Corp 消火栓装置
KR101786459B1 (ko) * 2017-05-23 2017-10-17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화재 확산 방지구조를 갖는 공동주택의 배전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081B1 (ko) * 2016-11-29 2019-01-16 (주)영가인더스트리 셔터용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9532A (ja) * 2005-04-15 2006-11-02 Kg Mark Co Ltd 非常用ボックス
JP2012239485A (ja) * 2011-05-16 2012-12-10 Hochiki Corp 消火栓装置
KR101786459B1 (ko) * 2017-05-23 2017-10-17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화재 확산 방지구조를 갖는 공동주택의 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415A (ko) 202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9435B1 (ko) 소화용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소화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756229B1 (ko) 온도 반응형 소화용 스티커 및 이를 사용한 콘센트
KR102419183B1 (ko) 구호용품 보관함
CN112043994B (zh) 控温型胶囊型纳米灭火片及控温型的纳米胶囊灭火方法
CN108780168A (zh) 光学构件以及使用该光学构件的背光单元及液晶显示装置
KR102086237B1 (ko) 부착형 소화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776753B (zh) 一种无色透明的高介电常数柔性聚氨酯及其自修复方法
KR102189631B1 (ko) 소화용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소화용 벽지 및 그 제조방법
CN101211681B (zh) 防火电线电缆
JP5009664B2 (ja) 可変色性シート及び可変色性壁面装飾材
CN1555897A (zh) 一种电缆隧道的防火系统和防火方法
CN110060570A (zh) 一种显示装置
CN109568837A (zh) 一种柔性气溶胶复合灭火贴及制备方法
KR20230001480U (ko) 에너지 절감형 스마트 구호용품 보관함
JP2017014461A (ja) 遮光性両面粘着部材用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遮光性両面粘着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9214633A (ja) カード用ポリカーボネートフィルム、シート、及びカード用積層体
US20200298107A1 (en) Large-screen vr integrated game machine
CN114361951A (zh) 一种配电开关控制设备
CN108485440A (zh) 一种阻热涂料和胶带
CN207429530U (zh) 一种空气呼吸器
KR100329260B1 (ko) 무대 방화막 구동장치
KR102180416B1 (ko) 소화기 보관함
CN111057480A (zh) 一种超薄防火阻燃透明pet标签材料及其制备方法
CN113583577A (zh) 灭火胶带
CN213461231U (zh) 一种显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