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7673B1 - 복조 장치, 처리 장치,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복조 장치, 처리 장치,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7673B1
KR102417673B1 KR1020197035208A KR20197035208A KR102417673B1 KR 102417673 B1 KR102417673 B1 KR 102417673B1 KR 1020197035208 A KR1020197035208 A KR 1020197035208A KR 20197035208 A KR20197035208 A KR 20197035208A KR 102417673 B1 KR102417673 B1 KR 102417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transport
fragment
payload
h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5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8423A (ko
Inventor
사토시 오카다
유이치 히라야마
가즈유키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27022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102B1/ko
Publication of KR20200018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6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involving stuffing data, e.g. packets or by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04H20/9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characterised by a specific format, e.g. an encoded audi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7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processes or methods for the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82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05Crea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3Extrac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22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보다 유연하게, 전송 방식의 변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복조 장치, 처리 장치,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제1 전송 패킷을 복조하는 복조부와, 제1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가변 길이의 패킷인 제1 전송 패킷을, 제2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의 패킷인 제2 전송 패킷에 따른 패킷 길이로 분할하여 페이로드에 배치함과 함께, 페이로드에 대하여 제1 전송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를 부가함으로써 얻어지는 분할 패킷을,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는 복조 장치가 제공된다. 본 기술은, 예를 들어 텔레비전 수상기나 셋톱 박스에 내장되는 복조 IC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조 장치, 처리 장치,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본 기술은 복조 장치, 처리 장치,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보다 유연하게, 전송 방식의 변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복조 장치, 처리 장치,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의 전송 방식으로서, 현재에는 MPEG2-TS(Transport Stream) 방식이 널리 보급되고 있지만, 앞으로는 통신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IP(Internet Protocol) 패킷을 디지털 방송에 사용한 IP 전송 방식이 보급될 것이 상정되고 있다.
예를 들어, 차세대 지상파 방송 규격의 하나인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3.0에 있어서도, IP 전송 방식을 채용하여, 보다 고도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ATSC3.0 이외의 방송 방식에서도, 장래적으로 IP 전송 방식이 채용될 것이 기대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6-208161호 공보
그런데, 디지털 방송의 운용에 있어서, 기존의 전송 방식으로서, MPEG2-TS 방식이 도입된 경우에, 새로운 전송 방식으로서, IP 전송 방식을 도입하는 것이 상정되지만, 그때에는 보다 유연하게, 전송 방식의 변경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기술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보다 유연하게, 전송 방식의 변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복조 장치는,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제1 전송 패킷을 복조하는 복조부와, 제1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가변 길이의 패킷인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제2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의 패킷인 제2 전송 패킷에 따른 패킷 길이로 분할하여 페이로드에 배치함과 함께, 상기 페이로드에 대하여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를 부가함으로써 얻어지는 분할 패킷을,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는 복조 장치이다.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복조 장치는, 독립된 장치여도 되고, 하나의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 블록이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술한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복조 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다.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복조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는,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제1 전송 패킷이 복조된다. 또한, 제1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가변 길이의 패킷인 상기 제1 전송 패킷이, 제2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의 패킷인 제2 전송 패킷에 따른 패킷 길이로 분할되어 페이로드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페이로드에 대하여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가 부가됨으로써 얻어지는 분할 패킷이,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출력된다.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처리 장치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되는 분할 패킷의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페이로드에 배치된 데이터로부터 복원되는 제1 전송 패킷을 처리하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전송 패킷은, 제1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가변 길이의 패킷이며,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고, 상기 분할 패킷은,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제2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의 패킷인 제2 전송 패킷에 따른 패킷 길이로 분할하여 페이로드에 배치함과 함께, 상기 페이로드에 대하여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를 부가함으로써 얻어지는 처리 장치이다.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처리 장치는, 독립된 장치여도 되고, 하나의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 블록이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술한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처리 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다.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되는 분할 패킷의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페이로드에 배치된 데이터로부터 복원되는 제1 전송 패킷이 처리된다. 또한, 상기 제1 전송 패킷은, 제1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가변 길이의 패킷이며,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고, 상기 분할 패킷은,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제2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의 패킷인 제2 전송 패킷에 따른 패킷 길이로 분할하여 페이로드에 배치함과 함께, 상기 페이로드에 대하여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를 부가함으로써 얻어진다.
본 기술의 제3 측면의 수신 장치는,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제1 전송 패킷을 복조하는 복조부와, 상기 복조부에 의해 복조된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처리하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조부와 상기 처리부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복조부는, 제1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가변 길이의 패킷인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제2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의 패킷인 제2 전송 패킷에 따른 패킷 길이로 분할하여 페이로드에 배치함과 함께, 상기 페이로드에 대하여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를 부가함으로써 얻어지는 분할 패킷을, 상기 처리부에 출력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복조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분할 패킷의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페이로드에 배치된 데이터로부터 복원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처리하는 수신 장치이다.
본 기술의 제3 측면의 수신 장치는, 독립된 장치여도 되고, 하나의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 블록이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의 제3 측면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술한 본 기술의 제3 측면의 수신 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다.
본 기술의 제3 측면의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는,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제1 전송 패킷을 복조하는 복조부와, 상기 복조부에 의해 복조된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처리하는 처리부가,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속된다. 또한, 상기 복조부측에서, 제1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가변 길이의 패킷인 상기 제1 전송 패킷이, 제2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의 패킷인 제2 전송 패킷에 따른 패킷 길이로 분할되어 페이로드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페이로드에 대하여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가 부가됨으로써 얻어지는 분할 패킷이, 상기 처리부에 출력되고, 상기 처리부측에서, 상기 복조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분할 패킷의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페이로드에 배치된 데이터로부터 복원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이 처리된다.
본 기술의 제1 측면 내지 제3 측면에 따르면, 보다 유연하게, 전송 방식의 변경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효과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 중에 기재된 어느 효과여도 된다.
도 1은, 수신측의 복조 IC와 시스템 온 칩(SoC)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IP 전송 방식의 프로토콜 스택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ALP 패킷의 시스템 아키텍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복조 IC와 시스템 온 칩(SoC)을 포함하는 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기술을 적용한 방송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수신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TS 패킷의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ALP 패킷의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ALP 패킷의 출력 타이밍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의 분할 패킷의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의 분할 패킷의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3 실시 형태의 분할 패킷의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4 실시 형태의 분할 패킷의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5 실시 형태의 분할 패킷의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5 실시 형태의 분할 패킷의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제6 실시 형태의 분할 패킷의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제6 실시 형태의 분할 패킷의 자르기 방법과 헤더 정보의 조합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제7 실시 형태의 분할 패킷의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제7 실시 형태의 분할 패킷의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제8 실시 형태의 분할 패킷의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제8 실시 형태의 분할 패킷의 전송을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22는, 제9 실시 형태의 분할 패킷의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Adaptation_field()의 신택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수신측의 복조 회로와 처리 회로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5는, 컴퓨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기술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하기로 한다.
1. 본 기술의 개요
2. 시스템의 구성
3. 본 기술의 실시 형태
(1) 제1 실시 형태: 기본 구성
(2) 제2 실시 형태: 포인터와 패킷 길이로 ALP 패킷의 선두 위치를 특정하는 구성
(3) 제3 실시 형태: ALP 패킷에 PLP_ID를 포함시킨 구성
(4) 제4 실시 형태: ALP 패킷에 시각 정보를 포함시킨 구성
(5) 제5 실시 형태: 패킷의 경계를 정렬시키기 위해 제로 패딩을 행하는 구성
(6) 제6 실시 형태: 분할 헤더를 삭감하는 구성
(7) 제7 실시 형태: 분할 헤더의 헤더 정보와 분할 형태의 조합의 예
(8) 제8 실시 형태: PLP_ID가 ALP 포맷 이외로 전송되는 경우의 구성
(9) 제9 실시 형태: 어댑테이션 필드를 이용한 구성
4. 수신측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
5. 변형예
6. 컴퓨터의 구성
<1. 본 기술의 개요>
현재, 디지털 방송의 전송 방식으로서는, MPEG2-TS 방식이 널리 보급되고 있지만, 앞으로는 IP 전송 방식의 채용이 예상되고 있다. 예를 들어, 차세대 지상파 방송 규격의 하나인 ATSC3.0에서는, IP 전송 방식이 채용되며, UDP/IP 패킷을, ALP(ATSC Link-Layer Protocol) 패킷에 저장하여 전송하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기존의 전송 방식(기존 방식)의 일례로서, MPEG2-TS 방식을 설명하고, 새로운 전송 방식(신방식)의 일례로서, ATSC3.0에서 채용되는 IP 전송 방식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런데,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는, 복조 IC에 의해, 방송 신호가 복조되고, 그 결과 얻어지는 패킷이, 후단의 시스템 온 칩(SoC)에 의해 처리되지만, 기존 방식인 MPEG2-TS 방식에 대응하고 있던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신방식인 IP 전송 방식에 대응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이 상정된다.
즉, 도 1에 있어서, 복조 회로(901)는, ATSC3.0에 대응한 복조 IC이며, MPEG2-TS 방식의 물리 인터페이스(903)를 통하여, 시스템 온 칩(SoC)으로서 구성되는 처리 회로(902)와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는, 전단의 복조 회로(901)는, 신방식에 대응한 것으로 치환되어 있지만, 후단의 처리 회로(902)는, 기존 방식의 하드웨어(HW)를 그대로 이용하여, 소프트웨어(SW)를 갱신(재기입함)함으로써, 신방식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에, 복조 회로(901)와 처리 회로(902)의 사이의 물리 인터페이스(903)는, MPEG2-TS 방식에 대응한 것으로 되어 있지만, 전송되는 데이터의 포맷은, ATSC3.0에 대응한 ALP 패킷으로 되어 있다. 이 ALP 패킷에 의해, 동기 신호(SYNC), 유효 신호(VALID), 클럭 신호(CLK) 및 데이터(DATA)가 전송된다.
여기서, 도 2에는, IP 전송 방식의 프로토콜 스택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IP 전송 방식에서는, 일방향의 방송과 쌍방향의 통신에서, 공통의 IP 프로토콜을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의 콘텐츠의 스트림을, DASH 세그먼트 단위로 전송하여, MPEG-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에 준거한 스트리밍 배신을 행할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는, 방송의 물리층의 상위층이며, UDP층과 IP층의 하위층이 데이터 링크층으로 되지만, 이 데이터 링크층에서는, 링크 레이어 프로토콜에 대응한 ALP 패킷이 사용된다.
또한, 도 3에는, ALP 패킷의 시스템 아키텍처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IP 패킷(UDP/IP 패킷) 외에, 시그널링(Link Layer Signaling)이나, MPEG2-TS 방식에서 사용되는 TS 패킷 등을 캡슐화함으로써, ALP 패킷이 생성된다. 단, IP 패킷을 캡슐화할 때에는, IP 헤더를 압축할 수 있다. 또한, TS 패킷을 캡슐화할 때에는, 오버헤드의 삭감을 행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복조 회로(901)와 처리 회로(902)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9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에 있어서, 수신 장치(90)는, 복조 IC로서의 복조 회로(901), 및 시스템 온 칩(SoC)으로서의 처리 회로(902)를 포함한다. 복조 회로(901)는, 복조부(911), 오류 정정부(912) 및 I/F부(913)로 구성된다. 처리 회로(902)는, 메모리(921), 디먹스(922), 메모리(923) 및 SW 처리부(924)로 구성된다.
또한, 수신 장치(90)에 있어서, 복조 회로(901)와 처리 회로(902)는, 소정의 물리 인터페이스(903)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복조 회로(901)로부터 출력되는 ALP 패킷은, 물리 인터페이스(903)를 통하여, 처리 회로(902)에 입력된다.
여기서, 처리 회로(902)에 있어서는, 복조 회로(901)로부터의 ALP 패킷이 입력되어, 메모리(921)에 일시적으로 기록되고, 후단의 디먹스(922)에 의해 처리되지만, ALP 패킷의 패킷 길이가, TS 패킷의 패킷 길이와 상이하기 때문에, 메모리(921)가 파탄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즉, 처리 회로(902)에 있어서, 전단의 메모리(921)에 기록되는 데이터에 대한 디먹스(922)의 처리는, 하드웨어 처리(HW 처리)인 한편, 후단의 메모리(923)에 기록되는 데이터에 대한 SW 처리부(924)의 처리는, 소프트웨어 처리(SW 처리)이다.
그리고, 처리 회로(902)에서 행해지는 처리 중, 하드웨어 처리의 부분은, 기존 방식인 MPEG2-TS 방식에 대응한 것을 그대로 이용하고, 소프트웨어 처리의 부분만, SW 처리부(924)의 소프트웨어(SW)를 갱신함으로써, 신방식인 IP 전송 방식(ATSC3.0)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하드웨어 처리를 행하는 메모리(921) 및 디먹스(922)는, 신방식인 IP 전송 방식(ATSC3.0)이 아니라, 기존 방식인 MPEG2-TS 방식에 대응한 것으로 된다.
메모리(921)는, MPEG2-TS 방식에 대응하여, 고정 길이(188바이트)의 TS 패킷이 기입되는 것이 상정되고 있지만, 복조 회로(901)로부터 처리 회로(902)로 ALP 패킷이 입력되어, 메모리(921)에 기입되면, ALP 패킷은, 가변 길이의 패킷이며, TS 패킷의 패킷 길이와 상이하기 때문에, 파탄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후단의 디먹스(922)측에서도, TS 패킷을 처리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으므로, ALP 패킷이 입력되면, 처리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복조 회로(901)로부터 처리 회로(902)로 입력되는 ALP 패킷을 분할하여, ALP 패킷의 패킷 길이를, 188바이트인 TS 패킷의 패킷 길이에 맞춘다고 하는 방법이 고려된다. 그러나, 복조 회로(901)측에서, 단순히 ALP 패킷을 188바이트로 분할하여, 물리 인터페이스(903)를 통하여 처리 회로(902)측에 입력한 경우에는, 그 분할 패킷의 포맷에, 처리 회로(902)측이 대응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기존 방식인 MPEG2-TS 방식으로부터, 신방식인 IP 전송 방식으로 전환될 때(특히, 기존 방식으로부터 신방식으로의 과도기에), 보다 유연하게, 전송 방식의 변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안이 요청되고 있다.
그래서, 본 기술에서는, 복조 IC로서의 복조 회로측에서, 신방식인 IP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가변 길이의 패킷인 ALP 패킷을, 기존 방식인 MPEG2-TS 방식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의 패킷인 TS 패킷에 따른 패킷 길이로 분할하여 페이로드에 배치함과 함께, 당해 페이로드에 대하여 ALP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정보(복원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를 부가함으로써 얻어지는 분할 패킷이, 처리 회로에 출력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시스템 온 칩(SoC)으로서의 처리 회로측에는, 복조 회로로부터의 분할 패킷이 입력되지만, 이 분할 패킷은, 기존 방식인 MPEG2-TS 방식에서 사용되는 TS 패킷에 따른 패킷 길이로 되므로, 하드웨어 처리가, 기존 방식인 MPEG2-TS 방식에 대응한 것(ATSC3.0에 미대응)이라도, 확실하게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소프트웨어 처리는, 소프트웨어(SW)의 갱신에 의해, 신방식인 IP 전송 방식(ATSC3.0)에 대응 가능하기 때문에, 분할 패킷의 헤더에 포함되는 복원 정보에 기초하여, 페이로드에 배치된 데이터로부터 복원되는 ALP 패킷을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기존 방식으로서 MPEG2-TS 방식이 도입된 경우에, 신방식으로서 IP 전송 방식을 도입할 때, 보다 유연하게, 전송 방식의 변경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2. 시스템의 구성>
(방송 시스템의 구성예)
도 5는, 본 기술을 적용한 방송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또한,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가 논리적으로 집합한 것을 말한다.
도 5에 있어서, 방송 시스템(1)은, 송신 장치(10)와, 수신 장치(20)로 구성된다. 이 방송 시스템(1)에서는, 소정의 방송 방식(예를 들어, ATSC3.0)에 준거한 데이터 전송이 행해진다.
송신 장치(10)는, 거기에 입력되는 콘텐츠(예를 들어,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의 데이터에 대하여, 변조나 오류 정정 등의 처리를 실시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방송 신호를, 송신처의 송신용 안테나에 의해 송신한다.
송신 장치(10)로부터의 방송 신호는, 전송로(30)를 경유하여, 엔드 유저의 각 가정 등에 설치되는 수신용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 장치(20)에 의해 수신된다. 예를 들어, 수신 장치(20)는, 텔레비전 수상기나 셋톱 박스(STB: Set Top Box) 등의 고정 수신기로서 구성된다.
수신 장치(20)는, 전송로(30)를 통하여 수신되는 방송 신호에 대하여, 복조나 오류 정정 등의 처리를 실시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콘텐츠(예를 들어,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의 영상이나 음성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방송 시스템(1)에 있어서, 전송로(30)는, 지상파(지상파 방송) 외에, 예를 들어 방송 위성(BS: Broadcasting Satellite)이나 통신 위성(CS: Communications Satellite)을 이용한 위성 방송, 혹은 케이블을 이용한 유선 방송(CATV: Common Antenna TeleVision) 등이어도 된다.
(수신 장치의 구성예)
도 6은, 도 5의 수신 장치(2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에 있어서, 수신 장치(20)는, 복조 회로(201) 및 처리 회로(2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신 장치(20)에 있어서, 복조 회로(201)와 처리 회로(202)는, 소정의 물리 인터페이스(203)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복조 회로(201)는, 복조 IC 등의 복조 디바이스로서 구성된다. 복조 회로(201)는, 안테나(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ALP 패킷을 복조한다. 또한, 복조 회로(201)는, ALP 패킷으로부터 분할 패킷을 생성하고, 물리 인터페이스(203)를 통하여 처리 회로(202)에 출력한다.
복조 회로(201)는, 복조부(211), 오류 정정부(212) 및 I/F부(2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조부(211)는,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방송 신호에 대하여, 복조 처리를 행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데이터를 오류 정정부(212)에 공급한다.
오류 정정부(212)는, 복조부(211)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오류 정정 복호 처리를 행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데이터를, I/F부(213)에 공급한다.
I/F부(213)는, 오류 정정부(212)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행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데이터를, 물리 인터페이스(203)를 통하여 처리 회로(202)에 출력한다.
여기서, I/F부(213)는, 오류 정정부(212)로부터의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ALP 패킷에 기초하여, 분할 패킷을 생성하고, 물리 인터페이스(203)를 통하여 처리 회로(202)에 출력되도록 한다.
이 분할 패킷은, ALP 패킷(신방식인 IP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가변 길이의 패킷)을, TS 패킷(기존 방식인 MPEG2-TS 방식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의 패킷)에 따른 패킷 길이로 분할하여 페이로드에 배치함과 함께, 당해 페이로드에 대하여 복원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를 부가함으로써 얻어진다.
또한, 헤더의 복원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ALP 패킷의 선두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선두 포인터)나, TS 패킷의 TS 헤더에 대응하는 정보 등을 포함시킬 수 있는데, 그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처리 회로(202)는, 시스템 온 칩(SoC)으로서 구성된다. 처리 회로(202)는, 물리 인터페이스(203)를 통하여 복조 회로(201)로부터 입력되는 분할 패킷으로부터, ALP 패킷을 복원한다. 처리 회로(202)는, 복원된 ALP 패킷(복조 회로(201)에 의해 복조된 ALP 패킷)을 처리한다.
처리 회로(202)는, 메모리(221), 디먹스(222), 메모리(223) 및 SW 처리부(2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처리 회로(202)에 있어서, 전단의 메모리(221)에 기록되는 데이터에 대한 디먹스(222)의 처리는, 하드웨어 처리(HW 처리)이며, 기존 방식인 MPEG2-TS 방식에 대응한 것을 그대로 이용하고 있다. 한편, 후단의 메모리(223)에 기록되는 데이터에 대한 SW 처리부(224)의 처리는, 소프트웨어 처리(SW 처리)이며, SW 처리부(224)의 소프트웨어(SW)를 갱신함으로써, 신방식인 IP 전송 방식(ATSC3.0)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복조 회로(201)로부터 입력되는 분할 패킷은, 메모리(221)에 기입된다. 디먹스(222)는, 메모리(221)에 기입된 분할 패킷을 처리하고, 처리 후의 데이터를, 후단의 메모리(223)에 기입한다. 여기서, 분할 패킷은, ALP 패킷을, TS 패킷에 따른 패킷 길이로 분할한 것이므로, 하드웨어 처리가, 기존 방식인 MPEG2-TS 방식에 대응한 것(ATSC3.0에 미대응)이라도, 확실하게 처리할 수 있다.
SW 처리부(224)는, 메모리(223)에 기입된 데이터를 처리한다. 여기서, SW 처리부(224)(의 소프트웨어 처리)는, 소프트웨어(SW)의 갱신에 의해, 신방식인 IP 전송 방식(ATSC3.0)에 대응 가능하므로, 분할 패킷의 헤더에 포함되는 복원 정보에 기초하여, 페이로드에 배치된 데이터로부터 복원되는 ALP 패킷을 처리할 수 있다.
<3. 본 기술의 실시 형태>
여기서는, 우선,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전제로 되는 기술 내용을 설명하고 나서,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기술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TS 패킷의 구조)
도 7은, TS 패킷의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TS 패킷은, 4바이트의 헤더와, 184바이트의 페이로드로 구성된다.
4바이트의 헤더에는, 8비트의 Sync, 1비트의 Transport Error Indicator, 1비트의 Payload Unit Start Indicator, 1비트의 Transport Scrambling Control, 13비트의 PID, 2비트의 Application Field Control, 2비트의 Continuity Counter, 4비트의 Application Field가 배치된다.
Sync는 동기 바이트이며, 예를 들어 '0x47'로 된다.
Transport Error Indicator는, 대상의 TS 패킷 내의 비트 에러의 유무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예를 들어, Transport Error Indicator가 '1'인 경우에, 적어도 1비트의 정정 불가능한 에러가 TS 패킷에 존재함을 나타낸다.
Payload Unit Start Indicator가 '1'인 경우에, 대상의 TS 패킷의 페이로드의 개시점이 PES 패킷의 개시점, 또는 포인터임을 나타낸다.
Transport Scrambling Control은, 대상의 TS 패킷의 페이로드의 스크램블 모드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영역이다. 스크램블 제어값은, 미리 정해진다.
PID는, 대상의 TS 패킷의 페이로드의 데이터의 종별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영역이다.
Application Field Control은, 대상의 TS 패킷 내의 Application Field나 페이로드의 존재 유무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Continuity Counter는, 패킷이 결핍되어 있지 않은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속성 지표이며, 동일한 PID의 패킷이 올 때마다, 1씩 인크리먼트된다.
Application Field는, 애플리케이션의 영역이다.
(ALP 패킷의 구조)
도 8은, ALP 패킷의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A) Normal
도 8의 A는, 통상의 ALP 패킷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의 A에 있어서, 통상의 ALP 패킷은, ALP 헤더(ALP Packet Header)와 페이로드(Payload)로 구성된다.
ALP 헤더의 선두에는, 3비트의 Type이 설정된다. 이 Type은, ALP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데이터의 타입에 관한 정보가 설정된다.
ALP 헤더에 있어서, Type의 다음에는, 1비트의 PC(Payload Configuration)가 배치된다. PC로서, '0'이 설정된 경우, 그 다음에 배치되는 1비트의 HM(Header Mode)에 따라, 싱글 패킷 모드(Single packet mode)로 되고, ALP 헤더에는, 11비트의 Length나, ALP 확장 헤더(Additional header)가 배치된다.
통상의 ALP 패킷의 경우에는, HM으로서 '0'이 설정되고, ALP 헤더에서는, HM에 이어서, 11비트의 Length가 배치된다. 또한, 통상의 ALP 패킷에 있어서는, ALP 헤더에 이어서, 페이로드가 배치된다.
(B) PTP
도 8의 B는, ALP 확장 헤더에, PTP(Precision Time Protocol)를 부가한 경우의 ALP 패킷(이하, PTP 부가 ALP 패킷이라고도 함)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PTP 부가의 ALP 패킷에 있어서, ALP 헤더에는, 3비트의 Type과, 1비트의 PC와, 1비트의 HM이 배치되고, HM으로서 '1'이 설정되어 있다. HM으로서 '1'이 설정된 경우, 11비트의 Length에 이어서, ALP 확장 헤더(Additional header)가 배치된다.
이 ALP 확장 헤더(Additional header)는, 5비트의 Length_MSB와, 1비트의 RSV(reserved)와, 1비트의 SIF(Sub-stream Identifier Flag)와, 1비트의 HEF(Header Extension Flag)로 구성된다.
Length_MSB는, ALP 패킷의 총 페이로드 길이의 최상위 비트(MSB)를 바이트 단위로 나타내고, ALP 헤더의 11비트의 Length가 나타내는 최하위 비트(LSB)와 연결되어, 총 페이로드 길이가 얻어진다.
SIF는, 서브 스트림용 옵셔널 헤더(Optional header)가 배치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SIF로서, '0'이 설정된 경우에는, 옵셔널 헤더가 배치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HEF는, 옵셔널한 헤더 확장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HEF로서, '1'이 설정된 경우에는, 헤더 확장이 이루어진다. 도 8의 B의 PTP 부가의 ALP 패킷의 ALP 헤더에서는, ALP 확장 헤더에 대하여, 8바이트의 헤더 확장이 이루어져 있다.
이 헤더 확장에는, 8비트의 Extension_type과, 8비트의 Extension_length와, 2비트의 Time_info_flag와, 32비트의 Time_sec와, 10비트의 Time_msec와, 10비트의 Time_usec와, 10비트의 Time_nsec가 배치된다. 이 예에서는, 프라이빗 유저 데이터(PUD: Private User Data)로서, Time_info_flag에 따라, Time_sec, Time_msec, Time_usec, Time_nsec에 의해 지정되는 PTP(시각 정보)가 배치되기 때문에, 이 배치에 대응한 타입과 길이의 값이, Extension_type과 Extension_length로 각각 설정된다.
여기서, PTP는, IEEE 1588-2008에서 규정되어 있는 시각 정보이다. PTP는, 초 필드와 나노초 필드로 구성되고, 나노초 단위의 정밀도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PTP는, 예를 들어 물리층 프레임의 프리앰블에 포함되고, 당해 물리층 프레임의 선두 시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수신측에서 행해지는 클럭 리커버리의 시각 정보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Time_info_flag='01'로 되는 경우에는, 초 단위의 시각 정보(Time_sec)와, 밀리초 단위의 시각 정보(Time_msec)가 배치된다. 또한, 예를 들어 Time_info_flag='10'으로 되는 경우에는, 초 단위와 밀리초 단위의 시각 정보(Time_sec, Time_msec)에 추가하여, 마이크로초 단위의 시각 정보(Time_usec)가 배치된다. 또한, 예를 들어 Time_info_flag='11'로 되는 경우에는, 초 단위와 밀리초 단위와 마이크로초 단위의 시각 정보(Time_sec, Time_msec, Time_usec)에 추가하여, 나노초 단위의 시각 정보(Time_nsec)가 배치된다.
또한, Time_info_flag로서는, 예를 들어 ATSC3.0에서는, L1B 시그널링(L1-Basic Signaling)에 규정되어 있는 2비트의 L1B_time_info_flag가 대응하고 있다. 또한, Time_sec, Time_msec, Time_usec, Time_nsec로서는, 예를 들어 ATSC3.0에서는 L1D 시그널링(L1-Detail Signaling)에 규정되는 32비트의 L1D_time_sec, 10비트의 L1D_time_msec, 10비트의 L1D_time_usec, 10비트의 L1D_time_nsec가 각각 대응하고 있다.
L1B 시그널링과 L1D 시그널링의 상세에 대해서는, 하기 비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비특허 문헌 1: ATSC Standard: Physical Layer Protocol(A/322)
(C) PLP_ID
도 8의 C는, ALP 확장 헤더에, PLP_ID를 부가한 경우의 ALP 패킷(이하, PLP_ID 부가의 ALP 패킷이라고도 함)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PLP_ID 부가의 ALP 패킷에 있어서, ALP 헤더에는, 3비트의 Type과, 1비트의 PC와, 1비트의 HM이 배치되고, HM으로서 '1'이 설정되어 있다. HM으로서 '1'이 설정된 경우, 11비트의 Length에 이어서, ALP 확장 헤더(Additional header)가 배치된다.
이 ALP 확장 헤더는, 5비트의 Length_MSB와, 1비트의 RSV와, 1비트의 SIF와, 1비트의 HEF로 구성된다.
도 8의 C의 PLP_ID 부가의 ALP 패킷의 ALP 헤더에서는, HEF로서 '1'이 설정되고, ALP 확장 헤더에 대하여, 3바이트의 헤더 확장이 이루어져 있다.
이 헤더 확장에는, 8비트의 Extension_type과, 8비트의 Extension_length와, 6비트의 PLP_ID와, 2비트의 더미 데이터(dummy)가 배치된다. 이 예에서는, 프라이빗 유저 데이터(PUD)로서, 6비트의 PLP_ID가 배치되기 때문에, 이 배치에 대응한 타입과 길이의 값이, Extension_type과 Extension_length로 각각 설정된다.
또한, 이 PLP_ID로서는, 예를 들어 ATSC3.0에서는, L1D 시그널링(L1-Detail Signaling)에 규정되는 6비트의 L1D_plp_id가 대응하고 있다. PLP_ID는, S-PLP(Single PLP) 모드인 경우에는 필요없지만, M-PLP(Multiple PLP) 모드인 경우에, PLP를 식별하기 위해 필요하게 된다. L1D 시그널링의 상세에 대해서는, 상기 비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ALP 패킷의 구조의 상세에 대해서는, 하기 비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비특허 문헌 2: ATSC Standard: Link-Layer Protocol(A/330)
(ALP 패킷의 출력 타이밍)
도 9는, 수신 장치(20)에서 처리되는 ALP 패킷의 출력 타이밍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는, 수신 장치(20)에 있어서, 복조 회로(201)로부터 처리 회로(202)에 대하여, 물리 인터페이스(203)를 통하여 출력되는 ALP 패킷의 출력 타이밍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있어서, 횡방향은, 시간(Time)을 나타내고, 종방향은, 복조 IC로서의 복조 회로(201)에서 프레임이나 패킷을 처리하여 얻어지는 데이터를, 입력에서부터 출력까지의 계층별로 단계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있어서, 가장 낮은 레벨의 계층 데이터는 물리층 프레임이다. 예를 들어, ATSC3.0에서 규정되는 물리층 프레임은, 부트스트랩(Bootstrap)과, 프리앰블(Preamble)과, 페이로드(Payload)로 구성된다.
프리앰블에는, 예를 들어 L1B 시그널링(L1-Basic Signaling)이나 L1D 시그널링(L1-Detail Signaling) 등의 물리층 시그널링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이 예에서는, 프리앰블에, 시각 정보로서의 PTP가 배치되어 있다. 즉, PTP는, 어떤 결정된 타이밍에 전송되게 된다.
수신 장치(20)의 복조 회로(201)에 있어서는, 복조부(211) 및 오류 정정부(212)에 의해, 물리층 프레임이 처리되고, 그 페이로드로부터, 1개 또는 복수의 BB 패킷(Baseband Packet, 이하, 「BBP」라고도 기술함)이 추출된다.
또한, 복조 회로(201)에 있어서는, I/F부(213)에 의해, BB 패킷이 처리되고, 1개 또는 복수의 ALP 패킷이 추출된다. 이때, I/F부(213)는, ALP 패킷(의 프라이빗 유저 데이터(PUD))에 대하여, 시각 정보로서의 PTP나, PLP_ID를 포함하는 PLP 정보가 포함되도록 한다.
단, 여기서는, 복조 회로(201)측에서, 동일한 PLP(예를 들어, PLP_ID=1의 PLP)로부터 연속해서 얻어지는 ALP 패킷 중, 선두의 ALP 패킷에만 PLP_ID(예를 들어, PLP_ID=1)가 부가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처리 회로(202)측에서는, 어떤 PLP_ID(예를 들어, PLP_ID=1)가 부가된 ALP 패킷으로부터, 별도의 PLP_ID(예를 들어, PLP_ID=2)가 부가된 ALP 패킷의 1개 전의 ALP 패킷까지의 패킷군을, 동일한 PLP(예를 들어, PLP_ID=1의 PLP)에 속하는 ALP 패킷이라고 간주하여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조 회로(201)로부터 처리 회로(202)에 대하여, 물리 인터페이스(203)를 통하여 출력되는 ALP 패킷에는, PLP_ID나 PTP가 부가되므로, 처리 회로(202)에서는, ALP 패킷에 부가되어 있는 PLP_ID에 기초하여, 물리 인터페이스(203)를 통하여 복조 회로(201)로부터 입력되는 ALP 패킷이, M-PLP 시에, 어느 PLP에 속해 있는지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처리 회로(202)에서는, ALP 패킷에 부가되어 있는 PTP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클럭 리커버리를 행할 수 있다.
이하, 이들 기술 내용을 전제로 하여, 본 기술의 내용을 9개의 실시 형태에 따라 순서대로 설명한다.
(1) 제1 실시 형태
우선, 도 10을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의 분할 패킷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가변 길이의 ALP 패킷을, 고정 길이의 TS 패킷의 패킷 길이(188바이트)에 따라 분할하여 페이로드에 배치함과 함께, 당해 페이로드에 대하여, 헤더를 부가함으로써 얻어지는 분할 패킷이, 물리 인터페이스(203)를 통하여, 복조 회로(201)로부터 처리 회로(202)로 출력되도록 하고 있다.
도 10에는, 복조 회로(201)에 의해 처리되는 패킷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의 A에는, ALP 패킷을 나타내고, 도 10의 B에는, 분할 패킷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분할 패킷에 부가되는 분할 헤더로서, 패턴 1과 패턴 2의 2패턴의 헤더를 예시하고 있다.
도 10에 있어서는, 복조 회로(201)에서, 시계열로 순차 처리되는 복수의 ALP 패킷 중, 연속된 2개의 ALP 패킷(AP1, AP2)이 예시되어 있지만, 선두의 ALP 패킷 AP1의 일부가 잘라내어지고, 분할 헤더가 부가됨으로써, 분할 패킷 DP1이 생성된다. 여기서는, TS 패킷의 패킷 길이가 188바이트이므로, 그것에 맞추어, 분할 패킷 DP1의 패킷 길이가 188바이트로 되도록, 즉 3바이트의 분할 헤더(Header)를 제외한 185바이트로 되는 페이로드에 배치하기 위해, 185바이트분의 ALP 패킷(divided ALP)이 잘라내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분할 패킷 DP1은, 3바이트의 분할 헤더와, 185바이트의 페이로드로 구성되고, 그 패킷 길이가 188바이트로 된다. 즉, 여기서는, ALP 패킷을 순차적으로 처리함으로써, 188바이트 단위의 분할 패킷이 순차적으로 생성된다. 구체적으로는, ALP 패킷 AP1의 일부가 잘라내어짐으로써, 분할 패킷 DP1과 분할 패킷 DP2가 각각 생성되고, ALP 패킷 AP1과 ALP 패킷 AP2의 일부가 각각 잘라내어짐으로써, 분할 패킷 DP3이 생성된다.
여기서, 분할 패킷의 분할 헤더이지만, 예를 들어 패턴 1 또는 패턴 2에 나타낸 구조로 할 수 있다.
즉, 패턴 1의 분할 헤더는, 8비트의 Sync, 1비트의 Transport Error Indicator, 1비트의 ALP Packet Start Indicator 및 13비트의 PID가 배치된다.
Sync는 동기 바이트이며, 예를 들어 '0x47'로 된다.
Transport Error Indicator는 에러 인디케이터이며, 예를 들어 '1'b0'인 고정값으로 된다. 또한, Transport Error Indicator는, 분할 패킷 내의 비트 에러의 유무를 나타내는 플래그로 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Transport Error Indicator가 '1'인 경우에, 적어도 1비트의 정정 불가능한 에러가 분할 패킷에 존재함을 나타낸다.
ALP Packet Start Indicator는,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ALP 패킷의 선두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이하, 선두 포인터라고 함)의 유무를 나타내는 플래그(ALP 패킷 선두 유무 플래그)이다. 예를 들어, ALP Packet Start Indicator가 '0'인 경우에는, 선두 포인터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즉, 패턴 1의 분할 헤더는, ALP Packet Start Indicator가 '0'으로 되기 때문에, 선두 포인터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도 10의 예에서는, 분할 패킷 DP1, DP2의 페이로드에는, ALP 패킷 AP1의 선두 위치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 분할 헤더에는 '0'인 ALP Packet Start Indicator가 배치되고, 선두 포인터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PID는, 임의의 고정 PID가 할당된다.
또한, 패턴 2의 분할 헤더는, 패턴 1의 분할 헤더와 비교하여, ALP Packet Start Indicator가 '1'로 되어, 선두 포인터가 존재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8바이트의 Start Pointer가 추가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다.
Start Pointer는,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ALP 패킷의 선두 위치를 나타내는 선두 포인터이다. 도 10의 예에서는, 분할 패킷 DP3의 페이로드에는, ALP 패킷 AP2의 선두 위치가 포함되기 때문에, 그 분할 헤더에는 '1'인 ALP Packet Start Indicator가 배치되고, ALP 패킷 AP2의 선두 위치를 나타내는 선두 포인터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분할 패킷 DP3의 분할 헤더는 패턴 2로 되지만, 분할 패킷 DP1, DP2의 페이로드에는, ALP 패킷의 선두 위치는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분할 패킷 DP1, DP2의 분할 헤더는 패턴 1로 된다. 또한, 패턴 2의 분할 헤더에서는, 패턴 1의 분할 헤더와 비교하여, 8바이트의 Start Pointer가 배치되어 있는 만큼, 분할 패킷에 있어서의 페이로드의 사이즈가 작아진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복조 회로(201)측에서, ALP 패킷을 처리하여 분할 패킷을 생성하고, 물리 인터페이스(203)를 통하여 처리 회로(202)에 출력함으로써, 처리 회로(202)측에서는, 복조 회로(201)로부터의 분할 패킷을 처리하여 ALP 패킷을 생성(복원)한다.
그때,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는, 가변 길이의 ALP 패킷으로부터 잘라내어진 185바이트분의 ALP 패킷(divided ALP)이 배치되기 때문에, 분할 헤더에, ALP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정보(복원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처리 회로(202)측에서, 분할 패킷으로부터 ALP 패킷을 복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복원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Transport Error Indicator 등의 TS 패킷의 TS 헤더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ALP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정보에는, ALP Packet Start Indicator에 따른 선두 포인터(Start Pointer)를 포함시킬 수 있다.
즉,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ALP 패킷은 가변 길이이며, 고정 길이의 TS 패킷에 맞추어 185바이트씩 잘라내었을 때, 분할 패킷 내에서, ALP 패킷의 선두 위치를 특정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 패킷의 분할 헤더에, 선두 포인터(Start Pointer)를 포함시킴으로써, 처리 회로(202)는, 분할 패킷 내에서, ALP 패킷의 선두 위치를 특정하여, ALP 패킷을 복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패턴 1과 패턴 2는 분할 헤더의 구조의 일례이며, 다른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분할 헤더에는, ALP Packet Start Indicator의 다음 1비트('1'b0')나, Transport Error Indicator 대신에, TS 패킷의 TS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를 배치할 수 있다.
이상,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2)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도 11을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의 분할 패킷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런데,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복조 회로(201)측에서, 분할 패킷을 생성할 때, 분할 헤더에, 선두 포인터(Start Pointer)를 포함시킴으로써, 처리 회로(202)측에서는, 분할 패킷 내에서, ALP 패킷의 선두 위치를 특정하여, ALP 패킷을 복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지만, 분할 패킷 내에, ALP 패킷의 선두 위치가, 2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는, 선두 포인터만으로는, 모든 선두 위치를 특정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ALP 패킷의 선두 위치 중, 최초의 선두 위치는, 선두 포인터가 나타내는 선두 위치에 의해 특정하고, 2번째 이후의 선두 위치는, 선두 포인터가 나타내는 선두 위치와, ALP 패킷의 패킷 길이에 의해 특정되도록 하고 있다.
도 11에는, 처리 회로(202)에 의해 처리되는 패킷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에 있어서는, 처리 회로(202)에서, 시계열로 순차 처리되는 복수의 분할 패킷 중, 연속된 2개의 분할 패킷(DP1, DP2)이 예시되어 있다.
연속된 2개의 분할 패킷 중, 선두의 분할 패킷 DP1의 분할 헤더에는, 선두 포인터로서, Start Pointer='A'가 포함되고, 이 선두 포인터(Start Pointer='A')에 의해,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ALP 패킷의 선두 위치, 즉 ALP 패킷 AP2의 선두 위치를 지시하고 있다.
즉, 선두의 분할 패킷 DP1의 페이로드에는, ALP 패킷 AP1의 도중에서부터 마지막까지의 ALP 패킷 AP1의 일부와, ALP 패킷 AP2의 선두에서부터 도중까지의 ALP 패킷 AP2의 일부가 배치되어 있지만, 분할 헤더에 포함되는 선두 포인터(Start Pointer='A')는, 페이로드의 선두 위치에서부터, ALP 패킷 AP2의 선두 위치까지의 바이트수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연속된 2개의 분할 패킷 중, 선두의 분할 패킷 DP1에 이어지는, 2번째 분할 패킷 DP2에는, 선두 포인터로서, Start Pointer='B'가 포함되고, 이 선두 포인터(Start Pointer='B')에 의해,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ALP 패킷의 선두 위치, 즉 ALP 패킷 AP3의 선두 위치를 지시하고 있다.
즉, 2번째 분할 패킷 DP2의 페이로드에는, ALP 패킷 AP2의 도중에서부터 마지막까지의 ALP 패킷 AP2의 일부와, ALP 패킷 AP3(의 선두에서부터 마지막까지)이 배치되어 있지만, 분할 헤더에 포함되는 선두 포인터(Start Pointer='B')는, 페이로드의 선두 위치에서부터, ALP 패킷 AP3의 선두 위치까지의 바이트수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2번째 분할 패킷 DP2의 페이로드에는, ALP 패킷 AP3에 이어서, ALP 패킷 AP4가 배치되어 있지만, 분할 헤더에 포함되는 선두 포인터(Start Pointer='B')에 의해, ALP 패킷 AP3의 선두 위치를 특정할 수는 있지만, 그것에 이어지는, ALP 패킷 AP4의 선두 위치까지는 특정할 수 없다.
그래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ALP 패킷 AP3의 패킷 길이를 이용하여, 선두 포인터(Start Pointer='B')에 의해 특정되는 ALP 패킷 AP3의 선두 위치로부터, ALP 패킷 AP3의 패킷 길이를 지난 위치를, ALP 패킷 AP4의 선두 위치로 간주하여, ALP 패킷 AP4의 선두 위치를 특정한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복조 회로(201)측에서, ALP 패킷을 처리하여 분할 패킷을 생성하고, 물리 인터페이스(203)를 통하여 처리 회로(202)에 출력함으로써, 처리 회로(202)측에서는, 복조 회로(201)로부터의 분할 패킷을 처리하여 ALP 패킷을 생성(복원)한다.
그때,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는, 가변 길이의 ALP 패킷으로부터 잘라내어진 185바이트분의 ALP 패킷(divided ALP)이 배치되기 때문에, 분할 헤더에, ALP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처리 회로(202)측에서, 분할 패킷으로부터 ALP 패킷을 복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ALP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정보로서, 선두 포인터(Start Pointer)를 포함시킴으로써, 처리 회로(202)는, 분할 패킷 내에서, ALP 패킷의 선두 위치를 특정하여, ALP 패킷을 복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 내에, ALP 패킷의 선두 위치가 2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는, 최초의 선두 위치를, 선두 포인터가 나타내는 위치에 의해 특정함과 함께, 2번째 이후의 선두 위치를, 선두 포인터와, 당해 선두 포인터의 대상의 ALP 패킷의 패킷 길이를 이용하여 특정한다.
또한, ALP 패킷의 패킷 길이는, 예를 들어 대상의 ALP 패킷의 헤더에 포함되지만, 그 이외의 방법에 의해, ALP 패킷의 패킷 길이가 취득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11의 예에서는, 분할 패킷 DP2의 페이로드에, ALP 패킷 AP3과 ALP 패킷 AP4의 선두 위치가 포함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추가로 ALP 패킷의 선두 위치가 포함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선두 포인터와, 당해 선두 포인터의 대상의 ALP 패킷의 패킷 길이를 이용함으로써, ALP 패킷의 선두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할 패킷 DP2의 페이로드에, ALP 패킷 AP3과 ALP 패킷 AP4의 선두 위치에 추가하여, ALP 패킷 AP5의 선두 위치가 포함되는 경우, 선두 포인터(Start Pointer='B')에 의해 특정되는 ALP 패킷 AP3의 선두 위치로부터, ALP 패킷 AP3과 ALP 패킷 AP4의 패킷 길이를 지난 위치를, ALP 패킷 AP5의 선두 위치로 간주하여, ALP 패킷 AP5의 선두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이상,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3) 제3 실시 형태
이어서, 도 12를 참조하여, 제3 실시 형태의 분할 패킷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ALP 패킷으로서, 도 8의 C에 도시한 PLP_ID 부가의 ALP 패킷이 포함되도록 하고 있다.
도 12에는, 처리 회로(202)에 의해 처리되는 패킷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에 있어서는, 처리 회로(202)에서 순차 처리되는 분할 패킷 중, 분할 패킷 DP1이 예시되어 있다.
분할 패킷 DP1의 분할 헤더에, 8비트의 Sync, 1비트의 Transport Error Indicator, 1비트의 ALP Packet Start Indicator, 13비트의 PID, 8바이트의 Start Pointer가 포함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분할 패킷 DP1의 페이로드에는, ALP 패킷 AP1의 도중에서부터 마지막까지의 ALP 패킷 AP1의 일부와, ALP 패킷 AP2의 전부와, ALP 패킷 AP3의 전부와, ALP 패킷 AP4의 선두에서부터 도중까지의 ALP 패킷 AP4의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ALP 패킷 AP2에 있어서는, ALP 헤더(ALP Packet Header)에서, HM으로서 '1'이 설정되고, ALP 확장 헤더(Additional header)가 배치되어 있다. 이 ALP 확장 헤더에서는 HEF로서 '1'이 설정되고, 헤더 확장(Header extension)이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 헤더 확장에는, 6비트의 PLP_ID가 배치된다. 이 PLP_ID는, 예를 들어 ATSC3.0에서 규정되는 L1D 시그널링(L1-Detail Signaling)에 포함되는 6비트의 L1D_plp_id에 대응하고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즉, ATSC3.0에서는, 송신 장치(10)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마다, 최대 64개의 PLP에 대응할 수 있지만,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복조 회로(201)측에서, ALP 패킷에 대하여, PLP_ID가 부가되도록 함으로써, 처리 회로(202)측에서는, ALP 패킷으로부터 얻어지는 PLP_ID에 기초하여, 물리 인터페이스(203)를 통하여 입력되는 ALP 패킷이, M-PLP 시에, 어느 PLP에 속해 있는지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4) 제4 실시 형태
이어서, 도 13을 참조하여, 제4 실시 형태의 분할 패킷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ALP 패킷으로서, 도 8의 B에 도시한 PTP 부가의 ALP 패킷이 포함되도록 하고 있다.
도 13에는, 처리 회로(202)에 의해 처리되는 패킷을 도시하고 있다. 도 13에 있어서는, 처리 회로(202)에서 순차 처리되는 분할 패킷 중, 분할 패킷 DP1이 예시되어 있다.
분할 패킷 DP1의 분할 헤더에, 8비트의 Sync, 1비트의 Transport Error Indicator, 1비트의 ALP Packet Start Indicator, 13비트의 PID, 8바이트의 Start Pointer가 포함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분할 패킷 DP1의 페이로드에는, ALP 패킷 AP1의 도중에서부터 마지막까지의 ALP 패킷 AP1의 일부와, ALP 패킷 AP2의 전부가 배치됨과 함께, 남은 영역에는, 제로 패딩이 이루어지고, 분할 패킷 DP1이 고정 길이(188바이트)로 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ALP 패킷 AP2에 있어서는, ALP 헤더(ALP Packet Header)에서, HM으로서 '1'이 설정되고, ALP 확장 헤더(Additional header)가 배치되어 있다. 이 ALP 확장 헤더에서는, HEF로서 '1'이 설정되고, 헤더 확장(Header extension)이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 헤더 확장에는, 2비트의 Time_info_flag에 따라, 32비트의 Time_sec, 10비트의 Time_msec, 10비트의 Time_usec, 10비트의 Time_nsec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Time_info_flag='01'로 되는 경우에는, 초 단위의 시각 정보(Time_sec)와, 밀리초 단위의 시각 정보(Time_msec)가 배치된다. 또한, 예를 들어 Time_info_flag='10'으로 되는 경우에는, 초 단위와 밀리초 단위의 시각 정보(Time_sec, Time_msec)에 추가하여, 마이크로초 단위의 시각 정보(Time_usec)가 배치된다. 또한, 예를 들어 Time_info_flag='11'로 되는 경우에는, 초 단위와 밀리초 단위와 마이크로초 단위의 시각 정보(Time_sec, Time_msec, Time_usec)에 추가하여, 나노초 단위의 시각 정보(Time_nsec)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이들 시각 정보로부터 얻어지는 시각은, 마이크로초 단위나 나노초 단위 등의 정밀도를 갖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프레임 길이(프레임 시간)가 정수의 밀리초 단위로 되지 않는 물리층 프레임이라도, 시각 정보가 나타내는 시각과의 오차(지터)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분할 패킷에 있어서, 페이로드에,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ALP 패킷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당해 ALP 패킷을 배치한 후의 남은 영역을, 제로 패딩으로 함으로써, 고정 길이(188바이트)로 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 제로 패딩을 일례로 설명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남은 영역에 대하여 임의의 고정 계열을 삽입하는 등, 다른 방법을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처리 회로(202)에서는, 복조 회로(201)로부터의 분할 패킷을 처리할 때,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ALP 패킷의 다음 ALP 패킷을 기다리면 그만큼 지터가 발생하게 되지만, 복조 회로(201)에서,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ALP 패킷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올 제로(도면 중의 「All 0」)를 채우고 나서, 처리 회로(202)에 출력함으로써, 처리 회로(202)에서, 시각 정보의 지터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제4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5) 제5 실시 형태
이어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제5 실시 형태의 분할 패킷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4 실시 형태에서는, 가변 길이의 ALP 패킷을, 고정 길이의 TS 패킷의 패킷 길이(188바이트)에 따라 분할하여 페이로드에 배치할 때, ALP 패킷의 경계에 상관없이, 분할 패킷을 생성하였다.
즉,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두의 ALP 패킷 AP1의 일부가 잘라내어지고, 분할 헤더가 부가됨으로써, 분할 패킷 DP1과, 분할 패킷 DP2가 순서대로 생성된다. 또한, ALP 패킷 AP1과 ALP 패킷 AP2의 일부가 각각 잘라내어지고, 분할 헤더가 부가됨으로써, 분할 패킷 DP3이 생성된다.
이때, ALP 패킷 AP2의 선두는, 분할 패킷 DP3의 페이로드 도중의 위치로 되기 때문에, ALP 패킷의 경계와 분할 패킷의 경계는 일치하고 있지 않다.
제5 실시 형태에서는, ALP 패킷을 순차적으로 잘라내어,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경우에, ALP 패킷의 경계로 되었을 때, 분할 패킷의 고정 길이(188바이트)에 따른 남은 영역에 대하여, 제로 패딩을 행함으로써, ALP 패킷의 선두와,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의 선두가 일치하도록 한다.
도 15에는, 복조 회로(201)에 의해 처리되는 패킷을 도시하고 있다. 도 15의 A에는 ALP 패킷을 도시하고, 도 15의 B에는 분할 패킷을 도시하고 있다.
도 15에 있어서는, 복조 회로(201)에서, 시계열로 순차 처리되는 복수의 ALP 패킷 중, 연속된 2개의 ALP 패킷(AP1, AP2)이 예시되어 있지만, 선두의 ALP 패킷 AP1의 일부가 잘라내어지고, 분할 헤더가 부가됨으로써, 분할 패킷 DP1이 생성된다. 여기서는, TS 패킷의 패킷 길이가 188바이트이므로, 그것에 맞추어, 분할 패킷 DP1의 패킷 길이가 188바이트로 되도록, 즉 3바이트의 분할 헤더(Header)를 제외한 185바이트로 되는 페이로드에 배치하기 위해, 185바이트분의 ALP 패킷이 잘라내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분할 패킷 DP1은, 3바이트의 분할 헤더와, 185바이트의 페이로드로 구성되고, 그 패킷 길이가 188바이트로 된다. 즉, 여기서는, ALP 패킷을 순차적으로 처리함으로써, 188바이트 단위의 분할 패킷이 순차적으로 생성된다. 구체적으로는, ALP 패킷 AP1의 일부가 잘라내어짐으로써, 분할 패킷 DP1이 생성된다.
또한, ALP 패킷 AP1의 일부가 잘라내어짐으로써, 분할 패킷 DP2가 생성되는데, 분할 패킷 DP2의 페이로드의 도중에, ALP 패킷 AP1의 데이터가 종료되고, ALP 패킷 AP1과 ALP 패킷 AP2의 경계로 된다.
이때, 분할 패킷 DP2의 고정 길이(188바이트)에 따른 남은 영역에 대해서는, 제로 패딩이 행해지도록 한다. 즉, 분할 패킷 DP2는, 페이로드에, ALP 패킷 AP1의 도중에서부터 마지막까지의 ALP 패킷 AP1의 일부 데이터가 배치되고, 그 남은 영역에, 제로 패딩이 이루어짐으로써, 고정 길이(188바이트)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분할 패킷 DP2의 다음 분할 패킷 DP3의 페이로드에는, ALP 패킷 AP2의 선두에서부터 도중까지의 ALP 패킷 AP2의 일부 데이터가 배치되고, ALP 패킷 AP1과 ALP 패킷 AP2의 경계가, 분할 패킷 DP2와 분할 패킷 DP3의 경계와 일치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ALP 패킷 AP2의 일부가 잘라내어짐으로써, 188바이트 단위의 분할 패킷 DP3, DP4가 순차적으로 생성되지만, 예를 들어 분할 패킷 DP4의 페이로드 도중에, ALP 패킷 AP2의 데이터가 종료된 경우에는, 제로 패딩이 이루어지고, 그 패킷 길이가 188바이트로 조정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로 패딩이, 분할 패킷의 고정 길이에 따른 남은 영역에 대하여 행해지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 도중의 영역에 대하여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분할 패킷에 있어서, 분할 헤더에 이어서, 제로 패딩을 행한 후에, ALP 패킷의 데이터를 페이로드에 배치하여, 그 패킷 길이가 188바이트로 조정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로 패딩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분할 패킷의 고정 길이에 따른 남은 영역에 대하여, 임의의 고정 계열을 삽입하는 등, 그 패킷 길이를 고정 길이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른 방법을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ALP 패킷을 잘라내어,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할 때, 어떤 ALP 패킷의 데이터가 종료된 경우에는, 즉시 다음 ALP 패킷을 잘라내는 것이 아니라, 당해 분할 패킷의 고정 길이에 따른 남은 영역에, 제로 패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다음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 선두에는, 다음 ALP 패킷의 선두 데이터부터 배치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ALP 패킷의 경계는, 항상 분할 패킷의 경계와 일치하게 되어, ALP 패킷의 선두 위치가,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의 선두 위치로 되는 것이 명확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복원 정보로서, 선두 포인터를 분할 헤더에 포함시키지 않아도 되어, 분할 헤더에 포함되는 복원 정보의 정보량을 줄일 수 있다.
이상, 제5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6) 제6 실시 형태
이어서, 도 16을 참조하여, 제6 실시 형태의 분할 패킷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6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제5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ALP 패킷을 잘라내어,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할 때, 분할 패킷의 고정 길이(188바이트)에 따른 남은 영역에 대하여, 제로 패딩을 행하지만, 분할 패킷 중, 분할 헤더가 부가되는 것은, ALP 패킷의 선두를 페이로드에 포함하는 분할 패킷만이 되도록 한다.
도 16에는, 복조 회로(201)에 의해 처리되는 패킷을 도시하고 있다. 도 16의 A에는 ALP 패킷을 도시하고, 도 16의 B에는 분할 패킷을 도시하고 있다.
도 16에 있어서는, 복조 회로(201)에서, 시계열로 순차 처리되는 복수의 ALP 패킷 중, 연속된 2개의 ALP 패킷(AP1, AP2)이 예시되어 있지만, 선두의 ALP 패킷 AP1의 일부가 잘라내어지고, 분할 헤더가 부가됨으로써, 분할 패킷 DP1이 생성된다. 즉,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분할 패킷 DP1은, 3바이트의 분할 헤더와, 185바이트의 페이로드로 구성되고, 그 패킷 길이가 188바이트로 된다.
또한, ALP 패킷 AP1의 일부가 잘라내어짐으로써, 분할 패킷 DP2가 생성되지만, 분할 패킷 DP2에는, 분할 헤더는 부가되지 않고, ALP 패킷 AP1로부터 잘라내어진 데이터를 포함하는 페이로드만으로 이루어진다. 즉,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분할 패킷 DP2는, 188바이트의 페이로드만으로 구성되며, 그 패킷 길이가 188바이트로 된다.
또한, ALP 패킷 AP1의 일부가 잘라내어짐으로써, 분할 패킷 DP3이 생성되지만, 분할 패킷 DP3에는, 분할 헤더는 부가되지 않고, ALP 패킷 AP1로부터 잘라내어진 데이터를 포함하는 페이로드만으로 이루어지지만, 188바이트의 남은 영역에는, 제로 패딩이 이루어져 있다. 즉,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분할 패킷 DP3은, X바이트의 페이로드와, 188-X바이트의 제로 패딩(All 0)으로 구성되고, 그 패킷 길이가 188바이트로 된다.
마찬가지로, ALP 패킷 AP2의 일부가 잘라내어짐으로써, 188바이트 단위의 분할 패킷 DP4, DP5가 순차적으로 생성되지만, 예를 들어 분할 헤더는, ALP 패킷 AP2의 선두를 포함하는 분할 패킷 DP4에만 부가되고, ALP 패킷 AP2의 선두를 포함하지 않은 분할 패킷 DP5는, 페이로드만으로 구성되게 된다. 또한, 이때, 분할 패킷 DP5의 페이로드 도중에, ALP 패킷 AP2의 데이터가 종료된 경우에는, 제로 패딩이 이루어지고, 그 패킷 길이가 188바이트로 조정된다.
이와 같이, ALP 패킷을 잘라내어,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할 때, 당해 분할 패킷의 고정 길이에 따른 남은 영역에 대하여, 제로 패딩을 행함으로써, ALP 패킷의 경계와 분할 패킷의 경계를 일치시킴과 함께, 분할 패킷 중, 분할 헤더가 부가되는 것은, ALP 패킷의 선두를 페이로드에 포함하는 분할 패킷만이 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분할 패킷으로서는, 분할 헤더가 부가되어 있지 않은 분할 패킷이 존재하게 되지만, 분할 헤더가 삭감된 만큼, 페이로드에 대하여, ALP 패킷의 데이터를 포함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데이터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제6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7) 제7 실시 형태
이어서,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제7 실시 형태의 분할 패킷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7 실시 형태에서는, 분할 패킷에 부가되는 분할 헤더에 포함시키는 헤더 정보(복원 정보)와, 분할 패킷의 분할 형태의 대응 관계를 예시한다.
(대응 관계의 표)
도 17은, 분할 헤더의 헤더 정보와 분할 패킷의 분할 형태의 대응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분할 패킷의 분할 형태로서는, 상술한 제1 분할 형태, 제2 분할 형태 및 제3 분할 형태의 3형태가 있다.
즉, 제1 분할 형태는, ALP 패킷을 잘라내어 페이로드에 배치하고, 분할 헤더를 부가하여 분할 패킷을 생성하는 것이다(「단순하게 분할」에 상당함).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 중, 도 10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가, 제1 분할 형태에 상당하는 것이다.
또한, 제2 분할 형태는, ALP 패킷을 잘라내어,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할 때, 당해 분할 패킷의 고정 길이에 따른 남은 영역에 대하여, 제로 패딩을 행하는 것이다(「분할+제로 패딩」에 상당함).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 중, 도 15에 도시한 제5 실시 형태가, 제2 분할 형태에 상당하는 것이다.
또한, 제3 분할 형태는, 제2 분할 형태와 마찬가지로, 분할 패킷의 고정 길이에 따른 남은 영역에 대하여, 제로 패딩을 행하지만, 분할 패킷 중, 분할 헤더가 부가되는 것이, ALP 패킷의 선두를 페이로드에 포함하는 분할 패킷으로 되는 것이다(「분할+제로 패딩+헤더 삭감」에 상당함).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 중, 도 16에 도시한 제6 실시 형태가 제3 분할 형태에 상당하는 것이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할 헤더의 헤더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동기 바이트, 에러 인디케이터, PTP 유무 플래그, ALP 패킷 선두 유무 플래그, PLP_ID 전환 플래그, PTP, 선두 포인터, PLP_ID 전환 선두 포인터 및 패킷 ID를 포함시킬 수 있다.
동기 바이트(Sync)는, 처리 회로(202)측에서 분할 패킷의 선두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동기 바이트에는 8비트가 할당되고, '0x47'이 설정된다.
또한, 동기 바이트는, 제1 분할 형태, 제2 분할 형태 및 제3 분할 형태 모두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그들 분할 형태를 포함하는 분할 패킷의 분할 헤더에 포함시킬 수 있다.
에러 인디케이터(Error Indicator)는,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ALP 패킷의 에러 유무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예를 들어, 에러 인디케이터에는, 1비트가 할당되고, 페이로드 내의 ALP 패킷 중, 일부라도 에러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1'b1'이 설정되고, 에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1'b0'이 설정된다.
또한, 에러 인디케이터는, 제1 분할 형태, 제2 분할 형태 및 제3 분할 형태 모두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그들 분할 형태를 포함하는 분할 패킷의 분할 헤더에 포함시킬 수 있다.
PTP 유무 플래그(PTP Indicator)는, 분할 패킷의 분할 헤더에 배치되는 PTP(시각 정보)의 유무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예를 들어, PTP 유무 플래그에는, 1비트가 할당되고, 분할 헤더 내에 PTP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1'b1'이 설정되고, PTP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1'b0'이 설정된다.
또한, PTP 유무 플래그는, 제1 분할 형태, 제2 분할 형태 및 제3 분할 형태 모두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그들 분할 형태를 포함하는 분할 패킷의 분할 헤더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단, PTP 유무 플래그로서, '1'b1'이 설정된 경우, 분할 헤더 내에 PTP가 배치되게 되는데, 이때, 제4 실시 형태에 나타낸 경우와 마찬가지로, 분할 패킷의 분할 헤더에, 시각 정보를 배치한 경우에는, 그 남은 영역을 제로 패딩하여, 고정 길이(188바이트)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로 패딩을 행함으로써, ALP 패킷의 경계와 분할 패킷의 경계가 일치하게 되는데, 실질적으로는 페이로드에 PTP만이 배치되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된다.
ALP 패킷 선두 유무 플래그(ALP Packet Start Indicator)는,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ALP 패킷의 선두 위치를 나타내는 선두 포인터의 유무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예를 들어, ALP 패킷 선두 유무 플래그에는, 1비트가 할당되고, 페이로드 내에, ALP 패킷의 선두가 존재하고 그 위치를 나타내는 선두 포인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1'b1'이 설정되고, ALP 패킷의 선두가 존재하지 않고 선두 포인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1'b0'이 설정된다.
또한, ALP 패킷 선두 유무 플래그는, 제1 분할 형태, 제2 분할 형태 및 제3 분할 형태 모두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그들 분할 형태를 포함하는 분할 패킷의 분할 헤더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단, 제2 분할 형태의 경우에는, 제로 패딩이 행해지기 때문에, ALP 패킷 선두 유무 플래그로서 '1'b1'이 설정되었을 때, 당해 분할 헤더가 부가된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의 선두가, ALP 패킷의 선두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제3 분할 형태의 경우에는, 제로 패딩이 행해지고, 추가로 분할 헤더의 삭감이 행해졌기 때문에, 분할 헤더가 부가된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의 선두가, ALP 패킷의 선두를 나타내게 된다.
PLP_ID 전환 플래그(PLP Indicator)는,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 내에서, PLP_ID의 전환 유무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예를 들어, PLP_ID 전환 플래그에는, 1비트가 할당되고, 페이로드 내에 PLP_ID의 전환이 있는 경우에는 '1'b1'이 설정되고, PLP_ID의 전환이 없는 경우에는 '1'b0'이 설정된다.
또한, PLP_ID 전환 플래그는, 제1 분할 형태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제1 분할 형태를 포함하는 분할 패킷의 분할 헤더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단, 제1 분할 형태에서, PLP_ID 전환 플래그를 분할 헤더에 포함시킬 때, 188바이트의 분할 패킷 내에서, PLP_ID가 1회 변화하는 경우에는 대응 가능하지만, PLP_ID가 2회 변화하는 경우에는, PLP_ID 전환 플래그를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제2 분할 형태와 제3 분할 형태의 경우에는, 제로 패딩이 행해지고, ALP 패킷의 선두는, 항상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의 선두와 일치하여, PLP_ID의 전환은,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의 선두와 일치하기 때문에, PLP_ID 전환 플래그는 불필요하게 된다.
PTP는, 8비트의 시각 정보이다. PTP는, PTP 유무 플래그와의 조합에서 사용되며, PTP 유무 플래그가, PTP가 존재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 분할 헤더에 배치된다.
또한, PTP는, 제1 분할 형태, 제2 분할 형태 및 제3 분할 형태 모두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그들 분할 형태를 포함하는 분할 패킷의 분할 헤더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단, 이들 분할 형태에서, 분할 패킷에 PTP를 배치한 경우에는, PTP를 ALP 패킷으로 전송하는 것은 불필요하게 된다.
선두 포인터(Start Pointer)는,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ALP 패킷의 선두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이며, 8비트가 할당된다. 선두 포인터는, ALP 패킷 선두 유무 플래그와의 조합에서 사용되며, ALP 패킷 선두 유무 플래그가, 선두 포인터가 존재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 분할 헤더에 배치된다.
또한, 선두 포인터는, 제1 분할 형태에만 대응하고 있으며, 제1 분할 형태를 포함하는 분할 패킷의 분할 헤더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분할 형태와 제3 분할 형태의 경우에는, 제로 패딩이 행해지고, ALP 패킷의 선두는, 항상 분할 패킷의 선두와 일치하기 때문에, 선두 포인터는 불필요하게 된다. 단, 제2 분할 형태와 제3 분할 형태의 경우에, 예를 들어 분할 헤더의 직후 등의 분할 패킷 도중의 영역에 대하여, 제로 패딩을 행한 경우에는, 그것에 이어지는, ALP 패킷의 선두 위치가, 선두 포인터에 의해 나타나도록 해도 된다.
PLP_ID 전환 선두 포인터(PLP_ID Pointer)는, PLP_ID가 전환된 경우에 그 ALP 패킷의 선두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이며, 8비트가 할당된다. PLP_ID 전환 선두 포인터는, PLP_ID 전환 플래그와의 조합에서 사용되며, PLP_ID 전환 플래그가, PLP_ID 전환 선두 포인터가 존재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 분할 헤더에 배치된다.
또한, PLP_ID 전환 선두 포인터는, 제1 분할 형태에만 대응하고 있으며, 제1 분할 형태를 포함하는 분할 패킷의 분할 헤더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단,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분할 형태에서, PLP_ID 전환 플래그를 분할 헤더에 포함시킬 때, 188바이트의 분할 패킷 내에서, PLP_ID가 2회 변화하는 경우에는, PLP_ID 전환 플래그를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제2 분할 형태와 제3 분할 형태의 경우에는, 제로 패딩이 행해지고, ALP 패킷의 선두는, 항상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의 선두와 일치하고, PLP_ID의 전환은,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의 선두와 일치하기 때문에, PLP_ID 전환 선두 포인터는 불필요하게 된다.
패킷 ID는, 분할 패킷을 식별하기 위한 ID이다. 이 패킷 ID로서는, 고정 ID, 또는 ALP 패킷의 PLP_ID를 할당할 수 있다.
패킷 ID로서, 고정 ID를 할당하는 경우에는, 그 비트수로서 13비트가 확보되고, MPEG2-TS에서 사용되고 있지 않은 PID의 값이 고정적으로 할당된다. 이 경우에, 패킷 ID(고정 ID)는, 제1 분할 형태, 제2 분할 형태 및 제3 분할 형태 모두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그들 분할 형태를 포함하는 분할 패킷의 분할 헤더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패킷 ID로서, PLP_ID를 할당하는 경우에는, 그 비트수로서 6비트가 확보되고, 페이로드 내의 ALP 패킷의 PLP_ID가 할당된다. 이 경우에, 패킷 ID(PLP_ID)는, 제1 분할 형태, 제2 분할 형태 및 제3 분할 형태 모두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그들 분할 형태를 포함하는 분할 패킷의 분할 헤더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단, 제1 분할 형태에서, 패킷 ID로서 PLP_ID를 할당하는 경우에, 188바이트의 분할 패킷 내에서, PLP_ID가 1회 변화하는 경우에는 대응 가능하지만, PLP_ID가 2회 변화하는 경우에는, 패킷 ID(PLP_ID)를 사용할 수 없다. 즉, 여기서는, 2종류의 PLP_ID가 필요하면, 예를 들어 PLP_ID의 전환 전후의 PLP_ID를 사용하면 되지만, 3종류 이상의 PLP_ID에는 대응할 수 없다.
또한, 제2 분할 형태와 제3 분할 형태에서, 패킷 ID로서 PLP_ID를 할당하는 경우에는, PLP_ID를, ALP 패킷으로 전송하는 것은 불필요하게 된다.
(분할 헤더의 헤더 정보의 예)
이어서,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분할 헤더의 헤더 정보와 분할 패킷의 분할 형태의 대응 관계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18에는, 분할 헤더의 헤더 정보의 제1 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예에 있어서는, 분할 패킷의 분할 형태로서, 제1 분할 형태가 채용되고 있기 때문에, 선두의 ALP 패킷 AP1의 일부가 잘라내어지고, 분할 헤더가 부가됨으로써, 분할 패킷 DP1과, 분할 패킷 DP2가 순서대로 생성되어 있다(도 18의 A, B). 또한, ALP 패킷 AP1과 ALP 패킷 AP2의 일부가 각각 잘라내어지고, 분할 헤더가 부가됨으로써, 분할 패킷 DP3이 생성되어 있다(도 18의 A, B).
여기서, 분할 패킷의 분할 헤더이지만, 도 18의 C에 도시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즉, 도 18의 C에 있어서, 분할 헤더는, 8비트의 동기 바이트, 1비트의 에러 인디케이터, 1비트의 ALP 패킷 선두 유무 플래그, 1비트의 PTP 유무 플래그 및 13비트의 패킷 ID(고정 ID)가 배치된다.
분할 헤더에 있어서는, ALP 패킷 선두 유무 플래그로서 '1'b1'이 설정되는 경우에, 8비트의 선두 포인터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18의 B에 도시한 분할 패킷 DP1 내지 DP3 중, 분할 패킷 DP3의 페이로드에는, ALP 패킷 AP2의 선두가 포함되기 때문에, ALP 패킷 선두 유무 플래그로서 '1'b1'이 설정되고, 당해 ALP 패킷 AP2의 선두 위치를 나타내는 선두 포인터가, 분할 헤더에 배치된다.
또한, 분할 헤더에 있어서는, PTP 유무 플래그로서 '1'b1'이 설정되는 경우에, 8비트의 PTP가 배치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도 18의 B에 도시한 분할 패킷 DP1 내지 DP3 중, 어느 분할 패킷의 분할 헤더에, 시각 정보로서의 PTP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PTP가, 분할 헤더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그 남은 영역을 제로 패딩하여, 분할 패킷을 고정 길이(188바이트)로 할 수 있다. 또한, PTP가, 분할 헤더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ALP 패킷으로 PTP를 전송하는 것은 불필요하게 된다.
도 19에는, 분할 헤더의 헤더 정보의 제2 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2 예에 있어서는, 분할 패킷의 분할 형태로서, 제2 분할 형태가 채용되고 있기 때문에, ALP 패킷 AP1의 일부가 잘라내어지고, 분할 헤더가 부가됨으로써, 분할 패킷 DP1과, 분할 패킷 DP2가 순서대로 생성되지만, 분할 패킷 DP2에서는, 고정 길이에 따른 남은 영역에 대하여, 제로 패딩이 행해지고 있다(도 19의 A, B). 또한, ALP 패킷 AP2의 일부가 잘라내어지고, 분할 헤더가 부가됨으로써, 분할 패킷 DP3이 생성되어 있다(도 19의 A, B).
여기서, 분할 패킷의 분할 헤더이지만, 도 19의 C에 도시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즉, 도 19의 C에 있어서, 분할 헤더는, 8비트의 동기 바이트, 1비트의 에러 인디케이터, 1비트의 ALP 패킷 선두 유무 플래그, 1비트의 '1'b0' 및 13비트의 패킷 ID(PLP_ID)가 배치된다. 또한, PLP_ID는, 13비트의 패킷 ID 중, 임의의 6비트를 사용하여 표시된다. 이때, 13비트의 패킷 ID는, 6비트의 PLP_ID와, 7비트의 reserved로 구성된다.
분할 헤더에 있어서는, ALP 패킷 선두 유무 플래그가 배치되어 있지만, 제2 분할 형태의 경우에는, ALP 패킷의 선두는, 항상 분할 패킷의 선두와 일치하기 때문에, 선두 포인터를 배치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9의 B에 도시한 분할 패킷 DP1 내지 DP3 중, 분할 패킷 DP1과 분할 패킷 DP3에서는, 페이로드의 선두가, ALP 패킷의 선두로 되기 때문에, ALP 패킷 선두 유무 플래그로서 '1'b1'이 설정되지만, 분할 헤더에 선두 포인터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분할 패킷 DP2의 분할 헤더에서는, ALP 패킷 선두 유무 플래그로서 '1'b0'이 설정된다.
또한, 도 19의 C에 도시한 분할 헤더에 있어서는, 패킷 ID로서, 페이로드 내의 ALP 패킷의 PLP_ID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PLP_ID를 ALP 패킷으로서 전송하는 경우에는, PLP_ID를 ALP 패킷으로서 전송하는 것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분할 헤더의 헤더 정보는 일례이며, 헤더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한 동기 바이트, 에러 인디케이터, PTP 유무 플래그, ALP 패킷 선두 유무 플래그, PLP_ID 전환 플래그, PTP, 선두 포인터, PLP_ID 전환 선두 포인터 및 패킷 ID 중, 1 이상의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한 분할 헤더의 헤더 정보에 대해서도 일례이며, 예를 들어 분할 패킷으로부터 ALP 패킷을 복원하기 위해 유효한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상, 제7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8) 제8 실시 형태
이어서,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제8 실시 형태의 분할 패킷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8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제3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PLP_ID를 ALP 패킷의 포맷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ALP 패킷의 선두에, PLP_ID가 배치되는 것을 미리 정해 둠으로써, 분할 헤더를 이용하지 않고, PLP_ID를 전송할 수 있게 한다.
도 20에는, 복조 회로(201)에 의해 처리되는 패킷을 도시하고 있다.
도 20에 있어서는, 선두의 ALP 패킷 AP1의 일부가 잘라내어지고, 분할 헤더가 부가됨으로써, 분할 패킷 DP1과, 분할 패킷 DP2가 순서대로 생성되어 있다(도 20의 A, B). 또한, ALP 패킷 AP1과 ALP 패킷 AP2의 일부가 각각 잘라내어지고, 분할 헤더가 부가됨으로써, 분할 패킷 DP3이 생성되어 있다(도 20의 A, B).
여기서는, ALP 패킷의 선두의 소정의 바이트(예를 들어 1바이트)에, PLP_ID를 배치하는 것이 미리 정해져 있기 때문에, ALP 패킷의 선두에는, PLP_ID가 배치되게 된다. 그 때문에, 분할 패킷 DP3의 페이로드에 주목하면, ALP 패킷 AP1에 이어서 배치되는 ALP 패킷 AP2의 선두에는, PLP_ID가 배치되어 있다. 즉, PLP_ID는 ALP 패킷 단위로 결부되는 것이기 때문에, ALP 패킷의 경계에, PLP_ID가 부가되도록 하고 있다.
도 21은, 제8 실시 형태의 분할 패킷의 전송을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21에는, 수신 장치(20)에 있어서, 물리 인터페이스(203)를 통하여 접속되는 복조 회로(201)와 처리 회로(202)의 사이에서 전송되는 분할 패킷의 클럭 신호(CLK), 동기 신호(SYNC), 유효 신호(VALID) 및 데이터(DATA)의 타이밍 차트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데이터(DATA)의 타이밍 차트에 주목하면, 188바이트의 분할 패킷 DP3의 페이로드에는, ALP 패킷 AP1과 ALP 패킷 AP2의 경계가 존재하고 있지만, ALP 패킷 AP2의 선두의 1비트에, 다음 ALP 패킷의 PLP_ID(예를 들어, '2'd0')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ALP 패킷의 선두의 1바이트째에, PLP_ID를 넣는다고 결정해 둠으로써, 분할 헤더에 PLP_ID를 삽입하지 않아도, 처리 회로(202)에서는, ALP 패킷의 선두의 1바이트째가 식별자(PLP_ID)인 것으로 하여 PLP_ID를 취득하고, PLP마다 스트림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제8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9) 제9 실시 형태
마지막으로,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여, 제9 실시 형태의 분할 패킷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9 실시 형태에서는, 분할 패킷에, 어댑테이션 필드(adaptation_field)를 배치하고, 거기에, 시각 정보로서의 PTP나 PLP_ID 등의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22에는, 복조 회로(201)에 의해 처리되는 패킷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분할 패킷 AP1의 일부가 잘라내어지고, 분할 헤더가 부가됨으로써, 분할 패킷 DP1과, 분할 패킷 DP2가 순서대로 생성되어 있다(도 22의 A, B). 또한, 분할 패킷 AP1과 분할 패킷 AP2의 일부가 각각 잘라내어지고, 분할 헤더가 부가됨으로써, 분할 패킷 DP3이 생성되어 있다(도 22의 A, B).
여기서, 분할 패킷의 분할 헤더이지만, 도 22의 C에 도시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즉, 도 22의 C에 있어서, 분할 헤더는, 8비트의 동기 바이트, 1비트의 에러 인디케이터, 1비트의 ALP 패킷 선두 유무 플래그, 1비트의 어댑테이션 필드 제어 및 13비트의 패킷 ID(고정 ID)가 배치된다.
어댑테이션 필드 제어는, 어댑테이션 필드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영역이다. 예를 들어, 어댑테이션 필드 제어에는, 1비트가 할당되고, 어댑테이션 필드가 있는 경우에는 '1'b1'이 설정되고, 어댑테이션 필드가 없는 경우에는 '1'b0'이 설정된다.
또한, 어댑테이션 필드는, var형 필드로서 정의되지만, 그 상세는, 도 2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도 22에 있어서는, 분할 패킷의 분할 형태로서, 제1 분할 형태로 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제9 실시 형태의 분할 패킷의 구조는, 제2 분할 형태 또는 제3 분할 형태를 채용한 분할 패킷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신택스의 예)
도 23은, 도 22에 도시한 어댑테이션 필드(Adaptation_field)의 신택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8비트의 adaptation_field_length는, 어댑테이션 필드의 길이를 나타내고 있다.
adaptation_field_length의 값이 0보다 큰 경우, discontinuity_indicator, random_access_indicator, ALP_packet_priority_indicator, PTP_flag 및 PLP_ID_flag가 배치된다.
1비트의 discontinuity_indicator는, ALP 패킷이 불연속임을 나타낸다. 1비트의 random_access_indicator는, 랜덤 액세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1비트의 ALP_packet_priority_indicator는, 대상의 ALP 패킷이, 다른 ALP 패킷보다 우선도가 높음을 나타낸다.
1비트의 PTP_flag는, 어댑테이션 필드에 PTP가 포함됨을 나타낸다. 1비트의 PLP_ID_flag는, 어댑테이션 필드에 PLP_ID가 포함됨을 나타낸다. 또한, PLP_ID_flag에 이어지는 3비트는, 장래의 예약을 의미하는 reserved로 된다.
PTP_flag='1'로 되는 경우, 시각 정보(PTP)로서, L1B_time_info_flag, L1D_time_sec, L1D_time_msec, L1D_time_usec 및 L1D_time_nsec가 배치된다.
2비트의 L1B_time_info_flag는, PTP(시각 정보)의 정밀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01'은 밀리초 단위를 의미하고, '10'은 마이크로초 단위를 의미하고, '11'은 나노초 단위를 의미하고 있다.
32비트의 L1D_time_sec는, 초 단위의 시각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10비트의 L1D_time_msec는, 밀리초 단위의 시각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10비트의 L1D_time_usec는, 마이크로초 단위의 시각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10비트의 L1D_time_nsec는, 나노초 단위의 시각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L1B_time_info_flag='01'로 되는 경우에는, 초 단위의 시각 정보(L1D_time_sec)와, 밀리초 단위의 시각 정보(L1D_time_msec)가 배치된다. 또한, 예를 들어 L1B_time_info_flag='10'으로 되는 경우에는, 초 단위와 밀리초 단위의 시각 정보(L1D_time_sec, L1D_time_msec)에 추가하여, 마이크로초 단위의 시각 정보(L1D_time_usec)가 배치된다. 또한, 예를 들어 L1B_time_info_flag='11'로 되는 경우에는, 초 단위와 밀리초 단위와 마이크로초 단위의 시각 정보(L1D_time_sec, L1D_time_msec, L1D_time_usec)에 추가하여, 나노초 단위의 시각 정보(L1D_time_nsec)가 배치된다.
PTP_ID_flag='1'로 되는 경우, PLP_ID가 배치된다.
6비트의 PLP_ID는, PLP(Physical Layer Pipe)를 식별하기 위한 ID이다. 또한, PLP_ID에 이어지는 2비트는 reserved로 된다.
또한, 어댑테이션 필드는, MPEG2-TS 방식에서도 이용되고 있으며, 이 어댑테이션 필드를 이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상술한 제3 실시 형태나 제4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PLP_ID나 시각 정보(PTP)를, ALP 패킷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MPEG2-TS 방식의 구조와 마찬가지의 구조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23에 있어서는, 어댑테이션 필드에, 시각 정보(PTP)와 PLP_ID가 배치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어느 한쪽의 정보만이 배치되도록 해도 되고, 또한 시각 정보(PTP)와 PLP_ID 이외의 정보가 배치되도록 해도 된다.
이상, 제9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4. 수신측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
도 2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수신 장치(20)에 있어서의 복조 회로(201)와 처리 회로(202)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또한, 도 24에 있어서는, 스텝 S11 내지 S14의 처리는, 복조 회로(201)에 의해 실행되고, 스텝 S31 내지 S33의 처리는, 처리 회로(202)에 의해 실행된다.
스텝 S11에 있어서, 복조부(211)는,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방송 신호에 대하여, 복조 처리를 행한다.
스텝 S12에 있어서, 오류 정정부(212)는, 스텝 S11의 처리에서 얻어지는 데이터에 대하여, 오류 정정 복호 처리를 행한다.
스텝 S13에 있어서, I/F부(213)는, 스텝 S12의 처리에서 얻어지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ALP 패킷을 처리하여, 분할 패킷을 생성한다.
이 분할 패킷은, TS 패킷에 따른 패킷 길이(188바이트)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분할 헤더에는, 복원 정보로서 선두 포인터가 포함된다. 또한, 예를 들어 특정한 ALP 패킷에는, 프라이빗 유저 데이터(PUD)로서, 시각 정보로서의 PTP나, PLP_ID를 부가할 수 있다. 즉, 여기서 생성되는 분할 패킷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9 실시 형태의 어느 실시 형태에 대응한 분할 패킷으로 된다.
스텝 S14에 있어서, I/F부(213)는, 스텝 S13의 처리에서 얻어지는 분할 패킷을, 물리 인터페이스(203)를 통하여 처리 회로(202)에 출력한다.
처리 회로(202)에 있어서는, 물리 인터페이스(203)를 통하여 복조 회로(201)(의 I/F부(213))로부터의 분할 패킷이 입력되고, 메모리(221)에 기록된다. 이 메모리(221)에 기록된 분할 패킷은, 디먹스(222)에 의해 하드웨어 처리된다(S31).
또한, 분할 패킷을 처리함으로써, 분할 헤더에 포함되는 복원 정보(예를 들어, 선두 포인터)에 기초하여, 페이로드에 배치된 데이터로부터, ALP 패킷이 복원된다(S32). 그리고, 메모리(223)에 기록된 ALP 패킷은, SW 처리부(224)에 의해 소프트웨어 처리된다(S33).
또한, 처리 회로(202)에서는, ALP 패킷에 PTP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PTP를 시각 정보로서 사용하여, 클럭 리커버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회로(202)에서는, ALP 패킷에 PLP_ID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M-PLP 시에, ALP 패킷이, 어느 PLP에 속해 있는지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복조 회로(201)와 처리 회로(202)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5. 변형예>
(장치의 구성예)
상술한 설명에서는, 복조 IC로서의 복조 회로(201)와, 시스템 온 칩(SoC)으로서의 처리 회로(202)가 수신 장치(20)에 내장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복조 회로(201)와 처리 회로(202)는, 각각이 그 단독으로 장치로서 구성되도록 해도 된다. 즉, 복조 회로(201)는, 수신 장치(20)에 내장된 복조부이거나, 혹은 그 단독으로 처리를 행하는 복조 장치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처리 회로(202)는, 수신 장치(20)에 내장된 처리부이거나, 혹은 그 단독으로 처리를 행하는 처리 장치라고도 할 수 있다.
(수신 장치의 예)
상술한 설명에서는, 수신 장치(20)는, 텔레비전 수상기나 셋톱 박스(STB) 등의 고정 수신기인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그 밖에, 예를 들어 녹화기나 게임기,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이어도 되고, 혹은 스마트폰이나 휴대 전화기, 태블릿형 컴퓨터 등의 모바일 수신기여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수신 장치(20)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Head Mounted Display) 등의 웨어러블 컴퓨터나, 차량용 TV 등의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 탑재 기기 등이어도 된다.
(다른 방송 방식의 예)
상술한 설명으로서는, 디지털 방송의 규격으로서, 미국 등에서 채용되고 있는 방식인 ATSC(특히, ATSC3.0)를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은 일본 등이 채용하는 방식인 ISDB(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나, 유럽의 각국 등이 채용하는 방식인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등에 적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기존 방식이 MPEG2-TS(Transport Stream) 방식이며, 신방식이 IP 전송 방식인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기존 방식과 신방식으로서, 그 밖의 방식의 조합이 적용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의 규격으로서는, 지상파 방송 외에, 방송 위성(BS: Broadcasting Satellite)이나 통신 위성(CS: Communications Satellite) 등을 이용한 위성 방송이나, 케이블 텔레비전(CATV) 등의 유선 방송 등의 규격에 적용할 수 있다.
(방송 방식 이외의 방식에 대한 적용)
또한, 본 기술은, 전송로로서, 방송망 이외의 전송로, 즉 예를 들어 인터넷이나 전화망 등의 통신 회선(통신망) 등을 이용하는 것을 상정하여 규정되어 있는 소정의 규격(디지털 방송의 규격 이외의 규격)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방송 시스템(1)(도 5)의 전송로(30)로서, 인터넷이나 전화망 등의 통신 회선이 이용되고, 송신 장치(10)는 인터넷 상에 마련된 서버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당해 통신 서버와 수신 장치(20)가 전송로(30)(통신 회선)를 통하여 쌍방향의 통신을 행하게 된다.
(패킷이나 시그널링의 다른 예)
또한, 상술한 패킷이나 프레임, 시그널링(제어 정보) 등의 명칭은 일례이며, 다른 명칭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단, 이들 명칭의 차이는 형식적인 차이이며, 대상의 패킷이나 프레임, 시그널링 등의 실질적인 내용이 상이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ALP 패킷은, 전송 패킷의 일례이며, 전송 패킷에는, 예를 들어 가변 길이의 패킷인 TLV(Type Length Value) 패킷이나 GSE(Generic Stream Encapsulation) 패킷 등이 포함된다. 또한, 프레임과 패킷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시각 정보의 다른 예)
상술한 설명에서는, 시각 정보로서, PTP(Precision Time Protocol)에서 규정되는 시각의 정보가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그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NTP(Network Time Protocol)나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규정되어 있는 시각의 정보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에 포함되는 시각의 정보, 기타 독자적으로 결정된 형식의 시각 정보 등의 임의의 시각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시각 정보는, 물리층 프레임의 선두 시각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그것에 한하지 않고, 임의의 시각을 나타내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시각 정보는, 물리층 프레임의 스트림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의 시각(절대적인 시각)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즉, 이 스트림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의 시각이란, 소정의 위치의 비트가, 송신 장치(10)에서 한창 처리되고 있는 소정의 타이밍의 시각이다. 또한, 물리층 프레임에 프리앰블을 마련하는 구조가 채용된 경우에는, 당해 프리앰블에, 시각 정보를 포함시키도록 해도 된다.
<6. 컴퓨터의 구성>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하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인스톨된다. 도 25는,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컴퓨터(1000)에 있어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1001), ROM(Read Only Memory)(1002), RAM(Random Access Memory)(1003)은, 버스(1004)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버스(1004)에는, 추가로 입출력 인터페이스(1005)가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005)에는, 입력부(1006), 출력부(1007), 기록부(1008), 통신부(1009) 및 드라이브(1010)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부(1006)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한다. 출력부(1007)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포함한다. 기록부(1008)는, 하드 디스크나 불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1009)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한다. 드라이브(1010)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기록 매체(1011)를 구동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컴퓨터(1000)에서는, CPU(1001)가, ROM(1002)이나 기록부(1008)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입출력 인터페이스(1005) 및 버스(1004)를 통하여, RAM(1003)에 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일련의 처리가 행해진다.
컴퓨터(1000)(CPU(10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패키지 미디어 등으로서의 리무버블 기록 매체(1011)에 기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인터넷, 디지털 위성 방송과 같은,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 매체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1000)에서는, 프로그램은, 리무버블 기록 매체(1011)를 드라이브(1010)에 장착함으로써, 입출력 인터페이스(1005)를 통하여, 기록부(1008)에 인스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 매체를 통하여, 통신부(1009)에서 수신하고, 기록부(1008)에 인스톨할 수 있다. 그 밖에, 프로그램은, ROM(1002)이나 기록부(1008)에 미리 인스톨해 둘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컴퓨터가 프로그램에 따라 행하는 처리는, 반드시 흐름도로서 기재된 순서를 따라 시계열로 행해질 필요는 없다. 즉, 컴퓨터가 프로그램에 따라 행하는 처리는, 병렬적 혹은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예를 들어, 병렬 처리 혹은 오브젝트에 의한 처리)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그램은, 하나의 컴퓨터(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것이어도 되고, 복수의 컴퓨터에 의해 분산 처리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의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기술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9 실시 형태의 각 실시 형태는, 단독으로 실시 형태로서 성립하는 것은 물론, 복수의 실시 형태가 조합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 있다.
(1)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제1 전송 패킷을 복조하는 복조부와,
제1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가변 길이의 패킷인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제2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의 패킷인 제2 전송 패킷에 따른 패킷 길이로 분할하여 페이로드에 배치함과 함께, 상기 페이로드에 대하여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를 부가함으로써 얻어지는 분할 패킷을,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출력하는 출력부
를 구비하는 복조 장치.
(2)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순차적으로 분할하여,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상기 (1)에 기재된 복조 장치.
(3)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순차적으로 분할하여,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선두와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의 선두가 일치하도록,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상기 (1)에 기재된 복조 장치.
(4) 상기 출력부는,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경계로 되었을 때, 상기 분할 패킷의 고정 길이에 따른 남은 영역 또는 도중의 영역에 대하여, 제로 패딩 또는 임의의 고정 계열을 삽입하는
상기 (3)에 기재된 복조 장치.
(5) 상기 출력부는, 상기 분할 패킷 중,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선두를 포함하는 것에 대해서만, 상기 분할 패킷의 헤더를 부가하는
상기 (3) 또는 (4)에 기재된 복조 장치.
(6) 상기 분할 패킷의 헤더는,
상기 분할 패킷의 선두를 검출하기 위한 동기 바이트,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에러 유무를 나타내는 에러 인디케이터,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포함하는 물리층 프레임의 특정한 위치를 나타내는 시각 정보,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선두 위치를 나타내는 제1 포인터,
PLP(Physical Layer Pipe)를 식별하는 PLP_ID가 전환되었을 때의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선두 위치를 나타내는 제2 포인터,
및 상기 분할 패킷을 식별하는 패킷 ID
중, 1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복조 장치.
(7)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선두 위치 중, 최초의 선두 위치는, 상기 포인터가 나타내는 선두 위치에 의해 특정되고, 2번째 이후의 선두 위치는, 상기 포인터가 나타내는 선두 위치와,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패킷 길이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6)에 기재된 복조 장치.
(8) 상기 패킷 ID는, 고정 ID, 또는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PLP_ID가 할당되는
상기 (6) 또는 (7)에 기재된 복조 장치.
(9) 상기 시각 정보, 상기 제1 포인터 및 상기 제2 포인터는, 그들 정보의 유무를 나타내는 플래그에 따라 배치되는
상기 (6) 내지 (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복조 장치.
(10) 상기 분할 패킷은, 어댑테이션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테이션 필드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포함하는 물리층 프레임의 특정한 위치를 나타내는 시각 정보, 및 PLP를 식별하는 PLP_ID 중 적어도 한쪽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복조 장치.
(11) 상기 제1 전송 패킷은, 복수의 PLP에 의해 전송되고,
PLP마다 얻어지는 상기 제1 전송 패킷 중, 특정한 제1 전송 패킷에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이 속해 있는 PLP를 식별하는 PLP_ID가 포함되는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복조 장치.
(12) 상기 제1 전송 패킷 중, 특정한 제1 전송 패킷에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포함하는 물리층 프레임의 특정한 위치를 나타내는 시각 정보가 포함되는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복조 장치.
(13) 상기 분할 패킷에 있어서,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상기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이 배치된 경우에는, 제로 패딩 또는 임의의 고정 계열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상기 (12)에 기재된 복조 장치.
(14)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선두에는, PLP를 식별하는 PLP_ID가 부가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복조 장치.
(15) 상기 제1 전송 방식은, IP(Internet Protocol) 전송 방식이며,
상기 제1 전송 패킷은,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3.0에서 규정되는 ALP(ATSC Link-Layer Protocol) 패킷이고,
상기 제2 전송 방식은, MPEG2-TS(Transport Stream) 방식이며,
상기 제2 전송 패킷은, TS 패킷인
상기 (1) 내지 (1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복조 장치.
(16) 상기 제2 전송 패킷의 패킷 길이는 188바이트이고,
상기 제1 전송 패킷은, 188바이트 단위의 상기 분할 패킷이 얻어지도록 분할되고,
상기 분할 패킷의 헤더는, 상기 TS 패킷의 TS 헤더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15)에 기재된 복조 장치.
(17) 복조 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조 장치가,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제1 전송 패킷을 복조하고,
제1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가변 길이의 패킷인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제2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의 패킷인 제2 전송 패킷에 따른 패킷 길이로 분할하여 페이로드에 배치함과 함께, 상기 페이로드에 대하여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를 부가함으로써 얻어지는 분할 패킷을,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출력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8)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되는 분할 패킷의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페이로드에 배치된 데이터로부터 복원되는 제1 전송 패킷을 처리하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전송 패킷은, 제1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가변 길이의 패킷이며,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고,
상기 분할 패킷은,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제2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의 패킷인 제2 전송 패킷에 따른 패킷 길이로 분할하여 페이로드에 배치함과 함께, 상기 페이로드에 대하여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를 부가함으로써 얻어지는
처리 장치.
(19) 상기 분할 패킷의 헤더는,
상기 분할 패킷의 선두를 검출하기 위한 동기 바이트,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에러 유무를 나타내는 에러 인디케이터,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포함하는 물리층 프레임의 특정한 위치를 나타내는 시각 정보,
상기 페이로드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선두 위치를 나타내는 제1 포인터,
PLP를 식별하는 PLP_ID가 전환되었을 때의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선두 위치를 나타내는 제2 포인터,
및 상기 분할 패킷을 식별하는 패킷 ID
중, 1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18)에 기재된 처리 장치.
(20)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선두 위치 중, 최초의 선두 위치는, 상기 포인터가 나타내는 선두 위치에 의해 특정되고, 2번째 이후의 선두 위치는, 상기 포인터가 나타내는 선두 위치와,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패킷 길이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19)에 기재된 처리 장치.
(21) 상기 패킷 ID는, 고정 ID, 또는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PLP_ID가 할당되는
상기 (19) 또는 (20)에 기재된 처리 장치.
(22) 상기 시각 정보, 상기 제1 포인터 및 상기 제2 포인터는, 그들 정보의 유무를 나타내는 플래그에 따라 배치되는
상기 (19) 내지 (21)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처리 장치.
(23) 상기 분할 패킷은, 어댑테이션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테이션 필드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포함하는 물리층 프레임의 특정한 위치를 나타내는 시각 정보, 및 PLP를 식별하는 PLP_ID 중 적어도 한쪽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18) 내지 (22)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처리 장치.
(24) 상기 제1 전송 패킷은, 복수의 PLP에 의해 전송되고,
PLP마다 얻어지는 상기 제1 전송 패킷 중, 특정한 제1 전송 패킷에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이 속해 있는 PLP를 식별하는 PLP_ID가 포함되는
상기 (18) 내지 (2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처리 장치.
(25) 상기 제1 전송 패킷 중, 특정한 제1 전송 패킷에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포함하는 물리층 프레임의 특정한 위치를 나타내는 시각 정보가 포함되는
상기 (18) 내지 (2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처리 장치.
(26) 상기 분할 패킷에 있어서,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상기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이 배치된 경우에는, 제로 패딩 또는 임의의 고정 계열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상기 (25)에 기재된 처리 장치.
(27)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선두에는, PLP를 식별하는 PLP_ID가 부가되는
상기 (18)에 기재된 처리 장치.
(28) 상기 제1 전송 방식은, IP 전송 방식이며,
상기 제1 전송 패킷은, ATSC3.0에서 규정되는 ALP 패킷이고,
상기 제2 전송 방식은, MPEG2-TS 방식이며,
상기 제2 전송 패킷은, TS 패킷인
상기 (18) 내지 (2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처리 장치.
(29) 상기 제2 전송 패킷의 패킷 길이는 188바이트이고,
상기 제1 전송 패킷은, 188바이트 단위의 상기 분할 패킷이 얻어지도록 분할되고,
상기 분할 패킷의 헤더는, 상기 TS 패킷의 TS 헤더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28)에 기재된 처리 장치.
(30) 처리 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처리 장치가,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되는 분할 패킷의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페이로드에 배치된 데이터로부터 복원되는 제1 전송 패킷을 처리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송 패킷은, 제1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가변 길이의 패킷이며,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고,
상기 분할 패킷은,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제2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의 패킷인 제2 전송 패킷에 따른 패킷 길이로 분할하여 페이로드에 배치함과 함께, 상기 페이로드에 대하여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를 부가함으로써 얻어지는
데이터 처리 방법.
(31)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제1 전송 패킷을 복조하는 복조부와,
상기 복조부에 의해 복조된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처리하는 처리부
를 구비하고,
상기 복조부와 상기 처리부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복조부는, 제1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가변 길이의 패킷인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제2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의 패킷인 제2 전송 패킷에 따른 패킷 길이로 분할하여 페이로드에 배치함과 함께, 상기 페이로드에 대하여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를 부가함으로써 얻어지는 분할 패킷을, 상기 처리부에 출력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복조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분할 패킷의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페이로드에 배치된 데이터로부터 복원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처리하는
수신 장치.
(32) 상기 복조부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순차적으로 분할하여,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상기 (31)에 기재된 수신 장치.
(33) 상기 복조부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순차적으로 분할하여,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순차적으로 배치할 때,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선두와,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의 선두가 일치하도록 하는
상기 (31)에 기재된 수신 장치.
(34)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경계로 되었을 때, 상기 분할 패킷의 고정 길이에 따른 남은 영역 또는 도중의 영역에 대하여, 제로 패딩 또는 임의의 고정 계열의 삽입이 행해지는
상기 (33)에 기재된 수신 장치.
(35) 상기 분할 패킷 중,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선두를 포함하는 것에 대해서만, 상기 분할 패킷의 헤더가 부가되는
상기 (33) 또는 (34)에 기재된 수신 장치.
(36) 상기 분할 패킷의 헤더는,
상기 분할 패킷의 선두를 검출하기 위한 동기 바이트,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에러 유무를 나타내는 에러 인디케이터,
물리층 프레임의 특정한 위치를 나타내는 시각 정보,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선두 위치를 나타내는 제1 포인터,
PLP를 식별하는 PLP_ID가 전환되었을 때의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선두 위치를 나타내는 제2 포인터,
및 상기 분할 패킷을 식별하는 패킷 ID
중, 1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31) 내지 (3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신 장치.
(37)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선두 위치 중, 최초의 선두 위치는, 상기 포인터가 나타내는 선두 위치에 의해 특정되고, 2번째 이후의 선두 위치는, 상기 포인터가 나타내는 선두 위치와,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패킷 길이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36)에 기재된 수신 장치.
(38) 상기 패킷 ID는, 고정 ID, 또는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PLP_ID가 할당되는
상기 (36) 또는 (37)에 기재된 수신 장치.
(39) 상기 시각 정보, 상기 제1 포인터 및 상기 제2 포인터는, 그들 정보의 유무를 나타내는 플래그에 따라 배치되는
상기 (36) 내지 (3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신 장치.
(40) 상기 분할 패킷은, 어댑테이션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테이션 필드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포함하는 물리층 프레임의 특정한 위치를 나타내는 시각 정보, 및 PLP를 식별하는 PLP_ID 중 적어도 한쪽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31) 내지 (39)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신 장치.
(41) 상기 제1 전송 패킷은, 복수의 PLP에 의해 전송되고,
PLP마다 얻어지는 상기 제1 전송 패킷 중, 특정한 제1 전송 패킷에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이 속해 있는 PLP를 식별하는 PLP_ID가 포함되는
상기 (31) 내지 (40)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신 장치.
(42) 상기 제1 전송 패킷 중, 특정한 제1 전송 패킷에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포함하는 물리층 프레임의 특정한 위치를 나타내는 시각 정보가 포함되는
상기 (31) 내지 (41)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신 장치.
(43) 상기 분할 패킷에 있어서,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상기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이 배치된 경우에는, 제로 패딩 또는 임의의 고정 계열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상기 (42)에 기재된 수신 장치.
(44)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선두에는, PLP를 식별하는 PLP_ID가 부가되는
상기 (31) 내지 (3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신 장치.
(45) 상기 제1 전송 방식은, IP 전송 방식이며,
상기 제1 전송 패킷은, ATSC3.0에서 규정되는 ALP 패킷이고,
상기 제2 전송 방식은, MPEG2-TS 방식이며,
상기 제2 전송 패킷은, TS 패킷인
상기 (31) 내지 (4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신 장치.
(46) 상기 제2 전송 패킷의 패킷 길이는 188바이트이고,
상기 제1 전송 패킷은, 188바이트 단위의 상기 분할 패킷이 얻어지도록 분할되고,
상기 분할 패킷의 헤더는, 상기 TS 패킷의 TS 헤더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45)에 기재된 수신 장치.
(47) 상기 복조부는 복조 디바이스이고,
상기 처리부는 시스템 온 칩(SoC: System on Chip)인
상기 (31) 내지 (4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신 장치.
(48)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제1 전송 패킷을 복조하는 복조부와,
상기 복조부에 의해 복조된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처리하는 처리부
를 갖고,
상기 복조부와 상기 처리부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속되는
수신 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조부가, 제1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가변 길이의 패킷인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제2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의 패킷인 제2 전송 패킷에 따른 패킷 길이로 분할하여 페이로드에 배치함과 함께, 상기 페이로드에 대하여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를 부가함으로써 얻어지는 분할 패킷을, 상기 처리부에 출력하고,
상기 처리부가, 상기 복조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분할 패킷의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페이로드에 배치된 데이터로부터 복원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처리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 방송 시스템
10: 송신 장치
20: 수신 장치
30: 전송로
201: 복조 회로
202: 처리 회로
203: 물리 인터페이스
211: 복조부
212: 오류 정정부
213: I/F부
221: 메모리
222: 디먹스
223: 메모리
224: SW 처리부
1000: 컴퓨터
1001: CPU

Claims (48)

  1.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제1 전송 패킷을 복조하는 복조부와,
    제1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가변 길이의 패킷인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제2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의 패킷인 제2 전송 패킷에 따른 패킷 길이로 분할하여 페이로드에 배치함과 함께, 상기 페이로드에 대하여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를 부가함으로써 얻어지는 분할 패킷을,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출력하는 출력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전송 방식은, MPEG2-TS(Transport Stream) 방식이며,
    상기 제2 전송 패킷은, TS 패킷이고,
    상기 제1 전송 방식은, 상기 MPEG2-TS 방식을 제외한 방식이며,
    상기 제1 전송 패킷은, 상기 TS 패킷의 패킷 길이에 따른 소정의 단위의 상기 분할 패킷이 얻어지도록 분할되고,
    상기 분할 패킷의 헤더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TS 패킷의 TS 헤더의 구조에 대응한 구조를 포함하는,
    복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순차적으로 분할하여,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복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순차적으로 분할하여,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선두와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의 선두가 일치하도록,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복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경계로 되었을 때, 상기 분할 패킷의 고정 길이에 따른 남은 영역 또는 도중의 영역에 대하여, 제로 패딩 또는 임의의 고정 계열을 삽입하는,
    복조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분할 패킷 중,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선두를 포함하는 것에 대해서만, 상기 분할 패킷의 헤더를 부가하는,
    복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패킷의 헤더는,
    상기 분할 패킷의 선두를 검출하기 위한 동기 바이트,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에러 유무를 나타내는 에러 인디케이터,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포함하는 물리층 프레임의 특정한 위치를 나타내는 시각 정보,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선두 위치를 나타내는 제1 포인터,
    PLP(Physical Layer Pipe)를 식별하는 PLP_ID가 전환되었을 때의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선두 위치를 나타내는 제2 포인터,
    및 상기 분할 패킷을 식별하는 패킷 ID
    중, 1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복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선두 위치 중, 최초의 선두 위치는, 상기 포인터가 나타내는 선두 위치에 의해 특정되고, 2번째 이후의 선두 위치는, 상기 포인터가 나타내는 선두 위치와,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패킷 길이에 의해 특정되는,
    복조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ID는, 고정 ID, 또는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PLP_ID가 할당되는,
    복조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정보, 상기 제1 포인터 및 상기 제2 포인터는, 그들 정보의 유무를 나타내는 플래그에 따라 배치되는,
    복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패킷은, 어댑테이션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테이션 필드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포함하는 물리층 프레임의 특정한 위치를 나타내는 시각 정보, 및 PLP를 식별하는 PLP_ID 중 적어도 한쪽의 정보를 포함하는,
    복조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패킷은, 복수의 PLP에 의해 전송되고,
    PLP마다 얻어지는 상기 제1 전송 패킷 중, 특정한 제1 전송 패킷에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이 속해 있는 PLP를 식별하는 PLP_ID가 포함되는,
    복조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패킷 중, 특정한 제1 전송 패킷에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포함하는 물리층 프레임의 특정한 위치를 나타내는 시각 정보가 포함되는,
    복조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패킷에 있어서,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상기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이 배치된 경우에는, 제로 패딩 또는 임의의 고정 계열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복조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선두에는, PLP를 식별하는 PLP_ID가 부가되는,
    복조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방식은, IP(Internet Protocol) 전송 방식이며,
    상기 제1 전송 패킷은,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3.0에서 규정되는 ALP(ATSC Link-Layer Protocol) 패킷인,
    복조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송 패킷의 패킷 길이는 188바이트이고,
    상기 제1 전송 패킷은, 188바이트 단위의 상기 분할 패킷이 얻어지도록 분할되고,
    상기 분할 패킷의 헤더는, 상기 TS 패킷의 TS 헤더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복조 장치.
  17. 복조 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조 장치가,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제1 전송 패킷을 복조하고,
    제1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가변 길이의 패킷인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제2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의 패킷인 제2 전송 패킷에 따른 패킷 길이로 분할하여 페이로드에 배치함과 함께, 상기 페이로드에 대하여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를 부가함으로써 얻어지는 분할 패킷을,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출력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송 방식은, MPEG2-TS 방식이며,
    상기 제2 전송 패킷은, TS 패킷이고,
    상기 제1 전송 방식은, 상기 MPEG2-TS 방식을 제외한 방식이며,
    상기 제1 전송 패킷은, 상기 TS 패킷의 패킷 길이에 따른 소정의 단위의 상기 분할 패킷이 얻어지도록 분할되고,
    상기 분할 패킷의 헤더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TS 패킷의 TS 헤더의 구조에 대응한 구조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8.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되는 분할 패킷의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페이로드에 배치된 데이터로부터 복원되는 제1 전송 패킷을 처리하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전송 패킷은, 제1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가변 길이의 패킷이며,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고,
    상기 분할 패킷은,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제2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의 패킷인 제2 전송 패킷에 따른 패킷 길이로 분할하여 페이로드에 배치함과 함께, 상기 페이로드에 대하여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를 부가함으로써 얻어지고,
    상기 제2 전송 방식은, MPEG2-TS 방식이며,
    상기 제2 전송 패킷은, TS 패킷이고,
    상기 제1 전송 방식은, 상기 MPEG2-TS 방식을 제외한 방식이며,
    상기 제1 전송 패킷은, 상기 TS 패킷의 패킷 길이에 따른 소정의 단위의 상기 분할 패킷이 얻어지도록 분할되고,
    상기 분할 패킷의 헤더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TS 패킷의 TS 헤더의 구조에 대응한 구조를 포함하는,
    처리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패킷의 헤더는,
    상기 분할 패킷의 선두를 검출하기 위한 동기 바이트,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에러 유무를 나타내는 에러 인디케이터,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포함하는 물리층 프레임의 특정한 위치를 나타내는 시각 정보,
    상기 페이로드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선두 위치를 나타내는 제1 포인터,
    PLP를 식별하는 PLP_ID가 전환되었을 때의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선두 위치를 나타내는 제2 포인터,
    및 상기 분할 패킷을 식별하는 패킷 ID
    중, 1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처리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선두 위치 중, 최초의 선두 위치는, 상기 포인터가 나타내는 선두 위치에 의해 특정되고, 2번째 이후의 선두 위치는, 상기 포인터가 나타내는 선두 위치와,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패킷 길이에 의해 특정되는,
    처리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ID는, 고정 ID, 또는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PLP_ID가 할당되는,
    처리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정보, 상기 제1 포인터 및 상기 제2 포인터는, 그들 정보의 유무를 나타내는 플래그에 따라 배치되는,
    처리 장치.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패킷은, 어댑테이션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테이션 필드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포함하는 물리층 프레임의 특정한 위치를 나타내는 시각 정보, 및 PLP를 식별하는 PLP_ID 중 적어도 한쪽의 정보를 포함하는,
    처리 장치.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패킷은, 복수의 PLP에 의해 전송되고,
    PLP마다 얻어지는 상기 제1 전송 패킷 중, 특정한 제1 전송 패킷에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이 속해 있는 PLP를 식별하는 PLP_ID가 포함되는,
    처리 장치.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패킷 중, 특정한 제1 전송 패킷에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포함하는 물리층 프레임의 특정한 위치를 나타내는 시각 정보가 포함되는,
    처리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패킷에 있어서,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상기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이 배치된 경우에는, 제로 패딩 또는 임의의 고정 계열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처리 장치.
  27.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선두에는, PLP를 식별하는 PLP_ID가 부가되는,
    처리 장치.
  28.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방식은, IP 전송 방식이며,
    상기 제1 전송 패킷은, ATSC3.0에서 규정되는 ALP 패킷인,
    처리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송 패킷의 패킷 길이는 188바이트이고,
    상기 제1 전송 패킷은, 188바이트 단위의 상기 분할 패킷이 얻어지도록 분할되고,
    상기 분할 패킷의 헤더는, 상기 TS 패킷의 TS 헤더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처리 장치.
  30. 처리 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처리 장치가,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되는 분할 패킷의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페이로드에 배치된 데이터로부터 복원되는 제1 전송 패킷을 처리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송 패킷은, 제1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가변 길이의 패킷이며,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고,
    상기 분할 패킷은,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제2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의 패킷인 제2 전송 패킷에 따른 패킷 길이로 분할하여 페이로드에 배치함과 함께, 상기 페이로드에 대하여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를 부가함으로써 얻어지고,
    상기 제2 전송 방식은, MPEG2-TS 방식이며,
    상기 제2 전송 패킷은, TS 패킷이고,
    상기 제1 전송 방식은, 상기 MPEG2-TS 방식을 제외한 방식이며,
    상기 제1 전송 패킷은, 상기 TS 패킷의 패킷 길이에 따른 소정의 단위의 상기 분할 패킷이 얻어지도록 분할되고,
    상기 분할 패킷의 헤더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TS 패킷의 TS 헤더의 구조에 대응한 구조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31.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제1 전송 패킷을 복조하는 복조부와,
    상기 복조부에 의해 복조된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처리하는 처리부
    를 구비하고,
    상기 복조부와 상기 처리부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복조부는, 제1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가변 길이의 패킷인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제2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의 패킷인 제2 전송 패킷에 따른 패킷 길이로 분할하여 페이로드에 배치함과 함께, 상기 페이로드에 대하여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를 부가함으로써 얻어지는 분할 패킷을, 상기 처리부에 출력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복조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분할 패킷의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페이로드에 배치된 데이터로부터 복원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처리하고,
    상기 제2 전송 방식은, MPEG2-TS 방식이며,
    상기 제2 전송 패킷은, TS 패킷이고,
    상기 제1 전송 방식은, 상기 MPEG2-TS 방식을 제외한 방식이며,
    상기 제1 전송 패킷은, 상기 TS 패킷의 패킷 길이에 따른 소정의 단위의 상기 분할 패킷이 얻어지도록 분할되고,
    상기 분할 패킷의 헤더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TS 패킷의 TS 헤더의 구조에 대응한 구조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부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순차적으로 분할하여,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수신 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부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순차적으로 분할하여,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순차적으로 배치할 때,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선두와,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의 선두가 일치하도록 하는,
    수신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경계로 되었을 때, 상기 분할 패킷의 고정 길이에 따른 남은 영역 또는 도중의 영역에 대하여, 제로 패딩 또는 임의의 고정 계열의 삽입이 행해지는,
    수신 장치.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패킷 중,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선두를 포함하는 것에 대해서만, 상기 분할 패킷의 헤더가 부가되는,
    수신 장치.
  36.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패킷의 헤더는,
    상기 분할 패킷의 선두를 검출하기 위한 동기 바이트,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에러 유무를 나타내는 에러 인디케이터,
    물리층 프레임의 특정한 위치를 나타내는 시각 정보,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선두 위치를 나타내는 제1 포인터,
    PLP를 식별하는 PLP_ID가 전환되었을 때의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선두 위치를 나타내는 제2 포인터,
    및 상기 분할 패킷을 식별하는 패킷 ID
    중, 1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선두 위치 중, 최초의 선두 위치는, 상기 포인터가 나타내는 선두 위치에 의해 특정되고, 2번째 이후의 선두 위치는, 상기 포인터가 나타내는 선두 위치와,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패킷 길이에 의해 특정되는,
    수신 장치.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ID는, 고정 ID, 또는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PLP_ID가 할당되는,
    수신 장치.
  39.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정보, 상기 제1 포인터 및 상기 제2 포인터는, 그들 정보의 유무를 나타내는 플래그에 따라 배치되는,
    수신 장치.
  40.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패킷은, 어댑테이션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테이션 필드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포함하는 물리층 프레임의 특정한 위치를 나타내는 시각 정보, 및 PLP를 식별하는 PLP_ID 중 적어도 한쪽의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
  41.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패킷은, 복수의 PLP에 의해 전송되고,
    PLP마다 얻어지는 상기 제1 전송 패킷 중, 특정한 제1 전송 패킷에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이 속해 있는 PLP를 식별하는 PLP_ID가 포함되는,
    수신 장치.
  4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패킷 중, 특정한 제1 전송 패킷에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포함하는 물리층 프레임의 특정한 위치를 나타내는 시각 정보가 포함되는,
    수신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패킷에 있어서,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상기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이 배치된 경우에는, 제로 패딩 또는 임의의 고정 계열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수신 장치.
  4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선두에는, PLP를 식별하는 PLP_ID가 부가되는,
    수신 장치.
  4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방식은, IP 전송 방식이며,
    상기 제1 전송 패킷은, ATSC3.0에서 규정되는 ALP 패킷인,
    수신 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송 패킷의 패킷 길이는 188바이트이고,
    상기 제1 전송 패킷은, 188바이트 단위의 상기 분할 패킷이 얻어지도록 분할되고,
    상기 분할 패킷의 헤더는, 상기 TS 패킷의 TS 헤더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
  47.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부는 복조 디바이스이고,
    상기 처리부는 시스템 온 칩(SoC: System on Chip)인,
    수신 장치.
  48.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제1 전송 패킷을 복조하는 복조부와,
    상기 복조부에 의해 복조된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처리하는 처리부
    를 갖고,
    상기 복조부와 상기 처리부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속되는
    수신 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조부가, 제1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가변 길이의 패킷인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제2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의 패킷인 제2 전송 패킷에 따른 패킷 길이로 분할하여 페이로드에 배치함과 함께, 상기 페이로드에 대하여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를 부가함으로써 얻어지는 분할 패킷을, 상기 처리부에 출력하고,
    상기 처리부가, 상기 복조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분할 패킷의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페이로드에 배치된 데이터로부터 복원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처리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송 방식은, MPEG2-TS 방식이며,
    상기 제2 전송 패킷은, TS 패킷이고,
    상기 제1 전송 방식은, 상기 MPEG2-TS 방식을 제외한 방식이며,
    상기 제1 전송 패킷은, 상기 TS 패킷의 패킷 길이에 따른 소정의 단위의 상기 분할 패킷이 얻어지도록 분할되고,
    상기 분할 패킷의 헤더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TS 패킷의 TS 헤더의 구조에 대응한 구조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0197035208A 2017-06-14 2018-05-31 복조 장치, 처리 장치,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417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22635A KR102474102B1 (ko) 2017-06-14 2018-05-31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17054 2017-06-14
JP2017117054 2017-06-14
JP2017142986 2017-07-24
JPJP-P-2017-142986 2017-07-24
PCT/JP2018/020902 WO2018230348A1 (ja) 2017-06-14 2018-05-31 復調装置、処理装置、受信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2635A Division KR102474102B1 (ko) 2017-06-14 2018-05-31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423A KR20200018423A (ko) 2020-02-19
KR102417673B1 true KR102417673B1 (ko) 2022-07-07

Family

ID=6465913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208A KR102417673B1 (ko) 2017-06-14 2018-05-31 복조 장치, 처리 장치,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0227022635A KR102474102B1 (ko) 2017-06-14 2018-05-31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2635A KR102474102B1 (ko) 2017-06-14 2018-05-31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368748B2 (ko)
JP (1) JP7191822B2 (ko)
KR (2) KR102417673B1 (ko)
TW (1) TWI690150B (ko)
WO (1) WO20182303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82282B2 (ja) * 2018-06-06 2022-06-08 富士通株式会社 パケット解析プログラム、パケット解析方法およびパケット解析装置
WO2022203248A1 (ko) * 2021-03-24 2022-09-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리듀스드 캐리어 계수를 시그널링하는 방송 신호 프레임을 이용한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신 방법
JPWO2022224520A1 (ko) * 2021-04-19 2022-10-27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56636A (ja) 2014-01-15 2015-08-27 日本放送協会 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JP2016225906A (ja) 2015-06-02 2016-12-28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US20170118317A1 (en) 2014-06-24 2017-04-27 Socionext Inc. Interface device and receiver including the same
KR101731355B1 (ko) 2013-09-26 2017-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그널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시그널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217860T2 (de) * 1991-12-09 1997-10-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gitale Modulator- oder Demodulatorschaltung
JP4475835B2 (ja) * 2001-03-05 2010-06-09 富士通株式会社 入力回線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パケット通信装置
WO2016117283A1 (ja) * 2015-01-22 2016-07-28 株式会社ソシオネクスト 分割データの送受信システム
JP2016208161A (ja) 2015-04-17 2016-12-08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2017073680A (ja) * 2015-10-08 2017-04-13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方法
WO2017065020A1 (ja) 2015-10-15 2017-04-20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送信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WO2017065021A1 (ja) 2015-10-15 2017-04-20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送信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355B1 (ko) 2013-09-26 2017-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그널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시그널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JP2015156636A (ja) 2014-01-15 2015-08-27 日本放送協会 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US20170118317A1 (en) 2014-06-24 2017-04-27 Socionext Inc. Interface device and receiver including the same
JP2016225906A (ja) 2015-06-02 2016-12-28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8230348A1 (ja) 2020-04-16
US20220191579A1 (en) 2022-06-16
WO2018230348A1 (ja) 2018-12-20
US20200145715A1 (en) 2020-05-07
TW201906311A (zh) 2019-02-01
US11368748B2 (en) 2022-06-21
KR20200018423A (ko) 2020-02-19
JP7191822B2 (ja) 2022-12-19
KR20220100096A (ko) 2022-07-14
KR102474102B1 (ko) 2022-12-06
TWI690150B (zh) 2020-04-01
US11653058B2 (en) 202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4088B2 (en) Transmitt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US11677865B2 (en) Transmitt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US11700200B2 (en) Transmitt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using removal of transport steam packet header
US11653058B2 (en) Demodulation device, processing device, reception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9917930B2 (en)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US10735789B2 (en)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1191723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a that add additional information to baseband packet
CA2972882C (en)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WO2018110315A1 (ja)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KR20190122700A (ko)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US11336389B2 (en) Transmitting device which generates a physical layer packet by inserting padding and transmitting method thereof
CN111447242B (zh) 发送装置和接收装置及其信号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