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7553B1 - 영아 육아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아 육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7553B1
KR102417553B1 KR1020200138608A KR20200138608A KR102417553B1 KR 102417553 B1 KR102417553 B1 KR 102417553B1 KR 1020200138608 A KR1020200138608 A KR 1020200138608A KR 20200138608 A KR20200138608 A KR 20200138608A KR 102417553 B1 KR102417553 B1 KR 102417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doll
care
guardia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4099A (ko
Inventor
문수효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부모마음충전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부모마음충전소 filed Critical 유한회사 부모마음충전소
Priority to KR1020200138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553B1/ko
Publication of KR20220054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4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3Repetitive work cycles; Sequence of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01Dolls simulating physiological processes, e.g. heartbeat, breathing or fev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28Arrangements of sound-producing means in dolls; Means in dolls for producing sou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200/00Computerized interactive toys, e.g. dol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Econom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산 전/후 예비부모 및 가임 가능 여성이 신생아에서 영아까지의 육아방법을 인형을 통하여 몸으로 습득 및 인지하고 그 습득 및 인지한 방법을 통하여 육아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영아 육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보호자가 영아 육아방법을 실습하며 몸으로 습득 및 인지하도록 마련된 영아인형과, 영아인형의 복수 곳에 영아의 케어 오류를 감지하도록 설치된 감지수단과,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신호를 받아 소리 또는 빛이나 진동으로 표출시키는 반응모듈과,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신호를 받아 상기 반응모듈을 작동시키는 제어부와, 감지수단에서 오류가 감지되었을 때 관리자서버를 통하여 보호자가 교정하도록 하는 케어모듈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영아 육아 시스템{Baby Care System}
본 발명은 출산 전/후 예비부모 및 가임 가능 여성이 신생아에서 영아까지의 육아방법을 인형을 통하여 몸으로 습득 및 인지하고 그 습득 및 인지한 방법을 통하여 육아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영아 육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경제, 육아환경 등의 복합적 이유로 저출산이라는 심각한 문제가 사회 전반으로 야기되고 있다. 역시 출산을 준비하는 예비 부모들, 나아가 출산을 통해 부모가 된 이들이 육아에 대해 가지는 심리적, 경제적, 육체적 부담은 갈수록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이 소통하고 희망하는 공간이나 이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와 상식, 출산, 육아지침 등에 대해서는 매우 낙후되어 있는 실정이다.
물론 온라인상의 천편일률적인 문서, 사진 등의 육아정보들이 방대하게 제공되고 있고, 엄마들에게 커뮤니티를 제공하는 카페, 블로그 등의 포털사이트가 몇몇 곳에서 찾아 볼 수는 있다.
그러나 예비 부모들, 나아가 출산을 통해 부모가 된 사람들에게는 사전 또는 사후에 육아 방법을 몸으로 직접 습득 및 인지하고 대처방법을 알아야 함에도 현실은 그렇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결혼 후 출산한 부모를 포함하는 미혼상태에서 계획 없이 출산한 어린 부모 또는 미혼 모의 경우 심리적, 경제적, 육체적 어려움을 격게되고, 그로 인한 스트레스로 인하여 아이에게 학대하거나 심한 경우 아이를 위탁 및 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 제공된 한국공개특허 10-2011-0098126호의 임신, 출산, 육아관련 맞춤형 콘텐츠제공 온라인서비스방법이 있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이용자의 회원가입과 더불어 이용자의 임신예정시기, 임신시기, 임신주수, 출산예정일, 출산일, 자녀 성별, 자녀 생년월일, 자녀 월령, 자녀 건강정보, 특이사항 등의 임신, 출산, 육아관련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단계(S4)와;
상기 이용자의 개인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임신기 정보(S5-1), 출산기 정보(S5-2), 자녀 정보(S5-3), 단계별 이용자 실시간 정보(S5-4) 별로 자동으로 분류하는 정보자동분류단계(S5)와;
상기의 분류된 정보를 개인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저장단계(S6)와;
상기 이용자의 개인정보에 해당하는 특성화된 개인화 웹사이트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생성단계(S7)와;
상기의 웹사이트에 로그인한 이용자의 임신, 출산, 육아관련 정보에 대해 현시점에서 자동 스케쥴링하고 이용자 맞춤형 콘텐츠를 웹사이트의 메인 페이지에 링크방식으로 제공하는 맞춤형 콘텐츠 서비스단계(S10)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한국공개특허 10-2011-0098126호는 유/무선의 전기 통신망을 이용하여 컴퓨터 등으로 각종 정보나 그 내용을 보고 듣는 것일 뿐 육아에 필요한 다양한 방법을 몸으로 직접 습득하는 것이 아니어서 출산 후에는 육아방법을 몰라 많은 어려움을 격게되고 그로 인한 산후 우울증, 육아 우울증 등 산후 증후군과 저출산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1-0098126(2011.09.01.) 한국공개특허 10-2016-0027297(2016.03.10.)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출산 전/후에 아기를 육아해야 하는 예비 및 기혼 부부와, 준비 및 계획 없이 출산한 어린 부모와, 가임 가능한 중학교 이상의 여성(이하 "보호자"라 통칭함)이 아기를 출산 후 육아해야 하는 다양한 방법을 영아인형을 통하여 몸으로 직접 실습하며 습득 및 인지하여 출산 후 심리적, 육체적 어려움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젊은 세대에게 육아의 현실감을 높여줌으로써 성관계의 책임의식을 증가시키고, 아기를 육아함에 있어 경제적인 부분을 인식하도록 도와 부모로서의 책임감을 상승시키며, 높은 출산비용에 대한 사회적 문제의 인식을 도와 꼭 필요한 필수 요소를 구매할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효율적인 출산비용 도출 인식 필요성을 증가시키며, 아빠 육아 참여를 유도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고, 부모의 육아기술 향상으로 아동 학대 감소와 아울러 산후 우울증 감소하고, 즐거운 육아 인식 전환을 통한 저출산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영아 육아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구성은,
보호자가 영아 육아방법을 실습하며 몸으로 습득 및 인지할 수 있도록 영아의 몸 구조와 준하는 형태의 구조를 갖으며, 무게는 신생아의 체중과 준하는 무게를 갖도록 형성된 영아인형(100);
상기 영아인형의 눈에 얼굴인식센서(S-1)가 설치되고, 영아인형의 귀에 흔들림감지센서(S-2)가 설치되며, 영아인형을 몸에 기울기센서(S-3)가 설치되고, 영아인형의 목과 엉덩이에 각각의 압력센서(S-4,S-5)가 설치되며, 영아인형의 배꼽과 국부 및 발바닥에 각각의 습도센서(S-6,S-7,S-8)가 설치되고, 영아인형의 입에 타이머센서(S-9)가 설치되어 영아의 안기, 움직임, 생리현상 등을 포함하는 영아케어의 오류를 감지하도록 하는 감지수단(200);
상기 영아인형에 설치되어 상기 각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신호를 받아 소리 또는 빛이나 진동으로 표출시키는 반응모듈(300);
상기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신호를 받아 상기 반응모듈을 작동시키는 영아케어 기준 값이 저장된 제어부(400);
상기 감지수단에서 오류가 감지되었을 때 관리자서버(600)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의 기준 값을 보호자에게 알려주어 보호자가 기준 값으로 교정하도록 하는 케어모듈(500);
상기 얼굴인식센서(S-1)를 통한 영아인형(10)의 눈과 보호자의 눈이 바르게 마주치면 상기 반응모듈(300) 또는 케어모듈(500)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모듈 모두에서 옹알이가 표출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영아 육아 시스템은,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호자가 아기를 출산 후 육아해야 하는 다양한 방법을 영아인형을 통하여 몸으로 직접 실습하며 습득 및 인지하여 출산 후 심리적, 육체적 어려움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젊은 세대에게 육아의 현실감을 높여줌으로써 성관계의 책임의식을 증가시키고, 아기를 육아함에 있어 경제적인 부분을 인식하도록 도와 부모로서의 책임감을 상승시키며, 높은 출산비용에 대한 사회적 문제의 인식을 도와 꼭 필요한 필수 요소를 구매할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효율적인 출산비용 도출 인식 필요성을 증가시키며, 아빠 육아 참여를 유도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고, 부모의 육아기술 향상으로 아동 학대 감소와 아울러 산후 우울증 감소하고, 즐거운 육아 인식 전환을 통한 저출산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육아방법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영아 육아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영아 육아 실습용 영아인형을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영아인형의 감지수단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케어모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은 출산 전/후 예비부모 및 가임 가능 여성이 신생아에서 영아까지의 육아방법을 인형을 통하여 몸으로 습득 및 인지하고 그 습득 및 인지한 방법을 통하여 육아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영아 육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본 발명의 영아 육아 시스템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자가 영아 육아방법을 실습하며 몸으로 습득 및 인지할 수 있도록 영아의 몸 구조와 준하는 형태의 구조를 갖으며, 무게는 신생아의 체중과 준하는 무게를 갖도록 형성된 영아인형(100);
상기 영아인형의 눈에 얼굴인식센서(S-1)가 설치되고, 영아인형의 귀에 흔들림감지센서(S-2)가 설치되며, 영아인형을 몸에 기울기센서(S-3)가 설치되고, 영아인형의 목과 엉덩이에 각각의 압력센서(S-4,S-5)가 설치되며, 영아인형의 배꼽과 국부 및 발바닥에 각각의 습도센서(S-6,S-7,S-8)가 설치되고, 영아인형의 입에 타이머센서(S-9)가 설치되어 영아의 안기, 움직임, 생리현상 등을 포함하는 영아케어의 오류를 감지하도록 하는 감지수단(200);
상기 영아인형에 설치되어 상기 각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신호를 받아 소리 또는 빛이나 진동으로 표출시키는 반응모듈(300);
상기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신호를 받아 상기 반응모듈을 작동시키는 영아케어 기준 값이 저장된 제어부(400);
상기 감지수단에서 오류가 감지되었을 때 관리자서버(600)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의 기준 값을 보호자에게 알려주어 보호자가 기준 값으로 교정하도록 하는 케어모듈(500);
상기 얼굴인식센서(S-1)를 통한 영아인형(10)의 눈과 보호자의 눈이 바르게 마주치면 상기 반응모듈(300) 또는 케어모듈(500)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모듈 모두에서 옹알이가 표출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의 구성에서 보호자라 함은, 출산 전/후에 아기를 육아해야 하는 예비 및 기혼 부부와, 준비 및 계획 없이 출산한 어린 부모와, 가임 가능한 중학교 이상의 학생 그리고 아기를 육아해야 하는 모든 어머니, 아버지, 할머니, 할아버지를 의미하는 것임.
그리고 상기 보호자가 영아 육아방법을 실습하며 몸으로 습득 및 인지할 수 있도록 영아의 몸 구조와 준하는 형태의 구조로 마련된 영아인형(100)은, 일실시 예로 크기와 무게가 신생아의 크기 및 무게와 준하도록 형성되고, 이와 같은 상기 영아인형(100)은, 영아의 체내 장기와 머리의 뇌를 제외한 외관상으로 나타나는 신체 구조와 준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외관상으로 나타나는 신체 구조와 준하는 영아인형(100)의 구조라 함은, 머리, 목, 어깨, 양팔, 양손, 몸통, 엉덩이, 남/여 생식기, 양다리, 양발을 의미하는 것임.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영아인형(100) 일실시 예로는, 영아의 체온과 준하는 온도를 유지하도록 히팅수단이 설치하여 보호자가 영아인형(100)을 안았을 때 영아의 체온과 준하는 체온을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 영아인형(100)의 크기와 무게 및 체온을 영아와 준하게 하는 이유는, 보호자가 영아인형(100)을 안고 육아 실습을 할 때에 영아와 최대로 유사하게 하여 실습을 현실감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영아인형(100)의 복수 곳에 영아의 안기, 움직임, 생리현상 등을 포함하는 영아케어의 오류를 감지하도록 하는 감지수단(200)이 설치되는데, 그 감지수단(200)을 설치하는 이유는,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 영아를 육아하기 위하여 영아인형(100)으로 실습할 때에 바른 방법이 아닌 불안전한 방법으로 육아하게 되면 이를 감지수단(200)이 인지하여 바른 방법으로 교정하도록 하고 이를 보호자가 몸으로 습득 및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영아를 육아할 때에 바른 방법으로 육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감지수단(200)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영아인형의 눈에 얼굴인식센서(S-1)가 설치되고, 영아인형의 귀에 흔들림감지센서(S-2)가 설치되며, 영아인형을 몸에 기울기센서(S-3)가 설치되고, 영아인형의 목과 엉덩이에 각각의 압력센서(S-4,S-5)가 설치되며, 영아인형의 배꼽과 국부 및 발바닥에 각각의 습도센서(S-6,S-7,S-8)가 설치되고, 영아인형의 입에 타이머센서(S-9)가 설치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각 센서를 구분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상기 얼굴인식센서(S-1)는, 영아인형(100)을 통한 영아의 눈과 보호자의 눈이 마주치면서 영아가 보호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실습을 할 때에 바른 눈문맞춤이 이루어지는지 아닌지를 감지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실습은 영아인형(10)의 눈과 보호자의 눈이 마주치면 아래에서 설명되는 반응모듈(300) 또는 케어모듈(500)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모듈 모두에서 옹알이로 표출된다.
상기 흔들림감지센서(S-2)는, 영아인형(100)을 통한 영아를 흔들면서 케어 하는 실습을 할 때에 영아의 흔들림이 너무 강한지 약한지를 감지하는 것으로, 영아의 흔들림이 너무 강하거나 약하면 이를 감지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반응모듈(300) 또는 케어모듈(500)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모듈에서 울음소리 또는 빛이나 진동을 울리게 되어 영아인형(100) 흔들림 정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영아의 흔들림이 제어부(400)에 입력된 기준 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반응모듈(300) 또는 케어모듈(500)에서 영아의 울음소리 또는 빛이나 진동이 울리지 않는다.
상기 기울기센서(S-3)는, 영아인형(100)을 통한 영아를 안거나 눕힐 때 또는 분유를 수유할 때에 정상적인 자세로 안았는지 눕혔는지 분유를 수유하고 있는지를 실습할 때에 이를 감지하는 것으로, 잘못된 자세로 안거나 눕히거나 분유를 수유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반응모듈(300) 또는 케어모듈(500)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모듈에서 소리 또는 빛이나 진동을 울리게 되어 보호자가 안거나 눕히거나 분유를 수유하는 자세를 바르게 하도록 한다.
상기 기울기센서(S-3)는 영아인형(100)을 안을 때 감지하는 기울기센서와, 영아를 눕힐 때 감지하는 기울기센서와, 분유를 수유할 때 감지하는 기울기센서를 각각 설치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상기 각 기울기센서는 영아인형의 등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센서(S-4,S-5)는 영아인형(100)을 통한 영아를 안는 실습할 때에 그 안는 자세가 바른지 바르지 못한지를 감지하는 것으로, 영아를 안을 때는 목과 엉덩이를 꼭 받쳐주어야 하므로, 영아인형(100)을 안을 때에 목과 엉덩이를 받쳐주지 않으면 이를 감지하여 반응모듈(300) 또는 케어모듈(500)에서 영아의 울음소리 또는 빛이나 진동이 울린다.
상기 습도센서(S-6,S-7,S-8)는, 영아인형(100)을 통한 영아의 배꼽과 국부 및 발바닥에 필요 이상의 습도를 유지하거나 지저귀를 찬 국부 부분에 대소변으로 인하여 습도가 필요 이상으로 많거나, 목욕을 할 때에 발이 제어부에 입력된 기준 값 이상으로 물에 잠기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반응모듈(300) 또는 케어모듈(500)에서 영아의 울음소리 또는 빛이나 진동이 울린다.
상기 타이머센서(S-9)는, 영아인형(100)을 통한 영아가 정해진 시간에 급유하지 않으면 이를 감지하여 반응모듈(300) 또는 케어모듈(500)에서 영아의 울음소리 또는 빛이나 진동이 울린다.
상기에서 설명한 각 센서((S-1 내지 S-9)에서 감지하여 반응모듈(300) 또는 케어모듈(500)에서 영아의 울음소리 또는 빛이나 진동이 울리게 되면 상기 제어부(400)에 입력된 기준 값과 상이한 것으로 기준 값에 준하도록 교정하면 되고, 상기 각 센서((S-1 내지 S-9)에서 감지되지 않고 그에 따라 반응모듈(300) 또는 케어모듈(500)에서 영아의 울음소리 또는 빛이나 진동이 울리지 않으면 영아인형(100)을 통한 실습이 바른 자세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영아인형(100)을 통하여 반복적으로 육아 실습을 하게 되면 보호자는 실습방법과 같이 육아 방법이 습득 및 인지되게 되고 그 습득 및 인지로 인하여 육아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상기 각 센서((S-1 내지 S-9)를 통한 육아방법 실습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이고, 그 외에도 영아인형(100)의 다양한 부분에 영아를 육아에 필요한 센서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부(400)에는 상기 감지수단(200)에서 감지된 신호를 받아 상기 반응모듈(300)을 작동시키는 영아케어 기준 값이 저장되고, 그 외에도 아래에서 설명되는 육아할 때 필요한 영아보살핌 행위인 영아 달래기, 분유 병 소독하기, 분유 타기, 분유 및 모유 먹이기, 트림시키기, 영아 안는 방법, 기저귀 갈기, 옷 갈아입히기, 속싸개 싸기, 간접 환기시키기, 아기 목욕시키기, 아기 탯줄 소독하기, 등이 영상과 그에 따른 설명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영아보살핌 외에도, 구토시 대처방법, 목욕 전 준비, 수유 전 목욕, 목욕순서, 영아 수면돕기, 영아 체온관리, 영아키울때 보호자의 정서, 안정적인 정서를 위한 보호자의 역할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영아보살핌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케어모듈(500)을 통하여 음성 및 영상으로 영상통신기기를 통하여 알려주고 보호자는 그를 통하여 실습하고 습득 및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영상통신기기라 함은,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 컴퓨터, 핸드폰, 테블릿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영상통신기기는 영아를 육아하는 보호자의 가정에 설치하거나 또는 복수의 보호자가 모여 실습하는 실습장에 설치하거나 또는 영아를 육아하는 보호자의 가정과 복수의 보호자가 모여 실습하는 실습장 모두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2곳에 모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관리자와 보호자 간의 상호 소통을 위해서이다.
한편, 상기 반응모듈(300)의 소리는, 아기 울음소리이고, 빛은 발광다이오드이며, 진동은 적어도 1회 이상 울리도록 하는 진동자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보호자가 영아의 육아 바른 자세 여부를 즉시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관리자서버(600)은, 보호자와 케어모듈(500) 간의 거리가 먼 경우에 통신수단인 GPS나 인터넷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되고, 보호자와 케어모듈(500) 간의 거리가 가까울 경우에는 블루투스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케어모듈(500)은 관리자서버와 연결 설치되어 관리자와 보호자 간의 상호 통신이 언제든지 가능하도록 하였고, 상기 보호자는 관리자서버(600)에 회원 등록하여 등록비 또는 회비를 결제하고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감지수단(200), 반응모듈(300), 제어부(400)가 설치된 영아인형(100)은, 실습대상자인 보호자가 관리자로부터 일정 금액을 결제하고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입대 또는 렌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관리자서버 사용료는 별도로 결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영아 육아 시스템은, 상기 효과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호자가 아기를 출산 후 육아해야 하는 다양한 방법을 영아인형을 통하여 몸으로 직접 실습하며 습득 및 인지하여 출산 후 심리적, 육체적 어려움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젊은 세대에게 육아의 현실감을 높여줌으로써 성관계의 책임의식을 증가시키고, 아기를 육아함에 있어 경제적인 부분을 인식하도록 도와 부모로서의 책임감을 상승시키며, 높은 출산비용에 대한 사회적 문제의 인식을 도와 꼭 필요한 필수 요소를 구매할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효율적인 출산비용 도출 인식 필요성을 증가시키며, 아빠 육아 참여를 유도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고, 부모의 육아기술 향상으로 아동 학대 감소와 아울러 산후 우울증 감소하고, 즐거운 육아 인식 전환을 통한 저출산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100 : 영아인형 200 : 감지수단
300 : 반응모듈 400 : 제어부
500 : 케어모듈 600 : 관리자서버
S-1 : 얼굴인식센서 S-2 : 흔들림감지센서
S-3 : 기울기센서 S-4,S-5 : 압력센서
S-6,S-7,S-8 : 습도센서 S-9 : 타이머센서

Claims (7)

  1. 보호자가 영아 육아방법을 실습하며 몸으로 습득 및 인지할 수 있도록 영아의 몸 구조와 준하는 형태의 구조를 갖으며, 무게는 신생아의 체중과 준하는 무게를 갖도록 형성된 영아인형(100);
    상기 영아인형의 눈에 얼굴인식센서(S-1)가 설치되고, 영아인형의 귀에 흔들림감지센서(S-2)가 설치되며, 영아인형을 몸에 기울기센서(S-3)가 설치되고, 영아인형의 목과 엉덩이에 각각의 압력센서(S-4,S-5)가 설치되며, 영아인형의 배꼽과 국부 및 발바닥에 각각의 습도센서(S-6,S-7,S-8)가 설치되고, 영아인형의 입에 타이머센서(S-9)가 설치되어 영아의 안기, 움직임, 생리현상 등을 포함하는 영아케어의 오류를 감지하도록 하는 감지수단(200);
    상기 영아인형에 설치되어 상기 각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신호를 받아 소리 또는 빛이나 진동으로 표출시키는 반응모듈(300);
    상기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신호를 받아 상기 반응모듈을 작동시키는 영아케어 기준 값이 저장된 제어부(400);
    상기 감지수단에서 오류가 감지되었을 때 관리자서버(600)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의 기준 값을 보호자에게 알려주어 보호자가 기준 값으로 교정하도록 하는 케어모듈(500);
    상기 얼굴인식센서(S-1)를 통한 영아인형(10)의 눈과 보호자의 눈이 바르게 마주치면 상기 반응모듈(300) 또는 케어모듈(500)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모듈 모두에서 옹알이가 표출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 육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아인형(100)은, 영아의 체내 장기와 머리의 뇌를 제외한 외관상으로 나타나는 신체구조와 준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 육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아인형(100)은, 영아의 체온과 준하는 온도를 유지하도록 히팅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 육아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아케어는, 영아 달래기, 분유 병 소독하기, 분유 타기, 분유 및 모유 먹이기, 트림시키기, 영아 안는 방법, 기저귀 갈기, 옷 갈아입히기, 속싸개 싸기, 간접 환기시키기, 아기 목욕시키기, 아기 탯줄 소독하기 등을 케어모듈(500)을 통하여 음성 및 영상으로 영상통신기기를 통하여 알려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 육아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통신기기는,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 컴퓨터, 핸드폰, 테블릿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 육아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모듈(300)의 소리는, 아기 울음소리이고, 빛은 발광다이오드이며, 진동은 적어도 1회 이상 울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 육아 시스템.
KR1020200138608A 2020-10-23 2020-10-23 영아 육아 시스템 KR102417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608A KR102417553B1 (ko) 2020-10-23 2020-10-23 영아 육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608A KR102417553B1 (ko) 2020-10-23 2020-10-23 영아 육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099A KR20220054099A (ko) 2022-05-02
KR102417553B1 true KR102417553B1 (ko) 2022-07-07

Family

ID=81593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608A KR102417553B1 (ko) 2020-10-23 2020-10-23 영아 육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5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33267A (zh) * 2023-05-30 2023-08-04 北京心云天地科技有限公司 一种回应性照料智能仿真婴儿机器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7562A (ja) 2002-08-09 2004-03-11 Seiko Suzuki 体験学習用保健教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4980B1 (en) * 1998-12-04 2003-08-12 Realityworks, Inc. Infant simulator
KR20110098126A (ko) 2010-02-26 2011-09-01 박재우 임신, 출산, 육아관련 맞춤형 콘텐츠제공 온라인서비스방법
US8795025B1 (en) * 2012-05-04 2014-08-05 Angie Hunt Infant mannequin
JP3180164U (ja) * 2012-09-24 2012-12-06 啓生 隅田 乳幼児を写実的に模した回想支援人形
KR101626547B1 (ko) 2014-08-28 2016-06-02 주식회사 엄마와 이동통신 단말기에 육아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2132952B1 (ko) * 2017-05-23 2020-07-10 이영선 네트워크를 통한 유아 보육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7562A (ja) 2002-08-09 2004-03-11 Seiko Suzuki 体験学習用保健教材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80164 UR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28148호(2018.12.3. 공개) 1부.*
미국 특허공보 US8795025(2014.8.5.) 1부.*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13/0224711호(2013.8.29.)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099A (ko) 202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rld Health Organization Care for child development: improving the care of young children
Magagna Three years of infant observation with Mrs. Bick
KR102417553B1 (ko) 영아 육아 시스템
Adamson et al. The development of social reciprocity between a sighted infant and her blind parents: a case study
Tedder Give them the HUG: An innovative approach to helping parents understand the language of their newborn
Vaivre‐Douret et al. Development of a global motor rating scale for young children (0–4 years) including eye–hand grip coordination
Magagna Three years of observation with Mrs Bick
Horowitz et al. Helping Hyperactive Kids? A Sensory Integration Approach: Techniques and Tips for Parents and Professionals
Dunn A sensory processing approach to supporting infant-caregiver relationships
Palmer Bonding matters: the chemistry of attachment
Lovell et al. Theoretical context for a wakeful prone and vestibular infant movement program to support early infancy motor development
Romer Parent-infant holding patterns and their impact on infant perceptual and interactional experience
Meadows-Oliver Pediatric practice guidelines
Turgeon et al. The Happy Sleeper: The Science-Backed Guide to Helping Your Baby Get a Good Night's Sleep-Newborn to School Age
Schutt Transitional Caregiver Support from NICU to Early Intervention Services.
Asquith The dummy debate
Hanzak Bonding with your baby
Reinhart et al. Health Maintenance Visits in the First Month of Life
Calhoun et al. Promoting Positive Parent-Child Interactions
Windell More than a game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Your baby's first year
Kramer et al. One-Year Visit
Knowles Epigenetic programming by maternal behavior, Nature Neuroscience volume 7, pages 847–854 (2004) Meaney et al
Chuong-Kim Cry it out: The potential dangers of leaving your baby to cry
Kimball Family Transitions: The Birth of a Two-Child Fami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