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7040B1 - Deckroad system - Google Patents

Deckroad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7040B1
KR102417040B1 KR1020220018581A KR20220018581A KR102417040B1 KR 102417040 B1 KR102417040 B1 KR 102417040B1 KR 1020220018581 A KR1020220018581 A KR 1020220018581A KR 20220018581 A KR20220018581 A KR 20220018581A KR 102417040 B1 KR102417040 B1 KR 102417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eck
pair
protrusion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85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여운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라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라우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라우드
Priority to KR1020220018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04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0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4Puzzle-lik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66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ckroad system comprises: a plurality of deck members provided long in one direction;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to connect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cover member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to cover upp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a base plate provided under the connecting members to fix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a horizontal frame provided under the base plate to support the base plate; vertical frames coupled to the horizontal frame to lift the horizontal frame from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height; fixing structures coupled to ends of the vertical frames to fix the vertical frames to the ground; a plurality of vertical posts fixed to the top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crossbars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vertical posts adjacent to each other to maintain certain distance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ndrail connection structures coupled to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crossbars, respectively, and fixed to the vertical posts to fix the crossbars to the vertical posts. Therefore, coupling convenience can be improved.

Description

데크로드 시스템{DECKROAD SYSTEM}deck road system {DECKROAD SYSTEM}

본 발명은 데크로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결합 편의성 및 안전성이 개선된 데크로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k load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ck loading system with improved coupling convenience and safety.

최근 도심의 발달로 인해 사람들은 친환경적인 요소를 선호하게 되었으며, 친환경적인 외부 활동이 많아지게 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도심 내의 근린공원, 등산로 등 다양한 근린 시설에서 친환경적인 보행로를 구축하게 되었다.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city center, people prefer eco-friendly elements, and as eco-friendly outdoor activities increase, eco-friendly walking paths are naturally built in various neighboring facilities such as neighborhood parks and hiking trails in the city center.

근린공원, 등산로 등과 같은 야외의 보행로에 설치하는 난간은 경사도 일정하지 않지만 대부분 친환경적 소재인 목재로 만든 것을 설치하기 때문에 기둥과 난간을 용접으로 고정 결합시킬 수 없어 기둥의 측면에 홈을 판 후 난간을 홈에 끼워 넣거나 별도의 브라켓 및 나사로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고 있다.Although the inclination of handrails installed on outdoor pedestrian paths such as neighborhood parks and hiking trails is not uniform, most of them are made of eco-friendly wood, so it is impossible to fix the pillar and the handrail by welding. It is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a groove or coupled with a separate bracket and screw.

그러나 기둥의 측면에 홈을 파서 난간을 설치할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목재의 신축 현상으로 인하여 지주와 난간의 결합 부분에 틈새가 확장되어 구조적으로 안정되지 못해 안전사고로부터 보행자를 충분히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railing is installed by digging a groove on the side of the column, the gap at the joint between the post and the rail expands due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wood over time, resulting in structural instability and insufficient protection of pedestrians from safety accidents. There is thi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64920호(2009.06.22)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64920 (2009.06.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결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크로드 시스템을 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ck rod system that can improve coupling convenience.

그리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크로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d to provide a deck load system that can improve safet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은 일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다수의 데크 부재와, 복수의 상기 데크 부재와 결합하여 복수의 상기 데크 부재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재와, 복수의 상기 데크 부재와 결합하여 복수의 상기 데크 부재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다수의 연결부재가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받치는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과 결합하여 상기 수평프레임을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들어올리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단과 결합하여 상기 수직프레임을 지면에 고정하는 고정구조체와, 상기 다수의 데크 부재의 상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세로기둥과,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세로기둥 사이에 위치하여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되어 가로대와, 상기 가로대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결합하고, 상기 세로기둥에 고정되어 상기 가로대를 상기 세로기둥에 고정하는 난간 연결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A deck ro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lurality of deck members provided long in one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coupling with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to connect a plurality of the deck members A connecting member, and a cover member coupled to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a base plate provided under the connecting member to which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are fixed, and a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e A horizontal frame provided in a horizontal frame to support the base plate, a vertical frame for lifting the horizontal frame to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by combining with the horizontal frame, and a fixing structure for fixing the vertical frame to the ground by combining with one end of the vertical frame And, a plurality of vertical pillar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and a crosspiece provided to maintain a certain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being positioned between a pair of adjacent vertical pillars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both ends of the crosspiece Each coupled to, and fixed to the vertical pillar may be provided with a railing connection structure for fixing the crossbar to the vertical pillar.

상기 데크 부재는 일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너비방향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체결홈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중심선을 따라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굽어진 한 쌍의 굽힘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굽힘부는 상기 복수의 데크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데크 부재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복수의 데크 부재의 상기 제1체결홈의 하부 영역을 커버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데크 부재 중 어느 하나의 상기 데크 부재의 제1체결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홈에 삽입되는 제1플레이트부와, 상기 제1플레이트부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상기 데크 부재와 마주보도록 인접하게 배치된 또 다른 상기 데크 부재의 제1체결홈에 삽입되는 제2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의 중심선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플레이트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플레이트부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양단부에는 상기 한 쌍의 굽힘부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1체결홈의 하부 영역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제1돌출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플레이트부는 상기 제2플레이트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1체결홈의 하부 영역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제2돌출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제1돌출삽입부와 상기 한 쌍의 제2돌출삽입부는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일정한 굴곡을 가지고, 상기 커버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결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접촉부의 일면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The deck member includes a body elongated in one direction, and first fastening grooves respectively formed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late and the plate and along the center line of the plate A pair of bending portions bent downward from the plate are provided, and the pair of bending portions ar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to maintain an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and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Covers the lower region of the first fastening groove of the deck member, the plate is formed in paralle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astening groove of the deck member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in the first fastening groove A first plate portion to be inserted and a second plate portion form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plate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groove of another deck member disposed adjacently to face any one of the deck members; It is disposed along the center line of the plate and is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plate part and the second plate part and includes a connection plate part connecting the first plate part and the second plate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late part The pair of bent portions are integr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An insertion portion is provided, and the second plate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plate portion and provided with a pair of second protruding insertion portions to be inserted into the lower region of the first fastening groove, the pair of The first protrusion insert and the pair of second protrusion inserts have a certain curvature extending in the lower direction, and the cover member includes a cover portion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over portion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ver portion and extending in the lower direction. An insertion part may be provided, and the insertion part may include a coupl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coupling space and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contact part.

상기 고정구조체는 일정 두께를 갖는 받침부분과, 상기 받침부분의 상면에 구비되어 일정 높이를 갖는 기둥부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받침부분 및 상기 기둥부분을 관통하는 삽입부분과, 상기 삽입부분의 상기 수직프레임 측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기둥부분의 상면과 맞대어지는 제3체결부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3체결부분과 맞대어지는 제4체결부분과, 상기 기둥부분에 고정되어 상기 제3체결부분 및 상기 제4체결부분을 일체화하는 앵커볼트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xing structure includes a support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 pillar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and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an insertion portion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and penetrating the support portion and the pillar portion; A third fastening porti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vertical frame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ar portion, a fourth fastening portion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and facing the third fastening portion, and the pillar It may be provided with an anchor bolt fixed to the part to integrate the third fastening part and the fourth fastening part.

상기 난간 연결구조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세로기둥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끼워져 상기 고정판과 결합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와 연결되어 상기 가로대가 결합하는 결합체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판은 얇은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일면이 상기 세로기둥과 맞대어지는 제1베이스부와, 상기 제1베이스부의 타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구가 상기 고정판에 끼워지도록 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구는 얇은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베이스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끼워지는 제2베이스부와, 상기 제2베이스부의 일면에서 일정길이 길게 연장되고 상호 간에 일정거리를 유지하여 상기 결합체와 연결되는 한 쌍의 제1연결부와, 상기 한 쌍의 제1연결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베이스부의 일면에서 일정길이 길게 연장되되 상기 제1연결부보다 짧게 연장되어 상기 결합체와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체는 상기 한 쌍의 제1연결부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일면에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구비되어 개방된 일측을 통해 상기 가로대의 일단이 삽입되는 체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handrail connection structure includes a fixing plate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a connector fitted to the fixing plate and coupled to the fixing plate, and a coupling body connected to the connector and coupled to the crossbar, wherein the fixing plate is thin A first base portion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having one surface facing the vertical column, and a protrusion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ase portion so that the connector is fitted to the fixing plate, the connector is provided in a thin plate shape a second base part fitted between the first base part and the protrusion part; , a contact portion extending a certain length from one surface of the second base portion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first connection portions and extending shorter tha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to be in contact with the assembly, wherein the combination includes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of the pair It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a fastening part provided with one side open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and into which one end of the crosspiece is inserted through the open side.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베이스부의 타면 하측에서 소폭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며 좌우로 길게 구비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면과 함께 상기 돌출부가 'U'자 형태가 되는 한 쌍의 측면과, 'U'자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1베이스부의 타면 방향에서 상기 바닥면 및 한 쌍의 측면과 결합하여 상기 연결구가 상기 제1베이스부의 타면 상측을 통해 상기 고정판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제1베이스부의 타면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앞판을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2베이스부의 가운데를 축으로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돌기와, 상기 상부돌기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2베이스부의 가운데를 축으로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돌기와, 상기 상부돌기 및 상기 하부돌기와 수직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베이스부의 가운데를 축으로 좌우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육면체로 형성되어 일면에 상기 체결부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타면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돌기와 한 쌍의 측면돌기 사이에 위치하는 상부이탈방지돌기와, 상기 본체의 타면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돌기와 한 쌍의 측면돌기 사이에 위치하는 하부이탈방지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The protrusion includes a bottom surface which protrude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lower side of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ase part and is provided long left and right, and extends upward from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protrusion is 'U' together with the bottom surface. A pair of side surfaces that are shaped like a 'U' are provided in the shape of a 'U' so that they are combined with the bottom surface and a pair of side surfaces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ase part so that the connector passes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ase part. A front plate is provided to prevent separation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ase part while being fitted to the fixed plate, and the contact part includes an upper protrusion provided on the upper part with the middle of the second base part as an axis, and the first base part to face the upper protrusion. A lower protrusion provided in the lower part with the middle of the second base part as an axis, and a pair of side protrusions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with the middle of the second base part as an axis to form a vertical position with the upper protrusion and the lower protrusion, The two-connection portion is formed in a hexahedron body and provided with the fastening portion on one surface, an upper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projection and a pair of side projections,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body on the lower side. It may include a lower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protrusion and the pair of side protrusions.

본 발명의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에 의하면, 결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ck ro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upling convenience.

그리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nd it can improve safe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크 부재에 연결부재와 커버부재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연결부재와 커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연결부재의 상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B-B 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데크 부재에 연결부재와 커버부재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C-C 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도 7의 D-D 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연결부재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연결부재가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고정구조체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난간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난간 연결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난간 연결구조가 가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deck loa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ck member shown in Figure 1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member and a cover member.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cover member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ng member shown in Figure 3;
Figure 5 is a top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shown in Figure 4;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shown in Fig. 5;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ing member and a cover member are provided on the deck member shown in FIG.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7;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7 ;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connecting member shown in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shown in FIG. 10 is applied.
Figure 12 is a view showing the fixing structure shown in Figure 1;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andrail connection structure shown in FIG. 1;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andrail connection structure shown in FIG. 13;
1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rail connection structure shown in FIG. 13 is operate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deck loa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deck loa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10)은 일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다수의 데크 부재(100)와, 복수의 데크 부재(100)와 결합하여 복수의 데크 부재(100)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재(200)와, 복수의 데크 부재(100)와 결합하여 복수의 데크 부재(100)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1000)와, 연결부재(2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다수의 연결부재(200)가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300)와, 베이스플레이트(300) 하부에 구비되어 베이스플레이트(300)를 받치는 수평 프레임과, 수평프레임(400)과 결합하여 수평프레임(400)을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들어올리는 수직프레임(500)과, 수직프레임(500)의 일단과 결합하여 수직프레임(500)을 지면에 고정하는 고정구조체(600)와, 다수의 데크 부재(100)의 상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세로기둥(700)과,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세로기둥(700) 사이에 위치하여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되어 가로대(800)와, 가로대(800)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결합하고, 세로기둥(700)에 고정되어 가로대(800)를 세로기둥(700)에 고정하는 난간 연결구조(900)를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 the deck rod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with a plurality of deck members 100 and a plurality of deck members 100 that are provided long in one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200 for connecting the deck member 100, and a cover member 1000 that i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100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100, and the connecting member 200 ) provided under the base plate 300 to which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200 are fixed, a horizontal frame provided under the base plate 300 to support the base plate 300, and a horizontal frame 400 coupled with A vertical frame 500 for lifting the horizontal frame 400 to a certain height from the ground, and a fixing structure 600 for fixing the vertical frame 500 to the ground by combining with one end of the vertical frame 500, and a plurality of decks It is positioned between a plurality of vertical pillars 700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ember 100 and a pair of adjacent vertical pillars 700 and is provide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may be provided with a railing connection structure 900 that is coupled to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800 and is fixed to the vertical pole 700 to fix the crossbar 800 to the vertical pole 700 .

세로기둥(700), 가로대(800) 및 난간 연결구조(900)는 데크 부재(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사용자를 보호하고 예기치 않은 안전사고에 피해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하며, 베이스플레이트(300), 수평프레임(400), 수직프레임(500) 및 고정구조체(600)는 데크 부재(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데크 부재(100), 세로기둥(700), 가로대(800) 및 난간 연결구조(900)가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데크로드 시스템(10)을 안전하게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The vertical column 700, the crossbar 800, and the railing connection structure 900 are provided on the deck member 100 to protect the user and minimize damage from unexpected safety accidents, and the base plate 300 , the horizontal frame 400, the vertical frame 500 and the fixing structure 600 ar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deck member 100, the deck member 100, the vertical column 700, the crossbar 800 and the railing connection structure ( 900) so that structural safety can be ensured so that the user can safely use the deck load system 10 .

데크 부재(100), 세로기둥(700), 가로대(800), 난간 연결구조(900), 베이스플레이트(300) 및 수평프레임(400)은 수직프레임(50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수직프레임(500)은 평지 또는 경사면 등과 같은 설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다수가 구비될 수 있다.The deck member 100, the vertical column 700, the crossbar 800, the railing connection structure 900, the base plate 300 and the horizontal frame 400 ar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t a certain height by the vertical frame 500. It may be provided with, the vertical frame 50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aving different height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such as a flat surface or an inclined surface.

세로기둥(700)과 가로대(800)는 설치위치나 목적에 따라 합성목재를 비롯하여 일반목재, 금속재 등의 다양한 재질과 사각기둥, 육각기둥, 원형기둥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가로대(800) 사이에 이웃하는 가로대(800)를 일체화하는 보조기둥(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Vertical pillars 700 and crossbars 800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synthetic wood, general wood, metal, etc., and various shapes such as square pillars, hexagonal pillars, and circular pillar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r purpose, and may be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Auxiliary pillars (not shown) for integrating the neighboring crossbars 80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rossbars 800 maintaining a predetermined interval.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10)의 데크 부재(100), 연결부재(200) 및 커버부재(10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follow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deck member 100, the connecting member 200 and the cover member 1000 of the deck rod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or extremely similar parts will be omitted.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크 부재에 연결부재와 커버부재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연결부재와 커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연결부재의 상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B-B 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데크 부재에 연결부재와 커버부재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C-C 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D-D 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cover member are provided on the deck member shown in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cover member shown in FIG. 2, and FIG. 4 is shown in FIG.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ed member, FIG. 5 is a top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shown in FIG. 4,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shown in FIG. 5, and FIG. 7 is a deck member shown in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cover member are provide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7 ,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7 .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10)의 데크 부재(100)는 일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몸체(110)와, 몸체(110)의 너비방향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체결홈(120)을 구비할 수 있다.1 and 9, the deck member 100 of the deck rod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ody 110 that is long in one direction, and both ends of the body 110 in the width direction. A first fastening groove 120 formed in each may be provided.

연결부재(200)는 플레이트(210), 플레이트(210)와 일체로 형성되고 플레이트(210)의 중심선(L)을 따라 플레이트(210)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굽어진 한 쌍의 굽힘부(240), 한 쌍의 굽힘부(240)에 각각 삽입된 완충부재(260)를 구비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20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late 210, the plate 210, and a pair of bent portions 240 bent downward from the plate 210 along the center line L of the plate 210, A cushioning member 260 may be provided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pair of bending portions 240 .

여기서, 중심선(L)이란 데크 부재(100)의 길이 방향(G)과 평행하며, 플레이트(210)의 좌우대칭이 되는 중심부를 따라 형성된 선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플레이트(210)는 중심선(L)을 따라 좌우 대칭인 형상일 수 있다.Here, the center line (L) 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G) of the deck member 100, it may mean a line formed along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symmetry of the plate (210). That is, the plate 210 may have a shape symmetrical left and right along the center line (L).

아울러, 하부 방향이란 연결부재(200)의 하부에 배치된 베이스플레이트(300) 배치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direction may mean a direction in which the base plate 300 is disposed under the connecting member 200 .

플레이트(210)는 하나의 판 상으로 형성되며, 연결부재(200)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플레이트(210)는 철을 포함하는 합금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플레이트(210)가 녹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면이 코팅될 수 있다.The plate 210 is formed in the shape of one plate, and may form the body of the connecting member 200 . The plate 210 may be formed of an alloy material including iron, and an outer surface of the plate 210 may be coated to prevent rusting.

구체적으로, 플레이트(210)는 복수의 데크 부재(100) 중 어느 하나의 데크 부재(100)의 제1체결홈(120)의 길이 방향(G)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어 제1체결홈(120)에 삽입되는 제1플레이트부(211), 제1플레이트부(211)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데크 부재(100)와 마주보도록 인접하게 배치된 또 다른 데크 부재(100)의 제1체결홈(120)에 삽입되는 제2플레이트부(212), 플레이트(210)의 중심선(L)을 따라 배치되고 제1플레이트부(211)와 제2플레이트부(212)의 길이(R1)보다 짧게 형성되며 제1플레이트부(211)와 제2플레이트부(212)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late 210 is formed in paralle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G of the first fastening groove 120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100 in the first fastening groove 120 . )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plate portion 211, the first fastening groove 120 of another deck member 100 formed in parallel to the first plate portion 211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deck member 100 to face. ) is disposed along the center line (L) of the second plate portion 212, the plate 2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plate portion 211 and the second plate portion 212 is formed shorter than the length (R1), A connection plate part 220 connecting the first plate part 211 and the second plate part 212 may be provided.

여기서, 복수의 데크 부재(100)는 서로 인접하고 마주보도록 배치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데크 부재(100)에 각각 형성된 제1체결홈(120)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100 may mean that they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addition, the first fastening grooves 120 respectively formed in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100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제1플레이트부(211)는 중심선(L)에 대해 제2플레이트부(212)와 대칭일 수 있으며, 제1 플레이트부(211)는 외측면을 형성하고 길이 방향(G)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된 제1부(2111)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plate part 211 may be symmetrical with the second plate part 212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L, and the first plate part 211 forms an outer surface and is form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G). A first part 2111 may be provided.

또한, 제1플레이트부(211)는 제1플레이트부(211)의 길이 방향으로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1체결홈(120)의 하부 영역(E2)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제1돌출삽입부(251)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late portion 211 is integral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plate portion 2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a pair of first protrusions inserted into the lower region E2 of the first fastening groove 120 . An insertion part 251 may be provided.

한 쌍의 제1돌출삽입부(251)는 제1체결홈(120)에 삽입되어 제1플레이트부(211)와 데크 부재(100)를 물리적으로 안정적이게 연결할 수 있다.The pair of first protruding insertion portions 251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groove 120 to physically and stably connect the first plate portion 211 and the deck member 100 .

예를 들어, 한 쌍의 제1 돌출삽입부(251)는 제1플레이트부(211)의 길이 방향으로의 양단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한 쌍의 제1돌출삽입부(251)는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일정한 굴곡을 가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pair of first protruding insertion portions 251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both ends of the first plate portion 2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the pair of first protruding and inserting portions 251 may have a predetermined curved shape extending in the lower direction.

이에 따라, 체결부재(20)의 하부 방향으로의 체결 힘에 의해, 연결부재(200)가 베이스플레이트(300)에 체결되는 경우, 한 쌍의 제1돌출삽입부(251)는 데크 부재(100) 내에 삽입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connecting member 200 is fastened to the base plate 300 by the fastening force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fastening member 20 , the pair of first protruding and inserting parts 251 are the deck member 100 . ) can be inserted into

여기서, 체결부재(20)는 볼트 및 나사 등이 사용될 수 있다.Here, the fastening member 20 may be used such as bolts and screws.

또한, 제1돌출삽입부(251)는 하부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돌출삽입부(251)의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됨으로써, 제1체결홈(120)에 삽입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Also, the width of the first protrusion and insertion portion 251 may become narrower as it extends downward. Accordingly, since the end of the first protruding insertion portion 251 is formed to be sharp, insertion into the first fastening groove 120 may be easier.

아울러, 제2플레이트부(212)는 제1플레이트부(211)와 동일한 형상일 수 있으며, 중심선(L)에 대해 제1플레이트부(211)와 대칭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late part 212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first plate part 211 , and may be symmetrical with the first plate part 211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L).

제2플레이트부(212)는 데크 부재(100)의 제1체결홈(120)에 삽입될 수 있다.The second plate part 212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groove 120 of the deck member 100 .

또한, 제2플레이트부(212)는 외측면을 형성하고 길이 방향(G)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된 제2부(2121)를 구비할 수 있다. 제2부(2121)는 제1체결홈(120)과 접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late portion 212 may include a second portion 2121 that forms an outer surface and is form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G). The second part 2121 may contact the first fastening groove 120 .

여기서, 제2부(2121)의 길이(R1)는 제1부(2111)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Here, the length R1 of the second part 2121 may be the same as the length of the first part 2111 .

이에 따라, 제1플레이트부(211)와 제2플레이트부(212)는 제1체결홈(120)과 접촉하여, 복수의 데크 부재(1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plate portion 211 and the second plate portion 212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fastening groove 120, stably fixing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100 and at the same time maintaining a spaced apart state can be kept stable.

따라서, 복수의 데크 부재(100) 사이의 안정적인 이격된 거리 유지를 통해 체결부재(20)가 삽입되는 작업이 안정적일 수 있으며, 복수의 데크 부재(100) 사이의 이격된 간격을 통해 빗물들과 같은 유체가 빠져나갈 수 있는 배수로는 형성하여 데크 부재(100)가 배수되지 않아 형성된 고인 물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operation in which the fastening member 20 is inserted may be stable through maintaining a stable spaced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100, and rainwater through the spaced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100 and By forming a drainage passage through which the same fluid can escape,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due to the stagnant water formed because the deck member 100 is not drained.

아울러, 제2플레이트부(212)는 제2플레이트부(212)의 길이 방향으로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1체결홈(120)의 하부 영역(E2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제2돌출삽입부(252)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late portion 212 is integrally form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plate portion 212 and is inserted into the lower region E2 of the first fastening groove 120 by a pair of second protruding inserts. A portion 252 may be provided.

한 쌍의 제2돌출삽입부(252)는 제1체결홈(120)에 삽입되어 제2플레이트부(212)와 데크 부재(100)를 물리적으로 안정적이게 연결할 수 있다.The pair of second protruding insertion portions 252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groove 120 to physically and stably connect the second plate portion 212 and the deck member 100 .

예를 들어, 한 쌍의 제2돌출삽입부(252)는 제2플레이트부(212)의 길이 방향으로의 양단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한 쌍의 제2돌출삽입부(252)는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일정한 굴곡을 가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pair of second protruding and inserting portions 252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both ends of the second plate portion 2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the pair of second protruding and inserting portions 252 may have a predetermined curved shape extending in the lower direction.

이에 따라, 체결부재(20)의 하부 방향으로의 체결 힘에 의해, 연결부재(200)가 베이스플레이트(300)에 체결되는 경우, 한 쌍의 제2돌출삽입부(252)는 데크 부재(100) 내에 삽입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connecting member 200 is fastened to the base plate 300 by the fastening force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fastening member 20 , the pair of second protruding and inserting portions 252 are the deck member 100 . ) can be inserted into

또한, 제2돌출삽입부(252)는 하부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돌출삽입부(252)의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됨으로써, 제1체결홈(120)에 삽입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second protrusion and insertion portion 252 may become narrower as it extends downward. Accordingly, since the end of the second protruding insertion portion 252 is formed to be sharp, insertion into the first fastening groove 120 may be easier.

연결플레이트부(220)는 제1플레이트부(211)와 제2플레이트부(212) 사이에 배치되어 제1플레이트부(211)와 제2플레이트부(2102)를 연결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late part 2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plate part 211 and the second plate part 212 to connect the first plate part 211 and the second plate part 2102 .

연결플레이트부(220)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R2)는 제1플레이트부(211) 및 제2플레이트부(212)의 길이(R1)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The length R2 of the connection plate part 2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R1 of the first plate part 211 and the second plate part 212 .

아울러, 연결플레이트부(220)는 제1플레이트부(211) 및 제2 플레이트부(212)와 하나의 판 상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late part 220 may be integrally formed on a single plate with the first plate part 211 and the second plate part 212 .

연결플레이트부(220)의 중심부에는 체결부재(20)가 삽입될 수 있는 제1체결구(2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부재(20)가 연결플레이트부(220)의 제1 체결구(230)에 삽입됨으로써, 연결부재(200)를 베이스플레이트(300)와 물리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A first fastening hole 230 in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20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plate part 220 . Accordingly, by inserting the fastening member 20 into the first fastener 230 of the connecting plate part 220 , the connecting member 200 may be physically coupled to the base plate 300 .

또한, 연결플레이트부(220)의 길이 방향(G)으로의 양단부에는 한 쌍의 굽힘부(240)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air of bent portions 240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on plate portion 2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G).

한 쌍의 굽힘부(240)는 연결플레이트부(220)의 양단부에 각각 하부 방향으로 굽혀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The pair of bent portions 240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on plate portion 220 in a downwardly bent state.

또한, 한 쌍의 굽힘부(240)는 하나의 판 상인 플레이트(210)에서 한 쌍의 굽힘부(240)와 대응되는 부분이 굽힌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굽힘부(240)는 플레이트(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bent portions 240 may be formed in a bent state in which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bent portions 240 in the plate 210 that are one plate are bent. That is, the pair of bent portions 24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late 210 .

예를 들어, 한 쌍의 굽힘부(240)의 하부 방향으로의 길이(R3)는 제1플레이트부(211) 및 제2플레이트부(212)의 길이(R1)와 연결플레이트부(220)의 길이(R2)의 차이와 동일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ength R3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pair of bent portions 240 is the length R1 of the first plate portion 211 and the second plate portion 212 and the length R1 of the connection plate portion 220 . It may be equal to the difference of the length R2.

또한, 한 쌍의 굽힘부(240)의 폭(W)은 제1플레이트부(211)와 제2플레이트부(212) 사이의 거리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width W of the pair of bent portions 240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plate portion 211 and the second plate portion 212 .

이에 따라, 연결부재(200)는 하나의 판 상을 가공하여 플레이트(210) 및 한 쌍의 굽힘부(240)를 형성함으로써 제조 효율 및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necting member 200 may reduce manufacturing efficiency and manufacturing cost by processing a single plate to form the plate 210 and a pair of bent portions 240 .

아울러, 체결부재(20)가 결합하는 경우, 한 쌍의 굽힘부(240)의 하단부(240a)는 베이스플레이트(300)와 접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astening member 20 is coupled, the lower end portion 240a of the pair of bent portions 240 may be in contact with the base plate 300 .

이에 따라, 연결부재(200)는 한 쌍의 굽힘부(240)가 베이스플레이트(300) 상에 안정적으로 접촉 및 지지되어 베이스플레이트(300) 상의 연결부재(200)의 배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connection member 200, the pair of bent portions 240 are stably contacted and supported on the base plate 300 to stably fix the arrangement of the connection member 200 on the base plate 300. have.

연결부재(200)는 한 쌍의 굽힘부(240)에 각각 삽입된 완충부재(260)를 구비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200 may include a buffer member 260 inserted into the pair of bending portions 240 , respectively.

완충부재(260)는 탄성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링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부재(260)는 고무링과 같은 오-링(O-Ring)일 수 있다.The buffer member 260 may be composed of an elastic member and may have a ring shape. For example, the buffer member 260 may be an O-ring such as a rubber ring.

이에 따라, 완충부재(260)는 한 쌍의 굽힘부(240)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복수의 데크 부재(100)와 각각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완충부재(260)는 외부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복수의 데크 부재(100)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복수의 데크 부재(10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buffer member 260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100 in a state of being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pair of bent portions 240 . Accordingly, the buffer member 260 can maintain the spacing between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100 while preventing damage to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100 by direct contact when an external shock is applied.

즉, 한 쌍의 굽힘부(240) 및 완충부재(260)는 복수의 데크 부재(100)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데크 부재(10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That is, the pair of bending portions 240 and the buffer member 26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100 to maintain the spacing between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100 .

이에 따라, 데크 부재(100) 사이의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일정 간격의 유지를 통해 빗물들과 같은 유체가 빠져나가는 배수로를 형성하여 보행로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structure by maintaining a certain interval between the deck members 100, and to form a drain through which a fluid such as rainwater escapes through maintenance of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by preventing water from accumulating in the walking path. .

한편, 커버부재(1000)는 복수의 데크 부재(100)의 상부에 형성된 이격부(Q)를 커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ver member 1000 may cover the spaced portion (Q)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100).

커버부재(1000)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커버부(1010) 및 커버부(1010)와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삽입부(1020)를 구비할 수 있다.The cover member 1000 may include a cover portion 1010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insertion portion 1020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ver portion 1010 and extending in a downward direction.

이에 따라, 복수의 데크 부재(100) 사이의 공간을 커버함으로써, 보행로의 외관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by covering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10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appearance of the walking path.

아울러, 커버부(1010)는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면 또는 야간에 보행자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형광면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unit 1010 may include a friction surface for preventing the pedestrian from sliding or a fluorescent surface for guiding the movement path of the pedestrian at night.

삽입부(1020)는 커버부(1010)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복수의 데크 부재(100) 사이의 이격부(Q) 내로 삽입될 수 있다.The insertion part 1020 is formed to extend downwardly from the cover part 1010 ,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spaced part Q between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100 .

삽입부(1020)는 커버부(10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insertion part 1020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ver part 1010 .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10)을 구성하는 연결부재(200)의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Next, a modified example of the connecting member 200 constituting the deck rod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or extremely similar parts will be omitted.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연결부재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연결부재가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connecting member shown in FIG. 6 , and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shown in FIG. 10 is applied.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10)을 구성하는 연결부재(200) 한 쌍의 굽힘부(240)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외부 방향으로 각각 굽어진 추가 연장부(2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1 to 11, the connecting member 200 constituting the deck rod system 10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extending from a pair of bending portions 240, each bent in the outward direction An extension 270 may be further provided.

여기서, 외부 방향이란 길이 방향(G)에 대해 제1체결구(230)가 형성된 방향과 반대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outward direction may mea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fastener 230 is form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G).

이에 따라, 추가 연장부(270)는 체결부재(20)가 연결부재(200)와 베이스플레이트(300)를 체결하는 경우, 베이스플레이트(300)와 접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dditional extension portion 270 may contact the base plate 300 when the fastening member 20 fastens the connecting member 200 and the base plate 300 .

따라서, 추가 연장부(270)는 연결부재(200)와 베이스플레이트(300)가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연결부재(200)를 베이스플레이트(300) 상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dditional extension 270 increase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200 and the base plate 300 , thereby stably fixing the connecting member 200 on the base plate 300 .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10)의 고정구조체(6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following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fixing structure 600 of the deck rod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or extremely similar parts will be omitted.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고정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the fixing structure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10)의 고정구조체(600)는 일정 두께를 갖는 받침부분(610)과, 받침부분(610)의 상면에 구비되어 일정 높이를 갖는 기둥부분(620)과, 수직프레임(500)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받침부분(610) 및 상기 기둥부분(620)을 관통하는 삽입부분(630)과, 삽입부분(630)의 수직프레임(500) 측 일단에 구비되어 기둥부분(620)의 상면과 맞대어지는 제3체결부분(640)과, 수직프레임(500)의 하단에 구비되어 제3체결부분(640)과 맞대어지는 제4체결부분(650)과, 기둥부분(620)에 고정되어 제3체결부분(640) 및 제4체결부분(650)을 일체화하는 앵커볼트(660)를 구비할 수 있다.1 to 12, the fixing structure 600 of the deck rod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610 and the support portion 61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 pillar portion 620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500, an insertion portion 630 penetrating through the support portion 610 and the pillar portion 620, and an insertion portion 630 A third fastening part 640 provided at one end of the vertical frame 500 side to 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column part 620, and a third fastening part 640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500 to face the third fastening part 640 The fourth fastening part 650 and the anchor bolt 660 fixed to the pillar part 620 to integrate the third fastening part 640 and the fourth fastening part 650 may be provided.

받침부분(610)은 기둥부분(620)을 받치기 위한 것으로써 데크로드 시스템(10)이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기둥부분(620)은 콘크리트 타설 방식 등을 통해 구비될 수 있다.The supporting portion 610 is for supporting the pillar portion 620 and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location where the deck rod system 10 is installed, and the pillar portion 620 may be provided through a concrete pouring method, etc. .

삽입부분(630)은 기둥부분(620)이 완성된 후 표면에 형성된 스크루를 통해 회전하면서 기둥부분(620)과 받침부분(610)을 차례로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The insertion portion 630 may be inserted through the pillar portion 620 and the support portion 610 sequentially while rotating through a screw formed on the surface after the pillar portion 620 is completed.

여기서, 삽입부분(630)의 수직프레임(500) 측 일단은 기둥부분(620)의 수직프레임(500) 측 일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제3체결부분(640)이 기둥부분(620)과 삽입부분(630) 사이에 빈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ere, one end of the vertical frame 500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630 is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one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500 side of the pillar portion 620 so that the third fastening portion 640 is inserted with the pillar portion 620 . It is possible to prevent a gap from being formed between the portions 630 .

제4체결부분(650)은 앵커볼트(660)를 통해 제3체결부분(640)과 일체화되어 수직프레임(500)이 고정구조체(600)를 통해 용이하게 지지받도록 함으로써 수직프레임(500)의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The fourth fastening portion 650 is integrated with the third fastening portion 640 through the anchor bolt 660 so that the vertical frame 500 is easily supported through the fixing structure 600 , thereby forming the structural structure of the vertical frame 500 . It can have the effect of improving safety.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10)의 난간 연결구조(9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Next, the railing connection structure 900 of the deck rod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or extremely similar parts will be omitted.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난간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난간 연결구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난간 연결구조가 가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andrail connection structure shown in FIG. 1 , 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andrail connection structure shown in FIG. 13 , and FIG. 1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handrail connection structure shown in FIG. 13 to be.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10)의 난간 연결구조(900)는 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세로기둥(700)에 고정되는 고정판(910)과, 고정판(910)에 끼워져 고정판(910)과 결합하는 연결구(920)와, 연결구(920)와 연결되어 가로대(800)가 결합하는 결합체(930)를 구비할 수 있다.1 to 15, the handrail connection structure 900 of the deck rod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silver plate shape and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700 with a fixing plate 910 and , a connector 920 inserted into the fixing plate 910 and coupled to the fixing plate 910 , and a coupling body 930 connected to the connector 920 and coupled to the crossbar 800 .

고정판(910)은 얇은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일면이 세로기둥(700)과 맞대어지는 제1베이스부(911)와, 제1베이스부(911)의 타면에 구비되어 연결구(920)가 고정판(910)에 끼워지도록 하는 돌출부(912)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xing plate 910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thin plate, one surface of which is abutted to the vertical column 700, and the first base portion 911 is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ase portion 911, so that the connector 920 is attached to the fixing plate 910 ) may be provided with a protrusion 912 to fit in.

제1베이스부(911)는 볼트 등의 별도 부재를 통해 일면이 세로기둥(700)에 맞대어진 상태로 세로기둥(700)에 고정되며, 돌출부(912)는 제1베이스부(911)의 타면에서 'U'자 형태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base portion 911 is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700 with one surface facing the vertical column 700 through a separate member such as a bolt, and the protrusion 912 is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ase portion 911 It may be provided to protrude in a 'U' shape.

이를 위해, 돌출부(912)는 제1베이스부(911)의 타면 하측에서 소폭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며 좌우로 길게 구비되는 바닥면(9121)과, 바닥면(9121)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상 방향으로 연장되어 바닥면(9121)과 함께 돌출부(912)가 'U'자 형태가 되는 한 쌍의 측면(9122)과, 'U'자 형태로 구비되어 제1베이스부(911)의 타면 방향에서 바닥면(9121) 및 한 쌍의 측면(9122)과 결합하여 연결구(920)가 제1베이스부(911)의 타면 상측을 통해 고정판(910)에 끼워짐과 동시에 제1베이스부(911)의 타면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앞판(9123)을 구비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protrusion 912 protrude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lower side of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ase portion 911 and extends from the left and right to the bottom surface 9121, and from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9121 in the upward direction. A pair of side surfaces 9122 extending to form a 'U' shape with the protrusion 912 together with the bottom surface 9121, and a 'U' shape are provided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ase portion 911. In combination with the surface 9121 and the pair of side surfaces 9122 , the connector 920 is fitted to the fixing plate 910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ase portion 911 , and at the same time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ase portion 911 . A front plate 9123 to prevent separation in the direction may be provided.

고정판(910)에는 제1베이스부(911), 바닥면(9121), 한 쌍의 측면(9122) 및 앞판(9123)에 의해 형성되어 연결구(920)가 끼워지는 삽입공간(미부호)이 형성되며, 연결구(920)는 제1베이스부(911), 바닥면(9121), 한 쌍의 측면(9122) 및 앞판(9123)에 의해 고정판(910)에 끼워진 후 고정판(910)의 전방, 옆 또는 밑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n insertion space (unsigned) is formed in the fixing plate 910 by the first base portion 911 , the bottom surface 9121 , a pair of side surfaces 9122 , and the front plate 9123 and into which the connector 920 is fitted. The connector 920 is fitted to the fixing plate 910 by the first base portion 911, the bottom surface 9121, a pair of side surfaces 9122 and the front plate 9123, and then the front and side of the fixing plate 910 Or it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out below.

한편, 연결구(920)는 얇은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1베이스부(911)와 돌출부(912) 사이에 끼워지는 제2베이스부(921)와, 제2베이스부(921)의 일면에서 일정길이 길게 연장되고 상호 간에 일정거리를 유지하여 결합체(930)와 연결되는 한 쌍의 제1연결부(922)와, 한 쌍의 제1연결부(922)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2베이스부(921)의 일면에서 일정길이 길게 연장되되 제1연결부(922)보다 짧게 연장되어 결합체(930)와 접촉되는 접촉부(923)를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or 920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thin plate, the second base portion 921 fitted between the first base portion 911 and the protrusion 912, and a predetermined length from one surface of the second base portion 921 One surface of the second base portion 921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first connecting portions 922 and the pair of first connecting portions 922 that extend long and are connected to the assembly 930 by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from each other It may be provided with a contact portion 923 that is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oedoe shorter tha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922 to be in contact with the assembly 930 .

제2베이스부(921)는 제1베이스부(911), 바닥면(9121), 한 쌍의 측면(9122) 및 앞판(9123)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공간(미부호)과 동일하거나 소정크기 작게 형성되어 제2베이스부(921)와 제1베이스부(911), 바닥면(9121), 한 쌍의 측면(9122) 및 앞판(9123)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공간(미부호) 사이에 빈틈을 최소화시킴으로써 고정판(910)과 연결구(920)의 결합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판(910)과 연결구(920)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볼트 등의 별도의 부재가 제2베이스부(921)와 제1베이스부(911)를 차례대로 관통하도록 체결하여 고정판(910)과 연결구(920)를 동시에 세로기둥(700)에 고정할 수 있다.The second base portion 921 is the same as or smaller than the insertion space (unsigned) formed by the first base portion 911 , the bottom surface 9121 , the pair of side surfaces 9122 and the front plate 9123 . The gap is formed between the insertion space (unsigned) formed by the second base part 921 and the first base part 911 , the bottom surface 9121 , the pair of side surfaces 9122 and the front plate 9123 . By minimizing it, it may be provided so that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fixing plate 910 and the connector 920 is not lowered, and a separate member such as a bolt is provided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fixing plate 910 and the connector 920 , the second base part 921 . and the first base portion 911 may be sequentially fastened to pass through, thereby fixing the fixing plate 910 and the connector 920 to the vertical column 700 at the same time.

제1연결부(922)는 돌출부(912)의 앞판(9123)이 'U'자 형태로 구비됨에 따라 제2베이스부(921)의 일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연장되어 결합체(930)와 연결될 수 있다.As the front plate 9123 of the protrusion 912 is provided in a 'U' shape, the first connection part 922 may be easily extended from one surface of the second base part 921 to be connected to the assembly 930 .

접촉부(923)는 제2베이스부(921)의 가운데를 축으로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돌기(9231)와, 상부돌기(9231)와 마주보도록 제2베이스부(921)의 가운데를 축으로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돌기(9232)와, 상부돌기(9231) 및 하부돌기(9232)와 수직을 형성하도록 제2베이스부(921)의 가운데를 축으로 좌우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돌기(9233)를 구비할 수 있다.The contact part 923 has an upper protrusion 9231 provided on the upper part with the middle of the second base part 921 as an axis, and the lower part with the middle of the second base part 921 facing the upper protrusion 9231 as an axis. A pair of side protrusions 9233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with the middle of the second base part 921 as an axis to form a lower protrusion 9232 provided, an upper protrusion 9231 and a lower protrusion 9232 and a vertical axis. can be provided.

상부돌기(9231), 하부돌기(9232) 및 한 쌍의 측면돌기(9233)는 상호 간에 수직을 형성하여 '+'자 형태로 구비되며, 상부돌기(9231)와 측면돌기(9233) 사이 및 하부돌기(9232)와 측면돌기(9233) 사이에는 이격공간(미부호)이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protrusion 9231 , the lower protrusion 9232 , and the pair of side protrusions 9233 are provided in a '+' shape by forming a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between the upper protrusion 9231 and the side protrusion 9233 and the lower part. A separation space (unsigned) may be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 9232 and the side protrusion 9233 .

한편, 결합체(930)는 한 쌍의 제1연결부(922)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931)와, 제2연결부(931)의 일면에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구비되어 개방된 일측을 통해 가로대(800)의 일단이 삽입되는 체결부(932)를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ssembly 930 is provided with a second connection part 931 connected to a pair of first connection parts 922 and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931 in an open form, and a crosspiece through the open side. A fastening part 932 into which one end of the 800 is inserted may be provided.

제2연결부(931)는 육면체로 형성되어 일면에 체결부(932)가 구비되는 본체(9311)와, 본체(9311)의 타면 상측에 구비되어 제2베이스부(921)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상부이탈방지돌기(9312)와, 본체(9311)의 타면 하측에 구비되어 제2베이스부(921)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하부이탈방지돌기(9313)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931 is a pair of a body 9311 formed in a hexahedron and provided with a fastening part 932 on one surface, and a pair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body 9311 and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base part 921 . It may include an upper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 9312 and a pair of lower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s 9313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body 9311 and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base portion 921 .

한 쌍의 상부이탈방지돌기(9312)는 제2베이스부(921)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부돌기(9231)와 측면돌기(9233) 사이의 이격공간(미부호)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고, 예기치 못하게 결합체(930)가 연결구(920)를 축으로 상 방향으로 회전될 시 상부돌기(9231) 및 측면돌기(9233)와 간섭을 일으켜 결합체(930)가 일정각도 이상 상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pair of upper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s 9312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base portion 921 and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paced space (unsigned) between the upper protrusion 9231 and the side protrusions 9233, When the coupling body 930 is unexpectedly rotated in the upward direction around the connector 920, it interferes with the upper protrusion 9231 and the side protrusion 9233 to prevent the coupling body 930 from rotating upward by more than a certain angle can do.

한 쌍의 하부이탈방지돌기(9313)는 제2베이스부(921) 방향으로 돌출되어 하부돌기(9232)와 측면돌기(9233) 사이의 이격공간(미부호)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고, 예기치 못하게 결합체(930)가 연결구(920)를 축으로 하 방향으로 회전될 시 하부돌기(9232) 및 측면돌기(9233)와 간섭을 일으켜 결합체(930)가 일정각도 이상 하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pair of lower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s 9313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base portion 921 and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paced space (unsigned) between the lower protrusions 9232 and the side protrusions 9233, When the coupling body 930 is unexpectedly rot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about the connector 920, it interferes with the lower protrusion 9232 and the side protrusion 9233 to prevent the coupling body 930 from being rot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by more than a certain angle can do.

한편, 한 쌍의 제1연결부(92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나란히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판(910)에 끼워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하로 나란히 위치한 상태에서도 고정판(910)에 끼워질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하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상부이탈방지돌기(9312)와 하부이탈방지돌기(9313)는 예기치 못하게 결합체(930)가 연결구(920)를 축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될 시 상부돌기(9231) 및 하부돌기(9232)와 간섭을 일으켜 결합체(930)가 일정각도 이상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 figure, the pair of first connection parts 922 can be fitted to the fixing plate 910 in a state where they are positioned side by side, as well as being fitted to the fixing plate 910 in a state where they are positioned side by side up and down. In this case, the upper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9312 and the lower separation prevention projection 9313 located on the same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unexpectedly rotate the upper portion of the assembly 93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the connector 920 as the axis. Interference with the protrusion 9231 and the lower protrusion 9232 can prevent the assembly 930 from rotat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이와 같이, 상부이탈방지돌기(9312)와 하부이탈방지돌기(9313)는 예기치 못한 상황이 발생할 시 돌출부(912)와 간섭을 일으켜 결합체(930)가 연결구(920)를 축으로 일정각도 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 발생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upper separation prevention projection 9312 and the lower separation prevention projection 9313 interfere with the projection 912 when an unexpected situation occurs, so that the assembly 930 is rotated by a certain angle or more about the connector 920 as an axis. This can have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체결부(932)는 일측이 개방된 3차원 형태로 구비되며, 가로대(800)의 형태에 따라 직육면체, 정육면체 또는 원기둥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용접 등을 통해 제2연결부(931)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932 is provided in a three-dimensional form with one side open, and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cuboid, a cube, or a cylinder,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crosspiece 80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931 and It may be provided integrally.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deck ro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presented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by addition, change, deletion, addition, etc. of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but this is also sai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10: 데크로드 시스템 20: 체결부재
100: 데크 부재 110: 몸체
120: 제1체결홈 200: 연결부재
210: 플레이트 211: 제1플레이트부
2111: 제1부 212: 제2플레이트부
2121: 제2부 220: 연결플레이트부
230: 제1체결구 240: 굽힘부
240a: 하단부 250: 돌출삽입부
251: 제1돌출삽입부 252: 제2돌출삽입부
260: 완충부재 270: 추가 연장부
300: 베이스플레이트 400: 수평프레임
500: 수직프레임 600: 고정구조체
610: 받침부분 620: 기둥부분
630: 삽입부분 640: 제3체결부분
650: 제4체결부분 660: 앵커볼트
700: 세로기둥 800: 가로대
900: 난간 연결구조 910: 고정판
911: 제1베이스부 912: 돌출부
9121: 바닥면 9122: 측면
9123: 앞판 920: 연결구
921: 제2베이스부 922: 제1연결부
923: 접촉부 9231: 상부돌기
9232: 하부돌기 9233: 측면돌기
930: 결합체 931: 제2연결부
9311: 본체 9312: 상부이탈방지돌기
9313: 하부이탈방지돌기 932: 체결부
1000: 커버부재 1010: 커버부
1020: 삽입부 1030: 결합돌기
10: deck rod system 20: fastening member
100: deck member 110: body
120: first fastening groove 200: connecting member
210: plate 211: first plate portion
2111: first part 212: second plate part
2121: second part 220: connection plate part
230: first fastener 240: bent part
240a: lower part 250: protruding insertion part
251: first protrusion and insert 252: second protrusion and insert
260: buffer member 270: additional extension
300: base plate 400: horizontal frame
500: vertical frame 600: fixed structure
610: support part 620: pillar part
630: insertion part 640: third fastening part
650: fourth fastening part 660: anchor bolt
700: vertical column 800: crossbar
900: handrail connection structure 910: fixed plate
911: first base portion 912: protrusion
9121: bottom surface 9122: side
9123: front panel 920: connector
921: second base portion 922: first connection portion
923: contact portion 9231: upper projection
9232: lower projection 9233: lateral projection
930: combination 931: second connection part
9311: main body 9312: upper separation prevention projection
9313: lower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932: fastening part
1000: cover member 1010: cover part
1020: insertion portion 1030: engaging projection

Claims (5)

일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다수의 데크 부재와,
복수의 상기 데크 부재와 결합하여 복수의 상기 데크 부재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재와,
복수의 상기 데크 부재와 결합하여 복수의 상기 데크 부재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다수의 연결부재가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받치는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과 결합하여 상기 수평프레임을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들어올리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단과 결합하여 상기 수직프레임을 지면에 고정하는 고정구조체와,
상기 다수의 데크 부재의 상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세로기둥과,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세로기둥 사이에 위치하여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가로대와,
상기 가로대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결합하고, 상기 세로기둥에 고정되어 상기 가로대를 상기 세로기둥에 고정하는 난간 연결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난간 연결구조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세로기둥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끼워져 상기 고정판과 결합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와 연결되어 상기 가로대가 결합하는 결합체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판은 얇은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일면이 상기 세로기둥과 맞대어지는 제1베이스부와, 상기 제1베이스부의 타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구가 상기 고정판에 끼워지도록 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구는 얇은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베이스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끼워지는 제2베이스부와, 상기 제2베이스부의 일면에서 일정길이 길게 연장되고 상호 간에 일정거리를 유지하여 상기 결합체와 연결되는 한 쌍의 제1연결부와, 상기 한 쌍의 제1연결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베이스부의 일면에서 일정길이 길게 연장되되 상기 제1연결부보다 짧게 연장되어 상기 결합체와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체는 상기 한 쌍의 제1연결부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일면에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구비되어 개방된 일측을 통해 상기 가로대의 일단이 삽입되는 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시스템.
A plurality of deck members provided long in one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to connect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A cover member coupled to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to cover the upp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a base plate provided under the connecting member to which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are fixed;
a horizontal frame provided under the base plate to support the base plate;
A vertical frame coupled to the horizontal frame to lift the horizontal frame to a certain height from the ground;
A fixing structure coupled to one end of the vertical frame to fix the vertical frame to the ground;
A plurality of vertical pillar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A cross bar positioned between a pair of adjacent vertical pillars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railing connection structure coupled to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osspiece and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to fix the crosspiece to the vertical column,
The handrail connection structure includes a fixing plate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a connector fitted to the fixing plate and coupled to the fixing plate, and a coupling body connected to the connector and coupled to the crossbar, wherein the fixing plate is thin A first base portion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having one surface facing the vertical column, and a protrusion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ase portion so that the connector is fitted into the fixing plate, the connector is provided in a thin plate shape a second base part fitted between the first base part and the protrusion part; , a contact part extending a certain length from one surface of the second base part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first connection parts and extending shorter than the first connection part to be in contact with the assembly; A deck load system comprising a second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a fastening part which is provided with one side open on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and into which one end of the crosspiece is inserted through the open s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 부재는 일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너비방향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체결홈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중심선을 따라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굽어진 한 쌍의 굽힘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굽힘부는 상기 복수의 데크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데크 부재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복수의 데크 부재의 상기 제1체결홈의 하부 영역을 커버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데크 부재 중 어느 하나의 상기 데크 부재의 제1체결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홈에 삽입되는 제1플레이트부와, 상기 제1플레이트부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상기 데크 부재와 마주보도록 인접하게 배치된 또 다른 상기 데크 부재의 제1체결홈에 삽입되는 제2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의 중심선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플레이트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플레이트부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양단부에는 상기 한 쌍의 굽힘부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1체결홈의 하부 영역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제1돌출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플레이트부는 상기 제2플레이트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1체결홈의 하부 영역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제2돌출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제1돌출삽입부와 상기 한 쌍의 제2돌출삽입부는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일정한 굴곡을 가지고,
상기 커버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삽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eck member includes a body elongated in one direction,
and first fastening grooves respective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in the width direction,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plate and a pair of bending portion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late and bent downward from the plate along a centerline of the plate,
The pair of bending portions ar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The connecting member covers the lower region of the first fastening groove of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The plate is formed in paralle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astening groove of the deck member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deck members and a first plate portion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groove, and the first plate portion parallel to and a second plate portion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groove of another deck member disposed adjacently to face any one of the deck members, and disposed along the center line of the plate, the first plate portion and the A connection plate portion formed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plate portion and connecting the first plate portion and the second plate portion,
The pair of bent parts are integrally connected to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late part,
The first plate portion includes a pair of first protruding insertion portions integrally form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late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lower region of the first fastening groove,
The second plate portion includes a pair of second protrusion insertion portions integrally form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plate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lower region of the first fastening groove,
The pair of first protrusion and insertion portions and the pair of second protrusion and insertion portions have a certain curvature extending downwardly,
The cover member is a deck rod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ver portion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over portion and integrally formed with an insertion portion extending in the lower direc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조체는 일정 두께를 갖는 받침부분과,
상기 받침부분의 상면에 구비되어 일정 높이를 갖는 기둥부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받침부분 및 상기 기둥부분을 관통하는 삽입부분과,
상기 삽입부분의 상기 수직프레임 측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기둥부분의 상면과 맞대어지는 제3체결부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3체결부분과 맞대어지는 제4체결부분과,
상기 기둥부분에 고정되어 상기 제3체결부분 및 상기 제4체결부분을 일체화하는 앵커볼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xing structure includes a support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 pillar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An insertion part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and penetrating through the support part and the pillar part;
a third fastening porti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vertical frame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ar portion;
a fourth fastening portion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and facing the third fastening portion;
Deck rod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the pillar portion comprising an anchor bolt for integrating the third fastening portion and the fourth fastening portion.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베이스부의 타면 하측에서 소폭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며 좌우로 길게 구비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면과 함께 상기 돌출부가 'U'자 형태가 되는 한 쌍의 측면과, 'U'자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1베이스부의 타면 방향에서 상기 바닥면 및 한 쌍의 측면과 결합하여 상기 연결구가 상기 제1베이스부의 타면 상측을 통해 상기 고정판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제1베이스부의 타면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앞판을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2베이스부의 가운데를 축으로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돌기와, 상기 상부돌기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2베이스부의 가운데를 축으로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돌기와, 상기 상부돌기 및 상기 하부돌기와 수직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베이스부의 가운데를 축으로 좌우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육면체로 형성되어 일면에 상기 체결부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타면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돌기와 한 쌍의 측면돌기 사이에 위치하는 상부이탈방지돌기와, 상기 본체의 타면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돌기와 한 쌍의 측면돌기 사이에 위치하는 하부이탈방지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trusion includes a bottom surface which protrude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lower side of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ase part and is provided long left and right, and extends upward from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protrusion is 'U' together with the bottom surface. A pair of side surfaces that are shaped like a 'U' are provided in the shape of a 'U' so that they are combined with the bottom surface and a pair of side surfaces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ase part, so that the connector is connected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ase part. A front plate is provided to prevent separation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ase part while being fitted to the fixed plate,
The contact portion forms an upper projection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with the middle of the second base portion as an axis, a lower projection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with the center of the second base portion as an axis to face the upper projection, and perpendicular to the upper projection and the lower projection A pair of side projections each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with the middle of the second base part as an axis is provided,
The second connection part is formed of a hexahedron body and provided with the fastening part on one surface, an upper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protrusion and a pair of side protrusions,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body on the lower side. Deck rod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lower separation prevention projection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projection and a pair of side projections.
KR1020220018581A 2022-02-14 2022-02-14 Deckroad system KR1024170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581A KR102417040B1 (en) 2022-02-14 2022-02-14 Deckroad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581A KR102417040B1 (en) 2022-02-14 2022-02-14 Deckroad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7040B1 true KR102417040B1 (en) 2022-07-05

Family

ID=82401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8581A KR102417040B1 (en) 2022-02-14 2022-02-14 Deckroad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04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4920A (en) 2007-12-17 2009-06-22 이.우드강원 주식회사 Device of connecting fence
KR101742245B1 (en) * 2016-01-12 2017-06-01 (주) 나무들 Guardrail column for deck road system
KR102199254B1 (en) * 2020-04-21 2021-01-07 (주)우드린 Synthetic wood deck structure
KR102264470B1 (en) * 2021-03-04 2021-06-15 (주)우드린 Deck road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4920A (en) 2007-12-17 2009-06-22 이.우드강원 주식회사 Device of connecting fence
KR101742245B1 (en) * 2016-01-12 2017-06-01 (주) 나무들 Guardrail column for deck road system
KR102199254B1 (en) * 2020-04-21 2021-01-07 (주)우드린 Synthetic wood deck structure
KR102264470B1 (en) * 2021-03-04 2021-06-15 (주)우드린 Deck road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2937B1 (en) A constructed footway for bridge
KR101852360B1 (en) Deckroad system for installing construction easy
KR102335852B1 (en) Desk rod construction structure with free running direction
KR102252869B1 (en) Wooden fence with improved ease of fixing the lower part of the wooden post and prevention of vibration and noise
KR101511290B1 (en) Safety passage facility having prefabricated deck
KR200441895Y1 (en) Wood guardrail assembling structure
KR100876098B1 (en) Wood guardrail assembling structure
KR102157134B1 (en) Railing structure that can be assembled
KR101295823B1 (en) Extension sidewalk and constuction method
KR102417040B1 (en) Deckroad system
KR101034841B1 (en) Stone bridge for pedestrian
KR101185431B1 (en) A constructed footway for bridge
KR102534390B1 (en) Base member of handrail pillar
KR101728811B1 (en) fence
KR101045828B1 (en) Bridge inspection passage
KR101663825B1 (en) Wood panel combination structure using magnet
KR102031078B1 (en) Apparatus for handrail post
KR20220077641A (en) Handrail with adjustable height and angle
KR101920038B1 (en) Pedestria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0438011Y1 (en) Fence
KR101230360B1 (en) A constructed footway for bridge
KR102365828B1 (en) Design Type Fence
KR100589444B1 (en) Mounting structure of pavement block of collective building area
KR102218032B1 (en) A slope fence
KR102315853B1 (en) Structure For Installation Of Handrail Of De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