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063B1 -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063B1
KR102418063B1 KR1020210091171A KR20210091171A KR102418063B1 KR 102418063 B1 KR102418063 B1 KR 102418063B1 KR 1020210091171 A KR1020210091171 A KR 1020210091171A KR 20210091171 A KR20210091171 A KR 20210091171A KR 102418063 B1 KR102418063 B1 KR 102418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frame
plate
drawer
vertical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홍표
박한석
Original Assignee
진홍표
박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홍표, 박한석 filed Critical 진홍표
Priority to KR1020210091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0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B64C2201/128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2Telescopic action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창틀에 설치되는 창틀 프레임; 상기 창틀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창틀 프레임과 이격되거나 밀착되도록 조절되는 창문 프레임; 상기 창틀 프레임과 상기 창문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창틀 프레임과 상기 창문 프레임이 이격되거나 밀착되도록 조절하는 개폐장치; 및 상면에 택배 물품이 안착될 수 있는 서랍판 복수개가 층을 이루며 배치되어, 상기 창문 프레임이 상기 창틀 프레임에서 이격됨에 따라 복수의 서랍판이 슬라이딩되며 돌출 연장되고, 상기 창문 프레임이 상기 창틀 프레임에 밀착됨에 따라 복수의 서랍판 슬라이딩되며 층을 이루며 배치되는 이동서랍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SYSTEM FOR RECEIVING DELIVERY USIGN DRONE}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아파트, 빌딩 등에서 드론으로 배송되는 물건을 무인으로 받을 수 있도록 창문에 설치되는 택배보관형 택배 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택배 서비스란 사용자들의 물류의 신속한 운송 욕구에 맞추어 등장한 운송 서비스로서 사용자의 수화물 전송 요청을 전화, 팩스, 인터넷 등의 통신을 통하여 접수한 뒤, 사용자를 직접 방문하여 보낼 물품이나 서류를 인수한 후, 이를 수령인에게 직접 전달하는 배달 서비스를 의미한다.
인터넷 쇼핑과 같은 온라인 거래의 폭발적인 증가로 수화물의 양은 매년 증가 추세에 있으나, 택배회사의 업무 흐름은 신속한 물품발송을 원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할 만큼 신속하지 못하다.
일반적으로 수화물을 발송하기 위해, 사용자는 택배회사를 선정하여, 상기 택배회사에 유선 또는 온라인으로 수화물 집화를 요청하고, 택배 기사의 방문을 통해 택배 수화물을 발송하게 된다. 택배 기사의 방문은 택배 회사별로 차이는 있지만, 수 시간에서 하루 가까운 시간이 허비되기도 한다. 이러한 유인배달의 단점은 배달속도 뿐만 아니라 배달 중 물품이 훼손되거나, 배달 미숙으로 인한 택배가 분실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교통혼잡을 야기하고, 택배 배달 중 교통 사고가 발생하기도 하며, 외부인에게 집주소, 공동현관 비밀번호와 같은 개인정보가 공개됨으로써 주거시설보안 위험 등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무인 드론 택배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나, 현재 개발되는 무인 드론 택배 시스템은 드론에 의한 배송이 없는 시간에도 플랫폼이 건물 외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기상 환경 등의 오염원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훼손되기 쉽고, 건물의 미관을 해칠 수 있다. 또한, 배송물 수취인이 즉시 수령할 수 없을 때는, 배송물이 플랫폼에 방치되어 있게 되어 배송물이 훼손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23423호(2017.03.06.)
본 발명은 드론에 의한 배송이 없는 경우에는 창문 프레임이 창틀 프레임과 밀착되어 택배 물품이 안착되는 영역이 창문 프레임 내측에 수납되어 있고, 드론에 의한 배송이 있는 경우에는 창문 프레임이 창틀 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택배 물품이 안착되는 서랍판이 돌출 개방되며, 택배 물품을 수령한 후에는 다시 창문 프레임이 창틀 프레임과 밀착되도록 이루어져, 실내외 공간 차지 면적을 줄일 수 있고, 건물 외관이나 실내 인테리어 미관을 해치지 않는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건물 외벽에 설치하지 않고, 건물 창틀에 맞춰 설치함으로써 내구성이 높고 외풍 및 기후현상으로 인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평상시에는 실내로도 실외로도 돌출되지 않고 창틀 프레임과 창문 프레임이 서로 밀착되어 벽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실내공간을 침범하지 않으며 기상 환경 등의 오염원에 의한 훼손을 예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택배 수취인이 없는 경우에도 택배를 안전하게 수령할 수 있고, 수령한 물품을 즉시 실내에 보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 드론을 이용한 택배 물품뿐만 아니라 배달 음식 수령도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실내에 거주자가 부재중인 경우에도 택배를 수령할 수 있으며, 해당 과정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며, 택배 수령 후에는 택배 물품이 바로 실내로 옮겨져 보관되므로 실외에 장시간 방치되어 먼지나 기후현상으로 인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의 창틀에 설치되는 창틀 프레임; 상기 창틀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창틀 프레임과 이격되거나 밀착되도록 조절되는 창문 프레임; 상기 창틀 프레임과 상기 창문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창틀 프레임과 상기 창문 프레임이 이격되거나 밀착되도록 조절하는 개폐장치; 및 상면에 택배 물품이 안착될 수 있는 서랍판 복수개가 층을 이루며 배치되어, 상기 창문 프레임이 상기 창틀 프레임에서 이격됨에 따라 복수의 서랍판이 슬라이딩되며 돌출 연장되고, 상기 창문 프레임이 상기 창틀 프레임에 밀착됨에 따라 복수의 서랍판 슬라이딩되며 층을 이루며 배치되는 이동서랍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창틀 프레임 양 측의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수직암과, 상기 창문 프레임 양 측의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2 수직암이 서로 연결되되, 상기 제1 수직암과 상기 제2 수직암이 연결된 부분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창틀 프레임과 상기 창문 프레임이 이격됨에 따라 상기 제1 수직암과 상기 제2 수직암이 이루는 하측 각도가 점차 커지는 수직구동암; 및 상기 창틀 프레임 양 측의 상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수평암과, 상기 창문 프레임 양 측의 상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2 수평암이 서로 연결되되, 상기 제1 수평암과 상기 제2 수평암은 연결된 부분이 좌우 방향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창틀 프레임과 상기 창문 프레임이 이격됨에 따라 상기 제1 수평암과 상기 제2 수평암이 이루는 외측 각도가 점차 커지는 수평구동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서랍장치는, 상기 창문 프레임의 하측에 연결되며, 상면에 택배 물품이 안착될 수 있는 제1 서랍판을 포함하는 제1 이동부; 상면에 택배 물품이 안착될 수 있고, 상기 제1 서랍판의 하층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서랍판을 포함하는 제2 이동부; 및 상면에 택배 물품이 안착될 수 있고, 상기 제2 서랍판의 하층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 서랍판과, 상기 제3 서랍판의 후방 단부에서 소정 높이 및 소정 길이로 연결되는 제3 후판부를 포함하는 제3 이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창문 프레임이 상기 창틀 프레임에서 이격되어 전방을 향해 돌출됨에 따라, 상기 제1 서랍판, 상기 제2 서랍판 및 상기 제3 서랍판이 순차적으로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서랍장치는, 상기 제3 이동부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양 측의 제4 측면부와, 상기 제4 측면부와 후방 단부에서 상기 제3 후판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3 후판부와 이격되거나 밀착될 수 있는 제4 후판부를 포함하는 제4 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이동부는 상기 창틀 프레임의 하부에서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서랍장치는, 상기 창틀 프레임과 이격된 상태의 상기 창문 프레임이 상기 창틀 프레임과 밀착되도록 작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이동부와 상기 제2 이동부와 상기 제3 이동부가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제3 후판부가 상기 제4 후판부와 밀착되며, 상기 창문 프레임이 상기 창틀 프레임과 완전히 밀착되어 상기 제3 후판부가 상기 제4 후판부와 밀착된 상태에서, 택배 물품이 상기 창틀 프레임의 폭보다 큰 경우, 택배 물품이 상기 창문 프레임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게 되어, 상기 택배 물품이 상기 제3 후판부를 후방으로 밀고, 상기 제3 후판부와 밀착되어 있던 상기 제4 후판부가 후방으로 밀리게 되어, 상기 제3 이동부와 제4 이동부가 상기 창틀 프레임의 후방으로 소정 거리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틀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양 측 단부에 연결되는 좌측부 프레임과 우측부 프레임; 상기 좌측부 프레임 및 상기 우측부 프레임 각각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좌측부 프레임 및 상기 우측부 프레임 각각의 내부 공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수직암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수직암의 축회전을 가이드하는 제1 회동핀; 및 상기 제1 회동핀보다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창문 프레임 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홈부가 형성된 고정몸통과, 상기 고정몸통 내부의 상기 홈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홈부 상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부를 포함하는 작동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문 프레임은, 상기 창틀 프레임 내측으로 삽입 가능한 내측 프레임; 상기 내측 프레임의 전면에서 상기 내측 프레임 테두리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창틀 프레임의 외측 테두리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외측 프레임; 및 상기 외측 프레임의 전방 하부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외풍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문 프레임은, 상기 외측 프레임의 좌측과 우측 각각의 내측면 하부에 상기 제2 수직암과 연결되어 상기 수직암의 축회전을 가이드하는 수직암 연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직암 연결부는, 상기 외측 프레임의 내측면에서 소정 길이 돌출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2 수직암과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부; 및 상기 돌출부의 상하 길이가 상기 힌지부의 상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와 상기 힌지부의 높이 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단턱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문 프레임이 상기 창틀 프레임과 밀착된 경우, 상기 제1 수직암과 상기 제2 수직암이 연결된 부분이 상승되도록 상기 수직구동암이 작동되어, 상기 제1 수직암, 상기 제2 수직암 및 상기 제2 수직암이 연결된 상기 수직암연결부가 상기 좌측부 프레임 및 상기 우측부 프레임 각각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홈부에 삽입된 상태의 상기 고정돌부가 상기 고정몸통 외측으로 돌출되면, 상기 고정돌부가 상기 단턱걸림부에 위치되어, 상기 창문 프레임이 상기 창틀 프레임과 밀착된 상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택배 물품을 확인할 수 있는 회전 카메라; 및 택배 물품 수신 여부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드론에 의한 배송이 없는 경우에는 창문 프레임이 창틀 프레임과 밀착되어 택배 물품이 안착되는 영역이 창문 프레임 내측에 수납되어 있고, 드론에 의한 배송이 있는 경우에는 창문 프레임이 창틀 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택배 물품이 안착되는 서랍판이 돌출 개방되며, 택배 물품을 수령한 후에는 다시 창문 프레임이 창틀 프레임과 밀착되도록 이루어져, 실내외 공간 차지 면적을 줄일 수 있고, 건물 외관이나 실내 인테리어 미관을 해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건물 외벽에 설치하지 않고, 건물 창틀에 맞춰 설치함으로써 내구성이 높고 외풍 및 기후현상으로 인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평상시에는 실내로도 실외로도 돌출되지 않고 창틀 프레임과 창문 프레임이 서로 밀착되어 벽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실내공간을 침범하지 않으며 기상 환경 등의 오염원에 의한 훼손을 예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택배 수취인이 없는 경우에도 택배를 안전하게 수령할 수 있고, 수령한 물품을 즉시 실내에 보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 드론을 이용한 택배 물품뿐만 아니라 배달 음식 수령도 가능하다.
또한, 실내에 거주자가 부재중인 경우에도 택배를 수령할 수 있으며, 해당 과정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며, 택배 수령 후에는 택배 물품이 바로 실내로 옮겨져 보관되므로 실외에 장시간 방치되어 먼지나 기후현상으로 인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후방측 사시도와 전방측 사시도
도 2는 도 1a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의 우측부 프레임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의 창문 프레임이 건물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2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이 작동되어 창문 프레임이 건물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의 이동서랍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5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이 작동되어 창문 프레임이 건물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이동서랍장치에 택배 물품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이 작동되어 창문 프레임이 창틀 프레임 측으로 이동되는 상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의 창문 프레임이 창틀 프레임과 밀착된 상태에서 제4 이동부가 실내로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서랍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에 따른 이동서랍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9에 따른 이동서랍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1에 따른 이동서랍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카메라, 전원부, 통신부, 구동부 및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1)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후방측 사시도와 전방측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a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1)의 우측부 프레임(13)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1)의 창문 프레임(20)이 건물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2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1)이 작동되어 창문 프레임(20)이 건물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1)의 이동서랍장치(4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1)은 창틀 프레임(10), 창문 프레임(20), 개폐장치(30) 및 이동서랍장치(40)를 포함할 수 있다.
창틀 프레임(10)은 건물의 창틀에 설치될 수 있다. 창틀 프레임(10)은 건물의 창틀 내측에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고, 건물의 창틀을 설치하기 위한 위치에 다른 창틀을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설치할 수도 있다. 창틀 프레임(10)은 상부 프레임(11), 좌측부 프레임(12), 우측부 프레임(13), 하부 프레임(14), 제1 회동핀(15), 제2 회동핀(16) 및 작동고정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은 건물 창틀의 내측 상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좌측부 프레임(12)과 우측부 프레임(13)은 상부 프레임(11)의 양 측 단부에 연결되며, 건물 창틀의 내측 양 측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4)은 좌측부 프레임(12) 및 우측부 프레임(13) 각각의 하부에 연결되며 건물 창틀의 내측 양 측의 하부에 각각 안착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4)은 하측이 개방되며 내부에 내부 공간이 형성된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부 프레임(11), 좌측부 프레임(12), 우측부 프레임(13), 하부 프레임(14)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사각 기둥이나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동핀(15)은 좌측부 프레임(12) 및 우측부 프레임(13) 각각의 내부 공간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직 구동암(31)의 제1 수직암(311)과 연결되어 제1 수직암(311)의 축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2 회동핀(16)은 상부 프레임(11)의 하부에 설치되며, 수평 구동암(32)의 제1 수평암(321)과 연결되어 제1 수평암(321)의 축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작동고정부(17)는 좌측부 프레임(12) 및 우측부 프레임(13) 각각의 내부 공간에서 제1 회동핀(15)보다 소정 거리 이격되어 창문 프레임(20) 측에 설치되어, 창문 프레임(20)이 창틀 프레임(10)에 밀착된 상태를 고정하여 창문 프레임(20)의 개방을 차단하거나, 창문 프레임(20)이 창틀 프레임(10)에서 이격될 수 있도록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즉, 작동고정부(17)는 창문 프레임(20)의 이동을 차단 또는 허용하여, 창틀 프레임(10)을 통해 실내공간이 개방 또는 차단되도록 잠금 및 잠금 해제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동고정부(17)는 고정몸통(171), 홈부(172) 및 고정돌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몸통(171)은 좌측부 프레임(12) 및 우측부 프레임(13) 각각의 내부 공간 하부에서 제1 회동핀(15)보다 창문 프레임(20) 측으로 이격되어 소정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몸통(171)의 내부에는 상면이 개방된 중공 형태의 홈부(172)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부(173)는 고정몸통(171) 내부의 홈부(172)에 배치되어, 홈부(172) 내측으로 삽입되거나 홈부(172)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돌부(173)가 홈부(172)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창문 프레임(20)이 창틀 프레임(10)과 이격되는 외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창문 프레임(20)이 창틀 프레임(10)과 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고정돌부(173)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수직암 연결부(25)의 단턱걸림부(253)에 위치됨에 따라, 창문 프레임(20)의 외측으로의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이때, 고정돌부(173)는 제어부(90)의 신호 또는 전원부(60)의 신호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창문 프레임(20)은 창틀 프레임(10)과 연결되어 창틀 프레임(10)과 이격되거나 밀착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창문 프레임(20)은 개폐장치(30)의 작동에 의해 창틀 프레임(10)과 이격되거나 밀착될 수 있다.
창문 프레임(20)은 내측 프레임(21), 외측 프레임(22), 유리부(23), 외풍 차단부(24), 수직암 연결부(25) 및 수평암 연결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프레임(21)은 창틀 프레임(10)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측 프레임(21)은 소정 두께의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며, 외측면이 창틀 프레임(10) 내측면과 맞닿으며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외측 프레임(22)은 내측 프레임(21)의 전면에서 내측 프레임(21) 테두리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창틀 프레임(10)의 테두리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창문 프레임(20)이 창틀 프레임(10)과 밀착될 때, 내측 프레임(21)은 창틀 프레임(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내측 프레임(21)의 외측면이 창틀 프레임(10)의 내측면과 접촉되고, 외측 프레임(22)은 창틀 프레임(10)의 전면과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유리부(23)는 내측 프레임(21) 또는 외측 프레임(22)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유리부(23)가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풍 차단부(24)는 외측 프레임(22)의 전방 하부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풍 차단부(24)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 프레임(22)의 전방 하부에 형성되어, 창문 프레임(20)이 창틀 프레임(10)과 밀착된 상태일 경우, 외풍 차단부(24)가 외측 프레임(22)의 하단과 건물 벽면에 함께 밀착되어, 창문 프레임(20)의 외측 프레임(22)의 하부 공간으로 외풍이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수직암 연결부(25)는 외측 프레임(22) 내측면의 좌측과 우측 각각의 하부에 수직 구동암(31)의 제2 수직암(312)과 연결되어 제2 수직암(312)의 축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직암 연결부(25)는 외측 프레임(22)과 내측 프레임(21)의 크기 차이에 의해 내측 프레임(21) 좌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외측 프레임(22)의 좌우 내측면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수직암 연결부(25)는 돌출부(251), 힌지부(252) 및 단턱걸림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51)는 외측 프레임(22)의 내측면에서 소정 길이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251)는 외측 프레임(22)의 내측면에서 내측 프레임(21)의 폭만큼 돌출될 수 있다. 즉, 돌출부(251)의 길이는 내측 프레임(21)의 폭 길이와 동일하거나 내측 프레임(21)의 폭 길이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힌지부(252)는 돌출부(251)의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며 제2 수직암(312)과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단턱걸림부(253)는 돌출부(251)의 상하 길이가 힌지부(252)의 상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돌출부(251)와 힌지부(252)의 높이 차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단턱걸림부(253)에는 홈부(172)에서 돌출된 고정돌부(173)가 위치될 수 있다.
수평암 연결부(26)는 내측 프레임(21)의 상부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개폐장치(30)는 창틀 프레임(10)과 창문 프레임(20)에 연결되어, 창틀 프레임(10)과 창문 프레임(20)이 이격되거나 밀착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장치(30)는 창틀 프레임(10)과 창문 프레임(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수직 구동암(31)과, 창틀 프레임(10)과 창문 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수평 구동암(32)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구동암(31)은 제1 수직암(311), 제2 수직암(312) 및 수직링크(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직암(311)은 창틀 프레임(10) 양 측의 하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2 수직암(312)은 창문 프레임(20) 양 측의 하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수직링크(313)는 제1 수직암(311)과 제2 수직암(312)이 연결된 부분으로, 수직링크(313)에 의해 제1 수직암(311)과 제2 수직암(312)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창틀 프레임(10)과 창문 프레임(20)이 이격됨에 따라 수직링크(313)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제1 수직암(311)과 제2 수직암(312)이 회전되며, 이때 제1 수직암(311)과 제2 수직암(312)이 이루는 하측 각도가 점차 커질 수 있다. 즉, 제1 수직암(311)과 제2 수직암(312)이 이루는 하측 각도가 점차 커져 일자 형태에 가깝게 작동됨에 따라 창문 프레임(20)이 건물 외측으로 돌출되어 창틀 프레임(10)과 이격될 수 있다.
제1 수직암(311)과 제2 수직암(312)은 수평구동암(32)이 작동됨에 따라 함께 작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80)에서 수평구동암(32)의 제1 수평암(321)과 제2 수평암(322)이 펼쳐지도록 제1 수평암(321)과 제2 수평암(322)이 연결된 제2 회동핀(16)에 제2 회동핀(16)이 회전되도록 동력을 가하고, 제1 수평암(321)과 제2 수평암(322)이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작동됨에 따라, 창문 프레임(20)이 이격되거나 밀착되고, 창문프레임(20)의 하부에 연결된 제1 수직암(311)과 제2 수직암(312)도 함께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작동될 수 있다.
수평 구동암(32)은 제1 수평암(321), 제2 수평암(322) 및 수평링크(3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평암(321)은 창틀 프레임(10) 양 측의 상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2 수평암(322)은 창문 프레임(20) 양 측의 상부에 각각 연결되며, 수평링크(323)에 의해 제1 수평암(321)과 제2 수평암(322)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수평암(321)과 제2 수평암(322)은 연결된 부분이 좌우 방향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창틀 프레임(10)과 창문 프레임(20)이 이격됨에 따라 제1 수평암(321)과 제2 수평암(322)이 이루는 외측 각도가 점차 커질 수 있다. 즉, 구동부(80)에 의해 제1 수평암(321)과 제2 수평암(322)이 이루는 외측 각도가 점차 커져 일자 형태에 가깝게 작동됨에 따라 창문 프레임(20)이 건물 외측으로 돌출되어 창틀 프레임(10)과 이격될 수 있다.
이동서랍장치(40)는 상면에 택배 물품이 안착될 수 있는 서랍판 복수개가 층을 이루며 배치되어, 창문 프레임(20)이 창틀 프레임(10)에서 이격됨에 따라 복수의 서랍판이 슬라이딩되며 돌출 연장되고, 창문 프레임(20)이 창틀 프레임(10)에 밀착됨에 따라 복수의 서랍판 슬라이딩되며 층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서랍장치(40)는 제1 이동부(41), 제2 이동부(42), 제3 이동부(43) 및 제4 이동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동부(41)는 창문 프레임(20)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이동부(41)는 제1 서랍판(411) 및 가이드레일(4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랍판(411)은 상면에 택배 물품이 안착될 수 있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412)은 제1 서랍판(411)의 하면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레일일 수 있다. 가이드레일(412)은 제2 이동부(42)의 가이드돌부(424)와 체결되어, 가이드돌부(424)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이동부(42)는 제1 이동부(41)의 하측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이동부(42)는 제2 서랍판(421), 제2 측면부(422), 제2 날개부(423), 가이드돌부(424), 제2 블록(425) 및 연결레일(42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랍판(421)은 제1 서랍판(411)의 하층에 배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서랍판(421)의 상면에는 택배 물품이 안착될 수 있는 판 형태로 형성되되, 상면에 제1 서랍판(411)이 위치될 수 있도록 제1 서랍판(411)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제1 서랍판(411)의 크기보다 좌우 폭이 소정 길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측면부(422)는 제2 서랍판(421)의 좌우 양단에서 상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날개부(423)는 제2 측면부(422)의 상단에서 좌측과 우측 각각의 외측으로 소정길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부(424)는 제2 서랍판(421)의 상면 전방의 좌우 양측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부(424)는 제1 서랍판(411)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412)에 체결되어, 가이드레일(412)이 가이드돌부(424)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제2 블록(425)은 제2 측면부(422)의 외측면 및 제2 날개부(423)의 하측에 위치되되 연결레일(426)의 내측에 배치되어, 연결레일(426)이 제3 레일인입부(435)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연결레일(426)이 제3 레일인입부(435)에서 돌출됨에 따라 제2 서랍판(421)이 제3 서랍판(431)의 상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3 이동부(43)는 제2 이동부(42)의 하측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3 이동부(43)는 제3 서랍판(431), 제3 측면부(432), 제3 날개부(433), 제3 후판부(434), 제3 레일인입부(435), 제3 블록(436) 및 이동레일(437)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서랍판(431)은 제2 서랍판(421)의 하층에 배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상면에 택배 물품이 안착될 수 있는 판 형태로 형성되되, 상면에 제2 서랍판(421)이 위치될 수 있도록 제2 서랍판(421)의 크기보다 좌우 폭이 소정 길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서랍판(431)의 좌우 길이는 상면에 제2 서랍판(421)과 제2 측면부(422)에 설치된 제2 블록(425)과 연결레일(426)이 위치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측면부(432)는 제3 서랍판(431)의 좌우 양단에서 상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서랍판(431)이 제2 서랍판(421)의 하측에 배치될 때, 제3 날개부(433)는 제2 날개부(423)의 하층에 위치될 수 있다.
제3 날개부(433)는 제3 측면부(432)의 상단에서 좌측과 우측 각각의 외측으로 소정길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3 후판부(434)는 제3 서랍판(431)의 후방 단부에서 소정 높이 및 소정 길이로 상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후판부(434)의 좌우 길이는 제2 서랍판(421)의 좌우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제3 후판부(434)가 제3 서랍판(431)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3 서랍판(431)의 양 측의 후방 단부는 개방된 상태이다. 이때, 제3 후판부(434)는 하부 프레임(14)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하부프레임(14) 내측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전후방향으로 모두 이동이 가능하다.
제3 레일인입부(435)는 좌우 양 측의 제3 측면부(432)의 내측면에서 전후방향을 따라 설치되되, 후방 단부는 제3 후판부(434)와 동일 선상에서 좌우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3 레일인입부(435)는 내부로 연결레일(426)이 인입되거나 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 레일인입부(435)로 연결레일(426)이 인입되는 경우, 제2 서랍판(421)이 제3 서랍판(431) 상면에 위치될 수 있고, 제3 레일인입부(435)에서 연결레일(426)이 인출되는 경우, 제2 서랍판(421)이 제3 서랍판(431)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3 블록(436)은 좌우 양 측의 제3 측면부(432)의 외측면에 위치되되 이동레일(437) 내부로 배치되어, 이동레일(437)이 제4 레일인입부(443)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이동레일(437)이 제4 레일인입부(443)에서 돌출됨에 따라 제3 서랍판(431)이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4 이동부(44)는 제3 이동부(43)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4 이동부(44)는 서랍판을 포함하지 않으며, 제4 측면부(441) 및 제4 후판부(442), 제4 레일인입부(443), 제4 무빙레일(444), 제4 이동블록(445) 및 제4 안내레일(446)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측면부(441)는 양 측에 배치되되, 제3 측면부(432)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양 측에 배치되는 제4 측면부(441)는 제3 서랍판(431)의 좌우 길이보다 긴 길이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4 후판부(442)는 양 측의 제4 측면부(441) 후방 단부에서 상기 제3 후판부(434)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3 후판부(434)와 이격되거나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제4 후판부(442)는 하부 프레임(14)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하부프레임(14) 내측으로 이동이 불가하며, 하부프레임(14)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4 레일인입부(443)는 제4 측면부(441)의 내측에 위치되어, 이동레일(437)이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제4 무빙레일(444)은 제4 측면부(441)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측면부(441)는 하부프레임(14) 내에 배치되는 제4 안내레일(446)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4 이동블록(445)은 제4 무빙레일(444) 내측에 배치되며, 후방 단부가 제3 후판부(434)와 고정될 수 있다. 제4 이동블록(445)이 제4 무빙레일(44)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제4 후판부(434)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4 이동블록(445)은 제4 무빙레일(444) 내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4 무빙레일(444)이 제4 안내레일(446)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따.
제4 안내레일(446)은 하부 프레임(14) 내에 배치되어, 제4 무빙레일(444)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이동부(41), 상기 제2 이동부(42), 상기 제3 이동부(43) 및 상기 제4 이동부(44)의 양 측부는 좌측과 우측에 배치된 하부 프레임(14)의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으며, 창문 프레임(20)이 창틀 프레임(10)에서 이격되어 전방을 향해 돌출됨에 따라 제1 서랍판(411), 제2 서랍판(421) 및 제3 서랍판(431)이 순차적으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제4 이동부(44)는 상기 창틀 프레임(10)의 하부에서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도 7은 도 5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1)이 작동되어 창문 프레임(20)이 건물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이동서랍장치(40)에 택배 물품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1)이 작동되어 창문 프레임(20)이 창틀 프레임(10) 측으로 이동되는 상태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1)의 창문 프레임(20)이 창틀 프레임(10)과 밀착된 상태에서 제4 이동부(44)가 실내로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따른 이동서랍장치(40)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에 따른 이동서랍장치(40)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1)의 작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은 창문 프레임(20)이 창틀 프레임(10)에 밀착된 상태이다. 택배 물품을 수신하지 않을 경우에는 창문 프레임(20)이 창틀 프레임(10)에 밀착되어 실내 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할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고정부(17)를 통해 창문 프레임(20)이 창틀 프레임(10)에 밀착된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 창문 프레임(20)과 창틀 프레임(10)이 밀착되는 경우, 상부 프레임(11)의 하측에서 제1 수평암(321)과 제2 수평암(322)이 수평링크(323)에 의해 회동되어 접힌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수직암(311) 및 제2 수직암(312)과, 수직암 연결부(25)는 좌측부 프레임(12)과 우측부 프레임(13)의 내부 공간에 위치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고정돌부(173)는 고정몸통(171) 외측으로 돌출되어, 수직암 연결부(25)의 단턱걸림부(253)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힌지부(252)의 전방에 고정돌부(173)가 위치됨으로써, 힌지부(252)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어 창문 프레임(20)이 전방으로 돌출될 수 없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8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 구동암(32)이 작동될 수 있다. 구동부(80)의 동력에 의해 수평구동암(32)이 작동되어 창문 프레임(20)이 펼쳐지거나 접혀짐에 따라 수직구동암(31)이 작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접힌 상태의 제1 수평암(321)과 제2 수평암(322)이 펼쳐지면서 창문 프레임(20)이 전방으로 돌출되고, 창문 프레임(20)이 전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창문 프레임(20)과 연결된 제1 수직암(311)과 제2 수직암(312)이 펼쳐질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부(173)가 단턱걸림부(253)에서 이탈하여 고정몸통(171) 내측으로 삽입되면, 힌지부(252)가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창문 프레임(20)이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이동서랍장치(40)는 제1 이동부(41), 제2 이동부(42) 및 제3 이동부(43)가 순차적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창문 프레임(20)을 따라 제1 이동부(41)가 먼저 전방으로 돌출되어 제1 서랍판(411)과 제2 서랍판(421)의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돌부(424)를 기준으로 가이드레일(412)을 따라 제1 서랍판(411)이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후, 도 4 및 도 6b와 같이, 제1 이동부(41)가 제2 이동부(42)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완료되면, 제2 이동부(42)가 제3 이동부(43)와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1 서랍판(411), 제2 서랍판(421) 및 제3 서랍판(431)의 상면이 모두 개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이동부(42)가 제3 이동부(43)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때는 연결레일(426)이 제3 레일인입부(435)에서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일 수 있다.
도 5 및 도 6a와 같이, 제3 이동부(43)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이동레일(437)이 제4 레일인입부(443)에서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제1 서랍판(411), 제2 서랍판(421), 및 제3 서랍판(431)의 상면에 드론에 의해 택배 물품이 안착될 수 있다.
이후, 도 8과 같이 수직 구동암(31)과 수평 구동암(32)의 작동에 의해 창문 프레임(20)이 창틀 프레임(10)으로의 방향인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도, 제1 이동부(41), 제2 이동부(42), 제3 이동부(43)가 순차적으로 작동되어, 제1 서랍판(411)이 제2 서랍판(421) 상측에 위치되고, 제2 서랍판(421)이 제3 서랍판(431)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이동부(41), 제2 이동부(42)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제1 서랍판(411), 제2 서랍판(421) 및 제3 서랍판(431)이 상하로 층을 이루며 배치되는 경우 도 8과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제1 이동부(41)와 제2 이동부(42)와 제3 이동부(43)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제3 이동부(43)의 제3 후판부(434)가 제4 이동부(44)의 제4 후판부(442)와 접촉될 수 있다.
이후, 도 9와 같이, 창문 프레임(20)이 창틀 프레임(10)과 밀착되도록 후방으로 더 이동되면, 택배 물건의 크기에 따라, 택배 물건이 제4 후판부(442)를 후방으로 밀게 된다.
구체적으로, 택배 물품이 하부 프레임(14)의 폭보다 큰 경우, 도 8과 같이 제3 후판부(434)가 제4 후판부(442)와 밀착된 상태에서 도 9와 같이 창문 프레임(20)이 창틀 프레임(10)과 완전히 밀착되면, 택배 물품이 창문 프레임(20)의 내측 프레임(21)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게 되고, 택배 물품은 제3 후판부(434)를 후방으로 밀고, 제3 후판부(434)와 밀착되어 있던 제4 후판부(442)가 함께 후방으로 밀리게 된다. 이처럼, 택배 물품의 크기에 따라, 제3 이동부(43)와 제4 이동부(44)가 창틀 프레임(10)의 후방으로 소정 거리 돌출되며, 창틀 프레임(10)과 창문 프레임(20)이 밀착된 상태에서 택배 물품이 실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4 이동부(44)의 작동은, 제4 후판부(442)가 후방으로 밀리면서, 제4 안내레일(446)에서 제4 무빙레일(444)이 후방으로 돌출되고, 제4 후판부(442)가 창틀 프레임(10) 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이동서랍장치(40)의 상태는 도 12와 같다.
제4 이동부(44)는 서랍판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후판부(442)와 가장 상층의 제1 서랍판(411) 또는 제3 서랍판(431) 사이에 이격 공간 형성되고, 이러한 이격 공간 사이를 통해 택배 물품의 크기에 따라 택배 물품이 실내 바닥으로 낙하될 수도 있고, 제1 서랍판(411) 상측에 위치된 상태로 보관될 수도 있다.
또한, 택배 물품을 제1 서랍판(411)에서 수거한 후에는, 제4 후판부(442)를 전방으로 밀어서 도 13과 같은 상태로 제4 이동부(44)를 제3 이동부(43)와 밀착시킴으로써 도 1과 같은 상태로 다시 복원시킬 수 있다.
즉, 제4 이동부(44)는 실내 방향인 후방으로만 이동이 가능하고, 제3 이동부(43)는 실내외 방향인 전후방으로 모두 이동이 가능하다.
더불어, 창문 프레임(20)은 택배 물품 수신과 관계없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고정돌부(173)를 작동시켜 창문 프레임(20)을 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시켜 창문을 개방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카메라(50), 전원부(60), 통신부(70), 구동부(80) 및 제어부(9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회전카메라(50)는 창틀 프레임(10)의 상부 프레임(11)에 설치될 수 있다. 회전 카메라는 창틀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택배 물품을 받는 과정 등을 촬영 및 녹화할 수 있다.
전원부(60)는 통신부(70), 회전카메라(50), 구동부(8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60)는 충전식 배터리, 건전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부(70) 드론, 택배 회사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 등과 통신을 담당하며 원거리 통신을 위한 휴대전화용 이동통신이나, 근거리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근거리통신(NFC) 및 사물인터넷(IoT)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구동부(80)는 각 구성들의 작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고정돌부(173)의 돌출 및 인입과 수평 구동암(32)이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구동부(80)는 구동 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90)는 각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통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1)의 작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통신부(70)는 택배 회사 서버 및 드론으로부터 택배 물품의 전달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통신부(70)는 기 설정된 근접 거리 이내에 도착한 드론과 암호화된 코드를 송수신하여 해당 드론을 식별할 수 있다. 드론이 식별되면, 제어부(90)와 구동부(80)에 의해 고정돌부(173)의 인입 및 수평 구동암(32)을 작동시켜 이동서랍장치(40)가 펼쳐지도록 창문 프레임(20)을 건물 외측의 전방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이때, 드론이 식별되면 전원부(60)는 회전카메라(50)에 전원을 공급하여, 회전카메라(50)는 드론에서 택배를 수령하는 모든 과정을 촬영 및 녹화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로 택배의 수령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거나 수령 후 녹화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수직 구동암(31)과 수평 구동암(32)이 완전히 펼쳐지도록 작동이 완료되어 제1 서랍판(411), 제2 서랍판(421) 및 제3 서랍판(431)의 상면이 모두 개방되면, 통신부(70)는 드론으로 물품 하달 가능 신호를 보낸다. 이후, 드론이 택배 물품을 서랍에 안착 완료 후 완료 신호를 송신하고, 통신부(70)는 해당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회전카메라(50) 또는 물품감지센서(미도시)를 통해 택배 물품이 안착된 것을 확인하고, 통신부(70)는 드론으로 택배 물품 하달 완료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
10: 창틀 프레임 11: 상부 프레임
12: 좌측부 프레임 13: 우측부 프레임
14: 하부 프레임 15: 제1 회동핀
16: 제2 회동핀 17: 작동고정부
171: 고정몸통 172: 홈부
173: 고정돌부 20: 창문 프레임
21: 내측 프레임 22: 외측 프레임
23: 유리부 24: 외풍 차단부
25: 수직암 연결부 251: 돌출부
252: 힌지부 253: 단턱걸림부
26: 수평암 연결부 30: 개폐장치
31: 수직 구동암 311: 제1 수직암
312: 제2 수직암 313: 수직링크
32: 수평 구동암 321: 제1 수평암
322: 제2 수평암 323: 수평링크
40: 이동서랍장치 41: 제1 이동부
411: 제1 서랍판 412: 가이드레일
42: 제2 이동부 421: 제2 서랍판
422: 제2 측면부 423: 제2 날개부
424: 가이드 돌부 425: 제2 블록
426: 연결레일 43: 제3 이동부
431: 제3 서랍판 432: 제3 측면부
433: 제3 날개부 434: 제3 후판부
435: 제3 레일인입부 436: 제3 블록
437: 이동레일 44: 제4 이동부
441: 제4 측면부 442: 제4 후판부
443: 제4 레일인입부 444: 제4 무빙레일
445: 제4 이동블록 446: 제4 안내레일
50: 회전카메라 60: 전원부
70: 통신부 80: 구동부
90: 제어부

Claims (10)

  1. 건물의 창틀에 설치되는 창틀 프레임;
    상기 창틀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창틀 프레임과 이격되거나 밀착되도록 조절되는 창문 프레임;
    상기 창틀 프레임과 상기 창문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창틀 프레임과 상기 창문 프레임이 이격되거나 밀착되도록 조절하는 개폐장치; 및
    상면에 택배 물품이 안착될 수 있는 서랍판 복수개가 층을 이루며 배치되어, 상기 창문 프레임이 상기 창틀 프레임에서 이격됨에 따라 복수의 서랍판이 슬라이딩되며 돌출 연장되고, 상기 창문 프레임이 상기 창틀 프레임에 밀착됨에 따라 복수의 서랍판 슬라이딩되며 층을 이루며 배치되는 이동서랍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서랍장치는,
    상기 창문 프레임의 하측에 연결되며, 상면에 택배 물품이 안착될 수 있는 제1 서랍판을 포함하는 제1 이동부;
    상면에 택배 물품이 안착될 수 있고, 상기 제1 서랍판의 하층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서랍판을 포함하는 제2 이동부;
    상면에 택배 물품이 안착될 수 있고, 상기 제2 서랍판의 하층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 서랍판과, 상기 제3 서랍판의 후방 단부에서 소정 높이 및 소정 길이로 연결되는 제3 후판부를 포함하는 제3 이동부; 및
    상기 제3 이동부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양 측의 제4 측면부와, 상기 제4 측면부와 후방 단부에서 상기 제3 후판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3 후판부와 이격되거나 밀착될 수 있는 제4 후판부를 포함하는 제4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창문 프레임이 상기 창틀 프레임에서 이격되어 전방을 향해 돌출됨에 따라, 상기 제1 서랍판, 상기 제2 서랍판 및 상기 제3 서랍판이 순차적으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4 이동부는 상기 창틀 프레임의 하부에서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창틀 프레임 양 측의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수직암과, 상기 창문 프레임 양 측의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2 수직암이 서로 연결되되, 상기 제1 수직암과 상기 제2 수직암이 연결된 부분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창틀 프레임과 상기 창문 프레임이 이격됨에 따라 상기 제1 수직암과 상기 제2 수직암이 이루는 하측 각도가 점차 커지는 수직구동암; 및
    상기 창틀 프레임 양 측의 상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수평암과, 상기 창문 프레임 양 측의 상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2 수평암이 서로 연결되되, 상기 제1 수평암과 상기 제2 수평암은 연결된 부분이 좌우 방향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창틀 프레임과 상기 창문 프레임이 이격됨에 따라 상기 제1 수평암과 상기 제2 수평암이 이루는 외측 각도가 점차 커지는 수평구동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서랍장치는,
    상기 창틀 프레임과 이격된 상태의 상기 창문 프레임이 상기 창틀 프레임과 밀착되도록 작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이동부와 상기 제2 이동부와 상기 제3 이동부가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제3 후판부가 상기 제4 후판부와 밀착되며,
    상기 창문 프레임이 상기 창틀 프레임과 완전히 밀착되어 상기 제3 후판부가 상기 제4 후판부와 밀착된 상태에서, 택배 물품이 상기 창틀 프레임의 폭보다 큰 경우, 택배 물품이 상기 창문 프레임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게 되어, 상기 택배 물품이 상기 제3 후판부를 후방으로 밀고, 상기 제3 후판부와 밀착되어 있던 상기 제4 후판부가 후방으로 밀리게 되어, 상기 제3 이동부와 제4 이동부가 상기 창틀 프레임의 후방으로 소정 거리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창틀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양 측 단부에 연결되는 좌측부 프레임과 우측부 프레임;
    상기 좌측부 프레임 및 상기 우측부 프레임 각각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좌측부 프레임 및 상기 우측부 프레임 각각의 내부 공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수직암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수직암의 축회전을 가이드하는 제1 회동핀; 및
    상기 제1 회동핀보다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창문 프레임 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홈부가 형성된 고정몸통과, 상기 고정몸통 내부의 상기 홈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홈부 상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부를 포함하는 작동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창문 프레임은,
    상기 창틀 프레임 내측으로 삽입 가능한 내측 프레임;
    상기 내측 프레임의 전면에서 상기 내측 프레임 테두리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창틀 프레임의 외측 테두리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외측 프레임; 및
    상기 외측 프레임의 전방 하부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외풍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창문 프레임은, 상기 외측 프레임의 좌측과 우측 각각의 내측면 하부에 상기 제2 수직암과 연결되어 상기 수직암의 축회전을 가이드하는 수직암 연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직암 연결부는,
    상기 외측 프레임의 내측면에서 소정 길이 돌출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2 수직암과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부; 및
    상기 돌출부의 상하 길이가 상기 힌지부의 상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와 상기 힌지부의 높이 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단턱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창문 프레임이 상기 창틀 프레임과 밀착된 경우,
    상기 제1 수직암과 상기 제2 수직암이 연결된 부분이 상승되도록 상기 수직구동암이 작동되어, 상기 제1 수직암, 상기 제2 수직암 및 상기 제2 수직암이 연결된 상기 수직암연결부가 상기 좌측부 프레임 및 상기 우측부 프레임 각각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홈부에 삽입된 상태의 상기 고정돌부가 상기 고정몸통 외측으로 돌출되면, 상기 고정돌부가 상기 단턱걸림부에 위치되어,
    상기 창문 프레임이 상기 창틀 프레임과 밀착된 상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창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택배 물품을 확인할 수 있는 회전 카메라; 및
    택배 물품 수신 여부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
KR1020210091171A 2021-07-12 2021-07-12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 KR102418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171A KR102418063B1 (ko) 2021-07-12 2021-07-12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171A KR102418063B1 (ko) 2021-07-12 2021-07-12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8063B1 true KR102418063B1 (ko) 2022-07-08

Family

ID=82407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171A KR102418063B1 (ko) 2021-07-12 2021-07-12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0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5291A (ko) 2022-10-20 2024-04-29 정규영 수면에 뜰수 있으며, 휴대가 편리한 드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3423A (ko) 2015-08-23 2017-03-06 박정철 드론 배송 시스템
KR101916627B1 (ko) * 2018-03-29 2018-11-07 최순호 복합 시스템 창호
KR20180123279A (ko) * 2017-05-08 2018-11-16 김관두 드론을 이용한 물품 배송을 위한 무인 물품 보관함
KR102033638B1 (ko) * 2018-12-07 2019-10-17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보안기능을 구비한 우편함
US20200315386A1 (en) * 2019-04-06 2020-10-08 Yu Yung Choi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ceiving and keeping purchase/parce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3423A (ko) 2015-08-23 2017-03-06 박정철 드론 배송 시스템
KR20180123279A (ko) * 2017-05-08 2018-11-16 김관두 드론을 이용한 물품 배송을 위한 무인 물품 보관함
KR101916627B1 (ko) * 2018-03-29 2018-11-07 최순호 복합 시스템 창호
KR102033638B1 (ko) * 2018-12-07 2019-10-17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보안기능을 구비한 우편함
US20200315386A1 (en) * 2019-04-06 2020-10-08 Yu Yung Choi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ceiving and keeping purchase/parc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5291A (ko) 2022-10-20 2024-04-29 정규영 수면에 뜰수 있으며, 휴대가 편리한 드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26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eiving packages delivered by unmanned vehicles
US20230034480A1 (en) Drone Delivery System
US202102724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ccess to a Secured Area
KR102418063B1 (ko) 드론을 이용한 택배 수신 시스템
US11185183B2 (en) Package receptacle having a locking mechanism
US10512351B1 (en) Package door for a garage door and package delivery method
US20180049575A1 (en) Parcel box for drone delivery
US20200324662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safeguarding and maintaining a mobile robot
US20200308903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f an Item
JP2019531844A (ja) セキュア荷物配達及び引取システム
KR102172953B1 (ko) 창문 인출수납형 드론 착륙장
US20210045564A1 (en) A package receiving and returning device
KR102080226B1 (ko) 드론 택배용 스마트 우편함
US20190133363A1 (en) Extendible collection apparatus
US11026533B2 (en) Package receptacle assembly integrated into an exterior feature of a home
US11896149B2 (en) Delivery door extension
KR20140045795A (ko) 무인 택배장치
KR102031245B1 (ko)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26848B1 (ko)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
US20190236521A1 (en) Retractable table tower for uav package delivery
GB2560048A (en) Post box assembly
JP2019136226A (ja) 宅配窓口
EP3818483B1 (en) Structure for deliveries and/or collections, in particular door for deliveries and/or collections
KR102326341B1 (ko) 정보통신을 이용한 친환경 공동주택 방범관리시스템
KR102398766B1 (ko) 택배물품 보관 시스템의 도어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