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7700B1 -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7700B1
KR102417700B1 KR1020210058314A KR20210058314A KR102417700B1 KR 102417700 B1 KR102417700 B1 KR 102417700B1 KR 1020210058314 A KR1020210058314 A KR 1020210058314A KR 20210058314 A KR20210058314 A KR 20210058314A KR 102417700 B1 KR102417700 B1 KR 102417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ome
development fund
fund
regional development
bud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남성
강정미
맹수연
위길량
윤래구
이규봉
이미경
김서경
강원주
김인성
권유삼
김성록
김시원
Original Assignee
농협은행(주)
웹케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협은행(주), 웹케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협은행(주)
Priority to KR1020210058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7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는, 지역개발기금을 운용하는 행정기관에 의하여 사용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행정기관의 지역개발기금 관련 계좌가 개설된 금고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지역개발기금에 기초한 수입 항목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연동부; 지역개발기금에 기초한 수입에 관련된 예산과목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예산과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입 항목 정보를 예산과목별로 분류하도록 구성된 예산과목 매핑(mapping)부; 및 상기 예산과목 매핑부에 의해 분류된 상기 수입 항목 정보에 대한 수입결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수입결의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를 이용하면, 지방자치단체 등 지역개발기금을 운용하는 행정기관이 금고 금융기관으로부터 수납받은 지역개발기금 채권매출 수입, 융자금 회수 수입, 예금이자 수입 등의 수입 항목을 예산과목에 해당되는 수입결의서(예컨대, 전표)로 자동 분류할 수 있어 기존의 수기 업무를 경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INCOME RESOLUTION BASED ON LOCAL DEVELOPMENT FUND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실시예들은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예들은 지방자치단체 등 지역개발기금을 운용하는 행정기관이 금고 금융기관으로부터 수납받은 지역개발기금 관련 수입 항목을 자동으로 수입 처리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지역개발기금이란 재원이 부족한 지방자치단체가 지역이 필요로 하는 지방공공재를 원활히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지방의 주민 복리 증진과 지방 공기업 및 지역 개발 사업 등의 지원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 및 공급하는 데에 사용된다. 자치단체에서는 지역개발채권 발행 등을 통해 지역개발기금을 조성하고, 조성된 지역개발기금은 시·도 본청, 시·군의 기초 자치단체, 지방공기업 등을 대상으로 한 상하수도 사업, 산업단지 조성, 도로건설 사업 등에 융자된다.
지역개발기금은 중앙으로부터의 이전 재원과 달리 자치단체에 의한 자율적 운용이 가능한데, 자치단체에서는 시·도·군 등의 금고은행을 통하여 금고은행이 지역개발채권의 판매를 대행하고 관련 매출을 수납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지역개발기금의 여유자금은 일반적으로 금고은행에 보통예금이나 정기예금으로 예치하고 있으며, 지역개발기금을 통해 융자된 자금에 대한 회수도 금고은행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금고은행에서 대행 처리한 지역개발채권 매출, 융자금 고지수납, 예치금에 대한 이자 수입 등을 자치단체에서 전산화된 방식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수입 항목을 자치단체의 담당자가 직접 확인한 후 자치단체의 내부 시스템에 수기로 등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처럼 수기 등록된 수입 항목에 대한 자치단체의 수입결의서(전표)의 등록 또한 담당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209370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방자치단체 등 지역개발기금을 운용하는 행정기관이 금고 금융기관으로부터 수납받은 지역개발기금 관련 수입 항목을 수신하고, 수입내역을 예산과목별로 자동으로 분류하여 수입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지역개발기금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는, 지역개발기금을 운용하는 행정기관에 의하여 사용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행정기관의 지역개발기금 관련 계좌가 개설된 금고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지역개발기금에 기초한 수입 항목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연동부; 지역개발기금에 기초한 수입에 관련된 예산과목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예산과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입 항목 정보를 예산과목별로 분류하도록 구성된 예산과목 매핑(mapping)부; 및 상기 예산과목 매핑부에 의해 분류된 상기 수입 항목 정보에 대한 수입결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수입결의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입 항목 정보는 지역개발기금에 기초한 지역개발채권 매출 내역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입 항목 정보는 지역개발기금 융자금에 대한 융자회수 입금 내역을 포함하며, 상기 예산과목 매핑부는 상기 융자회수 입금 내역을 융자금 원금 및 이자로 나누어 예산과목별로 분류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입 항목 정보는 지역개발기금의 예금이자 수입내역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는, 예산과목별로 분류된 상기 수입 항목 정보를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및 대상 기관 중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집계한 내역을 포함하는 수입 보고서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보고서 생성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역개발기금 관리 시스템은, 지역개발기금을 운용하는 행정기관의 지역개발기금 관련 계좌를 관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계좌에 대한 수입 항목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금고 금융기관 서버; 및 지역개발기금에 기초한 수입에 대한 예산과목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금고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수입 항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예산과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입 항목 정보를 예산과목별로 분류하여 분류된 상기 수입 항목 정보에 대한 수입결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금고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계좌에 대한 입금 내역을 수집하도록 구성된 거래내역 수집 처리부; 상기 계좌에 대한 거래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수입 항목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수입 처리부; 및 상기 수입 항목 정보를 상기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방법은,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가, 지역개발기금에 기초한 수입에 관련된 예산과목 정보를 상기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가, 상기 행정기관의 지역개발기금 관련 계좌가 개설된 금고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지역개발기금에 기초한 수입 항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가, 상기 예산과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입 항목 정보를 예산과목별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가, 상기 분류하는 단계에서 분류된 상기 수입 항목 정보에 대한 수입결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입 항목 정보는 지역개발기금 융자금에 대한 융자회수 입금 내역을 포함하며, 상기 수입 항목 정보를 예산과목별로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가, 상기 융자회수 입금 내역을 융자금 원금 및 이자로 나누어 예산과목별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방법은, 상기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가, 예산과목별로 분류된 상기 수입 항목 정보를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및 대상 기관 중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집계한 내역을 포함하는 수입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지방자치단체 등 지역개발기금을 운용하는 행정기관이 금고 금융기관으로부터 수납받은 지역개발기금 채권매출 수입, 융자금 회수 수입, 예금이자 수입 등의 수입 항목을 예산과목에 해당되는 수입결의서(예컨대, 전표)로 자동 분류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행정기관의 내부 매체에서 입금 내역을 확인하고 이를 관련 시스템에 수기로 등록 처리하며 별도로 수입결의를 하던 기존의 업무 처리 방식을 자동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지역개발기금 관리에 소요되는 업무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금고 금융기관을 통한 지역개발기금의 운용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개발기금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지역개발채권의 매출 내역을 자동 수입 처리하는 과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지역개발기금에 기초한 융자금 회수 내역을 자동 수입 처리하는 과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라 지역개발기금에 기초한 예금이자 내역을 자동 수입 처리하는 과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a 및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개발기금 관리 시스템에서 수입 항목을 예산과목과 매핑하기 위한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념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개발기금 관리 시스템에 의한 수입 결의 결과를 표시하는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념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금고 금융기관을 통한 지역개발기금의 운용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방자치단체와 같이 지역개발기금을 조성하고 운용하는 행정기관(100)은 지역개발기금에 관련된 수입에 대한 수납을 금고 금융기관(예컨대, 은행 등)(200)이 대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역개발기금에 관련된 수납이란 지역개발기금을 토대로 발행되는 채권(이하, '지역개발채권'으로 지칭함)의 매출(110), 지역개발기금에 기초한 융자금의 원금이나 이자 회수 수입(112), 지역개발기금을 보통예금이나 정기예금으로 예치함에 따라 발생되는 예금이자 수입(114)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행정기관(100)에서는 지역개발기금 관련 수입(110, 112, 114) 항목에 대하여 수납 항목과 예산과목 사이의 매핑(mapping) 관계를 설정하고 저장할 수 있다. 자금 수요자가 금고 금융기관(200)에서 대행 판매하는 채권을 매입하거나 지역개발기금에 기초한 융자금을 상환하는 경우, 또는 금고 금융기관(200)에 예치된 지역개발기금에서 예금이자가 발생하는 경우, 금고 금융기관(200)은 채권 시스템, 계좌거래내역 조회 서비스 시스템 등을 통하여 각 수입 항목(110, 112, 114)에 상응하여 수납된 입금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자금 수요자는 필요에 의해 또는 지역개발기금 운영 조례에 의해 규정된 바에 따라 지역개발채권을 매입하는 기업이나 기관 등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및 시·군 등에서 면허·허가·인가를 받거나 신고·등록을 신청하는 자, 지방자치단체 등과 건설공사 도급계약을 체결하는 자, 지방자치단체등과 용역계약 또는 물품 구매·수리·제조계약을 체결하는 자 등은 조례에 따라 지역개발채권을 매입해야 할 의무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자에 해당하는 기업이나 기관이 본 명세서의 자금 수요자에 해당하고, 해당 기업이나 기관에 지역개발채권을 판매한 금액이 행정기관(100)의 지역개발채권 수입 항목(110)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자금 수요자는 지역개발기금으로부터 융자를 받는 기업이나 기관을 지칭할 수도 있으며, 해당 기업이나 기관에서 융자 원금 및/또는 이자의 상환을 위하여 금고 금융기관(200)에 수납한 금액이 행정기관(100)의 융자회수 수입 항목(112)에 해당될 수도 있다. 행정기관(100)은 융자금에 대한 회수를 위하여 전자 데이터 또는 인쇄물 형태의 고지서를 발행하여 자금 수요자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금고 금융기관(200)에서는 수납 내역을 각 수입 항목(110, 112, 114) 별로 분류하여 행정기관(100)에 송신할 수 있다. 행정기관(100)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각 수입 항목(110, 112, 114)을 이와 매핑된 예산과목으로 자동 분류할 수 있으며, 또한 매핑된 예산과목을 기초로 각 수입 항목(110, 112, 114)에 대한 수입 결의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담당자가 수입 항목을 일일이 확인하여 예산과목 별로 분류할 필요 없이 수입 처리와 동시에 수입내역을 자동으로 예산과목별로 분류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개발기금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역개발기금 관리 시스템은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 및 금고 금융기관 서버(2)를 포함한다.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는 지역개발기금을 조성 및 운용하는 지방자치단체 등 행정기관에 의하여 사용되는 시스템을 지칭하며, 금고 금융기관 서버(2)는 이러한 행정기관의 지역개발기금을 관리하는 지정 금융기관으로 선정된 은행 등 금융기관의 금고 업무에 대한 전자적 처리를 지원하는 장치를 지칭한다.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와 금고 금융기관 서버(2)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 간에 통신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 및/또는 금고 금융기관 서버(2)는 지역개발기금에 기초한 융자금 상환 대상인 기관에 고지내역을 전송하거나 해당 기관으로부터 납부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통신 서버(5)와 더 통신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는 행정기관의 재정 업무에 대한 전자적 처리를 지원하는 재정 관리 서버(3)와 더 통신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정 관리 서버(3)는 자치단체에서 사용하기 위한 e-호조 시스템, e-세출 시스템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방법은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모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는 연동부(11), 예산과목 매핑(mapping)부(12) 및 수입결의 처리부(13)를 포함한다. 이때, 예산과목 매핑부(12)는 지역개발기금 관련 수입 항목과 이에 해당하는 예산과목의 매핑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는 보고서 생성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금고 금융기관 서버(2)는 거래내역 수집 처리부(21), 수입 처리부(22) 및 송신부(23)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 및 금고 금융기관 서버(2)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들에 따른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 및 금고 금융기관 서버(2)와 이에 포함된 각 부(unit)는 특정 형식 및 내용의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또는/또한 전자통신 방식으로 주고받기 위한 하드웨어 및 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단말기", "서버" 또는 "시스템"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 및 금고 금융기관 서버(2)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11-14, 21-23)는 반드시 서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즉, 도 1의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 및 금고 금융기관 서버(2)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는 이들 장치를 구성하는 하드웨어를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에 따라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일 뿐, 반드시 각 구성요소가 서로 독립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는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 및/또는 금고 금융기관 서버(2)에 포함된 각 부(11-14, 21-23)가 서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서버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금고 금융기관 서버(2)는 행정기관의 지역개발기금 관련 계좌를 관리하는 금융기관의 장치로서, 계좌의 거래내역을 관리하고, 계좌에 대한 수입 항목 정보를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거래내역 수집 처리부(21)는 행정기관의 지역개발기금 관련 계좌에 대한 입금 내역을 금고 금융기관의 대행 업무 시스템 또는 계정계 시스템(미도시) 등으로부터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수입 처리부(22)는, 거래내역 수집 처리부(21)에 수집된 입금 내역을 토대로 수입 항목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수입 처리부(22)는 계좌에 대한 입금 내역을 수입의 종류에 따라 분류 및/또는 집계하여 수입 항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송부(23)는 수입 처리부(22)에 의해 생성된 수입 항목 정보를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송부(23)는 통신 서버(5)를 통하여 자금 수요자에게 융자금 상환을 위한 고지내역을 전송하도록 더 구성될 수도 있다.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는 지역개발기금에 기초한 수입에 대한 예산과목 정보를 저장하며, 금고 금융기관 서버(2)로부터 수신한 수입 항목 정보를 예산과목별로 분류하여 수입결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연동부(11)는 행정기관의 지역개발기금 관련 계좌가 개설된 금고 금융기관 서버(2)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함으로써 전술한 수입 항목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예산과목 매핑부(12)는 지역개발기금 관련 수입의 각 수입 항목에 대하여 이와 매핑된 예산과목 정보를 DB(120)에 저장하며, 예산과목 정보에 기초하여 수입 항목 정보를 예산과목별로 분류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예산과목 매핑부(12)는 지역개발기금 융자금에 대한 융자회수 입금 내역을 융자금 원금 및 이자로 나누어 예산과목별로 분류할 수 있으나, 예산과목별 분류 방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입결의 처리부(13)는, 예산과목 매핑부(12)에 의해 분류된 수입 항목 정보에 대한 수입결의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자동화된 방식으로 수입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수입결의 처리부(13)는 수입 항목의 각 금액과 이에 상응하는 예산과목이 기재된 전표 형태의 수입결의서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른 실시예에서 수입결의 처리부(13)는 금고 금융기관을 통한 수납 내역을 행정기관의 수입으로 회계 처리하기 위한 다른 임의의 형태로 수입결의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입결의 처리부(13)는 수입 항목 정보에 대한 분개 처리를 추가적으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분개(分介)란 회계상의 거래를 차변 요소와 대변 요소로 분류하고 어떤 예산과목을 기입하고 얼마의 금액을 기입할 것인지 결정하는 절차를 지칭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입결의 처리부(13)는 수입 항목 정보를 예산과목에 매핑하는 것에 더하여, 각 수입 항목에 상응하는 재무상태 구분(즉, 수입내역이 대차대조표의 대변과 차변 중 어느 변의 요소에 해당하는지)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DB(120)에는 수입 항목 별로 차변요소, 대변요소 및 예산과목 등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이 저장되어 있어, 수입결의 처리부(13)는 이를 토대로 예산과목과 매칭된 수입 항목에 대한 분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B(120)은 미리 설정된 분개 모형을 저장하며, 수입결의 처리부(13)는 수입 항목 정보를 분개 모형의 거래유형과 대비하여 거래유형에 따른 차변요소 및 대변요소를 자동 설정한 후 분개원장을 자동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수입결의 처리부(13)는 분개원장에 대한 보조 원장으로 현금 출납장을 더 생성하거나, 또는/또한 분개원장의 차변요소 및 대변요소들을 예산과목을 기준으로 추출한 계정과목원장을 자동 생성할 수도 있다.
일 예로, 거래유형 분류에 따른 분개 모형은 하기 표 1에 예시된 것과 같은 형태로서, 자동 분개 처리를 위하여 수입 항목에 대한 회계연도, 업무유형, 연결거래정보, 업무구분, 예산구분, 처리단계 구분, 차변요소(과목코드 및 과목명), 대변요소(과목코드 및 과목명), 현금증감여부, 기금세목코드, 연계시스템(예컨대, e-호조 시스템) 과목 구분(통계목 등)을 정의하는 것일 수 있다.
회계연도 업무유형
구분코드
연결거래
일련번호
업무구분
코드
업무유형
구분명
예산구분
코드
처리단계
구분코드
2021 110110 1 10 채권 채권 매출 차입 1 수입예산 2 수입/
지출
차변관리과목코드 차변관리
과목명
대변관리
과목코드
대변관리
과목명
현금증감
여부
기금세목
코드
e-호조
통계목
1101
-010000
현금과예금(수입원계좌) 2202
-010000
지방채증권 Y 15101 61202
그러나, 상기 표 1에 기재된 분개 모형의 각 정보 항목의 종류나 이에 대한 입력 정보의 형태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수입결의 처리부(13)가 수입 항목을 자동으로 분개 처리하기 위한 모형이나 정보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보고서 생성부(14)는 예산과목별로 분류된 수입 항목 정보에 기초한 수입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수입 보고서는 예산과목별로 분류된 수입 항목 정보를 특정 시간 단위를 기준으로 집계하거나, 또는 기금을 운용하는 행정기관이나 자금 수요자에 해당하는 기업 또는 기관을 기준으로 집계한 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입 보고서는 채권매출일보나 채권매출월보 등과 같은 형식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는 각 수입 항목에 대한 예산과목 정보를 예산과목 매핑부(12)의 DB(120)에 저장할 수 있다(S1). 저장된 예산과목 정보는 추후 수입 항목을 예산과목 별로 자동 분류하기 위한 기준의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의 연동부(11)는 금고 금융기관 서버(2)의 송신부(23)로부터 수입 항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 이때 수신되는 수입 항목 정보는 행정기관의 지역개발기금 관련 계좌의 거래내역을 수입의 종류에 따라 구분한 것으로, 금고 금융기관 서버(2)의 수입 처리부(22)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입 처리부(22)는 지역개발기금 관련 수입을 지역개발채권 매출금액, 융자금 원금회수, 융자금 이자회수, 예금이자수입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지역개발기금 관련 수입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동부(11)는 수신된 수입내역을 수입 항목 별로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수입내역 매핑부(12)는 DB(120)에 저장된 예산과목 정보에 기초하여 수입 항목과 예산과목에 대한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S3). 예를 들어, 예산과목 매핑부(12)는 지역개발채권 매출, 융자금 회수, 예금이자 등의 수입 항목을 각 수입 항목에 대해 미리 정의되어 있는 예산과목인 채권매출수입, 융자금원금회수수입, 융자금이자회수수입, 공공예금이자수입 등의 예신과목과 매핑할 수 있다. 또한, 예산과목과 매핑된 수입 항목은 DB(12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산과목 매핑부(12)는 수입 항목과 예산과목 각각의 목록을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각각의 목록을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볼 수 있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수입 항목과 예산과목의 매핑 결과를 확인하거나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a 및 7b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수입결의 처리부(13)는, 예산과목 매핑부(12)에 의하여 분류된 예산과목에 기초하여 각 항목의 수입내역을 파악하고, 예산과목별로 분류된 수입 항목에 기초하여 수입 등록 및 수입 결의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수입결의 처리부(13)는 예산과목별로 분류된 수입 항목에 따라 전표 방식의 수입결의서 형태로 수입결의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수입결의 처리부(13)는 수입결의 정보를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을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담당자에 의한 결제를 위한 전자 결제 데이터의 형태로 생성하여 담당자에게 제공하거나 담당자의 사용자 장치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는 예산과목과 매핑된 수입 항목에 기초하여 수입 보고서를 생성할 수도 있다(S5). 예를 들어, 수입 보고서는 특정 종류의 수입 항목을 시간별로, 지역개발기금을 운용하는 기관별로, 또는/또한 지역개발채권을 매입하였거나 기금으로부터 융자를 받은 자금 수요자별로 집계한 보고서일 수 있으나, 수입 보고서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지역개발기금 관련 수입의 종류에 따라 이에 대한 수입 처리를 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지역개발채권의 매출 내역을 자동 수입 처리하는 과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금고 금융기관에 의한 지역개발채권의 판매는 해당 금융기관의 대외대행 시스템에 해당하는 금융업무 서버(2')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S11). 이때 금융업무 서버(2')와 금고 금융기관 서버(2)는 행정기관의 금고 역할을 하는 동일한 금융기관에 속할 수 있으며, 다만 수행하는 역할 및/또는 통신망에 의해 구분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금고 금융기관 서버(2)는 금고망 또는 다른 형태의 폐쇄망을 통하여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금융업무 서버(2')는 금융기관의 내부망을 통하여 금고 금융기관 서버(2)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금고 금융기관과 행정기관은, 상호 간에 약정된 주기마다 지역개발채권에 대한 매출 금액을 정산할 수 있다. 약정된 정산 주기가 되면, 금융업무 서버(2')는 지역개발채권의 매출 금액을 정산하고(S12), 정산 결과에 해당하는 채권 매출내역을 금고 금융기관 서버(2)에 전송할 수 있다(S13). 금고 금융기관 서버(2)에서는 수신된 채권 매출내역을 수입 항목 정보로서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에 전송할 수 있다(S14). 즉, 금고 금융기관 서버(2)는 채권 매출내역을 금융업무 서버(2')로부터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에 전송하는 중계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금고 금융기관 서버(2)는 채권 매출내역을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에서 수신하기 위한 전문 방식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금고 금융기관 서버(2)를 통하여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에 전송되는 채권 매출내역은 채권의 발행시점을 기준으로 집계된 발행 건 수 및 해당 발행 건들을 집계한 총 금액일 수 있다. 이때 채권의 발행 건 수와 금액은 발행시점의 연도를 기준으로 집계되거나, 또는 발행시점의 연도와 월을 기준으로 집계된 합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는 수신된 채권 매출내역에 대한 집계를 수행하고(S15), 예산과목 정보를 기초로 채권 매출내역을 예산과목에 매핑할 수 있다(S16). 다음으로,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는 채권 매출내역에 대하여 이와 매핑된 예산과목을 토대로 수입결의를 수행할 수 있다(S17). 그 결과, 지역개발채권 매출의 정산 시점에 자동으로 수입 결의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종래의 담당자의 수기에 의한 예산과목의 분류나 수입 결의 업무를 경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는 지역개발채권의 발행 시점별 액면금리 정보를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의 DB에 저장하고 있으며, 발행 시점별 액면금리 정보에 기초하여 채권 매출내역의 총 합계 금액에서 향후 지급될 이자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는 채권 매출 금액에서 향후 지급될 이자를 제외한 금액에 대하여 수입 결의를 하거나, 또는 향후 지급될 이자에 대하여 별도의 예산과목으로 수입 결의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는 채권매출일보 또는 채권매출월보와 같이 특정 시간 구간 동안의 채권 매출을 집계한 매출 보고서를 생성할 수도 있다(S18). 예를 들어, 매출 보고서는 행정기관의 관내 기관(예컨대, 자치단체) 또는 자금 수요자 별로 집계된 지역개발채권 매출 건 수 및/또는 매출 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매출 보고서는 관외 자금 수요자 별로 집계된 매출 건 수 및/또는 매출 금액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지역개발기금에 기초한 융자금 회수 내역을 자동 수입 처리하는 과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를 이용하는 행정기관에서는 융자금 회수 계획을 수립하고, 지역개발기금을 기초로 자금을 융자한 자금 수요자를 대상으로 융자금 회수를 고지할 수 있다(S21). 일 실시예에서, 융자금 회수를 고지하는 과정은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와 연계된 재정 관리 서버(3)나 통신 서버(5) 등을 통하여 고지내역 정보를 자금 수요자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고지내역에는 융자금 원금과 이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 고지내역 정보는 공문이나 서면 고지서 등의 형태로 인쇄되어 자금 수요자에게 발송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는, 회수되는 융자금을 수납할 금고 금융기관 서버(4)에 융자금 회수 고지내역을 전송할 수 있다(S22). 금고 금융기관 서버(4)에서는 융자금 상환을 위하여 행정기관의 계좌에 입금된 내역을 수집하고(S23), 입금 내역을 수입 항목으로 금고 금융기관 서버(2)에 등록할 수 있다(S24). 또한, 금고 금융기관 서버(2)는 융자금 회수 내역에 상응하는 수입 항목 정보를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에 전송할 수 있다(S25).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에서는 금고 금융기관 서버(2)로부터 수신된 수입 항목 정보를 미리 저장된 예산과목 정보에 따라 예산과목에 매핑하고(S26), 예산과목과 매핑된 수입 항목 정보를 토대로 융자금 회수 내역에 대한 수입결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7). 예를 들어,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는 융자금 회수내역을 금액을 기준으로 원금과 이자로 구분하고, 원금과 이자에 대하여 각각 상이한 예산과목을 매핑하여 수입결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라 지역개발기금에 기초한 예금이자 내역을 자동 수입 처리하는 과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금고 금융기관 서버(2)는 행정기관의 지역개발기금이 예치되어 있으면서 이자가 지급되는 보통예금이나 정기예금과 같은 계좌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금융업무 서버(2')와 통신할 수 있다(S31). 이때 금융업무 서버(2')와 금고 금융기관 서버(2)는 행정기관의 금고 역할을 하는 동일한 금융기관에 속할 수 있으며, 다만 수행하는 역할 및/또는 통신망에 의해 구분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융업무 서버(2')는 금고은행의 계정계 시스템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금고 금융기관 서버(2)에서는 금융업무 서버(2')로부터 조회된 계좌 정보를 이용하여 지역개발기금 계좌 정보를 확인하고(S32), 이를 지역개발기금 계좌 원장 등의 형태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금고 금융기관 서버(2)는 지역개발기금 계좌 정보를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에 전송함으로써(S33) 행정기관에서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를 사용하여 해당 계좌에 대한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지역개발기금이 예치된 계좌의 이자 수입을 조회하기 위하여, 금고 금융기관 서버(2)는 금융업무 서버(2')를 조회하여 계좌 거래내역을 수신하고(S34), 수신된 거래내역을 수입 항목으로서 금고 금융기관 서버(2)에 등록할 수 있다(S35). 또한, 금고 금융기관 서버(2)는 계좌 거래내역에 포함된 예금이자 수입내역을 수입 항목 정보로서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에 전송할 수 있다(S36).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1)에서는 금고 금융기관 서버(2)로부터 수신된 수입 항목 정보를 미리 저장된 예산과목 정보에 따라 예산과목에 매핑하고(S37), 예산과목과 매핑된 수입 항목 정보를 토대로 예금이자 수입내역에 대한 수입결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38). 이상의 과정은 금고 금융기관에서 예금이자 수입이 등록(S35)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즉시 수행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담당자의 수기에 의한 예산과목의 분류나 수입 결의가 필요치 않게 된다.
도 7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개발기금 관리 시스템에서 수입 항목과 매핑되는 예산과목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념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지역개발기금 관리 시스템에서 예산과목은 수입(세입) 및 지출(세출)로 구분하여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지역개발기금 관리 시스템의 예산과목은 e-호조 시스템 등 자치단체에서 재정 관리를 위하여 사용하는 다른 시스템의 예산과목과 매핑되어 관리될 수도 있다. 도 7a의 예에서, 영역(702)은 지역개발기금 예산과목을 나타내며, 영역(703)은 이와 매핑된 e-호조 시스템의 예산과목을 나타낸다. 지역개발기금 예산과목은 하나 또는 복수의 e-호조 시스템 예산과목에 매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예산과목은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및 세목을 갖는 다단계의 구조를 가지며, 각 수입 항목은 이에 해당하는 매핑 정보를 토대로 특정 예산과목과 매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군으로부터 회수된 융자금은 "시군융자금회수수입" 세목 해당한다는 것을 정의하는 매핑 정보가 지역개발기금 관리 시스템에 저장되며, 해당 융자금 회수로 인한 수입 항목이 발생하면 지역개발기금 관리 시스템은 이를 자동으로 대분류 [자본적 수입], 중분류 [투자자산수입], 소분류 [기금융자금회수수입] 및 세목 [시군융자금회수수입]으로 예산과목과 매핑시킬 수 있다. 또한, 이상의 매핑은 각 분류 및 세목에 대한 코드를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지역개발기금 관리 시스템의 사용자는 검색 영역(701)을 통하여 해당 지역과 회계연도, 지역개발기금 세목명 또는 연계 시스템의 세목명 등을 입력하여 관련 예산과목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지역개발기금 관리 시스템의 관리자는 관리 영역(704)을 이용하여 예산과목의 등록, 수정 및 삭제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권한을 가진 사용자만 예산과목의 등록, 수정 및 삭제가 가능하도록 하고, 일반 사용자는 수입 항목과 매핑된 예산과목의 조회만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개발기금 관리 시스템에서 수입 항목과 매핑되는 예산과목을 등록 또는 수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념도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관리자는 UI 요소(713)를 이용하여 e-호조 시스템 등 지역개발기금 관리 시스템과 연계된 자치단체의 재정 관리 시스템의 예산과목 정보(712)를 불러오고, 이에 대응되는 지역개발기금 관리 시스템의 예산과목 정보(711)를 등록 또는 수정할 수 있다. 또는, 관리자는 새로운 예산과목 정보(711)를 입력하고 이를 연계 시스템의 예산과목 정보에 매핑시켜 저장할 수도 있다. 이때 각각의 예산과목 정보(711, 712)는 회계연도,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세목으로 구성된 분류 정보 및 대응 코드, 편성목명, 편성목 코드 및 지역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리자가 예산과목 정보(711)를 입력한 내역은 등록일시, 변경일시, 등록자, 수정자, 수기등록가능여부 등을 포함하는 등록 정보(714)로서 지역개발기금 관리 시스템에 등록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개발기금 관리 시스템에 의한 수입 결의 결과를 표시하는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지역개발기금 관리 시스템에서는 각 수입 항목을 이에 해당하는 예산과목(과목 코드)과 매핑시켜 수입 결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수입 결의를 통해 생성된 징수결의번호가 지역개발기금 관리 시스템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 수입 항목에 대한 수입 결의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거나 자동 생성된 수입적요, 수입 결의 시 수기등록여부 정보, 및 등록일 등의 정보가 각 수입 항목에 대응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방법에 의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지역개발기금을 운용하는 행정기관에 의하여 사용되기 위한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로서,
    상기 행정기관의 지역개발기금 관련 계좌가 개설된 금고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지역개발기금에 기초한 수입 항목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연동부;
    상기 행정기관의 재정 업무에 대한 전자적 처리를 지원하는 재정 관리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재정 관리 서버로부터 지역개발기금에 기초한 수입에 관련된 예산과목 정보를 불러오고, 상기 예산과목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예산과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입 항목 정보를 예산과목별로 분류하도록 구성된 예산과목 매핑부; 및
    상기 예산과목 매핑부에 의해 분류된 상기 수입 항목 정보에 대한 수입결의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수입결의 정보를, 상기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를 이용하는 담당자에 의한 결제를 위한 전자 결제 데이터의 형태로 상기 담당자의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수입결의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입 항목 정보는, 상기 행정기관의 지역개발기금 관련 계좌의 거래내역을 상기 금고 금융기관에서 수입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생성된 것으로서, 지역개발기금에 기초한 지역개발채권 매출 내역, 지역개발기금 융자금에 대한 융자회수 입금 내역 또는 지역개발기금의 예금이자 수입내역을 포함하고,
    상기 예산과목 매핑부는, 거래유형에 상응하는 차변요소 및 대변요소를 정의하도록 미리 설정된 분개 모형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수입결의 처리부는,
    상기 수입 항목 정보를 상기 분개 모형의 거래유형과 비교하여 상기 수입 항목 정보에 상응하는 차변요소 및 대변요소를 결정함으로써 분개원장을 생성하며,
    상기 분개원장의 차변요소 및 대변요소를 예산과목을 기준으로 추출한 계정과목원장을 생성하도록 더 구성되고,
    예산과목별로 분류된 상기 수입 항목 정보를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상기 행정기관 및 지역개발기금의 자금 수요자 중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집계한 내역을 포함하는 수입 보고서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보고서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산과목 매핑부는 상기 융자회수 입금 내역을 융자금 원금 및 이자로 나누어 예산과목별로 분류하도록 더 구성된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
  4. 삭제
  5. 삭제
  6. 지역개발기금을 운용하는 행정기관의 지역개발기금 관련 계좌를 관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계좌에 대한 수입 항목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금고 금융기관 서버; 및
    상기 행정기관의 재정 업무에 대한 전자적 처리를 지원하는 재정 관리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재정 관리 서버로부터 지역개발기금에 기초한 수입에 대한 예산과목 정보를 불러오고, 상기 예산과목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금고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수입 항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예산과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입 항목 정보를 예산과목별로 분류하여 분류된 상기 수입 항목 정보에 대한 수입결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금고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행정기관의 지역개발기금 관련 계좌의 거래내역을 수입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상기 수입 항목 정보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수입 항목 정보는, 지역개발기금에 기초한 지역개발채권 매출 내역, 지역개발기금 융자금에 대한 융자회수 입금 내역 또는 지역개발기금의 예금이자 수입내역을 포함하고,
    상기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는,
    상기 수입결의 정보를, 상기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를 이용하는 담당자에 의한 결제를 위한 전자 결제 데이터의 형태로 상기 담당자의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고,
    거래유형에 상응하는 차변요소 및 대변요소를 정의하도록 미리 설정된 분개 모형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수입 항목 정보를 상기 분개 모형의 거래유형과 비교하여 상기 수입 항목 정보에 상응하는 차변요소 및 대변요소를 결정함으로써 분개원장을 생성하고,
    상기 분개원장의 차변요소 및 대변요소를 예산과목을 기준으로 추출한 계정과목원장을 생성하며,
    예산과목별로 분류된 상기 수입 항목 정보를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상기 행정기관 및 지역개발기금의 자금 수요자 중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집계한 내역을 포함하는 수입 보고서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 지역개발기금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고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계좌에 대한 입금 내역을 수집하도록 구성된 거래내역 수집 처리부;
    상기 계좌에 대한 거래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수입 항목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수입 처리부; 및
    상기 수입 항목 정보를 상기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부를 포함하는 지역개발기금 관리 시스템.
  8. 지역개발기금을 운용하는 행정기관에 의하여 사용되기 위한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방법으로서,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가, 상기 행정기관의 재정 업무에 대한 전자적 처리를 지원하는 재정 관리 서버와의 통신을 통하여, 상기 재정 관리 서버로부터 지역개발기금에 기초한 수입에 관련된 예산과목 정보를 불러오는 단계;
    상기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가 상기 예산과목 정보를 상기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가, 상기 행정기관의 지역개발기금 관련 계좌가 개설된 금고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지역개발기금에 기초한 수입 항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가, 상기 예산과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입 항목 정보를 예산과목별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가, 상기 분류하는 단계에서 분류된 상기 수입 항목 정보에 대한 수입결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가, 상기 수입결의 정보를, 상기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를 이용하는 담당자에 의한 결제를 위한 전자 결제 데이터의 형태로 상기 담당자의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입 항목 정보는, 상기 행정기관의 지역개발기금 관련 계좌의 거래내역을 상기 금고 금융기관에서 수입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생성된 것으로서, 지역개발기금에 기초한 지역개발채권 매출 내역, 지역개발기금 융자금에 대한 융자회수 입금 내역 또는 지역개발기금의 예금이자 수입내역을 포함하고,
    상기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는, 거래유형에 상응하는 차변요소 및 대변요소를 정의하도록 미리 설정된 분개 모형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가, 상기 수입 항목 정보를 상기 분개 모형의 거래유형과 비교하여 상기 수입 항목 정보에 상응하는 차변요소 및 대변요소를 결정함으로써 분개원장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가, 상기 분개원장의 차변요소 및 대변요소를 예산과목을 기준으로 추출한 계정과목원장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가, 예산과목별로 분류된 상기 수입 항목 정보를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상기 행정기관 및 지역개발기금의 자금 수요자 중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집계한 내역을 포함하는 수입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입 항목 정보를 예산과목별로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가, 상기 융자회수 입금 내역을 융자금 원금 및 이자로 나누어 예산과목별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8항 또는 제10항에 따른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058314A 2021-05-06 2021-05-06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17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314A KR102417700B1 (ko) 2021-05-06 2021-05-06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314A KR102417700B1 (ko) 2021-05-06 2021-05-06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7700B1 true KR102417700B1 (ko) 2022-07-08

Family

ID=82407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314A KR102417700B1 (ko) 2021-05-06 2021-05-06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7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9112B1 (ko) * 2022-10-21 2023-06-29 농협은행(주) 단말 장치를 이용한 금고 이상거래 탐지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2657A (ko) * 2015-12-17 2017-06-27 중소기업은행 자동 회계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080612B1 (ko) * 2019-08-19 2020-03-02 농협은행(주) 교육행정 기관을 위한 e교육금고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09370B1 (ko) 2020-05-21 2021-01-28 농협은행(주)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행정기관을 위한 금고 시스템, 이를 이용한 행정기관의 재정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2657A (ko) * 2015-12-17 2017-06-27 중소기업은행 자동 회계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080612B1 (ko) * 2019-08-19 2020-03-02 농협은행(주) 교육행정 기관을 위한 e교육금고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09370B1 (ko) 2020-05-21 2021-01-28 농협은행(주)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행정기관을 위한 금고 시스템, 이를 이용한 행정기관의 재정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경기도, 경기도 지역개발기금 업무편람, 2014.08* *
이현우 외 3명, 경기도 기금 활성화 및 운용개선방안 연구 지역개발기금을 중심으로, 경기연구원 정책연구, 2018.05.* *
최길웅 외 1명, 통합 경영정보시스템 구축, 한국산림복지진흥원 과업지시서, 2019.07.*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9112B1 (ko) * 2022-10-21 2023-06-29 농협은행(주) 단말 장치를 이용한 금고 이상거래 탐지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75708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ceivables management
US201601042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lligent classification of data
US20210049706A1 (en) Systems and methods of organizing databases
US11587185B2 (en) Accounting platform functionalities
JP2003532228A (ja) 受取勘定のクレジット照会を管理する方法と装置
JP2003532230A (ja) 会計システムインターフェイスを管理する方法と装置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3532225A (ja) 受取勘定の管理方法と装置
CN105825425A (zh) 一种适用于阿米巴经营的存取款式的财务数据处理方法
US20210166330A1 (en) Accounting Platform Functionalities
CN110163733A (zh) 用于提供计算机自动调整条目的系统和方法
CN111768281A (zh) 总账凭证生成方法、装置及系统
KR102417700B1 (ko) 지역개발기금 자동 수입 처리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US10896470B2 (en) Modified cash ledger basis for an accounting system and process
JP6808743B2 (ja) 徴税、分析及び法令遵守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145427B1 (ko) 결의서를 이용한 자동 분개방법
KR101112755B1 (ko) 부실채권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AU5793301A (en) Expenditure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a
WO2004017240A1 (ja) 会計データの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及び管理用プログラム
AU2012268872A9 (en) Method and system for receivables management
Bansal Integrated Financial Management System (IFMS), Haryana
Van Steenberghe Maximizing Cash Management with SAP ERP Financials
CN116266330A (zh) 一种具有信息赋能功能的新型会计记账系统及方法
CN111461690A (zh) 一种企业管理系统生成费用凭证的方法
TW201530448A (zh) 一種erp各類待抵帳款及第三方交易立沖控管之系統及其方法
CN104574042A (zh) 一种多映射信息处理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