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466B1 - 스마트 부표용 센서 박스 - Google Patents

스마트 부표용 센서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466B1
KR102418466B1 KR1020200107559A KR20200107559A KR102418466B1 KR 102418466 B1 KR102418466 B1 KR 102418466B1 KR 1020200107559 A KR1020200107559 A KR 1020200107559A KR 20200107559 A KR20200107559 A KR 20200107559A KR 102418466 B1 KR102418466 B1 KR 102418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ensor pin
pin
smart buoy
waterproof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6707A (ko
KR102418466B9 (ko
Inventor
황용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든
황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든, 황용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든
Priority to KR1020200107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466B1/ko
Publication of KR20220026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6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466B1/ko
Publication of KR102418466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466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마트 부표용 센서 박스는, 외관을 형성하며 상호 결합되어 내부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수중 환경을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봉이 내부 수용되고, 내부 부력 제어를 통해 해양 속에서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방수 하우징, 해양 수면 상에 부유하며 외부와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 가능한 스마트 부표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하우징에 결합되는 케이블 결합구 및 하나 이상의 센서 핀이 센서 봉과 결합 또는 분리되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가 가능할 수 있도록 센서 핀이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센서 핀 결합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부표용 센서 박스{Sensor box for smart buoy}
본 발명은 스마트 부표용 센서 박스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 부표에 연결되어 해양 환경을 다양한 센서를 통해 모니터링 하기 위한 센서 봉 및 모니터링하기 위한 해양 속에 노출된 센서를 보호하기 위한 센서 박스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하천 또는 해양 환경 보호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자리 잡기 시작하면서 하천 또는 해양의 환경 상태를 파악하고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다양하게 기울여지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 등록특허 10-1313306호에서는 하천 또는 해양 상에 설치되는 부표에 센서 등을 부착하여 측정이 이루어지게 하며, 근접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 및 영상을 분석하여 근접하는 물체를 회피하여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내용을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 10-2051547호에서는 부표 몸체 내에 발생한 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스마트 부표에 연결되어 수중에 배치되는 센서 박스의 방수 기능에 대해서는 별다른 방안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 10-1910469호에서는 기밀을 유지하면서 탈부착 가능한 센서 소켓들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지만, 센서 박스의 기밀성과 센서 소켓의 기밀성에 대한 구조에 대해서는 여전히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13306호 : 부표형 모니터링 로봇 2.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51547호 : IOT 기반 스마트 부표 3.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10469호 : 무선 다층 수중 환경 측정 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 부표 센서 박스의 기밀성을 보증하는 구조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부표 센서 박스의 균형성을 제공하는 구조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부표 센서 박스가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필요에 따라 센서를 선택적으로 갈아 끼울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부표용 센서 박스는, 외관을 형성하며 상호 결합되어 내부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수중 환경을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봉이 내부 수용되고, 내부 부력 제어를 통해 해양 속에서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방수 하우징; 해양 수면 상에 부유하며 외부와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 가능한 스마트 부표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상기 방수 하우징에 결합되는 케이블 결합구; 및 하나 이상의 센서 핀이 상기 센서 봉과 결합 또는 분리되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가 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 핀이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센서 핀 결합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수 하우징은, 상기 센서 봉이 배치되고 외부에서의 수분 및 습기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수 밀봉되고 및 방오 코팅되는 제1 내부 공간; 및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독립되고 상기 방수 하우징의 내부 부력 제어를 위해 물과 공기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주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 내부 공간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내부 공간은, 상기 스마트 부표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에어 호스와 에어 호스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스마트 부표의 제어를 통해 상기 에어 호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내부 공간 내부로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고, 상기 공기의 배출 및 물의 유입 또는 배출을 위해 상기 방수 하우징 외부에 형성된 배출홀을 구비한다.
상기 방수 하우징은 원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방수 하우징은 유선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서 핀 결합구는, 상기 방수 하우징의 외부에서 대칭 형태로 배치되고, 필요에 따라 상기 센서 핀과 밀봉 마개가 선택적으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고, 그 내측이 홀 내부 방향으로 탄성을 가져 상기 센서 핀 또는 상기 밀봉 마개를 밀착시켜 밀봉시킬 수 있는 센서 핀 홀; 을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센서 핀 또는 상기 밀봉 마개의 외피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는 탄성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센서 핀 홀은 입구 직경이 크고 내부로 들어갈수록 직경이 작이지는 구조를 가지며 끝단에서 홀 내부 쪽으로 굽어진 굴곡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 핀 또는 상기 밀봉 마개는 상기 센서 핀 홀의 입구에 대응하는 하단부의 직경은 크고 상기 센서 핀 홀의 내부에 대응하는 상단부의 직경은 커지는 구조를 가지며 외피의 끝단은 상기 굴곡 결합부에 대응하여 밀착되어 밀봉 시키는 구조를 갖는 굴곡 밀착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방수 하우징은 상기 센서 핀 결합부의 주변에서 상기 센서 핀의 길이보다 더 큰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센서 핀 방향으로 굽어져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센서 핀을 보호하기 위한 센서 핀 보호 가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부표용 센서 박스는, 습기 유입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력을 제어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존재하여, 필요 따라 센서 박스의 배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부표용 센서 박스는, 센서 핀의 위치가 대칭적으로 존재하여 세서 박스의 균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부표용 센서 박스는 센서 핀 결합구의 구조적 특징을 통해 기밀성을 유지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센서를 선택적으로 갈아 끼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부표용 센서 박스는 수중의 해수의 흐름이나 외부 물질의 충돌로부터 센서 핀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부표와 센서 박스의 연결과 센서 박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박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박스의 센서 핀 결합구 및 센서 핀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센서 핀 결합구 및 센서 핀의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부표와 센서 박스의 연결과 센서 박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부표용 센서 박스(100)는 스마트 부표(200)에 센서 케이블(102)을 통해 연결된다.
스마트 부표(200)는 해양 수면상에 부유하며 외부와 통신망(LoRa, LTE, 5G 등)을 이용하여 통신가능한 장치이다.
센서 박스(100)는 스마트 부표(2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수중에 배치되어 수심에 따른 다양한 수정 환경 정보를 측정한다. 센서 박스(100)는 밀폐 기능을 갖는 방수 하우징(101)을 포함하고, 방수 하우징(101) 내부에 하나 이상의 센서 봉(103)을 포함한다. 센서 봉(103)은 센서 케이블(102)의 와이어를 통해 수중 환경 정보를 측정하여 스마트 부표(200)로 전송하며, 센서 케이블(102)는 센서 박스(100)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센서 박스(100)로부터의 데이터를 스마트 부표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방수 하우징(101)은 조립을 위해 케이스가 분리될 수 있으며 SUS 볼트(105) 등을 통해 밀폐될 수 있다. 또한 분리된 케이스들의 결합시에 방수 부재를 통해 외부의 공기나 수분 유입을 차단시킨다. 이를 통해 방수 하우징(101)은 센서 박스(100)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호 결합되어 내부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방수 하우징(101)은 내부 부력 제어를 통해 해양 속에서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즉 센서 박스(100)는 센서 케이블(102)의 길이 조절 뿐만 아니라, 방수 하우징(101)의 부력 제어를 통해서도 수중에서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센서 박스(100)에는 센서 케이블(102)이 결합되는 케이블 결합구(106)와 센서 핀(104)이 탈착되는 센서 핀 결합구(107)를 더 포함한다.
케이블 결합구(106)는 스마트 부표와 연결되는 센서 케이블(102)이 연결되는 결합구이며, 케이블 결합구(106)는 케이블 그랜드를 이용하여 센서 케이블(102)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케이블 그랜드는 방수 하우징에 인입 또는 인출선을 시설할 경우 외부와의 공기나 수분 유입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배선 도구이며, 사용을 쉽게 하기 위해서 전선(케이블)을 관통 시키고 조이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재질은 플라스틱이나 금속이 주로 사용된다.
센서 핀 결합구(107)는 하나 이상의 센서 핀(104)이 센서 봉(103)과 결합 또는 분리되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센서 핀이 탈착 가능한 구성이다. 센서 핀(104)은 수온 센서 핀, 수압 센서 핀, 유속 센서 핀 등 다양한 센서 기능을 갖는 핀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박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박스(200)는 도 1에 도시된 예서와 같이 사각형 형태의 박스일 수도 있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이나 유선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센서 박스(200)가 원형이나 잠수함 또는 물고기 형상의 유선형 형상을 갖는다면, 유속의 흐름으로부터 센서 박스(200)가 받는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유속에 따른 저항이 줄어들어 센서 박스(200)나 센서 케이블(102)이 파손되는 위험도 크게 줄어들 수 있다.
도 2의 센서 박스(200)의 방수 하우징(101)은 제1 내부 공간(201) 및 제2 내부 공간(20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내부 공간(201)은 센서 봉(103)이 배치되고 외부에서의 수분 및 습기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수 밀봉되고 방오 코팅된 공간이다. 그리고 제2 내부 공간(202)는 제1 내부 공간(201)과 독립된 별도의 공간이며, 방수 하우징(101)의 내부 부력 제어를 위해 물과 공기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주입 또는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2 내부 공간(202)은 센서 케이블(102)의 센서 와이어(102_a)와 별도로 에어 호스(102_b)를 통해 스마트 부표(200)과 연결되고 스마트 부표(200)의 제어를 통해 스마트 부표(200)로부터 공기가 주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즉, 제2 내부 공간(202)은 에어 호스(102_b)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공기를 주입하거나 흡입하여 그 내부의 일정 부분을 공기압으로 채울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내부 공간(202)에는 방수 하우징(101) 외부에 형성된 배출홀 (203)을 통해 외부의 물이 유입되거나 배출되게 한다. 이를 통해 제2 내부 공간(202)에는 일정 공간이 물이 차지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부표(200)에서 에어 호스(102_b)를 통해 센서 박스(100)의 제2 내부 공간(202)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공기 비율을 증가시키면, 제2 내부 공간(202) 내의 물과 일부 공기는 배출홀(20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센서 박스(100)의 부력은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센서 박스(100)의 높이가 위로 올라가도록 제어될 수 있다. 만일 스마트 부표(200)에서 에어 호스(102_b)를 통해 센서 박스(100)의 제2 내부 공간(202)로부터 공기 또는 공기와 물을 흡입하고, 배출홀(203)을 통해 물이 주입함으로써 공기 비율을 감소시키면, 제2 내부 공간(202) 내의 공기 또는 물과 공기는 에어 호스(102_b)를 통해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되고, 배출홀(203)을 통해 이에 대응되는 물이 주입되어 제2 내부 공간(202)을 채우게 된다. 이에 따라 센서 박스(100)의 부력은 작아지고, 센서 박스(100)의 높이가 아래로 내려가도록 제어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방수 하우징(101)은 센서 핀 보호 가드(204)를 더 포함한다. 센서 핀 보호 가드(204)는 센서 핀 결합부(107)의 주변에서 센서 핀(104)의 길이보다 더 큰 길이로 연장되고, 센서 핀(104) 방향으로 굽어져 형성된 부분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센서 핀 보호 가드(204)는 외부의 물체나 생명체 또는 유속으로부터 센서 핀(104)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센서 핀 결합구(107)은 방수 하우징(101) 외부에서 방사형태로 존재하거나 대칭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 핀 결합구(107)가 방사형이나 대칭 형태로 존재하면, 센서 핀이 결합되어도 센서 박스(100)의 균형이 유지될 수 있고, 부력 제어가 좀 더 용이해 질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박스의 센서 핀 결합구 및 센서 핀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센서 핀 결합구(107)는 필요에 따라 센서 핀(104)과 밀봉 마개(미도시)가 선택적으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고, 그 내측(302)이 홀 내부 방향으로 탄성을 가져 센서 핀(104) 또는 밀봉 마개를 밀착시켜 밀봉시킬 수 있는 센서 핀 홀(301)을 포함한다. 이에 대응하여 센서 핀(104)과 밀봉 마개(미도시)의 외피(304)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는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센서 핀 홀(301)은 그 내측(302)의 구조가 입구 직경이 크고 내부로 들어갈수록 직경이 작이지는 구조를 가지며 아울러 내측(302) 끝단에서 홀 내부 쪽으로 굽어진 굴곡 결합부(303)를 포함한다.
그리고, 센서 핀(104) 또는 밀봉 마개(미도시)의 외피(304)는 센서 핀 홀(301)의 입구에 대응하는 하단부의 직경은 크고 상기 센서 핀 홀의 내부에 대응하는 상단부의 직경은 커지는 구조를 가지며 외피(304)의 끝단은 굴곡 결합부(303)에 대응하여 밀착되어 밀봉 시키는 구조를 갖는 굴곡 밀착부(305)를 포함한다.
센서 핀 홀(301)은 센서 핀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센서 핀 형태의 밀봉 마개(미도시)로 끼워져 센서 박스(100)의 방수를 유지한다.
도 4는 도 3의 센서 핀 결합구 및 센서 핀의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센서 핀 결합구(107)에 센서 핀(104)이 삽입되면, 센서 핀 홀(301)의 내측(302)은 탄성에 의해 센서 핀(104)쪽으로 밀어내고, 센서 핀(104)의 외피(304)는 탄성에 의해 센서 핀 홀(301)의 내측(302) 방향으로 밀어내게 되어 탁월한 밀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센서 핀 홀(301)은 입구 직경이 크고 내부로 들어갈수록 직경이 작이지는 구조를 가지며, 센서 핀(104) (또는 밀봉 마개)는 센서 핀 홀의 입구에 대응하는 하단부의 직경은 크고 센서 핀 홀의 내부에 대응하는 상단부의 직경은 커지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센서 핀(104)이 센서 핀 홀(301)에 끼워지면, 내부 쪽으로 갈수록 더욱 밀착하여 수분이나 공기가 들어갈 수 없는 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에서 홀 내부 쪽으로 굽어진 굴곡 결합부(303)와 이에 대응되는 굴곡 밀착부(305)가 그 끝단에서 밀착되어 외부 수압의 방향을 틀어지게 하는 기능을 하여 방수 효과를 높이고 아울러 센서 핀(104)이 센서 핀 결합구(107)에 과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굴곡 결합부(303) 및 굴곡 밀착부(305) 추가적으로 고리 결합으로 결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부표용 센서 박스는, 습기 유입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력을 제어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존재하여, 필요 따라 센서 박스의 배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센서 핀의 위치가 대칭적으로 존재하여 세서 박스의 균형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 핀 결합구의 구조적 특징을 통해 기밀성을 유지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센서를 선택적으로 갈아 끼울 수 있고, 수중의 해수의 흐름이나 외부 물질의 충돌로부터 센서 핀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외관을 형성하며 상호 결합되어 내부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수중 환경을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봉이 내부 수용되고, 내부 부력 제어를 통해 해양 속에서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방수 하우징;
    해양 수면 상에 부유하며 외부와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 가능한 스마트 부표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상기 방수 하우징에 결합되는 케이블 결합구; 및
    하나 이상의 센서 핀이 상기 센서 봉과 결합 또는 분리되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가 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 핀이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센서 핀 결합구;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핀 결합구는
    상기 방수 하우징의 외부에서 대칭 형태로 배치되고,
    필요에 따라 상기 센서 핀과 밀봉 마개가 선택적으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고, 그 내측이 홀 내부 방향으로 탄성을 가져 상기 센서 핀 또는 상기 밀봉 마개를 밀착시켜 밀봉시킬 수 있는 센서 핀 홀;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부표용 센서 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하우징은,
    상기 센서 봉이 배치되고 외부에서의 수분 및 습기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수 밀봉되고 및 방오 코팅되는 제1 내부 공간; 및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독립되고 상기 방수 하우징의 내부 부력 제어를 위해 물과 공기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주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부표용 센서 박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부 공간은,
    상기 스마트 부표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에어 호스와 에어 호스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스마트 부표의 제어를 통해 상기 에어 호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내부 공간 내부로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고,
    상기 공기의 배출 및 물의 유입 또는 배출을 위해 상기 방수 하우징 외부에 형성된 배출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부표용 센서 박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하우징은 원형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부표용 센서 박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하우징은 유선형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부표용 센서 박스.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핀 또는 상기 밀봉 마개의 외피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는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부표용 센서 박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핀 홀은 입구 직경이 크고 내부로 들어갈수록 직경이 작이지는 구조를 가지며 끝단에서 홀 내부 쪽으로 굽어진 굴곡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 핀 또는 상기 밀봉 마개는 상기 센서 핀 홀의 입구에 대응하는 하단부의 직경은 크고 상기 센서 핀 홀의 내부에 대응하는 상단부의 직경은 커지는 구조를 가지며 외피의 끝단은 상기 굴곡 결합부에 대응하여 밀착되어 밀봉 시키는 구조를 갖는 굴곡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부표용 센서 박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하우징은 상기 센서 핀 결합부의 주변에서 상기 센서 핀의 길이보다 더 큰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센서 핀 방향으로 굽어져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센서 핀을 보호하기 위한 센서 핀 보호 가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부표용 센서 박스.
KR1020200107559A 2020-08-26 2020-08-26 스마트 부표용 센서 박스 KR102418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559A KR102418466B1 (ko) 2020-08-26 2020-08-26 스마트 부표용 센서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559A KR102418466B1 (ko) 2020-08-26 2020-08-26 스마트 부표용 센서 박스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707A KR20220026707A (ko) 2022-03-07
KR102418466B1 true KR102418466B1 (ko) 2022-07-14
KR102418466B9 KR102418466B9 (ko) 2022-09-30

Family

ID=80817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559A KR102418466B1 (ko) 2020-08-26 2020-08-26 스마트 부표용 센서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4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89813B (zh) * 2022-03-28 2023-09-26 中国农业大学 水质监测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96418A (ja) * 2013-11-13 2015-05-21 テレディン インストゥルメンツ インクTeledyne Instruments Inc. 可変浮力プロファイリングフロート
KR101604474B1 (ko) * 2015-06-15 2016-03-1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자율 이동형 부이
KR101910469B1 (ko) * 2017-12-07 2018-10-2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무선 다층 수중 환경 측정장치
KR101956858B1 (ko) * 2018-09-07 2019-03-11 한국스마트에너지기술 주식회사 다수의 압력센서와 레벨센서 기반의 위치 보정 기능을 구비한 부유식 수상 태양광 발전용 계류장치
CN110422281A (zh) * 2019-07-26 2019-11-08 山东蓝海可燃冰勘探开发研究院有限公司 海洋物联网智能浮标、水面或水下目标探测系统及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306B1 (ko) 2011-09-02 2013-09-30 (주)컨벡스 부표형 모니터링 로봇
KR102051547B1 (ko) 2019-08-30 2020-01-08 주식회사 코바코 Iot 기반 스마트 부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96418A (ja) * 2013-11-13 2015-05-21 テレディン インストゥルメンツ インクTeledyne Instruments Inc. 可変浮力プロファイリングフロート
KR101604474B1 (ko) * 2015-06-15 2016-03-1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자율 이동형 부이
KR101910469B1 (ko) * 2017-12-07 2018-10-2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무선 다층 수중 환경 측정장치
KR101956858B1 (ko) * 2018-09-07 2019-03-11 한국스마트에너지기술 주식회사 다수의 압력센서와 레벨센서 기반의 위치 보정 기능을 구비한 부유식 수상 태양광 발전용 계류장치
CN110422281A (zh) * 2019-07-26 2019-11-08 山东蓝海可燃冰勘探开发研究院有限公司 海洋物联网智能浮标、水面或水下目标探测系统及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707A (ko) 2022-03-07
KR102418466B9 (ko) 2022-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5833B1 (en) Cleaning device for marine seismic streamers
KR102418466B1 (ko) 스마트 부표용 센서 박스
KR102051547B1 (ko) Iot 기반 스마트 부표
ES2784860T3 (es) Velocímetro electromagnético de barco mejorado provisto de electrodos desmontables
JP6384619B2 (ja) センサ
BRPI0821888B1 (pt) Dispositivo de controle para controlar a posição de um cabo instrumentalizado rebocado na água
US9715029B2 (en) Electric field sensor for underwater
KR102302347B1 (ko) 부력 센싱 부표
CN106965905A (zh) 海洋声学测量浮标系统
US6034923A (en) Seismic sensor pod
CN108732632B (zh) 海洋电磁法电场传感器电极壳体结构
CN110501112A (zh) 配置为阻止液体渗透的潜水式换能器
US10788350B2 (en) Submersible level sensing with transducer and jacketed cable
KR101930999B1 (ko) 가스발생기와 메탈블레더를 이용한 비상용 메탈블레더 장치
US6483775B1 (en) Bird communications system in a marine seismic cable
US20040139969A1 (en) Snorkel splash protector
CN111595473A (zh) 一种高透水性海洋温度传感器保护端盖
CN108859742B (zh) 用于车辆的燃料存储组件
KR101796153B1 (ko) 조류 센서
CN107660302A (zh) 用于船舶的船体装配电子设备
US20150333436A1 (en) Water Impermeable Electrical Junction System
CN209927349U (zh) 用于电子器件的保护壳以及压力传感器
CN210350179U (zh) 一种扁平转向水密连接器
US9878764B2 (en) System to prevent water from entering a snorkel breather tube
KR102437952B1 (ko) 압력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