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096B1 - Intelligent integrated national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Intelligent integrated national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096B1
KR102419096B1 KR1020210043695A KR20210043695A KR102419096B1 KR 102419096 B1 KR102419096 B1 KR 102419096B1 KR 1020210043695 A KR1020210043695 A KR 1020210043695A KR 20210043695 A KR20210043695 A KR 20210043695A KR 102419096 B1 KR102419096 B1 KR 102419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safety
safety facility
disaster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6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현실
Original Assignee
장현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현실 filed Critical 장현실
Priority to KR1020210043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09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0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9/17Emergency applic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intelligen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a national disaster safety facility. The system includes: a disaster safety facility inquiry recepiving unit receiving a request for inquiring information on a disaster safety facility of a specific area from a user terminal; a disaster safety facility searching unit searching for and acquiring the information on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in response to the inquiring request; and a mapping processing unit mapping the acquired information on a digital map of the area to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Description

지능형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INTELLIGENT INTEGRATED NATIONAL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Intelligent national disaster safety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its treatment method

본 발명은 지능형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재난안전시설물에 대한 현황 데이터를 하나의 포털 사이트 시스템을 이용해 조회할 수 있고 통합적인 관리가 가능한 구조를 가진 지능형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lligent national disaster safety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its process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in which status data for various disaster safety facilities can be inquired using a single portal site system and integrated management is possible. It relates to an intelligent national disaster safety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its treatment method.

최근 정부는 다양한 재난들에 대한 컨트롤 타워 역할을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재난안전관리본부를 운용하고 있으며, 국가적인 재난을 관리하기 위해 국가재난관리시스템(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NDMS)을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다.Recently, the government is operating the Disaster Safety Management Headquarters to more effectively act as a control tower for various disasters, and has developed and utilized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NDMS) to manage national disasters. have.

국가재난관리시스템은 재난 발생의 예방과 대비, 발생된 재난에 대한 대응 및 복구 등과 같은 재난 관리의 단계별 업무를 지원하는 전국 단위의 종합정보시스템이다.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is a nationwide comprehensive information system that supports step-by-step tasks of disaster management, such as prevention and preparation for disasters, and response and recovery to disasters that have occurred.

재난안전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기술과 관련하여 특허문헌 1에는 각종 재난과 관련된 계측데이터와 특보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재난에 대한 위험지수를 산출하고, 아울러 그에 따른 위험등급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위험등급에 상응하는 각 부서별 SOP(Standard Operating Procedure)를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각종 재난안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재난안전 통합관리시스템이 공개되어 있다.In relation to the technology for integrated disaster safety management, Patent Document 1 includes calculating the risk index for the disaster based on measurement data and warning data related to various disasters, and also determining the risk grade accordingly, and the determined risk grade A disaster safe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that efficiently manages various disasters and safety by systematically managing the SOP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for each department corresponding to this has been disclosed.

특허문헌 1은 각종 재난과 관련된 계측데이터와 특보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재난에 대한 위험지수와 위험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험등급이 기록된 메시지를 해당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위험경보 서버와, 상기 결정된 위험등급에 상응하는 SOP를 관리하는 SOP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경보 서버는, 풍속, 온도, 습도, 강우, 적설량 중 위험등급이 높은 요소에 우선순위를 두어 기상에 대한 위험지수와 위험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특보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결정된 위험지수와 위험등급을 격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risk alert server that determines a risk index and a risk level for a corresponding disaster based on measurement data and special warning data related to various disasters and transmits a message in which the determined risk level is recorded to the corresponding manager terminal; Includes an SOP management server that manages the SOP corresponding to the risk grade, wherein the risk warning server prioritizes elements with a high risk grade among wind speed, temperature, humidity, rainfall, and snow load, and the risk index and risk grade for the weather is determined, and the determined risk index and risk grade are upgraded based on the warning data.

그러나, 국가재난관리시스템을 비롯하여 기존의 재난안전 통합관리시스템들은 전국에 산재해 있는 다수의 각종 재난안전시설물의 작동 상태나 정상 여부 등을 일일이 모니터링할 수 있는 수단이 없는 관계로, 재난 발생 시 해당 재난안전시설물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메뉴얼대로 대처할 수 있을지에 대한 불확실성은 여전히 해결과제로 남아있다.However, the existing integrated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do not have means to individually monitor the operation status or normality of various disaster safety facilities scattered across the country. Uncertainty about whether disaster safety facilities can operate normally and respond according to the manual still remains as a task to be solved.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2205275호(2021.01.20.공고)Patent Document 1: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205275 (2021.01/20. Announce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전국에 산재해 있는 각종 재난안전시설물의 위치와 작동 상태 등에 대한 현황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을 이용해 특정 지역의 재난안전시설물을 조회하여 재난안전시설물 상태 점검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지능형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integrally manage the current status information on the location and operating state of various disaster safety facilities scattered across the country, and to use the user terminal to manage disaster safety facilities in a specific area.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n intelligent national disaster safety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its treatment method that can efficiently perform state inspection of disaster safety facilities by inquir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구역의 재난안전시설물 현황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가공 처리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진 지능형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lligent national disaster safety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a processing method having data processing processing and user interface that enables users to intuitively and easily check the status of disaster safety facilities in a specific area. hav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구역의 재난안전시설물에 대한 정보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재난안전시설물 조회수신부; 상기 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재난안전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검색 및 획득하는 재난안전시설물 검색부; 및 획득한 정보를 해당 지역의 디지털 지도 상에 맵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출하는 맵핑 처리부;를 포함하는 지능형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aster safety facility inquiry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 information inquiry request for a disaster safety facility in a specific area from a user terminal; a disaster safety facility search unit for searching and obtaining information on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in response to the inquiry request; and a mapping processing unit for mapping the obtained information on a digital map of the corresponding area and displaying it on the user terminal; provides an intelligent national disaster safety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바람직하게, 자연재난안전시설물, 사회재난안전시설물 및 생활안전시설물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난안전시설물에 대한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안전시설물 현황 데이터를 저장하는 재난안전시설물 DB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난안전시설물 검색부는 상기 재난안전시설물 DB 서버에서 상기 재난안전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Preferably, a disaster safety facility DB server for storing disaster safety facility status data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disaster safety facility selected from natural disaster safety facilities, social disaster safety facilities, and life safety facilities; Further comprising,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search unit may search for information on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from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DB server.

검색 결과가 없는 구역에 대하여 관심지역설정을 하여 미설치구역 DB에 저장했다가 재난안전시설물 설치 계획 수립 시 반영하는 미설치구역 정보 업데이트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non-installed area information update processing unit that sets an area of interest for an area without search results, stores it in the non-installed area DB, and reflects it when establishing a disaster safety facility installation plan; may further include.

상기 위치정보는 GPS 좌표, 도로명 주소 또는 지번 주소이고, 상기 상태정보는 정상동작 여부에 대한 리포트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is GPS coordinates, a street name address, or a lot address, and the status information is report information on whether a normal operation is performed.

각각의 재난안전시설물마다 고유식별정보를 부여하여 관리하는 재난안전시설물 고유식별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disaster safety facility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by assign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each disaster safety facility.

상기 재난안전시설물 DB 서버는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포털관리시스템에 중앙집중형으로 구축되어 있거나,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분산형으로 구축되어 있고, 상기 재난안전시설물 DB 서버와 연동하는 데이터관리시스템에 의해 상기 재난안전시설물에 대한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안전시설물 현황 데이터가 자동 수집될 수 있다.The disaster safety facility DB server is built in a centralized type in the national disaster safety facility portal management system, or is constructed in a distributed way for each local government, and by a data management system interlocking with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DB server Disaster safety facility status data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state information about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may be automatically collected.

바람직하게, 상기 자연재난안전시설물, 사회재난안전시설물 및 생활안전시설물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메뉴를 표시하고 각 재난안전시설물의 종류별로 주소 입력창을 표시하거나 각 재난안전시설물마다 부여된 고유식별정보의 입력을 유도하는 고유식별정보 입력창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재난안전 통합 UI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a selection menu for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natural disaster safety facility, social disaster safety facility, and life safety facility is displayed, and an address input window is displayed for each type of disaster safety facility, or a unique assigned to each disaster safety facility It may further include a; disaster safety integrated UI processing unit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window for inducing input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정해진 구역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재난안전시설물에 대한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안전시설물 현황 데이터를 수집하여 재난안전시설물 DB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b)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구역의 재난안전시설물에 대한 정보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재난안전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검색 및 획득하는 단계; 및 (d) 획득한 정보를 해당 지역의 디지털 지도 상에 맵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능형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의 처리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s of: (a) collecting disaster safety facility status data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state information on disaster safety facilities installed in advance in a predetermined area and storing the data in a disaster safety facility DB server; (b) receiving an information inquiry request for disaster safety facilities in a specific area from the user terminal; (c) searching for and obtaining information on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in response to the inquiry request; and (d) mapping the obtained information on a digital map of the corresponding area and displaying the information on the user terminal.

상기 재난안전시설물은 소화전, 터널/지하차도 진입차단기, 전광판, 클린로드/염수분사시스템 제어밸브 및 노즐, 수위계, 풍향계, 재난방송/경보기 및 CCTV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aster safety facility is preferab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fire hydrant, a tunnel/underpass entrance breaker, an electric sign, a clean road/salt injection system control valve and nozzle, a water level gauge, a weather vane, a disaster broadcasting/alarm, and a CCTV.

각 재난안전시설물의 종류별로 주소 입력창을 표시하거나, 각 재난안전시설물마다 부여된 고유식별정보의 입력을 유도하는 고유식별정보 입력창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탑재할 수 있다.A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n address input window for each type of disaster safety facility or displaying a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window for inducing input of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iven to each disaster safety facility may be mounted.

상기 단계 (c)는, 검색 결과가 없는 구역에 대해서는 관심지역설정을 한 후 미설치구역 DB에 저장하는 과정과, 재난안전시설물 설치 계획 수립 시 상기 경험 데이터를 반영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The step (c) may further perform a process of setting an area of interest for an area where there is no search result and then storing it in the non-installed area DB, and a process of reflecting the experience data when establishing a disaster safety facility installation plan.

상기 위치정보는 GPS 좌표, 도로명 주소 또는 지번 주소이고, 상기 상태정보는 정상동작 여부에 대한 리포트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is GPS coordinates, a street name address, or a lot address, and the status information is report information on whether a normal operation is performed.

상기 단계 (a)는, 상기 재난안전시설물 DB 서버는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포털관리시스템에 중앙집중형으로 구축되어 있거나,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분산형으로 구축되어 있고, 상기 재난안전시설물 DB 서버와 연동하는 데이터관리시스템에 의해 상기 재난안전시설물에 대한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안전시설물 현황 데이터가 자동 수집될 수 있다.In step (a),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DB server is centrally built in the national disaster safety facility portal management system, or is constructed in a distributed way for each local government, and interlocks with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DB server Disaster safety facility status data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state information on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can be automatically collected by the data management system.

상기 단계 (a)는, 상기 데이터관리시스템은 상기 정해진 구역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재난안전시설물과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재난안전시설물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재난안전시설물 현황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In the step (a), the data management system may collect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status data from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interface physically connected to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installed in advance in the predetermined area.

상기 단계 (a)는, 상기 재난안전시설물 인터페이스는 그와 연결된 재난안전시설물과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재난안전시설물 현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In the step (a),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interface may generate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status data by performing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connected thereto.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처리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processing method is recorded.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intelligent national disaster safety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its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일원화된 재난안전시설물 포털 사이트를 활용하여 전국에 산재해 있는 다수의 재난안전시설물들을 효율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integrate and manage a number of disaster safety facilities scattered across the country by using a unified disaster safety facility portal site.

둘째, PC나 스마트폰 등 사용자 단말을 이용해 특정 지역의 재난안전시설물을 조회하여 재난안전시설물의 설치 및/또는 유지보수 현황을 디지털 지도상에서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재난 발생지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재난안전시설물을 신속히 파악하여 피해복구에 활용할 수 있다.Second, by inquiring disaster safety facilities in a specific area using a user terminal such as a PC or smart phone, the installation and/or maintenance status of disaster safety facilities can be intuitively checked on the digital map, so The facility can be quickly identified and used for damage recovery.

셋째, 각종 재난안전시설물들에 대하여 시간적, 공간적 제약없이 원격으로 동작상태를 사전 점검하여 위험요인을 조기에 발견하고 필요한 안전 조치를 할 수 있다.Third, it is possible to detect risk factors early and take necessary safety measures by remotely inspecting the operation status of various disaster safety facilities in advance without time or spatial restrictions.

넷째, 특정 재난안전시설물에서 전기누전, 통신불능, 오동작 등이 발생하면 재난안전시설물 포털 사이트를 통하여 자동으로 오류 발생이 보고되므로 신속한 후속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Fourth, when an electric short, communication failure, or malfunction occurs in a specific disaster safety facility, the error is automatically reported through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portal site, so prompt follow-up measures can be taken.

다섯째, 재난안전시설물의 종류별로 주소입력창을 출력하여 편리하게 특정 구역의 특정 재난안전시설물에 대한 조회를 수행할 수 있다.Fifth, by outputting an address input window for each type of disaster safety facility,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search for a specific disaster safety facility in a specific area.

여섯째, 재난안전시설물에 대한 조회 결과가 없는 구역은 자동으로 관심지역설정이 되어 향후에 신규 재난안전시설물설치 계획 수립 시 기초자료에 반영될 수 있다.Sixth, the area without the search result for disaster safety facilities is automatically set as an area of interest and can be reflected in the basic data when establishing a new disaster safety facility installation plan in the future.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도 1에는 재난안전 통합 UI 처리부에 의해서 스마트폰 화면에 표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재난안전시설물의 종류별로 주소 입력창이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서 자연재난안전시설물 DB에 저장되는 데이터 필드값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10은 도 1에서 맵핑 처리부에 의해 디지털 지도상에 특정 구역의 소화전 설치 현황 데이터가 맵핑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에서 맵핑 처리부에 의해 디지털 지도상에 특정 구역의 지하차도 CCTV 설치 현황 데이터가 맵핑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의 처리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such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only to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telligent national disaster safety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6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displayed on a smartphone screen by a disaster safety integrated UI processing unit in FIG. 1 .
7 and 8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in which an address input window is displayed for each type of disaster safety facility.
9 is a table schematically showing data field values stored in the natural disaster safety facility DB in FIG. 1 .
FIG. 10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fire hydrant installation status data of a specific area is mapped on a digital map by the mapping processing unit in FIG. 1 .
1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CCTV installation status data of the underground road map of a specific area is mapped on the digital map by the mapping processing unit in FIG. 1 .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processing method of the intelligent national disaster safety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telligent national disaster safety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은, 재난안전 통합 UI 처리부(101), 재난안전시설물 고유식별정보 관리부(102), 재난안전시설물 조회수신부(103), 재난안전시설물 검색부(104), 맵핑 처리부(105), 오류 보고 처리부(106) 및 미설치구역 정보 업데이트 처리부(111)를 가진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포털관리시스템(100)과,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포털관리시스템(100)과 연동하는 재난안전시설물 DB 서버(110) 및 데이터관리시스템(120)을 포함한다.1, the intelligent national disaster and safety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aster safety integrated UI processing unit 101, a disaster safety facility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02, a disaster safety facility inquiry receiving unit ( 103), a national disaster safety facility portal management system 100 having a disaster safety facility search unit 104, a mapping processing unit 105, an error report processing unit 106, and an uninstalled area information update processing unit 111, and the national disaster safety It includes a disaster safety facility DB server 110 and a data management system 120 interlocking with the facility portal management system 100 .

재난안전 통합 UI 처리부(101)는 도 2의 스마트폰 표시창(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정 이미지의 홈페이지 메인화면 영역부(11)와, 메인화면의 하단에 배치된 뉴스 표시영역부(12)와, 화면의 우측 상단에 배치된 메뉴아이콘(10)을 포함하는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포털 사이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The disaster safety integrated UI processing unit 101 includes a home page main screen area 11 of a predetermined image as shown in the smartphone display window 1 of FIG. 2 and a news display area unit 12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main screen and , provides a national disaster safety facility portal site user interface including a menu icon (10) disposed on the upper right of the screen to the user terminal.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포털 사이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의 표시창(2~7)에 자연재난안전시설물, 사회재난안전시설물 및 생활안전시설물로 분류된 최상위 카테고리로부터 하위 카테고리로 세분되면서 다양한 재난안전시설물에 대한 표시와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재난안전시설물은 소화전, 터널/지하차도 진입차단기, 전광판, 클린로드/염수분사시스템 제어밸브 및 노즐, 수위계, 풍향계, 재난방송/경보기 및 CCTV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해당된다.3 to 6, the user interface of the national disaster safety facility portal site is classified into natural disaster safety facilities, social disaster safety facilities, and living safety facilities on the display windows 2 to 7 of the user terminal from the top category to the lower category. It is subdivided and provides display and management functions for various disaster safety facilities.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corresponds to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fire hydrant, a tunnel/underpass entry breaker, an electric sign, a clean road/salt injection system control valve and nozzle, a water level gauge, a weather vane, a disaster broadcasting/alarm, and a CCTV.

재난안전 통합 UI 처리부(101)는 도 3의 스마트폰 표시창(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연재난안전시설물, 사회재난안전시설물 및 생활안전시설물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메뉴를 표시한다. 또한, 재난안전 통합 UI 처리부(101)는 도 7 및 도 8의 스마트폰 표시창(6,7)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재난안전시설물의 종류별로 주소 입력창(6a,7a)을 표시하거나 각 재난안전시설물마다 부여된 고유식별정보의 입력을 유도하는 고유식별정보 입력창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The disaster safety integrated UI processing unit 101 displays a selection menu for at least one selected from natural disaster safety facilities, social disaster safety facilities, and life safety facilities as shown in the smartphone display window 2 of FIG. 3 . In addition, the disaster safety integrated UI processing unit 101 displays address input windows 6a and 7a for each type of disaster safety facility as shown in the smartphone display windows 6 and 7 of FIGS. 7 and 8, or each disaster safety A user interface (UI) displaying a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window for inducing input of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iven to each facility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재난안전시설물 고유식별정보 관리부(102)는 각각의 재난안전시설물마다 고유식별정보를 부여하여 관리한다. 이에 따라, 재난안전시설물 DB 서버(110)에 저장된 모든 재난안전시설물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유 식별정보가 부여되어 제품모델, 위치, 상태 등과 같은 데이터 필드값을 갖는다. 고유 식별정보는 숫자, 영어 대/소문자 및 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disaster safety facility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02 manages by assign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each disaster safety facility. Accordingly, all disaster safety facilities stored in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DB server 110 are give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shown in FIG. 9 and have data field values such as product model, location, and state.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numbers, English uppercase/lowercase letters, and symbols.

재난안전시설물 DB 서버(110)는 자연재난안전시설물 DB(107), 사회재난안전시설물 DB(108) 및 생활안전시설물 DB(109)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각각의 재난안전시설물에 대한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안전시설물 현황 데이터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자연재난안전시설물 DB(107)에는 예컨대, 폭염, 가뭄, 호우, 침수, 대설, 도로 결빙 등과 같은 자연재난에 대비한 안전시설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사회재난안전시설물 DB(108)에는 미세먼지, 교통사고, 화재, 산불, 수난 사고, 감염병, 항공기 사고 등과 같은 사회재난에 대비한 안전시설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생활안전 DB에는 산행안전 사고, 물놀이 사고, 응급 처치 등과 같은 생활안전에 대비한 안전시설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Disaster safety facility DB server 110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natural disaster safety facility DB 107, social disaster safety facility DB 108, and living safety facility DB 109, It stores disaster safety facility status data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natural disaster safety facility DB 107 stores information on safety facilities in preparation for natural disasters such as, for example, heat waves, drought, heavy rain, flooding, heavy snow, and road icing. The social disaster safety facility DB 108 stores information on safety facilities in preparation for social disasters such as fine dust, traffic accidents, fires, forest fires, water accidents, infectious diseases, and aircraft accidents. In the life safety DB, information on safety facilities for life safety such as hiking safety accidents, swimming accidents, and first aid are stored.

재난안전시설물 DB 서버(110)는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포털관리시스템(100)이 있는 개소에 중앙집중형으로 구축되어 있거나,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분산형으로 구축되어 있다.The disaster safety facility DB server 110 is built in a centralized type at the location where the national disaster safety facility portal management system 100 is located, or is constructed in a distributed way for each local government.

데이터관리시스템(120)은 상기 재난안전시설물 DB 서버(110)와 연동하여 재난안전시설물에 대한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안전시설물 현황 데이터를 자동 수집한다. 재난안전시설물 DB 서버(110)와 마찬가지로 데이터관리시스템(120)은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포털관리시스템(100)이 있는 개소에 중앙집중형으로 구축되어 있거나,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분산형으로 구축되어 있다.The data management system 120 automatically collects disaster safety facility status data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state information about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in conjunction with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DB server 110 . Like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DB server 110, the data management system 120 is centrally built at the location where the national disaster safety facility portal management system 100 is, or it is built in a distributed way for each local government. .

재난안전시설물 DB 서버(110)에 저장되는 상기 위치정보로는 GPS 좌표, 도로명 주소, 지번 주소 또는 건물명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상태정보는 "정상", "비정상", "동작중", "수리중" 등과 같은 기기의 동작 여부, 상태 등에 대한 리포트 정보가 사용된다.As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DB server 110, GPS coordinates, road name addresses, lot addresses, or building names are used. In addition, as the status information, report information on whether the device is operating, status, etc., such as "normal", "abnormal", "operating", and "repairing", is used.

데이터관리시스템(120)은 다수의 재난안전시설물 인터페이스(130)로부터 재난안전시설물 현황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재난안전시설물 DB 서버(110)에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관리시스템(120)은 재난안전시설물 검색부(104)는 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재난안전시설물 DB 서버(110)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재난안전시설물 인터페이스(130)는 정해진 구역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재난안전시설물과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각각의 재난안전시설물로부터 위치 정보나 상태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관리시스템(120)에 전송할 수 있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가진다.The data management system 120 collects disaster safety facility status data from a plurality of disaster safety facility interfaces 130 and stores it in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DB server 110 . In addition, the data management system 120 performs a function of reading the data stored in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DB server 110 in response to the inquiry request by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search unit 104 . Here,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interface 130 is hardware and/or software physically connected to a disaster safety facility installed in advance in a predetermined area, and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or state information data from each disaster safety facility and receives the data management system It has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that can transmit to 120 .

미설치구역 정보 업데이트 처리부(111)는 검색 결과가 없는 행정구역에 대하여 관심지역설정 처리를 하여 재난안전시설물 DB 서버(110) 내에 포함된 미설치구역 DB에 저장했다가 재난안전시설물 설치 계획 수립 시 반영한다. 미설치구역 정보 업데이트 처리부(111)는 사용자 단말의 조회 요청에도 불구하고 재난안전시설물 검색부(104)가 재난안전시설물 DB 서버(110)에서 특정 조회 구역에 대해 재난안전시설물 데이터를 찾지 못했을 때 이를 미설치구역 정보로 분류하여 상기 미설치구역 DB에 저장한다. 상기 미설치 구역 DB에 저장된 데이터들은 향후 재난안전시설물 설치 계획 수립 시 설치가 필요한 관심지역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재난안전시설물 검색부(104)가 재난안전시설물 DB 서버(110)에서 특정 조회 구역에 대해 재난안전시설물 데이터를 찾지 못했을 때 맵핑 처리부(105)는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해당 미설치구역(N)에 대해 소정 색상으로 그래픽 처리를 한다. 또한, 재난안전 통합 UI 처리부(101)는 조회 범위를 좀더 확대하여 입력을 요청하는 팝업 메시지창을 사용자 단말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에 "서울특별시 00구 00로"에 대하여 특정 재난안전시설물에 대한 조회가 요청되었을 때 검색 결과가 없으면 재난안전 통합 UI 처리부(101)는 조회 범위를 좀더 확대하여 입력을 요청하는 팝업 메시지창을 출력하고, 이에 따라 "서울특별시 00구"와 같이 조회 범위가 확대된 검색이 수행되도록 유도한다. "서울특별시 00구"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조회되어 디지털 지도 상에 맵핑될 때 맵핑 처리부(105)는 인근 미설치구역(N)에 대한 그래픽 처리도 함께 수행하여 분포 현황 이해를 도모할 수 있다.The non-installed area information update processing unit 111 processes the area of interest setting for the administrative area where there is no search result, stores it in the non-installed area DB included in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DB server 110, and reflects it when establishing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installation plan . The non-installed area information update processing unit 111 is not installed when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search unit 104 does not find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data for a specific inquiry area in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DB server 110 despite the inquiry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It is classified by area information and stored in the non-installed area DB. The data stored in the non-installed area DB may be used as information on the area of interest that needs to be installed when establishing a future disaster safety facility installation plan. When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search unit 104 does not find disaster safety facility data for a specific inquiry area in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DB server 110, the mapping processing unit 105 is located in the non-installed area (N) as shown in FIG. Graphic processing is performed with a predetermined color. In addition, the disaster safety integrated UI processing unit 101 displays a pop-up message window requesting input by further expanding the inquiry range on the user terminal. For example, when a search for a specific disaster safety facility is requested for "00-gu, 00-ro, Seoul"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re is no search result, the disaster safety integrated UI processing unit 101 requests input by further expanding the search range Outputs a pop-up message window that says, and according to this, induces a search with an expanded search range, such as "Seoul 00-gu", to be performed. When data corresponding to "00-gu in Seoul" is retrieved and mapped on the digital map, the mapping processing unit 105 may also perform graphic processing for the nearby non-installed area (N)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status.

재난안전시설물 조회수신부(103)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지역 또는 특정 재난안전시설물에 대한 정보조회 요청을 수신한다.The disaster safety facility inquiry receiving unit 103 receives an information inquiry request for a specific area or a specific disaster safety facility from the user terminal.

재난안전시설물 검색부(104)는 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재난안전시설물 DB 서버(110)에서 특정 지역 또는 특정 재난안전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검색 및 획득한다.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난안전시설물 검색부(104)는 "서울특별시 00구"에 대한 조회 요청을 수신한 경우 해당 지역에 등록되어 있는 특정 재난안전시설물에 대한 상태 정보와 위치 정보를 검색 및 획득한다. 대안으로, 재난안전시설물 검색부(104)는 "00빌딩"에 대한 조회 요청을 수신한 경우 해당 빌딩에 대하여 등록된 특정 재난안전시설물에 대한 상태 정보와 위치 정보를 검색 및 획득한다. 다른 대안으로, 재난안전시설물 검색부(104)는 재난안전시설물의 고유식별정보를 바로 입력받아서 해당 재난안전시설물에 대한 상태 정보와 위치 정보를 검색 및 획득한다.The disaster safety facility search unit 104 searches for and obtains information on a specific area or specific disaster safety facility from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DB server 110 in response to the inquiry request.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7 and 8 , when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search unit 104 receives an inquiry request for "00-gu in Seoul", the status of specific disaster safety facilities registered in the area Search and obtai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lternatively, when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search unit 104 receives an inquiry request for "building 00", it searches for and acquires stat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for a specific disaster safety facility registered with respect to the building. Alternatively,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search unit 104 directly receives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to search and obtain status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맵핑 처리부(105)는 획득한 정보를 해당 지역의 디지털 지도 상에 맵핑하여 사용자 단말에 표출한다. 즉, 맵핑 처리부(105)는 재난안전시설물 검색부(104)에서 획득한 재난안전시설물에 대한 상태 정보와 위치정보를 소정의 이미지, 심볼, 아이콘 등과 같은 그래픽 형식이나 텍스트 형식으로 디지털 지도 상에 맵핑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울특별시 00구"에 위치한 '옥외소화전'에 대한 조회 요청을 수신하여 재난안전시설물 검색부(104)에서 해당 정보를 검색 및 획득한 경우, 맵핑 처리부(105)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지도 상의 각 포인트에 '옥외소화전'에 대한 아이콘과 상태(정상/수리중 등) 정보를 맵핑하여 출력한다. 다른 예시로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울특별시 00구"에 위치한 지하차도용 'CCTV'에 대한 조회 요청을 수신하여 재난안전시설물 검색부(104)에서 해당 정보를 검색 및 획득한 경우, 맵핑 처리부(105)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지도 상의 각 포인트에 'CCTV'에 대한 아이콘과 상태(동작중/수리중 등) 정보를 맵핑하여 출력한다.The mapping processing unit 105 maps the obtained information on a digital map of the corresponding area and displays it on the user terminal. That is, the mapping processing unit 105 maps the stat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disaster safety facilities acquired by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search unit 104 on a digital map in a graphic format or text format such as a predetermined image, symbol, icon, etc. do. For example, when a search request for an 'outdoor fire hydrant' located in "00-gu, Seoul" is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and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searched for and obtained in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search unit 104, the mapping processing unit 105 is As shown in FIG. 10, the icon and status (normal/repairing, etc.) information for the 'outdoor fire hydrant' is mapped to each point on the digital map and output. As another example, when receiving an inquiry request for 'CCTV' for an underpass located in "00-gu, Seoul" from a user terminal and searching for and obtain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n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search unit 104, the mapping processing unit 105 ) maps the icon and status (in operation/repair, etc.) information of 'CCTV' to each point on the digital map as shown in FIG. 11 and outputs it.

오류 보고 처리부(106)는 데이터관리시스템(120)에 의해 특정 재난안전시설물에 대한 고장이나 수리중 상태가 수집된 경우 상기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포털 사이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뉴스 표시 영역부에 해당 정보를 표출한다. 또한, 오류 보고 처리부(106)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해 특정 지역에 대한 재난안전시설물 조회 요청을 했을 때 오류보고 데이터를 맵핑 처리부(105)에 전달하여 재난안전시설물 아이콘과 함께 '정상' 또는 '수리중'과 같은 상태 정보가 디지털 지도 상에 맵핑되도록 한다.When the failure or repair status of a specific disaster safety facility is collected by the data management system 120 , the error report processing unit 106 displays the information in the news display area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national disaster safety facility portal site. In addition, the error report processing unit 106 transmits the error report data to the mapping processing unit 105 when the user makes a disaster safety facility inquiry request for a specific area using the user terminal to indicate 'normal' or 'along with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icon. Enables status information such as 'under repair' to be mapped on the digital map.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의 처리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processing method of the intelligent national disaster safety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도 12를 참조하면, 지능형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의 처리방법은 재난안전시설물 현황 데이터 수집 과정(단계 S100)과, 정보 조회 요청 수신과정(단계 S120)과, 재난안전시설물 현황 데이터 검색 및 획득 과정(단계 S130)과, 결과 데이터 맵핑 과정(단계 S160)을 포함한다.12, the processing method of the intelligent national disaster safety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s a disaster safety facility status data collection process (step S100), information inquiry request reception process (step S120), and disaster safety facility status data search and acquisition It includes a process (step S130) and a result data mapping process (step S160).

재난안전시설물 현황 데이터 수집 과정(단계 S100)에서는 정해진 구역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재난안전시설물에 대한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데이터관리시스템(120)은 재난안전시설물 DB 서버(110)와 연동하고 다수의 재난안전시설물 인터페이스(130)로부터 재난안전시설물에 대한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안전시설물 현황 데이터를 자동 수집한다. 데이터관리시스템(120)은 수집된 재난안전시설물 현황 데이터를 재난안전시설물 DB 서버(110)에 저장하여 업데이트한다(단계 S110).In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status data collection process (step S100), a process of collecting location information and state information about disaster safety facilities installed in advance in a predetermined area is performed. The data management system 120 interworks with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DB server 110 and automatically collects disaster safety facility status data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state information about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from a plurality of disaster safety facility interfaces 130 . . The data management system 120 stores and updates the collected disaster safety facility status data in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DB server 110 (step S110).

정보 조회 요청 수신 과정(단계 S120)에서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입력되는 특정 주소나 건물명 등에 대한 재난안전시설물 조회 요청을 수신한다.In the information inquiry request receiving process (step S120 ), a disaster safety facility inquiry request for a specific address or building name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is received.

재난안전시설물 현황 데이터 검색 및 획득 과정(단계 S130)에서는 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재난안전시설물 DB 서버(110)에서 특정 지역 또는 특정 재난안전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독출하여 맵핑 처리부(105)에 의해 가공될 재난안전시설물의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한다. 여기서, 위치정보는 GPS 좌표, 도로명 주소 또는 지번 주소가 사용되고 상태정보는 정상동작 여부에 대한 리포트 정보가 사용된다.In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status data search and acquisition process (step S130), in response to the inquiry request, information on a specific area or specific disaster safety facility is retrieved from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DB server 110, and information is read out, and the mapping processing unit 105 Acquire data on location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of disaster safety facilities to be processed. Here, as the location information, GPS coordinates, street name addresses, or lot addresses are used, and as the status information, report information on whether normal operation is used is used.

이후, 검색 결과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단계 S140)에서 조회결과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해당 구역에 대해 관심지역설정 처리를 함과 더불어 조회 범위를 좀더 확대하여 입력을 요청하는 팝업 메시지창을 출력한다(단계 S150).Thereaft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search result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search result exists (step S140), a pop-up message window requesting input is displayed by further expanding the search range and processing the area of interest setting for the corresponding area. output (step S150).

결과 데이터 맵핑 과정(단계 S160)에서는 획득한 정보를 해당 지역의 디지털 지도 상에 맵핑하여 소정의 아이콘이나 텍스트 등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에 표출한다. 이때 맵핑 처리는 미설치구역(N)에 대한 그래픽 처리도 함께 수행하여 조회 구역 및 그 인근의 재난안전시설물 분포 현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result data mapping process (step S160), the obtained information is mapped on a digital map of the corresponding area and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in the form of a predetermined icon or text.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pping process also perform graphic processing on the non-installed area (N) to visually display the distribution status of the inquiry area and its vicinity of disaster safety facilities.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재난안전시설물에 대한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안전시설물 현황 데이터를 수집하여 재난안전시설물 DB 서버(110)에 저장하는 절차와,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지역 또는 특정 재난안전시설물에 대한 정보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절차와, 상기 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재난안전시설물 DB 서버(110)에서 특정 지역 또는 특정 재난안전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검색 및 획득하는 절차와, 획득한 정보를 해당 지역의 디지털 지도 상에 맵핑하여 사용자 단말에 표출하는 절차를 컴퓨터상에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예컨대, 자기기록매체, CD롬, 플래쉬 메모리 등)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dure for collecting disaster safety facility status data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for disaster safety facilities and storing them in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DB server 110, and a specific area or A procedure for receiving an information inquiry request for a specific disaster safety facility, a procedure for searching and obtaining information on a specific area or a specific disaster safety facility from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DB server 110 in response to the inquiry request, and acquisition A recording medium (eg,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 CD-ROM, a flash memory, etc.) recording a program capable of executing a procedure of mapping one piece of information on a digital map of the area and displaying it on a user terminal is provided on a comput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원화된 재난안전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하여 특정 지역 또는 전국에 산재해 있는 다수의 재난안전시설물들을 효율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또한, PC나 스마트폰 등 사용자 단말을 이용해 특정 지역의 재난안전시설물을 조회하여 재난안전시설물의 설치 현황을 디지털 지도상에서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재난 발생지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재난안전시설물을 신속히 파악하여 피해복구에 활용할 수 있고, 재난안전시설물들을 원격으로 사전 점검하여 위험요인을 조기에 발견하고 필요한 안전 조치를 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integrate and manage a plurality of disaster safety facilities scattered throughout a specific region or the whole country through a unified disaster safety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n addition, by using a user terminal such as a PC or smartphone to inquire about disaster safety facilities in a specific area, the installation status of disaster safety facilities can be intuitively checked on the digital map, so it is possible to quickly identify the disaster safety facilities closest to the disaster site. It can be used for damage recovery, and it has a remarkable effect of remotely inspecting disaster safety facilities in advance to detect risk factors early and take necessary safety measures.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In the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100: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포털관리시스템
101: 재난안전 통합 UI 처리부
102: 재난안전시설물 고유식별정보 관리부
103: 재난안전시설물 조회수신부
104: 재난안전시설물 검색부
105: 맵핑 처리부
106: 오류 보고 처리부
107: 자연재난안전시설물 DB
108: 사회재난안전시설물 DB
109: 생활안전시설물 DB
110: 재난안전시설물 DB 서버
120: 데이터관리시스템
130: 재난안전시설물 인터페이스
100: National disaster safety facility portal management system
101: Disaster safety integrated UI processing unit
102: Disaster safety facility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partment
103: Disaster safety facility inquiry and reception unit
104: Disaster safety facility search unit
105: mapping processing unit
106: error report processing unit
107: Natural disaster safety facility DB
108: Social disaster safety facility DB
109: Life safety facility DB
110: disaster safety facility DB server
120: data management system
130: disaster safety facility interface

Claims (16)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구역의 재난안전시설물에 대한 정보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재난안전시설물 조회수신부;
상기 정보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재난안전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검색 및 획득하는 재난안전시설물 검색부;
획득한 정보를 해당 지역의 디지털 지도 상에 맵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출하는 맵핑 처리부;
상기 재난안전시설물 검색부와 연동하고 자연재난안전시설물, 사회재난안전시설물 및 생활안전시설물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난안전시설물에 대한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안전시설물 현황 데이터를 저장하는 재난안전시설물 DB 서버; 및
상기 정보조회 요청이 있었으나 검색 결과가 없는 구역에 대하여 관심지역설정을 하여 미설치구역 DB에 저장했다가 재난안전시설물 설치 계획 수립 시 반영하는 미설치구역 정보 업데이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
Disaster safety facility inquiry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 information inquiry request for disaster safety facilities in a specific area from the user terminal;
a disaster safety facility search unit for searching and obtaining information on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in response to the information inquiry request;
a mapping processing unit for mapping the obtained information on a digital map of the corresponding area and displaying it on the user terminal;
Disaster that works with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search unit and stores disaster safety facility status data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disaster safety facility selected from natural disaster safety facilities, social disaster safety facilities, and living safety facilities Safety facility DB server; and
Intelligent national disaster comprising a; an area of interest for an area for which there is a request for information inquiry but no search results, stored in the uninstalled area DB, and reflected when establishing a disaster safety facility installation plan; Safety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GPS 좌표, 도로명 주소 또는 지번 주소이고,
상기 상태정보는 정상동작 여부에 대한 리포트 정보이고,
상기 맵핑 처리부는 상기 관심지역설정이 된 미설치구역에 대해 정해진 색상으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location information is GPS coordinates, street name address or lot address,
The status information is report information on whether a normal operation is performed,
The intelligent national disaster safety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mapping processing unit performs graphic processing with a predetermined color for the non-installed area in which the area of interest has been set.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재난안전시설물마다 고유식별정보를 부여하여 관리하는 재난안전시설물 고유식별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지능형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An intelligent national disaster safety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urther comprising a; a disaster safety facility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assigns and manage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disaster safety facil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안전시설물 DB 서버는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포털관리시스템에 중앙집중형으로 구축되어 있거나,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분산형으로 구축되어 있고,
상기 재난안전시설물 DB 서버와 연동하는 데이터관리시스템에 의해 상기 재난안전시설물에 대한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안전시설물 현황 데이터가 자동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DB server is centrally built in the national disaster safety facility portal management system, or is built in a distributed way for each local government,
An intelligent national disaster safety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status data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state information about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is automatically collected by the data management system interworking with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DB serv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재난안전시설물, 사회재난안전시설물 및 생활안전시설물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메뉴를 표시하고 각 재난안전시설물의 종류별로 주소 입력창을 표시하거나 각 재난안전시설물마다 부여된 고유식별정보의 입력을 유도하는 고유식별정보 입력창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재난안전 통합 UI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지능형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Display a selection menu for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natural disaster safety facility, social disaster safety facility, and life safety facility, and display an address input window for each type of disaster safety facility, or display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iven to each disaster safety facility. A disaster safety integrated UI processing unit that provides a user interface that displays a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window for inducing input to the user terminal; an intelligent national disaster safety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urther comprising a.
(a) 정해진 구역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재난안전시설물에 대한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안전시설물 현황 데이터를 수집하여 재난안전시설물 DB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b)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구역의 재난안전시설물에 대한 정보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정보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재난안전시설물 DB 서버에서 상기 재난안전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검색 및 획득하는 단계; 및
(d) 획득한 정보를 해당 지역의 디지털 지도 상에 맵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난안전시설물은 소화전, 터널/지하차도 진입차단기, 전광판, 클린로드/염수분사시스템 제어밸브 및 노즐, 수위계, 풍향계, 재난방송/경보기 및 CCTV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각 재난안전시설물의 종류별로 주소 입력창을 표시하거나, 각 재난안전시설물마다 부여된 고유식별정보의 입력을 유도하는 고유식별정보 입력창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탑재하고,
상기 단계 (c)는,
상기 정보조회 요청이 있었으나 검색 결과가 없는 구역에 대해서는 관심지역설정을 한 후 미설치구역 DB에 저장하는 과정과,
재난안전시설물 설치 계획 수립 시 상기 미설치구역 DB의 데이터를 반영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의 처리방법.
(a) collecting disaster safety facility status data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on disaster safety facilities installed in advance in a predetermined area and storing the data in a disaster safety facility DB server;
(b) receiving an information inquiry request for disaster safety facilities in a specific area from the user terminal;
(c) searching and obtaining information on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from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DB server in response to the information inquiry request; and
(d) mapping the obtained information on a digital map of the corresponding area and displaying it on the user terminal;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fire hydrant, a tunnel/underpass entry breaker, an electric sign, a clean road/salt injection system control valve and nozzle, a water level gauge, a weather vane, a disaster broadcasting/alarm, and a CCTV,
The user terminal is
Equipped with a user interface that displays an address input window for each type of disaster safety facility or displays a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window that induces input of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iven to each disaster safety facility,
The step (c) is,
The process of setting the area of interest for the area where the information inquiry request has been made but there is no search result and then storing it in the DB of the non-installed area;
A processing method of an intelligent national disaster safety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ing a process of reflecting the data of the non-installed area DB when establishing a disaster safety facility installation pla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GPS 좌표, 도로명 주소 또는 지번 주소이고,
상기 상태정보는 정상동작 여부에 대한 리포트 정보이고,
상기 단계 (d)는, 상기 관심지역설정이 된 미설치구역에 대해 정해진 색상으로 그래픽 처리를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의 처리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location information is GPS coordinates, street name address or lot address,
The status information is report information on whether a normal operation is performed,
The step (d), the step of graphic processing with a predetermined color for the non-installed area in which the area of interest has been set; the processing method of the intelligent national disaster safety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재난안전시설물 DB 서버는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포털관리시스템에 중앙집중형으로 구축되어 있거나,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분산형으로 구축되어 있고,
상기 재난안전시설물 DB 서버와 연동하는 데이터관리시스템에 의해 상기 재난안전시설물에 대한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안전시설물 현황 데이터가 자동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의 처리방법.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step (a),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DB server is built in a centralized type in the national disaster safety facility portal management system, or is constructed in a distributed way for each local government,
An intelligent national disaster safety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status data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state information about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is automatically collected by the data management system interlocking with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DB server processing metho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데이터관리시스템은 상기 정해진 구역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재난안전시설물과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재난안전시설물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재난안전시설물 현황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의 처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step (a) comprises:
The data management system is an intelligent national disaster safety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llects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status data from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interface physically connected to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installed in the predetermined area. Way.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재난안전시설물 인터페이스는 그와 연결된 재난안전시설물과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재난안전시설물 현황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의 처리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step (a) comprises: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interface performs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connected thereto to generate the disaster safety facility status data.
제8항, 제12항, 제13항, 제14항 및 제15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처리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processing method of any one of claims 8, 12, 13, 14 and 15 is recorded.
KR1020210043695A 2021-04-03 2021-04-03 Intelligent integrated national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24190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695A KR102419096B1 (en) 2021-04-03 2021-04-03 Intelligent integrated national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695A KR102419096B1 (en) 2021-04-03 2021-04-03 Intelligent integrated national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096B1 true KR102419096B1 (en) 2022-07-07

Family

ID=82399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695A KR102419096B1 (en) 2021-04-03 2021-04-03 Intelligent integrated national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09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418B1 (en) * 2013-12-10 2015-05-12 (주)위니텍 Location Based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KR101763495B1 (en) * 2015-12-31 2017-08-03 한국국토정보공사 Total management system using underground space information
KR102205275B1 (en) 2018-10-25 2021-01-20 주식회사 포드림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disaster safety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418B1 (en) * 2013-12-10 2015-05-12 (주)위니텍 Location Based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KR101763495B1 (en) * 2015-12-31 2017-08-03 한국국토정보공사 Total management system using underground space information
KR102205275B1 (en) 2018-10-25 2021-01-20 주식회사 포드림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disaster safety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7096B1 (en) 3D monitoring server using 3D BIM object model and 3D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it
CN103703458B (en) Create and monitor the method and system of the warning for geographic area
US201402452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and Representing Attributes Related to Damage in a Geographic Area
US113857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vice address assignment in an alarm system using interactive address assignment for faster commissioning
WO2014057835A1 (en) Disaster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disaster information system, management method for disaster information, and program for managing disaster information
CN104778517A (en) Microclimate disaster early warn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microclimate and satellite remote sensing data
KR101724260B1 (en) Location-based scenario setting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disaster safety
KR101876114B1 (en) Terminal, server, system for 3d modeling and 3d model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7861446A (en) A kind of monitoring system and its application method for protecting building
KR20140032205A (en) System and method for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based on mobile
CN103218694A (en) Power emergency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CN103150598A (e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sudden failure of power transmission network
CN114186825A (en) Natural gas inspection planning method
CN110674543B (en) Three-dimensional visual gas-related operation safety control system and implementation method
CN114063546A (en) Method, device and medium for checking working state of equipment
CN107527162B (en) House safety identification system and use method thereof
KR102419096B1 (en) Intelligent integrated national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KR20090131564A (en) System of analyzing weather satellite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KR102454028B1 (en) Intelligent integrated national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2457909B1 (en) Monitoring system for early warning and integration management of disaster
JP5202214B2 (en) Video surveillance and distribution device
JP6679546B2 (en) Regional safety degree evaluation device and regional safety degree evaluation method
CN116106987A (en) Meteorological predictio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05338313A (en) Camera positioning method and device
KR102300807B1 (en) System for generating report by data of fie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