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416B1 - 소화기 보관함 - Google Patents
소화기 보관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0416B1 KR102180416B1 KR1020190042484A KR20190042484A KR102180416B1 KR 102180416 B1 KR102180416 B1 KR 102180416B1 KR 1020190042484 A KR1020190042484 A KR 1020190042484A KR 20190042484 A KR20190042484 A KR 20190042484A KR 102180416 B1 KR102180416 B1 KR 1021804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extinguisher
- fire
- emergency treatment
- treatment equipment
- storage box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62C13/78—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Landscapes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보관함은 내부의 빈 공간에 소화기를 보관하기 위한 소화기 거치대 및 응급치료장비가 위치하는 복수의 보관 선반이 구비된 본체, 일측 단부가 힌지로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에 위치한 자석 덮개를 통해 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한 소화기 및 응급치료장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 및 어두운 상태에서 식별 가능한 야광 식별자가 구비된 덮개를 포함하며, 복수의 보관 선반은 서로 다른 각각의 응급치료장비를 종류별로 구분하여 지정된 위치에 거치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화기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소화기 및 응급처치장비를 구비하며 화재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이 구비된 소화기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화재 발생 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인적 및 물적 피해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초기 화재 대응이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은 초기 화재 대응 방법으로 가장 유용한 방법 중 하나가 비치된 소화기를 사용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 시 초기 진압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비치되는 소화기는 소화기 용기 내부에 충전된 소화제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이 화재의 초기 진압에 사용되는 소화기의 비치 및 보관은 소방 관련법 및 다른 여러 관련 법에 의해 의무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이외에도 일상 생활 및 산업의 안전을 위하여 여러 공공장소, 건물, 사무실, 공장 및 산업 현장 등에 설치 및 보관되는 것이 권고되고 있다.
그러나 소화기를 비치 및 보관할 때, 공간을 차지하는 불편함이나 미관상의 이유 등으로 눈에 띄지 않는 공간에 위치시키거나 창고와 같은 장소에 보관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소화기를 눈에 잘 띄지 않는 공간이나 창고 등에 위치시킬 경우 화재 발생 시 소화기의 발견이 늦어지게 되어 신속한 화재 대응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소화기 비치 및 보관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고 화재 발생 시 눈에 잘 띄도록 하기 위해 소화기 보관함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소화기 보관함은 단순히 벽걸이 또는 스탠드 형태로 소화기를 보관하기 위한 것만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28652호는 받침대 뒷면 상단에 걸고리부를 부착하여 바닥 및 벽에 부착가능한 소화기함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의 소화기함은 스탠드형 및 벽걸이형의 두 가지 형태로 소화기함을 설치할 수 있는 구성만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소화기 보관함은 단순히 소화기만을 거치하는 구성만을 가질 뿐, 화재 발생 시 소화기 사용에 도움이 되는 기능 및 물품을 전혀 구비하고 있지 않는 단순 보관함에 불과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화기의 보관이 용이하며, 보관된 소화기에 대한 식별이 용이하고 화재 발생시 화재에 의해 발생한 부상자에게 요구되는 응급처리장비 및 화재 발생 시 필요한 기타 장비들을 함께 구비하며, 화재 발생 및 소화기 보관에 유용한 다양한 기능한 하나의 장치로 제공할 수 있는 소화기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내부의 빈 공간에 소화기를 보관하기 위한 소화기 거치대 및 응급치료장비가 위치하는 복수의 보관 선반이 구비된 본체 및 일측 단부가 힌지로 본체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에 위치한 자석 덮개를 통해 본체에 고정되며 본체 내부에 위치한 소화기 및 응급치료장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과 어두운 상태에서 식별 가능한 야광 식별자가 구비된 덮개를 포함하며, 복수의 보관 선반은 서로 다른 각각의 응급치료장비를 종류별로 구분하여 지정된 위치에 거치하는 소화기 보관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체의 외부에 위치한 서미스터(Thermistor) 온도센서를 통해 외부 온도를 인식하여 기준 온도 이상일 경우 화재 경보를 전파하는 화재 경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화재 경보 모듈은 화재 경보 발생 시 점등하여 소화기 보관함의 위치를 주변에 전파하는 경보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체는 소화기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소화기의 무게를 측정하여 기준 무게 미만일 경우 소화기 이상을 알리는 소화기 상태 확인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화기 상태 확인 모듈은 거치된 소화기 내부의 소화분말이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거치된 소화기를 한 달에 1 내지 2회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화기 보관함은 본체의 보관 선반에 위치한 응급치료장비의 유무를 관리하는 응급치료장비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며, 응급치료장비 관리 모듈은 복수의 보관 선반 각각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복수의 보관 선반 각각에 거치된 응급치료장비의 유무를 확인하는 복수의 물품확인 센서, 복수의 물품확인 센서의 측정 결과에 따라 내부에 구비된 응급치료장비 중에서 현재 소화기 보관함에 구비된 응급치료장비와 구비되지 않은 응급치료장비를 구분하는 물품확인부 및 물품확인부의 구분 결과에 따라 현재 소화기 보관함에 구비된 응급치료장비와 구비되지 않은 응급치료장비를 식별하여 표시하며 덮개에 위치하는 전면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체 또는 덮개의 표면에는 입자층이 형성되며, 입자층은 은 이온을 포함하는 염 수용액과 설페이트계 음이온을 포함하는 염 수용액을 반응시켜 제조된 은-설페이트계 착제, 및 희토류 원소를 포함하는 염 수용액과 암모늄염 수용액을 중화반응 시켜 제조된 희토류 금속 착제의 혼합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보관함은 내부에 비치된 소화기의 식별이 용이하고 소화기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화재 발생 시 발생된 부상자에게 필요한 응급처리장비를 함께 구비하여 빠른 응급처치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보관함은 화재 발생 시 도움이 되는 다양한 부가기능을 구비하여, 화재 발생 시 화재 진압, 비상탈출 및 경보 전파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보관함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소화기 보관함의 덮개를 개방한 정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보관함의 덮개를 개방한 정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화재 경보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3a은 도 2a의 응급치료장비 관리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응급치료장비 관리 모듈의 전면 디스플레이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소화기 보관함의 덮개를 개방한 정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보관함의 덮개를 개방한 정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화재 경보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3a은 도 2a의 응급치료장비 관리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응급치료장비 관리 모듈의 전면 디스플레이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발명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보관함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소화기 보관함의 덮개를 개방한 정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보관함은 본체(100) 및 덮개(2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내부의 빈 공간에 소화기를 보관하기 위한 소화기 거치대(110) 및 응급치료장비가 위치하는 복수의 보관 선반(120)을 포함한다.
본체(100)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소화기 및 응급치료장비의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며 전면이 개방된 사각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00)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내부에 거치되는 소화기의 종류 및 용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소화기와 함께 보관되는 응급치료장비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소화기 거치대(110)는 본체 안쪽의 내벽에 위치하며, 덮개(200) 방향이 개방된 고리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소화기 거치대(110)는 충분한 탄성을 가지도록 하여 크기가 다른 종류의 소화기를 제약 없이 거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고리 형태의 소화기 거치대(110)에 소화기가 끼워져 소화기의 불필요한 움직임을 방지한다.
소화기 거치대(110)는 소화기가 효과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소화기의 크기를 고려하여 소화기의 중간 부분에 고정될 수 있는 높이로 본체(100) 안쪽 내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화기 거치대(110)는 다양한 크기의 소화기가 거치될 수 있도록 시중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소화기의 외경과 동일한 또는 작은 직경을 가지며, 탄성을 통해 다양한 크기의 소화기가 거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체(100)에 구비된 복수의 보관 선반(120)은 서로 다른 각각의 응급치료장비를 종류별로 구분하고 각각의 지정된 위치에 거치한다. 보관 선반(120)의 개수는 구비되는 응급치료장비의 종류 및 본체(100)의 크기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세동기와 같은 부피가 큰 응급치료장비가 구비될 경우에는 충분한 공간 확보를 위해 보관 선반(120)의 개수를 줄여 제세동기가 탑재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보관 선반(120)의 형태는 구비된 응급치료장비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평면 또는 바 형태의 선반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비되는 응급치료장비의 종류에 따라 응급치료장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난간을 구비하거나 바구니 형태가 될 수 있다. 다만, 다양한 응급치료장비를 보관할 수 있도록 보관 선반(120)의 형태는 평면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난간이나 바구니 형태의 구조물은 필요에 따라 보관 선반(120)에 탈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보관 선반(120)을 구성하는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소화기 보관함의 경량화를 위해 합성수지 계열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보관함은 슬라이드 고정장치에 의해 벽면에 거치 및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100)의 후면에는 중앙이 관통된 사각바가 위치한다. 본체(100) 후면에 위치한 중앙이 관통된 사각바의 하부방향으로 벽면에 고정된 사각바의 크기에 대응하는 고정부가 삽입되어 소화기 보관함이 벽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소화기 보관함 교체 시, 소화기 보관함을 위로 들어올려 사각바를 고정부로부터 이탈시켜 소화기 보관함을 벽면에서 제거할 수 있다.
덮개(200)는 본체(100) 내부에 위치한 소화기 및 응급치료장비가 외부로부터 손상 및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본체(100) 내부에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덮개(200)는 일측 단부가 힌지로 본체와 연결되어, 힌지를 축으로하여 회전하여 개폐가 가능하다. 또한, 덮개(200)의 타측 단부에는 자석 덮개가 위치하여 자력에 의해 덮개(200)가 본체(100)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자석 덮개를 통해 덮개(200)를 고정하여 화재 발생 및 화재 발생에 따른 부상자 발생 시 덮개(200)를 손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덮개(200)의 타측 단부 방향(자석 덮개가 위치한 방향) 측면에는 덮개(200)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손잡이가 위치한다. 개폐손잡이는 소화기 보관함을 외형을 고려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가 아닌 덮개(200) 내부로 오목한 홈이 파이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외부 열기에 의해 덮개(200) 자체의 온도가 상승하여 맨손으로 잡는 경우 화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덮개(200) 측면의 오목한 홈 내부에 내열 플라스틱 소재를 적층하여 덮개(200)의 온도가 상승하더라도 소화기 보관함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덮개(200)와 본체(100)를 연결하는 힌지의 구조는 덮개(200)의 일측 단부에 돌출형성된 다수의 고정편과 다수의 고정편을 일체로 연결하는 힌지축이 구비된 회동부가 구비되고, 회동부에 대응되는 본체(100)에 힌지축의 양측을 지지하는 다른 지지편이 위치하여, 덮개(200) 및 본체(100)가 힌지로 결합되어 덮개(200)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하도록 한다.
덮개(200)의 내부면에는 소형 책자 및 가이드북을 거치할 수 있는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 발생 시 숙지사항이나 응급치료와 관련된 가이드 북을 덮개(200) 내부에 위치한 홀더에 거치하여 사용자가 유사 시 이를 통해 정보 습득 및 대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덮개(200)에는 투명창(210)이 구비되어 본체(100) 내부에 위치한 소화기 및 응급치료장비를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하다. 투명창(210)은 투명 소재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아크릴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투명창(210)이 아크릴 소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리와 다른 플라스틱 수지 등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투명창(210)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형성될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는 유리와 같이 투명하면서도 내충격성이 강하여 투명창(210)에 사용할 경우, 유리와 같은 투명성을 확보하면서도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깨지지 않아 소화기 보관함의 투명창(210)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투명창(210)은 인열강도 및 투명성 등의 물성이 요구되며, 파손 시 비산에 의한 안전사고 예방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투명창(210)의 외부 표면에는 비산 방지를 위한 보호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투명창(210)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 보호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층과 디메틸사이클로헥산디메타가 함유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글리콜 공중합체, 폴리알킬렌, 폴리우레탄 및 폴리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된 고분자가 함유된 고분자층이 교대로 2층 이상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층은 결정화도가 80~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정화도가 80% 미만이면 내충격 강도와 인장강도가 저하하므로, 80~100%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층은 구체적으로 디메틸사이클로헥산디메타가 30∼50 중량% 함유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글리콜 공중합체, 폴리알킬렌, 폴리우레탄, 폴리아세테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글리콜 공중합체, 폴리알킬렌의 알킬렌은 탄소수 1 ∼ 6 범위를 유지하며, 바람직하기로는 에틸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필름은 최외곽에 위치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층의 표면에 하드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드코팅층은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 나노입자 25~30중량부, 2~15 개의 관능기를 가진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레이트 수지 50~60중량부, 광개시제 10~12중량부 및 아조(AZO)계 염료 3~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아조계 염료의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일 경우, 첨가 효과가 불충분할 수 있으며,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헤이즈 값의 상승으로 광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하드코팅층에 포함된 무기 나노입자는 하드코팅층의 경도를 향상시킨다. 무기 나노입자의 함량이 25 중량부 미만일 경우 하드코팅층의 경도 향상 효과가 미비하며, 무기 나노입자의 함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헤이즈 값과 옐로우 인덱스 값의 상승으로 인해 광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무기 나노입자로는 지르코니아(ZrO2), 티타니아(TiO2), 산화안티몬, 알루미나, 산화주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다양한 고굴절률 입자가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보호필름은 일반적으로 경도 향상을 위하여 관능기가 높은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사용하였으나, 이 경우 하드코팅층에서 높은 헤이즈가 나타나 광학적 특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조성의 하드코팅층을 표면에 코팅하여 높은 광학적 특성과 내스크래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덮개(200)의 표면에는 어두운 상태에서 식별 가능한 야광 식별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 발생 시 전기가 차단되어 어두워지는 경우 소화기 보관함을 식별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덮개(200)의 표면에 야광 물질로 형성된 식별자를 부착하여 어두운 상황에서도 야광 식별자의 야광에 의해 소화기 보관함의 식별을 가능하게 한다.
야광 식별자는 소화기를 식별할 수 있는 글자, 마크 또는 소화기 그림이 타공된 타공층, 타공층의 일면에 형성된 야광층 및 야광층을 소화기의 덮개(200) 표면에 부착하는 접착층을 포함한다. 그리고 야광층은 주변 조명 및 자연광에 의해 광원을 포집하여 발광하는 야광 도료 및 비드 입자를 포함한다.
야광층에 포함된 비드 입자는 야광 도료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반사할 수 있도록 금속 또는 유리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빛을 반사하는 비드 입자를 통해 야광 도료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넓은 각도로 반사하여 야광층에서 발광되는 빛이 보다 밝게 나타날 수 있다.
야광층은 야광 도료에 의해 포집된 광원을 타공층에 타공된 소화기를 식별할 수 있는 글자, 마크 또는 소화기 그림 방향으로 발광하여, 야광 식별자는 타공층에 타공된 글자, 마크 또는 소화기 그림 형태로 발광하게 된다. 이를 통해 어두운 환경이나 시야 확보가 용이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발광 효과를 통해 소화기 보관함의 위치 식별을 용이하게 한다.
본체(100) 및 덮개(200)를 구성하는 소재는 고분자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폴리에틸렌은 비닐 고분자 수지로서 에틸렌 단량체를 중합하여 제조되며, 전기 절연성 및 높은 내화학성을 가지며 가공이 용이하며 무게가 가벼워, 소화기 보관함으로 사용 시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경량화를 가능하게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보관함의 덮개를 개방한 정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화재 경보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3a은 도 2a의 소화기 보관함에 포함된 응급치료장비 관리 모듈의 구성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응급치료장비 관리 모듈의 전면 디스플레이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보관함은 본체(100), 덮개(200), 화재 경보 모듈(300), 소화기 상태 확인 모듈(400) 및 응급치료장비 관리 모듈(500)을 더 포함한다.
화재 경보 모듈(300)은 본체(100)의 외부에 위치한 서미스터(Thermistor) 온도센서(310)를 통해 외부 온도, 즉 소화기 보관함 주변의 온도를 인식하고, 기 설정된 기준 온도 이상일 경우 화재 경보를 발생한다. 서미스터 온도센서(310)는 온도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것으로, 화재 경보 모듈(300)은 서미스터 온도센서(310)의 저항값 변화를 통해 온도 변화를 감지하고 기 설정된 기준 온도 이상이 감지되면 이를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인지하여 화재 경보를 전파한다. 이때, 화재 경보 모듈(300)은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화재 발생을 직접 전파하거나, 비프음을 발생할 수 있으며, 별도로 구비된 경보등을 발광시켜 화재 발생을 전파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화재 경보 모듈(300)은 화재 경보 발생 시 점등하여 소화기 보관함의 위치를 주변에 전파하는 경보등(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재 경비 모듈(300)의 경보등을 통해 화재 발생 시 소화기 보관함의 위치를 보다 신속하게 확인하여 화재 진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서미스터 온도센서(310)는 소화기 보관함이 일반적으로 위치하는 환경을 고려하여 측정 가능한 온도범위가 -20~200℃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에서는 서미스터 온도센서(310)의 위치를 본체(100)의 측면에 도시하였으나, 서미스터 온도센서(310)의 위치는 본체(100)의 측면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소화기 보관함이 설치된 위치 및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본체(100)의 적절한 장소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서미스터 온도센서(310)가 외부 온도 변화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본체(100) 내부가 아닌 외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재 경보 모듈(300)은 서미스터 온도센서(310) 대신 연기 감지 센서를 사용하여 화재를 인지할 수 있다. 연기 감지 센서를 사용한 경우 서미스터 온도센서(310)를 사용한 경우와 동일하게 대기 중에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의 연기가 발생되는 경우 이를 화재로 인식하여 화재 경보를 전파한다.
소화기 상태 확인 모듈(400)은 소화기 거치대(110)에 거치된 소화기를 하부에서 지지하여 거치된 소화기의 무게를 측정한다. 그리고 소화기 상태 확인 모듈(400)은 측정된 소화기의 무게와 기 설정된 기준 무게를 비교하여 소화기가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기준 무게 미만일 경우 이상 상태로 판단하여 이를 전파한다.
소화기는 비취 장소 및 화재 종류에 따라 일반적으로 분말 소화기, 할론 소화기 및 D/K형 소화기 등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소화기는 소화기 본체 내부에 불을 꺼트릴 수 있는 특정한 분말이나 가스 등과 같은 소화물질이 충전되어 있으며, 사용시 내부에 충전된 소화물질이 분사되어 화재를 진압한다. 따라서 한번 사용한 소화기는 내부에 소화물질을 다시 충전하거나 교체해야 한다. 그러나 이미 사용된 소화기가 부주의로 인해 소화기 보관함에 다시 거치되거나 불량 소화기가 소화기 보관함에 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미 사용된 소화기이거나, 소화기의 불량으로 인해 내부에 충전된 소화물질이 누출되는 경우 소화기의 무게가 소화물질이 정상적으로 충전된 상태에 비해 무게가 가벼워지게 된다. 따라서, 소화기 상태 확인 모듈(400)은 소화기의 종류를 고려하여 설정된 기준 무게와 거치된 소화기의 측정된 무게를 비교하여 기준 무게 미만일 경우 거치된 소화기가 이상 상태임을 구비된 LED(410)의 색상을 통해 전달한다. 예들 들어, 본체(100)의 외부에 구비된 LED(410)가 적색을 표시하여, 소화기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소화기 상태 확인 모듈(400)의 기준 무게는 소화기의 종류에 따라 개별적으로 설정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소화기는 포말 소화기, 분말 소화기, 할론 소화기, 이산화탄소 소화기, D형 소화기 및 K형 소화기 등이 사용되며, 이와 같은 소화기는 서로 무게가 상이하다. 따라서, 소화기 상태 확인 모듈(400)에 설정된 기준 무게는 소화기의 종류를 고려하여 설정되어, 소화기의 종류에 따라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소화기 상태 확인 모듈(400)의 기준 무게는 소화기의 종류와 용량을 함께 고려하여 설정된다. 즉, 소화기의 종류와 해당 소화기의 용량을 함께 고려하여 기준 무게를 설정하여 소화기 상태 확인 모듈(400)이 소화기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화기 상태 확인 모듈(400)은 소화기의 종류와 용량을 고려하여 기준 무게를 설정함으로써, 소화기의 종류 및 용량에 제한없이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소화기 상태 확인 모듈(400)은 거치된 소화기 내부의 소화분말이 응고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인용 소화기 중 하나인 분말 소화기는 개인용 소화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방식으로, 내부에 있는 소화분말을 가스의 힘으로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한다. 이와 같은 분말 소화기는 한달에 1번 정도 소화기를 흔들어주어 내부에 충전된 소화분말이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소화기 보관함에 보관된 소화기의 경우 정기적으로 관리자가 소화기를 검사하는 과정에서 이를 흔들어 주게 된다. 그러나 관리 소홀이나 보관장소에 따라 소화기 내부의 소화분말이 응고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구동부(미도시)를 통해 거치된 소화기를 소정의 주기로 회전시켜 소화기 내부에 충전된 소화분말이 응고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소화기를 회전시키는 방향은 소화기 내부에 충전된 소화분말이 섞일 수 있도록,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을 교대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화기 상태 확인 모듈(400)은 거치된 소화기를 한 달에 1 내지 2회 회전시켜 소화분말이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급치료장비 관리 모듈(500)은 본체(100) 내부에 구비된 복수의 보관 선반(120) 각각에 해당 응급치료장비가 구비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보관함의 각 구성요소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력은 기본적으로 외부에서 공급받는 형태를 가진다. 그러나 화재 발생 시 또는 다른 이유로 인한 전기 단전 시 화재 경보 모듈(300), 소화기 상태 확인 모듈(400) 및 응급치료장비 관리 모듈(50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전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체(100) 내부에 별도로 충전배터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100) 내부에 위치한 충전배터리는 평시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충전되며, 전기 단전 시 화재 경보 모듈(300), 소화기 상태 확인 모듈(400) 및 응급치료장비 관리 모듈(500)에 전력을 공급하여 정상 동작이 가능하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응급치료장비 관리 모듈(500)은 복수의 보관 선반 각각에 거치된 응급치료장비의 유무를 확인하는 물품확인 센서(510), 물품확인 센서(510)의 측정 결과에 따라 내부에 구비된 응급치료장비 중에서 현재 소화기 보관함에 구비된 응급치료장비와 구비되지 않은 응급치료장비를 구분하는 물품확인부(520) 및 물품확인부(520)의 구분 결과에 따라 현재 소화기 보관함에 구비된 응급치료장비와 구비되지 않은 응급치료장비를 식별하여 표시하며 덮개(200)에 위치하는 전면 디스플레이부(5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보관함은 본체(100) 내부에 복수의 보관 선반(121, 122, 123)을 구비한다. 도 3a에서는 일례로서 세 개의 보관 선반(121, 122, 123)이 도시되어 있다. 세 개의 보관 선반(121, 122, 123) 각각에는 각각 지정된 응급치료장비가 위치하며, 물품확인 센서(510)는 지정된 응급치료장비가 각각의 보관 선반(121, 122, 123)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물품확인부(520)는 물품확인 센서(510)를 통해 각각의 보관 선반(121, 122, 123)에 지정된 응급치료장비가 위치하는지를 확인하여, 전면 디스플레이부(530)를 통해 구비된 응급치료장비와 구비되지 않은 응급치료장비를 표시한다.
도 3b의 일례에서는 화상치료 도구, 상처치료 도구 및 방독면 중에서 화상치료 도구 및 방독면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처치료 도구가 구비되지 않은 것을 전면 디스플레이부(530)에서 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면 디스플레이부(530)에 표시된 내용을 통해 소화기 보관함에 구비된 응급치료장비와 구비되지 않은 응급치료장비를 구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소화기 보관함에 구비된 응급치료장비의 종류를 소화기 보관함을 열지 않고 확인할 수 있어, 응급치료장비의 교체 및 사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다만, 도 3b에 도시된 응급치료장비의 종류는 하나의 일례일 뿐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재 및/또는 응급치료와 관련된 다양한 치료 및 구호 장비와 제세동기와 같은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응급치료장비의 일례로, 지혈제, 지혈밴드 등과 같은 지혈도구와 진통제, 소독약 및 기타 응급처치 도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화재 발생에 따른 화상을 응급처치하기 위한 드레싱 도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화재 발생 시 연기에 질식하지 않기 위한 방독면, 방독마스크, 산소마스크 및 산소호흡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 제세동기와 같은 다양한 응급치료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응급치료장비 관리 모듈(500)은 응급치료장비의 유무확인 뿐 아니라 응급치료장비의 도난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응급치료장비 중 산소호흡기와 같은 장비는 도난의 위험을 가진다. 도난 방지를 위해서는 소화기 보관함을 잠그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소화기 보관함을 잠귀 놓는 경우 화재 발생 시 초기에 화재에 대응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응급치료장비 관리 모듈(500)을 통해 응급치료장비의 도난을 방지하도록 한다.
응급치료장비 관리 모듈(500)은 물품확인 센서(510)를 통해 구비된 응급치료장비의 유무를 확인한다. 이때 물품확인 센서(510)를 통해 해당 보관 선반(120)에 위치한 응급치료장비가 위치를 이탈한 것이 확인되면, 화재 경보 모듈(300)을 통해 현재 화재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화재가 발생된 상황이면, 응급치료장비 관리 모듈(500)은 해당 응급치료장비가 정상적으로 반출된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에, 화재 경보 모듈(300)을 통해 화재 상황이 파악되지 않는 경우 해당 응급치료장비의 반출이 정상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화재 경보 모듈(300)의 스피커를 통해 응급치료장비의 이상 반출을 주변에 전파하여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보관함의 본체(100) 및/또는 덮개(200)는 표면에 코팅된 입자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 및/또는 덮개(200)의 표면에 형성되는 입자층은 은-설페이트계 착제 및 희토류 금속 착제를 포함하는 혼합조성물을 본체(100) 및/또는 덮개(200)의 표면에 도포하여 형성된다.
이때, 입자층에서 은-설페이트계 착제 및 희토류 금속 착제의 중량비는 1:3 내지 1:6을 가지며, 입자층의 두께는 30~80u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은-설페이트계 착제는 은 이온을 포함하는 염 수용액과 설페이트계 음이온을 포함하는 염 수용액을 반응시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은 이온을 포함하는 염 수용액 1~3몰(M)과 설페이트계 음이온을 포함하는 염 수용액 3~5.5몰(M)을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은 이온을 포함하는 염은 질산은 또는 초산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설페이트계 음이온을 포함하는 염은 소디움설페이트, 소디움설파이트, 포타슘설페이트, 포타슘설파이트, 암모늄설페이트 및 암모늄설파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희토류 금속 착제는 희토류 원소를 포함하는 염 수용액 0.3~1.5몰과 암모늄염 수용액 1.5~4몰과의 중화반응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금속 산화물 입자와 희토류 원소는 용액의 형태로 도포할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침전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첨가제를 사용할 경우 희토류 원소의 효과가 발휘되기 어려우며, 첨가제에 의해 유해성분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희토류 원소를 포함하는 염과 암모늄염과의 중화반응을 이용하여 알칼리성 희토류 금속 착제를 제조한다.
이때, 희토류 원소는 스칸듐(scandium), 란탄(lanthanum), 세륨(cerium), 네오디뮴(neodymium), 테르븀(terbium), 유로피윰(europium), 프라세오디뮴(praseodymium)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암모늄(ammonium) 염은 수산화 테트라 메틸 암모늄(tetra methyl ammonium), 탄산 테트라 메틸 암모늄(tetra methyl ammonium), 중탄산 테트라 메틸 암모늄(tetra methyl ammonium)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술한 도 2a 내지 도 3b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보관함에 대한 설명에서 도 1a 및 도 1b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였다.
상술한 내용을 포함하는 본 발명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또는 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본체 110: 소화기 거치대
120: 보관 선반
200: 덮개 210: 투명창
300: 화재 경보 모듈 310: 서미스터 온도센서
400: 소화기 상태 확인 모듈 410: LED
500: 응급치료장비 관리 모듈 510: 물품확인 센서
520: 물품확인부 530: 전면 디스플레이부
120: 보관 선반
200: 덮개 210: 투명창
300: 화재 경보 모듈 310: 서미스터 온도센서
400: 소화기 상태 확인 모듈 410: LED
500: 응급치료장비 관리 모듈 510: 물품확인 센서
520: 물품확인부 530: 전면 디스플레이부
Claims (6)
- 내부의 빈 공간에 소화기를 보관하기 위한 소화기 거치대 및 응급치료장비가 위치하는 복수의 보관 선반이 구비된 본체;
일측 단부가 힌지로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에 위치한 자석 덮개를 통해 상기 본체에 고정되며, 내부의 소화기 및 응급치료장비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 및 어두운 상태에서 식별 가능한 야광 식별자가 구비된 덮개;
상기 본체의 외부에 위치한 서미스터(Thermistor) 온도센서를 통해 외부 온도를 인식하여 기준 온도 이상일 경우 화재 경보를 전파하는 화재 경보 모듈; 및
상기 본체의 보관 선반에 위치한 응급치료장비의 유무를 관리하는 응급치료장비 관리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보관 선반은 서로 다른 각각의 응급치료장비를 종류별로 구분하여 지정된 위치에 거치하며,
상기 응급치료장비 관리 모듈은,
상기 복수의 보관 선반 각각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복수의 보관 선반 각각에 거치된 응급치료장비의 유무를 확인하는 복수의 물품확인 센서;
상기 복수의 물품확인 센서의 측정 결과에 따라 내부에 구비된 응급치료장비 중에서 현재 소화기 보관함에 구비된 응급치료장비와 구비되지 않은 응급치료장비를 구분하는 물품확인부; 및
상기 물품확인부의 구분 결과에 따라 현재 소화기 보관함에 구비된 응급치료장비와 구비되지 않은 응급치료장비를 식별하여 표시하며, 상기 덮개의 표면에 위치하는 전면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응급치료장비 관리 모듈은 상기 물품확인 센서를 통해 해당 보관 선반에 위치한 응급치료장비가 위치를 이탈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화재 경보 모듈을 통해 화재발생 여부를 확인하여 화재가 발생된 상황이면 응급치료장비가 정상적으로 반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화재 상황이 파악되지 않는 경우 해당 응급치료장비의 반출이 정상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화재 경보 모듈의 스피커를 통해 응급치료장비의 이상 반출을 주변에 전파하여 도난을 방지하는 소화기 보관함.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소화기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소화기의 무게를 측정하여 기준 무게 미만일 경우 소화기 이상을 알리는 소화기 상태 확인 모듈을 더 포함하는 소화기 보관함.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 상태 확인 모듈은 거치된 소화기 내부의 소화분말이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거치된 소화기를 한 달에 1 내지 2회 회전시키는 구동부;
를 더 포함하는 소화기 보관함.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덮개의 표면에는 입자층이 형성되며,
상기 입자층은 은 이온을 포함하는 염 수용액과 설페이트계 음이온을 포함하는 염 수용액을 반응시켜 제조된 은-설페이트계 착제, 및 희토류 원소를 포함하는 염 수용액과 암모늄염 수용액을 중화반응 시켜 제조된 희토류 금속 착제의 혼합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되는 소화기 보관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2484A KR102180416B1 (ko) | 2019-04-11 | 2019-04-11 | 소화기 보관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2484A KR102180416B1 (ko) | 2019-04-11 | 2019-04-11 | 소화기 보관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0080A KR20200120080A (ko) | 2020-10-21 |
KR102180416B1 true KR102180416B1 (ko) | 2020-11-18 |
Family
ID=73035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2484A KR102180416B1 (ko) | 2019-04-11 | 2019-04-11 | 소화기 보관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0416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3529B1 (ko) * | 2011-12-09 | 2012-05-09 | 이현용 | 기능성 입자층이 코팅된 금속부를 가지는 가구의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52675A (ko) * | 2001-12-21 | 2003-06-27 | 주식회사 디앤에스 테크놀로지 |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 |
KR20080007194A (ko) * | 2007-08-09 | 2008-01-17 | 디트로텍(주) | 다수 소화기의 상태 확인 장치 |
KR20120006308U (ko) * | 2011-03-03 | 2012-09-12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선박용 소방 장비의 보관함 |
KR20130002693U (ko) * | 2011-10-26 | 2013-05-06 | 이상호 | 다단형 비상 캐비넷 |
KR20140028652A (ko) | 2012-08-30 | 2014-03-10 | 오병도 | 스탠드형 및 벽걸이형으로 사용가능한 소화기함 |
KR102025122B1 (ko) * | 2016-12-23 | 2019-09-25 | (재)한국재난안전기술원 | 소화기 분말응고를 방지하기 위한 거치대 |
-
2019
- 2019-04-11 KR KR1020190042484A patent/KR10218041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3529B1 (ko) * | 2011-12-09 | 2012-05-09 | 이현용 | 기능성 입자층이 코팅된 금속부를 가지는 가구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0080A (ko) | 2020-10-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78931B1 (en) | Mask illumination device and personnel locator and/or communicator | |
CN112689601B (zh) | 状态检测透视保管箱 | |
KR101625760B1 (ko) | 비상구 유도 장치 | |
KR20160120561A (ko) | 안전물품의 사용이 편리한 소방용 안전보관함 | |
KR102103631B1 (ko) | 안전 기구함 | |
KR101676813B1 (ko) | 개인인명구조용 경보기 | |
US7614765B2 (en) | Emergency pressure-switch actuated laser lighting device for firefighters | |
KR20110002622A (ko) |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 시스템 | |
KR102180416B1 (ko) | 소화기 보관함 | |
KR102081720B1 (ko) | 도어 개방을 위한 공구가 구비된 친환경 소방기구함 | |
CN113853723A (zh) | 用于存放正在再充电的移动设备的容器 | |
KR102208352B1 (ko) | 산소량 표시장치를 갖는 마스크를 구비한 공기호흡장치 | |
KR200491168Y1 (ko) | 충전기능을 구비한 확성기 보관함 | |
KR20110002173U (ko) | 비상탈출용구 보관함 | |
CN105816966A (zh) | 阻燃螺旋式救生滑梯 | |
KR101902976B1 (ko) | 비상용품이 구비되는 비상 경보 장치 | |
CN105816969A (zh) | 一种消防伸缩通道 | |
CN202143758U (zh) | 一种消防安全逃生包 | |
KR101871382B1 (ko) | 비상탈출용구 보관함 | |
KR102176735B1 (ko) |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 | |
KR102692172B1 (ko) | 소방대원 시야 개선 장비 | |
CN212439792U (zh) | 一种灭火器用固定底座 | |
CN219680108U (zh) | 应急物品储物柜 | |
KR102103513B1 (ko) | 안전성이 향상된 화재확산 방지 소방장치 | |
LU103120B1 (en) | Portable fire extinguish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