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7224B1 -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상수도 정보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상수도 정보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7224B1
KR102417224B1 KR1020210101497A KR20210101497A KR102417224B1 KR 102417224 B1 KR102417224 B1 KR 102417224B1 KR 1020210101497 A KR1020210101497 A KR 1020210101497A KR 20210101497 A KR20210101497 A KR 20210101497A KR 102417224 B1 KR102417224 B1 KR 102417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sensor
information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용
구종회
구본결
Original Assignee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1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2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35Utilities, e.g. electricity, gas or water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관을 포함하는 상수도 관로 내부를 흐르는 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양단측에 각각 구비된 배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수도 관로의 일측에 연결되는 수도관 연결부; 상기 수도관 연결부의 유입구 측으로 유입된 물에 대한 수질 및 유량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를 통하여 측정된 측정값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신부; 상기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들을 수신하여 수질분석을 행하고, 수질센서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부; 상기 측정부를 통하여 측정된 측정값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상기 수도관 연결부, 상기 측정부, 상기 통신부, 상기 제어부, 상기 전원공급부 및 상기 표시부가 각각 내장되어 외관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하우징; 상기 수도관 연결부를 통해 상기 측정부에 공급되는 물을 차단하고, 상기 측정부에 오염수를 공급하면서 상기 측정부의 고장여부를 감지하는 시험부; 상기 시험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측정부의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측정부의 교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측정부를 인출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개방되면 상기 측정부를 상기 수도관 연결부로부터 분리시키는 도어부재; 상기 도어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착탈부; 및 상기 측정부를 상기 도어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상수도 정보제공 방법 {IoT sensor for floating matter detection of water supply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water supply information using it}
본 발명은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상수도 정보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수도 관로에 부착식으로 설치되어 수도관 내에 흐르는 수돗물의 수질을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고,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 IoT) 기능을 이용하여 측정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고 데이터 분석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상수도의 수질을 측정하는 센서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센서의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에 센서의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상수도 정보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구증가와 산업발전이 가속화됨에 따라 대기 및 수질 환경이 급속도로 열악해지고 있는 실정에서 이러한 환경에 대한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수질오염은 식수 사용과 관련하여 인체의 건강을 크게 위협하고 있기 때문에, 약수터, 우물, 지하수 등과 같은 먹는물 공동시설에 대해 더욱 철저한 관리가 요구된다.
이에 더하여, 최근 수돗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부각되면서 수돗물에 대한 불안감이 증가되었고, 수돗물에 대한 이상현상이 발생되지 않은 지역에서도 막연한 불안감 때문에 수돗물을 식수로 사용하지 않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수돗물을 소비자에게 연결시켜주는 배급수관의 내부 부식에 의한 녹물출수로 인한 수돗물 수질의 저하는 소비자들의 수돗물 불신 원인 중 가장 커다란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수돗물의 수질을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고, 그러한 기술 중의 하나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469890호에 상수도관의 부식방지를 위한 통합 부식관리시스템이 개시되었다.
상기한 기술은 침전지에서 고형 불순물질을 응집 침전시킨 물을 여과하는 여과지와, 여과지에서 정수지로 이송하는 물의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어, 여과지를 통과한 물에 탄산가스를 주입하는 탄산가스 주입유닛과, 탄산가스가 주입된 물에 액상소석회를 주입하기 위한 액상소석회 주입유닛, 액상소석회 주입유닛에 의해 주입된 액상소석회를 물에 용해시키는 용해조, 용해조를 통과한 물을 수용하는 희석안정화조, 탄산가스가 주입되기 전의 물의 pH를 측정하는 제1pH센서, 희석안정화조 내에 수용된 물의 pH를 측정하는 제2pH센서, 희석안정화조에서 정수지로 공급된 물을 정수지와 수돗물 사용처를 연결하는 상수도배관설비를 통해 공급되는 수돗물의 pH를 측정하는 사용처 pH감지부 및 사용처 pH감지부에서 감지된 결과를 근거로 탄산가스 주입유닛과 액상소석회 주입유닛 각각을 제어하여 탄산가스 및 액상소석회 주입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은 탄산가스, 액상소석회 등을 주입해야 하고, 사용처에서 수돗물의 pH를 측정해야 하는 것으로서, 음용수 사용에 따른 부담이 발생하고, 액상소석회 사용시 pH와 탁도가 급격히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9934호에 휴대용 수질 검사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시되었다.
상기한 기술은 검사대상 물에 포함된 시료와 반응하여 발색반응이 일어나는 수질검사 스트립; 및 상기 수질검사 스트립이 장착되면, 발색반응을 토대로 검사대상 물에 대한 수질 정보를 생성하는 스트립 분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한 기술은 검사 대상물에 대해 필요한 장소마다 수질검사 스트립을 장착해야 하며, 수돗물이 이송되는 배관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돗물 실시간 스마트 관리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관리 시스템은, 취수관로, 도수관로, 송수관로 및 급수관로 각각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물에 대한 수질 상태를 센싱하는 센서장치와, 센서장치로부터 검출된 센싱값을 수신하여 중계하는 중계장치와, 중계장치로부터 전송된 센싱값을 수집하여 저장 관리하는 수집장치와, 수집장치에 저장된 센싱값에 근거하여 수돗물을 분석하고 수질을 예측하는 분석장치와, 분석장치에서 분석된 결과값 및 예측된 위험요소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85122호(2020년 03월 04일 공고, 발명의 명칭 :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을 이용한 수돗물 실시간 스마트 관리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관리 시스템은, 센서장치의 고장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별도의 기술구성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센서장치에 고장이 발생되어 수돗물의 수질이 오염되어도 센서장치의 오작동에 의해 수질이 오염된 상태를 확인하지 못할 수 있고, 수질이 오염된 상태의 수돗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사용자의 건강을 훼손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수도 관로에 부착식으로 설치되어 수도관 내에 흐르는 수돗물의 수질을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고,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 IoT) 기능을 이용하여 측정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고 데이터 분석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상수도의 수질을 측정하는 센서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센서의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에 센서의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상수도 정보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도관을 포함하는 상수도 관로 내부를 흐르는 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양단측에 각각 구비된 배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수도 관로의 일측에 연결되는 수도관 연결부; 상기 수도관 연결부의 유입구 측으로 유입된 물에 대한 수질 및 유량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를 통하여 측정된 측정값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신부; 상기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들을 수신하여 수질분석을 행하고, 상기 수질센서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부; 상기 측정부를 통하여 측정된 측정값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상기 수도관 연결부, 상기 측정부, 상기 통신부, 상기 제어부, 상기 전원공급부 및 상기 표시부가 각각 내장되어 외관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하우징; 상기 수도관 연결부를 통해 상기 측정부에 공급되는 물을 차단하고, 상기 측정부에 오염수를 공급하면서 상기 측정부의 고장여부를 감지하는 시험부; 상기 시험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측정부의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측정부의 교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측정부를 인출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개방되면 상기 측정부를 상기 수도관 연결부로부터 분리시키는 도어부재; 상기 도어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착탈부; 및 상기 측정부를 상기 도어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통신부는, 협대역 사물인터넷(Narrow Band Internet of Things ; NB-IoT) 기능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외부 기기 및 다른 수질센서들과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도어부재에는 상기 측정부를 이루는 복수 개의 센서가 상기 제2착탈부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질 및 물사용에 관련된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단계;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로그인을 행하고 원하는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요청단계;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특정 정보나 서비스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서버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고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제공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된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정보표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구축단계는, 상기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는 한 항에 기재된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를 이용하여 수질 및 물사용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각각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것에 의해 수돗물에 관련된 빅데이터를 구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수질정보 및 물사용량, 사용패턴, 수도요금을 포함하는 물사용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에 공급되는 물을 차단하고, 상기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에 오염수를 제공하여 상기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수도관과 상기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를 연결하는 수도관 연결부를 통해 상기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의 측정부에 공급되는 물을 차단하고, 상기 측정부에 오염수를 공급하면서 상기 측정부의 고장여부를 감지하는 시험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상수도 정보제공 방법은, 일반 가정의 상수도 관로나 수도꼭지에도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여 수돗물의 잔류염소, 전기전도도, 수온 등의 수질정보를 측정하고 측정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협대역 사물인터넷(NB-IoT)과 같은 정보통신 기술과 연계하여, 측정된 수질정보를 통해 수돗물 공급관로의 수질을 모니터링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상수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새로운 구성의 사물인터넷(NB-IoT) 기반의 상수도 관로 부착형 수질센서가 제공됨으로써, 수질측정을 위한 장치의 크기, 구조, 설치비용, 설치방법 및 절차 등의 제반 여건에 제약이 많음으로 인해 상수도 공급과정 중 일부 중간기점들에만 설치되어 수질측정 및 분석이 수행되고, 최종 사용자(End-user)인 가정에 대하여는 수질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상수도 정보제공 방법은, 사물인터넷(NB-IoT) 기반의 상수도 관로 부착형 수질센서 를 이용하여, 수질센서에 의해 측정된 수질정보를 수집하여 수질 및 물사용에 관한 빅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고, 빅데이터에 딥러닝과 같은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수질 및 물사용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각종 상수도 정보를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수도정보 제공시스템이 제공됨으로써, 수도사업자에 있어서는 수질 취약지점에 대한 수돗물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일반 소비자에 대하여는 수돗물, 정수기 유출수, 마을 상수도 등에 대한 수질정보를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며, 상수도 2차오염의 사전예방 및 수돗물의 음용률 향상에 기여하고, 미생물 재성장, 수인성 전염병, 출수불량 등의 민원 발생을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상수도 정보제공 방법은, 측정부를 이루는 염소농도 측정센서, 전기전도도 측정센서, 온도센서, 수압센서 및 유량센서를 고장여부를 점검하는 시험부가 구비되므로 설정 기간이 경과되면 상수도로부터 분기되는 분기관을 차단하고, 측정부에 부유물이 포함되는 물을 공급하면서 측정부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측정부의 고장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측정부의 고장으로 결정되면 표시부에 고장 신호를 출력하여 작업자가 측정부를 이루는 염소농도 측정센서, 전기전도도 측정센서, 온도센서, 수압센서 및 유량센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센서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IoT센서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가 구비되는 시스템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의 제1착탈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의 제2착탈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가 구비되는 시스템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를 이용하는 상수도 정보제공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상수도 정보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가 구비되는 시스템이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의 제1착탈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의 제2착탈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가 구비되는 시스템이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를 이용하는 상수도 정보제공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는, 가정의 수도꼭지에 연결되는 수도관과 같은 상수도 관로 내부를 흐르는 수돗물이 내부로 유입되어 수질측정이 이루어진 후 다시 수도관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유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구비된 배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수도 관로의 일측에 연결되는 수도관 연결부(11)와, 수도관 연결부(11)의 유입구 측으로 유입된 수돗물에 대한 수질 및 유량 등의 각종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측정부(12)와, 측정부(12)를 통하여 측정된 측정값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인터넷이나 무선통신 등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신부(13) 및 측정부(12)를 통해 측정된 값들을 수신하여 수질분석을 행하고, 상기한 각 부 및 수질센서(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4)를 포함한다.
상기한 수질센서(10)는,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부(15)와, 측정부(12)를 통하여 측정된 측정값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6) 및 상기한 수도관 연결부(11), 측정부(12), 통신부(13), 제어부(14), 전원공급부(15) 및 표시부(16)가 각각 내장되어 외관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하우징(17)을 더 포함하여,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단일의 케이스 내에 내장되는 일체형의 장치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수도관 연결부(11)는, 수도관 내부를 흐르는 수돗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수돗물에 대하여 측정부(12)에 구비된 각종 센서들을 통해 측정이 이루어진 후 다시 수도관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양단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수도 관로의 일측에 연결되는 배관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측정부(12)는, 예를 들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수도관 연결부(11)를 통하여 흐르는 수돗물의 잔류염소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염소농도 측정센서(122)와, 전기전도도를 측정하기 위한 전기전도도 측정센서(124)와, 수온을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126)와, 수압을 측정하기 위한 수압센서(127)와,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센서(128)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수돗물의 수질과 함께 물 사용에 대한 각종 정보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센서는 배관 형태로 형성되는 수도관 연결부(11) 내에 흐르는 수돗물에 접촉하도록 수도관 연결부(11)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해당 항목에 대한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측정부(12)에 구비되는 센서의 종류는 반드시 상기한 경우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즉, 측정부(12)에 구비되는 측정센서의 종류는 수질검사 항목 등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임에 유념해야 한다.
본 실시예의 염소농도 측정센서(122)는, 수도관 내부를 흐르는 수돗물의 염소농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농도값을 제어부(14)에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센서의 종류에 따라 내측에 온도측정 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전극 팁만 교체가 가능한 구조의 갈바닉 방식 센서로 구성되어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기전도도 측정센서(124)는, 수도관 연결부(11) 내부를 흐르는 수돗물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전기전도도값을 제어부(14)에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수도관 연결부(11) 내부에 한 쌍의 전극이 삽입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기전도도값을 수돗물 관리기관 등에 전송하여 전기전도도에 영향을 주는 철분 등의 미네랄 함량 수치에 따른 배수관 노후 분석 등의 수질해석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수압센서(127)는, 수도관 연결부(11)의 외벽에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수도관 연결부(11) 내벽에 전달되는 수압을 측정하여 측정된 압력값을 제어부(14)에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14)는 이러한 압력값을 이용하여 잔류염소 농도값의 추정시기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128)는, 수도관 연결부(11) 내부를 흐르는 수돗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온도값을 제어부(14)에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수도관 연결부(11) 내부에 삽입 설치되거나 염소농도 측정센서(122)와 일체로 구비도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14)는 이러한 온도값을 이용하여 잔류염소 농도값의 추정시기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유량센서(128)는, 수도관 연결부(11) 내부를 흐르는 수돗물의 유량을 측정하여 측정된 유량값을 제어부(14)에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14)는 이러한 유량 정보를 분석하는 것에 의해 수돗물 사용에 관한 정보를 도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들 들면, 특정 유량이 일정 시간 동안 지속되거나, 또는, 특정 시간에 일정 유량이 검출되는 것과 같이, 일반적으로, 수돗물 사용시 사용량과 사용장소 및 시간 등에 어떠한 패턴이 존재하게 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유량에 대한 사용 용도 및 장소를 연관시켜 유량에 따른 물사용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작성하여 두고, 측정된 유량에 따라 부엌에서 설거지 중인지 또는 화장실에서 샤워중인지 등과 같은 물사용 용도 및 장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동일한 유량에 대하여도 시간대에 따라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유량정보와 함께 시간대에 따른 정보를 조합하는 것에 의해 보다 상세하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통신부(13)는, 예를 들면, 협대역 사물인터넷(Narrow Band Internet of Things ; NB-IoT)과 같이, 최근 각종 기기간의 새로운 통신방식으로 대두되고 있는 사물인터넷(IoT) 기능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외부 기기들과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협대역 사물인터넷(NB-IoT)이란, 이동통신망을 통해 저전력 광역(Low Power Wide Area ; LPWA)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방식으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망을 통해 비교적 좁은 대역을 사용하여 수백 kbps 이하의 데이터 전송속도와 10km 이상의 광역 서비스를 지원하므로, 수도검침이나 위치추적용 기기 등과 같이 원거리에 있고 전력소비가 낮은 사물간의 통신에 적합한 통신방식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통신부(13)가 협대역 사물인터넷(NB-IoT)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경우를 예로 하여 본 발명을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경우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상기한 통신부(13)가, 예를 들면,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지웨이브(Z-Wave) 등과 같은 저전력 단거리 무선망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제어부(14)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측정부(12), 통신부(13), 전원공급부(15) 및 표시부(16)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고 수질센서(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PCB 제어기판이나 칩셋 등의 형태로 하우징(17)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제어부(14)는, 측정부(12)의 각 센서를 통해 측정된 값들을 수신하여 수질분석을 수행하고, 측정값 및 분석결과를 표시부(16)를 통하여 표시하는 동시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각종 정보를 메모리와 같은 별도의 저장수단에 저장하거나, 통신부(13)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메모리, 통신부(13), 제어부(14), 전원공급부(15) 및 표시부(16)는, 필요에 따라 단일의 PCB 기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우징(17)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염소농도 측정센서 및 수압센서로부터 측정된 잔류염소 농도값과 수압을 비교하여 수도관 내 잔류염소 농도값을 추정하는 것과 같이, 수돗물의 수질을 측정하기 위한 각종 측정센서들의 구체적인 구성이나, 각각의 센서들을 통해 측정된 측정값들을 이용하여 수질분석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내용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종래기술의 문헌 등을 참조하여 자명한 사항이므로 구체적이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제어부(14)는, 예를 들면, 염소농도, 전기전도도, 수압, 수온, 유량 등과 같이, 측정부(12)의 각 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을 표시부(16)에 표시하는 동시에, 예를 들면, 현재 공급되고 있는 수돗물의 잔류염소 농도나, 미리 정해진 기준에 근거한 수질등급, 유량정보에 근거한 특정 기간 동안의 수돗물 사용량, 물사용 장소 및 용도에 대한 정보 및 현재까지의 사용량에 따른 수도요금 예측값 등과 같이, 측정부(12)의 각 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에 근거하여 산출된 각종 분석결과를 표시부(16) 함께 표시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전원공급부(15)는, 외부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연결수단이 하우징(17)의 일측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 등을 하우징(17)의 내부에 구비하여 외부전원을 별도로 연결하지 않고도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설치환경에 대한 제약을 받지 않고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한 배터리는, 예를 들면,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수질센서(10)의 동작에 충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상기한 표시부(16)는, 측정부(12)를 통하여 측정된 측정값 및 제어부(14)에 의해 수행된 분석결과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상기한 각종 정보를 청각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스피커 등을 필요에 따라 더 포함하여, 하우징(17)의 일측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상수도 관로 부착형 수질센서(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도관 연결부(11), 측정부(12), 통신부(13), 제어부(14), 전원공급부(15) 및 표시부(16)가 단일의 하우징(16)에 내장되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수도관의 일측에 유입구와 배출구를 연결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데 더하여, 전체적인 구성이 간단하여 소형화가 가능하므로, 일반 가정의 수도꼭지 등과 같이 비교적 좁은 공간에도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여 설치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설치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상수도 관로 부착형 수질센서(10)는,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가정에 공급되는 수돗물의 잔류염소 농도 등과 같은 수질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먹는 물에 대한 걱정을 해소할 수 있는 데 더하여, 해당 지역을 관리하는 수돗물 관리기관에 측정 결과를 전송함으로써, 관리기관에서 각 가정의 측정결과를 분석하여 염소투입 지점, 투입시기, 투입량 등을 보다 정밀하게 조정하여 수질관리의 정확성 및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상수도 관로 부착형 수질센서(10)는, 수도관 연결부(11)를 통하여 수돗물이 유입되면 측정부(12)를 통해 유입된 수돗물의 수질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가 측정되고, 측정된 정보가 표시부(16)를 통해 표시되는 동시에 통신부(13)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되거나, 또는, 측정된 정보에 근거하여 수질 및 수돗물 정보에 대한 각종 분석작업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10)는 일체형으로 소형화가 가능하여 일반 가정에도 간단한 구성 및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설치 가능한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이때, 수질센서(10)를 수도관에 연결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하우징(17)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유입구 및 배출구에 맞추어 수도관에 분기관을 각각 설치하고, 이러한 분기관에 수도관 연결부(11)의 유입구 및 배출구를 각각 결합하는 것에 의해 수도관에 수질센서(10)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10)가 일반 가정의 수도꼭지에 연결된 수도관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경우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상기한 일반 가정의 수도관 이외에 예를 들면 소화전이나 맨홀 등과 같이 비교적 큰 유량의 상수도 관로상에 설치되어 상수도 수질분석을 수행하고 각종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음수대 등에 설치되어 수질분석을 행하고 각종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수도관이 소화전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가정의 수도꼭지와 같이 임의로 단부를 열어 물을 흐르게 할 수 없으므로, 이 경우, 유입구는 상수도관에, 배출구는 하수도관에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상수도관으로부터 하수도관으로 물을 흐르게 하여 수질측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수도관은, 경우에 따라 상수도관만이 아니라 하수도관까지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수도관 연결부(11)에 별도의 밸브를 구비하여 제어부(14)의 제어에 의해 측정시에만 물이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상수도 관로 부착형 수질센서(10)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상수도정보 제공시스템을 간단한 구성 및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정보 제공시스템(30)은, 크게 나누어, 각각의 사용자가 상수도정보 제공시스템(30)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처리가 수행되는 사용자단말기(31)와, 상수도 관로에 흐르는 수돗물의 수질 및 물사용에 관한 각종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수도정보 수집부(32)와, 상수도정보 수집부(32)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하여 수둣물 정보에 관한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데이터베이스부(33)와, 데이터베이스부(33)에 저장된 빅데이터에 근거하여 사용자단말기(31)를 통해 요청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사용자단말기(31)는, 예를 들면,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PC)에 전용의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또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이, 통신이 가능한 개인 휴대용 정보처리 단말기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간단한 구성 및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상수도정보 수집부(32)의 각각의 센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상수도 관로 부착형 수질센서(10)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데이터베이스부(33)는 서버(34)에 포함되어 서버(34)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서버(3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사용자단말기(31)를 통해 각각의 사용자로부터 특정 정보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데이터베이스부(33)에 저장된 빅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정보를 적절히 재구성하여 해당 사용자단말기(31)에 다시 송신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정보 제공시스템(30)의 처리과정은, 크게 나누어, 수돗물의 수질 및 물사용에 관련된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단계(S41)와,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31)를 통하여 로그인을 행하는 로그인 단계(S42)와,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31)를 통하여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요청 및 제공단계(S43) 및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31)를 통하여 요청한 정보를 제공받는 정보표시단계(S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한 데이터베이스 구축단계(S41)에서, 서버(34)는, 상수도정보 수집부(32)의 각각의 수질센서(10)를 통하여 수질 및 수돗물 사용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각각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데이터베이스부(33)에 저장하는 것에 의해 수돗물에 관련된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로그인 단계(S42)는,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31)를 통하여 로그인을 행하면, 서버(34)는 해당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행하여 로그인 처리를 수행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정보요청 및 제공단계(S43)는, 사용자 단말기(31)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특정 정보나 서비스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서버(34)는 데이터베이스부(33)에 접속하여 해당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여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31)로 전송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정보표시단계(S44)는, 사용자 단말기(31)에서 서버(34)로부터 전송된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수돗물의 수질 및 물사용에 관한 정보를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정보 제공시스템(30)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예를 들면, 염소농도 측정센서(122)를 통해 측정된 수돗물의 염소농도와, 전기전도도 측정센서(124)를 통해 측정된 수돗물의 전기전도도와, 수압센서(127)를 통해 측정된 수돗물의 수압과, 온도센서(126)를 통해 측정된 수돗물의 수온 및 이들 측정값을 이용하여 산출된 잔류염소 농도값 등을 포함하는 수질정보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유량센서(128)를 이용하여 측정된 유량값 및 이러한 유량정보에 대한 분석결과로 도출된 수돗물 사용 용도 및 장소 등에 관한 수돗물 사용정보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특정 기간에 대한 수질측정 결과의 변화에 대한 분석이나, 특정 기간 동안의 수돗물 사용량과 같은 사용자의 수돗물 사용패턴에 대한 분석결과 및 사용량에 따른 수도요금 등과 같은 부가적인 정보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정보 제공시스템(30)을 이용하면, 일반 가정에서는 수질센서(10)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의 수질을 모니터링 가능한 동시에 자신의 물사용 패턴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먹는 물에 대한 불신을 해소하고 물절약에 기여할 수 있으며, 수돗물 관리기관에서는 각 가정의 수질 측정 및 물사용 패턴 분석결과를 수집하고 분석함으로써 해당 지역에 대한 수질관리 및 정책수립 등을 위한 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상수도 관로 부착형 수질센서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정보 제공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상수도 관로 부착형 수질센서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정보 제공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 가정의 상수도 관로나 수도꼭지에도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여 수돗물의 잔류염소, 전기전도도, 수온 등의 수질정보를 측정하고 측정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예들 들면, 협대역 사물인터넷(NB-IoT)과 같은 정보통신 기술과 연계하여, 측정된 수질정보를 통해 수돗물 공급관로의 수질을 모니터링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상수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새로운 구성의 사물인터넷(NB-IoT) 기반의 상수도 관로 부착형 수질센서가 제공됨으로써, 수질측정을 위한 장치의 크기, 구조, 설치비용, 설치방법 및 절차 등의 제반 여건에 제약이 많음으로 인해 상수도 공급과정 중 일부 중간기점들에만 설치되어 수질측정 및 분석이 수행되고, 일반 가정에는 설치가 어려워 최종 사용자(End-user)인 수용가(가정)에 대하여는 수질 모니터링 서비스가 제공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수질센서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사물인터넷(NB-IoT) 기반의 상수도 관로 부착형 수질센서를 이용하여, 수질센서에 의해 측정된 수질정보를 수집하여 수질 및 물사용에 관한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러한 빅데이터에 딥러닝과 같은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수질 및 물사용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각종 상수도 정보를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수도정보 제공시스템이 제공됨으로써, 수도사업자에 있어서는 수질 취약지점에 대한 수돗물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일반 소비자에 대하여는 수돗물, 정수기 유출수, 마을 상수도 등에 대한 수질정보를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며, 그것에 의해, 상수도 2차오염의 사전예방 및 수돗물의 음용률 향상에 기여하고, 미생물 재성장, 수인성 전염병, 출수불량 등의 민원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상수도정보 제공시스템(30)은, 수도관 연결부(11)를 통해 측정부(12)에 공급되는 물을 차단하고, 측정부(12)에 오염수를 공급하면서 측정부(12)의 고장여부를 감지하는 시험부(70)와, 시험부(70)의 작동에 의해 측정부(12)의 고장이 감지되면 표시부(16)를 통해 측정부(12)의 교체신호를 출력하고, 하우징(17)으로부터 측정부(12)를 인출하도록 하우징(17)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우징(17)으로부터 개방되면 측정부(12)를 수도관 연결부(11)로부터 분리시키는 도어부재(172)와, 도어부재(172)를 하우징(17)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착탈부(50)와, 측정부(12)를 도어부재(172)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착탈부(8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수도정보 제공시스템(30)이 구동된 후에 설정 기간이 경과되면 제어부(14)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수도관에서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로 공급되던 수돗물이 차단되고, 시험부(70)로부터 공급되는 오염수가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에 공급되어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를 이루는 센서들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수도관 연결부(11)는, 수도관에서 분기되어 하우징(17) 내부로 연장되고, 측정부(12)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제1분기관(112)과, 측정부(12)를 통과한 수돗물을 다시 수도관에 순환시키도록 측정부(12)와 수도관을 연결하는 제2분기관(116)과, 제1분기관(112)에 설치되는 제1밸브(114)와, 제2분기관(116)에 설치되는 제2밸브(118)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부(14)에서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제1밸브(114) 및 제2밸브(118)가 개방되면 수도관을 따라 공급되는 수돗물이 제1분기관(112)을 따라 측정부(12)에 공급되어 수돗물의 수질 및 상태를 측정하게 된다.
또한, 상수도정보 제공시스템(30)의 구동이 개시된 후에 설정 기간이 경과되면 제어부(14)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제1밸브(114) 및 제2밸브(118)가 차단되어 측정부(12)에 수돗물의 공급이 차단되고, 시험부(70)에서 공급하는 오염수가 측정부(12)에 제공되어 측정부(12)를 이루는 복수 개의 센서들의 고장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시험부(70)는, 측정부(12)의 입구 측으로부터 분기되어 측정부(12)의 출구 측에 연결되는 순환관(72)과, 순환관(72)에 설치되고 오염수가 저장되는 저장탱크(74)와, 순환관(72)에 설치되고 저장탱크(74)에 담수되는 오염수를 측정부(12)에 공급하는 펌프(76)와, 저장탱크(74)에 담수되는 오염수의 수위가 설정치 이하로 낮아지면 저장탱크(74)에 오염수를 공급하는 조절부(77)를 포함한다.
따라서 측정부(12) 입구 측에 설치되는 제3밸브(72a)와, 측정부(12) 출구 측에 설치되는 제4밸브(72b)가 개방되고, 펌프(76)가 구동되면 저장탱크(74)에 담수되었던 오염수가 순환관(72)을 따라 측정부(12)에 공급되고, 오염수가 공급되는 동안에 측정부(12)에서 측정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의 변화가 감지되지 않으면 측정부(12)의 고장으로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측정부(12)에 공급되는 오염수의 염소농도를 높여서 공급하는 동안에 염소농도 측정센서에서 송시되는 염소농도가 상승되지 않으면 염소농도 측정센서(122)의 고장으로 판단하고, 측정부(12)에 공급되는 오염수의 전기전도도를 상승시켜 공급하는 동안에 전기전도도 측정센서(124)로부터 송신되는 전기전도도가 상승되지 않으면 전기전도도 측정센서(124)의 고장으로 판단하고, 측정부(12)에 공급하는 오염수의 온도를 상승시켜 공급하는 동안에 온도센서(126)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변화가 감지되지 않으면 온도센서(126)의 고장으로 판단하고, 펌프(76)의 출력을 높여 측정부(12)에 공급되는 오염수의 수압을 상승시켜 공급하는 동안에 수압센서 및 유량센서(128)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에 변화가 없으면 수압센서 및 유량센서(128)의 고장으로 판단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시험작동이 종료된 후에 측정부(12)의 고장이 발견되지 않으면 제어부(14)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펌프(76)의 구동이 종료되고, 제2밸브(118) 및 제3밸브(72a)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1밸브(114) 및 제4밸브(72b)가 개방되어 수도관을 따라 공급되는 깨끗한 수돗물이 제1분기관(112)을 따라 측정부(12)에 공급되면서 측정부(12)에 잔존하는 오염수를 제거하고, 순환관(72)을 따라 저장탱크(74)로 배출되어 측정부(12)를 세척하게 된다.
저장탱크(74)에는 배출관이 설치되어 저장탱크(74)에 담수되는 세척수를 배출관을 따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고, 저장탱크(74)에 오염수의 수위가 설정치 이하로 낮아지게 되면 조절부(77)로부터 공급되는 오염수에 의해 저장탱크(74)의 수위가 일정치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조절된다.
본 실시예의 조절부(77)는, 저장탱크(74)로부터 분기되는 조절배관(78)과, 조절배관(78)을 통해 저장탱크(74)에 오염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오염수가 담수되는 조절탱크(79)를 포함하고, 조절재관에는 펌프(76)가 설치되어 조절탱크(79)에 담수되는 오염수를 저장탱크(74)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절탱크(79)는, 우수가 담수될 수 있도록 외부에 설치되고, 상부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작업자가 우수를 오염시키거나 전기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물을 투입할 수 있는 개폐도어가 설치되어 시험작동에 요구되는 오염수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시험작동이 진행되어 측정부(12)의 고장이 판단되면, 제어부(14)로부터 송신되는 교체신호가 표시부(16)에 의해 출력되고, 작업자는 표시부(16)에 출력되는 교체신호에 따라 측정부(12)를 이루는 다수 개의 센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교체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제1착탈부(50)를 조작하여 도어부재(172)를 개방하고, 도어부재(172)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센서 중 고장신호가 출력된 센서를 제2착탈부(80)의 조작에 의해 분리하여 교체하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의 제2착탈부(80)에는 센서의 착탈여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접촉감지센서가 구비되므로 표시부(16)에 출력되는 고장 센서가 교체되지 않고 다른 센서가 제2착탈부(8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제어부(14)에서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표시부(16)에 오작업의 신호가 출력되므로 작업자가 고장난 센서를 교체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제1착탈부(50)는, 도어부재(172)로부터 돌출되는 제1후크부재(52)와, 제1후크부재(5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우징(17) 하단에 형성되는 제1결합홈부(54)와, 제1결합홈부(54) 내측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걸림후크(56)와, 제1걸림후크(56)가 제1결합홈부(54)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57)와, 제1걸림후크(56)를 후퇴시키면서 제1후크부재(52)위 걸림결합을 해제시키는 제1해제부(58)를 포함한다.
또한, 제1해제부(58)는, 제1후크부재(52)의 배면으로부터 하우징(17)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와이어(58a)와, 제1와이어(58a)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1해제레버(58b)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제1해제레버(58b)를 하우징(17) 외측으로 당기면 제1탄성부재(57)가 압축되면서 제1걸림후크(56)가 후퇴하므로 제1후크부재(52)의 걸림결합이 해제되어 도어부재(172)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하우징(17)의 저면이 개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어부재(172)가 하우징(17)으로부터 분리되어 외측 방향으로 회전되면 도어부재(172)에 설치되는 측정부(12)가 제1분기관(112)과 제2분기관(116) 사이에서 이탈되어 측정부(12)가 도어부재(172) 내벽에 설치된 상태로 하우징(17) 외부로 노출되고, 작업자는 제2착탈부(80)를 조작하여 도어부재(172)로부터 측정부(12)를 이루는 복수 개의 센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센서를 도어부재(172)로부터 분리시켜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제2착탈부(80)는, 도어부재(172)로부터 돌출되어 복수 개의 센서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지지대(129)와, 도어부재(172)로부터 돌출되는 제2후크부재(82)와, 제2후크부재(82)가 삽입되도록 지지대(129)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결합홈부(84)와, 제2결합홈부(84) 내측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걸림후크(86)와, 제2걸림후크(86)가 제2결합홈부(84)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87)와, 제2걸림후크(86)를 후퇴시켜 제2후크부재(82)의 걸림결합을 해제시키는 제2해제부(88)를 포함한다.
또한, 제2해제부(88)는, 제2걸림후크(86) 배면으로부터 지지대(129)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와이어(88a)와, 제2와이어(88a) 단부에 설치되는 제2해제레버(88b)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제2해제레버(88b)를 지지대(129) 외측으로 당기면 제2탄성부재(87)가 압축되면서 제2걸림후크(86)가 후퇴되고, 제2걸림후크(86)와 걸림결합되었던 제2후크부재(82)의 걸림결합이 해제되어 지지대(129)가 도어부재(172)로부터 분리되면서 지지대(129)에 일체로 연결되는 측정부(12)의 센서가 도어부재(172)로부터 분리되어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장난 센서를 도어부재(172)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새로운 센서를 도어부재(172) 측으로 가압하면 센서에 연결되는 지지대(129) 내부로 제2후크부재(82)가 삽입되면서 걸림결합이 이루어지고, 도어부재(172)를 하우징(17) 측으로 회전시켜 하우징(17)을 폐쇄시키면 제1후크부재(52)가 하우징(17) 하단에 삽이되면서 걸림결합되어 측정부(12)의 교체작업을 손쉽게 종료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는, 측정부(12)와 제1분기관(112) 사이의 간격 또는 측정부(12)와 제2분기관(116) 사이의 간격으로 수돗물이나 오염수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측정부(12)를 제1분기관(112) 또는 제2분기관(116) 측으로 가압하여 실링하는 가압실링부(9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측정부(12)가 제1분기관(112)과 제2분기관(116) 사이에 개재되면 가압실링부(90)가 제1분기관(112) 및 제2분기관(116)을 측정부(12) 측으로 가압하면서 측정부(12)를 통과하는 수돗물 또는 오염수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가압실링부(90)는, 하우징(17) 내벽에 설치되는 가압실린더(92)와, 가압실린더(92)의 로드에 설치되고, 제1분기관(112) 또는 제2분기관(116)에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패널과, 제1분기관(112) 또는 제2분기관(116)에 설치되는 주름관(94)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분기관(112) 및 제2분기관(116)은, 주름관(94)에 의해 내측 단부가 측정부(12)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도록 유동되게 설치되고, 가압실린더(92)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면 제1분기관(112) 또는 제2분기관(116)이 내측 단부를 측정부(12) 측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제1분기관(112) 또는 제2분기관(116)과 측정부(12) 사이의 간격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분기관(112) 또는 제2분기관(116)의 단부와 측정부(12)의 양단부에는 서로 밀착되는 실링부재가 구비되므로 가압실린더(92)로부터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제1분기관(112) 및 제2분기관(116)과 측정부(12) 사이의 간격이 밀착되면서 수돗물 또는 오염수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상수도 관로에 부착식으로 설치되어 수도관 내에 흐르는 수돗물의 수질을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고,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 IoT) 기능을 이용하여 측정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고 데이터 분석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상수도의 수질을 측정하는 센서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센서의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에 센서의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상수도 정보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상수도 정보제공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상수도 정보제공 방법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정보제공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수질센서 11 : 수도관 연결부
12 : 측정부 13 : 통신부
14 : 제어부 15 : 전원공급부
16 : 표시부 17 : 하우징
30 : 상수도정보 제공시스템 31 : 사용자단말기
32 : 상수도정보 수집부 33 : 데이터베이스부
34 : 서버 50 : 제1착탈부
52 : 제1후크부재 54 : 제1결합홈부
56 : 제1걸림후크 57 : 제1탄성부재
58 : 제1해제부 58a : 제1와이어
58b : 제1해제레버 70 : 시험부
72 : 순환관 74 : 저장탱크
76 : 펌프 77 : 조절부
78 : 조절배관 79 : 조절탱크
80 : 제2착탈부 82 : 제2후크부재
84 : 제2결합홈부 86 : 제2걸림후크
87 : 제2탄성부재 88 : 제2해제부
88a : 제2와이어 88b : 제2해제레버
90 : 가압실링부 92 : 가압실린더
94 : 주름관 112 : 제1분기관
114 : 제1밸브 116 : 제2분기관
118 : 제2밸브 122 : 염소농도 측정센서
124 : 전기전도도 측정센서 126 : 온도센서
127 : 수압센서 128 : 유량센서
172 : 도어부재

Claims (5)

  1. 수도관 연결부, 측정부, 통신부, 제어부, 전원공급부 및 표시부가 각각 내장되어 외관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하우징; 상기 수도관 연결부를 통해 상기 측정부에 공급되는 물을 차단하고, 상기 측정부에 오염수를 공급하면서 상기 측정부의 고장여부를 감지하는 시험부; 상기 시험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측정부의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측정부의 교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측정부를 인출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개방되면 상기 측정부를 상기 수도관 연결부로부터 분리시키는 도어부재; 상기 도어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착탈부; 및 상기 측정부를 상기 도어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착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착탈부(50)를 조작하여 상기 도어부재(172)를 개방하고, 상기 도어부재(172)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센서 중 고장신호가 출력된 센서를 상기 제2착탈부(80)의 조작에 의해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고, 상기 제2착탈부(80)에는 센서의 착탈여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접촉감지센서가 구비되므로 상기 표시부(16)에 출력되는 고장 센서가 교체되지 않고 다른 센서가 상기 제2착탈부(8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4)에서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부(16)에 오작업의 신호가 출력되므로 고장난 센서를 교체할 수 있게 안내하는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재에는 상기 측정부를 이루는 복수 개의 센서가 상기 제2착탈부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착탈부(50)는,
    상기 도어부재(172)로부터 돌출되는 제1후크부재(52);
    상기 제1후크부재(5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7) 하단에 형성되는 제1결합홈부(54);
    상기 제1결합홈부(54) 내측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걸림후크(56);
    상기 제1걸림후크(56)가 상기 제1결합홈부(54)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57); 및
    상기 제1걸림후크(56)를 후퇴시키면서 상기 제1후크부재(52)의 걸림결합을 해제시키는 제1해제부(58)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해제부(58)는,
    상기 제1후크부재(52)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17)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와이어(58a); 및
    상기 제1와이어(58a)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1해제레버(58b)를 포함하고,
    상기 제2착탈부(80)는,
    상기 도어부재(172)로부터 돌출되어 복수 개의 센서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상기 지지대(129);
    상기 도어부재(172)로부터 돌출되는 제2후크부재(82);
    상기 제2후크부재(82)가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대(129)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결합홈부(84);
    상기 제2결합홈부(84) 내측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걸림후크(86);
    상기 제2걸림후크(86)가 상기 제2결합홈부(84)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87); 및
    상기 제2걸림후크(86)를 후퇴시켜 상기 제2후크부재(82)의 걸림결합을 해제시키는 제2해제부(88)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해제부(88)는,
    상기 제2걸림후크(86) 배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대(129)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와이어(88a); 및
    상기 제2와이어(88a) 단부에 설치되는 제2해제레버(88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
  2. 삭제
  3. 삭제
  4. 수도관을 포함하는 상수도 관로 내부를 흐르는 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양단측에 각각 구비된 배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수도 관로의 일측에 연결되는 수도관 연결부와, 상기 수도관 연결부의 유입구 측으로 유입된 물에 대한 수질 및 유량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를 통하여 측정된 측정값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신부와, 상기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들을 수신하여 수질분석을 행하고, 수질센서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에 사용하여 생성되는 수질 및 물사용에 관련된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단계;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로그인을 행하고 원하는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요청하는 정보요청단계;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특정 정보나 서비스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서버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고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제공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된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정보표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구축단계는, 상기 제1항에 기재된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를 이용하여 수질 및 물사용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각각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것에 의해 수돗물에 관련된 빅데이터를 구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수질정보 및 물사용량, 사용패턴, 수도요금을 포함하는 물사용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에 공급되는 물을 차단하고, 상기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에 오염수를 제공하여 상기 측정부의 고장여부를 감지하는 시험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착탈부(50)를 조작하여 상기 도어부재(172)를 개방하고, 상기 도어부재(172)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센서 중 고장신호가 출력된 센서를 상기 제2착탈부(80)의 조작에 의해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고, 상기 제2착탈부(80)에는 센서의 착탈여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접촉감지센서가 구비되므로 상기 표시부(16)에 출력되는 고장 센서가 교체되지 않고 다른 센서가 상기 제2착탈부(8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4)에서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부(16)에 오작업의 신호가 출력되므로 고장난 센서를 교체할 수 있게 안내하는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를 이용하는 상수도 정보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재에는 상기 측정부를 이루는 복수 개의 센서가 상기 제2착탈부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착탈부(50)는,
    상기 도어부재(172)로부터 돌출되는 제1후크부재(52);
    상기 제1후크부재(5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7) 하단에 형성되는 제1결합홈부(54);
    상기 제1결합홈부(54) 내측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걸림후크(56);
    상기 제1걸림후크(56)가 상기 제1결합홈부(54)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57); 및
    상기 제1걸림후크(56)를 후퇴시키면서 상기 제1후크부재(52)의 걸림결합을 해제시키는 제1해제부(58)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해제부(58)는,
    상기 제1후크부재(52)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17)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와이어(58a); 및
    상기 제1와이어(58a)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1해제레버(58b)를 포함하고,
    상기 제2착탈부(80)는,
    상기 도어부재(172)로부터 돌출되어 복수 개의 센서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상기 지지대(129);
    상기 도어부재(172)로부터 돌출되는 제2후크부재(82);
    상기 제2후크부재(82)가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대(129)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결합홈부(84);
    상기 제2결합홈부(84) 내측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걸림후크(86);
    상기 제2걸림후크(86)가 상기 제2결합홈부(84)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87); 및
    상기 제2걸림후크(86)를 후퇴시켜 상기 제2후크부재(82)의 걸림결합을 해제시키는 제2해제부(88)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해제부(88)는,
    상기 제2걸림후크(86) 배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대(129)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와이어(88a); 및
    상기 제2와이어(88a) 단부에 설치되는 제2해제레버(88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를 이용하는 상수도 정보제공 방법.

  5. 삭제
KR1020210101497A 2021-08-02 2021-08-02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상수도 정보제공 방법 KR102417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497A KR102417224B1 (ko) 2021-08-02 2021-08-02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상수도 정보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497A KR102417224B1 (ko) 2021-08-02 2021-08-02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상수도 정보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7224B1 true KR102417224B1 (ko) 2022-07-06

Family

ID=82400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497A KR102417224B1 (ko) 2021-08-02 2021-08-02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상수도 정보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2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0670A1 (ko) * 2022-10-25 2024-05-02 (주)지오그리드 상수도 관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상수도 관제 플랫폼 서비스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1578A (ko) * 2008-07-25 2010-02-03 (주)웨더텍 자동수질 측정기 및 그 측정방법
KR101135697B1 (ko) * 2011-09-14 2012-04-13 (주)썬텍엔지니어링 복합 센싱기술을 이용한 수질계측기
KR102120427B1 (ko) * 2018-11-09 2020-06-09 한국수자원공사 사물인터넷 기반의 상수도 관로 부착형 수질센서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정보 제공시스템
KR102130506B1 (ko) * 2018-09-11 2020-07-06 주식회사 이쓰리 센서의 교체 시점을 결정하는 대기질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1578A (ko) * 2008-07-25 2010-02-03 (주)웨더텍 자동수질 측정기 및 그 측정방법
KR101135697B1 (ko) * 2011-09-14 2012-04-13 (주)썬텍엔지니어링 복합 센싱기술을 이용한 수질계측기
KR102130506B1 (ko) * 2018-09-11 2020-07-06 주식회사 이쓰리 센서의 교체 시점을 결정하는 대기질 측정장치
KR102120427B1 (ko) * 2018-11-09 2020-06-09 한국수자원공사 사물인터넷 기반의 상수도 관로 부착형 수질센서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정보 제공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0670A1 (ko) * 2022-10-25 2024-05-02 (주)지오그리드 상수도 관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상수도 관제 플랫폼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0427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상수도 관로 부착형 수질센서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정보 제공시스템
KR101046198B1 (ko) 수처리 원격제어 감시 시스템
US11661352B2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management system and household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1102117B1 (ko) 수질 관리 시스템
KR102331744B1 (ko) 수돗물 수질 측정기 및 이를 구비한 공동 주택용 스마트 수돗물 수질 진단 및 위험요소 예측 시스템 및 방법
CN210834882U (zh) 一种带自清洗功能的智能型水质在线监测装置及系统
KR20180104891A (ko) 산업용 스마트 정수기
KR102460023B1 (ko) 스마트 워터 시티 구축을 위한 다항목 수질 측정을 사용한 통합정보 제공 시스템
KR100523856B1 (ko) 수질관리 원격제어 시스템
KR102417224B1 (ko) 상수도의 부유물 감지용 IoT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상수도 정보제공 방법
CN204256492U (zh) 与净水装置适配的智能物联网系统
KR100900717B1 (ko) 상수도 관로용 밸브의 원격제어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12239B1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실시간 기술 진단 평가가 가능한 여과수 처리 시설의 기술 진단 시스템
KR102412519B1 (ko) 지능형 시스템을 이용한 수처리설비 원격감시 제어장치
KR101707282B1 (ko) 다용도 제수밸브를 이용한 비굴착형 부단수 측정장치
CN214750211U (zh) 一种水质自动监测系统
KR102435404B1 (ko) 압력 기반 정밀 여과장치 필터 관리 시스템
JP3004786B2 (ja) 貯水槽経由水道水水質安全監視システム
CN202003204U (zh) 基于嵌入式的管网水质远程监测装置
CN213517114U (zh) 一种直饮水水质在线检测装置
JP4537962B2 (ja) 可搬型捨水検査装置
KR20220147244A (ko) 유입하수 수질관리를 위한 빅 데이터 활용방법
KR100548511B1 (ko) 누수 차단 및 유수량 무선 검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217156496U (zh) 一种具备交替采水装置的微型水站
KR102623682B1 (ko) 오염된 수돗물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공동주택(공동건물)용스마트 필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