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7933B1 - evacuation device - Google Patents

evacu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7933B1
KR102417933B1 KR1020207032764A KR20207032764A KR102417933B1 KR 102417933 B1 KR102417933 B1 KR 102417933B1 KR 1020207032764 A KR1020207032764 A KR 1020207032764A KR 20207032764 A KR20207032764 A KR 20207032764A KR 102417933 B1 KR102417933 B1 KR 102417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hook
lock
handrail
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27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90552A (en
Inventor
노리아키 기도
데츠야 후지타니
가즈히로 데라오카
Original Assignee
나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90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05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9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62B1/04Single parts, e.g. fasten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adde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조작성이 양호한 피난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층측의 바닥(1)에 형성한 피난용 개구(2) 내에 보유지지되는 대기 위치와 하층 바닥면(3)의 사이에서 승강 구동되는 승강대(4)와, 걸어멈춤 위치에서 피난용 개구(2) 주연에 배치되는 피걸어멈춤부(5)에 걸어멈춤되어 승강대(4)를 대기 위치에 보유지지하는 회전이 자유로운 후크 부재(6)와, 잠금 위치에서 잠금측 돌출부(7)를 상기 후크 부재(6)에 형성된 후크측 돌출부(8)에 걸어멈춤시켜 상기 후크 부재(6)의 걸어멈춤 해제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잠금 해제 위치로의 이동에 따라 승강대(4)의 자중에 의해 후크 부재(6)를 걸어멈춤 해제 위치로 이동시켜 승강대(4)의 강하를 허용하는 잠금 부재(9)와, 상기 잠금 부재(9)를 회전 조작하는 잠금 조작부(10)를 가지고 구성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vacuation device with good operability.
Lifting platform 4 driven up and down between the standby position held in the evacuation opening 2 formed in the upper floor 1 and the lower floor surface 3, and the evacuation opening 2 in the locking position ) a rotatably free hook member 6 that is locked by a stopper 5 disposed on the periphery to hold the elevator 4 in a standby position, and a locking-side protrusion 7 in the locked position. The hook member 6 is locked by the hook-side protrusion 8 formed in (6) to regulate the movement of the hook member 6 to the unlocking position. It has a locking member (9) for allowing the lowering of the elevator (4) by moving the member (6) to the unlocking position, and a locking member (10) for rotationally operating the locking member (9).

Description

피난 장치evacuation device

본 개시는 피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evacuation device.

상하층 사이를 승강대를 이동시키는 피난 장치로서는 일본특허 제5648248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As an evacuation device for moving a lift platform between upper and lower floors, the one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No. 5648248 is known.

이 종래예에 있어서, 승강대는 상하층 사이에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를 따라 이동이 자유롭고, 가이드 부재에 설치되는 잠금 부재를 걸어멈춤시킴으로써 상층에 보유지지되고, 강하 조작은, 잠금 부재를 승강대와의 걸어멈춤 위치로부터 퇴피시킴으로써 행해진다.In this prior art, the elevator is freely movable along the guide member provid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loors, and is held on the upper floor by locking the locking member provided on the guide member, and the lower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engaging the locking member with the elevator. This is done by retracting from the stop position.

그러나, 상술한 종래예에 있어서, 승강대의 강하 조작시에는 승강대의 하중에 의해 큰 마찰력이 발생하는 잠금 부재를 퇴피 위치까지 이동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큰 조작력이 필요해지고 조작성이 나빠진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since it is necessary to move the locking member, which generates a large frictional force due to the load of the elevator platform, to the retracted position during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elevator platform,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operation force is required and the operability is deteriorated. .

본 개시는, 이상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조작성이 양호한 피난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drawback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n evacuation apparatus with good operability.

본 개시에 의하면 상기 목적은,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object is

상층에 형성한 피난용 개구 내에 보유지지되는 대기 위치와 하층의 사이에서 승강 구동되는 승강대와,a platform for lifting and lowering between the standby position held in the evacuation opening formed on the upper floor and the lower floor;

걸어멈춤 위치에서 피난용 개구 주연(周緣)에 배치되는 피걸어멈춤부에 걸어멈춤되어 승강대를 대기 위치에 보유지지하는 회전이 자유로운 후크 부재와,A rotatable hook member for holding the elevator in a stand-by position by being locked to a stopper disposed on the periphery of the evacuation opening in the stopped position;

잠금 위치에서 잠금측 돌출부를 후크 부재에 형성된 후크측 돌출부에 걸어멈춤시켜 이 후크 부재의 걸어멈춤 해제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잠금 해제 위치로의 이동에 따라 승강대의 자중에 의해 후크 부재를 걸어멈춤 해제 위치로 이동시켜 승강대의 강하를 허용하는 잠금 부재와,In the locking position, the locking-side protrusion is caught by the hook-side protrusion formed on the hook member to regulate the movement of the hook member to the unlocking position. a locking member that moves to an unlocked position to allow lowering of the platform;

잠금 부재를 회전 조작하는 잠금 조작부를 갖는 피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This is achieved by providing an evacuation device having a locking operation portion for rotationally operating the locking member.

후크 부재는 잠금 부재에 의해 걸어멈춤 해제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승강대를 대기 위치에 보유지지하고 있고, 잠금 부재에 의한 규제가 해제되면, 승강대의 자중에 의해 걸어멈춤 해제 위치로 이동한다.The hook member holds the elevator in the standby position by regulating movement in the unlocking direction by the locking member, and when the locking member releases the restriction, it moves to the unlocking position by its own weight.

잠금 부재를 직접 조작하는 일이 없는 본 개시에 있어서, 잠금 부재 조작시의 레버 비, 후크 부재와 잠금 부재의 걸어멈춤 부위의 접촉 상태 등은 적절히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해제 조작력을 저감시킬 수 있고,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e present disclosure in which the locking member is not directly operated, the lever ratio at the time of operating the locking member, the contact state of the hook member and the locking part of the locking member, etc.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so that the release operation force can be reduced; It becomes possible to improve operability.

또한, 피난 장치는,In addition, the evacuation device is

잠금 부재는, 잠금 해제 위치에서 잠금 위치측으로 바이어스됨과 아울러,The locking member is biased from the unlocked position to the locked position, and

잠금 부재와 후크 부재는, 잠금 위치 방향의 이동 경로와 걸어멈춤 위치 방향의 이동 경로를 서로 폐색하여 잠금 해제 위치와 걸어멈춤 해제 위치에 보유지지되고,the locking member and the hooking member are held in the unlocking position and the unlocking position by closing the movement path in the locking position direction and the movement path in the locking position direction from each other;

후크 부재에는, 승강대의 상승시에 피걸어멈춤부에 접촉하여 그 후크 부재를 걸어멈춤 위치측으로 구동하는 간섭 돌출부가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hook member may be configured to be provided with an interference protrusion for contacting the lockable portion and driving the hook member toward the locking position when the lifting platform is raised.

본 형태에 있어서, 대기 위치에서 잠금 부재를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면, 후크 부재는 잠금 부재에 의한 규제가 해제되어, 승강대의 자중에 의해 걸어멈춤이 해제된다. 걸어멈춤 해제 위치로 이동한 후크 부재는,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한 잠금 부재에 의해 걸어멈춤 위치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그 위치에 머문다.In this aspect, when the locking member is moved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unlocking position, the lock member is released from restriction by the locking member, and the lock is released by the weight of the elevator platform. The hook member that has moved to the unlocking position stays in that position while movement in the locking position is regulated by the locking member moved to the unlocking position.

한편, 후크 부재에는 간섭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고, 걸어멈춤 해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승강대가 상승하면, 간섭 돌출부가 피걸어멈춤부에 충돌 접촉하여, 후크 부재는 걸어멈춤 위치로 이행한다. 이에 의해, 걸어멈춤 부재에 의해 폐색되어 있던 잠금 부재의 잠금 위치측으로의 이동 경로는 개방되어, 잠금 위치 방향으로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잠금 위치로 이행하고, 이후, 승강대는 대기 위치에 보유지지된다.On the other hand, the hook member is provided with an interference protrusion, and when the platform rises while the locking state is maintained, the interference projection collides with the lockable part, and the hook member shifts to the locking position. Thereby, the movement path toward the locking position side of the locking member, which has been closed by the locking member, is opened, shifted to the locking position by the biasing force in the locking position direction, and thereafter, the platform is held in the standby position.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의 이행시에, 후크 부재가 피걸어멈춤부에 덮이도록, 직접 잠금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걸어멈춤 동작이 확실히 행해지고, 동작 신뢰성이 향상된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hook member moves directly to the locking position so that the lockable portion is covered by the locking position at the time of transition from the unlocking position to the locking position, the locking operation is reliably performed and the operation reliability is improved.

후크 부재와 잠금 부재를 각각 걸어멈춤 해제 위치 및 잠금 위치측으로 바이어스시키는 것은, 각각에 토션 스프링을 장착함으로써 실현 가능하지만,Biasing the hook member and the lock member to the unlocked position and the locked position side, respectively, can be realized by attaching a torsion spring to each,

후크 부재와 잠금 부재를 인장 부재에 의해 연결하면, 구조를 간단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f the hook member and the lock member are connected by a tension member, it becomes possible to simplify the structure.

후크 부재가 피걸어멈춤부에 걸어멈춤된 상태에서 잠금 부재를 잠금 위치에 보유지지하는 것은, 잠금 부재에 잠금 위치측 회전 종단을 결정하기 위한 적절한 스토퍼 부재를 마련함으로써 실현 가능하지만, 잠금 부재의 회전 종단을 스토퍼 부재로서 사용하지 않고 결정하면, 구조가 간단해진다.Retaining the locking member in the locking position with the hook member locked in the stopper can be realized by providing the locking member with an appropriate stopper member for determining the end of rotation on the locking position side, but the rotation of the locking member If the termination is determined without using the stopper member, the structure is simplified.

이러한 피난 장치는,These evacuation devices are

잠금 부재의 회전 중심은, 후크측 돌출부로부터 잠금측 돌출부로의 하중 부하에 의해 잠금 위치측으로의 회전력이 발생하는 위치에 배치됨과 아울러,The rotational center of the locking member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a rotational force to the locking position is generated by a load load from the hook-side protrusion to the lock-side protrusion,

잠금 부재에는, 후크 부재의 걸어멈춤 해제 위치측의 가장자리에 접촉하여 그 잠금 부재의 잠금 위치를 넘은 회전을 규제하는 후크 접촉부가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locking member may be configured to be provided with a hook contact portion that abuts against the edge of the hook member on the unlocking position side and regulates rotation beyond the locking position of the locking member.

본 예에서, 잠금 부재가 후크 부재로부터 걸어멈춤 해제 위치 방향의 힘을 받으면, 잠금 위치를 넘어 회전하고자 하는 회전력이 발생하는데, 잠금 부재는 후크 접촉부가 후크 부재에 압접하여 잠금 위치에 보유지지된다.In this example, when the locking member receives a force in the unlocking position direction from the hook member, a rotational force is generated to rotate beyond the locking position, and the locking member is held in the locking position with the hook contact portion in pressure contact with the hook member.

이 상태에서 더욱 잠금 부재가 후크 부재로부터 걸어멈춤 해제 방향의 힘을 받으면, 잠금 부재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잠금 부재에는, 회전 중심 방향의 압축력 등의 축력이 발생하고, 그대로의 상태에서 잠금 부재는 유지되며, 후크 부재의 잠금 상태가 유지된다.In this state, when the locking member further receives a force in the unlocking direction from the hook member, rotation of the locking member is regulated, so that an axial force such as a compressive force in the rotational center direction is generated in the locking member, and the lock is locked in the state as it is. The member is retained, and the locked state of the hook member is maintained.

나아가 잠금측 돌출부 및 후크측 돌출부가, 잠금 부재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상에 형성되는 피난 장치를 구성한 경우에는, 잠금 부재의 잠금 해제 위치측으로의 조작력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Furthermore, when the evacuation device is configured in which the lock-side protrusion and the hook-side protrusion are formed concentrically with the rotation center of the lock member as the center, the operating force of the lock member toward the unlocking position side can be reduced, thereby improving operability. it becomes possible to do

또한, 본 개시의 다른 형태로서, 피난 장치는,In addition, as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evacuation device includes:

일단이 잠금 부재에 연결되어 잠금 조작부의 조작력을 잠금 부재에 전달하는 와이어 장치와,a wire devic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ock member to transmit the operating force of the lock operation unit to the lock member;

와이어 장치의 잠금 부재에의 조작력 전달 방향을 잠금 부재의 회전 동작면에 평행한 면 내로 가이드하는 와이어 가이드를 가지고 구성할 수 있다.It can be configured with a wire guide for guiding the direction of transmission of the operating force to the locking member of the wire device into a plane parallel to the rotational operating surface of the locking member.

본 형태에 있어서, 후크 부재의 걸어멈춤 해제 조작을 행하는 잠금 부재에는 와이어 장치의 일단부(작동측 단부)가 연결되고, 작동측 단부의 동작 방향은 와이어 가이드에 의해 잠금 부재의 회전 동작면에 평행한 면 내로 가이드된다.In this aspect, one end (actuation-side end) of the wire device is connected to the locking member for performing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hook member, and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operating-side end is parallel to the rotational operating surface of the locking member by the wire guide Guided within one side.

이 결과, 와이어 장치의 타단부(조작측 단부)가 연결되는 잠금 조작부에 가해진 조작력은 효율적으로 후크 부재의 해제 조작력이 전달되기 때문에, 조작감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As a result, since the operation force applied to the lock operation portion to which the other end (operation-side end) of the wire device is connected is efficiently transmitted, the operation feeling can be improved.

이 경우,in this case,

잠금 부재는, 회전 동작면이 승강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지주의 좌우 측벽면에 평행하고, 이 가이드 지주의 좌우 양 측벽을 사이에 두는 위치에 한 쌍 배치되며,A pair of locking members are arranged so that the rotational operation surface is parallel to the left and right side wall surfaces of the guide post for guiding the elevator platform,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guide post are interposed therebetween;

와이어 장치는, 잠금 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작동 로드에 연결되는 피난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The wire device may constitute an evacuation device connected to an actuating rod connecting between the locking members.

나아가 본 개시의 다른 형태로서,Further, as another form of the present disclosure,

가이드 지주의 근방에 배치한 잠금 부재에 잠금 조작부의 조작력을 전달하는 와이어 장치를 가지며,It has a wire device that transmits the operating force of the lock operation unit to the lock member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guide post,

와이어 장치와 잠금 부재의 사이에 와이어 장치의 작동 방향을 잠금 부재의 잠금 해제 방향으로의 작동 방향으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장착한 피난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constitute an evacuation device in which a conversion section is mounted between the wire device and the locking member for converting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wire device to the operating direction in the unlocking direction of the locking member.

피걸어멈춤부는 피난용 개구의 주연이면 적절한 개소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가이드 지주의 피난용 개구 근방부에 설치하는 것이 강도 확보상 바람직하고, 이 경우, 후크 부재 및 잠금 부재는 승강대 상의 가이드 지주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Although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stopping part at an appropriate location as long as it is the periphery of the evacuation opening,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guide strut near the evacuation opening from the viewpoint of securing strength. In this case, the hook member and the locking member are the guide struts on the elevator placed in close proximity to

한편, 가이드 지주 둘레에는 완강 장치와 가이드 지주의 연결부, 가이드 지주의 피난용 개구와의 연결부, 혹은 승강대에 난간을 도복(倒伏)이 자유롭게 설치하는 경우에는 난간의 다리부 등 여러 가지의 부품이 좁은 장소에 밀집되어 있고, 와이어 장치의 배치는, 와이어 절단, 킹크의 발생으로 이어지는 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하여 행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around the guide post, various parts such as the connection part of the bracing device and the guide post,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evacuation opening of the guide post, or the leg part of the handrail are narrow when the handrail is freely installed on the elevator. It is dense in places, and it is necessary to arrange the wire device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parts that lead to wire cutting and kink generation.

그러나, 와이어 장치는 굴곡 곡률을 작게 하면 이너 와이어의 아우터 케이블과의 슬라이딩부에서의 마찰이 커지고, 조작부에 큰 조작력을 부여할 필요가 있어, 조작성의 저하를 야기한다.However, when the bending curvature of a wire device is made small, the friction in the sliding part of an inner wire with an outer cable becomes larg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large operating force to an operation part, and it causes the fall of operability.

와이어 장치와 잠금 부재의 사이에 변환부를 배치하는 본 형태에 있어서, 와이어 장치의 배치 경로를 다른 부품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과도하게 작은 굴곡 곡률이 되는 굴곡부가 발생하지 않도록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조작 신뢰성도 높일 수 있다.In this aspect of arranging the conversion section between the wire device and the locking member, the arrangement path of the wire device can be determined so that no interference with other components occurs and no bending section that becomes an excessively small bending curvature occurs. , operability can be improved, and operation reliability can also be increased.

또한,In addition,

잠금 부재는 가이드 지주의 전후 벽면에 평행한 면 내에서 작동하는 한 쌍이 배치되고,A pair of locking members are arranged operating in a plane parallel to the front and rear wall surfaces of the guide posts,

변환부는,conversion unit,

잠금 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작동 로드와,an actuating rod connecting between the locking members;

작동 로드의 축부에 걸어멈춤되는 로드 걸어멈춤부를 구비하여 와이어 장치에 연결되고, 와이어 인장 조작시에 로드 걸어멈춤부가 잠금 부재의 잠금 해제 위치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개방 레버를 갖는 피난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An evacuation device having an opening lever connected to the wire device and having an opening lever that is connected to the wire device and rotat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od stopper moves to the unlocking position side of the locking member during wire tensioning operation can do.

본 형태에 있어서, 와이어 장치에 인장 조작력이 부여되면, 개방 레버가 회전하여 작동 로드를 소정 방향으로 병진 구동하고, 잠금 부재를 작동시킨다.In this aspect, when a tensile operating force is applied to the wire device, the opening lever rotates to translate the actuating ro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o actuate the locking member.

나아가Furthermore

잠금 부재는 승강대의 좌우 대칭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The locking members are respectively disposed at left and right symmetrical positions of the elevator platform,

잠금 조작부는 승강대 상에 설치되는 난간에 한 쌍 배치되고, 또한 잠금 조작부에는 서로 맞물리는 기어형상부가 설치되는 피난 장치를 구성한 경우에는, 좌우 어느 쪽에 배치한 난간 상의 잠금 조작부를 조작해도, 반대측의 잠금 조작부를 동기시켜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좌우의 잠금 부재를 정확하게 동기시켜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When an evacuation device is configured in which a pair of lock operation units are arranged on a handrail installed on the elevator platform, and gear-shaped parts that engage with each other are provided on the lock operation unit, the lock on the opposite side is locked even if the lock operation units on either side of the handrail are operated. Since the operation portions can be operated in synchronization, it becomes possible to precisely synchronize and operate the left and right locking members.

이 결과, 좌우 중 어느 한쪽이 다른 쪽에 선행하여 잠금 해제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동작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any one of the left and right from being unlocked in advance of the other, 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operation reliability.

본 개시에 의하면, 피난 장치의 조작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indication, the operability of an evacuation apparatus can be made favorable.

도 1은, 본 개시에 의한 피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덮개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케이스의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케이스의 변형예의 도 3a의 3B부 확대도이다.
도 4는, 승강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5A부 확대도이다.
도 6은, 승강대에 휠체어를 실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도복 자세의 난간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난간의 동작을 나타내며, 기립 자세로의 이행 개시 직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b는, 난간의 동작을 나타내며, 기립 자세로의 이행 조작 종료 직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c는, 난간의 동작을 나타내며, 기립 자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d는, 난간의 동작을 나타내며, 임시 보유지지 자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는, 난간의 변형예를 나타내며, 기립 자세로의 이행 개시 직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는, 난간의 변형예를 나타내며, 임시 보유지지 자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c는, 난간의 변형예를 나타내며, 기립 자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잠금 조작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a는, 잠금 조작부의 정면도이다.
도 12b는, 잠금 조작부의 배면도이다.
도 13은, 세팅 상태의 슬로프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매달림 상태의 슬로프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는, 잠금 상태의 플랩의 측면도이다.
도 15b는, 잠금 상태의 플랩의 링크 구성도이다.
도 16a는, 플랩의 동작을 나타내며, 착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b는, 플랩의 동작을 나타내며, 승강대가 대기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a는, 슬로프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며, 돌출부 형성부의 사시도이다.
도 17b는, 슬로프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며, 세팅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a는, 도 17의 슬로프체의 동작을 나타내며, 매달림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b는, 도 17의 슬로프체의 동작을 나타내며, 세팅 상태로의 이행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변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a는, 후크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며, 걸어멈춤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b는, 후크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며, 잠금 상태가 해제된 직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c는, 후크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며, 잠금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d는, 후크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며, 잠금 해제되어 승강대가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승강대 보유지지 기구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a는, 다른 실시형태의 후크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며, 걸어멈춤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b는, 다른 실시형태의 후크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며, 잠금 상태가 해제된 직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a는, 도 22의 후크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며, 승강대의 상승에 의해 후크 보조 부재가 피걸어멈춤부에 충돌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b는, 도 22의 후크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며, 승강대가 더욱 상승하여 간섭 돌출부가 피걸어멈춤부에 접촉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a는, 변환부의 동작을 나타내며, 도 19의 24A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24b는, 변환부의 동작을 나타내며, 도 24a의 24B-24B 단면도이다.
도 25a는, 변환부의 동작을 나타내며, 개방 레버가 회전 구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b는, 변환부의 동작을 나타내며, 잠금 조작부에의 조작력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로, 도 4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도 26의 27A부 확대도이다.
도 28a는, 후크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 20에 대응하며, 걸어멈춤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b는, 후크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 20에 대응하며, 잠금 상태가 해제된 직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c는, 후크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 20에 대응하며, 잠금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d는, 후크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 20에 대응하며, 잠금 해제되어 승강대가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승강대 보유지지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a는, 잠금 부재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며, 잠금 조작부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b는, 잠금 부재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며, 잠금 조작부를 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난간 하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2는, 기립 자세의 난간을 나타내는 측면이다.
도 33a는, 난간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복 자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b는, 난간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복 자세로부터 기립 자세로의 이행 도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a는, 난간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기립 자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b는, 난간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잠금 조작 부재를 작동 위치측으로 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a는, 난간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잠금 조작 부재를 작동 위치까지 회전 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b는, 난간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난간이 도복 자세측으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 is a figure which shows the evacuation apparatus by this indication.
2 :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cover body was opened.
3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dified example of the case.
Fig. 3B is an enlarged view of part 3B of Fig. 3A of a modified example of the case.
4 is a plan view of the elevator platform.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5A of FIG. 4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heelchair is mounted on the elevator platform.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1;
8 : is a figure which shows the principal part of the handrail in the propulsion posture.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operation|movement of a handrail, and shows immediately after the shift to a standing posture is started.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operation|movement of a handrail, and shows just before completion|finish of transition operation to a standing posture.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operation|movement of a handrail, and shows a standing posture.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operation|movement of a handrail, and shows the temporary holding posture.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modified example of a handrail, and shows immediately after the transition to a standing posture is started.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modified example of a handrail, and shows the temporary holding posture.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modified example of a handrail, and shows a standing post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 operation unit.
Fig. 12A is a front view of the lock operation unit.
12B is a rear view of the lock operation unit.
13 :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lope body of a setting state.
14 :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lope body of a suspended state.
Fig. 15A is a side view of the flap in a locked state;
Fig. 15B is a link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flap in a locked state.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operation|movement of a flap, and shows the landing state.
Fig. 16B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lap just before the elevator platform reaches the standby position.
17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slope body, and is a projection forming part.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modified example of a slope body, and shows a setting state.
Fig. 18A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lope body of Fig. 17 and showing a suspended state.
Fig. 18B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lope body of Fig. 17 and showing a state immediately before transition to a setting state.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rsion unit.
Fig. 20A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hook member and showing a stopped state;
20B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hook member immediately after the locking state is released.
Fig. 20C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hook member and showing the unlocked state.
20D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hook member, and the lock is released and the elevator platform moves.
Fig.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ifting platform holding mechanism.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operation|movement of the hook member of another embodiment, and shows the locked state.
Fig. 22B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hook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mmediately after the locking state is released.
FIG. 23A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hook member of FIG. 22, and shows a state in which the hook auxiliary member collides with the stopper by the lifting of the elevator platform.
Fig. 23B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hook member of Fig. 22, and showing a state immediately before the elevator platform is further raised so that the interfering protrus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opper.
Fig. 24A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verter, viewed from the direction 24A in Fig. 19 .
Fig. 24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24B-24B of Fig. 24A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verter.
Fig. 25A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version unit and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lever is rotationally driven.
Fig. 25B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conversion unit, and a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force to the lock operation unit is released.
26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is a diagram corresponding to FIG. 4 .
Fig. 2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27A of Fig. 26;
Fig. 28A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20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hook member, and showing a locked state.
Fig. 28B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20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hook member and showing immediately after the locking state is released.
Fig. 28C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20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hook member and showing the unlocked state.
Fig. 28D corresponds to Fig. 20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hook member, and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 is released and the elevator is moved.
Fig. 2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fting platform holding mechanism.
Fig. 30A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locking member and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 operation unit is not operated.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operation state of the lock member, and shows the state which operated the lock operation part.
Fig. 3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end of the handrail.
Fig. 32 is a side view showing the handrail in a standing posture.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operation|movement of a handrail, and is a figure which shows a fall posture.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operation|movement of a handrail, and is a figure which shows the middle of transition from a lying posture to a standing posture.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operation|movement of a handrail, and is a figure which shows a standing posture.
Fig. 34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handrail, and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 operation member is operated to the operating position side.
Fig. 35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handrail, and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 operation member is rotated to an operating position.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operation|movement of a handrail, and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which the handrail rotated to the falling posture side.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난 장치는, 상층측의 바닥(1)에 형성된 개구에 끼워맞춤 고정되어 피난용 개구(2)를 형성하는 케이스(2a)와, 피난용 개구(2)를 폐색하기 위한 덮개체(21)와, 하층의 바닥면(3) 상에 세워 설치되고, 상단이 상기 피난용 개구(2)에 고정되는 가이드 지주(14)와, 승강대(4)를 가진다.As shown in Fig. 1 or less, the evacuation device includes a case 2a that is fitted and fixed to an opening formed in the floor 1 on the upper side to form an evacuation opening 2, and an evacuation opening 2, It has a cover body (21) for closing, a guide post (14) which is installed upright on the bottom surface (3) of the lower floor, and whose upper end is fixed to the opening (2) for evacuation, and a platform (4).

승강대(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난용 개구(2) 내에 보유지지되는 대기 위치와, 이 대기 위치로부터 가이드 지주(14)를 따라 강하하여 하층 바닥면(3) 상에 착지하는 피난 위치의 사이에서 승강 구동된다.As shown in FIG. 1 , the elevator platform 4 descends from a standby position held in the evacuation opening 2 and the guide post 14 from this standby position and lands on the lower floor surface 3 . Lifting and lowering is driven between the evacuation positions that do.

상기 가이드 지주(14)는 적절한 좌굴 강도를 갖는 중공 파이프체로서, 예를 들어 알루미늄을 압출 성형하여 형성된다. 이 가이드 지주(14)의 하단부는 하층의 바닥 슬래브에, 상단부는 케이스(2a)에 고정된다.The guide post 14 is a hollow pipe body having an appropriate buckling strength, and is formed by extrusion molding, for example, aluminum. The lower end of this guide post 14 is fixed to the lower floor slab, and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case 2a.

또한, 가이드 지주(14)의 일측벽면에는 랙 홈(14a)이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 홈(14a)은, 스테인리스 등의 고강도의 판재에 소정 피치로 오목부(14b)를 형성한 것으로, 가이드 지주(14)의 대략 전체길이에 걸쳐 형성된다.In addition, a rack groove (14a) is formed in one side wall surface of the guide post (14). As shown in FIG. 1 , the rack groove 14a is formed by forming recesses 14b at a predetermined pitch in a high-strength plate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and is formed over approximately the entire length of the guide post 14 .

나아가 이 경우, 도 3a,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a)의 주연의 하단에 오목부(2b)를 형성하면, 승강대(4)가 퇴피 위치로부터 상승하여 대기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의 하부 덮개와 케이스(2a) 하부 가장자리의 충돌음의 발생을 막을 수 있다.Furthermore, 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3A and 3B, if the recess 2b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eriphery of the case 2a, the lower part when the elevator 4 rises from the retracted position and reaches the standby pos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collision sound between the cover and the lower edge of the case (2a).

나아가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지주(14)의 중공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와이어에 의해 매달리는 무게추(15)가 수용되어 있고, 승강대(4)가 하층에 도달한 후, 이용자가 승강대(4)를 내리면, 무게추(15)의 중량에 의해 승강대(4)는 대기 위치로 복귀한다.Further, as shown in Figures 4 and 5,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guide post 14, a weight 15 suspended by a wire (not shown) is accommodated, and after the elevator 4 reaches the lower floor, the user When the lifting platform 4 is lowered, the lifting platform 4 returns to the standby position by the weight of the weight 15 .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대(4)는, 휠체어(23)의 이용자가 탈 수 있는 충분한 넓이 및 내하중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휠체어(23)는, 도 4, 6에서 좌측의 후연부(後緣部)로부터 중앙부의 휠체어 탑재 영역(4a)에 올라탈 수 있다. 휠체어 탑재 영역(4a)의 경사 후방에는, 보호자가 타기 위한 보조 공간(4b)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6 , the platform 4 is formed to have a sufficient width and load-bearing capacity for a user of the wheelchair 23 to ride, and the wheelchair 23 is, in FIGS. 4 and 6 , the left rear edge You can get on and off the wheelchair mounting area 4a in the central part from the rear. An auxiliary space 4b for a guardian to ride is formed in the inclined rear of the wheelchair mounting area 4a.

또, 본 명세서에서, 휠체어(23)의 진행 방향(도 4에서의 우측)을 「전방」, 올라타는 측을 「후방」, 도면에서 상하 방향을 「측방」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let the advancing direction (the right side in FIG. 4) of the wheelchair 23 be "front", let the riding side be "rear", and let the up-down direction in the figure be "side".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승강대(4)의 각 측변부에는, 상기 가이드 지주(14)가 삽입통과하는 지주 삽입통과 개구(4c)가 형성되고, 지주 삽입통과 개구(4c)를 사이에 둔 전후에는 승강대(4)의 강하 속도를 저하시키기 위한 완강 장치(24)가 탑재된다. 완강 장치(24)의 회전축(24a)에는 상기 가이드 지주(14)의 오목부(14b)에 맞물리는 피니언(24b)이 고정되어 있고, 이 피니언(24b)의 회전수를 완강 장치(24)에 의해 감속함으로써 승강대(4)의 강하 속도가 저감된다.As shown in Figs. 4 and 5, at each side of the lifting platform 4, a post insertion opening 4c through which the guide post 14 is inserted is formed, and the post insertion opening 4c is formed. Before and after being sandwiched, a buckling device 24 for lowering the descending speed of the lifting platform 4 is mounted. A pinion 24b engaged with the concave portion 14b of the guide post 14 is fixed to the rotation shaft 24a of the arming device 24, and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pinion 24b is set to the arming device 24. The lowering speed of the elevator platform 4 is reduced by decelerating it.

또한, 승강대(4)에는 가이드 지주(14)의 전후 방향 벽면, 및 외측의 측벽면에 접촉하는 롤러(4d)가 배치되어 있어, 승강시의 흔들림 등이 규제된다.Moreover, the roller 4d which contacts the front-back direction wall surface of the guide post 14, and the outer side wall surface is arrange|positioned on the hoisting table 4, and shaking|fluctuation at the time of raising/lowering is regulated.

나아가 승강대(4)의 전연부(前緣部)에는, 난간(25)이 배치된다. 난간(25)은, 파이프체를 절곡하여 형성되고, 가로대(25a)와, 가로대(25a)의 양단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대(25b)를 가지고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난간(25)의 승강대(4)에의 장착은, 각 세로대(25b)의 자유단부를 승강대(4)에 고정되는 난간 브래킷(26)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하여 행해진다.Furthermore, the handrail 25 is arrange|positioned at the front edge part of the hoisting table 4 . The handrail 25 is formed by bending a pipe body, and has a cross bar 25a and a vertical bar 25b extending in a right angle direction from both ends of the cross bar 25a, and is formed in a U-shape. The handrail 25 is attached to the elevator platform 4 by rotatably connecting the free end of each vertical rod 25b to the handrail bracket 26 fixed to the elevator platform 4 .

상기 난간(25)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대(4)의 표면을 따르는 도복 자세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대(25a)가 상방으로 끌어올려진 기립 자세의 사이를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난간(25)은, 기립 자세측으로 바이어스되어 있어, 덮개체(21)를 폐색함으로써 도복 자세를 보유지지하고, 덮개체(21)의 개방 조작에 따라 자동적으로 기립 자세로 이행한다.The handrail 25 is, as shown in FIG. 1 , between the protruding posture along the surface of the elevator 4 and the standing posture in which the cross bar 25a is pulled upward as shown in FIG. 2 . can move rotationally. The handrail 25 is biased toward the standing posture, and by closing the cover body 21 , the fall posture is maintained, and automatically shifts to the standing posture according to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cover body 21 .

도 7, 8에 난간(25)의 상세를 나타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25)의 각 세로대(25b)는 하단부를 잠금 조작편(25c)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해, 하단으로부터 약간 상방 위치에서 난간 브래킷(26)에 연결되고, 토션 스프링(31a)에 의해 기립 자세측, 즉, 도 8에서의 시계방향의 바이어스력이 부여된다.The detail of the handrail 25 is shown to FIG. 7, 8. As shown in Fig. 8, each longitudinal pole 25b of the handrail 25 is connected to the handrail bracket 26 at a position slightly upward from the lower end, so as to function the lower end as a locking operation piece 25c, and a torsion spring ( 31a), a biasing force is applied to the standing posture side, that is,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Fig. 8 .

난간 브래킷(26)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잠금 위치, 잠금 해제 위치, 및 임시 보유지지 위치 사이를 연결하는 장공 형상의 이동 통로(26a)가 형성되고, 양쪽의 난간 브래킷(26) 사이에 걸쳐지는 봉상(棒狀)의 난간 잠금체(28)의 양단이 이동 통로(26a)에 삽입된다.In the handrail bracket 26, as shown in FIG. 8, a long hole-shaped moving passage 26a connecting between the locking position, unlocking position, and temporary holding posi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and the handrail brackets on both sides ( 26) The both ends of the bar-shaped handrail locking body 28 spanned therebetween are inserted into the moving passage 26a.

상기 잠금 위치는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25)이 기립 자세에 있을 때, 난간 잠금체(28)가 잠금 조작편(25c)의 도복 자세측으로의 이동 경로를 폐색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도 9b에서 난간 잠금체(28)가 위치하는 잠금 해제 위치는, 난간 잠금체(28)가 잠금 조작편(25c)의 이동 궤적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다.The locking position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handrail locking body 28 blocks the movement path of the locking operation piece 25c to the falling posture side when the handrail 25 is in the standing posture, as shown in Fig. 9C, , the unlocking position at which the handrail locking body 28 is located in Fig. 9b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handrail locking body 28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locking operation piece 25c.

또한, 도 9d에서 난간 잠금체(28)가 위치하는 임시 보유지지 위치는,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 설치되고, 잠금 조작편(25c)의 이동 궤적에 간섭하지 않는 비간섭 경로(26b)의 종단을 잠금 조작편(25c)의 이동 궤적과의 간섭 영역에 다시 진입시킨 위치에 설치되며, 본 예에서는, 난간 잠금체(28)가 끼워맞춤 가능한 노치형상의 오목부(26c)를 난간(25)의 회전 중심 방향으로 연장시켜 형성된다.In addition, in Fig. 9D, the temporary holding position at which the handrail locking body 28 is located is extended from the unlocking position to the rear, and a non-interfering path 26b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locking operation piece 25c. is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end of the locking operation piece 25c re-enters the interference region with the movement trajectory. 25) is formed by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rotation.

나아가 상기 난간 잠금체(28)의 이동 통로(26a) 내에서의 위치를 결정시키기 위해, 난간 잠금체(28)에는, 일단이 난간(25)의 회전 중심(C33)에 고정되는 제1 인장 스프링(29)과, 일단이 난간 브래킷(26)의 전단부에 고정되는 제2 인장 스프링(30)이 연결된다.Further, in order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handrail locking body 28 within the moving passage 26a, the handrail locking body 28 has a first tension spring having one end fixed to the rotational center C33 of the handrail 25 . (29) and a second tension spring (30) having one end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handrail bracket (26) are connected.

따라서, 본 예에서, 덮개체(21)를 개방하면, 난간(25)은, 도 8에 도시된 도복 자세로부터 토션 스프링(31a)의 복원력에 의해 기립 자세측으로 이동한다. 기립 자세로의 이행에 따라, 우선,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조작편(25c)은 잠금 위치에 보유지지되어 있는 난간 잠금체(28)에 간섭하고, 더욱 기립 자세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 잠금체(28)를 잠금 해제 위치측으로 밀어낸다.Accordingly, in this example, when the cover body 21 is opened, the handrail 25 moves from the falling posture shown in Fig. 8 to the standing posture sid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31a. With the transition to the standing posture, first, as shown in Fig. 9A, the locking operation piece 25c interferes with the handrail locking body 28 held in the locked position, and as it moves further toward the standing posture, As shown in Fig. 9B, the handrail locking body 28 is pushed toward the unlocked position.

이후, 더욱 난간(25)이 기립 자세측으로 이동하면, 난간 잠금체(28)는 제1, 제2 인장 스프링(29, 30)의 복원력에 의해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위치로 복귀한다.Thereafter, when the handrail 25 further moves to the standing posture side, the handrail locking body 28 returns to the locked position as shown in FIG. 9C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tension springs 29 and 30. .

난간(25)이 기립 자세에 있을 때, 잠금 위치에 있는 난간 잠금체(28)는,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조작편(25c)의 도복 위치 방향으로의 이동을 이동 통로의 벽면에 의해 규제하기 때문에, 난간(25)에 도복 방향의 힘을 가해도 난간(25)이 쓰러지는 일은 없다.When the handrail 25 is in the standing posture, the handrail locking body 28 in the locked position prevents the movement of the locking operation piece 25c in the lowering position direction to the wall surface of the moving passage, as shown in Fig. 9C. In order to regulate by this, the handrail 25 does not fall down even if the force of the fall direction is applied to the handrail 25.

이 상태로부터,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 잠금체(28)를 잠금 해제 위치를 넘어 임시 보유지지 위치까지 이동시키면, 난간 잠금체(28)는, 제1 인장 스프링(29)에 의해 임시 보유지지 위치의 종단벽에 눌려붙여짐과 아울러, 제2 인장 스프링(30)의 바이어스력에 의한 잠금 위치 방향의 이동이 오목부(26c)의 벽면에 의해 형성되는 스토퍼벽(26d)에 의해 차단되는 결과, 임시 보유지지 위치로부터 이탈하는 일이 없다.From this state, as shown in FIG. 9D , when the handrail lock 28 is moved beyond the unlocked position to the temporary holding position, the handrail lock 28 is temporarily held by the first tension spring 29 . While being pressed against the end wall of the holding position, movement in the locking position direction by the biasing force of the second tension spring 30 is blocked by the stopper wall 26d formed by the wall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26c. As a result, there is no deviation from the temporary holding position.

또한,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 잠금체(28)의 중심부는 승강대(4)의 후방에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이 난간 잠금체(28)의 중심부를 후방을 향하여 밀어넣는 것만으로도, 난간 잠금체(28)는, 비간섭 경로(26b)의 종단으로 이동하고, 이후, 밀어넣음 조작을 종료하면, 제1 인장 스프링(29)의 복원력에 의해 임시 보유지지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Further, as shown in Figs. 4 and 5, since the central portion of the handrail locking body 28 is open to the rear of the elevator platform 4, only push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handrail locking body 28 toward the rear Also, the handrail locking body 28 moves to the end of the non-interfering path 26b, and then, when the pushing operation is finished, it can be moved to the temporary holding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tension spring 29. have.

나아가 도 9d의 상태, 즉, 난간(25)이 기립 위치에 있고, 또한 난간 잠금체(28)가 임시 보유지지 위치에 있는 상태로부터 난간(25)을 도복시키면, 난간 잠금체(28)는, 잠금 조작편(25c)에 의해 임시 보유지지 위치로부터 비간섭 경로(26b)로 밀려나가고, 그 후, 제2 인장 스프링(30)의 복원력에 의해 잠금 위치로 되돌려진다.Further, when the handrail 25 is rolled over from the state of FIG. 9D, that is, the handrail 25 is in the standing position and the handrail lock 28 is in the temporary holding position, the handrail locking body 28 is It is pushed out from the temporary holding position to the non-interfering path 26b by the locking operation piece 25c, and then returned to the locked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econd tension spring 30.

따라서, 본 예에서, 피난 장치의 사용 후, 승강대(4)가 대기 위치로 복귀한 상태에서 난간 잠금체(28)를 임시 보유지지 위치로 이동시키고, 다음으로 덮개체(21)를 폐색시키는 것만으로도 난간(25)을 도복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refore, in this example, after use of the evacuation device, only moving the handrail locking body 28 to the temporary holding posi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elevator platform 4 returns to the standby position, and then closing the cover body 21 is It is also possible to move the handrail 25 to the dobok position.

본 예에서 토션 스프링(31a)의 일단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 브래킷(26)의 승강대(4)에의 장착편(26e)을 관통하여 승강대(4) 내에 삽입되어 있지만, 도 10a, 10b,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 브래킷(26)의 후부 절곡편(26f)에 걸어멈춤시킬 수도 있다.In this example, one end of the torsion spring 31a penetrates the mounting piece 26e to the elevator 4 of the handrail bracket 26 as shown in Fig. 8 and is inserted into the elevator 4, but in Fig. 10a, As shown in 10b, 10c, it is also possible to lock the rear bent piece 26f of the handrail bracket 26.

또, 이후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도면 중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each subsequent embodiment, the component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is given the same code|symbol in the drawing,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omitted.

이상의 난간(25)에는, 후술하는 잠금 부재(9)를 조작하기 위한 잠금 조작부(10)가 배치된다. 잠금 조작부(10)는, 난간(25)의 가로대(25a)의 중심부에 설치되고, 휠체어(23)를 탄 피보호자의 부자유스럽지 않은 어떤 팔로도 조작할 수 있도록, 혹은 보호자가 어떤 보조 공간(4b)에 타도 피보호자의 어깨너머로 조작할 수 있도록, 가로대(25a)의 중심 위치에 대해 대칭 위치에 한 쌍 설치된다.A lock operation unit 10 for operating a lock member 9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on the handrail 25 described above. The lock operation unit 10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crosspiece 25a of the handrail 25, and can be operated by any arm that is not inconvenient of the person to be seated in the wheelchair 23, or by the guardian in any auxiliary space 4b. A pair is installed in a symmetric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sition of the crossbar 25a so that it can be operated over the shoulder of the person to be protected even if it is overturned.

이들 잠금 조작부(10) 중 어느 것을 조작해도, 후술하는 이너 와이어(15b)를 동기시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잠금 조작부(10)에는 서로 맞물리는 기어형상부(20)가 형성된다.The pair of locking operation units 10 are provided with gear-shaped portions 20 that mesh with each other so that an inner wire 15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operated in synchronization with any one of these lock operation units 10 .

또한, 각 잠금 조작부(10)는, 피보호자가 팔을 잠금 조작부(10) 상에 올려놓아 체중을 가하는 것만으로도 조작할 수 있도록, 혹은 보호자가 피보호자의 어깨너머로 밀어넣는 것만으로도 조작할 수 있도록, 도 6,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형상이며, 또한 하방향으로 눌러내림으로써 잠금 부재(9)의 잠금 해제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배려된다.In addition, each lock operation unit 10 can be operated by the protector by placing his or her arm on the locking operation unit 10 and applying a weight, or by pushing the protector over the shoulder of the protector. , as shown in Figs. 6 and 11 , it is shaped like a lever,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locking member 9 can be unlocked by pushing it down.

이들 잠금 조작부(10)에 의한 잠금 부재(9)의 조작은 아우터 케이블(15a) 내에 이너 와이어(15b)를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통과시킨 와이어 장치(15)를 사용하여 행해지고, 도 11, 12a,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중심(C10) 둘레로 회전 조작 가능한 각 잠금 조작부(10)에는 각각 이너 와이어(15b)가 연결된다.The operation of the locking member 9 by these locking operation parts 10 is performed using the wire device 15 in which the inner wire 15b is freely inserted into the outer cable 15a, and Figs. 11, 12A, and 12B. As shown in , the inner wire 15b is connected to each lock operation unit 10 that can be rotated around the rotation center C10.

와이어 장치(15)를 풀 사양으로서 사용하기 위해, 이너 와이어(15b)는 연결 대상의 잠금 조작부(10)와 반대측의 잠금 조작부(10) 내에 삽입통과시킨다. 잠금 조작부(10)에 연결된 와이어 장치(15)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형상의 난간(25)에 형성한 와이어 도입 개구(25d)로부터 난간(25)의 내부 공간 내에 끌려들어간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와이어 도출 개구(25e)로부터 난간(25) 외부로 인출되어, 승강대(4)의 표면상 적절한 높이로 난간(25)의 세로대(25b)를 따르도록 하여 배치되어 후술하는 변환부(16)에 연결된다.In order to use the wire device 15 as a full specification, the inner wire 15b is inserted through the lock operation part 10 on the opposite side to the lock operation part 10 to be connected. After the wire device 15 connected to the lock operation unit 10 is drawn into the inner space of the handrail 25 from the wire introduction opening 25d formed in the pipe-shaped handrail 25, as shown in FIG. , as shown in Fig. 5, is again drawn out of the handrail 25 from the wire lead-out opening 25e, and arranged so as to follow the stringer 25b of the handrail 25 to an appropriate height on the surface of the lift 4 It is connected to the conversion unit 16 to be described later.

나아가 승강대(4)의 휠체어 탑재 영역(4a)의 후단부에는 플랩(31)이 회전축(C31) 둘레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고, 나아가 그 후방에는 승강대(4)가 하층 바닥면(3)에 착지한 상태에서 하층 바닥면(3)과의 단차를 흡수하기 위한 경사면(32)이 형성된다.Further, at the rear end of the wheelchair loading area 4a of the elevator 4, a flap 31 is freely rotatably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ound the rotation shaft C31, and further, the elevator 4 is connected to the lower floor surface 3 ), an inclined surface 32 for absorbing the step with the lower floor surface 3 in the state of landing is formed.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플랩(31)은 하층 바닥면(3)에의 착지와 함께 잠금이 해제되어 하방으로의 회전이 허용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하층 바닥면(3)에 착지한 후, 휠체어(23)를 후퇴시키면, 플랩(31)이 눌려내려가도록 회전하여 자유단부가 경사면(32) 상에 올라타고, 그대로 하층 바닥면(3)으로 진행될 수 있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lap 31 is unlocked upon landing on the lower floor surface 3 to allow downward rotation, and after landing on the lower floor surface 3, the wheelchair 23 ) is retracted, the flap 31 is rotated to be pressed down, and the free end is mounted on the inclined surface 32 , and can proceed to the lower floor surface 3 as it is.

또한, 상층측의 대기 위치에서 휠체어(23)의 탑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피난용 개구(2)에는 슬로프체(33)가 연결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facilitate mounting of the wheelchair 23 in the standby position on the upper floor, a slope body 33 is connected to the evacuation opening 2 .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로프체(33)는, 휠체어(23)가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폭치수를 갖는 판체로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단부가 승강대(4) 상에 올라탄 세팅 위치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난용 개구(2)로부터 매달린 상태의 매달림 자세의 사이에서 회전 중심(C33) 둘레로 회전한다.As shown in FIG. 6 , the slope body 33 is a plate body having a width dimension enough to allow the wheelchair 23 to pass, and as shown in FIG. 13 , the free end is on the platform 4 . It rotates around the rotation center C33 between the setting position and the hanging posture of the state suspended from the opening 2 for evacuation, as shown in FIG. 14.

이 슬로프체(33)의 자유단에는 세팅 롤러(34)와 받침 롤러(35)가 연결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 위치에서 받침 롤러(35)는 경사면(34) 상에 올라타서 슬로프체(33) 상을 통과하는 휠체어(23)의 하중을 부담한다.A setting roller 34 and a support roller 35 are connected to the free end of the slope body 33 . As shown in FIG. 13 , in the setting position, the support roller 35 rides on the inclined surface 34 and bears the load of the wheelchair 23 passing on the slope body 33 .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플랩(31)은 승강대(4)가 대기 위치에 있을 때, 슬로프체(33)의 자유단 상에 올라탄 상태로 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상층측 바닥면(1)과 승강대(4)의 표면의 사이에는 슬로프체(33)가 걸쳐져 상층측 바닥면(1)과 승강대(4) 표면의 사이의 단차가 해소된다.Further, as shown in Fig. 13, the flap 31 described above is mounted on the free end of the slope body 33 when the elevator platform 4 is in the standby position, and in this state, the upper floor side A slope body 33 is spanned between the floor surface 1 and the surface of the elevator platform 4 to eliminate the step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floor surface 1 and the surface of the elevator platform 4 .

이 상태에서 승강대(4)가 강하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32)에 의한 지지를 받지 못하게 된 슬로프체(33)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전하여 매달림 자세로 이행한다.When the elevator 4 descends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14 , the slope body 33, which is not supported by the inclined surface 32, rotates downward by its own weight and shifts to the hanging posture.

상기 세팅 롤러(34)는 슬로프체(33)가 매달림 자세에 있고, 상승해 온 승강대(4)의 보조 공간(4b) 내측 단부 상면에 접촉하였을 때에 슬로프체(33)에 세팅 위치 방향, 즉, 도 14에서 반시계방향의 회전 조작력을 발생시키도록 배치된다.The setting roller 34 is positioned on the slope body 33 in the setting position direction, that is, when the slope body 33 is in the hanging posture an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end of the auxiliary space 4b of the elevated platform 4 , that is, It is arranged to generate a counterclockwise rotational operation force in FIG. 14 .

따라서 본 예에서, 승강대(4)가 강하 후, 다시 대기 위치측으로 이동하면, 우선, 세팅 롤러(34)가 승강대(4)의 보조 공간(4b) 내측 단부 상면에 접촉하여, 슬로프체(33)가 승강대(4)와 상승함과 아울러 세팅 위치로 복귀하고, 도 13에 도시된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Therefore, in this example, when the platform 4 moves to the standby position again after descending, first, the setting roller 34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end of the auxiliary space 4b of the platform 4, and the slope body 33 As it rises with the platform 4, it returns to the setting position, and returns to the initial state shown in FIG.

또한, 승강대(4)와 세팅 롤러(34)가 충돌 접촉하였을 때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피난용 개구(2)와 슬로프체(33)의 이면의 사이에는 댐퍼(36)가 장착된다.Further, a damper 36 is attached between the evacuation opening 2 and the back surface of the slope body 33 in order to absorb the impact when the elevator platform 4 and the setting roller 34 collide with each other.

상기 플랩(3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대(4)의 휠체어 탑재 영역(4a)의 후단부에 상하 방향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도 14에 도시된 기립 자세와, 자유단이 경사면(32)에 올라탄 도복 자세의 사이에서 회전하고, 회전축(C31)에 감김 장착되는 토션 스프링(31a)에 의해 기립 자세측으로 바이어스된다. 플랩(31)의 기립 자세에서의 각도는, 플랩(31)의 전후방향의 길이 치수를 고려하여, 승강대(4) 상의 휠체어(23)의 바퀴 멈춤용으로서 기능할 정도로 결정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lap 31 is freely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wheelchair mounting area 4a of the elevator 4, so that the standing posture shown in FIG. 14 and the free end are inclined surfaces 32 ) and rotates between the propulsion postures, and is biased toward the standing posture side by the torsion spring 31a wound around the rotating shaft C31. The angle in the standing posture of the flaps 31 is determined to such an extent that it functions as a wheel stopper of the wheelchair 23 on the platform 4 in consideration of the longitudinal dimension of the flaps 31 in the front-rear direction.

상기 플랩(31)은, 플랩 잠금부(37)에 의해 기립 자세의 유지가 제어되며, 승강대(4)의 승강시, 즉, 대기 위치와 하층 바닥면(3)에의 착지시 이외에는 잠금 상태가 되어 기립 자세가 보유지지되고, 승강대(4)의 승강 종단 위치, 즉, 대기 위치와 하층 바닥면(3)에의 착지시에는 잠금 해제 상태가 되어 도복 자세측으로의 이동이 허용된다.The flap 31 is controlled to maintain the standing posture by the flap locking unit 37, and is locked except when the platform 4 is raised and lowered, that is, in the standby position and when landing on the lower floor surface 3, The standing posture is held, and the lock is released when landing at the lifting end position of the platform 4, that is, the standby position and the lower floor surface 3, and movement to the lowering posture side is allowed.

이 결과, 승강대(4)의 강하 중은, 플랩(31)의 기립 자세는 유지되어 승강대(4)로부터의 휠체어(23)의 전락이 방지되고, 승강대(4)의 승강 종단 위치, 즉, 대기 위치와 하층 바닥면(3)에의 착지시에는 도복 자세로의 이동이 허용되어 휠체어(23)의 통과의 장해가 되는 일이 없다.As a result, during the descent of the platform 4, the standing posture of the flaps 31 is maintained to prevent the wheelchair 23 from falling from the platform 4, and the lifting terminal position of the platform 4, that is, waiting At the time of landing on the position and the lower floor surface 3, the movement to the loincloth position is allowed, and passage of the wheelchair 23 is not obstructed.

플랩 잠금부(37)는, 도 15a,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대(4)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는 잠금 제어체(38)와, 플랩(31)의 자유단부, 및 잠금 제어체(38)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는 플랩 잠금체(39)를 가지며, 각각에는, 잠금 상태에서 서로 걸어멈춤되는 잠금 스토퍼(38a, 39a)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15A and 15B , the flap locking part 37 includes a locking control body 38 rotatably connected to the elevator 4 , a free end of the flap 31 , and a locking control body 38 . ) with flap locking bodies 39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each of which is formed with locking stoppers 38a and 39a which engage each other in the locked state.

상기 잠금 제어체(38)는,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의 사이를 회전 중심(C38) 둘레로 회전이 자유롭고, 플랩 잠금부(37)는, 플랩 잠금체(39)가, 잠금 위치에 있는 잠금 제어체(38)의 잠금 스토퍼(38a)에 잠금 스토퍼(39a)를 걸어멈춤시킨 걸어멈춤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잠금 상태가 된다.The locking control body 38 is freely rotatable about a center of rotation C38 between the locked position and the unlocked position, and the flap locking part 37 is provided with the flap locking body 39 in the locking position. The locking state is obtained by moving the locking stopper 39a to the locking stopper 38a of the control body 38 to the locking position.

또한, 잠금 제어체(38)와 플랩 잠금체(39)를 연결하는 회전축(C39M)에는 토션 스프링(40)이 감김 장착되어 있고, 이 결과, 플랩(31)에 대해 회전 중심(C39) 둘레로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는 플랩 잠금체(39)는, 토션 스프링(31a)에 의한 바이어스력에 의해 걸어멈춤 위치측으로 바이어스되고, 잠금 제어체(38)는, 플랩 잠금체(39)와의 사이에 장착되는 토션 스프링(40)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잠금 위치측으로 바이어스된다.Further, a torsion spring 40 is wound mounted on the rotation shaft C39M connecting the lock control body 38 and the flap lock body 39, and as a result, the rotation center C39 with respect to the flap 31 is rotated around the rotation shaft C39M. The flap lock body 39 to which rotation is freely connected is biased toward the locking position by a biasing force by a torsion spring 31a, and the lock control body 38 is mounted between the flap lock body 39 and the flap lock body 39. It is biased toward the locked position by the bias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40 .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 잠금체(39)와 잠금 제어체(38)의 연결 위치, 잠금 제어체(38)의 승강대(4)에의 연결 위치, 및 잠금 상태에서의 잠금 스토퍼들(38a, 39a)의 걸어멈춤 위치는, 플랩(31)의 도복 방향으로의 이동 조작력이 플랩 잠금체(39)와의 연결점에 부가되었을 때의 플랩 잠금체(39)와 잠금 제어체(38) 사이의 교차각(θ)의 변경을 잠금 스토퍼들(38a, 39a)의 걸어멈춤에 의해 규제하는 관계가 되도록 설정된다.As shown in Fig. 15A, the connecting position of the flap locking body 39 and the locking control body 38, the connecting position of the locking control body 38 to the elevator 4, and the locking stoppers 38a in the locked state , 39a) is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flap locking body 39 and the locking control body 38 when a movement operating force of the flap 31 in the falling direction is applied to the connection point with the flap locking body 39 It is set so that it becomes a relationship which regulates the change of angle (theta) by the locking of the lock stoppers 38a, 39a.

즉, 도 15b에서, 플랩(31)에 도복 방향의 회전 조작력이 부하된 경우, 플랩 잠금체(39)의 플랩(31)과의 연결점(C39)에는 힘(F)이 작용하여, 잠금 제어체(38)에는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이 발생한다. 잠금 스토퍼(38a, 39a)들의 걸어멈춤 위치는, 잠금 제어체(38)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한 잠금 제어체(38)와 플랩 잠금체(39)의 예각측의 교차각(θ)의 감소를 규제하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고, 이 결과, 잠금 제어체(38)와 플랩 잠금체(39)는, 플랩(31)의 도복 방향의 하중에 대해 실질적으로 일체의 것으로서 거동하게 된다.That is, in FIG. 15B , when a rotational operating force in the falling direction is applied to the flap 31 , the force F acts on the connection point C39 of the flap locking body 39 with the flap 31 , so that the locking control body At (38), a counterclockwise rotational force is generated. The locking positions of the locking stoppers 38a and 39a are determined by the intersection angle θ of the acute angle side of the locking control body 38 and the flap locking body 39 by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locking control body 38 . is set at a position for regulating the reduction of , and as a result, the locking control body 38 and the flap locking body 39 behave as a substantially integral body with respect to the load in the fall direction of the flap 31 .

잠금 제어체(38)와 플랩 잠금체(39)의 일체화에 의해, 플랩(31), 잠금 제어체(38)와 플랩 잠금체(39)의 일체의 것, 및 승강대(4)는 3절의 링크를 구성하게 되고, 이동의 자유도가 없어지기 때문에, 플랩(31)은 기립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By integrating the locking control body 38 and the flap locking body 39, the flap 31, the locking control body 38 and the flap locking body 39 integrally, and the hoisting platform 4 are linked in three sections. Since the degree of freedom of movement is lost, the flap 31 can maintain a standing posture.

또한, 잠금 제어체(38)에는, 승강대(4)에의 연결점(C38)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승강대(4)가 하층 바닥면(3)에 착지하였을 때에 그 잠금 제어체(38)를 도 15a에서 시계방향(잠금 해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검지 돌출부(38b)가 설치된다.Further, the lock control body 38 extends downward from the connection point C38 to the elevator platform 4, and when the elevator platform 4 lands on the lower floor surface 3, the lock control body 38 is shown in Fig. 15A. A detection protrusion 38b that rotates in a clockwise direction (in the unlocking direction) is provided.

따라서, 본 예에서, 승강대(4)가 강하하여 하층 바닥면(3)에 착지하면, 검지 돌출부(38b)가 하층 바닥면(3)에 눌려 도 15a에서 시계방향, 즉 잠금 해제 위치 방향으로 회전한다. 잠금 제어체(38)가 잠금 해제 위치로 회전하면,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 잠금체(39)의 잠금 스토퍼(39a)의 걸어멈춤이 해제되고, 잠금 제어체(38)와 플랩 잠금체(39)의 연결점(C39M)의 구속이 해제되어 플랩 잠금체(39)의 회전이 가능해지고, 플랩(31)은 도복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is example, when the elevator platform 4 descends and lands on the lower floor surface 3, the index finger protrusion 38b is pressed against the lower floor surface 3 and rotates clockwise in Fig. 15A, that is, in the unlocking position direction. do. When the locking control body 38 rotates to the unlocked position, as shown in Fig. 16A, the lock stopper 39a of the flap locking body 39 is unlocked, and the locking control body 38 and the flap lock are released. The restraint of the connection point C39M of the sieve 39 is released so that the flap lock body 39 can be rotated, and the flap 31 can move in the fall direction.

이 상태에서 휠체어(23)가 이동하면, 플랩(31)은 차륜에 의해 도 16a에서의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넣어져 자유단이 경사면(32)에 올라타는 상태가 되고, 휠체어(23)의 하차가 가능해진다.When the wheelchair 23 moves in this state, the flap 31 is pushed in by the wheel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16A, and the free end gets on the inclined surface 32, and the wheelchair 23 gets off. it becomes possible

한편, 승강대(4)가 상승하여 대기 위치 근방에 이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슬로프체(33)가 매달림 자세로부터 세팅 위치로 이행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latform 4 rises and reaches the vicinity of the standby position, the slope body 33 shifts from the hanging posture to the setting position as described above.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로프체(33)의 자유단부에는, 세팅 위치로의 이동시에 플랩 잠금체(39)를 잠금 제어체(38)와의 걸어멈춤 해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 돌출부(41)가 설치된다. 본 예에서 조작 돌출부(41)는, 플랩 잠금체(39)에 형성되는 원호형상의 피압압변(邊)(39b)을 압압하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3 , at the free end of the slope body 33 , an operation projection 41 for moving the flap lock body 39 in the unlocking direction with the lock control body 38 when moving to the setting position. is installed In this example, the operation protrusion 41 is formed in a protrusion shape that presses the arc-shaped pressurized valve 39b formed in the flap locking body 39 .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대(4)의 대기 위치로의 접근에 따라, 조작 돌출부(41)는 플랩 잠금체(39)의 피압압변(39b)에 접근하고, 이윽고 상기 피압압변(39b)은 조작 돌출부(41)에 의해 전방으로 밀어넣어진다.As shown in Fig. 16B, in accordance with the approach of the elevator platform 4 to the standby position, the operating projection 41 approaches the pressure target member 39b of the flap lock body 39, and eventually the pressure target member 39b. The silver is pushed forward by the manipulation projection 41 .

조작 돌출부(41)에 의해 피압압변(39b)이 전방으로 밀린 플랩 잠금체(39)의 잠금 스토퍼(39a)와 잠금 제어체(38)의 잠금 스토퍼(38a)의 걸어멈춤이 해제되고, 나아가 잠금 제어체(38)는 잠금 해제 위치 방향으로, 플랩(31)은 도복 위치 방향으로 구동된다.The locking stopper 39a of the flap locking body 39 and the locking stopper 38a of the locking control body 38 are unlocked, and further locked The control body 38 is driven in the unlocked position direction and the flap 31 is driven in the retracted position direction.

플랩 잠금체(39)의 피압압변(39b)은, 슬로프체(33)의 세팅 위치로의 복귀 후에 플랩(31)의 자유단이 슬로프체(33)에 올라타고, 또한 그 상태에서 플랩 잠금체(39)에 대한 회전 구동이 정지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대(4)가 대기 위치로 복귀한 상태에서는 휠체어(23)는, 슬로프체(33) 및 플랩(31)을 지나 상층측의 바닥(1)로부터 원활하게 올라탈 수 있다.As for the pressure-beared valve 39b of the flap lock body 39, after returning to the setting position of the slope body 33, the free end of the flap 31 rides on the slope body 33, and in this state, the flap lock body The rotational drive to 39 is set to stop, and 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in which the platform 4 is returned to the standby position, the wheelchair 23 passes through the slope body 33 and the flap 31 to the upper floor. You can get on and off smoothly from the bottom (1) on the side.

도 17a, 17b, 18a, 18b에 슬로프체(33)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슬로프체(33)는, 전단에 세팅 롤러(34)를 연결한 슬로프 본체부(47)와, 슬로프 본체부(47)의 전단에 고정되는 돌출부 형성부(48)로 이루어진다. 돌출부 형성부(48)는,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 롤러(35)를 연결한 하우징(48a)의 전단에 롤러형상의 조작 돌출부(41)를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하여 형성된다. 조작 돌출부(41)의 양단은 하우징(48a)에 형성한 장공(48b)에 삽입통과되어 너트 등에 의해 빠짐방지되어 있고, 나아가 토션 스프링(48c)에 의해 전방으로 바이어스된다.A modified example of the slope body 33 is shown to FIGS. 17A, 17B, 18A, and 18B. In this modified example, the slope body 33 consists of the slope body part 47 which connected the setting roller 34 to the front end, and the protrusion part forming part 48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slope body part 47. . The protrusion forming part 48 is formed by freely connecting the roller-shaped manipulation protrusion 41 to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48a to which the support roller 35 is connected, as shown in FIG. 17A . Both ends of the manipulation protrusion 41 are inserted through a long hole 48b formed in the housing 48a and are prevented from being pulled out by a nut or the like, and further biased forward by a torsion spring 48c.

따라서, 본 변형예에 있어서, 승강대(4)가 대기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롤러형상의 조작 돌출부(41)는 플랩 잠금체(39)의 피압압변(39b)에 접촉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modification, when the lifting platform 4 is in the standby position, the roller-shaped operating projection 41 is in contact with the pressure-beared valve 39b of the flap locking body 39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또한, 도 18a에 도시된 매달림 자세로부터 승강대(4)가 상승할 때, 승강대(4)와 슬로프체(33)의 상대 위치가 치수 오차의 집적에 의해 설정값으로부터 벗어나, 조작 돌출부(41)로부터 피압압변(39b)에의 조작력이, 예를 들어, 플랩 잠금체(39)의 회전 중심(C39) 방향을 향하여, 혹은 회전 중심(C39)으로부터 조작력의 방향선으로 내려뜨린 수선(垂線)의 길이(모멘트 아암)가 짧아지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 플랩 잠금체(39)에 충분한 회전 조작력을 부여할 수 없기 때문에, 원활한 동작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Further, when the platform 4 is raised from the hanging posture shown in FIG. 18A ,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platform 4 and the slope body 33 deviate from the set value due to the accumulation of dimensional errors, and from the operation projection 41 The length ( moment arm) may become short, and in this case, since sufficient rotational operation force cannot be provided to the flap lock body 39,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a smooth operation|movement may be impaired.

그러나, 본 변형예와 같이, 조작 돌출부(41)를 장공(48b) 내에서 이동이 자유롭게 해 두면, 상술한 바와 같은 경우에도, 조작 돌출부(41)는 장공(48b)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피압압변(39b)에의 접촉 각도가 변화하여, 모멘트 아암이 커지기 때문에, 원활한 작동이 보장된다.However, as in the present modified example, if the operation projection 41 is allowed to move freely within the long hole 48b, even in the case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projection portion 41 moves backward along the long hole 48b, thereby being pressed. Since the contact angle to the pressure valve 39b is changed, the moment arm becomes large, smooth operation is ensured.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승강대(4)는 승강대 보유지지 기구(42)를 사용하여 대기 위치에 보유지지된다.The platform 4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held in the standby position using the platform holding mechanism 42 .

승강대 보유지지 기구(42)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위치 주변에 형성된 피걸어멈춤부(5)와, 피걸어멈춤부(5)에 걸림/걸림해제되는 후크 부재(6)와, 후크 부재(6)의 걸림/걸림해제 상태를 제어하는 잠금 부재(9)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9, the elevator holding mechanism 42 includes a stopper 5 formed around the standby position, and a hook member 6 that is caught/unlocked by the stopper 5, and , a locking member (9) that controls the hooking/unlocking state of the hook member (6).

본 예에서 피걸어멈춤부(5)는 U자 볼트에 의해 형성되고, 좌우 대칭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 2개의 가이드 지주(14)(도 4 참조)의 전후 벽면에 각각 합계 4개가 고정된다. 상기 후크 부재(6)와 잠금 부재(9)는, 상기 각 피걸어멈춤부(5)에 대응하여 승강대(4) 상에 배치되고, 각 가이드 지주(14)당 2쌍, 합계 4쌍의 각 후크 부재(6)와 잠금 부재(9)는, 가이드 지주(14)의 전후 벽면에 평행한 작동면 내에 작동한다.In this example, the stopping part 5 is formed by a U-shaped bolt, and a total of four are fixed to the front and rear wall surfaces of a pair and two guide posts 14 (refer to FIG. 4 ) arranged in left-right symmetrical positions, respectively. . The hook member (6) and the lock member (9) are disposed on the hoisting table (4)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locking parts (5), and are 2 pairs for each guide post (14), 4 pairs in total. The hook member 6 and the lock member 9 operate in an operating surface parallel to the front and rear wall surfaces of the guide post 14 .

상기 후크 부재(6)는, 회전 중심(C6) 둘레로 도 20a에 도시된 걸어멈춤 위치와, 도 20c에 도시된 걸어멈춤 해제 위치의 사이를 회전이 자유롭고, 상단부에 걸어멈춤 위치에서 상기 피걸어멈춤부(5)에 걸어멈춤되는 걸어멈춤 후크부(6a)와, 이 걸어멈춤 후크부(6a)의 대향 위치에 간섭 돌출부(11)를 구비한다.The hook member 6 is freely rotatable between the locking position shown in FIG. 20A and the unlocking position shown in FIG. 20C around the rotation center C6, and is locked at the upper end in the locking position. A locking hook portion 6a that is locked to the stopper 5 is provided, and an interference projection 11 is provided at an opposing position of the locking hook portion 6a.

간섭 돌출부(11)는, 도 2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부재(6)가 걸어멈춤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 피걸어멈춤부(5)의 상대 이동 경로, 즉, 승강대(4)가 승강시의 피걸어멈춤부(5)의 상대적인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된다.As shown in Fig. 20D, the interference protrusion 11 has a relative movement path of the latched portion 5 when the hook member 6 is in the unlocking position, that is, the lifting platform 4 moves when lifting or lowering. It is disposed on the relative movement path of the stopping part (5).

따라서, 본 예에서, 도 20d의 상태로부터 승강대(4)가 상승하면, 우선, 피걸어멈춤부(5)가 후크 부재(6)의 간섭 돌출부(11)에 충돌 접촉하고, 후크 부재(6)는 걸어멈춤 위치까지 회전 구동된다. 후크 부재(6)의 걸어멈춤 위치로의 회전에 의해 후크부는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걸어멈춤부(5)의 상방에 위치하게 되어 피걸어멈춤부(5)에 걸어멈춤된다.Therefore, in this example, when the platform 4 is raised from the state of FIG. 20D , first, the stopper 5 collides with the interference projection 11 of the hook member 6 , and the hook member 6 . is driven rotationally to the locked position. By rotation of the hook member 6 to the locking position, the hook portion is positioned above the lockable portion 5, as shown in FIG. 20A, and is locked by the lockable portion 5.

또한, 후크 부재(6)의 걸어멈춤 해제 위치측 가장자리에는 후크측 돌출부(8)가 돌출 설치된다. 이 후크측 돌출부(8)와 후술하는 잠금측 돌출부(7)의 걸어멈춤면은, 잠금 부재(9)의 회전 중심(C9)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면에 의해 형성된다.Further, a hook-side protrusion 8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an edge on the unlocking position side of the hook member 6 . The hook-side protrusion 8 and the locking face of the lock-side protrusion 7 to be described later are formed by an arcuate face centered on the rotational center C9 of the locking member 9 .

피걸어멈춤부(5)와의 걸어멈춤 상태에서 후크 부재(6)에는 승강대(4)의 자중에 의해 걸어멈춤 해제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발생하고, 이 회전력에 저항하여 걸어멈춤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잠금 부재(9)가 배치된다.In the locked state with the stopped part 5, a rotational force in the lock release direction is generated in the hook member 6 due to the weight of the lifting platform 4, and in order to resist this rotational force and maintain the locked state, A locking member 9 is arranged.

잠금 부재(9)는, 후크 부재(6)의 걸어멈춤 해제측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도 20a의 잠금 위치와, 도 20c의 잠금 해제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이 자유롭고, 잠금 위치에서 후크 부재(6)측 가장자리에 돌출 설치되는 잠금측 돌출부(7)가 후크 부재(6)의 후크측 돌출부(8)에 걸어멈춤된다. 이 잠금 부재(9)와 상기 후크 부재(6)는 인장 부재로서의 인장 스프링(12)에 의해 연결되고, 인장 스프링(12)은 후크 부재(6)가 걸어멈춤 위치에 있을 때에 잠금 부재(9)를 잠금 위치측으로 바이어스시킨다.The locking member 9 is disposed adjacent the unlocking side edge of the hook member 6, is free to rotate between the locked position of Fig. 20A and the unlocked position of Fig. 20C, and in the locked position the hook member ( 6) The locking-side protrusion 7 protruded from the side edge is engaged with the hook-side protrusion 8 of the hook member 6 . This locking member 9 and the hook member 6 are connected by a tension spring 12 as a tension member, and the tension spring 12 is connected to the locking member 9 when the hook member 6 is in the locked position. is biased toward the lock position.

잠금측 돌출부(7)가 후크측 돌출부(8)에 걸어멈춤된 상태에서 후크 부재(6)에 걸어멈춤 해제 위치 방향(도 20a에서의 시계방향)의 회전력이 발생하면, 잠금 부재(9)에는 회전 중심(C9)을 향하는 압축력이 발생하고, 후크 부재(6)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후크 접촉부(13)가 후크 부재(6)에 접촉한다.When a rotational force in the unlocking position direction (clockwise in Fig. 20A) is generated in the hook member 6 while the locking-side protrusion 7 is locked to the hook-side protrusion 8, the locking member 9 is A compressive force directed toward the rotational center C9 is generated, and the hook contact portion 13 formed on the edge of the hook member 6 sid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hook member 6 .

후크 접촉부(13)의 후크 부재(6)에의 접촉부 위치는, 후크 부재(6)가 걸어멈춤 해제 위치로 이동할 때에 잠금 부재(9)가 접근하는 영역, 즉, 본 예에서는, 잠금 부재(9)의 회전 중심(C9)보다 상방에 설정된다.The position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hook contact portion 13 to the hook member 6 is the area to which the lock member 9 approaches when the hook member 6 moves to the unlocked position, i.e., in this example, the lock member 9 is set above the rotation center (C9) of

따라서, 본 예에서, 승강대(4)의 하중에 의해 후크 부재(6)에 걸어멈춤 해제 위치 방향의 회전력이 발생해도, 잠금측 돌출부(7)와 대응하는 후크 부재(6)의 가장자리의 압접력이 증가할 뿐이며, 후크 부재(6)가 회전하는 일은 없고, 걸어멈춤 상태, 즉, 승강대(4)의 대기 위치에의 보유지지 상태가 유지된다.Therefore, in this example, even if a rotational force in the unlocking position direction is generated in the hook member 6 by the load of the lifting platform 4, the pressing force of the lock-side protrusion 7 and the corresponding edge of the hook member 6 This only increases, the hook member 6 does not rotate, and the locked state, that is, the holding state of the elevator platform 4 at the standby position is maintained.

이 상태로부터, 잠금 부재(9)를 잠금 해제 위치로 회전시키면, 잠금측 돌출부(7)는 후크측 돌출부(8)의 원호면 상을 이동하면서 후크측 돌출부(8)와의 걸어멈춤이 해제되고, 승강대(4)는 강하를 개시한다. 도 20b,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부재(6)의 피걸어멈춤부(5)와의 걸어멈춤이 해제되고, 나아가 잠금 부재(9)가 잠금 해제 위치에 보유지지된 상태에서 후크 부재(6)는 인장 스프링(12)에 의해 걸어멈춤 해제 위치측으로 더욱 끌려, 후크 부재(6)의 후크측 돌출부(8)는 잠금 부재(9)의 단부(段部)(9a)에 걸어멈춤된다.From this state, when the locking member 9 is rotated to the unlocking position, the lock-side protrusion 7 moves on the arc surface of the hook-side protrusion 8, and the lock with the hook-side protrusion 8 is released, The platform 4 starts descending. As shown in Figs. 20B and 20C, the lock of the hook member 6 with the stopable portion 5 is released, and further, the hook member 6 is held in the unlocked position while the lock member 9 is held in the unlocked position. ) is further pulled toward the unlocking position side by the tension spring 12 , so that the hook-side protrusion 8 of the hook member 6 is locked to the end 9a of the lock member 9 .

이 상태가 잠금 해제 상태이며, 일단 후크 부재(6)가 단부(9a)에 걸어멈춤되면 잠금 부재(9)의 잠금 위치측으로의 이동 경로가 후크 부재(6)에 의해 폐색되기 때문에, 잠금 해제 상태가 보유지지된다.This state is the unlocked state, since the path of movement of the locking member 9 to the locked position side is obstructed by the hook member 6 once the hook member 6 is latched to the end 9a, the unlocked state is held

상술한 바와 같이, 이후, 승강대(4)가 상승하여 후크 부재(6)가 피걸어멈춤부(5)에 걸어멈춤되면, 인장 스프링(12)에 의해 잠금 부재(9)는 잠금 위치로 이동하고, 이후, 잠금 상태가 보유지지된다.As described above, thereafter, when the lifting platform 4 is raised and the hook member 6 is locked to the stopper 5, the locking member 9 is moved to the locked position by the tension spring 12 and , then the lock state is held.

도 21, 22a, 22b, 23a, 23b에 승강대 보유지지 기구(42)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또, 도 21, 22a, 22b, 23a, 23b에서 상술한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도면 중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21, 22A, 22B, 23A, and 23B show modified examples of the platform holding mechanism 42 . In addition, in the figure, the same code|symbol is attached|subjected to the component substantially similar to embodiment mention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1, 22A, 22B, 23A, 23B,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omitted.

본 변형예에 있어서, 랙 홈(14a)은 가이드 지주(14)의 전후 벽면에 형성되어 있고, 도 21에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전방 벽면에 형성되는 랙 홈(14a)에 완강 장치(24)의 피니언(24b)이 맞물린다. 이와 같이, 랙 홈(14a)을 가이드 지주(14)의 전후 벽면, 즉, 단변부에 배치함으로써, 이 단변부가 장변부에 비해 강성이 높고, 휨량도 작기 때문에, 피니언(24b)과의 맞물림 정밀도가 높아져 원활한 작동이 가능해지는 데다가, 전체 강도를 높일 수 있다.In this modified example, the rack groove 14a i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wall surfaces of the guide post 14, and the pinion ( 24b) is engaged. In this way, by arranging the rack groove 14a on the front and rear wall surfaces of the guide post 14, that is, on the short side, the short side has higher rigidity than the long side and the amount of deflection is small, so the engagement accuracy with the pinion 24b. is increased, so that smooth operation is possible, and the overall strength can be increased.

또, 도 21에서는 무게추(22)를 매다는 와이어(22a), 22b는 풀리를 나타낸다.In addition, in Fig. 21, the wires 22a and 22b for suspending the weight 22 represent pulleys.

또한, 승강대 보유지지 기구(42)는, 가이드 지주(14)의 랙 홈(14a)이 형성되는 벽면에 인접하는 벽면에 평행한 면 내에서 동작하여 피걸어멈춤부(5)에 걸림/걸림해제 가능하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elevator holding mechanism 42 operates in a plane parallel to the wall surface adjacent to the wall surface in which the rack groove 14a of the guide post 14 is formed to engage/unlock the stopper part 5 . formed possible.

도 22a,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의 승강대 보유지지 기구(42)는, 상술한 후크 부재(6), 잠금 부재(9), 및 인장 스프링(12)에 더하여 후크 보조 부재(46)가 장착된다. 후크 부재(6)와 잠금 부재(9)는, 상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후크측 돌출부(8) 및 잠금측 돌출부(7)를 구비하여 회전 중심(C6, C9) 둘레로 회전이 자유롭게 승강대(4)에 연결되고, 상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동작하며, 잠금 부재(9)끼리 작동 로드(17)에 의해 연결된다.As shown in Figs. 22A and 22B, the elevator holding mechanism 42 in this modified example includes a hook auxiliary member ( 46) is installed. The hook member 6 and the lock member 9 are provided with a hook-side protrusion 8 and a lock-side protrusion 7, similar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o as to be freely rotatable around the center of rotation C6, C9. 4), and operates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locking members 9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actuating rod 17 .

후크 보조 부재(46)는, 상기 후크 부재(6)와 동축 상에서 후크 부재(6)에 대해 상대 회전이 자유롭고, 후단부에 피걸어멈춤부(5)에 접촉 가능한 후크 형상을 한 접촉 돌출부(46a)를 구비함과 아울러, 전단부에 작동벽(46b)을 구비하고, 그 중간부에 회피용 장공(46c)이 형성된다.The hook auxiliary member 46 is free to rotate relative to the hook member 6 on the same axis as the hook member 6, and has a hook-shaped contact protrusion 46a at the rear end that can be contacted with the stopper 5. ) is provided, and an operation wall 46b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and a long hole 46c for avoidance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회피용 장공(46c)은, 후크 부재(6)의 회전 중심(C6)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잠금 부재(9)의 회전 중심(C9)을 형성하는 회전축이 삽입통과 가능한 곡률을 가지고 형성된다.The long hole for avoidance 46c is formed in an arc shape centered on the rotational center C6 of the hook member 6, and the rotational shaft forming the rotational center C9 of the locking member 9 has a curvature through which it can be inserted. formed with

또한, 작동벽(46b)은, 잠금 부재(9)로부터 돌출 설치되는 작동 돌출부(9b)의 상방에 위치하고, 이 작동 돌출부(9b)에 접촉 가능한 위치에 형성된다.Further, the actuating wall 46b is positioned above the actuating protrusion 9b protruding from the locking member 9 and formed at a position capable of contacting the actuating protrusion 9b.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부재(6)가 걸어멈춤 상태에 있을 때에는, 후크 보조 부재(46)의 접촉 돌출부(46a)는 피걸어멈춤부(5)보다 약간 상방에 위치한다. 후크 부재(6)의 피걸어멈춤부(5)에의 걸어멈춤이 해제되고, 승강대(4)가 강하하기 시작하면, 피걸어멈춤부(5)에 후크 보조 부재(46)의 접촉 돌출부(46a)가 접촉하고,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피용 장공(46c) 내를 잠금 부재(9)의 회전축(C9)이 상대 이동하도록 하여 후크 보조 부재(46)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As shown in Fig. 22A, when the hook member 6 is in the locked state, the contact protrusion 46a of the hook auxiliary member 46 is located slightly above the stopped portion 5. As shown in Figs. When the lock of the hook member 6 to the stopper 5 is released and the elevator 4 starts to descend, the contact protrusion 46a of the hook auxiliary member 46 to the stoppage 5 is in contact, and as shown in FIG. 22B , the hook auxiliary member 46 rotates clockwise so that the rotation shaft C9 of the lock member 9 moves relative to the inside of the avoidance long hole 46c.

후크 보조 부재(46)의 회전에 따라 작동벽(46b)은 잠금 부재(9)의 작동 돌출부(9b)를 눌러붙이기 때문에, 이 잠금 부재(9)는 걸어멈춤 해제측의 스트로크 종단 위치까지 회전 구동된다.Since the actuating wall 46b presses the actuating projection 9b of the locking member 9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hook auxiliary member 46, the locking member 9 is rotationally driven to the end-of-stroke position on the unlocking side. do.

또한, 후크 부재(6)와 후크 보조 부재(46)에는, 도시되지 않은 토션 스프링에 의해 반시계방향의 바이어스력이 부여되어 있고, 후크 부재(6)에 의한 걸어멈춤이 해제되어 승강대(4)가 강하하면, 도 22a의 초기 자세로 복귀한다.In addition, a counterclockwise biasing force is applied to the hook member 6 and the hook auxiliary member 46 by a torsion spring (not shown), and the lock by the hook member 6 is released to release the lifter 4 . When is descending, it returns to the initial posture of FIG. 22A.

한편, 승강대(4)가 상승한 경우에는,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후크 보조 부재(46)의 접촉 돌출부(46a)가 피걸어멈춤부(5)에 접촉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후크 보조 부재(46)의 회전에 따라, 잠금 부재(9)는 작동 돌출부(9b)가 후크 보조 부재(46)의 작동벽(46b)에 의해 하방으로 눌려,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어멈춤 해제 위치측으로 회전하여, 후크 부재(6)의 간섭 돌출부(11)가 피걸어멈춤부(5)에 접촉하고, 이후, 간섭 돌출부(11)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후크 부재(6)는 걸어멈춤 위치로 이동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ifting platform 4 is raised, as shown in FIG. 23A , first, the contact protrusion 46a of the hook auxiliary member 46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opper 5 and rotates clockwise. With the rotation of the hook auxiliary member 46, the locking member 9 locks, as shown in Fig. 23B, the actuating protrusion 9b is pressed downward by the actuating wall 46b of the hook auxiliary member 46, as shown in Fig. 23B. Rotating to the release position side, the interference projection 11 of the hook member 6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opping portion 5, and then, the hook member 6 is hooked by the force applied to the interference projection 11 move to the stop position.

이상과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승강대(4)가 상승하여 대기 위치로 이동할 때에, 후크 부재(6)와 피걸어멈춤부(5)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후크 부재(6)에의 손상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modified example, when the lifting platform 4 rises and moves to the standby position, the hook member 6 and the stopper 5 do not collide, so that the hook member 6 is damaged. can be reliably prevented from occurring.

상기 잠금 부재(9)의 조작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난간(25)에 배치된 잠금 조작부(10)에 연결되는 변환부(16)에 의해 행해진다.The operation of the locking member 9 is effected by the converting portion 16 connected to the locking operation portion 10 disposed on the handrail 25 as described above.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환부(16)는,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잠금 부재(9) 사이를 연결하고, 가이드 지주(14)의 랙 홈(14a) 형성 벽면을 따라 배치되는 작동 로드(17)와, 개방 레버(19)를 가진다. 작동 로드(17)의 길이방향 중앙부에는 이 작동 로드(17)가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통과하는 통형으로 형성되고, 양단에 플랜지(43a)를 형성한 칼라(43)가 장착된다.As shown in FIG. 19 , the conversion unit 16 connects between a pair of opposing locking members 9 , and is an actuating rod disposed along the wall surface forming the rack groove 14a of the guide post 14 . (17) and an opening lever (19).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actuating rod 17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ctuating rod 17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rough which the actuating rod 17 can be freely inserted, and collars 43 having flanges 43a formed at both ends are mounted.

개방 레버(19)는, 도 19,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를 L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는 장착편(19a)과 상승편(19b)을 가지며, 장착편(19a)에서 승강대(4) 상에 고정되는 레버 브래킷(44)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된다.The release lever 19 has a mounting piece 19a and a lifting piece 19b formed by bending a plate material into an L-shape, as shown in FIGS. 19 and 25 , and the elevator platform 4 from the mounting piece 19a )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ever bracket 44 fixed on it.

이 개방 레버(19)는, 상승편(19b)이 작동 로드(17)에 직교하는 자세로 배치되고, 상승편(19b)에는, 도 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43)의 외주에 대략 절반에 걸쳐 접촉하는 원호형상의 걸어멈춤단(18a)을 구비한 장공 형상의 로드 걸어멈춤부(18)가 형성된다. 로드 걸어멈춤부(18)의 걸어멈춤단(18a)에 대한 반대 단부는 칼라(43)에 장착할 때의 칼라(43) 삽입용 입구를 제공하기 위한 하방 개방부(18b)가 형성된다.This release lever 19 is arranged in a posture in which the lifting piece 19b is perpendicular to the actuating rod 17, and the lifting piece 19b has approximately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llar 43, as shown in Fig. 24B. A rod locking portion 18 having a long hole shape having an arc-shaped locking end 18a in contact over half is formed. The opposite end of the rod stopper 18 to the stopper end 18a is formed with a downward opening 18b for providing an entrance for insertion of the collar 43 when mounted on the collar 43 .

도 2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레버(19)의 회전 중심(C19)은 작동 로드(17)로부터 약간 승강대(4)의 중심 근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 중심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와이어 장치(15)의 이너 와이어(15b)가 연결된다.As shown in Fig. 24A, the rotation center C19 of the opening lever 19 is arranged slightly near the center of the platform 4 from the actuating rod 17, and a wire device on the opposite side with the rotation center therebetween. The inner wire 15b of (15) is connected.

와이어 장치(15)는 승강대(4)의 표면을 따라 승강대(4) 상의 적절한 높이로, 난간(25)의 세로대(25b), 즉, 작동 로드(17)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난간(25)의 잠금 조작부(10)를 조작하면, 이너 와이어(15b)가 잠금 조작부(10) 방향으로 잡아당겨져,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레버(19)는 회전축(C19) 둘레로 회전한다. 개방 레버(19)의 회전에 따라 로드 걸어멈춤부(18)의 걸어멈춤단(18a)은 전방으로 이동하고, 걸어멈춤단(18a)에 눌리도록 하여 칼라(43), 및 이 칼라(43)에 삽입된 작동 로드(17)는 초기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δ)만큼 승강대(4)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한다.The wire device 15 is arranged along the surface of the platform 4 and at an appropriate height on the platform 4 , parallel to the rungs 25b of the handrail 25 , ie the actuating rod 17 , the handrail 25 . ), the inner wire 15b is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lock operation unit 10, and as shown in FIG. 25A , the opening lever 19 rotates around the rotation shaft C19. With the rotation of the opening lever 19, the locking end 18a of the rod stopper 18 moves forward, and is pressed against the locking end 18a, so that the collar 43, and the collar 43 The actuating rod 17 inserted into the hoistway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platform 4 by a predetermined distance δ from the initial position.

이동 거리(δ)는 잠금 부재(9)의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의 작동 스트로크에 일치하며, 이 결과, 잠금 부재(9)는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하고, 후크 부재(6)에 의한 피걸어멈춤부(5)에의 걸어멈춤 상태가 해제되어 승강대(4)의 강하가 개시된다.The travel distance δ corresponds to the actuation stroke of the locking member 9 from the locking position to the unlocking position, as a result of which the locking member 9 moves to the unlocking position, and The locking state to the locking part 5 is released, and the lowering of the lifting platform 4 is started.

또한, 칼라(43)의 플랜지(43a)는 압축 스프링(45)에 의해 초기 위치측으로 바이어스되어 있으므로, 잠금 부재(9)에 대한 해제 조작 후에 잠금 조작부(10)에의 조작력을 해제하면, 압축 스프링(45)의 복원력에 의해 칼라(43)에는 초기 위치 방향으로의 조작력이 발생한다.In addition, since the flange 43a of the collar 43 is biased toward the initial position by the compression spring 45, when the operation force to the lock operation portion 10 is released after the release operation on the lock member 9, the compression spring ( 45), an operating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initial position is generated in the collar 43 by the restoring force.

상기 로드 걸어멈춤부(18)의 걸어멈춤단(18a)에 이어지는 직선부(18c)(도 24b 참조)는 잠금 부재(9)의 동작시에서의 연직 방향의 성분을 가미하여 약간 경사형상으로 형성되도록, 레버 브래킷(44)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칼라(43)는 로드 걸어멈춤부(18)의 직선부(18c)를 지나 초기 위치로 복귀하고, 이에 따라 개방 레버(19)는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도 25b 참조). 개방 레버(19)의 초기 위치로의 복귀에 의해 와이어 장치(15)의 이너 와이어(15b)도 초기 상태측으로 구동되어 잠금 조작부(10)도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The straight portion 18c (refer to FIG. 24B ) connected to the locking end 18a of the rod locking part 18 is formed in a slightly inclined shape in consideration of the vertical direction component during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member 9 . As much as possible, since the lever bracket 44 is inclinedly installed, the collar 43 passes the straight portion 18c of the rod stopper 18 to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and thus the opening lever 19 is moved to the initial position. returns to (see Fig. 25b). By the return of the opening lever 19 to the initial position, the inner wire 15b of the wire device 15 is also driven to the initial state side, and the lock operation unit 10 also returns to the initial state.

이후, 후크 부재(6)에 의해 피걸어멈춤부(5)에의 걸어멈춤 동작이 발생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 부재(9)는 잠금 위치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작동 로드(17)가 이동하며, 변환부(16)는 도 19에 도시된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Thereafter, when the locking operation to the stopable portion 5 is generated by the hook member 6, as described above, the locking member 9 moves to the locking position side, and accordingly, the actuating rod 17 moves. and the conversion unit 16 returns to the initial state shown in FIG. 19 .

도 26 이하에 본 개시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예에서, 랙 홈(14a)은 가이드 지주(14)의 후부 벽면에 형성되어 도시하지 않은 완강 장치의 피니언(도시생략)이 맞물리고, 나아가 가이드 지주(14)의 좌우 측벽면에는, 후크 부재(6), 및 잠금 부재(9)와 협력하여 승강대 보유지지 기구(42)를 구성하는 한 쌍의 피걸어멈춤부(5)가 마주하는 위치에 고정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shown below in FIG. 26 . In this example, the rack groove 14a is formed on the rear wall surface of the guide post 14 so that a pinion (not shown) of a bracing device (not shown) is engaged, and further, on the left and right side wall surfaces of the guide post 14, a hook member (6), and a pair of lockable portions 5 constituting the platform holding mechanism 42 in cooperation with the locking member 9 are fixed at the opposing positions.

상기 후크 부재(6)와 잠금 부재(9)는, 상기 각 피걸어멈춤부(5)에 대응하여 승강대(4) 상에 배치되고, 각각 가이드 지주(14)의 좌우 측벽면에 평행한 면을 작동면으로서 회전한다.The hook member (6) and the lock member (9) are disposed on the hoisting table (4)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f the locking parts (5), and have a surface parallel to the left and right side wall surfaces of the guide post (14), respectively. It rotates as a working surface.

상기 후크 부재(6)는, 도 28a에 도시된 걸어멈춤 위치와, 도 28c에 도시된 걸어멈춤 해제 위치의 사이를 회전 중심(C6) 둘레로 회전이 자유롭고, 상단부에는 걸어멈춤 위치에서 상기 피걸어멈춤부(5)에 걸어멈춤되는 걸어멈춤 후크부(6a)를, 이 걸어멈춤 후크부(6a)에 대향하는 위치에 간섭 돌출부(11)를 각각 구비한다.The hook member 6 is freely rotatable around a rotation center C6 between the locking position shown in FIG. 28A and the unlocking position shown in FIG. A locking hook portion 6a to be locked on the stopper 5 is provided, respectively, and an interference protrusion 11 is provid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locking hook portion 6a.

본 예에서, 도 28d의 상태로부터 승강대(4)가 상승하면, 우선, 피걸어멈춤부(5)에 후크 부재(6)의 간섭 돌출부(11)가 충돌 접촉하고, 그 후, 후크 부재(6)가 걸어멈춤 위치까지 회전 구동되어 도 2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걸어멈춤부(5)에 걸어멈춤된다.In this example, when the platform 4 is raised from the state of Fig. 28D, first, the interference projection 11 of the hook member 6 collides with the stopper 5, and then the hook member 6 ) is rotationally driven to the stopping position, and as shown in FIG. 28A , it is locked by the stopping part 5 .

잠금 부재(9)는, 후크 부재(6)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후크 부재(6)의 작동면과 동일면 내에서 회전 중심(C9) 둘레로 회전이 자유롭고, 후크 부재(6)가 걸어멈춤 위치에 있을 때, 후크 부재(6)의 후크측 돌출부(8)가 잠금 부재(9)의 잠금측 돌출부(7)에 걸어멈춤된다.The locking member 9 is disposed adjacent to the hook member 6 and is free to rotate about a center of rotation C9 in the same plane as the working surface of the hook member 6, and the hook member 6 is in the locked position. When present, the hook-side protrusion 8 of the hook member 6 is engaged with the lock-side protrusion 7 of the locking member 9 .

또한, 후크 부재(6)가 걸어멈춤 위치에 있을 때, 승강대(4)의 자중에 의해 후크 부재(6)에는 걸어멈춤 해제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발생하는 것에 반해, 잠금 부재(9)는 후크 접촉부(13)가 후크 부재(6)의 후크측 돌출부(8)에 접촉함으로써 도 28a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이 규제되고, 또한 잠금측 돌출부(7)가 후크측 돌출부(8)에 눌려붙여져 시계방향의 회전도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도 28a의 위치에 머물고, 그 결과, 잠금 부재(9)는 걸어멈춤 위치에 보유지지된다.Further, when the hook member 6 is in the locking position, a rotational force in the lock release direction is generated in the hook member 6 due to the weight of the lifting platform 4, whereas the locking member 9 is a hook contact portion.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Fig. 28A is regulated by the contact of 13 against the hook-side projection 8 of the hook member 6, and the lock-side projection 7 is pressed against the hook-side projection 8 and rotates in a clockwise direction. It stays in the position of Fig. 28A because the rotation is also regulated, and as a result, the locking member 9 is held in the locked position.

이 상태로부터 잠금 부재(9)를 도 28a에서의 시계방향, 즉 잠금 해제 위치측으로 회전시키면, 후크 부재(6)는 잠금측 돌출부(7)에 의한 지지를 받지 못하게 되어 도 2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어멈춤 해제 위치 방향으로 회전하여 피걸어멈춤부(5)와의 걸어멈춤이 해제되고, 승강대(4)는 강하를 개시한다.From this state, when the locking member 9 is rotated clockwise in Fig. 28A, that is, toward the unlocking position side, the hook member 6 does not receive support by the lock-side protrusion 7, as shown in Fig. 28B. ,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lock release position to release the lock with the stop portion 5, and the elevator platform 4 starts descending.

잠금 부재(9)에 의한 후크 부재(6)의 걸어멈춤 해제 조작을 원활하게 행하기 위해, 잠금측 돌출부(7)와 후크측 돌출부(8)의 접촉면은, 잠금 부재(9)의 회전 중심(C9)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면에 의해 형성된다.In order to smoothly perform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hook member 6 by the locking member 9, the abutting surface of the locking-side protrusion 7 and the hook-side protrusion 8 is the rotation center of the locking member 9 ( It is formed by an arc surface centered on C9).

나아가 후크 부재(6)와 잠금 부재(9)는 인장 스프링(12)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잠금 부재(9)의 잠금 해제 위치로의 회전 조작에 따라 후크 부재(6)는 걸어멈춤 해제 위치까지 이동하고, 도 2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측 돌출부(8)가 잠금 부재(9)의 단부(9a)에 걸어멈춤되어 정지한다.Furthermore, since the hook member 6 and the lock member 9 are connected by the tension spring 12, the hook member 6 moves to the unlock posi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lock member 9 to the unlock position. , and as shown in FIG. 28C , the hook-side protrusion 8 is stopped by the end 9a of the locking member 9 .

이 상태가 잠금 해제 상태이며, 일단 후크 부재(6)가 단부(9a)에 걸어멈춤되면 잠금 부재(9)의 잠금 위치측으로의 이동 경로가 후크 부재(6)에 의해 폐색되기 때문에, 잠금 해제 상태가 보유지지된다.This state is the unlocked state, since the path of movement of the locking member 9 to the locked position side is obstructed by the hook member 6 once the hook member 6 is latched to the end 9a, the unlocked state is held

상기 잠금 부재(9)를 조작하기 위해,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가이드 지주(14)의 양 측벽에 대응하는 한 쌍의 잠금 부재(9)는 작동 로드(17)에 의해 연결됨과 아울러, 작동 로드(17)의 중심 위치에는 일단이 잠금 조작부(10)에 연결되는 와이어 장치(15)의 이너 와이어(15b)의 타단이 연결된다(도 30a, 30b 참조).In order to operate the locking member 9, a pair of locking members 9 corresponding to both side walls of each of the guide posts 14 are connected by an actuating rod 17,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inner wire 15b of the wire device 15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ock operation unit 10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osition of the operation rod 17 (see FIGS. 30A and 30B ).

상기 이너 와이어(15b)의 조작 방향, 정확하게는 이너 와이어(15b)에 의한 작동 로드(17)로의 조작력 작용 방향이 후크 부재(6) 및 잠금 부재(9)의 작동면과 평행한 면 내에 위치하도록, 승강대(4)에는 와이어 가이드(49)가 설치된다.so that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inner wire 15b, precisely the direction of operation force applied to the operation rod 17 by the inner wire 15b, is located in a plane parallel to the operation surfaces of the hook member 6 and the lock member 9 , a wire guide 49 is installed on the lift 4 .

나아가 와이어 가이드(49)에 고정되는 와이어 장치(15)의 아우터 케이블(15a)과, 작동 로드(17)에 연결되는 이너 와이어(15b)의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50)이 장착되어 있고, 이너 와이어(15b)에 작동 로드(17)에의 연결단 측으로 인출되는 바이어스력을 부여한다. 이 결과, 승강대(4)가 하층 바닥면으로부터 상승하여 대기 위치로 복귀하고, 후크 부재(6)가 걸어멈춤 위치로 이행하면, 이너 와이어(15b)가 끌려 잠금 조작부(10)가 조작 전의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Further, a compression spring 50 is mounted between the outer cable 15a of the wire device 15 fixed to the wire guide 49 and the inner wire 15b connected to the operation rod 17, and the inner wire A biasing force drawn out toward the connection end to the actuating rod 17 is applied to (15b). As a result, when the elevator platform 4 rises from the lower floor and returns to the standby position, and the hook member 6 shifts to the locking position, the inner wire 15b is pulled and the lock operation unit 10 is in its initial state before operation. return to

가이드 지주(14)의 좌우 양측벽을 따라 후크 부재(6) 및 잠금 부재(9)를 배치하고, 잠금 부재(9) 사이를 연결하는 작동 로드(17)의 중심 위치에 와이어 장치(15)를 연결함으로써, 와이어 장치(15)의 작동 로드(17)에의 연결단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지주(14)의 폭방향 중심선 상에 대략 일치하게 된다.The hook member 6 and the lock member 9 are disposed along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guide post 14, and the wire device 15 is placed at the center position of the operation rod 17 connecting between the lock members 9. By connecting, the connecting end of the wire device 15 to the actuating rod 17 is approximately coincident on the widthwise centerline of the guide post 14, as shown in FIG.

이 결과, 난간(25)의 와이어 도출 개구(25e)로부터 인출된 와이어 장치(15)의 굴곡 곡률을 도 5에 도시된 경우에 비해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와이어 조작시의 접촉 저항이 작아져, 조작력을 원활하게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s a result, since the bending curvature of the wire device 15 drawn out from the wire lead-out opening 25e of the handrail 25 can be increased compared to the case shown in FIG. 5, the contact resistance at the time of wire operation becomes small, It becomes possible to transmit the operating force smoothly.

나아가 본 예에서, 도 31,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25)을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난간 브래킷(26)의 전단부에는 잠금 조작 부재(51)가 회전 중심(C51) 둘레로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됨과 아울러, 난간 브래킷(26)의 대향하는 한 쌍의 날개편(52)에는 각각 이동 통로(26a)가 각각 대향 위치에 형성되고, 제1 인장 스프링(29)과 제2 인장 스프링(30)에 의해 잡아당겨지는 난간 잠금체(28)의 양단이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된다.Furthermore, in this example, as shown in FIGS. 31 and 32 , the lock operation member 51 is rotated around the center of rotation C51 at the front end of the handrail bracket 26 that connects the handrail 25 rotatably. In addition to being freely connected, a moving passage 26a is formed in each of a pair of opposing blade pieces 52 of the handrail bracket 26 at opposing positions, respectively, and a first tension spring 29 and a second tension spring 30 are formed. ), both ends of the handrail locking body 28 pulled by the movement is inserted freely.

상기 제1 인장 스프링(29)과 제2 인장 스프링(30)은, 상기 난간 잠금체(28)가 후술하는 이동 통로(26a)의 간섭 경로(26g)측 종단 위치 방향으로 바이어스되도록 배치되고, 본 예에서 제2 인장 스프링(30)의 일단은 잠금 조작 부재(51)의 회전 중심(C51) 위치에 연결된다.The first tension spring 29 and the second tension spring 30 are arranged so that the handrail locking body 28 is biased in the direction of the end position of the interference path 26g side of the moving passage 26a,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example, one end of the second tension spring 30 is connected to the position of the rotation center C51 of the lock operation member 51 .

상기 이동 통로(26a)는 난간(25) 하단(잠금 조작편(25c))의 이동 궤적에 간섭하는 간섭 경로(26g)와, 이동 궤적에 간섭하지 않는 비간섭 경로(26b)를 가지고 전방으로 볼록한 L자 형상을 이루며, 난간(25)이 기립 자세이고, 난간 잠금체(28)가 간섭 경로(26g)에 위치할 때에는 난간(25)의 기립 자세로부터의 도복 동작이 규제되고, 비간섭 경로(26b) 내에 위치할 때에 난간(25)의 도복 동작이 허용된다. 또한, 도 3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로(26a)의 간섭 경로(26g) 측의 종단 위치 근방에는 잠금 위치가, 비간섭 경로(26b)의 종단 위치 근방에는 잠금 대피 위치가 설정된다.The moving passage 26a has an interference path 26g that interferes with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lower end of the handrail 25 (the lock operation piece 25c) and a non-interference path 26b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trajectory. Forming an L-shape, when the handrail 25 is in the standing posture, and the handrail locking body 28 is positioned in the interference path 26g, the falling motion of the handrail 25 from the standing posture is regulated, and the non-interference path ( A rollover operation of the handrail 25 is permitted when positioned within 26b). Further, as shown in Fig. 34A, a locking position is set in the vicinity of the end position on the interference path 26g side of the moving passage 26a, and a locking evacuation position is set in the vicinity of the end position of the non-interfering path 26b.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 조작 부재(51)는, 난간 브래킷(26)의 대향하는 한 쌍의 날개편(52)의 내벽면을 따르는 한 쌍의 측편(51a)을 연결편(51b)에 의해 연결함과 아울러, 각 측편(51a)으로부터 폭방향 중심을 향하여 피동편(51c)을 돌출 설치시켜 형성된다. 상기 각 측편(51a)에는 제1 스토퍼변(53a), 제2 스토퍼변(53b), 조작변(53c), 압압변(53d), 및 조작변(53c)과 압압변(53d)을 연결하는 중간변(53e)이 설치된다.31 , the lock operation member 51 connects a pair of side pieces 51a along the inner wall surfaces of a pair of opposing wing pieces 52 of the handrail bracket 26 to a connecting piece 51b. It is formed by protruding the driven piece 51c from each side piece 51a toward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Each of the side pieces 51a has a first stopper side 53a, a second stopper side 53b, an operation valve 53c, a pressure valve 53d, and a control valve 53c and a pressure valve 53d connected to each other. An intermediate side 53e is provided.

이 잠금 조작 부재(51)는, 도 33a, 3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토퍼변(53a)을 난간 브래킷(26)의 조작 부재 스토퍼벽(26i)에 접촉시킨 초기 위치와, 도 35a, 3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토퍼변(53b)을 상기 조작 부재 스토퍼벽(26i)에 접촉시킨 작동 위치의 사이를 회전 조작할 수 있다.The lock operation member 51 is, as shown in FIGS. 33A and 33B, an initial position in which the first stopper side 53a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peration member stopper wall 26i of the handrail bracket 26; As shown in 35b, rotation operation is possible between the operating positions in which the second stopper side 53b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peration member stopper wall 26i.

도 3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25)이 덮개체(21)에 의해 눌려붙여져 도복 자세에 있을 때, 잠금 조작 부재(5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난간(25)의 도복 자세로의 변경에 따라 초기 위치까지 구동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변(53c)은 난간 잠금체(28)에 부가되는 바이어스력에 의해 도 33a에서 시계방향의 회전력이 부여되고, 그 결과, 제1 스토퍼변(53a)이 조작 부재 스토퍼벽(26i)에 압접되고, 잠금 조작 부재(51)는 덜컹거림 등의 발생이 방지되어 초기 위치에 보유지지된다.As shown in Fig. 33A, when the handrail 25 is pressed by the cover body 21 and is in the fall posture, the lock operation member 51 moves the handrail 25 to the fall posture, as will be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the change, it is driven to the initial position. In this state, a clockwise rotational force is applied to the operating side 53c in FIG. 33A by a biasing force applied to the handrail locking body 28, and as a result, the first stopper side 53a is moved to the operating member stopper wall 26i. ), and the lock operation member 51 is held in the initial position while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rattling and the like.

이 상태로부터 덮개체(21)가 개방되면, 토션 스프링(27)의 복원력에 의해 난간(25)은 도 3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대가 가이드 지주(14)의 좌우 측벽에 평행한 면 내를 이동하여 기립 자세 방향으로 회전한다. 난간(25)의 회전에 따라 난간 잠금체(28)는 난간(25)의 하단부(잠금 조작편(25c))에 의해 하방으로 눌려내려가 그 난간(25)의 회전 궤적을 개방하기 때문에, 난간(25)은 도 32, 도 3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 브래킷(26)에 형성된 난간 스토퍼(26j)에 난간(25) 하단이 접촉한 기립 자세까지 이행할 수 있다.When the cover body 21 is opened from this state, the handrail 25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27 moves in a plane parallel to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guide post 14 as shown in FIG. Move and rotate in the direction of the standing posture. As the handrail 25 rotates, the handrail locking body 28 is pressed down by the lower end (locking operation piece 25c) of the handrail 25 to open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handrail 25, so that the handrail ( 25), as shown in FIGS. 32 and 34A, can be shifted to a standing postur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handrail 25 is in contact with the handrail stopper 26j formed on the handrail bracket 26 .

난간(25)의 기립 자세에서, 난간 잠금체(28)는 난간(25)의 잠금 조작편(25c)의 전면에 접촉하여 난간(25)의 도 34a에서의 반시계방향, 즉, 도복 방향으로의 회전을 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난간(25)에 도복 방향의 힘을 부여해도, 난간(25)이 도복되는 일이 없다.In the standing posture of the handrail 25, the handrail locking body 28 contacts the front surface of the locking operation piece 25c of the handrail 25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FIG. Since the rotation of is regulated, even if a force in the falling direction is applied to the handrail 25, the handrail 25 does not fall over.

이 상태로부터 도 3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편(51b)을 끌어올리도록 하여 잠금 조작 부재(51)를 초기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측으로 회전 조작하면, 난간 잠금체(28)는 잠금 조작 부재(51)의 조작변(53c)에 의해 눌려내려가 간섭 경로(26g)로부터 비간섭 경로(26b) 내로 이동한다. 이후, 더욱 잠금 조작 부재(51)를 제2 스토퍼변(53b)이 조작 부재 스토퍼벽(26i)에 접촉하는 작동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도 3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 잠금체(28)는 잠금 조작 부재(51)의 조작변(53c)에 이어서 압압변(53d)에 의해 눌려내려가 잠금 대피 위치로 이동한다.From this state, as shown in Fig. 34B, when the lock operation member 51 is rotat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on position side by pulling up the connecting piece 51b, the handrail locking body 28 is the lock operation member 51. It is pushed down by the operation side 53c of , and moves from the interference path 26g into the non-interference path 26b. Thereafter, when the locking operation member 51 is further rotated to an operating position where the second stopper side 53b contacts the operation member stopper wall 26i, as shown in Fig. 35A, the handrail locking body 28 is locked. It is pushed down by the pressure valve 53d following the operation valve 53c of the operation member 51, and moves to the lock and evacuation position.

잠금 대피 위치에서 난간 잠금체(28)는 잠금 조작 부재(51)의 압압변(53d)에 압접되어 있고, 압접 개소에서의 압압변(53d)에 직교하는 방향의 분력에 의해 잠금 조작 부재(51)에는 도 35a에서의 시계방향의 회전 모멘트, 즉, 제2 스토퍼변(53b)을 조작 부재 스토퍼벽(26i)에 압접시키는 회전력이 발생하며, 잠금 조작 부재(51)는 작동 위치에, 난간 잠금체(28)는 잠금 대피 위치에 각각 머문 상태가 보유지지된다.In the locking and evacuation position, the handrail locking body 28 is press-contacted to the pressure valve 53d of the lock operation member 51, and the lock operation member 51 by a component forc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ressure valve 53d at the pressure contact point. ) generates a clockwise rotational moment in FIG. 35A , that is, a rotational force for pressing the second stopper side 53b to the operation member stopper wall 26i, and the lock operation member 51 is in the operating position, the handrail locking The sieve 28 is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each stayed in the locked and evacuated position.

난간 잠금체(28)가 잠금 대피 위치에 머문 상태에서 난간(25)의 도복 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되고, 덮개체(21)의 폐색 동작에 따라 난간(25)은 도복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3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25)이 도복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윽고 난간(25) 하단부는 피동편(51c)에 접촉하고, 더욱 난간(25)이 도복되면, 난간(25) 하단부에 의해 피동편(51c)이 눌려 잠금 조작 부재(51)는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In a state in which the handrail locking body 28 remains in the locked evacuation position, movement of the handrail 25 in the fall direction is permitted, and the handrail 25 rotates in the fall direction according to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cover body 21 . As shown in Fig. 35b, when the handrail 25 rotates in the falling direction, the lower end of the handrail 25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riven piece 51c, and further when the handrail 25 falls, the lower end of the handrail 25 The driven piece 51c is pressed by the lock operation member 51 to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난간 잠금체(28)는 잠금 조작 부재(51)의 복귀 동작에 추종하여 잠금 위치측으로 이동하고, 난간 잠금체(28)의 조작변(53c), 압압변(53d), 및 중간변(53e)은, 난간 잠금체(28)의 이동 타이밍을 난간(25)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결정하기 위한 캠으로서 기능한다.The handrail locking body 28 moves to the locking position side following the return operation of the locking operation member 51, and the operating side 53c, the pressing valve 53d, and the intermediate side 53e of the handrail locking body 28 are functions as a cam for determining the movement timing of the handrail locking body 28 so that interference with the handrail 25 does not occur.

본 개시의 피난 장치는, 건축물의 화재시 등에 거주자 등의 피난시에 사용할 수 있다.The evacuation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used when evacuating a resident or the like in case of a fire in a building.

Claims (10)

상층에 형성한 피난용 개구 내에 보유지지되는 대기 위치와 하층의 사이에서 승강 구동되는 승강대와,
걸어멈춤 위치에서 피난용 개구 주연(周緣)에 배치되는 피걸어멈춤부에 걸어멈춤되어 상기 승강대를 대기 위치에 보유지지하는 회전이 자유로운 후크 부재와,
잠금 위치에서 잠금측 돌출부를 상기 후크 부재에 형성된 후크측 돌출부에 걸어멈춤시켜 상기 후크 부재의 걸어멈춤 해제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잠금 해제 위치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승강대의 자중에 의해 상기 후크 부재를 걸어멈춤 해제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승강대의 강하를 허용하는 잠금 부재와,
상기 잠금 부재를 회전 조작하는 잠금 조작부를 갖는 피난 장치.
a platform for lifting and lowering between the standby position held in the evacuation opening formed on the upper floor and the lower floor;
a rotatable hook member that is locked in a stopper disposed on a periphery of the evacuation opening in a stopped position to hold the elevator in a standby position;
In the locking position, the lock-side protrusion is caught by the hook-side protrusion formed on the hook member to regulate the movement of the hook member to the unlocking position, and according to the movement to the unlocking position, the hook by its own weight a locking member for moving the member to an unlocked position to allow lowering of the platform;
An evacuation device having a lock operation unit for rotating the lock mem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는, 잠금 해제 위치에서 잠금 위치측으로 바이어스됨과 아울러,
상기 잠금 부재와 상기 후크 부재는, 잠금 위치 방향의 이동 경로와 걸어멈춤 위치 방향의 이동 경로를 서로 폐색하여 잠금 해제 위치와 걸어멈춤 해제 위치에 보유지지되고,
상기 후크 부재에는, 상기 승강대의 상승시에 상기 피걸어멈춤부에 접촉하여 상기 후크 부재를 걸어멈춤 위치측으로 구동하는 간섭 돌출부가 설치되는 피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cking member is biased from the unlocked position to the locked position, and
the locking member and the hook member are held in the unlocking position and the unlocking position by closing the movement path in the locking position direction and the movement path in the locking position direction from each other;
An evacuation device is provided with an interference protrusion in the hook member for driving the hook member toward the locking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stopper when the lifting platform is raised.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후크 부재와 상기 잠금 부재가 인장 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피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 evacuation device in which the hook member and the lock member are connected by a tension member.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의 회전 중심은, 상기 후크측 돌출부로부터 상기 잠금측 돌출부로의 하중 부하에 의해 잠금 위치측으로의 회전력이 발생하는 위치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잠금 부재에는, 상기 후크 부재의 걸어멈춤 해제 위치측의 가장자리에 접촉하여 상기 잠금 부재의 잠금 위치를 넘은 회전을 규제하는 후크 접촉부가 설치되는 피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rotational center of the locking member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a rotational force is generated toward the locking position by a load applied from the hook-side protrusion to the locking-side protrusion,
The evacuation device is provided with a hook contact portion, in the lock member, for regulating rotation beyond the locking position of the lock member by contacting an edge of the hook member on the unlocking position sid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잠금측 돌출부 및 상기 후크측 돌출부는, 상기 잠금 부재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상에 형성되는 피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ocking-side protrusion and the hook-side protrusion are formed in concentric circles with a center of rotation of the locking member as a center.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잠금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잠금 조작부의 조작력을 상기 잠금 부재에 전달하는 와이어 장치와,
상기 와이어 장치의 상기 잠금 부재에의 조작력 전달 방향을 상기 잠금 부재의 회전 동작면에 평행한 면 내로 가이드하는 와이어 가이드를 갖는 피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wire devic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ocking member to transmit the operating force of the locking operation unit to the locking member;
and a wire guide for guiding the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operating force of the wire device to the locking member into a plane parallel to the rotational operation surface of the locking membe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는, 회전 동작면이 상기 승강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지주의 좌우 측벽면에 평행하고, 상기 가이드 지주의 좌우 양 측벽을 사이에 두는 위치에 한 쌍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 장치는, 상기 잠금 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작동 로드에 연결되는 피난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A pair of the locking members are arranged so that the rotational operation surface is parallel to the left and right sidewalls of the guide posts for guiding the elevator, and the left and right sidewalls of the guide posts are interposed therebetween,
The wire device is an evacuation device connected to an operation rod connecting between the locking members.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가이드 지주의 근방에 배치한 상기 잠금 부재에 상기 잠금 조작부의 조작력을 전달하는 와이어 장치를 가지며,
상기 와이어 장치와 상기 잠금 부재의 사이에 상기 와이어 장치의 작동 방향을 상기 잠금 부재의 잠금 해제 방향으로의 작동 방향으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장착한 피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wire device for transmitting the operating force of the locking operation unit to the locking member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guide post;
An evacuation device in which a conversion unit is provided between the wire device and the locking member for converting an operating direction of the wire device to an operating direction of the locking member in an unlocking direction.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가이드 지주의 전후 벽면에 평행한 면 내에서 작동하는 한 쌍이 배치되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잠금 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작동 로드와,
상기 작동 로드의 축부에 걸어멈춤되는 로드 걸어멈춤부를 구비하여 상기 와이어 장치에 연결되고, 와이어 인장 조작시에 상기 로드 걸어멈춤부가 상기 잠금 부재의 잠금 해제 위치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개방 레버를 갖는 피난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locking member is arranged in a pair operating in a plane parallel to the front and rear wall surfaces of the guide post,
The conversion unit,
an actuating rod connecting between the locking members;
and an opening lever connected to the wire device provided with a rod locking portion to be engaged with the shaft portion of the actuating rod, and rotat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od stopping portion moves toward the unlocking position of the locking member during wire tensioning operation; evacuation devic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에 상기 잠금 조작부의 조작력을 전달하는 와이어 장치를 가지며,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승강대의 좌우 대칭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잠금 조작부는 상기 승강대 상에 설치되는 난간에 한 쌍 배치되고, 또한 잠금 조작부에는 서로 맞물리는 기어형상부가 설치되는 피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wire device for transmitting the operating force of the locking operation part to the locking member,
The locking members are respectively disposed at left and right symmetrical positions of the elevator platform,
An evacuation device in which a pair of locking operation units are arranged on a handrail installed on the elevator platform, and gear-shaped parts engaged with each other are installed on the locking operation unit.
KR1020207032764A 2019-05-08 2020-05-01 evacuation device KR10241793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88025 2019-05-08
JPJP-P-2019-088025 2019-05-08
JP2020041685 2020-03-11
JPJP-P-2020-041685 2020-03-11
PCT/JP2020/018442 WO2020226144A1 (en) 2019-05-08 2020-05-01 Evacu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0552A KR20210090552A (en) 2021-07-20
KR102417933B1 true KR102417933B1 (en) 2022-07-06

Family

ID=73050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2764A KR102417933B1 (en) 2019-05-08 2020-05-01 evacuation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55644B1 (en)
KR (1) KR102417933B1 (en)
CN (1) CN113825546B (en)
WO (1) WO2020226144A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8794A (en) 2000-02-08 2001-08-14 Araco Corp Vehicle
JP2002127807A (en) 2000-10-24 2002-05-09 Sivax Inc Equipment for fixing wheelchair and auxiliary frame
JP2010167208A (en) 2009-01-26 2010-08-05 Naka Ind Ltd Evacuation equipment
JP2017164543A (en) 2017-05-30 2017-09-21 ナカ工業株式会社 Evacu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9529U (en) * 2003-07-29 2004-04-08 株式会社 花谷工業 Garbage collection box
JP5383067B2 (en) * 2008-03-13 2014-01-08 シロキ工業株式会社 Vehicle locking device
JP6125302B2 (en) * 2013-04-16 2017-05-10 ナカ工業株式会社 Evacuation device
JP6868509B2 (en) * 2017-09-01 2021-05-12 ナカ工業株式会社 Evacuation device
JP6868511B2 (en) * 2017-09-01 2021-05-12 ナカ工業株式会社 Evacu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8794A (en) 2000-02-08 2001-08-14 Araco Corp Vehicle
JP2002127807A (en) 2000-10-24 2002-05-09 Sivax Inc Equipment for fixing wheelchair and auxiliary frame
JP2010167208A (en) 2009-01-26 2010-08-05 Naka Ind Ltd Evacuation equipment
JP2017164543A (en) 2017-05-30 2017-09-21 ナカ工業株式会社 Evacu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825546B (en) 2023-05-30
JP6855644B1 (en) 2021-04-07
JPWO2020226144A1 (en) 2021-05-20
WO2020226144A1 (en) 2020-11-12
KR20210090552A (en) 2021-07-20
CN113825546A (en) 202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2927B1 (en) Elevator car door lock device
US7252179B2 (en) Elevator-door latching and opening device
WO2019176160A1 (en) Emergency stop device, and elevator
JP2013527345A (en) Handle with safety device for openable parts of the vehicle
EP2328826B1 (en) Safety devices for elevators with reduced clearances
KR102417933B1 (en) evacuation device
KR102417935B1 (en) evacuation device
KR102332420B1 (en) evacuation device
CN110626898B (en) Elevator system
JP2800683B2 (en) Elevator equipment
JP4454765B2 (en) elevator
JP6868510B2 (en) Evacuation device
JP4038067B2 (en) Elevator cab door device with locking device
WO2022259507A1 (en) Elevator car door device
JP7204051B2 (en) elevator car door device
JPH0859155A (en) Dumbwaiter device
CN116113747A (en) Opening device
JP2009298537A (en) Car door device for elevator
KR20220155390A (en) opening device
JPS6348618Y2 (en)
JPH078544Y2 (en) Folding lock device for tower jib in tower crane
CN117868610A (en) Irreversible safety device, vehicle door handl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10154741A (en) Lifting Evacuation Device
WO2018050579A1 (en) Method of installing an elevator in an elevator shaft
JPH02200990A (en) Emergency lad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