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129B1 - 엔진의 백업 오일 과열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엔진의 백업 오일 과열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129B1
KR102418129B1 KR1020170174135A KR20170174135A KR102418129B1 KR 102418129 B1 KR102418129 B1 KR 102418129B1 KR 1020170174135 A KR1020170174135 A KR 1020170174135A KR 20170174135 A KR20170174135 A KR 20170174135A KR 102418129 B1 KR102418129 B1 KR 102418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up oil
oil
engine
backup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4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2949A (ko
Inventor
김용희
임주호
이상재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4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129B1/ko
Publication of KR20190072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4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relating to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02Control of components of the fuel supply system
    • F02D19/0605Control of components of the fuel supply system to adjust the fuel pressure or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26Measuring or estimating parameters related to the fuel supply system
    • F02D19/0634Determining a density, viscosity, composition or concent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63Details on the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D19/0665Tanks, e.g. multiple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63Details on the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D19/0684High pressure fuel injection systems; Details on pumps, rails or the arrangement of valves in the fuel supply and retur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23Valves in the fuel supply and return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47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 F02M37/0052Details on the fuel return circuit; Arrangement of pressure regulators
    • B63B2770/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엔진의 백업 오일 과열 방지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엔진의 백업 오일 과열 방지 장치는, 오일을 저장하는 탱크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탱크 유닛; 상기 탱크 유닛으로부터 엔진까지 연결되어 백업오일이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는 백업오일 환원관; 상기 백업오일 환원관에 설치되어 상기 엔진측으로 상기 백업오일을 공급하는 공급 펌프; 및 상기 공급 펌프의 출구측과 상기 탱크 유닛의 입구측을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탱크 유닛의 출구측과 상기 공급 펌프의 입구측을 연결하며, 상기 공급 펌프의 출구측과 입구측을 순환하는 과열된 상기 백업오일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는 강하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엔진의 백업 오일 과열 방지 장치{BACK UP OIL OVERHEATING PREVENTING APPARATUS OF ENGINE}
본 발명은 백업 오일의 과열로 인한 펌프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엔진의 백업 오일 과열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등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하는 저장탱크가 탑재된 선박에서 주로 사용되는 ME-GI 엔진, DF 엔진, X-DF 엔진 등은, 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가스 모드와, 기존의 디젤 엔진과 같이 연료 오일을 사용하는 오일 모드를 선택하여 운전할 수 있는데, 저장탱크 내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증발가스(BOG; Boil Off Gas)를 처리할 필요가 있으므로, 우선적으로 가스 모드로 운전되고, 증발가스가 부족한 경우에 오일 모드로 운전된다. 이하, 엔진의 연료로 사용되는 천연가스를 연료 가스라고 한다.
연료 가스는 메탄(methane)이 주요 성분으로 폭발 위험이 있으므로, 연료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엔진 시스템을 구성할 때 매우 많은 안전장치가 필요하며, 이러한 안전장치 중 하나라도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연료 가스를 안전하게 엔진으로 공급할 수 없게 되므로, 더이상 엔진의 운전이 불가능한 상태인 엔진 가스 트립(engine gas trip) 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엔진 가스 트립 상태에서도 엔진은 계속 운전되어야 하므로, 엔진 가스 트립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에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에서 연료 오일을 즉시 엔진 공급하도록 한다.
엔진 가스 트립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에 즉시 연료 오일을 엔진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엔진이 가스 모드로 운전하고 있을 때에도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은 오일을 공급 대기 상태로 유지시켜야 하는데, 연료 오일의 소모가 없는 상태이므로 오일은 연료 공급 시스템 내에서 계속 순환된다. 이와 같이 연료 오일 공급 시스템에서 공급 대기 상태로 순환하는 오일이 백업 오일이다.
백업 오일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공개특허 제10-2014-0063998호의 "선박용 저유황 해양가스오일의 연료유 변경을 위한 점도정보표시장치"(이하 선행기술)와, 도 3에 도시된 발명을 들 수 있다.
공개특허 제10-2014-0063998호에는, 메인 엔진 또는 발전기 엔진의 인렛에 점도 컨트롤러를 설치하여 냉각기로부터 저유황 해양가스 오일의 온도 조절에 따른 점도정보를 인지토록 하고, 점도 컨트롤러로부터 인지된 점도정보들이 분할되도록 두 개의 출력신호로 분리하는 아이솔레이터를 포함하며, 냉각기를 구비하여 온도 조절에 따른 점도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저유황 해양가스오일(LSMGO) 및 해양디젤오일(MDO)이 각각 수용된 엘에스엠지오탱크(11) 및 엠디오탱크(12), 저유황 중연료오일(LSHFO) 및 중연료오일(HF0)을 각각 해당 탱크에 저장하는 엘에스에이치에프오탱크(13) 및 에이치에프오탱크(14), 각 탱크(11, 12, 13, 14)로부터 엔진(40)까지 백업오일이 흐르도록 하는 백업오일 환원관(20), 백업오일 환원관(20)상에 설치되는 공급펌프(30), 공급펌프(30)와 엔진(40)까지 연결되는 백업오일 환원관(20)상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오토필터 및 바이패스필터(60), 연료 유량 확인을 위한 플로우미터(70), 냉각기(80), 순환펌프(90), 및 히터(50)가 개시되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4-0063998호 및 도 3에 도시된 선행기술에서는, 오일 내에 함유된 입자들이 백업오일의 순환 중에 엔진 오일 노즐이나 밸브 등에 침적되지 않도록, 저유황 해양가스오일(LSMGO)를 사용한다. 그런데, 저유황 해양가스오일(LSMGO)는 점도가 낮은 오일이며, 오일 공급 시스템 내를 순환하다가 공급펌프(30) 등으로부터 얻은 마찰열로 인하여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점도는 더욱 낮아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연료 오일 시스템에는 스크류 펌프가 적용되는데, 스크류 펌프를 낮은 점도의 오일로 운전을 하게 되면 스크류가 서로 접촉하면서 과도한 마찰이 일어나 펌프가 파손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출원인은 이러한 펌프의 파손 현상이, 순환펌프(90)가 아닌, 순환조절 밸브(32)가 장착된 바이패스 순환관(31)을 통하여 백업오일이 반복 순환되는 공급펌프(30)가 설치된 구간에서 자주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공급펌프(30)의 파손을 막기 위한 마찰열 저감 대책의 일환으로, 저유황 해양가스오일(LSMGO) 냉각기(이하 미도시)를 별도로 장착하거나, 바이패스 순환관(31)에 도 3의 확대부와 같이 핀 타입 방열기(33)를 설치하는 방안을 강구하였다.
그러나, 저유황 해양가스오일(LSMGO) 냉각기는 고가이며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핀 타입 방열기(33)는 설계 시점에 성능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없고 실제 운전시 방열 효과가 미미하여 백업오일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14-006399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백업 오일의 과열로 인한 펌프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엔진의 백업 오일 과열 방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오일을 저장하는 탱크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탱크 유닛; 상기 탱크 유닛으로부터 엔진까지 연결되어 백업오일이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는 백업오일 환원관; 상기 백업오일 환원관에 설치되어 상기 엔진측으로 상기 백업오일을 공급하는 공급 펌프; 및 상기 공급 펌프의 출구측과 상기 탱크 유닛의 입구측을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탱크 유닛의 출구측과 상기 공급 펌프의 입구측을 연결하며, 상기 공급 펌프의 출구측과 입구측을 순환하는 과열된 상기 백업오일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는 강하 유닛;을 포함하는, 엔진의 백업 오일 과열 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엔진의 백업 오일 과열 방지 장치는, 일단부는 상기 공급 펌프의 입구측 상기 백업오일 환원관과 연결되며, 타단부는 상기 공급 펌프의 출구측 상기 백업오일 환원관과 연결되는 바이패스 순환관; 및 상기 바이패스 순환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 펌프의 출구측으로부터 상기 공급 펌프의 입구측으로 상기 백업오일이 리턴되는 것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순환조절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강하 유닛은 상기 순환조절 밸브의 입구측 상기 바이패스 순환관과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순환조절 밸브의 출구측 상기 바이패스 순환관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강하 유닛은, 상기 백업오일 공급 펌프의 출구측으로부터 상기 탱크 유닛의 입구측을 상호 연결하여, 과열된 백업오일을 상기 탱크 유닛측으로 보내는 유로를 형성하는 과열 백업오일 배출관; 및 상기 탱크 유닛의 출구측으로부터 상기 백업오일 공급 펌프의 입구측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과열된 백업오일을 상기 탱크 유닛을 관통하며 냉각된 상태로 리턴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는 냉각 백업오일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하 유닛은, 상기 순환조절 밸브의 입구측 상기 바이패스 순환관으로부터 상기 탱크 유닛의 입구측을 상호 연결하여, 과열된 백업오일을 상기 탱크 유닛측으로 보내는 유로를 형성하는 과열 백업오일 배출관; 및 상기 탱크 유닛의 출구측으로부터 상기 순환조절 밸브의 출구측 상기 바이패스 순환관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과열된 백업오일을 상기 탱크 유닛을 관통하며 냉각된 상태로 리턴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는 냉각 백업오일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엔진의 백업 오일 과열 방지 장치는, 상기 바이패스 순환관에 설치되어, 백업오일의 온도 및 점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가 측정한 온도 및 점도 데이터가 설정값을 벗어난 위험수치에 도달한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순환조절 밸브를 차단하는 조작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상기 탱크 유닛은, 저유황 해양가스오일(LSMGO)이 저장된 제1 탱크; 및 해양디젤오일(MDO)이 저장된 제2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하 유닛은, 상기 백업오일 공급 펌프의 출구측으로부터 상기 제1 탱크의 입구측을 상호 연결하여, 과열된 백업오일을 상기 탱크 유닛측으로 보내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1 과열 백업오일 배출관; 및 상기 제1 탱크의 출구측으로부터 상기 백업오일 공급 펌프의 입구측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과열된 백업오일을 상기 탱크 유닛을 관통하며 냉각된 상태로 리턴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1 냉각 백업오일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하 유닛은, 상기 백업오일 공급 펌프의 출구측으로부터 상기 제2 탱크의 입구측을 상호 연결하여, 과열된 백업오일을 상기 탱크 유닛측으로 보내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2 과열 백업오일 배출관; 및 상기 제2 탱크의 출구측으로부터 상기 백업오일 공급 펌프의 입구측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과열된 백업오일을 상기 탱크 유닛을 관통하며 냉각된 상태로 리턴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2 냉각 백업오일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엔진측으로 상기 백업오일을 공급하는 공급 펌프의 출구측으로부터 배출되는 백업오일을, 저유황 해양가스오일(LSMGO)을 저장하는 제1 탱크 또는 해양디젤오일(MDO)이 저장된 제2 탱크측으로 바이패스시켜, 다시 상기 백업오일 공급 펌프측으로 복귀시킴으로써, 과열된 백업오일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는 강하 유닛을 포함하는, 엔진의 백업 오일 과열 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엔진은 가스 모드 또는 오일 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상기 엔진은 오일 모드로 운전될 때 저유황 해양가스오일을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엔진은 ME-GI 엔진, X-DF 엔진, 및 DF 엔진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기술과 같이 별도로 저유황 해양가스오일(LSMGO) 냉각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 절감과 설치 공간의 활용도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강하 유닛에 의하여 탱크 유닛측으로 다시 온도 상승된 백업오일을 보내어 자연 방열에 따른 냉각을 시킬 수 있으므로, 방열 및 냉각 효과를 극대화하여, 저점도 과열로 인한 공급펌프의 과도한 마찰에 따른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별도의 구동원이나 동력 소모 부재가 없으며, 기존의 설치 및 장치에 그대로 간단히 적용할 수 있고, 유지 보수 및 관리에 대한 부가적인 비용 발생이 거의 없으므로, 경제적으로도 매우 효율성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백업 오일 과열 방지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블록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백업 오일 과열 방지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블록선도이다.
도 3은 기존의 선박용 냉각기를 이용한 저유황 해양가스오일 공급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블록선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백업 오일 과열 방지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블록선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과열된 백업오일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는 강하 유닛(5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탱크 유닛(100), 백업오일 환원관(200), 및 공급 펌프(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탱크 유닛(100)은, 오일을 저장하는 탱크를 하나 이상 포함하며, 저유황 해양가스오일(LSMGO)이 저장된 제1 탱크(110), 해양디젤오일(MDO)이 저장된 제2 탱크(120), 저유황 중연료오일(LSHFO)이 저장된 제3 탱크(130), 및 중연료오일(HF0)이 저장된 제4 탱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백업오일 환원관(200)은 탱크 유닛(100)으로부터 엔진(400)까지 연결되어 백업오일이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며, 공급 펌프(300)는 백업오일 환원관(200)에 설치되어 엔진(400)측으로 백업오일을 공급한다.
엔진(400)은 가스 모드 또는 오일 모드로 운전되며, 엔진(400)이 오일 모드로 운전될 때 저유황 해양가스오일을 연료로 사용한다.
강하 유닛(500)은, 공급 펌프(300)로부터 배출되는 백업오일을 제1 탱크(110) 또는 제2 탱크(120) 측으로 바이패스시켜 다시 공급 펌프(300)로 복귀시킴으로써 과열된 백업오일의 온도 상승을 방지한다.
강하 유닛(500)은 공급 펌프(300)의 출구측과 탱크 유닛(100)의 입구측을 연결함과 동시에 탱크 유닛(100)의 출구측과 공급 펌프(300)의 입구측을 연결하며, 공급 펌프(300)의 출구측과 입구측을 순환하는 과열된 백업오일의 온도 상승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이패스 순환관(310) 및 순환조절 밸브(3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순환관(310)은, 일단부는 공급 펌프(300)의 입구측 백업오일 환원관(200)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공급 펌프(300)의 출구측 백업오일 환원관(200)과 연결된다.
순환조절 밸브(320)는, 바이패스 순환관(310)에 설치되어, 공급 펌프(300)의 출구측으로부터 공급 펌프(300)의 입구측으로 백업오일이 리턴되는 것을 허용 또는 차단한다.
강하 유닛(500)은 순환조절 밸브(320)의 입구측 바이패스 순환관(310)과 연결됨과 동시에, 순환조절 밸브(320)의 출구측 바이패스 순환관(310)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강하 유닛(500)은, 과열 백업오일 배출관(510) 및 냉각 백업오일 배출관(520)을 포함할 수 있다.
과열 백업오일 배출관(510)은 백업오일 공급 펌프(300)의 출구측으로부터 탱크 유닛(100)의 입구측을 상호 연결하여, 과열된 백업오일을 탱크 유닛(100)측으로 보내는 유로를 형성한다.
즉, 과열 백업오일 배출관(510)은 순환조절 밸브(320)의 입구측 바이패스 순환관(310)으로부터 탱크 유닛(100)의 입구측을 상호 연결하여, 과열된 백업오일을 탱크 유닛(100)측으로 보내는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냉각 백업오일 배출관(520)은 탱크 유닛(100)의 출구측으로부터 백업오일 공급 펌프(300)의 입구측을 상호 연결하여, 과열된 백업오일을 탱크 유닛(100)을 관통하며 냉각된 상태로 리턴시키는 유로를 형성한다.
즉, 냉각 백업오일 배출관(520)은 탱크 유닛(100)의 출구측으로부터 순환조절 밸브(320)의 출구측 바이패스 순환관(310)을 상호 연결하여, 과열된 백업오일을 탱크 유닛(100)을 관통하며 냉각된 상태로 리턴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강하 유닛(50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과열 백업오일 배출관(511)과, 제1 냉각 백업오일 배출관(521)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제1 과열 백업오일 배출관(511)은 백업오일 공급 펌프(300)의 출구측으로부터 제1 탱크(110)의 입구측을 상호 연결하여, 과열된 백업오일을 탱크 유닛(100)측으로 보내는 유로를 형성한다.
제1 냉각 백업오일 배출관(521)은 제1 탱크(110)의 출구측으로부터 백업오일 공급 펌프(300)의 입구측을 상호 연결하여, 과열된 백업오일을 탱크 유닛(100)을 관통하며 냉각된 상태로 리턴시키는 유로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강하 유닛(5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과열 백업오일 배출관(512)과, 제2 냉각 백업오일 배출관(522)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제2 과열 백업오일 배출관(512)은 백업오일 공급 펌프(300)의 출구측으로부터 제2 탱크(120)의 입구측을 상호 연결하여, 과열된 백업오일을 탱크 유닛(100)측으로 보내는 유로를 형성한다.
제2 냉각 백업오일 배출관(522)은 제2 탱크(120)의 출구측으로부터 백업오일 공급 펌프(300)의 입구측을 상호 연결하여, 과열된 백업오일을 탱크 유닛(100)을 관통하며 냉각된 상태로 리턴시키는 유로를 형성한다.
즉, 제2 과열 백업오일 배출관(512)과 제2 냉각 백업오일 배출관(522)은, 전술한 제1 과열 백업오일 배출관(511)과 제1 냉각 백업오일 배출관(521)이 연결된 제1 탱크(110) 내부의 오일 잔량이 설정치 이하로 부족할 경우에, 백업오일의 대체원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본 발명은, 센서 및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바이패스 순환관에 설치되어 백업오일의 온도 및 점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센서가 측정한 온도 및 점도 데이터가 설정값을 벗어난 위험수치에 도달한 경우, 컨트롤러는 순환조절 밸브(320)를 차단하는 조작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컨트롤러가 순환조절 밸브(320)를 차단하면, 백업오일이 바이패스 순환관(310)을 통하여 계속 공급 펌프(300)를 기준으로 순환함으로써 점도는 더욱 낮아지고 온도는 더욱 상승됨에 따라, 마찰열로 인하여 공급 펌프(3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가 순환조절 밸브(320)를 차단하면 강하 유닛(500)에 의하여 백업오일이 제1 탱크(110) 또는 제2 탱크(120)를 관통하며 냉각된 상태로 공급 펌프(300)측으로 공급되게 하므로, 마찰열을 저감시켜 공급 펌프(300)의 내구성 및 수명 연한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저유황 해양가스오일(LSMGO)을 연료로 사용하는 엔진, 가스 모드 및 오일 모드로 운전되는 엔진에 다양하게 응용되어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ME-GI 엔진, X-DF 엔진, DF 엔진 등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 : 탱크 유닛 110 : 제1 탱크
120 : 제2 탱크 130 : 제3 탱크
140 : 제4 탱크 200 : 백업오일 환원관
300 : 공급 펌프 310 : 바이패스 순환관
320 : 순환조절 밸브 400 : 엔진
500 : 강하 유닛 510 : 과열 백업오일 배출관
511 : 제1 과열 백업오일 배출관 512 : 제2 과열 백업오일 배출관
520 : 냉각 백업오일 배출관 521 : 제1 냉각 백업오일 배출관
522 : 제2 냉각 백업오일 배출관

Claims (13)

  1. 오일을 저장하는 탱크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탱크 유닛;
    상기 탱크 유닛으로부터 엔진까지 연결되어 백업오일이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는 백업오일 환원관;
    상기 백업오일 환원관에 설치되어 상기 엔진측으로 상기 백업오일을 공급하는 공급 펌프;
    상기 공급 펌프의 출구측과 상기 탱크 유닛의 입구측을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탱크 유닛의 출구측과 상기 공급 펌프의 입구측을 연결하며, 상기 공급 펌프의 출구측과 입구측을 순환하는 과열된 상기 백업오일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는 강하 유닛;
    일단부는 상기 공급 펌프의 입구측 상기 백업오일 환원관과 연결되며, 타단부는 상기 공급 펌프의 출구측 상기 백업오일 환원관과 연결되는 바이패스 순환관; 및
    상기 바이패스 순환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 펌프의 출구측으로부터 상기 공급 펌프의 입구측으로 상기 백업오일이 리턴되는 것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순환조절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강하 유닛은 상기 순환조절 밸브의 입구측 상기 바이패스 순환관과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순환조절 밸브의 출구측 상기 바이패스 순환관과 연결되고,
    '상기 바이패스 순환관 내에 흐르는 백업오일의 온도가 제1 설정값 미만인 경우' 및 '상기 바이패스 순환관 내에 흐르는 백업오일의 점도가 제2 설정값 초과인 경우' 중 하나 이상의 경우에는, 상기 순환조절 밸브가 열리고, 상기 공급펌프에서 배출된 백업오일은 상기 바이패스 순환관을 따라 다시 상기 공급펌프로 보내져 순환되며,
    '상기 바이패스 순환관 내에 흐르는 백업오일의 온도가 상기 제1 설정값 이상인 경우' 및 '상기 바이패스 순환관 내에 흐르는 백업오일의 점도가 상기 제2 설정값 이하인 경우'중 하나 이상의 경우에는, 상기 순환조절 밸브가 닫히고, 상기 공급펌프에서 배출된 백업오일은 상기 순환조절 밸브의 입구측 상기 바이패스 순환관, 상기 강하 유닛, 및 상기 순환조절 밸브의 출구측 상기 바이패스 순환관을 지나 다시 상기 공급펌프로 보내져 순환되는, 엔진의 백업 오일 과열 방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하 유닛은,
    상기 순환조절 밸브의 입구측 상기 바이패스 순환관으로부터 상기 탱크 유닛의 입구측을 상호 연결하여, 과열된 백업오일을 상기 탱크 유닛측으로 보내는 유로를 형성하는 과열 백업오일 배출관; 및
    상기 탱크 유닛의 출구측으로부터 상기 순환조절 밸브의 출구측 상기 바이패스 순환관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과열된 백업오일을 상기 탱크 유닛을 관통하며 냉각된 상태로 리턴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는 냉각 백업오일 배출관;
    을 포함하는, 엔진의 백업 오일 과열 방지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순환관에 설치되어, 백업오일의 온도 및 점도 중 하나 이상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
    를 더 포함하는, 엔진의 백업 오일 과열 방지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측정한 온도가 상기 제1 설정값 이상인 경우' 및 '상기 센서가 측정한 점도가 상기 제2 설정값 이하인 경우' 중 하나 이상의 경우에,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순환조절 밸브를 차단하는 조작 신호를 보내는, 엔진의 백업 오일 과열 방지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탱크 유닛은,
    저유황 해양가스오일(LSMGO)이 저장된 제1 탱크; 및
    해양디젤오일(MDO)이 저장된 제2 탱크;
    를 포함하는, 엔진의 백업 오일 과열 방지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강하 유닛은,
    상기 순환조절 밸브의 입구측 상기 바이패스 순환관으로부터 상기 제1 탱크의 입구측을 상호 연결하여, 과열된 백업오일을 상기 탱크 유닛측으로 보내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1 과열 백업오일 배출관; 및
    상기 제1 탱크의 출구측으로부터 상기 순환조절 밸브의 출구측 상기 바이패스 순환관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과열된 백업오일을 상기 탱크 유닛을 관통하며 냉각된 상태로 리턴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1 냉각 백업오일 배출관;
    을 포함하는, 엔진의 백업 오일 과열 방지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강하 유닛은,
    상기 순환조절 밸브의 입구측 상기 바이패스 순환관으로부터 상기 제2 탱크의 입구측을 상호 연결하여, 과열된 백업오일을 상기 탱크 유닛측으로 보내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2 과열 백업오일 배출관; 및
    상기 제2 탱크의 출구측으로부터 상기 순환조절 밸브의 출구측 상기 바이패스 순환관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과열된 백업오일을 상기 탱크 유닛을 관통하며 냉각된 상태로 리턴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2 냉각 백업오일 배출관;
    을 포함하는, 엔진의 백업 오일 과열 방지 장치.
  10. 삭제
  11. 청구항 1 및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은 가스 모드 또는 오일 모드로 운전되는, 엔진의 백업 오일 과열 방지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엔진은 오일 모드로 운전될 때 저유황 해양가스오일을 연료로 사용하는, 엔진의 백업 오일 과열 방지 장치.
  13. 청구항 1 및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은 ME-GI 엔진, X-DF 엔진, 및 DF 엔진 중 하나 이상인, 엔진의 백업 오일 과열 방지 장치.
KR1020170174135A 2017-12-18 2017-12-18 엔진의 백업 오일 과열 방지 장치 KR102418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135A KR102418129B1 (ko) 2017-12-18 2017-12-18 엔진의 백업 오일 과열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135A KR102418129B1 (ko) 2017-12-18 2017-12-18 엔진의 백업 오일 과열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949A KR20190072949A (ko) 2019-06-26
KR102418129B1 true KR102418129B1 (ko) 2022-07-08

Family

ID=67105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135A KR102418129B1 (ko) 2017-12-18 2017-12-18 엔진의 백업 오일 과열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1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8288B (zh) * 2018-06-25 2020-09-08 广州市泰诚船舶工业有限公司 一种船舶冷却系统
JP2023013735A (ja) * 2021-07-16 2023-01-2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燃料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6046A (ko) * 2003-06-10 2004-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스엔진식 히트펌프
KR20140063998A (ko) 2012-11-19 2014-05-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저유황 해양가스오일의 연료유 변경을 위한 점도정보표시장치
KR101559408B1 (ko) * 2014-01-07 2015-10-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연료유 변경 완료 시간 계산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949A (ko) 2019-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07731B2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システム
KR102418129B1 (ko) 엔진의 백업 오일 과열 방지 장치
WO2011088830A1 (en) Dual fuel supply system, methods for switching between different fuel types and method for retro-fitting a heavy fuel system
RU2634647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одачи топлива в двигатель судна
US8820272B2 (en) Cooling system having shock reducing valve
SE525988C2 (sv) Kylsystem för en i ett fordon monterad förbränningsmotor
RU2017133153A (ru) Способ подачи охлаждающей жидкости через систему утилизации тепла отработавших газов после выключения двигателя
KR101818520B1 (ko) 선박의 연료유 공급 시스템
KR102662430B1 (ko) 선박의 연료유 전환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37671A (ko) 선박용 엔진의 윤활유 공급장치
EP2664771A1 (en) Multi-fuel operation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616337B1 (ko) 선박용 냉각시스템
CN106351733B (zh) 用于涡轮增压器的冷却剂循环系统
KR101026181B1 (ko) 내연기관의 연료 공급시스템
CN104797793A (zh) 用于内燃发动机的冷却系统和方法
KR101757514B1 (ko) 연료 분사 시스템, 실린더 헤드 조립체, 및 적어도 하나의 연료 분사기에서 연료 온도를 조절하는 장치와 방법
US20130255598A1 (en) Single pump cooling arrangment
KR102632392B1 (ko) 선박용 연료유 전환 시스템 및 방법
JP2019031158A (ja) 船舶用冷却システム
KR20220035565A (ko) 선박의 저유황 연료유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102140228B1 (ko) 선박용 연료유 전환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28827A (ko) 여과 기능을 구비하는 연료 점도 조절시스템
CN116534263B (zh) 一种飞行器梯级散热装置及控制方法
KR102434642B1 (ko) 선박용 기관의 냉각 시스템
KR102327411B1 (ko) 점화용 오일 공급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