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428B1 -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428B1
KR102418428B1 KR1020150122025A KR20150122025A KR102418428B1 KR 102418428 B1 KR102418428 B1 KR 102418428B1 KR 1020150122025 A KR1020150122025 A KR 1020150122025A KR 20150122025 A KR20150122025 A KR 20150122025A KR 102418428 B1 KR102418428 B1 KR 102418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ayer material
heat exchange
fluidized bed
power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5509A (ko
Inventor
김동원
이종민
박경일
이태희
Original Assignee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2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428B1/ko
Publication of KR20170025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5/00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K25/08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vapours
    • F01K25/10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vapours the vapours being cold, e.g. ammonia, carbon dioxide, ether
    • F01K25/103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5/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devices driven thereby
    • F01D15/10Adaptations for driving, or combinations with, electric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1/00Plants characterised by the engines being structurally combined with boilers or condensers
    • F01K11/02Plants characterised by the engines being structurally combined with boilers or condensers the engines being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7/00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 F01K7/32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the engines using steam of critical or overcritical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1/00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 F22B31/0007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with combustion in a fluidized b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1/00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 F22B31/0007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with combustion in a fluidized bed
    • F22B31/0076Controlling processes for fluidized bed boilers not related to a particula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08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otherwise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luidized-Bed Combustion And Resonant Combustion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Abstract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는, 유동층 보일러에 구비되어, 층물질로 작동유체를 가열하는 열교환부와, 열교환부와 연결되며, 열교환부에서 가열된 작동유체의 팽창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터빈부와, 터빈부에 연결되며, 터빈부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부와, 터빈부와 연결되며, 터빈부에서 배출된 작동유체를 압축하여 열교환부에 전달하는 압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GENERATING APPARATUS USING FLUIDZED BED BOILER}
본 발명은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층물질을 이용하여 발전을 수행할 수 있는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발전 기술은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를 작동유체로 사용하여 기존 증기 또는 가스를 이용한 발전 대비 발전효율을 향상시키고, 장치의 모듈화를 가능하게 하는 고효율 소형화 전력생산 기술이다.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는 액체 상태의 밀도에 기체 상태의 점성을 가지고 있어서 장치의 소형화, 압축 및 순환에 필요한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임계점이 물의 임계점보다 매우 낮아서 (물: 373.95℃, 217.7 기압 ↔ 이산화탄소: 31.04℃, 72.8 기압) 작동유체를 다루기 용이하다.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 기술은 열원의 종류나 그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이 되고 있으며, 발전 용량조절이 가능한 재압축 사이클(recompression cycle)이 각광받고 있다.
또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발전은 발전 효율향상 부분 이외에도 기존의 발전시스템에 비해 소형으로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이산화탄소 전용터빈, PCHE 내부 열교환기(recuperator), precooler 등은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특성을 활용하여 특화된 장치로 설계되어, 그 부피가 기존 발전시스템에 비해 현저히 작기 때문에 부지확보와 같은 발전시스템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발전 및 열공급설비에 열교환부를 장착하는 경우,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배가스의 열교환은 물/증기와 배가스 열교환에 비해 열전달계수가 낮아 열교환기의 설계변경 및 개조가 필요하며, Top 사이클의 영향으로 작동유체에 흡수되는 열흡수량이 변동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 기술은 등록특허공보 제10-1412693호(2014.06.20 등록, 발명의 명칭: 두 개의 역방향 회전자 발전기를 갖는 초임계 브레이튼 사이클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동층 보일러의 층물질을 열원으로 하고,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가열하여 발전 효율을 증대시키며, 출력의 조절이 가능한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는: 유동층 보일러에 구비되어, 층물질로 작동유체를 가열하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부와 연결되며, 상기 열교환부에서 가열된 작동유체의 팽창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터빈부; 상기 터빈부에 연결되며, 상기 터빈부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부; 및 상기 터빈부와 연결되며, 상기 터빈부에서 배출된 작동유체를 압축하여 상기 열교환부에 전달하는 압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작동유체는 초임계 이산화탄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층물질이 공급되는 공급관과, 상기 층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관이 구비되며, 상기 층물질이 수용되는 층물질수용부; 양단부가 각각 상기 압축부와 상기 터빈부에 연결되어, 상기 압축부로부터 공급받은 작동유체를 상기 터빈부로 전달하며, 상기 층물질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층물질에 의하여 가열되는 열교환파이프; 및 상기 층물질수용부 및 상기 배출관과 연통되고, 상기 배출관을 통하여 상기 층물질이 배출되는 위치 또는 양을 조절하여, 상기 층물질수용부에 수용된 층물질의 높이를 조절하는 층물질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유동층 보일러의 기포유동층 열교환기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열교환파이프는, 양단부가 상기 압축부 및 상기 터빈부에 연결되며, 상기 작동유체가 내측으로 이동되는 내측관; 및 상기 내측관을 이격되게 둘러싸며, 상기 내측관과의 사이로 증기가 이동되는외측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측관 또는 상기 외측관에는 복수 개의 돌출핀이 돌출 형성되어, 작동유체 또는 증기와의 열전달 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층물질높이조절부는, 상기 층물질수용부의 내측과 상기 배출관을 연통시키며, 높이를 달리하여 복수 개 구비되는 높이조절부; 및 상기 높이조절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높이조절부에 유동화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층물질이 상기 높이조절부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유동화공기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층물질수용부와 연통되어, 상기 층물질수용부로부터 상기 층물질이 유입되는 층물질유입부; 상기 층물질유입부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유동화공기공급부에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층물질유입부에 유동화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공기유입부; 및 상기 층물질유입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과 연통되어 상기 층물질의 이동을 안내하는 조절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동화공기공급부는, 압축공기가 수용되는 압축공기저장부; 상기 압축공기저장부와 상기 높이조절부를 연결하여 유동화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며, 조절밸브에 의하여 유동화 공기의 이동이 단속되는 유체연결관; 및 상기 압축공기저장부에 유체를 공급하는 송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는 유동층 보일러의 열전달계수가 상대적으로 큰 층물질을 이용하여 작동유체를 가열하므로 열교환부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층물질수용부에 수용된 층물질의 높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열교환파이프와 층물질의 접촉 면적, 또는 층물질과의 접촉 시간, 층물질이 열교환부에 체류하는 시간 등을 조절하여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발전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발전량을 유동층 보일러 등의 작동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에서 열교환부가 유동층 보일러의 기포유동층 열교환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에서 열교환부가 유동층 보일러의 룹실의 하측에 구비된 기포유동층 열교환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에서 열교환부가 룹실과 별도로 구비된 기포유동층 열교환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열교환부의 측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물질높이조절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에서 열교환파이프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에서 배출관을 통하여 층물질이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에서 최상측 층물질높이조절부를 통하여 층물질이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에서 중간 층물질높이조절부를 통하여 층물질이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에서 최하측 층물질높이조절부를 통하여 층물질이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에서 필요열전달면적과 출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에서 유동화 공기 유속에 따른 층물질 순환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에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발전량을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에서 열교환부가 유동층 보일러의 기포유동층 열교환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1)는 열교환부(100), 터빈부(200), 발전부(300) 및 압축부(400)를 포함하여 유동층 보일러(10) 내부의 층물질(M)을 이용하여 작동유체를 가열하고, 작동유체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한다.
본 실시예에서 작동유체는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예시된다. 초임계 이산화탄소란 임계조건(압력(72.8 기압), 온도(31.04 ℃)) 이상의 압력 및 온도 범위에 해당하는 상태에서의 이산화탄소를 의미하며, 해당 조건에서 이산화탄소는 기체와 액체의 중간 성질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1)는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를 작동유체로 사용하며, 작동유체의 저압부의 온도와 압력이 31.04 ℃, 72.8 기압 이상으로 사이클의 모든 부분에서 초임계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작동유체는 액체 상태의 이산화탄소 밀도에, 기체 상태의 이산화탄소 점성을 가지므로, 작은 압축일을 이용하여 작동유체를 압축시킬 수 있고, 작은 유동저항을 갖는바 발전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에서 열교환부가 유동층 보일러의 룹실의 하측에 구비된 기포유동층 열교환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에서 열교환부가 룹실과 별도로 구비된 기포유동층 열교환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열교환부(100)는 유동층 보일러(10)에 구비되며, 내측에 수용된 층물질(M)과의 열교환을 통하여 작동유체를 가열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열교환부(100)는 유동층 보일러(10)의 기포유동층 열교환기(11)에 수용된, 고온이며 열전달 계수가 상당히 높은(약 300 ~ 400 W/m2K) 층물질(M)(모래, 석탄재 등)을 이용하여 작동유체를 가열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1)는 작동유체를 가열하는 구성인 열교환부(100)의 크기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열교환부(100)가 기포유동층 열교환기(11)에 장착된 경우, 200 MW 급 유동층 보일러(10)의 상측에 장착된 경우 대비 열전달계수가 상승하였다.
구체적으로 top 사이클은 BMCR 부하 조건의 동일한 석탄량(국내무연탄) 및 연소용공기를 사용하였으며,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발전장치의 출력은 20 MW(전체 출력의 10%), 터빈부(200)의 입구 온도 500 ℃, 압축부 입구 및 출력 압력이 20 MPa, 7.7 MPa 일 때로, top 사이클(순환 유동층 보일러)는 In-house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bottom 사이클(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 장치)는 Axcycle 프로그램을 이용한 결과 주요 값은 아래와 같다.
열교환부 위치 열전달계수(W/m2K) 열전달면적(m2) 열교환기 번들 부피(m3)
백패스 67.40 2988.7 188.1
기포유동층 열교환기 374.65 537.7 9.9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포유동층 열교환기(11)에 열교환부(100)를 설치한 경우 백패스(14)에 장착한 경우 대비, 열교환부(100) 부피를 대략 20배 가까이 줄일 수 있다.
또한 200 MW 급 상용 유동층 보일러에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 장치를 적용한 경우 효율 및 발전량 변화는 아래의 표 2와 같다.
플랜트 구성 플랜트 효율(%) 발전량(MW)
200 MW 유동층 발전소 단독 37.28 200
20 MW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 + 200 MW 유동층 발전소 38.24 205.2
표 2를 참조하면,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압축기 입출구 압력을 각각 20 MPa, 7.7 MPa로 설정한 경우 전체 플랜트 발전 효율이 약 1 % 높아지고, 동일한 석탄 사용시 발전량도 약 5 %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열교환부의 측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물질높이조절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또한, 본 실시예에서 열교환부(100)는 유동층 보일러(10)의 구성으로 예시되어 작동유체를 가열하므로 추가 구성 없이 초임계 이산화탄소인 작동유체를 이용한 발전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열교환부(100)는 층물질수용부(110), 열교환파이프(130) 및 층물질높이조절부(150)를 포함한다.
층물질수용부(110)는 층물질(M)이 공급되는 공급관(111)과, 층물질(M)이 배출되는 배출관(113)이 연결되며, 공급관(111)으로부터 공급되는 층물질(M)이 내측으로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층물질수용부(110)는 사이클론 등에서 포집된 고온의 층물질(M)에 의한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측면에 내화물이 적용될 수 있다.
열교환파이프(130)는 양단부가 각각 압축부(400)와 터빈부(200)에 연결되어 압축부(400)로부터 공급받은 작동유체를 터빈부(200)로 전달하며, 층물질수용부(110)에 수용된 층물질(M)에 의하여 가열된다.
본 실시예에서 열교환파이프(130)는 내측으로 작동유체가 이동하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작동유체의 이동을 안내하며, 층물질(M)과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지그재그 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열교환파이프(130)는 양단부가 각각 압축부(400) 및 터빈부(200)와 연결되어 압축부(400)에서 압축된 작동유체를 터빈부(200)로 전달한다. 압축부(400)와 연결된 부위는 연장 형성되어 층물질수용부(110)의 하측으로 진입하며, 지그재그 형상으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층물질수용부(110)의 상측에서 층물질수용부(11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터빈부(200)에 연결, 가열된 작동유체를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층물질(M)로부터 열교환파이프(130)로의 열전달량은 다음의 수학식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5083935749-pat00001
Figure 112015083935749-pat00002
Figure 112015083935749-pat00003
Figure 112015083935749-pat00004
Figure 112015083935749-pat00005
여기서, Qexchanger : 열교환부의 열전달량
U: 통합열전달계수(W / m2K)
A: 열전달면적(m2)
△T: 온도차(K)(층물질 및 작동유체의 온도차)
hi : 열교환파이프 내(內) CO₂ 열전달계수(W/m2K)
ho : 열교환파이프 外 층물질 열전달계수(W/m2K)
NuD : 열교환파이프 내(內) Nusselt수(-)
k : 열전도율(W/mK)
Di : 열교환파이프 내경(m)
Do??: 열교환파이프 외경(m)
ε : 층물질 공극률(-)
ρs, ρg, μg : 고체입자밀도, 기체밀도, 기체점도
ReD??: 열교환파이프 내(內) 유체 Reynolds수(-)
Pr : Prandtl 수(-)
m·CO2 : 튜브 내 CO₂유량(kg/s)
즉 열교환부(100)의 열전달량은 온도차와 열전달면적(A)에 비례하며 수학식 2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5083935749-pat00006
본 실시예에서 열교환부(100)는 열전달면적, 즉 층물질(M)과 열교환파이프(130)의 접촉면적을 조절하여 열교환부(100)의 열전달량을 조절함으로써 유동층 보일러(10)와 독립적으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유동층 보일러(10)의 출력 변화가 없는 경우에도 열교환부(100)에 의하여 작동유체에 전달되는 열전달량을 조절함으로써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발전량을 조절할 수 있는바, 발전장치의 활용성,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열교환파이프(130)는 내측관(131)과, 내측관(131)을 이격되게 둘러싸는 외측관(133)을 포함하는 이중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내측관(131)으로는 초임계 이산화탄소가 이동되고, 외측관(133)과 내측관(131) 사이로는 증기가 흐르도록 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1)는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발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증기를 이용하여 열교환파이프(130)의 열을 배출함으로써 열교환파이프(130)의 과열을 방지하고, 층물질(M)의 온도 불균형을 방지할 수 있다.
열교환파이프(130)와 작동유체 또는 증기와의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내측관(131) 또는 외측관(133)에는 복수의 돌출핀(135)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측관(131)에는 복수의 돌출핀(135)이 형성되고, 외측관(133)에는 복수의 돌출핀(135)이 형성된다.
층물질높이조절부(150)는 층물질수용부(110) 및 배출관(113)과 연통되고, 층물질수용부(110)로부터 층물질(M)이 배출되는 위치 또는 양을 조절하여 층물질수용부(110)에 수용된 층물질(M)의 높이를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서 층물질높이조절부(150)는 높이조절부(151) 및 유동화공기공급부(155)를 포함한다.
높이조절부(151)는 층물질수용부(110)의 내측과 배출관(113)을 연통시키며, 위치를 달리하여 복수 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높이조절부(151)는 층물질유입부(152), 공기유입부(153) 및 조절배출부(154)를 포함한다.
층물질유입부(152)는 층물질수용부(110)와 연통되며 층물질수용부(110)로부터 층물질(M)이 유입된다. 공기유입부(153)는 층물질유입부(152)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유동화공기공급부(155)에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층물질유입부(152)에 유동화 공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조절배출부(154)는 층물질유입부(152)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배출관(113)과 연통되어, 유동화 공기에 의하여 유동화된 층물질(M)이 배출관(113)으로 이동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이로써, 층물질유입부(152)에 층물질(M)이 유입된 상태에서 공기유입부(153)를 통하여 소정 양, 속도의 유동화 공기를 공급하면, 층물질(M)이 유동화되면서 조절배출부(154)를 통하여 배출관(113)으로 배출된다.
결국 층물질높이조절부(150)는 유동화 공기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고체로 작용하는 층물질(M)에 의하여 실링되는 반면, 유동화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 층물질(M)이 이동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작동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에서 배출관을 통하여 층물질이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에서 최상측 층물질높이조절부를 통하여 층물질이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에서 중간 층물질높이조절부를 통하여 층물질이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에서 최하측 층물질높이조절부를 통하여 층물질이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층물질높이조절부(150)는 층물질유입부(152)에 수용된 층물질(M)에 유동화 공기가 공급되는 양, 속도 등을 조절하여 층물질수용부(110)의 층물질(M)이 층물질유입부(152) 및 조절배출부(154)를 통하여 배출관(113)으로 전달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층물질수용부(110) 내에 수용된 층물질(M)의 양을 조절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에서 필요열전달면적과 출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 표 1 및 수학식 3을 참조하면, 석탄을 층물질(M)로 하는 200MW 순환유동층 보일러(10) BMCR 운전의 경우, 출력부하에 따른 열전달면적의 변화는 선형적인 관계가 아니며, 제곱에 비례하는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그래프는 층물질(M)의 종류, 층물질수용부(110) 및 열교환파이프(130) 등의 형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바, 실험값 등을 토대로 결정될 수 있다.
출력부하
고체입자온도(℃) 열전달계수 열전달면적
입구 출구
20 MW(100%) 884 670 374.7 A0
15 MW(75%) 884 723 376.4 0.66 A0
10 MW(50%) 884 777 379.4 0.39 A0
6 MW(30%) 884 830 382.5 0.21 A0
표 3에서 불 수 있듯이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발전의 경우 출력부하와 필요한 열전달면적은 선형적인 관계가 아니며, 아래의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난다.
Figure 112015083935749-pat00007
여기서 y = 필요열전달면적(A/A0), x = 출력(W/W0)이며,
A0는 열교환부의 총 열전달면적, W0는 발전시스템 최대출력을 의미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에서 유동화 공기 유속에 따른 층물질 순환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룹실(13)에 공급되는 유동과 공기의 유속 및 연소로(유동층 보일러(10)) 내의 유속에 따라 층물질(M)의 순환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같은 원리로, 높이조절부(151)에 공급되는 유동화공기의 유량에 따라 층물질(M)의 열교환부(100)에 체류하는 시간을 조절하여 열교환부(100) 내부에서 층물질(M)이 열교환파이프(130)에 전달하는 열량을 조절할 수 있다.
유동화공기공급부(155)는 높이조절부(151)에 각각 구비되며, 높이조절부(151)에 유동화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층물질(M)이 높이조절부(151)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동화공기공급부(155)는 압축공기저장부(156), 유체연결관(157) 및 송풍부(159)를 포함한다.
압축공기저장부(156)에는 압축공기가 저장된다. 유체연결관(157)은 압축공기저장부(156)와 높이조절부(151)를 연결하며, 복수 개의 조절밸브(158)를 포함하여 높이조절부(151)에 공급되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한다. 송풍부(159)는 압축공기저장부(156)에 유체를 공급한다.
터빈부(200)는 열교환부(100)와 연결되며, 열교환부(100)에서 가열된 작동유체의 팽창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발전부(300)는 터빈부(200)에 연결되며, 터빈부(20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한다. 압축부(400)는 터빈부(200)와 연결되며, 터빈부(200)에서 배출된 작동유체를 압축하여 열교환부(100)에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압축부(400)는 쿨러(500)에 의하여 냉각된 작동유체를 압축하는 주압축부(410)와 쿨러(500)에 의한 냉각 없이 작동유체를 압축하는 보조압축부(430)로 나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예시되는 작동유체는 압축부(400)에 의하여 고압, 예를 들어 200 기압 이상으로 압축된 압축된 후 열교환파이프(130)를 따라 층물질수용부(110)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층물질수용부(110)의 내측, 특히 층물질수용부(110)의 하측으로 진입한 작동유체는 열교환파이프(130)를 따라 층물질수용부(110)의 내측을 이동하면서 층물질(M)에 의하여 가열된 후 층물질수용부(110)의 상측으로부터 터빈부(200) 측으로 이동된다.
터빈부(200) 측으로 이동된 고온, 고압의 작동유체는 터빈부(200)에서 단열팽창되면서 터빈부(200)의 회전축을 회전시켜, 회전축에 연결된 발전부(300)에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터빈부(200)에서 배출된 복수 개의 재생기(600), 쿨러(500) 등을 거치면서 압축되고 다시 열교환부(100)에 전달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일반 브레이튼 사이클 또는 재압축 사이클의 구성 및 작동원리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에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발전량을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급전지시 등에 의하여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1)의 출력을 조절해야 할 경우, 제어부(170)는 조절밸브(158) 및 송풍부(159)를 제어하여 층물질높이조절부(150)를 제어, 층물질수용부(110)에 수용된 층물질(M)의 높이를 조절, 열교환파이프(130)와 층물질(M)의 층물질높이조절부(150)를 통한 층물질(M)의 높이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1)의 출력을 증대시켜야 할 경우, 제어부(170)는 조절밸브(158)를 제어하여 공기유입부(153)를 통한 유동화공기의 공급을 차단한다. 공기유입부(153)에 유동화 공기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층물질유입부(152)에 유입된 층물질(M)은 고체와 같이 작용하여 층물질유입부(152)를 밀폐하고 유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층물질수용부(110)에 수용된 층물질(M)은 복수 개의 층물질높이조절부(150)를 통한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층물질수용부(110)의 내측으로 계속 적층되며, 결국 배출관(113)을 통하여 배출될 때까지 높이가 증가하게 된다.
층물질수용부(110)에 수용된 층물질(M)의 높이가 증대되면서 결국 열교환파이프(130)에 접촉하는 층물질(M)의 접촉면적이 증대하므로 열교환파이프(130)의 내측을 흐르는 작동유체에 전달되는 열량이 증대한다.
이에 따라 작동유체가 터빈부(200)에 전달하는 에너지 및 발전부(300)에 의하여 발전되는 전력이 증대하게 된다.
반면,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1)의 출력을 감소시켜야 할 경우, 제어부(170)는 조절밸브(158) 및 송풍부(159)를 제어하여 공기유입부(153)를 통한 유동화 공기의 공급을 증대시킨다. 공기유입부(153)를 통하여 유동화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 층물질유입부(152)에 유입된 층물질(M)이 유동화되어 조절배출부(154)를 통하여 배출관(113)으로 배출된다.
제어부(170)는 출력의 감소량 등에 따라 층물질(M)이 배출되는 위치 및 유량 등을 조절하여 층물질수용부(110)의 내측에 수용된 층물질(M)의 높이를 낮추게 되는데, 층물질(M)의 높이가 낮아지면서 결국 열교환파이프(130)와 접촉하는 층물질(M)의 접촉면적이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작동유체가 터빈부(200)에 전달하는 에너지 및 발전부(300)에 의하여 발전되는 전력이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층물질(M)의 높이 제어(S1)는 사용자가 터빈부(200) 입측 설정온도(TD) 또는 발전부(300) 희망 출력(WD)를 입력한 후(S100), 온도계 등의 센서로 터빈부(200) 입측 온도(TP) 또는 발전부(300) 출력(WP)을 측정(S200)을 비교(S300)하여, 설정온도(TD) 보다 측정온도(TP)가 낮거나 또는 희망 출력(WD) 보다 측정 출력(WD)가 낮은 경우 제어부(170)가 층물질높이조절부(150)를 제어하여 층물질(M)의 높이를 높이거나(S430) 낮추는(S410) 방식으로 자동 조절(S400) 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1)는 열전달계수가 상대적으로 큰 층물질(M)을 이용하여 작동유체를 가열하므로 열교환부(100)의 크기 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1)는 층물질수용부(110)에 수용된 층물질(M)의 높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열교환파이프(130)와 층물질(M)의 접촉 면적, 또는 층물질수용부(110)에 층물질(M)이 체류하는 시간 등을 조절하여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발전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1)는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발전량을 유동층 보일러(10) 등의 작동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
10: 유동층 보일러 11: 기포유동층 열교환기
13: 룹실 14: 백패스
100: 열교환부 110: 층물질수용부
111: 공급관 113: 배출관
130: 열교환파이프 131: 내측관
133: 외측관 135: 돌출핀
150: 층물질높이조절부 151: 높이조절부
152: 층물질유입부 153: 공기유입부
154: 조절배출부 155: 유동화공기공급부
156: 압축공기저장부 157: 유체연결관
158: 조절밸브 159: 송풍부
170: 제어부 200: 터빈부
300: 발전부 400: 압축부
M: 층물질

Claims (9)

  1. 유동층 보일러에 구비되어, 층물질로 작동유체를 가열하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부와 연결되며, 상기 열교환부에서 가열된 작동유체의 팽창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터빈부;
    상기 터빈부에 연결되며, 상기 터빈부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부; 및
    상기 터빈부와 연결되며, 상기 터빈부에서 배출된 작동유체를 압축하여 상기 열교환부에 전달하는 압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층물질이 공급되는 공급관과, 상기 층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관이 구비되며, 상기 층물질이 수용되는 층물질수용부;
    양단부가 각각 상기 압축부와 상기 터빈부에 연결되어, 상기 압축부로부터 공급받은 작동유체를 상기 터빈부로 전달하며, 상기 층물질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층물질에 의하여 가열되는 열교환파이프; 및
    상기 층물질수용부 및 상기 배출관과 연통되고, 상기 배출관을 통하여 상기 층물질이 배출되는 위치 또는 양을 조절하여, 상기 층물질수용부에 수용된 층물질의 높이를 조절하는 층물질높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파이프는,
    양단부가 상기 압축부 및 상기 터빈부에 연결되며, 작동유체가 내측으로 이동되는 내측관; 및
    상기 내측관을 이격되게 둘러싸며, 상기 내측관과의 사이로 증기가 이동되는 외측관;
    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관에는 복수개의 돌출핀이 형성되어, 작동유체 또는 증기와의 열전달 효율을 증대시키고,
    상기 층물질높이조절부는,
    상기 층물질수용부의 내측과 상기 배출관을 연통시키며, 높이를 달리하여 복수 개 구비되는 높이조절부; 및
    상기 높이조절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높이조절부에 유동화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층물질이 상기 높이조절부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유동화공기공급부;
    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층물질수용부와 연통되어, 상기 층물질수용부로부터 상기 층물질이 유입되는 층물질유입부;
    상기 층물질유입부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유동화공기공급부에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층물질유입부에 유동화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공기유입부; 및
    상기 층물질유입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과 연통되어 상기 층물질의 이동을 안내하는 조절배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화공기공급부는,
    압축공기가 수용되는 압축공기저장부;
    상기 압축공기저장부와 상기 높이조절부를 연결하여 유동화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며, 조절밸브에 의하여 유동화 공기의 이동이 단속되는 유체연결관; 및
    상기 압축공기저장부에 유체를 공급하는 송풍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조절밸브 및 상기 송풍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층물질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층물질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작동유체는 초임계 이산화탄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유동층 보일러의 기포유동층 열교환기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50122025A 2015-08-28 2015-08-28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 KR102418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025A KR102418428B1 (ko) 2015-08-28 2015-08-28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025A KR102418428B1 (ko) 2015-08-28 2015-08-28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509A KR20170025509A (ko) 2017-03-08
KR102418428B1 true KR102418428B1 (ko) 2022-07-07

Family

ID=58403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025A KR102418428B1 (ko) 2015-08-28 2015-08-28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4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926B1 (ko) * 2017-10-20 2019-05-28 한국전력공사 유동층 보일러용 연료의 연소평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료의 연소평가방법
CN107906498B (zh) * 2017-10-25 2018-12-14 东南大学 超临界二氧化碳循环流化床燃煤锅炉及其驱动的发电系统
CN115127378A (zh) * 2021-03-25 2022-09-30 清华大学 颗粒/超临界二氧化碳换热实验系统和发电实验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2179A (ja) * 2012-09-06 2014-03-20 Alstom Technology Ltd 高圧酸素燃焼方式の発電ボイラおよび発電プラント、ならびにその動作方法
KR101492731B1 (ko) * 2013-09-23 2015-02-12 한국전력공사 유동층 보일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065308L (fi) * 2006-05-10 2007-11-11 Foster Wheeler Energia Oy Kiertopetikattilan leijupetilämmönvaihdin ja kiertopetikattilan, jossa on leijupetilämmönvaihdin
KR20110057473A (ko) * 2009-11-24 2011-06-01 주식회사비에스금속 이중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2179A (ja) * 2012-09-06 2014-03-20 Alstom Technology Ltd 高圧酸素燃焼方式の発電ボイラおよび発電プラント、ならびにその動作方法
KR101492731B1 (ko) * 2013-09-23 2015-02-12 한국전력공사 유동층 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509A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09216B2 (ja) 圧力降下ステーションのため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418428B1 (ko) 유동층 보일러를 이용한 발전장치
ES2950634T3 (es) Sistema de calor y potencia combinados y procedimiento de funcionamiento
KR20110121110A (ko) 혼합 가스를 이용한 임계점 이동을 통한 초임계 브레이튼 사이클의 효율 향상 시스템
CN107407208A (zh) 适用于发电系统和方法的控制系统和方法
JP6913044B2 (ja) 圧縮空気貯蔵発電装置
JPWO2019097932A1 (ja) 蓄エネルギー装置
CN107120642A (zh) 一种超临界二氧化碳循环流化床锅炉加热系统及加热方法
CN101839477B (zh) 一种复合炉型的循环流化床锅炉
KR101492731B1 (ko) 유동층 보일러
EP3308090B1 (en) Heat exchange system with a joint active fluid motion device for the charging mode and for the discharging mode and method for exchanging heat by using the heat exchange system
CN108709177B (zh) 一种药物熏洗治疗功能环路热管蒸汽发生器
CN107906498B (zh) 超临界二氧化碳循环流化床燃煤锅炉及其驱动的发电系统
CN102213158B (zh) 压缩式排气自身冷却系统
CN205262231U (zh) 一种利用回转窑低温余热的发电系统
CN104726121B (zh) 用于高湿度装炉炼焦煤调湿工艺的装置
CN107202421A (zh) 一种具有减震功能的便移式空气源热水器
Steiner et al. Fluidized bed particle heat exchanger for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power cycles
JP2008096087A (ja) 蒸気ボイラ装置
JP5760303B2 (ja) 熱供給システム
KR20160069659A (ko) 초임계유체 저장부를 포함하는 초임계유체 발전시스템
CN207599686U (zh) 一种超临界co2循环流化床锅炉装置
JP4246742B2 (ja) 給湯装置
CN208821725U (zh) 烘丝机系统导热油快速升降温的设备
JP5804748B2 (ja) 蒸気送気システム及び蒸気送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